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8812A1 - 핸드오버 방법 및 사용자기기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방법 및 사용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8812A1
WO2018088812A1 PCT/KR2017/012648 KR2017012648W WO2018088812A1 WO 2018088812 A1 WO2018088812 A1 WO 2018088812A1 KR 2017012648 W KR2017012648 W KR 2017012648W WO 2018088812 A1 WO2018088812 A1 WO 20180888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du session
session
bearer
primary
pd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6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상민
류진숙
김현숙
윤명준
김재현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69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937590B/zh
Priority to EP17870125.6A priority patent/EP3541115B1/en
Priority to US16/348,702 priority patent/US11153788B2/en
Publication of WO20180888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88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기기는 제1 시스템에서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시스템에서 동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대한 복수의 (protocol data unit, PDU) 세션들을 사용 중인 사용자기기가 상기 제2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1차 PDU 세션에 대한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에 매핑한다..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이 아닌 PDU 세션(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수립이 필요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핸드오버 방법 및 사용자기기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기기간(Machine-to-Machine, M2M) 통신과,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요구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장치 및 기술이 출현 및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처리될 것이 요구되는 데이터 양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빠르게 증가하는 데이터 처리 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기술, 인지무선(cognitive radio) 기술 등과, 한정된 주파수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을 높이기 위한 다중 안테나 기술, 다중 기지국 협력 기술 등이 발전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기기(user equipment, UE)가 주변에서 접속(access)할 수 있는 노드(node)의 밀도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통신 환경이 진화하고 있다. 노드라 함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UE와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는 고정된 지점(point)을 말한다. 높은 밀도의 노드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은 노드들 간의 협력에 의해 더 높은 성능의 통신 서비스를 UE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 많은 통신 장치가 더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함에 따라, 레거시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장치 및 객체(object)를 서로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규모 기계 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는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쟁점 중 하나이다. 또한, 신뢰도 및 대기 시간에 민감한 서비스/UE를 고려하여 설계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차세대(next generation)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은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MBB), mMTC, 초 신뢰성 및 저 대기 시간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등을 고려하여 논의되고 있다.
새로운 무선 통신 기술의 도입에 따라, 기지국이 소정 자원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UE들의 개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UE들과 전송/수신하는 데이터와 제어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기지국이 UE(들)과의 통신에 이용 가능한 무선 자원의 양은 유한하므로, 기지국이 유한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를 UE(들)로부터/에게 효율적으로 수신/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발달에 따라 적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수신 혹은 낮은 빈도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수신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세대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기존 시스템과 상기 차세대 시스템 간 효율적인 인터 시스템 변경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사용자기기가 제1 시스템에서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동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대한 복수의 (protocol data unit, PDU) 세션들 중 1차 PDU 세션에 대한 제1 세션 정보를 전송;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에 매핑;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이 아닌 PDU 세션(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수립이 필요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제1 시스템에서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기기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 및 상기 RF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동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대한 복수의 (protocol data unit, PDU) 세션들 중 1차 PDU 세션에 대한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에 매핑;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이 아닌 PDU 세션(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수립이 필요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각 양상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PDN 연결을 수립한 후에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 혹은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비활성화된 2차 PDU 세션을 재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양상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PDN 연결 내에 상기 전용 베어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양상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에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양상에 있어서, 상기 1차 PDU 세션이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 1이면 상기 제1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 아니면 상기 제1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양상에 있어서,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면, 상기 PDN 연결의 IP 주소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양상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이고, 상기 제1 시스템은 상기 제2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예, 5G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신호가 효율적으로 전송/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처리량(throughput)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시스템과 상기 차세대 시스템 간 효율적인 인터 시스템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 스택들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임의 접속(random access)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차세대 시스템(이하, NextGen)의 기본 구조, 특히 주요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차세대 시스템에서 고려하고 있는 UE와 코어 네트워크 간 프로트콜 스택을 예시한 것이다.
도 10은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11은 NGC로부터 EPC로의 인터시스템 변경 시나리오를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시스템 핸드오버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GC의 2차 세션을 이용하던 트래픽을 EPC의 어떤 베어러로 넘겨져야(hand over)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NGC의 2차 세션을 이용하던 트래픽을 EPC의 어떤 베어러로 넘겨져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안에 적용되는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는 3GPP TS 36.211, 3GPP TS 36.213, 3GPP TS 36.321, 3GPP TS 36.322, 3GPP TS 36.323, 3GPP TS 36.331, 3GPP TS 23.203, 3GPP TS 23.401, 3GPP TS 24.301의 표준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incorporate by reference)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IMS(IP Multimedia Subsystem or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IP 상으로 음성 또는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배달하기 위한 표준화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적(architectural) 프레임워크(framework).
-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에 의해서 개발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의 3 세대(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
- EPS(Evolved Packet System):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PS(packet switched) 코어(core)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LTE/UTRAN 등의 접속(access)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 NodeB: GERAN/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eNodeB/eNB: E-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UE(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 UE는 UE(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MTC 관련 내용에서 UE 또는 단말이라는 용어는 MTC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 HNB(Home NodeB): UMT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서 옥내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마이크로 셀(micro cell) 규모이다.
- HeNB(Home eNodeB): EPS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서 옥내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마이크로 셀 규모이다.
-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기능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PGW/P-GW: UE IP 주소 할당, 패킷 스크리닝(screening) 및 필터링, 과금 데이터 취합(charging data collection) 기능 등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SGW(Serving Gateway)/S-GW: 이동성 앵커(mobility anchor), 패킷 라우팅(routing), 휴지(idle) 모드 패킷 버퍼링, MME가 UE를 페이징하도록 트리거링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별로 차별화된 QoS 및 과금 정책을 동적(dynamic) 으로 적용하기 위한 정책 결정(Policy decision)을 수행하는 EPS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 OMA DM (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핸드폰, PDA,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관리를 위해 디자인 된 프로토콜로써, 디바이스 설정(configuration), 펌웨어 업그레이드(firmware upgrade), 오류 보고 (Error Report)등의 기능을 수행함.
- 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네트워크 결함 표시, 성능정보, 그리고 데이터와 진단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군.
- NAS(Non-Access Stratum): UE와 MME 간의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상위 단(stratum). LTE/UMTS 프로토콜 스택에서 UE와 코어(core) 네트워크간의 시그널링, 트래픽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기능적인 계층으로서, UE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UE와 PDN GW 간의 IP 연결을 수립(establish) 및 유지하는 세션 관리 절차 및 IP 주소 관리 등을 지원한다.
- EMM (EPS Mobility Management): NAS 계층의 서브-계층으로서, UE가 네트워크 어태치(attach)되어 있는지 디태치(detach)되어 있는지에 따라 EMM은 "EMM-Registered" 아니면 "EMM-Deregistered" 상태에 있을 수 있다.
- ECM (EMM Connection Management) 연결(connection): UE와 MME가 사이에 수립(establish)된, NAS 메시지의 교환(exchange)을 위한 시그널링 연결(connection). ECM 연결은 UE와 eNB 사이의 RRC 연결과 상기 eNB와 MME 사이의 S1 시그널링 연결로 구성된 논리(logical) 연결이다. ECM 연결이 수립(establish)/종결(terminate)되면, 상기 RRC 및 S1 시그널링 연결은 마찬가지로 수립/종결된다. 수립된 ECM 연결은 UE에게는 eNB와 수립된 RRC 연결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MME에게는 상기 eNB와 수립된 S1 시그널링 연결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NAS 시그널링 연결, 즉, ECM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지에 따라, ECM은 "ECM-Connected" 아니면 "ECM-Idle" 상태를 가질 수 있다.
- AS (Access-Stratum): UE와 무선(혹은 접속) 네트워크 간의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며, 데이터 및 네트워크 제어 신호 전송 등을 담당한다.
- NAS 설정(configuration) MO (Management Object): NAS 기능(Functionality)과 연관된 파라미터들(parameters)을 UE에게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MO (Management object).
- PDN(Packet Data Network):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예를 들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서버,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 등)가 위치하고 있는 네트워크.
- PDN 연결(PDN connection): 하나의 IP 주소(하나의 IPv4 주소 및/또는 하나의 IPv6 프리픽스)로 대표(represent)되는 UE와 APN에 의해 대표되는 PDN 간의 연관(association).
- EPS 베어러: 특정 QoS를 갖는 사용자 트래픽(IP 패킷들)을 배달(delivery)하기 위해 UE와 P-GW 간에 세팅되는 전송 경로. 하나의 EPS 베어러는 UE와 P-GW 간의 공통 QoS 처리(treatment)를 수신하는 트랙픽 플로우들을 고유하게(uniquely) 식별한다. 동일 QoS 클래스를 갖는 집성된(aggregated)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ervice data flow, SDF)들의 IP 플로우들을 말한다. 여기서 SDF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서비스와 연관된 IP 플로우들의 그룹을 말한다. EPS 베어러에는 디폴트 EPS 베어러와 전용 EPS 베어러 2가지가 있다.
- 디폴트 (EPS) 베어러: EPS 세션(PDN 연결)이 생성될 때 활성화되는 첫 번째 EPS 베어러. UE가 LTE 네트워크에 어태치할 때 PDN에 사용될 IP 주소가 배정(assign)되어 PDN에 연결되며 동시에 디폴트 EPS 베어러가 수립된다.
- 전용 (EPS) 베어러: EPS 세션(PDN 연결)이 생성된 후에 요구 시(on demand)에 활성화되는 추가적 EPS 베어러. 사용자가 디폴트 베어러를 통한 서비스(예, 인터넷)를 사용 중이던 사용자가 현재 디폴트 베어러가 제공할 수 없는 더 높은 QoS를 요구하는 서비스(예, VoD)를 사용하기를 시도하면, 요구 시에 전용 베어러가 수립된다.
- APN (Access Point Name): PDN을 지칭하거나 구분하는 문자열. 요청한 서비스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특정 P-GW를 거치게 되는데, 이 P-GW를 찾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 내에서 미리 정의한 이름(문자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nternet.mnc012.mcc345.gprs)
- RAN(Radio Access Network): 3GPP 네트워크에서 NodeB, eNodeB 및 이들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단위. UE 간에 존재하며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 HLR(Home Location Register)/HSS(Home Subscriber Server): 3GPP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HSS는 설정 저장(configuration storage), 식별자 관리(identity management), 사용자 상태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사업자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하나의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로서 사업자 단위로 UE가 사용 가능한 접속(access)을 발견하고 선택하도록 하는 정책(policy)를 제공.
- EPC 경로(또는 infrastructure data path): EPC를 통한 사용자 평면 통신 경로.
- E-RAB (E-UTRAN Radio Access Bearer): S1 베어러와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연결(concatenation)을 말한다. E-RAB가 존재하면 상기 E-RAB와 NAS의 EPS 베어러 사이에 일대일 매핑이 있다.
