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1327A1 -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 Google Patents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91327A1
WO2020091327A1 PCT/KR2019/014240 KR2019014240W WO2020091327A1 WO 2020091327 A1 WO2020091327 A1 WO 2020091327A1 KR 2019014240 W KR2019014240 W KR 2019014240W WO 2020091327 A1 WO2020091327 A1 WO 20200913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nnel
infection
quarantine
suspected
quarantin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2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구현본
박정준
곽종원
곽임종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7/288,94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46547B2/en
Publication of WO20200913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913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3Detecting or evaluating cough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9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unnel having a quarantine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infection is detected through an image of a person passing through the tunnel structure, and a quarantine function for suppress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n the future-leading convergence research team project titled “New Virus Infection Response Convergence Solution (Detailed Title_Development of smart construction materials and tunnel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KRICT) (project research period 2017. 08. 01 to 2018. 07. 31) ".
  • an immigration facility such as an airport or a port
  • multiple facilities such as a hospital that requires management measures to prevent the influx of infection and prevent spread of infections
  • the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person exposed to the risk of infection through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infected person or the infected person (action such as tracking, retrieval, sequestration, etc.) It aims to provide technology.
  • a smart tunnel having a tunnel structure composed of a quarantine section and a quarantine section, which can perform quarantine and quarantine functions at all times.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infectious disease is introduced while the passer passes through the tunnel structure, and the information of the passer who is determined to be infected and the person who is exposed to the risk of infection (candidate for infection) is promptly shared. You can grasp it. Therefor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tak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y taking rapid management measures for infected and suspected infection candidates.
  • the smart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rm of a tunnel structure, it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suspected or suspected infected populations.
  • the smart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terilize and purify an infectious source that may be present in the tunnel structure due to breathing, coughing, etc. of the infected per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mart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nd 3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 quarantine section> and ⁇ the quarantine section> forming the smart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re separated, respectively.
  •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unnel structure constituting a tunnel module in a quarantine section in the smart tunnel of FIG. 1.
  • FIG.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s C-C of FIG. 4 for a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 FIG. 6 is a schematic transverse half-section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arrows A-A in FIG. 5;
  • FIG. 7 is a schematic lateral half-section perspective view along arrow B-B of FIG. 5;
  •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and 10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 quarantine section> and ⁇ the quarantine section> constituting the smart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are separated.
  • the ⁇ quarantine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unnel structures through which a single passer passes is installed, and all or part of a plurality of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s are connected to a ⁇ quarantin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r passes.
  • a smart tunnel in which ⁇ a quarantine section> in which a tunnel structure through which each passer-by passes through is installed is sequentially formed.
  •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detects a suspected infection by detecting an abnormal state (fever, etc.), an abnormal behavior (cough, collapse, abnormal gait, etc.) of a passenger through a thermal image and a visible light image.
  • an abnormal state fever, etc.
  • an abnormal behavior cough, collapse, abnormal gait, etc.
  • a "intelligent infection always-on detection system” is provided for recognizing and detecting the faces of passers-by, who are determined to be suspected of being infected.
  •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collects and manag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infected person's constant detection system and suspects of infection (if necessary, including those who have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suspicious person or group of people (suspected candidates for infection))
  • a "Infectious Integrated Control System” is provided to provide real-time warning and notification of suspected infections and information related to suspected infections (abnormal status and behavior information, fa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dministrators by secu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tunnel module collects (separates and concentrates) the infectious agents (bacteria, viruses, etc.) that are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breathing and coughing of the infected person by inhaling the air in the tunnel structure and measuring the type and quantity System "is provided.
  • infectious agents bacteria, viruses, etc.
  • the quarantine In the tunnel module of the quarantine section, antibacterial and antiviral performance finishing materials are applied to members and facilities in the tunnel structure,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tibacterial and antiviral performance is installed.
  • the quarantine In the tunnel module of the quarantine section, the quarantine is always carried out when the infection source (bacteria, virus, etc.) discharged from the infected person into the air reaches the finishing material applied or passes through the installed air conditioning system.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mart tun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mart tun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quarantine section and a quarantin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sec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trance through which the passenger enters the smart tunnel 100 becomes a quarantine section.
  • From the quarantine section to the exit of the smart tunnel 100 is a quarantine section.
  • 2 and 3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quarantine section and the quarantine section of the smart tun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the quarantine sec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s 1 through which a single passer passes is installed.
  • a "determination of suspicion of inf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abnormal state (fever, etc.) of the passer, abnormal behavior (cough, collapse, abnormal walking, etc.).
  • an "infection source col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o collect infection source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emitted from the infected person.
  • the quarantine section is a space through which all the passers-by pass by connecting all or part of the tunnel module 1 in a plurality of quarantine sections.
  • the quarantine section is equipped with anti-bacterial and anti-viral materials and materials, and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ir-conditioning systems. Therefore, in the quarantine section, members and facilities inside the tunnel structure and air in the tunnel structure are sterilized and purified.
  • the smart tunnel 100 is equipped with an "intelligent infection always-on detection system".
  • the intelligent always-on infection system uses thermal images and visible light images to determine whether a passer-by is a suspected infection, and recognizes and detects faces of suspected infected persons.
  • the smart tunnel 100 is equipped with an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system”.
  • the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system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infection always-on detection system.
