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21974A1 -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21974A1
WO2018221974A1 PCT/KR2018/006198 KR2018006198W WO2018221974A1 WO 2018221974 A1 WO2018221974 A1 WO 2018221974A1 KR 2018006198 W KR2018006198 W KR 2018006198W WO 2018221974 A1 WO2018221974 A1 WO 20182219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rrection
calibration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1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영훈
Original Assignee
송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훈 filed Critical 송영훈
Publication of WO20182219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219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hoto retouching and printing service based on user lo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integrate and correct a photo taken in a studio in a remote correction center, and to correct the photo on the user's lo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int service in a local print terminal.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5995 proposes a digital photo prin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 a print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 local affiliated store near a customer's residence for a photo uploaded through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customer uploads a photo requesting prints and selects the delivery receipt or the local merchant receipt. If the customer selects the local merchant receipt, the customer transfers the local print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from the print service server to the print service terminal, so that the customer is conveniently located near the residence. Print service will be availabl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48925 proposes an online photo prin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 device.
  • a system is disclosed in which a customer can access a main server, select and edit a photo to be printed through an app, and print the edited photo at a member print service terminal in a desired region.
  • the quality of the photo corrected in a number of studios have a problem in the qualit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uniform quality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services to the custom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verload of studio work and provide quick photo correction service by providing an integrated correction service at a remote correction center for photographs taken in the studio, and provide a loc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user convenience from photographing to printing by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on a printing terminal so as to select a local printing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quality equalization for the print photograph by performing the mechanical correction before assigning the correction operation to the correction expert terminal in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by the correction expert terminal connected in real time when assigning the correction operation Allocating a calibration task in a reverse selection manner has another purpose to shorten the time from start to completion of the service and increase expertise in the calibration task.
  • the present invention also extracts local print terminals corresponding to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extracted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detailed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in a map form.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friendly printing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ement by notifying the terminal.
  • the user's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service system is provided in a studio for photographing a customer's photo and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for each customer with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 Studio servers managed together;
  • a correction center server receiving the captured image from the studio server and performing digital correction;
  • a correction expert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and performs a correction operation by receiving a photo correction operation from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 a local print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and receives and prints the corrected image from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 a user terminal receiving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corresponding to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a unique code for printing permission for the corrected image from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may integrate and correct at least one of a background color, a brightness, and a chromatic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for each photo type information.
  • a machine cal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machine calibration image;
  • a calibration task management module for classifying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by photo type for display by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for selection and managing the candidate corrected image completed by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 An inspection module for inspecting the candidate tablet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converting the candidate tablet image that has passed the inspection into an image for printing based on the print type information;
  • a print job management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rint image and the unique code to the local prin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 the correction operation management module is on the display provided to the correction expert terminal, the machine correction image before being assigned to the correction expert terminal Is provided as a selectable image display item selectable by the calibrating expert terminal, and the machine calibrating image assigned to the calibrating expert terminal as a work in progress is provided as a non-selectable image display item by the calibrating expert terminal.
  •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includes: an image management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print image for each user information; And a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name and date of birth of the customer.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request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print image is generated, and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extracts a plurality of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adjacent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localizes the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 a print terminal selection screen is provided, and when a local print terminal is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on the local print terminal selection screen, a map indicating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studio server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hoto type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 , And the print type information.
  •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through a wide are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through a dedicated app. And the unique code is provided.
  •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local print termi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cts by inputting the unique code through a dedicated app. Authorize print operations on a scanned image.
  •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method in the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implemented on the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described above, (a Requesting input of the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from the studio server to the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ed image; (b) inputting the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step (a) at the user terminal; (c) upload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together with the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in the studio server; (d) storing the captured image for each user in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e) mechanically calibrating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to generate a machine calibrated image; (f) allocating a calibration task of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in response to an allocation request of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at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g) uploading candidate candidate images corrected for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by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h) performing an inspection on the candidate well image by
  • a method for calibrating and printing a photo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may be performed by integrally correcting at least one of a background color, a luminance, and a chromatic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for each photo type information. Generate the machine calibrated image.
  • the step (f), (f-1) is arranged by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to display the machine-calibrated images for each photo type step; (f-2) selecting one of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s from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and requesting a calibration task assignment; And (f-3) in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allocating a calibration job in response to the allocation request of step (f-2), shading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and deactivating the selected calibration job by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 the step (k) includes (k-1) a plurality of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adjacen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Extracting and providing a local print terminal selection screen on the user terminal; (k-2) selecting a desired local print terminal on the local print terminal selection screen in the user terminal; And (k-3)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selected in the step (k-2) to the user terminal in a map form at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 the user posi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vercoming the studio image overload of the studio work while providing a high-quality photo service by integrating and correcting photographed images taken in a plurality of studios in a remote correction center ser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to provide a print service in the local print terminal of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has the effect that it can provide a quick print service without compromising the user's copper lines anywhere in the country or abroad.
  • the machine before the calibration center assigns a calibration task to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the machine can perform a calibration to achieve quality equalization of the print photograph, and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connected in real time when the calibration task is assigned.
  • the time required for the service to start is shortened and the expertise for the calibration task can be increased.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user terminal accesses a studio server to input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ssigning candidate work to a calibration expert terminal in a calibration center server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location-based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in a calibration center server.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detailed geographic information of a printing terminal selected by a user to a user terminal in a correction center server.
  •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 a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through the other structure in the middl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udio server 100, a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a correction expert terminal 300, a local print terminal 400, and the like.
  • the user terminal 5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networks are connected.
  • the studio server 100 is a server provided in the studio side for taking a picture of the customer.
  • the captured image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 digital file.
  • the digital camera 110 is wired to the studio server 100 or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studio server 10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as shown.
  • a customer may input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 the studio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500 carried by the customer are connec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and the customer uses his or her user terminal 500 to provide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Configured to enter information.
  • the user terminal 500 is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etc. carried by the customer, and the studio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500 each have Bluetooth and Wi-Fi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Thi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customers can enter the above information anywhere in the studio or outside the studio.
