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88643A2 - 전자잉크 키보드 - Google Patents

전자잉크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88643A2
WO2017188643A2 PCT/KR2017/004126 KR2017004126W WO2017188643A2 WO 2017188643 A2 WO2017188643 A2 WO 2017188643A2 KR 2017004126 W KR2017004126 W KR 2017004126W WO 2017188643 A2 WO2017188643 A2 WO 201718864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de
keyboard
display unit
electronic 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1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7188643A3 (ko
Inventor
김경신
Original Assignee
콜럼버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럼버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콜럼버스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18864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88643A2/ko
Publication of WO201718864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8864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ink keyboard,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a mai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a computer,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the screen is not blocked by the keypa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ink keyboard for forming a display unit with an electronic ink to maintain high visibility even during a bright day, and to change a screen mode according to a program or an application used in a main device, thereby enabling various uses.
  • the touch screen detects the loc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to the controller.
  •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outputs different images to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and grasps the image touched by the user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 the area of the soft keyboard occupies about half of the width of the touch screen, and despite the large area of the touch screen, the size of each key button is small, which causes inconvenience of frequent touch errors.
  •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561783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and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input window 2100 area in the touch screen 1100 area.
  • Soft keyboard display step of distinguishing and display the soft keyboard 2200 region;
  • a key butt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key buttons 2210 and 2220 in which som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are arranged in an area of the soft keyboard 2200;
  • An operation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 user's input operation in the key buttons 2210 and 2220;
  • the basic slip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step may include a key button in an area of the soft keyboard 2200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Or slipping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continuous slipping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step includes: the basic slipping; After the operation is finished, the first continuous slipping continuously in any one of three directions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preceding basic slip operation among the first to fourth directions while continuously pressing the key buttons 2210 and 2220.
  • n th continuous sleep opera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key buttons 2210 and 2220 after the n-1 th successive sleep operation ends.
  • Korean Patent No. 10-1561783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a wide visibility of the terminal by generating a key button for inputting characters only on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but still the touch screen that the main screen of the terminal is output By outputting a key button on the screen, a part of the main screen is cover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een cannot be viewed completely when the key button is u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in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ai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computer, the first display uni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mai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computer
  • the first display uni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ink keyboard that can maintain a good visibility even in the daytime bright l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play, by outputting the screen using the electronic ink, the first display unit consisting of a touch screen will b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unit inside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for inputting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ogram or application running on the main unit It can be operated by any one of keyboard mode, media mode for controlling video, music mode for controlling music, e-book mode for outputting e-book, and touch pad mode. It is to provide an electronic ink keyboard.
  •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 An electronic ink keyboard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a main device,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comprising a touch screen,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ink.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or configured to execute a mode corresponding to a program or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ain device.
  • the mode sel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keyboard mode for use as a keyboard, the media mode for controlling a video, and the music mode for controlling music is stored.
  • the keyboard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the keyboard to output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to the first display unit.
  • the media mode and the music mode may control the execution of the video or the music by outputt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video or the music to the first display unit.
  • the media mode or the music mode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utput a setting unit to one side of the first display unit.
  • the mode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book mode for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book to the first display unit.
  • the mode se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mode for using the first display unit as a touch pad.
  • the mai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computer and the like is used in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 the first display uni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touch screen
  • the first display unit By outputting the shape of the keyboard to use as a keyboard, not only can the noise generated when using the existing keyboard is reduced, but also because the mobile device does not have to use the screen of the main device in order to use the keypad. It can be used wide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visibility of the first display unit made of a touch screen by using an electronic ink, even when the light is br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splay.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inside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keyboard for inputting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ogram or application running on the main device Mode, media mode for controlling video, music mode for music control, e-book mode for outputting e-book, touch pad mode, etc. hav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to which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is applied.
  • FIG. 2 is a state diagram of a screen of a terminal to which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is applied.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keyboard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media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touch pad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keyboard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media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music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FIG. 9 is an outpu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e-book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 FIG. 9 is an output screen of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pad mode of the electronic ink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ink keyboard which is u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device 200.
