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74378A1 -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74378A1
WO2018174378A1 PCT/KR2017/014657 KR2017014657W WO2018174378A1 WO 2018174378 A1 WO2018174378 A1 WO 2018174378A1 KR 2017014657 W KR2017014657 W KR 2017014657W WO 2018174378 A1 WO2018174378 A1 WO 20181743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region
temperature measuring
measuring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6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형우
유현경
김성원
박정수
유태훈
한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555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5412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901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03494B1/en
Publication of WO20181743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743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01K13/223Infrared clinical thermometers, e.g. tympa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7Ear ca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51Colorimeters making use of an integrating sp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03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nt heat transfer of samples, e.g. emittance meter
    • G01J5/0011Ea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of a pyrometer, other than calibration; Bandwidth calculation; Gain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5Handheld, por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G01J5/049Casings for tympanic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olid angle of collected radiation, e.g. adjusting or orienting field of view, tracking position or encoding angular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which is inserted into the ear and senses body temperature.
  • the device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by inserting it into the oral cavity or ear.
  • these devices obtain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keeping the state inserted in one area of the body for a specific time while being held by hand.
  • the device is made of a device that is not mounted on the body.
  • Basal body temperature means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most stable state, and daily basal body temperature records useful information about women's menstrual / ovulation cycle.
  • people In order to measure the basic body temperature, people should sleep for at least 3 to 4 hours, and the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in the most stable state. Since most thermometers require direct manipulation, it is impossible to measure during sleep, so you need to minimize the movement and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while you are awak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errors occur in the measurement of the basal body temperature and the position is changed.
  • thermometers have a bulky feeling when they sleep while wearing them in their ears, which makes them feel cramped because they block the earholes or block the ear canal, and they are not comfortable to wear due to the shape that fits inside the wheel. There i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d to provide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which improves the comfort while minimizing the volum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areas and the second body mounted on the first body And a main body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surrounding the first area, and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 ear, disposed in a rubber cap and the second area, and having a specific sensing range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 the rubber cap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es for exposing the temperature sensor, the first body having one end cut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body at the one end. Is mounted.
  •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forming the first hole is made of a comb surface
  •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cap forming the second hole is made of a comb surface
  • the first and second comb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holes are formed to be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he first and second oblique surface may have a specific angle to cover the sensing range. Therefore, since the sensing reg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not blocked, a specific region of the ear where the eardrum is formed can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 the vent hole may further include a vent hole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to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formed by recess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Since air may flow into the vent hole by the gap between the two regions and the rubber cap, air and moisture may pass through to maintain the accuracy of the sensor consistently and improve the wearing comfort.
  • the circuit board by arranging the circuit boar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is arrang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while ensuring the width of the circuit board.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an extended shape in one direction, thereby minimizing the area touching the outside of the ear such as the ear wheels when worn,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aking a sleep in a worn state.
  • the vent hole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nal electronic components.
  • moisture inside the ear can be prevented.
  • Figure 1a is a view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direction.
  • FIG. 1B is a view of the receiving device in whic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f FIG.
  • 1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device.
  • 1D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wearing state.
  • FIG. 2 is a view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f FIG. 1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ubber cap and a second region based on a sensing range of a sensor unit.
  • Figure 4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of the temperature sensor device.
  • 4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ir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n ear.
  • 5A to 5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lurality of modules disposed in the first body.
  • 5D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to third modules.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of a flexible circuit board.
  • 7A to 7E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coupling and detaching a second body.
  • 8A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torage device.
  • 8B and 8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hall sensor and a magnet unit for detecting that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s mounted on a storage sensor.
  •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measurement time.
  • 9C and 9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sensed body temperature.
  • 10A and 10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measurement.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ppropriate measurement start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emperature change for each menstrual cycle according to various states.
  • FIGS. 13A to 13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interoperating wit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4A to 14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driving stat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 15A and 15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executing temperature sensing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cceleration.
  • 1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function.
  • FIG. 17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alyzing a life state in association with a wearable device.
  • Figure 1a is a view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direction
  • Figure 1a is a view of the storag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f Figure 1a from one direction
  • Figure 1c is a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s housed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apparatus.
  • 1D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wearing stat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ha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human ear.
  • the human ear is placed through the ear canal (EAM) and the eardrum (tm) at the end of the outer ear (EE).
  •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ear canal (EAM).
  • One region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EAM).
  • a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and whe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EAM), the sensor is disposed to face the eardrum (tm). Accordingly, the sensor ca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emitted from the tympanic membran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stored in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user's ear.
  • the storage device 1000 includes a body part 2100, a cover part 2200, and a connection part 2210 connecting the cover part 2200 to the body part 2100.
  • the cover part 2200 is rotatably fixed to the body part 2100 by the connection part 2210 and is formed to open or close the body part 2100.
  • the body part 2100 includes a concave shape receiving area 2131 in whic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s accommodated.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may be protected whe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s placed in the receiving area 2131 or not in use. Referring to FIG. 1C,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part 2100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seated in the receiving area 2131, and covers the cover part 2200 to cover it. Is formed concave.
  • the structur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nserted into a user's ear to measure body temperature will be described.
  • FIG. 2 is a view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of FIG. 1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ncludes a first body 1100 and a second body 1200.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0 and 1200 may be combin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irst body 1100 includes a first region 1110 and a second region 1120 protruding from the first region 1110.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egion 1120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gion 1110.
  • a rubber cap 1130 of rubber material i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1120. The rubber cap 1130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ear,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ar by the rubber cap 1130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s a large frictional force on the surface.
  •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cap 1130 may form one surface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rubber cap 1130 is detachably formed from the second region 1120.
  • the second region 1120 includes a fixing groove 1121 for fixing the rubber cap 1130 and a vent hole 1122 formed to allow movement of air.
  • the fixing groove 1121 is recessed so that one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1120 has a specific width.
  • the rubber cap 113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cap 1130 and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121. Accordingly, the rubber cap 1130 is fixed to the second region 112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region 1120 and the rubber cap 1130, the fixing protrusion elastically deforms the second region. May be separated from 1120.
  • the vent hole 1122 is 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region 1120, and one region of the second region 1120 is recessed.
  • the vent hole 1122 is forme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120 to a boundary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10 and 1120.
  • One region of the vent hole 1122 is formed deeper than the fixing groove 1121. Therefore, even thoug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21, air may pass through the one region of the vent hole 1122.
  •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region 1120 and the rubber cap 1130 by the vent hole 1122.
  • one end of the vent hole 1122 is disposed in the ear, and the other end of the vent hole 1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ar. Air may pass into and out of the ear through the vent hole 1122.
  • vent hole 1122 is exposed by an end of the second region 1120, and the vent hole 1122 is formed through a gap between the first region 1110 and the rubber cap 1130. Air can pass through.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formed to allow air to pass even in a state where the ear is blocke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rampedness cau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 vent hol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0, it is not necessary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s are introduced into the first body 1110 through the vent hole, and the electronic parts (sensors, circuit boards, etc.)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10 may be prevented. Damage can be minimized.
  • Moistur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filled by the vent holes,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ubber cap and a second region based on a sensing range of a sensor unit.
  • a temperature sensor 1331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region 1100.
  • the temperature sensor 1331 may be implemented as a non-contact infrared sensor.
  • the infrared sensor receives the infrared energy emitted from the body to the IR sensor, and converts it into a measurable electrical signal.
  • the temperature sensor 1331 has a specific sensing range ⁇ 1.
  • the sensing range (FOV) ⁇ 1 of the temperature sensor 1331 may correspond to about 100 degrees.
  •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s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a specific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 End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1120 and the rubber cap 1130 surrounding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nclude first and second holes h1 and h2, respectively.
  • the first hole h1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1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s exposed.
  •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may be smaller than an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1120 constituting the first hole h1 is a slope 1123.
  • the inclined surface 1123 forms a specific angl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331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is wider as it moves away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the specific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range of the temperature sensor 1331. That is, the first hole h1 is formed to include the sensing range of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the rubber cap 1130 includes the second hole h2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e h1.
  • the second hole h2 is located farther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331 than the second hole h1,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hole h1.
  • the first and second holes h1 and h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holes h1 and h2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 An inner surface of the rubber cap 1130 constituting the second hole h2 is formed as a comb surface 1131.
  • the inclined surface also forms a specific angle and is formed such that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in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31 constituting the second hole h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123 constituting the first hole h1. Alternatively,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hole h2 may be greater.
  • the sensing range of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s not covered by the first and second holes h1 and h2. Accordingly, the func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1331 can be improved.
  •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n antenna of a temperature sensor device
  • FIG. 4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ir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n ear.
  • the antenna unit 1313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1110 of the first body 1100.
  • the first module 1310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module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1100.
