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50088A1 -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0088A1
WO2019050088A1 PCT/KR2017/012878 KR2017012878W WO2019050088A1 WO 2019050088 A1 WO2019050088 A1 WO 2019050088A1 KR 2017012878 W KR2017012878 W KR 2017012878W WO 2019050088 A1 WO2019050088 A1 WO 20190500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auxiliary battery
portable terminal
uni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8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민 filed Critical 신승민
Priority to US16/645,74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287396A1/en
Priority to CN201780094715.XA priority patent/CN111093420A/zh
Priority to EP17924201.1A priority patent/EP3682758A4/en
Publication of WO20190500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00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to provide auxiliary power to a portable terminal and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 Such a battery tends to become thinner as the size of a cell phone becomes smaller, and when the battery is consumed due to the use of a cell phone, the battery needs to be charged again.
  •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shooting, multimedia and internet This increases battery consumption and increases the importance of charging.
  • a separate charging device such as an AC 110/220 V AC power source or a vehicle, and a 12 / 24V DC vehicle power source .
  • the charging method described above is limited in its use outside the home or office where AC power is not supplied, or the vehicle must be charged and charged separately unless the vehicle is in operation.
  •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 spare battery is stored has been proposed, but this has a limitation in that it only provides a function of simply storing the spare batter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battery built-
  •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se body for covering and protecting a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battery mounting part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to support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A battery power supply unit for applying a charging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installed in the battery mounting unit; A battery wireless charging unit for receiving the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And a supplementary component mounting unit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to support mounting of the battery wireless charging unit.
  • the auxiliary battery built-i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control value.
  • the auxiliary battery built-i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output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user control value.
  • the output adjusting unit may determine a charging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control value, convert the output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into a first value and provide the sam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mode is the normal mode, Converts the output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into a secon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and provides the second value 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battery mounting part includes: a battery mounting part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upporting the attach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a cover for covering an inner space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ing part body to prevent the auxiliary battery from deviating.
  • At least one elastic member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inner space of the battery mounting body 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at least one pressing part fix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pressing the auxiliary battery in one direction through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 the auxiliary battery built-in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may be implemented as a sticker type, and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charge amount checking device for varying a light emitting color according to a charged amount of the auxiliary battery.
  • the auxiliary battery built-i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auxiliary battery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source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for the user.
  • the charging spe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 FIG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power supp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tection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body 110, a battery mounting part 120, a battery power supplying part 130, a battery wireless charging part 140, and an accessory part mounting part 150. [ And the like.
  • the case body 110 has an internal space 111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configured to surround the sides and the back of the smart phone 100 to accommodate and fix the portable terminal 10 do. If necessary, a hole 11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amera and the flash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2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d includes a battery mounting body 122 having an internal space 121 for support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20, And a lid 123 covering the internal space 121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 body 122 to support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20.
  • the mounting body 122 and the lid 123 may be coupled by a slot method, a hinge method, or the like.
  • the cover 123 may cover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body 122 or cover only a part of the inner space.
  • 120 may further include means for diversifying the types of auxiliary batteries that can be installed.
  •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inner space 121 of the mounting body 122, as shown in FIG. 3, and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member And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125 which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each elastic member 124 and presses the auxiliary battery 20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24, Can be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121 regardless of its size and shape. That is, a plurality of types of auxiliary batteries 20 can be mounted on the protective case 100.
  •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elastic member 124 can be variously adjusted. However,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elastic member 124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can maintai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20 and the power terminal provided in the battery power supply unit 130 .
  • the battery power supply unit 130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131 to which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a connector 132 to be coupled to a connecto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a signal line 13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131 and the connector 132 so that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signal line 133.
  • the signal line 133 is inserted into the case body 110 so as not to be seen from the outside.
  • the battery power supply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 2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 the battery power supply unit 130 includes a rail member 134 having a first electrode strip 134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133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strip 135b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 135a and the power terminal 1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electrode terminal 135a to the first electrode strip 134a, And a fastener 135 fastened to the rail member 134 and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ail member 134.
  • the battery wireless charging unit 140 receives the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and converts the wirelessly transmitted electric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ethod.