  • the configuration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main device 200. It consists of a main body 100 including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for.
  • the main device 200 may b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or may be a general comput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main body 100 to use as a keyboard. do.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which are widely used these days, or may use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connected by a cable using a USB or a separate terminal.
  •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connected by a cable using a USB or a separate terminal.
  • the first display unit 110 includes a touch screen.
  • the first display unit 110 outputs a keyboard of the keyboard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detects when the user touches each key of the keypad.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o be transmitted to the main device 200 to be used as a keyboard.
  •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formed by the electronic ink, the visibility is not reduced even in bright light It can be used stably.
  • the main body 100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or 130, wherein the mode selector 130 is executed in a corresponding mode according to a program or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ain device 200.
  • the unique code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applic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main device 200. Transmiss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he control unit 120 of the main body 100 to control the mode selection unit 130 to execute a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nique code.
  • the mode selector 130 stores information of a keyboard mode for using the main body 100 as a keyboard, a media mode for controlling a video, and a music mode for controlling music, and selects each mode. You can run it.
  • the control unit 120 of the main body 100 receives a unique code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appl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 the mode selector 130 is controlled to execute the keyboard mode.
  • the keyboard mode outputs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to use the main body 100 as a keyboard, thereby performing various document operations.
  • the video player When the video player is executed in order to watch a movie on the main device 200, the video is 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20 of the main device 200 while the main communication unit 210 operates through the main communication unit 210.
  • the unique code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of 100, and the control unit 120 of the main body 100 executes the media mode by controlling the mode selection unit 130.
  • the first display unit 110 of the main body 100 outputs a control unit 132 for controlling a video, and touches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unit 132 to display a video. To control the play status of the player.
  • the setting unit 134 outputs a size set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screen in the whole, window mode, etc. and various setting buttons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the rotation of the screen, and the like.
  • the unique code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main device 200.
  • the controller 120 of 100 controls the mode selector 130 to execute the music mode.
  • the first display unit 110 of the main body 100 outputs a control unit 136 for controlling music, and touches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unit 136 to music. To control the play status of the player.
  • the control unit 136 outputs a button such as play music, pause, fast play, rewind, and a position control bar that shows the current playing position in the entire play time, etc. ) Is output, and on the other side, the setting unit 138 for adjusting various settings related to music is output.
  • a button such as play music, pause, fast play, rewind, and a position control bar that shows the current playing position in the entire play time, etc.
  • the setting unit 138 includes an equalizer unit for setting an equalizer for adding an effect when outputting music, a lyrics set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lyrics, a list showing a list of music files, and the like.
  • the button will be output.
  • the mode selection unit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book mode for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book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 the e-book mode is a specific program such as an e-book in the main device 200 It is not execut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but is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200 and used independently.
  • a separate storage unit 15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 the storage unit 150 stores the contents of the e-book to b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in the e-book mode.
  • one of the e-book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s selected and output.
  • the e-book mode is automatically set to the e-book mode by pressing a key set in the keyboard mode that is the default mode, or when the power is turned o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200.
  •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battery i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even without connect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 the mode selector 13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mode.
  • the touch pad mode may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device 200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or program such as a graphic program. As shown in FIG. 9, the 110 is set to the same resolution so as to have a 1: 1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220 of the main apparatus 200.
