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59657A1 -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 Google Patents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9657A1
WO2019059657A1 PCT/KR2018/011088 KR2018011088W WO2019059657A1 WO 2019059657 A1 WO2019059657 A1 WO 2019059657A1 KR 2018011088 W KR2018011088 W KR 2018011088W WO 2019059657 A1 WO2019059657 A1 WO 20190596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signal
signal
w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0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승계
안준기
박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57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1344A4/en
Priority to US16/650,787 priority patent/US11290995B2/en
Publication of WO20190596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96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communications.
  •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3GPP LTE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in the downlink and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in the uplink.
  •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SC-FDMA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a physical channel is divided into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and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
  •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IoT Internet of Things
  • IoT communication can be widely used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 NB narrow band IoT
  • a general UE performs blind decoding on a PDCCH in an on period according to DRX (Discontinuous Reception).
  • DRX discontinuous Reception
  • the NB-IoT device may not transmit / receive data frequently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inefficient to frequently monitor the PDCCH in the on interval according to DRX.
  •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at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way to maximize the energy efficiency of NB-IoT devices.
  • on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a wireless device to monitor a downlink channel or a downlink signal.
  •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power saving signal from a serving cell; And monitoring a subsequent downlink channel or downlink signal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transmission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ing cell.
  •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petition number of the power saving signal and a number of information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the power saving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identifier of the wireless device, a group identifier of a wireless device, or a cell identifier.
  • a cover code may b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determining an actual transmission period of the power saving signal based on a transmission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otal transmission length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information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power sav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number, and section of a paging occasion (PO).
  • a plurality of power saving signals may be included.
  • a cover code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power saving signals in the transmission unit.
  • on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radio apparatus for monitoring a downlink channel or a downlink signal.
  • the wireless device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receiving a power save signal from a serving cell;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and monitoring a subsequent downlink channel or a downlink signal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transmission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ing cell.
  • 1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FIG. 2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according to FDD in 3GPP LTE.
  • 3 shows a structure of a downlink sub-frame.
  •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DRX cycle.
  • FIG 5A shows an example of IoT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 5B is an illustration of cell coverage expansion or augmentation for an IoT device.
  • 5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bundle of downlink channels.
  • 6A and 6B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sub-bands in which IoT devices operate.
  • FIG. 7 shows an example of time resources that can be used for NB-IoT in M-frame units.
  • Figure 8 is another example illustrating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that may be used for NB IoT.
  •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utilizing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 FIG. 10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according to the first disclosure.
  • FIG. 10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ctual transmission period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ccording to the first disclosure
  • FIG. 1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dure according to the first scheme of the first disclosure
  • FIG. 12 shows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is repres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ccording to the second disclosure.
  • FIG. 13 shows an example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MWUS according to the second disclosure when MWUS is used for MTC.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unit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using a cover code according to the third disclosure.
  • 15 shows an example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MWUS using the cover code according to the third disclosure when MWUS is used for MTC.
  •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is implemented.
  • FIG. 1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ceiver of the wireless device shown in Fig.
  • LTE includes LTE and / or LTE-A.
  •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base station refers to a fixed station that typically communicates with a wireless device and includes an evolved-NodeB (eNodeB),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ccess Point).
  • eNodeB evolved-NodeB
  • eNB evolved-NodeB
  • BTS Base Transceiver System
  • NB IoT device which is a used term,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device, a wireless device, a terminal,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SS), a mobile terminal (MT), and the like.
  • 1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BS) 20.
  • Each base station 20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specific geographical area (generally called a cell) 20a, 20b, 20c.
  • the cell may again be divided into multiple regions (referred to as sectors).
  • a terminal usually belongs to one cell, and a cell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is called a serving cell.
  • a base station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serving cell is called a serving BS.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cellular system, there are other cells adjacent to the serving cell. Another cell adjacent to the serving cell is called a neighbor cell.
  •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to neighbor cells is called a neighbor BS. The serving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re relatively determined based on the terminal.
  • the down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20 to the terminal 10
  • the up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10 to the base station 20.
  •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20,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0.
  •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0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2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ystem and a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 TDD time division duplex
  •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occupy different frequency bands.
  •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occupy the same frequency band and are performed at different times.
  • the channel response of the TDD scheme is substantially reciprocal. This is because the downlink channel response and the uplink channel response are almost the same in a given frequency domain. Therefore, in the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downlink channel respons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obtained from the uplink channel response.
  • the TDD scheme can not simultaneously perform downlink transmission by a base station and uplink transmission by a UE because the uplink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are time-divided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are performed in different subframes.
  • FIG. 2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frame according to FDD in 3GPP LTE.
  • a radio frame includes 10 subframes (one subframe), and one subframe includes two slots.
  • the slots in the radio frame are slot numbered from 0 to 19.
  • the time taken for one subframe to be transmitted is called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 TTI is a scheduling unit for data transmission.
  • the length of one radio frame is 10 ms
  • the length of one subframe is 1 ms
  • the length of one slot may be 0.5 ms.
  • 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ubframes included in the radio frame, the number of slots included in the subframe,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changed.
  • one slot may include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How many OFDM symbols are included in one slot may vary according to a cyclic prefix (CP).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One slot includes N RB resource blocks (RBs) in the frequency domain.
  • N RB resource blocks
  • the number of resource blocks (RBs) in the LTE system, i.e., N RB can be any of 6 to 110.
  • a resource block (RB) is a resource allocation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one slot. For example, if one slot includes 7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the resource block includes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one resource block includes 7 ⁇ 12 12 resource elements (REs) .
  • REs resource elements
  • a physical channel includes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ARQ Indicator Channel) and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ARQ Indicator Channel
  •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the uplink channel includes a PUSCH, a PUCCH,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and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 PUSCH PUSCH
  •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 3 shows a structure of a downlink sub-frame.
  • a DL (downlink) subframe is divided into a control region and a data region in a time domain.
  • the control region includes up to three OFDM symbols preceding the first slot in the subframe, but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the control region may be changed.
  •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another control channel are allocated to the control region, and a PDSCH is allocated to the data region.
  • PD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the PCFICH transmitted in the first OFDM symbol of the subframe carries a control format indicator (CFI) regarding the number of OFDM symbols (i.e., the size of the control region) used for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hannels in the subframe.
  • CFI control format indicator
  • the wireless device first receives the CFI on the PCFICH and then monitors the PDCCH.
  •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is referred to a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 DCI includes a set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for individual terminals in an arbitrary group, and a resource allocation of the PDSCH / RTI > and / or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PDCCH format according to the DCI to be transmitted to the UE, and attaches a CRC (cyclic redundancy check) to the control information.
  • the CRC is masked with a unique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according to the owner or use of the PDCCH.
  •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UE for example C-RNTI (cell-RNTI)
  • C-RNTI cell-RNTI
  • a paging indication identifier e.g., a paging-RNTI (P-RNTI)
  • P-RNTI paging indication identifier
  • a system information identifier (SI-RNTI) may be masked in the CRC.
  • SI-RNTI system information identifier
  • RA-RNTI random access-RNTI
  • blind decoding is used for PDCCH detection.
  • Blind decoding is a method for checking whether a corresponding PDCCH is a control channel by checking a CRC error by demodulating a desired identifier in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of a received PDCCH (referred to as a candidate PDCCH) .
  •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PDCCH format according to the DCI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device, attaches a CRC to the DCI, and masks a unique identifier (RNTI) to the CRC according to the owner or use of the PDCCH.
  • RNTI unique identifier
  • DRX is a technique fo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of a wireless device by allowing a terminal to monitor a downlink channel discontinuously.
  •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DRX cycle.
  • the DRX cycle specifies a periodic repetition of On-Duration followed by a possible interval of inactivity.
  • the DRX cycle includes the On-period and the Off-period.
  • the On-interval is a period during which the UE monitors the PDCCH within the DRX cycle.
  • the UE monitors the PDCCH only in the On-interval and does not monitor the PDCCH in the Off-interval.
  • the on-duration timer is used to define the On-interval.
  • the On-interval can be defined as the interval during which the onDuration timer is active.
  • the onDuration timer specifies the number of consecutive PDCCH-subframes at the beginning of the DRX cycle.
  • the PDCCH-subframe indicates a subframe in which the PDCCH is monitored.
  • the interval over which the PDCCH is monitored can be further defined.
  • the period in which the PDCCH is monitore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active time.
  • the active time may include an On-period for periodically monitoring the PDCCH and an interval for monitoring the PDCCH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 CA carrier aggregation
  •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means aggregating a number of component carriers (CCs). This carrier aggregation changed the meaning of existing cells. According to carrier aggregation, a cell may refer to a combination of a downlink component carrier and an uplink component carrier, or a single downlink component carrier.
