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7273A1 -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7273A1
WO2020197273A1 PCT/KR2020/004088 KR2020004088W WO2020197273A1 WO 2020197273 A1 WO2020197273 A1 WO 2020197273A1 KR 2020004088 W KR2020004088 W KR 2020004088W WO 2020197273 A1 WO2020197273 A1 WO 20201972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nnel
type structure
frame
door
dangerous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0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선중
김익환
이길진
Original Assignee
(주)호모미미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3624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15290A/ko
Application filed by (주)호모미미쿠스 filed Critical (주)호모미미쿠스
Publication of WO20201972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72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10Independent shelters; Arrangement of independent splinter-proof wa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dangerous substances such as explosives possessed by the behavior winner by monitoring the in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odor) with the sense of smell of the detection dog through a detection hole or through a blower. It is to provide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 a plurality of unit partition wall frames are arranged in a row in two pairs to constitute both side walls; And an entrance door and an exit door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ngerous substances is detected by monitor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plurality of unit bulkhead frames and the tunnel-type structure made through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 the unit partition wall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It includes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normally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the upper frame rotates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frame when assembling the structure, so that the side wall You can make up part of it.
  • the unit bulkhead frame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pport mount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frame, where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has a two-stage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locking end and a lower locking end serving as support points of the inclined support.
  • the support angle of the inclined support is also variable.
  • the upper frame includes a connection support having one end rotatably hing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and the connection support rotates when assembling the structure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frame of the other unit bulkhead frame facing the other end. You can configure the ceiling frame of the structure.
  • I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explosion-proof plate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connection supports fastened to the upper frame of the other unit bulkhead frame facing the other end when assembling the structure.
  • a horizontal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a horizontal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ther.
  • the horizontal coupling protrusion may be fastened in a fitting coupling manner.
  • Explosion-proof plates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 the explosion-proof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losion-proof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luid or solid particles may be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explosion-proof plates through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unit partition frame.
  • One of the unit bulkhead frames may include a detection hole formed for the detection dog to detect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using the sense of smell.
  • a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nit partition frame, and a vertical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o that the unit partition frame adjacent to each other is formed in the vertical coupling groove.
  •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can be fitted.
  • a door vertical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or a door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and the front of the exit door, and may be fastened to the unit partition frame.
  •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may be a push door that rotates only toward the inside of the structure.
  •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locking and unlocking by a handler terminal.
  • a tunnel-type structure having a ceiling and both side walls, comprising: a detection hole formed in one of the side walls to enable monitoring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And one or more of a blow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inside of the structure to the outside, wherein the detection dog smells the dangerous substances inside the structure through the detection hole or of the be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wing device.
  •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angerous substances from smell.
  • a locking device in which locking and unlocking is remotely controlled by the terminal may be installed.
  •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using an assembleabl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comprising: assembling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Opening the entrance door; Closing the entrance door when the target person enters the tunnel-type structure through the entrance; Sniffing the smell of the dangerous substance by using the sense of smell of the detection dog through a detection hole or a blower while the target person passes the tunnel-type dangerous substance detection structure; And outputting an alarm when a dangerous substanc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detection dog, and preventing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from being opened.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install quickly and easily, and by monitoring the in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odor) with the sense of smell of the detection dog through a hole for detection or a blowing device, such as explosives possessed by the recipient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detect dangerous substances.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nd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frame included in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9 ar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ehavior winner entering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unit bulkhead frames and an attachment structure of a door
  • FIG.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 ... unit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nd a view showing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100 is a tunnel-type structure having a ceiling and both side walls.
  • a detection hole 150 may be formed in one of the sidewalls to allow an animal (eg, a military dog) to smell a person (eg, a behavior winner) and an object in his or her possession.
  • doors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102 and exit 104 of the tunnel-type structure.
  • At least one of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may be a push door that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 the entrance door can only rotate toward the interior of the tunnel-like structure. Since a handle is no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entrance door, a person inside the tunnel-type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opening by magnetic force.
  • the exit door can also rotate only toward the interior of the tunnel-like structure. Since a handle is no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it door, a person inside the tunnel-type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opening by magnetic force.
  • the exit door may rotate toward the outside of the tunnel-like structure, and a handl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 the handler 10 can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from the outside.
  • a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using the tunnel-type dangerous substance detection structure 100 is as follows.
  • the recipient of the behavior suspected of possessing dangerous substances such as specific chemicals, gunpowder, explosives, etc. is entered as a tunnel-type structure (1).
  • a detection dog for example, a military dog
  • External handlers grasp the dog's behavior (or signals) and control the tunnel-type structure when dangerous substances are detected (3).
  • a cov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hole 150 may be closed to block the interior of the tunnel-type structure from the outside.
  • the entrance 102 and the exit 104 of the tunnel-type structure are blocked, and dangerous substances can be safely obtained by suppressing (4) the winner of the movement.
  • the inlet 102 and the outlet 104 can be closed without additional measures by making the inlet door and the outlet door as a push door as described above.
