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473A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3473A1
WO2019103473A1 PCT/KR2018/014399 KR2018014399W WO2019103473A1 WO 2019103473 A1 WO2019103473 A1 WO 2019103473A1 KR 2018014399 W KR2018014399 W KR 2018014399W WO 2019103473 A1 WO2019103473 A1 WO 20191034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ent items
content
content item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3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웅
이영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
Priority to US16/762,0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59107A1/en
Publication of WO20191034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34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of various contents on a scree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s classified by content items on a screen, such as news, .
  • the display device collectively refers to a device for displaying a content image on a screen of a self-contained display panel by processing a signal or data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n image processing process.
  • TVs are usually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n intranet for expanding functions.
  • the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broadcast program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VOD contents streamed from a VOD (video on demand) server, web contents provided from an Internet server, game contents provided from a game server .
  • web contents provided from a server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rends such as networking of display devices, linkage with broadcast contents, and activation of SNS, and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a display device.
  • a major example of Web content is news, and the server periodically supplies the collected news articles to the display device.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news article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UI.
  • the display device divides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arranges the content item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news articles in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ly a part of the title and description of the news article is displayed in the content item in the divided area, and when the user selects any content item, the title an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 are displayed in full screen instead.
  • Content items of a news article displayed o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re generall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 layout reflecting the intention of the server or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of the content item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is layout.
  • the images of the news articles displayed in this manner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s articles, such as which news article is the latest article or which news article is more popular I do not.
  • the conventional image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creation of the news for each news article.
  • the user can know the date of the news via the conventional imag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which news is relatively new among the various news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recei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 display unit having a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Determin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ttribute values relating to two or more attribute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a processor for causing the content item to be re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attribute value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This allows the display device to compare the content items intuitively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being displayed on the image in terms of one attribute of the user.
  • the processor may determin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s on a plurality of axes related to the two or more attributes, and position the content item on the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values.
  • the processor can adjust th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item according to an attribute value of another attribute other than the two or more attributes.
  • th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mphasis, highlight, color, transparency, size, and saturation of the content item.
  • the processor may adjust a display state of one area of the content item adjacent to the edge on the screen if a part of the content item is displayed to be out of the edge of the screen.
  • the processor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edge in the content item to become higher as the edge is closer to the edge.
  • the processor may assign a serial numb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store the serial numbers in a cache, and cause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order of the serial numbe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 the processor can sequentially determine a plurality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utterance by compar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with each other, until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is identified.
  •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from the server every predetermined period.
  • the processor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width and a length of the content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ent items received per unit time.
  •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server; Judging attribute values of two or more attribu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rranging each of the content item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value along a different direction on the screen for each of the attributes Displaying an image of the screen; And rearranging the content item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attribute value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 the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f the screen may include: determining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s on a plurality of axes related to the two or more attributes, and arranging the content item on the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values Step < / RTI >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item according to an attribute value of another attribute other than the two or more attributes.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a display state of one area of the content item adjacent to the edge on the screen if a part of the content item is displayed to be out of the edge of the screen.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at least one of a width and a length of the content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tent items received per unit time.
  • a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of a method executable by a processo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server; Judging attribute values of two or more attribu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rranging each of the content item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value along a different direction on the screen for each of the attributes Displaying an image of the screen; And rearranging the content item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attribute value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 FIG. 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news content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news content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from a screen of FIG. 2;
  •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content items in a scree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pularity of a news article and determining a corresponding position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content items over time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yclically displays a part of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a scree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content item by recognizing a user utter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ccording to user utte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ent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of news content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aintains display of some content items according to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widths of content item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 15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110 receives content from various types of content sources, processes the received content, and displays the content image.
  • the display device 110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but a device having a relatively large screen is suitable.
  • a device having a relatively small screen such as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or a mobile phone
  •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ixed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a TV, a digital signage, So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the display device 110 having a relatively large screen.
  • a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10 is implemented as a TV will be described.
  • the display device 110 can display various kinds of contents as images. In addition to displaying images such as broadcasting programs and streaming contents in a full screen, the contents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Interne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10 receives news articles from web contents is described. However, the type of contents can not be limited to news only, and all contents Can be targeted.
  • the display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server 120 as a content source via a network.
  • the server 120 collects news articles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such as newspaper companies.
  • the server 120 may provide the collected news articles to a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 the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may transmit th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provided news articles to the server 120.
  • the server 120 constructs a web page based on news articles and provides a web page service to the users.
  • the user reads the news articles of the provided web page, determines the preference score, recommended recommendation, sharing status, and the like for each news article and feeds the determined result to the server 120.
  • the server 120 collects the news articles thus collected and periodically provides them to the display device 110.
  • the display device 110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when displaying a plurality of news articles on the screen. For example, if there is news content containing a plurality of news articles, the news article is one of the content items of the news content.
  • One content item has various attribute values.
  • a news article has attributes such as creation date and time, popularity degree, preference degree, category, user recommendation number, and the like.
  •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111 has a plurality of attributes.
  • the display device 110 determines attribute values of two or more attributes for each of the content items 111 of the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and displays attribute values So that the content item 111 is rearranged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attribute value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 the display device 110 sets a plurality of axes related to each attribute on the screen.
  • the display device 110 determines values corresponding to attributes of one content item 111 on a plurality of axe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screen and arranges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 111 at a position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values , And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111). Then, the display device 110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content items 111 to be re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changes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111.
  • the display apparatus 110 can provide a user with intuitive perception of the relative relationship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111 by attribute.
  •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news content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news content image on the screen 210.
  • the news content image includes a plurality of article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B7.
  • Each of the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and B7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part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article.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title of the news article, Some content, and popularity of news articles.
  • various design changes can be made as to what kind of information the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and B7 represent, at least a title can be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roughly know the contents of the article. .
  • the display device arranges each content item in the following manner.
  • the display device sets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that make one position on the screen 210 the origin 220. For example, if the origin 220 is set as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screen 210, the horizontal axis is the lower edge of the screen 210,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left edge of the screen 210.
  • the display device assigns predetermined first attributes and second attributes among the various attributes of the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and B7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respectively.
  •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abscissa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first attribute
  •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rdinat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second attribute.
  • the relative date and time of the news article may be based on the date and time when the news article was originally created, or may be an index value assigned when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the news article. If the relative date and time of the news article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axis, the closer the position value is to the origin 220 on the horizontal axis, the newer the article, and the farther the position value is from the origin 220 on the horizontal axis, .
  • the popularity of the news artic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the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times of sharing on the SNS, the recommendation number, or at least two of them, when the article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by the ser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f the popularity of the news article corresponds to the vertical axis, it can be regarded that the closer the position value is to the origin 220 on the vertical axis, the higher the popularity and the lower the popularity is from the origin 220.
  •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a horizontal axis value corresponding to the date and time of one of the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and B7 and a vertical axis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pularity, B1, B2, B3, B4, B5, B6, and B7 are positioned at the positions on the screen.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image of the screen 210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B7 on the screen 210 according to this method.
  • the display device periodically receives news contents from the server.
  • the display device can obtain two types of information from newly received news content: one new news article that has not been received previously and the other a new value of a predetermined attribute of a previously received news article.
  • the newly received content includes new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B7, or the existing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B7).
  • the news content received at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point is compared with the news content received at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point after the first time point, Can be.
  • the popularity of the news article at the second time point may differ from the popularity at the first time point, for news articles included in the news contents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news contents at the second time point.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changed content items B1, B2, B3 , B4, B5, B6, and B7 are rearranged within the screen 210.
  • the user can recognize in real time that the attributes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B7 have changed.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news content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from a screen of FIG. 2;
  •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B2, B3, B4, B5, B6, B7, and B8 are rearranged on the screen 310 based on the content received at the second time point.
  • the display device arranges the newest content item B8 at the left end and the newest content item B8 at the left end instead, And deletes the item B1 (see Fig. 2) from the current screen 310.
  • the content items B2, B3, B4, B5, B6, and B7 that have been displayed are shifted to the right and the rightmost content item B1 is shifted to the right
  • the screen 310 is excluded, and the newest content item B8 is newly arranged at the leftmost position.
