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21899A1 -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8221899A1 WO2018221899A1 PCT/KR2018/005999 KR2018005999W WO2018221899A1 WO 2018221899 A1 WO2018221899 A1 WO 2018221899A1 KR 2018005999 W KR2018005999 W KR 2018005999W WO 2018221899 A1 WO2018221899 A1 WO 2018221899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 portable actuator
- gear box
- actuator
- lif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hydrological lifting device using a portable actua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ydrological gate.
- flood gates are installed in dams, dikes, reservoirs, or river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ater control and backflow prevention.
- Such flood gates are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8342 (August 28, 2004) As larger fram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an elevating device, wherein the elevating device is composed of a screw ba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an actuator or a handle engaged with and driven by the screw ba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water gate lifting apparatus using a portable actuator that can prevent an unauthorized person from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and conveni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 the present invention lift fram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ate;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while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frame; And a support beam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frame, wherein the rack comprises: a rack bar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support beam from an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a plurality of gear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eam so as to lift and lower the rack bar while reducing the force for lifting the rack bar, while the front is a power connection end for driving the combination of the gea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box formed.
- the gear box includes a holder for supporting the portable handle or the portable actuato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end.
- the cradle is formed to be driven from the front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shaft coupling with the gear box.
- a fixing ring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ear box, and the holder is latched to the fixing ring in a state located in front of the gear box.
- the water gat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it easy to use while reducing the equipment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water g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conomics and convenience are further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solves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quickly and the problem that the cost is increased by the installation of a mechanical device on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osion and aging proceeds the maintenance cost.
- FIG. 1 an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ydrological lif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3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hydrological lif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ydrological lif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ure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ydrological lif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 “ beneath “, “ lower”, “ above “, “ upper”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erms in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so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 Hydrologic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ck bar 10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upport beam from the top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s shown in Figure 1 to 7; And a plurality of gear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eam so as to lift and lower the rack bar while reducing the force for lifting the rack bar, while the front is a power connection end for driving the combination of the gea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box 200 is formed 210.
- the water g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elevating frame 10 installed at both side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while being elevated along the elevating frame, and a support beam 3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fra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elevating frame 10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to move up and down smoothly, and also hold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not to be pushed out by the hydraulic pressure.
- the support beam 30 is to securely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lifted at the same time while installing a gear box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f a steel structure or concret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scale of the water gate. .
- the support beam 30 is formed with a hole to pass through the rack bar 1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rack bar 10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upport beam 30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en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or Install on both sides.
- the gear box 200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eam 30, as shown in Figures 1 to 3 to lift while holding the rack bar 100, the inside of the rack bar for lifting A plurality of gears are combined to reduce the force, while a power connection 210 is formed at the front for driving the combination of gears.
- the power connecting means 2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or hexagonal projection or groove.
- the gear box 200 supports the portable handle 300a or the portable actuator 30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2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adle 220. At this time, the cradle 2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the upper portion to open the portable handle 300a or the actuator 300b to the upper portion, or in the form of the upper and lower closed to fit in the front.
- the cradle 220 is formed to be driven from the front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shaft coupling with the gear box 200 as shown in Figure 3 or 5 and 6 as an embodiment. That is, the cradle 200 is used to lower the front when in use, and to prevent damage by leaving the upper side of the gear box 200 when not in use. To this end, the gearbox 200 and the holder 220 may be coupled to the shaft from the side or the top.
- the lower portion of the gear box 200 as shown in Figure 5 and 6 fixed ring 230 is formed, the cradle 220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gear box 200 in the fixed ring A clasp 240 for hanging on is formed.
- the fixing ring 230 and the clasp 240 may be fixed by pinching.
- the holder 2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frame 250 for fastening and fixing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actuator 300b is mounted as shown in FIG.
- the portable actuator 300b can be more stably fixed.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r shape of the portable actuator 300b varies, it is more effectiv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handle 300a or a portable actuator 300b for connecting to the power connection end 210 of the gear box 200.
- the portable handle 300a is for turning directly by a human force, an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in the form of a crank. In this way, in applying the portable handle 300a, the force for elev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by the gear box 200 is reduced.
- FIG.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separate jig is formed to withst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rtable actuato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feature of forming a jig to prevent rotation along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rtable actuator.
- the jig base 310 has a fastening frame 250 formed with a pad 260 to fix the portable actuator 300b and a control bolt 270 having a handle formed to move the fastening frame at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 the support 290 is formed with the seating groove 280 is formed.
- the ji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frame 250 is fitted to the seating groove 280.