  • the antenna unit 13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odule 1310 facing the second body 1200.
  • the battery unit 134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module 1310, and the battery unit 1340 and the antenna unit 1313 are covered by the second body 1200.
  • the antenna unit 1313 may be formed of a metal pattern surrounding the battery unit 1340.
  • the shape of the antenna unit 1313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
  • the direction d shown in FIG. 4A is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ntenna unit 1313.
  • the antenna unit 1313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region 1100 is not inserted into the ear. Therefore, the antenna unit 1313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ear.
  • the antenna unit 1313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ea disposed far from the auricle wheel while the second area 1120 is inserted into the ear. Accordingly, since the antenna unit 1313 radiates toward the front of the ear,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antenna unit 1313 may not affect even when the temperature sensor device is mounted on the ear.
  • 5A to 5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lurality of modules disposed in the first body.
  • the temperature sensor device 1000 includes a first body 1100, a first body 1200, and a rubber cap 1130 mounted to the first body 110.
  • the first to third modules 1310, 1320, and 1330 mounted on the body 1100 and the battery unit 1340 are included.
  • the second region 1120 extends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from one end 1100 ′ of the first region 1100.
  • the first region 1100 extends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 the other end 1100 of the first region 1100 is formed along a first direction D2 that crosses the first direction D1.
  • Cross sections of the one end 1100 ′ and the other end 1100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 the second body 1200 is mounted to the other end 1100 of the first region 1100 in a third direction D3 cross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That is, the distances from the other end 1100 to the second region 1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first to third modules 1310, 1320, and 1330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first area 1110 and the second area 1120.
  • the first module 1310 is mounted in the first region 1110 of the first body 1100 adjacent to the second body 1200.
  •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module 1310 corresponds to the other end 1100 of the first region 1100 of a shape cut in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other end 1100 of the first region 1100 is covered by the first module 1310.
  •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are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module 1310.
  •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are disposed with at least one region overlapping each other.
  • An accommodating area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unit 1340 is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module 1310.
  • the side wall portion protrudes to form the accommodation area.
  • the sidewall part may include a spiral structure to be fixed to the second body 1200.
  • the battery unit 13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331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 the second module 1320 is moun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module 1310 and is formed to surround peripheral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are protected by the first module 1310.
  • the second module 1320 is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ortion 1321 and the sidewall portion 1321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a support part 1322 supporting the two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wherein the support part 1322 is an opening region 1322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It includes.
  • the side wall part 132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111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variable width and a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 the third module 1330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second module 1320, and the first module 1310 is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dule 1320.
  • the first module 131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hooks 1333 and 1334 extending to face each other from the sensor support part 1332 and the sensor support part 1332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Include.
  • the first module 131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area 112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supports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One end of the first module 1310 includes a support surface 1332a for supporting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ok portions 1333 and 1334 have different lengths and have hook structures in which end portions can be fitted into grooves.
  • Each hook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ok portions 1333 and 1334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321a and 1321b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1321 so that the hook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hook fixing parts 1333 and 1334 are fitted.
  •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321a and 1321b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hook fixing parts 1333 and 1334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321 a and 1321 b, the first and second hook height information 1333 and 1334 are used.
  •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may be supported to prevent movement of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321a and 1321b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fixing hook portion 1333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is first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321a, and the second fixing hook portion 133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1321b.
  •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ok parts 1333 and 133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length of the second fixed hook portion 1334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fixed hook portion 1333. Accordingly, the sensor support 133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and the other end 1110 of the first region 1110). Specifically, when the first and second hook fixing parts 1333 and 1334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321 a and 1321 b,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hook fixing parts 1333 and 1334 are defined. Due to the difference, the side on which the first hook fixing portion 1333 is formed is further inclined downward. Accordingly, the sensor support part 1332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0.
  •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s seated at an end of the second region 1120 of the first body 1100.
  • the second and third modules 1320 and 1330 coupled as shown in FIG. 5B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0.
  • the second and third modules 1320 and 1330 are inserted such that the sensor support 1332 supports the temperature sensor 1331.
  •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are mounted to the second module.
  • the first module 1310 is fitted into the third module 1330 inserted into the first region 1110 of the first body 1100.
  • the battery unit 134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area of the first module 1310.
  • the battery unit 134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module 1310.
  • the second body 1200 is fixed to the first body 1100 to cover the battery unit 1340.
  • the second body 1200 includes a fixed protrusion 1210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area of the first body 1100.
  • the fixed protrusion 1210 is movably fixed to the first body 1100, and is fixed even when the second body 1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1100. Therefore, since the second body 1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0, loss of the second body 1200 may be prevented.
  • 5D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to third modules.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0 and 1200 extend in one direction (first direction D1),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20 and 112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1120 of the first body 1100.
  • the temperature sensor 1331 is disposed in D1) and has a sensing range of a specific angle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D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1. .
  •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314 and 1316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to secure a maximum width. Accordingly, a circuit board having a maximum width may be disposed while being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0 and 1200.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0 and 1200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and one region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the other region covers the outside of the ear or the outside. There is no structure fitted. In other words, when worn on the ear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non-inserted area (particularly, wearing and sleeping), the area of contact with or supported by the outer structure of the ear is minimized. Thus, the fit is improved.
  • the temperature sensor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eardrum by using first and second hook fixing parts having different lengths. Accordingly, the body temperature of the area adjacent to the eardrum can be accurately measured, and the circuit board is arranged obliquely to implement a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reby improving comfort when mounted in the ear.
  • the eardrum tm is disposed within the sensing range of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nserted in the ear canal, the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and stably within the ear canal. As it is fixed, it is possible to preven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errors due to movement or measurement posture.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of a flexible circuit board.
  • the temperature sensor 13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by a flexible circuit board 1315.
  • the sensor support part 1332 and the temperature sensor 1311 ar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crosses the first direction D1 in a second direction ( D2).
  • one reg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adjacent to the relatively short first fixing hook portion 133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sensor 1311. Accordingly, on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315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13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ne reg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that is, the flexible circuit board 1315. Is connected to one reg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adjacent to the first fixing hook portion 1333.
  •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1314a disposed in the one region and connected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1315.
  • the flexible circuit board 1315 connected to the one reg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is bent by an angle ⁇ 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Therefore, the bending degre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315 may be minimized.
  • 7A to 7E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coupling and detaching a second body.
  • the second body 1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1100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1200 based on the first body 1100.
  • the second body 1200 includes a nail groove 1201 forming a spaced space from the first body 1100.
  • the user may separate the second body 1200 from the first body 1100 using the nail groove 1201.
  •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not include the nail groove 1201.
  • the first module 1310 includes a sidewall portion 1317 for forming an accommodating area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unit 1340.
  • the side wall part 1317 is formed to surround the battery part 1340.
  •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317 is formed with a screw line.
  •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includes an inner region 1202 surrounding the sidewall portion 1317 and accommodating the battery portion 1340.
  • a thread 1210 corresponding to a thread of the sidewall part 1317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00 forming the inner region 1202.
  • the side wall portion 1317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may be fixed by rotation.
  • the side wall portion 1317 includes a guide groove 1317a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portion 1317 and a fixing groove 1317b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guide groove 1317a.
  •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includes a protrusion 121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egion 1202. The protrusion 1211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317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0 and 1200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1211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317a and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317b, whereby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0 and 1200 are fixed.
  •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0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00.
  • the battery part 1340 is exposed.
  • the battery unit 134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unit 1100 and may be formed of a removable battery.
  •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203, and the first body portion 1100 includes a locking groove portion 1318 formed to catch the locking protrusion 1203. Include.
  • the locking groove 1318 includes first and second grooves 1318a and 1318b.
  • the locking protrusion 1203 moves along the first groove 1318a while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is fitt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0.
  • the second groove 1318a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nd of the first groove 1318a.
  •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1318a and 1318b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 the locking protrusion 1203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318a is fitted into the second groove 1318b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 the second body part 1200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art 1100.
  •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is fit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roove 1318a is formed, and rotates in a specific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1203 is formed in the second groove 1318b. Due to the fitting is fix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0.
  • FIG. 8A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torage device
  • FIGS. 8B and 8C are conceptual views for explaining the hall sensor and the magnet unit for detecting that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s mounted on the storage sensor.
  • the accommodating apparatus 2000 includes a body portion 2100, a cover portion 2200, and a connecting portion 2210 connecting the cover portion 2200 to the body portion 2100. .
  • the body part 2100 forms an appearance and is seated on the first body 2110 forming the inner space 2111, the second body 2120 mounted on the inner space 2111, and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And a third body 2130 including an accommodating area 2131. The main body 2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ain body 2120.
  • the magnet part 2140 is disposed in the first body 2110.
  • a spring 2112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 2210 and a fixing part 2113 to which the spring is fixed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2110.
