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9463A1 -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9463A1
WO2017209463A1 PCT/KR2017/005552 KR2017005552W WO2017209463A1 WO 2017209463 A1 WO2017209463 A1 WO 2017209463A1 KR 2017005552 W KR2017005552 W KR 2017005552W WO 2017209463 A1 WO2017209463 A1 WO 20172094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lan
terminal
service profile
determination information
identity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55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재훈
양해석
이동후
조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6/306,20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57770B2/en
Publication of WO20172094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94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LA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 apparatus, software,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such software for a dynamic connection change of a terminal in a WLAN.
  • a Station Management Entity may be present in each STA.
  • the SME is a layer independent entity and may generally be responsible for collecting layer-dependent states from various layer management entities (LMEs), similarly setting values of layer-specific parameters, and the like.
  • LMEs layer management entities
  • the scan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passive scanning method.
  • passive scanning the STA performing scanning waits for a beacon frame while moving channels.
  • the beacon frame is one of management frames defin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 the beacon frame is notified of the existence of a wireless network, and is periodically transmitted so that an STA performing scanning can find a wireless network and participate in the wireless network.
  • the AP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frame, and in the independent BSS, STAs in the independent BSS rotate and transmit the beacon frame.
  • the STA that performs the scanning receives the beacon frame, the STA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BSS included in the beacon frame and records beacon frame information in each channel while moving to another channel.
  • the STA may store BSS relat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beacon frame, move to the next channel, and perform scanning on the next channel in the same manner.
  • FIG. 5 may correspond to the specific format of the vendor-specific element of FIG. 4.
  • the vendor-specific content field of FIG. 4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OUI type subfield, an AP type subfield, or a command subfiel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5.
  • the terminal may provide an AP for providing WLAN service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e, the first).
  • the service set identified by the SSID and the AP providing the service set identified by the second SSID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AP of the first WLAN and the AP of the second WLAN are the same.
  • the termi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first OUI value, a first OUI type value, and a first AP type value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in the first WLAN, and include a first OUI value in the frame transmitted in the second WLAN.
  • One or more of a second OUI value, a second OUI type value, and a second AP type value may be compared.
  • the detailed determination method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을 위한 방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랜에서 단말이 동적 연결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 1 무선랜에 연결된 상기 단말이 다른 무선랜으로의 연결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랜으로부터 수신된 제 1 액세스 포인트(AP) 동일성 판정 정보와, 제 2 무선랜으로부터 수신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랜에서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을 위한 방법, 장치, 소프트웨어, 이러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기록 매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무선랜(WLAN)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개수가 증가하고 고용량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무선랜의 품질 향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무선랜 성능 향상을 위해서 시스템 대역폭 증가, 피크 전송 레이트 향상, 듀얼 밴드 지원 등의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액세스 포인트(AP)가 듀얼 밴드 서비스(예를 들어, 2.4GHz 또는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연결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서비스가 2.4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서비스 비하여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한편으로는,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서비스가 2.4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서비스 비하여 커버리지가 낮고 장애물에 의한 품질 저하가 쉽게 발생하므로, 단말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5GHz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는 품질이 낮고 오히려 2.4GHz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의 품질이 높은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단말 사용자의 경우에는 듀얼 밴드 AP가 설치되어 있고 그 중에서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중에 무선랜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경험하더라도, 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이 기대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방법을 모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고 있더라도 단말이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연결 이력이 없는 경우(즉,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은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연결시도를 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랜 프로파일을 직접 입력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해야 비로소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듀얼 밴드 AP에 의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가 가능하더라도, 사용자의 조작 미숙, 단말의 설정 부재 등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간의 자동 연결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현재 연결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품질 저하를 경험하더라도, 보다 높은 품질이 기대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연결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레이트 저하, 서비스 단절 또는 서비스 지연 등의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AP의 복수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 간의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랜에서 단말이 동적 연결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 1 무선랜에 연결된 상기 단말이 다른 무선랜으로의 연결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랜으로부터 수신된 제 1 액세스 포인트(AP) 동일성 판정 정보와, 제 2 무선랜으로부터 수신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랜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2 무선랜에 대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서 