  • This change of the screen 310 is because the attribu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date and time of the content items B2, B3, B4, B5, B6, and B7 has changed. Since the attribute values related to the relative date and time of the existing content items B1, B2, B3, B4, B5, B6 and B7 have changed due to the addition of the latest content item B8, The contents items B2, B3, B4, B5, B6, B7, and B8 are repositioned.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content items B2, B3, B4, B5, B3, B4, B5, B6, B7, and B8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d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B2, B6, B7, and B8.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position of the content items B2, B3, B4, B5, B6, B7, B8 arranged on the screen 310 changes according to the updated popularity. For example,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 B4 has increased to 820 in the case of the second time point, compared with 704 in the first time point (see Fig. 2).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content item B4 is also reloca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at at the first viewpoint.
  • the display apparatus provides a user with intuitive perception of the change of the relative date and time and the popularity of the continuously generated news articles.
  •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410 the display apparatus receives cont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from the server.
  •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attribute values of two or more attributes for one conten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ttribute values along different directions on the screen for each attribute.
  • step 440 the display device places the content item at the determined position.
  • step 450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other content item to be displayed. If there is another content item that is not arranged, the display device moves to step 402 for the content item.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of the screen on which the content items are arranged in step 460.
  • step 470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attribute value of at least one content item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nge in the attribute value, the display device maintains the current display state.
  • the display device reloca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attribute value.
  • the display device can provide real-time change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change of the attribute value of each content item.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content items in a screen.
  • the display device arranges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in a screen 510.
  • Each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have the same width, but have different widths depending on their contents.
  • the total number of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510 varies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and the width of the screen 510,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 one content item 521, 522, and 523 may be classified into, for example, a popularity score in which the popularity of the article is represented by numbers, a Title Area in which the title of the article is displayed, It can be divided into a text area where a part is displayed. This distinction is not limited, and may be determined in the design stage of the display device or in various forms by the user's adjustment.
  • the height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in the screen 510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opularity of the corresponding news article.
  • the height in the screen 510 corresponds to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dge 511 of the screen 510. That the content items 521 are arranged in the screen 510 at a high level is close to the top edge 512 of the screen 510 and that the content items 523 are arranged low in the screen 510 Which means that it is arranged close to the lower edge 511 of the screen 510.
  • the display device sets the maximum height and the minimum height in arranging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and arranges the reference positions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maximum height and the minimum height Limit as much as possible.
  • the maximum height and the minimum height are based on the lower edge 511 of the screen 510.
  • the reference positions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may be the upper edges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for example.
  • the display device restricts the upper edge of the content item 521 from approaching the upper edge 512 of the screen 510 within a predetermined margin, no matter how high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 521 is. Also, the display device limits the upper edge of the content item 523 to the lower edge 511 of the screen 510 within a predetermined margin, no matter how low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 523 is. That is, the upper edges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are disposed between the predetermined maximum height and the minimum height.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cy adjustment area on the lower edge (511).
  • the display device allows the transparency adjustment area to be completely transparent at the lower edge 511 of the screen 510, that is, to have transparency of 100.
  • transparency in the transparency adjustment region can be determined as follows.
  • edge0 is the height of the lower edge of the transparency adjustment area
  • edge1 is the height of the upper edge of the transparency adjustment area
  • [x (height-edge0) / (edge1-edge0)].
  • the 'height' in this formula refers to the height of the target position.
  • the transparency of the object position is 3 (x ⁇ 2) -2 (x ⁇ 3) when 0 ⁇ x? 1, 0 when x? 0 and 1 when x>
  • this method is only one example, and therefore, the method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perceive the meaning, such as an arrow pointing downward, in an area in the content item 522 that is close to the lower edge 511 of the screen 510 Lt; / RTI >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image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ent item 522 and intuitively know that a part of the content item 521, 522, 523 is below.
  • the display apparatus determines the height of each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according to the popularity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and determines the height of each of the content items 521, 523 are arranged on the screen 510. [ Hereinafter,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pularity of each of the content items 521, 522, and 523 will be described.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pularity of a news article and determining a corresponding position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apparatus can calculate the popularity of the news article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metadata provided from the server regarding the news article.
  • the popularity calculated by the server may be used without calculating the popularity of the display device.
  • the case where the display apparatus calculates the popularity will be described.
  • a news article related to popularity for example, a number of hits indicating how many people viewed the news article, a number of shares indicating how many people shared the news article with others, The number of referrals indicating how many people have recommended, the number of criticisms indicating how many people have criticized the news articles, and the average number of grants indicating the average of the scores given by people to news articles.
  • the display device receives metadata from the server (610), the display device selects one or more attributes (620) from those attributes obtained from the metadata.
  • the display device can select only one attribute, select two attributes, and select all possible attributes. 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a plurality of attributes are selected will be described.
  • the display device multiplies the selected plurality of attributes by weights (630).
  • w i is the weight
  • i property is property value for the property. For example, if two attributes of a first attribute having a first attribute value and a second attribute having a second attribute value are selected, a weight for the first attribute is a first weight, a weight for the second attribute is a second weight ,
  • the popularity of the daily news article can be calculated by [(first weight * first attribute value) + (second weight * second attribute value)].
  • the weights for each attribute are applied to the preset values.
  •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e height, i.e., the position, of the content item of the news article i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popularity (640).
  • MaxPopularityScore is the highest popularity among all the content item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 MinPopularityScore is the lowest popularity among all the content item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 PopularityScore is the object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 For example, if there are seven content items to display on the screen, MaxPopularityScore is the highest popularity of each of these seven content items, and MinPopularityScore is the least popular.
  • 'height' is the height of the content item to be targeted
  • MaxHeight is the maximum height at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content item can be placed
  • MinHeight is the minimum height at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content item can be placed.
  • H (t) is a height determination function and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a quadratic function and a cubic function.
  • the display device places the content item i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height (650).
  • the display device arranges all the content items to be targeted i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screen image.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content items over time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has a cache 710 for storing content items in a memory, a storage unit, or a buffer.
  • the cache 710 has a slot in which a content item is stored, and one content item is stored in one slot. For example, since the cache 710 has 10 slots from 0 to 9, it can store a maximum of 10 content items.
  •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receives the seven content items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H6 and H7 at the time point T1, the content items are filled in from the 0th slot Start.
  • the display device starts to fill the most advanced content item H1 from the slot 0, and fills the content items H1 to H7 from slot 0 to slot 6, respectively.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content items stored in each slot on the screen 720 in this way.
  • the method of displaying each content item on the screen 720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s.
  • the display device receives the updated content. If new content item H8 is included in the updated content, the display device fills content item H8 in an empty slot of cache 710. Prior to the time point T2, the display device is filled with the content item H8 in the slot 7, since the slots 0 to 6 are filled with the content items and the slots 7 to 9 are empty.
  • the display device relocates the content items in the screen. Since the content item H8 that did not exist at the time point T1 has newly occurred, the display device places the content item H8 at the leftmost side of the screen 720. [ The display device deletes the oldest content item H1 on the screen 720 at the time point T1 and moves the content items H2 to H7 to the right. Thus, on the screen 720 at the time point T2, the content item H2 whose age is the oldest among the content items H2 through H8 is arranged on the rightmost side of the screen 720, and the content items H3 through H8 are sequentially arranged toward the left.
  • the display device can rearrange the positions of the content items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content.
  • a new content item may be received in various ways.
  • the display device can fill the slot with new content items after all the slots of the cache 710 have been emptied .
  • the display device may empty the slots from the slot 0 to the slot N in the cache 710, refill the content items from the (N + 1) -th slot to the M-th slot again from the slot 0, You can also fill in an empty slot.
  • M is N is a natural number
  • M is the last number of the slot
  • N is a number equal to or smaller than M.
  •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a screen for every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such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yclically displays a part of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a screen.
  • the display device has slots 0 to 9 for storing content items in the cache 810.
  • the number of slot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lots does not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seven content items on the screen, it selects content items from slot 0 to slot 6 at a predetermined first point, and displays content items H1 to H7 on the screen.
  • the display device selects new slots by adding a predetermined natural number, for example, 1, to each slot number selec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That is, if 1 is added to the index number of the 0th slot, it is 1 slot. If 1 is added to the index number of the 1th slot, the slot number is 2, and when 1 is added to the index number of the 6th slot,
  • the display apparatus selects a content item from slot 1 to slot 7 at a second time point after the first point in time, and selects a content item from slot 2 to slot 8 at a third time point after the second point in time. And selects a content item from slot 3 to slot 9 at a fourth point in time after the third point in time.
  • Slot 9 is the slot of the last index number in cache 810.
  • the slot after the 9th slot is the slot number 0 which is the first index number.