  • a cell may be classified into a primary cell, a secondary cell, and a serving cell.
  • a primary cell refers to a cell operating at a primary frequency.
  • the primary cell is a cell in which the UE performs an 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or a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ss with a base station, Cell.
  • a secondary cell is a cell operating at a secondary frequency, and once established, an RRC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used to provide additional radio resources.
  • the carrier aggregation system can support a plurality of element carriers (CC), i.e., a plurality of serving cells.
  • CC element carriers
  • Such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may support cross-carrier scheduling.
  • Cross-carrier scheduling may be performed by assigning a resource allocation of a PDSCH that is transmitted over a different element carrier over a PDCCH that is transmitted over a specific element carrier and / or a resource allocation of elements other than an element carrier that is basically linked with the particular element carrier
  • a scheduling method that can allocate resources of a PUSCH transmitted through a carrier wave.
  • FIG 5A shows an example of IoT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 IoT refers to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IoT devices 100 without human interac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200 or between the IoT device 100 and the server 700 through the base station 200 .
  • IoT communication is also referred to as Cellular Internet of Things (CIoT)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a cellular base station.
  • CCIoT Cellular Internet of Things
  • Such IoT communication is a type of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IoT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n MTC device.
  • the IoT service is different from the service in the conventional human intervention and may include various categories of services such as tracking, metering, payment, medical service, and remote control.
  • IoT services may include meter readings, level measurements, use of surveillance cameras, inventory reporting of vending machines, and so on.
  • IoT communication has a small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uplink 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arely occurs,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IoT device 100 and reduce battery consumption in accordance with a low data rate. Further, since the IoT device 100 has a feature of low mobility, the IoT device 100 has characteristics that the channel environment hardly changes.
  • 5B is an illustration of cell coverage expansion or augmentation for an IoT device.
  •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downlink channel to the IoT device located in the coverage extension (CE) or coverage enhancement (CE) area, which is difficult to receive.
  • the base station has difficulty in receiving the uplink channel.
  • a downlink channel or an uplink channel can be repeatedly transmitted over several subframes. Repeating the uplink / downlink channels on several subframes is referred to as bundle transmission.
  • 5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bundle of downlink channels.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downlink channel (e.g., PDCCH and / or PDSCH) to several subframes (e.g., N subframes ).
  • a downlink channel e.g., PDCCH and / or PDSCH
  • subframes e.g., N subframes
  • the IoT device or the base station can increase the decoding success rate by receiving a bundle of downlink / uplink channels on several subframes and decoding a part or all of the bundle.
  • 6A and 6B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sub-bands in which IoT devices operate.
  • the IoT device uses a sub-band (sub-band) of, for example, about 1.4 MHz .
  • the area of the subband in which the IoT device operates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area (for example, six middle PRBs) of the system bandwidth of the cell as shown in FIG. 6A.
  • a plurality of sub-bands of the IoT device may be used in one sub-frame for intra-sub-frame multiplexing between IoT devices, and other sub-bands may be used between IoT devices.
  • the majority of IoT devices may use other subbands than the central region of the system band of the cell (e.g., middle six PRBs).
  • IoT communication operating on such a reduced bandwidth can be called NB (Narrow Band) IoT communication or NB CIoT communication.
  • FIG. 7 shows an example of time resources that can be used for NB-IoT in M-frame units.
  • a frame that may be used for NB-IoT may be referred to as an M-frame, and the length may be illustratively 60ms.
  • the subframe that may be used for NB IoT may be referred to as an M-subframe, and the length may be, for example, 6 ms.
  • an M-frame may include ten M-subframes.
  • Each M-subframe may include two slots, and each slot may be illustratively 3 ms.
  • a slot that can be used for NB IoT may have a length of 2ms, so that the subframe has a length of 4ms and the frame may have a length of 40m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 Figure 8 is another example illustrating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that may be used for NB IoT.
  • a physical channel or a physical signal transmitted on a slot in an uplink of an NB-IoT includes N symb UL SC-FDMA symbols in a time domain, N sc UL subcarriers.
  • the uplink physical channels can be divided into a Narrowb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NPUSCH) and a 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NPRACH).
  • NPUSCH Narrowb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NPRACH 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 the physical signal may be NDMRS (Narrowb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 the uplink bandwidth of the N sc UL subcarriers during the T slot slot in the NB-IoT is as follows.
  • the physical channel of the downlink in the NB-IoT may be defined as an index pair (k, l).
  • the physical channel of the downlink may be a narrow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 a narrow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 or a narrow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 the downlink physical signals include a narrowband reference signal (NRS), a narrowband synchronization signal (NSS), and a narrowban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NPRS).
  • the NSS includes a 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and a Narrow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
  • NB-IoT is a communication scheme for wireless devices using reduced bandwidth (i.e., narrowband) with low-complexity / low-cost.
  • This NB-IoT communication is aimed at enabling many wireless devices to be connected in the reduced bandwidth.
  • NB-IoT communication aims to support a wider cell coverage than cell coverage in existing LTE communication.
  • the carrier having the reduced bandwidth includes only one PRB when the subcarrier spacing is 15 kHz, as can be seen from Table 1 above. That is, the NB-Io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only one PRB.
  • the radio device transmits NPSS / NSSS / NPBCH / SIB-NB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PRB to which the radio device is connected to receive it is called an anchor PRB (or an anchor carrier). Meanwhile, the radio device may receive an additional PRB from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o the anchor PRB (or anchor carrier wave).
  • a PRB for which the wireless device does not expect to receive NPSS / NSSS / NPBCH / SIB-NB from the bas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non-anchor PRB (or non-anchor carrier).
  • a general UE performs blind decoding on a PDCCH in an on period according to DRX (Discontinuous Reception).
  • DRX discontinuous Reception
  • the NB-IoT device may not transmit / receive data frequently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inefficient to frequently monitor the PDCCH in the on interval according to DRX.
  • the NB-IoT device may be able to receive a PDCCH or other downlink signal only after receiving a power save signal (also referred to as a WAK (wake up signal)).
  •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utilizing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before transmitting the PDCCH (or MPDCCH or NPDCCH).
  • WUS power saving signal
  • the NB-IoT device can monitor the PDCCH (or MPDCCH or NPDCCH).
  • the NB-IoT device defines a basic transmission unit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to be monitored in advanc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signal or channel is to be received, and proposes the following operations.
  • WUS power saving signal
  •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signal that indicates whether a base station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or a low payload before transmitting a specific signal or channel intended by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monitoring a specific signal or channel. Specifically, when a repetition of a specific signal or channel is performed for an NB-IoT device or an MTC device, instead of monitoring the repeating channel a high number of times each time, the repeater power saving signal (or WUS) So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 the power saving signal may refer to a period in a time / frequency domain in which a specific signal or channel is transmitted, and may be for reducing overhead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the signal or channel.
  • a basic transmission unit on a time / frequency domain in which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transmitted is defined in units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unit of on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a combination of N power saving signals (or WUS).
  • the transmission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configured in units of one or more power saving signals (or WUS).
  • the basic transmission unit on the time domain for the power saving signal may comprise, for example, one symbol, one slot or one subframe.
  • the basic transmission unit on the time domain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symbols, a plurality of slots, or a plurality of subframes.
  •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defined as a transmission unit composed of N subframes.
  • the basic transmission unit in the frequency domain for the power saving signal may be, for example, a unit expressed by a subcarrier, a carrier wave or a PRB.
  •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may be represented by M PRBs.
  • a transmission unit on the time / frequency domain for the power saving signal may be represented by, for example, a symbol, a slot or a subframe / subcarrier, a carrier wave or a combination of PRBs.
  •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can be determin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a unit for representing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may be for informing that it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base station or an NB-IoT device, such as a cell ID and an identifier of the NB-IoT device (e.g., UE ID).
  • power save signal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specifying a unit for performing inter cell interference randomization.
  • OCC orthogonal cover code
  • a unit of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used.
  • FIG. 10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according to the first disclosure.
  • a plurality of power saving signals can be gathered to form a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a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er saving signals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can be used to express an actual transmission duration.
  • the base station can determine this and inform the NB-IoT devices.
  • the durat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transmitted by the actual base station may be shorter than this. For example, if a particular NB-IoT device is present at a location with a high signal strength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may request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transmitted in a short length. The length can be defined as the actual transmission duration.