  • the doors of the inlet 102 and the outlet 104 may be clos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handler.
  • the behavior winner can be locked inside by operating the locking devices at both entrances of the tunnel. There will be.
  • an explosion-proof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bulkhead of the tunnel to minimize the threat.
  • FIGS. 3 to 9 are views of a structure for detecting tunnel-type dangerous substan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tion winner enters a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nd FIGS.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unit bulkhead frames and an attachment structure of a door .
  •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20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frames 210 as a basic skeleton.
  • partition wall frames 210 as a basic skeleton.
  • the unit partition wall frame 210 includes a lower frame 211 and an upper frame 212 hinged.
  • the lower frame 211 and the upper frame 212 may have the same height. Therefore, the stacking paper can be folded and stored before being assembled into a structure or after use as a structure is completed, so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can be reduced.
  • An inclined support 213 for stably supporting the structure may be mounted on the lower frame 211.
  • the lower frame 211 has a support receiving groove 270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nclined support 213, so that the lower frame 211 in a state in which the inclined support 213 is accommodated has a flat surfac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tacking with other partition wall frames.
  • the upper frame 212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support 214 for assembling the other unit bulkhead frame facing each other.
  • One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214 is hinged to the upper frame 212 so as to be rotatable.
  • the connection support 214 rotates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frame of the other unit bulkhead frame facing the other end, thereby configuring the ceiling frame of the tunnel-type structure.
  • connection support 214 The width and length of the connection support 214 are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pper frame 212, respectively, and in the unassembled state, the connection support 214 is folded in a straight line above the upper frame 212 Can be arranged as being part of.
  • the lower frame 211 and the upper frame 212 are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2, and thus the volume thereof can be minimized, thereby enabling easy water transportation.
  •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200 In fabricating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200, first, as shown in FIG. 3, six unit bulkhead frames 210 are arranged in two rows to form both side walls of the tunnel-type structure.
  • the upper frame 212 is rotated with respect to each unit partition frame 210 to be disposed above the lower frame 211.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212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type structure (see arrow A in FIG. 4),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rong support against strong pressure inside the tunnel-type structure in the future.
  • a horizontal coupling groove 25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type structure. Further, a horizontal coupling protrusion 252 may be formed long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nnel-type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2.
  • the horizontal coupling groove 251 and the horizontal coupling protrusion 252 may have cross-sectional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a horizontal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2 and a horizontal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1.
  • connection support 214 is rotated 90 degree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unit partition wall frame facing each other.
  • the lower frame 211 may be supported in an inclined direction.
  •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270 on which the inclined support 213 is mounted has a two-stage structure, various inclination angles can be obtained by changing the support point of the inclined support 213 as needed.
  • one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supports 213 has the upper locking end 271 as a supporting point, and the other has the lower locking end 273 as a supporting point, so that it can effectively withstand the impact applied from various angles. I will be able to do it.
  • the doors 220a and 220b are fixed to the entrance and exit sides.
  • the upper frame 212 and the lower frame 211 of the unit bulkhead frame 210 more firmly maintain a single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 height for people to enter and exit. Can be secured.
  • FIG. 9 the form in which the explosion-proof plates 240 and 241 are attached is shown.
  • the explosion-proof plate is not shown, but in reality, the assembly process of FIGS. 2 to 8 may be performed while the explosion-proof plate is attached.
  • the explosion-proof plates 240 and 241 are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a modular type, and if a part is damaged,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replac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st is reduced and maintenance is easy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part for partial damage.
  • the armor plates 240 and 241 may include two or more explosion-proof plat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necessary. At this time, a fluid such as water or small solid particles such as sand may be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explosion-proof plates to increase the protective power.
  • An injec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 injecting fluid or solid particles between the explosion-proof plates may be disposed in the unit partition frame 210.
  • the upper explosion-proof plate 230 may be assembled after the assembly of FIG. 8 is completed. For example,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a long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214, and the upper explosion-proof plate 23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in a sliding manner, thereby fixing it.
  • the upper explosion-proof plate 230 relatively weakens its adhesion, thereby causing strong pressure such as explosion inside the tunnel-type structure. When this occur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explosion and minimize the risk of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by directing the pressure upward, which is relatively weak.
  • a detection hole 250 for detection by a detection dog may be formed in one of the barrier rib frames. Through the detection hole 250, the detection dog can detect whether or not a motion winner in the tunnel-type structure possesses explosives.
  • the detection hole 25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and lower sliding windows, and thus may be opened only when necessary.
  • a ventilation device such as an intake pipe is attached to the detection hole 250 so that the in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odor) can be checked without accessing the tunnel-type structure.
  • the doors 220a and 220b may be push doors that are pushed open. It may be in a form that cannot be opened because there is no door handle inside.
  • the handler since a loc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doors 220a and 220b, the handler may remotely control the lock/release through the handler terminal.
