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66479A1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66479A1
WO2019066479A1 PCT/KR2018/011408 KR2018011408W WO2019066479A1 WO 2019066479 A1 WO2019066479 A1 WO 2019066479A1 KR 2018011408 W KR2018011408 W KR 2018011408W WO 2019066479 A1 WO2019066479 A1 WO 20190664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air
region
at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4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엄훈식
유시호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664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664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17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comprising photoluminescent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3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ultraviol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포충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곤충 유입구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 내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광을 생성하는 발광칩을 포함하는 유인광원; 및 상기 발광칩에서 생성된 광 중 자외선을 투과시키되 가시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광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충기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해 자외선 유인광을 사용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모기 살충 관련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고,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거나 고전압 장치가 수반하는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선호되고 있다. UV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UV LED를 이용한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흡입팬에 의해 포집하는 포충기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상용되는 UV LED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기의 경우, UV LED에서 UV와 함께 방출되는 가시광선에 의해 사용자가 UV LED의 작동을 느끼는 불편함이 있다. UV LED는 피크 파장이 자외선 영역이지만, 가시광선 영역의 청색 파장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UV LED의 작동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야간에 유인광 방출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충기의 UV LED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 때문에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기 위해 유인광 방출을 차단하면 해충의 포집 효율이 열악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충기에서 방출되는 청색광에 의해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충의 유인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자외선을 이용한 해충의 유인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청색광의 외부 방출을 차단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곤충 유입구를 가지는 바디; 상기 바디 내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자외선과 함께 가시광선을 생성하는 발광칩을 포함하는 유인광원; 및 상기 발광칩에서 생성된 광 중 자외선을 투과시키되 가시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광 필터를 포함하는 포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외선을 투과하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광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을 이용하여 해충의 유인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가시광선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공기 집진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인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스탑 필터를 갖는 유인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부를 갖는 유인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광 필터를 갖는 포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곤충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날벌레를 포함하며, 특히 모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광원으로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V LED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곤충 유입구를 가지는 바디; 상기 바디 내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광을 생성하는 발광칩을 포함하는 유인광원; 상기 발광칩에서 생성된 광 중 자외선을 투과시키되 가시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광 필터;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되 상기 유인광원이 실장 가능한 유인광원 커버부; 및 상기 바디 저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필터는 밴드 스탑 필터(Band-stop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 스탑 필터는 굴절률이 상이한 2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분포 브래그 반사기(distributed bragg ref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상기 발광칩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대한 반사율이 20% 이하이고, 청색광에 대한 반사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상기 발광칩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상기 유인 광원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의 경로 상에 배치되되, 상기 유인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 필터는 상기 발광칩에서 생성된 자외선을 투과하고 가시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광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칩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필터 물질은 상기 몰딩부 내에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필터 물질은 상기 유인 광원으로부터 이격된 투명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포충기에서 상기 광 필터 물질은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파장변환물질의 여기 스펙트럼은 400 ~ 500㎚ 파장 범위 내에 최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장변환물질의 발광 스펙트럼은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최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필터 물질은 자외선 흡수율이 20 % 이하이고, 상기 발광칩에서 방출되는 청색광 흡수율이 80 %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는, 상기 곤충 유입구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한 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원호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하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서 하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구간을 포함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영역에 의해 정의된 폭은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정의된 폭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포충기는 공기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집진부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는 공기 집진부 입구부, 공기 집진부 중간부 및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포함하며,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 기울기 > 공기 집진부 입구부 기울기 > 공기 집진부 중간부 기울기 순서 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포충기는 상기 바디 내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시트; 및 상기 바디 전방에 상기 바디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인광원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에 곤충 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유인광원 및 상기 바디의 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는 광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광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필터는 밴드 스탑 필터 또는 광 필터 물질이 도포 또는 코팅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필터는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에 탈착 가능한 필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인광으로 해충을 유인하는 포충기의 경우, 높은 광 유인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모두 제공하기 어려웠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포충기(100)는 자외선으로 곤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형태로, 바디(110); 바디(110) 내부에 실장된 흡입팬(112); 흡입팬(112)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120); 및 바디(110) 상부에 배치된 지지대(140)에 결합되고, 유인광원(10)이 실장된 유인광원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
바디(110)는 흡입팬(112)의 회전에 의한 기류의 방향이 곤충 유입구(110a)에서 포집부(120)로 형성되도록, 흡입팬(112)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바디(110)에 마련된 곤충 유입구(110a)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 일 수 있으며, 흡입팬(112)에 의해 발생된 기류로 흡입되는 곤충이 유입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다각형일 수 있다. 바디(110)의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110)는 상하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10)는 바디 상면(111)에 의해 바디(110) 상면이 개구되도록 정의되는 공간인 곤충 유입구(110a)가 마련되며, 포집부(120)에 이르기까지 곤충이 유입되는 유로가 마련될 수 있고, 흡입팬(112)에 의한 흡입 기류가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의 형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10)는 곤충 유입구(110a)에서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영역(111a), 제1 영역(111a)의 적어도 한 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원호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영역(111b)을 갖고, 제1 영역(111a) 및 제2 영역(111b)에서 하부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태로 기울어진 제3 영역(111c) 및 제3 영역(111c)에서 포집부(120) 방향으로 대략 수직 형태로 기울어진 제4 영역(111d)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에 있어서, 제4 영역(111d)에 의해 정의된 폭(111f)은 제3 영역(111c)에 의해 정의된 폭(111e) 보다 좁게 형성되어 유체가 곤충 유입구(110a)에서 포집부(120)까지 효율적으로 압송될 수 있다.
