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61735A1 -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61735A1
WO2021261735A1 PCT/KR2021/005158 KR2021005158W WO2021261735A1 WO 2021261735 A1 WO2021261735 A1 WO 2021261735A1 KR 2021005158 W KR2021005158 W KR 2021005158W WO 2021261735 A1 WO2021261735 A1 WO 20212617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theter
guide wire
patient
tip
digital radi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1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혜진
조수범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병원
Publication of WO20212617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617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erting a peripherally insertable central venous catheter.
  • Peripherally implantable central venous catheter is a safe and convenient procedure commonly used to administer various drugs to patient groups requiring long-term treatment.
  • PICC has the advantages of a lower rate of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pneumothorax, hemothorax, and catheter infection, and no need to regularly exchange peripheral vein injection sites.
  • PICC a method of maintaining a stable and long-term intravenous route for administration of various drugs, is often performed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a medically critical condition.
  • patients have to move to the intervention room, and the critically ill group has limited movement and is often using various life support devices, so there are potential risk factors related to transport.
  • the existing bed PICC using ultrasound can be operated without transporting the patient, but it is reported that the catheter insertion site cannot be confirmed after the procedure, making the patient's prognosis poor due to complications caused by the procedure, so improvement is need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a potential risk factor associated with transport by enabling PICC to be performed without transporting a patient to an intervention room.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atheter insertion method for preventing complications due to incorrect positioning of the catheter tip by enabl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wire tip during the procedure or the catheter tip after the procedure to be confirmed, unlike the conventional ultrasound-based needle bed PICC. .
  • the peripheral insertion type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osition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wire tip or the catheter tip in real time during the procedure.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risk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fer proces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transfer the patient to the intervention room for the procedure.
  • 1 is a photograph prepared for bedside peripheral insertion type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using a mobile digital radiography device in the intensive care unit.
  • FIG. 2 is a chest x-ray image of a 69-year-old man with lobar pneumonia.
  • A the position of the guide wire of a length of 40 cm can be confirmed, and in B,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can be confirmed.
  • the tip of the catheter is correctly positioned at the superior vena cava and right atrial junction (cavoatrial junction) compared to the tip of the guide wir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erting a peripherally implantable central venous catheter.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serting a guide wire into a peripheral vein of a patient;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inserted guide wire by photographing the patient with a mobile 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inserting the catheter so that the inserted guide wire is positioned in the lumen; and photographing the patient with a mobile digital radiography devic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inserted catheter.
  • a guide wire is inserted into a peripheral vein of a patient.
  • the peripheral veins are the basilic vein, the cephalic vein, the axillary vein, the external jugular vein in the neck, and the femoral vein in the lower extremities. ), greater saphenous vein, lesser saphenous vein, popliteal vein.
  • the guide wire tip is positioned at the superior vena cava and right atrial junction when using the upper extremity vein, and at the junction of the inferior vena cava and the right atrium when using the lower extremity peripheral vein.
  • a detector may be placed on the back of a lying patient and the chest of the patient may be photographed with a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After shooting, you can check whether the tip of the guide wire is positioned at the junction of the vena cava and the right atrium through the screen.
  • a catheter is inserted so that the inserted guide wire is positioned in the lumen.
  • a peel-away sheath may be first inserted so that the guide wire is positioned in the lumen, and then the catheter may be inserted so that the guide wire is positioned in the catheter lumen along it. After inserting the catheter, remove the removable housing and guide wire.
  • the patient is photographed with a mobile digital radiography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catheter tip is confirmed.
  • the detector may be placed on the back of a lying patient and the chest of the patient may be photographed with a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 the screen confirms that the catheter tip is positioned at the junction of the vena cava and the right atrium.
  • the identified guide wire and the tip of the catheter are not located at the junction of the vena cava and the right atrium, adjust their positions. Adjust the position and repeat the steps above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wire tip or catheter tip.
  • each step of the PICC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the patient's bed.
  • movement is limited and there are potential risk factors related to transport because they often use various life support devices.
