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97454A1 - 양방향 dc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양방향 dc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97454A1
WO2018097454A1 PCT/KR2017/009003 KR2017009003W WO2018097454A1 WO 2018097454 A1 WO2018097454 A1 WO 2018097454A1 KR 2017009003 W KR2017009003 W KR 2017009003W WO 2018097454 A1 WO2018097454 A1 WO 20180974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current
voltage
polarit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0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혜린
김지효
김주현
손병일
김영훈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0974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974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that can measure both the amount of transmission power and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by one power meter.
  • the power receiving meter is metered in the power receiving state, and the power metering meter is metered in the power generation state.
  • the reverse algae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EPCO system, which causes over- and under-measurement error in the faucet meter and power generation meter.
  • the power transmission meter is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power reception meter, and the two-way meter for measuring both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reception is simply used by combining two unidirectional meters. Therefore, since two meters need to be used for bidirectional measur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unnecessary cost increase and installation space increase.
  • the current processing unit includes a second rectifying circuit unit for rectifying the current signal detected from the power line into a direct current signal, wherein the current polarity detecting unit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rectifying circui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into two rectifier-circuit parts.
  • the volt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first rectifying circuit unit for rectifying the voltage signal detected from the power line into a DC signal, wherein the voltage polarity detecting unit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rectifying circui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ctifier circuit portion.
  • FIG. 7 is a table illustrating whether or not a reverse connection of a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ult thereof accordingly are shown.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oltage processor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receives a voltage from the power line to detect and rectify the voltage signal.
  • the voltage processor 100 detects and rectifies the voltage signal of the power line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voltage input from the power line.
  • the voltage processor 100 includes a first rectifier circuit 110 to rectify the voltage signal detected from the power line into a DC signal, and the current processor 200 rectifies the current signal detected from the power line into a DC signal.
  • the circuit unit 210 is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polarity detecting unit 230 connected to the second rectifying circuit unit 210 to determine the direction (polar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rectifying circuit unit 210.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etermination module 320 of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that the power (received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company is low, and the generated signal is low.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by supply power (transmission power) generated by the customer and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company.
  • the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includes a voltage processor 100, a current processor 200, a first rectifier circuit 110, a second rectifier circuit 210, The voltage A / D converter 120, the current A / D converter 220, the voltage polarity detector 130, the current polarity detector 230, and the controller 300 are included.
  • the display unit 4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 the voltage processor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receives a voltage from the power line to detect and rectify the voltage signal.
  • the voltage processor 100 detects and rectifies the voltage signal of the power line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voltage input from the power line.
  • the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iring is normal or the wiring is reversed with the changed polarity.
  • the voltage polarity detector 130 is branched from one node (for example, A node of FIG. 5) on the diode bridg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ier circuit 110.
  • the voltage polarity detector 130 generates a high signal when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node A flow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generates a low signal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ransmits the low signal to the reverse connection determination module 330 of the controller 300.
  • the voltage polarity detector 130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voltage polarity detector 130 generates a high signal by outputting a positive value, and generates a low signal by outputting “0”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etermination module 320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or reception is performed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urrent polarity detection unit 230 in connection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reverse connection determination module 330. That is, in the state of normal connection, i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urrent polarity detection unit 230 is H, it is determined as the power receiving power, and if it is L, it is determined as the power transmission power. In the state of reverse connection, i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urrent polarity detection unit 230 is H, it is determined as the power transmission power, and if it is L, it is determined as the power reception power.
  • the bidirectional DC power me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one device, it is possible to inform whether the normal connection or the reverse connection, and whether the reverse connection and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judgment according to the power reception power and Since power transmission power can be distinguished, it is effective that accurate charge calculation is eas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전력량계로 송전 전력량 및 수전 전력량을 모두 계측할 수 있는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전력선으로부터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전압 처리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전류 처리부; 상기 전류 처리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류 극성 검출부; 상기 전압 처리부 및 전류 처리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및,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DC 전력량계
본 발명은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전력량계로 송전 전력량 및 수전 전력량을 모두 계측할 수 있는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력을 소비하는 수용가에서 태양열 에너지 등 별도의 발전 전력을 생성하는 경우, 수용가는 수전용 계량기와 송전용 계량기를 각각 설치하여 수전 전력량과 송전 전력량을 각각 계측하여 정산한다.