  • the additional component mounting portion 150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o support the mounting of the battery wireless charger 140.
  • the additional component mounting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providing an internal space for supporting the mounting of the battery wireless charger 140 and a lid for sealing the internal space. However, if necessary, the internal space and the lid It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form.
  •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adjust the charging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under user control.
  • th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a button, and the like.
  • the input unit 160 receives a user control value and determines a charging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control value.
  • an output adjusting unit 170 for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charging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charging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rbitrarily adjusted.
  • the output adjusting unit 170 may include two terminal charging modes, i.e., a normal mode and a rapid mode, Is converted into a first value (for example, 5 V / 1A) and is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output adjusting unit 170 converts the battery output to a second value (for example, 5V / 2.4A) larger than the first value, 10).
  • a second value for example, 5V / 2.4A
  •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valu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within the rated input r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output adjusting unit 170 is incorporated in the additional component mounting unit 150 together with the battery wireless charging unit 140 and the input unit 160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or on the lid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120 .
  • FIG.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se body 110,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20, the battery power supply portion 130, the battery wireless charging portion 140, and the supplementary component mounting portion 150
  • the battery charger 180 may further include a sticky battery charge amount checking device 180 whose emission color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uxiliary battery 20 charged.
  • the sticky battery charge amount checking device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as a sticker shape so that the device implementation cost and volume can be minimized.
  • the sticky film thin film 810, the front surface of the thin film film 810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821 and 822,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battery 20, ar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thin film type film 810, A metal conductor 84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in film type film 810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ads 831 and 832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821 and the first contact pad 831, A heat generating body 850 which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in film type film 810 to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822 and the second contact pad 832 and has a variable color of light according to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20, Adhesive means 86 for supporting adhesion of the film 810 and the battery 20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ads 831 and 832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821 and 822 and the
  • the plurality of heating conductors 851a, 852a, and 852b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from each other and generate heat corresponding to their own resistance value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battery, 853a, 853b, and 853b having coloring valu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pplied to each of the heating conductors.
  • a plurality of heating conductors 851a, 852a, 853a and the first contact pad 831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821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conductors 851a, 852a, 853a,
  • a metal conductor 854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implementation cost, the relatively expensive heating conductors 851a, 852a, and 853a may be replaced with relatively inexpensive metal conductors 854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 the heat generating body 850 is coated on one of the heat conducting conductors or heat conducting conductors whose degree of heat gene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output current of the battery, So that it can be realized through a Zion paint.
  • the sticky battery charge amount checking device 18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 the user's body is simultaneously conta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ads 831 and 832,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821, the metal conductor 840, the first contact pad 831, the user's body, A current path is formed through the pad 832, the heat generating color body 850,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822.
  • the output current of the battery 20 flows through the sticky battery charge checking device, and the first heating conductor 851a corresponds to the first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30?) And the battery output current Ib
  • the second heating conductor 852a generates heat corresponding to a second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20 OMEGA) and the battery output current Ib and the third heating conductor 853a generates heat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sistance value (15?) And the battery output current Ib, respectively.
  • the first to third chromaticity toning paints 851b, 852b and 853b start to perform a coloring operation in response to heat generated by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nductors 851a, 852a and 853a.
  • the first to third chromaticity toning paints 851b, 852b, and 853b perform the generation operation only when a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is generated.
  • the first range of current for example, 1A ⁇ Ib ≤ 1.5A
  • the first color development type Zion paint 851b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conductor 851a So as to develop a green color.
  • the second color developing type Zion paint 851b and 852b react together to develop green and orange colors.
  •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nductors 851a, 852a, and 853a react with each other to develop green, orange, and red.
  • the user can visually grasp the output current of the battery 20 through the type and the number of colors developed through the heat generating body 850, and the output current of the battery 20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The battery charge amount can be gras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는 휴대 단말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위치되어, 보조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장착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상기 휴대 단말에 인가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부;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무선 충전부의 실장을 지원하는 부가 부품 실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본 발명은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 단말에 보조 전원을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보조 배터리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은 핸드폰은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면서 전원을 공급받는 유선 전화기와는 달리, 전원을 배터리로 사용해야 하므로 핸드폰에 있어서 배터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배터리는 핸드폰의 소형화에 따라 얇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핸드폰의 사용으로 배터리가 소모되었을 경우에 다시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하는데, 통화량 자체의 증가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각종 기능을 추가로 구현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소모가 많아져 충전의 중요성이 커졌다.
