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85942A2 -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85942A2
WO2021085942A2 PCT/KR2020/014547 KR2020014547W WO2021085942A2 WO 2021085942 A2 WO2021085942 A2 WO 2021085942A2 KR 2020014547 W KR2020014547 W KR 2020014547W WO 2021085942 A2 WO2021085942 A2 WO 202108594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ture
inner casing
outer casing
casing
sing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5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085942A3 (ko
Inventor
김보욱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108594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85942A2/ko
Publication of WO202108594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8594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tu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tur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knotted when suturing an intra-abdominal surgical site after laparoscopic surgery.
  • gas is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o inflate the abdominal wall to secure an operating space and field of view, and a small hole is made in the abdominal wall to insert an opening device called a trocar, and then the camera and surgical tools are transferr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trocar. It is an operation perform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and observ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by the camera.
  • a suture device is used to suture the surgical site in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most difficult and necessary part of suturing the surgical site in the abdominal cavity is the knot and tie process.
  • Patent Document 1 KR10-1176324 B1
  • the inner casing 10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n outer casing 20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0 and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0, wherein the outer casing 20 is fixed when the suture T is fix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groove 22 in which one side of the suture T is located, and a fixing part 23 that pulls and fixes the suture T.
  • the outer casing 20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21 corresponding to the exterior of the inner casing 10 and a connection portion 24 connecting the body portion 21 and the fixing portion 23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 the body portion 22 of the outer casing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 the fixing portion 26 of the outer casing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 the outer casing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 the inner casing 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outer casing 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ncluding a ferromagnetic material capable of acting with the inner casing 10 and strong attractive force.
  • the outer casing 20 further includes a sliding groove 27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 and a corresponding slid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0. It is characterized by that.
  • the suture process can be performed only by forming a single hol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bability of flying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uturin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device for single hole lapar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A to 4F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suturing a surgical site using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rgery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ngle hole laparoscop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suture device
  • Figures 4a to 4f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uturing a surgical site using a single hole laparoscopic surgical su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ture apparatus for single hole laparoscopic surgery may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casing 10 and an outer casing 20.
  • the inner casing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elongated in a communication type.
  • a laparoscopic grasper (or needle holder) 30 is accessible into the inner casing 10.
  • the outer casing 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0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0.
  • the outer casing 20 includes a body portion 21 corresponding to the outer appearance of the inner casing 10, an opening groove 22 with an open side at which the suture T is positioned when the suture T is fixed, It may be composed of a fixing portion 23 for fixing by pulling the suture T, and a connection portion 24 for connecting the body portion 21 and the fixing portion 23 to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21, the fixing portion 23, and the connection portion 24 are integrally molded to increase rigidity and response.
  • connection part 24 is formed in plural,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if necessary.
  • outer casing 20 may facilitate movement or sliding by having a handle 25.
  • the body portion 22 of the outer casing 20 may have a cross-sectional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ior of the inner casing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xing portion 26 of the outer casing 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ameter of the fixing portion 26 of the outer casing 2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asing 10 to facilitate fixing of the suture.
  •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a specific material, but it is preferab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exhibits high elasticity, and greatly affects polar organic compounds such as acids and alkalis. Metal or silicon materials that do not have a characteristic are suitable.
  • the inner casing 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outer casing 2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ncluding a ferromagnetic material capable of acting with the inner casing 10 and strong attraction.
  • the outer casing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asing 10 by magnetic force to have a slidable structure.
  • the ferro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nickel (Ni), magnesium (Mg), iron (Fe), manganese (Mn), ferrite, and the like.
  • the outer casing 20 further includes a sliding groove 27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 and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27
  • a sliding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0.
  • a plurality of sliding grooves 27 and corresponding slid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as necessary.
  • a stepped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asing 20 to prevent the inner casing 10 from being separated.
  • the suture (T) is removed by the laparoscopic grasper (30) introduced into the inner casing (10). Grab the end and fix it.
  • the outer casing 20 is pulled toward the inner casing 10 (refer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hold and fix the other end of the suture T.
  • the other end of the suture T is removed by the fixing portion 23 of the outer casing 20. It is fixed (see Figs. 4A and 4B).
  •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at least two or more times.
  • T suture 30, 32: laparoscopic gras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후 복강 내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간단하고 신속하게 매듭을 지을 수 있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너 케이싱(10); 및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아웃터 케이싱(20)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봉합사(T)의 고정시 봉합사(T)가 위치되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홈(22)과, 봉합사(T)를 당겨서 고정하는 고정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본 발명은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 후 복강 내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간단하고 신속하게 매듭을 지을 수 있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은 복강 내에 가스를 주입하여 복벽을 부풀려 수술 공간과 시야를 확보하고, 복벽에 작은 구멍을 내어 트로카(trocar)라고 불리는 개창기구를 삽입한 후 상기 트로카를 통해 카메라와 수술도구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고, 카메라에 의해서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을 관찰하면서 행해지는 수술이다.
