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12658A1 -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 Google Patents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12658A1
WO2018012658A1 PCT/KR2016/007751 KR2016007751W WO2018012658A1 WO 2018012658 A1 WO2018012658 A1 WO 2018012658A1 KR 2016007751 W KR2016007751 W KR 2016007751W WO 2018012658 A1 WO2018012658 A1 WO 20180126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ick
support plate
plate body
brick body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7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응철
Original Assignee
김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철 filed Critical 김응철
Priority to PCT/KR2016/0077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12658A1/ko
Publication of WO20180126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126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unctional brick, and more particularly,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ick, the construction of the brick body is possible only by combining the support plate, as well as the same durability and bearing forc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brick. In addition, i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itself, thereby preventing the internal space from being inevitably consumed, thereby simplifying construction and maximizing the material savings and maximizing productivity.
  • a wall-mounted functional brick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ick, the construction of the brick body is possible only by combining the support plate, as well as the same durability and bearing forc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brick. In addition, i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itself, thereby preventing the internal space from being inevitably consumed, thereby simplifying construction and maximizing the material savings and maximizing productivity.
  • ocher bricks are not onl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ecause they are products based on natural loess, but also have an effect of controlling moisture, and also have beneficial effects such as antibacterial function.
  • the far-infrared ray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effect of ocher, has a photoelectric effect that activates cell physiology and generates heat energy to release harmful substances.
  • the purifying and degradable ocher removes poison from the human body as an anti-toxic and antidote. It is used.
  • the interior decoration method of the interior space is conventionally used stone, gypsum board, plywood, wallpaper, paint, etc.
  • the construction of stone is difficult and expensive, and in the case of gypsum board or plywood is weak to moisture and moisture It easily breaks or corrodes, and in the case of wallpaper or paint, it is difficult to clean when stains or molds occur, which requires repainting or replacement, and inferior durability.
  • the method of masonry is implemented as another interior method of the interior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ruction of the brick body is possible only by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ick, as well as the same durability and bearing force compared to the existing brick In addition, i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itself, thereby preventing the internal space from being inevitably consumed, thereby simplifying construction and maximizing the material savings and maximizing productivity.
  • the main focus is on the wall-mounted functional bricks, which can be minimized.
  • the brick body 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ased on the loess or kaolin;
  • the space keeping member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rick body 10, which is the part of the brick body 10 facing the vertical wall 2, having the largest area, and maintains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brick bodies 10.
  • a support plate body 20 having a 90; and a brick body 10 by fixing the outer surface 21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to which the brick body 10 is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2.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sonry construction only by the attachment of the support plate to the vertical wall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ick body, as well as having the same durability and support compared to the existing brick
  • the thickness of the sieve can be reduced, thereby ensuring building durability and securing a larger indoor space withi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area.
  • the support plate body formed by one-to-one coupling with the brick body can be easily induced by fitting, so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upling means. It can be expected that a great advantage in use is expec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ll-mounted functional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emplary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onry st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perspective view of a wall fixed functional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emplified state sectional sid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gap ho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nother embodiment perspective view of a wall fixed functional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illustration of FIG. 12.
  • 14 to 1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formed by sequential steps in providing a functional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protruding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wall fixed functional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0.
  •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unctional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dge portion 15 groove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asonry construction only by combining the support plate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ick body, as well as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itself while having the same durability and support forc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brick.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12 of the brick body 10.
  • the brick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de of ocher or kaolin to exhibit functionality.
  • Ocher contains four components, catalase, diphenol oxidase, saccharase, and protease, and plays the role of toxin elimination, degradability, fertilizer element, and cleansing effect. In addition, it has a photoelectric effect that emits harmful energy by generating heat energy.
  • the purifying and degrading yellow soil removes poison from the human body and is used as an antidote and antidote.
  • Kaolin (white clay) is a white clay mainly composed of kaolinite and halosite, and the silica component of kaolin serves as a skeleton of the brick, and the alumina component gives fire resistance by providing fire resistance to widen the plastic range.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resistance to chemical reactions, abrasion and thermal shock.
  • the brick body 1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rick body 10 using the loess or kaolin as the material, an insert molding method is formed on the rear face 12 of the front face 11 and the rear face 12 which occupy a large area in the brick body 10. This allows the support plate body 20 to be integrally molded.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12 of the brick body 10 refers to the surface facing the vertical wall (2) as shown in FIG.
  • the brick body 1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mold frame, and fixing the supporting plate body 20 to be insert molded on the mold frame and supplying loess or kaolin.
  • the support plate 20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vertical wall (2) by applying an adhesive on the outer surface 21, as shown in Figure 3, by using such a conventional fixing method Since fixing means such as pieces and taka are omitted, masonry construction of the brick body 10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support plate 20 is integrally molded to the brick body 10 by insert molding, but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so that the excellent adhesion and adhesion to the vertical wall (2) is exerte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preferably to minimize the load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ure 2 for the thickness t1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for this is the thickness t of the brick body 10 It is preferable to make 1 / 15-1 / 30. Since the thickness t of the brick body 10 is 60 mm, the thickness t1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2-4 mm at this time.
