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80046A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80046A1
WO2021080046A1 PCT/KR2019/014128 KR2019014128W WO2021080046A1 WO 2021080046 A1 WO2021080046 A1 WO 2021080046A1 KR 2019014128 W KR2019014128 W KR 2019014128W WO 2021080046 A1 WO2021080046 A1 WO 20210800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ttern
coil
wireless charg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1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태
강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141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80046A1/ko
Publication of WO20210800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800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무선 충전 안테나; 및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는, 상기 제1레이어에 형성된 제1패턴 및 상기 제2레이어에 형성된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이동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선을 연결함이 없이 비 접촉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 유선 충전 방식보다 충전 속도가 느리고 충전 효율도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개발을 통해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무선으로 고속 충전을 수행할 경우,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 안테나에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발열 문제가 발생하고, 이동 단말기의 발열 제어 시스템에 따라 고속 충전을 계속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무선 충전 안테나; 및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는, 상기 제1레이어에 형성된 제1패턴 및 상기 제2레이어에 형성된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을 구성하는 패턴 라인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에 이격 라인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이격 라인에 의해 상호 이격된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 및 상기 제2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아 홀은,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각각 나선형 루프 패턴을 포함하며, 서로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와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간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제2레이어에 형성된 제3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시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시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외곽부에 구비된 댐 형상을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 나선형 루프 형태로 감긴 제1코일 및 제2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되, 상기 제1코일의 외측단을 둘러싸도록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도록 동일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코일의 선폭은 상기 제2코일의 선폭보다 작고, 상기 제1코일의 감긴 횟수는 상기 제2코일의 감긴 횟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의 발열 문제를 최소화하여 고속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사용성을 갖는 개선된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 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 입력부(예컨대, 카메라(121)), 오디오 신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부(예컨대, 마이크(microphone)(122)),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151)에 구비된 터치 센서(또는, 터치 패널)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물리 키(mechanical key)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된 정보들(예컨대,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은,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 내 정보,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142), 터치 센서(touch sensor), 또는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또는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 모듈(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센서(또는, 터치 패널)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터치 입력 기능과 화면 출력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서 기능할 뿐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출력부(15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특정 기능 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에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메모리(1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기반하여,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예: 도3a의 배터리 (1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탈착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은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121)들은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관련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예: 도 2a 및 도 2b의 제1조작유닛(123a), 제2조작유닛(123b)),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식 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인접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구비된 터치 센서가 정전식인 경우,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별도로 구비된 터치키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대상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 여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141)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호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센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감지된 지문 센싱 정보를 인증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에 접촉(또는 근접)한 사용자 손가락과 관련된 지문 인식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 센서는 정전식 지문 인식 센서 또는 광학식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초음파 센서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접촉(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151)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예: 디스플레이(151))에 접촉(또는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센서는 행/열에 포토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실장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기반하여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판단함으로써, 포토 센서에 근접하는 감지대상을 스캔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150)로서,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체 디스플레이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는, 진동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생성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세기 또는 패턴의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다른 외부 기기(들)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데이터 및/또는 전원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 및/또는 전원을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예: 도 3의 인터페이스부(160)),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또는,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151)를 통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90)는 인터페이스부(160)로서 구비된 연결포트를 통해 외부 충전기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통해 외부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단말기(100)는 예컨대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는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로서, 프레임, 하우징, 또는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10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 상에는 디스플레이(151)가 시인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151)를 커버하는 윈도우(151a)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또는 결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제1방향(예: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향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달리,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이외에도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또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1)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의 공간,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의 공간, 및/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의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191), 식별모듈, 또는 메모리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전자부품이 장착될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을 커버하기 위하여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될 경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의 일부는 외부에 시인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달리,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될 경우, 후면 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또는 후면 커버(10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카메라(121b), 음향 출력부(152b), 각종 인터페이스부(16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예: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 