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6603A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6603A1
WO2021246603A1 PCT/KR2021/000077 KR2021000077W WO2021246603A1 WO 2021246603 A1 WO2021246603 A1 WO 2021246603A1 KR 2021000077 W KR2021000077 W KR 2021000077W WO 2021246603 A1 WO2021246603 A1 WO 20212466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electrode
plastic part
case
ca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00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922,95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70560A1/en
Publication of WO20212466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66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64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weight, improving electrical capacity, and efficiently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 the outer edge of the first metal layer may have a reverse step shape, and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metal layer may have a step shape.
  • the second electrode 120 has a band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0 with the separato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foil (eg, Al foil). It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oating portion that is a coated area and a positive electrode uncoated area that is an area on which an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The positive electrode uncoated region may be located at one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20 .
  • a metal foil eg, Al foil
  • the second plastic part 340 which is a plastic material of the cap assembly 300
  • the third plastic part 230 which is a plastic material of the case 200
  • the cas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ase 200 by heat generated dur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cap assembly 300 to the case 200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1000 . Since the damage applied to the separator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minimized, the siz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mmodated in the case 200 is maximized to improve the electrical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1000 itself. c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일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에서 연장되어 상기 캡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2 전극 탭과 접촉하는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과 이격되며,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를 절연하는 제1 플라스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본 기재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최근,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헤드폰, 이어폰, 스마트워치(smartwatch), 신체 부착형 의료 기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초소형 이차 전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초소형 이차 전지는, 제한된 크기 내에서 요구되는 전기적 용량을 확보하고, 효과적인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일 실시예는, 효과적으로 경량화를 이루며 전기적 용량을 향상시키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일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에서 연장되어 상기 캡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2 전극 탭과 접촉하는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과 이격되며,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를 절연하는 제1 플라스틱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제2 금속층은 고리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금속층의 내부 테두리는 상기 제1 금속층의 외부 테두리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는 역계단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내부 테두리는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1 플라스틱부, 상기 제2 금속층 각각의 상부 표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2 금속층의 외부 테두리를 감싸는 제2 플라스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플라스틱부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측벽을 감싸며, 상기 제2 플라스틱부와 접합된 제3 플라스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과 비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는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라스틱부는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측 단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3 플라스틱부는 상기 측벽의 상기 상측 단부 대비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라스틱부는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 및 상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기 상측 단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기 상측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라스틱부 및 상기 제3 플라스틱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대비 더 높은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라스틱부와 상기 제3 플라스틱부 사이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은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은 상기 캡 조립체를 향하고,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저부를 향하며, 상기 제1 전극 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전극 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캡 조립체의 상기 제1 금속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경량화를 이루며 전기적 용량을 향상시키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초소형 이차 전지로서, 코인형 전지(coin cell) 또는 버튼형 전지(button cel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또는 핀(pin)형 전지일 수 있다.