  • the entrance door 220a has a push handle on the outer surface 01, but there is no handle on the inner surface 02, so it may be impossible to retur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 the exit door 220b is remotely locked and cannot escape, and the entrance door 220a, which has entered, has a structure that cannot escape because there is no handle.
  • three unit partition wall frame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side wall.
  •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coupling between the unit bulkhead frames based on the first unit bulkhead frame 210a and the second unit bulkhead frame 210b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entrance sid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exit side is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ally manufactured tunnel-type structure.
  • a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may be formed to protrud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unit partition wall frame 210a.
  •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1 formed on the lower frame 211a and a second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2 formed on the upper frame 212a.
  • the first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1 and the second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2 may be placed on a straight line.
  • a vertical coupling groove 265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unit partition wall frame 210b.
  • the vertical coupling groove 26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vertical coupling groove 266 formed in the lower frame 211b and a second vertical coupling groove 267 formed in the upper frame 212b.
  • the first vertical coupling groove 266 and the second vertical coupling groove 267 may be placed on a straight line.
  •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groove 265 to be fitted.
  •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or a cross-section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see (a), (b), and (c) of FIG. 12).
  • the vertical coupling groove 265 has a cross sec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and all or part of the inside thereof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opening. Therefore,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0 fitted into the vertical coupling groove 265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e to an opening having a narrow width and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fastening between the unit bulkhead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both before the upper frame is unfolded as shown in FIG. 3 or after the upper frame is unfolded as shown in FIG. 5.
  • a door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263 corresponding to a vertical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to protrud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ront door 220a. Accordingly, the front door 220a can be firmly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nit partition wall frame disposed in the foremost position.
  • a door vertical coupl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door 220b. Accordingly, the rear door 220b can be firmly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partition wall frame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 a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partition wall frame and a vertical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 a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vertical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 a door vertical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door, and a door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rear door.
  • the unit bulkhead frame has a standardized shape in which a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 vertical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o that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ation are possible, which is advantageous for mass production.
  • first unit partition frame 210a and the second unit partition frame 210b have a ring formed on one of them and a locking clasp is formed on the other, and the clasps are fastened to the ring in a locking manner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two frames. You may.
  • the fastening between unit bulkhead frames according to this example may be applied both before the upper frame is unfolded as shown in FIG. 3 or after the upper frame is unfolded as shown in FIG. 5.
  •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200 is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 it may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permanently as needed. Since the structure is intended for explosion protection,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structure may be set to a standard that ensures durability against explosives including TNT over a certain scale, for example, to protect against storms.
  • a method of supporting the tunnel-type structure on the floor may be a method using a self-weight or a binding method using a post pin.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pace to be installed.
  •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explosion-proof plat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to be protected.
  • the overall dimensions and configuration, shape and material of the tunnel-type structure may vary.
  • the explosion-proof plate can be used as a roll-type material that can be rolled up and carried, not a plate-shaped material, and in this cas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load can be reduced.
  • the explosion-proof plate may be fastened or supported to the tunnel-type structur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Velcro fastening, screw fastening, and self-weight.
  • various lock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or mechanical can be applied.
  • the oper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wirelessly by the handler can also be varied.
  • various device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irectly perforating a tunnel-type structure to form a hole for detec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scent of an explosive or other dangerous element to the detection dog.
  • a ventilation or blower such as an electric fan or a blower fan
  • the incense contained in the air (blow) inside the tunnel-type structure can be moved along the ventilation opening so that a remote detection dog can check it.
  • an alarm when an explosive or other dangerous element is detected, an alarm may be provid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by installing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and a buzzer, it can be operated when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lternatively, an alarm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 mobile device (eg, a smartphone held by a handler) to minimize confusion about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promote covert process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alarm means may be applied, and appropriate means may be used as necessary.
  • FIG.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includes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100 shown in FIG. 1 or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200 as shown in FIG. 9. ) Is assumed.
  • FIG. 13 a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performed in an environment requiring more precise detection is illustrated.
  • the entrance door of the tunnel-type structure is opened (step S300).
  • Target personnel eg, motion winners
  • enter the interior of the tunnel-type structure through an open entrance step S305.
  • the entrance door is closed (step S310), so that the target person is confined.
  • the target personnel moves toward the exit of the tunnel-type structure (step S315).
  • detection of dangerous substances is performed (step S320).
  • the detection may be that the detection dog smells through the detection holes 150 and 250 provided in the tunnel-type structure.
  • it may be a sensing operation using a separat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tunnel-type structure.
  • the exit door is opened (step S325). And the target personnel inside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type structure through the open exit (step S330). Thereafter, the exit door may be closed again (step S335).
  • the alarm device installed in the tunnel-type structure may operate, or an alarm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possessed by an external handler to notify the fact of the abnormality discovery (step S340).
  • FIG. 1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100 shown in FIG. 1 or the tunnel-type structure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200 as shown in FIG. ) Is assumed.
  • FIG. 14 a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in a tunnel-type structure performed in an environment requiring faster detection is illustrated.
  •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are basically open (step S400).