흡입팬(11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10) 내 포집부(120) 상부에 흡입팬(112)이 실장될 수 있다.
흡입팬(112)은 크로스 팬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수의 날개가 원기둥 형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미도시한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수직인 형태 또는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흡입팬(112)은 곤충 유입구(110a)와 대략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어, 흡입팬(112)의 회전 시 곤충 유입구(110a)로부터 곤충과 함께 공기를 흡입하여 포집부(120)로 압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입팬(112)은 팬날개가 바디(110)의 내벽으로부터 1 내지 50 mm 이격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곤충의 포집 공간을 확보하면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 시키는 동시에 흡입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팬(112)의 팬날개가 20 개 내지 40 개 이며, 흡입팬(112)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내지 3500 rpm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팬(112)은 곤충이 흡입팬(112)에 달라붙지 않고 흡입팬(112) 하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상용되던 흡입팬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팬날개에 곤충이 달라붙게 되어 흡입팬의 회전 반경이 균일하지 않게 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팬날개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포충기에 인접한 곤충의 포집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곤충은 풍속 0.8 m/s 이상에서 비행을 멈추는 경향이 있으나 풍속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곤충이 기류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흡입팬(112)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모기가 비행을 멈추어 상기 흡입팬(112)에서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포집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팬날개가 20 개 내지 40 개, 예를 들어 24 개 내지 36 개 이며, 흡입팬(112)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내지 3500 rpm, 예를 들어 2100 rpm 내지 3000 rpm 일 수 있다.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20 개 미만 또는 흡입팬(112)의 회전속도가 2000 rpm 미만인 경우 모기 포집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40 개 초과 또는 흡입팬(112)의 회전속도가 3500 rpm 초과인 경우 모기 사체가 흡입팬(112)에 지나치게 많이 달라붙거나 소음이 38 dBA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100)는, 바디 상면(111)으로부터 20mm 높이에서 곤충 유입구(110a)와 동일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면적이 곤충 유입구(110a) 면적의 4배인 영역에서 흡입팬(112)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속도가 0.5 m/s 내지 3 m/s, 예를 들어, 0.8 m/s 내지 2.5 m/s 일 수 있다. 곤충, 특히 모기는 0.8 m/s 이상의 풍속에서 비행을 멈추고 기류에 흘러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0.5 m/s 미만의 기류의 속도에서는 곤충이 포충기(110) 내로 흡입되는 효율이 낮을 수 있고, 3 m/s 초과인 경우 곤충이 탈출을 시도하거나 지나치게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흡입팬(112)의 회전속도, 팬날개 개수 및 흡입팬(112)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곤충이 흡입팬(112)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동시에 곤충이 비행을 멈추고 높은 효율로 상기 포집부(120)에 포집될 수 있으며, 흡입팬(112)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포집부(120)
포집부(120)는 바디(110)의 저부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수납식으로 탈착 가능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포집부(120)는 상기 흡입팬(112)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포집부 메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메쉬부(121)는 구멍의 직경이 1 ㎜ 내지 3 ㎜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경 범위 내에서 포집된 곤충이 빠져 나가지 못하면서 공기 흐름이 원할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120)에 포집부 메쉬부(121)가 1 개 내지 10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 개 내지 8 개 일 수 있으며, 포집부 메쉬부(121) 한 면당 구멍이 300 개 내지 700 개, 예를 들어 400 개 내지 600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포집부(120)는 흡입팬(112)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포충기(100) 외부로 효과적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포집부(120) 내에 포집된 모기가 신속하게 건조 치사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120)는 적어도 일 면이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포집부(120) 내에 포집된 곤충의 개체수 또는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13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인광원 커버부(130)는 지지대(140)를 매개로 바디(1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유인광원(10)은 유인광원 커버부(13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유인광원 커버부(130)에 실장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에 투명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인광원(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키거나 소정의 방향으로 수렴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인광원 커버부(130)는 글라스, 쿼츠(quartz),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 커버부(13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대(14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유인광원(1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유인광원(10)
유인광원(10)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과 관련하여, 파리 및 벼멸구의 경우 약 340 nm 또는 약 575 nm의 파장의 빛을 선호하며, 나방과 모기의 경우 약 366 nm 파장의 빛을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타 일반적인 해충의 경우, 약 340 nm 내지 380 nm 파장의 빛을 상대적으로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인광원(1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340 nm 내지 390 nm 일 수 있고, 곤충, 특히 모기는 강하게 유인되는 반면 인체에의 유해성이 낮다는 점에서 약 365 nm 의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인광원(10)으로 반치폭이 작은 UV-LED 발광칩을 적용하더라도, UV-LED의 발광 스펙트럼이 넓은 파장 영역에 걸쳐 분포하기 때문에 가시광선이 방출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에 가까운 청색파장의 광이 다른 가시광선 영역의 광보다 더 강하게 방출될 수 있다. 곤충의 유인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시광선, 예를 들어 청색파장의 광이 포충기(100)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유인광원(10)은 지지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OB(chip on board) 타입의 발광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발광칩이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 LED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칩 또는 UV LED 패키지가 지지 기판 상에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기판이 과열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발광칩 또는 상기 UV LED 패키지는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집적 회로 또는 배선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발광칩이 실장될 영역에 회로패턴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상기 지지 기판은 금속, 반도체, 세라믹, 폴리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인광원(10)은 긴 평판 형상의 PCB 상에 상기 발광칩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발광칩은 PC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예를 들어 4 개 내지 10 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CB의 타면에는 상기 발광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핀이 설치될 수 있고, 유인광원(10)의 양 단에는 전원단자와 접속하여 PCB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제2-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200)>
도 4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의 단면도이다.
