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8866A1 - 대소변 처리용 기구 및 항문 세척 기구 - Google Patents

대소변 처리용 기구 및 항문 세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8866A1
WO2018088866A1 PCT/KR2017/012818 KR2017012818W WO2018088866A1 WO 2018088866 A1 WO2018088866 A1 WO 2018088866A1 KR 2017012818 W KR2017012818 W KR 2017012818W WO 2018088866 A1 WO2018088866 A1 WO 20180888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ush
urine
toilet
guid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8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미정
김승종
Original Assignee
김미정
김승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500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5120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501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82842B1/ko
Application filed by 김미정, 김승종 filed Critical 김미정
Publication of WO20180888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88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urine, such as a child, an adult, a patient, an elderly person with a movement and a hip cleaning device.
  • diapers are known for infants or children who do not control bowel movements, but even adults have been used by people with poor control of urine, such as patients with discomfort and incontinenc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2565 (a bowel movement treatment device of a patient bed) and the like is presented for a device for treating a bowel movement of a patient.
  • This technique is applied to the bed is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bowel movements when the patient sees the bowel movements while lying in bed.
  •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8639 (Patient Portable Toilet) shows the structure of the toilet for the patient who can walk. Such a technology corresponds to a portable small toilet, and the patient is unable to carry the small toilet on his ow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mmediately respond to a defecation signal.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2565
  • 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8639
  • Patent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3739
  • Patent Document 4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0388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mechanism for treating feces, which is the user's ability to process the urine after the urine, and also easy to u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al cleaning device which can be carried by a user who is inconvenient to move the body and can clean the anal part by itself when necessary.
  • the urine treatment device comprises a guide body (10) formed of a 'U' so as to pass through the genitals of the user and the lower part of the user, and having a combined guider (11) connec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a toilet urine treatment assembly 20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oilet urine bag 23 and mounted on the assembly guide 11, and the toilet urine treatment assembly 20 includes the urine toilet bag 23 when the user defecates.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ody 10 by moving one along the assembly guide 11 so that the first body is maintained along the guide body 10. , 22).
  • the brush 4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air on the rotatable body; A brush guider (4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rush (42); A brush movement wire (43) connected to the brush (42) to pull the brush (42) so that the brush (42) moves along the brush guider (41); And a return elastic member 44 connected to the brush 42 to move the brush 4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ush 42 is weakened or removed when the brush movement wire 43 is weakened or removed. .
  • the urine treatment device can facilitate the treatment of the stool by the patient or the caregiver.
  • it is convenient and hygienic to use because the toilet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after the toilet in the toilet treatment treatment.
  •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anal portion of the user after bowel movements can be treated more hygienic and sure.
  • the washing means (apparatus) can be treated more clearly after the bowel movement by the rotating configuration.
  • the rotation control elastic body can adjust the force for washing the anus.
  •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the urine treat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toilet treatment binder is coupled to the guide body;
  •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uide body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for treating urine treatment components that ar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toilet bag is unfolded
  •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bag is folded and the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 contact with
  •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eces treatment binder is connected
  •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assembly setting means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leaning means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he tissue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in the washing means of th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ack gear and pinion and the rotation control elastic body provided in the washing mean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ag is tied by a tie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asp a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e treatment device for a child, an adult, an elderly person, a patient, etc., whose body movement is unnatural.
  • the urine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by the user to facilitate urine treatment.
  • the urine treatment mechanism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body 10 and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20).
  • the guide body 10 is a part worn by the user,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uman reproductive part of the user.
  • Guide body 10 is preferably a 'U' shape.
  • the guide body 10 is not disposable. That is, the guide body 10 may be used semi-permanently.
  • the front of the guide body 10 may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belly, the rear of the guide body 10 may be dispose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 the guide body 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part of the genital and anal of the user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 Guid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combined guide (11).
  • the assembly guider 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body 10 at the front end of the guide body 10.
  • the assembly guider 11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 the guide body 10 is a component that can be used repeatedly, not disposable.
  • the toilet treatment treatment unit 20 may accommodate the toilet of the user.
  • the toilet stool assembly 20 may be mounted to the guide body 10 to accommodate the user's toilet.
