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0639A1 -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0639A1
WO2021010639A1 PCT/KR2020/008852 KR2020008852W WO2021010639A1 WO 2021010639 A1 WO2021010639 A1 WO 2021010639A1 KR 2020008852 W KR2020008852 W KR 2020008852W WO 2021010639 A1 WO2021010639 A1 WO 20210106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ilet
washing water
excrement
patien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88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규
주장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우텍
Publication of WO20210106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06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rement toilet for a bedridden patient with discomfort and an excrement treatment device for a toilet bowl, and in particular, by directing the washing water washing spray angle to the patient's genital organs and around the anus at all times, excrement remains in the genital organs and around the anus of a patient with sickness. Reinforcing the cleaning function so that it is not, and the waste container that collects and treats excrement is related to a toilet for a patient and a device for disposing of excrement in the toilet.
  • feces treatment toilets for automatically treating feces such as feces, and feces treatment device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feces from the toilets have been developed.
  • An example of a feces treatment device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s.
  • Patent Literature 1 relates to a'fully automatic defecation processor for convulsion patients'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a patient with discomfort to help bowel movements.'By automatically detecting urine and feces through an automatic sensor, As a series of processes consisting of washing and air drying are performed automatically, a cleaning socket, a bowel transfer unit, and a bowel processing unit are designed so that the bedridden patient can perform hygienic bowel movements without the help of a caregiver, and is ergonomically designed for comfortable use.
  • a device including, but the front end of the cleaning socket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uttocks is made of an antibacterial and oriented silicone rubber material to enable clean and comfortable use, and is also supplied from the defecation treatment unit and passes through the defecation transfer unit. It is disclosed that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can be strengthened to increase the cleanliness of patients with convulsions, and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of convulsive patients.
  • Patent Literature 2 relates to a'excrement treatment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storing the fittings and hoses that receive the patient's excrement.
  • the feces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that automatically sucks and stores,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by a hose, the upper part is opened to separate the excrement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sucked excrement, and a hinge member is connected to one end.
  • the lower case and the storage case which is detachab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inge member while shield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has a storage groove formed to accommodate the mounting hole and the hose,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It discloses that it includes a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and equipped with an operation unit that controls the suction of excrement,
  • Patent Document 3 is referred to as'the waste container for an automatic excrement treatment device', and is connected to the excrement input pipe and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room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oom, and the first room to be accommodated.
  • a waste container for an automatic excrement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room and a third room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room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room and connected to an ai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to the outside. It is disclos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scattering of the introduced filth and water when the excrement is introduced and received, and reducing the moisture that rises by vortexing in the filth container.
  • Patent Documents 2 and 3 are to receive and process the patient's excrement in a contaminated container, but Patent Document 2 is also that the toilet mounted on the patient's vagina and anus acts only to receive the stool, so the same problem as in Patent Document 1 It is implied as it is, and the sanitary management of the pollutant treatment container also implies the inconvenience that people have to wipe one by one as in Patent Document 1, and this problem is also implicated in the'Filth Container for Automatic Excrement Treatment Device' of Patent Document 3.
  • the feces treatment vessel that receives and treats excrement from the toilet while washing the genital organs (vulva) and the anal area (buttocks) of a patient with sickness is a feces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maintained hygienically. Development is urgently required.
  • Patent Document 1 KR Registration No. 10-1713547
  • Patent Document 2 KR Registration No. 20-0478932
  • Patent Document 3 KR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3309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 various additional advantages, and it is possible to always position the washing water injec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patient's genital organs and anus around the patient's genital organs and anus, Reinforced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genital and anus after toileting so that there is no excrement left, and the sanitary function was strengthened so that the filth container that collects and treats the generated excrement can be managed easily and conveniently.
  •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 devi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bowl for a patient and an apparatus for treating a toilet bowl of a toilet bowl that can be managed hygienically by separating the toilet bowl itself.
  •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eces toilet for the patient and the feces treatment apparatus in the toilet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ces toilet provided for a patient comprises: a toile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two or more having a replaceable silicone cov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enital and anus of the patient; And a nozzle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the silicone cover and the toilet to allow the washing water or air to be introduced for cleaning the patient and for cleaning the toilet.
  • the toilet is a fixed toilet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is detachably coupled from the fixed toilet so that the silicone cover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and discharge of patient excrement from one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parate toilet equipped with a discharge hose.
  • the nozzle unit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to the upper part of the silicone cover and the inner bottom of the toilet in the male or female patient's genital and anus reg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prayed toward the part to be cleaned of the male or female.
  • An air nozzle installed to be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capable of spraying air for drying the cleaning area of the patient cleaned by the cleaning nozzle unit;
  • the toilet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downwardly or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ilet, and the patient's excretion is buried or remains inside the toilet while being washed and dried by the cleaning nozzle and the air nozzle. It includes a toilet cleaning nozzle that allows you to clean the toilet.
  • the cleaning nozzle a male genitalia shower and washing nozzle installed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male genitali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licone cover and the inner bottom of the toilet bowl, and a female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toilet bow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otating nozzle for female genitalia installed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genital organs, and a rotating nozzle for anus cleaning installed adjacent to the rotating nozzle for female genital organs and spray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anus of the male and female patient. .
  • the toilet fec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toile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two or more having a replaceable silicone cov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enital and anus regions of a condylar patient; A nozzle unit that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the silicone cover and the toilet to allow the washing water or air to flow in for patient cleaning and for cleaning the toilet; A waste disposal contain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ilet and through a transfer pump to store the patient's excrement collected in the toilet by the nozzle part; Including a feces discharge and washing machine that allows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to be detachably coupled to discharge the excrement stored in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into the toilet, and also to wash and disinfect the waste treatment container to maintain cleanliness. do.
  • the excrement discharging and washing machine includes: a rectangular casing providing a seating portion capable of seating and coupling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providing a receiving space of a predetermined width to the inside; An excrement outlet formed to be opened from one side of the casing toward the outside to discharge excrement from the excrement tank and a washing water injection port capable of inject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excrement tank; A feces suction nozzl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eating por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eces discharge port to be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take and discharge valve of the feces treatment container; A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eating por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injection po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xcrement suction nozzle so as to be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A feces pump installed in a feces discharge line for contacting the feces discharge port and
  •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shing water tank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and having a heater for storing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shing water inlet, and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tank and the washing water.
