WO2022031086A1 -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31086A1
WO2022031086A1 PCT/KR2021/010358 KR2021010358W WO2022031086A1 WO 2022031086 A1 WO2022031086 A1 WO 2022031086A1 KR 2021010358 W KR2021010358 W KR 2021010358W WO 2022031086 A1 WO2022031086 A1 WO 20220310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ssage
bracket
disposed
heat dissipation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3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57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157988A/zh
Priority to US18/018,010 priority patent/US20230284425A1/en
Publication of WO20220310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310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36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heat dissipation modul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heat dissipation module capable of improving heat dissipation efficiency by improving the struc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t least a portion of the bracket may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 the region may include a groove or space.
  •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may include a third passag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assage and one end of the second passage.
  •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ssage is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one end of the first passag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ssage is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second One end of the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assage.
  • the third passage may include a curvature and be disposed in the bracket.
  • the heat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based on the heating element coupled in the bracke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heat dissipation passage and a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using 2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housing 20a and the second housing 20b.
  • the housing 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body.
  • An electronic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20 .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printed circuit boards 210 and 220 , heating elements 250 and 260 , a bracket 100 , and a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bracket 100 and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module.
  • the bracket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pace portion 107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
  •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 and 220 and the heating elements 250 and 260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100 .
  • the heating elements 250 and 260 may include a first heating element 250 and a second heating element 260 , and the first heating element 25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30 .
  • the second heating element 2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racket 100 .
  • a fixing bracket 270 for fixing the second heating element 260 on the bracket 1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270 may include a pressing part 275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eating element 260 , and may be screwed onto the bracket 100 .
  • the heating elements 250 and 260 may generate heat by driving.
  • the heating elements 250 and 2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 and 220 .
  • the printed circuit boards 210 and 220 are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racket 100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bracket 100 .
  • a substrate 220 may be included.
  •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disposed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racket 100
  •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bracket 100 . have. In addition, it may be fixed using other coupling members.
  •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include a through hole 222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 the through hole 222 may be disposed in a region facing the first heating element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eating element 25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22 . Another portion of the first heating element 25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
  •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includes a first passage 183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groove 130 and the first side 113 , the other side of the groove 130 opposite to the one side, and the A second passage 184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may be includ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ssage 183 and the second passage 18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ssage 183 and the second passage 18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two side surfaces of the groove 130 as shown in FIG. 6 .
  • the interval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passage 183 and the second passage 184 is a first passage 183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first heating element 25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assages 184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interval.
  • One side of the first passage 183 and the second passage 183 is between the first passage 183 and the inlet 183 in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and the second passage 184 and the discharge It may refer to the region between the portions 182 .
  • FIGS.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plates 282 and 284 connect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 and bus bars 289 and 290 .
  •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lates 282 and 284 and the bus bars 289 and 290 .
  • the plates 282 and 284 and the bus bars 289 and 29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heat generating element 250 and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in the first direction (X).
  • the first plate 28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plate 282 and coupled to the hole of the first plate 282 .
  • Curre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ibs 213 and 223 .
  • a heat transfer pad 17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82 and the first side surface 113 , so that the heat of the first plate 282 is radiated through the heat transfer pad 170 .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passage 180 .
  • the heat transfer pad 170 may be disposed on a path where the first plate 282 and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overlap.
  • a separate rib 285 protruding to the outside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
  • the separate rib 285 may be disposed in a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ribs 214 and 224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separate rib 285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rib.
  • a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ate 284 through which the second rib 285 passes.
  •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rib 285 .
  • a circuit pattern 28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84 adjacent to the hole to which the second rib 285 is coupled. Accordingly, the second plate 284 may be soldered to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or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through the second ribs 285 . Thus,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plate 284 and coupled to the hole of the second plate 284 . Current may be passed through the ribs 214 , 224 , 285 .
  • the second rib 285 is soldered to the circuit pattern 286 and does not simply transmit a current, but a signal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or a signal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 It can be a medium that conveys to each other.