  •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infected persons secures the identity information of suspected infections, and sends information to suspected infection suspec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suspected infections (information on abnormal status and abnormal behavior, face and identity information) to smartphones, tablets, PCs, etc. Real-time transmiss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 the smart tunnel 100 is equipped with an "infection source collection system”.
  • the infectious agent collection system collects an infectious agent discharged from an infected person's breathing and cough, measures the type and amount, determines whether an infectious disease is introduced, and grasps the type of the infectious disease.
  •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is composed of a tunnel structure in which a passage is formed. 1 to 3, a plurality of tunnel structures are installed side by side to form a quarantine section.
  •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unnel structure constituting the tunnel module 1 of the quarantine section in the smart tunnel 100 shown in FIG. 1.
  • 5 show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arrow C-C of FIG. 4 for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 6 is a schematic lateral half-section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rrows A-A of FIG. 5.
  • FIG. 7 shows a schematic transverse half-section perspective view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IG. 6, ie along arrow B-B in FIG. 5.
  • the intelligent infected person constant detection system includes a thermal imaging camera 10 and a visible light camera 11, and a readout control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 the thermal imaging camera 10 and the visible light camera 11 are installed inside the tunnel struc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s 1.
  • the thermal imaging camera 10 and the visible light camera 11 respectively take a passer-by to obtain a thermal image and a visible light image of the passer-by.
  • the acquired image is sent to the reading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hermal imaging camera and visible light camera via wired / wireless analysis to detect and detect anomalies (fever, etc.) and abnormal behaviors (cough, collapse, abnormal gait, etc.). .
  • anomalies fever, etc.
  • abnormal behaviors cough, collapse, abnormal gait, etc.
  • tunnel pedestrians showing abnormal conditions or acting abnormally from the acquired thermal image and visible light image are detected as suspected infections.
  • the reading control device extracts and acquires the face image of the suspected infected person.
  • the readout control device transmits the acquired face image of the suspected infection to the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system".
  • the face image of the suspicious person may be transmitted along with other necessary images of the suspicious person (thermal imaging image and visible light image captured for the suspicious person).
  • the "Infectious Integrated Control System” collects and stores the information acquired and transmitted by the "intelligent infection always-on detection system” from the plurality of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s (1).
  • the “Infectious Integrated Control System” acquires the identity information (name, address, etc.) of the suspected infection, so that the suspected infection appears to the administrator, the identity of the suspected infection,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spected infection (abnormal condition) And behavior information, face information, etc.) in real time to provide warning and notification.
  • the "Infected person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es a data receiving storage unit that collects and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 the "Infectious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es an image contrast extraction unit that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uspected infection in contrast to data already having a face image of the suspected infection.
  • the “Infectious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es an alert notification unit that transmits notification of the appearance of suspected infec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uspected infec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 the data receiving / storage unit receives a face image of a suspected infection and other images of the suspected infection (thermal imaging image and visible light image taken of the suspected infection) from the "intelligent infection always-on detection system".
  • the data receiving and storing unit classifies, organizes, and stores the thermal image and the visible light image taken for the suspected infection.
  • the image contrast extraction unit uses a known image processing process, etc., and compares the face image of the suspected infection with the data in the person database ("People DB"), which is already secured, to find a person who matches the suspected infection. Identity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is extracted. The extracted information becomes "identity information of suspected infection”.
  • the person DB used in the video contrast extraction unit may be owned by the administrator, or may be owned by an external institution such as a government office.
  • the alert notification unit will notify the manager of the suspected infection.
  •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also transmits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suspected infec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such as a smartphone, tablet, and PC.
  •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may transmit other relevant information of the suspected infection, such as face image, abnormal state information, and abnormal behavior information of the suspected infection, together with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suspected infec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 a know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s a data receiving storage unit and a warning notification unit can be used.
  • the image contrast extra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running on a computer.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quarantine management for suspected infection candidates.
  • the face image received from the "Intelligent Infected Always Detection System” for suspected infections is compared with the person DB to secure identity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administrator.
  • the "infection source collection system” provided in the smart tunnel 100 sucks air in the quarantine section.
  • the infectious agent collection system collects and concentrates the infectious agents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that is, bacteria, viruses, etc. discharged through the breathing and coughing of the infected person.
  • the infectious agent collection system determines whether an infectious disease has been introduced by examining the type of the infected source that has been separated and concentrated, and grasps what kind of infectious disease has been introduced.
  • the "infection source collection system” is provided with an infection source collection device 15 installed in the tunnel structure of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 a collection suction port 1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structure of each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so that air inside the tunnel structure can be sucked into the infection source collection device 15. It is.
  • the collection suction port 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ection source collection device 15.
  • the infectious agent collecting device 15 collects, isolates, and concentrates the infectious agents present in the inhaled air, and examines the type of the separated and concentrated infectious agents. The infectious agent collecting device 15 determines what kind of infectious disease is introduced based on the test resul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ectious disease is introduced.
  • an air jet port 1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structure of the tunnel module 1 of the quarantine section.
  • the air injection port 17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device 18.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tunnel structure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18 and the air injection port 17.
  • a collection suction port 16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ection source collection device 15 was form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structure.
  • An air jet port 17 is formed on the inner opposite side of the tunnel structure facing the collection suction port 16.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port 17.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port 17 is passed through a passer-by and then sucked into the collection suction port 16.