- GTP (GPRS Tunneling Protocol): GSM, UMTS 및 LTE 네트워크들 내에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를 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IP-기반 통신들 프로토콜들의 그룹. 3GPP 아키텍처 내에는, GTP 및 프록시 모바일 IPv6 기반 인터페이스들이 다양한 인터페이스 포인트 상에 특정(specify)되어 있다. GTP는 몇몇 프로토콜들(예, GTP-C, GTP-U 및 GTP')으로 분해(decompose)될 수 있다. GTP-C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들(GGSN) 및 서빙 GPRS 지원 노드들(SGSN) 간 시그널링을 위해 GPRS 코어(core)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된다. GTP-C는 상기 SGSN이 사용자를 위해 세션을 활성화(activate)(예, PDN 컨텍스트 활성화(activation))하는 것, 동일 세션을 비활성화(deactivate)하는 것,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quality)를 조정(adjust)하는 것, 또는 다른 SGSN으로부터 막 동작한 가입자(subscriber)를 위한 세션을 갱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GTP-U는 상기 GPRS 코어 네트워크 내에서 그리고 무선 접속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 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PC는 3GPP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SAE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과제에 해당한다. SAE는, 예를 들어, IP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캐퍼빌리티를 제공하는 등의 최적화된 패킷-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IP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이며, 패킷-기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즉, 2 세대 또는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위한 CS(Circuit-Switched) 및 데이터를 위한 PS(Packet-Switched)의 2 개의 구별되는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이 구현되었다. 그러나,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진화인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S 및 PS의 서브-도메인들이 하나의 IP 도메인으로 단일화되었다. 즉, 3GPP LTE 시스템에서는, IP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가지는 UE와 UE 간의 연결이, IP 기반의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evolved Node B)), EPC,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EPC는 단-대-단(end-to-end) IP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또는 S-GW)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B와 PDN 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UE가 eNB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와 PDN GW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접속(access),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는 수많은 eN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휴지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capability)를 가지는 UE는, 3GPP 접속은 물론 비-3GPP 접속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운영자(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다양한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엔티티(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참조 포인트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참조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참조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Reference Point Description
S1-MME Reference point for the control plane protocol between E-UTRAN and MME.
S1-U Reference point between E-UTRAN and Serving GW for the per bearer user plane tunneling and inter eNB path switching during handover.
S3 It enables user and bearer information exchange for inter 3GPP access network mobility in idle and/or active state. This reference point can be used intra-PLMN or inter-PLMN (e.g. in the case of Inter-PLMN HO).
S4 It provides related control and mobility support between GPRS Core and the 3GPP Anchor function of Serving GW. In addition, if Direct Tunnel is not established, it provides the user plane tunnelling.
S5 It provides user plane tunnelling and tunnel management between Serving GW and PDN GW. It is used for Serving GW relocation due to UE mobility and if the Serving GW needs to connect to a non-collocated PDN GW for the required PDN connectivity.
S11 Reference point between MME and Serving GW.
SGi It i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the PDN GW and the packet data network. Packet data network may be an operator external public or private packet data network or an intra operator packet data network, e.g. for provision of IMS services. This reference point corresponds to Gi for 3GPP accesses.)
도 1에 도시된 참조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3GPP 접속 및 PDN 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참조 포인트다. S2b는 ePDG 및 PDN 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참조 포인트다.
도 2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NB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게이트웨이로의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방송 채널(BCH)의 스케줄링 및 전송,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자원을 UE에게 동적 할당, eNB의 측정을 위한 설정 및 제공,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허가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그리고 연결 이동성 제어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PC 내에서는 페이징 발생, LTE_IDLE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의 암호화, SAE 베어러 제어,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UE와 eNB 사이의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UE와 eNB 사이의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어 평면의 무선프로토콜과,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전송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 축 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 상에 복수의 OFDM 심볼 (symbol)들과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OFDM 심볼(Symbol)들과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1ms이다.
상기 전송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에 존재하는 물리 채널들은 3GPP LTE에 따르면,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제2계층에는 여러 가지 계층이 존재한다. 먼저,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채널 (Logical Channel)을 다양한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여러 논리채널을 하나의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논리채널 다중화 (Multiplexing)의 역할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채널 (Logical Channel)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채널은 크게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채널(Traffic Channel)로 나뉜다.
제2 계층의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Segmentation) 및 연결 (Concatenation)하여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radio interface)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계층의 패킷데이터수렴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는 PDCP 계층이 보안 (Security) 기능도 수행하는데, 이는 제 3자의 데이터 감청을 방지하는 암호화 (Ciphering)와 제 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 (Integrity protection)로 구성된다.
제3 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UE와 E-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UE의 RRC와 무선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수립된(established) 경우 UE는 RRC 연결 모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모드(Idle Mode)에 있게 된다.
이하 UE의 RRC 상태 (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UE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_CONNECTED 상태(state),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_IDLE 상태라고 부른다. RRC_CONNECTED 상태의 UE는 RRC 연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UE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UE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RRC_IDLE 상태의 UE는 E-UTRAN이 UE의 존재를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Tracking Area) 단위로 코어 네트워크가 관리한다. 즉, RRC_IDLE 상태의 UE는 셀에 비하여 큰 지역 단위로 해당 UE의 존재 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UE가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하여야 한다. 각 TA는 TAI(Tracking area identity)를 통해 구분된다. UE는 셀에서 방송(broadcasting)되는 정보인 TAC(Tracking area code)를 통해 TAI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UE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UE는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연결을 맺고, 코어 네트워크에 UE의 정보를 등록한다. 이 후, UE는 RRC_IDLE 상태에 머무른다. RRC_IDLE 상태에 머무르는 UE는 필요에 따라서 셀을 (재)선택하고,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나 페이징 정보를 살펴본다. 이를 셀에 캠프 온(Camp on)한다고 한다. RRC_IDLE 상태에 머물러 있던 UE는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 (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UTRAN의 RRC와 RRC 연결을 맺고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한다. RRC_IDLE 상태에 있던 UE가 RRC 연결을 맺을(establish)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등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래는 도 3에 도시된 NAS 계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AS 계층에 속하는 ESM (Evolved Session Management)은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 관리,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 관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UE가 네트워크로부터 P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 디폴트 베어러 자원은 특정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에 최초 접속 할 시에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네트워크로부터 할당 받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네트워크는 UE가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UE가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할당하며, 또한 디폴트 베어러의 QoS를 할당해준다. LTE에서는 크게 데이터 전송/수신을 위한 특정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GBR(Guaranteed bit rate) QoS 특성을 가지는 베어러와 대역폭의 보장 없이 Best effort QoS 특성을 가지는 Non-GBR 베어러의 두 종류를 지원한다. 디폴트 베어러의 경우 Non-GBR 베어러를 할당 받는다. 전용 베어러의 경우에는 GBR 또는 Non-GBR의 QoS 특성을 가지는 베어러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UE에게 할당한 베어러를 EPS(evolved packet service) 베어러라고 부르며, EPS 베어러를 할당할 때 네트워크는 하나의 ID를 할당하게 된다. 이를 EPS 베어러 ID라고 부른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MBR(maximum bit rate) 또는/그리고 GBR(guaranteed bit rate)의 QoS 특성을 가진다.
도 5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위한 LTE 프로토콜 스택들을 예시한 것이다. 도 5(a)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들을 UE-eNB-SGW-PGW-PDN에 걸쳐 예시한 것이고, 도 5(b)는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들을 UE-eNB-MME-SGW-PGW에 걸쳐 예시한 것이다. 프로토콜 스택들의 키(key) 계층들의 기능(function)들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GTP-U 프로토콜은 S1-U/S5/X2 인터페이스 상으로(over) 사용자 IP 패킷들을 포워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GTP 터널이 LTE 핸드오버동안 데이터 포워딩을 위해 수립되면 종단 마커 패킷(End Marker Packet)이 마지막 패킷으로서 상기 GTP 터널 상으로 전달(transfer)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S1AP 프로토콜은 S1-MME 인터페이스에 적용된다. S1AP 프로토콜은 S1 인터페이스 관리, E-RAB 관리, NAS 시그널링 전달 및 UE 컨텍스트 관리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S1AP 프로토콜은 E-RAB(들)을 셋업하기 위해 초기 UE 컨텍스트를 eNB에게 전달하고, 그 후 상기 UE 컨텍스트의 수정 혹은 해제를 관리한다. S11/S5 인터페이스들에는 GTP-C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GTP-C 프로토콜은 GTP 터널(들)의 생성, 수정(modification) 및 종료(termination)를 위한 제어 정보의 교환(exchange)를 지원한다. GTP-C 프로토콜은 LTE 핸드오버의 경우에 데이터 포워딩 터널들을 생성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예시된 프로토콜 스택들 및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동일 프로토콜 스택들 및 인터페이스들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3GPP LTE에서 임의 접속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임의 접속 과정은 UE가 기지국과 UL 동기를 얻거나 UL 무선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 수행된다.
UE는 루트 인덱스(root index)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를 eNB로부터 수신한다. 각 셀마다 ZC(Zadoff-Chu) 시퀀스에 의해 정의되는 64개의 후보(candidate) 임의 접속(random access, RA) 프리앰블이 있으며, 루트 인덱스는 UE가 64개의 후보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 인덱스이다.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은 각 셀마다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한정된다. PRACH 설정 인덱스는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이 가능한 특정 서브프레임과 프리앰블 포맷을 지시한다.
임의 접속 과정, 특히, 경쟁-기반 임의 접속 과정은 다음의 3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의 단계 1, 2, 3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각각 msg1, msg2, msg4로 지칭되기도 한다.
> 1. UE는 임의로 선택된 임의접속 프리앰블을 eNB로 전송한다. UE는 64개의 후보 임의 접속 프리앰블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PRACH 설정 인덱스에 의해 해당되는 서브프레임을 선택한다. UE는 은 선택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선택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다.
> 2.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한 eNB는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UE로 보낸다. 임의 접속 응답은 2단계로 검출된다. 먼저 UE는 RA-RNTI(random access-RNTI)로 마스킹된 PDCCH를 검출한다. UE는 검출된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 내의 임의 접속 응답을 수신한다. RAR은 UL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오프셋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정보, UL 자원 할당 정보(UL 그랜트 정보), 임시 UE 식별자(예, temporary cell-RNTI, TC-RNTI) 등을 포함한다.
> 3. UE는 RAR 내의 자원 할당 정보(즉, 스케줄링 정보) 및 TA 값에 따라 U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RAR에 대응하는 UL 전송에는 HARQ가 적용된다. 따라서, UE는 UL 전송을 수행한 후, 상기 UL 전송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 정보(예, PHICH)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무선자원제어(RRC) 계층에서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연결 여부에 따라 RRC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RRC 상태란 UE의 RRC 계층의 엔티티(entity)가 eNB의 RRC 계층의 엔티티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라고 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RRC 휴지 상태(idle state)라고 부른다.
상기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의 UE는 RRC 연결(connection)이 존재하기 때문에 E-UTRAN은 해당 UE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UE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휴지 모드(idle state)의 UE는 eNB가 파악할 수는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단위로 코어 네트워크가 관리한다. 상기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은 셀들의 집합단위이다. 즉, 휴지 모드(idle state) UE는 큰 지역 단위로 존재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UE는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천이해야 한다.
사용자가 UE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상기 UE는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휴지 모드(idle state)에 머무른다. 상기 휴지 모드(idle state)에 머물러 있던 UE는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비로소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통해 eNB의 RRC 계층과 RRC 연결을 맺고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로 천이한다.