- 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venient to enter and detach, and is fixed so as not to turn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actuator is characterized by the operator can work conveni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개폐판의 상단으로부터 지지 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바; 및 상기 지지 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 바를 잡아주면서 승강시키도록 하되, 상기 랙 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을 줄이도록 다수의 기어로 조합되는 한편, 전방에는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 접속단이 형성된 기어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수문의 설비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문 승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 방조제, 저수지 또는 하천 등에는 수량 조절이나 역류 방지 등 여러 목적을 위해 수문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8342호(2004년04월28일 공고)에 기재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 개폐판; 및 승강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장치는 개폐판의 상단에 설치되는 스크루 바와 상기 스크루 바에 맞물려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핸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승강장치로서 액추에이터가 적용된 경우 설비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고, 핸들이 적용된 경우 수문의 개폐를 사람의 힘으로 직접 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수문의 설비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가되지 않는 사람이 수문을 개페하는 것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수문을 개폐할 수 있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수문의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면서 수문을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 보;를 포함하는 수문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바; 및 상기 지지 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 바를 잡아주면서 승강시키도록 하되, 상기 랙 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을 줄이도록 다수의 기어로 조합되는 한편, 전방에는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 접속단이 형성된 기어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 박스의 동력 접속단에 연결하기 위한 휴대용 핸들 또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휴대용 핸들 또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동력 접속단에 연결한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기어 박스와 축 결합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제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어 박스의 하부에는 고정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기어 박스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고리에 걸기 위한 걸쇠;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조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문 개폐장치에 의하면 수문의 설비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과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 기계장치등을 설치하여 비용이 증가 됨과 동시에 부식과 노후화가 진행되어 유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신속하게 수문을 개폐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문 승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문 승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문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문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문 승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용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대를 형성한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문 승강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의 상단으로부터 지지 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바(100); 및 상기 지지 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 바를 잡아주면서 승강시키도록 하되, 상기 랙 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을 줄이도록 다수의 기어로 조합되는 한편, 전방에는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 접속단(210)이 형성된 기어 박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상기 수문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10),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면서 수문을 개폐하는 개폐판(20)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 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 프레임(10)은 개폐판(20)이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안내할 뿐 아니라 개폐판이 수압에 의해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준다. 또한, 상기 지지 보(30)는 후술하는 기어 박스를 설치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들어올린 개폐판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문의 형태나 규모 등을 감안하여 철재 구조물로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보(30)는 후술하는 랙 바(100)를 관통하여 설치하도록 홀이 형성된다.
상기 랙 바(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2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보(30)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폐판(20)의 중앙 또는 양측에 설치한다.
상기 기어 박스(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보(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 바(100)를 잡아주면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랙 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을 줄이도록 다수의 기어가 조합되는 한편, 전방에는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 접속단(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 접속수단(210)은 사각 또는 육각 돌기나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어 박스(200)는 실시 예로서 도 3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휴대용 핸들(300a) 또는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를 동력 접속단(210)에 연결한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거치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220)는 휴대용 핸들(300a) 또는 액추에이터(300b)를 상부에 올려놓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거나, 전방에서 끼우도록 상하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20)는 실시 예로서 도 3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박스(200)와 축 결합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제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거치대(200)는 사용시 전방으로 내려서 사용하고 비 사용시 기어 박스(200)의 상측으로 제처 둠으로써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어박스(200)와 거치대(220)는 측면 또는 상부에서 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 박스(200)의 하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고리(230)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220)는 기어 박스(20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고리에 걸기 위한 걸쇠(2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 고리(230)와 걸쇠(24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치대에 휴대용 핸들 또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받친 상태로 작업시 거치대가 위로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고리(230)와 걸쇠(240)는 핀으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를 