  • the time required to inhale and collect the infectious agent in the infectious agent collecting device 15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nhalation and collection of the infectious agent, thereby improv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diagnosing infectious diseases.
  • the air injection port 17 may be formed on the ceiling portion inside the tunnel structure of the tunnel module 1 of the quarantine section, and the collection suction port 16 may be formed on one side, both sides, or the bottom of the interior.
  • the air intake port 17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unnel structure of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and the collection intake port 16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the bottom of the inside.
  • the inner tunnel structure 12 and a plurality of inner tunnel structures 1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inner tunnel structure 12 It has a configuration of a double tunnel having an outer tunnel structure 13 to be wrapped.
  • the infection source collecting device 15 and the air supply device 18 and pipes communicating therewith can be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tunnel structures 12 and 13. Therefor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iciently arrange various equipment necessary for the ⁇ quarantine section> in the tunnel structure is exhibited.
  • the air supply device 18 is shown in the form of a pipe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air supply device 18 may be different from this.
  • a ⁇ quarantine section> is formed from the quarantine section to the exit continuously.
  • ⁇ Discharge section> is composed of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which is composed of a tunnel structure having one tunnel space type.
  •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2 has a space for passers-by who have passed the quarantine section.
  • the entrance of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is connected to the exit of the tunnel module 1 of the quarantine section. Therefore, the passers who individually passed through each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pass through the quarantine section together in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2.
  • a plurality of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s 2 may be provided so that each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2 is connected to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 ⁇ Interpretation Sec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regular quarantine work” is performed to sterilize and purify the members (facilities, viruses, etc.) that may exist in the tunnel structure, members, and air.
  • the surface is formed of a finishing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performance against members, facilities, etc. in the tunnel structure of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 An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performance is installed in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 the source of infection (bacteria, virus, etc.) discharged into the air from the infected person touches the finishing material applied in the tunnel structure of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or passes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provided in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 the air conditioning system provided in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 An air curtai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and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2 to make the ⁇ quarantine section> and ⁇ the quarantine section> more clearly distinguishable.
  • the tunnel structure constituting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and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2 h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a rectangle and a linear shape of the tunnel structure, but the shape is limited to this. Does not work.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 tun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respectively show a smart tun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quarantine section and the quarantine section is shown. 8 to 10, the inner tunnel structure 12 of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in the smart tunnel 100 may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n outer tunnel structure portion having one elliptic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may be formed in a double tunnel shape that surrounds the entire plurality of inner tunnel structure portions 12 having an elliptical cross-s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a shape having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elliptical cross-section of the outer tunnel structure.
  •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of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and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2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rectangle and an oval.
  • the linearity of the smart tunnel may also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a curved line as well as a straight lin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a copper wire at an installation site.
  • the smart tun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moved in multiple facilities such as an immigration facility, such as an airport or a port, which is an inflow path of an overseas infectious disease, or a hospital, which requires active management measures to prevent and prevent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
  • the smart tun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suspected or suspected infections by us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 structure.
  • the tunnel module 1 quickly grasps whether the tunnel passer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or enters an arbitrary facility or region while the passer passes through the tunnel structure.
  • the quarantine section tunnel module 1 maintains quarantine to enable initial response to prevent the secondary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y managing the identity information of suspected groups of infected persons who have direct and indirect contact with the infected person.
  • the anti-bacterial and anti-viral performance finishing materials and air-conditioning systems provided in the tunnel module 2 of the quarantine section of the smart tunnel 100 provide constant protection against infectious agents (bacteria, viruses, etc.) discharged into the air from an infected pers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stablish a regular quarantine and quarantine system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facilities such as airports, ports, and hospit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ocial anxiety and economic loss, etc.,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due to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broa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core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national safety net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을 가지는 터널구조체로 이루어져서, 감염병 유입 여부를 판정하는 검역기능과,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방역 기능을 상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터널이다.

Description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본 발명은 터널구조체를 통과하는 자의 영상을 통해서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검역기능과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하는 방역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터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미래선도형 융합연구단사업 중에서 과제명 "신종 바이러스 감염 대응 융합 솔루션 개발 (세부과제명_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스마트 건설자재 및 터널 개발)(과제고유번호 CRC-16-01-KRICT)(과제연구기간 2017. 08. 01 부터 2018. 07. 31)"이라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은 것이다.
공항, 항만 등의 출입국 시설을 통해서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입국자로 인하여 각종 해외 감염병이 국내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병원 등에서는 감염자와의 직ㆍ간접적 접촉으로 인하여 감염병이 제3자에게 확산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해외로부터의 입국자를 통해서 해외 감염병이 국내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입국자의 발열 여부를 감지하는 간단한 열화상 카메라를 출입국 시설에 설치하여 열화상을 통해서 감염자의 입국을 감시하였다.