이때, 수전 상태에서는 수전용 계량기가 계량되며, 발전 상태에서는 송전용 계량기가 계량된다. 그러나 수용가와 무관하게 한전 계통의 영향으로 역조류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수전 계량기와 발전 계량기가 과부족 계량오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송전용 계량기도 수전용 계량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전용과 수전용을 모두 계량하는 양방향 계량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2대의 단방향 계량기를 결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양방향 계측을 위해 2대의 계량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비용의 증가 및 설치 공간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전력량계로 송전 전력량 및 수전 전력량을 모두 계측할 수 있는 양방향 DC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전력선으로부터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전압 처리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전류 처리부; 상기 전류 처리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류 극성 검출부; 상기 전압 처리부 및 전류 처리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및,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전류 처리부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검출된 전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제2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는 상기 제2 정류 회로부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2 정류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전압 처리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압 신호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압 극성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압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전압 처리부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제1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극성 검출부는 상기 제1 정류 회로부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정류 회로부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 연산모듈과,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는 송수전 판단모듈과, 상기 전압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압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판단하는 역결선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송수전 판단모듈은, 상기 역결선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와 연계하여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 전력 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수전 전력)과 수용가에서 생성되어 전력 공급회사로 공급하는 전력(송전 전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요금 산정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로,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알려줄 수 있으며, 역결선 여부 및 이에 따른 송수전 판단 결과를 알려주어 정확한 요금 산정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 및 전류 극성 검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의 역결선 여부 및 이에 따른 송수전 판단 결과가 도시된 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전압 처리부(100), 전류 처리부(200), 제1 정류 회로부(110), 제2 정류 회로부(210), 전압 A/D 변환부(120), 전류 A/D 변환부(220), 전류 극성 검출부(23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400),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처리부(100)는 전력선과 연결되며 전력선으로부터 전압을 입력 받아서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한다. 전압 처리부(100)는 전력선으로부터 입력 받은 전압으로 본 발명의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전력선의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한다.
전류 처리부(200)는 전력선과 연결되며 전력선으로부터 전류를 입력 받아서 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한다. 전류 처리부(200)는 전력 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한 전류 신호와, 수용가에서 생성된 전력에 의한 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한다.
전압 처리부(100)는 전력선으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제1 정류 회로부(110)를 포함하고, 전류 처리부(200)는 전력선으로부터 검출된 전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제2 정류 회로부(210)를 포함한다.
제1 정류 회로부(110) 및 제2 정류 회로부(210)는 정류의 대상만 다를 뿐,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1 정류 회로부(110) 및 제2 정류 회로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정류 회로부(110, 210)에 대한 하나의 예시일 뿐,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류 회로로 대체 가능하다.
도 4에서 두 접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4개의 다이오드(D1~D4)로 브릿지 회로를 구성한다. 다이오드(D1~D4)는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성질을 가진 반도체 소자이다. 즉, 순방향일 때 도통되고, 역방향일 때 불통된다.
상기와 같은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에서 입력단에 순방향 전압이 입력되든, 역방향 전압이 입력되든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 극성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전압 처리부(100) 및 전류 처리부(200)로 입력된 전압 또는 전류는 각각 제1 정류 회로부(110) 및 제2 정류 회로부(210)를 거쳐서 입력단의 극성에 상관없이 (+) 극성으로 정류되어 출력된다.
(+) 극성으로 정류되어 출력된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는 각각, 전압 A/D 변환부(120) 또는 전류 A/D 변환부(220)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부(120, 220)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300)의 전력 연산모듈(310)로 전송되고, 전력 연산모듈(310)은 P=VI를 적용하여 전력선을 통해 수전된 전력량 또는 송전된 전력량을 연산한다.