  • a water pump tha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a line to provide pressur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and a water pump tha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tank and the water pump through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to form bubbles in the washing water tank
  • a bubble generator to be supplied and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where the washing water tank and the water pump and the bubble generator meet each other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tank and the water pump are in contact, or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washing water tank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hree-way solenoid valve that switches to a state in which the bay is connected.
  • the feces treatment container includes a transport carrier for moving the feces discharge and washing machine to the toilet combin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toilet itself to be separated so that it can be managed hygienically.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ces treatment apparatus for a patient feces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2b, and 2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the patient feces toilet shown in FIG. 1 in detail.
  • FIG.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showing only the “A” part in FIG. 2A separately, and FIG. 3C is an enlarged view of a rear part of FIG. 3B, and a shower and washing water spraying toward the male genitalia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nozzle.
  • 4A and 4B are front and plan views showing only the “B” part in FIG. 2A, respectively, showing rotation nozzles for spraying washing water sprayed to the anus of the patient and the genital area of the woman. .
  •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washing spray nozzle and a washing water spray angle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toilet i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tient's excrement tank and a washing machine in detail in FIG. 1,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 portion in FIG. 6,
  • FIG. 8 is a view showing a washing state of the excrement tank shown in FIG. 6.
  • FIG. 9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washing and washing a patient fec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eces treatment apparatus for a patient feces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ilet 110, the toilet 110 and the nozzle unit 130 provided for washing the patient,
  • the excrement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or the interior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cleaned and disinfected to provide sanitary maintenance and management.
  • FIG. 1 is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the patient feces toilet shown in FIG. 1 in detail.
  • the toile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is drawing.
  • the toilet 110 is mounted on the genital and anus of the contusion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see the toilet, and the toilet 110 is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that is, a refractive bed for a patient or a general mattress.
  • the fixed toilet 112 and the fixed toilet 112 are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or serviced if necessary, and on either side, the excrement of the patient
  • the toilet body 115 consisting of a separate toilet 114 equipped with a discharge pipe 113 that allows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o be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e toilet 11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productive organs of the bedridden patient and It is composed of a silicone cover 116 that allows the toilet body 115 to b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anal area without a gap.
  • the soft material of the silicone cover 116 allows it to be safely worn and used at all times without causing problems on the patient's skin.
  •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silicone cover 116 from the detachable toilet 114 allows the patient to use the toilet 110 hygienically by enabling the replacement of the silicone cover 116.
  • the detachable toilet 114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xed toilet 112, can be separated and washed when necessary, thereby enabling hygienic maintenance.
  • FIGS.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showing only the “A” part in FIG. 2A separately, and FIG. 3C is an enlarged view of a rear part of FIG. 3B, and a shower and washing water spraying toward the male genitalia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nozzle.
  • the nozzle unit 130 installed for cleaning a patient or toil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nozzle unit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leaning nozzle 130a for cleaning a patient.
  • the cleaning nozzle 130a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toward the patient's genital organs or anus, and serves to spray the washing water for showering and washing the patient's genital organs or anus into the patient's toilet bowl 110.
  • this cleaning nozzle (130a) has a plurality of male genitalia shower and cleaning nozzle (131a) on the left and right for the male genitalia and surrounding showers on the top of the silicone cover 116.
  • the male genitalia shower and washing nozzle (131a)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adjustable toward the genital area of a male patient, and as shown in FIG. 3C, the washing water is pump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32 from a pump not shown.
  •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32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ilet body 115 through the silicone cover 116, so that the silicone cover 116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from the toilet body 115. .
  • 4A and 4B are front and plan views showing only the “B” part in FIG. 2A, respectively, showing rotation nozzles for spraying washing water sprayed to the anus of the patient and the genital area of the woman.
  • 5A and 5B ar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washing spray nozzle and a washing water spray angle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toilet i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eaning nozzle 130a, the toilet cleaning nozzle 130b, and the drying air nozzle 130c of the nozzle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a rotating nozzle for female genital organs (132a), such as a sprinkler, to spray washing water pumped from a pump, not shown, toward the female genitalia. It is installed to be rotated in a form, an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ational nozzle for female genitalia (132a), an anus cleaning rotational nozzle (133a) for spraying washing water for cleaning the anu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nozzle for female genitalia (132a). )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same shape.
  • a plurality of toilet washing nozzles 130b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rear of the inner upper rim of the detachable toilet 114 constituting the toilet body 115.
  • the left and right toilet bowl washing nozzles 130b-1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parate toilet 114 were positioned in a horizontal and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as shown in Figs. 5a and 5b to spray washing water,
  • the rear toilet washing nozzle 130b-2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parate toilet 114 was directed to the direct downward direction of the toilet to spray the introduced washing water.
  • the angular direction of the toilet cleaning nozzle (130b)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overlaps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of the separate toilet (114), and is cleaned by the cleaning nozzle (130a) and the air nozzle (130c) And it is possible to more cleanly wash the patient's excrement that has been buried or remains in the toilet bowl 114 while drying, so that the toilet bowl of the patient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hygienically at all times.
  • drying air installed to be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is in the front (right side as seen in FIGS. 4B and 5A) of the inner bottom and upper rim of the separate toilet 114 constituting the toilet body 115.
  • a nozzle 130c is provided. The air sprayed from the drying air nozzle 130c allows the air to dry the genitalia or anus of the patient cleaned by the cleaning nozzle 130a, so that the genitalia or anus of the patient is removed from eczema. Make it preventable.
  • both the shower and washing nozzle 130a and the toilet bowl washing nozzle 130b are composed of fine spray nozzles having a diameter of 0.2 mm, so that the cleaning power of the anus and the genitals of the patients and the cleaning power of the toilet can be increased. Made it possible.
