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16809A1 -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 Google Patents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16809A1
WO2020116809A1 PCT/KR2019/015490 KR2019015490W WO2020116809A1 WO 2020116809 A1 WO2020116809 A1 WO 2020116809A1 KR 2019015490 W KR2019015490 W KR 2019015490W WO 2020116809 A1 WO2020116809 A1 WO 20201168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printing pen
printing
multicolor mold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54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웅
Original Assignee
지니코딩에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니코딩에듀(주) filed Critical 지니코딩에듀(주)
Publication of WO20201168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68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to enable 3D printing of various colors using one 3D printing pen.
  • 3D printing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technology that creates a three-dimensional shape.
  • the basic principle is to inject a raw material such as liquid plastic through a nozzle and cure it, to produce a desired shape by lamination.
  • 3D printers using this principle have been known in the prior art, but 3D printers implement a form by programming, and must use a computer to create programming and drawings, and take into accoun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n a flat scree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eneral user could not easily access.
  • the basic principle of the 3D printing pen is a form similar to a commonly used glue gun.
  • the thermoplastic resin inserted at the back is su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nozzle, and the thermoplastic resin gels by hea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to realize various colored moldings without replacing various colored thermoplastic resins. .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3D printing pen: Body;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input portion is a plurality of thermoplastic resin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put portion, the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thermoplastic resin supplied from the injection portion;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t is installed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portion execu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scharge of the thermoplastic resin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parts provided between the input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accommodating the thermoplastic res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of a nozzle and an injection por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jection port is movably moved to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 the injection port is moved by an electric motor.
  • the input part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for the supply of the thermoplastic resin.
  • th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input unit is further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accommodate various colors of thermoplastic resin in one 3D printing pen, so that a user can realize various colors in realizing a molding, but does not need to exchange the thermoplastic resin, so the 3D printing pen Realization of sculptures using can be made very efficiently.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upply speed of the thermoplastic resin to be controlled, so that a stable supply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various environments is possible, and also a wide range of expressions can be expres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molding, and the speed of implementation of the molding can be adjusted.
  • thermoplastic resins of various colors troubles are frequently caused by separation and bonding, and failure occurs frequently due to an overload on a device generated by separation bonding. Since color can be realized, the stability of the equipment is enhanced.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omposition of a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moto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to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D printing pen capable of multicolor molding includes a body part 100, an input part 200, a discharge part 300, an execution part 400, and a receiving part (as shown in FIG. 1). 500).
  • Body 100 is a configuration that serves to be provided with other components to be provided therein, it is formed to a thickness sufficient to be held by a user in one hand,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 Various components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 display port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indicate temperature and power supply status implemented by the 3D printing pe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not shown) is a general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input par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put part 20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thermoplastic resin (A)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100 from the outside.
  • a plurality of thermoplastic resins (A) having various colors should be used in one 3D printing pen.
  • the number of the input unit 200 may be provided proportionally.
  • the input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210 to insert the thermoplastic resin (A) into the body portion 100, and to be fed back to the discharge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2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wheel 211 in contact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A), and the driving wheel 211 may be provided with a driven wheel 21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 thermoplastic resin (A) is inserted between the driving wheel (211) and the driven wheel (213), so that when the driving wheel (211) rotates by rotation of the motor (210), the thermoplastic resin (A) moves to one side.
  •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10 may be adjusted by the adjusting unit 230.
  • the adjustment unit 23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so that the user can adjust.
  •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10 using the principle of vary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210 as th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 unit 230 using the variable resistance can be adjusted.
  • the 3D printing pen is a device that implements a molding by laminating a thermoplastic resin (A) flowing out from the nozzle 310 of the discharge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mount discharged from the nozzle 310 is easy to form. Since it becomes an element to measure, the user can appropriately adjust it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motor 210 by the adjusting unit 230 to facilitate the work.
  • a plurality of motors 210 may be provided.
  • Discharge portion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put portion 200, after the thermoplastic resin (A) supplied from the input portion 200 penetrates the body portion 100 It can play a role of letting it discharge.
  • the discharge part 300 may be composed of a nozzle 310 and an injection hole 330, the nozzle 310 being the most advanced part of the 3D printing pen, and the supplied thermoplastic resin (A) is defined by the nozzle 310 It is discharged in a certain amount and thickness at the location, so users can easily perform 3D printing.
  • the nozzle 310 may be provided in a form having a cylindrical tip of a general ball pen (Ball pen), a plurality of thermoplastic resin (A) supplied from the inlet 330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end of the nozzle 310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paths therein so that it can be supplied.
  • a general ball pen Ball pen
  • thermoplastic resin (A) supplied from the inlet 330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end of the nozzle 310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paths therein so that it can be supplied.
