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49843A1 - Roll-slid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Roll-slid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49843A1
WO2021149843A1 PCT/KR2020/000994 KR2020000994W WO2021149843A1 WO 2021149843 A1 WO2021149843 A1 WO 2021149843A1 KR 2020000994 W KR2020000994 W KR 2020000994W WO 2021149843 A1 WO2021149843 A1 WO 20211498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nductive lines
roll
display uni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0994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정순곤
신규식
임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09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49843A1/en
Publication of WO20211498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4984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n extendable roll-slid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case which, in order to minimize a problem in which dust enters or becomes stuck in the case,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nfigured to slide so as to exten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a flexible display part which is wound at an end thereof in the first direction or at an end thereof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n output surface 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and has a wound region varying depending on sliding of the second frame; a conductive layer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part and includes multiple conductive lines corresponding to multiple regions of the output surface; and a processor for performing control such that a current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multiple conductive lines.

Description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roll-slid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화면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slide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nd capable of expanding the size of the scree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A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processing, and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watch. The display device receives, for example,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separates the video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displays the separated video signal on the display again.
최근 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츠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 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echnology and network technology,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device have been diversified considerably, and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has been improved accordingly. That i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not only broadcast content but also various other content to user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provide not only a program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but also game play, music listening, Internet shopping, user-customized information, and the like using various applications. In order to perform such extended functions, the display device is bas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or network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may provide a user with ubiquitous computing. That is, the display device has evolved into a smart device that enables connectivity to a network and always-on computing.
이와 함께 최근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고 인프라가 확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많은 작업, 또는 전문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대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에 부합하는 형태가 되었다. 하지만 통상의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크기가 함께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Along with this, as network technology develops and infrastructure expands in recent years, many tasks or specialized tasks can be performed on display devices or smart devices. Accordingly,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screen has become a form corresponding to thi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ncreases together in order to provide a conventional large-screen display.
확장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된다. 확장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함께 확장되는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확장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전면 및 배면에 걸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이동 단말기가 확장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부가 확장, 배면부가 축소되는 형태를 띠도록 할 수 있다(또는 배면부는 이동 단말기 내부로 인입되어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로 정의한다.A scalable mobile terminal is proposed as one of the methods for solving this problem. A flexible display may be applied to an expandable mobile terminal to implement a form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expanded together. More specifically, the extendabl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acros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xpanded, the fron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may be expanded and the rear portion reduced (or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can also be retracted and made invisible). This is defined a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이러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축소 및 확장을 구현하는 케이스가 가변하는 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권취 영역이 가변하는 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권취 영역을 잡아주기 위해 권취 영역 부근에 이를 고정 또는 커버하는 추가 구조물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외부의 먼지 유입 또는 끼임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어렵다.In this type of mobile terminal, the case for implementing the reduction and expans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variable, the winding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is variable, and the addition of fixing or covering it in the vicinity of the winding area to hold the winding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In that the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it is difficult to be free from the problem of inflow or entrapment of external dus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먼지 내부 유입 또는 끼임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problem of dust inflow or entrapment in a mobile terminal that is compressed or expanded with a flexible display as described above.
또한, 이동 단말기에 이미 유입된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없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dust already introduced in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방향 단부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 단부에서 권취되어 상기 케이스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출력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권취 영역이 가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면의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전도성 레이어 및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 case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at is slidabl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the end of the first direction or the A flexible display unit that is wound at an end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n output surface 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and the winding area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Provided i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output surface,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o apply a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제2 방향에 대해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제1 군의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includes a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disposed to form a gap with respect to a second direction, and the processor, wherein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are conductive A roll-slid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순차적인 위상을 갖도록 하여 진행파를 형성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위상을 갖도록 하여 정상파를 형성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to have a sequential phase to form a traveling wave, or to have a phase trave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orm a standing wave - slide movement termina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행파를 형성할 때, 서로 위상차를 갖는 적어도 3상의 위상을 갖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when forming the traveling wave, to have at least three phases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 each other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출력면이 중력 방향에 수직한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진행파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출력면이 중력 방향에 수직하지 않은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정상파를 형성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processor, when the measur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output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traveling wave and a roll-slide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form the standing wave when the measur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output surface is no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행파의 형성시,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when the traveling wave is formed, the conductive lines of the first group are sequentially conductive in the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Provide a slid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출력면이 중력 방향에 수직한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econd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or, the measured slope is the output surface Provided i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conductive lines of the first group are sequentially conductive in the third direction when corresponding to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중력 방향과 상기 측정된 기울기 상태에서의 제2 방향 및 제3 방향 중 더 인접한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상기 더 인접한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processor,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in the measured inclination state more adjacent and provide a roll-slide mobile terminal that sequentially conducts the conductive lines of the first group in the more adjacent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군의 도전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 또는 상기 제2 군의 도전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군이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lso,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further include a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and the processor includes: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Alternatively, it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in which at least one group of the conductive lines of the second group is conducti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의 이격 방향 및 제2 군의 도전 라인의 이격 방향 중 상기 자이로 센서가 측정한 중력 방향과 더 인접한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더 인접한 방향을 포함하는 군의 도전 라인이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processor,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conductive line of the first group and the conductive line of the second group of the separation direction Provided i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that determines a direction close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measured by a gyro sensor, and sequentially conducts conductive lines in groups including the more adjacen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거나, 45도를 경사지거나, 수직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nclined at 45 degrees, or perpendicular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권취 영역이 아래에 위치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도전을 정지시키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processor stops the conduction when the measur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area is located below. Shiki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출력면은, 상기 권취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을 제외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상기 고정 영역에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간격 도전 라인부 및 상기 가변 영역에 제2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간격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보다 큰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urface includes a variable region that can be the winding region and a fixed region excluding the variable region,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re disposed in the fixed region at first intervals. It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spaced apart conductive line portion and a second spaced conductive line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cond interval in the variable region, wherein the first interval is greater than the second interv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출력면은, 상기 권취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을 제외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의 간격은 상기 가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urface includes a variable region that can be the winding region and a fixed region excluding the variable reg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is close to the variable region. It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that becomes narrow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권취 영역을 커버하는 엣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엣지 커버의 폭 방향 양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면과 사이에 미세한 틈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 사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n edge cover for covering the winding area, both sides of the edge cover in the width direction form a fin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between the both sides It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to form an inner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엣지 커버의 내측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흡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면은 상기 미세한 틈을 형성하는 상기 엣지 커버의 양측에는 구비되지 않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cover includes an adsorption surfac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and the adsorption surface is a roll that is no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dge cover forming the minute gap - a slide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엣지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cover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 provides a slid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권취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을 제외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의 간격은 상기 가변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엣지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3 군의 도전 라인을 더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variable region that can be the winding region and a fixed region excluding the variable reg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corresponds to the variable region and is the length of the edge cover. It provide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hird group of conductive lines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ll-slid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유리 기판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re form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 provides a slid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내부 먼지 유입 또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머무르는 먼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dust inside or the dust remaining on the display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먼지가 유입되는 상황을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먼지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move dust by determining a situation in which dust is introduced.