여기서, 코인형 전지 또는 버튼형 전지는 얇은 동전 또는 단추 형태의 전지로서,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이하인 전지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인형 전지 또는 버튼형 전지는 수평 방향의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 방향의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캡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0)는 케이스(200)에 수납된다. 전극 조립체(100)의 하면은 케이스(200)의 저부와 대향하며, 전극 조립체(100)의 상면은 케이스(200)의 개구(210)를 커버하는 캡 조립체(300)와 대향한다. 전극 조립체(100)의 하면 및 상면은 서로 평행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세퍼레이터(130), 제1 전극 탭(140), 제2 전극 탭(150), 센터핀(160), 절연 부재(170)를 포함한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30)가 위치한다. 제1 전극(110)은 음극(anode)이고, 제2 전극(120)은 양극(catho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110)이 양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120)이 음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태를 가지며, 금속박(일례로, Cu 포일)의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영역인 음극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음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음극 무지부는 제1 전극(110)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10)과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태를 가지며, 금속박(일례로, Al 포일)의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영역인 양극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양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양극 무지부는 제2 전극(120)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3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제1 전극(110), 세퍼레이터(130), 제2 전극(12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센터핀(160)을 중심으로 함께 권취되는 젤리 롤(jelly roll)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세퍼레이터(130) 각각은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탭(14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으로부터 케이스(200)로 연장되어 케이스(200)의 저부에 결합된다. 제1 전극 탭(140)은 제1 전극(110)과 케이스(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전극 탭(140)은 제1 전극(110) 및 케이스(200)와 접촉한다. 제1 전극 탭(140)에 의해 케이스(200)는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음극)을 가진다. 제1 전극 탭(140)과 케이스(200)는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용접 등의 결합 방법으로 상호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극 탭(140)은 전극 조립체(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극 탭(15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120)으로부터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으로 연장된다. 제2 전극 탭(150)은 제2 전극(120)과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전극 탭(150)은 제2 전극(120) 및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과 접촉한다. 제2 전극 탭(150)에 의해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은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양극)을 가진다. 제2 전극 탭(150)과 캡 조립체(300)는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용접 등의 결합 방법으로 상호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 탭(150)은 전극 조립체(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센터핀(160)은 젤리 롤 형태를 가지고 권취된 전극 조립체(1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1 전극 탭(140) 및 제2 전극 탭(150)을 지지한다. 센터핀(160)의 상단은 전극 조립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으로 돌출되고, 센터핀(160)의 하단은 전극 조립체(100)의 하면으로부터 케이스(200)의 저부로 돌출된다. 제2 전극 탭(150)은 센터핀(160)의 상단에 지지되어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에 용접되며, 제1 전극 탭(140)은 센터핀(160)의 하단에 지지되어 케이스(200)의 저부에 용접된다. 센터핀(160)은 전기적 절연 소재를 포함하며, 센터핀(160)은 전극 조립체(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절연 부재(170)는 전극 조립체(100)와 케이스(200) 사이에서 전극 조립체(100)를 감싸며, 전극 조립체(100)와 케이스(200) 사이를 절연한다. 절연 부재(170)는 폴리머 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 소재를 포함하며, 필름 형태로 전극 조립체(100)의 외면을 감싸거나, 액상형태로 전극 조립체(200)의 외면에 도포된 후 경화될 수 있다. 절연 부재(170)는 전극 조립체(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한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상면을 노출하는 개구(210)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00)의 개구(210)는 케이스(2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저부는 제1 전극 탭(140)에 의해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과 연결되어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음극)을 가진다. 케이스(200)는 젤리 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하는 원통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200)는 캡 조립체(300)의 제2 플라스틱부(340)와 대응하여 개구(210)를 형성하는 케이스(200)의 측벽(220)을 감싸는 제3 플라스틱부(230)를 더 포함한다. 제3 플라스틱부(230)는 케이스(200)의 측벽(220)의 상측 단부(221) 대비 낮게 위치하여 상측 단부(221)를 커버하는 캡 조립체(300)의 제2 플라스틱부(340)와 접합된다.
한편,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와 함께 공지된 다양한 전해액을 수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캡 조립체(300)는 케이스(200)의 개구(210)에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내부를 밀폐한다.
캡 조립체(300)는 제1 금속층(310), 제2 금속층(320), 제1 플라스틱부(330), 제2 플라스틱부(340)를 포함한다. 제1 금속층(310), 제2 금속층(320), 제1 플라스틱부(330), 제2 플라스틱부(340) 각각의 상부 표면은 가상의 동일 평면(VP) 상에 위치한다. 제1 금속층(310), 제2 금속층(320), 제1 플라스틱부(330), 제2 플라스틱부(340) 각각의 상부 표면이 동일 평면(VP) 상에 위치함으로써, 캡 조립체(300)의 상부 표면에 이차 전지(1000)의 측면 방향으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금속층(310)은 제2 전극 탭(150)과 접촉한다. 제1 금속층(310)은 케이스(200)의 개구(210)의 중앙 영역을 커버한다. 제1 금속층(310)은 전극 조립체(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2 전극 탭(150)과 접촉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120)과 연결된다. 제1 금속층(310)은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양극)을 가진다. 제1 금속층(310)은 평면적으로 원판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는 역계단 형태를 가진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 각각은 플라스틱부와 접합력을 높이기 위해 돌출 또는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는 제1 플라스틱부(330)에 의해 감싸지며, 제1 금속층(310)은 제1 플라스틱부(330)에 의해 제2 금속층(320)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 금속층(320)은 제1 금속층(310)과 이격되며, 케이스(200)의 측벽(220)과 접촉한다. 제2 금속층(320)은 케이스(200)의 측벽(220)의 상측 단부(221)와 접촉한다. 제2 금속층(320)은 케이스(200)와 결합하여 케이스(200)의 개구(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한다. 제2 금속층(320)은 케이스(200)의 측벽(220)과 비접합된다. 제2 금속층(320)은 케이스(200)와 접촉되어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음극)을 가진다. 제2 금속층(320)은 고리 형태를 가지며,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는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를 감싼다.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는 계단 형태를 가진다.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322)는 계단 형태를 가지며,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322)는 케이스(200)의 측벽(220)에 지지된다.
