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6911A1 -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6911A1
WO2018216911A1 PCT/KR2018/004754 KR2018004754W WO2018216911A1 WO 2018216911 A1 WO2018216911 A1 WO 2018216911A1 KR 2018004754 W KR2018004754 W KR 2018004754W WO 2018216911 A1 WO2018216911 A1 WO 20182169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put
password
digit
ti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47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빈
Original Assignee
김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빈 filed Critical 김유빈
Publication of WO20182169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69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word input system.
  • Portable auxiliary storage devices such as USB memory or an external hard drive, are simple and portable storage devices, and are generally used by apply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 USB universal serial bus
  • the portable auxiliary memory device may use a user ID, a password, an RF card, or the like as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 the portable auxiliary memory device may be completely destroyed.
  • the RF card has a problem that a security problem occurs when renting or theft to others.
  • a Bluetooth function is added to the auxiliary memory device to allow a user to input a password through an application of a mobile phone, or to use a biometric to authenticate a user.
  •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ecurity of user authentication, it is often lost in the market due to the high cost in manufacturing.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8601 (name of the invention: USB security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having a secure password input and output function) is a USB input unit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n output unit for checking the input password.
  • a technology that allows secure password entry by embedding in a security device is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word input system, comprising: a password for security based on information of a user's input number inputted through one input unit, information on input time, information on time intervals between inputs, and information on input waiting time; To provide a password input system that can be entered and set.
  • the password input system by using only one input unit as an input device, it is easy to install on a small size device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software, and minimizes the cost so that the actual application and applic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
  • a password input system having a security setting function is one input unit for the user's inpu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urrent status and results, It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the security setting function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 the processor executes the program, upon receiving the input of the pass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if the input password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the set security is released, but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perform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to the input unit, information on input time, information on time intervals between inputs, and information on input waiting time.
  • the output unit may output an event informing the user of a password input request.
  • the processor initializes the input table and the count counter stored in the memory, and increments the count counter as the input unit receives the input from the user, but uses the count counter as a pointer.
  • the time interval between successive inputs may be recorded in the input table, and as the input waiting time elapse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completed and compared with the stored password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is consistent.
  • the processor extracts the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of the higher order of the time interval from the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stored in the input table by the number of digits smaller than the password to set the separation point of each digit of the password,
  • the counting counter may be divided based on the splitting point, and the number of counting counters separated based on the splitting point may be summed to sequentially recognize the input of each digit of the password.
  • the output unit is one or more LEDs
  • the processor initializes the count counter and the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and then increments the count counter within a preset first tim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 the count counter is increased to correspond to the input, and when the input is received again, the count counter is increased within the preset first time after the preset second time range elapses.
  • the digit counter is incremen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put, and the digit counter is incremented together.
  • the processor may output an event for guiding completion of the input within the set first time.
  • the set second time may be set to the same value as the first time.
  • the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may be a number of times of inputting the input unit within the first time.
  • the processor may release the set security only when authentication of only the master password is successful.
  •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states of the connection connection state, the first time, the second time range, the usable state, and the state when the password input is an error in different display methods.
  • the output unit is one or more LEDs
  • the processor initializes the count counter and the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and then increments the count counter within a preset first tim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 the count counter is incremented and the timer is initialized and then waits for an input to increase the count counter within the next first time, but if the first time is exceeded, the seat counter is incremented and the first time is exceeded.
  • the count counter is incremented until the digit counter is incremented, and the input is completed by the count counter corresponding to each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as the input is completed.
  • Match password by comparing it with the stored password A it can be determined.
  • the processor when the password is confirmed and becomes available, upon receiving an input for starting the setting of the passwor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the processor stores the input password in the same manner as receiving the input of the password. It can be stored as a new password instead of a passwor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ncrypt or decrypt information stored by using a password as an encryption key or by creating an extended encryption key using a password for additional protection of the stored data.
  • the input unit is in the form of a button switch
  • the output unit includes a display for outputting one or more characters or images, wherein the display corresponds to a charac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button switch;
  • An image is output, and when the processor receives an input for designating the output character or image a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from the user, the processor outputs a character or image for designating the second digit of the password through the display.
  • the processor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or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git of the designated password is matched with the stored password.
  • the input unit is in the form of a button switch and the output unit includes a display for outputting one or more characters or images, wherein the display sequentially outputs the characters or images in a predetermined order.
  • the processor receives an input for designating a character or image currently output from the user a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the processor designates the currently output character or image a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and then re-enters the character or image in a predetermined order.
  • the processor displays each digit of the designated password as a blind character on the display, and outputs the first digit as the text or image while waiting to receive an input specifying the first digit from a user.
  • the remaining digits except for one digit can be indicated by blind character.
  • the passw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a portable auxiliary memory device or a door lock devic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assword in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assword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assword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when a display is provided.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when a display is provided.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assword inpu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assword input system capable of inputting and setting a password for an application device based on information of a user's number of times of input, information of an input time, information on a time interval between inputs, and information on an input waiting time ( 100).
  • Password input system 100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door lock devices such as smart devices, doors and vehicles, as well as portable auxiliary storage devices such as USB.
  • the password input system may interoperate with components such as an internal processor such as a portable auxiliary memory device or a door lock device, memory, and the like.
  • only one password may be basically set on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auxiliary memory device, a plurality of passwords may be set for each file or folder to access each of them. You may be asked to enter a password.
  •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may exist in the factory preset master password in addition to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even if the user forgets the password set by the master password Password initialization or security release may be possible.
  •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 memory 130, and a processor 140.
  •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 input for inputting or setting a password.
  • the input unit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uch as a touch type such as a button type, a pressure sensitive type, or a capacitive type, but will be described below as being formed as a button type.