또한,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먼지가 잘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dust falls easily.
또한,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유입되거나 끼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inflow or trapped dust.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ll-slid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되기 전후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2 and 3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before and after the display unit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is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의 횡단면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ll-slide mobile terminal and a developed view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동시켜 제거하는 한가지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one principle of mov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 및 전도성 레이어의 횡단면 개념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a display unit and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도성 레이어의 회로 구성에 관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도전 라인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8 and 9 illustrate several embodiments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 및 전도성 레이어의 개념도이다.10 and 11 are conceptual views of a display unit and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디스플레이부 전면 영역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네 가지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four situations in which inclinations of the front area of the display un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의 횡단면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ll-slid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권취 영역의 도전 라인 패턴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ductive line pattern in a winding area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인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이동 단말기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를 의미한다.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 Therefore, a mobile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ing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 an interface unit 160 , a memory 170 , a control unit 180 ,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mong the components i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wo or more of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 -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 11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FC.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provid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It is possible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The local area network may be a loc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a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a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Wi-Fi modul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obtained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Fi module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function of the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obtain data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a substitute or addition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push key, etc.).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테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through the cameras 121 forming the matrix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various angles or focal points ar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input.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processes an external sound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Meanwhil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Such a user input unit 123 is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dome switch (dome switch), a jog wheel,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means consists of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It may be made of a touch key (touch key) disposed on the.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it is possible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s (graphic), text (text), icon (icon), video (video) or these can be made by a combination of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print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s (eg, cameras (see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ation detection sensor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 a sound output unit 152 , a haptic module 153 ,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unit 152 also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or setting of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3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output them sequentially.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54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Examples of the event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is interface unit 160,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port), a memory card (memory card)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ntroller 180 .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제어부(180)는 칩셋(chipset)의 물리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단일의 칩셋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의 칩셋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프로세서(process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와 프로세서를 동일한 구성을 간주하여 설명한다.The controller 180 may be implemented in a physical form of a chipset. The controller 18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set or a plurality of chipsets. The controller 180 may serve as a processor, and typically may be a system-on-chip (SOC) or an application processor. Hereinafter, the control unit and the processor will be described by considering the same configuration.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형상, 특히 축소된 상태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길고, 확장된 상태에서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하나, 본 발명의 특징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mised on a bar shape, particularly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educed state, and has a shape close to a square in an expanded state, but does not contradic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in other forms within the scope not provided.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flexible display is applied to the aforementioned mobile terminal.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어질 수 있으며, 특히 휘어지는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A flexible display refers to a durable display that is not easily broken because it is manufactured on a thin and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 bent, bent, folded, twisted or curled like paper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may be bent, and in particular, a curved area may be vari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to implement a flexible touch screen. When a touch is made on the flexibl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may perform a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sen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by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touch screen or a change in capacitance occurring in a specific part of the touch scree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a touch,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at the time of a touch, etc. in which a touch object apply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detecting means capable of detecting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Such deformation detection means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may include a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deformed, a deformed degree, a deformed position, a deformed time, and an acceleration at which the deformed flexible display is restored. may be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or control the function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sensed by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fo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 변형(즉 전면 영역의 확장 또는 축소)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 영역은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력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기 위해서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trans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front area) is not limited only to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the front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may be expanded or reduced by a command of a user or an application. In order to deform the flexible display without external force as described above, a driving unit may be includ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면을 비롯하여 배면까지 커버하는 경우 종래에 리어 케이스에 구현하는 안테나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상에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AOD: Antenna on Display)는 패턴이 새겨진 전극층과 유전층이 겹겹이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형태의 안테나이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기존의 구리 니켈도금 방식으로 구현하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기술보다 더 얇게 구현할 수 있어 두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When the flexible display covers the front as well as the rear, the space in which the antenna conventionally implemented in the rear case can be mounted is limited. Therefore, the antenna can be implemented on the flexible display. Antenna on display (AOD) is a type of antenna in which a patterned electrode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are layered to form a transparent film. The built-in display antenna can be implemented thinner than the LDS (Laser Direct Structuring) technology implemented by the existing copper nickel plating method, so it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ith little effect on the thickness.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출력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패널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성질 등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디스플레이부(151)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이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인 것을 전제로 한다.The above-described display unit 151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eans a set of a plurality of panel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and directly performing an output function.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and a touch screen, and the above-described properties of the deformable flexible display are equally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display unit 151 mentioned below is assumed to be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unless otherwise stated.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확장되기 전후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횡단면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전개도이다.2 and 3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before and after the display unit 151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is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ploded view of the display unit 151 .