제1 플라스틱부(330)는 제1 금속층(310)과 제2 금속층(32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금속층(310)과 제2 금속층(320) 사이를 절연한다. 제1 플라스틱부(330)는 평면적으로 고리 형태를 가지며,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와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 사이를 연결한다. 제1 플라스틱부(330)는 제1 금속층(310)과 제2 금속층(320) 사이를 접합한다. 제1 플라스틱부(330)가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와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 사이를 접합하고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가 계단 형태를 가지며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가 역계단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에 의해 제1 플라스틱부(330)가 지지되고 제1 플라스틱부(330)에 의해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가 지지되기 때문에, 이차 전지(1000)의 외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1 금속층(310)이 캡 조립체(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플라스틱부(330)가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와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 사이를 접합하고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가 계단 형태를 가지며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가 역계단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1 금속층(310)의 테두리 및 제2 금속층(320)의 테두리에 돌출 또는 오목 구조가 형성되어 접합면의 단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금속층들과 플라스틱부 간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제2 플라스틱부(340)는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322)를 감싸고 있다. 제2 플라스틱부(340)는 평면적으로 고리 형태를 가지며, 계단 형태를 가지는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322)를 감싸고 있다. 제2 플라스틱부(340)는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32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200)의 측벽(220)의 상측 단부(221)를 측면 방향으로 커버한다. 제2 플라스틱부(340)는 제2 금속층(320)의 외부 테두리(322) 및 케이스(200)의 측벽(220)의 상측 단부(221)를 완전히 커버한다. 제2 플라스틱부(340)는 케이스(200)의 측벽(220)을 둘러싸는 제3 플라스틱부(230)와 접합된다. 제2 플라스틱부(340)와 제3 플라스틱부(230) 사이의 접합 부분(BP)은 레이저 빔, 열, 또는 화학적 에칭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제2 플라스틱부(340) 및 제3 플라스틱부(23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대비 더 높은 투명도를 가지며, 제2 플라스틱부(340)와 제3 플라스틱부(230) 사이의 접합 부분(BP)은 2개의 플라스틱부 중 더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플라스틱부를 통해 레이저 빔이 투과되어 열에 의해 융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제2 플라스틱부(340)가 제3 플라스틱부(230) 대비 높은 투명도를 가질 경우, 제2 플라스틱부(340)가 투과재가 되고 제3 플라스틱부(230)가 흡수재가 되어 제2 플라스틱부(340)를 통해 레이저 빔이 투과되어 제2 플라스틱부(340)와 제3 플라스틱부(230) 사이의 접합 부분(BP)이 레이저 빔에 의한 열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플라스틱부(230)가 제2 플라스틱부(340) 대비 높은 투명도를 가질 경우, 제3 플라스틱부(230)가 투과재가 되고 제2 플라스틱부(340)가 흡수재가 되어 제3 플라스틱부(230)를 통해 레이저 빔이 투과되어 제2 플라스틱부(340)와 제3 플라스틱부(230) 사이의 접합 부분(BP)이 레이저 빔에 의한 열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캡 조립체(300)의 제2 플라스틱부(340)가 케이스(200)의 제3 플라스틱부(230)와 접합됨으로써, 캡 조립체(300)의 제2 금속층(320)이 케이스(200)의 측벽(220)과 접촉하여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음극)을 가지고 캡 조립체(300)의 제1 금속층(310)이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일례로, 양극)을 가진 상태에서 캡 조립체(300)가 케이스(200)에 접합되어 전극 조립체(100)가 케이스(200) 내부에 밀폐된다.