  •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2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dy 10 to be coupled. The user may separate and / or remove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20 from the guide body 10.
  • the toilet urine treatment assembly 20 may include a first body 21, a second body 22, and a toilet bag 23.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toilet bag 23 ma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mounted on the assembly guide 11 to move along the grooves of the assembly guide 11.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the assembly guide 11.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separately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guide body 10, respectively.
  • the toilet bag 23 may be mount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ed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 the toilet bag 23 may be wrinkled.
  • the toilet bag 23 may form a recessed toilet seat space 23a.
  • the toilet bag 23 receives the user's toilet, the toilet bag 23 can be removed from the guide body 10 to be removed.
  • the urine treatment binder 20 may be used for a single use,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toilet bag 23 is used for a single us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toilet seat 23 from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and reus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 the toilet bag 23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vinyl.
  • the toilet bag 23 may further include a pad such as a cotton material disposed thereon. Such a pad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to a user, such as a diaper, and can prevent skin troubles caused by sweat.
  •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2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assembly guide 11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is narrowed while the toilet bag 23 is folded.
  • a plurality of toilet treatment binder 20 may be mounted to the binder guider 11, in which case the plurality of toilet treatment binder 20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of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20, which are first mounted on the binder guide 11, among the plurality of urine treatment assemblies 20, are spaced apart by the user for use. Can be. After the first mounted urine treatment binder 20 is separated from the binder guider 11, the urine treatment binder 20 may be waited for use. The urine treatment binder 20 is injected into the back of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be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user.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provided with bag fixing grooves 21a and 22a capable of fixing the toilet bag 23.
  • the toilet bag 23 can be mounted and separated in the bag fixing groove (21a, 22a).
  • the toilet bag 23 may be provided with a rubber band (23b) coupled to the inlet.
  • a rubber band (23b) coupled to the inlet.
  • the rubber band 23b can be collapsed while the inlet of the urine bag 23 is folded.
  • rubber band (23b) can function to prevent the toilet from the toilet bag (23). This can help with sanitary treatment of stool.
  • the urine treatment binder 20 may be provided with a binder setting means 30.
  • the assembly setting means 30 When the urine treatment assembly 20 is coupled to the guide body 10, as shown in FIG. 1 or 6, the assembly setting means 30 has a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Lower urine bag (23) can be spread out.
  • the assembly setting means 30 may allow the urine bag 23 to be fold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are narrowed as shown in FIG. 4.
  • the assembly setting means 30 may include a lever 31, a clasp 32, and a rope 33 (such as a conventional string or wire form).
  • the clasp 3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2, and the lever 3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21.
  • the rope 33 may connect the latch 32 and the lever 31.
  • the second body 22 is fixed to the guide body 10 by the clasp 32 so that the state betwe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can be maintained.
  • the movement of the lever 31 located in the first body 21 may be transmitted to the clasp 32 through the rope 33.
  • the movement of the clasp 32 may release the fixing force of the second body 22 and the guide body 10.
  • the fixing force is released,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narrowed.
  • the rope 3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1, the latch 32 may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step 34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1.
  • the second body 22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1.
  • the second body 22 is moved stepwis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1 by the rubber band 23b of the toilet bag 23.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1,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ocking jaws 34 are formed along a path along which the second body 22 moves.
  • the urine treat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means 40 for washing the anal part of the user after defecation.
  • the cleaning means 40 may include a brush guider 41, a brush 42, a brush moving wire 43, and a return elastic body 44.
  • the brush 42 may have a plurality of hairs.
  • Brush guider 41 may be formed on the guide body (10).
  • the brush guider 41 may be in the form of a groove.
  • the brush guider 41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rush 42.
  • the brush guider 41 may have an overall 'U' shape.
  • One of the brush guiders 41 may be disposed behind the hip of the user, and the othe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tomach of the user.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carry the diaper in the form of wearing it.
  • the brush movement wire 43 may be connected to the brush 42.
  • the brush movement wire 43 may attract the brush 42 so that the brush 42 moves along the brush guider 41.
  • the brush 42 preferabl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1.
  • the return elastic body 44 may be connected to the brush 42.