디스플레이부(151)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일측이 전면 영역(151F)에서 고정되어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 일단 모서리에서 감겨 배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일단 모서리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은 확장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1) 전면 영역(151F)이 확장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영역(151R)은 축소된다.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이 축소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영역(151R)은 확장된다.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51 is fixed in the front area 151F with respect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 and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may be wound from one edge of the display unit 100 and provided over the rear surface. Once at the corner,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expandable. When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expanded, the rear area 151R of the display unit 151 is reduced. Conversely, when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reduced, the rear area 151R of the display unit 151 is expanded.
배면 영역(151R)은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노출되어 출력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특정 부재에 가려져 사용자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The rear region 151R may be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to form an output surface, or may be drawn in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or be hidden from the user's view by being covered by a specific member. can make it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이 확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한다. 권취 영역(151C)은 제1 방향 단부 또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 단부에서 권취되어 전면 영역(151F) 및 배면 영역(151R)을 구분한다. 전면 영역(151F)이 넓어지거나 좁아짐에 따라 권취 영역(151C)은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변된다.In this case,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expanded is defined as a first direction. The winding area 151C is wound at an end in the first direction or an end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divide the front area 151F and the rear area 151R. As the front area 151F becomes wider or narrower, the winding area 151C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change.
확장 및 축소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가이드 및 지지하기 위해, 이를 지탱하는 프레임도 함께 확장 및 축소된다.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0)는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220)은 제1 프레임(21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물론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의 이동은 상대적이므로 고정된 부재와 슬라이드 이동하는 부재를 반대로 설명할 수도 있다.In order to guide and support the expanded and contracted display unit 151, the frame supporting it is also expanded and contracted. The case 20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frame 210 and a second frame 220 . The second frame 220 is slidabl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10 . Of course, since the movement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is relative, the fixed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may be described in reverse.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 중, 제1 프레임(210)이 주 외관 영역을 형성하고, 제2 프레임(220)은 제1 프레임(210) 내에서 인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주요 전장부는 제1 프레임(2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mong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 the first frame 210 forms the main exterior area, and the second frame 220 is drawn out from within the first frame 210 . assumed to come out. Accordingly, the main electric part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210 .
디스플레이부(151) 전면 영역(151F) 중 확장 및 축소와 관계없이 계속 유지되는 영역을 고정 영역(151U), 확장 및 축소에 따라 전면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영역을 가변 영역(151X)으로 정의한다. 권취 영역(151C)은 가변 영역(151X) 상에서 가변하여 이동하며 전면 영역(151F)과 배면 영역(151R)을 분할하므로 가변 영역(151X)은 경우에 따라 전면 영역(151F)에 포함될 수도, 배면 영역(151R)에 포함될 수도 있다.Among the front areas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 an area continuously maintained regardless of expansion or reduction is defined as a fixed area 151U, and an area selectively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according to expansion or reduction is defined as a variable area 151X. Since the winding region 151C variably moves on the variable region 151X and divides the front region 151F and the rear region 151R, the variable region 151X may be included in the front region 151F or the rear region in some cases. (151R) may be included.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 중 고정 영역(151U)은 제1 프레임(210) 또는 제2 프레임(2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ed area 151U of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fixed to the first frame 210 or the second frame 220 .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 영역(151U)이 제2 프레임(220)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제2 프레임(220)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제2 프레임(22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부(151)의 고정 영역(151U) 또한 이동하고, 권취 영역(151C)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반대의 경우도 성립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fixing area 151U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220 . That is, when the second frame 220 slid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ixed area 151U of the display unit 151 fixed to the second frame 220 also moves, and the winding area 151C.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opposite case is also possible.
제2 프레임(220)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1 프레임(210)으로부터 확장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도 확장되어 고정 영역(151U) 및 가변 영역(151X)이 전면에 노출되고, 제2 프레임(220)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1 프레임(210)에 축소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도 축소되어 고정 영역(151U)만 남게 된다.When the second frame 220 slid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s from the first frame 210 ,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also expanded so that the fixed area 151U and the variable area 151X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s exposed, and when the second frame 220 is reduced in the first frame 210 by sli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also reduced, so that only the fixed area 151U is reduced. will remain
리어 커버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2 프레임(220)의 배면 상에서 이동하는 유동적인 구조 등을 최대한 가리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rear cover serves to maximally cover and protect a flexible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unit 151 mov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220 .
한편, 디스플레이부(151) 전면 영역(151F)은 별도의 윈도우 없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엣지 커버(211)는 디스플레이부(151) 전면 영역(151F)과 제1 프레임(210) 사이 경계 영역을 커버하여 외부 물질의 유입을 막고 데코 프레임(201)은 이동 단말기(100)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지 않는 베젤 영역을 가려 사용자의 화면 시인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Meanwhile,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exposed to the front without a separate window. The edge cover 211 cover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first frame 210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deco frame 201 i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unit 151 ) can help the user's screen visibility by covering the non-output bezel area.
엣지 커버(21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권취 영역(151C)을 커버한다. 엣지 커버(21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외측면에서 권취 영역(151C)을 가압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잘 꺾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와 케이스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메꾸거나 가려서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edge cover 211 covers the winding area 151C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edge cover 211 can guide the display unit 151 to be well bent by pressing the winding area 151C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and can close the gap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case. It prevents the display unit 15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or damaged by external force by filling or covering it.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 등의 외관 구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전장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 등과 같은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를 구동하는 전자적 구성들은 메인 기판(main-PCB, 181)에 실장되어 전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내부 안테나 모듈과 같은 전자적 구성은 메인 기판(181)을 통하지 않고 바로 전장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battery 191 and the lik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exterior structure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20, etc. It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main-PCB, 181) to be provided in the electrical unit. Alternatively,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n internal antenna module may be provided directly on the electric par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ain board 181 .
