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22322A1 - 자석을 이용하여 세척이 쉬운 텀블러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하여 세척이 쉬운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22322A1
WO2020122322A1 PCT/KR2019/002817 KR2019002817W WO2020122322A1 WO 2020122322 A1 WO2020122322 A1 WO 2020122322A1 KR 2019002817 W KR2019002817 W KR 2019002817W WO 2020122322 A1 WO2020122322 A1 WO 20201223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p
inner cup
tumbler
handle
out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8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진유
Original Assignee
최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유 filed Critical 최진유
Publication of WO20201223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223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designed to be easy to clean using a magnet and an inner cup.
  • the tumb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using a removable inner cup and a magnet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out of the inner cup when drinking beverages.
  • the inner cup When cleaning, the inner cup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up, so hygienic cleaning is possible.
  • a tumbler refers to a large cup with a flat bottom, and is a cup having a double cup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store and drink large amounts of beverages.
  • the tumbler has a higher height than a normal cup or mug, and has a high container closure property, making it difficult to wash by hand. Due to this problem,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using a brush when washing the tumbler.
  • the tumbler can separate the inner cup from the outer cup and use a magnet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spilling out of the inner cup when drinking beverage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n improved tumbler.
  • the general tumbler has a high height, so it is difficult to directly wash it, and an instrument must be used when washing, and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washing state when washing.
  •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existing problem because the inner cup and the magnet can be directly washed by separating the inner cup.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cup and is characterized by attaching/containing a magnet or iron material to the inner cup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out due to movement of the inner cup at the bottom.
  • the inner cup can be made separately, and when the inner cup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up, the inner cup is also separated, so it is easy to clea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kes it easy to clean the outer cup by making a hole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 Figure 1 is a sectional view of a tumbler with a handle
  •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each part of a tumbler with a handle
  • Figure 3 is a tumbler cross section when removing the handle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example of use to remove the inner cup from the outer cup after removing the handle
  • Figure 5 is a sectional view of a tumbler without a handle
  •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of each part of the tumbler without a handle
  • Figure 7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to separate the inner cup by pushing the inner cup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example of use for removing the inner cup from the outer cup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mbler when the inner cup is separated
  • Figure 10 is an exploded view of each part of the tumbler with the inner cup separated
  • Figure 11 is a tumbler cross section when removing the handle
  •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of removing the inner cup from the outer cup after removing the handle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removing the inner cup and the lower inner cup from the outer cup after removing the handle.
  • the inner cup and outer cup are used in combination, and when cleaning, the inner cup and outer cup are used separately.
  • the handle,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usually used in combination, such as when drinking, storing or transporting beverages.
  •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separated by removing the handle, so that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can be washed separately, and it is possible to wash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together without removing the handle.
  •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usually used in combination, such as when drinking, storing or transporting beverages.
  •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can be separated and washed separately, and it is also possible to wash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together.
  • the tumb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cup constituting the outside of the cup, an outer cup hole to allow the liquid of the outer cup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bottom of the inner cup, and the bottom inner cup magnet surface with a magnet or iron material attached/contained.
  • the bottom inner cup and the magnet or iron material are attached/contained, and when attached to the outer cup's magnetic surface, the bottom inner cup is pulled through the magnet surface to prevent the liquid from leaking. If the handle is not used, attach/contain a magnet or iron material to the outer cup to pull the inner cup.
  • the outer cup, inner cup, and handle may have a circular sha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tumbler, but of course, they can be manufactured in other shapes except the circular shape. Als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tumbler, it is common to make the upper end wide and the lower end narrow, but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in other forms when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so that the liquid can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up.
  • the position where the magnet passes between the handle and the inner cup or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s not necessarily consistent with the drawings and can be manufactured in other forms, and the shape of the handle is also not necessarily consistent with the drawings and can be manufactured in other forms.
  • the outer cup and inner cup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up when combined, and the inner cup is fixed to the outer cup through the magnet of the inner cup and the handle, or the inner cup and outer cup, and when drinking or transporting the beverage in the tumbler, the outer cup or inner cup And prevents the combination of the handles from being damaged and prevents the beverage from flowing out of the inner cup.
