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5081A1 - 원심 분리기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45081A1
WO2019245081A1 PCT/KR2018/006973 KR2018006973W WO2019245081A1 WO 2019245081 A1 WO2019245081 A1 WO 2019245081A1 KR 2018006973 W KR2018006973 W KR 2018006973W WO 2019245081 A1 WO2019245081 A1 WO 20192450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divider
unit
centrif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9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스템스
Priority to PCT/KR2018/0069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5081A1/ko
Publication of WO20192450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450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8Skimmers or scrapers for discharging ; Regulating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e.
  • Centrifuges use a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a mixture and are frequently used to separate specific cells from adipose tissue and the like.
  •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 the centrifuged tissue is then extracted from the container.
  • the centrifuged object aggregates in the form of lump, and extraction from a container does not become easy.
  • tissues such as collagen separated from adipose tissue by centrifugation may aggregate and remain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remaining tissue may shield the pipe for extraction and injection to prevent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centrifug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ntrifuge which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ract more accurately centrifuged tissue.
  • centrifuge for separating a substance using centrifugal forc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bottom face and an edge face and centrifugal therein.
  • a container form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ing a material to be separated, the container being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 a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he bord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rder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itions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and outer space A divider whose bottom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vider;
  • a pipe unit penetrating through the cov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space and through which a material to be supplied or extracted into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flows;
  • a cutting unit positioned inside the outer space and dividing a material flowing into the outer space by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Includes, when the container is rotated, the material supplied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pipe unit flows into the outer space is divided by the cutting unit.
  • the divid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upper end toward the lower end.
  • the cut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bottom edge of the divider, spaced apart by the same center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divider.
  • the cutting uni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ri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cutting unit to rotate the divid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ivider.
  •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 chamber in which the material supplied by the pipe unit or the material centrifuged to be extracted by the pipe unit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pipe unit, It is located inside the chamber.
  • the chamber is defin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hamber.
  •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ed-extraction unit for supplying a material centrifuged to the pipe unit or extracting the material centrifuged through the pipe unit;
  • the feed extra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of the pipe unit, through which the material to be centrifuged to be supplied to the pipe unit flows; And an extraction pipe disposed to face the supply pipe and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end of the pipe unit, through which the centrifuged material extracted through the pipe unit flows. It includes.
  • the centrifuged material is prevented from agglomeration, so that the centrifuged material can be easily extracted.
  • the surface area of the same volume of material is increased by division by the cutting un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latively when using the enzyme for the extraction or reaction of the centrifuged materia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ifu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vi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vi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ntrifuge 1 includes a container 100, a cover 200, a divider 300, a pipe unit 400, and a cutting unit 500. .
  • the container 10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n edge surface, and inside which a cell tissue, such as fat, is subjected to centrifugal separation, and is contained with water.
  •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is formed.
  • the container 100 rotates in a state where a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 the chamber 11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 the chamber 110 is a place where a material supplied by the pipe unit 400 or a material centrifuged to be extracted by the pipe unit 400 is collected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is recessed. do.
  •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hamber 110.
  • the chamber 1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at the edge thereof.
  • the stopper 120 may be provided in the container 100.
  • the stopper 120 selectively contacts the cutting unit 500 when the divider 300 rotates. Therefore, when the stopper 100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100, the divider 300 will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100.
  • the cover 20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 the cover 2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0 or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ntainer 100.
  • the divider 300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100.
  • the divider 300 substantially divides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into an inner space 101S and an outer space 102S.
  • the divider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 the border surface of the divide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rd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is defined 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inside of the border surface of the divider 300. And an outer space 102S defined by 101S and an inner ri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and an outer rim surface of the divider 300.
  • the lower end of the divide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101S and the outer space 102S communicate.
  • the chamber 110 is located substantially below the inner space 101S.
  • the pipe unit 400 is where the material to be supplied or extracted into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flows. To this end, the pipe unit 400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cover 200 and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and substantially the inner space 101S.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pipe unit 400 is located inside the chamber 110.
  • the cutting unit 500 divides the material flowed into the outer space 102S from the inner space 101S by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100.
  • the cutt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divider 300.