디스플레이부(151)의 고정 영역(151U)은 케이스(200)와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영역(151U)의 테두리 영역(1511)의 배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케이스(200)의 대응 영역에 안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대응 영역은 상술한 데코 프레임(201)이 될 수도 있다.The fixing area 151U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ase 200 . For exampl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dge region 1511 of the fixing region 151U to be seated and coupled to a corresponding region of the case 200 .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case 200 may be the above-described decor frame 201 .
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가변 영역(151X)은 고정 영역(151U)과 달리 케이스(200)에 완전히 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의 가변 영역(151X)과 케이스(200)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거나 틈에 끼일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region 151X of the display unit 151 cannot be completely coupled to the case 200 unlike the fixed region 151U. Accordingly,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variable region 151X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case 200 , and there is a risk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or be caught in the gap.
또, 상술한 것과 같이 권취 영역(151C)을 덮기 위한 엣지 커버(211)가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는데, 엣지 커버(211)가 완전히 권취 영역(151C) 밀폐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권취 영역(151C)은 가변하므로 엣지 커버(211)와 디스플레이부(151)가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와 엣지 커버(211) 사이에도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edge cover 211 for covering the winding area 151C may be coupled to the case, b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edge cover 211 to completely seal the winding area 151C, and the winding area ( Since the 151C is variable, the edge cover 211 and the display unit 151 cannot be attached and fixed. Therefore, a gap is inevitably generated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edge cover 211 .
틈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 또는 이물질의 끼임 문제는 장치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를 손상시키고, 미관을 해치며, 사용자의 촉감을 감소시킨다.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gap or the trapping of foreign substances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device, damage the display unit 151, impair the aesthetics, and reduce the user's tactile sens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151)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401)을 이동시켜 제거하는 한가지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5 conceptually illustrates one principle of moving and removing the foreign material 401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물질(401) 유입 또는 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규칙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이물질(401)을 털어내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to prevent the inflow or trapping of the foreign material 401 , there is a method to shake off the foreign material 401 by generating regular vibrations in the display unit 151 .
디스플레이부(151)에 발생한 진동, 특히 정상파에 의한 진동은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면(1513)에 외측으로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에 따라 이물질(401)은 팅겨질 수 있다. 팅겨지는 방향의 힘과 중력의 합력에 의해 이물질(401)은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면(1513)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이물질(401)은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면(1513)의 기울어진 방향 끝단으로 이동하여 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물질(401)과 먼지를 구분없이 혼용한다.Vibration generated in the display unit 151, particularly vibration due to a standing wave, may b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display unit 151 outward, and the foreign material 401 may be crack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The foreign material 401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display unit 151 is inclined by the resultant force of the force in the pinching direction and gravity. If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foreign material 401 moves toward the inclined end of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display unit 151 and falls off. Hereinafter, the foreign material 401 and the dust are mixed without distinction.
진동에 의해 이물질(401)을 털어내는 방식은,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면(1513)이 이동 단말기(100) 외부에 노출된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배면 영역(151R)이 디스플레이부(151)와 이격된 커버 윈도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덮여 사용자가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털어낼 수 없는 경우, 진동을 통해 이물질(401)을 털어내는 방식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영역(151F)이 디스플레이부(151)와 이격된 커버 윈도우에 의해 덮여진 경우, 또는 상술한 엣지 커버(211)가 구비된 경우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brushing off the foreign material 401 by vibration can be more usefully used not only when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display unit 15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but also when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For example, when the rear area 151R of the display unit 151 is covered by a configuration such as a cover window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user cannot directly shake off the foreign material, the foreign material 401 is A method of wiping off may be useful.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more usefully utilized when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covered by a cover window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151 or when the above-described edge cover 211 is provided. there is.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151) 및 전도성 레이어(310)의 횡단면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는 전도성레이어(conductive layer, 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레이어(310)는 도전에 의해 파동(313)을 형성하여 물리적 진동을 발생시킨다. 대표적인 전도성 레이어(310)의 예로, 투명 전극(Indium Tin Oxide; ITO)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conductive layer 3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display unit 151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310 . The conductive layer 310 generates a physical vibration by forming a wave 313 by conduction. As an example of a representative conductive layer 310 , there is an indium tin oxide (ITO).
전도성 레이어(310)가 도전됨에 따라 발생한 진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전달되면, 디스플레이부(151)도 진동되어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다.When the vibration generated as the conductive layer 310 conducts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display unit 151 also vibrates and foreign substances may fall.
전도성 레이어(3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즉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즉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외측면에 구비되는 터치 패널(1512)과의 간섭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conductive layer 31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 that is,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51 based o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is i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the touch panel 1512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 that is, on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6은 디스플레이부(151)가 POLED 방식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GOLED 등 여러 가지 출력 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151 is a POLED type as an example, but it may be applied to various output methods such as GOLED.
전도성 레이어는 투명 전극이라고도 불리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의 레이어 형태를 포함한다.The conductive layer comprises a layer of indium tin oxide (ITO), also called a transparent electrode.
전도성 레이어는 투명 전극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레이어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투명 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 구성들은, 메탈 메쉬(metal mesh), 은나노와이어(Ag nanowire),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ine), 전도성고분자(conductive polymer), 불소산화주석(FTO)이 있다.The conductive layer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ayer capable of performing a similar function in addition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Components that can replace the transparent electrode are metal mesh, silver nanowire, carbon nanotube (CNT), graphene, conductive polymer, fluorine tin oxide (FTO) There is this.