  • the magnetism of the bottom inner cup magnet face and handle or inner cup magnet face and outer cup magnet face should be strong so that the combination shape of the outer cup and inner cup is not damaged even if the tumbler is placed upside down, and also when the tumbler was placed on the iron floor, the tumbler was lifted.
  • the magnetism between the lower iron object and the handle, the inner cup magnet face, and the outer cup magnet face should be weaker than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handle or the outer cup magnet face and the inner cup magnet face so as not to damage the outer cup and inner cup.
  • the outer cup, upper inner cup, and lower inner cup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up when combined, and the bottom through the magnet between the bottom inner cup magnet face and the handle, or the bottom inner cup magnet face and the outer cup.
  • the lower inner cup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inner cup and outer cup, and the upper inner cup can als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up since the lower inner cup is separated. Easy to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분리가능한 내컵과 자석을 이용하여 외컵과 내컵을 고정시켜 외컵과 내컵의 결합형태를 유지하여 음료 음용시 음료의 유출이 없도록 하고, 세척시에는 내컵을 외컵에서 분리할 수 있어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0.04.2019] 자석을 이용하여 세척이 쉬운 텀블러
본 발명은 자석과 내컵을 활용하여 세척이 쉽도록 고안한 텀블러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의 텀블러는 분리가능한 내컵과 자석을 이용하여 외컵과 내컵을 고정시켜 음료 음용시 내컵 외부로 음료가 새지 않게 한다.
세척시에는 내컵을 외컵과 분리할 수 있어 위생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 다량의 음료 등을 담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이중컵 구조를 갖는 컵이다.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머그컵 등에 비해 높이가 높고 용기의 폐쇄성이 높아 직접 손을 이용하여 세척을 하기 어렵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일반적으로 텀블러 세척시 솔을 이용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상기의 텀블러는 내컵을 외컵과 분리하고 자석을 이용하여 음료 음용시 내컵 외로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개선된 형태의 텀블러라 할 수 있다.
상기한것과 같이 일반적인 텀블러는 높이가 높아 직접 세척이 어렵고, 세척시에는 기구를 사용해야 하며 세척시 세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내컵과 자석을 이용해 내컵을 분리하여 직접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컵이 있으며 하단의 내컵이 움직여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컵에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가 있는 경우 손잡이에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여 내컵과 손잡이 사이에 자성을 발생시켜 음용시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손잡이가 없는 경우에는 대신 외컵에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여 외컵과 내컵 사이에 자성을 발생시켜 음료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내컵은 분리하여 만들수 있고, 내컵을 외컵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내컵도 분리되기 때문에 세척을 쉽게 할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컵의 하단에 구멍을 내어 외컵의 세척을 손쉽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텀블러 세척시 일반적인 텀블러보다 손쉬운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텀블러 사용이 가능하다.
도면 1은 손잡이가 있는 텀블러의 단면도
도면 2는 손잡이가 있는 텀블러의 각 부분별 분해도
도면 3은 손잡이 분리시 텀블러 단면도
도면 4는 손잡이 분리 후 내컵을 외컵에서 제거하는 사용 예시 단면도
도면 5는 손잡이가 없는 텀블러의 단면도
도면 6은 손잡이가 없는 텀블러의 각 부분별 분해도
도면 7은 내컵을 밀어서 외컵에서 분리하는 예시 단면도
도면 8은 내컵을 외컵에서 제거하는 사용 예시 단면도
도면 9는 내컵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텀블러의 단면도
도면 10는 내컵이 분리된 텀블러의 각 부분별 분해도
도면 11는 손잡이 분리시 텀블러 단면도
도면 12는 손잡이 분리 후 하단 내컵을 외컵에서 제거하는 사용 예시 단면도
도면 13은 손잡이 분리 후 하단 내컵과 상단 내컵을 외컵에서 제거하는 사용 예시 단면도
평소에는 내컵 및 외컵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세척시에는 내컵과 외컵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손잡이가 있는 텀블러의 경우 음용시, 음료 보관시 또는 운반시 등 평소에는 손잡이와 내컵 및 외컵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세척시에는 손잡이를 분리하면 내컵과 외컵이 분리되므로 내컵과 외컵을 따로 세척할 수 있고, 손잡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컵과 외컵을 같이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가 없는 텀블러의 경우 음용시, 음료 보관시 또는 운반시 등 평소에는 내컵 및 외컵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세척시에는 내컵과 외컵을 분리하여 따로 세척할 수 있고, 내컵과 외컵을 같이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텀블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도면의 각 부분은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텀블러는 컵의 외부를 구성하고 있는 외컵, 외컵의 액체가 쉽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외컵 구멍, 내컵 중 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한 하단 내컵 자석면이 있는 하단 내컵, 그리고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고 있어 외컵의 자석면에 부착시 하단 내컵 자석면을 통해 하단 내컵을 당겨주어 액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컵에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여 내컵을 당겨주도록 한다.