  • the second main body 212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main body 2110 and includes an opening 2121 formed through the spring 2112.
  • the spring 2112 is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210 through the opening 2121.
  •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in a reg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gion in which the opening 2121 is formed.
  • the magnet part 2140 is covered by one region in which the recess part is formed.
  • the third body 2130 is disposed in the recess.
  • the main body 2130 includes an accommodating area 2131 on whic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seated, and the accommodating area 2131 is recessed to enclose an area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Can be made.
  • the accommodation area 2131 is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magnet part 2140.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whe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seated in the accommodation area 2131,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agnet part 2140.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further includes a hall sensor 1350 dispos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1314 (or the second circuit board 1316).
  • the hall sensor 1350 detects a magnetic chang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s seated on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based on the magnetic chang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350.
  • the second area 1120 such that the second area 1120 of the first body 1100 is adjacent to the magnet part 2140 so that the hall sensor 1350 is adjacent to the magnet part 2140.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whe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that is, the magnet unit 2140 is detected to be adjacent according to a magnetic chang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350. In this case, the power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may be turned off. On the contrary, when the magnetic change is not detected by the hall sensor 1350,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be turned on.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not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 switch for controlling a power source,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 the power is turned off, thereby increasing battery lif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transmit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magnetic change of the hall sensor 1350 is detected an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In this case, whe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the physical effect of the communication can be minimized by limi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may further include a dehumidify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 the dehumidifying agent may be made of silica gel to absorb moisture.
  • the dehumidifier can be reused by heating in a microwave oven.
  •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tool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earwax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measurement tim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nterworks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antenna unit 1313 performs a measurement fun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100 or transmits the measured data to the external device 100.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measured data.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s controlled to start the measurement at the time set by the external device 100 and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cycl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measure a plurality of times in the sleep state corresponding to the non-REM sleep stage 3-4, which is the most stable sleep state.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form body temperature data as an average value of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during the specific time.
  •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receives a control command to start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t a time set by the external device 100. Control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can be set by the user.
  • basal body temperature corresponds to the lowest body temperature that appears in the most stable state every day. It is lowered in the evening, the lowest before sunrise, and then increased again.
  • the measurement tim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be set by a sunrise time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user.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ie,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00)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ng unit (eg, GPS).
  •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ng unit eg, GPS
  • the display unit 151 of the external device 100 outputs a first setting screen 510 for setting a measurement time.
  • the first setting screen 510 may be output when the application for execut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is first executed, when the measurement start time is not set.
  • the first setting screen 510 includes sunrise information 511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00 and information 510a about a measurement start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sunrise information.
  • the measurement start time may be set to two hours before the sunrise time. Therefore,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3-4 stages of the most stable non-REM sleep 2 hours before the user wakes up.
  • the first setting screen 510 includes pre-stored alarm time information 512 and information 510b about a measurement start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alarm time information.
  • the controller of the external device 100 may set a measurement start time 2 hours before the alarm time.
  • a measurement start time may be set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setting screen 510. Alternatively, you can change the residential information or change the alarm time. In addition, a measurement start time may be input using the first setting screen 51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1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that the measurement start time is preferably 3 hours to 4 hours after bedtime or 2 hours before waking up.
  • controller of the external device may execute a location setting application or an alarm time setting application on the first setting screen 510.
  • the user can predict the user's bedtime based on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recommend the measurement start time without setting the measurement start time separately.
  • 9C and 9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sensed body temperatur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transmits and receives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100.
  • the external device 100 forms body temperature data using the receiv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forms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 the controller of the external device 100 outputs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611 when the body temperature drops sharply.
  •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611 may includ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hat is expected to start menstruation.
  •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may output information for predicting ovulation when a low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for predicting the start of menstruation if the body temperature rises sharply, and for predicting pregnancy if a high temperature of the body temperature is maintained.
  •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611 may be made of text or an image.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611 inclu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data.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151 to execute an application related to basic temperature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611 and to output a first result screen 520 of the application.
  • the first result screen 520 may include a graph 521 indicating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a description unit 522 explaining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 the controller may output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712 when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is out of the normal range or when the body temperature itself is out of the range of normal body temperature.
  • the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712 may be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vibration or specific auditory data. Accordingly,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ody, the user may check through the notification and take action.
  • the controller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the visit through the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712 when the cycle of basal body temperature is not clear.
  •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additional analysis information may be output on the execution screen.
  • 10A and 10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measurement.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third notification information 612 including guide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basic temperature measurement before bedtime.
  • the third notification information 612 may be output together with information about an event which has occurred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00.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execute the application and output a setting screen 532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 the setting screen 532 may include an icon 531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basic temperature measurement for each day of the week.
  •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s separated from the user's ear.
  • the display unit 151 outputs fourth notification information 712 indicating that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s detached from the ear.
  • the fourth notification information 712 may be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a vibration or output auditory data.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ccurate wearing when abnormal temperature informa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to the external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100 guides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 the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to output guide information.
  • the result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Accordingly, the user ca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more accurately based on the guide information, and can perform a more accurate measurement later through feedback on the measured information.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ppropriate measurement start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unit outputs a measurement time detection screen 530.
  • the detection screen 530 includes guide information 533 and a measurement period setting image 534.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measures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the external device 100 recommends setting a measurement start time based on a time at which the lowest basic body temperature appears. Accordingly, the user can set the measurement start time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 the controller outputs a result image 535 based on the collect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 the result image includes recommended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for measuring a time indicated by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the lowest basal body temperatur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 the user is set to measure 2 hours before the user wakes up, and is set to measure every 10 minutes for a specific period.
  • the average sleep cycle is 90 minutes, of which the most stable non-REM stages 3-4 are approximately 25 minutes. Therefore, if the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at intervals of 10 minutes, even if the sleep cycle becomes irregular depending on the user's condition, the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the non-REM 3-4 stage, the most stable sleep stage.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various states.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transmi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00.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transmits information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apparatus 2000, transmits information when the body temperature is located adjacent to the external device 100, or the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00 in real time.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form body temperature data by using the receiv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calculate th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ly.
  • Figure 12 (a) shows a general basal body temperature graph during the menstrual cycle.
  • the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are repeated, at the end of the low temperature record the minimum body temperature and enter the high temperature.
  •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from two days before the ovulation prediction date and the menstruation start prediction date based on the previous month.
  • FIG. 12B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when the body temperature rise takes a long time after the low temperature. If the increase in body temperature after a low temperature is not clear and takes a long time, the external device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recommending the use of the ovulation test to more accurately confirm the ovulation date before the next month's temperature rise based on the previous month.
  • the temperature sensor shows an unstable temperature sensing graph.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condition adjustment.
  • the low temperature group is long and the high temperature group is short.
  • the external device ⁇ 00 may recommend the use of the ovulation test before the next month's temperature rise based on the previous month, and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recommending the hospital visit.
  •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in a jagged line.
  • the external device ⁇ 00 may recommend the use of the ovulation test before the next month's temperature rise based on the previous month, and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confirming ovulation mucus and ovulation pain.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susceptibility to ovulation if the variation in the overall basic body temperature is not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0.2 degree) change over 2 months, and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hospital examination. .
  • the control unit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use of a pregnancy tester when the basal body temperature does not drop more than the characteristic temperature (0.2 degrees) even after 2-3 days after the start of menstruation, and when the high temperature period lasts more than 20 days after the ovulation day (lowest temperature of the base temperature) Prints out the guide information recommended. In addition, if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ld stage and the hot stage, the guide information recommending a hospital visit is output.
  • FIGS. 13A to 13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interoperating wit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execution screen 541 may display the base body temperature measured before today's weather as a number,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rise / fall of the base body temperature of the yesterday's date. It may also include guide information about physiology, pregnancy and ovulation.
  • the basal body temperature is set to the lowest body temperature amo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d 12 times at intervals of 10 minutes for 2 hours from 2 hours before the weather time.
  • the first execution screen 541 includes a graph 541a showing an amount of change in the basic body temperature for each day and driving information 541b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 a second execution screen 542 is output.
  •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2 includes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 the controller forms menstrual cycle pattern data based on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2 includes a graph 542a according to the pattern data.
  • the graph 542a shows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and includes information on menstrual days, ovulation days and fertility periods.
  •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2 includes a basic temperature data list 542b recorded for each date.
  • the display unit 151 outputs a third execution screen 543 including a calendar screen.
  • the calendar screen 543 records the measured basic body temperature, and includes data stored by the user (whether physiological, sexual intercourse, ovulation inducer taking and injection, cold medicine, taking antibiotics, memo, etc.).
  • the user can grasp not only the basal body temperature but also the data through the basal body temperature result at a glance through the calendar screen.