  • the PICC procedure can be performed without transferring the patient to the intervention room, thereby eliminating potential risk factors related to transport.
  • the PICC implantation patient group consisted of 35 (53.8%) males and 30 (46.2%) females.
  • th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SD) was 69.8 ⁇ 13.2 years, ranging from 35 to 92 years.
  • SD standard deviation
  • 45 underwent bedside PICC using a mobile digital radiography unit in the intensive care unit. Due to the complex and unstable clinical situation, ventilator management or ECMO treatment was combined.
  • PICC using fluoroscopy was performed in an interventional room using a low-dose X-ray system (Allura Clarity, Philips Healthcare, The Netherlands) and US guidance (EPIQ, Philips) accompanying a 5-18 MHz linear array transducer.
  • Bed PICC was performed using mobile DR (DRX-Revolution, Carestream Health, NY) and US guidance (EPIQ, Philips) accompanying a 5-12 MHz linear array transducer.
  • Turbo-Ject Power-Injectable PICC Cook, Bloomington, IN
  • Power Injectable Pro-PICC Medcomp, Harleysville, PA
  • the arm puncture site is at the operator's discretion, but is generally determined based on vein diameter.
  • the preferred arm is the right arm, but if the vein is too small to make a hole or it is difficult to see with ultrasound, the surgery was performed on the left arm.
  • the puncture site is the part where the basilic or brachial vein passes 6-10 cm above the antecubital fossa.
  • the target vein was punctured with a microneedle (21 gauge) using a B-mode duplex US. The path and position of the guide wire were controlled by fluoroscopy. A guide wire tip was placed at the superior vena cava and the right atrial junction (cavoatrial junction).
  • a mobile radiography device To use a mobile radiography device (DR), place the detector under the patient's body at chest level before using a surgical sanitary cloth. Disposable surgical sanitary wipes were always used for this procedure. Then, the same protocol as for peripheral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PICC) using fluoroscopy was followed.
  • PICC peripheral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 the wire When the guide wire is inserted, the wire is usually advanced by about 40 cm and then the chest is photographed with a mobile digital radiography machine. The position of the guide wire tip was confirmed through the scre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erior vein and the right atrial junction and the guide wire tip were calculated, and a catheter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length. After that, the catheter was inserted and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tip was confirmed through chest imaging.
  • the patient's head was rotated toward the insertion site and the chin was tilted toward the chest to minimize tip staining.
  • the guide wire tip was changed and the guide wire in the superior vena cava (SVC) direction was checked through jugular vein ultrasound control. After successful catheterization, another chest image was taken.
  • SVC superior vena cava
  • the primary endpoint of this study was the clinical success rate, which was defined as the absence of procedural-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until the 14th day or the day of death.
  • clinical success rate was defined as the absence of procedural-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until the 14th day or the day of death.
  • technical succ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daptation position of the catheter tip on the immediate portable chest PA.
  • the radiation do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ed PICC patients than in fluoroscopic PICC patients: 557.9 ⁇ 209.2 mGycm versus 985.2 ⁇ 547.6 mGycm (P ⁇ 0.001).
  • the average patient transfer time to the interventional room was 26.6 ⁇ 9.8 min. it w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obot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환자실 침상에서도 시술할 수 있어 이송 관련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시술 중 가이드 와이어 팁 또는 카테터 팁의 위치를 확인하여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시술을 위해 환자를 인터벤션시술실로 이송할 필요 없어 이송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
본 발명은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PICC)는 장기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군에서 다양한 약품을 투여하기 위해 흔하게 사용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시술방법이다. PICC는 기존의 정맥 접근법들과 비교하여, 기흉·혈흉·카테터 감염과 같은 시술 관련 합병증의 비율이 낮고, 정기적으로 말초정맥 주사부위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의학적으로 위중한 상태에 있는 중환자군은 다양한 약물투여를 위해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정맥주사경로 유지방법인 PICC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해당시술을 위해 환자들이 인터벤션시술실로 이동해야 하는데, 중환자군은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각종 생명유지장치들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송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요소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초음파를 이용한 침상 PICC는 환자를 이송시키지 않고 시술할수 있지만, 시술 후 카테터 삽입 부위를 확인할 수 없어 시술에 의한 합병증으로 환자의 예후를 불량하게 만드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환자를 인터벤션시술실로 이송하지 않고도 PICC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이송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초음파를 이용한 침상 PICC와 달리 시술 중 가이드 와이어 팁 또는 시술 후 카테터 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카테터 팁의 잘못된 위치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카테터 삽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가이드 와이어를 환자의 말초정맥에 삽입하는 단계;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의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내강에 위치하도록 카테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카테터의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가이드 와이어 및 카테터의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하지 않으면 그 위치를 조정하는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는 환자의 침상에서 수행되는 것인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방법.