  • the rotational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al nozzle for the anal cleaning (133a) and the rotational nozzle for the female genitalia (132a)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sprinkler. A specific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and since the nozzle configuration is also various configurations, any one specific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patient's excrement treatment passage and washing machine in FIG. 1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 part in FIG. 6,
  • FIG. 8 is It is a diagram showing the washing state for.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eces treatment of the patient.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toilet 110 and the pressure pump P to allow storage of the patient's excrement collected in the toilet 110,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excrement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If necessary, a water level sensor for the amount of excrement input may be installed in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so that users can easily check it.
  • the storage of the excrement discharged from the toilet 110 can be carried out through an intake and discharge valve 154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hat is, as seen in FIGS. 6 and 7.
  • a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that can be used to remove odors exhaled by the excrement stored in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or to remove residual excrement 156 was installed.
  • the intake and discharge valve 154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156 are in a closed state in a normal state so that excrement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are opened when nozzles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Since is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a separat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transported using a handle 152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take and discharge valve 154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156, which facilitates movement and is lightweight for hygiene maintenance.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strength.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to store the excrement to be excreted in the toilet 110, so when in use, only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combined with the toilet 110 by holding the handle 152 and carrying it. There, the combination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and the toilet 110 can be performed by a discharge hose (h) having a separate discharge pump (P) as shown in FIG.
  • a discharge hose (h) having a separate discharge pump (P) as shown in FIG.
  • a connection joint or coupler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113 extending from the toilet 110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2A, and the discharge hose ( A nozzle that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take/discharge valve 154 may be installed at the opposite end of h).
  • This connection of the discharge hose (h)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excrement treatment tank 150 of the excrement or dirt generated from the toilet (110).
  • the excrement discharging and washing machine 170 provides a seating part 171 capable of seating and coupling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o the outside, and a receiving space 172- It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L-shaped casing 172 providing 1).
  • the casing 172 is formed to be opened from one side of the casing 172 to the outside, respectively, the excrement discharge port 173 and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o discharge the excrement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 a washing water inlet 175 was installed to inject washing water for internal washing of ).
  • the seating portion 171 of the casing 172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eating portion 17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xcrement outlet 173 to be inhaled and discharged from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 a feces suction nozzle 174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valve 154, an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eces suction nozzle 174, the sea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inlet 175
  • a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176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171 so as to be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156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was installed.
  • the excrement pump (P1) installed in the excrement discharge line (L1) to contact the excrement discharge port (173) and the excrement suction nozzle (174) and ,
  •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a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connecting the water inlet 175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176, and the excrement pump P1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a,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 a control box 178 that was able to be controlled wa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a is a washing water tank provided with a heater H tha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to heat and store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shing water inlet 175 as hot water. (171a) and a water pump (P2)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tank (171a) through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to provide a pressing forc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176), and the A bubble generator 172a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tank 171a and the water pump P2 through a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to form and supply bubbles to the washing water tank 171a, and the washing water tank ( 171a) and the water pump (P2) and the bubble generator (172a)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to meet each other, the washing water tank (171a) and the water pump (P2) is switched to a contact state or Includes a three-way solenoid valve (SV) for switching to a state in which only the bubble generator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separated from the toilet 110 can be safely moved to the toilet seat using the transport carrier 190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excrement discharge and the seating part 171 of the washing machine 170 .
  • the excrement discharging and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oupled to the excrement discharging and washing machine 170 by the fixing band 177 installed in the excrement discharging and washing machine 170 is stably coupled so that there is no external or shaking Can be done.
  • the excrement suction nozzle 174 of the excrement discharge and washing machine 170 is the intake and discharge valve of the excrement treatment vessel 150 (
  •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176 is coupled to the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156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excrement stored in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the intake and discharge valve 154 ⁇ excrement suction nozzle ( 174) ⁇ Excretion discharge line (L1) ⁇ Excretion pump (P1) ⁇ Excretion outlet 173 and a separate excrement discharge hose 10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xcrement outlet 173 and extends to the toilet (1)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toilet (1) through.
  • Completion of discharging the excrement from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due to the transparent material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but may be realized by a general timer set in the control box 178.
  • the timer setting may set the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crement checked according to the capacity scale displayed on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 the washing water is connected through the washing water inlet 175 from the washing water connection hose 20 connected to the faucet.
  • the tank 171a may store washing water.
  • the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171a may be used as wash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but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ashing power, a hea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washing water tank 171a may be operated to heat it with hot water. .
  •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171a is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 solenoid valve (SV) ⁇ water pump (P2) ⁇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176) ⁇ the excrement treatment tank It is strongly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hrough the washing water injection valve 156 of the 150 so that the interior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washed.
  • the washed filth is also the intake and discharge valve 154 described above from the excrement treatment tank 150 by the excrement pump P1 operated at the same time ⁇ excrement suction nozzle 174 ⁇ excrement discharge line (L1) ⁇ It is discharged to the toilet (1) through the excrement pump (P1) ⁇ excrement outlet (173) ⁇ excrement discharge hose (10).
  • the solenoid valve (SV) When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171a is not used as washing water through a solenoid valve (SV) ⁇ water pump (P2), the solenoid valve (SV) is used as the bubble generator through the washing water circulation line (L2).
  • the washing water tank while controlling to contact (172a) to circulate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water tank 171a to the washing water tank 171a ⁇ solenoid valve (SV) ⁇ the bubble generator 172a ⁇ the washing water tank 171a Bubbles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or 172a are included in the interior of (171a), so that when the water pump P2 is operated,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bubbles from the washing water tank 171a is the excrement treatment tank 150 ) To be sprayed into the interior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o be more cleanly washed.
  • a disinfecting agent may be put in the washing water tank 171a.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that has been washed by the excrement discharge and washing machine 170 can be used as a feces treatment container 150 to receive and store the excrement from the toilet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excrement discharge and washing machine 170 and dried. .
  • FIG. 9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washing and washing a patient fec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hose (h) having a pump (P) is used to connect the patient's toilet bowl 110 and the feces treatment container 150 (S1).
