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0035A1 - Data linkage system - Google Patents

Data link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0035A1
WO2019190035A1 PCT/KR2019/000612 KR2019000612W WO2019190035A1 WO 2019190035 A1 WO2019190035 A1 WO 2019190035A1 KR 2019000612 W KR2019000612 W KR 2019000612W WO 2019190035 A1 WO2019190035 A1 WO 20191900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ata
main
information
module
edi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612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광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1900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00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215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controller data linkage system. A data linkag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rises: a main editing module for generating a data linkage project; a sub-editing module for converting SCADA system information on a SCADA system into a comm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hrough API wrapping, and delivering the common API to the main editing module; a main runtime module for performing a server function for data linkage between the SCADA system and a client; and a sub-runtime module for delivering a tag value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SCADA system to the main runtime module through a shared memory.

Description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kage system
본 명세서는 데이터 연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data linkage system.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또는 스카다(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은 통신 경로상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원격장치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원격단말장치(remote terminal unit)로 수집, 수신, 기록, 표시하여 중앙 제어 시스템이 원격장치를 감시하는 제어시스템이다.A remote monitoring or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system uses analog or digital signals on a communication path to collect, receive, record, and record status information data from a remote device to a remote terminal unit. The central control system monitors the remote device by displaying it.
일반적으로 스카다 시스템은 발전, 송배전시설, 석유화학 플랜트, 제철공정 시설, 공장 자동화 시설 등 여러 종류의 원격지 시설 장치를 중앙 집중식으로 감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SCADA systems are used to centrally monitor and control various types of remote facilities such as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petrochemical plants, steel processing facilities, and factory automation facilities.
또한 스카다 시스템은 원격장치의 경보 상태에 따라 미리 규정된 동작을 하는 감시시스템의 기능 경보 기능, 원격 외부장치를 선택적으로 수동/자동 복합으로 동작하는 감시 제어 기능, 원격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 표시/기록하는 감시 시스템의 표시 기능 등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CADA system receives a function alarm function of a surveillance system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an alarm condition of a remote device, a monitoring control function of selectively operating a remote external device manually and automatically,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f the remote device. Perform the display func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to display / record.
도 1은 종래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linkage system of a client and a SCADA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tandard protocol.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에서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0)이 각 표준 프로토콜(16)을 통해 스카다 시스템(12)과 복수의 클라이언트(14) 간 데이터 연계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in a conventional SCADA system and a client data linkage system, the server application 10 performs data linkage between the SCADA system 12 and the plurality of clients 14 through each standard protocol 16. do.
일반적인 스카다 시스템은 감시/제어 대상을 지칭하는 시스템 내 유일한 식별 값(ID)을 가지는 요소, 즉 태그(Tag) 또는 포인트(Point)로부터 수집되는 값(Value)을 수신하고 기록한다. 예를 들어 스카다 시스템의 감시/제어 대상이 되는 임의의 장치(A)가 존재할 때, 장치(A)의 출력 전류, 출력 전압, 온도 등이 장치(A)의 태그 또는 포인트가 되고, 스카다 시스템은 장치(A)의 실제 출력 전류 값, 출력 전압 값, 온도 값을 수집한다.A typical SCADA system receives and records an element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value (ID) in a system indicating a monitoring / control object, that is, a value collected from a tag or a point. For example, when there is any device A to be monitored / controlled by the SCADA system, the output current, output voltage, temperature, etc. of the device A become tags or points of the device A, The system collects the actual output current value, output voltage value and temperature value of the device A.
이때 각각의 태그 또는 포인트에는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의 주소 체계에 따른 주소(Adress)가 할당된다. 여기서 주소란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수행 시 스카다 시스템이 각각의 클라이언트 또는 클라이언트에 부여된 태그나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each tag or point is assigned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scheme of the standard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CADA system and the client. Here, the address mean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tag or a point assigned to each client or client by the system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client is performed.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간 데이터의 연계를 수행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편집기(Editor)(101)와 런타임(Runtime)(102)으로 구성된다.A server application that performs data association between the Skada system and the client using a standard protocol generally includes an editor 101 and a runtime 102.