본 발명은 시술 중 가이드 와이어 팁 또는 카테터 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술을 위해 환자를 인터벤션시술실로 이송할 필요 없어 이송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중환자실에서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를 이용한 침상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시술이 준비된 사진이다.
도 2는 대엽성 폐렴이 있는 69세 남성의 흉부 x선 영상이다. A에서는 40cm 길이의 가이드 와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B에서는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카테터의 팁은 가이드 와이어의 팁(화살표 방향)과 비교하여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cavoatrial junction)에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가이드 와이어를 환자의 말초정맥에 삽입하는 단계;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의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내강에 위치하도록 카테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카테터의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먼저, 가이드 와이어를 환자의 말초정맥에 삽입한다.
상기 말초정맥은 팔 부위에 있는 자쪽피부정맥 (basilic vein), 노쪽피부정맥 (cephalic vein), 액와정맥 (axillary vein), 목에 있는 외경정맥 (external jugular vein), 하지에있는 대퇴정맥 (femoral vein), 대복재정맥 (greater saphenous vein), 소복재정맥 (lesser saphenous vein), 오금정맥 (popliteal vein)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 팁은 상체 말초정맥을 이용할 경우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cavoatrial junction), 하체 말초정맥을 이용할 경우 하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가이드 와이어의 팁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의 흉부를 촬영하여 상기 가이드 와이어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올바르게 위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누워있는 환자의 등 뒤에 검출기를 놓고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 장치로 환자의 흉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 후 화면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의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내강에 위치하도록 카테터를 삽입한다.
가이드 와이어가 내강에 위치하도록 분리제거형집(peel-away sheath)을 먼저 삽입한 후 이를 따라 카테터 내강에 가이드 와이어가 위치하도록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다. 카테터를 삽입한 후 분리제거형집과 가이드 와이어를 제거한다.
이후,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카테터 팁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의 흉부를 촬영하여 상기 카테터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올바르게 위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누워있는 환자의 등 뒤에 검출기를 놓고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 장치로 환자의 흉부를 촬영할 수 있다. 화면을 통해 카테터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가이드 와이어 및 카테터의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하지 않으면 그 위치를 조정한다.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의 가이드 와이어 팁 또는 카테터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ICC시술 각 단계가 환자의 침상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중환자의 경우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각종 생명유지장치들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송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요소가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환자를 인터벤션시술실로 이송시키지 않고 PICC시술을 할 수 있어 이송관련 잠재적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방법
1. 환자
PICC를 받은 65명의 ICU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을 검토하였다.
2016년 5월부터 2017년 5월까지 PICC 삽입 환자 그룹은 35명(53.8%)의 남성, 30명(46.2%)의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평균 연령 ± 표준 편차(SD)는 69.8 ± 13.2세이며 35세에서 92세 사이였다. 이 환자들 중 45명은 중환자실에서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장치를 사용하여 침상 PICC를 받았다. 복잡하고 불안정한 임상적 상황 때문에 인공호흡기 관리 또는 ECMO 처리가 병행됐다.
