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0734A1 -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0734A1
WO2021010734A1 PCT/KR2020/009273 KR2020009273W WO2021010734A1 WO 2021010734 A1 WO2021010734 A1 WO 2021010734A1 KR 2020009273 W KR2020009273 W KR 2020009273W WO 2021010734 A1 WO2021010734 A1 WO 20210107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examination
information
result sheet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92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우용
조성원
복혜숙
신희영
최홍
조수진
최수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ublication of WO20210107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07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health checkup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create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ased on the re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 reading device for the checkup information of a subject. It relates to a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 Health check-up is a medical examination that checks the health of the body. As a stage of disease prevention, as well as a fragmentary physical examination that examines basic items for knowing an individual's physical condition, it provides periodic information on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isease. Refers to a test to provide transi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untermeasur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allow a medical examiner such as a specialist to quickly and accurately prepare a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 a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may be provided.
  •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allows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examination apparatus to communicate with the examination apparatus, reading apparatus and user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ading apparatus, and rea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o provide a judgment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when reading information about the exam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evice.
  •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is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read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write.
  • the determination interface displays at least one of checkup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by dividing a plurality of health checkup diagnosis items into tabs for each diagnosis item.
  • a first interface for and a second interface for generating diagnosis results for individual diagnosis items may be included, and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may be generated by connecting diagnosis results for each diagnosis item.
  • a diagnosis content area formed so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diagnosis contents provided in advance can be selected by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determination item, and diagnosis content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der.
  • the control unit lear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eckup information and the diagnosis content selected by the input signal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based on the learned result.
  • a classification model is generated, and in the diagnosis content area, a plurality of diagnosis contents may be arranged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degree by the classification model.
  • a method of generating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y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generating system interlockable with a checkup device, a read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 a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is included, and in the determination interfa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ased on the checkup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may be provide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4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first interface in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second interface in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may be provided.
  •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allows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examination apparatus to communicate with the examination apparatus, reading apparatus and user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ading apparatus, and rea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o provide a judgment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when reading information about the exam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evice.
  •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is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read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write.
  • the determination interface displays at least one of checkup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by dividing a plurality of health checkup diagnosis items into tabs for each diagnosis item.
  • a first interface for and a second interface for generating diagnosis results for individual diagnosis items may be included, and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may be generated by connecting diagnosis results for each diagnosis item.
  • a diagnosis content area formed so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diagnosis contents provided in advance can be selected by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determination item, and diagnosis content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der.
  • the control unit lear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eckup information and the diagnosis content selected by the input signal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based on the learned result.
  • a classification model is generated, and in the diagnosis content area, a plurality of diagnosis contents may be arranged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degree by the classification model.
  • a method of generating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y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generating system interlockable with a checkup device, a read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 a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is included, and in the determination interfa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ased on the checkup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may be provided.
  • a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may b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assisting in preparing a test result sheet during a health checkup.
  • Health check-up is a medical examination that checks the health of the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cable only to health checkups, bu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that can be organized, such as examining an individual's physical condition and documenting the results of analysi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even when preparing a document such as a report for grasping the physical ability of an athlete and organizing it.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health checkup' includes not only tests in the usual meaning of the above-described medical examination, but also tests through a checkup device attached to the body of the subject or provid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as described later, In addition, medical examinations and examinations for an individual's physical condition performed in general medical institution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edical examina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0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edical examination device 40, a reading device 30, and a user terminal 20. ) And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received from the examination device 40 to be transmitted to the reading device 30, and when the reading information about the exam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ading device 30, a judgment interface for the user terminal 20 A control unit 100 for providing is included, and in the determination interfa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ased on checkup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
  • the examination device 40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obtaining examina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 the examination apparatus 40 may be attached to the body of the examinee or form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to obtain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 the examination apparatus 40 may be a examination apparatus 40 provided in a medical institution or a specialized examination institu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operation method and form of the examination device 40.
  • the examin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electrocardiogram,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ctivity amount, moisture state, blood oxygen concentration, stress, sleep, etc., but such information is only exemplary and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xaminee All may be included i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 the reading device 30 refers to a device that primarily analyzes and reads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xamination device 40.
  • the reading device 30 may be a server for analyzing examination information, or alternatively, may be a terminal of a clinical pathologist. That is, it may be a device used by a pathologist who professionally analyzes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may be directly generated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xamination device 40, but the reading information for the examination information is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generate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This is primarily because an accurat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can be created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read by the reading device 30 such as a pathologist terminal.