  •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molded to the brick body 10 to be masonly applied to the vertical wall 2 by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to reduce the thickness t of the brick body 10 which is usually 60 mm. As a result, building durability can be secured and a wider indoor space can be secured withi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area.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integrally formed by insert molding in the brick body 10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rick construction. Due to the thickness of the brick produced in size, not only was the internal space consumed a part, but also the related construction work was difficult, which increased the burden 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manpower, and increased the load of the building excessively due to the weight of the brick. Resul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performs a conventional brick (Brick) function while being erected on the vertical wall (2) by the adhesive method, which is the adhesive fo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10 itself due to the provis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that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brick body 10 while being strong and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contrast, the same durability and support are exhibited, leading to maximum efficiency in terms of functionality.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integrally molded to the brick body 10 in various embodiments a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upport plate 20 forms a protrusion 25 along the inner edge end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shown in Figure 1 and 2 as an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17 of the brick body 10 In the groove portion 15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5 is formed to implement the mutual locking structure.
  •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a direction facing to be coupled to the brick body (10).
  • the protrusion 25 formed at the inner edge end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caught in the groove 15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17 of the brick body 10. Since it is integrally molded by the insert molding method, there is no fear that the phenomenon of detachment of the supporting plate body 20 on the brick body 10 occurs after the molding.
  • the outer surface 21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in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13 on the rear surface 12 of the brick body 10 as shown in Figs.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21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rear surface 12 of the brick body (10).
  •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rick body 10 is attached to the vertical wall 2 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not visible, so the brick body ( The appearance of 10 can be kept beautiful.
  •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25 and the groove 15 is applied.
  •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shown in Figure 7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to the brick body 10 in the direction of the brick body 1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 plurality of protrusions 29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number and size of the protrusions 29 may be adjusted to suit the size of the brick body (10).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fixed to the vertical wall 2 by an adhesive, and a plurality of grooves 97 on the outer surface 21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shown in FIG. ) Or the row groove 98 can be formed.
  • the row groove 98 may be formed as a row groove 98 in a direction inclined to one side as shown in (b) of FIG. 8, or a row groove of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nd the row groove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Can be. This is a configuration that is all carried out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to the vertical wall (2).
  • a spacing member 90 may be provided.
  • the spacing member 90 is formed with wings 91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support 92 is integrally formed vertically with the wings 91 on both sides.
  • the wing 91 is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4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support 92 is located in the gap space between the adjacent bricks 10 vertically up and down, (10) The interval between them should be kept constant.
  • the length of the gap maintaining member 9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 the mortar is preferably sufficiently filled in the gap space between the brick bodies 10.
  • the gap maintaining member 90 is not shown, but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adjacent left and right brick bodies 10 as well as between the adjacent upper and lower brick bodies 10.
  • the gap maintaining member 90 is provided.
  • the wing 91 is preferably to be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41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im 13 of the brick body (10).
  • the wall-mounted functional brick with reference to Figures 12 to 19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f all, the connec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due to the inter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ick body 10 It is possible to masonry construction alone, as well a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rick itself, thereby preventing the internal space from being inevitably consumed.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is simplified and the load of the building can be minimized with material saving and maximization of productivity.
  • the functional brick is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brick body 10 and the support plate body 20, wherein the support plate body 20 for each of the four si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ick body 10 starting from It is possible to be connected to other neighboring support plate body while being formed to extend, the main feature is tha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possible owing to the self-bonding between the neighboring support plate each other.
  •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enable the fitting coupling with the other support plate neighboring.
  •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is formed of a concave-convex surface of a continuous shape with respect to the slop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other support plate body disposed adjacent thereto by the masonry method as shown in FIG.
  • masonry can be installed in a more stable state.
  •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may be in th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of course, but not limited to any shape of the mutually engaged shape will be sufficient.
  • the extension distance or the size of the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is sufficient to be larger than the brick body, and should not be excessive in consideration of the gap between the brick body and the brick body.
  • both sides of the groove and the protruding surface can be constructed with a predetermined slope, thereby maximizing the assembly.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formed on both of the grooves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23 so as to be capable of masonry in any direction of the slope, the support plate body when mutually engaged with the other support plate body on each slope Compared with other neighboring bricks, the brick body 10 having a narrow size inevitably forms a gap spaced at an appropriate level, so that the gap is formed by jointing (not shown) to provide a brick masonry construction. Enable visual beauty.
  • the gap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brick bodi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is occurs, and as the joints are constructed into the gaps, the spaces allowed can be filled, as well as the specificity of the brick construction can be visually provided.
  • the support plate body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is provi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rick construction, and in the related art, not only the internal space is consumed to some extent by the thickness of the brick during construction of the brick masonry. As the construction work was also difficult, the burden was placed 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manpower, and the weight of the bricks resulted in excessively increasing the load of the building.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to perform one conventional brick function, which is a resul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rick body itself, which can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same durability and support as compared to the existing bricks induction of efficiency in terms of functionality.
  • a predetermined protruding protrusion 29 is provided as one means for increasing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 the supporting plate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several protrusions 29 are further configured to restrict the position of the brick body 10 and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brick body.
  • the protrusions 29 of the type A to E are exemplarily proposed in FIG. 19,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29 may maximize the coupling force from the brick body 10 to the support plate body 20. As much as possible,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r the proposed shape.