  • P the pump
  • the reason is that the excrement of the patient washed by the washing nozzle unit 130 from the toilet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ng hose h by the pump P and stored in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t is to do.
  • the excrement discharged from the toilet 110 may be repeatedly used within the capacity range of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S2).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the inside is visible, the amount of excrement inputted into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easi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completion of the injection can be achieved (S3).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110 (S4).
  • the separated feces treatment container 150 can be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toilet bowl 1 is located by using the prepared transport carrier 190 after the excrement discharge and coupling to the washing machine 170 (S5) (S6). ).
  • the excrement treatment tank 150 moved to the toilet bowl (1)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toilet (1) through the excrement discharge hose (10) connected to the toilet (1) side and flows through the washing water injection hose (20).
  • the excrement treatment container 150 may be bubble washed or sterilized by the washing water (S7).
  • the washed and sterilized feces treatment container 150 may be us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eces discharge and washing machine 170 and then connected to the toilet through a drying step (S8).
  • 131a Male genitalia shower and washing nozzle
  •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a washing water supply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는, 생식기 및 항문부위 위치에 대한 세척수 분사각도를 항시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주변으로 위치되게 하여 생식기 및 항문부위를 배설물이 남아 있지 않게 세정을 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발생되는 배설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오물 처리통을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와상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수 세정 분사각도를 항시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주변으로 향하게 하여 와병(臥病)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주변에 배설물이 남아 있지 않게 세정기능을 강화하고, 또한 배설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오물통은 위생적으로 관리하게 위생기능을 강화한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자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해 배설물과 같은 용변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배설물 처리 용변기와 이 용변기로부터 배설물을 받아서 처리하는 배설물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용변기와 배설물 처리장치의 일예가 하기 특허문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거동이 불편한 와상환자의 둔부에 밀착되어 배변 활동을 돕는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센서를 통해 소변과 대변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배변물의 흡입과, 신체의 세척, 송풍 건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수행됨에 따라, 와상환자가 간병인의 도움 없이 위생적인 배변활동이 가능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클리닝 소켓, 배변이송부, 배변처리부를 포함하여 장치를 구성하되, 사용자의 둔부에 밀착되는 클리닝 소켓의 전단부를 항균·방향의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 청결하면서쾌적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배변처리부로부터 공급되어 배변이송부를 거쳐 클리닝 소켓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세정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와상환자의 청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와상환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2는 환자의 배설물을 받는 장착구와 호스를 가지런히 수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설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라고 하여 '환자의 배설물을 받는 장착구와 상기 장착구에서 받은 배설물을 자동으로 흡인하여 저장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장착구에 호스로 연결되어 흡인된 배설물을 저장하는 배설물저장통을 분리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일단부에 경첩부재가 연결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면서 경첩부재의 상단에 탈착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장착구 및 호스를 수납하도록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면을 마감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설물의 흡인 따위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커버를 포함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3은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이라고 하여 '배설물 입력관과 연결되어 배설물이 유입되는 제1룸과, 제1룸의 하부에 제1 룸과 통하도록 마련되며배설물이 낙하하여 수용되는 제2룸과, 제2룸의 상부에 제2 룸과 통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제3 룸을 포함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을 제공하여, 오물통 내에 배설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때 유입된 오물과 물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오물통 안에서 와류하여 상승하는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중 특허문헌1의 배설물 처리 장치에 개시된 세정구조를 보면, 배변기의 내부 전방부분에 설치한 제1분사노즐에만 의존하여 음부 및 항문부위를 세정하도록 한 구성으로 인해, 환자의 음부 및 항문부위를 깨끗히 처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여기에 더하여 배변기에 설치된 몸체부위의 지속적인 사용은 청결성을 떨어지게 하여 보건 위생도 떨어지게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1의 선행기술의 경우 오염물 처리통을 관리함에 있어서, 몸체로부터 오물 처리통을 분리한 상태에서 오물 처리통 내부를 일일이 청소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2,3은 환자의 배설물을 오염통에 받아서 처리하는 것이나, 특허문헌2 역시 환자의 음부 및 항문에 장착되는 용변기가 단지 용변만을 받아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어서, 특허문헌1과 같은 문제는 그대로 내포하고 있고, 오염물 처리통 위생관리 역시 특허문헌1과 같이 사람들이 일일이 닦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은 그대로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특허문헌3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에도 그대로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와병(臥病)환자의 생식기(음부) 및 항문주변(둔부)에 배설물이 남아 있지 않게 세정을 하면서도 용변기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을 받아서 처리하는 용변 처리통은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등록번호 제10-1713547호
(특허문헌 2) KR 등록번호 제20-0478932호
(특허문헌 3) KR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333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부위 위치에 대한 세척수 분사각도를 항시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주변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용변후 생식기 및 항문부위를 배설물이 남아 있지 않게 세정 기능을 강화하였고, 또한 발생되는 배설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오물통을 쉽고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위생기능을 강화한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변기 자체도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는, 와상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교체 가능한 실리콘 커버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용변기; 및 상기 실리콘 커버와 상기 용변기에 각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세정 및 상기 용변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 혹은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한 노즐부를 포함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용변기는,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용변기와, 상기 고정 용변기로부터 분리되게 결합되어 위로는 상기 실리콘 커버를 탈착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어느 일측으로는 환자 배설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스가 설치된 분리형 용변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실리콘 커버의 상부와 용변기의 내저부에 남성 혹은 여성환자의 생식기와 항문부위 측으로 각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남성 혹은 여성의 피 세정부분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한 세정용 노즐;