특히, 최근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어 손안의 컴퓨터로 불리는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그 필요성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별도의 충전 장치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구비하여 두고 AC 110/220V의 교류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차량에 구비하여 두고 DC 12/24V의 차량용 시거 전원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전 방식은,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가정이나 사무실 이외의 곳에서는 그 이용이 제한되거나, 차량의 운행 중이 아니면 별도로 차량에 시동을 걸고 충전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로부터 핸드폰과 별도로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면서, 현재 핸드폰에 장착된 배터리를 다 사용하였을 때 교체함으로써 언제나 어디서나 핸드폰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배터리는 휴대하고 다녀야 하므로 불편하고 분실의 염려도 있으며, 휴대 중에 부주의나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가 제안되었으나, 이는 보조 배터리를 단순 수납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 단말에 보조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조 배터리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위치되어, 보조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장착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상기 휴대 단말에 인가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부;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무선 충전부의 실장을 지원하는 부가 부품 실장부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는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는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는 출력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휴대 단말의 충전 모드를 결정하고,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력을 제1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고, 급속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력을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장착을 지원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배터리 장착부 몸체;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장착부 몸체에 마련된 내부 공간을 덮어주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 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는 스티커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색이 가변되는 배터리 충전량 확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는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 단말에 보조 전원을 제공함과 더불어 보조 배터리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다 다양한 종류의 보조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 케이스의 활용도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뿐 만 아니라, 보조 배터리를 통해 휴대 단말을 충전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충전 속도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공급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공급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 배터리 장착부(120), 배터리 전원 공급부(130), 배터리 무선 충전부(140) 및 부가 부품 실장부(150) 등을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10)는 휴대 단말(10)의 전체 형상에 대응되어 스마트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내부 공간(111)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휴대 단말(10)을 수용 및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휴대 단말(10)의 뒷면에 부착된 카메라와 후레쉬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는 구멍(112)을 추가 구비할 수도 있다.
배터리 장착부(120)는 케이스 본체(110)의 뒷면에 위치되어, 보조 배터리(20)의 장착 및 탈착을 지원하는 내부 공간(121)이 마련된 배터리 장착부 몸체(122), 보조 배터리(20)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 장착부 몸체(122)에 마련된 내부 공간(121)을 덮어주는 덮개(123)를 포함하여, 보조 배터리(20)의 장착 또는 탈착을 지원한다.
이때, 장착부 몸체(122)와 덮개(123)는 슬롯 방식, 힌지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123)를 통해 장착부 몸체(122)의 내부 공간 모두를 덮는 방식 또는 내부 공간의 일부만을 덮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내부 공간 끼움 방식으로 보조 배터리(20)가 장착 및 위치 고정되는 경우, 내부 공간(121)의 형상에 따라 장착 가능한 보조 배터리(20)의 종류도 한정됨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장착부(120)는 장착 가능한 보조 배터리의 종류를 다양화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착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장착부 몸체(122)의 내부 공간(121)의 일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24), 각 탄성 부재(124) 타단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124)의 탄성력을 통해 보조 배터리(20)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125)를 더 포함함으로써, 보조 배터리(20)가 자신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내부 공간(121)의 일측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다 다양한 종류의 보조 배터리(20)가 보호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 부재(124)는 위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는 데, 다만, 보조 배터리(20)의 입출력 단자와 배터리 전원 공급부(130)에 구비되는 전원 단자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조정되도록 한다.