  • the cutting unit 500 includes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bottom edge of the divider 300, spaced apart by the same center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divider 300. do.
  • the cutting unit 500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divider 300.
  • the cutting unit 500 may be formed to be tapered toward the tip that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material flowed into the outer space 102S by the rotation of the divider 300.
  • the cutting unit 500 is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edg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 the divider 30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100 or the container 100 rotates while the divider 300 is fixed. This is to prevent or reduce the phenomenon in which 300 is relatively flowed.
  •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extraction unit 600.
  • the supply-extraction unit 600 is a place for supplying the material centrifuged to the pipe unit 400 or extracting the centrifuged material through the pipe unit 400.
  • the supply-extraction unit 600 includes a supply pipe 610 and an extraction pipe 620.
  • the supply pipe 610 is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end of the pipe unit 400, where the centrifuged material supplied to the pipe unit 400 flows.
  • the extraction pipe 620 is disposed to face the supply pipe 610 so as to communicate with an upper end of the pipe unit 400, where the centrifuged material extracted through the pipe unit 400 flows. .
  • the material supplied by the supply-extraction unit 600, substantially the supply pipe 610 flows through the pipe unit 400 and is supplied into the container 100, that i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 the pipe unit 400 since the lower end thereof is located in the chamber 110, the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pipe unit 400 is an inner space 101S, substantially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Will be accommodated in.
  •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hamber 110 flows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100.
  •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hamber 110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100.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space 102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d the bottom of the divider 300.
  • the materia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bundled together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 elements such as weight.
  • the cutting unit 500 is to pass the material flowing into the outer space 102S, the material will be divided by the cutting unit 500.
  •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entrifuged materials are aggregated together and agglomerated can be prevented.
  • the container 100 is stopped. Accordingly, the material flowing into the outer space 110 is collect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by its own weight and collected in the chamber 140. At this time, the material flowing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is sequentially stacked in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by the difference in flow rate according to the mass, it can be substantially separated.
  •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chamber 110 is extracted by the feed-extraction unit 600, substantially the extraction pipe 620. Substantially,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chamber 110 is extracted by flowing the pipe unit 400.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enomenon of agglomeration of the material collected in the chamber 110 is prevented, so tha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pipe unit 400 is closed by the extracted material may be prevented. Eventually failure or incomplete operation of the centrifuge can be prevented.
  • centrifugation of adipose tissue for cell extraction also separates collagen from adipose tissue.
  • collagen may be agglomerated. Therefore, the pipe unit 400 may be closed by the agglomerated collagen.
  • such a lumping phenomenon may be prevented by being divided by the cutting unit 500.
  • the surface area of the material at the same volume is increased by the division by the cutting unit 50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enzyme or the like is used for separation or reaction of a substance, separation and reduction of reaction time due to an increase in surface area can be expected.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의 일 양태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원심 분리의 대상이 되는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컨테이너; 상기 수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와 함께 회전하고, 그 테두리면이 상기 컨테이너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컨테이너의 직경 방향으로 내공간 및 외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내공간 및 외공간의 하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그 하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디바이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공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외부로의 공급 또는 추출되는 물질이 유동하는 파이프 유닛; 상기 디바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외공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외공간의 내부로 유동된 물질을 분할하는 커팅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회전하면, 상기 파이프 유닛을 통하여 상기 내공간의 내부로 공급된 물질이 상기 외공간의 내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커팅 유닛에 의하여 분할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28.08.2018] 원심 분리기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원심 분리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하는 것으로, 지방 조직과 등으로부터 특정 세포 등을 분리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심 분리기에서는,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컨테이너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된다. 