상기 용변기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정 노즐부에 의하여 세정된 환자의 세정부위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한 에어 노즐; 상기 용변기의 내부 상부 좌우측 및 후방부위에서 상기 용변기 내부의 수평 및 하향 혹은 직하향 방향을 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정용 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에 의하여 세정 및 건조되면서 상기 용변기의 내부로 묻게되거나 잔존되는 환자 배설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용변기 세척노즐을 포함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세정용 노즐은, 상기 실리콘 커버의 상부와 용변기의 내저부에 남성 생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게 설치된 남성생식기용 샤워 및 세정노즐, 상기 용변기의 내저부측에 설치되어 여성 생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게 설치한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 및 상기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과 인접설치되어 상기 남여 환자의 항문을 세정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항문세정용 회전노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용변기 배설물 처리장치는, 와상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교체 가능한 실리콘 커버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용변기; 상기 실리콘 커버와 상기 용변기에 각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세정 및 상기 용변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 혹은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한 노즐부; 상기 용변기와 이송 펌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노즐부에 의해서 상기 용변기에 모이게 되는 환자의 배설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한 투명재질의 배설물 처리통; 상기 배설물 처리통을 탈착할 수 있게 결합하여 상기 배설물 처리통에 저장된 배설물을 변기로 배출할 수 있게하며, 또한 상기 배설물 처리통의 청결유지를 위하여 세척 및 소독할 수 있게 하는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는, 외부로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을 안착되게 결합할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하며 내부로 소정 넓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장방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 탱크의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한 배설물 배출구 및 상기 배설물 탱크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구; 상기 배설물 배출구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의 흡배출밸브와 연락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배설물 흡입노즐;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세척수 주입구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의 세척수주입밸브와 연락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노즐; 상기 배설물 배출구와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을 연락하는 배설물 배출라인에 설치된 배설물 펌프; 상기 물 주입구와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을 연락하는 세척수 순환라인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부; 상기 배설물 펌프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의 소정위치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한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을 통해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을 통하여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워터 펌프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에 버블을 형성하여 공급하는 버블 생성기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버블 생성기가 만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워터펌프가 연락되는 상태로 전환하거나 혹은 상기 버블 생성기와 상기 세척수 탱크만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3 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배설물 처리통이 결합된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를 변기로 이동하기 위한 운반용 캐리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부위에 배설물이 남아 있지 않게 세정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발생되는 배설물은 수집하여 처리하는 오물 처리통을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변기 자체도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블록도이고,
도 2a,2b,2c는 도1 표시의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도 2a에서 "A"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정면 및 이에 대한 우측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후측 일부분의 확대도로서, 남성 생식기 부분을 향하여 분사하는 샤워 및 세척수 분사 노즐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도 2a에서 "B"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정면 및 이에 대한 평면도로서, 환자의 항문과 여성의 생식기 부위로 세정을 위해 분사되는 세척수 분사용 회전 노즐을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용변기에서 용변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용 분사 노즐 및 세척수 분사 각도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환자의 배설물 탱크와 세척기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C"부분의 내부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 표시의 배설물 탱크의 세척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세정 및 세척 상태의 진행 과정을 표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용변기(110), 상기 용변기(110)와 환자를 세척하는 데 제공되는 노즐부(130), 상기 용변기(110)와 이송 펌프(P)를 갖는 배출호스(h)와 분리되게 결합하여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상기 배출호스(h)에 의하여 이송되는 배설물을 받아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배설물 처리통(150),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배설물을 변기로 배출하거나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내부를 세척 및 소독하여 위생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a,2b,2c는 도1 표시의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용변기(1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용변기(110)는 와상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에 장착하여 환자가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용변기(110)는 임의 위치 즉, 환자용 굴절 침대 혹은 일반 매트리스 등에 고정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고정 용변기(112)와 상기 고정 용변기(112)로부터 분리되게 결합되어 필요시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혹은 정비할 수 있게 탈착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어느 일측으로는 환자가 배설하는 배설물을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측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배출관(113)이 설치된 분리형 용변기(114)로 이루어진 용변기 본체(115)와, 상기 분리형 용변기(114)의 상부로 탈착되게 결합하여 와상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에 상기 용변기 본체(115)를 틈새 없이 밀착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실리콘 커버(116)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리콘 커버(116)의 부드러운 재질은 환자의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일 없이 항시 안전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실리콘 커버(116)의 상기 분리형 용변기(114)로부터의 착탈식 결합 구조는, 상기 실리콘 커버(116)의 교체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로 하여금 상기 용변기(110)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상기 고정 용변기(112)로부터 분리되게 결합한 상기 분리형 용변기(114)역시 필요시 분리하여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유지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3a, 도 3b는 도 2a에서 "A"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정면 및 이에 대한 우측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후측 일부분의 확대도로서, 남성 생식기 부분을 향하여 분사하는 샤워 및 세척수 분사노즐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과 상기 도 2a,2b,2c를 참조하면서, 환자 혹은 용변기 세정을 위해 설치된 노즐부(1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즐부(130)는 환자 세정을 위한 세정용 노즐(130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세정용 노즐(130a)은 환자의 생식기나 혹은 항문 부위를 향해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 환자의 생식기나 혹은 항문 부위 샤워 및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상기 환자용 용변기(110)내부로 분사하는 작용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세정용 노즐(130a)은 실리콘 커버(116)의 상부에 남성생식기 및 주위 의 샤워를 위해 좌우측으로 복수개의 남성생식기용 샤워 및 세정노즐(131a)을 갖고 있다. 상기 남성생식기용 샤워 및 세정노즐(131a)은 남성 환자의 생식기부위를 향해 조절할수 있게 좌우측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도 3c의 표시와 같이 미도시한 펌프로부터 세척수 공급관(132)을 통해 압송되는 세척수를 남성환자의 생식기 부위로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게 하여, 남성 환자의 생식기 주변에 묻게되는 찌꺼기나 냄새 오염원을 샤워하여 세정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세척수 공급관(132)은 상기 실리콘 커버(116)를 통하여 용변기 몸체(115)에 탈착되게 결합하는 구성이어서, 상기 실리콘 커버(116)를 상기 용변기 몸체(115)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a, 도 4b는 도 2a에서 "B"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정면 및 이에 대한 평면도로서, 환자의 항문과 여성의 생식기 부위로 세정을 위해 분사되는 세척수 분사용 회전 노즐을 각각 표시한 도면이고,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용변기에서 용변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용 분사 노즐 및 세척수 분사 각도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노즐부(130)의 세정용 노즐(130a)과 용변기 세척노즐(130b) 및 건조용 에어 노즐(130c)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용변기 몸체(115)를 이루는 분리형 용변기(114)의 내저부측에는 미도시한 펌프로부터 압송되는 세척수를 여성 생식기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한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132a)이 스프링 클러와 같은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132a)과 인접 위치에는 남녀환자의 항문을 세정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항문세정용 회전노즐(133a)이 상기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132a)과 같은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도4a,4b 및 도5a,5b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용변기 몸체(115)를 이루는 분리형 용변기(114)의 내측 상부의 테두리부위의 양측 및 후측부위에는 다수개의 용변기 세척노즐(130b)을 설치하였다. 상기 분리형 용변기(114)의 좌우측에 설치된 좌우측 용변기 세척노즐(130b-1)은, 도5a,5b 의 표시와 같이, 용변기의 내측을 향하여 상호 수평 및 하향 방향으로 위치하게 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게 하였고, 상기 분리형 용변기(114)의 후방에 설치된 후측용변기 세척노즐(130b-2)은 용변기의 직 하향 방향으로 위하게 하여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하게 하였다.