제2-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200)는 바디(210), 바디(210) 내에 배치되는 흡입팬(212), 바디(210) 상에 배치되고 곤충을 통과시키는 곤충 유입구(210a), 바디(210) 상부에 배치되고 유인광원(20)이 장착 가능한 유인광원 커버부(230), 바디(210) 하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설명한다.
바디(210)
바디(2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흡입팬(212)이 내부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원통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볼록한 항아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원활한 흡입 기류를 형성하고, 모터(213) 또는 하부광원(21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210)는 상하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곤충 유입구(210a)는 선택적으로 곤충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멍은 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부재 및 방사상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일련의 원형 부재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포집 대상 곤충의 평균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구멍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충 유입구(210a)가 일련의 원형 부재인 상기 복수의 구멍을 갖는 경우, 낮은 제조 단가로 상기 복수의 구멍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 상용되던 흡입팬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모기 보다 체적이 큰 나비, 잠자리, 파리 등의 곤충이 함께 포집되어 포집부(220) 교환 주기가 빠르거나, 해충이 아닌 유익한 곤충까지 포집되어 생태계에 악영항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체적이 큰 곤충이 흡입팬(212)에 달라붙게 되어 모터(213)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흡입팬(212)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포충기(200)가 곤충을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구멍의 크기를 제어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곤충 유입구(210a)를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곤충 유입구(210a)는 바디 상면(211)에 의해 정의된 공간을 지칭할 수 있고, 또는 바디 상면(211) 사이 또는 그 상부에 마련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정의된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멍은 직경이 0.5 cm 내지 2 cm, 바람직하게는 0.8 cm 내지 1.5 cm 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구멍 한 개의 면적이 100 ㎜2 내지 225 ㎜2 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곤충, 특히 모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반면, 나비, 잠자리, 파리 등 몸체 크기가 큰 곤충은 포충기(200) 내부로 포집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213)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흡입팬(212)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팬(212)은 곤충이 흡입팬(212)에 달라붙지 않고 흡입팬(212) 하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상용되던 흡입팬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팬날개에 곤충이 달라붙게 되어 흡입팬(212)의 회전 반경이 균일하지 않게 됨으로써, 모터(213)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팬날개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팬(21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포충기에 인접한 곤충의 포집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곤충은 풍속 0.8 m/s 이상에서 비행을 멈추는 경향이 있으나 풍속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곤충이 기류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팬날개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모기가 비행을 멈추어 흡입팬(212)에서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포집되는 포충기(200)를 제조였다.
이를 위해, 상기 팬날개가 2 개 내지 7 개, 바람직하게는 3 개 또는 4 개 이며, 흡입팬(212)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바람직하게는 2000 rpm 내지 2800 rpm 일 수 있다.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2개 미만 또는 흡입팬(212)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미만인 경우 모기의 포집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팬날개의 개수가 7개 초과 또는 흡입팬(212)의 회전속도가 3100 rpm 초과인 경우 모기 사체가 흡입팬(212)에 지나치게 많이 달라붙거나 소음이 38 dBA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날개는 평평하지 않고 일정 또는 일정하지 않은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으며, 구부러진 형태의 상기 팬날개는 최하단(最下段)과 최상단(最上段)의 높이 차가 5 ㎜ 내지 50 ㎜ 일 수 있다. 한편, 흡입팬(212)은 지름이 50 ㎜ 내지 120 ㎜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00 ㎜ 일 수 있다. 그리고, 흡입팬(212)과 바디(210) 내벽의 최단거리를 1 ㎜ 내지 5 ㎜ 로 제어하여, 흡입팬(212)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흡입 기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충기(200)는 곤충 유입구(210a) 하부에 모터(213)가 실장하고, 모터(213) 하부에 흡입팬(212)을 장착하여, 모터(213) 및 흡입팬(212)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8 dB 미만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은 보통소음 29.8 dBA 조건에서, 포충기(200)로부터 1.5 m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서 소음 측정 장비(CENTER 320, TESTO 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포집부(22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포집부(220)는 흡입팬(212)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포집부 측면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구멍 면적의 총 합과 포집부 측면구(221) 면적의 총 합의 비가 1 : 0.8 내지 1 : 3.0, 바람직하게는 1 : 0.8 내지 1 : 2.0 일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 내에서 곤충이 상기 포집부(220) 체적의 1/2까지 포집되어도 포충기(20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포집부(220)는 흡입팬(212)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포충기(200) 외부로 효과적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포집부(220) 내에 포집된 모기가 건조 치사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 측면구(221)는 슬릿 형태 또는 메쉬 형태가 모두 가능한다.
