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1861A1 -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1861A1
WO2017191861A1 PCT/KR2016/004994 KR2016004994W WO2017191861A1 WO 2017191861 A1 WO2017191861 A1 WO 2017191861A1 KR 2016004994 W KR2016004994 W KR 2016004994W WO 2017191861 A1 WO2017191861 A1 WO 20171918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dies
pin
unit
hea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9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정연
정영원
신동혁
차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98,79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45847B2/en
Priority to EP16901087.3A priority patent/EP3454107B1/en
Publication of WO20171918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18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capable of separating the display unit.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glass / mobi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Glass type terminals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handheld terminals and vehicle mount terminals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them.
  •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have. Further, 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 the glass type terminal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may correspond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 the display unit 151 provided in a glass type terminal, such as an HMD may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to the user by being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N screen technology, etc., beyond a simple image output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 mounted display that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a head of a user.
  • the head mounted display has a first and a second display unit,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body is formed to be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the A third body that connects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a second body formed at each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configured to engage and disengage each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 a module wherein the fixing module protrudes from the second body and passes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nd includes a latch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and mounted to the first body to penetrate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 the pin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latch portion.
  • the latch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lat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in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pins at which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pins. It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for connecting the pin and a third pi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ba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ns, one end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 the tightening unit may be made of a tightening unit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wi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y, respectively, to provide tension to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o the third body to match the size of the head.
  • a moving module mounted on on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in a direction away from or near each other.
  • the mov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handl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 gear part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rts or the first and second bodies.
  • the rack may be arranged and engaged with the gear uni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based on a state of sensing by the sensor unit and a state of sensing the coupled state and the detach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the mounting state of the head.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utput of the image based on the wearing state of the head mounted display unit.
  • the user can detach the head mounted display from the head by separating the body from the front of both eyes.
  • the fixing modu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an be easily coupled and disengaged, and the head can be properly pressed using the wires of the tightening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have.
  • the user can reliably fix the head mounted display to the hea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head.
  • the user can continuously output or limit information without applying an additional control comman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 FIG. 1A is a view of a head mounted display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B is a view of the head mounted display of FIG. 1A viewed in the A direction.
  • FIG. 1B is a view of the head mounted display of FIG. 1A viewed in the A direction.
  • 2A to 2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head mounted display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eparated.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C is a conceptual view of FIG. 3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3D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al feature of connecting the latch and the pin.
  •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agnet unit to facilitate coupling and disengaging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ightening unit disposed at a rea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ightening rail.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djustment latch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tightening module and a fixing module are interlo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8A to 8C are conceptual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disposed in the tightening module to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tightening part is fixed to an end of a third pi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 10A to 10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A is a view of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direction
  • FIG. 1B is a view of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of FIG. 1A viewed from the A direction.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may include a first body 100, a second body 200, and a third body 300.
  • the third body 30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the third body 300 to be symmetrical, and when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mounted to the head of the user, the third body 300 i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but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in both eyes of the user. Display units 500 for outputting images ar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third body 300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orn state. Are separated.
  •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are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In the wearing stat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are disposed to face both eyes of the user. Although not illustrated 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may output an image so that one image is provided.
  •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10 and 210 ar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10 and 2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o support the head of the user in a worn state.
  •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10 and 210 form an opening area, and a user may receive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510 through the opening area.
  • a third support part 330 supporting the head of the user is also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body 300.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support parts 110, 210, and 330. ) The head mounted on the head can minimize the feeling of pressure and weight.
  • a tightening unit 311 is formed on the third body 300, and a rear unit 320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nd circuits are mounted is disposed.
  • the fastener 300 move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with respect to the third body 300 whil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Device.
  • the tightening unit 300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tightened by the tightening unit 300,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is narrowed and the head mounted display ( 1000 may be more stably mounted to the head of the user.
  • the tightening unit 311 may include a wi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 reel connecting the wire, and a dial tightening device for moving the wire.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is connected to the third body 300 by the wire.
  •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third body 300 increases.
  • the wire is loosened by the operation of the tightening part 311, a spac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 the user may mount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more stably by tightening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 the third body 300 is equipped with a sound output module 340 for outputting an auditory signal.
  • the sound output module 340 is formed of a earphone detachable from the user's ear.
  • 2A to 2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head mounted display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eparated.
  • FIG. 2A illustrates a first state in which a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mounted on a head of a user.