상기 용변기 세척노즐(130b)의 상기와 같은 각도 방향은 상기 분리형 용변기(114)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겹쳐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세정용 노즐(130a)과 상기 에어 노즐(130c)에 의하여 세정 및 건조되면서 상기 용변기(114)의 내부로 묻게되거나 잔존되는 환자 배설물을 용변기에 잔존되는 일 없이 더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하여, 환자 용변기를 항시 위생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용변기 몸체(115)를 이루는 분리형 용변기(114)의 내측 저부와 상부 테두리부위의 전방(도 4b 및 도 5a에서보아 우측)에는 용변기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게 설치한 건조용 에어노즐(130c)을 구비하고 있다. 건조용 상기 에어노즐(130c)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세정노즐(130a)에 의하여 세정된 환자의 생식기 혹은 항문 부위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하여, 환자의 생식기 혹은 항문 부위를 습진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샤워 및 세정용 노즐(130a) 및 상기 용변기 세척노즐(130b)모두는 직경 0.2mm 의 미세 분사노즐로 구성하여, 사용 환자들의 항문 및 생식기에 대한 세정력과 용변기에 대한 세척력을 높일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에에서 상기 항문세정용 회전노즐(133a)과 상기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132a)의 회전 구성은 통상적인 스프링 클러와 같은 구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 만을 특정하여 설명하는 것을 생략하였고, 또 노즐 구성 역시 다양한 구성이어서 어느 하나 특정하여 설명함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서 환자의 배설물 처리통과 세척기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C"부분의 내부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 표시의 배설물 처리통에 대한 세척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환자의 배설물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배설물 처리통(150)은 용변기(110)와 압송 펌프(P)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용변기(110)에 모이게 되는 환자의 배설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데,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내부로 투입되는 배설물의 량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배설물 투입량의 수위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확인하게 할 수 도 있다.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의 저장은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어느 일측 즉, 도 6 및 도7에서 보아 하부에 설치된 흡배출밸브(154)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흡배출 밸브(154)와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저장되는 배설물에 의해 풍기게되는 악취 제거나 혹은 잔존하게 되는 배설물 찌꺼 기의 제거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밸브(156)를 설치 하였다.
상기 흡배출밸브(154)와 세척수 주입밸브(156)는 평상시에는 패쇄된 상태를 이루어 내부에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후술하는 노즐들이 삽입되면 개방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밸브들의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이어서 별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운반은 상기 흡배출밸브(154)와 세척수 주입밸브(156)의 반대 쪽에 설치된 손잡이(152)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데, 이동을 쉽게 함과 아울러 위생 유지를 위하여 경량이면서 항균성 및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상기 용변기(110)에 배설하게 되는 배설물을 저장하는 것이어서, 사용시에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만을 손잡이(152)를 잡고 운반하여 상기 용변기(110)와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과 상기 용변기(110)의 결합은 도 1의 표시와 같이 별도의 배출펌프(P)가 있는 배출호스(h)에 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배출호스(h)의 일단에는 도 2a의 표시와 같이, 상기 용변기(110)로 부터 연장되는 배출관(113)에 탈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연결 죠인트나 커플러가 설치될수 있고, 상기 배출호스(h)의 반대 단부에는 상기 흡배출밸브(154)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될수 있는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호스(h)의 연결은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발생되는 배설물이나 오물을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으로 손쉽게 투입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는, 외부로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을 안착되게 결합할 수 있는 안착부(171)를 제공하며 내부로 소정 넓이의 수용공간(172-1)을 제공하는 대략 L자형의 케이싱(17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72)에는 상기 케이싱(172)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한 배설물 배출구(173)와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내부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구(175)를 설치 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싱(172)의 안착부(171)에는, 상기 배설물 배출구(173)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171)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상기 흡배출밸브(154)와 연락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배설물 흡입노즐(174)을 설치 하였고, 또한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174)과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세척수 주입구(175)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171)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세척수주입밸브(156)와 연락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노즐(176)이 설치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케이싱(172)의 수용공간(172-1)에는 상기 배설물 배출구(173)와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174)을 연락하는 배설물 배출라인(L1)에 설치된 배설물 펌프(P1)와, 상기 물 주입구(175)와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176)을 연락하는 세척수 순환라인(L2)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부(170a)와 그리고 상기 배설물 펌프(P1)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170a)를 각각 혹은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한 콘트롤 박스(178)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 하였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170a)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L2)의 소정위치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주입구(175)를 통하여 주입되는 물을 온수로 가온하여 저장하는 히터(H)를 구비한 세척수 탱크(171a)와, 상기 세척수 탱크(171a)와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L2)을 통해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176)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워터펌프(P2)와,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L2)을 통하여 상기 세척수 탱크(171a)와 상기 워터 펌프(P2)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 버블을 형성하여 공급하는 버블 생성기(172a)와, 상기 세척수 탱크(171a)와 상기 워터펌프(P2)와 상기 버블 생성기(172a)가 만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L2)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171a)와 상기 워터펌프(P2)가 연락되는 상태로 전환하거나 혹은 상기 버블 생성기(172a)와 상기 세척수 