사용자는 편집기(101)의 UI(User Interface)를 통해 스카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태그 및 프로토콜의 주소를 서로 대응시킨 맵핑 정보 및 기타 필요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t mapping information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es of tags and protocols provided from the SCADA system through the UI (User Interface) of the editor 101.
한편 런타임(102)은 편집기(101)를 통하여 생성된 설정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계를 위한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서버 기능은 설정 정보에 포함된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 및 프로토콜의 주소의 비교 테이블 등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runtime 102 performs a server function for data linkage by us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editor 101. Such a server func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 comparison table of tags and protocol addresses of the SCADA system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도 2는 종래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linkage system of a client and a SCADA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tandard protocol.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카다 시스템에서 데이터 연계가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스카다 시스템(A, B)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각 데이터 연계 시스템(21, 22)은 각각의 스카다 시스템(A, B) 별로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data linkage is made in a conventional SCADA system, each data linkage system 21 and 22 is configured to support a standard protocol used by each SCADA system A or B. Each system (A, B) uses a separate application to support the protocol.
예를 들어, A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데이터 연계 시스템(21)은 A 스카다 시스템 전용 편집기 및 런타임을 사용하며, B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데이터 연계 시스템(22)은 A 스카다 시스템 전용 편집기 및 런타임과 구별되는 B 스카다 시스템 전용 편집기 및 런타임을 사용한다. For example, the data linkage system 21 for linking A-Skada system and the client's data uses an editor and runtime dedicated to the A-Skada system, and the data linkage system for linking the B-Skada system with the client's data. Reference numeral 22 uses a B-Skada system-specific editor and runtime that is distinct from the A-Skada system-specific editor and runtime.
즉, 각 프로토콜의 차이점으로 인해 각각의 스카다 시스템마다 전용의 편집기와 런타임이 별도로 제작되어야 한다. 만약 각각의 스카다 시스템이 동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각 스카다 시스템 별로 API가 다르기 때문에 각 스카다 시스템 전용의 편집기 및 런타임이 제작되어야 한다.In other words, due to the differences in each protocol, a dedicated editor and runtime must be created separately for each SCADA system. Even if each SCADA system uses the same protocol, the APIs are different for each SCADA system, so an editor and runtime specific to each SCADA system must be produced.
결국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스카다 시스템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 연계에 필요한 전용 편집기 및 런타임의 수 또한 증가한다. 이에 따라서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범위, 개발 기간 및 개발 비용이 증가하고, 시스템 운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Eventual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the number of SCADA systems increases, the number of dedicated editors and runtimes required for data linkage also increase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velopment scope,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cost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crease, and system operation efficiency decreases.
본 명세서는 이원화된 편집기 및 런타임을 사용하여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범위, 개발 기간 및 개발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uses a dual editor and runtime to link the data of the Skada system with the client, thereby providing a data linkage system that can reduce the scope of application development,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cost, and improve system operation efficiency. For the purpose of
본 명세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데이터 연계 시스템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인 편집 모듈, 스카다 시스템에 대한 스카다 시스템 정보를 API 랩핑(API Wrapping)을 통해 공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편집 모듈로 전달하는 서브 편집 모듈, 상기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연계를 위한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런타임 모듈; 및 공유 메모리를 통해 상기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값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로 전달하는 서브 런타임 모듈을 포함한다. The data linkag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verts the skada system information for the main editing module and the skada system to generate a data linkage project into a comm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hrough API wrapping. A sub-editing module for transmitting to the main editing module, a main runtime module performing a server function for data linkage between the SCADA system and a client; And a sub runtime module for transmitting tag values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SCADA system to the main runtime module through a shared memor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카다 시스템 정보는 태그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arda system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tag list.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편집 모듈은 상기 서브 편집 모듈로부터 각 스카다 시스템에 대한 스카다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카다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태그 리스트와 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editing module receives skada system information for each skada system from the sub-editing module, and uses the tag list and the protocol address included in the skada system information. You can create a data lineage project.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과 상기 서브 런타임 모듈은 미리 설정된 메모리 구조를 갖는 공유 메모리(39)를 통해 프로세스 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untime module and the sub runtime module may perform inter-proc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hared memory 39 having a preset memory structure.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은 상기 공유 메모리(39)에 저장된 태그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프로토콜 주소를 업데이트하여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untime module may perform a server function by updating a protocol address based on tag and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hared memory 39.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편집 모듈은 상기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파일,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 및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핑 파일 및 데이터 연계 주소 체계의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editing module is a project fil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data linkage project, a mapping file including mapping information of a tag and a protocol address of a Skada system, and modeling of the data linkage address system. You can create a modeling file that contains inform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은 상기 프로젝트 파일, 상기 맵핑 파일 및 상기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상기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runtime module may perform the server function using the project file,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런타임 모듈은 상기 프로젝트 파일, 상기 맵핑 파일 및 상기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각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와 프로토콜 주소를 서로 맵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ub runtime module may map a tag and a protocol address of each SCADA system to each other using the project file,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편집 모듈은 동적 라이브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ub-editing module may be a dynamic library.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는 상기 스카다 시스템과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연계 작업의 작업 단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ata linkage project means a unit of work of data linkage work between the SCADA system and the client.