  • the third execution screen 543 may be switched to the fourth execution screen 544 based on a specific type of touch input applied to the third execution screen 543.
  • the fourth execution screen 544 corresponds to a control screen for controll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record the body temperature of another person other than the set user.
  • the body temperature may be measured in real time us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rather than the measurement of the basal body temperatur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is performed by a control signal.
  •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00 in real time.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when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of the preset body temperature.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the list of measured data to the fifth execution screen 545.
  • the fifth execution screen 545 may optionally include data measured immediately by the user's selection or data measured overnight.
  • FIG. 13C illustrates a display unit 151 for outputting a screen for setting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tart time.
  • the screen for setting may indicate a measurement time for each day of the week.
  • the sixth execution screen 546 for changing the time is output.
  • 14A to 14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driving stat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transmit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 or driving stat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00 in real time.
  • the external device 100 detects an abnormal state of the measurement and outputs a first warning image 548a.
  • the first warning image 548a may be made of text or an image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thermometer, and may output vibration or sound.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transmits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00. If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the external device 100 outputs a second warning image 548b.
  • the second warning image 548b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pairing is impossible.
  • the memory included in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temporarily store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pairing state is within the normal range, all stor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a third warning image 548c indicating this.
  •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the third warning image 548c when the receiv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irregular.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battery shortage to the external device 100 as a wireless signal.
  •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activated and deactivated by the user's setting.
  • 15A and 15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executing temperature sensing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cceleration.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activates the temperature sensor (S12). If the change in acceleration is not detected based on the detection unit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S13), the temperature is sensed at a specific period (S14).
  • the temperature measurement can be start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vement.
  • sunrise time information is acquir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e external device 100) (S21).
  • the wearable device activates a detector (acceleration sensor) based on the sunrise time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is activated two hours before the sunrise time.
  •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at a specific period (S24).
  •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by more accurately identifying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o be a sleep state.
  • 1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function.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may detect body temperature in real time.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device 2000, the power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is turned on.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may control the body temperature in real tim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100.
  •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1000 transmits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external device 100 may output the receiv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 FIG. 17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alyzing a sleep state in association with a wearable device.
  • the wearable device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watch type terminal, a ring type terminal, and a glass type terminal worn on a wrist, a finger, and a head.
  • the wearable device is worn on a region of the user's body and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body.
  •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 the sleep state can be accurately analyzed through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 the sleep state may be classified into a deep sleep state, a light sleep state, and an awake state.
  • distinguishing between N3 / N4 and REM sleep states with substantially the same degree of move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sleep depth.
  • the use of the acceleration sensor-based wearable device alone can not distinguish between the REM sleep stage and the non-REM stage 3/4 because the sleep stage is determined solely by movement.
  • there is motion in the shock state but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alone does not distinguish ?? state. Therefore, whe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00 are analyzed together, more accurate sleep analysis is possible.
  • REM sleep is mainly a dreaming stage where the brain is active and there is no physical movement, but the eye movement is active.
  • the N1 state is a transitional state between full sleep and awake, and the N2 state decreases the amplitude and frequency of brain waves and gradually enters a deep sleep state.
  • the N3 / N4 state corresponds to a deep sleep state and corresponds to the deepest sleep stage.
  • the wearab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is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S31).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is regular or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is stable (S35).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and the body temperature is regular and stable, it is classified as N3 / N4 stage of the non-REM sleep state (S36), and when it is not regular and stable, the body temperature is classified as REM sleep state.
  • the motion is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it is classified as an awake state (S33).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is detected by the specific criteria (the degree of skipping), it can be classified into N1 / N2 stage of non-REM sleep.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 state disk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OMs, RA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is also includes implementations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nd used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and designing digital devices to measure body temperature simply in daily lif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상기 제1 영역을 감싸고, 귀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러버캡,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센싱범위를 갖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체온측정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본 발명은 귀에 삽입되어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측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들은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강이나 귓속 등에 삽입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러한 기기들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특정 시간 동안 신체의 일 영역에 삽입한 상태를 유지하여 체온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신체에 장착된 상태가 아닌 기기로 이루어진다.
체온은 기상하면서 상승하여 오후에 가장 높아지다가 밤이 되면서 다시 하강한다. 기초체온은 가장 안정적인 상태의 낮은 체온을 의미하며, 매일 기초체온을 기록하면 여성의 월경/배란 주기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초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소 3~4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한 후, 사람이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체온을 측정해야 한다. 대부분의 체온계는 직접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수면 중 측정이 불가능하여, 잠에서 깬 상태에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체온을 측정해야 하는데, 체온계를 신체부위에 접하는 단계에서 이미 많은 움직임이 발생 하고 체온계를 삽입한 방향이나 위치 등이 달라지면서 기초체온의 측정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개발된 착용가능한 체온계의 경우, 귀에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할 때 부피가 커 수면에 방해가 되거나 귓구멍을 막으므로 갑갑한 느낌이 들며, 귓 바퀴 안쪽에 끼워지는 형태로 인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착용감을 향상시킨 체온측정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온측정기기는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상기 제1 영역을 감싸고, 귀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러버캡,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센싱범위를 갖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러버캡은 상기 온도센서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절단된 일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일 단부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영역의 내면은 빗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홀을 형성하는 상기 러버캡의 내면은 빗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빗면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 홀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빗면은 상기 센싱범위를 포함하도록 특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의 센싱영역을 차단하지 아니하므로 고막이 형성된 귀의 특정 영역이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경계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역의 외면이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벤트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과 상기 러버캡의 틈에 의하여 상기 벤트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공기 및 습기가 통과하여 센서의 정확도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로기판을 배치하여, 회로기판의 넓이를 확보하면서 체온측정기기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온측정기기를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바, 착용시 귀바퀴 등 귀의 외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착용한 상태에 수면을 취하는 경우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러버캡으로 감싸지는 제1 바디의 일 영역에 벤트홀을 형성하여 갑갑함을 최소화하면서, 벤트홀이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므로 내부 전자부품들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벤트홀을 통하여 공기가 순환되면서 귀 안쪽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측정기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체온측정기기가 수납되는 수납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c는 체온측정기기가 수납장치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d는 착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체온측정기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센서부의 센싱범위에 근거한 제2 영역 및 러버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온도센서장치의 안테나의 배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무선통신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d는 제1 내지 제3 모듈이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연성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제2 바디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수납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수납센서에 온도측정장치가 장착됨을 감지하는 홀센서 및 자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측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c 및 도 9d는 감지된 체온에 근거한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측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측정시작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상태에 따른 월경 주기별 체온변화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측정기기와 연동하는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체온측정기기의 구동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 15a 및 도 15b는 가속도의 감지에 따라 체온감지를 실행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바로 측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수명상태를 분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측정기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a는 도 1a의 체온측정기기가 수납되는 수납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c는 체온측정기기가 수납장치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d는 착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사람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사람의 귀는 외이도(EAM)를 거쳐 외이(EE)의 끝에 고막(tm)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외이도(EAM)에 배치된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일 영역은 상기 외이도(EAM)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일단에는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외이도(EAM)에 삽입되면 상기 센서가 상기 고막(tm)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는 고막으로부터 발산되는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사용자의 귀에서 분리되면 상기 수납장치(2000)에 수납된다. 상기 수납장치(1000)는 바디부(2100), 덮개부(2200) 및 상기 덮개부(2200)를 상기 바디부(2100)에 연결하는 연결부(221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210)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2200)는 상기 바디부(2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2100)를 열거나 닫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2100)는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수납되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영역(2131)을 포함한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수납영역(2131)에 안착된 상태로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호 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수납영역(21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영역이 상기 바디부(2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2200)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하,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기기(10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a의 체온측정기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제1 바디(1100) 및 제2 바디(1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0, 1200)는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100)는 제1 영역(1110) 및 상기 제1 영역(1110)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영역(1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역(1120)의 외주는 상기 제1 영역(1110)의 외주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120)에 고무재질의 러버캡(1130)이 형성된다. 상기 러버캡(1130)이 상기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표면의 마찰력이 큰 러버캡(1130)에 의하여 귀로부터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러버캡(1130)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영역(1110)의 외주면과 일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러버캡(1130)은 상기 제2 영역(112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1120)은 상기 러버캡(11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121)과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벤트홀(11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1121)은 상기 제2 영역(1120)의 외주면의 일 영역이 특정 너비를 이루도록 리세스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러버캡(1130)은 상기 러버캡(11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홈(1121)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영역(1120)에 상기 러버캡(1130)이 고정되며, 상기 제2 영역(1120)과 상기 러버캡(113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돌기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 영역(1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트홀(1122)는 상기 제2 영역(1120)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1120)의 일 영역이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상기 벤트홀(1122)은 상기 제2 영역(11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역(1110, 1120)의 경계영역까지 형성된다.