  • the brush 42 may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pulled by the user. That is, the return elastic body 44 may allow the brush 42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2 from the first body 21 side.
  • the cleaning means 40 may further have a tissue 45 located between the brush 42 and the anus of the user.
  • the tissue 45 moves while repeatedly brushing the anal region in contact with the anal region. Can be. Anal cleaning may be accomplished by the movement of the tissue 45.
  • the brush 42 is preferably rotated. Rotation of the brush 42 allows for more smooth cleaning and allows the tissue 45 to be wound up to be more smoothly loosened upon movement of the brush 42.
  • Rotation of the brush 42 may be achieved by the force that the brush 42 moves as it rubs against the user's anal area.
  • the washing means 4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force driving means for forcibly rotating the brush 42.
  • the brush force driving means may include a rack gear 46 formed along the brush guider 41, and a pinion 47 engaged with the rack gear 46. .
  • Brush 42 may be integrated with pinion 47 and rotate with pinion 47. This structure allows the brush 42 to be rotated more reliably by the rack gear 46 and the pinion 47.
  • the brush force driv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control elastic body 48.
  • the rotation control elastic member 48 may allow the rack and the pinion 47 to be coupled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brush moving wire 4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if the pulling force of the brush moving wire 43 does not become the set value, the rack And pinion 47 may not be coupled.
  • the rack and pinion 47 are coupled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brush movement wire 4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42 may be rotated in the anal direction from the tailbone of the user to be suitable for washing.
  • the coupling between the rack and the pinion 47 is released, but since the brush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rush 42 is also washed. Can be rotated from the tailbone to the anus.
  • the excrement may be washed clean.
  • the upper portion of the urine bag 23 is retracted by a rubber band to form a bag containing urine.
  • the tie 50 may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but may be used in the form of the iron core is bent and covered with paper or synthetic resin.
  • the tie 50 may have a structure identical to or corresponding to a tie used for tying a bag for packing bread or sweets. Specific illustration is omitted.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tie grooves 21b and 22b respectively for mounting a tie.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 and 22 may have a tie groove.
  • one end of the tie 50 may be inserted into a tie groove 21b formed in the first body 21, and a point between both ends of the tie 5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22. It may be inserted into the tie groove 22b.
  • the user grasps one end of the tie 50 by hand and pulls the tie groove of the second body 22 ( The tie 50 can be used separately from 22b).
  • the brush force mov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limiting wire 48a for limiting the rotation control elastic body 48 from being wider than a set value, and a stop bar 49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rush.
  • the distance limiting wire 48a may prevent damage or malfunction that may occur due to excessive opening of both ends of the rotation control elastic body 48.
  • Second Body 22a Envelope Fixing Groo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임이 불편한 어린이, 성인, 환자, 노약자 등의 대소변 처리를 위한 기구 및 엉덩이 세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용 기구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결된 결합체가이더(11)를 구비하는 가이드몸체(10); 및 대소변봉투(2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가이더(11)에 장착되는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상기 가이드몸체(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몸체(21, 2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는, 회전 가능한 브러쉬(42); 상기 브러쉬(42)의 이동 안내용 브러쉬가이더(41); 상기 브러쉬(42)에 연결되어 있는 브러쉬이동와이어(43); 및 상기 브러쉬(42)에 연결되어 브러쉬(42)가 끌어당겨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복귀용탄성체(44);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소변 처리용 기구 및 항문 세척 기구