본 명세서에 의하면, 이원화된 편집기 및 런타임을 사용하여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범위, 개발 기간 및 개발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linking the data of the client and the Skada system using the dual editor and the run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elopment scope,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cost of the application and improve the system operation efficiency.
도 1은 종래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linkage system of a client and a SCADA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tandard protocol.
도 2는 종래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linkage system of a client and a SCADA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tandard protocol.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linkag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linkage project generation screen of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데이터 소스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ource list screen of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서브 UI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 UI setting screen of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태그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g list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맵핑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information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이 생성한 파일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file generated by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linkag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참고로, 본 명세서의 모듈은 프로그램의 기능을 독립적인 단위로 분리한 하나의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 및 교체되고 사용되도록 설계된 하나의 하드웨어 요소를 의미한다.For reference, the modu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one software element that separates the functions of the program into independent units or one hardware element that is designed to be installed, replaced, and used independently.
즉,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전체 시스템 및 체계 중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되는 독립적인 하나의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하드웨어 요소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dule means one component that is independent of other components of the entire system and system,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a software component or a hardware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연계'는 스카다 시스템에 의해서 수집된 각종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서 인식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가공, 변환, 편집,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는 이와 같은 데이터 연계 작업의 단위를 의미하고, 특정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파일을 '프로젝트 파일'이라고 한다. 프로젝트 파일에는 대응되는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정보가 포함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ata linkage' means processing, converting, editing, and generating data so that various data collected by the SCADA system can be recognized by the client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ata linkage project' refers to a unit of such data linkage work, and a fi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a linkage project is referred to as a 'project file'. The project file contains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data linking project.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계 시스템은 메인 편집 모듈(31), 서브 편집 모듈(32), 메인 런타임 모듈(33) 및 서브 런타임 모듈(34)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메인 편집 모듈(31), 서브 편집 모듈(32), 메인 런타임 모듈(33), 서브 런타임 모듈(34)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스카다 시스템(35)에 내장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모듈 또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ata linkag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ain editing module 31, a sub editing module 32, a main runtime module 33, and a sub runtime module 34. For reference, the main editing module 31, the sub editing module 32, the main runtime module 33, and the sub runtime module 34 illustrated in FIG. 3 may be embedded in the SCADA system 35 in software form. Each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parate module or server.
메인 편집 모듈(31)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한다.The main editing module 31 creates a data linkage project.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는 데이터 소스로 사용되는 스카다 시스템(35)의 식별 정보,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들의 목록인 태그 리스트(351)와 프로토콜 주소의 대응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ata linkage projec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kada system 35 used as a data source,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ag list 351 which is a list of tags of the Skada system 35 and the protocol address.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편집 모듈(31)은 서브 편집 모듈(32)로부터 각 스카다 시스템(35)에 대한 스카다 시스템(35) 정보를 수신하고, 스카다 시스템(35) 정보에 포함된 태그 리스트(351)와 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스카다 시스템(35) 정보는 태그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editing module 31 receives the scarda system 35 information for each scarda system 35 from the sub-editing module 32, and the scarda system 35 information. A data linkage project is created using the tag list 351 included in the protocol address and the protocol address. The scarda system 35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a tag list.