상기 벤트홀(1122)의 일 영역은 상기 고정홈(1121)보다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1121)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더라도 상기 벤트홀(1122)의 상기 일 영역을 통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벤트홀(1122)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1120)과 상기 러버캡(1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러버캡(1130)이 장착된 상기 제2 영역(1122)이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벤트홀(1122)의 일 단부는 상기 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벤트홀(1120)의 타 단부는 귀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벤트홀(1122)를 통하여 상기 귀의 내부 및 외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벤트홀(1122)의 일 단부는 상기 제2 영역(1120)의 단부에 의하여 노출된 상태이고, 상기 제1 영역(1110)과 상기 러버캡(1130)의 틈을 통하여 상기 벤트홀(1122)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체온측정기기(1000)가 귀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도 공기가 통하도록 형성되므로, 압력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갑갑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온측정기기(1000)의 벤트홀은 상기 제1 바디(1110)의 외면에 형성되므로, 제1 바디(1110)의 내부를 관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벤트홀을 통하여 이물질 등이 상기 제1 바디(1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 바디(1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센서, 회로기판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벤트홀에 의하여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벤트홀은 상기 제1 바디부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센서부의 센싱범위에 근거한 제2 영역 및 러버캡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1 영역(1100)의 단부에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331)가 배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331)는 비접촉식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는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에너지를 IR센서로 받아드리고, 이를 측정가능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한다.
상기 온도센서(1331)은 특정 센싱범위(θ1)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서(1331)의 센싱범위(FOV)(θ1)는 약 100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331)는 중심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의 범위 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센서(1331)를 감싸는 상기 제2 영역(1120) 및 상기 러버캡(1130)의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홀(h1, h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홀(h1)은 상기 제2 영역(11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1331)가 노출된다. 상기 제1 홀(h1)의 크기는 상기 온도센서(1331)의 단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h1)을 이루는 상기 제2 영역(1120)의 내면은 빗면(1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빗면(1123)은 상기 온도센서(1331)로부터 특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온도센서(133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홀(h1)의 크기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특정 각도는 상기 온도센서(1331)의 센싱범위에 해당되는 각도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홀(h1)은 상기 온도센서(1331)의 센싱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러버캡(1130)은 상기 제1 홀(h1)과 대응되는 상기 제2 홀(h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홀(h2)은 상기 제2 홀(h1)보다 상기 온도센서(1331)으로부터 멀게 위치하며, 상기 제1 홀(h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홀(h1, h2)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홀(h1, h2)의 중심이 서로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홀(h2)을 이루는 상기 러버캡(1130)의 내면은 빗면(1131)으로 형성된다. 상기 빗면 또한 특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온도센서(133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 홀(h2)의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홀(h2)을 이루는 빗면(1131)의 기울어짐은 상기 제1 홀(h1)을 이루는 상기 빗면(1123)의 기울어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홀(h2)의 빗면의 기울임 정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홀(h1, h2)에 의하여 상기 온도센서(1331)의 센싱범위를 가리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331)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는 온도센서장치의 안테나의 배치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b는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무선통신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안테나부(1313)는 상기 제1 바디(1100)의 제1 영역(1110)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영역(1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 중 제1 모듈(1310)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모듈(1310) 중 상기 제2 바디(1200)과 마주보는 일 면 상에 상기 안테나부(13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모듈(1310)의 상기 이 면에는 상기 배터리부(1340)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바디(1200)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부(1340) 및 상기 안테나부(1313)가 커버된다.
상기 안테나부(1313)는 상기 배터리부(1340)을 둘러싸는 금속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31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a에 도시된 방향d가 상기 안테나부(1313)의 방사방향이다.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영역(1120)이 상기 귀의 안쪽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영역(1100)의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상기 제1 영역(1100)의 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안테나부(1313)는 귀의 내부에 삽입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부(1313)는 귀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131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영역(1120)이 상기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귓바퀴와 멀리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1313)는 상기 귀의 전방으로 방사되므로, 상기 안테나부(1313)의 무선통신 성능은 온도센서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제1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센서장치(1000)는 제1 바디(1100), 제1 바디(1200) 및 상기 제1 바디(110)에 장착되는 러버캡(1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1100)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3 모듈(1310, 1320, 1330)과 배터리부(1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1100)의 일단부(1100')로부터 상기 제2 영역(1120)이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1 영역(1100)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다만, 상기 제1 영역(1100)의 타단부(1100)는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1 방향(D2)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일단부(1100')와 상기 타단부(1100)의 단면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1200)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3)으로 상기 제1 영역(1100)의 타단부(11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타단부(1100)로부터 상기 제2 영역(112)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듈(1310, 1320, 1330)은 상기 제1 영역(1110) 및 상기 제2 영역(1120)에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제1 모듈(1310)은 상기 제2 바디(1200)와 인접한 상기 제1 바디(1100)의 상기 제1 영역(111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모듈(1310)의 최 외각 면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절단된 형상의 상기 제1 영역(1100)의 타단부(1100)에 대응된다. 상기 제1 모듈(1310)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1100)의 타단부(1100)가 가려진다.
상기 제1 모듈(1310)의 제1 면에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은 서로 적어도 일 영역이 중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모듈(1310)의 제2 면에는 상기 배터리부(1340)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측벽부가 돌출된다.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2 바디(1200)와 고정되기 위한 나선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340) 및 상기 온도센서(1331)은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모듈(1320)은 상기 제1 모듈(1310)의 제1 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의 주변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모듈(131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이 보호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모듈(1320)은 상기 제1 영역(1110)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측벽부(1321), 상기 측벽부(1321)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3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322)는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개구영역(1322a)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1321)는 상기 제1 영역(1110)의 내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바, 너비 및 측면의 기울림 정도가 가변 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1320)의 일 단에 상기 제3 모듈(1330)이 장착되고, 상기 제2 모듈(1320)의 타 단에 상기 제1 모듈(1310)이 장착된다.
상기 제1 모듈(131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치되는 센서지지부(1332) 및 상기 센서지지부(1332)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1333, 13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듈(131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상기 제2 영역(1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1331)를 지지한다. 상기 제1 모듈(1310)의 일 단부는 상기 온도센서(1331)을 지지하는 지지면(133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1333, 1334)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며, 단부가 홈에 끼워질 수 있는 후크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1333, 1334)의 각 후크구조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후크고정부(1333, 1334)의 각 후크구조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2 모듈(1321)의 내면에 제1 및 제2 고정홈(1321a, 132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1321a, 1321b)는 상기 제1 회로기판(131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1321a, 1321b)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고정부(1333, 1334)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후크고정보(1333, 1334)에 의하여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이 지지되어,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1321a, 1321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상기 제1 고정후크부(1333)을 먼저 상기 제1 고정홈(1321a)에 삽입하고, 상기 제2 고정후크부(1334)를 상기 제2 고정홈(1321b)에 삽입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1333, 1334)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후크부(1334)의 길이가 상기 제1 고정후크부(133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지지부(1332) 는 상기 제1 회로기판(1314)(및, 상기 제1 영역(1110)의 타단부(1110))를 기준으로 기울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후크고정부(1333, 1334)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1321a, 1321b)에 고정되면, 상기 제1 및 제2 후크고정부(1333, 1334)의 길이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후크고정부(1333)가 형성된 쪽이 더 아래로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지지부(1332)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 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바디(1100)에 상기 온도센서(1331)을 삽입한다. 상기 온도센서(1331)은 상기 제1 바디(1100)의 상기 제2 영역(1120) 단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2 영역(1120)에 상기 온도센서(1331)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기 제2 및 제3 모듈(1320, 1330)이 상기 제1 바디(1100)에 삽입된다. 상기 제2 및 제3 모듈(1320, 1330)은 상기 센서지지부(1332)가 상기 온도센서(1331)을 지지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은 상기 제2 모듈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바디(1100)의 상기 제1 영역(1110)에 삽입된 상기 제3 모듈(1330)에 상기 제1 모듈(1310)이 끼워진다. 상기 제1 모듈(1310)의 상기 수납영역에 상기 배터리부(1340)가 삽입된다. 상기 배터리부(1340)는 상기 제1 모듈(1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340)를 덮도록 상기 제1 바디(1100)에 상기 제2 바디(1200)이 고정되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1200)는 상기 제1 바디(1100)의 일 영역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출부(121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출부(1210)는 상기 제1 바디(11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2 바디(1200)가 상기 제1 바디(1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바디(1200)는 상기 제1 바디(11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d는 제1 내지 제3 모듈이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0, 1200)는 일 방향(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제1 바디(1100)의 상기 제2 영역(1120)에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온도센서(1331)가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만큼의 센싱범위를 갖는다.