  • the head h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 the user of the first to the third body (100, 200, 300)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head (h) using the tightening portion 311 in the state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y (100, 200) is connected You can adjust the spac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10 to output an image.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corresponds to a state mounted on the head h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to stop outputting an image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module 340 to output voi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body 300, and thus the frames forming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are made of a deformable material. Can be done.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ove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tightening state of the tightening unit 311 is terminated to releas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Can be switched to a loose stat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pause the playback.
  • the controller may replay the paused video file when the second state is changed back to the first state.
  • FIG. 2C illustrates a third state in which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separated from the head h and spans the shoulder s whil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 the third support part 330 of the third body 300 is caught by the user's neck.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may be seated on the shoulder h and the chest of the user by the w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the controller may temporarily deactivate the display unit 1000.
  • the display unit 500 is controlled such that an image is not output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while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hanging on the shoulder h. .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module 340 to output audi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or audi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Accordingly, the user may continue to receive auditory information by the sound output module 340 in the form of an earphone even when the image cannot be confirmed.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of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tion sensor. It may include.
  • the proximity sensor or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first to third support parts 110.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usage state such as whether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mounted on the head or shoulder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temporarily stop watching the image from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the user may maintain the state over the shoulder h, and combine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o re-create the image. I can return to state 1
  • 2D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state in which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nd supported on the grou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separated from the body, the controller deactivates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sound output unit 340.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supported on the ground by the sensor unit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the driving is deactivated or the power is turned off. Can be turned off.
  • the output of the display unit is stopped, so that the user secures a view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can do.
  • the head mounted display can be easily worn on the head again us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an b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visual information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states,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control the head mounted display unit by applying a separate control command. This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ust be kept in a coupled st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are arranged side by side.
  • a structure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A illustrates one region of the first body 100
  • FIG. 3A illustrates one region of the second body 200.
  • Each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corresponds to an area joined to face each other.
  •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31 and 132 and guide guide protrusions 141 are formed at ends of the first body 100.
  • a latch unit 230 and a guide groove 241 including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are formed at ends of the second body 200.
  •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31 and 132, respectively. do.
  •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are formed with insertion hole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ches 231 and 232 protrude.
  • the guide protrusion 141 and the guide groove 241 may be formed in plural, and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latches 231 and 232 are arranged.
  • the guide protrusion 141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241.
  • the number and shape of the guide protrusions 141 and the guide grooves 24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the guide protrusions 141 and the guide grooves 24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without being skewed, and may prevent relative movement by vibration even in the coupled state. have.
  • cross sections of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formed in a flat state, but may be formed in a concave or convex shape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 the pin unit 4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100.
  • One end of the pin units 412 and 41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431, and can move together in one direction.
  •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nd 412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and the third latch 41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nd 412.
  • the third fin 4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s 411 and 412.
  • FIG. 3C is a conceptual view of FIG. 3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one region of the third latch 413 protrudes out of the first body 100.
  • the one area includes a pressing part 413 'that receives an external force by the user.
  • the first to third pins 411, 412, and 413 are mov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art 413 ′.
  •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nd 412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fitted into the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by a moving force and elastic forces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421 and 422. When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nd 41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the first state is realized.
  • 3D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al feature of connecting the latch and the pin.
  •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are formed in a wedge shape, the thickness of which is narrowed toward an end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 412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412 extends. Although only the first latch 231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since the second latch 23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latch 231,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support protrusions 411a and moving protrusions 411b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nd 41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411a and the moving protrusions 411b.
  • the first spring 421 is fitted to the.
  • the second pin 412 also moves. It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and a spring, and because it is made of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in 411,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 the first pin 411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from the thinnest portion of the first latch 231.
  • the first spring 421 is compresse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latch 231.
  • the compressed first spring 421 is expanded by an elastic force whe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in 4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31 ′ of the first latch 231.
  • the first pin 411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31 ′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421.
  • the first pin 411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pin 41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31 ', the first pin 411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hird pin 413, and the groove 231' Are separated).
  • the pin may be fixed by a force close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nd may maintain a ?? state by an elastic force. Accordingly,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separated more easily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agnet unit to facilitate coupling and disengaging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magnet part 151 is formed on the third fin 413. N and S poles of the first magnet part 15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pin 413.