  • the display device selects the content items from the 4th slot to the 9th slot and the 0th slot at the fifth time point after the fourth point in time.
  • the display device selects slots filled with the content item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displays the content items of the selected slot on the screen. Since the display method of the content items can be applied to the above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content items of each news article of the news content.
  • the display device switches the screen to the main page of the news article of the selected content item and displays the scree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content item by recognizing a user utter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four content items H1, H2, H3, and H4 on the screen 910 at a time point T1.
  • Each content item has a title, the title of the content item H1 is' CB D ', the title of the content item H2 is' AB E', the title of the content item H3 is' AC D ', the title of the content item H4 is' AB C 'to be.
  • 'A', 'B', etc. constituting each title are predetermined words, but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 and C can be any words.
  • the display device identifies the content item of the title including the word 'A' uttered by the user out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and H4 at the time point T2 after the time point T1.
  • titles of content items H2, H3, and H4 include the word 'A'.
  • the display device can notify the user of the current state by highlighting or highlighting the word 'A' in the titles of the content items H2, H3, and H4.
  • emphasis or highlighting of a word may not be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depending on the designing method.
  • th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utters the word 'B' following the word 'A',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new word 'B' among the content items H2, H3 and H4 including the word 'A' at the time point T3 after the time point T2 And identifies the content item of the title to be reproduced.
  • the content items H2 and H4 include the words 'A' and 'B', and the display device highlights the words 'A' and 'B' in the titles of the content items H2 and H4.
  • th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utters the word 'C' following the words 'A' and 'B',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new content items H2 and H4 including the words 'A' and 'B' at the time point T4 after the time point T3 And identifies the content item of the title including the word " C ".
  • the display device since only a single content item H4 includes the words 'A', 'B' and 'C', the display device automatically selects the content item H4 and switches the screen 910 to the content image of the content item H4 .
  • the display device selects the content item when the content item of the title including the words to be uttered by the user converges to one. Thereby, the display device can select a content item instructed by the user's utterance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 the display device identifies a word within the title of the content item.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itle of the content item but may identify the word within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tem.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ccording to user utte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101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f the content.
  • step 1020 the display device acquires the recognized first word according to the user utterance.
  • step 1030 the display device identifies a content item including a first word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 step 1040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d content item is one.
  • the display device selects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 in step 1050.
  • the display device acquires the next recognized word according to the user utterance in step 1060.
  • step 1070 the display device identifies a content item including the acquired word among the content items including the previous word.
  • step 1080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d content item is one.
  • step 1050 the display apparatus proceeds to step 1050.
  • step 1060 is performed.
  • the display device can easily select the content item according to the user's utterance.
  •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an image of a screen in which a new attribute is additionally reflected in this screen state.
  • a new attribute is additionally reflected in this screen state.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ent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related to a plurality of news articles of news contents on the screen 1110.
  • the display device sets the vertical axis related to the date and time of the news article and the vertical axis related to the popularity of the news article on the screen 1110 and sets the vertical axi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news article according to the attribute value of each content item H1, H2, H3, H4, H5, And displays the items H1, H2, H3, H4, H5, and H6 on the screen 1110.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date and time of the news and the popularity of the news in a position where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110, , H2, H3, H4, H5, H6).
  • the display states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include highlighting or highlighting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H6, H2, H3, H4, H5, and H6 of the content items H1, H2, H5, H6, and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 H3, H4, H5, H6).
  • the display device judges or adjusts the display states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according to the preset settings.
  • news articles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such as politics, society, sports, life, leisure, etc., and each category has a corresponding color set.
  • the display device judges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in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ategory .
  • the political category is set to a predetermined first color
  • the social category is set to the second color
  • the sports category is set to the third color
  • the items H2 and H5 are displayed in the second color
  • the content items H1, H4 and H6 in the sports category are displayed in the third color, respectively.
  •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which content item H1, H2, H3, H4, H5, and H6 of which category is popular through the image of the screen 1110.
  • the rise rate of popularity of news is low among news articles with high popularity, there is also a case where the rate of increase in popularity is rapid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social interest.
  • the rising speed of the popularity can be expressed as a change amount of the popularity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f it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can be judged that the popularity increases rapidly.
  • H3, H4, H5, and H6 of the content items Highlight.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 H1, H2, H3, H4, H5, and H6 is a news article currently socially attracting attention.
  • the display device may add additional images to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It is also possible to indicate additional attributes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through the corresponding image. For example, in order to express a sharp increase in popularity, an image of a red arrow having high attention can be added to a number representing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H1, H2, H3, H4, H5, and H6.
  • the origin of the axes related to the attribute is formed at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screen
  • the horizontal axis is the lower edge of the screen
  • the vertical axis is formed at the left edge of the screen.
  • it is not limited in which position the origin and the axis are formed on the screen, and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are possible. Hereinafter, such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of news content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1230 on the screen 1210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screen 1210.
  • the display device has a first axis 1221 directed to the upper right vertex of the screen 1210 from the origin 1220 and a second axis 1221 directed to the lower right vertex of the screen 1210 with an origin 1220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creen 1210.
  • the attribut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210 is the date and time of the content item 1230 and the category of the content item 1230.
  • the most up-to-date content item 1230 is located on the origin 1220 or near the origin 1220 and the old content item 1230 is closer to the origin 1220, As shown in Fig.
  • the first axis 1221 is a political category
  • the second axis 1222 is an economic category
  • the third axis 1223 is a culture category
  • the display device places the content item 1230, which is a culture category, on the third axis 1223, and the content item 1230, which is an art category, places on the fourth axis 1224.
  • the latest content items 1230 are gathered close to the origin 1220, but the content items 1230 are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for each category as time elapses.
  •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flow of articles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1230 by category.
  •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re mov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with time, and the oldest content item among the displayed content items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aintains display of some content items according to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 the screen 131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1311 and a second area 1312.
  • the display device arranges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H15, H16, H17, and H18 in the first area 1311 according to the date and popularity, and updates the attribute values over time Reflect.
  • the operation for the first area 131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 the second region 131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egion 1311,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region 1312 is not limited to one.
  • the second area 1312 displays content items H1 and H4 whose popularity level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mong the content item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311 at the previous time point.
  • the content items in the first area 1311 are replaced by the updated latest content items in the first area 1311.
  • the content items H1 and H4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area 1312 and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view the popular content items H1 and H4 among the previously displayed content items that are no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311 at this time.
  • the number and the display time of the content items H1 and H4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312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 the form in which the content items H1 and H4 ar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312 may be similar to the first area 1311 or may be independent of the first area 1311. [
  • the number of content items that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within the screen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content items.
  • the width of a content item has a value is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width of the content item according to a specific condition, and such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widths of content item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 the display device displays five content items 1411 on the screen 1410 at a time point T1, for example, each having a width W1.
  •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applied,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display device adjust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content item 1421 from W1 to W2 in accordance with whether or not a specific condition has occurred in rearranging the content items 1421 on the screen 1420 at a time point T2 after the time point T1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after the time point T2 does not correspond to the above condition, the display device can return the width of the content item 1411 to the original W1 as the screen 1410 at the time point T1.
  • the condition that the width of the content item 1421 at the time point T2 is reduced from the original width W1 to the width W2 may be various.
  • the display device may reduce the width of a content item corresponding to a popularity distribution or a variation in popularity of content items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the content items in the first time period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present time when there is a first time period continuous in time and a second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point.
  • the display device increases the number of content items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content items, thereby causing the content items in the previous time section to be additionally displayed.
  • the popularity distribution of the content items in the first time period For example, if the average of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in the first time period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opularity distribution of the content items in the first time period is high. If the average of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in the first time interval i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popularity of the content items in the second time interval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content item in the second time interval, The distribution of popularity of content items is high.
  • the display device reduces the horizontal axis of the in-screen content item, and if the number of content items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The horizontal axis of the content item is not reduced. That is, if the number of news articles received per unit time is large, the display device reduces the width of the news article so that more news article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This allows the display device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when the user receives a larger number of news articles than usual.
  • 15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ceiving unit 1511 is a communication circuit including a data input / output interface in which communication modules or ports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protocols are combined.
  • the receiving unit 1511 basically receives the content signal from the server 1520, but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both directions.
  • the receiving unit 15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server 1520 through various kind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the display unit 1512 includes a display panel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screen.
  • the display panel is provided with a light-emitting structure such as a liquid crystal type or a self-luminous structure such as an OLED type.