  • the input unit 110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as a single input unit for low cost and ease of application to various devices.
  • the output unit 120 outputs a result or current state of the user's input.
  • the output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LEDs to output various display colors such as red, green, orange, and white through one LED or a plurality of LEDs.
  • the output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isplay, such as a separate LCD as well as the LED as described below, or may be configured with the LED or replace the LED.
  • the memory 130 stores a program for a security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mory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act flash (CF) card, a secure digital (SD) card, a memory stick, a solid-state drive (SSD), and a micro.
  • Portable such as NAND flash memory such as SD cards,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 drives (HDDs), and optical disc drives such as CD-ROMs, DVD-ROMs, etc. As long a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processor 140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0, and in some cases, such as a portable auxiliary memory device, the processor 140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0 as a connection connection with a user device is established. You can also
  • the user devic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 desktop and a laptop, as well as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 the user device is connected to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to establish a connection. It may include any type of device capable of reading / writing.
  • the outputter 120 When the processor 140 of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executes a program, the outputter 120 outputs an event informing of a password input request.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 always turns on the first color (g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40 or by default.
  • the user inputs a password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the processor 140 receiving the input information receiv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information on input time, information on time intervals between inputs, and waits for input. Based on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time, the input password is compared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to determine whether a match is found, and if the match is determined, the set security is releas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input tim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input time information from the user as well as the input tim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input time in the password.
  • the input wait tim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cognized as an input only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input and receiving the next input, is considered as an input of a password. Therefo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effect that a high security can be expected at the same time while adopting a simple configuration, such as a conventional simple button type, touch type.
  •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assword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put table and a count counter are stored in the memory 130.
  • the count counter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to the input unit 110,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input is recorded in the input table.
  • the processor 140 initializes the input table and the count counter stored in the memory 130 automatically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or upon recognizing that a password input from the user to the input unit 110 is started, and output unit 120. Outputs an event indicating that input is possible.
  • the processor 140 increments the count counter once each time it confirms that an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records the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between two consecutive inputs in the input table using the count counter as a pointer. do.
  •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that the input of the password has been completed, and compares the stored password with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 the processor 140 extracts the time interval information of the higher order of time intervals among the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s stored in the input table by one digit smaller than the password, and sets it as a split point of each digit of the password.
  • the counting counter is divided based on the splitting point, and the number of counting counters separated based on the splitting point can be summed to sequentially recognize the counting counter as an input of each digit of the password.
  • the processor 140 increments the count counter by 18 times (I1 to I18), and tim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inputs for a total of 18 inputs (17 in total).
  • Set the count counter as a pointer (time interval between I1 and I2, time interval between I2 and I3, ..., time interval between I17 and I18) and record it in the input table.
  • the processor 140 performs 'W1', 'time interval information of higher order time intervals' among the information of time intervals stored in the input table by '3' which is one smaller than '4 digits', which is the number of passwords. Extract W2 'and' W3 'and set them as split points for each digit of the password.
  • the processor 140 separates the counters based on the respective split points' W1 ',' W2 'and' W3 ', and as a result,' I1 ⁇ I3 ',' I4 ⁇ I5 ',' I6 ⁇ I11 ',' It is divided into I12 ⁇ I18 '.
  • the processor 140 sequentially adds the count counters for the separated time based on the split point and sequentially corresponds to the input of each digit of the password. Accordingly, '3', '2', '6', and '7' respectively. 'This may correspond to the entry of each digit of the password.
  • the next number waits for a while, but only to enter again until the input wait time (WT), the number of passwords and
  • WT input wait time
  • the password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user input step by step.
  • the processor 140 initializes the count counter and the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and then receives the input to increase the count counter within a preset first tim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crement the counter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may output an event (green blinking of the LED) to guide the completion of the input within the first time through the output unit 140.
  • the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er may be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switch is input within the first time.
  • the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may be the number of touches or the number counted by the touched time, and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various input means.
  • the processor 140 sends the count counter to the input. Increase to match.
  • the set second time may be set to the same value as the first time.
  • the processor 140 compares the password inputted by the count counter corresponding to each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with a preset and stored passwor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
  • the user inputs' 3, which is a coefficient of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through the input unit 110 while the green LED is blinking.
  • the button switch is pressed 3 times within the first time, 3 seconds, and the processor 140 correspondingly increases the first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by 1 and the count counter by 3.
  • the red blinking is changed to flashing green to allow the user to know that the next password is being input.
  • the value 3 of the counter is stored in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digit counter value 1.
  • the user presses the button switch twice within three seconds of the first time to input '2', the second digit coefficient of the password,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the processor 140 correspondingly
  • the second digit counter is incremented by one and the count counter is increased by two.
  • the value 2 of the counter counter corresponds to the digit counter value 2 of the password. It is stored in the second digit. This method can be repeated to enter and determine the passwor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password input using only one first time instead of separately configuring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 the processor 140 may recognize the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as '1' as a one-time input before the first time elapses. If the first time elapses, the processor 140 may recognize the seat counter as '1'. Can be increased by
  • the processor 140 increases the count counter by '1'. At this time, the processor 140 initializes the timer afte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by '1', and waits for an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within the first time.
  •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3' a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P1), the user inputs a total of three times so that the next input (In2) does not pass the first time after the first input (In1). In3), the digit count is increased after the first time T1 has elapsed, and the subsequent input is recognized as the input of the second digit of the password.
  •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2' as the second digit of the password (P2), the user inputs the first time (In4) within the first time, and the first time within the first time while the timer is initialized at the same time as the input. What is necessary is to make 1st time T2 pass after time input In5.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not only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but also the time range and time exceeded when the button is input, and thus, higher security can be expected.