  • the read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reading device 30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a result of analyzing and reading the examination information.
  • the user may be a specialist of a medical institution or a examiner of a specialized examination institution who intends to document the results of the medical examination by using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wri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20 is a terminal used by the specialist or examinee to access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and may be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when diagnosing a disease or disease of the examinee.
  • the user terminal 20 may include a personal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erwork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the examination device 40, the reading device 30, and the user terminal 20.
  • the communication unit 200 i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various data with other devices such as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200 may be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ethods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t is not limited.
  • the control unit 100 allows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received from the examination device 40 to be transmitted to the reading device 30, and when the reading information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ading device 30, it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20.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a judgment interface is provided. That is, the controller 1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wri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atabase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wri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ata such as exam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amination device 40, rea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ading device 30, as well as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may be stored and managed.
  • the determination interface may be a UI/UX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 by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user can access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and may create a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using the determination interface.
  •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to a web system or through an application that can be linked with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nd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 FIGS. 5 to 8 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econd interface 400.
  • a plurality of health checkup diagnosis items are divided into tabs for each diagnosis item in the determination interface.
  • a first interface 300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and a second interface 400 for creating a diagnosis result for an individual diagnosis item are included, and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is diagnosed for each diagnosis item. Results can be linked and generated.
  • the user can check examination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divided by diagnosis items in a tap manner using the first interface 300.
  • the first interface 300 may include a diagnosis item tab 312 and a subject information tab 311.
  • basic information of the examinee may be displayed.
  • the device number, examination institution, gender, date of birth, examination period, etc. of the examination apparatus 40 used by the examinee may be included in the basic information.
  • disease history information, previous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checked in the first interface 300 through the examinee information tab 311 as additional information.
  • a plurality of diagnostic item tabs 312 may be provided, and each diagnostic item may be separated to confirm examination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 the diagnosis items may be included in the diagnosis items without limitation.
  •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determination items previously provided for diagnosis items is selected by an input signal in the second interface 400
  • a judgment item area formed to be possible, a diagnosis content area 430 formed so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diagnosis details provid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lected judgment item can be selected by an input signal, and a diagnosis cont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s selected
  • a preview area 440 that is sequentially arranged and displayed in an order and an editing area 450 formed so that diagnosis content selected in the diagnosis content area 430 can be edited by an input signal is further included, and a preview area 440 ), the edited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 in the editing area 450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able from other content.
  • Structures of the determination item area 420, the diagnosis content area 430, the preview area 440, and the editing area 450 arranged in the second interface 400 shown in FIGS. 5 to 8 are only exemplary. And, each region may be arrange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S. 5 to 8.
  • a plurality of determination items may be displayed for the diagnosis item.
  • the determination item may be for indicating a result determined for the diagnosis item. For example, if the diagnostic item is'electrocardiogram', the judgment items include'normal','atrial premature contraction', '2 degree 1 type atrioventricular conduction block', '2 degree 2 type atrioventricular conduction block','moving stop'. The judgment results for the back ECG may be included.
  • the judgment items include'sleep time less than 5 hours','sleep time 5-6 hours','sleep time 6-7 hours','sleep efficiency less than 65%', and ' Sleep efficiency 75% ⁇ 85%', etc. may be included. That is, the determination items may be set as different items for each diagnosis item, and the number of items to be set may also vary for each diagnosis item.
  • a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determination items provided in the determination item area 420 based on an input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judgment result for the diagnosis item may appear as a single result as well as a plurality of results.
  • the'sleep' is a diagnosis item
  • the user determines the status related to the'sleep'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read information of the first interface 300 for less than 5 hours of sleep time and the sleep efficiency is Since it can be determined to be less than 65%,'sleep time less than 5 hours' and'sleep efficiency less than 65%' can be selected in the determination item area 420, respectively.
  • the determination item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determination items that are not selected.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determination item se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may be displayed as a box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unlike the other determination items. However,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elected determination item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such as shading.
  • the judgment item area 420 may include not only judgment items for judgment, but also items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for each diagnosis item, as common judgment items. For example, if'sleep' is a diagnosis item,'sleep hygiene guidelines' can be included as a judgment item so that hygiene guidelines related to sleep can be included in the examination result sheet. In addition, when'electrocardiogram' is a diagnosis item, it may be included in the determination item area 420 as a common determination item for'electrocardiogram' so that general medical information related to arrhythmia can be displayed on the examination result sheet.