메탈 메쉬는 필름 위에 격자 무늬 패턴을 만들고 그 안에 저항 값이 낮은 은이나 구리 등 금속을 그물망 같이 미세하게 필름에 도포하여 전극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탈 메쉬는 표면 저항 값이 낮아 터치 응답속도가 빠르고 구부림 가능하고, 제조 공정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The metal mesh may be formed by making a grid pattern on a film and applying a metal, such as silver or copper, having a low resistance value, to the film finely like a mesh, and then printing electrodes therein. The metal mesh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low surface resistance value, a fast touch response speed, being bendable, and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은나노와이어는 산화환원반응과 같은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은(Ag)을 기판에 길쭉한 와이어 형식으로 성장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Silver nanowires can be manufactured by growing nano-sized silver (Ag) on a substrate in the form of an elongated wire using a chemical method such as a redox reaction.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도성 레이어(310)의 회로 구성에 관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ductive layer 3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도성 레이어(310)는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면(1513)의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일정한 규칙을 형성하여 패턴을 만들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form a pattern by forming a predetermined rule.
전도성 레이어(310)는 유리 기판(311)의 전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유리 기판(311)에 패터닝(pattern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레이어(3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구비되며, 특히 디스플레이부(151)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3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311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311 by a patterning method. The conductive layer 31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 and in particular, may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을 개별적으로 구현하는 이유는 도전 라인(312) 각각을 독립 구동시켜 복수의 영역이 독립적으로 진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 출력면(1513)의 복수의 영역은 원하는 패턴의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구비된 전도성 레이어(310)는 전계(電界, electric field)로서 기능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영향을 준다.The reason for individually implementing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ions is to independently drive each of the conductive lines 312 so that the plurality of regions independently vibrate. That is,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display unit 151 may obtain a desired pattern of vibration. In other words, the conductive layer 310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functions as an electric field to affect the display unit 151 .
독립 구동을 위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전위차를 형성하는 회로와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서(180)는 각 도전 라인(312)이 개별적으로 도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independent dri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a circuit that forms a potential difference. The processor 180 may control each conductive line 312 to be individually conductive.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 적어도 하나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원하는 파동(313)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implement a desired shape of the wave 313 by applying a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평행한 복수의 직선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직선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것을 의미하고, 물리적으로 완전히 직선일 것을 필요로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arallel straight lines. In this case, the straight line means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nd does not need to be physically completely straight.
또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유사한 방향성을 갖는 복수의 곡선 라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urved lines having a similar directionality.
복수의 도전 라인(312)에 의한 파동(313)은 여러 가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진행파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마디를 제외한 파동(313)의 진폭이 가변하여 제자리에서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정상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진행파의 진행 방향은 복수의 도전 라인(312)에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물질(401)은 진행파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wave 313 b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form various patterns. Representativel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form a traveling wave traveling in one direction, or a standing wave that appears to vibrate in place by varying the amplitude of the wave 313 excluding nodes may be forme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wave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 The foreign material 401 may mo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raveling wave.
진행파는 특히 디스플레이부(151)가 지면과 평행, 즉 중력 방향에 수직인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정상파는 특히 디스플레이부(151)가 지면에 대해 기울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raveling wave may be usefully applied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parallel to the ground,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standing wave may be particularly usefully applied when the display unit 151 forms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디스플레이부(151)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 내지는 지면과 20 내지 30도 이내의 각도를 이루는 상태에서 이물질(401)을 이동시켜 털어내기 위해서는 진행파가 바람직하다. 진행파는 서로 위상차를 갖는 적어도 3상의 위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상의 위상은 연속된 3개의 도전 라인(312)에 적용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order to move and shake off the foreign material 401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51 is parallel to the ground or forms an angle of 20 to 30 degrees with the ground, a traveling wave is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veling waves have at least three phases having phase differences from each other. A three-phase phase may be defined as applied to three consecutive conductive lines 312 .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지면과 20 내지 30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이루는 상태에서 이물질(401)을 이동시켜 털어낼 때는 정상파, 또는 기울어진 방향으로 진행되는 진행파가 바람직하다. 정상파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2상의 파동(313)을 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at is, when the foreign material 401 is moved and shaken off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151 forms an angle exceeding 20 to 30 degrees with the ground, a standing wave or an inclined A traveling wave traveling in the true direction is preferable. The standing wave may be implemented as a sum of two-phase waves 313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평행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일정 방향에 대해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일정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 제2 방향에 대해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도전 라인(312)의 집합을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으로 정의한다. 전도성 레이어(310)는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만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집합의 도전 라인(312)을 가질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provided in parallel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is constant direction is defined as a second direction. A set of conductive lines 312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econd direction is defined as a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 The conductive layer 310 may have only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 or it may have an additional set of conductive lines 312 .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포트레이트, 즉 세로 모드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 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랜드스케이프, 즉 가로 모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을 때 유용하다.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a portrait, that is,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portrait mode. This is usefu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often used in a landscape, that is, in a landscape mode.
또는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포트레이트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 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포트레이트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을 때 유용하다.Alternatively,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be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portrait state. This is usefu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often used in a portrait state.
또는, 경우에 따라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45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스케이프 상태인 경우 모두에 적절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Alternatively, in some cases,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to form a 45 degree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This allows the mobile terminal 100 to exert an appropriate effect in both a portrait or a landscape state.