  • the first time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factory initialization stat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by the user.
  • the processor 140 flashes green to indicate that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0 matches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Changes to green lighting status and outputs the security setting.
  • the processor 140 controls to continue to output the green flashing state.
  • the processor 140 may determine the counter and the counter of the password.
  • the counter may be initialized and the green LED may be output immediately after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is turned on, for example, in order to notify the user that the password should be input again.
  • the processor 140 may release the set security only upon successful authentication of the master password.
  •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that the password inputted for four times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password, the processor 140 has only one chance of entering the password.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the LED through the output unit 120 is blinking orange to be output.
  • the processor 140 may enhance the security so that the security set only with the master password is released according to a preset option. .
  • the output unit 120 is configured to output a variety of display colors, the connection connection state with the user device, the first time of receiving the password, the next position of the password
  • the second time range for preparing the input, the usable state as the password is input successfully and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password input is errored multiple times may be output in different display methods.
  •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can be set to change the password set by default at the factory to the password desired by the user.
  • the processor 140 when the connec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device is established, when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is turned on green, and receives an input for starting setting of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ter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processor 140 outputs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to change from the green lighting state to the orange blinking state.
  • the processor 140 initializes the count counter and the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and then, upon receiving an input for increasing the count counter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processor 140 corresponds to the count counter. Increase as much as possible.
  • the processor 140 When a digit is input, when the input of receiving a counter that increments the counter after the waiting time elapses is received, the counter is increased to correspond to the input but the counter is also increased.
  • the output unit 120 may cause the LED to blink in red and then in orange again in standby time each time a digit is input.
  • the password can be completed only after receiving all inputs that meet the preset number of digits, for example 4 digits. If no input is received, the setting can be completed.
  • the processor 140 replaces the password inputted by the count counter corresponding to each digit counter of the password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and stores it as a new password. Output the status to be changed.
  • the processor 140 may encrypt or decrypt the stored data by using the password as an encryption key or by creating an extended encryption key using the password for higher security.
  • the output unit 120 further includes a display such as an LCD in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put unit 120 of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for outputting one or more characters or images.
  •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may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such that the LED is implemented together in a display such as an LCD when the size of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is very small, such as USB,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only one character is displayed, such as 7-segment,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images.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when a display is provided.
  •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is fixed to '0'. Then, if the user needs to enter '942018' as the password, the letter or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imes when the button switch is pressed, for example, '9'.
  • processor 140 When the processor 140 receives an input (for example, a long press of a button) designating a character or an image output from the user as the first digit, a signal (for example, a text) confirming that the setting of the first digit is completed. Or the image is flashing and the LED flashes red and then changes back to green. Processor 140 then again displays a fixed "0" on the display, and outputs a character or image for specifying the second digit of the password.
  • an input for example, a long press of a button
  • a signal for example, a text
  • the processor 140 compares a character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git of the designated password with a previously stored passwor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If the passwords match, the display is turned off while the LED is lit in green, and if the passwords are not matched, the above-described state can be output.
  • the setting for changing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turns green, and the user inputs an input for starting setting of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tern of a button switch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 the processor 140 Upon reception, the processor 140 outputs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to change from a green lit state to an orange blinking state.
  • the user While checking the display, the user enters the desired coefficient for every digit, presses the button switch for more than 3 seconds, or waits for the specified time, and the LED turns red momentarily and then flashes orange again. .
  • the processor 140 immediately before the final setting of the password, when the input for all the digits is completed, the processor 140 shows the password for every digit input through the display at 1 second intervals before the user has set the password before the final setting of the password. Additional steps can be provided to confirm.
  • the following second example will also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play is configured to output only one digit number or letter.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password that the user must input is '942018'.
  • characters or image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are continuously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 '0' is not fix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but is increased from '0' to '9' in increments of 1 second.
  • characters such as images or alphabets may be displayed continuously in a predetermined order.
  • the processor 140 When the processor 140 receives an input for designating the currently output text or image a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from the user, the processor 140 designates the currently output text or image as the first digit of the password, and then again performs the text or image in a predetermined order. Outputs continuously and waits to receive an input specifying the second digit of the password.
  • the processor 140 again.
  • the original sequence '0' is printed on the display, and the LED is output in red and then flashes green again.
  • the processor 140 compares the character or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git of the designated password with the stored password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 the LED when the passwords match, the LED is changed from the green blinking state to the green steady lighting state, the display is turned off, and in the case of inconsistency,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may be output.
  • the setting for changing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is similar to the password input step.
  •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turns green, and the user inputs an input for starting setting of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tern of a button switch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 the processor 140 Upon reception, the processor 140 outputs the LED of the output unit 120 to change from a green lit state to an orange blinking state.
  • the processor 140 may blink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image or flash the red LED immediately afte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image to indicate that the first digit is designated.
  • the text or image is output on the display in a predetermined order again, and the password is set for all digits in the above manner.
  • the LED changes from the blinking orange to the steady green lighting,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password change setting is completed.
  • the processor 140 immediately before the final setting of the password, when the input for all the digits is completed, the processor 140 shows the password for every digit input through the display at 1 second intervals before the user has set the password before the final setting of the password. Additional steps can be provided to confirm.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when a display is provided.
  • the display is assumed to be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images.
  • the password that the user must input is '942018'.
  • each digit of the designated password may be displayed as a blind character or an image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 the blind character of the password or the first digit of the image is displayed as blinking.
  • characters or image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are continuously output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as shown in the second example.
  • the second digit of the next password is displayed.
  • an 'OK'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password has been matched with the stored password is output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display.