  • the NB-IoT device must blindly detect / decode whether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transmitted in a period in which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transmitted based on the maximum interval. If the actual interval can consist of a minimum unit (e.g., a subfram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the NB-IoT device may have to perform blind detection / decoding based on every minimum unit. Such an operation may increa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B-IoT devic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nd may degrade the detection / decoding performance.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is section, the actual transmission interval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FIG. 10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ctual transmission period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ccording to the first disclosure
  • the NB-IoT device can not know the accurate actual transmission interval, bu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lind detection / decoding is performed based on at least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unit.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set by the base station.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inimum unit of repetition and the number of pieces of information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Therefore, the unit size of a suitabl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o this end, the first approach suggests that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e signal (or WUS) be set by the base station.
  • FIG. 1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dure according to the first scheme of the first disclosure
  • the wireless device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on a power saving signal.
  • the wireless device determines the transmission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radio receives a power saving signal from a serving cell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ssion unit size.
  • the wireless device may monitor a subsequent downlink channel or downlink signal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 the unit size of the set power-saving signal may indicate the size of the time domain resource. Conversely, if the size of the frequency domain resource to which the NB-IoT device will monitor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not fixed,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 / RTI >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set simultaneously with the size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t the base station.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when the number of pieces of information to be discriminated by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K 1 or K 2 , respectively.
  • the setting information for a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such as an SIB or an RRC signal.
  • the information may be a scheme in which the unit size of L power save signals (or WUS) defined in advance is indicated by K bits. Wherein L and K satisfies the relationship L ⁇ 2 K.
  • the PRB size of the dedicated power saving signal (or MWUS) (E.g., UE ID) / the size of a group ID (i.e., a subgroup for identifying the UE group ID) of the MTC device) using the power save signal (or MWUS) Lt; / RTI >
  • the unit size of the dedicated power save signal (or MWUS)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PRB.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support the subgroup, the unit size of the dedicated power save signal (or MWUS) may be set to two PRBs.
  • the size of the dedicated power save signal may be set to one PRB.
  • the device knows that the subgroup is applied.
  • the device can know that the unit size of the dedicated power saving signal (or MWUS) to be monitored by the device is one PRB.
  • the device is capable of subgroups, the above description can be applied. However, if the device does not have the capability for the subgroup, the device may assume that the size of the unit is always fixed.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arameter values of other purposes.
  • the time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resource size on the frequency domai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requirement of the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monitor paging, the repetitive size required to transmit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proportional to the repetition size of NPDCCH (or MPDCCH). Or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for determining whether to monitor paging in the MTC,
  • the size of the frequency domain resource of the power saving signal may be proportional to the repetition size of the MPDCCH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some values of parameters that are exchang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NB-IoT device.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determined by the repetition level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or signal indicated by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determined by a resource size on the corresponding channel indicated by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or the frequency domain in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 the size of the PRB to which the MPDCCH is transmitted can be a reference.
  • the resource size on the time domain can be determin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sources on the frequency domain. This may be to maintain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s much as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total size, and to maintain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 the resource size on the time domain can be fixed or set independently. In this case, in order to maintain the detection performance, the size of the information that can be expressed by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in the frequency domain.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calculated by the transmission length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nd the unit number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ransmission length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nd the number of units. For example, if the total power saving signal (or WUS) section is defined as T and the number of units is defined as M, the time interval of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may be determined as T / M . At this time, when the length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L, the number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onstituting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unit can be set to T / M / L.
  • the maximum duration may be used as a criterion for calculating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actual transmission interval can be set to a multiple of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For example, if the maximum interval is set to Tmax and the number of power saving signals (or WUS) units is set to four, the actual transmission intervals that can be used are Tmax * 1/4, Tmax * 2/4, Tmax * 3 / 4, and Tmax.
  • the number of power saving signals (or WUS) units is determined to be always fixed to a fixed fixed value, or (2) determined based on the value set by the base station to the NB-IoT device via the upper layer signal, 3) a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rval size of the total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length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calculated by the transmission length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For example, when the interval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T,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rule. At this time, the rule may be determined at a predetermined ratio with the interval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lternatively, the ru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table in which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section is listed.
  •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 be determined to be equal to the transmission length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This is because if the length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shorter than a specific length, the gain obtained by introducing the unit is not large and may be an object to exclude it.
  • the maximum duration may be used as a criterion for calculating the unit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FIG. 12 shows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is repres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ccording to the second disclosure.
  • the plurality of uni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by the unit size to express the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and the NB-IoT device can express or acquir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combination of power save signals (or WUS).
  •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units is up to M N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 the abov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 identifier (i.e., UE ID) / group identifier (i.e., UE group ID) of the NB-IoT device, or identifying the cell ID. This may be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NB-IoT device to recognize whether the corresponding channel or signal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elf.
  • a method of combining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constituting the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initialized using the identifier (i.e., UE ID) / group identifier (i.e., UE group ID) of the NB- A random sequence may be used.
  •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nitoring of the channel 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nitoring of the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may include setting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number, and interval of PO (paging occasion) that the NB-IoT device should monitor. This may be a purpose of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 of the NB-IoT device by providi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to the base station or lowering the system overhead of the base station.
  • a method of combining a plurality of power saving signals (or WUSs) in the unit may use an initialized random sequence form using index values of predefined information.
  • FIG. 13 shows an example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MWUS according to the second disclosure when MWUS is used for MTC.
  • information can be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a pair of MWUS signals of one PRB size mapped to two PRBs. If the information is intended to support subgroups, information to support all MTC devices, regardless of subgroup, may be used as one of the possible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a specific WUS signal may be repeated in two PRBs, which may be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type of MWUS used by a device having no capability for sub-group.
  • backward compatibility may be guaranteed for devices that are not capable of sub-groups.
  • One power save signal (or WUS) unit may be configured to repeat one power save signal (or WUS) several times. At this time, when more than one bit of information is expressed through a unit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 cover code may be used for distinguishing information.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unit of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using a cover code according to the third disclosure.
  • the third disclosure deals with the case where the power saving signals (or WUS) constituting one power saving signal (or WUS) unit are all the same.
  • a cover code of power save signal (or WUS) unit can be applied within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unit to express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third disclosur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 identifier (i.e., a UE ID) of an NB-IoT device or an identifier (i.e., a UE group ID) of a group, or a cell ID. This may be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NB-IoT device to recognize whether the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elf.
  • the method of selecting the index of the cover code constituting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unit at this time is a random number initialization using the identifier of the NB-IoT device (i.e. UE ID) or the identifier of the group (i.e. UE group ID) A random sequence may be used.
  •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third disclosure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nitoring of the signal or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nitoring of the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may include, for example, setting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number and interval of PO (paging occasion) that the NB-IoT device should monitor. This may be to increase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 of the NB-IoT device by providing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l or channel or to lower the system overhead of the base station.
  • a random access sequence type initialized using an index value of previously defined information can be used.
  • a method of selecting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included in the unit may be included in order to further configure other information besides th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cover code.
  •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aving signal (or WUS) candidates may be selected to represent the NB-IoT device identifier (i.e. UE ID), the group identifier (i.e. UE group ID) and / , Which can be repeated within the unit.
  • 15 shows an example of information that can be represented by MWUS using the cover code according to the third disclosure when MWUS is used for MTC.
  • the MWUS of two PRB sizes can be mapped to two PRBs using a cover code of length 2.
  • at least one cover code may be [1,1] to provide information for all devices regardless of subgroup.
  • the cover code for the subgroup purpose can be generated using the available ⁇ value except for [1,1] in the form [1, exp (j2 ⁇ )] (eg, [1, -1], [1 , j], [1, -j], etc.) or, if the information is intended to support a sub-group, at least one cover code [ S, S].
  • the cover code for the subgroup purpose may be of the form [S, S *] (ie, S is the original signal and S * is the conjugate operation applied S).
  • the transmission size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or WUS) is determined by a scaling factor and the set of scaling factors that can be set is in the form of a list, the value of the scaling factor included in the list is NB I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oT device.
  • the transmission size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may be a value set by the base station.
  • the transmission size of the entire power saving signal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hannel indicated by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by a scaling factor.
  • the value of the scaling factor may be one value selected from a predetermined list, and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signal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such as SIB or RRC signal.
  • the signal can be of N bits in size and can represent up to 2 N states.
  • the size of the scaling factor that the NB-IoT device needs or needs to follow may differ depending on the NB-IoT device.
  • the size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required may be different, and the scaling power values may need to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value of the scaling fact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one can be used.
  • this section proposes a method in which the list of scaling factors i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B-IoT device.
  • the characteristics of the NB-IoT device may be the capability of the NB-IoT device, the release information of the NB-IoT device, or the category of the NB-IoT device.
  • some states on the list may be used for a spare state.
  • a scaling factor is used to obtain the total transmission length of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and a set of values for which the scaling factor can be set is in the form of a list, some values on the list are defined as spare states .