캡 조립체(300)가 제1 플라스틱부(330) 및 제2 플라스틱부(340)를 포함함으로써, 캡 조립체(300) 전체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대비 캡 조립체(300)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켜 이차 전지(1000) 전체적인 경량화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캡 조립체(300)가 금속 소재인 제1 금속층(310) 및 제2 금속층(320)과 플라스틱 소재인 제1 플라스틱부(330) 및 제2 플라스틱부(340)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플라스틱 소재의 물성 및 금속 소재의 물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캡 조립체(300)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켜 이차 전지(1000)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 조립체(300)의 플라스틱 소재인 제2 플라스틱부(340)가 케이스(200)의 플라스틱 소재인 제3 플라스틱부(230)와 접합됨으로써, 금속 소재의 캡 조립체와 금속 소재의 케이스가 직접 용접되는 것에 대비하여 저온으로 케이스(200)에 캡 조립체(300)를 접합할 수 있다. 케이스(200)의 내부에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하고 케이스(200)에 캡 조립체(300)를 접합하여 이차 전지(10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캡 조립체(300)의 플라스틱 소재인 제2 플라스틱부(340)와 케이스(200)의 플라스틱 소재인 제3 플라스틱부(230) 사이를 저온으로 접합함으로써, 접합 공정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극 조립체(100)의 세퍼레이터(130) 등에 가해지는 데미지(damage)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케이스(200)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크기를 최대화해 이차 전지(1000) 자체의 전기적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캡 조립체(300)가 제1 플라스틱부(330) 및 제2 플라스틱부(340)를 포함함으로써, 캡 조립체(300) 전체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대비 캡 조립체(300)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켜 이차 전지(1000) 전체적인 경량화를 확보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캡 조립체(300)의 제1 플라스틱부(330)가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와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 사이를 접합하고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가 계단 형태를 가지며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가 역계단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 금속층(320)의 내부 테두리(321)에 의해 제1 플라스틱부(330)가 지지되고 제1 플라스틱부(330)에 의해 제1 금속층(310)의 외부 테두리(311)가 지지되기 때문에, 이차 전지(1000)의 외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1 금속층(310)이 캡 조립체(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제1 금속층(310)의 테두리 및 제2 금속층(320)의 테두리에 돌출 또는 오목 구조가 형성되어 금속층들과 플라스틱부 간의 접합면의 단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금속층들과 플라스틱부 간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캡 조립체(300)가 금속 소재인 제1 금속층(310) 및 제2 금속층(320)과 플라스틱 소재인 제1 플라스틱부(330) 및 제2 플라스틱부(340)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플라스틱 소재의 물성 및 금속 소재의 물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캡 조립체(300)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켜 이차 전지(1000)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캡 조립체(300)의 플라스틱 소재인 제2 플라스틱부(340)가 케이스(200)의 플라스틱 소재인 제3 플라스틱부(230)와 저온으로 접합되어 케이스(200)에 캡 조립체(300)가 저온 접합됨으로써, 이차 전지(10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케이스(200)에 대한 캡 조립체(300)의 접합 공정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케이스(200)에 수납된 전극 조립체(100)의 세퍼레이터(130)에 가해지는 데미지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케이스(200) 내부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100)의 크기를 최대화하여 이차 전지(1000) 자체의 전기적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금속층(310), 제2 금속층(320), 제1 플라스틱부(330), 제2 플라스틱부(340)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300)를 포함함으로써,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기적 용량이 향상된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 부호의 설명 -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캡 조립체(300), 제1 전극 탭(140), 제2 전극 탭(150), 제1 금속층(310), 제2 금속층(320), 제1 플라스틱부(330)

Claims (15)

  1.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일측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에서 연장되어 상기 캡 조립체에 결합되는 제2 전극 탭
    을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2 전극 탭과 접촉하는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과 이격되며,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사이를 절연하는 제1 플라스틱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서,
    상기 제2 금속층은 고리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금속층의 내부 테두리는 상기 제1 금속층의 외부 테두리를 감싸는 이차 전지.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는 역계단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내부 테두리는 계단 형태를 가지는 이차 전지.