  • a point is generated in a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220 of the main device 200, or the pointer of the mouse moves to the corresponding par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ink keyboard,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a mai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a computer,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the screen is not blocked by the keypa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ink keyboard for forming a display unit with an electronic ink to maintain high visibility even during a bright day, and to change a screen mode according to a program or an application used in a main device, thereby enabling various 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등의 메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경우 화면이 키패드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자잉크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여 밝은 낮에도 높은 시인성을 유지하게 되며, 메인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스크린의 모드를 변환하게 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있어서, 본체와,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메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잉크 키보드
본 발명은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등의 메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경우 화면이 키패드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자잉크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여 밝은 낮에도 높은 시인성을 유지하게 되며, 메인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스크린의 모드를 변환하게 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이미지를 파악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에서 터치스크린 상의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기능을 수행할 때 키버튼을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데, 문자의 입력기능과 화면표시기능을 모두 실현해야 하므로 넓은 시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소프트 키보드의 면적이 터치스크린의 넓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게 대부분이고,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넓게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각 키버튼의 크기는 작아 터치 오류가 빈번히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6178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터치스크린(1100) 영역에 입력창(2100) 영역과 소프트 키보드(2200) 영역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소프트 키보드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소프트 키보드(2200) 영역에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되는 일부 문자가 배치된 키버튼(2210,2220)을 디스플레이하는 키버튼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키버튼(2210,2220)에서 사용자의 입력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입력동작 중 터치 동작, 기본슬립동작 또는 연속슬립동작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입력 단계의 상기 터치 동작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2200) 영역 내의 키버튼을 눌렀다 떼는 동작, 상기 소프트 키보드(2200) 영역 내의 키버튼을 임계시간 이내에 여러 번 눌렀다 떼는 동작 또는 상기 소프트 키보드(2200) 영역 내의 키버튼을 임계시간 이상 누르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입력 단계의 기본슬립동작은, 상기 소프트 키보드(2200) 영역 내의 키버튼을 제1방향,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 상기 제2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제3방향 또는 상기 제3방향과 반대방향인 제4방향으로 슬립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입력 단계의 연속슬립동작은, 상기 기본슬립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키버튼(2210,2220)을 계속 누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제1방향 내지 제4방향 중 선행 기본슬립동작의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세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립하는 첫번째 연속슬립동작 또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연속슬립동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n번째연속슬립동작은 n-1번째 연속슬립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키버튼(2210,2220)을 계속 누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상기 제1방향 내지 제4방향 중 n-1번째 연속슬립동작의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세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립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561783호에 기재된 기술은 단말기의 화면 하부에만 문자입력을 위한 키버튼을 생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넓은 시현성을 확보하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단말기의 메인화면이 출력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키버튼을 출력하게 됨으로써, 메인 화면의 일부가 가려지게 되므로 키버튼을 사용할 때에는 화면을 완전히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화나 음악 등을 감상할 때에는 화면이 가려지게 되고 단말기의 화면을 직접 터치하면서 제어하기 때문에 주의가 분산되어 음악이나 영화에 집중할 수 없어 감동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등의 메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터치스크린으로 형성하고, 제1디스플레이부에 키보드의 형상을 출력하여 키보드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키보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경우 키판을 사용하기 위하여 메인 장치의 화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잉크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전자잉크를 사용하여 화면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일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빛이 밝은 낮에도 시인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는 전자잉크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메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제1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는 메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자판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모드, 동영상 등을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모드, 음악을 제어하기 위한 음악 모드, 전자책을 출력하기 위한 전자책 모드, 터치패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도록 하여, 직관적으로 각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메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자잉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메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드 선택부에는 키보드로 사용하기 위한 키보드 모드와,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모드와, 음악을 제어하기 위한 음악 모드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키보드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로 키보드의 자판을 출력하여 키보드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모드 및 음악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로 동영상 또는 음악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를 출력하도록 하여 동영상 또는 음악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모드 또는 음악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설정부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에는 제1디스플레이부로 책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책 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에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터치패드로 사용하도록 하는 터치패드 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등의 메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터치스크린으로 형성하고, 제1디스플레이부에 키보드의 형상을 출력하여 키보드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키보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경우 키판을 사용하기 위하여 메인 장치의 화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전자잉크를 사용하여 화면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일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빛이 밝은 낮에도 시인성을 좋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메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제1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에는 메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자판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모드, 동영상 등을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모드, 음악을 제어하기 위한 음악 모드, 전자책을 출력하기 위한 전자책 모드, 터치패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도록 하여, 직관적으로 각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자 입력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문자 입력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키보드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미디어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음악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전자책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터치패드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키보드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미디어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음악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전자책 모드의 제1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잉크 키보드의 터치패드 모드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다.