  • the spare state is reserv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NB-IoT device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or reserv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NB-IoT device having the improved capability or the NB-IoT device of the other category State.
  • One or more spare states defined above may be present on the list.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each stat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list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of the scaling factor may include a total of 8 states, and the values are ⁇ 1/2, 1/4, 1 / 8, 1/16, 1/32, 1/64, spare1, spare2 ⁇ .
  • a particular NB-IoT device determines a scaling factor based on a scaling factor list that includes a spare state, if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base station indicates a spare state, the NB- Can operate according to one of the following options.
  • the NB-IOT device determines that the power save signal (or WUS) is disabled when the spare state is instructed. This may be the purpose of the base station to apply the power saving signal (or WUS) only to NB-IoT devic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n NB-IoT device that receives the same information while referring to another scaling factor list,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caling factor, not a spare state.
  • the default scaling factor can be applied. This allows the base station to provide a power save signal (or WUS) to all NB-IoT devices that expect a power saving signal (or WUS), and at the same time to direct specialized information to some NB-IoT devices Lt; / RTI > At this time, NB-IoT devices that refer to the list including the spare state can be assured of the operation of the basic power saving signal (or WUS) through the scaling factor defined as default.
  • the default value may be (1) a fixed value predetermined by the standard. Alternatively, the default value may be set via (2) an upper layer signal such as an SIB or RRC signal.
  • an indication field indicating a scaling factor may be received in an upper layer signal (for example, SIB22-NB) for convey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carrier when the upper layer signal is set.
  • the indication field for determining the default value may be received in an upper layer signal (for example, SIB2-NB) for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on a cell-by-cell basis.
  • the value of the basically defined scaling factor may be one of the values existing on the list. That is, the basic value may be determined by a 1-bit indication for selecting one of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n the list.
  • Some states on the list may represent the same scaling factor values.
  • some states on the list may indicate the same value have. Some of the states indicating the same value may be modified for NB-IoT device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ome of the states indicating the same value may be modified to support NB-IoT devices with future improved capabilities or other categories of NB-IoT devices.
  • the list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of the scaling factor may contain a total of 8 states, and the values are ⁇ 1/2, 1/4, 1 / 8, 1/16, 1/32, 1/64, 1/2, 1/64 ⁇ .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More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is implemented.
  • the wireless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may implement the disclosure herein.
  • the illustrated wireless device 100 includes a processor 101, a memory 102, and a transceiver 103.
  • illustrated base station 200 includes a processor 201, a memory 202, and a transceiver 203.
  • the processors 101 and 201, the memories 102 and 202 and the transceivers 103 and 203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or at least two blocks /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through one chip.
  • the transceivers 103 and 203 include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When a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only the operation of either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may be performed, or both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operations may be performed.
  • the transceivers 103 and 203 may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for transmitting and / 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 the transceivers 103 and 203 may includ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reception signal and / or a transmission signal, and a band-pass filter for transmission on a specific frequency band.
  • the processor 101, 201 may implement the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suggested herein.
  • the processors 101 and 201 may include an encoder and a decoder.
  • the processor 101, 202 may perform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 These processors 101 and 201 may include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other chipsets, logic circuits, data processing devices, and / or converters that interconvert baseband signals and radio signals.
  • ASICs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the memory 102, 202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memory card, storage media, and / or other storage devices.
  • ROM read-only memory
  • RAM random access memory
  • flash memory memory card
  • storage media storage media, and / or other storage devices.
  • FIG. 1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ceiver of the wireless device shown in Fig.
  • the transceiver 110 includes a transmitter 111 and a receiver 112.
  • the transmitter 111 includes a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unit 1111, a subcarrier mapper 1112, an IFFT unit 1113, a CP insertion unit 11144, and a radio transmission unit 1115.
  • the transmitter 111 may further include a modulator.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cramble unit, a modulation mapper, a layer mapper, and a layer permutator, for example. Which may be arranged in advance of the DFT unit 1111. That is,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the transmitter 111 first passes information through a DFT 1111 before mapping a signal to a subcarrier.
  • a signal spreading (or precoded in the same sense) by the DFT unit 1111 is subcarrier-mapped through the subcarrier mapper 1112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an 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unit 1113, Signal.
  • the DFT unit 1111 performs DFT on the input symbols to output complex-valued symbols. For example, when Ntx symbols are input (where Ntx is a natural number), the DFT size (size) is Ntx.
  • the DFT unit 1111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form precoder.
  • the subcarrier mapper 1112 maps the complex symbols to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The complex symbols may be mapped to resource elements corresponding to resource blocks allocated for data transmission.
  • the subcarrier mapper 1112 may be referred to as a resource element mapper.
  • the IFFT unit 1113 performs IFFT on the input symbol and outputs a baseband signal for data, which is a time domain signal.
  • the CP inserting unit 1114 copies a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base band signal for data and inserts it in the front part of the base band signal for data.
  • ISI Inter-symbol interference
  • ICI inter-carrier interference
  • the receiver 112 includes a radio receiving unit 1121, a CP removing unit 1122, an FFT unit 1123, and an equalizing unit 1124.
  •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121, the CP removing unit 1122 and the FFT unit 1123 of the receiver 112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1115, the CP inserting unit 1114, the IFF unit 1113, .
  • the receiver 112 may further include a demodulator.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무선 기기가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파워 세이빙 신호를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크기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향상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3GPP 릴리이즈(release) 8로 소개되고 있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갖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채용한다. 최근에는 3GPP LTE의 진화인 3GPP LTE-A(LTE-Advanced)가 상용화되었다.
LTE/LTE-A에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최근에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이 주목받고 있다. IoT는 인간 상호작용(human interaction)을 수반하지 않은 통신을 말한다. 이와 같은 IoT 통신을 셀룰러 기반의 LTE 시스템에 수용하려고 하는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LTE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어 왔기에, 고가의 통신 방식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IoT 통신은 그 특성상 가격이 저가여야만 널리 보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가 절감의 일환으로 대역폭을 축소시키는 논의들이 있어 왔다. 이를 NB(narrow band) IoT라고 한다.
일반적인 UE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에 따른 온(on) 구간에서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을 한다. 그러나, NB-IoT 기기는 그 특성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빈번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DRX에 따른 on 구간에서도 PDCCH를 자주 모니터링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개시는 NB-IoT 기기의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무선 기기가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파워 세이빙 신호를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크기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반복 횟수,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자, 무선 기기의 그룹 식별자, 또는 셀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에 대해 커버 코드(cover code)가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실제 전송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체 전송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는 페이징 구간(paging occasion: PO)의 위치나 개수,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내에는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송 단위 내에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들에 대해 커버 코드(cover code)가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기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를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크기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DRX 사이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b는 IoT 기기를 위한 셀 커버리지 확장 또는 증대의 예시이다.
도 5c는 하향링크 채널의 묶음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IoT 기기가 동작하는 부대역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NB-IoT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자원을 M-프레임 단위로 나타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NB IoT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9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활용하는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a는 제1 개시에 따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b는 제1 개시에 따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실제 전송 구간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제1 개시의 제1 방안에 따른 예시적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은 제2 개시에 따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조합을 통해 정보를 표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MTC를 위해 MWUS 가 사용되는 경우, 제2 개시에 따라 MWUS로 표현 가능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3 개시에 따라 커버 코드를 이용하여,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구성하는 방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MTC를 위해 MWUS 가 사용되는 경우, 제3 개시에 따라 커버 코드를 이용하여 MWUS로 표현 가능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되는 무선 기기 및 기지국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무선 기기의 트랜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3GPP LTE-A(LTE-Advanced)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기술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LTE라 함은 LTE 및/또는 LTE-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사용되는 용어인 NB IoT 기기(User Equipment)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기(Device),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단말(Terminal),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20)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a, 20b, 20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단말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단말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 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몇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되는지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RB 개의 자원블록(R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자원블록(RB)의 개수, 즉 NRB은 6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블록은 7Х12개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3GPP LTE에서 물리채널은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상향링크 채널은 PUSCH, PUCCH,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포함한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노멀 CP를 가정하여 예시적으로 하나의 슬롯 내에 7 OFDM 심벌이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DL(downlink)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어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영역(data region)으로 나누어진다. 제어영역은 서브프레임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나, 제어영역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바뀔 수 있다. 제어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다른 제어채널이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에는 PDSCH가 할당된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나른다. 무선기기는 먼저 PCFICH 상으로 CFI를 수신한 후,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PDSCH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임의의 그룹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가 마스킹된다. 특정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3GPP LTE에서는 PDCCH의 검출을 위해 블라인드 복호를 사용한다. 블라인드 복호는 수신되는 PDCCH(이를 후보(candidate) PDCCH라 함)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원하는 식별자를 디마스킹하고, CRC 오류를 체크하여 해당 PDCCH가 자신의 제어채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기지국은 무선기기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한 후 DCI에 CRC를 붙이고,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NTI)를 CRC에 마스킹한다.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이제 3GPP LTE에서 DRX(Discontinuous Reception)에 대해 기술한다.