상기 휴지 모드(Idle state)에 있던 UE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시도 또는 상향 데이터 전송 등이 필요하다거나, 아니면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등을 들 수 있다.
휴지 모드(idle state)의 UE가 상기 eNB와 RRC 연결을 맺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RRC 연결 과정(RRC connection procedure)을 진행해야 한다. RRC 연결 과정은 크게, UE가 eNB로 RRC 연결 요청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전송하는 과정, eNB가 UE로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그리고 UE가 eNB로 RRC 연결 설정 완료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1. 휴지 모드(Idle state)의 UE는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또는 eNB의 페이징에 대한 응답 등의 이유로 RRC 연결을 맺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UE는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eNB로 전송한다.
> 2. 상기 UE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eNB는 무선 자원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UE의 RRC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응답 메시지인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상기 UE로 전송한다.
> 3. 상기 UE가 상기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eNB로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UE가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송하면, 비로소 상기 UE는 eNB과 RRC 연결을 맺게 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다.
현재 3GPP에서는 EPC 이후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터디를 진행 중에 있다.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 예를 들어, 5G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디자인을 위해 3GPP에서는 SMARTER (Services and Markets Technology Enablers)라는 스터디를 통해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의해오고 있다. 또한 시스템 아키텍쳐 2(system architecture, SA2)는 SMARTER를 바탕으로 차세대 시스템을 위한 스터디(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 FS_NextGen)를 진행하고 있다. 3GPP TR 23.799에는 NextGen 시스템(NextGen system, NGS)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용어들이 정의되었다.
- 진화된(Evolved E-UTRA): NextGen 시스템 내 작동(operation)을 위한 E-UTRA 무선 인터페이스의 진화를 나타내는 RAT.
- 네트워크 능력(Network Capability): 일반적으로 별도의 독립형(standalone) "최종 사용자 서비스(end user service)”로 사용되지 않고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원격 통신 서비스로 결합될 수 있는 구성요소(component)로서 제공된 네트워크 및 3GPP 특화(specified) 기능. 예를 들어, 위치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최종 사용자"가 단순히 다른 UE의 위치를 질의(query)하는 데 사용되지 않으며, 특성(feature) 또는 네트워크 능력으로서, 예를 들어, 추적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최종 사용자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상기 추적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기능(feature) 또는 네트워크 능력이다. 네트워크 능력은 내부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타사(3rd party)라고도 하는 외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도 있다.
-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3GPP TR 23.700에서, 네트워크 기능은 3GPP가 채택한 기능 또는 네트워크에서 3GPP가 정의한 처리 기능으로, 기능적 동작(behavior) 및 3GPP 정의(defined)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비고 3 : 네트워크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상의 네트워크 요소로서 또는 전용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인스턴스로서, 또는 적절한 플랫폼(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쳐)상에서 인스턴스화된 가상화된 기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 NextGen Core Networ : NextGen 접속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본 문서에 명시된 핵심 네트워크.
- NextGen RAN (NG RAN): 다음 옵션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을 의미한다:
독립형 새 무선(Standalone New Radio),
독립형 새 무선은 진화된 E-UTRA 확장을 갖는 앵커이다,
진화된 E-UTRA,
진화된 새 무선 확정을 갖는 앵커이다.
NG RAN은 RAN이 차세대 코어와 인터페이스한다는 공통 특징(characteristics)을 갖는다.
- NextGen 접속 네트워크( NextGen Access Network, NG AN): NextGen RAN 또는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말하며 차세대 코어와 인터페이스한다.
- NextGen 시스템(NG System): NG AN과 NextGen 코어를 포함한 NextGen 싯스템을 의미한다.
- NextGen UE: NextGen 시스템에 연결하는 UE.
- PDU 연결성 서비스( PDU Connectivity Service): UE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서 PDU들의 교환을 제공하는 서비스.
- PDU 세션( PDU Session): PDU 연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UE 간의 연관(association). 연관의 타입은 IP 타입, 이더넷 타입 및 비-IP 타입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종래 세션은 IP 타입이었으나, NextGen에서는 이더넷 타입 혹은 비-IP 타입인지에 따라서도 세션이 구분될 수 있다.
- IP 타입의 PDU 세션( PDU Session of IP Type): UE와 IP 데이터 네트워크 간의 연관.
-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 IP 주소 및/또는 앵커링 지점(point)이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서비스의 중단 없는 사용자 경험.
- 세션 연속성(Session Continuity): PDU 세션의 연속성. IP 타입의 PDU 세션의 경우 "세션 연속성"은 PDU 세션의 수명(lifetime) 동안 IP 주소가 보존(preserve)됨을 의미한다.
도 8은 차세대 시스템(이하, NextGen)의 기본 구조, 특히 주요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특히, 도 8은 차세대 시스템(이하, NextGen)의 참조 포인트 명명(naming)을 예시한 것이다.
잠재적(potential) 기능(functional) 엔티티들 및 잠재적 참조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잠재적 아키텍처의 참조(reference) 모델이 도 9에 도시된다. 특히 상기 참조 포인트들의 명명이 더 나은 이해 및 비교를 위해 개별(individual) 솔루션 제안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참조 모델은 실제 목표 아키텍처에 대해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는다. 즉, 목표 아키텍처는 도시된 참조 포인트 또는 기능 엔티티 모두를 가지지 않거나, 추가(additional)/다른(other) 참조 포인트 또는 기능 엔티티를 가질 수 있다.
도 8에서 NextGen 코어의 제어 평면(control plane, UP) 기능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기능은 단일 박스들(각각 CP 기능 및 UP 기능)로 묘사(depict)된다. 개별 솔루션 제안은 CP 또는 UP 기능을 분할하거나 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참조 포인트의 명명은 상기 묘사된 참조 포인트에 인덱스를 추가할 수 있다(예: NG4.1, NG4.2).
도 8에서 RAN은 NextGen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5G RAT 또는 Evolved E-UTRA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다음 참조 포인트들이 도 8에 도시된다.
* NG1: UE와 CP 기능들 간의 참조 포인트.
* NG2: RAN과 CP 기능들 간의 참조 포인트.
* NG3: RAN과 UP 기능들 간의 참조 포인트.
* NG4: CP 기능들과 UP 기능들 사이의 참조 포인트.
* NG5: CP 기능들과 어플리케이션 기능 간의 참조 포인트.
* NG6: UP 기능들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 간의 참조 포인트.
도 8의 몇몇 참조 포인트들은 CP 기능들과 UP 기능들이 어떻게 더 분리될 수 있는지에 따라 여러 참조 포인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차세대 시스템에서 고려하고 있는 UE와 코어 네트워크 간 프로트콜 스택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NG1은 EPS의 NAS 프로토콜, NG2는 EPS의 S1-AP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NG RRC 및 NG AS(Access Stratum)는 종래의 LTE RRC 및 LTE AS, 혹은 새롭게 표준화가 진행 중인 새로운 무선(new radio, NR)의 NR RRC 및 NR AS에 해당되며, NG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두 가지 RAT, 즉 LTE와 NR 모두에서 RRC는 현재의 LTE RRC를 기반으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FS_NextGen 스터디를 통해 기본적인 세션 관리 프레임워크 및 서비스 연속성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3GPP TR 23.799 참조). 세션 관리 프레임워크 및 서비스 연속성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해결되어야 할 이슈가 논의되고 있다.
* 세션 관리: 세션 관리는 UE에 대한 IP 또는 비-IP 트래픽 연결성의 셋업뿐만 아니라 그 연결성에 대한 사용자 평면 관리를 담당한다.
* 세션 및 서비스 연결성 그리고 효율적(efficient) 사용자 평면 경로(path)를 위한 지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의 특정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네트워크용 차세대 시스템 아키텍쳐는 서비스 연속성에 정의된 이동성(mobility) 프레임워크의 온 디맨드(on demand) 이동성 개념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준의 데이터 세션 연속성을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차세대 시스템은 동일한 UE에 대해 세션마다 다음 중 하나를 수행 할 수 있다 :
- 세션 연속성을 지원한다;
- 세션 연속성을 지원하지 않는다;
- 세션 연속성이 제공되지 않을 때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한다.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솔루션이 3GPP TR 23.799 문서에 포함되었으며, 기본적인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협의되고 있다. 이 솔루션은 NextGen 시스템에서 3가지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들을 지원하는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UE와 (착신 사용자-평면 기능(terminating user-plane function, TUPF)라고 불리는) 사용자-평면 기능 사이에 PDU 세션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TUPF는 3GPP 사용자 평면을 종료(terminate)하고 데이터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한다. TUPF가, 예를 들어 고정(stationary) UE 시나리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접속 네트워크와 함께 위치 될 수 있다는 것이 배제(preclude)되지는 않는다. NextGen 시스템은 다음 SSC 모드들을 지원한다:
- SSC 모드 1: 동일한 TUPF가 UE가 네트워크에 접속(access)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속 기술 (예, RAT 및 셀)에 관계없이 유지된다.
- SSC 모드 2: 동일한 TUPF가 상기 TUPF의 서빙 영역으로 지칭되는 접속 네트워크 어태치먼트 포인트(예, 셀 및 RAT)의 서브 세트(즉, 전부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에서만 유지된다. UE가 TUPF의 서비스 영역을 떠날 때, 상기 UE는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UE의 새로운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적합한 다른 TUPF에 의해 서비스될 것이다. TUPF의 서빙 영역은 또한, 예를 들어, 고정 UE들의 경우에, 단일 셀에만 제한될 수 있다.
- SSC 모드 3: 이 모드에서, 네트워크는 UE와 이전의 TUPF 사이의 연결성이 종료(terminate)되기 전에 동일한 데이터 네트워크(DN)에 새로운 TUPF를 통한 UE 연결성의 수립(establishment)을 허용한다. 트리거 조건이 적용되면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대한 UE의 새로운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적합한 타겟 TUPF를 선택한다. 두 TUPF가 활성(active)인 동안, UE는 이전의 주소/프리픽스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을 새로운 주소/프리픽스로 능동적으로 리바인드하거나, 또는 이전의 주소/프리픽스에 바운드된 플로우가 끝날 때까지 대기한다.