  • Personnel requiring detection may enter the interior of the tunnel-type structure through the entrance (step S405), and may sequentially move toward the exit (step S410).
  • step S415) detection of dangerous substances is performed.
  • the target personnel ma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type structure through the exit (step S420).
  • the alarm device installed in the tunnel-type structure operates or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possessed by an external handler to notify the fact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step S425). Then, the entrance and exit doors are immediately switched to a locked state to close the entrance and exit (step S4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및 양측벽을 가지는 터널형 구조물로서,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내부에 있는 사람(예컨대, 거동수상자) 및 그가 소지한 물건에 대한 냄새를 동물(예컨대, 군견)이 맡을 수 있도록 하는 탐지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터널형 구조물의 입구와 출구에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본 발명은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종교적 갈등 등으로 인한 테러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나 폭발물을 이용한 테러는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장소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사건 발생 시 수많은 인명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사전에 거동수상자를 발견한 경우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위험물질 탐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며, 탐지용 구멍을 통해 혹은 송풍 장치를 통해 탐지견의 후각으로 내부환경(특히, 냄새)을 모니터링하여 거동수상자가 소지한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질을 탐지할 수 있게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쌍으로 일렬 배치되어 양 측벽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격벽 프레임; 및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 격벽 프레임과 상기 입구 도어 및 상기 출구 도어를 통해 만들어지는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위험물질 존부의 탐지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접힌 상태로 보관되며, 구조물 조립시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배치됨으로써 측벽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대 수납홈에 탑재되는 경사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 수납홈은 상기 경사 지지대의 지지점이 되는 상단 걸림단과 하단 걸림단을 포함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 지지대의 지지각도 가변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되, 구조물 조립시에 상기 연결 지지대가 회동하여 타단이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조물의 천장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구조물 조립시에 타단이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된 상기 연결 지지대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상부 방폭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평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 상기 수평 결함홈 내에 상기 수평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방폭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폭판은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방폭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방폭판재 사이공간에 유체 혹은 고체 입자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 중 하나는 탐지견이 후각을 이용하여 구조물 내부환경을 탐지하기 위해 형성된 탐지용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의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직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수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 간에는 상기 수직 결합홈 내에 상기 수직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도어의 후면, 상기 출구 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수직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도어 수직 결합홈 혹은 상기 수직 결합홈에 상응하는 도어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물 내부를 향해서만 회동하는 푸쉬 도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핸들러 단말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원격 제어되는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널형 구조물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되, 외부로 배출된 상기 내기의 냄새로부터 탐지견이 후각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질의 존부를 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천장 및 양측벽을 가지는 터널형 구조물로서, 측벽 중 하나에 형성되어, 구조물 내부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는 탐지용 구멍; 및 상기 구조물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탐지용 구멍을 통해 탐지견이 구조물 내부의 위험물질에 대한 냄새를 맡거나 상기 송풍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상기 내기의 냄새로부터 상기 위험물질의 존부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물 내부를 향해서만 회동하는 푸쉬 도어이거나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핸들러 단말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원격 제어되는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 가능한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위험물질 탐지방법으로서, 상기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 입구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 목표 인원이 입구를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입구 도어가 폐쇄되는 단계; 상기 목표 인원이 상기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통과하는 중에 탐지용 구멍 혹은 송풍 장치를 통해 탐지견이 후각을 이용하여 위험물질에 관한 냄새를 맡는 단계; 및 상기 탐지견의 행동에 따라 위험물질이 탐지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입구 도어 및 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 탐지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며, 탐지용 구멍을 통해 혹은 송풍 장치를 통해 탐지견의 후각으로 내부환경(특히, 냄새)을 모니터링하여 거동수상자가 소지한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질을 탐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의 개념도 및 위험물질 탐지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에 포함되는 격벽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거동수상자가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에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단위 격벽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 및 도어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의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의 개념도 및 위험물질 탐지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100)은 천장 및 양측벽을 가지는 터널형 구조물이다. 어느 하나의 측벽에는 내부에 있는 사람(예컨대, 거동수상자) 및 그가 소지한 물건에 대한 냄새를 동물(예컨대, 군견)이 맡을 수 있도록 하는 탐지용 구멍(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널형 구조물의 입구(102)와 출구(104)에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입구 도어 및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일 방향을 향해서만 회동하는 푸쉬 도어(push door)일 수 있다. 예컨대, 입구 도어는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를 향해서만 회동할 수 있다. 입구 도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아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사람은 자력으로 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출구 도어 역시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를 향해서만 회동하게 할 수 있다. 출구 도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아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사람은 자력으로 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출구 도어는 터널형 구조물의 외부를 향해서도 회동하게 할 수 있고, 그 내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는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외부에서 핸들러(10)가 도어의 개폐를 원격으로 통제할 수 있다.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100)을 이용한 위험물질 탐지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특정 화학물질, 화약, 폭발물 등과 같은 위험물질을 소지하였을 것으로 의심되는 거동수상자를 터널형 구조물로 입장시킨다(①). 거동수상자가 터널형 구조물 내부에 위치하면, 탐지견(예를 들어, 군견)이 탐지용 구멍(150)을 통해 내부 냄새를 맡음으로써 위험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한다(②). 만약 위험물질이 탐지된 경우 탐지견은 미리 훈련된 대로 행동할 수 있다(예컨대, 짖거나 앉는 등의 행동).