  • the user when inputting a character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git of the password to each digit, the user temporarily checks the input password so that the user can input more precisely. After the text or image is printed, the next blind text or image may be flickered again.
  • the processor 140 may display the current password setting on the display of the output unit 120.
  • a display M is displayed to indicate that it is in progress.
  • the user confirms that the characters or images continuously output in a predetermined order are output on the display, and when the characters or images arrive in the order in which they want to input, the user inputs the characters or images to the first digit through the input unit 110. Specify.
  • the first character of the blind character or image of the password to be input is displayed as blinking, and the rest is displayed as blind.
  • the character or image inputt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lind character is temporarily output, and then the blind character or image of the next digit may be output again.
  • the characters or images of the previously completed password are displayed in order, for example, at 1 second intervals. Allows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password entered so far or finally was entered correctly.
  • FIG. 1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form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perform predetermined roles. can do.
  •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 a component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sub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Components and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os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 a high security can be expected only by the password input system 100 itself without a separate program or application is installed on a computer at a low c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설정 기능을 구비하는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하나의 입력부, 현재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보안 설정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를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키되,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은 상기 입력부로의 입력 횟수의 정보, 입력 시간의 정보, 입력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입력 대기 시간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SB 메모리나 외장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휴대용 보조기억장치는 이동성이 간편하고 휴대성이 편리한 저장장치로서,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휴대용 보조기억장치는 사용자 인증방법으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 RF 카드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인증방법은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유출될 경우 보안성의 기능이 완전히 소멸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RF 카드의 경우 타인에게 대여 또는 도난시 보안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USB 보안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프로그램 형태는 반드시 이용하고자 하는 컴퓨터 상에 해당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만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조기억장치에 블루투스 기능을 추가하여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거나, 생체인식을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방법 등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의 경우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제조상에 있어 많은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서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601호(발명의 명칭: 안전한 비밀번호 입출력기능을 가진 USB 보안장치 및 인증방법)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부과 입력된 비밀번호의 확인을 위한 출력부를 USB보안장치에 내장하여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횟수의 정보, 입력 시간의 정보, 입력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입력 대기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안을 위한 패스워드의 입력 및 설정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은 하나의 입력부만을 입력장치로 사용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장치에 대한 장착이 간편하고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비용도 최소화시켜 쉽게 실제 응용 및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설정 기능을 구비하는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하나의 입력부, 현재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보안 설정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를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키되,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은 상기 입력부로의 입력 횟수의 정보, 입력 시간의 정보, 입력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입력 대기 시간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 요청을 알리는 이벤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테이블 및 계수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되, 상기 계수 카운터를 포인터로 이용하여 연속되는 입력 간의 시간 간격을 상기 입력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입력 대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시간 간격의 정보 중 시간 간격이 큰 상위 순서의 시간 간격의 정보를 상기 패스워드보다 하나 작은 자리 수만큼 추출하여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분리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리점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 카운터를 분리시며, 상기 분리점에 기초하여 분리된 계수 카운터의 개수를 합산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LED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계수 카운터를 상기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고, 기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가 경과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다시 수신한 경우, 상기 계수 카운터를 상기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되 상기 자리 카운터를 함께 증가시키며,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수 카운터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설정된 제 1 시간 내 입력을 완료할 것을 안내하는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제 2 시간은 제 1 시간과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은 상기 입력부를 상기 제 1 시간 내에 입력한 횟수일 수 있다.