DRX는 단말이 불연속적으로 하향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도록 하여 무선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기법이다.
도 4는 DRX 사이클의 일 예를 나타낸다.
DRX 사이클은 휴지(inactivity)의 가능한 구간이 이어지는 On-구간(On-Duration)의 주기적인 반복을 특정한다. DRX 사이클은 On-구간과 Off-구간을 포함한다. On-구간은 DRX 사이클 내에서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구긴이다.
DRX가 설정되면 단말은 On-구간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하고, Off-구간에서는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On-구간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onDuration 타이머이다. On-구간은 onDuration 타이머가 동작 중인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onDuration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 시점에 연속적인 PDCCH-서브프레임의 개수를 특정한다. PDCCH-서브프레임은 PDCCH가 모니터링되는 서브프레임을 가리킨다.
DRX 사이클외에도 PDCCH가 모니터링되는 구간이 더 정의될 수 있다. PDCCH가 모니터링되는 구간을 총칭하여, 액티브 시간(active time)이라 정의한다. 액티브 시간은 주기적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On-구간과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
이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에 의해서, 기존의 셀의 의미가 변경되었다. 반송파 집성에 의하면, 셀이라 함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조합, 또는 단독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집성에서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과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서빙 셀(serving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단말이 기지국과의 최초 연결 확립 과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수행하는 셀,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지시된 셀을 의미한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일단 RRC 연결이 확립되면 설정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는 단일 반송파 시스템과 달리 복수의 요소 반송파(CC), 즉, 복수의 서빙 셀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은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CCH를 통해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SCH의 자원 할당 및/또는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와 기본적으로 링크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USCH의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한편, 이하 IoT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IoT는 인간 상호작용(human interaction)을 수반하지 않은 IoT 기기(100)들 간에 기지국(200)을 통한 정보 교환 또는 IoT 기기(100)와 서버(700) 간에 기지국(200)을 통한 정보 교환을 말한다. 이와 같이 IoT 통신이 셀룰러 기지국을 통하는 점에서, CIoT(Cellular Internet of Things)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IoT 통신은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의 일종이다. 따라서, IoT 기기를 MTC 기기라고 부를 수도 있다.
IoT 서비스는 종래 사람이 개입되는 통신에서의 서비스와 차별성을 가지며, 추적(tracking), 계량(metering), 지불(payment), 의료 분야 서비스, 원격 조정 등 다양한 범주의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서비스에는 계량기 검침, 수위 측정, 감시 카메라의 활용, 자판기의 재고 보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oT 통신은 전송 데이터량이 적으며, 상향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이 드물게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맞춰서 IoT 기기(100)의 단가를 낮추고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oT 기기(100)는 이동성이 적은 특징을 가지므로, 채널 환경이 거의 변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도 5b는 IoT 기기를 위한 셀 커버리지 확장 또는 증대의 예시이다.
최근에는, IoT 기기(100)를 위해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확장 또는 증대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셀 커버리지 확장 또는 증대를 위한 다양한 기법들의 논의되고 있다.
그런데, 셀의 커버리지가 확장 또는 증대될 경우에, 기지국이 상기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tension: CE) 또는 커버리지 증대(coverage enhancement: CE) 지역에 위치하는 IoT 기기에게 하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면, 상기 IoT 기기는 이를 수신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마찬가지로, CE 지역에 위치하는 IoT 기기가 상향링크 채널을 그냥 전송하면, 기지국은 이를 수신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상향링크 채널이 여러 서브프레임 상에서 반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서브프레임 상에서 반복하여 상향링크/하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것을 묶음(bundle) 전송이라고 한다.
도 5c는 하향링크 채널의 묶음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c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커버리지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IoT 기기(100)에게 하향링크 채널(예컨대, PDCCH 및/또는 PDSCH)을 여러 서브프레임들 (예컨대, N개의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반복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IoT 기기 또는 기지국은 하향링크/상향링크 채널의 묶음을 여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수신하고, 묶음의 일부 또는 또는 전체를 디코딩함으로써, 디코딩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IoT 기기가 동작하는 부대역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IoT 기기의 원가 절감(low-cost)을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의 시스템 대역폭과 무관하게, 상기 IoT 기기는 예를 들어 1.4 MHz 정도의 부대역(부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IoT 기기가 동작하는 부대역의 영역은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셀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영역(예컨대, 가운데 6개의 PRB)에 위치할 수도 있다.
혹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기간의 서브프레임 내 다중화를 위해 IoT 기기의 부대역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여러 개 두어, IoT 기기 간 다른 부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대다수의 IoT 기기는 상기 셀의 시스템 대역의 중심 영역(예컨대, 가운데 6개의 PRB)이 아닌 다른 부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축소된 대역폭 상에서 동작하는 IoT 통신을 NB(Narrow Band) IoT 통신 혹은 NB CIoT 통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도 7은 NB-IoT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자원을 M-프레임 단위로 나타낸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NB-IoT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은 M-프레임으로 불릴 수 있고, 길이는 예시적으로 60ms일 수 있다. 또한, NB IoT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은 M-서브프레임으로 불릴 수 있고, 길이는 예시적으로 6ms 일 수 있다. 따라서, M-프레임은 10개의 M-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각 M-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슬롯은 예시적으로 3ms 일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NB IoT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슬롯은 2ms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서브프레임은 4ms 길이를 갖고, 프레임은 40ms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NB IoT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NB-IoT의 상향링크에서 슬롯 상에 전송된 물리채널 또는 물리신호는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N symb UL개의 SC-FDMA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 sc UL개의 부반송파(subcarriers)를 포함한다. 상향링크의 물리채널은 NPUSCH(Narrowb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NPRACH(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NB-IoT에서 물리신호는 NDMRS(Narrowb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될 수 있다.
NB-IoT에서 T slot 슬롯 동안 N sc UL개의 부반송파의 상향링크 대역폭은 다음과 같다.