  • Diagnosis contents area 430 may display diagnosis contents provid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judgment item selected in the judgment item area 420. For example, if'sleep time is less than 5 hours' is selected as the judgment item when'sleep' is the diagnosis item, the diagnosis content is'the sleep time is very insufficient.' If chronic sleep deprivation persists,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obesity may increase. We recommend that you consult a specialist. That is, diagnosis-related contents such as a diagnosis process, treatment direction, and diagnosis reason for the selected determination item may be preset and displayed through the diagnosis contents.
  • the diagnosis content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tem, as well as the number of diagnosis content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tem.
  • 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diagnosis contents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400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iagnosis contents selected as above are in a box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unlike the other diagnosis content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unselected diagnosis contents by being displayed or shaded.
  • diagnosis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nd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der.
  • the first diagnosis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nth diagnosis contents may be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in the order of the first diagnosis area and the nth diagnosis contents.
  • the user may change the order of the diagnosis contents arranged using the second interface 400 to be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 the preview area 440 As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a portion to be written on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for the corresponding diagnosis item may be generated. In other words, contents displayed on the preview area 440 for each diagnosis item may be connected to generate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 the preview area 440 may be adjusted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400 so that common diagnosis contents are always displayed. For example, when'stress' is a diagnosis item, contents such as medical knowledge about stress, a commonly applied stress management method, etc. may be displayed on the preview area 440 at all times. That is, the diagnosis content that is more commonly used than the common determination items that can be se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so as to be applicable to the diagnosis items in common is the preview area 440 regardless of the selec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or not. ), the common diagnosis contents may be set.
  • the diagnosis content se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in the diagnosis content area 430 may be edited.
  • two diagnosis contents 432-1 and 432-2 may be selected from the diagnosis contents area 43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 the selected diagnosis contents 432-1 and 432-2 may be individually edited in the editing area 450.
  • the content of the diagnosis content of 432-2 is add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added at the same time in the preview area 440 is distinguished so that it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unedited content. That is, since the content being edited by the user in the editing area 450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e preparation of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proceeded.
  • determination items, diagnosis contents, edit contents, and contents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selected using the second interface 400 may be stored as relational databases, respectively. That is, by storing in the database in the form of a table so that the determination items, diagnosis contents, edit contents, and contents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lationship for each data can be managed.
  • the controller 100 lear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the diagnosis contents selected by the input signal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 classification model is generated based on the learned result, and in the diagnosis content area 430, a plurality of diagnosis contents may be arranged based on examination information and a relationship degree by the classification model.
  • the classification model generated in this way, the judgment items in the judgment item area 420, diagnosis contents in the diagnosis content area 430, and contents displayed in the preview area 440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Can be placed according to the results.
  • the classification model may determine a judgment area as an idle place, and the diagnosis contents according to it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diagnosis contents may be data continuously accumulated in the aforementioned database.
  •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Support Vector Machine, Multi-Layer Perceptron (MLP),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Deep Neural Network (DNN) and Long Any one of Short Term Memory (LSTM) may be included.
  •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 MLP Multi-Layer Perceptron
  •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 DNN Deep Neural Network
  • LSTM Long Any one of Short Term Memory
  • a method for generating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by the health checkup result sheet generation system 10 that is interlockable with the examination device 40, the reading device 30, and the user terminal 20 may be provided. That is, the method of generating a health checkup result sheet may b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health checkup result sheet generating system 10, and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forementioned health checkup result sheet generating system 10 will be omitted.
  •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examin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received from the examination device 40 to the reading device 30 and reading the exa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reading device 30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 step of providing a judgment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20 is included, and in the judgment interfa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medical examination result sheet based 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read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 Do.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may be provided.
  •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Further,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executable computer programs or codes for performing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including temporary objects such as carrier waves or signals.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은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가 판독장치로 전달되도록 하고, 판독장치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은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진자의 검진정보에 대하여 판독장치로부터 획득된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건강검진 결과지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검진은 몸의 건강 상태를 검사하는 의학적인 진찰로서 개인의 신체 상태를 알기 위한 기초적인 항목들을 검사하는 단편적인 신체검사는 물론 질병 예방의 단계로써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사전 예방의 정보를 주기적이고 추이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사를 지칭한다.