이때, 전류 처리부(200)에 입력되어 정류 처리된 전류 신호는 원래의 극성에 관계없이 모두 (+) 극성으로 정류되어 출력되므로, 전력 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한 소비 전력량(수전 전력이라 함)인 지, 수용가에서 생성되어 전력 공급회사로 공급하는 공급 전력량(송전 전력이라 함)인 지 구별되지 않아서, 정확한 요금 산정이 어렵다.
수전 전력의 전류 극성이 (+)이면, 송전 전력의 전류 극성은 (-)인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류의 극성을 판단하여 수전 전력과 송전 전력을 구별하여 정확한 양방향 DC 전력량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2 정류 회로부(210)와 연결 형성되어, 제2 정류 회로부(21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극성)을 판단하는 전류 극성 검출부(230)를 구비한다.
전류 극성 검출부(230)는 도 4의 다이오드 브릿지 상의 어느 한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A노드)에서 분기되어 제2 정류 회로부(210)와 연결 형성된다. 전류 극성 검출부(230)는 노드 A에서 분기되어 흐르는 전류가 순방향이면, High 신호를 생성하고, 역방향이면 Low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의 송수전 판단모듈(320)로 전송한다. 순방향인 경우, 전류 극성 검출부(230)는 양의 값을 출력하여 High 신호를 생성하고, 역방향인 경우 “0”을 출력하여 Low 신호를 생성한다.
전류 극성 검출부(230)는 전류의 극성을 판단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회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전류 극성 검출부(230)가 다이오드일 경우, 순방향 전류이면 출력값이 (+)인 High 신호를 생성하고, 역방향 전류이면 출력값이 0이므로, Low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0)의 송수전 판단모듈(320)은 전류 극성 검출부(230)에서 생성된 신호가 High인 경우, 전력 공급회사에서 공급된 전력(수전 전력)으로 판단하고, 생성된 신호가 Low인 경우, 수용가에서 생성되어 전력 공급회사로 공급하는 공급 전력(송전 전력)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00)의 전력 연산모듈(310)은 P=VI를 적용하여 전력선을 통해 수전된 전력량 또는 송전된 전력량을 연산한다.
표시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의하여 측정된 전압, 전류, 송전 전력, 수전 전력, 순간 전력 또는 특정 시점까지의 누적 전력을 표시하며, 추가적으로 외부통신 상태, 회로차단 여부, 전력 사용량 및 배터리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누적 전력량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소비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대 별로 외부에서 공급받는 수전 전력량과 자가 발전을 통해서 외부로 공급되는 송전 전력량을 합산하여 증감형식으로 전력량을 표기할 수 있어 시간대별 전력수요에 관한 정확한 전력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표시부(400)를 통하여 출력되는 항목을 외부 단말기(도면 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유/무선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500)에는 유선 통신 수단과 무선 통신 수단이 포함되며 유선 통신 수단으로 RS-232/485, DCPLC, PLC, NFC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수단으로 WiFi, Zigbee, Bluetooth, CDMA/GSM, 3G, LTE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전력 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수전 전력)과 수용가에서 생성되어 전력 공급회사로 공급하는 전력(송전 전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요금 산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전압 처리부(100), 전류 처리부(200), 제1 정류 회로부(110), 제2 정류 회로부(210), 전압 A/D 변환부(120), 전류 A/D 변환부(220), 전압 극성 검출부(130), 전류 극성 검출부(23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400),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제1 실시예의 양방향 DC 전력량계와 비교하여 전압 극성 검출부(130)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300)에 역결선 판단 모듈(330)을 더 구비한 점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전압 처리부(100), 전류 처리부(200), 제1 정류 회로부(110), 제2 정류 회로부(210), 전압 A/D 변환부(120), 전류 A/D 변환부(220), 전류 극성 검출부(23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처리부(100)는 전력선과 연결되며 전력선으로부터 전압을 입력 받아서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한다. 전압 처리부(100)는 전력선으로부터 입력 받은 전압으로 본 발명의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전력선의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한다.