그러나 입국자가 감염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감염자로 판정된 후 감염자를 추적하고 격리하는 데에도 상당 시간이 소요되어 감염병 확산 방지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감염자가 지나간 공간에 대한 소독도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감염자가 지나간 공간을 비감염자가 무방비로 통과하게 되어 추가적인 감염자 발생 및 감염병 확산 우려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항, 항만 등의 출입국 시설이나, 감염병의 유입 차단, 확산 방지를 위한 관리 조치가 필요한 병원 등의 다중 시설에서, 신속하게 감염자의 출현 여부, 감염병의 유입 여부를 판정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관리주체에게 제공함으로써 감염자 또는 감염자와의 직,간접적 접촉을 통해 감염 위험에 노출된 인원 등에 대한 관리(추적, 색출, 격리 등의 조치), 감염병 유입에 따른 신속하고 적절한 초기 대응 등이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염자와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는 비감염자의 감염 위험을 저감시켜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으로 이루어진 터널구조체를 구비하여, 검역기능과 방역기능을 상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터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행자가 터널구조체를 통과하는 동안에 감염병 유입 여부를 판정하고, 감염자로 판정된 통행자 및 그와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여 감염 위험에 노출된 자(감염 의심 후보군)의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감염자 및 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한 빠른 관리 조치를 취함으로써, 감염병의 확산 방지를 위한 효율적인 대책을 신속하게 강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은, 터널구조체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염 의심자 또는 감염 의심 군집 인원의 동선(動線)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은, 감염자의 호흡, 기침 등으로 인하여 터널구조체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감염원을 효과적으로 살균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을 이루는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터널에서 검역구간 터널모듈을 이루는 터널구조체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 5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에 대한 도 4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화살표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을 이루는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통행자가 통행하는 방향인 종방향으로, 통행자 1인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터널구조체가 설치된 <검역구간>과, 복수개의 검역구간 터널모듈 모두 또는 일부를 연결하여 <검역구간>을 통과한 각각의 통행자들이 함께 통행하게 되는 터널구조체가 설치된 <방역구간>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 터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에서, 검역구간 터널모듈에는, 열화상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통해서 통행자의 이상 상태(발열 등), 이상 행동(기침, 쓰러짐, 비정상적 보행 등) 등을 감지하여 감염 의심 여부를 판별하고 감염 의심자로 판별된 통행자의 얼굴 등을 인식ㆍ검출하는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이 구비된다.
검역구간 터널모듈에는,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집ㆍ관리하고 감염 의심자(필요한 경우에는 감염 의심자와 직ㆍ간접적 접촉 등을 가진 자 또는 군집 인원(감염 의심 후보군) 포함)의 신원 정보를 확보하여 관리자에게 감염 의심자 출현 사실과 감염 의심자 관련 정보(이상 상태 및 행동 정보, 얼굴 및 신원 정보)를 실시간 경고ㆍ통지하는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이 구비된다.
검역구간 터널모듈에는, 터널구조체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감염자의 호흡, 기침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감염원(세균, 바이러스 등)을 포집(분리ㆍ농축)하고 그 종류와 양을 측정하는 "감염원 포집 시스템"이 구비된다.
방역구간 터널모듈에는, 터널구조체 내 부재, 시설 등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마감재를 적용하고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다. 방역구간 터널모듈에서는, 감염자로부터 공기 중으로 배출된 감염원(세균, 바이러스 등)이 적용된 마감재에 닿거나, 설치된 공조 시스템을 통과할 때 사멸되어 상시 방역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통행자가 통행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수평면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100)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100)은 종방향으로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으로 구분된다. 통행자가 스마트 터널(100)로 들어오는 입구에서부터 소정 길이의 구간은 검역구간이 된다. 검역구간 후로부터 스마트 터널(100)의 출구까지는 방역구간이 된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100)을 이루는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을 분리시켜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터널(100)에서, 검역구간은 통행자 1인이 통과하게 되는 검역구간 터널모듈(1)이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각각의 검역구간 터널모듈(1)에서는 통행자가 통과하는 동안에 통행자의 이상 상태(발열 등), 이상 행동(기침, 쓰러짐, 비정상적 보행 등) 등에 기초한 "감염 의심 여부 판별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행자가 검역구간 터널모듈(1)을 통과하는 동안에 감염자로부터 배출되는 세균, 바이러스 등의 감염원을 포집하는 "감염원 포집 작업"이 이루어진다. 방역구간은 복수개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결하여 이를 지나온 각각의 통행자들이 함께 통행하게 되는 공간이다. 방역구간에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재료 및 자재,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공조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방역구간에서는 터널구조체 내부의 부재 및 시설, 터널구조체 내의 공기를 살균ㆍ정화한다.