커버(103))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디스플레이(151)의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및/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음향 출력부(152a) 및 제2음향 출력부(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카메라(121a) 및 제2카메라(121b), 제1조작유닛(123a) 및 제2조작유닛(123b), 인터페이스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구성들은, 도 2a 및 도 2b의 배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예: 도 1의 터치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센서(143)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기(100)(예컨대, 도 1의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 항목 등일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에 기반하여 외부에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푸시키(mechanical key), 또는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중 어느 하나는, 지문 인식을 감지하기 위한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출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 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51),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터리(191)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될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무선 충전 코일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310)는, 무선 충전 안테나로서 구비되거나, 또는 무선 충전 코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인접할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310)를 통해 배터리(191)를 충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충전 코일부(310)와 배터리(191)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시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시트들의 예로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스프레드 시트(spread sheet)(320) 및 차폐 시트(shielding sheet)(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프레드 시트(320)는 graphite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시트(330)는, 무선 충전 코일부(31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무선 충전 코일부(3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 시트(330)는 비정질 리본, 페라이트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리본은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 시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와 같은 소결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시트(300)는 도 3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310)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외곽부에 댐 형상(33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곽부 댐 형상(335)은 무선 충전 코일부(310)의 측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 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 코일부(3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코일부(310)로서, 인쇄 회로 기판에 구비된 무선 충전 안테나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 내지 도 4d는 도 4a의 무선 충전 코일부(310)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또한, 도 4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안테나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충전 코일부(310)는, 일 실시예로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형태의 무선 충전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충전 코일부(310)는, 제1레이어(3101) 및 제2레이어(3102)가 적층된 형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310)에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는 무선 충전 안테나는, 제1레이어(3101)에 형성된 제1패턴(410)과 제2레이어(3102)에 형성된 제2패턴(4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패턴(410)과 제2패턴(420)은, 서로 다른 레이어 상에 형성되되,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1패턴(410)의 일단과 제2패턴(420)의 일단이 단자 측에서 서로 연결되고, 제1패턴(410)의 타단과 제2패턴(420)의 타단이 단자 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무선 충전 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모듈에서 제어된 전력을 통해 배터리(191)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를 구성하는 제1패턴(410) 및 제2패턴(420)은, 각각 나선형 루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패턴(410) 및 제2패턴(420)은, 상호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나선형 루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턴(410) 및 제2패턴(420)은 모두 시계 방향으로 감기거나, 또는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감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패턴(410) 및 제2패턴(420)은, 상기 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이격 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e에 도시된 무선 충전 안테나의 패턴(예: 제1패턴(410), 제2패턴(420))과 같이, 상기 패턴을 구성하는 일 부분으로서 특정 패턴 라인(510)은,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이격 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 라인(520)에 의해 이격된 패턴 라인 부분들은, 상기 이격 라인(520)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턴(410) 및/또는 제2패턴(420)은, 하나의 패턴 라인이 나선형 루프 형태로 감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패턴 라인의 일 부분에서 내측에 형성된 이격 라인(520)에 의해,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는 병렬 연결된 둘 이상의 부분 라인들처럼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피 효과(skin effect)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실효 저항이 줄어 들게 되어, 무선 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발열 문제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격 라인(520)의 배치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제1패턴(410) 및 제2패턴(420) 각각은, 각 패턴 라인의 내측에 이격 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턴(410)과 제2패턴(420)에서, 상기 이격 라인(520)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절된 부분 라인 중 어느 하나는, 일측에서, 다른 부분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이격 라인(520)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제1패턴(410)의 상측 영역(411)을 참조하면, 제1패턴(410)은, 상기 제1패턴(410)의 최외곽 라인에서, 이격 라인(520)을 사이에 두고 부분적으로 이격되는 제1부분 라인(4101)과 제2부분 라인(410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부분 라인(4101)은 상기 도 4b의 상측 영역(411)에서 이격 라인(520)에 의해 제1부분 라인(410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계속 연장되지 못하고, 기존의 제2부분 라인(41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2부분 라인(4102)은 상기 제1패턴(410)의 상측(411)에서, 상기 이격 라인(520)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하나의 패턴 라인 중 일측(예: 도 4a의 경우, 상측, 하측, 좌측, 우측)에서 이격 라인(520)에 의해 계속 연장되지 못하고 단절된 부분 라인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아 홀(도 4a의 430)을 통해 다른 단절된 부분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패턴 라인 상에서, 단절된 부분 라인들은, 비아 홀(430)을 통해 다른 레이어(예: 제2레이어(3102)로 연결되어, 인접하는 다른 단절된 부분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제2패턴(420)은, 제1패턴(410)과 유사하게 이격 라인(520)을 사이에 두고 부분적으로 이격되는 부분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부분 라인들은, 일측, 예컨대 제2패턴(420)의 상측 영역(422)에서, 어느 하나의 부분 라인은 다른 부분 라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다른 부분 라인은 단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패턴 라인에서 단절된 두 부분 라인들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아 홀(43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레이어(3102)에서 서로 단절된 두 부분 라인들은, 예컨대 제1레이어(3101) 및 제2레이어(3102) 사이의 절연층에 구비된 비아 홀을 통해, 제1레이어(3101)의 특정 부분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310)는, 상기 제1레이어에 형성된 제3패턴(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패턴(430)은, 위치 감지 센서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충전 코일부(310)와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구비된 송신용 코일부(미도시)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무선 충전이 수행되기에 적절한 위치에 놓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적절한 위치에 이동 단말기(100)를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제3패턴(430)은, 도 4a 및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충전 안테나의 대각선 4측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감지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서 상기 위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배터리(191), 무선 충전 코일부(310),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310)를 통해 배터리(191)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무선 충전 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전반적인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610)을 통해 무선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코일부(310)는, 나선형 루프 형태로 감긴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코일부(310)는 제3코일(312)과 제4코일(3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코일(312)과 제4코일(314)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코일(314)은 제3코일(312)의 외곽에서 상기 제3코일(312)과 이격되되, 상기 제3코일(312) 주변을 둘러싸도록 감길 수 있다.