본 발명은 움직임이 불편한 어린이, 성인, 환자, 노약자 등의 대소변 처리를 위한 기구 및 엉덩이 세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배변을 제어하지 못하는 유아나 어린이를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성인의 경우에도 거동이 불편한 환자, 요실금 환자 등 대소변의 제어가 원활하지 않은 사람들이 사용해오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기저귀가 안출되어 있는데 유아의 경우에는 기저귀를 채우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지만 신체가 큰 성인의 경우에는 기저귀를 채우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사용자에 비해 더 어렵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842565호(환자용 침대의 배변처리장치) 등에는 환자의 배변을 처리하는 장치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침대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배변을 보는 경우에 배변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8639호(환자용 이동식 배변기)에는 보행이 가능한 정도의 환자를 위한 배변기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동식 소형 변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환자 스스로 소형 변기를 가지고 다닐 수 없기에 배변신호가 올 때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변 후 엉덩이 특히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이로 인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에 배변 후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한국 특허등록 제10-0842565호
(특허문헌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8639호
(특허문헌 3)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73739호
(특허문헌 4)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03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 후 사용자 스스로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고, 사용도 편리한 대소변 처리용 기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신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필요한 시점에 스스로 항문 부위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항문부 세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처리용 기구는, 사용자의 생식기와 항문 하부를 경유하도록 'U'형을 이루고,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 쪽 끝부분으로 연결된 결합체가이더(11)를 구비하는 가이드몸체(10); 및 대소변봉투(2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가이더(11)에 장착되는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사용자의 배변 시 상기 대소변봉투(23)가 상기 가이드몸체(10)를 따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체가이더(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몸체(10)의 한 쪽과 다른 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몸체(21, 2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는, 회전 가능한 몸체에 복수 개의 모가 형성된 브러쉬(42); 상기 브러쉬(42)의 이동을 안내하는 브러쉬가이더(41); 상기 브러쉬(42)를 끌어당겨 브러쉬(42)가 상기 브러쉬가이더(41)를 따라 이동되도록 브러쉬(42)에 연결되어 있는 브러쉬이동와이어(43); 및 상기 브러쉬(42)에 연결되어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약해지거나 제거되면 브러쉬(42)가 끌어당겨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복귀용탄성체(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처리용 기구는 용변을 환자 스스로 또는 보호자가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용변을 대소변처리용결합체에 수납한 후, 이를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다.
또한, 배변 후 사용자의 항문 부분을 씻어주는 세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더욱 위생적이고 확실하게 처리를 할 수 있다. 세척 수단(장치)는 회전하는 구성에 의해, 배변 후 잔여물을 더 깨끗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전제어용 탄성체는 항문을 세척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대소변처리용결합체가 사용 후 제거되면 다른 대소변처리용결합체가 사용 대기되어, 편의성이 있다.
도 1은 가이드몸체에 복수 개의 대소변처리용결합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대소변 처리용 기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가이드몸체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대소변처리용결합체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대소변봉투가 펼쳐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대소변처리용결합체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대소변봉투가 접혀져 있고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맞닿아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복수 개의 대소변처리용결합체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결합체세팅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척수단에서 티슈가 제2몸체에 배치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척수단에 구비된 랙기어와 피니언 및 회전제어용 탄성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랙기어와 피니언이 결합된 상태
B : 랙기어와 피니언의 결합이 해제되고 브러쉬가 원위치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타이에 의해 대소변봉투의 상부가 묶인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걸쇠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신체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어린이, 성인, 노약자, 환자 등을 위한 대소변 처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처리용 기구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대소변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소변 처리용 기구는 가이드몸체(10) 및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10)는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인체 생식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10)는 'U'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몸체(10)는 1회용이 아니다. 