  • a method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ne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330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nozzle 310 may also be applied.
  • the injection port 330 is in the form of a hol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thermoplastic resin (A) is injected into the nozzle 310, and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Can move variably.
  • the injection hole 330 may also move in a sliding mann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see FIG. 2).
  • a sliding plate having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eceiving portion 5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enter by forming a sliding plate having a hole-free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plate having the center hole , when a sliding plate having a hole corresponds to one receiving portion 500, a method of configuring the rest of the receiving portion 500 to be closed by a sliding plate without a hole may be considered.
  • the injection hole 330 is rolled accordingly
  • the shape of the injection port 330 can be variably arranged in any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hermoplastic resins (A) are arranged.
  • thermoplastic resin (A)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3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3D printing pen by moving to the end of the nozzle 310 through a passage that may be formed inside the nozzle 310.
  • the execution part 40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may be provided in a button type that is pressed and enclosed by a user.
  • the execution unit 4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unit 300, and since the 3D printing pe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en as described above, discharg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of gripping it.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be pressed by the user's thumb or index finger on the side close to the portion 300.
  • thermoplastic resin (A) thermoplastic resin
  • the execution unit 400 may be implemented in a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electric method, by controlling whether the motor 210 is driven while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tor 210 described above by the pressure of the execution unit 400.
  • the thermoplastic resin (A) can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portion 300 side.
  • thermoplastic resin (A) is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input part 200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300, and thus penetrates the body part 100.
  • thermoplastic resin (A) Since the thermoplastic resin (A) is melted by thermal energy to produce a molded object, a thermal energy source exists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by the enclosed spac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temperature may rise.
  • thermoplastic resin (A) may cause thermal damage in which unintended melting occurs, and may result in a decrease in 3D printing qua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500 and the thermoplastic resin (A) is a receiving part Thermal damage is minimized by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500).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3D printing pen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3D프린팅 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3D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가 투입되어 그 중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배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본 발명은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3D프린팅 펜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3D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3차원적인 형상을 만들어내는 기술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액상 플라스틱 등의 원료를 노즐을 통해 사출하고 이를 경화시키되, 적층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3D 프린터가 종래에 알려져 있지만, 3D 프린터는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형태를 구현해내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및 도면을 작성하여야 하며, 평면의 화면상에서 3차원의 형상을 고려하여야 하는 점이 있어 일반적인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프로그래밍 과정이 없이도 사용자가 생각하는 형상을 바로 구현해낼 수 있는 장치로써, 단순한 조형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형상을 구현하는 중간에도 쉽게 사용자가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3D프린팅 펜이 고안되었다.
3D프린팅 펜의 기본적인 원리는 흔히 사용되는 글루건(Glue gun)과 유사한 형태로써, 펜(Pen)의 형태로 구성된 제품에서 후방에 삽입된 열가소성 수지가 전방 노즐 방향으로 공급되며, 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가 겔(Gel) 형태로 변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겔 형태인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하고, 외기에 의해 냉각이 되면 그 형태가 경화에 의해 완성되는 원리이다.
그러나, 종래의 3D프린팅 펜은 하나의 펜에서는 하나의 색만 구현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투명 또는 흰색인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형성한 다음에 별도의 페인팅 작업을 하거나, 매작업시마다 색이 가미된 열가소성 수지를 교환하여 3D프린팅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색의 열가소성 수지를 교체하지 않고도, 다양한 색의 조형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D프린팅 펜에 있어서 : 몸체부 ;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복수의 투입부 ;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부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상기 투 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배출되는 토출부 ;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부에 근접한 측에 설치되어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배출 여부가 결정되는 실행부 ; 및 상기 투입부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수용되 는 복수의 수용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노즐과 주입구로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가변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을 위한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 구비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3D프린팅 작업이 별다른 프로그래밍 작업이나 도면의 작성이 없이도 간단하게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드로잉하는 방식으로 조형물을 구현해낼 수 있어 매우 간단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3D프린텡 펜에 여러가지 색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형물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되, 열가소성 수지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3D프린팅 펜을 이용한 조형물의 구현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이 가능하고, 또한 조형물의 구성에 있어서도 폭넓은 표현이 가능하며, 조형물 구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다양한 색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분리하고 결합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분리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에의 과부하로 인하여 고장의 발생이 잦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한번의 결합으로도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장비의 안정성이 강화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 프린팅 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의 구 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구성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 프린팅 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구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투입부(200), 토출부(300), 실행부(400) 및 수용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부(100)를 살펴본다.
몸체부(100)는 후술할 다른 구성들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한손에 잡을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되,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의 외부에는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3D프린팅 펜에 의해 구현되는 온도와 전원 공급 여부 상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의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투입부(200)를 살펴본다.