그리고 원심 분리된 조직을 컨테이너로부터 추출한다. 그런데, 원심 분리된 대상물이 덩어리진 형태로 뭉쳐짐으로써, 컨테이너로부터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원심 분리에 의하여 지방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콜라겐 등과 같은 조직이 뭉쳐서 컨테이너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잔류되는 조직이, 추출 및 주입을 위한 파이프을 차폐하여 원심 분리기의 손상 및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게 원심 분리된 조직에 대한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의 일 양태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원심 분리의 대상이 되는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컨테이너; 상기 수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테두리면이 상기 컨테이너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컨테이너의 직경 방향으로 내공간 및 외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내공간 및 외공간의 하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그 하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디바이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공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외부로의 공급 또는 추출되는 물질이 유동하는 파이프 유닛; 및 상기 외공간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외공간의 내부로 유동된 물질을 분할하는 커팅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회전하면, 상기 파이프 유닛을 통하여 상기 내공간의 내부로 공급된 물질이 상기 외공간의 내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커팅 유닛에 의하여 분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디바이더는,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디바이더의 테두리면 외측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바이더의 횡단면 중심에 대하여 동일한 중심각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컨테이너의 테두리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디바이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디바이더가 회전하도록 상기 커팅 유닛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는, 상기 파이프 유닛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질 또는 원심 분리되어 상기 파이프 유닛에 의하여 추출되는 물질이 모이는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의 하단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챔버는, 상기 내공간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 일부가 함몰되어 정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은, 상기 챔버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파이프 유닛으로 원심 분리되는 물질을 공급하거나 상기 파이프 유닛을 통하여 원심 분리된 물질을 추출하는 공급-추출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추출 유닛은, 상기 파이프 유닛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으로 공급되는 원심 분리되는 물질이 유동되는 공급 파이프; 및 상기 공급 파이프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유닛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을 통하여 추출되는 원심 분리된 물질이 유동되는 추출 파이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질이 수용되는 컨테이너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유동하는 물질이 커팅 유닛에 의하여 분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심 분리된 물질이 덩어리지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원심 분리된 물질의 용이한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팅 유닛에 의한 분할에 의하여 동일한 체적의 물질의 표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심 분리된 물질의 추출이나 반응을 위한 효소 등의 사용시 상대적으로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테이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디바이더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를 첨부된 구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테이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디바이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1)는, 컨테이너(100), 커버(200), 디바이더(300), 파이프 유닛(400) 및 커팅 유닛(5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테이너(100)는,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원심 분리의 대상이 되는 물질, 예를 들면, 지방과 같은 세포 조직이 물과 함게 수용되는 수용 공간(100S)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수용 공간(100S)의 내부에 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에 챔버(110)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110)는, 상기 파이프 유닛(400)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질 또는 원심 분리되어 상기 파이프 유닛(400)에 의하여 추출되는 물질이 모이는 곳으로,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 일부가 함몰되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은, 상기 챔버(1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예를 들면, 상기 챔버(11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이 그 테두리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스토퍼(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디바이더(300)가 회전하면, 상기 커팅 유닛(500)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상기 스토퍼(1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바이더(300)가 상기 컨테이더(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것이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수용 공간(100S)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2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컨테이너(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디바이더(300)는, 상기 수용 공간(100S)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물론, 상기 스토퍼(120)가 삭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바이더(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100)만 회전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더(3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 공간(100S)을 내공간(101S) 및 외공간(102S)으로 구획한다. 