나머지 20명의 환자는 인터벤션시술실로 옮겨져 형광 투시법을 이용한 PICC를 받았다. 임상발표, 이송시간, 시술시간 및 피폭 방사선량을 알기 위해 전자 의료 기록을 검토했다. 기관 검토 위원회는 이 연구를 승인했으며, 이 때문에 사전 동의가 면제되었다.
2. PICC 시술의 기술적 세부사항
모든 절차는 PICC실에서 4년차 intervention 방사선 전문의가 수행했다.
투시조영을 이용한 PICC는 저선량 X선시스템(Allura Clarity, Philips Healthcare, 네덜란드) 과 5-18MHz선형배열변환기를 수반하는 US guidance (EPIQ, Philips)를 사용하여 인터벤션시술실에서 수행했다.
침상 PICC는 이동형 DR(DRX-Revolution, Carestream Health, NY)과 5-12MHz 선형배열변환기를 수반하는 US guidance (EPIQ, Philips)를 이용해 수행되었다. Turbo-Ject Power-Injectable PICC (Cook, Bloomington, IN)와 5-F dual lumen 혹은 6-F triple lumen의 Power Injectable Pro-PICC (Medcomp, Harleysville, PA) 장치들은 모든 환자에 이용됐다.
3. 투시조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시술
팔의 천자부위는 시술자의 재량이지만, 일반적으로 정맥 직경을 기반으로 결정했다. 선호되는 팔은 오른팔이지만 정맥이 너무 작아서 구멍을 내기 힘들거나 초음파로 관찰이 어려우면 왼쪽 팔에 시술했다. 천자부위는 antecubital fossa에서 6-10cm 위에 떨어진 the basilic or brachial vein이 지나는 부분이다. B-mode duplex US 이용해서 목표 정맥을 microneedle(21 gauge)로 천자했다. 가이드 와이어의 경로와 위치는 투시조영기(fluoroscopy)로 조절했다. 가이드 와이어 팁은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cavoatrial junction)에 위치시켰다. 피부에 노출된 가이드 와이어에 표시된 길이를 확인하고, 멸균 가위를 사용하여 해당 길이의 카테터를 준비했다. 표준 peel-away 유도관(standard peel-away introducer) 역시 정맥에 삽입했다. 유도관 안쪽으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가 카테터 내강에 위치하도록 하여 카테터를 전진시켰다. 전진시킨 후 peel-away 피복(sheath)을 양옆으로 쪼개서 벗겨낸 후 가이드 와이어도 뽑아서 제거했다. 그 후 투시조영을 이용해 카테터 팁의 위치를 확인했다. 천자부위는 카테터 안정화장치로 감쌌다.
4. 이동형 방사선선 촬영장치 이용한 침상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시술
이동형 방사선 촬영장치(DR)를 사용하기 위해, 수술용 위생 천을 사용하기 전 환자의 몸 아래에 있는 검출기를 가슴 높이로 놓는다. 이 절차에는 항상 일회용 수술용 위생 천을 사용했다. 그런 다음 투시조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시술 (PICC)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따랐다.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면 통상적으로 와이어를 40cm 정도 전진시킨 뒤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자치로 흉부를 촬영했다. 화면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 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cavoatrial junction)와 가이드 와이어 팁사이의 거리를 계산했으며, 계산된 길이에 맞춰 카테터를 준비했다. 그 후 카테터를 삽입하고 흉부 촬영을 통해 카테터 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 환자의 머리를 삽입 부위 쪽으로 회전시키고 턱을 가슴 쪽으로 기울여 팁의 오점을 최소화했다. 다만 가이드 와이어 팁이 경정맥에 위치하거나 흉부 X선 촬영에서 와이어 끝이 보이지 않을 경우 가이드 와이어 팁을 변경하고 경정맥 초음파 제어를 통해 상대정맥(SVC) 방향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를 점검했다. 카테터 삽입까지 성공적으로 마친 후, 흉부를 한번 더 촬영했다.