  • the protrusion protrusion 29 i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protrusion protrusion 29 has the same thickness from the top to the round or polygonal shape, or have the same thicknes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top to the extended shape from the bottom, or from the bottom to the top
  • It has a thickness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or polygonal upper end, and further protrusions 29a and 29b having an inclination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center direction starting from the lower and upper center regions.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cessed shape with respect to.
  • the protruding protrusion 29 has the same thicknes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end thereof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extended from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bonding force with the sieve.
  • Protruding blades (29a, 29b) is a component that extend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s 29, which can be given in various forms in terms of mutual coherence or increased frictional force with the brick body (10).
  • the brick body 10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the supporting plate body b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presses of the loess knead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supporting plate body 20 having the several protruding protrusions 29.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olded.
  • a predetermined work table 30 and a combination of upper and lower cylinders 50 and 40 reciprocated in a vertical line above and below the work table are configured. do.
  • the working table 30 forms a receiving portion 31 to be a storage space after the kneaded ocher is injected,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body 20 which is adjacent from below to the loess dough.
  • the predetermined brick body 10 resulting from compression molding is performed in the shape integrated with the said support plate body.
  • the support plate body 20 is seated on the base plate 41 which is lifted and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ower cylinder 40, the ocher dough formed of the brick body 10 is the receiving portion 31 of the work table 30 It can be made into one ocher brick by the pressing force of another upper cylinder 50 which is provided in the () and then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thereof.
  • the pressing means 5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ylinder 50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31 of the work table so as to exert a uniform pressure on the entire area, the operation of the upper cylinder 50 Due to the pressing or lowering of the pressing means 51 caused by the ocher dough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1 to a certain level, the ocher dough is molded into a form bonded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plate body 20.
  • the wall-mounted functional brick with reference to Figures 20 to 24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brick body 10 and the support plate body 20, wherein the support plate body ( 20 is provided with grooves 22 and protruding surfaces 23 continuously in all directions, and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with other neighboring support plates.
  • the support plate body 20 forms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29 which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brick body 10, the brick body 10 is a protrusion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Molding is carried out with the insert 311 corresponding to (29)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brick body 10 is provided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mold frame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 of the desired shape on the mold frame, and then supplying the loess soil. You can get the result.
  • the insert 311 is a means for restraining the protrusion protrusion 29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so that the brick body 1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body 20. It can be obvious.
  • the technical idea related to the insert 311 is a key 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and structure, the size, etc. of the insert and the protrusions may be the same a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Put it.
  •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s 29 and the inserts 311, which are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llow one functional brick to be implemented due to their mutual coupling.
  • 311) On the premis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brick 10 is made due to the manner of being individually received.
  • the support plate body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support plate body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being formed extending in each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ick body 10, the neighboring support plate body (20) Its main feature is tha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masonry possible due to self-combination with each other.
  •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groove 22 and the protru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enable the fitting coupling with the neighboring other support plate body.
  • the groove 22 and the protrusion surface 23 is formed of a concave-convex surface of a continuous shape with respect to the slop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other support plate body disposed adjacent thereto by the masonry method as shown in FIG.
  • masonry can be installed in a more stable state.
  • the support plate 20 is a space provided by the protruding surface 23 is configured so th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from the wall through the fixing means (not shown).
  • the fixing means may be a nail such as a piece or taka, and further, any means capable of fixing the supporting plate on the wall will be sufficient.
  • a predetermined protruding protrusion 29 is provided as one means for increasing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 the shapes of the more various protrusions 29 and the inserts 311 are exemplarily disclosed in FIGS. 21, 23, and 24, respectively.
  • the protruding protrusion 29 has a body 327 which is placed at the same thickness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and a head 328 which is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at the tip of the body 327. ).
  • the insert 311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319 through which the head 328 may be allowed to enter, and an enlarged space compared to the hollow portion 319 so that the position restriction of the head 328 may be reduced.
  • the locking jaw 317 is implemented, and a protrusion blade 318 for limiting the slide movem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prevent the positional deviation on the brick body 10.
  • the head 328 and the body 327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29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region is branched to both sides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head 328 is branched to each other when entering the hollow portion 319.
  • each branch is branched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328 is constrained by the corresponding locking jaw 317, thereby inserting the insert 311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 29, mutual coupling can be induced.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ead 328 causes a certain level of friction.
  • the entry is made while the head 328 branched to both sides is thus sliding to the hollow portion 319 in a state where the head 328 naturally overlaps one.
  • the head 328 advances to a predetermined depth gradually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hollow part 319, it enters the area of the catching jaw 317, in which case the catching jaw 317 is extended compared to the hollow part 319.
  •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ad 328 is canceled and the head 328 is prevented from sli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head 328 i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again.
  • the protruding protrusion 29 may be an assembly screw 370 detachably fastened from the support plate body 20.
  • the insert 3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portion 377 that can be allowed to enter the assembly screw 370, and the screw portion to enable the screw fastening with the assembly screw 37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377 371 and the protruding blade 318 which restricts the slide movement in the outward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al deviation on the brick body 10 is preferable.
  • the protruding protrusions 29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iece 337 and the support piece 337, which have a same thickness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have a triangular shape at the tip of the support piece 337. It may tak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extended blade portion 338 extending downwardly by dividing.
  • the insert 311 is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388 that can be allowed to enter the unfolding blade portion 338 and the expanded space compared to the hollow portion 388 is restrained position of the unfolding blade portion 338 Must be made of a fixed jaw (315).