즉, 가이드몸체(10)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10)의 앞쪽은 사용자의 배 방향에 배치되고, 가이드몸체(10)의 뒤쪽은 사용자의 등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10)는 앞쪽과 뒤쪽 사이에 사용자의 생식기와 항문의 하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10)는 결합체가이더(11)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체가이더(11)는 가이드몸체(10)의 앞쪽 끝부분에서 가이드몸체(10)의 뒤쪽 끝부분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가이더(11)는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몸체(10)는 1회용이 아닌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납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사용자 대소변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가이드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가이드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가이드몸체(10)로부터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를 분리 및/또는 제거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제1 몸체(21), 제2 몸체(22) 및 대소변봉투(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22)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은 제1 및 제2 몸체(21, 2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22)는 결합체가이더(11)에 장착되어 결합체가이더(11)의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22)은 결합체가이더(11)에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22)은 가이드몸체(10)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는 분리된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는 구겨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22)가 분리된 경우, 대소변봉투(23)는 함몰된 대소변모임공간(23a)을 형성할 있다. 대소변봉투(23)는 사용자 대소변을 수납한 후, 대소변봉투(23)는 가이드몸체(10)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대소변봉투(23)만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소변봉투(23)를 제1 및 제2 몸체(21, 22)에서 분리한 후, 제1 및 제2 몸체(21, 22)를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소변봉투(23)는 비닐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면 재질 등의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기저귀와 같이 사용자에게 편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땀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대소변봉투(23)가 접혀있으면서 제1몸체(21)와 제2몸체(22)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있는 상태로 결합체가이더(11)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복수 개가 결합체가이더(1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 중 결합체가이더(11)에 제일 먼저 장착된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의 제1 및 제2 몸체(21, 22)는 사용자에 의해 간격이 벌려진 상태로 사용 대기될 수 있다. 최초 장착된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가 결합체가이더(11)에서 분리된 후, 그 다음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가 사용 대기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사용자의 뒤 쪽으로 투입되고, 사용자의 앞쪽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몸체(21, 22)는 대소변봉투(23)을 고정할 수 있는 봉투고정홈(21a, 22a)을 구비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는 봉투고정홈(21a, 22a)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는 그 입구에 결합된 고무줄(23b)을 구비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고무줄(23b)은 대소변봉투(23)의 입구가 접히면서 오므라지도록 할 수 있다. 대소변 처리 시, 고무줄(23b)은 대소변봉투(23)에서 용변물이 나오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용변물의 위생적인 처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결합체세팅수단(30)을 구비할 수 있다.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가 가이드몸체(10)에 결합되어 있을 때, 도 1 또는 도 6과 같이, 결합체세팅수단(30)은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벌려져 대소변봉투(23)가 펼쳐져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체세팅수단(30)은 제1 및 제2 몸체(21, 22)가 도 4와 같이 그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대소변봉투(23)가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체세팅수단(30)은 레버(31), 걸쇠(32), 및 로프(33, 통상의 끈 또는 와이어 형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걸쇠(32)는 제2몸체(22)에 배치되고, 레버(31)는 제1몸체(21)에 배치될 수 있다. 로프(33)는 걸쇠(32)와 레버(31)를 연결할 수 있다.
걸쇠(32)에 의해 제2몸체(22)가 가이드몸체(10)에 고정되어, 제1몸체(21)와 제2몸체(22) 사이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몸체(21)에 위치된 레버(31)의 움직임은 로프(33)를 통해 걸쇠(32)에 전달될 수 있다. 걸쇠(32)의 움직임은 제2 몸체(22)와 가이드몸체(10)의 고정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고정력이 해제되면,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로프(33)가 움직일 때, 걸쇠(32)는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턱(34)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몸체(22)는 제1몸체(2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소변봉투(23)의 고무줄(23b)에 의해 제2 몸체(22)가 제1몸체(21)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1과 같이 제2몸체(22)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걸림턱(34)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소변 처리용 기구는 배변 후 사용자의 항문 부분을 씻어주는 세척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세척수단(40)은 브러쉬가이더(41), 브러쉬(42), 브러쉬이동와이어(43), 및 복귀용탄성체(44)를 구비할 수 있다.
브러쉬(42)는 복수 개의 모(毛)를 가질 수 있다.
브러쉬가이더(41)는 가이드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가이더(41)는 홈형태일 수 있다. 브러쉬가이더(41)는 브러쉬(4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브러쉬가이더(41)는 전체적으로 'U' 형의 형상일 수 있다. 브러쉬가이더(41)의 어느 한쪽은 사용자의 엉덩이 뒤쪽에 배치되며, 다른 한쪽은 사용자의 배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사용자는 기저귀를 차고 있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다.