  • a second magnet part 25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N and S poles of the second magnet part 251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pin 413.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pins 411 and 41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421 and 422. And the second magnet parts 151 and 152 are disposed so that different poles face each other. Due to the attraction force of different pol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the third pin 413 when the third pin 413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hird pin 413, the same pol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 parts 151 and 251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more easily separated with the help of a repulsive force that moves away from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more firmly coupled by using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 parts disposed on the different bodies, and when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m, they are to be separated by the movement of the third pin. Can provide force in the direction.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ncludes a tightening unit so that the head mounted display can be stably mounted to the head.
  • the structure of the tightening unit will be described.
  • FIG. 5A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tightening unit disposed at a rea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B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tightening rail.
  • the tightening unit 310 includes the tightening unit 311 and a wire.
  • the recess includes first and second regions 312a and 312b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tightening part 311.
  • the fastener 311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body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region 312a extends from the tightening portion 311 to the first body 100. An end portion of the first region 312a is fixed to one region of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region 312b extends from the tightening portion 311 to the second body 200 and is fixed to one region of the second body 200. The wedge penetrat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third body 300 to rea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the tightening unit 310 consists of a bore system in which the wire is tightened or loosen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tightening part 311 is rota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wire is wound,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by the tension of the wire.
  • the third body 300 includes a pair of tightening rails 301 formed at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 the tightening rail 301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one region is insertable in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have insertion spaces to insert the tightening rails 301.
  • tension of the wire is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by the tightening unit 311
  • the tightening rail 301 is gradual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ccordingly,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bodies 100, 200, and 300 is reduced.
  • the user may feel the pressure on the head and stably mount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 the tension of the wire wound around the tightening unit 311 is released. That is, the user may mount the head mounted display on the head more stably by adjusting the tightening part 311.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djustment latch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 the adjustment latch 233 includes a wedg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es 231 and 23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233 ′ continuous to each other.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changed by inserting a pin into one of the holes. When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closest to the second body 200,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as closely as possible.
  • both eyes of the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are mounted, respectively. Positions 510 and 520 may be adjusted.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tightening module and a fixing module are interlo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fixing module includes the pin unit 400 and the latch unit 230.
  • the fixing module is interlocked with the tightening module by the switch module 260 and the motor unit 264.
  • the switch module 260 senses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nd the application of the tension by the tightening module 310 to drive the motor unit 264 to move the pin. .
  • the switch module 260 includes first to third switches 261, 262, and 263.
  • the first switch 261 is a magnetic switch and detects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controller drives the motor unit 264.
  • the motor unit 264 moves one region of the first pin 411.
  • the second switch 262 is formed to engage with one region of the first pin 411.
  • the second switch 262 is driven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pin 411.
  • the second switch 262 is a limit switch and cuts off power of the motor unit 264 by driving. When the power of the motor unit 264 is cut off, the locked state.
  • the second switch 262 is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 263 for detecting the driving of the tightening unit 310.
  • the third switch 263 may be implemented as a spring switch.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of the tightening unit 310 is sensed. When the tightening state of the tightening unit 310 is released, the tension is released, and the third switch 263 detects this.
  • the motor unit 264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motor unit 264 rotates until the limit switch is driven.
  • the pin is separated from the latch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264.
  • the fixing module may be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nd the driving of the tightening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disengaged by unintentional pres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an be easily separ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without applying an external force. have.
  • 8A to 8C are conceptual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disposed in the tightening module to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ightening unit 311 of the tightening module 3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431 to move the first to third part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ightening unit 311. Pins 411, 412, 413 move.
  • First and second regions 312a and 312b of the wire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ar 431 are connected to one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respectively.
  • the first region 312a is fixed to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region 312b longer than the first region 312a is fixed to one region of the second body 200 through the first and third bodies 100 and 300. Accordingly,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moved to be closer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body 300 along the guide region.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be separated while the tightening part 311 is moved to release the tightening.
  •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tightening part is fixed to an end of a third pi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 the tightening part 311 is fixed to an end of the third pin 413.
  • the first region 312a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tightening portion 311 is fixed to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region 312b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third bodies 100 and 300. It is fixed to one area of the second body 200.
  •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is releas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tightening unit 311,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epara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head mounted display in one operation. can do.
  • 10A to 10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may include moving modules that are form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respectively.
  • the moving module includes a handle part 621 and a gear part 620.
  • a part of the handle part 62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second body 200.
  • the gear part 620 rotates.