유인광원 커버부(230) 및 지붕(25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포충기(200)는 지붕(250)이 지지대(240)에 의해 바디(210)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고, 지붕(250) 하부에 유인광원 커버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240)의 형태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지붕(2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곤충이 유입되는 공간이 지지대(240)에 의해 제한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지대(240) 두 개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지붕(250)은 바디(210)로부터 수직으로 1 cm 내지 8 cm,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5 cm 가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지지대(24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지지대(240)의 높이와 지붕(250)이 바디(210)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지붕(250)이 바디(210)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거리가 1 cm 보다 짧은 경우 곤충이 유입되는 구멍이 지나치게 작아 곤충 포집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8 cm 보다 긴 경우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충분한 세기로 형성되지 않아 곤충 포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인광, 특히 자외선으로 곤충이 유인되어 포충기(200)에 근접하면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에 의하여 곤충이 바디(210)와 유인광원 커버부(2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곤충 유입구(210a) 및 흡입팬(212)을 통과하여, 공기 집진부(216) 하부에 위치한 포집부(220)에 포집될 수 있다.
일 예로, 지붕(250)은 판 형태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200)는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지붕(250)과 바디(2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흡입팬(212)에 의해 흡입 기류가 유체역학적으로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입팬(212)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범위에서 구동되어도 흡입 기류가 0.5 m/s 내지 3 m/s 로 형성되어 모기가 흡입팬(212)에 달라붙지 않고 포집부(220)에 포집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인광원 커버부(230)은 지붕(250) 하면에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붕(250)은 분리 가능한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부재는 유인광원(20)이 삽입 가능한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 부재 하면에 유인광원 커버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부재를 상기 하부 부재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인광원(20)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상기 상부 부재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시킴으로써, 유인광원(20)이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2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붕(250)은 하면에 유인광원(20)에 의해 방출된 유인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유인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은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이 부착될 수 있고, 은 또는 알루미늄 막이 유인광원 커버부(230) 하면에 코팅될 수 있으며, 조사된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굴곡 또는 요철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 커버부(230)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하여 외부 먼지 또는 곤충의 접근에 의해 유인광원(2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유인광원(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키거나 소정의 방향으로 수렴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230)는 일 예로서, 글라스, 쿼츠(quartz)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 비율이 약 80 % 이상 높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는 주로 탄소와 수소로 구성되어 전자구름이 희박하여 UV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재질을 사용하여 유인광원 커버부(23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 커버부(230)로 자외선과 반응하지 않는 안정적인 물질인 불소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석영이나 PMMA 보다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점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플렉시블한 물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면서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불소계 폴리머를 유인광원 커버부(230)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투과율을 고려해야 하고, 불소계 폴리머의 경우 석영이나 PMMA 보다는 자외선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두께가 얇을 수록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지게 되지만, 유인광원 커버부(230)의 두께를 얇게 하면 폴리머의 취성에 의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서질 염려가 있으므로, 재질 자체를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취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인광원(20)
유인광원(2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인광원(10)과 유사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200)>
도 6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단면도이다.
제2-2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는 포집부(220)에 포집된 곤충이 탈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공기 집진부(216), 흡입팬(212)과 포집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광원(214) 및 하부광원(214)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촉매필터(215)가 장착 가능한 광촉매필터 설치부(215a)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외하고 제2-1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의 각 구성을 적용할 수 있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 집진부(216)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집진부(216)는 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흡입팬(212)에 의해 유입된 곤충이 포집부(220)로 토출되도록 공기 집진부 살(216a), 공기 집진부 측면구(口)(216b), 및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 집진부(216)는 흡입팬(212)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콘(cone) 형상 또는 테이퍼(tape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집진부(216)는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 집진부(216)는 흡입팬(212)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분산시키지 않고 하부의 포집부(220)로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입팬(212)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한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울기가 상이한 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집진부(216)의 단면의 기울기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파른 구간, 완만한 구간, 및 수직인 구간(공기 집진부 토출구, 216e)이 나타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 기울기(216h) > 공기 집진부 입구부 기울기(216f) > 공기 집진부 중간부 기울기(216g) 순서가 될 수 있다.