탱크(171a)만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SV)를 포함하고,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저장된 배설물의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를 사용하여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저장된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저장된 배설물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을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분리후,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도 6참조)에 결합하는 작업에 의해 배설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분리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의 안착부(171)측으로 결합 후 운반용 캐리어(190)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변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에 설치된 고정밴드(177)에 의하여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에 결합되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을 외부로 이탈되거나 흔들리게 되는 일 없도록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측으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을 결합하면,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의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174)은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상기 흡배출밸브(154)로 결합되어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고,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176)은 세척수주입밸브(156)와 상호 연락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 박스(178)로부터 배설물 펌프(P1)를 작동하게 제어 하면, 도7의 표시와 같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저장된 배설물은 상기 흡배출밸브(154)→배설물 흡입노즐(174)→ 배설물 배출라인(L1)→ 배설물 펌프(P1) → 배설물 배출구(173)와 이 배설물 배출구(173)에 탈착되게 연결되어 변기(1)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별도의 배설물 배출호스(10)를 통하여 변기(1)로 신속히 배출시킬수 있다.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으로부터 배설물의 배출 완료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투명재질로 인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상기 콘트롤박스(178)에 설정된 일반적인 타이머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예컨데 타이머 설정은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표시된 용량눈금에 따라 확인되는 배설물 용량에 의해서 시간을 설정할수 있다.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배설물의 배출과 아울러 위생 측면에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내부 청소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콘트롤 박스(178)로부터 상기 세척수 공급부(170a)를 작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박스(178)로부터 상기 세척수 공급부(170a)를 작동하게 제어하면, 도 8의 표시와 같이,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세척수 연결호스(20)로부터 세척수 주입구(175)를 통하여 연결함에 의해,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는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 저장되는 물은 상온 그대로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으나, 세척력을 높일 필요가 있을 때는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 구비된 히터(미도시)를 작동하게 하여 온수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세척수 순환라인(L2)→솔레노이드 밸브(SV)→ 워터펌프(P2)→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L2)→상기 세척수 주입노즐(176)→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세척수주입밸브(156)를 통하여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내부로 강하게 분사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이때의 세척된 오물 역시 같이 작동되는 상기 배설물 펌프(P1)에 의하여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으로부터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흡배출밸브(154)→배설물 흡입노즐(174)→ 배설물 배출라인(L1)→ 배설물 펌프(P1) → 배설물 배출구(173)→배설물 배출호스(10)를 통하여 변기(1)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 저장된 세척수를 솔레노이드 밸브(SV)→ 워터펌프(P2)를 통하여 세척수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SV)를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L2)을 통하여 상기 버블 생성기(172a)와 연락하게 제어하여 상기 세척수 탱크(171a)의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탱크(171a)→솔레노이드 밸브(SV)→ 상기 버블 생성기(172a)→상기 세척수 탱크(171a)로 순환되게 하면서 상기 세척수 탱크(171a)의 내부로 상기 버블 생성기(172a)에 의하여 생성되는 버블이 포함되게 하여, 상기 워터펌프(P2)의 가동시 상기 세척수 탱크(171a)로부터 버블이 포함된 세척수가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내부로 분사되게 하여 상기 배설물의 처리통(150)의 내부를 더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세척 과정에서 살균과 같은 약품 소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척수 탱크(171a)에 소독 약품을 넣을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 및 습기가 발생될수 있는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에 UV-LED를 설치하여 소독 및 살균 작용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에 의해 세척 완료된 배설물 처리통(150)은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로부터 분리 후 건조하여 다시 용변기로부터 배설물을 받아 저장하는 배설물 처리통(150)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세정 및 세척 상태의 진행 과정을 표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펌프(P)를 갖는 호스(h)를 사용하여 환자의 용변기(110)와 배설물 처리통(150)을 연결한다(S1). 그 이유는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세정 노즐부(130)에 의하여 세척되는 환자의 배설물이 상기 펌프(P)에 의해 상기 연결호스(h)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으로 저장하기 위함이다.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은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의 용량 범위 내에서 반복 사용할 수 있다(S2).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재질이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투입되는 배설물의 투입량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투입완료를 달성할 수 있다(S3).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에 배설물이 소정량으로 투입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용변기(110)로부터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을 분리한다(S4).
분리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에 결합후(S5), 기 준비된 운반용 캐리어(190)를 이용하여 화장실 변기(1)가 있는 곳으로 로 이동할 수 있다(S6).
화장실 변기(1)로 이동한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변기(1)측으로 연결되는 배설물 배출호스(10)를 통하여 변기(1)로 신속히 배출함과 아울러 세척수 주입호스(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을 버블세척 혹은 소독 할 수 있다(S7).
세척 및 소독된 상기 상기 배설물 처리통(150)은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170)로부터 분리후 건조단계(S8)를 통하여 다시 용변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는 물론 이거니와 환자가 사용하는 배설물 용변기와 배설물 처리통을 항시 위생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게 한 유용성이 있다.