상기 외컵, 내컵 및 손잡이는 일반적인 텀블러의 특성상 원형을 이루고 있을 수 있으나, 원형을 제외한 다른 형태로 제작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일반적인 텀블러의 특성상 상단부는 넓게 하단부는 좁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 또한 본 발명의 특성을 활용하는 경우 다른 형태로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사용의 편의상 외컵 하단에 구멍을 내서 액체가 외컵의 외부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고안하였으나, 손잡이와 내컵, 또는 외컵과 내컵과의 자성이 통하는 경우 구멍을 내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제작 가능하며, 손잡이와 내컵, 또는 외컵과 내컵간 자성이 통하는 위치도 반드시 도면과 일치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제작 가능하고, 손잡이의 형태 또한 반드시 도면과 일치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외컵, 내컵은 결합시 음료가 내컵의 외부로 새지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내컵과 손잡이, 또는 내컵과 외컵의 자성을 통해 내컵을 외컵에 고정시켜 텀블러 내의 음료를 음용시 또는 운반시 외컵, 내컵 및 손잡이의 결합형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의 내컵 외로의 유출을 방지한다.
하단 내컵 자석면과 손잡이 또는 내컵 자셕면과 외컵 자석면과의 자성은 텀블러를 거꾸로 세우더라도 외컵과 내컵의 결합형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강력해야 하고, 또한 철로 된 바닥에 텀블러를 놓았을때 텀블러를 들었을 경우 외컵, 내컵의 결합형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아래쪽 철제물건과 손잡이, 내컵 자석면, 외컵 자석면간의 자성은 손잡이 또는 외컵 자석면과 내컵 자석면간의 자성보다 약해야 한다.
손잡이를 외컵에서 분리시 손잡이와 내컵 자석면간의 자성이 소멸하므로 내컵을 외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세척이 가능하다.
손잡이가 없는 경우 내컵을 외컵 밖으로 밀면 내컵 자석면과 외컵 자석면간 자성이 소멸하므로 내컵을 외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내컵이 둘 이상으로 분리된 경우 외컵, 상단 내컵 및 하단 내컵은 결합시 음료가 내컵의 외부로 새지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하단 내컵 자석면과 손잡이, 또는 하단 내컵 자석면과 외컵 사이의 자성을 통해 하단 내컵을 고정시켜 텀블러 내의 음료를 음용시 또는 운반시 외컵, 상단 내컵 및 하단 내컵의 결합형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의 내컵 외로의 유출을 방지한다.
손잡이와 하단 내컵 자석면, 또는 외컵과 하단 내컵 자석면간의 자성이 소멸하면 하단 내컵을 상단 내컵과 외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단 내컵 또한 결합을 유지하고 있는 하단 내컵이 분리되었으므로 외컵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세척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를 기울인 상태에서 내컵을 외컵으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외컵 내부에 액체가 접촉하는 일은 드물것이나, 외컵 내부에 액체가 접촉되어 외컵 내부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외컵 구멍을 통해 세척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다.