  • the unfolding blade portion 338 is pressed into the support piece 337 as it enters the hollow portion 388 and reaches the fixed jaw 315 to return to the position due to offset of the fixed jaw 315.
  • the both ends of the spreading blade 338 in the () will b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induced between the insert 311 and the protrusion (29).
  • the functional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plate body 20 and the brick body 10, in all aspects of related work such as material reduction, productivity increase, ease of construction, and minimization of building loa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ts efficiency is maximized.
  • the support plate body formed in one-to-one coupling with the brick body can be easily induced by fitting, so no separate coupling means do not require convenient construction, as well as dismantling As it can be preserved intact even during the city, a great advantage in use is exp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으로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결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이 가장 넓으면서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부분인 벽돌체(10)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인접한 벽돌체(10)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90)를 갖는 지지판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벽돌체(10)가 결합된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을 수직벽체(2)에 고정함으로써 벽돌체(10) 상호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벽돌의 조적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본 발명은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결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있도록 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이다.
환경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요즈음 건축자재에서도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보다는 환경 친화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황토벽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황토벽돌은 자연에 존재하는 황토를 원료로 한 제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습기를 조절하는 효능과 함께 향균 기능 등의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인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 주어 제독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황토벽돌의 제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0-0033318호에서는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이 개시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황토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선별된 황토에 소금, 숯 및 해초풀을 혼합하고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혼합반죽단계와, 황토반죽을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압출된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인테리어 장식방법은 석재, 석고보드, 합판, 벽지, 페인트 등을 사용하고 있는바, 석재의 경우 시공이 어렵고 고가이며, 석고보드나 합판의 경우는 물기나 습기에 약하여 쉽게 파손 내지 부식되고, 벽지나 페인트의 경우는 얼룩이나 곰팡이의 발생시 청소가 어렵고 재도색 또는 교체가 요구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이 실내공간의 또 다른 인테리어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를 비롯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은 벽돌 조적 시공시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이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공개특허 제10-2000-003331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결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있도록 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이 가장 넓으면서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부분인 벽돌체(10)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인접한 벽돌체(10)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90)를 갖는 지지판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벽돌체(10)가 결합된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을 수직벽체(2)에 고정함으로써 벽돌체(10) 상호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벽돌의 조적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부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재료인 황토 또는 고령토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벽돌체와 지지판체의 인성트성형 방식과 함께 수직벽체에 대한 지지판체의 접착방식으로 인해 벽돌체의 제작 및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돌체를 조적함에 있어서도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의 편리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훼손 없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바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의 일실시예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조적 상태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의 다른 실시예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 조적 상태 측단면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부재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벽돌을 제공함에 있어서 순차적인 단계에 의해 성형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벽돌의 조적 시공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돌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 예시도
도 21은 도 20의 분해 사시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벽돌의 조적 시공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벽돌의 변형 예 분해 사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변형 예 분해 사시 예시도
<부호의 설명>
2 : 수직벽체 10 : 벽돌체
13 : 테두리부 15 : 홈부
20 : 지지판체 22 : 요홈
23 : 돌출면 25 : 돌부
29 : 돌출돌부 41 : 결합홈부
90 : 간격유지부재 91 : 날개부
92 : 지지부 311 : 인서트
317 : 걸림턱 319 : 중공부
327 : 몸체 328 : 두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돌체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결합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있도록 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벽돌체(10)의 후면(12)에 지지판체(20)를 일체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벽돌체(10)는 기능성 발휘를 위해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황토는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4가지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서 독소 제거, 분해력, 비료 요소, 정화 작용의 역할을 하며,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인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해 주어 제독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고령토(백토)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백색의 점토로서, 고령토의 실리카 성분은 벽돌의 뼈대 역할을 하고, 알루미나 성분은 내화성을 부여하여 소성범위를 넓게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내화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화학작용, 마모 및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벽돌체(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인 넓은 부분을 차지하는 전면(11)과 후면(12) 중 후면(12)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지지판체(20)를 일체로 성형되게 한다. 이때 벽돌체(10)의 후면(12)은 도 3에서와 같이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방향의 면을 말한다.
상기 벽돌체(10)는 소정의 금형틀을 마련하고, 상기 금형틀 상에 인서트성형 되어질 지지판체(20)를 위치 고정시킨 후 황토 또는 고령토를 공급함으로써 일체화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그 외측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도 3에와 같이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부착고정 방식에 의해 종래 연결체 등을 이용한 피스, 타카 등의 고정수단이 생략되므로 벽돌체(10)의 조적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어지되, 그 외측면이 수직벽체(2)에 대해 우수한 접착 및 부착성이 발휘되도록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판체(20)는 건물의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이를 위한 지지판체(20)의 두께(t1)는 벽돌체(10)의 두께(t)의 1/15∼1/30 이 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통상 벽돌체(10)의 두께(t)는 60㎜ 이므로, 이때 지지판체(20)의 두께(t1)는 2∼4㎜ 이다.