  •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bar 289 .
  • the bus bar 289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disposed in the bracket 100 .
  • the bus bar 289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100 by insert injection.
  • the bus bar 289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racket 100 .
  • Ribs 287 and 288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us bar 289 , respectively.
  •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facing the ribs 287 and 288 may have through holes 215 and 225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have. Accordingly, the ribs 287 and 288 ar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215 and 225,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are coupled through the bus bar 289. These can be interconnected. Thus,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us bar 289,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urre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ibs 287 and 288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215 and 225 of the circuit board 220 .
  • the bus bar 289 may be formed in a metal plate shape, and a heat transfer pad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s bar 289 .
  • the heat transfer pa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us bar 289 and the heat dissipation passage 180 .
  •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bar 290 .
  • the bus bar 29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disposed in the bracket 100 .
  • the bus bar 29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100 by insert injection.
  • the bus bar 29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racket 100 . Ribs 291 and 292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us bar 290 , respectively.
  •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facing the ribs 291 and 292 may have through holes 216 and 226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have. Accordingly, the ribs 291 and 292 ar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216 and 226,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are coupled through the bus bar 290. These can be interconnected. Thus,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us bar 290,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urre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ibs 291 and 292 coupled to the through-holes 216 and 226 of the circuit board 220 .
  • the bus bar 290 may be formed in a metal rod shape and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 a heat transfer pad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s bar 290 accommodated in the bracket 100 .
  • a plurality of bus bars 29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방열모듈은, 상면,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홈의 일측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통로와 상기 홈의 타측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과 오버랩된다.

Description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본 실시예는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 장치란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개인용을 제외한 컴퓨터는 가정이나 건물의 일반 공급 전원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공업용 전원으로 208V, 60Hz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도 주파수나 전압 변동의 허용 오차가 크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정주파, 정전압 장치가 필요하다. 미국과 우리나라 기종은 모두 60Hz가 기본이므로 50Hz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주파수 변환기로 60Hz로 변환해야 한다.
전자장치는 하우징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하우징 내에는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은 구동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방열을 위해, 하우징 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하우징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열핀을 포함한 방열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하우징 내 협소한 공간을 고려할 때, 다수의 전자부품 및 방열 구조의 배치에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예는 구조를 개선하여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모듈은, 상면,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홈의 일측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통로와 상기 홈의 타측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과 오버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모듈은, 발열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의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노출되고, 상기 방열 통로의 일부는 상기 홈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방열 통로의 상기 일부는 상기 홈의 측면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기 홈과 오버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소자; 상기 발열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통로는 상기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통로는 상기 발열 소자와 상기 제1 통로에서 상기 제2 통로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소자; 상기 발열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브라켓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브라켓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연결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소자,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통로의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상기 방열통로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파이프는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의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은 홈 또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제1통로의 일단과 상기 제2통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3통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3통로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곡률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 내 결합되는 발열소자를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방열 통로를 통해, 발열소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통로와 발열소자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발열소자 배치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3의 A-A'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통로와 발열소자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는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후술할 방열모듈을 포함한 전자장치가 배치되도록 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후술할 방열 통로(180)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25, 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25, 26)은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25, 26)은 상기 방열 통로(180)의 일측단이 관통하는 제1홀(25)과, 상기 방열 통로(180)의 타측단이 관통하는 제2홀(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25, 26)을 통해 상기 방열 통로(180)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상기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25, 26)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20)의 타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타측면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열 