생성되는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한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상기 제 2 무선랜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제 1 무선랜에 연결된 경우 다른 무선랜으로의 연결 변경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서 수신된 제 1 액세스 포인트(AP) 동일성 판정 정보와, 제 2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서 수신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랜으로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랜에서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2 무선랜에 대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서 생성되는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한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상기 제 2 무선랜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 또는 상기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정보, OUI 타입 정보, 또는 AP 타입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 또는 상기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의 OUI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 또는 상기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동적 연결 변경 허용 여부를 지시하는 커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커맨드 정보가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동적 연결 변경 허용을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상기 단말에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 중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서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는,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무선랜은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 2 무선랜은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무선랜은 제 1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의해서 식별되고, 상기 제 2 무선랜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AP의 복수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 간의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WLAN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무선랜에서의 링크 셋업(link setup)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에 따른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동적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하향링크 수신 장치 또는 상향링크 전송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100)와, 하향링크 전송 장치 또는 상향링크 수신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는 AP 장치(200)를 도시한다.
단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안테나 유닛(120), 트랜시버(130),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 유닛(111) 및 물리계층 처리 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 유닛(111)은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 유닛(112)은 물리(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 유닛(120)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안테나 유닛(220), 트랜시버(230),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 유닛(211) 및 물리계층 처리 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 유닛(211)은 MA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 유닛(212)은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AP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 유닛(220)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23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AP 장치(2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STA의 동작은 계층(layer) 구조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장치 구성의 측면에서 계층 구조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STA는 복수개의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02.11 표준 문서에서 다루는 계층 구조는 주로 MAC 계층 및 PHY 계층이다. PHY는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엔터티,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엔터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AC 및 PHY는 각각 MLME(MAC sublayer Management Entity) 및 PLME((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라고 칭하여지는 관리 엔터티들을 개념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엔터티들은 계층 관리 기능이 작동하는 계층 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확한 MAC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서, SME(Station Management Entity)가 각각의 STA 내에 존재할 수 있다. SME는 계층 독립적인 엔터티이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계층 관리 엔터티(LME)들로부터 계층-종속적인 상태를 수집하고, 계층-특정 파라미터들의 값을 유사하게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전술한 엔터티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터티들 간에는 프리머티브(primitive)들을 교환(exchange)함으로써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리머티브는 특정 목적에 관련된 요소(element), 파라미터들의 세트, 명령들(instructions)의 세트를 의미한다.
도 2는 WLAN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WLAN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로 구분할 수 있으며, BSS 1과 BSS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 해당한다. BSS 1은 단말(STA 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1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는 단말(STA 1)을 관리한다.
BSS 2는 단말(STA 3, STA 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5(AP 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BSS 2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5(AP 2))는 단말(STA 3, STA 4)을 관리한다.
한편, 독립 BSS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독립 BSS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독립 BSS에서 단말들은 분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독립 BSS에서 모든 단말은 이동 단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는 자신에게 결합된 단말(STA 1, STA 3, STA 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한 분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BSS 1 또는 BSS 2에서 단말들(STA 1, STA 3, STA 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 1, STA 3, STA 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단말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프라스트럭쳐 BSS 네트워크 구조에서 AP 및 STA의 동작을 주된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시스템에서와 같이 그룹 오너(Group Owner)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와 그룹 클라이언트(Group Client)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예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랜에서의 링크 셋업(link setup)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A이 네트워크에 대해서 링크를 셋업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네트워크를 탐색(discovery)하고,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고, 결합(association)을 맺고(establish), 보안(security)을 위한 인증 절차 등을 거쳐야 한다. 링크 셋업 과정을 세션 개시 과정, 세션 셋업 과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셋업 과정의 탐색, 인증, 결합, 보안 설정의 과정을 통칭하여 결합 과정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단계 S310에서 STA은 네트워크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탐색 동작은 STA의 스캐닝(scanning)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STA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참여 가능한 네트워크를 찾아야 한다. STA은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전에 호환 가능한 네트워크를 식별하여야 하는데,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식별과정을 스캐닝이라고 한다.
