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16773A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16773A1
WO2018016773A1 PCT/KR2017/007109 KR2017007109W WO2018016773A1 WO 2018016773 A1 WO2018016773 A1 WO 2018016773A1 KR 2017007109 W KR2017007109 W KR 2017007109W WO 2018016773 A1 WO2018016773 A1 WO 20180167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ab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plai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109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추성기
김잔디
어성화
한다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0167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167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which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uncoated tab projecting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uncoated tab project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and a pouch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having a first joint portion and a second joint portion which are formed on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reof, wherein the first uncoated tab project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joint portion, the second uncoated tab project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joint portion; the first uncoated tab and the second uncoated ta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inter-tab distance; and the first uncoated tab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by a first spaced-apart distance.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is not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s, and camcorders, or widely used as power sources for driving motors of hybrid vehicles.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한다. 전극조립체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며, 케이스는 단자를 구비하여 전류를 공급하거나 공급받는다. 케이스는 금속판 또는 파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the case to perform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he case is provided with terminals to supply or receive current. The case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or pouch.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경우, 높은 방전 용량을 갖는 고율방전의 특성의 이차전지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충전 또는 방전 용량이 큰 전극조립체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미흐름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미흐름 영역이 많이 발생될 경우, 방전 용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저항 때문에 전극조립체의 특정부위에 온도가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부위의 열수축 또는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When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a hybrid vehicle or the like,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high rate discharge characteristic having a high discharge capacity is required. To this end,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large charge or discharge capacity is used. In this case, an unflowed region in which no current flows in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generated. When a lot of these unflowed regions are generated, the discharge capacity may not be sufficient or the temperature may be concent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due to the resistance generated as the current flow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heat shrinkage or damage of a specific portion occur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극조립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미흐름 영역을 감소시켜 고율방전을 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high rate discharge by reducing the non-flow region in which no current flows in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무지탭과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무지탭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고,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상하로 형성된 파우치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무지탭은 상기 제1 접합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무지탭은 상기 제2 접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무지탭과 상기 제2 무지탭은 상호 탭간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무지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에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plain tab protru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a pouch case accommodating the second plain tab and the electrode assembly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are formed up and down, wherein the first plain tab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The second plain tab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joining portion, and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tab distance, and the first plain ta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spaced apart.
상기 탭간거리는, 상기 제1 무지탭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의 단변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무지탭의 일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무지탭의 일측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The tab distance may be a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plain tab to a side of the second plain tab parallel to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oward one side of the first plain tab.
상기 탭간거리는 상기 제1 이격거리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tab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상기 제1 이격거리는,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1/2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단변방향인 폭의 1/20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1/2 o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may be smaller than 1/20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께에 대한 폭의 종횡비는 10: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aspect ratio of the width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greater than 10: 1.
상기 제1 무지탭 및 상기 제2 무지탭의 폭은, 상기 전극조립체 폭의 1/4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Widths of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may be formed within 1/4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제1 전극의 제1 무지탭은 복수개로 돌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plain tabs of the first electrode may protrude.
상기 제1 무지탭 및 상기 제2 무지탭의 두께는,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3/4 미만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may be formed in a range of less than 3/4 o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미흐름 영역을 감소시켜 고율방전을 할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 특정부위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high rate discharge by reducing a non-flow region in which no current flows 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can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temperature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ri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극조립체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극조립체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고율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high rat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the exemplary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the components different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llustrated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를 내장하는 파우치 케이스(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ouch case 3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embedded.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2)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3)를 포함한다.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11), 제2 전극(12) 및 세퍼레이터(13)를 함께 권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극조립체(10)는 제1 전극(11), 제2 전극(12) 및 세퍼레이터(13)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separator 13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12.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first electrode 11, the second electrode 12, and the separator 13 together.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formed b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1, the second electrode 12, and the separator 13.