  • the user terminal 500 and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also communicate via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confirms a unique code to be described later to authenticate the photo print job for the user terminal 500, Provides a photo printing service for authenticated users.
  • the user terminal 500 communicates with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hrough the mobile network 800. Although the user terminal 500 is close to the studio server 100 and the local printing terminal 400 in the studio shooting and printing process, the user terminal 500 may move freely until the printing is completed. Therefore, communication with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hrough the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ified of the print ready state, and receiv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for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is a server that receives the captured image from the studio server 100 and performs digital correction.
  •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and the studio server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600.
  • LAN local area network
  • the illustrated example illustrates that one studio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 a plurality of studio servers 100 may be actually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in a star topology. That is,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receives the captured images from the plurality of studio servers 100, corrects the captured images, generates the corrected print images, and assigns them to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in each region.
  • the central server that does the work.
  • the LAN 600 may be configured as a network connected to buildings within a few km, but the network range may be expanded nationwide to form a wide area network (WAN).
  • WAN wide area network
  •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includes an image management database 210 for storing and managing photographed images and print images for each user, and a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name and date of birth of the customer ( 220).
  • Each database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atabase server.
  • the image management database 210 separately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which is the original photograph photographed in the studio, and the image for correcting printing, and both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image for printing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customer information. Therefore, when viewing the captured image file and the print image file by calling from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can be read with the customer information.
  • the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220 stores the information such as the studio visit history, the photo print history, etc. of the custom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ustomers (which may further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ther than the name and date of birth). Manage.
  •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has four modules associated with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These modules may be software modules implemented by programming in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he four modules are the machine calibration module 230, the calibration job management module 240, the inspection module 250, and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 the machine calibrating module 230 generates a machine calibrated image by collectively calibrating at least one of a background color, a light intensity, and a chromatic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for each picture type information.
  • the photo type means a form in which the customer wants to print a photograph taken by the customer, and is composed of categories such as friendship, couple, profile, proof, family, and dog.
  • the mechanical correction module 230 mechanically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by a predetermined program in order to prevent a quality non-uniformity in work by each expert before assigning the photographed images to a plurality of specialists and performing the correction operation. Pre-correction with
  • the mechanical correction module 230 pre-corrects the photographed image by giving a filtering value of luminance and chromaticity suitable for the profile image.
  • the machine calibration module 230 may assign R, G, and B values to unify the background color to white. The photographed image is converted into a machine-calibrated image through machine calibration.
  • the calibration task management module 240 is a module for classifying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s by picture type and assigning them to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and receiving and managing candidate candidate images on which calibration work is completed by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is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hrough the WAN 700, and means a terminal on which a calib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alibration specialist.
  •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as a terminal such as a desktop PC,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the like which are connected to the WAN 700.
  • the calibration task management module 240 may be configured in a manner of assigning a calibration task by designating a calibration specialist, but preferably performing a calibration operation in a reverse selection manner in which a target image of the calibration is selected by the calibration specialist terminal 300. Assign.
  • the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service system corrects to prevent an overload of studio work when performing photo correction directly in a plurality of studios in a region or a plurality of studios in a wide range.
  • the work is configured to run on a separate server. He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the correction work more quickly and provide it to the customer. If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is offline, even if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assigns a calibration task to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the calibration task may not proceed immediately. Therefore, in order to quickly calibrate, a calibration expert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in real time is reversely selected to allocate a calibration task.
  • a specific example of the assignment of the correction task by the correction task management module 2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inspection module 250 is a module that performs the inspection on the candidate tablet image by a predetermined rule. For example, if the pre-corrections made by machine calibration are damaged (i.e. the quality equalization is compromised), or if blemishes are found by zooming in on a person's face, If the candidate image falls short of the prescribed value, the candidate image may be filtered to meet the specified value, or the correction expert terminal 300 may be notified of the inspection to indicate rework. If the inspection passes, the candidate image is converted into a print image.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is a module which allocates a local print terminal 400 to print a print image, and sends a print image and a unique code for permission to print to the assigned local print terminal 400.
  •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is also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hrough the WAN 700. That is,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and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in a nationwide range or in a global range to perform calibration or provide a user location based printing service. .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requests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500 by referring to the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 image. For example,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500 to inform the print preparation completion state and to request user location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push notification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500. If the user terminal 500 permits the location notification service for the dedicated app, the user terminal 5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by the GPS module from the user terminal 500 to detec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receiv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500 and extracts a local print terminal 400 corresponding to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located within a radius of 2 km of the user's location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500. The customer may view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app, and select one of the desired local print terminals 400 therefrom.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sends a print image and a unique code for permission to print to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selected by the user.
  • the unique code is also sent to the user terminal 500 so that the customer can receive a photo printing service from the local printing terminal 400.
  • the process of providing a photo print service by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5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4, a user input unit 506, a detection unit 508, an AV input unit 510, an AV output unit 512, and a GPS module. 514, an interface 520, a memory 522, and a controller 502.
  • a print request module 516 and a printer assignment module 528 for receiving a user location based pri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print request module 516 and the printer assignment module 528 may be a module for driving a dedicated app or a subroutine algorithm implemented in the dedicated app.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4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4 may include a modul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a relay terminal, a server, and the like to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a text message, a multimedia message, and the lik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500 or connected as an external device.
  • Wireless LAN Wireless LAN
  • WiFi Wireless Broadband
  • Wibro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hort range, such as Bluetooth, Wi-Fi,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module, etc. This can be used.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module etc. This can be used.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is a module that receives various broadcast signals, and includ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and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ISDBT). Broadcasting Terrestrial) module and the like can be used.
  •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 DMB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 MediaFLO media forward link only
  •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 the user input unit 506 is a means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0.
  • the user input unit 506 may be a key pad, a dome switch, a mobile mouse, a jog wheel, a jog switch, a touch key, a touch panel, or the like.
  • a touch panel using a touch user interface (TUI) is used, and a user may input a user command using various touch gestures.
  • the sensing unit 508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user terminal 500, azimuth, acceleration / deceleration, proximity of the user input means, and the like.
  • the AV input unit 510 is a mean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amera and a microphone.