스마트 터널(100)에는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은, 열화상 및 가시광(可視光) 영상을 이용하여 통행자가 감염 의심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감염 의심자로 판별된 자의 얼굴 등을 인식ㆍ검출한다. 스마트 터널(100)에는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를 확보하여 관리자에게 감염 의심자 출현 사실과 감염 의심자 관련 정보(이상 상태 및 이상 행동에 대한 정보, 얼굴 및 신원 정보)를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관리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한다. 스마트 터널(100)에는 "감염원 포집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감염원 포집 시스템은, 감염자의 호흡, 기침 등으로 배출되는 감염원을 포집하고 그 종류와 양을 측정하여 감염병의 유입여부를 판정하고 유입된 감염병의 종류를 파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검역구간 터널모듈(1)은 통행로가 형성되어 있는 터널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는 터널구조체가 나란하게 복수개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써 검역구간을 형성하고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터널(100)에서 검역구간 터널모듈(1)을 이루는 터널구조체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검역구간 터널모듈(1)에 대한 도 4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화살표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과 반대쪽 방향 즉, 도 5의 화살표 B-B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은, 열화상 카메라(10) 및 가시광 카메라(11), 그리고 판독제어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열화상 카메라(10)와 가시광 카메라(11)는 복수개의 검역구간 터널모듈(1) 각각의 터널구조체 내부에 설치된다. 열화상 카메라(10)와 가시광 카메라(11)는 각각 통행자를 촬영하여 통행자에 대한 열화상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 취득된 영상은 열화상 카메라 및 가시광 카메라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판독제어 장치로 보내어져 분석됨으로써, 통행자의 이상 상태(발열 등) 및 이상 행동(기침, 쓰러짐, 비정상적 보행 등) 등을 감지ㆍ검출하게 된다. 취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감염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감염 의심자를 색출하며, 색출된 감염 의심자의 얼굴 등을 인식ㆍ검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판독제어 장치에서는, 취득된 열화상 영상과 가시광 영상으로부터 이상 상태를 보이거나 이상 행동을 하는 터널 보행자를 감염 의심자로 색출하게 된다. 판독제어 장치에서는 색출된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을 발췌ㆍ취득하게 된다. 판독제어 장치는 취득한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을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필요에 따라서는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과 함께 해당 감염 의심자에 대한 기타 필요 영상(감염 의심자에 대해 촬영한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도 함께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감염병에 대한 더욱 철저한 검역 및 방역을 위하여, "감염 의심자와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직ㆍ간접적 경로를 통한 감염 위험에 노출된 자 또는 군집 인원"(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한 관리가 수행되도록,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에서는 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한 얼굴 영상도 발췌ㆍ취득하여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전송할 수도 있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이 복수의 검역구간 터널모듈(1)에서 각각 취득하여 전달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이름, 주소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자에게 감염 의심자 출현 사실과 해당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 그리고 기타 해당 감염 의심자 관련 정보(이상 상태 및 행동 정보, 얼굴 정보 등)를 실시간 제공하여 경고ㆍ통지하게 된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수신한 정보를 수집ㆍ저장하는 데이터 수신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수신한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을 이미 확보하고 있는 데이터와 대비하여 해당 감염 의심자에 대한 신원 정보를 입수하는 영상 대비추출 유닛을 포함한다.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감염 의심자의 출현 사실 통지 및 입수된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를 관리자의 관리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고통지 유닛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저장 유닛은,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 및 해당 감염 의심자에 대한 기타 영상(감염 의심자에 대해 촬영한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을 전송받는다. 데이터 수신저장 유닛에서는 전송받은 감염 의심자에 대해 촬영한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을 분류, 정리하고 저장한다.
영상 대비추출 유닛에서는 공지의 영상 처리 프로세스 등을 이용하여,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을, 이미 확보하고 있던 인물데이터베이스("인물DB")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감염 의심자와 일치하는 인물을 찾아내고 해당 인물에 대한 신원 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정보는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가 된다. 영상 대비추출 유닛에서 이용하는 인물DB는 관리자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지만, 관공서 등과 같은 외부의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경고통지 유닛은 감염 의심자의 출현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하게 된다. 경고통지 유닛은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도 함께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관리자의 관리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경고통지 유닛은 해당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 이상 상태 정보, 이상 행동 정보 등과 같은 감염 의심자의 기타 관련 정보를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와 함께 관리자의 관리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중 플랫폼 지원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저장 유닛과 경고통지 유닛으로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공지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영상 대비추출 유닛은 컴퓨터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해서도 검역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중 플랫폼 지원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에서는 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해서도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얼굴 영상을 인물DB와 대비하여 신원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스마트 터널(100)에 구비되는 "감염원 포집 시스템"은, 검역구간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감염원 포집 시스템은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감염원 즉, 감염자의 호흡, 기침 등을 통해서 배출되는 세균, 바이러스 등을 포집하여 분리ㆍ농축한다. 감염원 포집 시스템은 분리ㆍ농축된 감염원의 종류를 검사함으로써 감염병이 유입되었는지를 판정하고 어떠한 종류의 감염병이 유입되었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감염원 포집 시스템"에는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터널구조체에 설치된 감염원 포집장치(15)가 구비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각각의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터널구조체 내부면에는, 터널구조체 내부의 공기를 감염원 포집장치(15)로 흡입할 수 있도록 포집 흡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포집 흡입구(16)는 감염원 포집장치(15)와 연통되어 있다.