  • the display unit 1512 may include a backlight unit that supplies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liquid crysta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anel driving board for driving the panel is added.
  • the speaker 1513 outputs the audio signal acoustically.
  • the speaker 1513 includes unit speakers corresponding to audio data of an audio channel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peakers corresponding to audio data of a plurality of audio channels.
  • the user input unit 1514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or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1517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r input.
  • the user input unit 1514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 the user input unit 1514 may display a key installed outside the display device 1510, a touch screen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1512, Or various user interface environments installed on the display device 1510 such as a camera, a sensor for sensing, and the like.
  • the user input 1514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1510.
  • the microphone 1515 generates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utteranc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udio signal to the processor 1517 when a user utterance is input.
  • the storage unit 1516 is accessed by the processor 1517 and operations such as reading, writing, modifying, deleting, and updating data ar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517.
  • the storage unit 1516 may be a flash memory, a hard-disc drive, a solid-state drive (SSD), or the like capable of storing data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510 is provided And a volatile memory such as a buffer, a RAM and the like in which data for processing is loaded.
  • the processor 1517 processes the content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511 so that the conten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2.
  • the processor 1517 extracts image data from the content signal, decodes the image data, and outputs the decoded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1512.
  • the processor 1517 includes a hardware processor implemented by a CPU, a chipset, a buffer, a circuit, and the lik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according to a design method.
  • the processor 1517 includes modules corresponding to various processes such as a demultiplexer, a decoder, a scaler, an audio DSP, an amplifier, etc., and some of them may be implemented in SOC.
  • a module related to image processing such as a demultiplexer, a decoder, and a scaler may be implemented as an image processing SOC
  • an audio DSP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set from the SOC.
  • the processor 1517 can display an image of a conten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the display unit 1512 by processing the content from the server 1520,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 the method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a memory such as a RAM, a memory chip, a device, or an integrated circuit, whether removable or rewritable.
  •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such as a CD, a DVD, a magnetic disk, or a magnetic tape, as well as bein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 the memor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programs or programs contain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수신부와; 영상을 표시 가능한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하고, 각 속성 별로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이 재배치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속성 별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화면 상에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뉴스와 같이 컨텐츠 아이템 단위로 분류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 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써,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통칭하며, 일반 가정에서의 예시로는 TV가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의 종류 및 특성은 확장되어 가는 추세이며, 특히 TV는 기능의 확장을 위해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 VOD(video on demand)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VOD 컨텐츠,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 컨텐츠, 게임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컨텐츠 등이 있다.
특히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네트워크화, 방송 컨텐츠와의 연계, SNS의 활성화 등의 트렌드에 따라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웹 컨텐츠의 주요 예시로는 뉴스가 있으며, 서버는 수집된 뉴스 기사들을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에 공급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뉴스 기사들을 UI의 형태로 화면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개별 뉴스 기사에 대응하는 컨텐츠 아이템들을 복수의 분할된 영역에 배치한다. 분할된 영역 내의 컨텐츠 아이템에는 뉴스 기사의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의 일부만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어느 한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 아이템의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전체가 풀스크린으로 대체 표시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뉴스 기사의 컨텐츠 아이템들은 대체로 서버 또는 콘텐츠 제공자의 의도가 반영된 레이아웃에 따라서 배치되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레이아웃에 따라서 배치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표시되는 뉴스 기사들의 영상은, 어느 뉴스 기사가 보다 최신 기사인지 또는 어느 뉴스 기사가 보다 인기도가 높은지 등에 관한 뉴스 기사들 사이의 상대적 관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제공하고 있지 못한다. 날짜의 예를 들면, 종래의 영상은 각 뉴스 기사 별로 뉴스의 생성 날짜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을 통해서 사용자는 해당 뉴스의 날짜는 알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고 있는 여러 뉴스 중에서 어느 뉴스가 상대적으로 보다 신규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 컨텐츠 아이템들에 대해, 각 컨텐츠 아이템들 사이의 상대적인 비교 관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수신부와; 영상을 표시 가능한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하고, 상기 각 속성 별로 상기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상기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재배치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에 표시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에 대해, 사용자가 일 속성의 측면에서 직관적으로 각 컨텐츠 아이템들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복수의 축 상에서 상기 속성들에 각기 대응하는 값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값들에 의한 상기 화면 상의 위치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둘 이상의 속성 이외의 타 속성에 관한 속성값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 상태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강조, 하이라이트, 컬러, 투명도, 크기,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부가 상기 화면의 에지 밖으로 벗어나도록 표시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 영역의 표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서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영역의 투명도가 상기 에지에 근접할수록 높아지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캐시에 저장하며, 소정 주기에 따라서 상기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순환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발화의 하나 이상의 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식별될 때까지, 상기 발화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단어를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에 대비시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한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단위시간 당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폭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하고, 상기 각 속성 별로 상기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상기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복수의 축 상에서 상기 속성들에 각기 대응하는 값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값들에 의한 상기 화면 상의 위치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속성 이외의 타 속성에 관한 속성값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부가 상기 화면의 에지 밖으로 벗어나도록 표시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 영역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재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캐시에 저장하며, 소정 주기에 따라서 상기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순환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발화의 하나 이상의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위시간 당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폭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의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하고, 상기 각 속성 별로 상기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상기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뉴스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뉴스 컨텐츠 영상이 도 2의 화면으로부터 변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내에 컨텐츠 아이템을 배치하는 구조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뉴스 기사의 인기도를 산출하고 화면 상에서의 대응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주기적으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중 일부를 순환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발화를 인식하여 어느 한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발화에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뉴스 컨텐츠의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텐츠 아이템의 인기도에 따라서 일부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의 가로폭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영상을 표시 가능한 제반 장치를 포함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가진 장치가 적합하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을 가지는 장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상은 TV, 디지털 사이니지, 전자액자 등과 같이 고정된 설치 위치를 가지고 비교적 큰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110)에 보다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1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방송 프로그램이나 스트리밍 컨텐츠와 같은 영상을 풀스크린으로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인터넷을 통해 웹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웹 컨텐츠 중에서 뉴스 기사를 수신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컨텐츠의 종류는 뉴스만으로 한정할 수 없으며, 복수의 카테고리 또는 컨텐츠 아이템 별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컨텐츠가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힌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소스로서의 서버(120)에 접속된다. 서버(120)는 신문사와 같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뉴스 기사들을 수집한다. 서버(120)는 수집된 뉴스 기사들을 복수의 불특정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불특정한 사용자는 제공받은 뉴스 기사들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20)는 뉴스 기사들을 기반으로 웹 페이지를 구축하여, 사용자들에게 웹 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뉴스 기사들을 읽고, 각 뉴스 기사에 대한 선호도 점수, 추천 여부, 공유 여부 등을 결정하여 서버(120)에 피드백한다. 또한, 서버(120)는 이와 같이 수집된 뉴스 기사를 모아서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에게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복수의 뉴스 기사를 화면 상에 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뉴스 기사를 포함하는 뉴스 컨텐츠가 있다고 할 때, 뉴스 기사는 뉴스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템 중 하나이다.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은 다양한 속성의 값을 가지는 바, 예를 들면 뉴스 기사는 기사의 생성일시, 인기도, 선호도, 카테고리, 사용자 추천 수 등의 속성을 가진다.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111)은 각기 복수의 속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템(111)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결정하고, 각 속성 별로 화면 상의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서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 컨텐츠 아이템(111)이 배치되도록 표시하며,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111)이 재배치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화면 상에서 각 속성에 관한 복수의 축을 설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복수의 축 상에서 일 컨텐츠 아이템(111)의 속성에 각기 대응하는 값들을 판단하고, 해당 값들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에 해당 컨텐츠 아이템(111)이 배치되도록 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111)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10)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111)의 속성 변화에 대응하여 각 컨텐츠 아이템(111)의 위치가 재배치되도록 조정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사용자가 속성 별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111)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뉴스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210) 상에 뉴스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뉴스 컨텐츠 영상은 복수의 기사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들을 포함한다. 각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은 해당 기사에 관한 내용 중 일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뉴스 기사의 타이틀의 적어도 일부와, 뉴스 기사 즉 디스크립션의 일부 내용, 뉴스 기사의 인기도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이 어떠한 정보를 나타내는지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지만, 적어도 사용자가 해당 기사가 무엇에 관한 내용인지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도록, 타이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컨텐츠 아이템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210) 상의 일 위치를 원점(220)으로 하는 가로축 및 세로축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원점(220)이 화면(210)의 좌하측 꼭지점으로 설정된다면, 가로축은 화면(210)의 하측 에지가 되고, 세로축은 화면(210)의 좌측 에지가 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여러 속성 중에서 소정의 제1속성 및 제2속성을 가로축 및 세로축에 각각 할당한다. 이 경우에, 가로축 상의 소정 위치는 제1속성의 소정 값에 대응하며, 세로축 상의 소정 위치는 제2속성의 소정 값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속성 중에는 뉴스 기사의 상대적 일시와 뉴스 기사의 인기도가 있다. 뉴스 기사의 일시는 뉴스 기사가 최초 생성된 일시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가 뉴스 기사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부여한 인덱스 값일 수도 있다. 뉴스 기사의 상대적 일시가 가로축에 대응한다면, 위치값이 가로축 상에서 원점(220)에 가까울수록 최신 기사이며, 위치값이 가로축 상에서 원점(220)에서 멀어질수록 오래된 기사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뉴스 기사의 인기도는, 해당 기사가 서버에 의해 복수의 불특정한 사용자에게 제공되었을 때에, 해당 기사에 부여된 사용자 점수, 조회수, SNS 상에서의 공유 회수, 추천 수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기반하여 산출된 점수가 될 수 있다. 뉴스 기사의 인기도가 세로축에 대응한다면, 위치값이 세로축 상에서 원점(220)에 가까울수록 인기도가 높으며 원점(220)에서 멀어질수록 인기도가 낮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일시에 대응하는 가로축 상의 값과 인기도에 대응하는 세로축 상의 값을 판단하고, 두 값이 교차하는 화면(210) 상의 위치에 해당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을 배치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을 화면(210) 상에 배치하고, 화면(210)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된 영상은,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 사이의 속성 별 비교가 직관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화면(210)에 표시되는 복수의 일곱 개의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 중에서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 컨텐츠 아이템(B5)이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표시된 모든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 중 해당 컨텐츠 아이템(B5)의 인기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는 주기적으로 서버로부터 뉴스 컨텐츠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새로 수신되는 뉴스 컨텐츠로부터 두 가지 형태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데, 하나는 이전에 수신되지 않은 새로운 뉴스 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이전에 수신되었던 뉴스 기사의 소정 속성의 새로운 값이다. 즉, 새로 수신되는 컨텐츠는 이전 시점에 수신된 컨텐츠에 비해,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을 포함하거나, 기존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새로운 속성값을 포함한다.