PDU 세션을 요청할 때, UE는 요청된 SSC 모드를 네트워크로의 PDU 세션 셋업 시그널링의 일부로서 나타낼 수 있다. 서빙 네트워크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 정보의 일부로서 가입자당 데이터 네트워크당 지원되는 SSC 모드 및 디폴트 SSC 모드의 리스트를 수신한다. 서빙 네트워크는 요청된 SSC 모드를 수락하거나 아니면 가입 및/또는 로컬 설정(configuration)에 기초하여 요청된 SSC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SSC 모드를 선택한다. 서빙 네트워크는 UE에 의해 요청된 SSC 모드를 다른 이유들로 인해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빙 네트워크는 관련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중앙 집중형 피어링 포인트에 트래픽을 집중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특정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SSC 모드 1을 피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UE가 새로운 PDU 세션을 요청할 때 SSC 모드를 제공하지 않으면, 네트워크는 (데이터 네트워크가 연결하기 위해) 가입에 리스트된 디폴트 SSC 모드를 선택하거나, 로컬 설정을 적용하여 SSC 모드를 선택한다. SSC 모드를 선택한 후, 네트워크는 (a) UE로부터의 PDU 세션 요청을 수락하고 선택된 SSC 모드를 UE에 지시하거나, (b) 네트워크가 PDU 세션 요청을 거부하고 선택된 SSC 모드 및 상기 선택된 SSC 모드가 상기 UE 내의 다른 PDU 세션에 의해 이미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유(case) 값을 상기 UE에게 보낸다. SSC 모드들은 PDU 세션당 적용된다. UE는 상이한 PDU 세션들에 대해 상이한 SSC 모드들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동일한 UE에 대해 병렬로 활성인 상이한 PDU 세션들은 상이한 SSC 모드들을 가질 수 있다. SSC 모드는 PDU 세션의 수명동안 변경되지 않는다. PDU 세션에 대해 TUPF를 선택할 때, 네트워크는 UE의 현재 어태치먼트(부착) 지점 및 요청된 SSC 모드를 고려한다. 다른 정보도 TUPF 선택을 위해 고려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는다.
SSC 모드 1에는 다음 원칙이 적용된다: 할당된 TUPF는 PDU 세션의 수명 동안 유지된다. 즉, TUPF는 네트워크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SSC 모드 2에는 다음 원칙이 적용된다:
- 다른 TUPF로의 리다이렉션 트리거: 네트워크는 UE의 이동성, 로컬 정책들(예, 할당된 TUPF의 서빙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UE의 PDU 세션에 할당된 TUPF가 리다이렉트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 리다이렉션 절차: 네트워크는 현재 TUPF와 관련된 사용자 평면 경로를 먼저 해제(release)한 다음 새 TUPF에 해당하는 사용자 평면 경로를 셋업하여 UE의 트래픽을 다른 TUPF로 리다이렉션한다. 하나는 TUPF를 재할당할 때 PDU 세션이 보존되고, 네트워크가 현재 TUPF에 대응하는 UE의 PDU 세션을 연결해제(disconnect)하고 상기 UE에 즉시 PDU 세션을 재활성화하여 새로운 TUPF의 선택을 초래하는, 두 개의 솔루션 변형이 후에 설명된다.
- 이 프로세스동안 UE는 계속 어태치된 채로 남아 있다.
-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UE의 현재 어태치먼트 포인트를 기반으로 TUPF를 선택한다.
SSC 모드 3에는 다음 원칙이 적용된다:
- 다른 TUPF로의 리다이렉션 트리거: 네트워크는 UE의 이동성, 로컬 설정(예, 할당된 TUPF의 서빙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UE의 PDU 세션에 할당된 TUPF가 리다이렉트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 리다이렉션 절차: 네트워크는 UE의 활성(active) PDU 세션들 중 하나 상의 트래픽이 리다이렉트될 필요가 있음을 UE에 지시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또한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 값을 UE에 지시한다. 사용자 평면 경로는 새로운 TUPF를 향해 수립된다. 아래에 두 가지 솔루션 변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PDU 세션이 추가 사용자 평면 경로에도 재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추가 PDU 세션이 수립되는, 두 가지 솔루션 변형이 후에 설명된다.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UE의 현재 어태치먼트 포인트를 기반으로 새로운 TUPF를 선택합니다. 다른 정보도 TUPF 선택을 위해 고려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는다. UE가 활성 PDU 세션이 리다이렉트될 필요가 있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앞선 지시 없이 동일한 DN에 대한 추가 PDU 세션에 대한 요청을 보낸 경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UE의 요청을 거부한다.
- 일단 새로운 TUPF와 관련된 새로운 사용자 평면 경로가 수립되면, UE는 다음 옵션들 중 하나를 수행 할 수 있다 :
> 옵션 1: UE는, 예를 들어 상위 계층 세션 연속성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이전 TUPF에 바운드된 어플리케이션 플로우를 새로운 TUPF로 능동적으로 리다이렉트(redirect)한다. 일단 UE가 새로운 TUPF로의 어플리케이션들 플로우들을 리다이렉트하는 것을 완료하면, 이전의 TUPF가 해제된다.
> 옵션 2: UE는 새로운 TUPF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플로우들을 조정(steer)한다. 이전(previous) TUPF를 통한 기존(existing) 플로우들은 상기 플로우들이 종료(terminate)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전 TUPF를 사용하는 모든 플로우들이 끝나면 이전 TUPF가 해제된다.
옵션 2가 사용되면 멀티-홈(multi-homed) PDU 세션은 이전 TUPF에 바운드된 어플리케이션 플로우들을 보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전 TUPF와 새 TUPF 사이의 터널은 해당 플로우를 전달(forward)하는 데 사용된다.
- 타이머가 만료될 때 이전 TUPF가 해제되지 않았거나 네트워크가 이전 TUPF에서 비활성을 감지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이전 TUPF를 해제한다.
도 10은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UE는 다음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SSC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1. 새 플로우를 시작하는(즉, 새 소켓을 여는) 앱은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이 플로우에 필요한 세션 연속성의 타입을 지시한다. 이는 RFC 3493, RFC 3542 및 draft-ietf-dmm- ondemand -mobility에서 지정된 소켓 API 확장을 사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앱은 이미 지정된 소프트웨어 API를 사용하여 어떤 타입의 세션 연속성이 필요한지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이 유목(normadic) IP 주소의 소켓을 요청하면, 본질적으로는(essentially), 앱은 SSC 모드 2를 요청한다. 앱이 고정(fixed) IP 주소 또는 지속적인(sustained) IP 주소로 소켓을 요청하면, 본질적으로는, 앱이 SSC 모드 1 또는 요청 SSC 모드 3을 요청한다. 유목, 지속 및 고정 IP 주소의 정의는 draft-ietf-dmm-ondemand-mobility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 플로우를 시작하는 앱이 요구되는 세션 연속성의 타입을 지시하지 않으면, UE는 도 10(b)에 나타나 바와 같이, 공급(provision)된 정책을 사용하여 요구된 세션 연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책은 우선순위가 매겨진 규칙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규칙은 전체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특정 플로우 타입들에 대해 요구되는 SSC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UE의 정책은 다음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 Rule 1, priority 1: App = com.example.skype, Required continuity type = SSC mode 3.
- Rule 2, priority 2: App = com.example.web.server, Required continuity type = SSC mode 1.
- Rule 3, priority 3: Protocol = TCP; DstPort = 80, Required continuity type = SSC mode 2.
- Default rule: Default continuity type = SSC mode 2.
UE가 (예를 들어, 초기 접속 동안)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PDU 세션을 수립하려고 시도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SSC 모드를 요청하지 않거나, 또는 UE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UE는 앞서 언급한 대로 SSC 모드를 결정할 수 없다. 이 경우 :
- UE가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정책의 일부로서) 디폴트 SSC 모드로 공급(provision)되면, 상기 UE는 디폴트 SSC 모드로 PDU 세션을 요청한다. 상기 디폴트 SSC 모드는 앞서 언급된 3가지 SSC 모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IoT 센서 또는 스마트폰이 디폴트 SSC 모드 2로 공급될 수 있다.
- UE가 디폴트 SSC 모드로 공급(provision)되지 않으면, UE는 SSC 모드를 제공하지 않고 PDU 세션을 요청한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가입 데이터 및/또는 네트워크 정책에 기초하여) PDU 세션의 SSC 모드를 결정하고 선택된 모드를 UE에 제공한다.
FS_NextGen 스터디에서는 새로운 5G 시스템인 NGC의 논의뿐 아니라 레거시 시스템인 EPC와의 인터워킹 및 이주(migration)도 논의하고 있다.
참고로, 종래 EPS에서 다른 RAT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인터-RAT 핸드오버 과정(예, 3GPP TS 23.401 V13.8.0, 섹션 5.5.2.2 참조)을 통해 이뤄지게 된다. 한편, EPS에서는 베어러 단위로 QoS(Quality of Service)를 관리한다. 즉 정책 혹은 네트워크의 결정을 바탕으로 UE가 이용하는 PDN 연결(connection) 내 베어러의 여러 QoS 파라미터를 차별화할 수 있다. QoS의 적용은 PDN GW 및 UE의 트래픽 플로우 템플릿(traffic flow template, TFT)를 통해 이루어지며, 해당 트래픽은 패킷 필터를 통해 적절한 베어러로 할당한다(예, 3GPP TS 23.401, 섹션 "5.4.1 Dedicated bearer activation" 및 섹션 "5.4.2 Bearer modification with bearer QoS update" 참조). 예를 들어, 패킷 필터가 "if (destination IP = 10.10.10.10) -> bearer #2"라는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목적지 IP가 10.10.10.10인 트래픽은 상기 패킷 필터의 조건에 따라 베어러 #2로 할당되며, 상기 베어러의 QoS가 상기 트래픽에 적용된다. EPS 베어러는 다음 요소들로 실현(realize)된다:
- UE에서 상향링크 TFT는 트래픽 플로우 집합체(aggregate)를 상향링크 방향으로 EPS 베어러에 매핑한다;
- PDN GW에서 DL TFT는 트래픽 플로우 집합체를 하향링크 방향으로 EPS 베어러에 매핑한다;
- (3GPP TS 36.300에 정의된) 무선 베어러는 UE와 eNB 사이에서 EPS 베어러의 패킷을 수송(transport)한다.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면, EPS 베어러와 이 무선 베어러 간에 일대일 매핑이 있다;
- S1 베어러는 eNB와 서빙 GW 사이에서 EPS 베어러의 패킷을 수송한다;
- E-UTRAN 무선 접속 베어러(E-RAB)는, 3GPP TS 36.300에 정의된 대로, S1 베어러와 해당 무선 베어러의 연결을 지칭한다;
- S5/S8 베어러는 서빙 GW와 PDN GW 사이에서 EPS 베어러의 패킷을 수송한다;
- UE는 상향링크 패킷 필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을 저장하여 상향링크에서 트래픽 플로우 집합체와 무선 베어러 간의 매핑을 생성한다;
- PDN GW는 하향링크 패킷 필터와 S5/S8 베어러 사이의 매핑을 저장하여 하향링크에서 트래픽 플로우 집합체와 S5/S8 베어러 간의 매핑을 생성한다;
- eNB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둘 다에서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 간의 매핑을 생성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 사이에 일대일 맵핑을 저장한다;
- 서빙 GW는 S1 베어러와 S5/S8 베어러 사이에 일대일 매핑을 저장하여 S1 베어러와 S5/S8 베어러 사이의 매핑을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둘 다에서 생성한다.
PDN GW는 PDN 연결 내 EPS 베어러에 할당된 TFT들의 하향링크 패킷 필터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패킷을 다른 EPS 베어러로 라우팅합니다.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의 수신 시에, PDN GW는 가장 낮은 평가(evaluation) 우선(precedence) 인덱스를 갖는 하향링크 패킷 필터를 먼저 평가하고,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지 않으면 하향링크 패킷 필터의 평가 우선(precedence)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이 절차는 일치가 발견될 때까지 실행(execute)되어야 하며, 이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은 일치하는 하향링크 패킷 필터의 TFT와 연관된 EPS 베어러 상의 서빙 GW로 터널링된다.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지 않으면,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은 할당된 어떤 TFT도 갖지 않은 EPS 베어러를 통해 보내진다. (해당 PDN의 디폴트 EPS 베어러 포함한) 모든 EPS 베어러들에 TFT가 할당된 경우 PDN GW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버린다.