  • the gear unit 620 is formed of at least one gear.
  • the shaft of the gear is fix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520.
  • the gear 620 may move with the rack to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to move the second display unit 520.
  • the moving module may include a handle part 610, the gear part 620, and the second display part 520 that are exposed to a region by the hole 200 ′ of the second body 200.
  • Rack portion 630 is fixed to).
  • At least one gear and pinion included in the gear 620 rotates by the handle 610 to move the second display 520.
  • the second display unit 520 includes a lens cover 520 and an optical module 521.
  • One area of the lens cover 520 is accommodated in one area of the optical module 521 so that the optical module 521 and the lens cover 520 are assembled.
  • the lens cover 520 includes a guide rib 520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cover 520, and the optical module 521 is recess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a region in which the lens cover 520 is accommodated.
  • a guide rail 521a The guide rib 520a and the guide rail 521a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ns cover 520 is assembled to the optical module 521.
  • the optical module 521 and the lens cover 520 are stably assembled, and the optical module 521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optical module 521 and the lens cover 520 even when the moving module 600 is fixed. 521 and the lens cover 520 can be moved stably together.
  • the user ma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of the user. I can adjust it.
  • first display unit 510 and the first body 100 include the moving module described above and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scribing a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an accommodating groove 340 ′ for accommodating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s 341 and 342 of the sound output unit 340 includes the third body 300.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s 341 and 3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body 300 using wires or the like.
  • the user may take out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s 341 and 342 from the receiving groove 340 ′ and mount them on the ear.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of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outputs an image 10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mounted on the head h of the user in a combined state.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are controlled.
  •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output one image.
  • the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head h,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scree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re turned off. Control 5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output a voice notification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re separated.
  • 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by the sensor unit when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is spread over the shoulder of the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510 and 520. Stops the output of the image and controls to output only the audi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 the controller may limit the output of data and switch to inactivation.
  • the head mounted display 10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output of data according to the use state, so that if the user wants to temporarily stop using the function, the function can be temporarily stopped without a separate control command. Even when not in use, it automatically switches to inactive state,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 mounted display that is easily detachable sinc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equipped with display units corresponding to both eyes are detachable. Therefore,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rela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타단부를 결합 및 해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제2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삽입홈을 구비하는 래치부와 기 제1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를 관통한 상기 래치부의 삽입홀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핀부로 이루어지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합니다.

Description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분리가 가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발명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글래스타입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글래스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웨어러블형(wearable-type) 글래스타입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글래스 타입(glass type) 단말기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에 해당될 수 있다. HMD와 같은 글래스 타입(glass type)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51)는 단순한 영상출력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기술, N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두부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경우 안정적인 착용을 위하여 두부를 압박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탈착 하는 경우 두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장치를 분리해야 하므로 착탈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상용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장착하여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두부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분리가능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제 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타단부를 결합 및 해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제2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삽입홈을 구비하는 래치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를 관통한 상기 래치부의 삽입홀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래치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삽입홀에 일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핀, 상기 제1 및 제2 핀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3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의 일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가 이루는 공간을 축소 및 확장시키는 조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유닛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고정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조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부의 크기에 맞게 제1 내지 제3 바디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일 영역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기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또는 제1 및 제2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렉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와 두부에의 장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부의 착용상태에 근거하여 영상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안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바디가 분리되므로 사용자는 양안의 전방에서 바디를 분리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두부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모듈에 의하여 제1 및 제2 바디를 쉽게 결합 및 해지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바디에 연결된 조임모듈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두부를 적절히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부의 크기에 무관하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두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바디의 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구동되므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제어명령을 인가하지 아니하고 정보를 계속적으로 출력하거나 제한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1 및 제2 바디가 분리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c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d는 래치 및 상기 핀이 연결되는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는 자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에 배치되는 조임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조임레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래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임모듈과 고정모듈이 연동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에 조임모듈에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임부가 제3 핀의 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제1 바디(100), 제2 바디(200) 및 제3 바디(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30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연결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대칭이 되도록 상기 제3 바디(300)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3 바디(300)는 사용자의 두부의 후방과 맞닿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사용자의 양안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상기 제3 바디(300)와 연결되지 아니하는 단부는 서로 접촉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의 착용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착용해지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서로 분리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가 장착된다. 