외부에 있는 핸들러는 탐지견의 행동(혹은 신호)를 파악하고, 위험물질이 탐지된 경우 터널형 구조물을 통제한다(③). 예를 들어, 탐지용 구멍(150)에 상응하는 덮개가 폐쇄되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잠금으로써 터널형 구조물의 입구(102)와 출구(104)를 봉쇄시키고, 내부에 있는 거동수상자를 진압함(④)으로써 위험물질을 안전하게 입수할 수 있다. 입구(102)와 출구(104)는 전술한 것과 같이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푸쉬 도어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조치 없이도 봉쇄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잠금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핸들러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입구(102) 및 출구(104)의 도어가 폐쇄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거동수상자가 터널형 구조물을 통해 이동하는 사이에 탐지견을 이용하여 화약 혹은 기타 위험물질을 탐지하였을 경우 해당 터널의 양쪽 입구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여 거동수상자를 내부에 가두어 둘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거동수상자가 터널 안에서 위험물을 유폭시킬 경우에는 그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해 터널의 격벽에는 방폭판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에 포함되는 격벽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거동수상자가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에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단위 격벽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 및 도어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200)은 복수의 격벽 프레임(210)을 기본 골격으로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3개씩 2쌍, 총 6개의 격벽 프레임(210)으로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200)이 조립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 격벽 프레임(210)은 힌지 연결된 하부 프레임(211)과 상부 프레임(212)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11)과 상부 프레임(212)은 그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로 조립되기 이전 혹은 구조물로의 사용이 완료된 이후 포개지는 형태로 접어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1)에는 구조물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경사 지지대(213)가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1)에는 경사 지지대(213)를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지지대 수납홈(270)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 지지대(213)가 수납된 상태의 하부 프레임(211)은 평평한 표면을 가짐으로써, 타 격벽 프레임과의 적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2)에는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과의 조립을 위한 연결 지지대(214)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지지대(214)는 그 일단이 상부 프레임(21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터널형 구조물 조립시에 연결 지지대(214)가 회동하여 그 타단이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터널형 구조물의 천장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연결 지지대(214)의 폭 및 길이는 각각 상부 프레임(212)의 폭 및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미조립 상태에서는 연결 지지대(214)가 상부 프레임(212)의 상부에 일자로 접혀 있어 프레임의 일부인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미조립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211)과 상부 프레임(212)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혀진 상태로 있어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용이한 도수 운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200)를 제작함에 있어서, 우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6개의 단위 격벽 프레임(210)을 2열로 배치하여 터널형 구조물의 양 측벽을 구성하게 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단위 격벽 프레임(210)에 대해 상부 프레임(212)을 회동시켜 하부 프레임(211)의 상측에 배치시킨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212)의 회동 방향이 터널형 구조물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되게 함으로써(도 4의 화살표 A 참조), 추후 터널형 구조물의 내측에서의 강한 압력에 대한 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11)의 상면에는 터널형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수평 결합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12)의 하면에도 터널형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수평 결합돌기(252)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결합홈(251)과 수평 결합돌기(25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2)이 회동하여 하부 프레임(211)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 수평 결합홈(251) 내에 수평 결합돌기(252)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212)는 하부 프레임(211)의 상측에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평 결합홈이 상부 프레임(212)의 하면에 형성되고 수평 결합돌기가 하부 프레임(211)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지지대(214)를 90도 회동시켜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경사 지지대(213)를 대각선으로 펴서 하부 프레임(211)을 경사 방향에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사 지지대(213)가 탑재된 지지대 수납홈(270)이 2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필요에 따라 경사 지지대(213)의 지지점을 변경시킴으로써 경사각을 다양하게 가져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경사 지지대(213) 중 어느 하나는 상부 걸림단(271)을 지지점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하부 걸림단(273)을 지지점으로 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버텨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구와 출구측에 도어(220a, 220b)를 고정시킨다. 