공기 집진부(216)의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포집부(220)에 포집된 모기가 공기 집진부 입구부(216c)와 포집부(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경향을 나타내고, 따라서 흡입팬(212)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포충기(2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집진부 입구부(216c)는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가 45 ˚내지 8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일 수 있다. 공기 집진부 입구부(216c)의 수직 단면이 지면으로부터 형성된 각도가 45 ˚미만인 경우 흡입팬(212)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포충기(2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가 지나치게 많아지고, 80 ˚초과인 경우 공기 집진부(216)와 포집부(22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지나치게 좁아 모기가 공기 집진부 입구부(216c)와 포집부(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경향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공기 집진부(216)는 포집부(220) 방향, 즉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를 더 포함하는 경우, 모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에 달라 붙으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따라서 흡입팬(212)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포충기(2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 때,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0.2 cm 내지 2 cm, 바람직하게는 0.5 cm 내지 1.5 cm 일 수 있으며, 2 cm 초과인 경우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를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가 방해할 수 있고, 0.2 cm 미만인 경우 흡입팬(212)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에 달라붙는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 모기의 탈출 억제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집진부(216)는 흡입팬(212)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공기 집진부 살(216a) 및 공기 집진부 살(216a)들 사이의 공기 집진부 측면구(口)(216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 집진부(216)는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를 포함하여 흡입팬(212)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포충기(200) 외부로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메쉬 형상 또는 슬릿 형상일 수 있고, 메쉬 형상 또는 슬릿 형상에 의해 형성된 구멍의 면적은 곤충, 특히 모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가 슬릿 형상일 경우, 공기 집진부 살(216a) 각각은 길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막대 형상 부분을 폭의 일부가 중첩하도록 겹친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공기 집진부 살(216a)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은 이웃하는 공기 집진부 살(216a)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분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 집진부(216)는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를 사이로 하나의 공기 집진부 살(216a)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과 다른 공기 집진부 살(216a)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분이 대향하는 형태가 연속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흡입팬(212)에 의해 기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뿐 아니라, 흡입팬(212)이 정지하였을 때 포집부(220)에 포집된 모기가 포충기(200) 밖으로 탈출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이때, 공기 집진부 살(216a) 및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는 포충기(200)의 상하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공기저항이 훨씬 줄어들고,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에 걸린 모기에 의해 공기 흐름이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방향에 따라 공기 집진부 살(216a)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공기 집진부 살(216a)의 위쪽에 배치된 부분에 먼저 접하고 이후 공기 집진부 살(216a)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분에 접하도록 공기 집진부 살(216a)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공기 집진부 측면구(216b)를 통해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흡입 기류를 유체역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200)는 공기 집진부 살(216a)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흡입팬(212)의 회전 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인 범위 내에서도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 m/s 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흡입되는 곤충이 물리적 충격에 의해 흡입팬(212)에 달라붙지 않고 포집부(220)로 포집되도록 포충기(20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200)는 공기 집진부(216)의 수직 단면의 기울기가 상이하도록 제어하고, 공기 집진부 토출구(216e)의 형태 및 공기 집진부 살(216a)의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가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입된 곤충이 포집부(220)에 포집된 후 공기 집진부(216)를 통해 포충기(200)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하부광원(214)
도 7을 참조하면, 포충기(200)는 흡입팬(212)과 포집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광원(2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광원(214)은 광촉매필터(215)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부광원(214)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광원(214)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은 200 nm 내지 400 nm 일 수 있고, 하부광원(214)이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200 nm 내지 300 nm 의 파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하부광원(214)은 입력 전압이 5 V 내지 30 V, 입력 전류가 50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500 mW 내지 3000 mW 일 수 있다. 하부광원(214)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파장 범위이거나 상기 광출력을 나타낼 때, 광촉매필터(215)의 반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하부광원(214)은 발광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광원(214)은 점발광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발광 광원은 다른 점발광 광원으로부터 2mm 내지 50mm가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하부광원(214)은 UVC를 조사할 수 있고, 포충기(200)를 살균하거나 포집부(220)에 포집된 곤충을 살충할 수 있다.
하부광원(214)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포집부(220)와 흡입팬(212) 사이, 예를 들어, 광촉매필터 설치부(215a)와 흡입팬(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광원(214)는 바디(210) 하단 또는 공기 집진부(216)로부터 연장된 단일 또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또는 광촉매필터 설치부(215a)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광원(214)는 바디(210) 하단의 중앙 또는 흡입팬(212)의 허브 하부에 배치되어, 흡입팬(212)을 통과한 곤충이 포집부(220)로 포집되는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광원(214)는 흡입팬(21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광원(214)에서 열이 발생하는 면, 예를 들어 발광칩이 실장되지 않은 면이 흡입팬(212)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흡입팬(212)에 의해 형성된 기류로 하부광원(214)에서 발생되는 열이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하부광원(214)의 신뢰성 내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촉매필터(215)
도 7을 참조하면, 포충기(200)는 광촉매필터 설치부(215a)에 광촉매필터(215)가 장착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215)는 광촉매 매질로서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촉매 매질은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및 산화주석(SnO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된 광촉매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필터(215)는 티타늄산화물(TiO2)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215)는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세라믹과 같이 공기 흐름이 유통될 수 있는 재질에 광촉매필터(215)가 코팅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공기 흐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광촉매필터(215)는 하부광원(214)로부터 방출되는 약 200 nm 내지 400 nm의 자외선과 광촉매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매질에 자외선이 흡수되면 표면에 전자(e-)와 정공(+)이 생성되어 광촉매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전자와 정공은 공기 중 오염물질과 산화 환원 반응을 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의 표면에 생성된 전자는 상기 광촉매 매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을 생성하고, 정공은 광촉매 표면이나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산화기 (-OH)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OH-)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은 강한 산화제로서 작용함으로써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공기 중 유기오염물질들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포충기(200)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포충기(200)는 하부광원(214)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필터(215)에서 광촉매 반응이 진행되면서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반응에 의해 형성된 이산화탄소는 모기 유인 효과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발생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젖산, 아미노산, 염화나트륨, 요산, 암모니아 또는 단백질 분해물질 등과 같은 유인 물질을 추가적으로 광촉매필터(21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인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광촉매필터(215) 내의 상기 광촉매층에 유인 물질을 도포하거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광촉매층에 분사하는 방법을 적용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가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곤충의 유인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200)는 하부광원(214) 및 광촉매필터(215)가 설치됨으로써 살균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촉매 반응 중에 생성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곤충, 특히 모기 유인 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300)>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충기(3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인광원을 나타낸 것이다.