종래 EPS에서, 만일 현재 필요한 QoS 수준을 만족하는 베어러가 없을 경우 UE 혹은 네트워크는 현재 생성되어 있는 베어러의 QoS를 업데이트하거나, 새로운 전용 베어러를 생성한다.
도 11은 NGC로부터 EPC로의 인터시스템 변경 시나리오를 예시한 것이다.
EPS에서는 동일한 APN에 대하여 2개 이상의 PDN 연결(connection)을 수립하는 것은 IP 버전에 따른 PDN 연결들(예, IPv4용 하나, IPv6용 하나)을 수립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EPS에서는 동일 APN에 대해 IPv4용으로 2개 PDN 연결을 수립하는 것이 불허된다. 그러나 현재 NextGen 스터디에 의하면 NGS에서는 엣지 컴퓨팅, 멀티-포밍 혹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등의 시나리오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 DNN) 혹은 APN에 대하여 여러 개의 PDU 세션들을 설정되고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3GPP TR 23.799 V1.2.0, 섹션 8.4 중 "multi homed PDU sessions"에 관한 합의사항(agreements) 참조).
동일한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PDU 세션을 가지고 있던 UE가 EPS로 인터시스템 변경(change)을 할 경우, 여러 가지 인터워킹 옵션에 따라 그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디태치(detach)/리-어태치(re-attach) 과정이 아니라, EPS-UMTS 간의 핸드오버와 비슷한 방식으로 인터시스템 변경이 일어날 경우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NGS에서 UE는 두 개 이상의 PDU 세션을 가질 수 있다. 그 중 두 개 이상의 PDU 세션이 같은 DN에 대한, 즉 DNN이 동일한 PDU 세션들(도 11의 PDU 세션 a, PDU 세션 b)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엣지 컴퓨팅을 위한 로컬 네트워크로의 연결, 멀티-호밍 등의 시나리오, 혹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적용에 따른 서비스별 DN 할당 등의 시나리오일 수 있으며 혹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발생할 수도 있다. UE는 이동성(mobility)에 의해서, 혹은 서비스 등의 이유(예, VoLTE 통화(call)를 위한 폴백)로 인해 EPS로의 시스템 변경을 필요로 하게 될 수 있다. 현재 생성되어 있는 PDU 세션의 SSC 모드에 따라, 인터시스템 변경 동안, IP 보존(preservation), 서비스 연속성(continuity) 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SSC 모드 1인 PDU 세션의 경우 시스템에 상관없이 공통의 착신 사용자 평면 기능(terminating user plane function, TUPF)에 연결되어 IP 주소 보존 및 완전한 연속성이 가능하다. 단, NGS에서의 TUPF와 EPS의 P-GW가 동일하다는 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SSC 모드 2와 SSC 모드 3인 PDU 세션의 경우 시스템 변경 시, 새로운 IP 앵커로의 연결 및 새로운 IP 주소 할당이 필요하다. 그런데 NGS에서 별개의 PDN 주소(예, IP 주소)가 할당되었던 동일 DN으로의 PDU 세션들이 EPS에서는 동일한 IP 주소로 연결되어야 한다. 즉, 두 개의 IP 주소였던 두 PDU 세션이 EPS로 넘어오면서 한 개의 IP 주소만 사용 가능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 NGC에서는 지원되는 한 DN에 대한 복수의 PDU 세션 특징(feature)들이 EPS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문제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UE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넘어가지 않는 연결을 강제로 버리거나(discard) 다시 수립(establish)해야 할 것이므로, 이 과정에서 딜레이 및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차세대 코어(next generation core, NGC)에서 EPC로의 인터시스템 변경 시에 세선의 유지 혹은 빠른 세션의 전환 동작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3GPP EPS, 3GPP NGS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시스템 변경 시에 효율적으로 PDU 세션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1. 단일 DN으로의 다수 PDU 세션들에서 제어 평면 보조된 인터시스템 핸드오버 control plane assisted intersystem handover with multiple PDU sessions to a single DN>
NGC에 연결되어 있는 UE는 동일 DN에 대하여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PDU 세션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 세션의 SSC 모드에 따라 다음과 조합이 있을 수 있다.
> SSC 모드 1인 세션은 앵커 TUPF를 통해 DN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사업자가 EPS와 NGS를 모두 운용할 경우 상기 앵커 TUPF는 EPS와 NGS 둘 다에 연결된다.
> SSC 모드 2 혹은 SSC 모드 3인 세션은 NGS 내에서만 쓰이는 TUPF에 연결되어 있다.
1-1. SSC 모드에 따른 PDU 세션 간 우선순위(priority)
현재 특정 DN에 대하여 2개의 PDU 세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경우 1. 두 세션 모두 SSC 모드 1일 때.
> 경우 2. 한 세션은 SSC 모드 1, 다른 세션은 SSC 모드 2 혹은 SSC 모드 3일 때.
> 경우 3. 두 세션 모두 SSC 모드 2 혹은 SSC 모드 3일 때.
각 경우에 대해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세션 중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1차(primary) PDU 세션과 그 외의 2차(secondary) PDU 세션(들)을 정해질 수 있다.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경우 2에 대해서는 SSC 모드 1인 세션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경우 1번과 경우 3에 대해서 UE와 네트워크는 동일 SSC 모드인 세션들 중 여러 가지 기준(criteria)에 의해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혹은 더 중요한 세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UE, 그리고 네트워크의 메모리를 통해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에 어태치한 후 제일 먼저 수립했던 PDU 세션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혹은 UE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가장 서비스 중단(interruption)이 적어야 하는 세션(예, 긴급 통신을 위한 세션)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1-2. 다수 PDU 세션들이 이동하는 경우
SSC 모드 1인 세션의 경우 EPC와 NGC가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GW 혹은 P-GW가 동일하다면 SSC를 만족하면서 인터시스템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 NGS의 DNN과 EPS의 APN은 동일하며, P-GW 혹은 UP GW가 앵커 포인트가 된다. 상기 SSC 모드 1인 PDU 세션에 대한 IP 주소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PDU 세션이 EPC의 PDN 연결로 변경되어 끊김 없는(seamless)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 과정은 종래 UMTS-EPS 간 인터시스템 핸드오버 과정(3GPP TS 23.401의 섹션 5.5.2.2 참조)과 유사하게 일어날 수 있다.
만일 SSC 모드 1인 PDU 세션이 더 있을 경우 혹은 다른 SSC 모드인 PDU 세션이 더 있을 경우,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동일 DN으로의 복수의 연결을 하나의 연결로 변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우선 1-1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1차 PDU 세션이 구별될 수 있다. 상기 1차 PDU 세션은 위에서 기술하였듯이 종래의 인터시스템 변경과 유사한 동작을 통해 NGC에서 EPC로 SSC를 유지한 채 넘어갈 수 있다. 이를 통해 PDN 연결 A가 생성될 수 있다.
2차 PDU 세션의 경우에는 동일한 DN이므로 EPC에서 별도의 PDN 연결이 생성될 수는 없다. 대신 상기 2차 PDU 세션을 이용하던 서비스는 서비스의 특성이나 요구사항에 따른 QoS를 할당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PDN 연결 A에 생성되고, UE는 상기 전용 베어러를 이용하여 다른 세션과 구별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일 QoS 요구사항(requirements) 등이 현재 생성된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에서 수용 가능하다면, UE는 별도의 전용 베어러 할당 없이 디폴트 베어러를 통해서 상기 2차 PDU 세션을 이용하던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NGC의 1차 PDU 세션을 EPC로 핸드오버하기 위해 EPC에서는 PDN 연결이 수립되고 NCG의 2차 PDU 세션은 상기 PDN 연결 내 베어러에 핸드오버된다.
이를 위해 NGC와 EPC는 인터시스템 변경을 위한 정보를 교환할 때 다음과 같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 인터시스템 변경 시에 이동시킬 PDU 세션 (ID), IP 주소(1차 세션이 SSC 모드 1인 경우에만) 및 그 SSC 모드, DN(N)
> 동일 DN으로의 PDU 세션이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PDU 세션 (ID)
> 각 PDU 세션의 QoS 값 혹은 그 인덱스 값 (예, 5G QoS Identifier, QCI 등)
이를 위해 두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기능(function)은 관련 정보의 매핑(DNN-APN 혹은 NGC의 QoS와 EPC의 QoS 등)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여러 개의 PDU 세션을 옮기는 경우 우선순위(priority)가 높은 1차 세션을 옮기기 위해 우선적으로 EPC에서 PDN 연결을 생성하고 PDU 세션을 이동한다. 이후 2차 PDU 세션을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MME는 해당 DN에 대한 PDN 연결이 생성되는 대로 P-GW로 새로운 전용(dedicated) 베어러 생성을 위한 요청을 보낸다. 이 요청에는 APN, 요구되는(required) QoS가 포함되며, NGC와의 인터워킹을 위한 파라미터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P-GW는 이를 바탕으로 전용 베어러 활성화(dedicated bearer activation)을 수행한다. MME로부터 시작되는 이 과정은 MME 개시(initiated) 전용 베어러 활성화로 볼 수도 있다.
성공적으로 전용 베어러가 셋업되면, MME는 NGC 코어 네트워크 제어 평면(core network control plane, CN-CP) 혹은 E-UTRAN으로 두 번째 세션(즉, 2차 세션)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상기 2차 세션은 사실상 IP 주소가 바뀌게 되므로, 세션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만일 SSC 모드 1이라면 P-GW에서 옛(old) IP에 대한 세션과 새(new) IP에 대한 세션 간의 데이터 전달(data forward)을 통해 진행 중인(ongoing) 데이터 트래픽을 끊김 없이 유지하도록 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SSC 모드 2/3일 경우에는 UP GW 자체가 달라지고 IP 주소도 달라지므로 일시적으로 세션이 비활성화(deactivate)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제안한 대로 준비(preparation) 단계에서 미리 전용 베어러를 생성하고 인터시스템 변경이 수행될 경우, 인터시스템 변경으로 인한 중단(interrupt)이 일어나는 기간(period)가 최소화될 수 있다.
2차 세션에 대하여 IP 주소가 새롭게 할당되었을 경우, UE는 NGC에서 2차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수신하던 플로우에 대하여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2차 세션은 1차 세션에 대한 PDN 연결 내에 디폴트 베어러 혹은 전용 베어러에 매핑되므로, UE는 인터시스템 변경 시 2차 세션을 이용하던 서비스에 대하여 새로운 IP 주소, 즉, 1차 세션에 대응하는 PDN 연결의 IP 주소를 알려준다. 이는 UE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동작이다. 각 세션에 부여된 IP 주소를 실제로 사용하는 계층은 상위 계층이므로, 예를 들어, UE의 2차 세션을 사용하던 상위 계층(예, IP 계층)으로 새롭게 할당될 1차 세션의 IP 주소를 통지하여, 이후 상기 상위 계층으로 하여금 2차 세션을 이용하던 플로우들을 1차 세션의 IP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함으로써, 상기 1차 세션을 사용하던 트래픽이 이 1차 세션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SSC 모드 1인 세션이 하나도 없을 경우에는 1차 세션에 대해서 새롭게 PDN 연결이 생성된다. 이 경우 SSC는 보장될 수 없다. 1차 세션에 대한 PDN 연결이 생성된 이후의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 경우 소스 CN-CP가 MME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 1차 세션의 IP 주소는 제공할 필요가 없다.