투입부(2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되, 후술할 토출부(300)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투입부(200)는 외부로부터 열가소성 수지(A)가 몸체부(100) 내부로 삽입되는 통로로써,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을 가진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A)가 하나의 3D프린팅 펜에서 사용되어야 하므로, 투입부(200)의 수도 그에 비례하게 구비될 수 있다.
투입부(200)에는 열가소성 수지(A)가 몸체부(100) 내부로 삽입되고, 다시 후술할 토출부(300)로 송급되게 하는 모터(21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210)의 구동축에는 열가소성 수지(A)와 접촉하는 구동륜(211)이 구비되어 있고, 구동륜(211)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동륜(213)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륜(211)과 종동륜(213)의 사이에는 열가소성 수지(A)가 삽입됨으로써, 모터(210)의 회전에 의해 구동륜(211)이 회전하면 열가소성 수지(A)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210)는 조절부(230)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부(230)는 몸체부(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조절부(230)의 위치 이동에 따라 가변저항의 값이 변동함에 따라 모터(210)에 가해지는 전류의 세기를 달리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모터(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모터(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A)의 투입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3D프린팅 펜은 후술할 토출부(300)의 노즐(310)부터 유출되는 열가소성 수지(A)의 적층에 의해 조형물을 구현하는 장치이므로, 노즐(310)로부터 유출되는 양이 조형물 형성하는데 있어 그 용이성을 가늠하게 되는 요소가 되므로, 조절부(230)에 의해 모터(21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하게 이를 조절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가변저항에 의하여 모터(210)의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원리는 종래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200)의 수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므로, 모터(210)의 수도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륜(211)과 모터(210)의 구동축의 접촉과 분리를 클러치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모터(210)에 의하여 토출되도록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A)의 투입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토출부(300)를 살펴본다.
토출부(3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되 투입부(200)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투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A)가 몸체부(100)를 관통한 후에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출부(300)는 노즐(310)과 주입구(33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노즐(310)은 3D프린팅 펜의 가장 첨단부로서,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A)가 노즐(310)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일정한 양과 두께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3D프린팅 작업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노즐(310)은 일반적인 볼펜(Ball pen)의 원통형 끝을 가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되, 후술할 주입구(33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A)가 노즐(310)의 끝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경로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노즐(310) 내부에 별개의 통로를 형성하는 방법 외에도, 주입구(330)와 연결되어 있고 노즐(310)의 끝과 연결되는 하나의 통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주입구(330)는 노즐(310)에 열가소성 수지(A)가 투입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홀의 형태이되, 본 발명의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A)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투입부(200)로부터 토출부(300)의 방향을 몸체부(100)의 종방향으로 정의하는 경우, 몸체부(100)에 횡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A)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입구(330)도 몸체부(100)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중심에 후술할 수용부(5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홀을 가지는 슬라이딩판이 구비되고, 중심의 홀을 가진 슬라이딩 판의 양 옆에는 홀이 없는 면을 가진 슬라이딩 판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수용부(500)에 홀을 가진 슬라이딩 판이 대응되면, 그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부(500)는 홀이 없는 슬라이딩 판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A)가 몸체부(100)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원형방향에 일정 각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주입구(330)는 이에 따라 롤링 방식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목적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주입구(330)의 형태는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A)가 배치된 형태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도 가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입구(330)를 통하여 투입되는 열가소성 수지(A)는 노즐(3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통로를 통하여 노즐(310)의 끝으로 이동하여 3D프린팅 펜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행부(400)를 살펴본다.
실행부(400)는 몸체부(100)의 외면에 구비되되,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함입되는 버튼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행부(400)는 상기 토출부(300)에 근접한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D프린팅 펜이 상술한 바와 같이 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면 토출부(300)에 근접한 측에 사용자의 엄지 또는 검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3D프린팅 펜은 토출부(300)로 열가소성 수지(A)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면서 이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조형물을 구현하므로, 작업 과정 중에는 실행부(40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야 할 수 있다.
실행부(400)는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전기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실행부(400)의 가압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상술한 모터(210)에 전달되면서 모터(210)의 구동 여부를 조절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A)가 토출부(300) 측으로 송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용부(500)를 살펴본다.