상기 착용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는 사용자의 양안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는 하나의 영상이 제공되도록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에 각각 제1 및 제2 지지부(110, 210)가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10, 21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착용상태에서 사용자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110, 210)는 개구영역을 형성하며, 사용자는 개구영역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바디(300)의 내면에도 사용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부(110, 210, 330)에 의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두부에 장착되는 사용자가 느끼는 압박감과 무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300)에 조임부(311)가 형성되며, 각종 전자부품 및 회로가 장착되는 후방유닛(320)이 배치된다. 상기 조임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바디(3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이동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임부(3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조여지면,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가 이루는 내부공간이 좁아지며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사용자의 두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임부(31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와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릴(spool) 및 상기 와이어 이동시키는 다이얼 조임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311)를 조이면, 상기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 각각이 상기 제3 바디(300)와 가까워지거나 상기 제3 바디(300)와 중첩되는 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311)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가 느슨해지면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가 이루는 공간이 확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를 조여서 보다 안정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바디(300)는 청각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340)이 장착된다. 상기 음향출력모듈(340)는 사용자의 귀에서 탈착가능한 이어폰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1 및 제2 바디가 분리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사용자의 두부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장착된 제1 상태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가 형성하는 공간에 두부(h)가 삽입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311)를 이용하여 두부(h)의 크기에 맞게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제어부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된 제2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사용자의 두부(h)에 장착된 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되면 영상 출력을 중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모듈(3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상기 제3 바디(300)에 연결된 상태로 분리되는 바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를 이루는 프레임은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기준범위 이상 움직이는 경우 상기 조임부(311)의 조임상태가 해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느슨해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가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다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일시정지 되었던 동영상 파일을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도 2c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두부(h)로부터 분리되어 어깨(s)에 걸쳐진 제3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3 바디(300)의 제3 지지부(330)가 사용자의 목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중량에 의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사용자의 어깨(h) 및 가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0)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h)에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결합되더라도 영상 등이 출력 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청각정보 또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의 상태와 관련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모듈(3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미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이어폰 형태의 음향출력모듈(340)에 의하여 청각정보를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근접센서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나 상기 조도센서의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부(110. 210, 330)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사용자의 두부 또는 어깨에 장착되어 있는지 등 사용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로부터의 영상시청을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 어깨(h)에 걸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결합하여 다시 제1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 2d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제4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상기 음향출력부(340)를 비활성화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지면에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을 비활성화시키거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제1 및 제2 바디를 분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정지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사이를 통하여 외부로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시각정보를 보고 싶지 아니한 경우에도 신체에서 아예 분리할 필요없이 어깨에 걸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바디를 이용하여 쉽게 다시 두부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착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내지 제4 상태에 따라 시각정보 및 청각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출력을 방지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외력에 의하여 분리되며 제1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가 나란히 배치되도록 결합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의 (a)는 제1 바디(100)의 일 영역을 도시하고, 도 3a의 (b)는 제2 바디(200)의 일 영역을 도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각 영역은 서로 마주보면서 결합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상기 제1 바디(100)의 단부에 제1 및 제2 결합홀(131, 132) 및 가이드 가이드돌기(141)가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바디(200)의 단부에 제1 및 제2 래치(231, 232)로 이루어지는 래치유닛(230) 및 가이드홈(2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결합하면,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홀(131, 132)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는 상기 래치(231, 232)가 돌출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래치(411, 412, 도 3b 참조)의 단부가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 돌기(141) 및 상기 가이드 홈(241)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래치(231, 232)의 나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41)는 상기 가이드 홈(241)에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 돌기(141)와 상기 가이드 홈(241)의 개수 및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41) 및 상기 가이드 홈(241)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비뚤어지지 않고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도 진동에 의하여 상대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단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단부는 평평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바디(100)의 내부공간에는 핀유닛(400)이 배치된다. 상기 핀유닛(412, 413)의 일 단부는 연결바(431)로 연결되어 있어, 일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래치(413)는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3 핀(413)가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c는 도 3a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래치(413)의 일 영역이 상기 제1 바디(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일 영역은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을 인가받는 누름부(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413')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핀(411, 412, 413)이 이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은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이동하는 힘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421, 4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의 홈에 끼워진다.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에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이 끼워져 ??(lock)되면 상기 제1 상태가 구현된다.