즉, 메인 편집 모듈(31)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연계 대상인 스카다 시스템(35)으로부터 스카다 시스템(35)의 식별 정보 및 태그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으며, 사용자 UI(311)를 통해 입력받은 명령을 기초로 데이터 연계 대상인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 및 프로토콜의 주소를 서로 대응시킨 맵핑 정보 및 기타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 editing module 31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g list information of the skada system 35 from the skada system 35 that is the data ties to generate the data linking project, and the user UI 311. Mapping information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and protocol address of the Skada system 35, which is a data linkage objec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data.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편집 모듈(31)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파일,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 및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핑 파일 및 프로토콜의 주소 체계의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링 파일을 생성한다(38).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editing module 31 may include a project file including information on a data linkage project, a mapping file including a mapping information of a tag and a protocol address of the SCADA system 35, and a protocol. A modeling file including modeling information of an address system is generated (38).
메인 편집 모듈(31)은 맵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과 매칭되는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프로젝트 파일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main editing module 31 may generate and manage a data linking project matching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as a project file.
이와 같은 프로젝트 파일, 맵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은 후술할 메인 런타임 모듈(33) 및 서브 런타임 모듈(34)의 동작에 사용된다.Such a project file, a mapping file, and a modeling file ar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main runtime module 33 and the sub runtime module 34 to be described later.
서브 편집 모듈(32)은 스카다 시스템(35)에 대한 스카다 시스템(35) 정보를 상기 메인 편집 모듈(31)로 전달한다.The sub-editing module 32 transmits the skadar system 35 information on the skadar system 35 to the main editing module 3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편집 모듈(31)과 서브 편집 모듈(32)은 공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며, 서브 편집 모듈(32)은 API 랩핑(API Wrapping)을 통해 메인 편집 모듈(31)에게 스카다 시스템(35)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API 랩핑이란 서브 편집 모듈(32)에 의해서 사용된 API 및 API와 관련된 데이터가 메인 편집 모듈(31)에 의해서 액세스될 수 있도록 서브 편집 모듈(32)에 의해서 사용된 API 및 API와 관련된 데이터에 특정 데이터 또는 코드를 추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editing module 31 and the sub editing module 32 use a comm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and the sub editing module 32 is main through API wrapping. Delivers the Scarda system 35 information to the editing module 31. Here, API wrapping refers to APIs used by the sub-editing module 32 and data related to the APIs and APIs used by the sub-editing module 32 so that data related to the APIs can be accessed by the main editing module 31. The operation of adding specific data or code.
이때 서브 편집 모듈(32)은 각 스카다 시스템(35)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동적 라이브러리(Dynamic Linking Library, DLL)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editing module 32 may be formed of a dynamic linking library (DL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ADA system 35.
AP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하위 함수 및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An API is an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control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r programming language for use in an application, and includes subfunctions and protocols for creating an application.
따라서, 메인 편집 모듈(31)과 서브 편집 모듈(32)은 동일한 하위 함수 및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편집 모듈(32)은 API 랩핑을 통해 외부 라이브러리 형식의 정보를 하위 호환성에 대응되도록 가공하여 메인 편집 모듈(31)에게 전달할 수 있다.Thus, the main editing module 31 and the sub editing module 32 can use the same subfunctions and protocols. In addition, the sub-editing module 32 may process th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library format to correspond to backward compatibility through API wrapping and deliver it to the main editing module 31.
결국, 서브 편집 모듈(32)은 담당하고 있는 각 스카다 시스템(35)의 스카다 시스템(35) 정보를 메인 편집 모듈(31)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메인 편집 모듈(31)은 서브 편집 모듈(32)로부터 전달받은 스카다 시스템(35)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ub-editing module 32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kadar system 35 of each skadar system 35 in charge to the main editing module 31. In addition, the main editing module 31 may generate a data linking pro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CADA system 35 received from the sub editing module 32.