스캐닝 방식에는 능동적 스캐닝(active scanning)과 수동적 스캐닝(passive scanning)이 있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능동적 스캐닝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탐색 동작을 도시한다. 능동적 스캐닝에서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채널들을 옮기면서 주변에 어떤 AP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기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응답자(responder)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에게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한다. 여기에서, 응답자는 스캐닝되고 있는 채널의 BSS에서 마지막으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전송한 STA일 수 있다. BSS에서는 AP가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AP가 응답자가 되며, 독립 BSS에서는 독립 BSS 내의 STA들이 돌아가면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응답자가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1번 채널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1번 채널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수신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BSS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채널(예를 들어, 2번 채널)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스캐닝(즉, 2번 채널 상에서 프로브 요청/응답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캐닝 동작은 수동적 스캐닝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수동적 스캐닝에서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채널들을 옮기면서 비콘 프레임을 기다린다. 비콘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하는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 중 하나로서, 무선 네트워크의 존재를 알리고,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으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찾아서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BSS에서 AP가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BSS에서는 독립 BSS 내의 STA들이 돌아가면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면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BSS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채널로 이동하면서 각 채널에서 비콘 프레임 정보를 기록한다.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수신한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BSS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채널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채널에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STA이 네트워크를 탐색한 후에, 단계 S320에서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후술하는 단계 S340의 보안 셋업 동작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첫 번째 인증(first authentication) 과정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인증 과정은 STA이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을 AP에게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AP가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STA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인증 요청/응답에 사용되는 인증 프레임(authentication frame)은 관리 프레임에 해당한다.
인증 프레임은 인증 알고리즘 번호(authentication algorithm number), 인증 트랜잭션 시퀀스 번호(authentication transaction sequence number), 상태 코드(status code), 검문 텍스트(challenge text), RSN(Robust Security Network), 유한 순환 그룹(Finite Cyclic Group)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증 요청/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의 일부 예시에 해당하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TA은 인증 요청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는 수신된 인증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STA에 대한 인증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P는 인증 처리의 결과를 인증 응답 프레임을 통하여 STA에게 제공할 수 있다.
STA이 성공적으로 인증된 후에, 단계 S330에서 결합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결합 과정은 STA이 결합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AP에게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AP가 결합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STA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합 요청 프레임은 다양한 캐퍼빌리티(capability)에 관련된 정보, 비콘 청취 간격(listen interval), SSID(service set identifier), 지원 레이트(supported rates), 지원 채널(supported channels), RSN, 이동성 도메인, 지원 오퍼레이팅 클래스(supported operating classes), TIM 방송 요청(Traffic Indication Map Broadcast request), 상호동작(interworking) 서비스 능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응답 프레임은 다양한 능력에 관련된 정보, 상태 코드, AID(Association ID), 지원 레이트,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파라미터 세트, RCPI(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RSNI(Received Signal to Noise Indicator), 이동성 도메인, 타임아웃 간격(결합 컴백 시간(association comeback time)), 중첩(overlapping) BSS 스캔 파라미터, TIM 방송 응답, QoS(Quality of Service) 맵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결합 요청/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의 일부 예시에 해당하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TA이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결합된 후에, 단계 S340에서 보안 셋업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40의 보안 셋업 과정은 RSNA(Robust Security Network Association) 요청/응답을 통한 인증 과정이라고 할 수도 있고, 상기 단계 S320의 인증 과정을 첫 번째 인증(first authentication) 과정이라고 하고, 단계 S340의 보안 셋업 과정을 단순히 인증 과정이라고도 칭할 수도 있다.