거치한 상태에서 조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틀(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조임틀(2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특히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의 크기나 형태가 다양할 경우 더욱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박스(200)의 동력 접속단(210)에 연결하기 위한 휴대용 핸들(300a) 또는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핸들(300a)은 사람의 힘으로 직접 돌리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형태의 핸들은 물론 크랭크 형태의 핸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휴대용 핸들(300a)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200)에 의해 개폐판(20)을 승강시키는 힘이 절감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는 전동 드릴이나 전동 렌치와 같이 상기 동력 접속단(2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자체 동력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으로서 내장된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때,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면 더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용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대를 형성한 상태도이며, 휴대용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으로 같이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그대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지그대(310)는 휴대용 액추에이터(300b)를 고정하도록 패드(260)가 형성된 조임틀(250)과 상기 조임틀을 이동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조절볼트(270)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곽에 안착홈(280)이 형성된 지지대(290)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지그대의 안착홈(280)에 조임틀(250)이 끼워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함으로 장탈착이 편리하고, 휴대용 액추에이터의 회전시 같이 따라 돌지 않도록 고정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수문의 설비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과 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
- 수문의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면서 수문을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 보;를 포함하는 수문에 있어서,상기 개폐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랙 바; 및상기 지지 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 바를 잡아주면서 승강시키도록 하되, 상기 랙 바를 승강시키기 위한 힘을 줄이도록 다수의 기어로 조합되는 한편, 전방에는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 접속단이 형성된 기어 박스;상기 기어 박스의 동력 접속단에 연결하기 위한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액추에이터는휴대용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는,상기 휴대용 핸들 또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동력 접속단에 연결한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거치대;상기 거치대는 기어 박스와 축 결합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상측으로 제치도록 형성된 것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의 하부에는 고정 고리;가 형성되고,상기 거치대는 기어 박스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고리에 걸기 위한 걸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휴대용 액추에이터를 고정하도록 패드가 형성된 조임틀과, 상기 조임틀이 이동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조절볼트(270)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곽에 안착홈(280)이 형성된 지지대(290)를 포함한 지그대(310);상기 지그대의 안착홈(280)에 조임틀(250)이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휴대용 액추에이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조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6133 | 2017-05-29 | ||
KR1020170066133A KR101817080B1 (ko) | 2017-05-29 | 2017-05-29 |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221899A1 true WO2018221899A1 (ko) | 2018-12-06 |
Family
ID=6099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8/005999 WO2018221899A1 (ko) | 2017-05-29 | 2018-05-28 |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7080B1 (ko) |
WO (1) | WO201822189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8463A (zh) * | 2019-06-14 | 2019-09-20 | 赵性昌 | 一种具有快速拆装功能的引水闸用便携式闸门启闭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9491B1 (ko) * | 2018-06-11 | 2019-07-04 | (주)대도엔텍 |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수문 승강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4234A (ja) * | 1994-08-31 | 1996-03-19 | Ootsubo Tekko:Kk | 制水用ゲートの扉体操作ハンドルの携帯式回転装置 |
KR20000017377U (ko) * | 1999-02-22 | 2000-09-25 | 이청규 | 수문권양기의 수문 개폐레버와 구동샤프트의 결합구조 |
KR20150003683U (ko) * | 2014-03-31 | 2015-10-08 | 김창윤 | 와이어로프용 조이너 |
JP2016160650A (ja) * | 2015-03-02 | 2016-09-05 | 一身 谷 | 水門開閉器の補助駆動装置 |
KR101670646B1 (ko) * | 2016-01-19 | 2016-12-02 | (주)세창스틸 | 스탠션 바 |
-
2017
- 2017-05-29 KR KR1020170066133A patent/KR1018170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5-28 WO PCT/KR2018/005999 patent/WO201822189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4234A (ja) * | 1994-08-31 | 1996-03-19 | Ootsubo Tekko:Kk | 制水用ゲートの扉体操作ハンドルの携帯式回転装置 |
KR20000017377U (ko) * | 1999-02-22 | 2000-09-25 | 이청규 | 수문권양기의 수문 개폐레버와 구동샤프트의 결합구조 |
KR20150003683U (ko) * | 2014-03-31 | 2015-10-08 | 김창윤 | 와이어로프용 조이너 |
JP2016160650A (ja) * | 2015-03-02 | 2016-09-05 | 一身 谷 | 水門開閉器の補助駆動装置 |
KR101670646B1 (ko) * | 2016-01-19 | 2016-12-02 | (주)세창스틸 | 스탠션 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8463A (zh) * | 2019-06-14 | 2019-09-20 | 赵性昌 | 一种具有快速拆装功能的引水闸用便携式闸门启闭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7080B1 (ko) | 2018-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221899A1 (ko) | 휴대용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능성 수문 승강장치 | |
CN208829110U (zh) | 一种开启电缆井盖板工具 | |
CN204369372U (zh) | 一种电梯轿厢 | |
CN115258899A (zh) | 一种高速公路桥梁箱梁吊装架设定位装置 | |
CN112027933A (zh) | 一种建筑施工用的多功能起吊装置 | |
CN202645024U (zh) | 钢结构檩条安装提升装置 | |
CN206126601U (zh) | 一种具有伸缩式液压翻板门的施工升降机 | |
CN206299134U (zh) | 一种无配重顶柱式手抓型墙板安装机 | |
CN106121259A (zh) | 内嵌整体式外墙板的吊装装置及其吊装方法 | |
CN203006660U (zh) | 一种电梯安全部件检测设备专用井口活动盖板装置 | |
CN216446435U (zh) | 一种人防工程防护门的安装辅助装置 | |
CN217076693U (zh) | 一种建筑板材吊装装置 | |
CN212053828U (zh) | 一种钢结构工程构件转动装置 | |
CN201635227U (zh) | 用于安装彩钢板的反吊支架 | |
CN210418880U (zh) | 矿山竖井井筒内楔形罐道安装取点装置 | |
CN105347276A (zh) | 电力用电缆沟盖板起放装置 | |
CN217948973U (zh) | 一种水利工程用启闭机 | |
CN206066285U (zh) | 地下锚索切割夹持具 | |
CN205557851U (zh) | 现场组装式复合保温合成墙板用连接装置 | |
CN219886713U (zh) | 一种水利工程渠道闸门结构 | |
CN212000933U (zh) | 一种水利工程全自动启闭机 | |
CN212983794U (zh) | 一种翻转卡爪式平板闸门锁定装置 | |
CN220502436U (zh) | 一种多用途吊具 | |
CN211256905U (zh) | 一种方便组装的水利水电闸门提升装置 | |
CN219915177U (zh) | 一种建筑工程的拉力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8810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8810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