상기 패스워드 입력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하여 오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마스터 패스워드만의 인증 성공시에만 상기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결 접속 상태, 상기 제 1 시간, 상기 제 2 시간 범위, 상기 사용 가능한 상태 및 상기 패스워드 입력이 오류일 때, 이들의 상태를 각각 상이한 표시 방법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LED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다음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대기하되, 상기 제 1 시간이 초과될 경우 상기 자리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시간이 초과되기 전까지 증가된 계수 카운터를 상기 자리 카운터가 증가되기 이전 자리의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수 카운터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가 확인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의 설정 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에 대체하여 새로운 패스워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된 데이터의 추가적인 보호를 위하여 패스워드를 암호키로 이용하거나 패스워드를 이용한 확장 암호키를 만들어 저장되는 정보를 암호화시키거나 복호화 시킬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버튼 스위치 형태이고,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버튼 스위치를 입력한 횟수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패스워드의 제 2 자리를 지정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며,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버튼 스위치 형태이고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미리 지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연속하여 출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한 다음 다시 미리 지정된 순서대로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를 연속하여 출력시켜 상기 패스워드의 제 2 자리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를 블라인드 문자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자리를 지정하는 입력의 수신을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자리를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 1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자리는 블라인드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시스템은 휴대용 보조기억장치 또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컴퓨터 상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도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그 자체만으로 높은 보안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로 하나의 스위치만을 사용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장치, 예를 들어 USB 보조기억장치 등에 대한 장착이 간편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적용이 가능한바, 보안 설정을 요구하는 다양한 제품에 대하여 실제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 횟수의 정보, 입력 시간의 정보, 입력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입력 대기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 장치에 대하여 패스워드의 입력 및 설정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은 USB와 같은 휴대용 보조기억장치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 현관 및 차량 등의 도어락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은 휴대용 보조기억장치 또는 도어락 장치 등의 내부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구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 구성들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스워드가 기본적으로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 상에 하나만이 설정될 수도 있으며, 휴대용 보조기억장치 등의 경우에는 각 파일 또는 폴더 별로 복수 개의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각각의 접근 시도에 따라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패스워드 외에 출고시 미리 설정된 마스터 패스워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패스워드를 잊어 버리는 경우에도 마스터 패스워드를 통해 패스워드 초기화 또는 보안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패스워드의 입력 또는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버튼 타입, 감압식, 정전식 등의 터치 타입 등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하에서는 버튼 타입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적은 비용 및 다양한 장치로의 적용 용이성을 위해 하나의 입력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결과 또는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되어 적색, 녹색, 주황, 흰색 등 다양한 표시색상을 하나의 LED 또는 복수 개의 LED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LED 뿐만 아니라 별도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구비되거나, LED와 함께 또는 LED를 대체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1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설정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 휴대용으로 구현 가능한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휴대용 보조기억장치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는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과 연결 접속이 설정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모든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에 대하여, 출력부(12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및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의 출력부(12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즉 하나 이상의 LED만으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40)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면, 출력부(120)는 패스워드 입력 요청을 알리는 이벤트를 출력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제 1 색상(녹색)을 상시 점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접속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프로세서(140)는 입력 횟수의 정보, 입력 시간의 정보, 입력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입력 대기 시간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입력된 패스워드를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 일치할 경우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횟수 정보뿐만 아니라 어느 시간 범위 내에 입력을 해야 되는지를 고려하는 입력 시간 정보를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함께 고려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입력 후 일정 시간동안 대기한 후 다음 입력을 수신해야 입력으로 인식하는 정보인 입력 대기 시간 정보까지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함께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 단순한 버튼식, 터치식 등의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면서 동시에 높은 보안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130)에 입력 테이블 및 계수 카운터가 저장된다. 이때, 계수 카운터는 입력부(110)로의 입력 횟수를 계수하며, 입력 테이블에는 입력 간의 시간 간격의 정보가 기록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연결된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0)로의 패스워드 입력이 시작됨을 인식함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된 입력 테이블과 계수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고, 출력부(120)로 입력이 가능함을 알리는 이벤트를 출력시킨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이 수신됨을 확인할 때마다 계수 카운터를 1회씩 증가시키며, 연속되는 두 개의 입력 간의 시간 간격의 정보를 계수 카운터를 포인터로 이용하여 입력 테이블에 기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입력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입력 테이블에 저장된 시간 간격의 정보 중 시간 간격이 큰 상위 순서의 시간 간격 정보를 패스워드보다 하나 작은 자리 수만큼 추출하여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분리점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분리점에 기초하여 계수 카운터를 분리시키며, 분리점에 기초하여 분리된 계수 카운터의 개수를 합산하여 순차적으로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기 저장된 패스워드가 ‘3267’일 경우, 사용자는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세 번은 연속적으로 누르고(I1~I3) 잠시 대기하며(W1), 그 다음 두 번은 연속적으로 누르고(I4~I5) 잠시 대기하며(W2), 그 다음 여섯 번은 연속적으로 누르고(I6~I11) 잠시 대기하며(W3), 그 다음 일곱 번을 연속적으로 누르고(I12~I18) 입력 대기 시간(WT)만큼 기다린다.
입력부(110)를 통해 총 18회만큼 입력됨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18회만큼 계수 카운터를 각각 증가시키고(I1~I18), 총 18회 입력에 대한 입력 간의 시간 간격 정보(총 17개)를 상기 계수 카운터를 포인터(I1~I2 사이 시간간격, I2~I3 사이 시간간격,…,I17~I18사이 시간간격)로 설정하여 입력 테이블에 기록한다.