단계 S340의 보안 셋업 과정은, 예를 들어, EAPOL(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over LAN) 프레임을 통한 4-웨이(way) 핸드쉐이킹을 통해서, 프라이빗 키 셋업(private key setup)을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셋업 과정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하지 않는 다양한 보안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들에 따른 동일한 AP의 복수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WLAN service profile)에 대한 단말의 자동 연결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AP는 BSSID(BSS Identifier)에 해당하는 MAC 주소가 동일한 경우, 또는 MAC 주소의 일부(예를 들어, OI(Organization Identifier)가 동일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거나, 복수의 SSID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란, 무선랜명(예를 들어, SSID), 암호화 방식(예를 들어, WPA-PSK(Wi-Fi Protected Access-PreShared Key), WPA2-PSK, EAP-1x 등), 암호키, 로밍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시들을 통하여 설명하는 자동 연결 방안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제 1 무선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예를 들어, 해당 단말이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무선랜에 연결한 이력이 없더라도)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제 2 무선랜에 자동으로 또는 동적으로(dynamically) 연결하는 방안이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무선랜은 동일한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무선랜들이다. 또한, 제 1 무선랜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이 제 2 무선랜으로 변경하여 연결하는 동작은, 장애물, 주변 간섭 등에 의해서 제 1 무선랜으로부터의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예를 들어, 신호 세기가 약해지는 경우)에 트리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입 또는 조작 없이, 무선랜 서비스의 단절 없이 동적으로 무선랜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AP가 2.4GHz 및 5GHz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지원하는 듀얼 밴드 AP인 경우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AP가 2.4GHz 또는 5GHz가 아닌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지원하거나 또는 2 초과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예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AP에서 5GHz 주파수 대역에서 제공되는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의 SSID는 olleh_GiGA_WiFi_xxxx이고,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제공되는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의 SSID는 olleh_WiFi_xxxx일 수 있다.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가 보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단말에서는 5GHz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제 1 무선랜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단말에 2.4GHz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2.4GHz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직접 입력하는 조작을 하지 않은 한, 단말은 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더라도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자동으로 연결 변경을 시도할 수 없다. 그러나, 동일 AP의 서로 다른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들(적어도 서로 다른 SSID를 가지는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들)에 대한 연결을 동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안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하에서는 동일 AP의 서로 다른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동적 또는 자동 연결 변경 방안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P가 단말에게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메시지 또는 단말의 요청의 의하여 전달하는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의 접속 이력이 없는(또는 단말이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 무선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가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만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AP의 제 2 주파수 대역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에 대해서 AP가 제공하는 정보를 관리 프레임(예를 들어, 무선랜 내의 모든 단말들에 대해서 브로드캐스트되는 비콘 프레임, 또는 무선랜 내의 특정 단말에게 유니캐스트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를 통하여, 단말은 해당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가 단말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제 1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와 동일한 AP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를 AP 동일성 판정 정보라 칭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AP 동일성 판정 정보의 일례로서,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등의 관리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벤더-특정 요소(vendor-specific element)의 포맷을 나타낸다. 벤더-특정 요소는 IEEE 802.11 표준문서에서 정의하는 것으로, 표준문서에서 정의하지 않는 정보를 나르기 위해서 사용된다.