5.평가지표
본 연구의 1차 평가지표는 임상 성공률로, 임상성공은 14일째 또는 사망일까지 감염과 같은 절차 관련 합병증이 없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또한 2차 평가지표로 immediate portable chest PA상에서 카테터 팁의 적응 위치에 따라 기술적 성공을 측정했다.
6. 통계학적분석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Kolmogorov-Smirnov test)을 사용하여 정규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테스트했다. 독립 t 검정을 사용하여 정규 분포 변수를 비교하고 평균 ± SD로 표현했다. α 검정 또는 작은 셀 값에 대해 피셔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을 사용하여 범주형 변수의 그룹 비교를 수행했다. IBM SPSS 24.0 소프트웨어 패키지(SPSS, Armonk, NY)를 사용하여 모든 통계 분석을 수행했으며, P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과
모든 환자에게 사용된 인구통계, 기저질환, 적응증, 이송시간, 시술시간 및 방사선량을 포함한 임상 및 절차상 세부사항이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인구통계학적 측면, 기저질환 또는 카테터의 배치 표시 측면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그룹 모두에서 100%의 기술 및 임상 성공률을 달성했다. 두 그룹 모두 PICC와 관련된 혈류 감염과 같은 절차와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표1에서 보듯이, 방사선량은 투시조영 PICC 환자보다 침상 PICC 환자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557.9 ± 209.2 mGycm 대 985.2 ± 547.6 mGycm(P <0.001). 그러나 침상 PICC는 투시 진단 유도 PICC 보다 훨씬 긴 시술 시간을 필요로 했다: 26.8 ± 3.9분 대 24.1 ± 5.6분(P = 0.028) 투시조영 PICC의 경우 인터벤션시술실로의 평균 환자 이송시간은 26.6 ± 9.8분이었다.
환자특성 투시조영 이용한
PICC (n=20)
침상 PICC (n=45) P
성별 .902
남, n (%) 11 (31.4) 24 (68.6)
여, n (%) 9 (30) 21 (70)
나이 , y,
평균±SD
65.6 ± 14.1 71.7 ± 12.4 .083
기저질환, n (%) .761
내과 11 (29.7) 26 (70.3)
신경과 6 (28.6) 16 (71.4)
외과 3 (42.9) 3 (57.1)
Indications, n (%) .134
Venous access 5 (17.9) 23 (82.1)
Total parenteral nutrition 2 (33.3) 4 (66.7)
장기간 항생제 투여 13 (41.9) 18 (58.1)
방사선량, mGycm 2 ,
mean ± SD
985.2 ± 547.6 557.9 ± 209.2 <0.001
시술시간, min,
mean ± SD
24.1 ± 5.6 26.8 ± 3.9 .028

Claims (2)

  1. 가이드 와이어를 환자의 말초정맥에 삽입하는 단계;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의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내강에 위치하도록 카테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이동형 디지털방사선 촬영장치로 환자를 촬영하여, 삽입된 카테터의 팁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가이드 와이어 및 카테터의 팁이 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하지 않으면 그 위치를 조정하는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는 환자의 침상에서 수행되는 것인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방법.