그 다음, 프로세서(140)는 패스워드의 자리 수인 ‘4자리’보다 하나 작은 ‘3개’만큼, 입력 테이블에 저장된 시간 간격의 정보 중 시간 간격이 큰 상위 순서의 시간 간격 정보인 ‘W1’, ‘W2’, ‘W3’를 추출하여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분리점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각 분리점 ‘W1’, ‘W2’, ‘W3’을 기준으로 계수 카운터를 분리시키며, 그 결과 ‘I1~I3’, ‘I4~I5’, ‘I6~I11’, ‘I12~I18’로 분리된다.
프로세서(140)는 분리점에 기초하여 분리된 시간 동안의 계수 카운터 개수를 합산하여 순차적으로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입력에 대응시키며, 이에 따라 각각 ‘3’, ‘2’, ‘6’, ‘7’이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입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숫자를 입력할 때 숫자만큼 연속적으로 입력하고, 다음 숫자는 잠시 대기하되 입력 대기 시간(WT)이 도과하기 전까지만 다시 입력하면 되므로, 패스워드의 숫자와 숫자 사이의 공백에 대한 시간 정보로 입력 대기 시간(WT)의 정보만을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는 용이함과 동시에 높은 보안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결 접속이 설정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40)는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계수 카운터를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킨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 1 시간 내에 입력을 완료할 것을 안내하는 이벤트(LED의 녹색점멸)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가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성된 경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은 제 1 시간 내에 버튼 스위치를 입력한 횟수일 수 있다. 그밖에 터치패드 형태의 입력부(110)인 경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은 터치한 횟수 또는 터치한 시간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비됨에 따라 다양하게 셋팅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의 입력이 중단되고 제 2 시간 범위가 경과한 후 자리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다시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계수 카운터를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킨다. 이때, 설정된 제 2 시간은 제 1 시간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패스워드의 각 자리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수 카운터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시간이 3초 제2시간이 1초이고, 패스워드가 ‘3267’이라 가정하면, 사용자는 녹색 LED가 점멸하는 동안 입력부(110)를 통해 패스워드의 첫번째 자리의 계수인 ‘3’을 입력하기 위하여 버튼 스위치를 제 1 시간인 3초 내에 3번을 누르게 되며, 프로세서(140)는 이에 대응하여 패스워드의 첫번째 자리 카운터를 1 증가시키고 계수 카운터를3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그 다음, 제 2 시간 범위인 1초 동안 적색으로 점멸되며, 제 2 시간이 경과하면 적색 점멸이 녹색 점멸로 변경되어 다음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중임을 사용자로 하여금 알 수 있게끔 한다. 이때, 상기 계수카운터의 값 3은 자리 카운터값 1에 대응하여 패스워드의 첫번째 자리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패스워드의 두번째 자리의 계수인 ‘2’를 입력하기 위하여 버튼 스위치를 제 1 시간인 3초 내에 2번 누르게 되고, 프로세서(140)는 이에 대응하여 패스워드의 두번째 자리 카운터를 1 증가시키고, 계수 카운터를 2로 증가시키게 된다. 이후 제1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계수카운터의 값 2는 자리 카운터값 2에 대응하여 패스워드의. 두번째 자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패스워드의 입력과 판별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시간 및 제 2 시간을 각각 별개로 구성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제 1 시간만을 이용하여 패스워드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의 경우 프로세서(140)는 계수 카운터를 ‘1’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을 제 1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의 1회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제 1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리 카운터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계수 카운터를 ‘1’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계수 카운터를 ‘1’ 증가시킨 후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며, 다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패스워드의 첫 번째 자리로 ‘3’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P1), 1회 입력(In1) 후 다음 입력(In2)이 제 1 시간을 경과하지 않도록 하여 총 3회 입력(In1~In3)을 해야 하고, 이후 제 1 시간(T1)이 경과하게 되면 자리 카운트가 증가하여, 이후 입력은 패스워드의 두 번째 자리의 입력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패스워드의 두 번째 자리로 ‘2’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P2), 제 1 시간 내에 1회 입력(In4)하게 되고, 입력과 동시에 타이머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다시 제 1 시간 내에 1회 입력(In5) 후 제 1 시간(T2)을 경과하게끔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순히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 횟수뿐만 아니라 버튼이 입력된 시간 범위 및 시간의 초과 여부까지 고려하고 있는바, 더욱 높은 보안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 1 시간은 공장 초기화 상태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계수에 대하여 정확한 입력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가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녹색 점멸을 녹색 점등 상태로 변경하여 출력시키며, 보안 설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반면, 패스워드의 모든 자리에 대하여 입력이 완료되었으나, 판단 결과 입력된 패스워드가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불일치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녹색 점멸 상태를 계속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처음부터 다시 입력해야 되므로, 입력부(110)를 기 설정된 제 3 시간 동안(예를 들어, 3초 이상) 계속하여 입력하면, 프로세서(140)는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게 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패스워드를 다시 입력해야 됨을 알리기 위하여 출력부(120)의 LED를 예를 들어 주황색으로 점등되도록 한 뒤 바로 녹색 점멸 상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패스워드 입력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오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마스터 패스워드만의 인증 성공시에만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의 입력 횟수가 총 5회로 한정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프로세서(140)가 4회동안 입력된 패스워드가 저장된 패스워드와 상이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패스워드 입력 기회가 단 한번만이 존재함을 알리기 위하여 출력부(120)를 통해 LED가 주황색으로 점멸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패스워드가 정확히 입력되면 문제되지 않으나, 패스워드가 잘못 입력되어 총 5회동안 잘못 입력되게 되면, 프로세서(140)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마스터 패스워드만으로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도록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20)는 다양한 표시색상을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결 접속 상태,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시간인 제 1 시간, 패스워드의 다음 자리의 입력을 준비하게끔 하는 제 2 시간 범위, 패스워드 입력이 성공되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상태, 패스워드 입력이 복수 회 오류인 상태 등을 각각 상이한 표시방법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는 공장 출고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패스워드로 변경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출력부(120)의 LED가 녹색 점등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패턴에 해당하는 패스워드의 설정 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부(120)의 LED를 녹색 점등 상태에서 주황색 점멸 상태로 변경되도록 출력시킨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상기 설명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과 유사하게,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계수 카운터를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킨다. 한 자리가 입력되면 대기 시간 경과 후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다시 수신하게 되면, 계수 카운터를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되 자리 카운터도 함께 증가시킨다.