요소 ID(element ID) 필드는 1 옥텟 크기를 가지고, 해당 요소가 벤더-특정 요소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dd)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길이(length) 필드는 1 옥텟 크기를 가지고, 길이 필드에 후속하는 필드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OI(Organization Identifier) 필드는 j 옥텟 크기를 가지고, 특정 벤더-특정 요소의 컨텐츠를 정의한 엔터티(즉, 벤더)를 식별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OI 필드가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값으로 정의되는 경우에는 j=3 일 수 있다. 만약 OI 필드가 3 옥텟보다 큰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되는 경우에는, OI 필드의 처음 3 옥텟은 OUI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OI 필드는 적어도 3 옥텟 크기의 OUI 값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벤더-특정 컨텐츠(vendor-specific content) 필드는, n-j (여기서, j≤n≤255) 옥텟 크기를 가지고,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다양한 정보 및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OUI (또는 OI) 값을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로서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비콘 또는 프로브 응답과 같은 관리 프레임에 포함된 제 1 OUI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지만,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즉,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접속 이력이 없는)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에 접속한 상태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비콘 또는 프로브 응답과 같은 관리 프레임에 포함된 제 2 OUI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 1 OUI 값과 제 2 OUI 값이 동일한 경우에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즉, 제 1 SS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를 제공하는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에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단말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저장된 암호화 방식, 암호키 등을 이용하여, 임시(temporary)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제 2 SSID에 의해 식별되는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공되는 무선랜에 대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아니므로,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어,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 변경을 시도하고, 연결 변경의 성공 또는 실패가 결정되는 시점까지)만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삭제 명령이 있을 때까지 저장될 수도 있다.
만약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생성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 자동으로 또는 동적으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AP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 접속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나의 AP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를 사용하여,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서, 전술한 OI 또는 OUI 및 추가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에 따른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도 4의 벤더-특정 요소의 구체적인 포맷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 ID 필드는 해당 요소가 벤더-특정 요소임을 나타내는 0xdd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길이 필드는 후속하는 필드들의 길이 n 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OI 필드는 특정 벤더를 나타내는 3 옥텟의 OUI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UI 필드의 값이 0x00 0x17 0xC3 로 설정되는 경우, KtfTechn라는 명칭을 가지는 벤더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의 벤더-특정 컨텐츠 필드는 도 5의 예시와 같은 OUI 타입(type) 서브필드, AP 타입(type) 서브필드, 또는 커맨드(command) 서브필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OUI 타입 서브필드는 1 옥텟 크기를 가지고, 특정 OUI 값에서 이용되는 정보들의 다양한 타입 중의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UI 타입은 0x00 부터 0xff 까지의 값 중에서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OUI 타입 정보는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UI 타입 정보는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OUI 정보와 결합하여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의 제 1 OUI 값 및 제 1 OUI 타입 값이,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의 제 2 OUI 값 및 제 2 OUI 타입 값과 동일한 경우,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즉, 제 1 SS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를 제공하는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에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저장된 암호화 방식, 암호키 등을 이용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AP 타입 필드는 1 옥텟 크기를 가지고 다양한 AP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타입의 값이 0x00, 0x01, 0x02, ... 인 경우, 각각 AP 타입이 홈 AP, 존 AP, 와이브로 에그 AP, ... 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P 타입 정보는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타입 정보는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OUI 정보와 결합하여, 또는 전술한 OUI 타입 정보와 결합하여, 또는 전술한 OUI 정보 및 OUI 타입 정보와 결합하여,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의 제 1 OUI 값, 제 1 OUI 타입 값 및 제 1 AP 타입 값이,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의 제 2 OUI 값, 제 2 OUI 타입 값 및 제 2 AP 타입 값과 동일한 경우,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즉, 제 1 SS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를 제공하는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에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저장된 암호화 방식, 암호키 등을 이용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에서, OUI 값, OUI 타입 값 또는 AP 타입 값 중의 하나 이상이 동일한 경우,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즉, 제 1 SS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를 제공하는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에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저장된 암호화 방식, 암호키 등을 이용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예시에서 벤더-특정 컨텐츠 필드는 커맨드(command)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 필드는 1 옥텟 크기를 가지고,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제안하는 동일 AP의 복수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또는 복수의 SSID) 간의 동적 연결 변경 동작을 