포충기(300)는 바디(310) 및 유인광원 커버부(330)를 포함하고, 점착시트(321)가 삽입될 수 있다.
바디(310)
바디(3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디(310)에 안내되는 점착시트(321)의 형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판형의 점착시트(321)가 안내되는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디(310)는 바디(310)의 앞면에 점착시트(321)가 직립하여 상하 슬라이드 방식 또는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점착시트 삽입구를 갖고, 상기 점착시트 삽입구의 적어도 일 측에 점착시트(321)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점착시트(321)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되 점착시트(321)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점착시트(321)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 거리에 해당하는 두께가 형성되고, 점착시트(321)의 끈끈이가 바디(310)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에 해당되는 깊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착시트 삽입구는 개방된 구조이거나 또는 도어(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도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점착시트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330)
유인광원 커버부(33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디(3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에 곤충이 유입될 수 있는 곤충 유입구(310a)를 가질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330)는 유인광원(30)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인광원 커버부(330 상기 광을 굴절 또는 확산시킬 수 있도록 표면이 요철처리 되거나 별도의 커버판이 유인광원 커버부(33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부착 또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유인광원 커버부(330)는 바디(310)에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유인광원 커버부(330)의 배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 커버부(330)는 슬라이딩 이동으로 바디(310)에서 탈착되거나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바디(3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유인광원 커버부(330)를 바디(3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과도한 힘을 줌으로써 점착시트(321) 등 점착형 포충기(300)에 설치된 구성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 커버부(330)는 바디(310)와 신축성 소재의 고리, 체인, 끈 등으로 연결되거나 유인광원 커버부(330)의 일 측은 바디(310)와 고정되되 유인광원 커버부(330)의 타 측이 바디(310)와 탈착 될 수 있는 형태를 차용함으로써, 유인광원 커버부(330)와 바디(31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인광원 커버부(33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인광원(30)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Styrene; M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및 유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인광원(30)
유인광원(30)은 전술한 유인광원(10)의 구성 및 사용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30)은 튜브타입 LED 일 수 있다. 상기 튜브타입 LED는 와이어 본딩으로 또는 와이어 본딩 없이 외부의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타입 LED는 지지부재(31)에 발광다이오드(12)가 부착된 형태로, 일면에 지지부재(31)가 안착되는 히트싱크(32)가 마련되고, 지지부재(31) 및 히트싱크(32)를 내장하는 케이스(33)의 양단에 결합하는 베이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히트싱크(32)는 지지부재(31)의 양측을 감싸는 지지부재 고정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재 고정부(35)의 적어도 일면은 지지부재(31)가 안착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튜브타입 LED는 지지부재(31)의 양 면에 발광칩(12)이 부착될 수 있고, 한 면은 해충 유인용 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되고, 다른 한 면은 살균 및 살충용 UVC 발광다이오드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인광원(30)은 발광칩(12)이 각각 10개씩 실장된 튜브형 LED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인광원(30)은 해충의 광 유인 효율이 높은 320 nm 내지 390 nm 내의 피크 파장 및 3500mW 내지 4500mW 의 광출력을 가질 수 있다.
점착시트(321)
점착시트(321)는 시트 상에 끈끈이가 도포 또는 코팅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종이 재질의 판재 일면에 점착성 물질인 끈끈이가 도포 또는 코팅되고, 상기 점착성 물질에 해충이 붙는 것을 이용하여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끈끈이는 상기 시트의 전 면적에 도포 또는 코팅되지 않고 상기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시트에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점착시트(32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끈끈이가 상기 점착시트 삽입구 내지 상기 가이드홈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충의 유인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기 위해, 자외선을 이용한 해충의 유인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가시광선의 외부 방출을 차단할 수 있는 광 필터가 마련된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는 밴드 스탑 필터(Band stop Filter, 대역저지필터)를 포함하며, 이하 도 11 및 도 12를 들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스탑 필터를 갖는 유인광원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유인광원은 전술한 포충기(100, 200, 300)에 장착되는 유인광원들(10, 20, 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고, 이하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모두 전술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유인광원은 기판(11), 기판(11) 상에 마련된 발광칩(12) 및 밴드 스탑 필터(Band stop Filter, 대역저지필터)(13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밴드 스탑 필터(13a, 13b)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방출시키거나 방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그 외의 다양한 필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파장 대역만 차단시키는 밴드 스탑 필터 외에, 저역만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고역만 통과시키는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정해진 대역 만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차용할 수 있다.