상기 디바이더(300)는,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바이더(300)의 테두리면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100S)이, 상기 디바이더(300)의 테두리면 내측에 의하여 정의되는 상기 내공간(101S)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테두리면 내측 및 상기 디바이더(300)의 테두리면 외측에 의하여 정의되는 상기 외공간(102S)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더(300)의 하단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내공간(101S) 및 외공간(102S)의 하부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110)는, 실질적으로 상기 내공간(101S)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파이프 유닛(400)은, 상기 수용 공간(100S)의 내외부로의 공급 또는 추출되는 물질이 유동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 유닛(400)은, 상기 커버(20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100S), 실질적으로 내공간(101S)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유닛(400)의 하단은,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 유닛(500)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공간(101S)의 내부에서 상기 외공간(102S)의 내부로 유동된 물질을 분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팅 유닛(500)은, 상기 디바이더(30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 유닛(500)이, 상기 디바이더(300)의 테두리면 외측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바이더(300)의 횡단면 중심에 대하여 동일한 중심각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커팅 유닛(500)은, 상기 디바이더(3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팅 유닛(500)은, 실질적으로 상기 디바이더(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외공간(102S)의 내부로 유동된 물질과 선접촉되는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 유닛(500)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테두리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디바이더(300)가 회전하거나 상기 디바이더(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더(300)가 상대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 또는 저감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공급-추출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추출 유닛(600)은, 상기 파이프 유닛(400)으로 원심 분리되는 물질을 공급하거나 상기 파이프 유닛(400)을 통하여 원심 분리된 물질을 추출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추출 유닛(600)이, 공급 파이프(610) 및 추출 파이프(6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 파이프(610)는, 상기 파이프 유닛(400)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400)으로 공급되는 원심 분리되는 물질이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추출 파이프(620)는, 상기 공급 파이프(61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유닛(400)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400)을 통하여 추출되는 원심 분리된 물질이 유동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심 분리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급-추출 유닛(600), 실질적으로 공급 파이프(610)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질이 파이프 유닛(400)을 유동하여 컨테이너(100)의 내부, 즉 수용 공간(100S)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파이프 유닛(400)은, 그 하단이 챔버(1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파이프 유닛(40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질은 내공간(101S), 실질적으로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수용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하면,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 방향으로 유동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더(300)의 하단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질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면 및 상기 디바이더(300)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공간(102S)의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중량 등과 같은 각종 특질적 요소에 따라서 물질이 서로 분리되어 뭉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하면, 스토퍼(120)가 커팅 유닛(500)에 걸림으로써, 상기 디바이더(30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커팅 유닛(500)이 상기 외공간(102S)의 내부로 유동된 물질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팅 유닛(500)에 의하여 물질이 분할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커팅 유닛(500)에 의하여 물질이 분할됨으로써, 원심 분리된 물질이 상호 뭉쳐서 덩어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물질에 대한 원심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컨테이너(100)가 정지한다. 따라서 상기 외공간(110)으로 유동된 물질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면을 따라서 유동하여 상기 챔버(140)에 포집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물질이 질량에 따른 유동 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차례로 적층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공급-추출 유닛(600), 실질적으로 추출 파이프(620)에 의하여 상기 챔버(110)에 포집된 물질이 추출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챔버(110)에 포집된 물질이 상기 파이프 유닛(400)를 유동하여 추출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챔버(110)에 포집된 물질의 덩어리지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유닛(400)이 추출되는 물질에 의하여 폐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종국적으로 원심 분리기의 고장이나 불완전 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의 추출을 위하여 지방 조직을 원심 분리하면, 지방 조직으로부터 콜라겐도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0)를 세척하는 과정 또는 효소를 사용하여 상기 컨테이너(100)로부터 지방 조직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콜라겐이 덩어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덩어리진 콜라겐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 유닛(400)이 폐쇄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 유닛(500)에 의하여 분할됨으로써, 이와 같은 덩어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 유닛(500)에 의한 분할에 의하여 동일 체적에서의 물질의 표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물질의 분리나 반응을 위하여 효소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표면적의 증가에 따른 분리나 반응 시간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8)

  1.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원심 분리의 대상이 되는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00S)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00S)의 내부에 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컨테이너(100);
    상기 수용 공간(100S)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200);