이처럼 본 명세서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은 각 스카다 시스템(35)의 특성과 연계되는 기능은 서브 편집 모듈(32)을 통해 수행하고, 전체 스카다 시스템(35)의 공통 기능은 메인 편집 모듈(31)을 통해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시스템 운용 효율이 높아지고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범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data linkage syste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forms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arda system 35 through the sub-editing module 32, and a common function of the entire skida system 35 is the main edit module 31. Do it through. Accordingly, the system ope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scope of the application program is reduced.
메인 런타임 모듈(33)은 프로토콜(37)을 통해 스카다 시스템(35)과 클라이언트(36) 사이의 데이터 연계를 위한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The main runtime module 33 performs a server function for data linkage between the SCADA system 35 and the client 36 via the protocol 37.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런타임 모듈(33)은 공유 메모리(39)에 저장된 태그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프로토콜 주소를 업데이트하여 각 프로토콜(37)을 통해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untime module 33 updates a protocol address based on a tag and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hared memory 39 to perform a server function through each protocol 37.
이와 같은 프로토콜 주소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메인 런타임 모듈(33)은 각 프로토콜 주소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 주소 저장 공간(331)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update such a protocol address, the main runtime module 33 may include a separate protocol address storage space 331 for storing and managing each protocol address.
서브 런타임 모듈(34)은 공유 메모리(39)를 통해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값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33)로 전달한다.The sub runtime module 34 transmits the tag value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scarda system 35 to the main runtime module 33 through the shared memory 39.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런타임 모듈(33)과 서브 런타임 모듈(34)은 미리 설정된 메모리 구조를 갖는 공유 메모리(39) 통해 프로세스 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untime module 33 and the sub runtime module 34 perform inter-proc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hared memory 39 having a preset memory structure.
본 명세서에서 공유 메모리(39)는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로서, 응용 프로그램 간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전달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메모리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hared memory 39 is a memory that can be accessed by several applications at the same time, and means a memory that can be used when sharing 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pplications.
따라서, 공유 메모리(39) 통한 프로세스 간 통신 방식은 다른 프로세스 간 통신 방식과 달리 메모리 자체를 공유하므로, 데이터 복사 등과 같은 불필요한 오버헤드(Overhead)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inter-process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shared memory 39 shares the memory itself unlike other inter-process communica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ata processing speed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overhead such as data copying. There is thi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런타임 모듈(33)은 메인 편집 모듈(31)이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 맵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in runtime module 33 performs a server function using a project file, a mapping file, and a modeling file generated by the main editing module 31.
이와 같은 메인 런타임 모듈(33)의 서버 기능 수행은 메인 편집 모듈(31)로부터 전달받은 설정 정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rver function of the main runtime module 33 may be performed through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editing module 31.
전술한 것과 같이, 메인 편집 모듈(31)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파일,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 및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핑 파일 및 데이터 연계 주소 체계의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editing module 31 includes a project file including information on a data linkage project, a mapping file including mapping information of tags and protocol addresses of the Skada system 35 and a modeling of the data linkage address scheme. You can create a modeling file that contains information.
즉, 메인 런타임 모듈(33)은 메인 편집 모듈(31)이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 맵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와 대응되는 스카다 시스템(35)과 클라이언트(36) 간 데이터 연계를 수행한다.That is, the main runtime module 33 uses the project file,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generated by the main editing module 31, and the scarda system 35 and the client 36 corresponding to the data linkage project through the standard protocol. Perform data linkage between them.
한편, 서브 런타임 모듈(34)은 메인 편집 모듈(31)이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 맵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각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와 프로토콜 주소를 서로 맵핑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b runtime module 34 uses the project file,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generated by the main editing module 31 to map the tag and protocol address of each SCADA system 35 to each other.