검역구간 터널모듈(1)을 감염자가 통행하는 동안에 검역구간 터널모듈(1) 내부의 공기는 감염원 포집장치(15)로 흡입된다. 감염원 포집장치(15)에서는 흡입된 공기에 존재하는 감염원을 포집하여 분리 및 농축하며, 분리ㆍ농축된 감염원의 종류를 검사하게 된다. 감염원 포집장치(15)에서는 검사결과에 기초하여 어떠한 종류의 감염병이 유입되었는지를 판별하고 감염병의 유입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감염원 포집장치(15)로의 공기 흡입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터널구조체 내부면에는 공기 분사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분사구(17)는 공기 공급장치(18)와 연통된다. 공기 공급장치(18)와 공기 분사구(17)를 통해서 터널구조체 내부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감염원 포집장치(15)와 연통되어 있는 포집 흡입구(16)를 터널구조체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하였다. 포집 흡입구(16)와 마주보는 터널구조체의 내부 반대측면에는 공기 분사구(17)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분사구(17)로부터 공기가 분사된다. 공기 분사구(17)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통행자를 거쳐서 지나간 후에 포집 흡입구(16)로 흡입된다. 따라서 감염원 포집장치(15)에서 감염원을 흡입 및 포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감염원의 흡입 및 포집 효율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감염병 감염 여부 진단의 신속성과 효율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공기 분사구(17)의 형성을 생략할 수 있다. 포집 흡입구(16)와 공기 분사구(17)의 형성 위치를 터널구조체의 양측면, 천정부, 바닥부 등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터널구조체 내부의 천정부에 공기 분사구(17)를 형성하고, 내부의 일측면이나 양측면 또는 바닥부에 포집 흡입구(16)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터널 구조체 내부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공기 분사구(17)를 형성하고, 내부의 이와 대향되는 반대측면 또는 내부의 바닥부에 포집 흡입구(1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터널구조체의 경우, 내부 터널구조부(12)와, 상기 내부 터널구조부(12)의 외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내부 터널구조부(12) 전체를 감싸는 외부 터널구조부(13)를 가지는 2중 터널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2중 터널 형태의 터널구조체에서는, 내,외부 터널구조부(12, 13) 사이의 공간에 감염원 포집장치(15) 및 공기 공급장치(18), 그리고 이를 연통시키는 배관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검역구간>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터널구조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편의상 도면에서 공기 공급장치(18)를 관로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공기 공급장치(18)의 형상은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스마트 터널(100)에서, <검역구간>에 연속하여 출구까지는 <방역구간>이 형성된다. <방역구간>은 하나의 터널 공간 형태를 가지는 터널구조체로 이루어진 방역구간 터널모듈(2)로 구성된다. 방역구간 터널모듈(2)은 <검역구간>을 통과한 통행자들이 함께 통행하는 공간을 가진다. 방역구간 터널모듈(2)의 입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출구와 이어져 있다. 따라서 각 검역구간 터널모듈(1)을 개별적으로 통과한 통행자들은 방역구간 터널모듈(2)에서는 함께 <방역구간>을 통과하게 된다. <방역구간>을 형성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방역구간 터널모듈(2)을 구비하여 각각의 방역구간 터널모듈(2)이 검역구간 터널모듈(1)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방역구간>에서는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터널구조체 내의 부재, 시설, 공기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감염원(세균, 바이러스 등)을 살균ㆍ정화시키는 "상시 방역 작업"이 이루어진다. 방역구간 터널모듈(2)의 터널구조체 내의 부재, 시설 등에 대해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마감재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공조 시스템을 방역구간 터널모듈(2)에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게 되면, 감염자로부터 공기 중으로 배출된 감염원(세균, 바이러스 등)이 방역구간 터널모듈(2)의 터널구조체 내에 적용된 마감재에 닿거나 방역구간 터널모듈(2) 내에 구비된 공조 시스템을 통과할 때 사멸되도록 함으로써 상시(常時) 방역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감염자에 해당하지 않은 통행자가 의도하지 않게 감염자와 동일한 시간대에 스마트 터널을 지나가면서 직ㆍ간접적 경로를 통한 감염 위험에 노출되더라도 감염병에 감염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감염병이 전파ㆍ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ㆍ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검역구간 터널모듈(1)과 방역구간 터널모듈(2) 사이에는 에어커튼을 설치하여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이 더욱 명확하게 구분되게 할 수도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검역구간 터널모듈(1) 및 방역구간 터널모듈(2)을 이루는 터널구조체는, 그 종방향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그 선형이 직선형인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100)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터널(100)을 <검역구간>과 <방역구간>으로 분리한 상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스마트 터널(100)에서 검역구간 터널모듈(1)의 내부 터널구조부(12)는 종방향으로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타원형 종방향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외부 터널구조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내부 터널구조부(12) 전체를 감싸는 2중 터널 형태로 <검역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터널구조부의 타원형 단면 형상에 맞추어서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방역구간 터널모듈(2)이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검역구간 터널모듈(1) 및 방역구간 터널모듈(2) 각각의 종방향 단면 형상은 사각형과 타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스마트 터널의 선형 역시 설치 장소 동선(動線)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직선형뿐만 아니라, 곡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100)은, 해외 감염병의 유입 경로인 공항, 항만 등과 같은 출입국 시설이나, 감염병의 유입 차단, 확산 방지를 위한 적극적 관리 조치가 필요한 병원 등의 다중 시설에서 이동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터널(100)은, 터널구조체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해 감염 의심자 또는 감염 의심 군집 인원의 동선(動線) 통제가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터널(100)의 검역구간 터널모듈(1)에서는 통행자가 터널구조체를 통과하는 동안에 터널 통과자의 감염병 감염 여부, 임의 시설이나 지역 등으로의 감염병 유입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한다. 또한 검역구간 터널모듈(1)에서는 감염자를 비롯하여 그와 직ㆍ간접적 접촉 등을 가진 감염 의심 후보군의 신원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감염병의 2차 확산 방지를 위한 초기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상시 검역이 이루어진다.