도어(220a, 220b)의 고정에 의해 단위 격벽 프레임(210)의 상부 프레임(212)과 하부 프레임(211)은 보다 견고하게 상하 방향으로 하나의 평면을 유지하면서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방폭판(240, 241)이 부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8에서는 구조 및 조립 과정의 이해를 위해 방폭판이 없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방폭판이 부착된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8의 조립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방폭판(240, 241)은 모듈러 타입으로 제작 조립되며, 부분 파손된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해 교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부분 파손에 대해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방복판(240, 241)은 필요에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두 장 이상의 방폭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폭판재 사이공간에 물과 같은 유체 혹은 모래와 같은 작은 고체 입자를 주입하여 방호력을 높일 수 있다. 유체 혹은 고체 입자를 방폭판재 사이에 주입하기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주입홀이 단위 격벽 프레임(2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방폭판(230)은 도 8까지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지지대(214)의 측면에 끼움홈이 길게 형성되고, 끼움홈 내에 상부 방폭판(23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격벽 프레임(210)과 도어(220)에 부착되는 방폭판(241, 240)과는 달리 상부 방폭판(230)은 그 부착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함으로써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서 폭발 등과 같은 강한 압력이 발생한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상방으로 그 압력이 향하게 함으로써 폭발 방향을 조절하고 위험물질 탐지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격벽 프레임 중 하나에는 탐지견이 탐지하기 위한 탐지용 구멍(250)이 형성될 수 있다. 탐지용 구멍(250)을 통해 탐지견은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거동수상자가 폭발물을 소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탐지할 수 있게 된다. 탐지용 구멍(250)은 상하 미닫이 창문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필요한 경우에만 개구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탐지용 구멍(250)에는 흡기관 등의 환기 장치가 부착되어 터널형 구조물에 접근하지 않고서도 그 내부 환경(특히, 냄새)을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도어(220a, 220b)는 밀어서 여는 푸쉬 도어일 수 있다. 안쪽에는 문 손잡이가 없어서 열 수 없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어(220a, 220b)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핸들러가 핸들러 단말을 통해 원격에서 잠금/해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구 도어(220a)는 외부면(01)에 푸쉬 손잡이가 있지만 내부면(02)에는 손잡이가 없어서 내부에서 외부로 돌아 나가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출구 도어(220b)의 경우, 내부면(03) 및 외부면(04)에 모두 푸쉬 손잡이가 달려있지만 내부면에 설치된 손잡이(03)의 경우 조작하는 인원(핸들러)이 원격으로 통제를 할 수 있다.
즉, 거동수상자가 터널형 구조물 내부에 있는 경우 출구 도어(220b)는 원격으로 잠겨있어서 벗어날 수 없고, 들어왔던 입구 도어(220a)는 손잡이가 없어 벗어날 수 없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단위 격벽 프레임(210)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측벽을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단위 격벽 프레임(210a)과 제2 단위 격벽 프레임(210b)을 중심으로 단위 격벽 프레임 간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최종 제작되는 터널형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입구측을 전방, 출구측을 후방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 단위 격벽 프레임(210a)의 후방면에는 수직 결합돌기(260)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결합돌기(260)는 하부 프레임(211a)에 형성되는 제1 수직 결합돌기(261)와, 상부 프레임(212a)에 형성되는 제2 수직 결합돌기(26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2a)이 회동하여 하부 프레임(211a) 상에 배치될 때, 제1 수직 결합돌기(261)와 제2 수직 결합돌기(262)는 일직선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제2 단위 격벽 프레임(210b)의 전방면에는 수직 결합홈(265)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음각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결합홈(265)은 하부 프레임(211b)에 형성되는 제1 수직 결합홈(266)과, 상부 프레임(212b)에 형성되는 제2 수직 결합홈(267)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2b)이 회동하여 하부 프레임(212a) 상에 배치될 때, 제1 수직 결합홈(266)과 제2 수직 결합홈(267)은 일직선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직 결합홈(265)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결합돌기(260)가 슬라이딩하여 끼움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직 결합돌기(260)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혹은 원형,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도 12의 (a), (b), (c) 참조). 수직 결합홈(265)은 수직 결합돌기(260)에 상응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내부의 전체 혹은 일부는 개구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직 결합홈(265)에 끼움 결합된 수직 결합돌기(260)는 좁은 폭을 가지는 개구로 인해 분리가 방지되고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격벽 프레임 사이의 체결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이 펼쳐지기 이전 혹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이 펼쳐진 이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220)가 부착되는 경우, 전방 도어(220a)의 후면에는 수직 결합홈에 상응하는 도어 수직 결합돌기(263)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도어(220a)가 최전방에 배치된 단위 격벽 프레임의 전방면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도어(220b)의 전면에는 수직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도어 수직 결합홈(미도시)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음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도어(220b)가 최후방에 배치된 단위 격벽 프레임의 후방면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격벽 프레임에 대해 후방면에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전방면에 수직 결합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방면에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후방면에 수직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전방 도어의 후면에는 도어 수직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방 도어의 전면에는 도어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단위 격벽 프레임은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직 