전자의 경우에, 소정의 제1시점에 수신되는 뉴스 컨텐츠와, 제1시점 이후의 소정의 제2시점에 수신되는 뉴스 컨텐츠를 비교하면, 상호 중복되는 뉴스 기사 이외에 제2시점에만 있는 뉴스 기사가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제1시점의 뉴스 컨텐츠 및 제2시점의 뉴스 컨텐츠에 모두 포함되는 뉴스 기사에 대해, 제2시점에서의 해당 뉴스 기사의 인기도가 제1시점에서의 인기도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새로 수신되는 컨텐츠에 기반하여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속성이 변화하였다면, 변화된 속성을 반영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위치가 화면(210) 내에서 재배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속성이 변화하였음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컨텐츠 아이템(B1, B2, B3, B4, B5, B6, B7)의 재배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뉴스 컨텐츠 영상이 도 2의 화면으로부터 변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점에 수신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화면(310) 상에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B2, B3, B4, B5, B6, B7, B8)을 재배치한다. 제2시점에 수신된 컨텐츠가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B8)을 포함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일시가 가장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B8)을 좌측 끝에 배치하고, 대신에 이전의 도 2의 화면에서 가장 일시가 오래된 컨텐츠 아이템(B1, 도 2 참조)을 현재 화면(310)에서 삭제한다. 현재 화면(310)을 앞선 도 2의 화면과 비교하면, 기존에 표시되었던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이 우측으로 이동하며, 최우측의 컨텐츠 아이템(B1)은 화면(310)에서 제외되고, 가장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B8)이 가장 좌측에 새로 배치된다.
이러한 화면(310)의 변화는,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의 상대적 일시에 해당하는 속성값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최신 컨텐츠 아이템(B8)이 추가됨으로써 기존 컨텐츠 아이템들(B1, B2, B3, B4, B5, B6, B7)의 상대적 일시에 관한 속성값들이 변화하였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속성값의 변화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 B8)의 위치를 재조정한다.
한편, 제2시점에 수신된 컨텐츠가 기존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의 변화된 인기도를 포함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 B8) 별로 변화된 인기도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 B8)의 세로축 상의 값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B2, B3, B4, B5, B6, B7, B8)은 업데이트된 인기도에 따라서 화면(310) 상에서 배치되는 위치의 높낮이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아이템(B4)의 인기도는, 앞선 제1시점의 경우에는 704 였던 것에 비해(도 2 참조), 현재 제2시점의 경우에는 820 으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B4)의 높이 또한 제1시점의 경우에 비해 높아진 위치에 재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계속적으로 생성되는 뉴스 기사의 상대적인 일시 및 인기도의 변화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 일 컨텐츠 아이템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한다.
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속성 별로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판단한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판단한다.
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츠 아이템을 판단한 위치에 배치한다.
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할 다른 컨텐츠 아이템이 있는지 판단한다. 배치되지 않은 다른 컨텐츠 아이템이 있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츠 아이템에 대해 402 단계로 이행한다.
필요한 모든 컨텐츠 아이템의 배치가 끝났다면, 4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된 화면의 영상을 표시한다.
4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의 수신되는 컨텐츠의 업데이트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속성값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성값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속성값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하면, 4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화면 상에서 해당 컨텐츠 아이템을 재배치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 별 속성값의 변화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내에 컨텐츠 아이템을 배치하는 구조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510) 내에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을 배치한다. 각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은 상호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반면, 각각의 내용에 따라서 상이한 세로폭을 가진다. 화면(510)에 표시될 수 있는 총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수는 각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가로폭 및 화면(510)의 가로폭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그 수가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뉴스 컨텐츠의 경우에,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은 예를 들면 기사의 인기도가 숫자 등으로 표시되는 Popularity score, 기사의 타이틀이 표시되는 Title Area, 기사의 본 내용인 디스크립션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Text Area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한정된 것이 아니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은 해당 뉴스 기사의 인기도에 대응하여 화면(510) 내에서의 높이가 결정된다. 여기서 화면(510) 내에서의 높이는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대응한다. 즉, 컨텐츠 아이템(521)이 화면(510) 내에서 높게 배치된다는 것은 화면(510)의 상측 에지(51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는 것이며, 컨텐츠 아이템(523)이 화면(510) 내에서 낮게 배치된다는 것은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에 근접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뜻한다.