Subcarrier spacing N sc UL T slot
△f = 3.75kHz 48 61440*Ts
△f = 15kHz 12 15360*Ts
NB-IoT에서 자원 그리드의 각 자원요소(RE)는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을 지시하는 k = 0, 쪋, N sc UL-1 이고 l = 0, 쪋, N symb UL-1일 때, 슬롯 내에서 인덱스 쌍 (k, l)로 정의될 수 있다.NB-IoT에서 하향링크의 물리채널은 NPDSCH(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BCH(Narrow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DCCH(Narrowb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향 물리 신호는 NRS(Narrowband reference signal), NSS(Narrowband synchronization signal), 그리고 NPRS(Narrowban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한다. 상기 NSS는 NPSS(Narrow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NSSS(Narrow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한편, NB-IoT는 저-복잡도(low-complexity)/저-비용(low-cost)에 따라 축소된 대역폭(즉, 협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기기를 위한 통신 방식이다. 이러한 NB-IoT 통신은 상기 축소된 대역폭 상에서 수 많은 무선 기기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NB-IoT 통신은 기존 LTE 통신에서의 셀 커버리지 보다 더 넓은 셀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축소된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는 위 표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이 15kHz인 경우, 하나의 PRB만을 포함한다. 즉, NB-IoT 통신은 하나의 PRB만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기기가 기지국으로부터 NPSS/NSSS/NPBCH/SIB-NB가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하는 PRB를 앵커 PRB(혹은 앵커 반송파)라고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기기는 상기 앵커 PRB(혹은 앵커 반송파)외에, 기지국으로부터 추가적인 PRB를 할당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PRB 중에서, 상기 무선 기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PSS/NSSS/NPBCH/SIB-NB의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 PRB를 비-앵커 PRB(혹은 비-앵커 반송파)라고 부를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일반적인 UE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에 따른 온(on) 구간에서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을 한다. 그러나, NB-IoT 기기는 그 특성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빈번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DRX에 따른 on 구간에서도 PDCCH를 자주 모니터링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NB-IoT 기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wake up signal)라고도 한다)을 수신한 이후에만, PDCCH 또는 다른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활용하는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PDCCH(혹은 MPDCCH 혹은 NPDCCH)를 전송하기 전에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수신하면, NB-IoT 기기는 PDCCH(혹은 MPDCCH 혹은 N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본 명세서에서는 NB-IoT 기기가 특정 신호나 채널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모니터링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기본 전송 단위를 정의하고 이에 수반되는 동작들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는, 기지국이 의도하는 특정 신호나 또는 채널을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이 해당 신호 또는 채널의 전송 여부, 또는 낮은 페이로드(payload)의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목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는 특정 신호 또는 채널의 모니터링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B-IoT 기기 또는 MTC 기기를 위해 특정 신호 또는 채널의 반복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기기가 높은 횟수로 반복된 채널을 매번 모니터링하는 대신, 더 적은 횟수로 반복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을 모니터링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신호 또는 채널의 모니터링에 필요한 동기 신호의 역할을 대체하여, 더 빠른 시간 내에 시간/주파수 상의 동기를 맞추면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또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는 특정 신호 또는 채널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의 구간을 지칭하여, 해당 신호 또는 채널의 전송에 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후 본 명세서는 NB-IoT를 중심으로 기술하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도 같은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 제1 개시
제1 개시에 따르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의 기본 전송 단위를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로 정의한다. 이때 하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는 N개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은 하나 이상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위한 시간 도메인 상의 기본 전송 단위는 예컨대, 하나의 심볼, 하나의 슬롯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상의 기본 전송 단위는 예컨대, 복수개의 심볼, 복수개의 슬롯 또는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B-IoT에서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가 N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전송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위한 주파수 도메인 상의 기본 전송 단위는 예컨대, 부반송파, 반송파 또는 PRB로 표현되는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TC에서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단위는 M개의 PRB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위한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의 전송 단위는 예컨대, 심볼,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 부반송파, 반송파 또는 PRB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는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정보는 셀 ID, NB-IoT 기기의 식별자(예컨대, UE ID)와 같이 특정 기지국이나 NB-IoT 기기에 해당되는 신호임을 알리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또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는, 셀간-간섭 분산화(inter cell interference randomization)을 수행하는 단위를 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램블링이나 OCC(orthogonal cover code)를 적용하기 위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a는 제1 개시에 따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들이 모여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들로 구성된 단위는 반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는 실제 전송 구간(duration)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가능한 최대 전송 길이를 최대 구간(maximum duration)으로 정의할 때 기지국은 이를 결정하고 NB-IoT 기기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반면 실제 기지국이 전송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구간(duration)은 이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NB-IoT 기기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서 신호 세기가 큰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으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최대 구간(duration) 보다 짧은 길이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길이를 실제 전송 구간(actual transmission duration)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전송 구간에 대한 정보는 NB-IoT 기기가 알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NB-IoT 기기는 최대 구간을 기준으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전송될 수 있는 구간에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여부를 블라인드(blind) 검출/디코딩(decoding) 해야 한다. 만약 실제 구간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최소 단위(예컨대, 서브프레임)로 구성될 수 있다면, NB-IoT 기기는 매 최소 단위를 기준으로 블라인드 검출/디코딩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구현에 따라 NB-IoT 기기의 파워 소모를 증가시키고, 검출/디코딩 성능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절에서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기초로, 실제 전송 구간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b는 제1 개시에 따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실제 전송 구간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 경우 NB-IoT 기기는 정확한 실제 전송 구간을 알 수 없지만, 최소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기준으로 전송됨을 알고 이를 블라인드 검출/디코딩을 수행하는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I-1. 제1 개시의 제1 방안
제1 개시의 제1 방안에 따르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기지국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반복의 최소 단위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을 통해 표현 가능한 정보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방안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가 기지국에 의하여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1은 제1 개시의 제1 방안에 따른 예시적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기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기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무선 기기는 상기 결정된 전송 단위 크기에 기초하여 파워 세이빙 신호를 서빙 셀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NB-IoT 기기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모니터링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NB-IoT 기기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모니터링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주파수 도메인 크기와 시간 도메인 자원 크기의 쌍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해당 기지국에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의 크기와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통하여 구분하고자 하는 정보의 개수가 K1개인 경우와 K2개인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각기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에 대한 설정 정보는 SIB이나 RRC 시그널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L개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가 K개의 비트로 지시되는 방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L과 K는 L≤2K의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MTC를 위한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 혹은 MTC를 위한 전용의 WUS(이하, MWUS라고 함)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MWUS)의 PRB 크기는 기지국이 상기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MWUS)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예컨대, MCT 기기의 식별자(즉, UE ID) / MTC 기기의 그룹 ID(즉, UE group ID)를 구분하기 위한 서브 그룹)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MWUS)의 단위 크기는 PRB의 크기에 해당된다. 만약 기지국이 서브 그룹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MWUS)의 단위 크기는 2개의 PRB로 정해질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이 서브 그룹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MWUS)의 크기는 1개의 PRB로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의 크기가 1 PRB인 경우, 서브 그룹이 적용됨을 상기 기기가 알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기기가 상기 서브 그룹이 적용됨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기기는 자신이 모니터링할 상기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MWUS)의 단위 크기가 1개 PRB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기기가 서브 그룹에 대한 능력을 갖춘 경우에,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기가 상기 서브 그룹에 대한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 상기 기기는 상기 단위의 크기가 항상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I-2. 제1 개시의 제2 방안
제2 방안에 따르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다른 목적의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 / 주파수 도메인 상의 자원 크기는 이에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의 목표 요구 사항에 맞추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의 모니터링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인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전송에 필요한 반복 크기는 NPDCCH(또는 MPDCCH)의 반복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또는 MTC에서 페이징의 모니터링 여부를 결정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인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크기는 MPDCCH의 반복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상황들을 고려할 때,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기지국과 NB-IoT 기기가 서로 주고받는 파라미터 중 일부 값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지시하는 대응 채널이나 신호의 반복 수준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지시하는 대응 채널이나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도메인 상의 자원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TC의 경우 MPDCCH가 전송되는 PRB의 크기가 기준이 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도메인 상의 자원 크기만으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가 결정 또는 설정될 경우, (1) 시간 도메인 상의 자원 크기는 주파수 도메인 상의 자원과 반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전체 크기 기준으로 최대한 유지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량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2) 또는, 시간 도메인 상의 자원 크기는 항상 고정이거나, 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가 표현할 수 있는 정보의 크기가 주파수 도메인 상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도 있다.
I-2-1. 제2 방안의 제1 예시
제1 예시에 따르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와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개수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와 단위의 개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구간이 T로 정해지고, 상기 단위의 개수가 M개로 정해진 경우,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의 시간 구간은 T/M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길이가 L일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를 구성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개수는 T/M/L로 정해질 수 있다.
만약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전송 가능한 윈도우의 크기가 최대 구간으로 정해지고, 실제 각 NB-IoT 기기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수신을 기대하는 모니터링 구간의 크기가 이보다 작은 실제 전송 구간으로 정해질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를 계산하는 기준으로서, 최대 구간(maximum dur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제 전송 구간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에 배수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구간이 Tmax로 정해지고,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의 개수가 4개로 정해진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실제 전송 구간은 Tmax*1/4, Tmax*2/4, Tmax*3/4, 그리고 Tmax 중 하나일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의 개수는 (1) 약속된 고정된 값으로 항상 일정하도록 결정되거나 (2)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하여 NB-IoT 기기에게 설정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3) 전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구간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I-2-2. 제2 방안의 제2 예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구간이 T인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규칙은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구간과 정해진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규칙은 각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구간에 대응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가 나열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가 특정 길이보다 짧을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는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와 같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길이가 특정 길이 이하로 결정될 경우, 단위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크지 않아 이를 배제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만약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전송 가능한 윈도우의 크기가 최대 구간(maximum duration)으로 정해지고, 실제 각 NB-IoT 기기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을 기대하는 모니터링 구간의 크기가 이보다 작은 실제 전송 구간으로 정해질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크기를 계산하는 기준으로서, 최대 구간(maximum dur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II. 제2 개시
1 비트 이상의 정보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통하여 표현되는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 내에서,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들을 조합하는 방법을 통해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도 12은 제2 개시에 따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조합을 통해 정보를 표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표현 방식이 복수개일 때, 상기 복수개들을 상기 단위 크기만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기지국과 NB-IoT 기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들이 조합되는 방식을 통하여 송수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현하거나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하나의 단위로 구성되고,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M가지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는 최대 MN개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위에서 상기 정보는 NB-IoT 기기의 식별자(즉 UE ID) / 그룹 식별자(즉, UE group ID)를 구분하거나, 또는 셀 ID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NB-IoT 기기가 대응되는 채널이나 신호가 자신에게 해당되는 정보인지를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때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구성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조합하는 방법은 NB-IoT 기기의 식별자(즉 UE ID) / 그룹 식별자(즉, UE group ID)를 이용하여 초기화된 랜덤 시퀀스(random sequence)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위에서 상기 정보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에 대응되는 채널이나 신호의 모니터링과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의 모니터링과 관련된 정보는 NB-IoT 기기가 모니터링해야 하는 PO(paging occasion)의 위치나 개수, 구간 등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이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의 송신 정보를 제공하여 NB-IoT 기기의 전력 소모 감소 효과를 높이거나, 기지국의 시스템 오버헤드를 낮추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내에서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들을 조합하는 방법은 사전에 정의된 정보의 인덱스 값을 이용하여, 초기화된 랜덤 시퀀스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MTC를 위해 MWUS 가 사용되는 경우, 제2 개시에 따라 MWUS로 표현 가능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MTC를 위한 전용의 파워 세이빙 신호 혹은 MWUS 가 사용되는 경우, 2개의 PRB에 각각 매핑되는 1개 PRB 크기의 MWUS 신호 쌍의 구성 조합에 의하여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만약 해당 정보가 서브 그룹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 가능한 정보 중 하나로 서브 그룹에 관계없이 모든 MTC 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특정 WUS 신호를 2개 PRB에 반복하는 형태가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서브-그룹에 대한 능력이 없는 기기가 사용하는 MWUS의 전송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돤 바와 같이, 서브-그룹에 대한 능력이 없는 기기를 위해 이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이 보장될 수도 있다.