전극조립체(10)를 구성하는 제1 전극(11), 제2 전극(12) 및 세퍼레이터(13)가 권취되는 권취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되고, 전극조립체(10)의 장변 방향의 길이를 전극조립체의 길이(L)라고 하고, 권취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고, 전극조립체(10)의 단변 방향의 길이를 전극조립체의 폭(W)이라고 할 때, 전극조립체의 길이(L)는 전극조립체의 폭(W)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 the second electrode 12, and the separator 13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measur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axis around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wound,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measured. When the length L of the assembly is measur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nding axis 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length L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the electrode.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W) of the assembly.
전극조립체의 두께(T)는 전극조립체의 길이(L)와 전극조립체의 폭(W)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폭(W)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T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measu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length L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1 전극(11)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으며, 양극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2 전극(12)은 제1 전극(11)과 반대되는 극성인 음극 또는 양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극(11)은 양극, 제2 전극은 음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an anode or a cathode, which will be described using an anode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2 may be formed of a cathode or an an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11.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11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catho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전극(11)은 일례로, 스트립 형상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양극 집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 예컨대 알루미늄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은 리튬계 산화물에 바인더, 도전재 등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strip-shaped metal thin plate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such as an aluminum thin plat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are mixed with a lithium oxide.
제2 전극(12)은 일례로, 스트립 형상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 예를 들어 구리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 활물질층은 탄소재 등의 음극 활물질에 바인더 도전재 등이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2 may include, for exampl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strip metal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for example, a copper thin plat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a binder conductive material is mix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a carbon material.
세퍼레이터(13)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parator 13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may be made of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파우치 케이스(30)는 전극조립체(10)를 수용하는 수용부(31)와 수용부(31) 주위로 형성되는 테두리 접합부(33), 제1 접합부(35) 및 제2 접합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uch case 30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31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n edge junction part 33 formed around the accommodating part 31, a first junction part 35, and a second junction part 36. can do.
파우치 케이스(30)의 수용부(31)는 전극조립체(10)와 함께 전해질을 수용한다. 파우치 케이스(30)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판(30a) 및 제2 판(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두리 접합부(33), 제1 접합부(35) 및 제2 접합부(36)에서 파우치 케이스(30)의 제1 판(30a) 및 제2 판(30b)은 열융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열융착된 테두리 접합부(33), 제1 접합부(35) 및 제2 접합부(36)는 수용부(31)에 내장된 전해질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31 of the pouch case 30 accommodates the electrolyte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pouch case 30 may be formed of a film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and may include a first plate 30a and a second plate 30b. The first plate 30a and the second plate 30b of the pouch case 30 may be joined by heat fusion at the edge junction 33, the first junction 35, and the second junction 36. The heat-sealed edge junction 33, the first junction 35, and the second junction 36 may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part 31 to the outside.
테두리 접합부(33)의 폭이 크면 파우치 케이스(30)의 접합력은 커질 수 있으며, 파우치 케이스(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실링하여 전해질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width of the edge junction 33 is large, the bonding force of the pouch case 30 may be increased, and the pouch case 30 may be more stably sealed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수용부(31)의 상하로 제1 접합부(35)와 제2 접합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1)는 파우치 케이스(30)의 제1 판(30a)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1)는 전극조립체(10)와 함께 전해질을 내장하므로, 전극조립체(1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junction 35 and the second junction 36 may be formed above and below the accommodation portion 31. The accommodating part 31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30a of the pouch case 30. Since the accommodating part 31 embeds the electrolyte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0, it may be larger than the electrode assembly 10.