기판(11)은 발광칩(1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 예컨대, 배선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판(11)은 발광칩(12)이 실장될 영역에 회로패턴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기판(11)은 금속, 반도체, 세라믹, 폴리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칩(12)은 기판(11) 상에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발광칩들(12)이 기판(11)을 사이에 두고 양 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발광칩(12)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UV-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 스탑 필터(13a, 13b)는 발광칩(12)에서 광이 방출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로 발광칩(1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밴드 스탑 필터(13a, 13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파장대역을 차단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분포 브래그 반사기(distributed bragg ref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층들이 교대로 반복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칩(12)에서 생성된 390 ㎚ 이상의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8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면서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20% 이하의 반사율을 갖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발광칩(12)에서 생성된 390 ㎚ 내지 500 ㎚ 파장의 광에 대해 8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면서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20% 이하의 반사율을 갖도록 굴절률이 서로 다른 층들이 반복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율은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의 구성 성분 및 적층수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되는 층들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필요는 없고, 유인광원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고자 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갖고 자외선 파장의 광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반사율을 갖도록 두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예를 들어, SiO2층과 TiO2층, 또는 SiO2층과 Nb2O5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의 첫째층 및 마지막층은 SiO2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SiO2보다 굴절률이 더 낮은 유전층, 예를 들어 MgF2층이 첫째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밴드 스탑 필터(13a, 13b)는 발광칩(12)에서 광이 방출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스탑 필터(13a)는 발광칩(12)의 상면에 한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칩(12)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칩(12)에서 생성된 가시광선, 특히 청색광의 외부 방출 차단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는 광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몰딩부를 포함하며, 이하 도 13을 들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부를 갖는 유인광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유인광원은 기판(11), 발광칩(12) 및 몰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 및 발광칩(12)은 도 11 및 도 12을 들어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고, 몰딩부(14)는 발광칩(12)에서 광이 방출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몰딩부(14)는 투명 부재(14) 및 광 필터 물질(1)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필터 물질(1)은 발광칩(12)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 중 적어도 일부 파장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발광칩(12)에서 생성된 390 ㎚ 이상의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80% 이상의 광 흡수율을 가지면서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20% 이하의 광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광 필터 물질(1)의 종류 및 포함량은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 필터 물질(1)은 발광칩(12)에서 생성된 390 ㎚ 내지 500 ㎚ 파장의 광에 대해 80% 이상의 광 흡수율을 가지면서 자외선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20% 이하의 광 흡수율을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필터 물질(1)은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장변환물질은 400 ~ 500nm 범위 내의 청색광을 흡수하여 청색광보다 장파장의 광, 예를 들어 500nm 이상의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장변환물질의 여기 스펙트럼은 400 내지 500nm 범위 내에서 최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방출 스펙트럼은 500nm 이상에서 최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물질은 청색광에 의해 여기되어 녹색 또는 적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파장변환물질은 또한 청색광에 의해 여기되어 적외선 영역의 광을 주로 방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파장변환물질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 예를 들어, 400 ~ 500nm 범위 내의 청색광을 흡수하여 청색광보다 단파장의 광, 예를 들어, 400nm 이하의 자외선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시광선에 의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곤충의 광 유인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야간 시감도는 청색 파장에서 높기 때문에, 청색광을 녹색 또는 적색광으로 파장변환함으로써 야간에 느낄 수 있는 광의 감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청색광을 줄여 광에 의한 눈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장변환물질은 발광칩(12)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대한 흡수율이 20%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인 광원의 해충 유인 성능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는 발광칩(12)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광 필터는 유인광원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 또는 코팅된 형태를 포함하며,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들어 설명한다.
도 14는 포충기(100)에 광 필터(15)가 마련된 포충기(100a)를, 도 15는 포충기(200)에 광 필터(25)가 마련된 포충기(200a)를, 도 16은 포충기(300)에 광 필터(35)가 마련된 포충기(300a)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광 필터(15, 25, 35)를 제외한 구성은 전술한 포충기(100, 200, 300)의 구성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포충기(100a, 200a, 300a)는 유인광원(10, 20, 30)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광 필터(15, 25, 3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필터(15, 25, 35)는 발광칩(12)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 중 적어도 일부 파장의 광 방출을 차단하는 밴드 스탑 필터 또는 광 필터 물질(1)을 포함할 수 있고, 밴드 스탑 필터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밴드 패스 필터를, 그리고 광 필터 물질(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 필터에서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광 필터(15, 25, 35)는 유인광원 커버부(130, 230, 3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인광원 커버부(130, 230, 330)는 광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구성되되, 밴드 스탑 필터 또는 광 필터 물질(1)이 도포 또는 코팅된 형태의 광 필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필터(15, 25, 35)는 유인광원 커버부(130, 230, 330)에서 유인광이 방출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인광이 전, 후 양 면으로 조사되는 경우, 유인광원 커버부(130, 230, 330)의 전, 후 양 면에 마련될 수 있거나 또는 유인광원 커버부(130, 230, 330) 전 면에 광 필터(15, 25, 35)가 도포 또는 코팅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필터(15, 25, 35)는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필름 형태의 광 필터(15, 25, 35)가 유인광원 커버부(130, 230, 330)에 탈착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광 필터 물질