즉, 서브 런타임 모듈(34)은 메인 편집 모듈(31)이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을 기초로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스카다 시스템(35)을 식별하고, 맵핑 파일에 포함된 태그 및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 정보, 예를 들어 태그 및 프로토콜 비교 테이블(341) 등을 사용하여 각 스카다 시스템(35)의 태그와 프로토콜 주소를 서로 맵핑한다.That is, the sub runtime module 34 identifies the skid system 35 to be used as a data source based on the project file generated by the main editing module 31, and maps information of the tag and protocol address included in the mapping file, For example, a tag and a protocol comparison table 341 and the like are used to map tags and protocol addresses of each SCADA system 35 to each other.
서브 런타임 모듈(34)은 데이터 소스로 사용되는 스카다 시스템(35)의 각 태그 값 및 각 태그에 대응되는 프로토콜 주소를 확인한 뒤, 공유 메모리(39)에 각 태그 값과 스카다 시스템(35)의 상태 정보 등을 공유 메모리(39)에 저장한다. 메인 런타임 모듈(33)은 공유 메모리(39)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각 프로토콜(37)을 통해 클라이언트(36)와 데이터 연계를 수행한다.The sub runtime module 34 checks each tag value and protocol address corresponding to each tag of the SCADA system 35 used as a data source, and then displays each tag value and the SCADA system 35 in the shared memory 39.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shared memory 39. The main runtime module 33 performs data linkage with the client 36 through each protocol 37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hared memory 39.
결국, 각 스카다 시스템(35) 별로 각 태그에 대응되는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은 서브 런타임 모듈(34)에서 이루어지며, 클라이언트(36)와의 데이터 연계는 메인 런타임 모듈(33)에서 이루어진다.As a result, mapping of the protocol address corresponding to each tag for each SCADA system 35 is performed in the sub runtime module 34, and data linkage with the client 36 is performed in the main runtime module 33.
이처럼 본 명세서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은 이원화된 편집기 및 런타임을 사용하여 다중 스카다 시스템(35)과 클라이언트(36)의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의 중복 개발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the data linkage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use the dual editor and the runtime to link the data of the multi-skada system 35 and the client 36 to prevent redundant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program.
즉, 본 명세서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은 데이터 연계 시스템의 개발 기간 및 개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 운용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data linkage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the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cost of the data linkage system, and can also improve the system operation efficiency.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통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s of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linkage project generation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의 이름 및 저장 경로를 설정하고, 서로 대응되는 매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4 and 5,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set a name and a storage path of a data linking project and set a path of a mapping file and a modeling fil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전술한 것과 같이,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프로젝트 파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때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의 저장 경로에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editing module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about the data linking project as a project file, and the project file may be stored in a storage path of the data linking project.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데이터 소스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ource list screen of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메인 편집 모듈은 다중 스카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스카다 시스템의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The main editing module can manage the list of scarda systems to be used as data sources in multiple scarda systems.
즉, 메인 편집 모듈은 다중 스카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스카다 시스템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ain editing module can add, modify, or delete a skadar system to be used as a data source in multiple skadar systems.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A 스카다 시스템 및 B 스카다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카다 시스템 리스트를 관리한다. 이때 각 스카다 시스템은 각 스카다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동적 라이브러리(DLL)로 이루어진 서브 편집 모듈과 대응된다.Referring to FIG. 6, the main editing module manages a list of scarda systems including an A scarda system and a B scarda system to be used as data sources. At this time, each SCADA system corresponds to a sub-editing module composed of a dynamic library (DL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ADA system.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서브 UI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 UI setting screen of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특정 스카다 시스템에 접속하고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The main editing module can access and retrieve information from a specific SCADA system to use as a data source.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A 스카다 시스템의 서브 UI 설정 화면을 통해 데이터 소스 정보, 즉 A 스카다 시스템의 IP 주소 및 할당된 프로젝트 이름 등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ain editing module may display data source information, that is, an IP address of the A SCADA system and an assigned project name, through a sub UI setting screen of the A SCADA system to be used as a data source.
사용자는 메인 편집 모듈의 서브 UI 설정 화면에 포함된 연결 버튼 등을 조작하여 A 스카다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The user may access the A SCADA system by operating a connection button included in the sub UI setting screen of the main editing module.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태그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g list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소스의 설정 이후, 데이터 소스로 사용할 각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 리스트를 읽어올 수 있다.The main editing module can read the tag list of each SCADA system to be used as a data source after setting up the data source.