상기 제1 바디(1100)의 상기 제1 영역(1110)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0, 1200)가 이루는 공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1314, 1316)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치되어 최대의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1100, 1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면서 최대의 넓이를 확보한 회로기판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바디(1100, 120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일 영역이 외이도에 삽입되고 나머지 영역은 귀의 외부를 덮지 거나 외부에 끼워지는 구조가 없다. 즉, 삽입되지 아니하는 영역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귀에 착용한 경우(특히, 착용하고 수면을 취하는 경우), 귀의 외부구조에 접촉되거나 지지되는 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회로기판을 상기 일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하여, 회로기판의 면적을 확보하는 바, 온도센서의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추가적인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비스듬하게 배치된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제1 및 제2 후크고정부를 이용하여 온도센서가 고막과 인접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막에 인접한 영역의 체온을 정확하기 측정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을 비스듬하게 배치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구현하므로 귓속에 장착되는 경우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d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외이도(EAm)에 끼워진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온도센서의 센싱범위안에 고막(tm)이 배치되는 영역이 포함되므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외이도 안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움직임이나 측정 자세에 따른 체온 측정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연성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온도센서(1311)는 연성회로기판(1315)에 의하여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센서지지부(1332) 및 상기 온도센서(1311)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기판(1314)는 상기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치된다.
도 5b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제1 고정후크부(1333)과 인접한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의 일 영역이 상기 온도센서(1311)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회로기판(1315)의 일단부는 상기 온도센서(1311)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의 상기 일 영역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연성회로기판(1315)은 상기 제1 고정후크부(1333)와 인접한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의 일 영역에 연결된다. 상기 제1 회로기판(1314)는 상기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1315)과 연결되는 단자부(13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314)의 상기 일 영역에 연결된 상기 연성회로기판(1315)상기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의 사이각(θ2) 만큼 구부러진다. 따라서 상기 연성회로기판(1315)의 절곡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제2 바디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1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1200)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디(1100)로부터 상기 제2 바디(1200)가 분리된다. 상기 제2 바디(1200)는 상기 제1 바디(1100)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손톱홈(1201)을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손톱홈(1201)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바디(1200)를 상기 제1 바디(110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는 손톱홈(1201)을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모듈(1310)은 상기 배터리부(13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1317)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1317)는 상기 배터리부(13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317)의 외면은 나사선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상기 측벽부(1317)를 감싸고 상기 배터리부(1340)를 수납하는 내부영역(1202)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영역(1202)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부(1200)의 내면에 상기 측벽부(1317)의 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1210)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317) 및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회전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317)는 상기 측벽부(1317)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317a)과 상기 가이드홈(1317a)의 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홈(1317b)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상기 내부영역(1202)을 이루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211)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1211)는 상기 가이드 홈(1317a)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100, 1200)가 상대회전 한다. 상기 돌기(1211)는 상기 가이드홈(1317a)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고정홈(1317b)에 안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100, 1200)가 고정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상기 제1 바디부(110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바디부(1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1100)가 상기 제1 바디부(11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배터리부(1340)가 노출된다. 상기 배터리부(1340)는 상기 제1 바디부(1100)로부티 분리되며, 분리형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걸림돌기(12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1100)는 상기 걸림돌기(1203)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부(1318)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부(1318)는 제1 및 제2 홈(1318a, 1318b)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1203)는 상기 제2 바디부(1200)가 상기 제1 바디부(1100)에 끼워지는 동안 상기 제1 홈(1318a)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2 홈(1318a)은 상기 제1 홈(1318a)의 끝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홈(1318a, 1318b)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홈(1318a)에 끼워진 상기 걸림돌기(1203)는 상기 제2 바디부(12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홈(1318b)에 끼워진다. 상기 제2 홈(1318b)에 끼워지면 상기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상기 제1 바디부(1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바디부(1200)는 상기 제1 홈(1318a)이 형성된 방향으로 끼워져, 특정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돌기(1203)이 상기 제2 홈(1318b)에 끼워짐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바디부(1100)에 고정된다.
도 8a는 수납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8b 및 도 8c는 수납센서에 온도측정장치가 장착됨을 감지하는 홀센서 및 자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장치(2000)는 상기 바디부(2100), 상기 덮개부(2200) 및 상기 덮개부(2200)를 상기 바디부(2100)에 연결하는 연결부(221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0)는 외관을 이루며 내부공간(2111)을 형성하는 제1 본체(2110)와 상기 내부공간(2111)에 장착되는 제2 본체(2120) 및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안착되기 위한 수납영역(2131)을 포함하는 제3 본체(2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30)는 상기 제2 본체(21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본체(2110)의 내부에 자석부(214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10)를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2112)과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고정부(2113)가 상기 제1 본체(2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2120)는 상기 제1 본체(2110)에 수납되며, 상기 스프링(21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212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2112)은 상기 개구부(2121)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22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2121)가 형성된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은 리세스부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가 형성된 일 영역에 의하여 상기 자석부(2140)가 커버된다. 상기 리세스부에 상기 제3 본체(2130)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2130)는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안착되기 위한 수납영역(2131)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영역(2131)은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리세스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영역(2131)은 상기 자석부(2140)와 중첩된 영역에 형성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상기 수납영역(2131)에 안착되면, 상기 자석부(214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상기 제1 회로기판(1314)(또는 제2 회로기판(1316))에 배치되는 홀센서(hall sensor)(1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홀센서(1350)는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홀센서(1350)에 의하여 감지되는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수납장치(2000)에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안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 센서(1350)가 상기 자석부(2140)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바디(1100)의 상기 제2 영역(1120)이 상기 자석부(2140)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 영역(1120)이 상기 수납영역(2131)에 삽입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수납장치(2000)에 수납되는 경우, 즉 상기 홀센서(1350)에 의하여 감지되는 자성변화에 따라 상기 자석부(2140)이 인접하였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홀센서(1350)에 의하여 자성변화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는 바, 체온측정기기(10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수납장치(2000)에 장착되어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전원이 오프(off)되어,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홀센서(1350)의 자성변화가 감지되어 상기 수납장치(2000)에 수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외부기기로 상기 체온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귀에 체온측정기기(1000)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을 제한함으로 인하여 통신에 따른 신체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수납장치(2000)는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제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수분을 흡수하는 실라카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전자레인지에 가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장치(2000)는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귀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측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측정기기(1000)는 외부기기(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100)와 연동한다. 상기 안테나부(1313)는 상기 외부기기(100)와 연동하여 측정기능을 실행하거나,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한다. 한편,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외부기기(100)에 의하여 설정된 시각에 측정을 시작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체온을 측정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가장 안정적인 수면상태인 비REM 수면 3-4단계에 해당되는 수면상태에서 복수 번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상기 특정 시간동안 측정된 체온정보의 평균값으로 체온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외부기기(100)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에 체온측정을 시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수신 받는다. 상기 체온측정의 제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생리 주기 중 기초체온이 가장 낮은 날을 배란일로 판단한다. 또한, 배란일 후 18일이상 기초체온이 고온기를 유지하면 임신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고온이 유지되지 않고 하락하면 월경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서 기초체온은 매일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가장 낮은 체온에 해당된다. 저녁부터 낮아져 일출전이 가장 낮으며 그 이후 다시 증가하게 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측정시간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일출시각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위치정보감지부(예를 들어, GPS)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즉, 외부기기(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측정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화면(510)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설정화면(510)은 상기 체온측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최초로 실행되는 경우, 측정시작시각이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 등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화면(510)은 외부기기(100)의 위치정보에 따른 일출정보(511) 및 상기 일출정보에 따라 계산된 측정시작시각에 대한 정보(510a)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시작시각은 상기 일출시각으로부터 2시간 이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자가 깨어나는 시각 2시간전에 가장 안정적인 비REM 수면 3-4단계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상기 제1 설정화면(510)은 기 저장된 알람 시각 정보(512) 및 상기 알람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계산된 측정시작시각에 대한 정보(510b)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기기(100)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알람시각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알람시각으로부터 2시간 전으로 측정시작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 설정화면(51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측정시작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거주지역정보를 변경하거나 알람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설정화면(510)을 이용하여 측정시작시각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측정시작시각은 취침후 3시간 내지 4시간 후 또는 기상전 2시간 동안이 바람직하다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설정화면(510)에서 위치 설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알람 시각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측정시작시각을 별도로 설정하지 아니하여도, 필요한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의 취침시각을 예측하고, 측정시작시각을 추천할 수 있다.