    상기 수용 공간(100S)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테두리면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용 공간(100S)을 상기 컨테이너(100)의 직경 방향으로 내공간(101S) 및 외공간(102S)으로 구획하며, 상기 내공간(101S) 및 외공간(102S)의 하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그 하단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디바이더(300);
    상기 커버(200)를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공간(101S)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100S)의 내외부로의 공급 또는 추출되는 물질이 유동하는 파이프 유닛(400); 및
    상기 외공간(102S)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외공간(102S)의 내부로 유동된 물질을 분할하는 커팅 유닛(500); 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100)가 회전하면, 상기 파이프 유닛(400)을 통하여 상기 내공간(101S)의 내부로 공급된 물질이 상기 외공간(102S)의 내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커팅 유닛(500)에 의하여 분할되는 원심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300)는,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심 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500)은, 상기 디바이더(300)의 테두리면 외측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바이더(300)의 횡단면 중심에 대하여 동일한 중심각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500)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테두리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원심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디바이더(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디바이더(300)가 회전하도록 상기 커팅 유닛(50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토퍼(120)가 구비되는 원심 분리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에는, 상기 파이프 유닛(400)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질 또는 원심 분리되어 상기 파이프 유닛(400)에 의하여 추출되는 물질이 모이는 챔버(11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400)의 하단은,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원심 분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는, 상기 내공간(101S)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 일부가 함몰되어 정의되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저면은, 상기 챔버(1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원심 분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유닛(400)으로 원심 분리되는 물질을 공급하거나 상기 파이프 유닛(400)을 통하여 원심 분리된 물질을 추출하는 공급-추출 유닛(6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추출 유닛(600)은,
    상기 파이프 유닛(400)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400)으로 공급되는 원심 분리되는 물질이 유동되는 공급 파이프(610); 및
    상기 공급 파이프(61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유닛(400)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파이프 유닛(400)을 통하여 추출되는 원심 분리된 물질이 유동되는 추출 파이프(620); 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
PCT/KR2018/006973 2018-06-20 2018-06-20 원심 분리기 WO20192450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973 WO2019245081A1 (ko) 2018-06-20 2018-06-20 원심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973 WO2019245081A1 (ko) 2018-06-20 2018-06-20 원심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081A1 true WO2019245081A1 (ko) 2019-12-26

Family

ID=6898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973 WO2019245081A1 (ko) 2018-06-20 2018-06-20 원심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24508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126A (ja) * 2003-09-24 2005-04-14 Harumori Matayoshi 遠心分離装置
KR20130078609A (ko) * 2011-12-30 2013-07-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원통형 아라미드 조성물 분쇄 장치
KR20140133577A (ko) * 2012-02-15 2014-11-19 마이크로에어 서지컬 인스투르먼츠 엘엘씨 원심분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93068B1 (ko) * 2013-08-26 2015-02-16 주식회사 아이쎌 원심 분리기용 바울 및 그를 포함한 원심 분리기
KR20150084530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아이쎌 세포 추출 장치 및 세포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126A (ja) * 2003-09-24 2005-04-14 Harumori Matayoshi 遠心分離装置
KR20130078609A (ko) * 2011-12-30 2013-07-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원통형 아라미드 조성물 분쇄 장치
KR20140133577A (ko) * 2012-02-15 2014-11-19 마이크로에어 서지컬 인스투르먼츠 엘엘씨 원심분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93068B1 (ko) * 2013-08-26 2015-02-16 주식회사 아이쎌 원심 분리기용 바울 및 그를 포함한 원심 분리기
KR20150084530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아이쎌 세포 추출 장치 및 세포 추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6215A (en) Blood fraction extracting centrifuge
US2711854A (en) Centrifuge for separating sludge from liquids
WO2013066013A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1197974B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WO2013042862A1 (ko) 자가 혈소판 추출을 위한 혈액 분리 용기 및 자가 혈소판 추출 장치
CZ164797A3 (cs) Způsob oddělování fibrinu I z krevní plazmy a zařízení k tomu
AU2014279960B2 (en) Solvent extraction settler arrangement
WO2014112794A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CA2530638A1 (en) Hydrodynamic treatment device
CN102615003A (zh) 电机上置直联式刮刀卸料离心机
WO2019245081A1 (ko) 원심 분리기
ES8105164A1 (es) Separador centrifugo
CN203484237U (zh) 一种上悬式离心机
KR101433308B1 (ko) 배출성능 향상형 배출구를 갖는 원심 분리기
WO2019245082A1 (ko) 원심 분리기
NO121262B (ko)
GB1506628A (en) Centrifugal separators
CN202538957U (zh) 电机上置直联式刮刀卸料离心机
WO2015030443A1 (ko) 원심 분리기용 바울 및 그를 포함한 원심 분리기
DK1102637T3 (da) Fremgangsmåde og anordning til indstilling af væskeindholdet i det faststof, som udtømmes fra en separators selvtømmende centrifugetromle
CN207025612U (zh) 一种化工用离心机
CN202377108U (zh) 一种外置电机离心机
CN211563337U (zh) 一种连续式水洗卸料离心机
CN202538947U (zh) 卧式离心机
WO2015065011A1 (ko) 원심분리용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23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23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