결합홈이 형성된 규격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표준화 및 규격화가 가능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는 제1 단위 격벽 프레임(210a)과 제2 단위 격벽 프레임(210b)은 어느 하나에 고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쇠가 형성되어, 고리에 걸림쇠가 걸림 방식으로 체결되어 두 프레임 사이의 분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예시에 따른 단위 격벽 프레임 사이의 체결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이 펼쳐지기 이전 혹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이 펼쳐진 이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200)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한 구조물로 구현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영구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구조물은 방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바, 폭풍에 대한 방호가 되도록 해당 구조물의 소재 및 두께 등은 예를 들어 일정 규모 이상의 TNT를 포함하는 화약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되는 규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설치에 요구되는 모든 부품 및 구성요소들은 일체화하여 간편한 도수 운반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탐지견을 통제하는 1명의 핸들러와, 장비를 조립 및 설치하는 1명의 작업자만이 요구되어, 2인이라는 최소 운용 인원으로 위험물질 탐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터널 길이가 연장된 규모로 시공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터널형 구조물이 바닥에 지지되는 방식은 자중을 이용하는 방식 혹은 지주핀을 이용한 결속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설치되는 공간의 성격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방폭판의 소재 및 두께는 방호하고자 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활용하는 방폭판에 따라 터널형 구조물 전체의 규격 및 구성, 형상과 소재 등이 다양해질 수 있다. 일례로 방폭판은 판형의 소재가 아닌 말아서 휴대가 가능한 롤(Roll) 타입의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이 경우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지고 하중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방폭판은 벨크로 체결 혹은 나사 체결, 자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터널형 구조물에 체결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는 도어의 개폐 구조로는 전자식, 혹은 기계식 등 다양한 잠금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핸들러가 무선으로 도어의 개폐를 통제하는 조작 방법 역시 다양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폭발물 혹은 기타 위험요소의 향을 탐지견에게 전달하기 위해 터널형 구조물에 직접 타공하여 탐지용 구멍을 형성시키는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풍기 혹은 블로워팬 등과 같은 환기,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터널형 구조물 내부의 공기(내기)에 포함된 향을 송풍구를 따라 이동시켜 원격의 탐지견이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폭발물 혹은 기타 위험요소가 탐지되었을 경우 다양한 수단을 통한 알람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광등 및 버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여 위험물질 탐지 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한 혼란을 최소화하고 은밀한 처리를 도모하도록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핸들러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를 대상으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알람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100) 혹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200)에 설치된 상태를 가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보다 정밀한 탐지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터널형 구조물의 입구 도어가 개방된다(단계 S300).
탐지가 요구되는 목표 인원(예컨대, 거동수상자)은 개방된 입구를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로 진입한다(단계 S305).
목표 인원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입구 도어가 폐쇄되어(단계 S310) 목표 인원이 감금된 상태가 된다.
목표 인원은 터널형 구조물의 출구를 향해 이동한다(단계 S315).
이동 과정에서 위험물질에 대한 탐지가 수행된다(단계 S320). 탐지는 터널형 구조물에 마련된 탐지용 구멍(150, 250)을 통해 탐지견이 냄새를 맡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센서를 이용한 센싱 동작일 수도 있다.
탐지 결과 위험물질이 탐지되지 않아 이상이 없음이 감지되면, 출구 도어가 개방된다(단계 S325). 그리고 내부의 목표 인원은 개방된 출구를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단계 S330). 이후 출구 도어는 다시 폐쇄될 수 있다(단계 S335).
탐지 결과 위험물질이 탐지된 경우(이상 발견), 입구 도어 및 출구 도어는 모두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후처리가 이루어진다. 터널형 구조물에 설치된 알람 장치가 작동하거나 외부의 핸들러가 소지한 단말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이상 발견에 관한 사실을 알릴 수 있다(단계 S340).
이 경우 추가 인원을 동원하거나 위압, 무력을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목표 인원이 소지한 위험물질을 탐색하고 확보하여 제거할 수 있다(단계 S345).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 역시 도 1에 도시된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100) 혹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200)에 설치된 상태를 가정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보다 신속한 탐지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터널형 구조물에서의 위험물질 탐지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터널형 구조물의 경우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가 기본적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다(단계 S400).
탐지가 요구되는 인원은 입구를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로 진입하며(단계 S405), 순차적으로 출구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단계 S410).
이동 과정에서 위험물질에 대한 탐지가 수행된다(단계 S415).
위험물질이 탐지되지 않으면, 해당 목표 인원은 출구를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단계 S420).
하지만, 위험물질이 탐지된 경우, 터널형 구조물에 설치된 알람 장치가 작동하거나 외부의 핸들러가 소지한 단말로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이상 발견에 관한 사실을 알릴 수 있다(단계 S425). 그리고 즉시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함께 잠금 상태로 전환시켜 입구 및 출구를 폐쇄시킨다(단계 S430).