스마트 터널(100)의 방역구간 터널모듈(2)에 구비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마감재와 공조 시스템에 의하여, 감염자로부터 공기 중으로 배출된 감염원(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상시 방역이 이루어진다.
공항, 항만, 병원 등의 시설에서 감염병의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해 해외 감염병의 유입ㆍ확산으로 인한 국민 안전 위해, 사회 불안과 경제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감염병 관련 국가 안전망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통행자 1인이 통과하는 터널구조체로 이루어진 검역구간 터널모듈이 복수개로 구비된 <검역구간>과, 복수개의 검역구간 터널모듈 모두 또는 일부와 연결되어 <검역구간>을 통과한 통행자들이 함께 통행하게 되는 방역구간 터널모듈로 구성된 <방역구간>이 통행자의 동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검역구간 터널모듈 각각을 통과하는 통행자의 열화상 영상과 가시광 영상에서 통행자의 이상 상태 및 이상 행동을 감지하고 검출함으로써 감염 의심자를 색출하고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을 취득하는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고;
    얼굴 영상이 취득된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를 확보하여, 감염 의심자 출현 사실과, 감염 의심자의 신원 정보와,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감염 의심자의 이상 상태 정보, 이상 행동 정보, 및 얼굴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고;
    복수개 검역구간 터널모듈 각각의 터널구조체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감염자로부터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감염원을 포집하여 감염병의 유입여부를 판정하고 감염병의 종류를 파악하는 "감염원 포집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능형 감염자 상시 감지 시스템"은 감염 의심자와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여 감염위험에 노출된 자 또는 군집 인원을 감염 의심 후보군으로 간주하여 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한 얼굴 영상을 발췌 취득하여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전송하고;
    "감염자 통합 관제 시스템"은, 수신한 정보를 수집,저장하는 데이터 수신저장 유닛과, 수신한 감염 의심자 및 감염 의심 후보군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여 이미 확보하고 있는 데이터와 대비하여, 일치하는 인물을 찾아내고, 찾아낸 해당 인물을 각각 감염 의심자와 감염 의심 후보군으로 간주하여, 해당 감염 의심자 및 감염 의심 후보군에 대한 신원 정보를 입수하는 영상 대비추출 유닛과, 감염 의심자의 출현 사실 통지 및 입수된 감염 의심자와 감염 의심 후보군의 신원 정보를 관리자의 관리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고통지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방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의 부재 및 시설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마감재로 이루어지며;
    방역구간 터널모듈에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공조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어서, 방역구간 터널모듈에서는 터널구조체를 통과하는 감염자로부터 공기 중으로 배출된 감염원이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마감재에 닿거나 또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성능의 공조 시스템을 통과할 때 사멸됨으로써 상시 방역이 이루어지며;
    감염원 포집 시스템은,
    검역구간 터널모듈을 감염자가 통행하는 동안에 검역구간 터널모듈 내부의 공기를,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면에 형성된 포집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에 존재하는 감염원을 포집하여 분리 및 농축하며, 감염원의 종류를 검사하여 감염병의 유입 여부를 판정하고 유입된 감염병의 종류를 판별하는 감염원 포집장치; 및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면에 형성된 공기 분사구를 통해서 공기를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내부로 분사하는 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며;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는, 복수개의 내부 터널구조부와, 상기 복수개의 내부 터널구조부 외부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내부 터널구조부 전체를 감싸고 있는 외부 터널구조부를 가지는 2중 터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감염원 포집장치 및 공기 공급장치는 각각 내,외부 터널구조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널.
  2. 제1항에 있어서,
    지능형 감염 의심자 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검역구간 터널모듈 각각의 터널구조체 내부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열화상 영상을 취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복수개의 검역구간 터널모듈 각각의 터널구조체 내부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가시광 영상을 취득하는 가시광 카메라; 및
    취득된 통행자의 열화상 영상과 가시광 영상에서, 이상 상태를 보이거나 이상 행동을 하는 터널 보행자를 감염 의심자로 색출하고, 색출된 감염 의심자의 얼굴 영상을 발췌ㆍ취득하는 판독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널.
  3. 제1항에 있어서,
    포집 흡입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분사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에서 상기 포집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과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통행자를 지나서 포집 흡입구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널.
  4. 제1항에 있어서,
    포집 흡입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분사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 천정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통행자를 지나서 포집 흡입구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널.
  5. 제1항에 있어서,
    포집 흡입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분사구는 검역구간 터널모듈의 터널구조체 내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통행자를 지나서 포집 흡입구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터널.