[부호의 설명]
1: 화장실 변기
100 : 환자용 배설물 처리장치
110 : 용변기
112 :고정 용변기
114 : 분리형 용변기
115 : 용변기 본체
116 : 실리콘 커버
130 :노즐부
130a : 세정용 노즐
131a : 남성생식기용 샤워 및 세정노즐
132a: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
133a : 항문세정용 회전노즐
130b : 용변기 세척노즐
130b-1 : 좌우측 용변기 세척노즐
130b-2 : 후측 용변기 세척노즐
130c: 에어 노즐
150 : 배설물 처리통
154 : 흡배출밸브
156 : 세척수 주입밸브
170 :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
172 : 케이싱
173 : 배설물 배출구
174 : 배설물 흡입노즐
175 : 세척수 주입구
176 : 세척수 주입노즐
178 : 콘트롤 박스
L1 : 배설물 배출라인
L2 : 세척수 순환라인
P1 : 배설물 펌프
P2 : 워터펌프
170a : 세척수 공급부
171a : 세척수 탱크
172a: 버블 생성기
SV :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
190 : 운반용 캐리어

Claims (8)

  1. 와상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교체 가능한 실리콘 커버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용변기; 및
    상기 실리콘 커버와 상기 용변기에 각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세정 및 상기 용변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 혹은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기는,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용변기와, 상기 고정 용변기로부터 분리되게 결합되어 위로는 상기 실리콘 커버를 탈착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어느 일측으로는 환자 배설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호스가 설치된 분리형 용변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실리콘 커버의 상부와 용변기의 내저부에 남성 혹은 여성환자의 생식기와 항문부위 측으로 각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남성 혹은 여성의 피 세정부분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한 세정용 노즐;
    상기 용변기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정 노즐부에 의하여 세정된 환자의 세정부위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한 에어 노즐; 및
    상기 용변기의 내부 상부 좌우측 및 후방부위에서 상기 용변기 내부의 수평 및 하향 혹은 직하향 방향을 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정용 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에 의하여 세정 및 건조되면서 상기 용변기의 내부로 묻게되거나 잔존되는 환자 배설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용변기 세척노즐;을 포함하는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 노즐은, 상기 실리콘 커버의 상부와 용변기의 내저부에 남성 생식기 및 주변부위를 향하여 샤워용 물을 분사하게 설치된 남성생식기용 샤워 및 세정노즐, 상기 용변기의 내저부측에 설치되어 여성 생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게 설치한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 및 상기 여성 생식기용 회전노즐과 인접설치되어 상기 남여 환자의 항문을 세정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항문세정용 회전노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5. 와상환자의 생식기 및 항문 부위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교체 가능한 실리콘 커버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용변기; 및
    상기 실리콘 커버와 상기 용변기에 각각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세정 및 상기 용변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 혹은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한 노즐부;
    상기 용변기와 이송 펌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노즐부에 의해서 상기 용변기에 모이게 되는 환자의 배설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한 투명재질의 배설물 처리통; 및
    상기 배설물 처리통을 탈착할 수 있게 결합하여 상기 배설물 처리통에 저장된 배설물을 변기로 배출할 수 있게하며, 또한 상기 배설물 처리통의 청결유지를 위하여 세척 및 소독할 수 있게 하는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를 포함하는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는, 외부로는 상기 배설물 처리통을 안착되게 결합할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하며 내부로 소정 넓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L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설물 탱크의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한 배설물 배출구 및 상기 배설물 탱크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구;
    상기 배설물 배출구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의 흡배출밸브와 연락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배설물 흡입노즐;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세척수 주입구와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통의 세척수주입밸브와 연락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세척수 주입노즐;
    상기 배설물 배출구와 상기 배설물 흡입노즐을 연락하는 배설물 배출라인에 설치된 배설물 펌프;
    상기 물 주입구와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을 연락하는 세척수 순환라인에 설치된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배설물 펌프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의 소정위치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한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을 통해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주입노즐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을 통하여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워터 펌프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에 버블을 형성하여 공급하는 버블 생성기와,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워터펌프와 상기 버블 생성기가 만나는 상기 세척수 순환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 탱크와 상기 워터펌프가 연락되는 상태로 전환하거나 혹은 상기 버블 생성기와 상기 세척수 탱크만이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통이 결합된 상기 배설물 배출 및 세척기를 변기로 이동하기 위한 운반용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PCT/KR2020/008852 2019-07-12 2020-07-07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WO20210106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68A KR102075301B1 (ko) 2019-07-12 2019-07-12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9-0084168 2019-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639A1 true WO2021010639A1 (ko) 2021-01-21

Family

ID=6957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8852 WO2021010639A1 (ko) 2019-07-12 2020-07-07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5301B1 (ko)
WO (1) WO2021010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301B1 (ko) * 2019-07-12 2020-02-07 주식회사 일우텍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2457133B1 (ko) * 2020-03-18 2022-10-20 주식회사 네일톡톡 환자용 배변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55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20150051381A (ko) * 2013-11-04 2015-05-13 이훈상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JP2017055906A (ja) * 2015-09-15 2017-03-23 株式会社熊本アイディーエム 介護用洗浄装置
KR20170038137A (ko) * 2015-09-29 2017-04-06 (주)우경메디텍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KR20170097801A (ko) * 2016-01-18 2017-08-29 우신전자산업(주) 대소변 자동처리장비의 오수통 장치
KR102075301B1 (ko) * 2019-07-12 2020-02-07 주식회사 일우텍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682A (ko) * 2011-02-09 2012-08-20 주현용 배설물 처리장치
KR20140133309A (ko) 2013-05-10 2014-11-19 주식회사 큐라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
KR200478932Y1 (ko) 2014-11-10 2015-12-02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713547B1 (ko) 2016-02-25 2017-03-08 신장균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55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20150051381A (ko) * 2013-11-04 2015-05-13 이훈상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JP2017055906A (ja) * 2015-09-15 2017-03-23 株式会社熊本アイディーエム 介護用洗浄装置
KR20170038137A (ko) * 2015-09-29 2017-04-06 (주)우경메디텍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KR20170097801A (ko) * 2016-01-18 2017-08-29 우신전자산업(주) 대소변 자동처리장비의 오수통 장치
KR102075301B1 (ko) * 2019-07-12 2020-02-07 주식회사 일우텍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01B1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10639A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US4982462A (en) Medical attendance bathtub bed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2117875B1 (ko) 용변 자동 처리장치
RU2342112C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WO2009151283A2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WO2016129913A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KR100226079B1 (ko) 인체장착 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
JP2022179460A (ja) 着用可能な排泄物除去および洗浄装置
CN113677300A (zh)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处理方法
WO2016125925A1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WO2022196988A1 (ko)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EA019947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е трус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физически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WO2016125928A1 (ko)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WO2016125926A1 (ko) 성별전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WO2020204257A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WO2016125927A1 (ko)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JPS6219179B2 (ko)
WO2012057487A2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의 공기배출구조,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414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9.03.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414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