종래에는 사용될 수술도구 개수에 대응하여 복부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각각의 구멍에 개창기구를 하나씩 설치하며, 각각의 개창기구를 이용해 수술도구를 개별적으로 복강에 진입시켜 수술을 행하는 멀티 포트(다중공)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멍을 하나만 뚫어 개창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개창기구를 통해 한번에 다수의 수술도구를 복강 내에 진입시켜 수술하는 싱글 포트(단일공) 방식 시술이 최근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복강경 시술시 복강 내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봉합기구가 이용되는데, 복강 내에서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가장 어렵고 경험이 필요한 부분이 매듭을 짓는 과정(Knot and tie)이다.
다중공 방식의 복강경 수술에서는 기본적으로 복벽에 두 개 이상의 천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경험이 쌓이면 매듭을 짓는 과정을 쉽게 행할 수 있지만, 단일공 복강경 수술에서는 복벽에 단일 천공만을 형성하므로 봉합과정이 매우 어렵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176324 B1
본 발명의 목적은 복강경 수술 후 복강 내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간단하고 신속하게 매듭을 지을 수 있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로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너 케이싱(10); 및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아웃터 케이싱(20)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봉합사(T)의 고정시 봉합사(T)가 위치되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홈(22)과, 봉합사(T)를 당겨서 고정하는 고정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관과 대응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와 고정부(2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몸체부(22)는 단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6)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42)과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4)에 의해 구현가능한 록킹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싱(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과 강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강자성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몸체부(21)의 외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 상에는 대응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강경 수술 후 수술부위를 봉합할 때 간단하고 신속하게 매듭을 지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합수술과정 자체가 간단해지며, 단일공 형성만으로 봉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어 수술부위에 상처가 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봉합시 소요되는 시간을 훨씬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를 사용하여 수술부위를 봉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를 사용하여 수술부위를 봉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는 크게 인너 케이싱(10)과, 아웃터 케이싱(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너 케이싱(10)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연통형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내부로는 복강경 그래스퍼(또는 니들 홀더)(30)가 출입가능하다.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관과 대응하는 몸체부(21)와, 봉합사(T)의 고정시 봉합사(T)가 위치되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홈(22)과, 봉합사(T)를 당겨서 고정하는 고정부(23)와, 몸체부(21)와 고정부(2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와, 고정부(23)와, 연결부(24)는 강성 및 응역을 높이기 위해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부(24)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체로 형성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손잡이(25)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몸체부(22)는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관과 대응하는 단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6)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6) 직경은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직경과 대응하게 형성됨으로써 봉합사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터 케이싱(20)의 재질 선정에 있어서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라면 특정 재질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며, 높은 신축성이 발휘되고, 산, 알카리 등의 극성 유기화합물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가진 금속 또는 실리콘 재질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너 케이싱(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과 강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강자성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웃터 케이싱(20)이 자력에 의해 인너 케이싱(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강자성 물질은 니켈(Ni), 마그네슘(Mg), 철(Fe), 망간(Mn), 페라이트(ferri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아웃터 케이싱(20)은 몸체부(21)의 외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홈(27)에 대응하여 인너 케이싱(10)의 외면 상에는 슬라이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홈(27) 및 대응하는 슬라이딩 돌기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일단에는 인너 케이싱(1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단턱(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봉합사(T)의 고정과정으로서, 봉합사(T)를 이용하여 수술부위(W)를 꿰맨 상태에서, 인너 케이싱(10) 내부로 진입시킨 복강경 그래스퍼(30)에 의해 봉합사(T)의 일단을 잡고 고정한다. 이어서, 아웃터 케이싱(20)을 인너 케이싱(10) 쪽으로 당겨(화살표 방향참조) 봉합사(T)의 타단을 잡고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봉합사(T)의 타단 일부분이 개구홈(22) 내에 위치되도록 조정한 후, 아웃터 케이싱(20)을 당기면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3)에 의해 봉합사(T)의 타단이 고정된다(도 4a 및 도 4b 참조).