다만,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을 배치함에 있어서 최고 높이 및 최저 높이를 설정하고,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기준 위치가 최고 높이 및 최저 높이 사이를 벗어나지 않게 배치되도록 제한을 둔다. 최고 높이 및 최저 높이는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를 기준으로 한다.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기준 위치는 예를 들면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상측 에지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521)의 인기도가 아무리 높더라도, 컨텐츠 아이템(521)의 상측 에지가 화면(510)의 상측 에지(512)에 소정의 마진 이내로 근접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523)의 인기도가 아무리 낮더라도, 컨텐츠 아이템(523)의 상측 에지가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에 소정의 마진 이내로 근접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즉,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상측 에지는, 기 설정된 최고 높이 및 최저 높이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뉴스 기사의 내용에 따라서는 컨텐츠 아이템(522)의 일부가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를 넘어가는 경우, 즉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이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에 걸쳐져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522)의 일부가 현재 화면(510)에 나타나 있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알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한 가지 방법으로서,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컨텐츠 아이템(522)의 영역을 투명도 조정 영역이라고 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투명도 조정 영역의 투명도를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에 근접할수록 단계적으로 높아지게 조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투명도 조정 영역이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에서 완전히 투명해지도록, 즉 투명도가 100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투명도 조정 영역에서의 투명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edge0은 투명도 조정 영역의 하측 에지의 높이이고, edge1은 투명도 조정 영역의 상측 에지의 높이라면, [x=(높이-edge0)/(edge1-edge0)]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수식에서의 '높이'는 대상 위치의 높이를 지칭한다. 대상 위치의 투명도는, 0<x≤1인 경우에 3(x^2)-2(x^3), x≤0인 경우에 0, x>1인 경우에 1이 된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한 가지 예시에 불과하므로, 투명도의 조정 방법이 본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522)에서 화면(510)의 하측 에지(511)에 근접하는 일 영역에, 아랫방향을 향하는 화살표와 같이 사용자가 그 의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아이템(522)의 하측에 해당 이미지가 있는 것을 인지하고,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 일부가 그 아래에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인기도에 따라서 각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들의 높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높이에 맞게 각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을 화면(510)에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컨텐츠 아이템(521, 522, 523)의 인기도를 산출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뉴스 기사의 인기도를 산출하고 화면 상에서의 대응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뉴스 기사에 관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메타데이터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뉴스 기사의 인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인기도를 산출하지 않고, 서버에 의해 산출된 인기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인기도를 산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인기도와 관련된 뉴스 기사의 속성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 바, 예를 들면 뉴스 기사를 얼마나 많은 사람이 조회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조회수, 뉴스 기사를 얼마나 많은 사람이 타인과 공유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공유 회수, 뉴스 기사를 얼마나 많은 사람이 추천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추천 회수, 뉴스 기사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비판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판 회수, 뉴스 기사에 대해 사람들이 부여한 점수들의 평균을 나타내는 부여 점수 평균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 메타데이터가 수신되면(610),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한 이들 속성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속성을 선택한다(620). 디스플레이장치는 하나의 속성만을 선택할 수 있고, 두 속성을 선택할 수 있고, 가능한 모든 속성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속성이 선택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된 복수의 속성들에 가중치를 곱해서 총합한다(630). 도면의 수식에서 PopularityScore는 뉴스 기사의 인기도, wi는 속성에 대한 가중치, propertyi는 속성값이다. 예를 들면 제1속성값을 가진 제1속성 및 제2속성값을 가진 제2속성의 두 속성이 선택되었고, 제1속성에 대한 가중치가 제1가중치, 제2속성에 대한 가중치가 제2가중치라면, 일 뉴스 기사의 인기도는 [(제1가중치*제1속성값)+(제2가중치*제2속성값)]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각 속성 별 가중치는 사전에 설정된 값이 적용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산출된 인기도에 따라서, 화면 내에서 뉴스 기사의 컨텐츠 아이템의 높이, 즉 위치를 판단한다(640). 도면의 수식에서 MaxPopularityScore는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모든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 중에서 가장 높은 인기도이며, MinPopularityScore는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모든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 중에서 가장 낮은 인기도이며, PopularityScore는 대상이 되는 컨텐츠 아이템의 인기도이다.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 아이템이 7개이면, MaxPopularityScore는 이 7개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의 인기도 중에서 가장 높은 인기도이며, MinPopularityScore는 가장 낮은 인기도이다.
수식에서 '높이'는 대상이 되는 컨텐츠 아이템의 높이이며, MaxHeight는 컨텐츠 아이템의 기준 위치가 배치될 수 있는 최고 높이, MinHeight는 컨텐츠 아이템의 기준 위치가 배치될 수 있는 최저 높이이다. H(t)는 높이 결정 함수로서, 2차함수, 3차함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높이에 맞게 컨텐츠 아이템을 화면 내에 배치한다(650). 디스플레이장치는 대상이 되는 모든 컨텐츠 아이템을 화면 내에 배치하고, 화면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시간 경과에 따라서, 화면 상에 각 컨텐츠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모리, 저장부 또는 버퍼에 컨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하기 위한 캐시(cache)(710)를 가진다. 캐시(710)는 컨텐츠 아이템이 저장되는 슬롯(slot)을 가지며, 하나의 슬롯에는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캐시(710)는 0번부터 9번까지 10개의 슬롯을 가지므로, 최대 10개의 컨텐츠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시점 T1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템 H1, H2, H3, H4, H5, H6, H7의 7개 컨텐츠 아이템을 수신하면, 컨텐츠 아이템들 중에서 일시가 앞서는 순서대로 각 컨텐츠 아이템을 0번 슬롯부터 채우기 시작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일시가 가장 앞선 컨텐츠 아이템 H1을 0번 슬롯부터 채우기 시작하며, 컨텐츠 아이템 H1부터 H7을 0번 슬롯부터 6번 슬롯까지 각각 채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와 같이 각 슬롯에 저장된 컨텐츠 아이템들을 화면(720) 상에 표시한다. 각 컨텐츠 아이템들을 화면(720)에 표시하는 방법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시간적으로 시점 T1 이후의 시점 T2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업데이트된 컨텐츠 중에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 H8이 포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캐시(710)의 빈 슬롯에 컨텐츠 아이템 H8을 채운다. 시점 T2 이전에는 0번 슬롯부터 6번 슬롯까지는 컨텐츠 아이템들에 의해 채워지고 7번 슬롯부터 9번 슬롯까지 빈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7번 슬롯에 컨텐츠 아이템 H8을 채운다.
이와 같이 캐시(710)의 저장 상태가 업데이트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내에서 컨텐츠 아이템들을 재배치시킨다. 시점 T1에서 없었던 컨텐츠 아이템 H8이 새로 발생하였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 H8을 화면(720)의 가장 좌측에 배치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에서의 화면(720)에서 가장 일시가 오래된 컨텐츠 아이템 H1을 삭제하고, 컨텐츠 아이템 H2 내지 H7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시점 T2의 화면(720) 상에는 컨텐츠 아이템 H2 내지 H8 중에서 가장 일시가 오래된 컨텐츠 아이템 H2가 화면(720)의 가장 우측에 배치되고, 컨텐츠 아이템 H3부터 H8이 좌측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의 업데이트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한편, 캐시(710)의 모든 슬롯이 컨텐츠 아이템들로 채워져 있을 때에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이 수신되는 경우의 처리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캐시(710)의 슬롯이 모두 차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이 수신되면, 일괄적으로 캐시(710)의 슬롯을 모두 비운 이후에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들로 슬롯을 채울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캐시(710)의 슬롯 중에서 0번 슬롯부터 N번 슬롯까지를 비우고, (N+1)번 슬롯부터 M번 슬롯까지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0번 슬롯부터 다시 채우고, 새로운 컨텐츠 아이템들을 빈 슬롯에 채울 수도 있다. M은 N은 자연수이며, M은 슬롯의 마지막 번호이고, N은 M보다 같거나 작은 수이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소정 시간 구간마다 화면 내에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주기적으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중 일부를 순환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캐시(810)에 컨텐츠 아이템들이 저장되기 위한 0번부터 9번까지의 슬롯들을 가진다. 슬롯의 수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슬롯의 개수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 상에 7개의 컨텐츠 아이템을 표시한다고 할 때, 소정의 제1시점에 0번 슬롯부터 6번 슬롯까지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선택하고, 컨텐츠 아이템 H1부터 H7까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주기 별로 선택된 각 슬롯 번호에 소정의 자연수, 예를 들면 1을 더하여 새로 슬롯들을 선택한다. 즉, 0번 슬롯의 인덱스 넘버에 1을 더하면 1번 슬롯이고, 1번 슬롯의 인덱스 넘버에 1을 더하면 2번 슬롯이고, 6번 슬롯의 인덱스 넘버에 1을 더하면 7번 슬롯이 된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 1번 슬롯부터 7번 슬롯까지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고, 제2시점 이후의 제3시점에 2번 슬롯부터 8번 슬롯까지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고, 제3시점 이후의 제4시점에 3번 슬롯부터 9번 슬롯까지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한다.
만일 컨텐츠 아이템이 채워지지 않은 빈 슬롯이 있으면 해당 슬롯은 제외하고, 컨텐츠 아이템이 포함된 슬롯만 대상으로 처리된다.