상기와 같은 지지판체(20)를 벽돌체(10)에 일체로 성형하여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방식으로 수직벽체(2)에 조적 시공함으로써 통상 60㎜인 벽돌체(10)의 두께(t)를 줄일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의 확보와 아울러 정해진 설치면적 내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지지판체(20)를 벽돌체(10)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하여 부여한 것은 종래 벽돌 시공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벽돌 조적 시공시 일률적인 크기로 생산되는 해당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일정 부분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 또한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에 있어 그 부담이 가중되었고, 아울러 벽돌이 지니는 무게에 의해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가 하나의 종래 벽돌(Brick) 기능을 수행하면서 접착제에 의한 부착방식으로 수직벽체(2)에 조적 시공되는 바, 이는 곧 부착력이 강하면서도 벽돌체(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판체(20)의 구비로 인한 벽돌체(10) 자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결과가 있어 상기 종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되므로 기능성 면에서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서 벽돌체(10)에 일체 성형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를 따라 돌부(25)를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의 결합홈(17)에는 돌부(25)에 대응되는 홈부(15)를 형성하여 상호 걸림구조가 구현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판체(20)의 내측은 벽돌체(10)에 결합되기 위해 마주하는 방향이다.
상기 지지판체(2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에 형성된 돌부(25)가 벽돌체(10)의 결합홈(17) 내에 형성된 홈부(15)에 걸림된 상태에서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그 성형후에 벽돌체(10) 상에서 지지판체(20)의 이탈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게 된다.
지지판체(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과 수평선상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구조는 지지판체(20)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도 6에서와 같이 벽돌체(10)를 수직벽체(2)에 부착하게 되면 지지판체(20)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벽돌체(1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는 상술된 돌부(25)와 홈부(15)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된다.
지지판체(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벽돌체(10)에 대한 지지판체(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판체(20)의 내측면에서 벽돌체(10) 방향으로 수직하게 다수의 돌출돌부(29)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돌출돌부(29)의 개수 및 크기는 벽돌체(10)의 크기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체(20)는 접착제에 의해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다수의 홈(97) 또는 줄홈(9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줄홈(98)은 도 8의 (b)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의 줄홈(98)으로 형성되거나,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의 줄홈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격자형으로 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모두 수직벽체(2)에 대한 지지판체(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시되는 구성이다.
한편, 수직벽체(2)에 대해 벽돌체(10)를 조적 시, 벽돌체(10) 간의 일정한 간격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상하로 인접하는 벽돌체(10) 사이에 간격유지부재(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90)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하로 양측에 날개부(9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날개부(91)와 일체로 수직하게 지지부(92)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91)는 지지판체(20)의 상하 테두리측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92)는 상하로 인접한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하 벽돌체(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하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벽돌체(10) 간의 접착 및 줄눈 형성을 위해 모르타르가 채워져야 하므로, 간격유지부재(90)의 길이는 지지판체(2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가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충분히 채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재(90)는 미도시되었으나, 인접한 상하 벽돌체(10)의 사이 뿐만 아니라, 인접한 좌우 벽돌체(10)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어진 경우, 간격유지부재(90)의 날개부(91)는 벽돌체(10)의 상하 테두리부(13)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2 내지 도 19를 참고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은 무엇보다, 벽돌체(10)와 일체 형성된 지지판체(20)의 개재로 인해 지지판체의 연결만으로도 벽돌체의 조적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해당 벽돌체의 자체 두께를 줄여줄 수 있게 되므로 내부 공간이 불가피하게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료 절감 내지 생산성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의 하중 또한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기능성 벽돌은 상술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로 구성되는데, 이때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면서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서로 이웃하는 지지판체 상호 간의 자체 결합에 기인하여 조적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지지판체(20)의 구성은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요홈(22)과 돌출면(2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이 지지판체(20)의 사면에 대해 연속한 형태의 요철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18에서와 같은 조적 방식에 의해 이와 인접 배치되는 타 지지판체와의 구속력이 행사되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상태로 조적 시공 가능하다.