다음에, 봉합사(T)의 매듭고리 형성과정으로서,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3)에 의해 봉합사(T)를 당겨서 고정한 상태에서, 인너 케이싱(10) 및 아웃터 케이싱(20)을 시계방향으로 2바퀴 혹은 1바퀴 회전시켜서 봉합사(T)의 매듭고리를 형성한다(도 4c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2바퀴 회전시켜서 봉합사(T)의 매듭고리를 2개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봉합사(T)의 분리과정으로서, 여전히 복강경 그래스퍼(30)로 봉합사(T)의 일단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복강경 그래스퍼(32)로 봉합사(T)의 타단을 잡게 된다(도 4d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3)를 인너 케이싱(10)으로부터 약간 전진시키면,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3)로부터 봉합사(T)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봉합사(T)의 매듭고리 분리과정으로서, 여전히 다른 복강경 그래스퍼(32)로 봉합사(T)의 타단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복강경 그래스퍼(3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인너 케이싱(10) 및 아웃터 케이싱(20)을 후퇴시키게 되며, 이때 인너 케이싱(10) 및 아웃터 케이싱(20)로부터 봉합사(T)의 매듭고리가 분리될 수 있다(도 4e 참조).
다음에, 봉합사(T)의 매듭완료과정으로서, 복강경 그래스퍼(30)로 봉합사(T)의 일단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복강경 그래스퍼(32)로 봉합사(T)의 타단을 당겨서 수술부위(W)의 매듭을 짓는다(도 4f 참조).
이러한 과정은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부호의 설명]
10 : 인너 케이싱 20 : 아웃터 케이싱
21 : 몸체부 22 : 개구홈
23 : 고정부 24 : 연결부
T : 봉합사 30, 32 : 복강경 그래스퍼

Claims (7)

  1.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로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너 케이싱(10); 및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아웃터 케이싱(20)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봉합사(T)의 고정시 봉합사(T)가 위치되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홈(22)과, 봉합사(T)를 당겨서 고정하는 고정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관과 대응하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와 고정부(2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몸체부(22)는 단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의 고정부(2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금속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싱(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상기 인너 케이싱(10)과 강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강자성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싱(20)은 몸체부(21)의 외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너 케이싱(10)의 외면 상에는 대응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PCT/KR2020/014547 2019-11-01 2020-10-23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WO202108594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94 2019-11-01
KR1020190138694A KR102269360B1 (ko) 2019-11-01 2019-11-01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매듭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942A2 true WO2021085942A2 (ko) 2021-05-06
WO2021085942A3 WO2021085942A3 (ko) 2021-06-24

Family

ID=7571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547 WO2021085942A2 (ko) 2019-11-01 2020-10-23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9360B1 (ko)
WO (1) WO2021085942A2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3368B2 (en) * 2003-03-13 2011-08-09 C.R. Bard, Inc. Suture clips,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6524328B2 (en) * 2001-04-12 2003-02-25 Scion International, Inc. Suture lock, lock applicator and method therefor
CA2538329A1 (en) * 2003-09-15 2005-03-31 Abbott Laboratories Suture locking device and methods
CA2696575A1 (en) * 2007-08-17 2009-02-26 Wilson-Cook Medical, Inc. Suture lock
CN102341047A (zh) * 2009-03-11 2012-02-01 斯恩蒂斯有限公司 可穿线结的软组织缺陷修复系统
KR101176324B1 (ko) 2012-01-09 2012-08-22 최진석 복강경 수술용 봉합장치
JP6002780B2 (ja) * 2012-11-30 2016-10-05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穿刺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942A3 (ko) 2021-06-24
KR102269360B1 (ko) 2021-06-25
KR20210052989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5678A1 (en) Lifting method for lesion area, and anchoring device
US6887255B2 (en) Laparoscopic specimen extraction port
EP0589426B1 (en) Apparatus for anchoring surgical instrumentation
US6805699B2 (en) Laparoscopic specimen retrieval shoehorn
EP2949278B1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sliding grasper
US8147515B2 (en) Medical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medical holding apparatus
US5203767A (en) Laparoscopic surgical gauze and the like
US5312416A (en) Method and system for enclosing, manipulating, debulking and removing tissue through minimal access incisions
CA2156027C (en) Surgical retractor
US8409112B2 (en) Specimen collection bag
EP0568098A2 (en) Trocar wound closure device
US5337736A (en) Method of using a laparoscopic retractor
EP1769749B1 (en) Surgical suture instrument
US6221084B1 (en) Knot tying apparatus having a notched thread cov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70004958A1 (en) Probing method and holding method for lumenal organ
US1183285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large tissue specimen removal
US20050065409A1 (en) Pericardial retractor
EP2937048A1 (en) Power morcellation in a protected environment
US20130190572A1 (en) Retraction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JP2010264259A (ja) 拡張可能なポートを有するトロカールシステム
AU4807793A (en) Reservoir for enclosing and retrieving body specimens
JP2007532200A (ja) 「自動経管組織目標設定固定装置及び方法」
EP09293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gically accessing a body cavity
KR20110138346A (ko) 최소절개술을 위한 가이드 및 원격 견인 시스템
WO2021085942A2 (ko)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봉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21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21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