현재 각종 의료기관 혹은 전문검진기관 등의 검진기관에서는 혈액 검사, 혈압 검사 등의 각종 검사를 진행하고 획득된 검진 데이터를 전문의 혹은 검진자가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일일이 검진결과를 기입함으로써 건강검진 결과지가 작성되어 피검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1차적으로 병리사 등에 의해서 판독된 결과에 기초하여 검진 결과지가 작성되는 검진기관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전문의 혹은 검진자에 의해서 직접 추가적인 확인 절차를 거친 검진 결과지 작성이 요구된다.
결국,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개인의 건강에 관한 의식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건강검진의 효과와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검진 결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정하고 분류하여 건강검진 결과지를 작성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일 대응방안으로써, 전문의 등의 검진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하게 건강검진 결과지를 작성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은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가 판독장치로 전달되도록 하고, 판독장치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판정 인터페이스에는 복수개의 건강검진 진단항목들에 대하여 각 진단항목 마다 탭으로 구분되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및 개별 진단항목에 대한 진단결과가 작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건강검진 결과지는 진단항목 별 진단결과들이 연결되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 2 인터페이스에는 진단항목에 대하여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판정항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정항목영역, 선택된 판정항목에 따라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진단내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진단내용영역,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진단내용이 선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리보기영역 및 진단내용영역에서 선택된 진단내용이 입력신호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형성된 편집영역이 더 포함되고, 미리보기영역에서는 편집영역에서의 편집에 따라 편집된 내용이 다른 내용과 구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에서는 검진정보와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진단내용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모델이 생성되며, 진단내용영역에서는 복수개의 진단내용들이 분류모델에 의하여 검진정보와 관계정도에 기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시스템에 의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에는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판독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판독장치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문의 등의 검진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하게 건강검진 결과지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 2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은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가 판독장치로 전달되도록 하고, 판독장치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판정 인터페이스에는 복수개의 건강검진 진단항목들에 대하여 각 진단항목 마다 탭으로 구분되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및 개별 진단항목에 대한 진단결과가 작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건강검진 결과지는 진단항목 별 진단결과들이 연결되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 2 인터페이스에는 진단항목에 대하여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판정항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정항목영역, 선택된 판정항목에 따라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진단내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진단내용영역,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진단내용이 선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리보기영역 및 진단내용영역에서 선택된 진단내용이 입력신호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형성된 편집영역이 더 포함되고, 미리보기영역에서는 편집영역에서의 편집에 따라 편집된 내용이 다른 내용과 구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에서는 검진정보와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진단내용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모델이 생성되며, 진단내용영역에서는 복수개의 진단내용들이 분류모델에 의하여 검진정보와 관계정도에 기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시스템에 의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에는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판독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판독장치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강검진 진행 시 검사 결과지 작성을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건강검진은 몸의 건강 상태를 검사하는 의학적인 진찰로서 개인의 신체 상태를 알기 위한 기초적인 항목들을 검사하는 단편적인 신체검사는 물론 질병 예방의 단계로써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사전 예방의 정보를 주기적이고 추이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사를 지칭한다. 다만, 본 발명은 건강검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신체 상태를 검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문서화하는 등 정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동선수의 신체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정리하기 위한 보고서 등의 문서 작성 시에도 본 발명은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건강검진'은 전술한 의학적인 진찰을 의미하는 통상적 의미의 검사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검진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로 제공되는 검진장치를 통한 검사까지 포함하며, 일반적인 의료기관에서 수행되는 개인의 신체 상태에 대한 진료 및 검사도 상기 건강검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은 검진장치(40), 판독장치(30) 및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00) 및 검진장치(40)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가 판독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하고, 판독장치(30)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100)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검진장치(40)는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상기 검진장치(40)는 피검진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검진장치(40)는 의료기관 혹은 전문검진기관에 구비된 검진장치(40)일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검진장치(40)의 동작방식 및 형태 등은 제한이 없다. 상기 검진정보에는 심전도, 심박수, 호흡속도, 활동량, 수분상태, 혈중 산소농도, 스트레스, 수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정보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면 모두 상기 검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판독장치(30)는 상기 검진장치(40)에 의해서 획득된 검진정보를 1차적으로 분석 및 판독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상기 판독장치(30)는 검진정보 분석을 위한 서버일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임상병리사의 단말일 수 있다. 