PCT/KR2021/005158 2020-06-26 2021-04-23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 WO20212617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8470 2020-06-26
KR10-2020-0078470 2020-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735A1 true WO2021261735A1 (ko) 2021-12-30

Family

ID=7928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158 WO2021261735A1 (ko) 2020-06-26 2021-04-23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2617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10844A1 (en) * 2012-04-05 2019-04-18 C. R. Bard, Inc.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Intravascular Positioning Of Distal End Of Cathe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10844A1 (en) * 2012-04-05 2019-04-18 C. R. Bard, Inc.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Intravascular Positioning Of Distal End Of Catheter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ZIRET MEHMET, İRKÖRÜCÜ OKTAY, GÖKLER CIHAN, REYHAN ENVER, ÇETINKÜNAR SÜLEYMAN, ÇIL TIMUÇIN, AKPINAR EDIP, ERDEM HASAN, DEĞER KAM: "Performance of Venous Port Catheter Insertion by a General Surgeon: A Prospective Study", INTERNATIONAL SURGERY., PICCIN MEDICAL BOOKS, PADOVA., IT, vol. 100, no. 5, 1 May 2015 (2015-05-01), IT , pages 827 - 835, XP055882461, ISSN: 0020-8868, DOI: 10.9738/INTSURG-D-14-00214.1 *
CHO SOO BUEM, BAEK HYE JIN, PARK SUNG EUN, CHOI HO CHEOL, LEE SANG MIN, BAE KYUNGSOO, JEON KYUNG NYEO, RYU KYEONG HWA, MOON JIN IL: "Clinical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bedside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using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for patients in an intensive care unit : A single-center experience", MEDICINE,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US, vol. 98, no. 26, 1 June 2019 (2019-06-01), US , pages e16197, XP055882456, ISSN: 0025-7974, DOI: 10.1097/MD.0000000000016197 *
KATHERIA A C, FLEMING S E, KIM J 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ultrasound-guided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compared with standard radiograph in neonates", JOURNAL OF PERINATOLOGY, NATURE PUBLISHING, BASINGSTOKE, GB, vol. 33, no. 10, 1 October 2013 (2013-10-01), GB , pages 791 - 794, XP055882460, ISSN: 0743-8346, DOI: 10.1038/jp.2013.58 *
ROYCE, BARRY: "Use of C-arm fluoroscopy by nurses for placement of PICC lin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VASCULAR ACCESS, vol. 14, no. 3, 1 September 2009 (2009-09-01), US , pages 138 - 141, XP009533179, ISSN: 1557-1289, DOI: 10.2309/java.14-3-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ubauer Percutaneous central iv access in the neonate: experience with 535 silastic catheters
Schummer et al. ECG-guided central venous catheter positioning: does it detect the pericardial reflection rather than the right atrium?
Follett et al. Prevention of intrathecal drug delivery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Kolikof et al. Central venous catheter
Arul et al.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insertion of Hickman lines in children. Prospective study of 500 consecutive procedures
Gunnarsson et al. Mobile computerized tomography scanning in the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increase in patient safety and reduction of staff workload
US20210038322A1 (en) Optical-Fiber Connector Modules Including Shape-Sens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Morris et al. A randomized comparison of positional stability: The EZ-Blocker versus left-sided double-lumen endobronchial tubes in adult patients undergoing thoracic surgery
WO2021261735A1 (ko) 이동형 디지털방사선촬영을 이용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의 삽입방법
Corsten et al. Central venous catheter placement using the ECG-guided Cavafix-Certodyn SD catheter
Murakami et al. Japanese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Consensus Guidelines of combined intracavitary and interstitial brachytherapy for gynecological cancers
Carr et al. Midline venous catheters as an alternative to central line catheter placement: a product evaluation
Rosche et al. Evaluation of a magnetic tracking and electrocardiogram-based tip confirmation system for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pediatric patients
Zhou et al. Modified surface measurement method to determine catheter tip position of totally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 through right subclavian vein
Liu et al. Catheter malposition analysis of totally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 in breast cancer patients
Archer et al. Intraoperative mobi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craniotomy lengthens the procedure but does not increase morbidity
Gatenby et al.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for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Huggins et al. Thoracostomy tubes and catheters: Placement techniques and complications
Schmidt et al. Computed tomography guidance for percutaneous glycerol rhizotomy for trigeminal neuralgia
Shetti et al. Anesthesiologist in cardiac catheterization laboratories; the roles and goals!! a postgraduate educational review
Smith et al. Novel Catheter Positioning System for Intravenous Central Lines: A Report of 1 Hospital's Experience
Shi et al. Application of intracavitary ECG for positioning the totally implantable venous access port in the upper arm of cancer patients
Williamson et al. Central venous cannulation
WO2023095973A1 (ko) 피하공기증 개체의 초음파 영상 획득 방법
Duan et al. Intracavitary electrocardiography for femo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tip location in adult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81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81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