9번 슬롯은 캐시(810) 내에서 마지막 인덱스 넘버의 슬롯이다. 여기서, 9번 슬롯 다음은 첫 번째 인덱스 넘버인 0번 슬롯이 된다. 비유하자면, 각 슬롯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원통이 있고, 원통에서 9번 슬롯과 0번 슬롯이 인접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4시점 이후의 제5시점에 4번 슬롯부터 9번 슬롯까지, 그리고 0번 슬롯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주기 별로 컨텐츠 아이템이 채워진 슬롯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슬롯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컨텐츠 아이템들의 표시 방법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뉴스 컨텐츠의 각 뉴스 기사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표시된 컨텐츠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한 컨텐츠 아이템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된 컨텐츠 아이템의 뉴스 기사의 메인 페이지로 화면을 전환시켜 표시한다. 사용자가 어느 한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식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화의 인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발화를 인식하여 어느 한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에 네 개의 컨텐츠 아이템 H1, H2, H3, H4를 화면(910) 상에 표시한다. 각 컨텐츠 아이템은 타이틀을 가지며, 컨텐츠 아이템 H1의 타이틀은 'C B D', 컨텐츠 아이템 H2의 타이틀은 'A B E', 컨텐츠 아이템 H3의 타이틀은 'A C D', 컨텐츠 아이템 H4의 타이틀은 'A B C'이다. 각 타이틀을 구성하는 'A', 'B' 등은 각각 소정의 단어이며,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개략화시킨 것이다. 각 컨텐츠 아이템의 타이틀에서 A, B, C는 각각 어떠한 단어도 될 수 있다. 다만, A, B, C 중에서 두 개의 컨텐츠 아이템에 공통적인 것이 있다면, 그것은 두 개의 컨텐츠 아이템의 타이틀에 공통된 단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아이템 H1의 타이틀과 컨텐츠 아이템 H2의 타이틀에는, 'B'라는 공통된 단어가 있다.
시점 T1에 화면(910) 상에 컨텐츠 아이템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A'라는 단어를 발화한 경우를 고려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 이후의 시점 T2에, 컨텐츠 아이템 H1, H2, H3, H4 중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단어 'A'를 포함하는 타이틀의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아이템 H2, H3, H4의 타이틀이 단어 'A'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 H2, H3, H4의 타이틀에서 단어 'A'를 강조 또는 하이라이트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단어의 강조 또는 하이라이트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단어 'A'에 이어서 'B'라는 단어를 발화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2 이후의 시점 T3에, 단어 'A'를 포함하는 컨텐츠 아이템 H2, H3, H4 중에서 새로운 단어 'B'를 포함하는 타이틀의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아이템 H2, H4가 단어 'A' 및 'B'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 H2, H4의 타이틀에서 단어 'A' 및 'B'를 하이라이트시킨다.
사용자가 단어 'A', 'B'에 이어서 'C'라는 단어를 발화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3 이후의 시점 T4에, 단어 'A' 및 'B'를 포함하는 컨텐츠 아이템 H2, H4 중에서 새로운 단어 'C'를 포함하는 타이틀의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컨텐츠 아이템 H4만이 단어 'A', 'B', 'C'를 포함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자동으로 컨텐츠 아이템 H4를 선택하고, 컨텐츠 아이템 H4의 컨텐츠 영상으로 화면(910)을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연이어 발화하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타이틀의 컨텐츠 아이템이 1개로 수렴하면, 해당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의 발화가 지시하는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텐츠 아이템의 타이틀 내에서 단어를 식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컨텐츠 아이템의 타이틀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 아이템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 내에서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발화에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의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10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발화에 따라서 인식된 첫 번째 단어를 취득한다.
10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첫 번째 단어를 포함하는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한다.
10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식별된 컨텐츠 아이템이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한 컨텐츠 아이템이 하나이면, 10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한다.
반면, 식별된 컨텐츠 아이템이 하나가 아니면, 10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발화에 따라서 인식된 다음 단어를 취득한다.
10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전 단어를 포함하는 컨텐츠 아이템들 중에서, 취득한 단어를 포함하는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한다.
10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식별된 컨텐츠 아이템이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된 컨텐츠 아이템이 하나이면, 디스플레이장치는 1050 단계로 이행한다.
반면, 식별된 컨텐츠 아이템이 하나가 아니면, 1060 단계로 이행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발화에 따라서 용이하게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두 개의 상이한 방향의 축에 기반하여 화면 상에 컨텐츠 아이템들을 배치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뉴스 기사의 일시에 대응하는 가로축 상의 값과, 뉴스 기사의 인기도에 대응하는 세로축 상의 값이 교차하는 화면 상의 위치에, 해당 뉴스 기사가 배치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화면 상태에 새로운 속성이 추가적으로 반영된 화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컨텐츠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뉴스 컨텐츠의 복수의 뉴스 기사에 관한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을 화면(1110) 상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1110) 상에서 뉴스 기사의 일시에 관한 가로축 및 뉴스 기사의 인기도에 관한 세로축을 설정하고, 각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속성값에 따라서 해당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을 화면(1110) 상에 표시한다. 가로축 및 세로축만을 사용하는 상태로는,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일시 및 인기도의 두 가지 속성만을 나타낼 수 있으나, 화면(1110) 내에서의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위치 뿐 아니라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표시 상태를 통해 추가적인 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뉴스 기사의 속성 중에는 뉴스의 일시, 뉴스의 인기도 뿐만 아니라, 뉴스 카테고리, 뉴스에 관련된 지역, 뉴스의 속보 여부, 뉴스의 인기도의 상승 속도 등의 속성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뉴스의 일시 및 뉴스의 인기도는 화면(1110) 상에서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이 배치되는 위치로 나타내되, 추가적으로 그 외의 어느 한 속성을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표시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표시 상태에는,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강조 또는 하이라이트,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컬러,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투명도,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크기,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채도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전 설정에 따라서, 이와 같은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표시 상태를 판단 또는 조정한다.
뉴스 카테고리의 예를 들면, 뉴스 기사는 정치, 사회, 스포츠, 생활, 레저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카테고리는 대응하는 컬러가 설정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판단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컬러로 해당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을 표시한다. 정치 카테고리는 소정의 제1컬러, 사회 카테고리는 제2컬러, 스포츠 카테고리는 제3컬러로 설정되어 있다고 할 때, 디스플레이장치는 정치 카테고리인 컨텐츠 아이템(H3)은 제1컬러로, 사회 카테고리인 컨텐츠 아이템(H2, H5)은 제2컬러로, 스포츠 카테고리인 컨텐츠 아이템(H1, H4, H6)은 제3컬러로 각각 표시한다. 사용자는 화면(1110)의 영상을 통해, 어느 카테고리의 어느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이 인기가 높은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뉴스의 인기도의 상승 속도의 예를 들면, 인기도가 높은 뉴스 기사 중에는 인기도의 상승 속도가 완만한 것도 있지만, 사회적 관심의 집중도가 커서 인기도가 상승 속도가 급격한 경우도 있다. 인기도의 상승 속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인기도의 변화량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크면 인기도가 급상승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어느 한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인기도의 상승 속도가 급상승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을 강조 또는 하이라이트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이 현재 사회적으로 주목을 모으고 있는 뉴스 기사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것 이외에도,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에 부가적인 이미지를 추가함으로써, 해당 이미지를 통해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추가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기도의 급상승을 표현하고자 한다면, 컨텐츠 아이템(H1, H2, H3, H4, H5, H6)의 인기도를 나타내는 숫자에 주목도가 높은 붉은색 화살표의 이미지를 부가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속성에 관한 축들의 원점이 화면의 왼쪽 아래 꼭지점에 형성되고, 가로축이 화면의 하측 에지, 세로축이 화면의 좌측 에지에 형성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원점 및 축이 화면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는지는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 실시예가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뉴스 컨텐츠의 영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1210) 상에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1230)을 배치하고, 화면(1210)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1210)의 중앙 영역에 원점(1220)을 두고, 원점(1220)으로부터 화면(1210)의 상측 우측 꼭지점을 향하는 제1축(1221), 하측 우측 꼭지점을 향하는 제2축(1222), 하측 좌측 꼭지점을 향하는 제3축(1223), 상측 좌측 꼭지점을 향하는 제4축(1224)을 설정한다.
본 화면(1210)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속성은 컨텐츠 아이템(1230)의 일시 및 컨텐츠 아이템(1230)의 카테고리이다. 컨텐츠 아이템(1230)의 일시의 경우에, 가장 최신의 컨텐츠 아이템(1230)은 원점(1220) 상에 또는 원점(1220)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오래된 컨텐츠 아이템(1230)일수록 원점(1220)으로부터 멀어지는 축 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컨텐츠 아이템(1230)의 카테고리의 경우에, 예를 들면 제1축(1221)은 정치 카테고리, 제2축(1222)은 경제 카테고리, 제3축(1223)은 문화 카테고리, 제4축(1224)은 예술 카테고리에 할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문화 카테고리인 컨텐츠 아이템(1230)은 제3축(1223) 상에 배치하고, 예술 카테고리인 컨텐츠 아이템(1230)은 제4축(1224) 상에 배치한다.