즉, 전문적으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분석하는 병리사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서는 검진장치(40)로부터 획득된 검진정보에 기초하여 곧바로 건강검진 결과지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판독장치(30)에 의해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에 따라 건강검진 결과지를 생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1차적으로 병리사 단말 등의 판독장치(30)에 의해 판독된 검진정보에 기초하여 정확한 건강검진 결과지가 작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판독장치(30)에 의해 획득되는 판독정보는 검진정보를 분석 및 판독한 결과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강검진 결과를 문서화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전문의 혹은 전문검진기관의 검진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전문의 혹은 검진자가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말로써, 피검진자의 질환 혹은 질병의 진단 시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에는 개인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00)는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이 검진장치(40), 판독장치(30),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한 타 디바이스와 연동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20) 등 타 디바이스와 다양한 데이터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신부(200)의 통신 방식은 다양한 유선 통신방법 혹은 무선 통신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특정 통신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00)는 검진장치(40)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가 판독장치(30)로 전달되도록 하고, 판독장치(30)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에서는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 시스템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검진장치(40)로부터 수신한 검진정보, 판독장치(30)로부터 수신한 판독정보는 물론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된 정보 등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판정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되는 UI/UX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하여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판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건강검진 결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은 직접 웹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본 발명의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과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있어서, 제 1 인터페이스(30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있어서, 제 2 인터페이스(4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있어서, 판정 인터페이스에는 복수개의 건강검진 진단항목들에 대하여 각 진단항목 마다 탭으로 구분되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300) 및 개별 진단항목에 대한 진단결과가 작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400)가 포함되고, 건강검진 결과지는 진단항목 별 진단결과들이 연결되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터페이스(300)를 이용하여 탭 방식으로 진단항목 별로 구분된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300)에는 진단항목 탭(312) 및 피검진자 정보 탭(311)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상기 피검진자 정보 탭(311)에 클릭 등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피검진자의 기본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검진자가 이용한 검진장치(40)의 기기번호, 검진기관, 성별, 생년월일, 검사기간 등이 상기 기본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질병이력정보, 이전 검진 정보 등도 부가정보로써 상기 피검진자 정보 탭(311)을 통해 제 1 인터페이스(300)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진단항목 탭(31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진단항목 별로 구분되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진단항목에는 심전도, 수면, 스트레스 등과 같이 건강검진을 통해 진단하고자 하는 항목들인 경우에는 제한 없이 상기 진단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있어서, 제 2 인터페이스(400)에는 진단항목에 대하여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판정항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정항목영역, 선택된 판정항목에 따라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진단내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진단내용영역(430),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진단내용이 선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리보기영역(440) 및 진단내용영역(430)에서 선택된 진단내용이 입력신호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형성된 편집영역(450)이 더 포함되고, 미리보기영역(440)에서는 편집영역(450)에서의 편집에 따라 편집된 내용이 다른 내용과 구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 2 인터페이스(400)에서 배치된 판정항목영역(420), 진단내용영역(430), 미리보기영역(440) 및 편집영역(45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도 5 내지 도 8과는 상이한 구조로 각 영역들이 배치될 수 있다.
판정항목영역(420)에는 진단항목에 대하여 복수개의 판정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판정항목은 진단항목에 대하여 판정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항목이 '심전도'인 경우에는 판정항목에는 '정상', '심방조기수축', '2도 1형 방실전도차단', '2도 2형 방실전도차단', '동휴지' 등 심전도에 대한 판정결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단항목이 '수면'인 경우에는 판정항목에는 '수면시간 5시간 미만', '수면시간 5~6시간', '수면시간 6~7시간', '수면효율 65%미만', '수면효율 75%~8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판정항목은 진단항목 마다 상이한 항목들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되는 개수도 진단항목 별로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항목영역(420)에 구비된 복수개의 판정항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진단항목에 대한 판정 결과가 단일의 결과는 물론, 복수의 결과들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수면'이 진단항목인 경우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1 인터페이스(300)의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피검진자의 '수면'과 관련된 상태를 수면시간 5시간 미만이고 수면효율은 65% 미만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므로, 판정항목영역(420)에서 '수면시간 5시간 미만' 및 '수면효율 65%미만'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을 통한 선택에 따라 선택된 판정항목은 선택되지 않은 다른 판정항목들과 달리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선택된 제 2 판정항목은 나머지 판정항목들과 달리 두께가 상이한 박스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선택된 판정항목을 표시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음영 처리를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판정항목영역(420)에는 판정을 위한 판정항목은 물론 진단항목 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항들이 공통판정항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면'이 진단항목인 경우에는 '수면위생지침'이 판정항목으로 포함되어 수면과 관련된 위생 지침을 검진 결과지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가 진단항목인 경우에는 부정맥에 관련된 일반적인 의학정보가 검진 결과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심전도'에 대한 공통판정항목으로 상기 판정항목영역(420)에 포함될 수 있다.