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음은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 치합되는 형상의 것이라면 무엇이든 충분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요홈(22)과 돌출면(23)의 연장거리 내지 크기는 벽돌체에 비해 확대된 정도면 충분하고, 벽돌체와 벽돌체 사이 간극을 고려하여 지나치지 않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요홈과 돌출면의 양측면은 일정 경사면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면 어느 방향으로도 조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요홈(22)과 돌출면(23)을 사면 모두에 공통으로 형성하는데, 각 사면으로 타 지지판체와의 상호 치합될 경우 지지판체에 비해 협소한 크기를 갖는 벽돌체(10)는 이웃하는 타 벽돌체와 불가피하게 적정 수준의 이격된 틈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틈으로 하여금 줄눈(미도시됨)을 시공하여 벽돌 조적 시공의 시각적인 미려함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즉, 지지판체(20)에 형성되는 돌출면(23) 및 요홈(22)이 벽돌체(10)의 크기를 벗어난 범위 내에서 연장 형성되므로 근접 배치되는 벽돌체 상호 간에는 일정 간격으로 틈(간극)이 발생하고, 상기 틈으로 줄눈을 시공함에 따라 허용된 공간을 메워주는 것은 물론 벽돌체 시공의 특이성 또한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형상의 지지판체(20)를 부여한 것은 종래 벽돌 시공이 갖는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벽돌 조적 시공시 해당 벽돌의 두께에 의해 내부공간이 일정 부분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시공작업 또한 어려워 시공기간과 시공인력에 있어 그 부담이 가중되었고 아울러 벽돌이 지니는 무게에 의해 건물의 하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키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가 하나의 종래 벽돌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바, 이는 곧 벽돌체 자체의 두께를 줄이는 결과가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되므로 기능성 면에서 효율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소정의 돌출돌부(29)를 부여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위치 구속 및 벽돌체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하여 수개의 돌출돌부(29)가 더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 실시예로, 도 19에서 A∼E 타입의 돌출돌부(29)를 예시적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돌출돌부(29)의 형상은 벽돌체(10)로부터 지지판체(20)와의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하므로 특정 형상 내지 제안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성형시 이들의 상호 구속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지판체 상에 돌출돌부를 부여하게 되는데,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외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의 기울기를 갖는 돌출익(29a,29b)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하측과 상측의 중앙 영역을 기점으로 내부 중심 방향에 대해 함몰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단의 삼각 형상은 중심이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하여 벽돌체와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돌출익(29a,29b)은 돌출돌부(29)의 외면상으로 연장된 구성요소이며, 이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간섭성 내지 마찰력의 증대란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상기 벽돌체(10)는 수개의 돌출돌부(29)가 구비된 지지판체(20)의 기 설정 공간으로 반죽된 황토를 투입하여 상하 프레스 압축함으로써 지지판체와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벽돌을 구현하기 위해 도 14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소정의 작업테이블(30) 및 이러한 작업테이블 상하에서 수직선상으로 왕복 운용되는 상·하부실린더(50,4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테이블(30)은 반죽된 황토가 주입된 후 하나의 저장공간이 될 수 있도록 수용부(31)를 형성하고, 이러한 수용부는 하방에서 근접되는 지지판체(20)와 밀착 배치되면서 황토 반죽에 기인한 소정의 벽돌체(10)를 해당 지지판체와 일체된 형상으로 압축 성형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체(20)는 하부실린더(40)의 운용으로 승강 작동하는 베이스플레이트(41) 상에 안착 배치되고, 벽돌체(10)로 성형되는 황토 반죽은 작업테이블(30)의 수용부(31)로 제공된 후 이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운용되는 또 다른 상부실린더(50)의 가압력에 의해 하나의 황토벽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실린더(50)의 하부에는 작업테이블의 수용부(31) 내부로 인입되면서 전 면적에 대한 균일한 압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51)이 형성되는바, 상부실린더(50)의 운용에 기인한 가압수단(51)의 승강 또는 하강으로 수용부(31) 내부에 위치된 황토 반죽을 일정 수준으로 가압함에 따라 해당 황토 반죽이 지지판체(20) 상에서 서로 결합된 형태로 성형 가공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0 내지 도 24를 참고한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은 상술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방으로 요홈(22)과 돌출면(23)을 연속되게 구비하여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등간격으로 입설 배치되는 돌출돌부(29)를 수개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는 지지판체(20)의 돌출돌부(29)와 대응되는 인서트(311)를 개재한 상태로 성형한다.
즉, 상기 벽돌체(10)는 소정의 금형틀을 마련하고 이러한 금형틀 상에 목적으로 하는 형상의 인서트를 위치 고정시킨 후 황토 흙을 공급함으로써 구현되는바, 벽돌 성형시 해당 인서트가 일체화된 구조로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인서트(311)는 본 발명의 돌출돌부(29)를 위치 구속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지지판체(20) 상에 벽돌체(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인서트(311)와 관련한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주된 핵심이 되는 사안으로, 인서트 및 돌출돌부의 형상 내지 구조, 크기 등은 후술할 실시예와 같을 수 있고, 다만 이에 한정된 의미가 아님을 밝혀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돌출돌부(29)와 인서트(311)의 구성은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 인해 하나의 기능성 벽돌이 구현되게 하기 위함인 바, 상기 돌출돌부(29)가 인서트(311) 내부로 개별 수용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그 전제로 한다.
도 20 내지 22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면서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서로 이웃하는 지지판체(20) 상호 간의 자체 결합에 기인하여 조적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지지판체(20)의 구성은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요홈(22)과 돌출면(2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요홈(22)과 돌출면(23)이 지지판체(20)의 사면에 대해 연속한 형태의 요철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22에서와 같은 조적 방식에 의해 이와 인접 배치되는 타 지지판체와의 구속력이 행사되므로, 보다 안정감 있는 상태로 조적 시공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체(20)의 요홈(22)과 돌출면(23)의 구성은 도 12 내지 도 19를 통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체(20)는 돌출면(23)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고정수단(미도시함)을 개재하여 벽체로부터 해당 위치가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수단이라 함은 피스나 타카 등의 못일 수 있으며, 나아가 벽체 상에 지지판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소정의 돌출돌부(29)를 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돌출돌부(29) 및 인서트(311)의 형상은 도 21, 도 23 및 도 24에 각각 예시적으로 개시하였다.