PCT/KR2019/014240 2018-10-29 2019-10-28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WO20200913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88,943 US11746547B2 (en) 2018-10-29 2019-10-28 Smart tunnel having regular quarantine and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proliferation of infectious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96 2018-10-29
KR1020180129996A KR101988486B1 (ko) 2018-10-29 2018-10-29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327A1 true WO2020091327A1 (ko) 2020-05-07

Family

ID=6684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240 WO2020091327A1 (ko) 2018-10-29 2019-10-28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46547B2 (ko)
KR (1) KR101988486B1 (ko)
WO (1) WO2020091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72743A1 (en) * 2019-05-20 2020-11-26 Popid, Inc. Face based door entry
KR102251783B1 (ko) * 2019-10-28 2021-05-13 주식회사 칸트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177840B1 (ko) * 2020-02-10 2020-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기능의 항바이러스 공조 모듈 및 시스템
CN111160322A (zh) * 2020-02-17 2020-05-15 赵庆峰 一种智能生物安全防护通道
KR102560847B1 (ko) * 2020-02-24 2023-07-28 김현수 영상기반 얼굴 인식, 건강 체크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82543B1 (ko) 2020-03-16 2020-11-30 장현실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KR102315654B1 (ko) * 2020-04-17 2021-10-22 (주)동서그린 다인용 출입자 소독 및 출입차단 장치
KR102248235B1 (ko) 2020-05-06 2021-05-04 주식회사 에스엠전자 발열자 및 접촉자 이력관리시스템
KR102333490B1 (ko) 2020-05-18 2021-12-01 한국광기술원 이종 이미지 처리 장치
KR102399257B1 (ko) 2020-05-18 2022-05-25 최용섭 발열 체크 겸용 출입단말시스템
EP3912649B1 (de) * 2020-05-19 2023-10-25 SEIWO Technik GmbH Modularer schutzraum sowie durchreiche für einen schutzraum
IT202000012121A1 (it) 2020-05-22 2021-11-22 Ignazio Internicola Sistema e metodo di sanificazione individuale ed ambientale
KR200495261Y1 (ko) * 2020-05-26 2022-04-1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자동 열 검진 및 입체 소독이 가능한 방역 샤워장치
US20210398689A1 (en) * 2020-06-23 2021-12-23 Corsight.Ai Autonomous mapping and monitoring potential infection events
KR102178328B1 (ko) 2020-07-22 2020-11-13 주식회사 티알에스 이동형 발열체크 부스
CN112096124A (zh) * 2020-08-18 2020-12-18 徐晓龙 一种具有隔离防护的疫情防控检测用装配式等候通道
KR102428637B1 (ko) * 2020-08-28 2022-08-02 차형철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341585B1 (ko) * 2020-11-06 2021-12-23 (주)지 메디 복합 공간방역기
CN112681182B (zh) * 2020-12-16 2022-10-18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温度控制人员进出的道闸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2865A (ja) * 2010-08-31 2012-03-15 Osaka Gas Co Ltd ウイルス捕集システム
KR101297693B1 (ko) * 2012-06-13 2013-08-21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방역형 축사
KR20170011266A (ko) * 2015-07-22 2017-02-02 진준태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KR20180098963A (ko) * 2017-02-27 2018-09-05 (주)두업시스템 에어크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0999B1 (en) * 2011-03-28 2016-02-24 Unitech Services Group, Inc. A mobile-monitoring and/or decontamination unit structute
KR101806400B1 (ko) 2015-11-02 2018-01-10 홍미선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2865A (ja) * 2010-08-31 2012-03-15 Osaka Gas Co Ltd ウイルス捕集システム
KR101297693B1 (ko) * 2012-06-13 2013-08-21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방역형 축사
KR20170011266A (ko) * 2015-07-22 2017-02-02 진준태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KR20180098963A (ko) * 2017-02-27 2018-09-05 (주)두업시스템 에어크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king a Diagnosis of New Virus Can Be Confirmed in ''10 minutes", KRICT'S BLOG, 10 January 2017 (2017-01-10),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blog.naver.com/krictblog/22.0907422581> [retrieved on 202001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6547B2 (en) 2023-09-05
KR101988486B1 (ko) 2019-06-12
US20210381264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1327A1 (ko)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Hunter et al. Seroprevalence of severe acute respiratory coronavirus virus 2 (SARS-CoV-2) antibodies among healthcare workers with differing level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tient exposure
US20130130227A1 (en) Infectious Disease Detection System
JP533947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発熱者追跡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KR20180010434A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77840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기능의 항바이러스 공조 모듈 및 시스템
KR20210122005A (ko)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7165892B2 (ja) 病原体情報管理システム、病原体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端末
KR102188124B1 (ko) 열화상 카메라 및 와이파이 기반의 질병 관리 역학 조사 관제 시스템
KR102231505B1 (ko) 열차 역사 내 감염병 의심자의 격리 시스템
Wickramage Airport entry and exit screening during the Ebola virus disease outbreak in Sierra Leone, 2014 to 2016
SA521421552B1 (ar) طريقة ونظام للكشف عن مواد عضوية محمولة جواً
Rhee et al. Prevention of SARS-CoV-2 and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healthcare settings: current and emerging concepts
Jiang et al. Portable health screening device of respiratory infections
Wilson et al. Transmission and prevention of acute viral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s
KR20210155586A (ko) 전염병 감염 의심자 선별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erlin et al. Readiness Management in Handling COVID-19 Pandemic and Early Detection in The Referral Hospital in East Nusa Tenggara Province
KR102246925B1 (ko) 통합 버스 정보 및 질병 관리 시스템과 방법
CN108616589A (zh) 一种基于云计算平台的数据处理系统
Rathnayaka et al. An Autonomous IoT-based Contact Tracing Platform in a COVID-19 Patient Ward
Okara et al. Smart technologies for COVID-19: The strategic approaches in combating the virus
CN202615583U (zh) 带信息交互功能的社区安防系统
WO2021010557A1 (ko)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6448024A (zh) 基于物联网的消防应急信息综合联动系统
JP6931954B6 (ja) 感染者特定・絞り込み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96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1-10-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96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