열가소성 수지(A)는 상술한 투입부(200)로 삽입되어 토출부(300)로 배출되게 되는 바, 상기 몸체부(100)를 관통하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A)는 열에너지에 의해 용융이 되어, 조형물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몸체부(100) 내부에는 열에너지원이 존재하게 되고, 그 외에도 밀폐된 공간 및 외부의 환경에 의해 몸체부(100) 내부가 일정 온도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열가소성 수지(A)에 불측의 용융이 이루어지는 열적 데미지를 입힐 수 있어, 3D프린팅 품질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수용부(500)를 구비하고 열가소성 수지(A)는 수용부(50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열적 데미지를 최소화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3차원적인 형상을 만들어내는 3D프린팅 펜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3D프린팅 펜에 있어서 :
    몸체부 ;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복수의 투입부 ;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부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상기 투 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배출되는 토출부 ;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부에 근접한 측에 설치되어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배출 여부가 결정되는 실행부 ; 및
    상기 투입부와 상기 토출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수용되 는 복수의 수용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노즐과 주입구로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가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 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공급을 위한 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 구비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PCT/KR2019/015490 2018-12-05 2019-11-14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WO20201168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93A KR20200071860A (ko) 2018-12-05 2018-12-05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KR10-2018-0155093 2018-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09A1 true WO2020116809A1 (ko) 2020-06-11

Family

ID=7097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5490 WO2020116809A1 (ko) 2018-12-05 2019-11-14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1860A (ko)
WO (1) WO2020116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47B1 (ko) 2020-12-18 2021-11-09 주식회사 매드벤처 3d 프린팅 펜을 이용한 그리기 도구
CN112936860A (zh) * 2021-03-29 2021-06-11 江苏浩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染色结构的3d打印笔及其换色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326305U (zh) * 2016-02-05 2016-06-22 厦门三维天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笔
KR20160099368A (ko) * 2015-02-12 2016-08-22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의 멀티 출력방법 및 장치
KR101673234B1 (ko) * 2015-09-21 2016-11-07 주식회사 카이디어 웜기어를 구비한 3d 노즐 및 이를 이용한 3d pen 또는 3d 프린터
KR101887928B1 (ko) * 2016-06-10 2018-09-0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프린터 헤드, 3차원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팅 펜
US20180281281A1 (en) * 2017-04-01 2018-10-04 Fangli XIE 3D p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027B1 (ko) 2015-10-06 2017-04-06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3d 프린팅 펜용 잉크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펜
KR101906585B1 (ko) 2017-04-12 2018-10-10 이정진 전기회로 제작용 3d 프린팅 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368A (ko) * 2015-02-12 2016-08-22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의 멀티 출력방법 및 장치
KR101673234B1 (ko) * 2015-09-21 2016-11-07 주식회사 카이디어 웜기어를 구비한 3d 노즐 및 이를 이용한 3d pen 또는 3d 프린터
CN205326305U (zh) * 2016-02-05 2016-06-22 厦门三维天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笔
KR101887928B1 (ko) * 2016-06-10 2018-09-0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프린터 헤드, 3차원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팅 펜
US20180281281A1 (en) * 2017-04-01 2018-10-04 Fangli XIE 3D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60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6809A1 (ko) 다색 성형이 가능한 3d프린팅 펜
WO2015199355A1 (ko) 프로그래밍 가능한 결합형 블록장치
WO2022205637A1 (zh) 一种带有染色结构的3d打印笔及其换色方法
WO2022045533A1 (ko) 여러 가지 색상 표현이 가능한 3d 펜
WO2018199534A1 (ko) 4d 프린팅 장치
CN107322923B (zh) 串色、混色一体式彩色3d打印机
CN103341975A (zh) 3d打印笔
WO2016072549A1 (ko) 가변노즐헤드가 구비되는 3d프린터 및 그 작동방법
CN103946027A (zh) 一种喷墨打印装置及打印方法
WO2020091368A1 (ko) 다중 노즐 3d 프린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삼차원 바이오 프린팅 방법
CN105365221A (zh) 高速往复式彩色3d打印机
WO2022205636A1 (zh) 一种3d打印笔及其使用方法
WO2018097694A1 (ko) 이종 소재 융복합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이종 소재 융복합 인쇄물 출력 방법
CN211542398U (zh) 一种固液材料结合式双喷头3d打印机
CN215151854U (zh) 一种带有染色结构的3d打印笔
CN215396945U (zh) 一种用于3d打印笔的染色组件及具有其的3d打印笔
CN207474897U (zh) 夹具
WO2023163487A1 (ko) 회전식 인쇄 헤드를 가진 3d 바이오 프린터
CN108621425A (zh) 一种多角度喷头的便携式3d打印笔
CN215396919U (zh) 一种带有染色控制单元的3d打印笔
CN214726534U (zh) 一种带有着色单元的3d打印笔
KR20240060623A (ko) 기록 도구
CN214726521U (zh) 一种3d打印笔
Borelli Kinematic and dynamic analysis of a machine for additive manufacturing
Jensen et al. ECPlotter: A Toolkit for Rapid Prototyping of Electrochromic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93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930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