이하, 상기 핀 및 상기 래치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3d는 래치 및 상기 핀이 연결되는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의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홈(231')이 형성된다. 도면 상에서는 상기 제1 레치(231)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래치(232)는 상기 제1 래치(2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돌기(411a) 및 이동돌기(411b)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411a)와 상기 이동돌기(411b) 사이에는 상기 제1 스프링(421)이 끼워진다. 상기 제2 핀(412)도 이동 돌기. 지지돌기 및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1 핀(4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핀(411)은 상기 제1 래치(231)의 가장 얇은 부분으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1 래치(23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스프링(421)은 압축된다. 압축된 상기 제1 스프링(421)은 상기 제1 래치(231)의 홈(231')에 상기 제1 핀(421)의 단부가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확장된다. 상기 제1 스프링(4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핀(411)이 상기 홈(2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홈(231')에 상기 제1 핀(4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핀(413)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핀(411)이 이동하게되며, 상기 홈(231')에서 분리된다.
즉, 상기 핀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가까워지는 힘에 의하여 고정되며, 탄성력에 의하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결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및 제2 바디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바디의 외면에 형성되는 누름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보다 쉽게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하는 자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3 핀(413) 상에 제1 자석부(15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자석부(151)는 N극 및 S극이 상기 제1 핀(413)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200)의 일 면에 제2 자석부(251)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자석부(251)의 N극 및 S극도 상기 제1 핀(413)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바디(100, 20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래치(421, 422)에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151, 152)는 각각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서로 다른 극의 인력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핀(413)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3 핀(413)이 이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151, 251)의 서로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척력의 도움으로 보다 쉽게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바디에 배치되는 자석부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결합시키고, 사용자가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3 핀의 이동에 따라 분리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쉽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장착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두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조임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조임유닛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에 배치되는 조임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고, 도 5b는 조임레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참조하면, 상기 조임유닛(310)은 상기 조임부(311),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와있다는 상기 조임부(311)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영역(312a, 312b)을 포함한다. 상기 조임부(311)는 상기 제3 바디(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영역(312a)은 상기 조임부(311)로부터 상기 제1 바디(100)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영역(312a)의 단부는 상기 제1 바디(100)의 일 영역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영역(312b)은 상기 조임부(311)로부터 상기 제2 바디(20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바디(200)의 일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 와있다는 상기 제3 바디(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에 도달하게된다.
상기 조임유닛(310)은 외력에 의하여 와이어가 조여지거나 풀리는 보아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임부(311)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가 감기게 되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두부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바디(30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와 연결되는 양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조임레일(301)을 포함한다. 상기 조임레일(301)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상기 조임레일(301)이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조임부(311)에 의하여 와이어에 장력의 장력이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에 인가되면, 상기 조임레일(301)은 점차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가 이루는 공간이 축소된다.
상기 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탄성적으로 이동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두부에 압박감을 느끼며 안정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임부(311)를 누르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조임부(311)에 감겨있던 와이어가 풀리면서 장력이 해지된다. 즉, 사용자는 조임부(311)를 조절하여 두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래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절래치(233)는 상기 제1 및 제2 래치(231, 232)의 쐐기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연속적인 복수의 홀(233')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홀(233')은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홀은 상기 핀이 장착될 수 있도록 원형구조를 형성한다. 하나의 홀에 핀이 삽입된 상태로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핀이 다른 인접한 다른 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 핀을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0)에 가장 가까운 홀에 상기 핀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가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바디(100, 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양안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임모듈과 고정모듈이 연동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핀유닛(400)과 상기 래치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은 스위치모듈(260) 및 상기 모터부(264)에 의하여 상기 조임모듈과 연동된다. 상기 스위치모듈(260)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임모듈(310)에 의한 장력의 인가를 감지하여, 모터부(264)를 구동하여 상기 핀을 이동시킨다.
상기 스위치모듈(260)은 제1 내지 제3 스위치(261, 262, 26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스위치(261)는 마그네틱 스위치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제1 스위치(26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결합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부(264)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부(264)는 상기 제1 핀(411)의 일 영역을 이동 시킨다.
상기 제2 스위치(262)는 상기 제1 핀(411)의 일 영역과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핀(411)의 이동으로 상기 제2 스위치(262)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2 스위치(262)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동에 의하여 상기 모터부(264)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모터부(264)의 전원이 차단되면, 잠김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 스위치(262)는 상기 조임유닛(310)의 구동을 감지하는 제3 스위치(263)와 연결된다. 상기 제3 스위치(263)는 스프링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임유닛(310)의 와이어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한다. 상기 조임유닛(310)의 조임상태가 해지되면 장력이 해지되며, 상기 제3 스위치(263)는 이를 감지한다.