적용할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맨드 필드의 값이 제 1 값(또는 ON 값)을 나타내는 경우, 본 발명의 예시들에 따른 동적 연결 변경 동작이 허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커맨드 필드의 값이 제 2 값(또는 OFF 값)을 나타내는 경우, 본 발명의 예시들에 따른 동적 연결 변경 동작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에서, OUI 값, OUI 타입 값 또는 AP 타입 값 중의 하나 이상이 동일한 경우, 단말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즉, 제 1 SS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를 제공하는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의 커맨드 값이 ON 값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단말에 제 2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저장된 암호화 방식, 암호키 등을 이용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서 수신되는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는 벤더-특정 필드의 커맨드 값이 OFF 값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 대한 임시 프로파일을 생성 또는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AP 동일성 판정 정보(예를 들어, OUI, OUI 타입 또는 AP 타입 중의 하나 이상)및 커맨드 정보는 관리 프레임의 벤더-특정 요소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AP 동일성 판정 정보 및 커맨드 정보는 AP가 단말에게 제공하는 다른 타입의 프레임(예를 들어, 제어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GAS(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프레임)의 다른 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AP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주소(address) 필드 등을 통하여, 해당 AP의 BSSID를 확인할 수 있다. BSSID는 6 옥텟 크기를 가지고, A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의 제조사에 의해서 할당되는 MAC 주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BSSID의 6 옥텟 중의 MS(Most Significant) 3 옥텟은 OUI로 구성될 수 있다. BSSID의 OUI 중에서 특정 비트(예를 들어, MS 1 옥텟의 두 번째 비트(b2))의 값이 0인 경우에는 OUI는 글로벌 유니크 식별자로서 기능하고, 상기 특정 비트 값이 1인 경우에는 OUI는 로컬 관리자에 의해서 부여되는 식별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AP 동일성 판정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BSSID의 MAC 주소의 OUI 부분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만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BSSID의 OUI가,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BSSID의 OUI와 동일한 경우에는,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에 동적으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제 1 SSID가 ABC_xxxx이고,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이 AP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BSSID 중의 OUI 부분이 02:12:34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제 2 SSID가 ABC_5GHz_xxxx이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이 AP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BSSID 중의 OUI 부분이 02:12:34일 수 있다. 이와 같이, BSSID의 OUI 부분이 전부 동일한 경우에, 단말은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AP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AP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제 1 SSID가 ABC_xxxx이고,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이 AP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BSSID 중의 OUI 부분이 00:12:34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제 2 SSID가 ABC_5GHz_xxxx이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단말이 AP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의 BSSID 중의 OUI 부분이 02:12:34일 수 있다. 이와 같이, OUI 중에서 처음 2 옥텟(제 1 SSID의 경우에는 00, 제 2 SSID의 경우에는 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12:34로 동일한 경우에, 단말은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AP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AP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동적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610에서 단말은 제 1 무선랜에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단말은 제 1 SSID에 의해서 식별되고 제 1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단계 S620에서 단말은 다른 무선랜으로 연결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 1 무선랜의 서비스 품질 저하, 레이트 저하, 신호 세기 저하, 간섭 크기 증가 등으로 인해 서비스의 지연 또는 단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단말은 제 1 무선랜 이외의 다른 무선랜을 탐색할 수 있다. 다른 무선랜 탐색이란, 제 1 무선랜을 제외한 다른 무선랜에서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등의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상기 다른 무선랜에서 다른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관리 프레임 등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무선랜에서 전송되는 GAS 프레임 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다른 무선랜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된 AP 동일성 판정 정보(예를 들어, 전술한 OUI, OUI 타입 또는 AP 타입 중의 하나 이상) 및 커맨드 정보(즉, 동적 연결 변경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단말은 단계 S630에서 탐색된 무선랜(예를 들어, 제 2 무선랜)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된 커맨드 정보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커맨드 정보의 값이 ON을 지시하는 경우(즉, 동적 연결 변경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단계 S65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30으로 돌아가서 제 2 무선랜을 제외한 다른 무선랜을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단말은 제 1 무선랜의 AP와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 1 무선랜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된 제 1 OUI 값, 제 1 OUI 타입 값, 제 1 AP 타입 값 중의 하나 이상을, 제 2 무선랜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된 제 2 OUI 값, 제 2 OUI 타입 값, 제 2 AP 타입 값 중의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인 판정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제 1 무선랜의 AP와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단계 S66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30으로 돌아가서 제 2 무선랜을 제외한 다른 무선랜을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단말은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2 무선랜으로의 연결을 위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 중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 등의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단말은 단계 S660에서 