브러쉬이동와이어(43)는 브러쉬(42)에 연결될 수 있다. 브러쉬이동와이어(43)는 브러쉬(42)를 끌어당겨, 브러쉬(42)가 브러쉬가이더(41)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러쉬이동와이어(43)를 끌어 당기는 경우(잡아 당기는 경우), 브러쉬(42)는 제1몸체(2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귀용탄성체(44)는 브러쉬(42)에 연결될 수 있다.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약해지거나 제거되면, 브러쉬(42)가 사용자에 의해 끌어당겨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복귀용탄성체(44)는 브러쉬(42)가 제1 몸체(21) 쪽에서 제2 몸체(22)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세척수단(40)은 브러쉬(42)와 사용자의 항문 사이에 위치되는 티슈(45)를 더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앞쪽(배 방향)에 배치된 브러쉬이동와이어(43)를 잡아당기고 풀어주는 것을 반복하면, 티슈(45)는 항문부위에 접촉된 상태로 브러쉬(42)가 항문 부위를 반복적으로 스치면서 이동할 수 있다. 티슈(45)의 이동에 의해 항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쉬(42)는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42)의 회전은 세척이 더욱 원활하고, 권취되어 있는 티슈(45)가 브러쉬(42)의 이동시에 더 원활하게 풀어지게 할 수 있다.
브러쉬(42)의 회전은 브러쉬(42)가 사용자의 항문 부위를 스치면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수단(40)은 브러쉬(42)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강제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 및 도 9와 같이, 브러쉬 강제 구동 수단은 브러쉬가이더(41)를 따라 형성된 랙기어(46), 및 랙기어(46)와 맞물리는 피니언(47)을 구비할 수 잇다.
브러쉬(42)는 피니언(47)과 일체화되어 피니언(47)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랙기어(46)와 피니언(47)에 의해서 브러쉬(42)가 더욱 확실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브러쉬 강제 구동 수단은 회전제어용 탄성체(4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제어용 탄성체(48)는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랙과 피니언(47)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가 되지 못하면 랙과 피니언(47)이 결합되지않도록 할 수 있다.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랙과 피니언(47)이 결합되는 경우, 브러쉬(42)의 회전방향은 세척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꼬리뼈에서 항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 이하일 때 랙과 피니언(47)의 결합이 해제되지만 브러쉬(42)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면서 원위치되므로 이 경우에도 브러쉬(42)의 회전방향은 세척에 적합한 방향 즉, 꼬리뼈에서 항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브러쉬이동와이어(43)를 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면, 배설물이 깨끗이 세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가까워졌을 때 고무줄에 의해서 대소변봉투(23)의 상부가 오므라들면서 대소변을 담고 있는 봉지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대소변봉투(23)가 오므라든 상태에서 타이(50)로 대소변봉투(23)의 상부를 묶어 대소변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타이(50)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구부러짐이 가능한 철심이 종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피복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타이(50)는 빵이나 과자 등을 포장하는 봉지를 묶는 용도의 타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제1 및 제2 몸체(21, 22)는 타이를 장착하는 제1 및 제2 타이구비홈(21b, 22b)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22) 중 어느 하나만 타이구비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이(50)의 일단은 제1몸체(21)에 형성된 타이구비홈(21b)에 삽입될 수 있고, 타이(50)의 양단 사이의 지점은 제2몸체(22)의 타이구비홈(22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몸체(21)와 제2몸체(22)가 벌어져 있을 때, 사용자는 타이(50)의 한쪽 끝부분을 손으로 잡고 잡아당겨 제2몸체(22)의 타이구비홈(22b)에서 타이(5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브러쉬 강제 이동 수단은 회전제어용 탄성체(48)가 설정된 수치 이상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거리제한용 와이어(48a), 및 브러쉬의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봉(4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거리제한용 와이어(48a)는 회전제어용 탄성체(48)의 양쪽 끝부분이 과도하게 벌어져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가이드몸체 11. 결합체가이더
20. 대소변처리용 결합체 21. 제1몸체
21a. 봉투고정홈 21b. 타이구비홈
22. 제2몸체 22a. 봉투고정홈