상기 제3 스위치(263)인 스프링 스위치가 풀리면, 상기 모터부(264)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모터부(264)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구동될 때까지 회전한다. 상기 모터부(26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핀이 상기 래치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움직임 및 상기 조임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고정모듈을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눌림에 의하여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이 해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모터부의 구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바디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바디에 조임모듈에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조임모듈(310)의 조임부(311)가 상기 연결바(431)와 연결되어 상기 조임부(3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핀(411, 412, 413)이 이동한다.
상기 연결바(431)로부터 연장된 상기 와이어의 제1 및 제2 영역(312a, 312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일 영역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영역(312a)은 제1 바디(10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영역(312a)보다 긴 제2 영역(312b)은 상기 제1 및 제3 바디(100, 300)를 지나 상기 제2 바디(200)의 일 영역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인가되면,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가이드 영역()을 따라 상기 제3 바디(300)의 중앙부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조임부(311)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해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이 이동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바디(100, 200, 300) 사이가 느슨해지면서, 상기 래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이 분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부(311)를 이동시켜 조임을 해지하면서 동시에 제1 및 제2 바디(100, 2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임부가 제3 핀의 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조임부(311)는 상기 제3 핀(413)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조임부(311)와 연결되는 와이어의 제1 영역(312a)은 상기 제1 바디(100)에 고정되고, 제2 영역(312b)은 상기 제1 및 제3 바디(100, 300)를 거쳐 제2 바디(200)의 일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 조임부(311)를 누르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해지된다. 동시에 성가 조임부(311)의 물리적인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핀(411, 412)이 이동하면서 상기 래치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조임부(311)의 작동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 바디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지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바디가 분리되므로 사용자는 한번의 작동으로 보다 쉽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착용을 해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를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이동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모듈은 손잡이부(621) 및 기어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621)의 일부는 상기 제2 바디(20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홀을 통하여 노출된 상기 손잡이부(621)의 일부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621)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부(620)가 회전한다. 상기 기어부(620)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로 형성된다. 상기 기어의 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520)와 고정된다.
상기 기어(62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랙과 맞물려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52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제2 바디(200)의 홀(200')에 의하여 일 영역에 노출되는 손잡이부(610), 상기 기어부(620)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520)에 고정되는 랙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6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어부(6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및 피니언이 회전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520)를 이동시킨다.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520)는 렌즈커버(520) 및 광학모듈(521)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모듈(521)의 일 영역에 상기 렌즈커버(520)의 일 영역이 수납되어, 상기 광학모듈(521)과 상기 렌즈커버(520)가 조립된다. 상기 렌즈커버(520)는 상기 렌즈커버(52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가이드리브(520a)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모듈(521)은 상기 렌즈커버(520)가 수납되는 일 영역을 이루는 내주면에 함몰되는 가이드 레일(521a)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리브(520a) 및 상기 가이드 레일(521a)은 상기 광학모듈(521)에 상기 렌즈커버(520)가 조립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모듈(521)과 상기 렌즈커버(520)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이동 모듈(600)이 상기 광학모듈(521)과 상기 렌즈커버(520)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되더라도 상기 광학모듈(521)과 상기 렌즈커버(520)를 함께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에서도, 사용자는 사용자의 양안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510) 및 상기 제1 바디(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 모듈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예 따른 음향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출력부(340)의 제1 및 제2 이어폰(341, 342)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340')이 상기 제3 바디(300)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341, 342)은 전선 등으로 상기 제3 바디(300)의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음향출력부(34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납홈(340')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어폰(341, 342)를 꺼내 귀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두부(h)에 장착되는 경우 영상(10)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는 하나의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부(h)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는 화면을 오프(off)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가 분리되었다는 음성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510, 520)에서 이미지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되는 청각정보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리되어 특정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의 출력을 모두 제한하고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0)는 사용상태에 따라 데이터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사용을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제어명령 없이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되므로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양안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제1 및 제2 바디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탈착이 용이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각 타단부를 결합 및 해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제2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삽입홈을 구비하는 래치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를 관통한 상기 래치부의 삽입홀에 삽입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삽입홀에 일 단부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핀;