도 9c 및 도 9d는 감지된 체온에 근거한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외부기기(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측정된 체온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수신된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체온 데이터를 형성하고, 체온의 변화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기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진 경우, 제1 알림정보(611)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알림정보(611)는 월경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분석결과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결과정보는 낮은 체온이 측정된 경우 배란의 예상, 체온이 상승한 후 급격히 떨어진 경우 월경의 시작을 예상, 체온의 고온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임신을 예상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림정보(611)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기기(100)는 측정된 체온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알림정보(61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알림정보(61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기초체온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결과화면(52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1 결과화면(520)은 체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521), 체온 변화를 설명한 설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체온의 변화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체온 자체가 정상체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알림정보(712)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림정보(712)는 팝업윈도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알림정보(712)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외부기기(100)는 진동을 출력하거나 특정 청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온의 변화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초체온의 사이클이 뚜렷하지 아니한 경우로 내원을 권고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2 알림정보(712)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2 알림정보(712)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화면 상에 추가적인 분석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측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취침전 기초체온 측정을 권고하는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알림정보(61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3 알림정보(612)는 발생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 및 외부기기(100)의 구동정보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알림정보(612)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체온을 측정하는 설정화면(532)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설정화면(532)는 요일별로 기초체온 측정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531)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특정 시간동안 감지된 체온정보가 체온에 해당하는 온도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체온측정기기(1000)가 사용자의 귀에서 분리된 것으로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체온측정기기가 귀에서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제4 알림정보(712)를 출력한다. 상기 제4 알림정보(712)는 팝업윈도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100)는 진동을 출력하거나 청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특정 기준에 의하여 비정상적인 체온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정확한 착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배터리의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기기(100)는 배터리의 잔여량이 기준잔여량 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 교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이 불규칙하거나 정확한 측정이 지속되는 경우에도 측정에 대한 결과 정보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이드정보에 근거하여 보다 정확하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통하여 차후 보다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측정시작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측정시간 검출화면(530)을 출력한다. 상기 검출화면(530)은 가이드 정보(533) 및 측정 기간 설정 이미지(534)를 포함한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설정된 특정 기간 동안 체온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외부기기(100)는 가장 낮은 기초체온이 나타나는 시간을 중심으로 측정시작시각을 설정하도록 추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한 측정시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체온정보에 근거한 결과이미지(535)를 출력한다. 상기 결과이미지는 설정된 특정 기간 동안의 체온변화 및 가장 낮은 기초체온이 나타내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추천 측정시각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상하기 전 2시간 전부터 측정하도록 설정되며, 특정 주기 약 10분마다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평균적인 수면 사이클은 90분이며, 이 중 체온이 가장 안정적인 비REM 3~4단계는 대략 25분 정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10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면,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수면주기가 불규칙해지더라도 가장 체온이 가장 안정적인 수면 단계인 비REM 3-4단계에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상태에 따른 체온변화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외부기기(100)에 체온 정보들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수납장치(20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정보들을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10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정보들을 송신하거나, 상기 체온이 측정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기기(100)에 체온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수신된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체온데이터를 형성하고, 이에 따른 결과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월경 주기 동안의 일반적인 기초체온 그래프를 도시한다. 저온기와 고온기가 반복되며, 저온기가 끝날 때 최저 체온을 기록하고 고온기로 진입한다. 이 경우 이전달 기반 다음달 배란예측일 및 월경시작 예측일 2일 전부터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b)는 저온기 후 체온 상승이 오래 걸리는 경우의 체온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저온기 이후 체온의 상승이 뚜렷하지 않고 오래 걸리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는 이전달 기반으로 다음달 체온상승 이전에 보다 정확한 배란일 확인을 위하여 배란테스트의 활용을 권고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c)의 경우, 고온기가 불안정한 체온감지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기기(100)는 컨디션 조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d)의 경우, 저온기가 길고 고온기가 짧은 경우에 해당된다. 저온기가 길어져 전체 생리 사이클이 60일 이상이 되면 희소월경상태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기기(`00)는 이전달 기반으로 다음달 체온상승 이전에 배란테스트의 활용을 권고하며, 병원의 내원을 권고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e)의 경우, 체온의 변화가 들죽날쭉하게 측정된 그래프이다. 이 경우 상기 외부 기기(`00)는 이전달 기반으로 다음달 체온상승 이전에 배란테스트의 활용을 권고하며, 배란점액 및 배란통을 확인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f)의 경우, 저온기와 고온기 구분이 불가능한 체온측정 그래프에 해당된다. 이 경우 상기 외부기기(100)는 2개월이상 전체 기초체온의 변동폭이 기 설정된 온도 (0.2도) 변화가 측정되지 아니하면 무배란 의심 상태로 판단하며, 병원 검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부는 생리시작후 2-3일이 지나도 기초체온이 특징 온도(0.2도) 이상 떨어지지 않는 경우, 배란일(기초체온 최저일) 이후 고온기가 2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임신 테스터의 사용을 권고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저온기 및 고온기의 구별이 불가한 경우애는 병원방문을 권고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측정기기와 연동하는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실행화면(541)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실행화면(541)은 오늘 기상 전 측정한 기초체온을 숫자로 표시하고, 어제 날짜의 기초체온 대비 상승/하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리, 임신, 배란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초체온은 기상시각 2시간전부터 2시간동안 10분간격으로 12회 측정한 체온 중 가장 낮은 체온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1 실행화면(541)은 날짜별 기초체온의 변화량을 도시하는 그래프(541a) 및 체온측정기기(1000)의 구동정보(54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실행화면(541)에 특정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2 실행화면(542)이 출력된다. 상기 제2 실행화면(542)은 측정된 체온의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체온정보들을 바탕으로 생리주기 패턴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실행화면(542)은 패턴 데이터에 따른 그래프(542a)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프(542a)는 체온의 변화를 나타내고, 생리일, 배란일, 가임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실행화면(542)은 날짜별로 기록한 기초체온 데이터 목록(542b)을 포함한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달력화면으로 이루어지는 제3 실행화면(543)을 출력한다. 상기 달력화면(543)은 측정된 기초체온을 기록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데이터(생리여부, 성관계 유무, 배란유도제 복용 및 주사여부, 감기약, 항생제 복용 여부, 메모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달력화면을 통하여 기초체온뿐만 아니라 기초체온 결과를 통한 데이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행화면(543) 상에 인가된 특정 방식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실행화면(543)이 제4 실행화면(544)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4 실행화면(544)은 체온측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된 사용자 이외의 타인의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초체온의 측정이 아닌,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를 이용하여 현재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실행화면(454)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면,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체온측정이 실행된다.
또한, 기상 전 약 2시간 이전의 기초체온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체온을 측정하고 특정 온도 범위를 넘어가면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측정된 체온정보가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수신된 체온정보가 특정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체온의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측정된 테이터의 목록을 제5 실행화면(545)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5 실행화면(545)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바로 측정된 데이터 또는 하룻밤 측정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3c는 체온 측정시작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도시한다. 상기 설정하기 위한 화면은 요일별로 측정 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하나의 요일을 선택하면, 시각을 변경할 수 있는 제6 실행화면(546)이 출력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체온측정기기의 구동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온측정기기(1000)는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기기(100)에 감지된 체온정보 및/또는 구동상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기 설정된 체온 측정시작시간 이후에 정상 범위 내의 체온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 측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제1 경고 이미지(548a)를 출력한다. 상기 제1 경고 이미지(548a)는 체온계의 위치를 확인해 달라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동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수납장치(2000)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체온정보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송신한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상기 체온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 제2 경고 이미지(548b)를 출력한다. 상기 제2 경고 이미지(548b)는 페어링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에 포함되는 메모리는 정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페어링 상태가 정상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저장되어 있던 정보들을 모두 외부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기기(100)는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이를 나타내는 제3 경고 이미지(548c)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100)는 수신된 체온정보가 불규칙적인 경우에 상기 제3 경고 이미지(548c)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배터리의 부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100)에 무선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 15a 및 도 15b는 가속도의 감지에 따라 체온감지를 실행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상기 수납장치(2000)로부터 분리가 감지되면(S11), 온도센서를 활성화시킨다(S12).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포함되는 감지부에 근거하여 가속도의 변화가 감지(S13)되지 아니하면 특정 주기로 온도를 감지한다(S14).
즉, 상기 가속도의 변화가 감지되지 아니한 움직임이 없으며 측정되는 온도 값이 체온 범위에 해당할 때를 수면상태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의 여부를 기준으로 온도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상기 외부기기(100))의 위치정보에 근거한 일출시각 정보를 획득한다(S21),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일출 시각 정보에 근거하여 감지부(가속도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일출 시각의 2시간 전부터 상기 감지부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S23), 상기 가속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 특정 주기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24).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체온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6은 바로 측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200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전원이 온(ON)된다.