22b. 타이구비홈 23. 대소변봉투
23a. 대소변모임공간 23b. 고무줄
30. 결합체세팅수단 31. 레버
32. 걸쇠 33. 로프
34. 걸림턱 40. 세척수단
41. 브러쉬가이더 42. 브러쉬
43. 브러쉬이동와이어 44. 복귀용탄성체
45. 티슈 46. 랙기어
47. 피니언 48. 회전제어용 탄성체
48a. 거리제한용 와이어 49. 멈춤봉
50. 타이

Claims (13)

  1. 사용자의 생식기와 항문 하부를 경유하도록 'U'형을 이루고, 한쪽 끝부분에서 다른 쪽 끝부분으로 연결된 결합체가이더(11)를 구비하는 가이드몸체(10); 및
    대소변봉투(2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가이더(11)에 장착되는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사용자의 배변 시 상기 대소변봉투(23)가 상기 가이드몸체(10)를 따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체가이더(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몸체(10)의 한 쪽과 다른 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몸체(21, 22)를 구비하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배변 후 상기 대소변봉투(23)가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체가이더(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는 상기 대소변봉투(23)가 접혀 있으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있는 상태로 상기 결합체가이더(11)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복수 개 장착 가능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소변처리용결합체(23) 중 배변에 사용된 제1 대소변처리용결합체(23)의 제2 몸체(22)가 이동하여 상기 제1 대소변처리용결합체(23)의 대소변봉투(23)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제1 대소변처리용결합체(23)와 이웃한 제2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의 제1 몸체(21)가 이동하여 상기 제2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의 대소변봉투(23)가 펼쳐지도록, 상기 제1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의 상기 제2 몸체(22)는 상기 제2 대소변처리용결합체(20)의 상기 제1 몸체(21)와 연결되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벌려져 상기 대소변봉투(23)가 펼쳐져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기 대소변봉투(23)가 접히도록 할 수도 있는 결합체세팅수단(30)을 더 구비하는대소변 처리용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봉투(23)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의 봉투고정홈(21a, 22a)에 장착되어 일체화되거나 상기 봉투고정홈(21a, 22a)에서 분리 가능하며, 상기 대소변봉투(23)의 입구 가장자리에 고무줄(23b)이 일체화되게 위치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대소변봉투(23)의 입구가 접히면서 오므라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결합체세팅수단(30)은 상기 제2 몸체(22)에 위치된 걸쇠(32)와 상기 제1 몸체(21)에 위치된 레버(31) 및 상기 걸쇠(32)와 상기 레버(31)를 연결하는 로프(33)로 이루어져 상기 걸쇠(32)에 의해 상기 제2 몸체(22)가 고정되어 상기 제1 몸체(21)와 상기 제2 몸체(22) 사이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레버(31)의 움직임이 상기 로프(33)를 통해 상기 걸쇠(32)에 전달되어 상기 걸쇠(32)가 움직여 고정력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몸체(21, 22) 사이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게 하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변 후 사용자의 항문 부분을 씻어주는 세척수단(40)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시 세척수단(40)은
    상기 가이드몸체(10)에 형성된 브러쉬가이더(41);
    복수 개의 모를 갖는 브러쉬(42);
    상기 브러쉬(42)를 끌어당겨 상기 브러쉬(42)가 상기 브러쉬가이더(41)를 따라 상기 제1몸체(21)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브러쉬이동와이어(43);
    상기 브러쉬(42)에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약해지거나 제거되면 상기 브러쉬(42)가 반대방향인 상기 제2몸체(22)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복귀용탄성체(44); 및
    상기 브러쉬(42)와 사용자의 항문 사이에 위치되는 티슈(45);를 구비하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40)은 상기 브러쉬가이더(41)를 따라 형성된 랙기어(46); 및
    상기 랙기어(46)와 맞물리는 피니언(47)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42)는 상기 피니언(47)과 일체화되어 상기 피니언(47)과 함께 회전되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상기 랙기어(46)와 상기 피니언(47)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가 되지 못하면 상기 랙기어(46)와 상기 피니언(47)이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브러쉬(42)가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제어용 탄성체(48)를 더 구비하는 대소변 처리용 기구.