저장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 2 무선랜에 연결이 가능한지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제 2 무선랜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S680으로 진행하여 제 2 무선랜에 대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69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690에서 단말은 사용자에게 암호키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제 2 무선랜에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 2 무선랜 연결을 위한 암호키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692에서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키를 이용하여 제 2 무선랜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제 2 무선랜에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S680으로 진행하여 제 2 무선랜에 대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94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694에서 단말은 암호키 입력 요청의 횟수가 N 회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암호키 입력 요청 횟수가 N 회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690으로 돌아가서 사용자에게 암호키 입력을 다시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암호키 입력 요청 횟수가 N회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단계 S630으로 돌아가서 제 2 무선랜을 제외한 다른 무선랜을 탐색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예시들에서 제 1 SSID와 제 2 SSID가 동일한 경우, 또는 제 1 SSID의 일부와 제 2 SSID의 일부가 동일한 경우에 본 발명의 동적 연결 변경 방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단계 S640에서 제 2 무선랜의 커맨드 값을 확인하기 전에, 해당 제 2 무선랜의 제 2 SSID가, 현재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제 1 무선랜의 제 1 SSID와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제 1 SSID와 제 2 SSID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는 제 2 무선랜의 커맨드 값이 ON 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만약 제 1 SSID와 제 2 SSID가 동일하지도 유사하지도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30으로 돌아가서 제 2 무선랜을 제외한 다른 무선랜을 탐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적 연결 변경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도 1의 단말 장치(100)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무선랜에 연결된 단말 장치(100)가 다른 무선랜으로의 연결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제 1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130)를 통해서 수신된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와, 제 2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130)를 통해서 수신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랜으로 상기 트랜시버(13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 동작을 지원하는 AP는 도 1의 AP 장치(200)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상기 AP 장치(200)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100)에게 상기 트랜시버(23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AP 장치(2000)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2 무선랜에 대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100)에게 상기 트랜시버(23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100)에 의해서 생성되는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한 상기 단말 장치(100)의 연결 요청을 상기 트랜시버(23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상기 제 2 무선랜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100)의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100)에게 상기 트랜시버(23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 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모든 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에 따른 동작을 처리 또는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또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medium)를 포함한다.s

Claims (14)

  1. 무선랜에서 단말이 동적 연결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무선랜에 연결된 상기 단말이 다른 무선랜으로의 연결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랜으로부터 수신된 제 1 액세스 포인트(AP) 동일성 판정 정보와, 제 2 무선랜으로부터 수신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 또는 상기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정보, OUI 타입 정보, 또는 AP 타입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 또는 상기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의 OUI 부분을 포함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 또는 상기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중의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동적 연결 변경 허용 여부를 지시하는 커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정보가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동적 연결 변경 허용을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은 상기 단말에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저장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 중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는,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암호화 방식 및 암호키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랜은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 2 무선랜은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랜은 제 1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의해서 식별되고,
    상기 제 2 무선랜은 제 2 SSID에 의해서 식별되는, 동적 연결 변경 방법.
  12. 무선랜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2 무선랜에 대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서 생성되는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한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상기 제 2 무선랜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연결 변경 지원 방법.
  13.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제 1 무선랜에 연결된 경우 다른 무선랜으로의 연결 변경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서 수신된 제 1 액세스 포인트(AP) 동일성 판정 정보와, 제 2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서 수신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무선랜의 AP와 상기 제 2 무선랜의 AP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생성된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랜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무선랜으로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동적 연결 변경 단말 장치.