패턴(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패턴(24)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20)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이거나,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은, 제1하우징(20a)과 제2하우징(2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20)은 단일의 바디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전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인쇄회로기판(210, 220), 발열소자(250, 260), 브라켓(100) 및 방열 통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 및 상기 방열 통로(180)의 조합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는 방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전자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10, 220), 상기 발열소자(250, 260) 및 상기 방열 통로(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 상면(111), 상기 상면(111)에 대향하는 하면(112), 상기 상면(111)과 상기 하면(112)을 연결하는 제1측면(113), 상기 제1측면(113)에 대향하며 상기 상면(111)과 상기 하면(112)을 연결하는 제2측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111) 또는 하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후술할 발열소자(250)가 배치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은 홈(130, 도 6참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홈(130)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12)에서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홈(130)은 상기 브라켓(100)의 대략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130)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111)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돌출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 내에는 후술할 방열 통로(180)가 배치되는 공간부(10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07) 내에는 상기 방열 통로(18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의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을 연결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1홀(101)과 제2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07)는 상기 제1홀(101)과 상기 제2홀(102)에 의해 양단이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홀(101)과 상기 제2홀(102)을 통해 방열 통로(180)의 일측단과 타측단은 각각 상기 브라켓(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07)의 단면 형상은 상기 방열 통로(18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0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10, 220), 상기 발열소자(250, 26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열소자(250, 260)는 제1발열소자(250)와, 제2발열소자(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발열소자(250)는 상기 홈(1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발열소자(260)는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1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에는 상기 제2발열소자(260)를 상기 브라켓(100)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7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발열소자(26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75)를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100)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발열소자(260)가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111)에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서 묘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100)의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을 연결하는 또 다른 측면 즉 상기 제1홀(101)과 상기 제2홀(102)가 형성된 상기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제2발열소자(2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발열소자(260)의 열은 후술할 상기 방열통로(180)의 제3통로(187)의 상부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열을 방출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발열소자(260)가 배치되는 측면 상단은 고정 브라켓(270)이 배치되도록, 브라켓(100)의 상면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제2발열소자(260)가 배치될 경우, 제2발열소자(260)는 공간부(107) 또는 방열 통로(180)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발열소자(250)는 인덕턴스를 얻기 위한 인덕터(Inductor) 또는 전압 변환을 위한 변압기(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열소자(260)는 FET 소자 또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소자(250, 260)는 구동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소자(250, 2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10, 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10, 220)은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111)에 배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12)에 배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은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11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외 기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12)은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 중 상기 돌출부(120)와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관통홀(212)을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2)은 상기 제1발열소자(250)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발열소자(25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2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발열소자(25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 상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발열소자(250)가 배치되는 홈(130)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홈(130)은 상기 브라켓(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는 상기 브라켓(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부(107)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의 일단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18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유로를 따라 순환한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81) 및 배출부(182)는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 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방열 통로(180)는 상기 홈(130)의 일측과 제1측면(113) 사이에 배치되는 제1통로(183)와,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상기 홈(130)의 타측과 상기 제2측면(114) 사이에 배치되는 제2통로(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83)와 상기 제2통로(184)의 적어도 일부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83)와 상기 제2통로(184)의 적어도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30)의 적어도 두개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의 일부는 상기 홈(130)의 측면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상기 홈(1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83)의 일부는 상기 제1측면(113)에서 상기 제2측면(1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1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184)의 일부는 상기 제2측면(114)에서 상기 제1측면(113)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13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통로(180)는 상기 제1통로(183)와 상기 제2통로(184)를 연결하는 제3통로(18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통로(183) 및 상기 제2통로(184)의 영역을 각각 상기 제1통로(183)의 일측 및 상기 제2통로(184)의 일측이라 할 때, 상기 제1통로(183)의 타측은 상기 제3통로(187)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184)의 타측은 상기 제3통로(187)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87)는 상기 제1통로(183) 및 상기 제2통로(18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87)의 적어도 일부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87)는 상기 브라켓(100) 내 공간부(10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83), 상기 제2통로(184) 및 상기 