  4. 제2항에서,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1 플라스틱부, 상기 제2 금속층 각각의 상부 표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5. 제1항에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2 금속층의 외부 테두리를 감싸는 제2 플라스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플라스틱부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측벽을 감싸며, 상기 제2 플라스틱부와 접합된 제3 플라스틱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6. 제5항에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과 비접합된 이차 전지.
  7. 제5항에서,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는 계단 형태를 가지는 이차 전지.
  8. 제5항에서,
    상기 제2 플라스틱부는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측 단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3 플라스틱부는 상기 측벽의 상기 상측 단부 대비 낮게 위치하는 이차 전지.
  9. 제8항에서,
    상기 제2 플라스틱부는 상기 제2 금속층의 상기 외부 테두리 및 상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기 상측 단부를 완전히 커버하는 이차 전지.
  10. 제8항에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기 상측 단부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
  11. 제5항에서,
    상기 제2 플라스틱부 및 상기 제3 플라스틱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 대비 더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이차 전지.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플라스틱부와 상기 제3 플라스틱부 사이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 융착된 이차 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은 상기 캡 조립체를 향하고,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저부를 향하며,
    상기 제1 전극 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전극 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캡 조립체의 상기 제1 금속층에 결합되는 이차 전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이하인 이차 전지.
PCT/KR2021/000077 2020-06-02 2021-01-05 이차 전지 WO20212466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22,954 US20230170560A1 (en) 2020-06-02 2021-01-05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71 2020-06-02
KR1020200066671A KR20210149520A (ko) 2020-06-02 2020-06-02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603A1 true WO2021246603A1 (ko) 2021-12-09

Family

ID=7883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0077 WO2021246603A1 (ko) 2020-06-02 2021-01-05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0560A1 (ko)
KR (1) KR20210149520A (ko)
WO (1) WO20212466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931U (ko) * 1998-05-28 1999-12-27 손욱 이차 전지
KR20070082943A (ko) * 2006-02-20 2007-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80036249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 보형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KR100880385B1 (ko) * 2006-04-10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2009507345A (ja) * 2005-09-02 2009-02-19 エイ 123 システムズ,インク. 電池セル構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931U (ko) * 1998-05-28 1999-12-27 손욱 이차 전지
JP2009507345A (ja) * 2005-09-02 2009-02-19 エイ 123 システムズ,インク. 電池セル構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070082943A (ko) * 2006-02-20 2007-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880385B1 (ko) * 2006-04-10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20080036249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 보형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520A (ko) 2021-12-09
US20230170560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407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1020743A1 (ko) 이차 전지
WO2013168980A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WO2014137112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9074193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생산 방법
WO2013100643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7061746A1 (ko) 전지 모듈
WO2014137120A1 (ko)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젤리롤 타입의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15141920A1 (ko) 비대칭 구조 및 만입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0235916A1 (ko) 이차 전지
WO2021033940A1 (ko) 이차 전지
WO2020145737A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1118961A2 (ko) 이차 전지 및 이에 채용되는 커버 조립체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5056973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WO2022191514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배터리팩 및 이동수단
KR20210075600A (ko) 이차 전지
WO2022004987A1 (ko) 이차 전지
WO2021256648A1 (ko) 이차 전지
WO2021246603A1 (ko) 이차 전지
WO2018164389A1 (ko) 이차 전지
WO2018212447A1 (ko) 이차 전지
WO2021261706A1 (ko) 이차 전지
WO2013118997A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WO2022108335A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172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172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