  • the camer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detect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 the microphone processes voice signal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s electrical data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nd a voice recognition mode.
  • the AV output unit 512 is a device that generates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and haptic, and may include a display means, a speaker, an alarm module, a haptic module, and the like.
  • the display means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martphone to the screen.
  • the display means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 call or application.
  • Display mean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ganic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flexible display, etc.
  • the touch panel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a display device.
  • the GPS module 514 is a module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500 from satellites.
  • the GPS module 514 calculates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s is commonly known.
  • the interface 520 is a means that acts as a path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500, and transmits or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user terminal 500.
  • a wired ear jack, a wireless headset port, a charger connection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132.
  • the memory 522 is a means for storing data generated or down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500 or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 only memory (ROM), EEPROM (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a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 the controller 50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0. For example, control and data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pplication execution, and the like ar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2 controls the operation and processing of an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500, an application that is basically loaded, an application downloaded and stored by the user, and an application and software modu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do.
  • the print request module 516 communicates with the studio server 100,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and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to request and authenticate a photo print job. This module performs the procedure.
  • the printer assignment module 518 transmit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module 514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corresponding to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 the module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for selecting a desired local print terminal 400 among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 the user terminal 500 communicates with the studio server 100,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and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to receive a print service.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 FIG. 3 and 4 are data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location-based photo correction and pri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the photo correction and printing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udio server 100 receives the captured image from the digital camera 110 and collects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110.
  • the studio server 100 requests the user terminal 500 to input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related to a captured image (step 1).
  • the user terminal 500 inputs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step 2).
  • 5 and 6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user terminal accesses a studio server and inputs user information, photo type information, and print type information.
  • a dedicated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500 is executed, and an input process of information is performed on the dedicated app.
  • the user terminal 500 is a smart phone, and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touch user interface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 a status display window 530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user terminal 500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radio wave reception sensitivity, battery status, and current time.
  • a home key 532, a menu key 534, and a back key 536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key on a lower bezel of the user terminal 500.
  • the home key 532 is a key for moving to a designated home screen in a smartphone
  • the menu key 534 is a key for activating a menu with a pop up window
  • the back key 536 is for a previous screen. The key to move.
  • the home key 532, menu key 534, and back key 536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oft key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effective display area rather than in the form of physical touch keys.
  •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of the dedicated app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500.
  • a user information input window 540 is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 the user information input window 540 displays a name input item 542 and a date of birth input item 544.
  • the name input item 542 is an item for inputting a user's name.
  • a cursor appears and the virtual keypad 538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is activated.
  • the user may input the name using the virtual keypad 538.
  • the date of birth input item 544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and inputs a date of birth.
  • the monthly calendar is activated, and the user can input the date of birth on the monthly calendar.
  • a photo type information input window 550 and a print type information input window 560 are displayed below the user information input window 540.
  • the picture types are categorized into friendship, couple, profile, attestation, family, and dog categories, and a picture type selection 552 appears to the right of each category.
  • the user may input a photo type selection item 552 to the right of the desired photo type.
  •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has selected a profile type.
  • the print type information input window 560 includes a photo paper size selection item 562, a print number selection item 564, and a split photo selection item 566, and each item may be configured as a drop-down menu.
  • the photo paper size selection item 562 includes items such as 4 * 6, 5 * 7, A4, and A3, and the print number selection item 564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number of copies to be printed.
  • the divisional print selection item 566 is an item for selecting a composition for dividing and arranging pictures in one photo paper.
  • the studio server 100 upload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user information, the photo type information, and the print type information (step 3).
  •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stores the received photographed image in the image management database 210 for each user (step 4).
  • the captured image can be retrieved for contrasting original data.
  • the mechanical correction module 230 of the correction center server 200 mechanically corrects the photographed image to generate a mechanical correction image (step 5).
  • the machine calibration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rough this machine calib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photographic result of a certain quality despite the correction by various calibration experts.
  • the calibration task management module 240 of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allocates the calibration task of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in response to the allocation request (step 6) of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step 7). ).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ssigning candidate work to a calibration expert terminal in a calibration center server.
  • a plurality of calibration expert terminals 300 are connected to a website operated by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and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undergoes a certification operation for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and then a calibration operation as illustrated in FIG. 7. Display the allocation page.
  • a picture type selection screen display unit 270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 the correction expert may select a picture type corresponding to his / her specialty on the picture type selection screen display unit 270. For example, suppose the profile type is selected.
  • a correction target image display unit 280 including a plurality of correction target images corresponding to a profile type is displayed.
  • the image to be corrected illustrated in FIG. 7 are images selected by the customer as the profile picture type.
  •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before being assigned to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is represented by the selectable image display item 282, and the machine calibration image assigned to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and undergoing candidate correction work is performed by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 the candidate image is uploaded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step 9).
  • the inspection module 250 of the calibration expert terminal 300 performs the inspection on the candidate definition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prints the candidate definition image that passed the inspection based on the print type information. Create as an image (Step VII).
  • the inspection process by the inspection module 25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print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management database 210 for each user (step VII).
  • the print job management module 260 of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requests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500 in response to the print image (step 12).
  • the user terminal 500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module 514 to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step VII (step VII).
  •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extracts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near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transmits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and a unique code for printing permission to the user terminal 500 ( Step iii).
  •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location-based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in a calibration center server
  •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detailed geographic information of a print terminal selected by a user to a user terminal in a calibration center server. The figure shown.
  •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extracts a plurality of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adjacent to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and provides the extracted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500.
  • the dedicated app of the user terminal 500 displays the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window 570.
  • a plurality of local print terminal display items 572 are displayed on the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window 570, and a slide bar 574 for moving the local print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window 570 up and down is displayed at the right end. .
  • Each local print terminal display item 572 indicates a relative distanc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 address, and a user's loc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together with a photo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or the small map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closes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at the top, and the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s 400 within a 2 km radius is displayed. Of course, this radius can be set and changed by the user.
  • the user may select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that he / she wants on the screen shown in FIG. 8.
  • the user terminal 500 switches to the screen of FIG. 9 and displays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selected by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o provide.