제1 리드탭(21)및 제2 리드탭(22)은, 제1 전극(11)의 제1 무지탭(11a)과 제2 전극(12)의 제2 무지탭(12a)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first lead tab 21 and the second lead tab 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lain tab 11a of the first electrode 11 and the second plain tab 12a of the second electrode 12,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제1 리드탭(21)및 제2 리드탭(22)에는 제1 접합부(35)및 제2 접합부(36)와 단락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테이프(23,24)이 감겨있을 수 있다. 제1 리드탭(21) 및 제2 리드탭(22)으로 흐르는 많은 전류에 의해 제1 접합부(35) 및 제2 접합부(36)가 열손상 등의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에 의해 단락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tective tapes 23 and 24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lead tab 21 and the second lead tab 22 to prevent short circuits with the first junction 35 and the second junction 36.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lead tab 21 and the second lead tab 22 prevents the first junction portion 35 and the second junction portion 36 from being generated such as thermal damage, and short-circuited by the current. To prevent this.
제1 접합부(35)를 통해서 제1 리드탭(21)이 파우치 케이스(30)의 외부로 돌출되고, 제2 접합부(36)를 통해서 제2 리드탭(22)이 파우치 케이스(3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lead tab 21 protrudes out of the pouch case 30 through the first bonding part 35, and the second lead tab 22 moves out of the pouch case 30 through the second bonding part 36. It may protrude.
제1 리드탭(21)은 파우치 케이스(30)의 제1 접합부(35)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전극조립체의 폭(W) 방향의 일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lead tab 21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junction part 35 of the pouch case 30 and may be positioned to one side in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1 전극(11)은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된 코팅부와 코팅부 일측에서 돌출되어 제1 리드탭(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제1 무지탭(1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 may be formed of a coating par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on a current collector and one side of the coating par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ab 21, and formed of a first non-coating tab 11 a not coated with the active material. Can be.
제1 무지탭(11a)은 일례로,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집전체의 일측을 무지부로 형성한 다음, 이를 펀치 등으로 타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은 복수개의 제1 무지탭(11a)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non-coating tab 11a may be formed by forming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which is not coated with the active material, into a plain portion, and then punching it with a punch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lain tabs 11a.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무지탭(11a)은 전극조립체(10) 내부에서 원활한 전류의 유동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고율방전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non-coating tabs 11a may form a smooth current flow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reby enabling stable high rate discharge.
제2 리드탭(22)은 파우치 케이스(30)의 제2 접합부(36)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폭(W) 방향으로 제1 리드탭(21)과 이격되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lead tab 22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junction portion 36 of the pouch case 3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ad tab 21 in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can do.
즉, 제1 리드탭(21)과 연결되는 제1 무지탭(11a)과 제2 리드탭(22)과 연결되는 제2 무지탭(12a)은 전극조립체의 길이(L) 방향과 평행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극조립체의 폭(W)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무지탭(11a)과 제2 무지탭(12a) 사이에 형성되는 전극조립체(10)의 전극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제1 무지탭(11a)과 제2 무지탭(12a)은 전극조립체(10)에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lain tab 11a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ab 21 and the second plain tab 12a connected to the second lead tab 22 are parallel to the length 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Protru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rough this, the electrode area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formed between the first plain tab 11a and the second plain tab 12a can be secured to the maximum. The first plain tab 11a and the second plain tab 12a may be dispos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n the electrode assembly 10.
전극조립체(10)에서 전류는 제2 리드탭(22)에서 제1 리드탭(21)으로 전극조립체의 길이(L)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류의 유동경로가 길게 형성되어 전극조립체(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류의 미흐름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The current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flow from the second lead tab 22 to the first lead tab 21 in the length 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refore, in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of the current is formed to be long, and thus the unflowed region of the current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reduced.