제3통로(187)는 상기 제1발열소자(2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83), 상기 제2통로(184) 및 상기 제3통로(187)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183)와 상기 제2통로(184) 일측 사이 간격은, 상기 제1발열소자(250)와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통로(183)와 상기 제2통로(184) 사이 간격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83)와 상기 제2통로(183) 일측 이란 상기 방열통로(180)에서 상기 제1통로(183)와 상기 유입부(183) 사이 및 상기 제2통로(184)와 상기 배출부(182) 사이의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113)으로부터 상기 제2측면(114)을 향하는 제1방향(X)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발열소자(250)의 길이는, 상기 제1발열소자(250)와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통로(183)와 제2통로(184) 사이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방향(X)에 수직한 제2방향(Y)으로 상기 제1발열소자(250)의 높이는 상기 방열 통로(180)의 높이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방향(Y)으로 상기 브라켓(100)의 최 상면은 상기 홈(13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상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100) 내 결합되는 제1발열소자(250)를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방열 통로(180)를 통해, 상기 제1발열소자(25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브라켓(100)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2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 내지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브라켓(100)의 상,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열소자(250, 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을 연결하는 플레이트(282, 284)와, 버스바(289, 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플레이트(282, 284)와, 상기 버스바(289, 290)를 통해 전기적, 물리적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82, 284) 및 상기 버스바(289, 290)는 상기 제1발열소자(250) 및 방열 통로(180)와 제1방향(X)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제1플레이트(282)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측면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측면 중 상기 제1플레이트(282)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213, 2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13, 223)와 마주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282)에는 상기 리브(213, 223)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브(213, 223)가 상기 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282)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8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282)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282)의 홀과 결합된 상기 리브(213, 223)를 통해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282)의 내면과 상기 제1측면(113) 사이에는 열전달 패드(170)가 개재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282)의 열이 상기 열전달 패드(170)를 통해 상기 방열 통로(18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패드(170)는 상기 제1플레이트(282)와 상기 방열 통로(180)가 오버랩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제2플레이트(284)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측면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측면 중 상기 제2플레이트(284)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214, 2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14, 224)와 마주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284)에는 상기 리브(214, 224)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브(214, 224)가 상기 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284)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284)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플레이트(284)의 내면과 상기 브라켓(100)의 측면 사이에도 열전달 패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리브(28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리브(285)는 상기 리브(214, 224)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리브(285)는 제2리브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284)에는 상기 제2리브(285)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브(285)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브(285)가 결합되는 홀과 인접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284)의 외면 상에는 마찬가지로 회로패턴(28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리브(285)를 통해 상기 제2플레이트(284)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과 솔더링될 수 있다. 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284)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84)의 홀과 결합된 상기 리브(214, 224, 285)를 통해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리브(285)는 상기 회로패턴(286)과 솔더링 작업되고 단순히 전류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신호 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신호를 서로에게 전달해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버스바(289)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89)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89)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89)는 상기 브라켓(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89)의 상, 하단에는 각각 상기 브라켓(100)의 상, 하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리브(287, 28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87, 288)와 마주하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에는 각각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5, 2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브(287, 288)가 상기 관통홀(215, 225)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289)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하여, 상기 버스바(289)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관통홀(215, 225)과 결합된 상기 리브(287, 288)를 통해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스바(289)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스바(289)의 내면에는 열전달 패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패드는 상기 버스바(289)와 상기 방열 통로(1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버스바(29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9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9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과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90)는 상기 브라켓(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90)의 상, 하단에는 각각 상기 브라켓(100)의 상, 하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리브(291, 29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91, 292)와 마주하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에는 각각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6, 2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브(291, 292)가 상기 관통홀(216, 226)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290)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하여, 상기 버스바(290)를 통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관통홀(216, 226)과 결합된 상기 리브(291, 292)를 통해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스바(290)는 금속 재질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 내 수용되는 상기 버스바(290)의 외주면에는 열전달 패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90)는 복수로 구비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상면,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홈의 일측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통로와 상기 홈의 타측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과 오버랩되는 방열 모듈.