  • a local print terminal geographic information display window 580 is displayed on a substantial portion of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500, and a detailed map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selected in the local print terminal geographic information display window 580 is shown. appear.
  • the local print terminal position indication mark 582 is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 the local print terminal geographic information display window 580 may further display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o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 the calibration center server 200 transmits the unique code issued to the user with the image for printing to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selected by the user (step 15).
  • the local print terminal 400 requests a unique code from the user terminal 500 accessing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ep ), If a unique code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500 (step Check the inputted unique code and print the image for printing (step) ).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industry of integrating and correcting photographs taken in a studio in a remote correction center and printing the completed photographs on a local print terminal based on a user's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사진을 보정하고 인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는 스튜디오 측에 마련되며 고객별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와 함께 관리하는 스튜디오 서버; 상기 스튜디오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지털 보정을 실시하는 보정센터 서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사진 보정작업을 할당받아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보정 전문가 단말;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화하는 로컬 인화 단말; 및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와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인화 허가를 위한 고유코드를 발송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사진을 원격의 보정센터에서 통합하여 보정하고 보정 작업이 완료된 사진을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로컬 인화 단말에서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튜디오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고객은 사진을 촬영한 이후 인화까지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종래 현상 방식의 사진의 경우 사진을 촬영한 후 며칠이 지나야 인화된 사진을 받을 수 있었다면,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디지털 사진을 현장에서 곧바로 인화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진 촬영 후 인화까지는 1시간 내외를 기다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나아가, 프로필 사진이나 증명사진의 경우 사진 보정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인화까지 기다리는 시간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55995호는 디지털 사진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 된 사진에 대하여 고객의 거주지 주변에 있는 지역 가맹점을 통해 인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고객은 인화를 요청하는 사진을 업로드 하면서 배송 수취나 지역 가맹점 수취로 선택하고, 고객이 지역 가맹점 수취로 선택한다면 인화 서비스 서버에서 인화 서비스 단말기로 지역 인화 서비스 처리 정보를 전달하여 고객이 거주지 인근에서 편리하게 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48925호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사진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고객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앱을 통해 인화할 사진을 선택 및 편집하고, 편집된 사진을 원하는 지역의 가맹점 인화 서비스 단말기에서 인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 선행문헌에 의한 인화 서비스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고객이 사진을 직접 촬영하고 편집하기 때문에 전문가에 의한 사진 촬영 및 보정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만약 위와 같은 인화 서비스 시스템들이 스튜디오 촬영 환경에 접목된다고 하여도, 스튜디오 내에 상주하는 보정 전문가에 의해 사진 보정 작업이 이루어진다고 할 때, 보정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스튜디오 작업에 과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나아가, 수많은 스튜디오에서 보정된 사진들은 품질에 격차가 발생되어, 고객에게 균일한 품질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사진에 대하여 원격의 보정센터에서 통합된 보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스튜디오 작업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사진 보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인화 단말에 대한 지리 정보를 제공하여 로컬 인화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 촬영에서 인화까지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정센터 서버에서 보정 전문가 단말에 보정작업을 할당하기 전에 기계 보정을 실시하여 인화 사진에 대한 품질 균등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보정 작업 할당 시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한 역선택 방식으로 보정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서비스 시작에서 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보정 작업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인화 단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인화 단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로컬 인화 단말의 상세 지리 정보를 맵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알림으로써, 고객의 동선을 고려한 사용자 편의 중심의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는 스튜디오 측에 마련되며 고객별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와 함께 관리하는 스튜디오 서버; 상기 스튜디오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지털 보정을 실시하는 보정센터 서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사진 보정작업을 할당받아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보정 전문가 단말;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화하는 로컬 인화 단말; 및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와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인화 허가를 위한 고유코드를 발송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보정센터 서버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사진 유형 정보별로 배경 색상, 광도, 및 색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계 보정 모듈;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사진 유형별로 분류하여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며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보정 작업이 완료된 후보정 이미지를 관리하는 보정작업 관리 모듈; 상기 후보정 이미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정에 의해 검수를 수행하여 검수를 통과한 후보정 이미지를 상기 인화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인화용 이미지로 변환하는 검수 모듈; 및 상기 인화용 이미지 및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로컬 인화 단말로 전송하는 인화작업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보정작업 관리 모듈은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할당되기 전인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선택 가능 이미지 표시항목으로 제공하고,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할당되어 작업이 진행중인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불가능한 작업중 이미지 표시항목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보정센터 서버는, 상기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인화용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이미지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상기 고객의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인화작업 관리 모듈은 상기 인화용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GPS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인화작업 관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로컬 인화 단말이 선택되면 당해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튜디오 서버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사진 유형 정보, 및 상기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정센터 서버와 광역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로컬 인화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입력하여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인화 작업을 인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튜디오 서버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단계(a)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스튜디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와 함께 상기 촬영 이미지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 (d)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계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의 할당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의 보정 작업을 할당하는 단계; (g)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보정한 후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 업로드 하는 단계; (h)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후보정 이미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정에 의해 검수를 수행하여 검수를 통과한 후보정 이미지를 상기 인화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인화용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i)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인화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j)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단계(i)의 요청에 응답하여 GPS 모듈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k)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인근의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을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인화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고유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l)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로컬 인화 단말에 상기 인화용 이미지와 대응하는 상기 고유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m) 상기 로컬 인화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인화용 이미지를 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계(e)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사진 유형 정보별로 배경 색상, 광도, 및 색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보정하여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계(f)는, (f-1)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들을 사진 유형별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f-2)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보정작업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및 (f-3)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단계(f-2)의 할당 요청에 응답하여 보정 작업을 할당하고 당해 기계 보정 이미지를 음영 처리하여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불가능하도록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계(k)는, (k-1)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k-2)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상에서 원하는 로컬 인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k-3)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단계(k-2)에서 선택된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지도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들을 원격의 보정센터 서버에서 통합하여 보정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사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스튜디오 작업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고객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의 로컬 인화 단말에서 인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어디에서도 사용자의 동선을 훼손하지 않고 신속한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정센터 서버에서 보정 전문가 단말에 보정작업을 할당하기 전에 기계 보정을 실시하여 인화 사진에 대한 품질 균등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보정 작업 할당 시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한 역선택 방식으로 보정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서비스 시작에서 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보정 작업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정센터 서버에서 인화용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로컬 인화 단말을 배정하고, 배정된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맵 형태로 알리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
도 5 및 6은 사용자 단말이 스튜디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보정센터 서버에서 보정 전문가 단말에 후보정 작업을 할당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위치 기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 및
도 9는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가 선택한 인화 단말의 상세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스튜디오 서버(100)와, 보정센터 서버(200)와, 보정 전문가 단말(300)과, 로컬 인화 단말(400)과, 사용자 단말(500)이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스튜디오 서버(100)는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는 스튜디오 측에 마련되는 서버이다. 스튜디오에서 디지털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경우 디지털 파일 형태로 촬영 이미지가 생성된다. 디지털 카메라(110)를 스튜디오 서버(100)에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이미지를 스튜디오 서버(100)로 전송한다.