배터리 전원 공급부(130)는 도 4에서와 같이, 보조 배터리(20)의 입출력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원 단자(131)와, 휴대 단말(10)의 커넥터 단자에 체결되는 커넥터(132), 전원 단자(131)와 커넥터(132)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신호 라인(133)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보조 배터리(20)의 전원이 휴대 단말(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신호 라인(133)은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삽입시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전원 공급부(130)는 배터리 장착부(120)에 장착되는 보조 배터리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경우, 보조 배터리 종류에 따라 입출력 단자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보조 배터리(20)의 입출력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원 단자(131)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전원 공급부(130)는 도 5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현되며, 신호 라인(1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스트립(134a)이 형성된 레일부재(134), 및 제1 전극 스트립(134a)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극 단자(135a)와 상부 표면에 형성된 전원 단자(131)와 전극 단자(135a)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제2 전극 스트립(135b)을 구비하며, 레일 부재(134)에 체결되며 레일 부재(134)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는 체결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무선 충전부(140)는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를 보조 배터리의 입출력 단자에 전달하도록 한다. 즉, 보조 배터리를 무선 전력 충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 부품 실장부(150)는 케이스 본체(110)의 뒷면에 위치되어, 배터리 무선 충전부(140)의 실장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러한 부가 부품 실장부(150)는 배터리 무선 충전부(140)의 실장을 지원하는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을 별도 구비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내부 공간과 뚜껑이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필요한 경우, 사용자 제어하에 휴대 단말의 충전 속도를 임의 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도 6에서와 같이 스위치, 버튼 등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는 입력부(160) 및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휴대 단말의 충전 모드를 결정하고, 휴대 단말의 충전 모드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정해주는 출력 조정부(170)를 더 포함하여, 휴대 단말의 충전 속도를 임의 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력 조정부(170)는 일반 모드와 급속 모드라는 두 개의 단말 충전 모드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해 일반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출력 조정부(170)가 배터리 출력을 제1값(예를 들어, 5V/1A)으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10)에 제공하도록 한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해 급속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출력 조정부(170)가 배터리 출력을 제1 값 보다 큰 제2 값(예를 들어, 5V/2.4A)으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값과 제2 값은 휴대 단말의 정격 입력 범위내에서 임의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출력 조정부(170)는 배터리 무선 충전부(140)와 함께 부가 부품 실장부(150)에 내장되며, 입력부(160)는 케이스 본체(110)의 뒷면 또는 배터리 장착부(120)의 뚜껑 등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는 앞서 설명한 케이스 본체(110), 배터리 장착부(120), 배터리 전원 공급부(130), 배터리 무선 충전부(140) 및 부가 부품 실장부(150) 이외에, 보조 배터리(20)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색이 가변되는 스티커형 배터리 충전량 확인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스티커형 배터리 충전량 확인 장치(180)는 스티커 형상으로 구현되어 장치 구현 비용 및 부피 또한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는 스티커 형상의 박막형 필름(810), 박막형 필름(810)의 전면 일측단에서 외부로 도출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배터리(20)의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및 제2 전극 단자(821,822), 박막형 필름(810)의 전면 타측단에 위치되어, 사용자 신체가 접촉되는 제1 및 제2 접촉 패드(831,832), 제1 전극 단자(821)와 제1 접촉 패드(831)간을 연결하도록 박막형 필름(810)의 전면에 위치된 금속 도전체(840), 제2 전극 단자(822)와 제2 접촉 패드(832)간을 연결하도록 박막형 필름(810)의 전면에 위치되며, 배터리(20)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색이 가변되는 발열 발색체(850), 박막형 필름(810)과 배터리(20)의 접착을 지원하는 접착 수단(860), 및 제1 및 제2 전극 단자(821,822), 제1 및 제2 접촉 패드(831,832), 발열 발색체의 일부 영역만이 노출되도록, 박막형 필름(8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절연 필름(8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 발색체(8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가지며, 자신의 저항값과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류에 상응하는 열을 발생하는 다수의 발열 도전체(851a,852a,853a), 서로 상이한 발색값을 가지며, 상기 발열 도전체 각각에 도포되는 발색형 