진행파인 경우, 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제2 방향을 따라 순차 도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2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을 따라 순차 도전될 수도 있다.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순차 도전된다는 의미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순차적인 위상을 가짐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a traveling wave,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sequentially conductive along the second direction or sequentially conductive along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Tha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re sequentially conductive means tha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have sequential phases.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8 and 9 illustrate several embodiments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상술한 것과 같이 모두 일 방향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두 군의 복수의 도전 라인(312)을 형성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제2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을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으로 정의한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form at least two groups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 which are not all oriented in on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but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classification,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forming gaps in the second direction are defined as a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과 구분되는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은 또 다른 일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한다.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의 성격은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에 대한 설명에 대응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include a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2 separated from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 The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2 form a gap in another dir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2 may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
특히,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은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과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과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이 상호 수직을 형성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상황에 필요한 군의 도전 라인(312)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며, 90도의 위상을 갖는 네 개의 방향으로 모두 진행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장 많은 상황들을 커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2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 When the conductive line 3121 of the first group and the conductive line 3122 of the second group form mutu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processor 180 can selectively use the conductive line 312 of the group necessary for the situation. It is useful, and it can form traveling waves in all four directions with a phase of 90 degrees, so it can cover most situations.
도 8은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이 제1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도 9는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이 제1 방향과 45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lines 3121 of the first group ar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lines 3121 of the first group are inclined at 45 degrees to the first direction.
상술한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의 패턴, 또는 복수의 군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패턴에 대한 성질은 후술하는 모든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perties of the pattern of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or the pattern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formed of a plurality of groups may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151) 및 전도성 레이어(310)의 개념도이다.10 and 11 are conceptual view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conductive layer 3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간격은 모든 도전 라인(312)이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때의 간격은 전력 소비, 이물질의 통상적인 크기, 무게 및 점도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uniform for all conductive lines 312 . In this case, the optimal spacing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power consumption, a typical size, weight, and viscosity of foreign substances.
반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간격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권취 영역(151C)에 가까워질수록 간격이 같거나 좁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vary according to an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equal to or narrower as they approach the winding area 151C.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구분되는 두 영역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특정 지점 또는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For example, two regions divided as shown in FIG. 10 may form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having different intervals, and as shown in FIG. 11 , as shown in FIG. 11 , the region may have a gradually narrower interval as it approaches a specific point or region. may be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영역(151U)에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제1 간격으로 구비되고, 가변 영역(151X)에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제2 간격으로 구비되며, 제1 간격은 제2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 영역(151X)은 이물질 유입 또는 끼임이 유발되는 직접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대해 좀 더 좁은 복수의 도전 라인(312)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 유입 또는 끼임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0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re provided at first intervals in the fixed region 151U, an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re provided at second intervals in the variable region 151X. provided, the first interval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interv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ariable region 151X is a direct region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or caught, a plurality of narrower conductive lines 312 may be formed in this region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foreign substances being introduced or caught.
도 11을 참조하면, 권취 영역(151C)에 가까워질수록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가장 좁은지점은 제2 프레임이 인출되기 전 상태에서 권취 영역(151C)에 해당하는 축 C가 될 수 있다. 또는 권취 영역(151C)이 포함되는 가변 영역(151X)에 가까워질수록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간격이 점점 좁아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come narrower as the winding area 151C approaches. In this case, the narrowest point may be the axis C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area 151C in a state before the second frame is drawn out. Alternatively, as the variable region 151X including the winding region 151C approaches,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gradually become narrower.
이하에서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기울기를 고려한 실시 예들에 관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are related.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기울기, 즉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에 따라 다른 제어를 함으로써 이물질 제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maximize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performing different control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 that is,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이동 단말기(100)는 방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orientation.
도 12는 디스플레이부(151) 전면 영역(151F)의 기울기가 서로 다른 네 가지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12 illustrates four situations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area 151F of the display unit 151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도 8과 같은 형태로 배치된 경우만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re disposed in the form shown in FIG. 8 will be described.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기울어진 방향에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도전 라인(312)이 순차 도전, 즉 진행파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ocessor 180 , the conductive line 312 may sequentially conduct, that is, a traveling wave in a direction closes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151 is inclined.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은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으로 순차 도전될 수도 있고,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은 출력면(1513) 상방인 제4 방향 또는 제4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5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어 진행파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ines 3121 of the first group may be sequentially conductive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and the conductive lines 3122 of the second group are opposite to the fourth direction or the fourth direction that is above the output surface 1513 . A traveling wave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conducting in a fifth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프로세서(180)는 중력 방향과 자이로 센서가 측정한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중력 방향과 가장 작은 각을 이루는 방향에 해당하는 군의 도전 라인(312)으로 하여금 해당 방향으로 순차 도전시킬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gradi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sured by the gyro sensor, the processor 180 causes the conductive lines 312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forming the smallest angle with the direction of gravity to sequentially conduc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can
예를 들어 도 12(a)의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을 순차 도전시키되 제5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고, 도 12(b)의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을 순차 도전시키되 좌측 방향(즉, 제3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ate of FIG. 12(a), the processor 180 sequentially conducts the conductive lines 3122 of the second group to be sequentially conducted in the fifth direction, and in the state of FIG. 12(b), the processor 180 180 may cause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to be sequentially conductive while being sequentially conductive in a left direction (ie, a third direction).
다만, 도 12(c)와 같이 엣지 커버(211)가 아래로 있도록 이동 단말기(100) 기울기가 형성된 경우에는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도전 라인(312)에 대한 도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엣지 커버(211) 부근의 경우 가변 영역(151X)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케이스 사이, 또는 엣지 커버(211)와 디스플레이부(151) 사이 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반대 방향으로의 순차 도전, 또는 정상파의 발생도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아예 도전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formed so that the edge cover 211 is downward as shown in FIG. 12C , the processor 180 may stop the conduction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 This is because, in the vicinity of the edge cover 211 , foreign substances may be introduced or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case of the variable region 151X or between the edge cover 211 and the display unit 151 . In addition, since sequential condu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generation of standing waves may have an adverse effect, it is desirable not to conduct the conduction at all.