스튜디오 서버(100)에 연결된 단말을 이용하여 고객이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튜디오 서버(100)와 고객이 휴대한 사용자 단말(500)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고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00)은 고객이 휴대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이며, 스튜디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500)에는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고객이 스튜디오 내 혹은 스튜디오 외부의 인근 어느 곳에서도 위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500)과 로컬 인화 단말(400) 역시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로컬 인화 단말(400)은 후술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대한 사진 인화 작업을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500)은 보정센터 서버(200)와 모바일 네트워크(800)를 통해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500)은 스튜디오 촬영 및 인화 과정에서는 스튜디오 서버(100) 및 로컬 인화 단말(400)에 근접하게 되지만, 사진 촬영 후 인화 완료까지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보정센터 서버(200)와 통신하여 인화 준비 완료 상태를 통보받고, 로컬 인화 단말(400)에 대한 지리 정보를 제공받는다.
보정센터 서버(200)는 스튜디오 서버(10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지털 보정을 실시하는 서버이다. 보정센터 서버(200)와 스튜디오 서버(100)는 LAN(Local Area Network, 6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보정센터 서버(200)에 하나의 스튜디오 서버(100)가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스튜디오 서버(100)가 보정센터 서버(200)에 스타형 토폴로지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정센터 서버(200)는 복수의 스튜디오 서버(10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아 촬영 이미지들을 보정 처리하며, 보정 처리된 인화용 이미지들을 생성하여 각 지역의 로컬 인화 단말(400)들에 배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중앙 서버이다.
여기서, LAN(600)은 수 km 이내의 건물들과 연결되는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네트워크 범위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WAN(Wide Area Network)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정센터 서버(200)에는 촬영 이미지 및 인화용 이미지를 사용자 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이미지 관리 데이터베이스(210)와, 적어도 고객의 성명 및 생년월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를 구비한다. 각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원본 사진인 촬영 이미지와 보정 처리가 완료된 인화용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하며, 촬영 이미지 및 인화용 이미지는 모두 고객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보정센터 서버(200)에서 호출하여 촬영 이미지 파일 및 인화용 이미지 파일을 열람할 때 고객 정보와 함께 열람할 수 있다.
고객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는 고객들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성명 및 생년월일 정보 이외의 다른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와 함께, 고객의 스튜디오 방문 이력, 사진 인화 이력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센터 서버(200)는 사진 보정 및 인화와 관련하여 4개의 모듈을 구비한다. 이들 모듈은 보정센터 서버(200)에서 프로그래밍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4개의 모듈은 기계 보정 모듈(230), 보정작업 관리 모듈(240), 검수 모듈(250), 및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이다.
기계 보정 모듈(230)은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사진 유형 정보별로 배경 색상, 광도, 및 색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예시에서 사진 유형이라 함은, 고객이 촬영한 사진을 인화하고 싶은 형태를 의미하며, 우정, 커플, 프로필, 증명, 가족, 애견 등의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기계 보정 모듈(230)은 촬영 이미지들을 복수의 전문가에게 할당하여 보정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각각의 전문가에 의한 작업에 품질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촬영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기계적으로 선(先) 보정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촬영한 사진을 프로필 이미지로 인화하고자 할 때, 기계 보정 모듈(230)은 프로필 이미지에 맞은 광도와 색도의 필터링 값을 부여하여 촬영 이미지를 선 보정한다. 다른 예로서, 고객이 촬영한 사진을 증명사진으로 인화하고자 할 때, 기계 보정 모듈(230)은 배경 색상을 흰색으로 통일하기 위한 R, G, B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촬영 이미지는 기계 보정 작업을 거쳐 기계 보정 이미지로 변환된다.