전압 처리부(100)에 입력되어 정류 처리된 전압 신호는, 제1 정류 회로부(110)에 의해 원래의 극성에 관계없이 모두 (+) 극성으로 정류되어 출력되므로, 본 발명의 양방향 DC 전력량계가 전력선에 정상 결선되어 있는 지, 또는 극성이 바뀐 채로 역결선되어 있는 지 판단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전압 처리부(100)의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정류 회로부(110)와 연결 형성되어, 제1 정류 회로부(11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극성)으로부터 전압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압 극성 검출부(130)를 구비한다.
전압 극성 검출부(130)는 전류 극성 검출부(230)와 유사하게 다이오드 브릿지 상의 어느 한 노드(예를 들어, 도 5의 A노드 참조)에서 분기되어 제1 정류 회로부(110)와 연결 형성된다. 전압 극성 검출부(130)는 노드 A에서 분기되어 흐르는 전류가 순방향이면 High 신호를 생성하고, 역방향이면 Low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의 역결선 판단모듈(330)로 전송한다. 순방향인 경우, 전압 극성 검출부(130)는 양의 값을 출력하여 High 신호를 생성하고, 역방향인 경우 “0”을 출력하여 Low 신호를 생성한다.
전압 극성 검출부(130)는 전류의 극성을 판단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회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전압 극성 검출부(130)가 다이오드일 경우, 순방향 전류이면 출력값이 (+)인 High 신호를 생성하고, 역방향 전류이면 출력값이 0이므로, Low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0)의 역결선 판단모듈(330)은 전압 극성 검출부(130)에서 생성된 신호가 High인 경우, 정상결선으로 판단하고, 생성된 신호가 Low인 경우, 역결선으로 판단한다.
도 7은 전압 극성 검출부(130) 및 전류 극성 검출부(230)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부(300)에서 본 발명의 양방향 DC 전력량계의 역결선 여부 및 이에 따른 송수전 판단 결과가 도시된 표이다.
도 7에서 V는 전압 극성 검출부(130), I는 전류 극성 검출부(230)를 의미하며, H는 검출 결과가 High, L은 검출 결과가 Low인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300)의 역결선 판단모듈(330)는 전압 극성 검출부(130)의 검출 결과가 H이면 정상결선으로, L이면 역결선으로 판단한다.
송수전 판단모듈(320)은 역결선 판단모듈(330)의 판단 결과와 연계하여 전류 극성 검출부(230)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정상결선인 상태에서, 전류 극성 검출부(230)의 검출 결과가, H이면 수전 전력으로 판단하고, L이면 송전 전력으로 판단한다. 역결선인 상태에서, 전류 극성 검출부(230)의 검출 결과가, H이면 송전 전력으로 판단하고, L이면 수전 전력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DC 전력량계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알려줄 수 있으며, 역결선 여부 및 이에 따른 송수전 판단 결과를 알려주어서 수전 전력과 송전 전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요금 산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양방향 DC 전력량계는, 하나의 장치로, 전력 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수전 전력)과 수용가에서 생성되어 전력 공급회사로 공급하는 전력(송전 전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요금 산정을 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장치로,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알려줄 수 있으며, 역결선 여부 및 이에 따른 송수전 판단 결과를 알려주어 정확한 요금 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전력선으로부터 전압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전압 처리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류 신호를 검출하여 정류하는 전류 처리부;
    상기 전류 처리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류 극성 검출부;
    상기 전압 처리부 및 전류 처리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및,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양방향 DC 전력량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처리부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검출된 전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제2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는 상기 제2 정류 회로부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2 정류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 전력량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처리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압 신호의 극성을 검출하는 전압 극성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압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 전력량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압 처리부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검출된 전압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제1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극성 검출부는 상기 제1 정류 회로부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정류 회로부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 전력량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 연산모듈과,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류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는 송수전 판단모듈과,
    상기 전압 극성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압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정상결선 또는 역결선 여부를 판단하는 역결선 판단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 전력량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수전 판단모듈은,
    상기 역결선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와 연계하여 상기 전류 극성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송전 또는 수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DC 전력량계.