  14. 무선랜에서 단말의 동적 연결 변경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AP)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AP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2 무선랜에 대한 제 2 AP 동일성 판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선랜에 대한 제 1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서 생성되는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한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임시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이 상기 제 2 무선랜의 무선랜 서비스 프로파일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동적 연결 변경 지원 AP 장치.
PCT/KR2017/005552 2016-06-03 2017-05-26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 WO201720946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06,200 US11057770B2 (en) 2016-06-03 2017-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connection in wireless 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33 2016-06-03
KR1020160069333A KR102521545B1 (ko) 2016-06-03 2016-06-03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463A1 true WO2017209463A1 (ko) 2017-12-07

Family

ID=6047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5552 WO2017209463A1 (ko) 2016-06-03 2017-05-26 무선랜에서 동적 연결 변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57770B2 (ko)
KR (1) KR102521545B1 (ko)
WO (1) WO2017209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3306B (zh) * 2020-03-25 2023-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的接入方法及相关设备
WO2023113370A1 (ko) * 2021-12-14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5236A1 (en) * 2003-12-23 2005-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access point
KR100580244B1 (ko) * 2003-01-23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상의 핸드오프 방법
US20060209773A1 (en) * 2004-12-28 2006-09-21 Hundal Sukhdeep S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40254349A1 (en) * 2013-03-08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data stream transfer during band switch between wireless stations
US20160094515A1 (en) * 2014-09-26 2016-03-31 Fortinet, Inc. Mobile hotspot managed by access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675B2 (en) * 2011-03-12 2016-03-15 Fon Wireles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service
KR101561113B1 (ko) * 2012-06-07 2015-10-16 주식회사 케이티 설정 정보 기반 능동적 스캐닝 및 연결 방법
KR101561117B1 (ko) * 2012-09-20 2015-10-1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능동 검색 방법
CN104956735B (zh) * 2012-12-03 2019-03-15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lan系统中扫描多个频带的方法及装置
CN105393630B (zh) * 2014-06-25 2019-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建立网络连接的方法、网关及终端
US9743450B2 (en) * 2014-09-05 2017-08-22 Apple Inc. Learned dual band WiFi network association method
JP6584210B2 (ja) * 2015-08-10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244B1 (ko) * 2003-01-23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상의 핸드오프 방법
US20050135236A1 (en) * 2003-12-23 2005-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access point
US20060209773A1 (en) * 2004-12-28 2006-09-21 Hundal Sukhdeep S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40254349A1 (en) * 2013-03-08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data stream transfer during band switch between wireless stations
US20160094515A1 (en) * 2014-09-26 2016-03-31 Fortinet, Inc. Mobile hotspot managed by access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2736A1 (en) 2019-06-13
KR102521545B1 (ko) 2023-04-12
KR20170137347A (ko) 2017-12-13
US11057770B2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2398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필터링 기반 스캐닝 방법 및 장치
WO2011145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tation enablement procedur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75618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wireless terminals with access point through wireless network
WO20160568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connections using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28117A1 (ko) 무선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트리거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37172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의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122763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 white space map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408817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스캐닝 방법 및 장치
WO201401078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채널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80850A1 (ko) 다중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에서의 온보딩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WO2011115448A2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멀티 밴드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018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4098437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비스 발견 방법 및 장치
EP17047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rvice set identifiers to probe for
WO2011162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operating channel request and responding to the operating channel request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A3033071A1 (en) Discovery and security in lwa communication
WO201312239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WO2015005727A1 (en)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WO201701457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1589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tation enablement procedure
WO2014030894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셋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3937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능력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6328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7209462A1 (ko) 무선랜 품질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3032080A1 (ko) 비 ap로 동작하는 sta을 통한 ds접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069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9.05.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069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