10, 20, 30: 유인광원
11: 기판
12: 발광칩
13a, 13b: 밴드 스탑 필터
14: 몰딩부
15, 25, 35: 광 필터
31: 지지부재
32: 히트싱크
33: 케이스
34: 베이스
35: 지지부재 고정부
100, 200, 300, 100a, 200a, 300a: 포충기
110, 210, 310: 바디
110a, 210a, 310a: 곤충 유입구
111, 211: 바디 상면
111a: 제1 영역
111b: 제2 영역
111c: 제3 영역
111d: 제4 영역
111e: 제3 영역에 의해 정의된 폭
111f: 제4 영역에 의해 정의된 폭
112, 212, 312: 흡입팬
213: 모터
214: 하부광원
215: 광촉매필터
215a: 광촉매 설치부
216: 공기 집진부
216a: 공기 집진부 살
216b: 공기 집진부 측면구
216c: 공기 집진부 입구부
216d: 공기 집진부 중간부
216e: 공기 집진부 토출구
120, 220, 320: 포집부
121: 포집부 메쉬부
221: 포집부 측면구
321: 점착시트
130, 230, 330: 유인광원 커버부
140, 240: 지지대
250: 지붕

Claims (20)

  1. 곤충 유입구를 가지는 바디;
    상기 바디 내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광을 생성하는 발광칩을 포함하는 유인광원;
    상기 발광칩에서 생성된 광 중 자외선을 투과시키되 가시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광 필터;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되되 상기 유인광원이 실장 가능한 유인광원 커버부; 및
    상기 바디 저부에 배치되어 곤충을 포집하는 포집부;
    를 포함하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는 밴드 스탑 필터(Band-stop filter)를 포함하는, 포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밴드 스탑 필터는 굴절률이 상이한 2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분포 브래그 반사기(distributed bragg reflector)를 포함하는, 포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상기 발광칩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대한 반사율이 20% 이하이고, 청색광에 대한 반사율이 80% 이상인, 포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상기 발광칩 상에 배치된, 포충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포 브래그 반사기는 상기 유인 광원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의 경로 상에 배치되되, 상기 유인 광원으로부터 이격된, 포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는 상기 발광칩에서 생성된 자외선을 투과하고 가시광선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광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포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광칩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필터 물질은 상기 몰딩부 내에 분포된, 포충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 물질은 상기 유인 광원으로부터 이격된 투명 부재 내에 배치된, 포충기.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 물질은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파장변환물질의 여기 스펙트럼은 400 ~ 500㎚ 파장 범위 내에 최대 값을 가지는, 포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물질의 발광 스펙트럼은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최대 값을 가지는, 포충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 물질은 자외선 흡수율이 20 % 이하이고, 상기 발광칩에서 방출되는 청색광 흡수율이 80 % 이상인, 포충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곤충 유입구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한 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원호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하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서 하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구간을 포함하는 제4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영역에 의해 정의된 폭은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정의된 폭 보다 좁게 형성된, 포충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집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집진부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는 공기 집진부 입구부, 공기 집진부 중간부 및 공기 집진부 토출구를 포함하며,
    수직 단면의 기울기의 크기가 공기 집진부 토출구 기울기 > 공기 집진부 입구부 기울기 > 공기 집진부 중간부 기울기 순서 인, 포충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시트; 및
    상기 바디 전방에 상기 바디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인광원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에 곤충 유입구가 마련된, 포충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유인광원 및 상기 바디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포충기.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는 광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광 필터가 마련된, 포충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는 밴드 스탑 필터 또는 광 필터 물질이 도포 또는 코팅된 형태를 포함하는, 포충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는 상기 유인광원 커버부에 탈착 가능한 필름 형태를 포함하는, 포충기.
PCT/KR2018/011408 2017-09-29 2018-09-27 포충기 WO201906647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28 2017-09-29
KR1020170127128A KR20190037605A (ko) 2017-09-29 2017-09-29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479A1 true WO2019066479A1 (ko) 2019-04-04

Family

ID=6590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408 WO2019066479A1 (ko) 2017-09-29 2018-09-27 포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37605A (ko)
WO (1) WO201906647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31A (ja) * 2005-06-22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物誘引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生物誘引方法
KR100795435B1 (ko) * 2006-10-24 2008-01-17 박경보 해충제거장치
JP2008136393A (ja) * 2006-11-30 2008-06-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粘着式捕虫装置
JP2008154500A (ja) * 2006-12-22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捕虫器
KR20170106882A (ko) * 2016-03-14 2017-09-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31A (ja) * 2005-06-22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物誘引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生物誘引方法
KR100795435B1 (ko) * 2006-10-24 2008-01-17 박경보 해충제거장치
JP2008136393A (ja) * 2006-11-30 2008-06-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粘着式捕虫装置
JP2008154500A (ja) * 2006-12-22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捕虫器
KR20170106882A (ko) * 2016-03-14 2017-09-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05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9918A1 (ko) 포충기
WO2018008923A1 (ko) 포충기
WO2017159936A1 (ko) 포충기
WO2017003090A1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KR102415917B1 (ko) 포충기
WO2018236175A1 (ko) 포충기
WO2018131840A1 (ko) 점착형 포충기
WO2018131853A1 (ko) 점착형 포충기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KR101691587B1 (ko) 포충기
WO2017209434A1 (ko) 탈취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US20080141578A1 (en) Mosquito trap mediated by filtrated visible light emitting diode and mosquito bait
US11154044B2 (en) Insect trap
KR20160042705A (ko)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WO2017159937A1 (ko) 포충기
WO2017200314A1 (ko) 포충기
WO2004071188A3 (en) Light emitting insect trap
WO2018186701A1 (ko) 스마트 창호 및 그의 구동방법
WO2018131851A1 (ko) 점착형 포충기
WO2019066113A1 (ko) 플렉서블 활성종 발생기 및 이의 용도
WO2018182265A1 (ko) 조명장치
WO2019035683A1 (ko) 포충기
WO2019135564A1 (ko) 포충기
WO2019066479A1 (ko) 포충기
WO2018236147A1 (ko)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613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613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