상기 외부기기(100)를 통하여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가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는 감지된 체온정보를 상기 외부기기(1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수신된 체온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은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wearable) 기기는 손목, 손가락 및 두상에 착용되는 와치타입 단말기, 링타입 단말기 및 글라스 타입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 영역에 착용되어,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온측정기기를 통하여 감지되는 체온정보와 웨어러블 기기에 의하여 감지되는 움직임 정보를 통하여 수면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면상태는 깊은(deep)수면 상태, 가벼운(light) 수면 상태, 및 ??상태(awake)로 구별할 수 있다. 수면 단계 중, 움직임의 정도가 실질적으로 같은 N3/N4 상태와 REM 수면 상태를 구별하는 것이 수면의 깊이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 단독 사용은 움직임 만으로 수면단계를 판단하기 때문에 REM수면단계와 비REM 3/4단계를 구분할 수 없다. 또한, 깸상태에서는 움직임이 있으나 감지부의 움직임 정보만으로는 ??상태를 구별하지 못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체온측정기기(1000)의 체온을 함께 분석하면 보다 정확한 수면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아니하면서 체온이 불규칙한 경우는 REM 수면 상태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아니하면서 체온이 안정적인 경우 N3/N4상태로 구별하며, 움직임이 있으면서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깸상태로 판단한다. REM 수면상태는 주로 꿈을 꾸는 단계로 대뇌가 활발하게 활동하여 신체의 움직임은 없지만 안구의 운동이 활발한 상태에 해당된다. N1 상태는 완전한 수면과 깨어있음 사이의 과도기 상태이고, N2 상태는 뇌파의 진폭과 주파수가 감소하고 서서히 깊은 수면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N3/N4 상태는 깊은 (deep) 수면 상태에 해당되어 가장 깊은 수면 단계에 해당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의하여 움직임이 측정 되었는지 판단한다(S31).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체온의 규칙성이 있는 지, 체온이 안정적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35).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체온의 규칙성이 있고 안정되어 있을 경우 비 REM수면상태의 N3/N4 단계로 분류하고(S36), 체온의 규칙성이 없고 안정되지 않은 경우 REM수면상태로 분류한다.
웨어러블 장치에 의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태(Awake)로 분류한다(S33). 다만, 상기 움직임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미세한 움직임(뒤척거림 정도)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REM수면의 N1/N2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온감지와 움직임 감지를 통하여 수면단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장치 제조 및 설계 분야에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상기 제1 영역을 감싸고, 귀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러버캡;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센싱범위를 갖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러버캡은 상기 온도센서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절단된 일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일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절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 단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가장 인접한 상기 온도센서의 일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영역의 내면은 빗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홀을 형성하는 상기 러버캡의 내면은 빗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빗면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및 제2 홀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빗면은 상기 센싱범위를 포함하도록 특정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러버캡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러버캡은 내면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경계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역의 외면이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벤트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과 상기 러버캡의 틈에 의하여 상기 벤트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기 벤트홀의 일 영역은 상기 고정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모듈;
    상기 제1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제1및 제2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2 모듈;
    상기 제2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센서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3 모듈을 포함하는 체온측정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일 면에 배터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나사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측벽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나사선을 구비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회전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 홈에 고정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면은 상기 제1 영역의 외면의 일 영역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온도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부와 상기 센서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모듈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의 각 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후크부의 후크구조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은 각각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일 면에 배치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측정된 체온정보를 상기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기기.
  18.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홀센서를 구비하는 체온측정기기; 및
    상기 체온측정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치는,
    외관을 이루며,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본체 및 오목한 형상으로 상기 체온측정기기가 수납되는 수납영역을 포함하는 제3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기기는 상기 홀센서에 의하여 자성변화를 감지하며, 자성변화가 감지 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기기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온측정기기는 상기 홀센서에 의하여 자성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장치.
PCT/KR2017/014657 2017-03-21 2017-12-13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WO201817437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901762.9A EP3603494B1 (en) 2017-03-21 2017-12-13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4094P 2017-03-21 2017-03-21
US62/474,094 2017-03-21
KR1020170055572A KR102454123B1 (ko) 2017-03-21 2017-04-28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KR10-2017-0055572 2017-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4378A1 true WO2018174378A1 (ko) 2018-09-27

Family

ID=6358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657 WO2018174378A1 (ko) 2017-03-21 2017-12-13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6412B2 (ko)
EP (1) EP3603494B1 (ko)
WO (1) WO2018174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9605B2 (en) * 2017-12-08 2020-12-22 Applied ThermoLogic, LLC Noninvasive microwave radiometric sensing of a tympanic membrane
CN109211436B (zh) * 2018-11-15 2020-07-14 吴子奇 一种无线耳温计
JP7239150B2 (ja) * 2018-12-14 2023-03-14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耳式体温計
JP7313657B2 (ja) * 2019-02-27 2023-07-25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耳式体温計
CN111000533B (zh) * 2019-11-26 2022-05-13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兽医诊断用病猪体温持续检测设备
CN111220278B (zh) * 2020-03-27 2021-02-02 北京东厚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低能耗便携式的蓝牙红外体温计
JP6951805B1 (ja) * 2020-12-23 2021-10-20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体温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44A (ko) *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10082010A (ja) * 2008-09-29 2010-04-15 Terumo Corp 耳内挿入型体温計
JP2010131209A (ja) * 2008-12-04 2010-06-17 Japan Atomic Energy Agency 耳栓型個人熱中症警報装置
US20120114160A1 (en) * 2010-11-09 2012-05-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Tunable earphone
WO2016083807A1 (en) * 2014-11-25 2016-06-02 Inova Design Solutions Ltd Portable physiology monitor
JP2017003538A (ja) * 2015-06-16 2017-01-05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体温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0764A1 (en) * 1979-09-12 1981-03-19 M Jacobs Hand-held digital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US5874736A (en) * 1996-10-25 1999-02-23 Exergen Corporation Axillary infrared thermometer and method of use
JP3514138B2 (ja) * 1998-09-29 2004-03-31 テルモ株式会社 プローブカバー取り外し機構および耳式体温計
EP1521070B1 (en) * 1998-10-20 2007-05-16 Omron Healthcare Co., Ltd. Infrared thermometer
US7785266B2 (en) * 2003-08-19 2010-08-31 Advanced Monitors Corporation Medical thermometer for determining body core temperature
US20050083991A1 (en) * 2003-10-17 2005-04-21 Anthony Wong Probe cover storage system for ear thermometer
GB2411719B (en) * 2004-03-04 2008-02-06 Leon Thomas Lee Marsh Hydration monitor
TWM270786U (en) * 2004-08-02 2005-07-21 Mesure Technology Co Ltd Thermometer featuring two temperature detection modes
MX2011004364A (es) * 2008-10-23 2011-07-20 Kaz Inc Termometro medico sin contacto con proteccion de radiacion parásita.
CN104958069B (zh) * 2011-06-30 2018-04-20 百略智慧财产责任有限公司 温度测量装置的探头结构
AT512978B1 (de) * 2012-06-08 2015-10-15 Hagl Peter Dipl Ing Abdeckkappe, Messgerät mit Abdeckka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eckkappe
US8452382B1 (en) * 2012-09-21 2013-05-28 Brooklands Inc. Non-contact thermometer sensing a carotid arter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44A (ko) *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무선 음성 입출력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10082010A (ja) * 2008-09-29 2010-04-15 Terumo Corp 耳内挿入型体温計
JP2010131209A (ja) * 2008-12-04 2010-06-17 Japan Atomic Energy Agency 耳栓型個人熱中症警報装置
US20120114160A1 (en) * 2010-11-09 2012-05-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Tunable earphone
WO2016083807A1 (en) * 2014-11-25 2016-06-02 Inova Design Solutions Ltd Portable physiology monitor
JP2017003538A (ja) * 2015-06-16 2017-01-05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体温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0349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6412B2 (en) 2020-10-27
EP3603494A4 (en) 2020-11-04
US20180274990A1 (en) 2018-09-27
EP3603494B1 (en) 2022-03-16
EP3603494A1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74378A1 (ko)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EP365261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and storage medium thereof
WO2018012749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usb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for usb interface
WO201919015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flex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610854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WO20181398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3015488A1 (ko)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 방법
EP3329320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device
WO2012067423A2 (ko)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온도측정장치
WO20170230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put apparatus
WO2019135486A1 (ko)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WO2016148356A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센서 제어 방법
WO2018088612A1 (ko) 와치타입 단말기
WO202017145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editation application
WO2015163544A1 (en) Mobile terminal
WO2020101435A1 (en) Method for sensing external shoc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7160096A2 (ko) 스마트 신발 모듈
WO2021033862A1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16756A1 (en) Method for guiding measurement of biological signal in wearable device
WO202018987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54123B1 (ko) 체온측정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체온측정장치
WO2020197250A1 (ko) 사용자의 측두근을 모니터링하는 안경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036355A1 (ko) 배터리 접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126123A1 (ko)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10107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rce ke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017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9017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