전극조립체의 폭(W) 방향으로 제1 무지탭(11a) 및 제2 리드탭(22) 사이는 탭간거리(D1)로 이격될 수 있다. 탭간거리(D1)는, 상기 제1 무지탭(11a)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0)의 단변 방향인 전극조립체의 폭(W)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무지탭(11a)의 일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무지탭(12a)의 일측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무지탭과 제2 무지탭(12a)은 제1 무지탭(11a)의 측면으로부터 제2 무지탭(12a)의 측면 사이에 탭간거리(D1, 도 3 참조)로 이격되어 있다.탭간거리(D1)는 전극조립체의 폭(W)의 1/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는 전극조립체(10)를 사선으로 가로질러 전극조립체(10)의 대부분의 영역을 흐를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in tab 11a and the second lead tab 22 in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spaced apart by the tab distance D1. The tab distance D1 is parallel to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is a short sid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from one side of the first plain tab 11a and is one of the first plain tabs 11a. It consists of a distance to one side of the second plain tab 12a facing the side. That is,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12a a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lain tab 11a by the tab distance D1 (see FIG. 3)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plain tab 12a. The tab distance D1 may be formed to be 1/2 or more of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ly, the electric current may flow in most reg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cross the electrode assembly 10 diagonally.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극조립체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illustrated in FIG. 2.
도 3을 참고하면, 전극조립체(10)는 상하로 돌출되는 제1 무지탭(11a) 및 제2 무지탭(12a)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first plain tab 11a and a second plain tab 12a that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제1 무지탭(11a)은 전극조립체(10)의 일측면에서 제1 이격거리(D2)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무지탭(11a)이 전극조립체(10) 일측면에 위치하게 될 경우, 제1 무지탭(11a)과 파우치 케이스(30, 도 2 참조)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100, 도 1 참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경우, 제1 무지탭(11a)과 파우치 케이스(30)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non-coating tab 11a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by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When the first plain tab 11a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risk of a short circuit that may be generated by contacting the first plain tab 11a and the pouch case 30 (see FIG. 2) may be prevented. can do. In addition, when a swelling phenomenon occurs due to an abnormal situ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refer to FIG. 1), the risk of a short circuit that may occur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plain tab 11a and the pouch case 30 may be prevented. can do.
제1 무지탭의 폭(w11)은 전극조립체의 폭(W)의 1/4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지탭의 폭(w11)이 클수록 고율방전에 보다 유리하다. 다만, 한정된 전극조립체의 폭(W)에서 제1 무지탭의 폭(w11)은 탭간거리(D1)및 제1 이격거리(D2)와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폭의 제한이 있다. 일례로, 제1 무지탭의 폭(w11)은 6mm 내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w11 of the first plain tab may be formed within a quarter of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larger the width w11 of the first plain tab is, the more advantageous the high rate discharge is. However, since the width w11 of the first non-coated tab in the limited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tap distance D1 and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there is a limitation in width. For example, the width w11 of the first plain tab may be 6 mm to 15 mm.
제2 무지탭의 폭(w12)은 제1 무지탭의 폭(w11)과 마찬가지로 전극조립체의 폭(W)의 1/4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무지탭의 폭(w11)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w12 of the second plain tab may be formed within a quarter of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similar to the width w11 of the first plain tab, and may be equal to the length w11 of the width of the first plain tab. It may be formed differently.
다만, 전극조립체(10)의 방전 용량이 크므로, 제1 무지탭의 폭(w11)과 제2 무지탭의 폭(w12)은 길이를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since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11 of the first plain tab and the width w12 of the second plain tab are the same length.
제2 무지탭(12a)은 전극조립체(10)의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무지탭(12a)은 전극조립체(10)의 타측면과 이격되어 제2 무지탭(12a)이 전극조립체(10)의 타측면과 가깝게 형성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lain tab 12a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s mentioned above, the second plain tab 12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so that the second plain tab 12a is formed close to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risk of short circuits can be avoided.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극조립체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illustrated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제1 무지탭(11a)은 전극조립체(10)의 일측면에서 제1 이격거리(D2)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격거리(D2)는 전극조립체 폭(W)의 1/20 이내로 형성되고, 전극조립체 두께(T)의 1/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plain tab 11a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by a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In additio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may be formed within 1/20 of the electrode assembly width W, and may be larger than 1/2 of the thickness T of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전극조립체의 두께(T)에 대한 폭(W)의 종횡비(W/T)는 10: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pect ratio W / T of the width W to the thickness T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greater than 10: 1.