보정작업 관리 모듈(240)은 기계 보정 이미지들을 사진 유형별로 분류하여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할당하고,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의해 보정 작업이 완료된 후보정 이미지를 수신받아 관리하는 모듈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보정 전문가 단말(300)은 WAN(700)을 통해 보정센터 서버(200)에 연결되는 단말로서, 보정 전문가에 의해 보정 작업이 수행되는 단말을 의미한다. 보정 전문가 단말(300)은 WAN(700)에 접속 가능한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보정작업 관리 모듈(240)은 보정 전문가를 지정하여 보정작업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의해 보정 대상 이미지가 선택되는 역선택 방식으로 보정작업을 할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지역 내 복수의 스튜디오, 또는, 광역 범위 내의 복수의 스튜디오에서 직접 사진 보정 작업을 수행할 경우 스튜디오 작업에 과부하가 발생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정 작업이 별도의 서버에서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보정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하여 고객 측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만약, 보정 전문가 단말(300)이 오프라인 상태라면, 보정센터 서버(200)에서 당해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보정 작업을 할당하여도 보정 작업이 곧바로 진행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신속한 보정 작업을 위해, 보정센터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는 보정 전문가가 역선택하여 보정작업을 할당하게 된다. 보정작업 관리 모듈(240)에 의한 보정 작업의 할당에 관한 구체적인 예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검수 모듈(250)은 후보정 이미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정에 의해 검수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기계 보정 작업에 의해 선 보정된 사항들이 훼손된 경우(즉, 품질의 균등화가 훼손된 경우), 인물의 얼굴을 줌 인 하여 잡티가 발견된 경우 등 몇 가지 검수 규칙에 의한 규정 값을 정해놓고, 후보정 이미지가 당해 규정 값에 미달될 경우 필터링 처리하여 규정 값에 맞추거나, 혹은,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검수 미달을 통보하여 재작업을 지시할 수 있다. 만약, 검수가 통과된다면 해당 후보정 이미지를 인화용 이미지로 변환한다.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은 인화용 이미지를 인화할 로컬 인화 단말(400)을 배정하고, 배정된 로컬 인화 단말(400)에 인화용 이미지 및 인화 허가를 위한 고유코드를 발송하는 모듈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로컬 인화 단말(400) 역시 WAN(700)을 통해 보정센터 서버(200)에 접속된다. 즉, 보정 전문가 단말(300) 및 로컬 인화 단말(400)은 전국적인 범위, 또는, 세계적인 범위에서 보정센터 서버(200)에 접속되어 보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용자 위치 기반의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화용 이미지가 생성되면, 당해 인화용 이미지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500)에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0)에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화 준비 완료 상태를 알리고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500)에 설치된 전용 앱에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500)이 당해 전용 앱에 대하여 위치 알림 서비스를 허가한 상태라면,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GPS 모듈에 의한 측위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인화 단말(400)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의 2km 반경 이내에 위치한 로컬 인화 단말(400)들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인화 단말(400)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한다. 고객은 전용 앱을 통해 자신의 주변에 위치한 로컬 인화 단말(400)들을 열람하고, 그 중 원하는 하나의 로컬 인화 단말(400)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컬 인화 단말(400)에 인화용 이미지 및 인화 허가를 위한 고유코드를 발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500)에도 고유코드를 발송하여, 고객이 당해 로컬 인화 단말(400)로부터 사진 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에 의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과정은 도 8 및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504), 사용자 입력부(506), 감지부(508), AV 입력부(510), AV 출력부(512), GPS 모듈(514), 인터페이스(520), 메모리(522), 및 제어부(502)를 구비한다.
여기에,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위치 기반의 인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인화 요청 모듈(516) 및 인화기 배정 모듈(52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인화 요청 모듈(516) 및 인화기 배정 모듈(528)은 전용 앱을 구동하는 모듈, 혹은, 전용 앱에서 구현되는 서브루틴 알고리즘일 수 있다.
먼저, 무선 통신부(504)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다른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504)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기지국, 중계 단말, 서버 등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500)에 내장되거나 외부기기로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다양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로서,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06)는 사용자 단말(5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 입력부(506)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모바일 마우스,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TUI(Touch User Interface)를 이용한 터치 패널이 이용되며,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감지부(508)는 사용자 단말(500)의 개폐 상태, 방위, 가속/감속, 사용자 입력수단의 근접 여부 등을 검출하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AV 입력부(510)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컨대 카메라와 마이크가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서 검출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한다.
AV 출력부(512)는 시각, 청각, 및 촉각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수단, 스피커, 알람 모듈,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은 스마트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수단은 통화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패널이 일체화 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GPS 모듈(514)은 위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모듈로서,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모듈이다.
인터페이스(520)는 사용자 단말(5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 통로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500) 내부의 각 구성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선 이어잭, 무선 헤드셋 포트, 충전기 연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132)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522)는 사용자 단말(500)에서 생성되거나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2)는 사용자 단말(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관련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2)는 사용자 단말(500)에 설치된 운영체제,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어플리케이션,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적인 모듈의 동작과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화 요청 모듈(516)은 사용자 단말(500)이 상술한 스튜디오 서버(100), 보정센터 서버(200), 및 로컬 인화 단말(400)과 통신하여 사진 인화와 관련된 작업들을 요청하고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인화기 배정 모듈(518)은 보정센터 서버(200)에 GPS 모듈(514)로 측정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로컬 인화 단말(400)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로컬 인화 단말(400)들 중 원하는 로컬 인화 단말(400)을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인화 요청 모듈(516) 및 인화기 배정 모듈(518)에 의해 사용자 단말(500)이 스튜디오 서버(100), 보정센터 서버(200), 및 로컬 인화 단말(400)과 통신하여 인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하여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이 스튜디오에 방문하여 스튜디오에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110)로 사진을 촬영하면, 촬영 이미지가 생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튜디오 서버(100)는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고 촬영 이미지(110)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수집한다.
먼저, 스튜디오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500)에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다(단계 ①). 그러면 사용자 단말(500)이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②).
도 5 및 6은 사용자 단말이 스튜디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에 설치된 전용 앱이 실행되고, 전용 앱 상에서 정보의 입력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00)은 스마트 폰이며, 스마트 폰에 설치된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의 입력이 진행된다.
사용자 단말(500)의 상단에는 전파 수신 감도, 배터리 상태, 현재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창(530)이 배치된다. 사용자 단말(500) 하단부의 베젤에는 홈 키(532), 메뉴 키(534), 뒤로가기 키(536)가 터치 키(touch key)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홈 키(532)는 스마트 폰에서 지정된 홈 화면으로 이동하는 키이고, 메뉴 키(534)는 팝 업 창으로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키이고, 뒤로가기 키(536)는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키이다. 홈 키(532), 메뉴 키(534), 및 뒤로가기 키(536)는 물리적인 터치 키 형태가 아닌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함되는 소프트 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500)에 전용 앱의 정보 입력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상부에는 사용자 정보 입력창(540)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입력창(540)에는 성명 입력항목(542)과 생년월일 입력항목(544)이 표시된다.
성명 입력항목(542)은 사용자의 성명을 입력하는 항목으로, 성명 입력항목(542)을 터치하면 커서가 나타나면서 디스플레이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 키패드(538)가 활성화 되어 나타난다. 사용자는 가상 키패드(538)를 이용하여 성명을 입력할 수 있다.