시온 도료(851b,852b,853b)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1 전극 단자(821)와 다수의 발열 도전체(851a,852a,853a) 사이, 다수의 발열 도전체(851a,852a,853a)와 제1 접촉 패드(831) 사이를 연결시키는 금속 도전체(85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구현 비용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인 발열 도전체(851a,852a,853a)를 상대적으로 저가인 금속 도전체(854)로 대체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발열 발색체(850)를 배터리의 출력 전류에 따라 발열 정도가 가변되는 하나의 발열 도전체, 발열 도전체 위에 도포되며, 발열 도전체의 발열 정도에 따라 발광색이 가변되는 변색형 시온 도료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티커형 배터리 충전량 확인 장치(18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만약, 사용자 신체가 상기 제1 및 제2 접촉 패드(831,832)에 동시 접촉되면, 제1 전극 단자(821), 금속 도전체(840), 제1 접촉 패드(831), 사용자 신체, 제2 접촉 패드(832), 발열 발색체(850), 제2 전극 단자(822)를 경유하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배터리(20)의 출력 전류가 스티커형 배터리 충전량 확인 장치를 통해 흐르게 되고, 제1 발열 도전체(851a)는 제1 저항값(예를 들어, 30Ω)과 배터리 출력 전류(Ib)에 상응하는 열을, 제2 발열 도전체(852a)는 제2 저항값(예를 들어, 20Ω)과 배터리 출력 전류(Ib)에 상응하는 열을, 제3 발열 도전체(853a)는 제3 저항값(15Ω)과 배터리 출력 전류(Ib)에 상응하는 열을 각각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3 발색형 시온 도료(851b,852b,853b)는 제1 내지 제3 발열 도전체(851a,852a,853a)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반응하여 발색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다만, 제1 내지 제3 발색형 시온 도료(851b,852b,853b)는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하는 경우에 한해 발생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제 1 범위의 전류(예를 들어, 1A<Ib≤1.5A)가 흐르는 경우에는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는 제1 발열 도전체(851a)에 도포된 제1 발색형 시온 도료(851b) 만이 반응하여 초록색을 발색하게 된다. 한편, 제 1 범위 보다 값을 가지는 제2 범위의 전류(예를 들어, 1.5A<Ib≤1.7A)가 흐르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발열 도전체(851a, 852a)에 도포된 제1 및 제2 발색형 시온 도료(851b,852b)가 함께 반응하여 초록색 및 주황색을 발색하게 된다. 더하여, 제 2 범위 보다 값을 가지는 제3 범위의 전류(예를 들어, 1.7A<Ib≤2A)가 흐르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발열 도전체(851a, 852a, 853a)에 도포된 제1 내지 제3 발색형 시온 도료(851b,852b,853b)가 모두 반응하여 초록색, 주황색, 빨간색을 발색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발열 발색체(850)를 통해 발색되는 색상의 종류 및 개수를 통해 배터리(20)의 출력 전류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배터리(20)의 출력 전류은 배터리 충전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감안하여, 배터리 충전량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휴대 단말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위치되어, 보조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장착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상기 휴대 단말에 인가하는 배터리 전원 공급부;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뒷면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무선 충전부의 실장을 지원하는 부가 부품 실장부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력을 조정하는 출력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휴대 단말의 충전 모드를 결정하고,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력을 제1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고, 급속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력을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의 장착을 지원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배터리 장착부 몸체;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장착부 몸체에 마련된 내부 공간을 덮어주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 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스티커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발광색이 가변되는 배터리 충전량 확인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PCT/KR2017/012878 2017-09-11 2017-11-14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WO20190500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45,740 US20200287396A1 (en) 2017-09-11 2017-11-14 Protective casing for portable terminal with built-in auxiliary battery
CN201780094715.XA CN111093420A (zh) 2017-09-11 2017-11-14 内置辅助电池的便携式终端保护套
EP17924201.1A EP3682758A4 (en) 2017-09-11 2017-11-14 PROTECTIVE BOX FOR PORTABLE TERMINAL WITH BUILT-IN AUXILI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686 2017-09-11
KR1020170115686A KR101968947B1 (ko) 2017-09-11 2017-09-11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088A1 true WO2019050088A1 (ko) 2019-03-14

Family