전극조립체의 폭(W)에서 탭간거리(D1)를 최대한 확보하기 제1 이격거리(D2)는 전극조립체 폭(W)의 1/20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탭간거리(D1)는 제1 이격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된다.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tabs D1 in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is preferably formed within 1/20 of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ly, the inter-tap distance D1 is great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또한, 전극조립체(10)는 권취되고 프레스 되어 타원형의 단면으로 제작되므로, 전극조립체(10)의 일측면이 만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무지탭과 전극조립체(10)의 일측단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이격거리(D2)는 전극조립체 두께(T)의 1/2 보다 크게 전극조립체의 일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wound and pressed to form an elliptical cross secti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formed to be curved. Therefore,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2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be greater than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thickness T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first plain tab and one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have.
제1 무지탭의 두께(t11)는 전극조립체의 두께(T)의 3/4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지탭의 두께(t11)가 두꺼울수록, 복수개의 제1 무지탭(11a)로부터 방출되는 전류를 최대한 손실 없이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파우치 케이스(30)의 실링과 단락 문제를 고려하여 전극조립체의 두께(T)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지탭의 두께(t11)는 0.39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율방전을 고려하여 제2 무지탭의 두께는 제1 무지탭의 두께(t11)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hickness t11 of the first plain tab may be formed within 3/4 of the thickness T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the thickness t11 of the first plain tab is thicker, current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lain tabs 11a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without loss.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sealing and short-circuit problems of the pouch case 30,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The thickness t11 of the first plain tab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39 mm.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rate discharg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in tab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t11 of the first plain tab.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고율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showing the high rat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탭간거리(D1, 도 3 참조)를 증가시키면서 고율방전을 측정한 그래프가 개시된다. 그래프는 탭간거리(D1)가 없는 경우와 탭간거리(D1)가 형성된 경우에 1C, 30C 및 50C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FIG. 5, a graph of measuring high rate discharge while increasing the inter-tap distance D1 (see FIG. 3) is disclosed. The graph shows 1C, 30C, and 50C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aps (D1) and when the tap distance (D1) is formed.
1C을 방전시 탭간거리(D1)의 유무는 방전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30C을 방전시 탭간거리(D1)가 크게 형성된 경우에 방전효율이 좋았으며, 50C을 방전시 탭간거리(D1)가 형성된 경우에만 고율방전이 가능하였다.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p-interval D1 at 1C discharg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ischarge efficiency. However, the discharge efficiency was good when the distance between taps D1 was large when discharging 30C, and high rate discharge was possible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aps D1 was formed when discharging 50C.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set out below. Thos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y belong will easily understand.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00: 이차전지 10: 전극 조립체100: secondary battery 10: electrode assembly
11: 제1 전극 12: 제2 전극11: first electrode 12: second electrode
11a: 제1 무지탭 12a: 제2 무지탭11a: first plain tab 12a: second plain tab
13: 세퍼레이터 21: 제1 리드탭13: Separator 21: first lead tap
22: 제2 리드탭 23, 24: 보호테이프22: second lead tab 23, 24: protective tape
30: 파우치 케이스30: pouch case
30a: 제1 판 30b: 제2 판30a: first edition 30b: second edition
31: 수용부 33: 테두리 접합부31: accommodating part 33: edge joint
35: 제1 접합부 36: 제2 접합부35: first junction 36: second junction
D1: 탭간거리 D2: 제1 이격거리D1: Distance between taps D2: First separation distance
W: 전극조립체 폭 L: 전극조립체 길이W: electrode assembly width L: electrode assembly length
T: 전극조립체 두께 t11: 제1 무지탭의 두께T: electrode assembly thickness t11: thickness of the first plain tab
w11: 제1 무지탭의 폭 w12: 제2 무지탭의 폭w11: width of the first plain tab w12: width of the second plain tab

Claims (8)

  1.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무지탭과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무지탭; 및A first uncoated tab protru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uncoated tab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And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고,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가 상하로 형성된 파우치 케이스를 포함하되, It includes a pouch case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junction portion and the second junction portion formed up and down,
    상기 제1 무지탭은 상기 제1 접합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무지탭은 상기 제2 접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무지탭과 상기 제2 무지탭은 상호 탭간거리로 이격되고, The first plain tab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junction, the second plain tab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junction,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ab,
    상기 제1 무지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에서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되는 이차전지.The first plain tab is spaced apart by a first separation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2.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탭간거리는,The distance between the taps,
    상기 제1 무지탭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의 단변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무지탭의 일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 무지탭의 일측면까지의 거리인 이차전지.And a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first plain tab to one side of the second plain tab in parallel with a short sid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oward one side of the first plain tab.