PCT/KR2017/009003 2016-11-23 2017-08-18 양방향 dc 전력량계 WO201809745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29A KR101828064B1 (ko) 2016-11-23 2016-11-23 양방향 dc 전력량계
KR10-2016-0156429 2016-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454A1 true WO2018097454A1 (ko) 2018-05-31

Family

ID=6119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003 WO2018097454A1 (ko) 2016-11-23 2017-08-18 양방향 dc 전력량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064B1 (ko)
WO (1) WO2018097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673A (zh) * 2018-12-14 2019-03-19 国家电网有限公司 电能计量装置接线正误识别培训评价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670A (ko) * 2008-01-28 2009-07-31 한국전력공사 디지탈 전력량계의 오결선 감지방법
KR100987667B1 (ko) * 2010-07-07 2010-10-13 (주)대우건설 양방향 전자식 전력량계
KR20100115210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씨에스 원격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150010412A (ko) * 2013-07-19 2015-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지능형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16039A (ko) * 2013-08-02 2015-0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670A (ko) * 2008-01-28 2009-07-31 한국전력공사 디지탈 전력량계의 오결선 감지방법
KR20100115210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씨에스 원격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987667B1 (ko) * 2010-07-07 2010-10-13 (주)대우건설 양방향 전자식 전력량계
KR20150010412A (ko) * 2013-07-19 2015-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지능형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16039A (ko) * 2013-08-02 2015-0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673A (zh) * 2018-12-14 2019-03-19 国家电网有限公司 电能计量装置接线正误识别培训评价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64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3002B (zh) 用于检测在充电站中用于电动交通工具的能源供应量的装置与方法
WO2016171347A1 (ko) 전력량계의 오결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13024919A1 (ko) 스마트 미터의 오결선을 감지하기 위한 오결선 감지 장치 및 방법
WO2012005420A1 (ko) 양방향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40277B1 (ko) 다중 통신 방식의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와 전력량 수집기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CN204945357U (zh) 一种电子式互感器稳态误差测量装置
CN107703414A (zh) 检测电路及检测方法
CN109239498A (zh) 一种供电线路线损检测方法
WO2018097454A1 (ko) 양방향 dc 전력량계
KR20090062508A (ko) 계기용 변성기
KR102205321B1 (ko) 교류 단상 및 삼상 겸용 에너지하베스팅 무선 전류센서 시스템
CN108132444A (zh) 直流波纹系数测试装置
CN107085186A (zh) 一种stm32的ups电池故障检测系统
KR20150033474A (ko) 원격검침 시스템의 정전 감지 데이터 집중장치
CN207502709U (zh) 一种无线电能表校验仪
KR100694818B1 (ko) 주상변압기용 자체전원형 센서통신모듈 및 이를 이용한부하관리 시스템
CN211554130U (zh) 一种基于nb-iot的智慧安全用电监测装置
CN104049117B (zh) 一种两相三线双电压交流有功电能表
KR200476033Y1 (ko) 전력통신모뎀 전원공급 및 전자식 계량기용 분기 장치
CN203231812U (zh) 便携式振动检测装置
CN105281439A (zh) 光伏发电计算机计量控制系统
KR100579046B1 (ko) 축전지 감시 시스템
CN206339641U (zh) 一种低压计量现场检测仪
CN201937616U (zh) 一种便于实现rs485总线组网的数据采集系统
KR101120076B1 (ko) 무정전 병렬형 전력측정 장치를 이용한 일괄 전력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41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41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