소스 CN-CP 혹은 MME는 SSC 모드 1일 때는 IP 주소를 보존한 채로 PDN 연결이 수립되어야 하므로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S-GW/P-GW제공하고, SSC 모드 1이 아니면 IP 주소가 필요 없으므로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S-GW/P-GW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1차 세션이 SSC1이 아닐 경우, IP 주소가 유지되지 않으며, MME는 새로운 IP를 할당하여 새롭게 PDN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시스템 핸드오버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GC의 2차 세션을 이용하던 트래픽을 EPC의 어떤 베어러로 넘겨져야(hand over)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단계들 중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단계들은 3GPP TS 23.401의 섹션 5.5.2.2.2 및 5.5.2.2.3을 참고할 수 있다.
> S0. UE는 현재 SSC 모드 1인 PDU 세션과 SSC 모드 2 혹은 3인 PDU 세션, 2개의 PDU 세션을 가지고 있다. 두 세션은 동일 DN으로 연결되어 있다.
> S1. NGC에서 EPC로의 인터시스템 변경이 발생한다. 이는 셀 변경으로 인한, 즉, 이동성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고, 서비스 특성에 따른 (예,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EPC 폴백) 변경일 수도 있다.
> S2. NGC의 CN-CP는 EPC의 MME로 재배치 요청(Relocation Request)을 보낸다. NGC가 EPC에 넘겨줘야 할 PDU 세션(들)의 정보들을 포함하여 1-1 및 1-2에서 제안된 값들이 상기 재배치 요청에 들어갈 수 있다(도 13, S1310, S1310a, S1310b).
> S3. 서비스 GW가 변하므로 MME는 EPC의 S-GW/P-GW로 생성 세션 요청(Create Session Request)을 보낸다(3GPP TS 23.401의 "Create Session Request" 및 "Create Session Response" 참조). 이 때 우선순위가 높은 1차 PDU 세션의 정보가 상기 생성 세션 요청에 포함되어 보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MME는 NG-C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PDN 연결 상의 디폴트 베어러를 요청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QoS를 가지는 전용 베어러를 요청할 것인지 결정하여, 상기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단계에서 PDN 연결 수립이 완료된다고 할 수 있다.
> S4. 동일 DN으로의 여러 개 PDU 세션이 있었을 경우, EPC에서의 서비스를 위해 추가적인 전용 베어러를 요청할 수 있다(도 13, S1370). 이 동작은 이 단계 혹은 핸드오버가 끝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이 단계에서 전용 베어러를 수립하는 경우 전용 베어러를 위한 정보가 이 단계에서 S-GW/P-GW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전용 베어러가 수립될 수 있다.
> S5~S11. 종래의 인터시스템 핸드오버와 비슷하게 RAT 노드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단 서비스 변경으로 인한 인터시스템 변경의 경우, RAN이 그대로라면 본 동작 중 RAN 핸드오버 실행(execution) (S5, S8 및 S9)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 S12~S14. 핸드오버가 끝나면 MME는 S-GW 및 P-GW로 수정 베어러(Modify Bearer) 절차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 RAN 단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므로, 상기 수정 베어러 요청은 MME가 P-GW에게 UE가 새로운 RAN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절차 이후에 S3에서 수립된 PDU 연결이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S14 이후 UE는 NGC의 1차 PDU 세션을 (S3에서 수립된) EPC의 PDN 연결을 통해 계속 서비스 받을 수 있다(도 13, S1330a, S1330b). 만일 단계 S4에서 전용 베어러를 생성했다면(도 13, S1370) UE는 이 절차 이후 상기 1차 PDU 세션뿐 아니라 다른 PDU 세션(들)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도 13, S1380).
> S15. 단계 S4에서 전용 베어러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MME는 P-GW에게 베어러 자원 할당(Bearer Resource Allocation)을 요청할 수 있다(도 13, S1370). 이 때 PDU 세션, APN, QoS 레벨 등의 정보가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요구하는 QoS 레벨을 현재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만족한다면(도 13, S1350, Yes), 이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NCG의 2차 세션의 트래픽은 상기 디폴트 베어러에 전달될 수 있다(도 13, S1360). 단계 S16 및 단계 S17은 현재 EPS에 정의된 PDN GW 개시(initiated) 전용 베어러 활성화 절차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전용 베어러 활성화(3GPP TS 23.401의 섹션 5.4.1 "Dedicated bearer activation" 참조)를 트리거하는 것은 단계 S15에서 MME가 요청한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이며, 상기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용 베어러가 수립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용 베어러 활성화가 MME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2차 세션의 트래픽은 상기 전용 베어러에 전달된다(도 13, S1380).
본 발명이 경우, 도 12의 단계 S2에서 종래 재배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던 정보(3GPP TS 23.401의 "Relocation Request" 참조) 외에 전술한 본 발명 1-1에 언급된 파라미터가 재배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종래 EPC에서는 UE, P-GW 혹은 HSS가 베어러 생성을 개시(initiate) 혹은 요청했으며, MME는 베어러 생성을 개시 혹은 요청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NGC로부터 다수의 PDU 세션을 넘겨 받는 MME가 NGC에서 2차 세션을 사용하는 트랙픽 위한 베어러 생성 혹은 베어러 활성화를 S-GW 혹은 P-GW에 요청함으로써 NGC에서 EPC로의 빠른 인터시스템 변경을 돕는다. 이는 도 12의 단계 S4 혹은 단계 S1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단계 4번 혹은 15에서 NGS에서 2차 세션을 이용하던 트래픽을 EPS의 어떤 베어러로 넘길 것인지, 즉 NGS의 1차 세션을 위해 EPS에 생성된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를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전용 베어러를 이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NGC CN-CP는 시스템 변경할 세션의 정보를 MME에게 전달한다(S1310). 예를 들어, 상기 NGC CN-CP는 1차 세션의 QoS 레벨(예, QoS 레벨 A)을 MME에게 알릴 수 있다(S1310a). 인터시스템 변경에 따라 서비스 GW가 변하는 것이므로, 상기 MME는 S-GW에게 생성 세션 요청(Create Session Request)를 보내며, 이 때 우선순위가 높은 상기 1차 PDU 세션의 정보를 상기 생성 세션 요청에 포함시켜 보낼 수 있다. UE가 NGC에서 동일 DN에 연결된 복수의 PDU 세션들을 사용 중이던 경우, NGC CN-CP는 우선순위가 높은 1차 PDU 세션 뿐 아니라 그 다음 우선순위의 세션(들), 즉, 2차 PDU 세션(들)에 관한 정보도 MME에게 전달한다(S1310). 예를 들어, 상기 NGC CN-CP는 2차 세션의 QoS 레벨(예, QoS 레벨 B)을 MME에게 알릴 수 있다(S1310b). 1차 PDU 세션의 정보를 바탕으로 UE와 PDN 간에 PDN 연결이 수립되며(S1330a), QoS 레벨 A를 갖는 디폴트 베어러 #1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S1330b). NGC 내 2차 PDU 세션의 트래픽이 요구하는 QoS 레벨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 #1이 만족하면(S1350, Yes), 상기 2차 PDU 세션의 트래픽이 상기 디폴트 베어러 #1으로 전달된다(S1360). 상기 2차 PDU 세션의 트래픽이 요구하는 QoS 레벨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 #1이 만족하지 못하면(S1350, No), MME는 S-GW 혹은 P-GW와 전용 베어러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여 전용 베어러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거나(도 12, S4) 혹은 S-GW 혹은 P-GW에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하여 전용 베어러 생성을 트리거한다(도 12, S15).
<방법 2. 단일 DN으로의 다수 PDU 세션들에서 UE 제공(provided) 인터시스템 핸드오버(UE provided intersystem handover with multiple PDU sessions to a single DN>
NGC에 연결되어 있는 UE는 동일 DN에 대하여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PDU 세션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 세션의 SSC 모드에 따라 다음과 조합이 있을 수 있다.
> SSC 모드 1인 세션은 앵커 TUPF를 통해 DN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사업자가 EPS와 NGS를 모두 운용할 경우 상기 앵커 TUPF는 EPS와 NGS 둘 다에 연결된다.
> SSC 모드 2 혹은 SSC 모드 3인 세션은 NGS 내에서만 쓰이는 TUPF에 연결되어 있다.
2-1. SSC 모드에 따른 PDU 세션간 우선순위 (priority)
현재 특정 DN에 대하여 2개의 PDU 세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경우 1. 두 세션 모두 SSC 모드 1일 때.
> 경우 2. 한 세션은 SSC 모드 1, 다른 세션은 SSC 모드 2 혹은 SSC 모드 3일 때.
> 경우 3. 두 세션 모두 SSC 모드 2 혹은 SSC 모드 3일 때.
각 경우에 대해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세션 중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1차(primary) PDU 세션과 그 외의 2차(secondary) PDU 세션(들)을 정해질 수 있다.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경우 2에 대해서는 SSC 모드 1인 세션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경우 1번과 경우 3에 대해서 UE와 네트워크는 동일 SSC 모드인 세션들 중 여러 가지 기준(criteria)에 의해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혹은 더 중요한 세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UE, 그리고 네트워크의 메모리를 통해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에 어태치한 후 제일 먼저 수립했던 PDU 세션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혹은 UE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가장 서비스 중단(interruption)이 적어야 하는 세션(예, 긴급 통신을 위한 세션)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2-2. 다수 PDU 세션들이 이동하는 경우
SSC 모드 1인 세션의 경우 EPC와 NGC가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GW 혹은 P-GW가 동일하다면 SSC를 만족하면서 인터시스템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 NGS의 DNN과 EPS의 APN은 동일하며, P-GW 혹은 UP GW가 앵커 포인트가 된다. 상기 SSC 모드 1인 PDU 세션에 대한 IP 주소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PDU 세션이 EPC의 PDN 연결로 변경되어 끊김 없는(seamless)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 과정은 종래 UMTS-EPS 간 인터시스템 핸드오버 과정(3GPP TS 23.401의 섹션 5.5.2.2 참조)과 유사하게 일어날 수 있다.
만일 SSC 모드 1인 PDU 세션이 더 있을 경우 혹은 다른 SSC 모드인 PDU 세션이 더 있을 경우,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동일 DN으로의 복수의 연결을 하나의 연결로 변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우선 2-1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1차 PDU 세션이 구별될 수 있다. 상기 1차 PDU 세션은 위에서 기술하였듯이 종래의 인터시스템 변경과 유사한 동작을 통해 NGC에서 EPC로 SSC를 유지한 채 넘어갈 수 있다. 이를 통해 PDN 연결 A가 생성될 수 있다.