진단내용영역(430)에는 판정항목영역(420)에서 선택된 판정항목에 따라 미리 구비된 진단내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수면'이 진단항목인 경우에 '수면시간 5시간 미만'이 판정항목으로 선택된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수면시간 5시간 미만'인 경우에 진단내용은 '수면시간이 매우 부족한 상태입니다. 만성적인 수면부족이 지속되면 고혈압이나 당뇨, 비만 등의 만성질환의 위험도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선택된 판정항목에 대한 진단과정, 치료방향, 진단이유 등과 같은 진단 관련 내용들이 상기 진단내용을 통해 미리 설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진단내용은 판정항목에 따라 내용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진단내용의 개수도 상기 판정항목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제 2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복수개의 진단내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선택된 진단내용은 나머지 진단내용들과 달리 두께가 상이한 박스로 표시되거나 음영처리가 되는 등을 통해 선택되지 않은 진단내용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진단내용들은 미리보기영역(440)에 상기 선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1 진단내용 및 제 n 진단내용에 따른 내용들이 미리보기영역(440)에 제 1 진단영역, 제 n 진단내용 순서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제 2 인터페이스(400)를 이용하여 배치된 진단내용의 순서를 달리하여 미리보기영역(44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미리보기영역(440)에 표시된 내용대로 해당 진단항목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지에 작성될 부분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단항목 별로 미리보기영역(440)에 표시된 내용들이 연결되어 건강검진 결과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영역(440)에는 공통진단내용이 상시 표시되도록 상기 제 2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레스'가 진단항목인 경우에는 스트레스에 관한 의학적 지식,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스트레스 관리방법 등과 같은 내용이 상기 미리보기영역(440)에 상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진단항목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공통판정항목보다 더욱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진단내용은 사용자 단말(20)을 통한 선택유무와 관계없이 미리보기영역(440)에 항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공통진단내용이 설정될 수 있다.
편집영역(450)에서는 진단내용영역(430)에서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선택된 진단내용이 편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진단내용영역(430)에서 두 개의 진단내용들(432-1, 432-2)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편집영역(450)에서는 상기 선택된 진단내용들(432-1, 432-2)이 개별적으로 편집될 수 있다. 특히, 도 8에는 432-2의 진단내용의 내용이 추가되는데, 미리보기영역(440)에서도 동시에 추가된 내용이 편집되지 않은 내용과 다르게 표시되도록 구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편집영역(450)에서 편집하고 있는 내용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함으로써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정확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베이스에는 제 2 인터페이스(400)를 이용하여 선택된 판정항목, 진단내용, 편집내용 및 미리보기영역(440)에 표시된 내용이 각각 관계형(relational)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될 수 있다. 즉, 판정항목, 진단내용, 편집내용 및 미리보기영역(440)에 표시된 내용이 각각 대응되도록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 별 관계가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있어서, 제어부(100)에서는 검진정보와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진단내용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모델이 생성되며, 진단내용영역(430)에서는 복수개의 진단내용들이 분류모델에 의하여 검진정보와 관계정도에 기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검진정보와 진단내용과의 관계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델화 함으로써 검진정보에 최적의 진단내용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분류모델을 이용하면 검진정보만으로 곧바로 판정항목영역(420)에서의 판정항목, 진단내용영역(430)에서 진단내용 및 미리보기영역(440)에의 표시된 내용들이 분류모델에 따라 분류된 결과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전도' 진단항목에 대하여 분류모델은 동휴지로 판정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진단내용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진정보와 진단내용은 전술한 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축적된 데이터들일 수 있다.