이로써, 최신 컨텐츠 아이템(1230)은 원점(1220)에 근접하게 모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각 카테고리 별로 컨텐츠 아이템(1230)들이 사방으로 분산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1230)의 카테고리 별 기사의 흐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시간 경과에 따라서 화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표시된 컨텐츠 아이템들 중 가장 오래된 컨텐츠 아이템은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컨텐츠 아이템의 인기도에 따라서는 이와 상이한 예시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컨텐츠 아이템의 인기도에 따라서 일부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310)은 제1영역(1311) 및 제2영역(1312)으로 분할된다. 제1영역(1311)에 대해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H15, H16, H17, H18)을 일시 및 인기도에 따라서 제1영역(1311) 내에 배치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속성값의 업데이트를 반영한다. 제1영역(1311)에 대한 동작은 앞선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영역(1312)은 제1영역(1311)의 우측에 배치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제2영역(1312)의 상대적 위치가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영역(1312)은 이전 시점에 제1영역(1311)에 표시되었던 컨텐츠 아이템들 중에서 인기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컨텐츠 아이템(H1, H4)이 표시된다. 시간 경과에 따라서 제1영역(1311)에 있는 컨텐츠 아이템들은 업데이트된 최신 컨텐츠 아이템들에 의해 대체되는데, 제1영역(1311)에서 삭제되는 컨텐츠 아이템들 중에서 인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 아이템(H1, H4)들은 제2영역(1312)으로 옮겨서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 시점에서 제1영역(1311)에 표시되지 않는 이전에 표시되었던 컨텐츠 아이템들 중에서, 인기도가 높은 컨텐츠 아이템들(H1, H4)을 선별하여 볼 수 있다.
제2영역(1312)에는 표시되는 컨텐츠 아이템(H1, H4)의 개수 및 표시 시간은 설계 방식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제2영역(1312)에서 컨텐츠 아이템(H1, H4)이 표시되는 형태는 제1영역(1311)의 경우에 준하거나, 또는 제1영역(1311)의 경우와 무관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가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 아이템의 개수는 컨텐츠 아이템의 가로폭에 의해 결정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아이템의 가로폭은 어느 한 값을 가지는 경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컨텐츠 아이템의 가로폭이 특정한 조건에 따라서 가변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컨텐츠 아이템들의 가로폭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에 화면(1410) 상에 예를 들면 각기 가로폭은 W1을 가지는 5개의 컨텐츠 아이템(1411)을 표시한다. 화면(1410) 상에 컨텐츠 아이템(1411)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 이후의 시점 T2에 화면(1420) 상의 컨텐츠 아이템(1421)들을 재배치함에 있어서, 특정한 조건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1421)의 가로폭을 W1에서 W2로 축소 조정한다. 이후 시점 T2 이후의 소정 시점의 상태가 상기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점 T1의 화면(1410)과 같이 컨텐츠 아이템(1411)의 가로폭을 원래대로 W1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시점 T2에서 컨텐츠 아이템(1421)의 가로폭이 원래의 W1에서 W2로 축소되는 조건은 다양한 경우가 가능하다.
한 가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 분포 또는 인기도 편차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의 가로폭을 축소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제1시간 구간, 그리고 현 시점에 해당하는 제2시간 구간이 있을 때,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은 현 시점의 화면 상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제2시간 구간에 인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컨텐츠 아이템들만 있는 반면에, 제1시간 구간에 인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컨텐츠 아이템들이 있다면,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도 화면에 제2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보다 효용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아이템들의 가로폭을 축소하여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 아이템의 수를 늘림으로써, 이전 시간 구간에서의 컨텐츠 아이템들이 추가적으로 표시되게 한다.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 분포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의 평균이 소정의 문턱값을 넘으면,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 분포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또는, 제2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의 평균이 제2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의 평균보다 기 설정값 이상 높으면, 제1시간 구간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인기도 분포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다른 한 가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위시간 당 수신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템 개수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으면 화면 내 컨텐츠 아이템의 가로축을 축소시키고, 컨텐츠 아이템 개수가 문턱값을 넘지 않으면 화면 내 컨텐츠 아이템의 가로축을 축소시키지 않는다. 즉, 단위시간 당 수신되는 뉴스 기사의 수가 많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화면에 보다 많은 뉴스 기사가 표시되도록 뉴스 기사의 가로폭을 줄인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평소에 비해 많은 뉴스 기사가 수신되는 경우에, 현재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510)는 서버(15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511)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2)와,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1513)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1514)와, 사용자 발화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1515)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516)와, 컨텐츠 신호의 처리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517)를 포함한다.
수신부(151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또는 포트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회로이다. 수신부(1511)는 기본적으로는 서버(15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지만,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51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1520)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부(1512)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512)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이 추가된다.
스피커(1513)는 오디오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스피커(1513)는 어느 한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대응하게 마련된 단위 스피커를 포함하며, 복수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각기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14)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프로세서(1517)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14)는 정보의 입력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510)의 외측에 설치된 키, 디스플레이부(1512)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촬영 또는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등, 디스플레이장치(1510)에 설치된 여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514)는 디스플레이장치(15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515)은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면, 사용자 발화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517)로 전달한다.
저장부(1516)는 프로세서(1517)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1517)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1516)는 디스플레이장치(1510)의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517)는 수신부(1511)에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2)에 표시되도록 한다. 프로세서(1517)는 컨텐츠 신호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1512)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517)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517)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517)는 서버(1520)로부터의 컨텐츠를 처리함으로써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컨텐츠 화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내용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 가능한 수신부와;
    영상을 표시 가능한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하고, 상기 각 속성 별로 상기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상기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재배치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복수의 축 상에서 상기 속성들에 각기 대응하는 값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값들에 의한 상기 화면 상의 위치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배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둘 이상의 속성 이외의 타 속성에 관한 속성값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 상태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강조, 하이라이트, 컬러, 투명도, 크기, 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부가 상기 화면의 에지 밖으로 벗어나도록 표시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 영역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서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영역의 투명도가 상기 에지에 근접할수록 높아지게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캐시에 저장하며, 소정 주기에 따라서 상기 일련번호의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순환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발화의 하나 이상의 단어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중에서 하나의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식별될 때까지, 상기 발화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단어를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에 대비시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단위시간 당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폭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 각각에 대해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속성값을 판단하고, 상기 각 속성 별로 화면 상의 서로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속성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각 컨텐츠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화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른 상기 속성값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속성에 관한 복수의 축 상에서 상기 속성들에 각기 대응하는 값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값들에 의한 상기 화면 상의 위치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속성 이외의 타 속성에 관한 속성값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부가 상기 화면의 에지 밖으로 벗어나도록 표시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일 영역의 표시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8/014399 2017-11-24 2018-11-2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1034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62,019 US20200359107A1 (en) 2017-11-24 2018-11-22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98 2017-11-24
KR1020170158598A KR102456097B1 (ko) 2017-11-24 2017-11-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73A1 true WO2019103473A1 (ko) 2019-05-31

Family

ID=6663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399 WO2019103473A1 (ko) 2017-11-24 2018-11-2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59107A1 (ko)
KR (1) KR102456097B1 (ko)
WO (1) WO201910347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56A (ko) * 2000-04-21 2001-11-08 배동훈 나선형 도우넛 형태를 갖는 컨텐츠 구조 및 컨텐츠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089441A (ko) * 2012-02-02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3335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60001250A (ko)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60023412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56A (ko) * 2000-04-21 2001-11-08 배동훈 나선형 도우넛 형태를 갖는 컨텐츠 구조 및 컨텐츠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089441A (ko) * 2012-02-02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3335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60001250A (ko)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60023412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097B1 (ko) 2022-10-19
KR20190060421A (ko) 2019-06-03
US20200359107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60113A1 (en) Method for providing key moments in multimedia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5065018A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3927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815585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O2016089047A1 (ko)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3701725A1 (en) Display device for identifying preference of content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WO2015102245A1 (en) Display device, server device, voice input system and methods thereof
WO2018124842A1 (ko)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014557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020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a file having media information compatible between media files having same forma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dia file
WO201506908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69835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84436A1 (zh) 视频推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6129871A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WO20160248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060575A1 (ko) 인공 지능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012632A1 (ko) 다시점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19103473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64547A1 (ko)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WO2018124464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149655A1 (ko) 장치 속성에 기반한 공유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034935A1 (ko)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130185A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WO202102946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160062A1 (ko) 컨텐트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12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12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