  3.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탭간거리는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차전지.The tab 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4.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격거리는,The first spacing,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1/2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의 단변방향인 폭의 1/20 보다 작게 형성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larger than 1/2 o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smaller than 1/20 of the width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5.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께에 대한 폭의 종횡비는 10:1 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차전지.The aspect ratio of the width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greater than 10: 1 secondary battery.
  6.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무지탭 및 상기 제2 무지탭의 폭은,The width of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상기 전극조립체 폭의 1/4 이내로 형성되는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formed within a quarter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assembly.
  7.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전극의 제1 무지탭은 복수개로 돌출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of the first electrode tab of the first electrode protrudes into a plurality.
  8.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무지탭 및 상기 제2 무지탭의 두께는,The thickness of the first plain tab and the second plain tab,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3/4 미만의 범위로 형성되는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is formed in the range of less than 3/4 of the electrode assembly thickness.
PCT/KR2017/007109 2016-07-19 2017-07-04 Secondary battery WO2018016773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507A KR102337569B1 (en) 2016-07-19 2016-07-19 Rechargeable battery
KR10-2016-0091507 2016-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773A1 true WO2018016773A1 (en) 2018-01-25

Family

ID=6099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109 WO2018016773A1 (en) 2016-07-19 2017-07-04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7569B1 (en)
WO (1) WO2018016773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49A (en) * 2005-06-23 2006-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having biased electrode terminals in both directions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080064285A (en) * 2007-01-04 2008-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KR20120046611A (en) * 2010-11-02 2012-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KR20120092367A (en) * 2011-02-11 2012-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30119457A (en) * 2010-12-20 2013-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49A (en) * 2005-06-23 2006-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having biased electrode terminals in both directions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080064285A (en) * 2007-01-04 2008-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KR20120046611A (en) * 2010-11-02 2012-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KR20130119457A (en) * 2010-12-20 2013-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KR20120092367A (en) * 2011-02-11 2012-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569B1 (en) 2021-12-08
KR20180009594A (en)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5464A2 (en) Pouch type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WO2019050152A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breaking connector by using venting gas
WO2020204407A1 (en) Secondary battery battery case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WO2014137112A1 (en) Battery cell comprising stepped structure
WO2016064099A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4017864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128283A1 (en) Battery cell capable of measuring internal temperature
WO2014137017A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rounded corners
WO2013151233A1 (en) Battery cell
WO2020101353A1 (en) Pouch c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21038545A1 (en) Pouch-type battery case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WO2018080074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080080A1 (en) Secondary battery
WO2020036318A1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lectrode assembly
WO2018030835A1 (en) Rechargeable battery
WO2018216891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026117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016747A1 (en) Rechargeable battery
WO2018016773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074846A1 (en) Secondary battery
WO2014142525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8074849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012789A1 (en) Secondary battery
WO2020246716A1 (en) Secondary battery
WO2013141431A1 (en) Batte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1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12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