도 12(a) 내지 도 12(c)의 경우는 상술한 진행파뿐만 아니라 출력면(1513)에 대해 수직인 힘만 작용하는 정상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물질을 털어낼 수도 있다(도 5 참조).In the case of FIGS. 12( a ) to 12 ( c ), foreign substances may be shaken off by generating a standing wave acting only with a force perpendicular to the output surface 1513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traveling wave (see FIG. 5 ).
한편, 도 12(d)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면(1513)이 중력 방향에 수직한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1 군의 도전 라인(3121) 또는 제2 군의 도전 라인(3122)으로 하여금 제3 방향, 제4 방향 또는 제5 방향으로 순차 도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에 대해서는 순차 도전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도 12(c)의 경우의 근거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surface 1513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s to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s shown in FIG. 12( d ), the processor 180 performs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1 or the second group. may sequentially conduct the conductive line 3122 in the third direction, the fourth direction, or the fifth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not to conduct sequentially about the 2nd direction. This is the same as the basis for the case of Fig. 12(c) described above.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100)의 횡단면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엣지 커버(211)는 폭 방향 양측(2111)이 디스플레이부(151)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맞닿고(즉 미세한 틈을 형성하고), 내측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엣지 커버(211)의 양측(2111)은 이물질이 내측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지만, 미세하게 벌어진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낄 수 있다.The edge cover 211 has both sides 2111 in the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that is, forming a fine gap), and the inn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1 by a certain distance. can form. Both sides 2111 of the edge cover 211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but foreign substances may be introduced or caught in the minute gaps.
특히 엣지 커버(211) 양측(211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은 내측 공간(213)을 돌아다니면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거나, 엣지 커버(211) 길이 방향 상하단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both sides 2111 of the edge cover 211 may scratch the display unit 151 while traversing the inner space 213 or flow into the cas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dge cover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ld b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엣지 커버(211)의 내측면에는 흡착면(212)이 구비될 수 있다. 먼지 흡착면(212)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 등과 같은 점착력을 가져 유입된 이물질이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흡착면(212)은 별도의 부재로 엣지 커버(211)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이중 사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엣지 커버(211)의 소재 전체가 흡착면(212)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To solve this, an adsorption surface 21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cover 211 . The dust adsorption surface 212 has an adhesive force such as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o prevent the introduced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The adsorption surface 212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cover 211 as a separate member or may be formed by double injection, or the entire material of the edge cover 21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dsorption surface 212 . may be
엣지 커버(211)는 케이스로부터 착탈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엣지 커버(211)를 케이스로부터 탈거하여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edge cover 211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case. The edge cover 211 can be removed from the case to remove the adsorbed foreign substances, and can be used by reconnecting.
엣지 커버(211)를 탈거했을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권취 영역(151C)의 이물질도 닦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edge cover 211 is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winding area 151C of the display unit 151 can be wiped off.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권취 영역(151C)의 도전 라인(312) 패턴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ductive line 312 pattern of a winding region 151C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엣지 커버(211)의 내측 공간(213)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도전 라인(312)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전 라인(312)은 권취 영역(151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의 복수의 도전 라인(312)의 집합을 제3 군의 도전 라인(312)으로 정의한다.A conductive line 312 pattern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13 of the edge cover 211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region 151C. A set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of this pattern is defined as a thir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 .
권취 영역(151C)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도전 라인(312)이 이격 배치되는 경우, 내측 공간(213)으로 유입된 이물질들이 계속적으로 엣지 커버(211)의 양측(2111) 중 적어도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끼임 문제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공간(213)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엣지 커버(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엣지 커버(211)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제거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312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nding region 151C,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13 are continuously moved to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2111 of the edge cover 211. This can cause jamming problems, et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ake a method of moving the foreig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cover 211 and removing it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edge cover 211 .
나아가, 제3 군의 도전 라인(312)은 제2 프레임이 확장되기 전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hir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provided in a region before the second frame is expanded.
또는, 엣지 커버(211)의 영역에 대응하는 권취 영역(151C)은 가변 영역(151X) 상에서 가변되므로, 제3 군의 도전 라인(312)은 가변 영역(151X)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since the winding area 151C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edge cover 211 varies on the variable area 151X, the thir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 may be provided across the variable area 151X.
그리고, 제3 군의 도전 라인(312)이 구비되는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51) 영역, 즉 고정 영역(151U)은 도전 라인(312)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것과 같은 패턴 실시 예들과 같은 도전 라인(312)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excluding the area in which the third group of conductive lines 312 is provided, that is, the fixed area 151U, may not include the conductive lines 312 or implement the same pattern as described above. Conductive lines 312 such as examples may be provid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특징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롤-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 다른 종류의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eatures can be wholly or partially applied to a roll-slide type mobile terminal,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and devices having a display unit.

Claims (20)

  1.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a case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at slides to be expandable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상기 제1 방향 단부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 단부에서 권취되어 상기 케이스 전면 및 배면에 걸쳐 출력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권취 영역이 가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a flexible display unit wound at an end in the first direction or an end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n output surface 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 and the winding area of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면의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전도성 레이어; 및a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output surface; and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nd a processor controlling to apply a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2.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제2 방향에 대해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제1 군의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includes a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 roll-slide mobile terminal allowing the conductive line of the first group to be conductive.
  3. 제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순차적인 위상을 갖도록 하여 진행파를 형성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위상을 갖도록 하여 정상파를 형성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 roll-slide mobile terminal for forming a traveling wave by allowing the conductive lines of the first group to have sequential phases, or to form a standing wave by having the phases trave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4. 제3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진행파를 형성할 때, 서로 위상차를 갖는 적어도 3상의 위상을 갖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When forming the traveling wave,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have phases of at least three phases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 each other.