본 발명은 메인 장치(20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제1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메인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140)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와 제1통신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장치(200)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컴퓨터일 수도 있는데, 상기 본체(100)의 제1통신부(140)를 통하여 통신으로 연결되어 키보드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통신부(140)는 요즘 많이 사용되는 WIFI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USB나 별도의 단자를 이용하여 케이블로 연결되는 유선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1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디스플레이부(110)로 키보드의 자판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키패드의 각 키를 터치할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20) 및 제1통신부(140)를 통하여 메인 장치(200)로 전송하여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존에는 LCD 등의 액정으로 이루어져 빛이 밝은 곳에서는 시인성이 떨어지게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잉크로 형성함으로써, 빛이 밝은 곳에서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모드 선택부(1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모드 선택부(130)는 상기 메인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로 실행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장치(200)에서 동영상 플레이어, 음악 플레이어, 또는 워드프로세서를 실행하게 되면, 메인 장치(200)의 제2통신부(210)를 통하여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코드를 본체(100)의 제1통신부(140)로 전송하게 되고, 본체(100)의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모드 선택부(130)를 제어하여 수신된 고유코드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선택부(130)에는 본체(100)를 키보드로 사용하기 위한 키보드 모드와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모드와 음악을 제어하기 위한 음악 모드의 정보가 저장되어, 각각의 모드로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장치(200)에서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면 본체(100)의 제어부(120)는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코유코드를 제1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받아, 상기 모드 선택부(130)를 제어하여 키보드 모드를 실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키보드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키보드의 자판을 출력하도록 하여 본체(100)를 키보드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문서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장치(200)에서 영화 등을 감상하기 위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실행시키게 되면, 메인 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20)로 해당 동영상이 플레이되면서 제2통신부(210)를 통하여 본체(100)의 제1통신부(140)로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코드를 전송하게 되고, 본체(100)의 제어부(120)에서는 모드 선택부(130)를 제어하여 미디어 모드를 실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32)가 출력되게 되고, 컨트롤부(132)의 각 구성들을 터치하여 동영상의 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는 동영상을 플레이, 잠시멈춤, 빨리플레이, 되감기 등의 버튼과 전체 플레이 타임중에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위치를 보여주는 위치 제어바 등이 출력되는 컨트롤부(132)가 출력되고, 타측에는 동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조절하는 설정부(134)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설정부(134)에는 화면의 크기를 전체, 창모드 등으로 제어하기 위한 크기 설정부와 화면의 밝기, 화면의 회전 등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설정 버튼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장치(200)에서 음악 플레이어를 실행시킬 경우, 메인 장치(200)의 제2통신부(210)를 통하여 본체(210)의 통신부로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코드를 전송하게 되고, 본체(100)의 제어부(120)에서는 모드 선택부(130)를 제어하여 음악 모드를 실행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36)가 출력되게 되고, 컨트롤부(136)의 각 구성들을 터치하여 음악의 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는 음악을 플레이, 잠시멈춤, 빨리플레이, 되감기 등의 버튼과 전체 플레이 타임중에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위치를 보여주는 위치 제어바 등이 출력되는 컨트롤부(136)가 출력되고, 타측에는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조절하는 설정부(138)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설정부(138)에는 음악을 출력할 때 효과를 더해주기 위한 이퀼라이저를 설정하는 이퀼라이저부와 가사의 출력을 제어하는 가사 설정부와 음악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리스트 등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설정 버튼이 출력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드 선택부(130)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0)로 책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책 모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전자책 모드는 메인 장치(200)에서 전자책과 같은 특정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 장치(200)와 연결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별도의 저장부(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저장부(150)는 전자책 모드에서 제1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할 전자책의 내용이 저장되게 되고, 전자책 모드로 사용될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자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면을 단순 터치하거나 일정 이상 시간동안 길게 터치할 경우 별도의 팝업창이 출력되어 원하는 전자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자책 모드는 기본 모드인 키보드 모드에서 설정된 키를 누르거나, 메인 장치(20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을 키게 되면 자동으로 전자책 모드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0)의 내부에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전원부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드 선택부(130)에는 터치패드 모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터치패드 모드는 메인 