도 8에는 데이터 소스로 사용되는 A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들이 나열된 태그 리스트가 도시되어있다. FIG. 8 shows a tag list listing tags of an A Scada system used as a data source.
태그 리스트에 포함된 각 태그는 태그 이름, 태그 종류 및 태그의 통신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Each tag included in the tag list includes information on a tag name, tag type, and a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tag.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 생성 과정에서 태그 리스트에 포함된 각 태그 중 데이터 연계에 사용할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The main editing module can select a tag to be used for data linkage among each tag included in the tag list during data linkage project creation.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의 맵핑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information screen of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소스로 사용될 스카다 시스템의 리스트(예컨대, SCADA_A, SCADA_B)를 관리할 수 있고, 각 스카다 시스템의 데이터 연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주소(Item Address)와 각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의 맵핑 정보(Tag Name)를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anage a list of SCADA systems (eg, SCADA_A, SCADA_B) to be used as data sources, and may be used for data linkage of each SCADA system.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Tag Name of the Protocol (Item Address) and the tag of each SCADA system.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이 생성한 파일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file generated by a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PJT 확장자명을 갖는 프로젝트 파일,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 및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며 XML의 확장자명을 갖는 맵핑 파일 및 데이터 연계 주소 체계의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며 XML의 확장자명을 갖는 모델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The main editing module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data linkage project, the project file with the PJT extension, the mapping information of the tag and protocol address of the SCADA system, the mapping file with the extension of the XML, and the modeling of the data linkage address scheme. You can create modeling files that contain information and have an XML extens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편집 모듈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의 이름 및 저장 경로를 설정하고, 서로 대응되는 매핑 파일 및 모델링 파일의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main edi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ets a name and a storage path of a data linkage project, and sets a path of a mapping file and a modeling fil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establishes a data linkage project. Can be generated.
이와 같은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파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은 서브 런타임 모듈의 맵핑 기능 및 메인 런타임 모듈의 서버 기능의 수행에 사용될 수 있다.Such a data linkage project may be managed as a project file, and the generated project file may be used to perform a mapping function of a sub runtime module and a server function of a main runtime module.
전술한 구성 및 기능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unctions may be variously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by.

Claims (10)

  1.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인 편집 모듈;A main editing module for generating a data linking project;
    스카다 시스템에 대한 스카다 시스템 정보를 API 랩핑(API Wrapping)을 통해 공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편집 모듈로 전달하는 서브 편집 모듈;A sub-editing module for converting skada system information on a skada system into a comm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hrough API wrapping and transferring the skada system information to the main editing module;
    상기 스카다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연계를 위한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런타임 모듈; 및A main runtime module performing a server function for data linkage between the SCADA system and a client; And
    공유 메모리를 통해 상기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값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로 전달하는 서브 런타임 모듈을 포함하는A sub runtime module for transmitting tag values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SCADA system to the main runtime module through a shared memory;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카다 시스템 정보는The SCADA system information is
    태그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ag list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kage system
  3.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 편집 모듈은The main editing module
    상기 서브 편집 모듈로부터 각 스카다 시스템에 대한 스카다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카다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태그 리스트와 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를 생성하는Receive Skada system information for each Skada system from the sub-editing module, and generate the data linkage project using a tag list and a protocol address included in the Skada system information.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과 상기 서브 런타임 모듈은 미리 설정된 메모리 구조를 갖는 공유 메모리를 통해 프로세스 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The main runtime module and the sub runtime module perform inter-process communication through a shared memory having a preset memory structure.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kage system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은The main runtime module
    상기 공유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프로토콜 주소를 업데이트하여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Performing a server function by updating a protocol address based on tag and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hared memory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편집 모듈은The main editing module
    상기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파일; A project fil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ata linked project;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 및 프로토콜 주소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맵핑 파일; 및 A mapping file including mapping information of tags and protocol addresses of the SCADA system; And
    데이터 연계 주소 체계의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는To generate a modeling file that contains modeling information for the data-driven addressing scheme.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7.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인 런타임 모듈은The main runtime module
    상기 프로젝트 파일, 상기 맵핑 파일 및 상기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상기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Performing the server function using the project file,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8.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서브 런타임 모듈은The sub runtime module
    상기 프로젝트 파일, 상기 맵핑 파일 및 상기 모델링 파일을 사용하여 각 스카다 시스템의 태그와 프로토콜 주소를 서로 맵핑하는By using the project file, the mapping file and the modeling file to map tags and protocol addresses of each SCADA system to each other.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9.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브 편집 모듈은The sub editing module
    동적 라이브러리로 이루어지는Made up of dynamic libraries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연계 프로젝트는The data link project
    상기 스카다 시스템과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연계 작업의 작업 단위를 의미하는Means a unit of work of data linkage work between the SCADA system and the client
    데이터 연계 시스템.Data Lineage System.