  9. 회전 가능한 몸체에 복수 개의 모가 형성된 브러쉬(42);
    상기 브러쉬(42)의 이동을 안내하는 브러쉬가이더(41);
    상기 브러쉬(42)를 끌어당겨 브러쉬(42)가 상기 브러쉬가이더(41)를 따라 이동되도록 브러쉬(42)에 연결되어 있는 브러쉬이동와이어(43); 및
    상기 브러쉬(42)에 연결되어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약해지거나 제거되면 브러쉬(42)가 끌어당겨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복귀용탄성체(44);를 포함하는,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상기 브러쉬(42)가 상기 브러쉬가이더(41) 접촉하며 회전됨으로써 상기 브러쉬(42)가 엉덩이의 뒤쪽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브러쉬이동와이어(43)의 당김력이 설정된 수치가 되지 못하면 상기 브러쉬(42)와 상기 브러쉬가이더(41)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브러쉬(42)를 사용자의 엉덩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제어용 탄성체(48);더 구비하는,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42)는 피니언(47)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가이더(41)는 상기 피니언(47)이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4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47)에 맞물리는 랙기어(46)를 구비하는,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회전제어용 탄성체(48)는 양쪽 끝부분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양쪽 끝부분 사이의 지점이 브러쉬(42)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며, 한 쪽 끝부분은 브러쉬이동와이어(43)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복귀용탄성체(44)에 연결되는,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용 탄성체(48)의 양쪽 끝부분이 설정된 수치 이상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거리제한용 와이어(48a)를 더 구비하는, 항분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PCT/KR2017/012818 2016-11-11 2017-11-13 대소변 처리용 기구 및 항문 세척 기구 WO20180888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78 2016-11-11
KR1020160150078A KR101851202B1 (ko) 2016-11-11 2016-11-11 대소변 처리용 기구
KR10-2016-0150106 2016-11-11
KR1020160150106A KR101882842B1 (ko) 2016-11-11 2016-11-11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866A1 true WO2018088866A1 (ko) 2018-05-17

Family

ID=6210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818 WO2018088866A1 (ko) 2016-11-11 2017-11-13 대소변 처리용 기구 및 항문 세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888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987A (ja) * 1996-12-04 2000-04-25 バリャダレス・ペレダ,ビクトリアノ 再使用可能なおむつ
JP2001112806A (ja) * 1999-10-18 2001-04-24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2008132193A (ja) * 2006-11-29 2008-06-12 Kiyoshi Yoshimura パッドおむつ
KR20090072069A (ko) * 2007-12-28 2009-07-02 윤권영 여성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CN204192480U (zh) * 2014-07-08 2015-03-11 李丰存 手拉式刷背机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987A (ja) * 1996-12-04 2000-04-25 バリャダレス・ペレダ,ビクトリアノ 再使用可能なおむつ
JP2001112806A (ja) * 1999-10-18 2001-04-24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2008132193A (ja) * 2006-11-29 2008-06-12 Kiyoshi Yoshimura パッドおむつ
KR20090072069A (ko) * 2007-12-28 2009-07-02 윤권영 여성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CN204192480U (zh) * 2014-07-08 2015-03-11 李丰存 手拉式刷背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4319A1 (ko)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WO2017209346A1 (ko) 대변백을 구비한 분뇨 처리구
AU6541699A (en) Disposable diaper
WO2016125925A1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WO2022182009A1 (ko) 일회용 반려동물 배변기저귀
WO2018088866A1 (ko) 대소변 처리용 기구 및 항문 세척 기구
WO2016080588A1 (ko)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WO2020204257A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CN202776688U (zh) 可多次使用的紧身大便器
KR100963589B1 (ko) 환자의 수치심을 저감시키기 위한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WO2016125928A1 (ko)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WO2016125926A1 (ko) 성별전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WO2020204392A1 (ko) 여성용 팬티
JP2001309946A (ja) 看護用生理用ショーツ
WO2019013391A1 (ko) 리무빙 허리밴드를 구비하는 기저귀
JP4456356B2 (ja) 衛生用品
KR101882842B1 (ko)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기구
WO2017155264A1 (ko) 휴대형 소변기
JP3208916U (ja) 排尿、排便が可能な介護パンツ
JP4020340B2 (ja) ずり上げ用指掛け部材付大人用完全パンツ型おむつ
CN213759896U (zh) 一种粪便收集袋
CN219207874U (zh) 一种肠镜诊疗过程中使用的防护巾单
JP2011106077A (ja) 導尿用および紙オムツ用(尿取りパッドを含む)前開き布製パンツ
Care Austin Friars
JP3037254U (ja) 下腹部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688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6-09-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688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