III. 제3 개시
하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는 하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여러번 반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1 비트 이상의 정보가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통하여 표현되는 경우, 정보의 구분을 위해 커버 코드(cover code)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제3 개시에 따라 커버 코드를 이용하여,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구성하는 방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개시는 하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를 구성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모두 동일한 경우를 다루고 있다. 반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 내에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의 커버 코드(cover code)가 적용되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시에서 설명되는 정보는 NB-IoT 기기의 식별자(즉, UE ID) 또는 그룹의 식별자(즉, UE group ID)를 구분하거나, 또는 셀 ID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NB-IoT 기기가,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이 자신에게 해당되는 정보인지를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때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단위를 구성하는 커버 코드의 인덱스를 선택하는 방안은 NB-IoT 기기의 식별자(즉, UE ID) 또는 그룹의 식별자(즉, UE group ID)를 이용하여 초기화된 랜덤 시퀀스(random sequence)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시에서 설명되는 정보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에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의 모니터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의 모니터링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NB-IoT 기기가 모니터링해야 하는 PO(paging occasion)의 위치나 개수, 구간 등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대응되는 신호나 채널의 송신 정보를 제공하여 NB-IoT 기기의 파워 소모 감소 효과를 높이거나 기지국의 시스템 오버헤드를 낮추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때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단위를 구성하는 커버 코드(cover code)의 인덱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전에 정의된 정보의 인덱스 값을 이용하여 초기화된 랜덤 액세스 시퀀스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코드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를 추가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위 내에 포함되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을 선택하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 기기의 식별자(즉, UE ID), 그룹의 식별자(즉, UE group ID) 및/또는 셀 ID를 표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 후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단위 내에서 반복시킬 수 있다.
도 15는 MTC를 위해 MWUS 가 사용되는 경우, 제3 개시에 따라 커버 코드를 이용하여 MWUS로 표현 가능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MTC를 위해 MWUS가 사용되는 경우, 2개 PRB 크기의 MWUS는 길이 2의 커버 코드를 이용하여, 2개의 PRB에 매핑될 수 있다 . 만약 해당 정보가 서브 그룹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 서브 그룹에 관계 없이 모든 기기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 코드는 [1,1]일 수 있다. 이때 서브 그룹 목적의 커버 코드는 [1,exp(j2πα)]의 형태에서 [1,1]을 제외하고 사용 가능한 α값을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예컨대, [1,-1], [1,j], [1, -j] 등.) 또는 만약 해당 정보가 서브-그룹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 서브 그룹에 관계 없이 모든 기기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 코드는 [S, S]일 수 있다. 이때 서브 그룹 목적의 커버 코드는 [S, S*]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즉, 이때 S는 원래의 신호, S*은 켤레 연산(conjugate operation)이 적용된 S를 의미한다.).
IV. 제4 개시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크기가 스케일링 펙터(scaling factor)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설정될 수 있는 스케일링 펙터의 집합이 리스트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리스트에 포함된 스케일링 펙터의 값은 NB-IoT 기기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크기는 기지국에 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전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크기는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가 지시하는 채널의 반복 횟수에 스케일링 팩터를 곱하는 형태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스케일링 펙터의 값은 미리 정해진 리스트에서 하나의 값이 선택되는 형태로, 기지국이 SIB나 RRC 시그널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하여 전달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시그널은 N 비트의 크기일 수 있으며, 최대 2N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NB-IoT 기기가 필요로 하는, 또는 따라야 하는 스케일링 펙터의 크기는 NB-IoT 기기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능력을 갖는 NB-IoT 기기의 경우 필요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스케일링 파워의 값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향후에 새로이 개선될 NB-IoT 기기의 경우 이전과 다른 스케일링 펙터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본 절에서는 NB-IoT 기기의 특성에 따라 스케일링 펙터의 리스트가 서로 다르게 해석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NB-IoT 기기의 특성은 NB-IoT 기기의 능력, NB-IoT 기기의 릴리즈 정보, 또는 NB-IoT 기기의 카테고리 등이 될 수 있다.
IV-1. 제4 개시의 제1 예시적인 방안
제4 개시의 제1 예시적인 방안에 따르면, 리스트 상의 일부 상태들은 예비 상태(spare state)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제 전송 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스케일링 펙터가 사용되고, 스케일링 펙터가 설정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이 리스트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리스트 상의 일부 값들은 예비 상태(spare state)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예비 상태(spare state)는 향후 개선될 NB-IoT 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약되거나, 또는 개선된 능력을 갖는 NB-IoT 기기 또는 다른 카테고리의 NB-IoT 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약되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정의된 예비 상태(spare state)는 리스트 상에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각 상태가 의미하는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 비트의 스케일링 펙터를 지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스케일링 펙터의 정보를 표현하는 리스트는 총 8개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값들은 {1/2, 1/4, 1/8, 1/16, 1/32, 1/64, spare1, spare2}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만약 특정 NB-IoT 기기가 예비 상태(spare state)가 포함된 스케일링 펙터 리스트를 기준으로 스케일링 펙터를 결정하는 상황에서, 기지국이 전달한 정보가 예비 상태(spare state)를 지시하는 경우, NB-IoT 기기는 아래의 옵션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옵션 4-1-a) NB-IoT 기기는 예비 상태(spare state)를 지시받은 경우,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이 디스에이블(disable)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기지국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특정한 특성을 가진 NB-IoT 기기에 한하여 적용하고자 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면서 다른 스케일링 펙터 리스트를 참조하는 NB-IoT 기기의 경우, 해당 지시 정보는 예비 상태(spare state)가 아닌 스케일링 펙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 4-1-b) NB-IoT 기기는 예비 상태(spare state)를 지시받은 경우, 기본(default)으로 정의된 스케일링 펙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이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을 기대하는 모든 특성의 NB-IoT 기기에게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를 지원하면서, 동시에 일부 특성의 NB-IoT 기기들에게는 특화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때 예비 상태(spare state)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참조하는 NB-IoT 기기들은 기본(default)으로 정의된 스케일링 펙터를 통해 기본적인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동작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때 기본(default)로 정의된 값은 (1) 표준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또는, 기본(default)으로 정의된 값은 (2) SIB이나 RRC 시그널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스케일링 펙터를 나타내는 지시 필드(indication field)는 각 반송파 별 설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상위 계층 시그널(예컨대, SIB22-NB) 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default) 값을 정하는 지시 필드는 셀 단위로 설정 정보를 전달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예컨대 SIB2-NB) 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기본으로 정의된 스케일링 펙터의 값은 상기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값들 중 하나 일 수 있다. 즉, 상기 기본 값은, 상기 리스트 상에 최대 값과 최소값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1 비트 인디케이션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IV-2. 제4 개시의 제2 예시적인 방안
리스트 상의 일부 상태들은 같은 스케일링 펙터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전제 파워 세이빙 신호(혹은 WUS)의 전송 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스케일링 펙터가 사용되고, 스케일링 펙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이 리스트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리스트 상의 일부 상태들은 동일한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동일한 값을 지시하는 상태들 중 일부는 향후 개선될 NB-IoT 기기를 위해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값을 지시하는 상태들 중 일부는, 향후 개선된 능력을 갖는 NB-IoT 기기 또는 다른 카테고리의 NB-IoT 기기를 지원하기 위해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비트가 스케일링 펙터를 지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스케일링 펙터의 정보를 표현하는 리스트는 총 8개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값들은 {1/2, 1/4, 1/8, 1/16, 1/32, 1/64, 1/2, 1/64}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되는 무선 기기 및 기지국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기기(100) 및 기지국(200)은 본 명세서의 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무선 기기(100)는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트랜시버(10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기지국(200)은 프로세서(201), 메모리(202) 및 트랜시버(203)을 포함한다. 도시된 프로세서(101, 201), 메모리(102, 202) 및 트랜시버(103, 203)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블록/기능이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103, 203)는 송신기(transmitter)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한다.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송신기 및 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이 수행되거나, 송신기 및 수신기 동작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103, 203)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시버(103, 203)는 수신 신호 및/또는 송신 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와 특정한 주파수 대역 상으로의 송신을 위한 밴드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1, 201)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1, 201)는 인코더와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 202)는 전술한 내용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01, 201)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 202)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무선 기기의 트랜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트랜시버(110)는 송신기(111)과 수신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11)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111), 부반송파 맵퍼(1112), IFFT부(1113) 및 CP 삽입부(11144), 무선 송신부(1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11)는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크램블 유닛(미도시; scramble unit), 모듈레이션 맵퍼(미도시; modulation mapper), 레이어 맵퍼(미도시; layer mapper) 및 레이어 퍼뮤테이터(미도시; layer permu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DFT부(1111)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즉, PAPR(peak-to-average 페이징 구간(PO)power ratio)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송신기(111)는 부반송파에 신호를 매핑하기 이전에 먼저 정보를 DFT(1111)를 거치도록 한다. DFT부(1111)에 의해 확산(spreading)(또는 동일한 의미로 프리코딩) 된 신호를 부반송파 매퍼(1112)를 통해 부반송파 매핑을 한 뒤에 다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113)를 거쳐 시간축상의 신호로 만들어준다.