    상기 제1 및 제2 핀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3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래치는 상기 제2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핀은, 상기 제1 및 제2 핀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핀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3 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3 핀은 상기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N극 및 S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자석부와 함께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자석부와 대응되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핀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3 핀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3 핀은 상기 연장방향에 따라 배치된 N극 및 S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자석부와 함께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자석부와 대응되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제3 핀의 상기 단부 또는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제3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조임유닛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모듈 및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핀이 상기 삽입홀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 및 분리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및 제2 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와이어가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일 영역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기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 또는 제1 및 제2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와 두부에의 장착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PCT/KR2016/004994 2016-05-03 2016-05-12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71918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98,796 US10845847B2 (en) 2016-05-03 2016-05-12 Head-mounted display
EP16901087.3A EP3454107B1 (en) 2016-05-03 2016-05-12 Head-mounte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19 2016-05-03
KR1020160054819A KR102595020B1 (ko) 2016-05-03 2016-05-03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861A1 true WO2017191861A1 (ko) 2017-11-09

Family

ID=6020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994 WO2017191861A1 (ko) 2016-05-03 2016-05-12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45847B2 (ko)
EP (1) EP3454107B1 (ko)
KR (1) KR102595020B1 (ko)
WO (1) WO20171918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3801A (zh) * 2018-03-28 2018-07-20 深圳创维新世界科技有限公司 头戴及头戴式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9729B1 (en) * 2018-05-07 2021-06-08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able strap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head-mounted displays
EP3760150A1 (en) * 2019-07-04 2021-01-06 Scopis GmbH Tracker for a head-mounted displa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7865B1 (en) * 1999-11-29 2004-04-27 Canon Kabushiki Kaisha Head mounted display
JP2007251890A (ja) * 2006-03-20 2007-09-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頭部装着式映像表示装置
KR20140025121A (ko) * 2012-08-21 2014-03-04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152688A1 (en) * 2006-10-16 2014-06-05 Sony Corporatio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part of a screen area is in a through-state
KR20140105319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5396B1 (en) * 2011-03-23 2011-09-27 Clic Goggles, Inc. Magnetic eyewear latch mechanism
US9025252B2 (en) * 2011-08-30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ment of a mixed reality display for inter-pupillary distance alignment
US20130077043A1 (en) * 2011-09-23 2013-03-28 Sean Thomas Moran Modular Eye Wear System with Multi-Functional Interchangeable Accessories and Method for System Component Selection, Assembly and Use
JP2015126396A (ja) * 2013-12-26 2015-07-0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9575319B2 (en) * 2014-03-10 2017-02-21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CN105807425B (zh) * 2015-12-31 2018-09-28 北京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7865B1 (en) * 1999-11-29 2004-04-27 Canon Kabushiki Kaisha Head mounted display
JP2007251890A (ja) * 2006-03-20 2007-09-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頭部装着式映像表示装置
US20140152688A1 (en) * 2006-10-16 2014-06-05 Sony Corporatio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part of a screen area is in a through-state
KR20140025121A (ko) * 2012-08-21 2014-03-04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05319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3801A (zh) * 2018-03-28 2018-07-20 深圳创维新世界科技有限公司 头戴及头戴式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4107A1 (en) 2019-03-13
US20190138053A1 (en) 2019-05-09
EP3454107A4 (en) 2020-02-19
KR102595020B1 (ko) 2023-10-27
EP3454107B1 (en) 2022-01-12
KR20170124859A (ko) 2017-11-13
US10845847B2 (en)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416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1501264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9146850A1 (ko) 이동 단말기
WO2018124344A1 (ko) 자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웨어러블 vr 헤드밴드구조
WO2021141209A1 (en) Display apparatus
WO2017191861A1 (ko)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4133265A1 (en) Display apparatus
WO2021141201A1 (en) Display apparatus
WO2021157757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171216A2 (ko) 스마트 워치
WO2018128299A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16056730A1 (en) Mobile terminal
WO2019216590A1 (en) Camera for electronic device
WO2019066284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94716A1 (ko) 이동 단말기
WO2021225299A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WO2018080112A1 (e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15994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WO2012099354A2 (ko) 영상물 재생 및 시청 방법과 시스템
WO2017188562A1 (ko) 스마트 워치
WO2021045273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WO2021112305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240332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10526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10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9010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