2차 PDU 세션의 경우에는 동일한 DN이므로 EPC에서 별도의 PDN 연결이 생성될 수는 없다. 대신 상기 2차 PDU 세션을 이용하던 서비스는 서비스의 특성이나 요구사항에 따른 QoS를 할당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PDN 연결 A에 생성되고, UE는 상기 전용 베어러를 이용하여 다른 세션과 구별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일 QoS 요구사항(requirements) 등이 현재 생성된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에서 수용 가능하다면, UE는 별도의 전용 베어러 할당 없이 디폴트 베어러를 통해서 상기 2차 PDU 세션을 이용하던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SSC 모드 1인 1차 PDU 세션을 제외하면 다른 세션들은 모두 (1차 PDU 세션을 위한) 새로운 IP 주소를 통한 전용 베어러 혹은 디폴트 베어러로 매핑되어야 하므로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하는 방법과 재활성화 있는 비활성화(deactivation with reactivation)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자의 방법인 재활성화 있는 비활성화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UE가 서비스 변화 혹은 이동성의 이유로 시스템 변경을 해야 할 경우, 2-1에서 언급된 대로 우선적으로 넘겨야 할 1차 PDU 세션을 선택한다. 상기 1차 PDU 세션의 정보가 UE의 메모리가 저장된다. 이 정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동일 DN으로의 PDU 세션이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PDU 세션 (ID)의 APN, IP 주소 정보 등
> 인터시스템 변경 시에 이동시킬 PDU 세션 (ID)과 그 DN(N)
> 각 PDU 세션의 QoS 값 혹은 그 인덱스 값 (예, 5G QoS Identifier, QCI 등)
이후 UE는 1차 PDU 세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세션(이하, 2차 PDU 세션)을 비활성화한다. 그러나 상기 2차 PDU 세션(들)은 재활성화되어야 할 세션들이므로 상기 UE는 상기 2차 PDU 세션(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앞서 언급된 정보(즉, 우선순위가 높은 PDU 세션, 인터시스템 변경 시에 이동될 PDU 세션, 각 PDU 세션의 QoS 등)를 포함한, 2차 PDU 세션(들)에 관한 이 정보는 NGS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stack)과 EPS를 위한 스택(stack) 간에 공유되어야 한다.
네트워크와 UE는 비활성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1차 PDU 세션을 중심으로 인터시스템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 이는 3GPP TS 23.401에 기술된 인터-RAT 힌드오버 절차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UE는 EPS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대로, 휴지 모드로 가기 전에, 베어러 자원 할당을 MME에게 요청한다. 상기 MME는 상기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을 P-GW에게 전달한다. 이 때 상기 UE는 앞서 저장한 1차 PDU 세션의 정보(예, APN, IP 주소)과 이전에 사용하던 세션(들)의 정보(예, QoS) 등을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이 인터시스템 변경 절차에서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P-GW는 상기 UE가 요청한 QoS 값, 혹은 별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전용 베어러 활성화(dedicated bearer activation)을 수행한다. 단, 이 때 IP 주소는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일 경우에만 전달된다. 1차 세션이 SSC 모드 1이 아닐 경우, IP 주소가 유지되지 않으며, MME는 새로운 IP를 할당하여 새롭게 PDN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만일 SSC 모드 1인 세션이 하나도 없을 경우에는 1차 세션에 대해서 새롭게 PDN 연결을 생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SSC는 보장될 수 없다. 1차 세션에 대해 PDN 연결이 새로이 생성된 이후의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UE는 SSC 모드 1일 때는 IP 주소를 보존한 채로 PDN 연결이 수립되어야 하므로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제공하고, SSC 모드 1이 아니면 IP 주소가 필요 없으므로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NGC의 2차 세션을 이용하던 트래픽을 EPC의 어떤 베어러로 넘겨져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2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S0. UE는 현재 SSC 모드 1인 PDU 세션과 SSC 모드 2 혹은 3인 PDU 세션, 2개의 PDU 세션을 가지고 있다. 두 세션은 동일 DN으로 연결되어 있다.
> S1. NGC에서 EPC로의 인터시스템 변경이 발생한다. 이는 셀 변경으로 인한, 즉 이동성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고, 서비스 특성에 따른 (예,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EPC 폴백) 변경일 수도 있다. 이 때 UE는 인터시스템 요청과 함께 1차 PDU 세션이 어떤 것인지 NG RAN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도 14, S1410, S1410a, S1410b), 상기 NG RAN은 이 정보를 NG CN-CP로 알려줄 수 있다. 이는 해당 세션의 ID 혹은 인덱스 값 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이후 상기 1차 PDU 세션을 제외한 세션들에 대해서는 단계 S6의 PDU 세션 비활성화가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S1에 명시된 세션 외에 동일 DN으로의 세션들을 해제하는 절차인 S6는 S1이 수행된 이후에는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 S2. NGC의 CN-CP는 EPC의 MME로 재배치 요청(Relocation Request)을 보낸다. 이 때 재배치를 통해 NGS에서 EPS로 넘어가는 세션은 1차 PDU 세션뿐이다.
> S3. 서비스 GW가 변하므로 MME는 S-GW/P-GW로 생성 세션 요청(Create Session Request)를 보낸다.
> S4~S5. 종래의 인터시스템 핸드오버와 비슷하게 RAT 노드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단 서비스 변경으로 인한 인터시스템 변경의 경우, RAN이 그대로라면 본 동작 중 무선 관련 동작(예, S5)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 S6. 동일 DN으로의 여러 개의 PDU 세션이 있었을 경우, 단계 S1에서 알려준 1차 PDU 세션을 제외한 PDU 세션들은 비활성화된다(도 14, S1440). 다만 이 때 각 세션의 QoS 정보 및 1차 PDU 세션의 연결 정보(예, APN, IP 주소) 등을 UE가 저장한다. 이 절차는 S1 이후이면 언제든 수행될 수 있다.
> S7~S11. 종래의 인터시스템 핸드오버와 비슷하게 RAT 노드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단 서비스 변경으로 인한 인터시스템 변경의 경우, RAN이 그대로라면 본 동작 중 RAN 핸드오버 실행(S8 및 S9)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 S12~S14. 핸드오버가 끝나면 MME는 S-GW 및 P-GW로 수정 베어러(Modify Bearer)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MME는 RAN에서의 핸드오버 통지, 그리고 소스 CN (NG CN-CP) 과의 전달 재배치 완료(forward relocation complete) 절차를 통해 핸드오버가 끝났음을 알 수 있다. 이 절차 이후 UE는 NGC의 1차 PDU 세션을 PDN 연결을 통해 계속 서비스 받을 수 있다(도 14, S1430a, S1430b).
> S15. UE는 UE 개시(initiated) 베어러 자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도 14, S1470). 이 때 PDU 세션, APN, QoS 레벨 등의 정보가 상기 베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도 14, S1410c). 이후 P-GW는 요청 받은 QoS 값과 해당 PDN 연결을 비교하여(도 14, S1450), 새로운 전용 베어러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도 14, S1470 ~ S1480), 종래 PDN 연결의 베어러를 통해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도 14, S1460).
MME가 전용 베어러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과 달리, 방법 2에 따른 인터시스템 변경 절차에서는 UE가 전용 베어러 생성 여부를 결정한다. 도 14은 1차 세션이 아닌 다른 세션을 이용하던 트래픽을 EPS의 어떤 베어러로 넘길 것인지, 즉 NGS의 1차 세션을 위해 EPS에 생성된 PDN 연결의 베어러를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전용 베어러를 이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UE는 시스템 변경할 세션의 정보를 네트워크에게 전달한다(S1410). 예를 들어, 상기 UE는 1차 세션의 QoS 레벨(예, QoS 레벨 A)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S1410b). 상기 1차 세션이 SSC 모드 1인 경우, IP 주소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S1410a). 인터시스템 변경에 따라 서비스 GW가 변하는 것이므로, MME는 S-GW에게 생성 세션 요청(Create Session Request)를 보낸다. 1차 PDU 세션의 정보를 바탕으로 UE와 PDN 간에 PDN 연결이 수립되며(S1430a), QoS 레벨 A를 갖는 디폴트 베어러 #1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S1430b). 동일 DN으로의 여러 개의 PDU 세션이 있었을 경우, 단계 S1에서 알려준 1차 PDU 세션을 제외한 PDU 세션들은 비활성화한다(도 14, S1440). UE가 NGC에서 동일 DN에 연결된 복수의 PDU 세션들을 사용 중이던 경우, UE는 우선순위가 높은 1차 PDU 세션 뿐 아니라 그 다음 우선순위의 세션(들), 즉, 2차 PDU 세션(들)에 관한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S1410c). 예를 들어, 상기 UE는 2차 세션(들)의 QoS 레벨(예, QoS 레벨 B)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S1410c). NGC 내 상기 2차 PDU 세션의 트래픽이 요구하는 QoS 레벨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 #1이 만족하면(S1450, Yes), 상기 2차 PDU 세션의 트래픽이 상기 디폴트 베어러 #1으로 전달된다(S1460). 상기 2차 PDU 세션의 트래픽이 요구하는 QoS 레벨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 #1이 만족하지 못하면(S1450, No), UE는 UE 개시(initiated)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하여 전용 베어러 생성을 트리거한다(도 12, S15). 상기 UE는 상기 베어러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 내에 전용 베어러 설정이 필요한 2차 세션(들)의 정보(예, QoS 레벨)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차세대 코어 네트워크와 진화된 패킷 코어 간 이동이 일어났을 때 두 시스템 간 세션 특성 차이에 의한 세션 드랍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중단(interruption)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안에 적용되는 노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UE 장치(100)는, 송수신장치(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장치(11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으로 칭해지기도 한다. 송수신장치(1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장치(110)는 전송부와 수신부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UE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UE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UE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UE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데이터 혹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110)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안하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는, 송수신장치(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장치(21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으로 칭해지기도 한다. 송수신장치(210)는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장치(210)는 전송부와 수신부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 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노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데이터 혹은 메시지를 UE 혹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도록 송수신장치(110)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UE 장치(100) 및 네트워크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네트워크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UE의 PDU 세션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RF 유닛(2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20)는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200)가 속한 제2 시스템에서 PDN 연결 수립을 요청하도록 상기 RF 유닛(2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E는 제1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2 시스템으로 핸드 오버될 복수의 PDU 세션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은 동일 DN에 대한 1차 PDU 세션 및 하나 이상의 2차 PDU 세션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220)는 상기 2차 시스템에서 상기 1차 PDU 세션이 매핑되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 생성을 P-GW에 요청하도록 상기 RF 유닛(2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QoS 레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폴트 베어러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QoS 레벨에 대응하는 QoS 레벨을 갖도록 수립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면 상기 프로세서(220)는 상기 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생성을 요청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에 매핑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이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 1이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 아니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면, 상기 제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PDN 연결의 IP 주소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이고, 상기 제1 시스템은 상기 제2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예, 5G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RF 유닛(210)은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제1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혹은 상기 UE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200)는 MME일 수 있다.