DFT부(1111)는 입력되는 심벌들에 DFT를 수행하여 복소수 심벌들(complex-valued symbol)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Ntx 심벌들이 입력되면(단, Ntx는 자연수), DFT 크기(size)는 Ntx이다. DFT부(1111)는 변환 프리코더(transform precoder)라 불릴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112)는 상기 복소수 심벌들을 주파수 영역의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상기 복소수 심벌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들에 맵핑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112)는 자원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라 불릴 수 있다. IFFT부(1113)는 입력되는 심벌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인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baseband) 신호를 출력한다. CP 삽입부(1114)는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뒷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앞부분에 삽입한다. CP 삽입을 통해 ISI(Inter-Symbol Interference), ICI(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방지되어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신기(112)는 무선 수신부(1121), CP 제거부(1122), FFT부(1123), 그리고 등화부(1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12)의 무선 수신부(1121), CP 제거부(1122), FFT부(1123)는 상기 송신단(111)에서의 무선 송신부(1115), CP 삽입부(1114), IFF부(1113)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기(112)는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기기가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파워 세이빙 신호를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크기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반복 횟수,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자, 무선 기기의 그룹 식별자, 또는 셀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에 대해 커버 코드(cover code)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실제 전송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체 전송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는 페이징 구간(paging occasion: PO)의 위치나 개수,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내에는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위 내에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빙 신호들에 대해 커버 코드(cover code)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기기로서,
    파워 세이빙 신호를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 크기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반복 횟수,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에 의해 표현가능한 정보는 상기 무선 기기의 식별자, 무선 기기의 그룹 식별자, 또는 셀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에 대해 커버 코드(cover code)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실제 전송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송 단위는 상기 파워 세이빙 신호의 전체 전송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기.
PCT/KR2018/011088 2017-09-25 2018-09-20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WO20190596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57725.8A EP3691344A4 (en) 2017-09-25 2018-09-20 WIRELESS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DOWNLINK CHANNEL OR DOWNLINK SIGNAL USING ENERGY SAVING SIGNAL
US16/650,787 US11290995B2 (en) 2017-09-25 2018-09-20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onitoring downlink channel or downlink signal using power saving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62504P 2017-09-25 2017-09-25
US62/562,504 2017-09-25
US201862626630P 2018-02-05 2018-02-05
US62/626,630 2018-02-05
KR20180039868 2018-04-05
KR10-2018-0039868 2018-04-05
KR20180053888 2018-05-10
KR10-2018-0053888 2018-05-10
KR10-2018-0092140 2018-08-08
KR20180092140 2018-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657A1 true WO2019059657A1 (ko) 2019-03-28

Family

ID=6581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088 WO2019059657A1 (ko) 2017-09-25 2018-09-20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90995B2 (ko)
EP (1) EP3691344A4 (ko)
WO (1) WO20190596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6503A (zh) * 2019-03-29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检测方法及设备
CN113785621A (zh) * 2019-05-03 2021-12-10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监测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5924B2 (en) * 2017-10-19 2021-09-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detection of multi-band wake-up
US11290957B2 (en) * 2017-11-17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quence design of wake-up signals and resynchronization sequence
AU2017439762B2 (en) * 2017-11-17 2021-11-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dication signal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0959175B2 (en) * 2017-12-21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 configura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096247B2 (en) * 2018-04-17 2021-08-17 Apple Inc. System information in unlicensed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systems
CN110557810B (zh) * 2018-06-04 2021-06-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pdcch盲检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US11197210B2 (en) * 2018-07-19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paging in a non-anchor carrier
CN117858278A (zh) * 2019-01-10 2024-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的监听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1564167B2 (en) * 2019-04-01 2023-01-24 Apple Inc. Configurable power saving signal with multiple functionalities in 5G NR
CN114258732A (zh) * 2019-08-14 2022-03-29 汉尼拔Ip有限责任公司 用于监控节电信令的物理下行控制通道的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5366A1 (en) * 2011-04-29 2012-11-01 Nicholas William Anderson Switching activation of ue receviers
US20150126206A1 (en) * 2013-11-07 2015-05-07 Motorola Mobility Llc Radio-Link Establishment for Multi-State Cells
WO2015180085A1 (en) * 2014-05-29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aging monitoring management for multi-rat devices
US20160142974A1 (en) * 2014-11-14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saving in wireless transceiver device
US20160212708A1 (en) * 2015-01-21 2016-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8613B2 (en) * 2005-12-28 2012-01-17 Alcatel Lucent Method of managing transmission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76964A1 (en) * 2008-05-23 2011-03-31 Martin Dottling Re-Activation of a Base Station in Standby Mode
US9544848B2 (en) * 2012-10-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hort pag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4236492A3 (en) * 2017-03-24 2023-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41876B2 (en) * 2017-05-1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WUS) and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09413721B (zh) * 2017-08-18 2021-01-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唤醒信号检测时间的配置、检测方法、网络设备及终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5366A1 (en) * 2011-04-29 2012-11-01 Nicholas William Anderson Switching activation of ue receviers
US20150126206A1 (en) * 2013-11-07 2015-05-07 Motorola Mobility Llc Radio-Link Establishment for Multi-State Cells
WO2015180085A1 (en) * 2014-05-29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aging monitoring management for multi-rat devices
US20160142974A1 (en) * 2014-11-14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saving in wireless transceiver device
US20160212708A1 (en) * 2015-01-21 2016-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91344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6503A (zh) * 2019-03-29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检测方法及设备
CN113785621A (zh) * 2019-05-03 2021-12-10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监测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
CN113785621B (zh) * 2019-05-03 2023-12-05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监测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90995B2 (en) 2022-03-29
EP3691344A1 (en) 2020-08-05
US20200245303A1 (en) 2020-07-30
EP3691344A4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9657A1 (ko)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WO2019098770A1 (ko) 물리 임의 접속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13944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 다중화 방법, 다중화된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180308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39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center frequency offset for narrowband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52199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WO2016108673A1 (ko)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기지국
WO2016208897A1 (ko)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nb-iot 기기
WO2017057987A1 (ko) D2d 통신에서의 참조신호 송신 방법 및 단말
WO201914706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63302A1 (ko) 소규모 셀에서의 수신 방법 및 사용자 장치
WO201615974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480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able downlink subframes for low cos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63802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cca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6043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bandwidth including direct current subcarrier for low cos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98384A1 (ko) 변경된 시스템 정보 적용 방법 및 단말
WO2016018079A1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WO2018030809A1 (ko) Nb-iot에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WO2019059674A1 (ko)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WO2014137105A1 (ko) Epdcch를 통한 제어 정보 수신 방법
WO2018199653A1 (ko) 5g를 위한 nr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WO2013115571A1 (ko) Mtc 단말을 위한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8203696A1 (ko) 랜덤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208940A1 (ko) Mtc 기기의 동작 방법
WO2019031864A1 (ko) 랜덤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77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577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