PCT/KR2019/000612 2018-03-26 2019-01-15 Data linkage system WO2019190035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665A KR102131669B1 (en) 2018-03-26 2018-03-26 Data link system
KR10-2018-0034665 2018-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035A1 true WO2019190035A1 (en) 2019-10-03

Family

ID=6805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612 WO2019190035A1 (en) 2018-03-26 2019-01-15 Data linkag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1669B1 (en)
WO (1) WO201919003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6010A (en) * 2021-08-26 2021-11-26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Link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048A (en) * 2005-02-25 2006-08-30 한국동서발전(주) Mmi appartus and endian transform method for operating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use in power plant
US20060206442A1 (en) * 2005-03-08 2006-09-1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rol systems through java extensions
KR20150040894A (en) * 2012-07-31 2015-04-15 커샘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grid and network management of grid elements
KR20170031541A (en) * 2015-09-11 2017-03-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distribution managing system
KR101757259B1 (en) * 2016-03-14 2017-07-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im based real-time data exchan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659A (en) * 1997-09-11 2000-07-11 Abb Power T&D Company Inc. Automated meter read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048A (en) * 2005-02-25 2006-08-30 한국동서발전(주) Mmi appartus and endian transform method for operating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use in power plant
US20060206442A1 (en) * 2005-03-08 2006-09-1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rol systems through java extensions
KR20150040894A (en) * 2012-07-31 2015-04-15 커샘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grid and network management of grid elements
KR20170031541A (en) * 2015-09-11 2017-03-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distribution managing system
KR101757259B1 (en) * 2016-03-14 2017-07-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cim based real-time data excha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6010A (en) * 2021-08-26 2021-11-26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Link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669B1 (en) 2020-07-08
KR20190112544A (en)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57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by using block chain
WO2013048141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usage history of applications executed between devices
WO2013008994A1 (en) Method for device discovery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
WO2014029111A1 (e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behaviour
WO201206066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 through sms and device therefor
WO2019190035A1 (en) Data linkage system
WO2018101646A1 (en) System for mamaging content playback
WO2013069886A1 (en)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0498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and managing storage of data streams in a surveillance and/or monitoring system
WO2011090284A2 (en) Interworking system among a plurality of distributed virtual worlds using a universally unique distributed object id and method for same
WO2024090932A1 (en) Data loading profi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collected data
WO2022114655A1 (en) Cloud-based 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8043767A1 (en) Data collection method using data agent container and system therefor
WO2013168911A1 (en)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resour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device therefor
WO2022196853A1 (en) Data processing method in distribute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1107389A1 (en) Network system and message security method thereof
WO20210801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identifying affiliation of terminal in cloud environment
WO2022114657A1 (en) Embedded artificial intelligence setting system and method
WO2022114656A1 (en) Embedded artificial intelligenc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WO201115907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bject updates in a home network
WO2024075860A1 (en) Technology for managing video collaboration service
WO2023229138A1 (en) Plc log data file backup system and method
WO2022124467A1 (en) Container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process migration in orchestrator environment
WO2012161438A2 (en)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service,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WO2020085825A1 (en) Method, device, computer-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77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77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