일실시예로서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돌부(29)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몸체(327)와, 몸체(327)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두부(328)를 포함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서트(311)는 두부(328)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319)와, 중공부(319)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두부(328)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걸림턱(317)과,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318)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돌출돌부(29)의 두부(328)와 몸체(327)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 영역이 양측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공부(319)로의 진입시 서로 분기된 상태의 두부(328)와 몸체(327)가 일체화 유도된 후 걸림턱(317)에 이르면서 각 중앙을 기점으로 분기됨에 따라 해당 걸림턱(317)으로 두부(328)의 외주면이 구속되면서 인서트(311)와 돌출돌부(29)의 상호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돌출돌부(29)의 두부(328)는 형상적 특성에 기인하여 최초 인서트(311) 선단의 중공부(319)로 진입될 경우 두부(328)의 경사면으로 하여금 일정 수준의 마찰을 유발하면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측으로 분기된 두부(328)는 자연스럽게 하나로 겹쳐진 상태에서 중공부(319)로의 슬라이딩이 실시된다. 이후, 중공부(319)가 제공하는 공간상에서 점차 일정 깊이로 두부(328)의 전진이 이루어지면 걸림턱(317)의 영역으로 진입되는데, 이때 중공부(319)에 비해 확장 형성된 걸림턱(317)의 공간으로 두부(328)가 진입됨과 동시에 이에 행사되던 가압력이 상쇄되므로 해당 두부(328)는 양측으로 재차 이격됨에 따라 역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돌부(29)는 지지판체(20)로부터 탈부착 체결되는 조립나사(370)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인서트(311)는 조립나사(370)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377)와, 중공부(377) 내면에서 조립나사(370)와의 나사 체결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371)와,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318)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나사 체결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체(20)를 기점으로 조립나사(370)와 인서트(311)가 서로 개별 결합되면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돌부(29)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지지편(337)과, 지지편(337)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이 되도록 양측으로 분할하여 하향 연장되는 펼침날부(338)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인서트(311)는 펼침날부(338)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388)와, 중공부(388)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펼침날부(338)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고정턱(315)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펼침날부(338)는 중공부(388)로 진입되면서 지지편(337)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턱(315)에 이르면서 가압의 상쇄로 인한 위치 복귀가 실시되어 해당 고정턱(315)에 펼침날부(338)의 양단이 구속되면서 인서트(311)와 돌출돌부(29)의 상호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 12 내지 도 19, 도 20 내지 도 24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체(10) 자체의 두께는 줄이면서도 기존 벽돌과 대비해 동일한 내구성 및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실내공간의 소모 없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
또한,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벽돌이 제공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재료의 절감, 생산성 증대, 시공의 간편성, 건물 하중의 최소화 등 관련 작업의 모든 면에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특히, 벽돌체(10)를 조적함에 있어서도 벽돌체와 일대일 결합 형성된 지지판체(20)로 하여금 손쉽게 끼움식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시공의 편리함은 물론, 해체시에도 훼손 없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는바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황토 또는 고령토를 소재로 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에서 면적이 가장 넓으면서 수직벽체(2)에 마주하는 부분인 벽돌체(10)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인접한 벽돌체(10)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90)를 갖는 지지판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벽돌체(10)가 결합된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을 수직벽체(2)에 고정함으로써 벽돌체(10) 상호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벽돌의 조적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후면에 인서트성형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며, 상기 벽돌체(10)에 결합되기 위해 마주하는 지지판체(20)의 내측 테두리 단부를 따라 돌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10)의 결합홈(17)에는 돌부(25)에 대응되는 홈부(15)가 형성되게 하여 상호 걸림구조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직벽체(2)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은 벽돌체(10)의 후면(12) 상에서 테두리부(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이 벽돌체(10)의 후면(12)과 수평선상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체(20)의 테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체(10)에 대한 지지판체(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판체(20)의 내측면에서 벽돌체(10) 방향으로 수직하게 다수의 돌출돌부(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2)에 대한 지지판체(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판체(20)의 외측면(21)에 다수의 홈(97) 또는 줄홈(9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90)는 상하 및 좌우에 인접하여 조적되는 벽돌체(10) 사이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간격유지부재(90)는 상하 또는 좌우로 양측에 날개부(9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날개부(91)와 일체로 수직하게 지지부(92)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91)는 지지판체(20) 또는 벽돌체(10)의 상하 또는 좌우 테두리측에 형성된 결합홈부(41)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92)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인접한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하 벽돌체(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90)의 길이는 지지판체(2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가 벽돌체(10) 사이의 틈 공간에 충분히 채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의 외주면을 기점으로 각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2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지지판체(20)는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20)와 끼움식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 형성되는 요홈(22) 및 돌출면(23)이 지지판체(20)의 테두리 상에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10)의 위치 구속과 벽돌체(10)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수개의 돌출돌부(29)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원형이거나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외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의 