생년월일 입력항목(544)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항목이다. 사용자가 생년월일 입력항목(544)을 터치하면, 월력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며, 사용자가 월력 상에서 생년월일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입력창(540)의 하부로 사진 유형 정보 입력창(550)과 인화 유형 정보 입력창(560)이 표시된다.
본 예시에서 사진 유형은 우정, 커플, 프로필, 증명, 가족, 및 애견의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각 분류항목의 우측에 사진 유형 선택항목(552)이 나타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진 유형 우측의 사진 유형 선택항목(552)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프로필 유형을 선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화 유형 정보 입력창(560)은 인화지 크기 선택항목(562), 인화 매수 선택항목(564), 분할 인화 선택항목(566)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들은 드롭 다운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인화지 크기 선택항목(562)은 4*6, 5*7, A4, A3 등의 항목을 포함하며, 인화 매수 선택항목(564)은 사용자가 인화를 원하는 매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분할 인화 선택항목(566)은 하나의 인화지 내에서 사진을 분할하여 배치하는 구도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다.
도 5 및 6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스튜디오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와 함께 촬영 이미지를 보정센터 서버(200)에 업로드 한다(단계 ③).
보정센터 서버(200)는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촬영 이미지를 이미지 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사용자별로 저장한다(단계 ④). 촬영 이미지는 원본 데이터 대조를 위해 열람될 수 있다.
그리고 보정센터 서버(200)의 기계 보정 모듈(230)은 촬영 이미지를 기계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⑤). 기계 보정 작업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기계 보정을 통해 여러 보정 전문가에 의한 보정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일정한 품질의 사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기계 보정이 완료된 후에는, 보정센터 서버(200)의 보정작업 관리 모듈(240)이 보정 전문가 단말(300)의 할당 요청(단계 ⑥)에 응답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의 보정 작업을 할당한다(단계 ⑦).
그리고 각각의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서 후보정 작업이 진행된다(단계 ⑧).
도 7은 보정센터 서버에서 보정 전문가 단말에 후보정 작업을 할당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보정센터 서버(200)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복수의 보정 전문가 단말(300)이 접속하고, 보정센터 서버(200)는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대한 인증 작업을 거친 후에 도 7과 같은 보정작업 할당 페이지를 표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좌측에는 사진 유형 선택 화면 표시부(270)가 디스플레이 된다. 보정 전문가는 사진 유형 선택 화면 표시부(270) 상에서 자신의 전문 분야에 해당하는 사진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유형이 선택된다고 가정해보자.
도 7의 우측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필 유형에 해당하는 복수의 보정 대상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보정 대상 이미지 표시부(280)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7에서 예시된 보정 대상 이미지들은 고객이 프로필 사진 유형으로 선택한 이미지들이다.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할당되기 전인 기계 보정 이미지는 선택 가능 이미지 표시항목(282)으로 나타나며,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할당되어 후보정 작업이 진행중인 기계 보정 이미지는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의해 선택 불가능한 작업중 이미지 표시항목(284)으로 나타난다. 작업중 이미지 표시항목(28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음영 처리되어 비활성화 된 상태로 나타난다. 만약, 어떤 이미지에 대한 보정 작업이 완료된 상태라면, 당해 이미지는 보정 대상 이미지 표시부(280) 상에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보정센터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접속된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 의해 역선택 방식으로 보정작업 할당이 진행되므로, 무수히 많은 보정 전문가에 의해 동시 다발적으로 보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보정 처리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보정 전문가에 의한 보정 작업 전에 기계 보정을 실시하고, 보정 작업 후에는 검수를 진행함으로써, 다수의 작업자에 의한 보정에도 불구하고 사진의 품질을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정 전문가 단말(300)에서 기계 보정 이미지에 대한 보정 작업이 완료되면, 후보정 이미지가 보정센터 서버(200)로 업로드 된다(단계 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전문가 단말(300)의 검수 모듈(250)은 후보정 이미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정에 의해 검수를 수행하고, 검수를 통과한 후보정 이미지를 인화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인화용 이미지로 생성한다(단계 ⑩). 검수 모듈(250)에 의한 검수 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인화용 이미지를 사용자별로 이미지 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단계 ⑪).
인화용 이미지의 생성이 완료되면, 보정센터 서버(200)의 인화작업 관리 모듈(260)은 인화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500)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⑫).
사용자 단말(500)은 단계 ⑫의 요청에 응답하여 GPS 모듈(514)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보정센터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⑬).
보정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인근의 로컬 인화 단말(400)을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인화 단말(400)의 위치 정보와 인화 허가를 위한 고유코드를 사용자 단말(500)에 전송한다(단계 ⑭).
도 8은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위치 기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가 선택한 인화 단말의 상세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정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00)의 전용 앱은 로컬 인화 단말 정보 제공창(570)을 디스플레이 한다.
로컬 인화 단말 정보 제공창(570)에는 복수의 로컬 인화 단말 표시항목(572)이 표시되며, 우측 단부에는 로컬 인화 단말 정보 제공창(570)을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바(574)가 표시된다.
각각의 로컬 인화 단말 표시항목(572)은 로컬 인화 단말(400)의 사진, 또는 소형 맵 정보와 함께, 로컬 인화 단말(400)의 상호, 주소,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상대 거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근접한 로컬 인화 단말(400)의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며, 2km 반경 이내의 로컬 인화 단말(400)들의 정보가 표시된다. 물론, 이 반경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화면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로컬 인화 단말(400)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도 8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떤 로컬 인화 단말(400)을 선택한다면, 도 9의 화면으로 전환되어 보정센터 서버(200)에서 선택된 로컬 인화 단말(400)의 지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에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의 화면 상당 부분에 로컬 인화 단말 지리정보 표시창(580)이 디스플레이 되며, 로컬 인화 단말 지리정보 표시창(580)에 선택된 로컬 인화 단말(400)의 상세 지도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세 지도상에서 로컬 인화 단말(400)의 위치 상부에 로컬 인화 단말 위치 표시 마크(582)가 표시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컬 인화 단말 지리정보 표시창(58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로컬 인화 단말(400)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보정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컬 인화 단말(400)에 인화용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에게 발급된 고유코드를 전송한다(단계 ⑮).