세척후에는 다시 외컵에 내컵 및 손잡이를 결합하여 본래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자석을 이용하여 내컵을 외컵과 분리 및 결합 할 수 있는 텀블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컵에 자석 또는 철제 소재가 부착/함유하고, 손잡이에도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여 외컵, 내컵 및 손잡이 결합시 내컵과 손잡이간 자성을 발생시켜 텀블러 내의 음료를 음용시 또는 운반시 외컵 및 내컵의 결합형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가 내컵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텀블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컵을 외컵에서 분리시 외컵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외컵의 바닥면에 구멍을 내어 세척수가 쉽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고안한 텀블러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컵에 자석 또는 철제 소재가 부착/함유하고, 외컵에도 자석 또는 철제 소재를 부착/함유하여 외컵, 내컵 결합시 내컵과 외컵간 자성을 발생시켜 텀블러 내의 음료를 음용시 또는 운반시 외컵 및 내컵의 결합형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 음료가 내컵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텀블러
  5. 청구항 2에 있어서,
    내컵이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손잡이를 본체에서 제거시 외컵과 내컵이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텀블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손잡이를 제거시 하단 내컵과 손잡이간 자성이 소멸하여 내컵이 외컵에서 분리될 수 있는 텀블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손잡이를 외컵에 부착시 손잡이로 인해 텀블러가 넘어지지 않도록 바닥을 움푹하게 만들어 자력이 손잡이와 내컵 사이에 발생하도록 하는 텀블러
PCT/KR2019/002817 2018-12-13 2019-03-11 자석을 이용하여 세척이 쉬운 텀블러 WO20201223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1399 2018-12-13
KR10-2018-0161399 2018-12-13
KR10-2019-0024455 2019-03-02
KR20190024455 2019-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322A1 true WO2020122322A1 (ko) 2020-06-18

Family

ID=7107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817 WO2020122322A1 (ko) 2018-12-13 2019-03-11 자석을 이용하여 세척이 쉬운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223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764A (en) * 1967-07-24 1968-09-03 Herbert W. Rigor Medicine bottle
US20120199641A1 (en) * 2010-01-21 2012-08-09 Hsieh Albert Heat-insulating paper cup
US8251247B1 (en) * 2009-05-26 2012-08-28 Breckner Jason J Thermal holder for container
KR20150074605A (ko) * 2013-12-24 2015-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텀블러
KR20150099366A (ko) * 2014-02-21 2015-08-31 채진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온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764A (en) * 1967-07-24 1968-09-03 Herbert W. Rigor Medicine bottle
US8251247B1 (en) * 2009-05-26 2012-08-28 Breckner Jason J Thermal holder for container
US20120199641A1 (en) * 2010-01-21 2012-08-09 Hsieh Albert Heat-insulating paper cup
KR20150074605A (ko) * 2013-12-24 2015-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텀블러
KR20150099366A (ko) * 2014-02-21 2015-08-31 채진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온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99608A1 (en) Highchair tray cover system with magnetically attachable objects
US6398060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cookware
TWM405420U (en) beverages cup lid
US9963267B2 (en) Elastomeric band for removably attaching a bottle to a vertical surface
US20150173413A1 (en) Food and beverage apparatus
WO2020122322A1 (ko) 자석을 이용하여 세척이 쉬운 텀블러
US20160002844A1 (en) Hygienic Laundry Basket
CN108891770A (zh) 一种设有上嘴唇避位凹陷的饮料杯杯盖
KR101968816B1 (ko) 기능성 차 우림 물병
KR200488910Y1 (ko) 손잡이편의 부착기능이 개선된 티백
CN105686557A (zh) 便携环保杯
CN112386109A (zh) 可携式的浸泡装置
CN205285833U (zh) 一种多功能简易杯
US11058248B2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container including a fragile inner container
CN210204310U (zh) 一种抗摔能力较强的商务水杯
CN212912651U (zh) 一种新型水杯
CN105877370A (zh) 一种茶杯
FI124396B (fi) Haudutin
CN211511546U (zh) 一种两用式勺子
KR200488450Y1 (ko) 위생 및 보관 식별이 용이한 수저세트
KR200358522Y1 (ko) 스푼이 부착된 종이컵
CN210989515U (zh) 一种杯口液体隔离环
KR200474935Y1 (ko) 다용도 컵 뚜껑
CN209202706U (zh) 一种可拆卸的陶瓷壶承
WO2019054842A1 (ko) 계류화 보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97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97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