UE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시스템에서 제2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도록 상기 UE 장치(100)의 RF 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UE 장치(100)가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동일 DN에 대한 복수의 PDU 세션들 중 1차 PDU 세션에 대한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시스템과 PDN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에 매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이 아닌 PDU 세션(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수립이 필요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110)을 제어하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PDN 연결을 수립한 후에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 혹은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비활성화된 2차 PDU 세션을 재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PDN 연결 내에 상기 전용 베어러를 생성하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면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110)을 제어하지 않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에 매핑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이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 1이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 아니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면, 상기 PDN 연결의 IP 주소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이고, 상기 제1 시스템은 상기 제2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예, 5G 시스템)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방법은 3GPP 시스템뿐 아니라, 그 외에도 IEEE 802.16x, 802.11x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안한 방법은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mmWave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사용자기기가 제1 시스템에서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동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대한 복수의 (protocol data unit, PDU) 세션들 중 1차 PDU 세션에 대한 제1 세션 정보를 전송;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에 매핑;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이 아닌 PDU 세션(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수립이 필요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비활성화; 및
    상기 PDN 연결을 수립한 후에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 혹은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비활성화된 2차 PDU 세션을 재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
    상기 PDN 연결 내에 상기 전용 베어러를 생성; 및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에 매핑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이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 1이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 아니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포함하지 않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면, 상기 PDN 연결의 IP 주소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와 동일한,
    핸드오버 상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이고, 상기 제1 시스템은 상기 제2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인,
    핸드오버 지원 방법.
  8. 사용자기기가 제1 시스템에서 제2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 및
    상기 RF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동일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에 대한 복수의 (protocol data unit, PDU) 세션들 중 1차 PDU 세션에 대한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에 매핑;
    상기 복수의 PDU 세션들 중 상기 1차 PDU 세션이 아닌 PDU 세션(2차 PDU 세션)을 위한 전용 베어러 수립이 필요하면 상기 PDN 연결에 대한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세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DN 연결을 수립한 후에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 혹은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비활성화된 2차 PDU 세션을 재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사용자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RF 유닛을 제어;
    상기 PDN 연결 내에 상기 전용 베어러를 생성; 및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전용 베어러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사용자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DN 연결의 디폴트 베어러가 상기 2차 PDU 세션의 QoS 레벨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기기는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2차 PDU 세션을 상기 디폴트 베어러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사용자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션 정보는 상기 1차 PDU 세션이 세션 및 서비스 연속성(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SSC) 모드 1이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 아니면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를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기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PDU 세션이 SSC 모드 1이면, 상기 PDN 연결의 IP 주소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1차 PDU 세션의 IP 주소와 동일한,
    사용자기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이고, 상기 제1 시스템은 상기 제2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인,
    사용자기기.
PCT/KR2017/012648 2016-11-09 2017-11-09 핸드오버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808881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69452.7A CN109937590B (zh) 2016-11-09 2017-11-09 切换方法和用户设备
EP17870125.6A EP3541115B1 (en) 2016-11-09 2017-11-09 Handover method and user equipment
US16/348,702 US11153788B2 (en) 2016-11-09 2017-11-09 Handover method and user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9475P 2016-11-09 2016-11-09
US201662419476P 2016-11-09 2016-11-09
US62/419,475 2016-11-09
US62/419,476 2016-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812A1 true WO2018088812A1 (ko) 2018-05-17

Family

ID=6211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648 WO2018088812A1 (ko) 2016-11-09 2017-11-09 핸드오버 방법 및 사용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53788B2 (ko)
EP (1) EP3541115B1 (ko)
CN (1) CN109937590B (ko)
WO (1) WO201808881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4972A1 (zh) * 2018-08-13 2020-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迁移的方法和装置
CN111034267A (zh) * 2018-08-10 2020-04-17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处理pdu会话切换的sr进程与pdu会话建立进程之间冲突的方法
US10880836B2 (en) 2019-03-28 2020-12-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provisioning for sensory data collec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026095B2 (en) 2019-07-31 2021-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network provisioning for distributed virtual zones of collaborative mobile device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064337B2 (en) 2019-03-28 2021-07-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as a service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N114095984A (zh) * 2021-11-02 2022-02-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会话管理方法、oam和amf
US11297554B2 (en) 2019-03-28 2022-04-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andidate beam selection and control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9437A1 (en) * 2017-01-09 2018-07-12 Idac Holdings, Inc.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for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architectures
US10798770B2 (en) * 2017-03-20 2020-10-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session
EP3603220B1 (en) * 2017-03-24 2020-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os flows inactivity counters
EP3603189B1 (en) * 2017-05-05 2021-02-1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WO2018205154A1 (zh) * 2017-05-09 2018-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JP6825143B2 (ja) * 2017-05-29 2021-02-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ulti−homing基盤のpsa追加に関連し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10637477B (zh) * 2017-06-13 2022-05-13 苹果公司 用于蜂窝通信系统中的遗留系统回退的系统、方法和设备
WO2018230778A1 (ko) * 2017-06-14 2018-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smf 노드
CN110754116B (zh) * 2017-06-16 2023-03-2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无线通信系统及无线通信方法
TWI669019B (zh) * 2017-08-14 2019-08-1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處理互通程序的裝置及方法
US11178589B2 (en) * 2018-01-02 2021-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attach request procedure
US10575358B2 (en) * 2018-03-23 2020-02-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working with future generation network
US11323934B2 (en) * 2018-04-09 2022-05-03 Nokia Technologies Oy Session context conversion
US11129061B1 (en) * 2018-11-07 2021-09-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l identifier locator network protocol (ILNP) breakout
CN112714506B (zh) * 2019-10-25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EP4189930A1 (en) * 2020-08-03 2023-06-0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4513422A (zh) * 2020-11-17 2022-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操作方法、网元和存储介质
US11418582B1 (en) * 2021-07-06 2022-08-16 Citrix Systems, Inc. Priority-based transport connection control
CN117014980A (zh) * 2022-04-29 202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会话建立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623A (ko) * 2007-08-08 2010-05-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사용자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KR20140080550A (ko) * 2011-10-20 2014-06-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eHRPD 사전 등록 동안 실패 및 재시도 메커니즘들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39982B1 (ko) * 2014-02-11 2015-07-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기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시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7822A1 (en) * 2009-10-29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ment of the attachement procedure for re-attaching a UE to a 3GPP access network
US9949189B2 (en) * 2011-07-11 2018-04-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multiple cellular connections and/or interfaces
CN103139142B (zh) * 2011-11-23 2017-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流媒体业务数据的处理方法、设备及系统
CN110062429B (zh) * 2012-08-23 2021-11-2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无线系统中采用多个调度器进行操作
AU2014219562B2 (en) 2013-02-22 2017-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imultaneous connectivity between multiple E-NodeBs and user equipment
EP3017630B1 (en) * 2013-07-02 2021-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60329A1 (en) * 2014-04-15 2015-10-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working with bearer-based system
EP3175644B1 (en) 2014-07-29 2019-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applying policy and charging rules to bearers
KR102307947B1 (ko) * 2014-10-03 2021-10-05 인텔 코포레이션 핸드오버 동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설정
CN105764143B (zh) * 2014-12-19 2019-01-0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户终端及其um模式下的数据发送方法及装置
US9730120B2 (en) * 2015-06-01 2017-08-08 Intel Corporation Handover using group evolved packet system (EPS) bearers
US10624016B2 (en) * 2015-09-23 2020-04-14 Convida Wireless, Llc Aggregated handover in integrated small cell and WiFi networks
KR101697921B1 (ko) * 2015-10-05 2017-01-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epc 및 이를 이용한 페이징 방법
US11871291B2 (en) * 2017-08-04 2024-01-09 Apple Inc. Data forwarding tunnel establishment between two user plane functions in fifth gene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623A (ko) * 2007-08-08 2010-05-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사용자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KR20140080550A (ko) * 2011-10-20 2014-06-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eHRPD 사전 등록 동안 실패 및 재시도 메커니즘들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39982B1 (ko) * 2014-02-11 2015-07-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기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시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 (Release 14)", 3GPP TR 23.799, 31 October 2016 (2016-10-31), XP055484362 *
MOTOROLA MOBILITY ET AL.: "Considerations for IP Session Continuity", SA WG2 MEETING 113 AH S2-161020, 22 February 2016 (2016-02-22), XP051078009 *
See also references of EP3541115A4 *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4267A (zh) * 2018-08-10 2020-04-17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处理pdu会话切换的sr进程与pdu会话建立进程之间冲突的方法
CN111034267B (zh) * 2018-08-10 2021-12-17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协议数据单元会话切换冲突的处理方法及其用户设备
WO2020034972A1 (zh) * 2018-08-13 2020-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迁移的方法和装置
CN110830994A (zh) * 2018-08-13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迁移的方法和装置
CN110830994B (zh) * 2018-08-13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迁移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3833075A4 (en) * 2018-08-13 2021-06-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SSION MIGRATION PROCESS AND DEVICE
US11064337B2 (en) 2019-03-28 2021-07-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as a service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880836B2 (en) 2019-03-28 2020-12-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provisioning for sensory data collec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297554B2 (en) 2019-03-28 2022-04-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andidate beam selection and control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425652B2 (en) 2019-03-28 2022-08-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provisioning for sensory data collec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026095B2 (en) 2019-07-31 2021-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network provisioning for distributed virtual zones of collaborative mobile device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CN114095984A (zh) * 2021-11-02 2022-02-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会话管理方法、oam和amf
CN114095984B (zh) * 2021-11-02 2023-08-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会话管理方法、oam和am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1115B1 (en) 2022-10-12
CN109937590A (zh) 2019-06-25
EP3541115A1 (en) 2019-09-18
US11153788B2 (en) 2021-10-19
EP3541115A4 (en) 2020-07-01
CN109937590B (zh) 2021-09-14
US20190289506A1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8812A1 (ko) 핸드오버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8169343A1 (ko)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기지국, 페이징을 지원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엔티티
WO2018231007A1 (ko) 요청에 대한 응답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WO2018199611A1 (ko)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 그리고 등록 요청 수신 방법 및 네트워크 기기
WO2017164674A1 (ko) 기지국에서 연결 모드 변경 방법 및 기지국과, 사용자기기에서 연결 모드 변경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812852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u 세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3198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설정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26185A1 (ko) 접속 시도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접속 제어 방법 및 기지국
WO2018066919A1 (ko) 네트워크로의 연결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713577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재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23092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리포팅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42363A1 (ko) 서비스 요청 전송 및 사용자기기, 그리고 서비스 요청 수신 및 기지국
WO2014112826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handover for traffic offloaded onto wlan
WO2017146523A1 (ko) 네트워크로의 연결 요청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6159521A1 (ko) 네트워크 선택 및 트래픽 라우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WO201812851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ue와 연결을 가진 릴레이 ue가 네트워크와 연결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7994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60215A2 (ko) 라우팅 규칙을 전달하는 방법
WO201610500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bifom 캐퍼빌리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58242A1 (ko) 페이징 처리 방법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방법
WO2015016546A1 (ko) Ims 서비스를 위한 페이징 방법 및 장치
WO2017171427A1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과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7142171A1 (ko)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세션을 생성, 수정, 해제하는 방법 및 단말
WO201707401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31831A1 (ko) 접속 제어 방법 및 사용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01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701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