장치(200)에서 그래픽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본체(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1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20)와 1:1 대응이 되도록 동일한 해상도로 설정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각 부분을 터치할 경우 메인 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20)에 대응되는 부분에 점이 생성되거나, 마우스의 포인터가 해당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20)의 각 부분과 1:1 대응되게 됨으로써, 그래픽 작업시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며, 1:1 대응이 아닌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터치패드로 사용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등의 메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경우 화면이 키패드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자잉크로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여 밝은 낮에도 높은 시인성을 유지하게 되며, 메인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스크린의 모드를 변환하게 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Claims (5)

  1. 메인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잉크 키보드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메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메인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드 선택부에는 키보드로 사용하기 위한 키보드 모드와, 동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모드와, 음악을 제어하기 위한 음악 모드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메인 장치에 구비되는 제2통신부는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코드를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제어하여 수신된 고유코드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며,
    상기 미디어 모드 및 음악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는 동영상 또는 음악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를 출력하도록 하여 동영상 또는 음악의 실행을 제어하고, 제1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동영상 또는 음악의 설정을 조절하는 설정부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는 전자잉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부로 키보드의 자판을 출력하여 키보드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에는 제1디스플레이부로 책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책 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에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터치패드로 사용하도록 하는 터치패드 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잉크 키보드.
PCT/KR2017/004126 2016-04-27 2017-04-18 전자잉크 키보드 WO201718864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09A KR101682214B1 (ko) 2016-04-27 2016-04-27 전자잉크 키보드
KR10-2016-0051509 201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643A2 true WO2017188643A2 (ko) 2017-11-02
WO2017188643A3 WO2017188643A3 (ko) 2018-08-02

Family

ID=5757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126 WO2017188643A2 (ko) 2016-04-27 2017-04-18 전자잉크 키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2214B1 (ko)
WO (1) WO20171886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6665A (zh) * 2016-12-26 2018-05-2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737A (ko) * 2010-02-17 2011-08-24 홍상훈 터치패드식 마우스 겸용 키보드
KR20110132223A (ko) * 2010-06-01 2011-12-07 에프 아이 에이치 (홍콩) 리미티드 터치타입 투명 입력장치
JP5782133B2 (ja) * 2010-11-30 2015-09-24 クリーンキ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的配置オンスクリーンキーボード
KR20130071204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키보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28855B1 (ko) * 2014-02-27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6665A (zh) * 2016-12-26 2018-05-2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214B1 (ko) 2016-12-02
WO2017188643A3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08029A2 (ko) 모바일 가상 기타의 지판 표시 장치 및 방법
US873905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011517C (en) Flat touch screen workpad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US20140253440A1 (en) Dorsal Touch Input
WO2014051201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83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0451938C (zh) 图像显示设备、图像显示方法和程序
WO2017192008A1 (ko)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US20150011263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2015526828A (ja) 人間工学的なデータ入力デバイス
JP2022545202A (ja) 対象位置調整方法及び電子機器
CN102012724B (zh) 一种终端设备及触摸屏
US201401763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er assist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7188643A2 (ko) 전자잉크 키보드
CN103577092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WO2014192536A1 (ja)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609851U (zh) 多功能游戏手柄
JP2022544809A (ja) アイコン表示方法及び端末
WO2015008929A1 (ko)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이동 및 전환 방법
WO2015129984A1 (ko) 게임 조정장치
WO2015016634A1 (ko) 조도센서를 활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2196A (ko)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2157667A1 (ja) 携帯端末装置、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6183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425276B1 (ko) 전자 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9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898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