ID=6563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878 WO2019050088A1 (ko) 2017-09-11 2017-11-14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87396A1 (ko)
EP (1) EP3682758A4 (ko)
KR (1) KR101968947B1 (ko)
CN (1) CN111093420A (ko)
WO (1) WO2019050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1548A (zh) * 2019-05-23 2019-07-26 安徽师范大学 一种手机屏蔽充电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428B2 (en) * 2018-09-25 2021-02-02 Facebook Technologies, Llc Multiple-device system with multiple power and data configur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435U (ko) * 1997-04-02 1998-11-16 오태준 전기면도기의 배터리 충전량 표시장치
KR20130129489A (ko) * 2011-11-28 2013-11-29 최상효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70055340A (ko) * 2015-11-11 2017-05-19 김상훈 배터리 내장형 핸드폰 케이스
JP2017092666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ジェイ・ティ バッテリー着脱式携帯電子端末収容具
KR20170089887A (ko) * 2014-12-22 2017-08-04 제말토 에스에이 보안 엘리먼트를 공장 상태로 복원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033B2 (ja) * 1991-03-29 2000-07-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示温性バッテリーチェッカー
US7782610B2 (en) * 2008-11-17 2010-08-24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CN201781041U (zh) * 2010-07-28 2011-03-30 叶明祥 橡皮筋式无线充电保护套
EP2463747A3 (en) * 2010-12-11 2015-01-21 SA Shuang Cas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2536394U (zh) * 2012-04-17 2012-11-21 牛梦 可充电的手机套
KR101420090B1 (ko) * 2012-10-15 2014-07-17 이강민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US9609093B2 (en) * 2014-08-11 2017-03-28 Chih-Juh Wong Protective shell for electronic equipment
CN107251535A (zh) * 2014-08-15 2017-10-13 Peri有限公司 移动设备保护壳
KR200483087Y1 (ko) 2015-04-17 2017-04-05 정경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101901455B1 (ko) * 2016-01-27 2018-09-21 김재범 무선 충전용 수신기가 구비된 단말용 케이스
DE102016001669A1 (de) * 2016-02-15 2017-08-17 Audi Ag Schutzhüllenvorrichtung für ein portables mobiles Endgerä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435U (ko) * 1997-04-02 1998-11-16 오태준 전기면도기의 배터리 충전량 표시장치
KR20130129489A (ko) * 2011-11-28 2013-11-29 최상효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70089887A (ko) * 2014-12-22 2017-08-04 제말토 에스에이 보안 엘리먼트를 공장 상태로 복원하는 방법
JP2017092666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ジェイ・ティ バッテリー着脱式携帯電子端末収容具
KR20170055340A (ko) * 2015-11-11 2017-05-19 김상훈 배터리 내장형 핸드폰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82758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1548A (zh) * 2019-05-23 2019-07-26 安徽师范大学 一种手机屏蔽充电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2758A1 (en) 2020-07-22
CN111093420A (zh) 2020-05-01
KR101968947B1 (ko) 2019-04-15
US20200287396A1 (en) 2020-09-10
EP3682758A4 (en) 2021-06-09
KR20190028868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0995U (ja) 貼付型無線充電器
WO2011155735A2 (ko)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WO2013024989A2 (ko) 이차전지 팩
JP2006014587A (ja) 携帯充電器
WO2010044590A2 (ko) 원통형 이차전지 팩
WO2015099270A1 (ko) 휴대단말기용 발열 케이스
WO2019050088A1 (ko)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WO2020013548A1 (ko) 케이블 전지를 구비한 데이터 케이블 장치
WO2017150884A1 (ko)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CN213124646U (zh) 电子设备
US6268709B1 (en) Charging device for a cellular phone
JP4520695B2 (ja) 電池パック
WO2018135735A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
WO2014010882A1 (ko) 휴대형 기기용 전원공급장치
WO2020080630A1 (ko) 자동차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및 방법
WO2017047963A1 (ko)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WO2020122508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WO2016182092A1 (ko) 충방전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배터리팩 파우치 장치
WO2015080517A1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209981297U (zh) 可用于低温启动发动机的智能电池系统
KR20200052196A (ko)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WO2022234938A1 (ko) 배터리 착탈/교환이 가능한 이동형 전원공급장치
WO2014171655A1 (ko) 충전 장치
CN211127180U (zh) 一种手机充电头
CN210669599U (zh) 一种电源适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242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9242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