  5. 제3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출력면이 중력 방향에 수직한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진행파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출력면이 중력 방향에 수직하지 않은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정상파를 형성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o form the traveling wave when the measur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output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o form the standing wave when the measured gradient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output surface is no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 roll-slide mobile terminal.
  6. 제3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진행파의 형성시,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When the traveling wave is formed, the conductive line of the first group is sequentially conducted in the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7. 제6 항에 있어서,7. The method of claim 6,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하고,The second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direction,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출력면이 중력 방향에 수직한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When the measur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output surface is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f gravity, the conductive line of the first group is sequentially conductive in the third direction.
  8. 제6 항에 있어서,7. The method of claim 6,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중력 방향과 상기 측정된 기울기 상태에서의 제2 방향 및 제3 방향 중 더 인접한 방향을 판단하고,Determining a direction more adjacen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in the measured inclination state,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이 상기 더 인접한 방향으로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 roll-slide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sequentially conduct the conductive lines of the first group in the more adjacent directions.
  9. 제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군의 도전 라인을 더 포함하고,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further include a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 또는 상기 제2 군의 도전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군이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 roll-slide mobile terminal such that at least one group of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or the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is conductive.
  10. 제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제1 군의 도전 라인의 이격 방향 및 제2 군의 도전 라인의 이격 방향 중 상기 자이로 센서가 측정한 중력 방향과 더 인접한 방향을 판단하고,determining a direction closer to a direction of gravity measured by the gyro sensor among a separation direction of the first group of conductive lines and a separ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group of conductive lines;
    상기 더 인접한 방향을 포함하는 군의 도전 라인이 순차 도전되도록 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 roll-slide mobile terminal for sequentially conducting conductive lines in groups including the more adjacent directions.
  11. 제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거나, 45도를 경사지거나, 수직인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second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nclined at 45 degrees, or perpendicular to 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12.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권취 영역이 아래에 위치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도전을 정지시키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A roll-slide mobile terminal that stops the conduction when the measur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area is located below.
  13.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면은,The output side is
    상기 권취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을 제외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a variable region that can be the winding region and a fixed region excluding the variable region;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상기 고정 영역에 제1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간격 도전 라인부 및 상기 가변 영역에 제2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간격 도전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보다 큰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may include first spaced conductive lin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interval in the fixed region and second spaced conductive lin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cond interval in the variable region, wherein the first interval i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greater than the second interval.
  14.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면은,The output side is
    상기 권취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을 제외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a variable region that can be the winding region and a fixed region excluding the variable region;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의 간격은 상기 가변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pproaches the variable region.
  15.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권취 영역을 커버하는 엣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n edge cover covering the winding area,
    상기 엣지 커버의 폭 방향 양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면과 사이에 미세한 틈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 사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Both sides of the edge cover in the width direction form a minut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between the both sides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to form an inner space.
  16. 제15 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엣지 커버의 내측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흡착면을 포함하고,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cover includes an adsorption surfac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상기 흡착면은 상기 미세한 틈을 형성하는 상기 엣지 커버의 양측에는 구비되지 않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adsorption surface is no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dge cover forming the minute gap roll-slide mobile terminal.
  17. 제16 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엣지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edge cover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roll-slide mobile terminal.
  18. 제15 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권취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을 제외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고,a variable region that can be the winding region and a fixed region excluding the variable region;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의 간격은 상기 가변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엣지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3 군의 도전 라인을 더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hird group of conductive lin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cover to correspond to the variable region at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19.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roll-slid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ouch panel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0. 제19 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유리 기판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is a roll-slide mobile terminal formed on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a glass substrat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PCT/KR2020/000994 2020-01-21 2020-01-21 Roll-slide mobile terminal WO2021149843A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0994 WO2021149843A1 (en) 2020-01-21 2020-01-21 Roll-slid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0994 WO2021149843A1 (en) 2020-01-21 2020-01-21 Roll-slid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9843A1 true WO2021149843A1 (en) 2021-07-29

Family

ID=7699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0994 WO2021149843A1 (en) 2020-01-21 2020-01-21 Roll-slid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4984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3690A (en) * 2021-12-31 2022-04-0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523A (en) * 2007-03-02 2008-09-18 Epson Toyocom Corp Dust-proof glass and electro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73348A (en)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display panel and removing method thereof
KR20160031363A (en)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KR20170082785A (en) * 2016-01-07 2017-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90106263A (en) *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523A (en) * 2007-03-02 2008-09-18 Epson Toyocom Corp Dust-proof glass and electro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73348A (en) * 2008-12-23 2010-07-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display panel and removing method thereof
KR20160031363A (en)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KR20170082785A (en) * 2016-01-07 2017-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90106263A (en) *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3690A (en) * 2021-12-31 2022-04-0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0710A1 (en) Mobile terminal
WO2021075608A1 (en) Mobile terminal
WO2021137319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related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0054883A1 (en) Mobile terminal
WO2018043790A1 (en) Mobile terminal
WO201718849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7094926A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8105772A1 (en) Mobile terminal
WO2016190477A1 (en) Mobile terminal
WO2015178561A1 (en) Mobile terminal and dynamic frame adjustment method thereof
WO2021107225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ize of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22014750A1 (en) Mobile terminal
WO202104527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19519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39691A1 (en) Mobile terminal
WO2018101508A1 (en) Mobile terminal
WO201606839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22114265A1 (en) Mobile terminal
WO2021025181A1 (en) Mobile terminal
WO2021100941A1 (en) Mobile terminal
WO202109592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2025324A1 (en) Mobile terminal
WO2022019358A1 (en) Mobile terminal
WO2021167236A1 (en) Mobile terminal
WO2021210708A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51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151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