  2. 발열 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의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노출되고,
    상기 방열 통로의 일부는 상기 홈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방열 통로의 상기 일부는 상기 홈의 측면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상기 홈과 오버랩되는 방열 모듈.
  3. 기판;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소자;
    상기 발열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통로는 상기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통로와 상기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통로는 상기 발열 소자와 상기 제1 통로에서 상기 제2 통로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전자 장치.
  4. 기판;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소자;
    상기 발열소자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에 배치되는 방열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브라켓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 상기 브라켓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연결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소자,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방열 통로의 일부는 제1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통로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는 방열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열 모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홈 또는 공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제1통로의 일단과 상기 제2통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통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3통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3통로의 타단과 연결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통로는 곡률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내 배치되는 전자 장치.
PCT/KR2021/010358 2020-08-05 2021-08-05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0310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57930.9A CN116157988A (zh) 2020-08-05 2021-08-05 热辐射模块及包括该热辐射模块的电子设备
US18/018,010 US20230284425A1 (en) 2020-08-05 2021-08-05 Heat radiat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955A KR20220017685A (ko) 2020-08-05 2020-08-05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20-0097955 2020-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1086A1 true WO2022031086A1 (ko) 2022-02-10

Family

ID=8011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358 WO2022031086A1 (ko) 2020-08-05 2021-08-05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4425A1 (ko)
KR (1) KR20220017685A (ko)
CN (1) CN116157988A (ko)
WO (1) WO202203108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243A (ja) * 2007-02-19 2008-09-04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US7529094B2 (en) * 2006-04-28 2009-05-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heat sink and light pipe mounting assembly
KR20180062493A (ko) * 2016-11-30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구동모터용 인버터
KR20190011521A (ko) * 2017-07-25 2019-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제어장치
KR20190105920A (ko) * 2018-03-07 2019-09-18 이현환 냉매파이프가 매립되는 방열장치의 케이싱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094B2 (en) * 2006-04-28 2009-05-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heat sink and light pipe mounting assembly
JP2008206243A (ja) * 2007-02-19 2008-09-04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KR20180062493A (ko) * 2016-11-30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구동모터용 인버터
KR20190011521A (ko) * 2017-07-25 2019-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제어장치
KR20190105920A (ko) * 2018-03-07 2019-09-18 이현환 냉매파이프가 매립되는 방열장치의 케이싱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57988A (zh) 2023-05-23
KR20220017685A (ko) 2022-02-14
US20230284425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2387A (en) Multi-deck power converter module
WO2018030633A1 (ko) 다면 방열구조를 갖는 피씨비 모듈 및 이 모듈에 사용되는 다층 피씨비 어셈블리
WO2016108639A1 (ko) 전원부 직결형 엘이디 조명장치
WO2019245148A1 (ko) 컨버터
WO2022031086A1 (ko)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0175749A1 (ko) 전동기 구동장치
WO2017104964A1 (ko) 엘이디 조명장치
WO2022025735A1 (ko) 전력변환장치
WO2022031084A1 (ko) 방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WO2022035253A1 (ko) 전력변환장치
WO2021210957A1 (ko) 방열판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WO2021132942A1 (ko) 관통형 에어터널을 포함하는 파워서플라이
WO2022031083A1 (ko) 전력변환장치
WO2022092817A1 (ko) 수소 연료 전지 차량용 직류 컨버터
WO2022045729A1 (ko) 인쇄회로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3113264A1 (ko) 서브모듈
WO2023132587A1 (ko) 전력 변환 장치
WO2011087243A2 (ko) Led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
WO2023132586A1 (ko) 전력 변환 장치
WO2024049124A1 (ko) 커패시터 모듈 및 인버터 모듈
WO2023287114A1 (ko) 전자장치
WO2022154260A1 (ko) 전력전자기기의 하부 모듈
WO2022025733A1 (ko) 전력변환장치
WO2023090873A1 (ko) 컨버터
WO2022245163A1 (ko)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543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543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