이후 로컬 인화 단말(4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사용자 단말(500)에 고유코드를 요청하고(단계
Figure PCTKR2018006198-appb-I000001
),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고유코드가 입력되면(단계
Figure PCTKR2018006198-appb-I000002
), 입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인화용 이미지를 인화한다(단계
Figure PCTKR2018006198-appb-I000003
).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사진을 원격의 보정센터에서 통합하여 보정하고 보정 작업이 완료된 사진을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로컬 인화 단말에서 인화하는 산업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3)

  1. 고객의 사진을 촬영하는 스튜디오 측에 마련되며 고객별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와 함께 관리하는 스튜디오 서버;
    상기 스튜디오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지털 보정을 실시하는 보정센터 서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사진 보정작업을 할당받아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보정 전문가 단말;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인화하는 로컬 인화 단말; 및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와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인화 허가를 위한 고유코드를 발송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보정센터 서버는,
    상기 촬영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기계적으로 선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계 보정 모듈;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사진 유형별로 분류하여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한 역선택 방식으로 개별 보정 전문가에게 할당하며, 상기 보정 전문가에 의해 보정 작업이 완료된 후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하는 보정작업 관리 모듈;
    상기 후보정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검수 규칙에 의한 규정 값을 적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사진 인화를 위한 인화용 이미지로 변환하는 검수 모듈; 및
    상기 인화용 이미지 및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로컬 인화 단말로 전송하는 인화작업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보정 모듈은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사진 유형 정보별로 배경 색상, 광도, 및 색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작업 관리 모듈은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할당되기 전인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선택 가능 이미지 표시항목으로 제공하고,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할당되어 작업이 진행중인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불가능한 작업중 이미지 표시항목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센터 서버는,
    상기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인화용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이미지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상기 고객의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작업 관리 모듈은 상기 인화용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GPS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작업 관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로컬 인화 단말이 선택되면 당해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튜디오 서버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사진 유형 정보, 및 상기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정센터 서버와 광역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제공받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로컬 인화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입력하여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인화 작업을 인증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튜디오 서버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정보 입력 요청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정보 입력 요청 단계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튜디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사진 유형 정보, 및 인화 유형 정보와 함께 상기 촬영 이미지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선 보정하여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사진 유형별로 분류하여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한 역선택 방식으로 개별 보정 전문가에게 할당하는 단계;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보정한 후보정 이미지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 업로드 하는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후보정 이미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검수 규칙에 의한 규정 값을 적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사진 인화를 위한 인화용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인화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위치 정보 요청 단계의 요청에 응답하여 GPS 모듈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보정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인근의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을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인화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고유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고유 코드 전송 단계;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로컬 인화 단말에 상기 인화용 이미지와 대응하는 상기 고유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인화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인화용 이미지를 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사진 유형 정보별로 배경 색상, 광도, 및 색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보정하여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보정 전문가에게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들을 사진 유형별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서 상기 기계 보정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보정작업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보정작업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의 할당 요청에 응답하여 보정 작업을 할당하고 당해 기계 보정 이미지를 음영 처리하여 상기 보정 전문가 단말에 의해 선택 불가능하도록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코드 전송 단계는,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복수의 로컬 인화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로컬 인화 단말 선택 화면상에서 원하는 로컬 인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센터 서버에서 상기 로컬 인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로컬 인화 단말의 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지도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방법.
PCT/KR2018/006198 2017-06-01 2018-05-31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82219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43 2017-06-01
KR1020170068443A KR101862293B1 (ko) 2017-06-01 2017-06-01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974A1 true WO2018221974A1 (ko) 2018-12-06

Family

ID=6245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198 WO2018221974A1 (ko) 2017-06-01 2018-05-31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2293B1 (ko)
WO (1) WO2018221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158B1 (ko) * 2021-02-04 2021-06-16 한철희 사용자의 sns 컨텐츠를 이용하여 스튜디오 촬영 사진을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564584B1 (ko) * 2022-04-07 2023-08-11 박정미 디지털 사진셀렉 및 셀프보정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1154B1 (ko) * 2023-09-08 2024-01-29 조윤호 빅데이터 기반 사진 이미지 촬영, 보정 및 인화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968A (ko) * 2000-05-04 2001-05-07 송정진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인화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0872A (ko) *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디지포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진 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35545A (ko) * 2012-09-13 2014-03-24 (주)에스피에이치 이미지 출력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7069A (ko) * 2013-02-27 2014-09-04 테크에이스 소프트웨어 엘티디 아이콘을 통해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에서의 촬영 환경 적용 방법
KR20160142051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씨에프닷이퀄톤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968A (ko) * 2000-05-04 2001-05-07 송정진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인화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0872A (ko) *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디지포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진 보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35545A (ko) * 2012-09-13 2014-03-24 (주)에스피에이치 이미지 출력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7069A (ko) * 2013-02-27 2014-09-04 테크에이스 소프트웨어 엘티디 아이콘을 통해 촬영 환경을 설정하는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에서의 촬영 환경 적용 방법
KR20160142051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씨에프닷이퀄톤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293B1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1974A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사진 보정 및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3103243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content
WO20150469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
WO2017222246A1 (en) Content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044015A1 (ko) 공항용 로봇,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그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WO2019225861A1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based on account group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WO201916426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3176321A1 (en) Location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application apparatus
WO20181175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WO2019160250A1 (ko)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1715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content associated with image to application
WO2014148691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162323A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운용 방법
WO2014010785A1 (ko) 관광 관련 IoT 서비스 방법
WO2020145653A1 (ko) 이미지의 촬영 장소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9039861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기능과 연관된 콘텐트 제공 방법
WO2019151667A1 (ko)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개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111488A1 (ko) 아이오티 장치를 등록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그 작동 방법
WO2023027389A1 (ko)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16484A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8169323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208877A1 (ko) 단말기에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WO2018021798A1 (ko)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gui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WO2020045804A1 (ko) 인포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0159032A1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카메라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9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3/03/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98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