이때, 출력부(120)는 한 자리가 입력될 때마다 대기 시간에 LED가 적색으로 점멸한 다음 다시 주황색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패스워드는 예를 들어 4자리와 같이 기 설정된 자리 수를 충족하는 입력을 모두 수신해야만 설정을 위한 입력이 완료될 수 있으며, 특정 패턴의 입력 또는 대기 시간 경과 후 또 다른 대기 시간동안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이 완료되게 되면, 프로세서(140)는 패스워드의 각 자리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수 카운터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기 저장된 패스워드에 대체하여 새로운 패스워드로 저장하게 되며, 다시 LED를 연결 접속 상태인 녹색 점등 상태로 변경되도록 출력시킨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더욱 높은 보안성을 위하여 패스워드를 암호키로 이용하거나, 패스워드를 이용한 확장 암호키를 만들어 저장 데이터 등을 암호화 또는 복호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에 있어서 출력부(120)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케이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의 출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는 예를 들어 USB와 같이 그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에는 LED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함께 구현되도록 설계 및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7-세그먼트와 같이 하나의 문자만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문자나 이미지 형태로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첫번째 예시로 디스플레이가 한 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만을 출력 가능한 구성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녹색 점등 상태가 표시되게 되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는 ‘0’으로 고정되어 표시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비밀번호로 ‘942018’를 입력해야 되는 경우, 버튼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누르는 횟수, 예를 들어 ‘9번’을 누르게 되면 ‘9’에 대응되도록 문자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제 1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예를 들어 버튼을 길게 눌러줌)을 수신하면, 제 1 자리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예를 들어 문자 또는 이미지가 점멸되고, LED는 적색 점멸된 후 다시 녹색 점멸 상태로 변경됨)를 출력시키게 된다. 그 다음 프로세서(140)는 다시 디스플레이에 ‘0’으로 고정되어 표시되도록 하여, 패스워드의 제 2 자리를 지정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버튼 스위치를 ‘4번’ 누르게 되면 ‘4’에 대응되도록 문자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며 같은 방법을 통해 제 2 자리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LED가 녹색으로 점등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는 OFF 상태가 되도록 하며,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 저장된 패스워드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은 상술한 방법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출력부(120)의 LED가 녹색 점등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버튼 스위치의 특정 패턴에 해당하는 패스워드의 설정 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부(120)의 LED를 녹색 점등 상태에서 주황색 점멸 상태로 변경되도록 출력시킨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확인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매 자리의 계수를 입력하고 버튼 스위치를 3초 이상 누르거나 특정 시간 동안의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LED가 순간적으로 적색으로 점등된 후 다시 주황색으로 점멸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패스워드를 설정되어 저장이 완료되면 주황색 점멸 중인 LED는 다시 녹색 점등 상태로 변경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패스워드의 최종 설정 직전에, 모든 자리 수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모든 자리 수에 대한 패스워드를 1초 간격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패스워드의 최종 설정 전 이를 확인하게끔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두번째 예시 역시 첫번째 예시와 마찬가지로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한 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만을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비밀번호는 ‘942018’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녹색 점등 상태가 표시되게 되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에는 미리 지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연속하여 출력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예시처럼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에 ‘0’으로 고정되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0’부터 차례로 1초 간격으로 증가하면서 ‘9’까지 표시된다. 이때, 이미지나 알파벳과 같은 문자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한 다음 다시 미리 지정된 순서대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연속하여 출력시켜 패스워드의 제 2 자리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0’부터 숫자가 증가하여 ‘9’에 도달함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출력 중인 ‘9’를 제 1 자리로 지정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게 되면, 프로세서(140)는 다시 원래 순서인 ‘0’을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게 되고, LED를 적색으로 출력시킨 뒤 다시 녹색으로 점멸되도록 한다.
그 다음 ‘0’부터 순차적으로 숫자가 증가하여 다음 패스워드 자리인 ‘4’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현재 출력 중인 ‘4’를 제 2 자리로 지정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위와 같이 다시 원래 순서인 ‘0’을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LED가 녹색 점멸 상태에서 녹색 상시 점등 상태로 변경되며, 디스플레이는 OFF 상태가 되도록 하며,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두 번째 예시 역시 기 저장된 패스워드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은 패스워드 입력 단계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출력부(120)의 LED가 녹색 점등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버튼 스위치의 특정 패턴에 해당하는 패스워드의 설정 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부(120)의 LED를 녹색 점등 상태에서 주황색 점멸 상태로 변경되도록 출력시킨다.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순서로 연속하여 출력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자신이 입력하기 원하는 순서에서의 문자 또는 이미지에 도달하면 입력부(110)를 통해 이를 제 1 자리로 지정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제 1 자리가 지정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해당 문자 또는 이미지를 깜빡거리거나 순간적으로 LED를 적색으로 점멸되도록 한 후 다시 주황색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자리가 지정되고 나면 다시 미리 지정된 순서로 문자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며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자리수에 대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게 된다.
모든 패스워드의 자리수가 지정되고 나서 특정 패턴의 버튼 입력이나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LED는 주황색 점멸 상태에서 녹색 상시 점등 상태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스워드의 변경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패스워드의 최종 설정 직전에, 모든 자리 수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모든 자리 수에 대한 패스워드를 1초 간격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패스워드의 최종 설정 전 이를 확인하게끔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세번째 예시에서는 첫번째 및 두번째 예시와는 달리 디스플레이는 복수 개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비밀번호는 ‘942018’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녹색 점등 상태가 표시되게 되면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에는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를 블라인드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 대기 상태에서 패스워드의 블라인드 문자 또는 이미지의 제 1 자리는 깜빡거림으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 상에는 두번째 예시와 같이 미리 지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연속하여 출력되며, 사용자가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제 1 자리로 지정하게 되면, 다음 패스워드의 제 2 자리에 해당하는 블라인드 문자 또는 이미지가 깜빡거림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되고 나면, 디스플레이상의 일정 영역에는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된 후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되었음을 알리는 ‘OK’ 표시가 출력된다.
한편,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각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을 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입력된 패스워드를 확인하게끔 하여 보다 정확한 입력을 하도록 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블라인드 문자의 해당 자리에 입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난 다음, 다시 다음 자리의 블라인드 문자 또는 이미지가 깜빡거리도록 출력시킬 수도 있다.
패스워드의 설정과정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버튼 스위치의 특정 패턴에 해당하는 패스워드의 설정 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40)는 출력부(120)의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패스워드 설정이 진행중임을 알리는 표시(M)를 출력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순서로 연속하여 출력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자신이 입력하기 원하는 순서에서의 문자 또는 이미지에 도달하면 입력부(110)를 통해 이를 제 1 자리로 지정한다.
이때 패스워드 입력 과정과 유사하게, 현재 입력해야 되는 패스워드의 블라인드 문자 또는 이미지의 제 1 자리는 깜빡거림으로 표시되며, 나머지는 블라인드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해당 자리의 입력이 완료되면 일시적으로 블라인드 문자의 해당 자리에 입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난 다음, 다시 다음 자리의 블라인드 문자 또는 이미지가 깜빡거리도록 출력시킬 수도 있다.