상기 제3코일(312)과 제4코일(314)은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발생하여 흐를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제3코일(312) 및 제4코일(314)을 이루는 각 코일 라인은, 복수의 도전 라인들이 꼬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3코일(312)의 선폭은, 제4코일(314)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코일(312)의 감긴 횟수(턴수)는 제4코일(314)의 감긴 횟수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코일(312)의 선폭은, 0.5 mm 내지 0.8 mm이고, 제4코일(314)의 선폭은, 1.2 mm 내지 1.4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코일(312)은 5회 또는 6회 감길 수 있으며, 제4코일(314)은 8회 또는 9회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코일(314)의 내경의 길이는, 제3코일(312)의 내경의 길이보다 1.6 내지 1.8배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코일(314)의 외경의 길이(W2)는, 제3코일(312)의 외경의 길이(W1)보다 1.9 내지 2.1배 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코일(312)은, 감긴 횟수가 증가할수록, 즉 제3코일(312)의 루프 형태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더 많이 감길수록, 선폭이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코일(312)에서, 내측의 제1턴 및 제2턴의 선폭은 약 0.6 mm 일 수 있으며, 제3턴의 선폭은 약 0.61 mm, 제4턴의 선폭은 약 0.64 mm, 제5턴의 선폭은 약 0.70 mm, 제6턴의 선폭은 약 0.75 mm로 설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코일(312) 및 제4코일(314)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부(310)에 의할 경우, 최적화된 코일의 선폭 설계를 통해 저항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 코일부(310)를 통해 고속 무선 충전을 할 경우, 상기 제4코일(314)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전력이 분배되게 되어 코일부의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이어폰이나 소형 웨어러블 장치 등을 무선 충전하고자 할 경우, 제3코일(312)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역방향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배터리;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무선 충전 안테나; 및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는, 상기 제1레이어에 형성된 제1패턴 및 상기 제2레이어에 형성된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서로 병렬 연결된,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에 이격 라인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격 라인에 의해 상호 이격된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 및 상기 제2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홀은,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각각 나선형 루프 패턴을 포함하며,
    서로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무선 충전 안테나와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간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제1레이어에 형성된 제3패턴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시트들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시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외곽부에 구비된 댐 형상을 통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단부를 커버하는, 이동 단말기.
  10. 배터리;
    나선형 루프 형태로 감긴 제1코일 및 제2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코일;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과 병렬로 연결되되, 상기 제1코일의 외측단을 둘러싸도록 감긴,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도록 동일 방향으로 감긴,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의 선폭은 상기 제2코일의 선폭보다 작고,
    상기 제1코일의 감긴 횟수는 상기 제2코일의 감긴 횟수보다 작은, 이동 단말기.
PCT/KR2019/014128 2019-10-25 2019-10-25 이동 단말기 WO20210800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4128 WO2021080046A1 (ko) 2019-10-25 2019-10-25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4128 WO2021080046A1 (ko) 2019-10-25 2019-10-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046A1 true WO2021080046A1 (ko) 2021-04-29

Family

ID=7562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128 WO2021080046A1 (ko) 2019-10-25 2019-10-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08004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7782A1 (en) * 2013-11-25 2015-05-28 A.K. Stamping Company, Inc. Wireless charging coil
KR20170022421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아모텍 무선충전형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WO2018170282A1 (en) * 2017-03-17 2018-09-20 Efficient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Large area scalable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coil
KR20190048600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01936A (ko) * 2019-08-22 2019-09-02 한국전기연구원 다중기기의 자유 위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7782A1 (en) * 2013-11-25 2015-05-28 A.K. Stamping Company, Inc. Wireless charging coil
KR20170022421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아모텍 무선충전형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WO2018170282A1 (en) * 2017-03-17 2018-09-20 Efficient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Large area scalable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coil
KR20190048600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01936A (ko) * 2019-08-22 2019-09-02 한국전기연구원 다중기기의 자유 위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22877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92949A1 (ko) 이동 단말기
WO2019194346A1 (ko) Pcb 적층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WO2019198870A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WO2018105772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04685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90477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97340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39691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59919A1 (ko) 영상 촬영장치
WO2018101508A1 (ko) 이동 단말기
WO2019216467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71161A1 (ko) 이동 단말기
WO2019135458A1 (en) Mobile terminal
WO2016195193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25971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35675A1 (ko) 전자장치
WO2019198862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08287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30236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195144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WO2021045245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79869A1 (ko) 이동 단말기
WO2019160190A1 (ko) 메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메탈 케이스의 제조 방법
WO2019189975A1 (ko)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내부프레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97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97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