이러한 입구와 출구의 동시 폐쇄에 의해 위험물질을 소지한 인원은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감금되며, 이후 미리 지정된 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인원을 동원하거나 위압, 무력을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에 있는 목표 인원이 소지한 위험물질을 탐색하고 확보하여 제거할 수 있다(단계 S435).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2쌍으로 일렬 배치되어 양 측벽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격벽 프레임; 및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 격벽 프레임과 상기 입구 도어 및 상기 출구 도어를 통해 만들어지는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위험물질 존부의 탐지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접힌 상태로 보관되며, 구조물 조립시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배치됨으로써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대 수납홈에 탑재되는 경사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 수납홈은 상기 경사 지지대의 지지점이 되는 상단 걸림단과 하단 걸림단을 포함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 지지대의 지지각도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되,
    구조물 조립시에 상기 연결 지지대가 회동하여 타단이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조물의 천장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구조물 조립시에 타단이 마주보는 타 단위 격벽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된 상기 연결 지지대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상부 방폭판을 더 포함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평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평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 상기 수평 결함홈 내에 상기 수평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방폭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판은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방폭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방폭판재 사이공간에 유체 혹은 고체 입자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 중 하나는 탐지견이 후각을 이용하여 구조물 내부환경을 탐지하기 위해 형성된 탐지용 구멍을 포함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의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직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수직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 간에는 상기 수직 결합홈 내에 상기 수직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도어의 후면, 상기 출구 도어의 전면에는 상기 수직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도어 수직 결합홈 혹은 상기 수직 결합홈에 상응하는 도어 수직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격벽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물 내부를 향해서만 회동하는 푸쉬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핸들러 단말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원격 제어되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구조물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되,
    외부로 배출된 상기 내기의 냄새로부터 탐지견이 후각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질의 존부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5. 천장 및 양측벽을 가지는 터널형 구조물로서,
    측벽 중 하나에 형성되어, 구조물 내부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는 탐지용 구멍; 및
    상기 구조물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탐지용 구멍을 통해 탐지견이 구조물 내부의 위험물질에 대한 냄새를 맡거나 상기 송풍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상기 내기의 냄새로부터 상기 위험물질의 존부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입구 도어와 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물 내부를 향해서만 회동하는 푸쉬 도어이거나
    상기 입구 도어와 상기 출구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핸들러 단말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원격 제어되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17. 조립 가능한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위험물질 탐지방법으로서,
    상기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조립하는 단계;
    입구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
    목표 인원이 입구를 통해 터널형 구조물의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입구 도어가 폐쇄되는 단계;
    상기 목표 인원이 상기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을 통과하는 중에 탐지용 구멍 혹은 송풍 장치를 통해 탐지견이 후각을 이용하여 위험물질에 관한 냄새를 맡는 단계; 및
    상기 탐지견의 행동에 따라 위험물질이 탐지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입구 도어 및 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 탐지방법.
PCT/KR2020/004088 2019-03-27 2020-03-26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WO20201972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4815 2019-03-27
KR10-2019-0034815 2019-03-27
KR10-2020-0036245 2020-03-25
KR1020200036245A KR20200115290A (ko) 2019-03-27 2020-03-25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273A1 true WO2020197273A1 (ko) 2020-10-01

Family

ID=7261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088 WO2020197273A1 (ko) 2019-03-27 2020-03-26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9727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272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케이티 감시 통로를 이용한 범죄 방지용 방범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32791A (ja) * 2004-11-02 2006-05-25 Sankyo Frontier Co Ltd 耐砲弾パネル
KR101536816B1 (ko) * 2013-09-12 2015-07-15 장재성 차폐 통로를 이용한 보안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31531A1 (en) * 2014-05-13 2018-02-01 Aeroflot Russian Airlines Method for detecting exlosive devises and other target substan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272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케이티 감시 통로를 이용한 범죄 방지용 방범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32791A (ja) * 2004-11-02 2006-05-25 Sankyo Frontier Co Ltd 耐砲弾パネル
KR101536816B1 (ko) * 2013-09-12 2015-07-15 장재성 차폐 통로를 이용한 보안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31531A1 (en) * 2014-05-13 2018-02-01 Aeroflot Russian Airlines Method for detecting exlosive devises and other target subst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339B2 (en) Transportable security portal for screening potential terrorists
WO2015037772A1 (ko) 차폐 통로를 이용한 보안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6129919A1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EP3303715B1 (en) Expandable safe room
US20080106368A1 (en) Secure storage facility
US20100304658A1 (en) Mobile laboratory for analysis of pathogenic agents
WO2014158003A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WO2020197273A1 (ko)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WO2013157714A1 (ko) 지하주차장 소방용 방화댐퍼 겸용 팬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EP3445927B1 (en) System for allowing buildings evacuation in case of earthquak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20200115290A (ko) 터널형 위험물질 탐지용 구조물
WO2019225864A1 (ko) 완전 개방식 비상 도어
WO2018101602A1 (ko)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WO2018182362A1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US20040182006A1 (en) Releasable window guard
WO20180536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target molecules
US20040075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restricted places
CN212562662U (zh) 一种模块化消防主题应急安全培训体验馆
CN104389491B (zh) 检修孔隔离设备
WO2010059009A2 (ko) 웰빙친화적 도어
WO2019086755A1 (en) Technics unit and method of providing a building structure
RU82496U1 (ru) Комплекс инженерно-технической защиты охраняемого объекта
KR101232317B1 (ko) 방문자 위치 확인이 용이한 초인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78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78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