패스워드의 설정을 위한 입력이 모두 완료되면, 또는 각 자리의 입력이 완료되고 다음 자리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에서는 이전까지 입력이 완료된 패스워드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차례대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까지 또는 최종적으로 입력된 패스워드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끔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컴퓨터 상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도 적은 비용으로도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100) 그 자체만으로 높은 보안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보안 설정 기능을 구비하는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하나의 입력부,
    현재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보안 설정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를 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키되,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은 상기 입력부로의 입력 횟수의 정보, 입력 시간의 정보, 입력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입력 대기 시간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연결 접속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 요청을 알리는 이벤트를 출력시키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테이블 및 계수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되, 상기 계수 카운터를 포인터로 이용하여 연속되는 입력 간의 시간 간격을 상기 입력 테이블에 기록하고,
    상기 입력 대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시간 간격의 정보 중 시간 간격이 큰 상위 순서의 시간 간격의 정보를 상기 패스워드보다 하나 작은 자리 수만큼 추출하여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분리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리점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 카운터를 분리시며,
    상기 분리점에 기초하여 분리된 계수 카운터의 개수를 합산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계수 카운터를 상기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고,
    기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가 경과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다시 수신한 경우, 상기 계수 카운터를 상기 입력에 대응되도록 증가시키되 상기 자리 카운터를 함께 증가시키며,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수 카운터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입력은 상기 입력부를 상기 제 1 시간 내에 입력한 횟수인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입력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속하여 오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마스터 패스워드만의 인증 성공시에만 상기 설정된 보안을 해제시키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연결 접속 상태, 상기 제 1 시간, 상기 제 2 시간 범위, 상기 사용 가능한 상태 및 상기 패스워드 입력이 복수 회 오류일 때, 이들의 상태를 각각 상이한 표시 방법으로 출력시키는 것인 휴대용 보조 기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패스워드의 계수 카운터 및 자리 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다음 제 1 시간 내에 계수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입력을 대기하되,
    상기 제 1 시간이 초과될 경우 상기 자리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시간이 초과되기 전까지 증가된 계수 카운터를 상기 자리 카운터가 증가되기 이전 자리의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패스워드의 각 자리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수 카운터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의 설정 시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에 대체하여 새로운 패스워드로 저장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입력부를 입력한 횟수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패스워드의 제 2 자리를 지정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시키며,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미리 지정된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연속하여 출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현재 출력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패스워드의 제 1 자리로 지정한 다음 다시 상기 미리 지정된 순서대로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를 연속하여 출력시켜 상기 패스워드의 제 2 자리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
    상기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지정된 패스워드의 각 자리를 블라인드 문자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자리를 지정하는 입력의 수신을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자리를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 1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자리는 블라인드 문자로 표시하는 것인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보조기억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도어락 장치.
PCT/KR2018/004754 2017-05-26 2018-04-24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WO20182169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122 2017-05-26
KR1020170065122A KR101954084B1 (ko) 2017-05-26 2017-05-26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6911A1 true WO2018216911A1 (ko) 2018-11-29

Family

ID=6439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4754 WO2018216911A1 (ko) 2017-05-26 2018-04-24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4084B1 (ko)
WO (1) WO20182169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9075A (zh) * 2020-09-30 2020-12-2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491547A (zh) * 2021-12-23 2022-05-13 浪潮(山东)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bios密码清除的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38A (ko) * 2001-09-10 2003-03-15 주식회사 보고테크 지문인식록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30011737A (ko) * 2011-07-22 2013-01-30 박순창 전선 등 케이블 풀림장치
KR20130026178A (ko) * 2011-09-05 2013-03-13 팅크웨어(주) 위치와 리듬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잠금 설정 방법
KR20140144605A (ko) * 2013-06-11 2014-12-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79165B1 (ko) * 2013-07-15 2015-01-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 기반의 두드림 터치 패턴에 의한 잠금 설정 해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938A (ko) * 2001-09-10 2003-03-15 주식회사 보고테크 지문인식록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30011737A (ko) * 2011-07-22 2013-01-30 박순창 전선 등 케이블 풀림장치
KR20130026178A (ko) * 2011-09-05 2013-03-13 팅크웨어(주) 위치와 리듬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잠금 설정 방법
KR20140144605A (ko) * 2013-06-11 2014-12-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79165B1 (ko) * 2013-07-15 2015-01-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 기반의 두드림 터치 패턴에 의한 잠금 설정 해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9075A (zh) * 2020-09-30 2020-12-2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149075B (zh) * 2020-09-30 2023-09-26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491547A (zh) * 2021-12-23 2022-05-13 浪潮(山东)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bios密码清除的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084B1 (ko) 2019-03-06
KR20180129305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09509A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WO2015020272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126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WO20200856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216911A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WO2017119683A1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178029A2 (en) Mobile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wearable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1085799A1 (ko)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67660A1 (ko)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7200239A2 (ko)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5102466A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
WO2015156432A1 (ko)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3073797A1 (ko)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WO2018008937A1 (ko)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20229940A1 (en)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of mediators between console peripheral devices and hosts
WO2017126746A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
WO2016039529A1 (ko)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WO2016178499A1 (ko) 홍채 인식 기반 보안 스토리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159565A1 (ko) 전자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15097A1 (en) Enhanced security apparatus for mediation between console peripheral devices and hosts
WO2015174685A1 (ko) 스탬퍼, 그리고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75803A1 (ko) 이미지 아이디 기반의 유저 인증을 통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22050497A1 (ko) 인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42480A1 (ko) 지문을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US114681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user authentication credent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60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3/03/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60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