상기 머신러닝 알고리즘에는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 재귀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Deep Neural Network(DNN) 및 Long Short Term Memory(LSTM)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전술한 알고리즘을 제외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혹은 딥러닝 알고리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상호 결합하거나 연결하여 새로운 분류모델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검진장치(40), 판독장치(30) 및 사용자 단말(20)과 연동 가능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의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방법은 전술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10)과 대응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에는 검진장치(40)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판독장치(30)로 전달하는 단계 및 판독장치(30)로부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가 상기 판독장치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상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한 것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인터페이스에는 복수개의 건강검진 진단항목들에 대하여 각 진단항목 마다 탭으로 구분되어 상기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및 개별 진단항목에 대한 진단결과가 작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건강검진 결과지는 상기 진단항목 별 진단결과들이 연결되어 생성되는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진단항목에 대하여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판정항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정항목영역;
    상기 선택된 판정항목에 따라 미리 구비된 복수개의 진단내용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된 진단내용영역;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진단내용이 선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미리보기영역; 및
    상기 진단내용영역에서 선택된 진단내용이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형성된 편집영역이 더 포함되고,
    상기 미리보기영역에서는 상기 편집영역에서의 편집에 따라 편집된 내용이 다른 내용과 구별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검진정보와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진단내용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되고, 상기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모델이 생성되며,
    상기 진단내용영역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진단내용들이 상기 분류모델에 의하여 상기 검진정보와 관계정도에 기초하여 배치되는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5. 검진장치, 판독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 가능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시스템에 의한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진장치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검진정보를 상기 판독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상기 검진정보에 대한 판독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판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판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검진정보 및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결과지 작성이 가능한 것인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방법.
  6. 제 5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20/009273 2019-07-17 2020-07-14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WO20210107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94A KR102536184B1 (ko) 2019-07-17 2019-07-17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KR10-2019-0086494 2019-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734A1 true WO2021010734A1 (ko) 2021-01-21

Family

ID=7421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9273 WO2021010734A1 (ko) 2019-07-17 2020-07-14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6184B1 (ko)
WO (1) WO20210107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3804A (zh) * 2021-07-21 2021-11-12 深圳市千帆电子有限公司 心功能检测数据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944A (ja) * 2003-10-07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JP2010277574A (ja) * 2009-04-27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アドバイスメッセージ選択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健康管理支援装置
KR20140006466A (ko) * 2012-07-05 2014-01-16 주식회사 유비케어 검진소견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60059676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검진 관리 장치 및 건강검진 관리 방법
JP2019113949A (ja) *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日本ナチュラルエイジングケア研究所 処方探索システム及び方法、処方探索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218B1 (ko) 2013-11-20 2015-11-0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검진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90069778A1 (en) * 2017-09-06 2019-03-07 Seyed Mohammad Pourhoseini Portable tele-monitoring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944A (ja) * 2003-10-07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JP2010277574A (ja) * 2009-04-27 2010-12-09 Sanyo Electric Co Ltd アドバイスメッセージ選択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健康管理支援装置
KR20140006466A (ko) * 2012-07-05 2014-01-16 주식회사 유비케어 검진소견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60059676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검진 관리 장치 및 건강검진 관리 방법
JP2019113949A (ja) *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日本ナチュラルエイジングケア研究所 処方探索システム及び方法、処方探索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3804A (zh) * 2021-07-21 2021-11-12 深圳市千帆电子有限公司 心功能检测数据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184B1 (ko) 2023-05-23
KR20210009668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1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and displaying data
Moody et al. A database to suppor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lligent intensive care monitoring
CN102908130B (zh) 用于监测人体健康状态的设备
WO2019103416A1 (ko)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진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심음 애플리케이션
JP5785187B2 (ja) 心音信号のための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50020886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rules
JP6865329B1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33858A (zh) 一种舌象分析方法及其存储介质
Lu et al. An arrhythmia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C-LSTM in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system under internet of health things environment
AU2023200857A1 (en) Advanced cardiac waveform analytics
Zou et al.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assist psychiatric diagnosis
WO2021010734A1 (ko) 건강검진 결과지 생성 시스템
Williamson Quality control, medical audit and the general practitioner.
Cen et al. Intelligence ECG Monitoring System: Wireless platform and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Residual neural network
US20230033963A1 (en) Multiple Physiologic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vice and System
Bianchi et al. Personalized Health Systems for Cardiovascular Disease
WO2023033392A1 (ko) 기계학습 방법 및 장치
Kong et al. Deciphering 3D human sphygmopalpation pulse patterns using “X-ray” images acquired from tactile robotic fingers
KR102380027B1 (ko) 바이오 빅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환자 건강진단 단말
JP2019504404A (ja) 挙動学習臨床支援
Kyriacou et al. Post cardiac surgery home-monitoring system
KIM et al. Will 80% of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 disappear in the future?
Frankli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
Hartland The machinery of medicine: an analysis of algorithmic approaches to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
Rathod et al. Heart Health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398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398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