기울기를 갖는 돌출익(29a,29b)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과 상측의 중앙 영역을 기점으로 내부 중심 방향에 대해 함몰된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하측에서 상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해당 상단이 하측에 비해 확장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의 삼각 형상은 중심이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20)는 사방으로 요홈(22)과 돌출면(23)을 연속되게 구비하여 이웃하는 타 지지판체(20)와 서로 연결 배치하되, 상기 지지판체(20)는 벽돌체(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등간격으로 입설 배치되는 돌출돌부(29)를 수개 형성하고, 상기 벽돌체(10)는 지지판체(20)의 돌출돌부(29)와 대응되는 인서트(311)를 개재한 상태로 성형함에 따라, 해당 돌출돌부(29)가 인서트(311) 내부로 개별 수용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지지판체(20)와 벽돌체(10)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상기 돌출돌부(29)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몸체(327);와, 몸체(327)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두부(328);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311)는 두부(328)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319);와, 중공부(319)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두부(328)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걸림턱(317);과,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318);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돌부(29)의 두부(328)와 몸체(327)는 중심 영역이 양측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공부(319)로의 진입시 서로 분기된 상태의 두부(328)와 몸체(327)가 일체화 유도된 후 걸림턱(317)에 이르면서 각 중앙을 기점으로 분기됨에 따라 해당 걸림턱(317)으로 두부(328)의 외주면이 구속되면서 인서트(311)와 돌출돌부(29)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지지판체(20)로부터 탈부착 체결되는 조립나사(370)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311)는 조립나사(370)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377);와, 중공부(377) 내면에서 조립나사(370)와의 나사 체결을 실시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371);와, 벽돌체(10) 상에서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자 바깥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게 하는 돌출익(318);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지판체(20)를 기점으로 조립나사(370)와 인서트(311)가 서로 개별 결합되면서 벽돌체(10)와 지지판체(20)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부(29)는 지지판체(20)의 일면에서 동일한 두께로 입설되는 지지편(337);과, 지지편(337)의 선단에서 삼각 형상이 되도록 양측으로 분할하여 하향 연장되는 펼침날부(338);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311)는 펼침날부(338)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는 중공부(388);와, 중공부(388)에 비해 확장된 공간으로 제공되어 펼침날부(338)의 위치 구속이 실시되는 고정턱(315);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펼침날부(338)는 중공부(388)로 진입되면서 지지편(337)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턱(315)에 이르면서 가압의 상쇄로 인한 위치 복귀가 실시되어 해당 고정턱(315)에 펼침날부(338)의 양단이 구속되면서 인서트(311)와 돌출돌부(29)의 상호 결합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PCT/KR2016/007751 2016-07-15 2016-07-15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WO20180126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7751 WO2018012658A1 (ko) 2016-07-15 2016-07-15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7751 WO2018012658A1 (ko) 2016-07-15 2016-07-15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658A1 true WO2018012658A1 (ko) 2018-01-18

Family

ID=6095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751 WO2018012658A1 (ko) 2016-07-15 2016-07-15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126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2057A (zh) * 2021-03-09 2021-06-18 陈林美 一种具有防冰防滑功能的公园用地砖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69Y1 (ko) * 2001-03-10 2001-10-06 김성인 벽돌 외장용 패널
JP2007132001A (ja) * 2005-11-07 2007-05-31 Masuda Renga Kk セメントボード、セメントボードを用いた壁面を有する建造物、セメントボードを用いた壁面を有する建造物の建築方法
KR20090118780A (ko) * 2008-05-14 2009-11-18 권화숙 벽돌 패널
KR101168359B1 (ko) * 2012-02-23 2012-07-25 (주)대흥산업 합성목재 데크의 연결구조
KR101538894B1 (ko) * 2014-11-27 2015-07-22 김응철 조립형 황토벽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869Y1 (ko) * 2001-03-10 2001-10-06 김성인 벽돌 외장용 패널
JP2007132001A (ja) * 2005-11-07 2007-05-31 Masuda Renga Kk セメントボード、セメントボードを用いた壁面を有する建造物、セメントボードを用いた壁面を有する建造物の建築方法
KR20090118780A (ko) * 2008-05-14 2009-11-18 권화숙 벽돌 패널
KR101168359B1 (ko) * 2012-02-23 2012-07-25 (주)대흥산업 합성목재 데크의 연결구조
KR101538894B1 (ko) * 2014-11-27 2015-07-22 김응철 조립형 황토벽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2057A (zh) * 2021-03-09 2021-06-18 陈林美 一种具有防冰防滑功能的公园用地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4710A1 (ko) 마감재 건식시공 시스템
WO2014025165A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CA2271601A1 (en) Modular formwork elements and assembly
WO2018012658A1 (ko) 벽체 고정형 기능성 벽돌
WO2022114821A1 (ko) 강도와 품질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데크 및 그 제조방법
CN110805220A (zh) 墙面板总成及安装方法
WO2024096296A1 (ko) 수조용 타일과 그 제조방법
CN110952746B (zh) 一种插挂式装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07747410A (zh) 一种模块化组装浴室及其安装方法
WO2012011677A2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WO2020013520A1 (ko) 줄눈이 형성되는 타일 및 그 시공방법
US11892176B2 (en) Universal membrane configured to be divided to form a base membrane and a cover membrane that is couplable to the base membrane to form an uncoupling membrane for installation between a subfloor and floor tiles
KR101337433B1 (ko)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EP0943742A1 (en) Structure panel and method of connecting same
CN212104896U (zh) 墙面板总成
KR20180002282A (ko)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CN215519639U (zh) 一种建筑装饰一体化围护墙板
KR200383179Y1 (ko) 타일 지지용 브라켓
KR19990014562A (ko) 건축용 외장 패널
WO2020040345A1 (ko) 마감재 건식시공 시스템
WO2009096674A2 (ko) 인조대리석을 체결수단으로 사용하는 조립식 불연패널
KR100671051B1 (ko) 콘크리트 벽체용 치장패널
CN216949055U (zh) 一种新型路面房屋建设用空心砖
CN210369693U (zh) 一种基于建筑mcm材料的新型软瓷饰面板
CN212507081U (zh) 一种建筑曲面瓦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89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7/05/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89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