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1244A1 -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1244A1
WO2017131244A1 PCT/KR2016/000787 KR2016000787W WO2017131244A1 WO 2017131244 A1 WO2017131244 A1 WO 2017131244A1 KR 2016000787 W KR2016000787 W KR 2016000787W WO 2017131244 A1 WO2017131244 A1 WO 20171312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xercise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07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현옥
박미현
신만수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07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31244A1/ko
Publication of WO20171312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12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and life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of a user wearing a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a picture and video with a camera, recording a voice, playing a music file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to a display unit.
  • Some terminals have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 recent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video, and television programs.
  •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 Lactic acid corresponds to the fatigue material produced during exercise.
  • health problems such as muscle pain, fatigue, acidification of blood, increased cancer cells, and disruption of lipolysis may occur.
  • Lactic acid concentration accumulated in the user's body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 the blood of the user may be extracted to measure the lactate concentration, or the lactate concentration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heart rate of the user.
  • a method for extracting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in real time in order for the user to determine the state of health and the possibility of exercise is required.
  • various methods may exist to remove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body. For example, the efficiency of lactic acid removal may be increased if you exercise lightly after performing vigorous exercise rather than just resting without exercise. In addition, when lactic acid is accumulated, when steaming with warm water or warming the body, the efficiency of lactic acid removal may increase. In addi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actic acid removal through the intake of monosaccharides, polysaccharides, and high protein foods. In addition, when the blood circulation is smooth after the exercise, it helps to remove lactic acid, for this purpose, if the bath and massage after exercise, the blood is smoothly supplied to the whole body can be effective in removing lactic acid. Various methods for removing lactic acid need to be guided to the user who performed the exercise in real time.
  •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user's body in real time.
  •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an exercise guide or a living guide to a display based on the amount of lactic acid extrac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display unit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an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 a first extracting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sensed heart rate of the user and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and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exercising
  •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outputting the first guide information when the lactic acid amount of the user exceeds the lactic acid threshold, when the user is aerobic exercise, the watch type mobile terminal to provide.
  •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first guide information when the lactic acid amount of the user increases 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user is anaerobic exercise, movement of the watch type Provide a terminal.
  • control unit provide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t least one notific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exercising.
  • the at least one notification provides at least one of a vibration type notification and a voice notification type.
  •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reduced intensity of the signal of the at least one notification when the amount of lactic acid is reduced by extracting the amount of lactic aci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igital devic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removing lactic acid to the external digital device It further provides a watch-type mobile terminal.
  • the first guide information is a lactic acid indicator indicating the user's real-time lactate amount, an exercise guide indicator indicating the exercise for reducing the lactate amount and a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heart rate of the user It provides a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 the transmitter included in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emits an injection signal from 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er senses a reflection signal from which the injection signal is reflected
  •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t least one of a heart rate of the user and an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ed reflection signal.
  • the transmitter included in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includes a first LED and a second LED, at least one of the first LED and the second LED is a green LED
  •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exercise state is available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and if the user is in the exercise state,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exercise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liv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is not in the exerciseable state.
  • the touch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 touch input, and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touch input when the user receives a touch input for executing a health related application when the user is not exercising. It provides a watch-typ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the information or the living information.
  • the watch type mobile terminal provide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which is being worn by the user.
  •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ve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motion sensing unit It further provides a watch-type mobile terminal.
  • a control method of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comprising: extracting a lactate amount based on at least one of a heart rate of a user and an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If the user is exercising, outputting first guide information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to reduce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on a display unit; And outputting, on the display unit, second guide information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or life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not exercising.
  •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body can be extracted by measuring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in real time by a sensor provided in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 the watch type mobile terminal can monitor the stress state of the user, to provide a guide for adjusting the exercise intensity to the user.
  •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1B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form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modul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arable device and an external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n 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n an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n an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after a workout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after a workout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exercise guide before exercise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n exercise guide before exercise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exercise state information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glass glasses, head mounted displays, and the like. have.
  •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May be included.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etwee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Optical sensors e.g. cameras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herei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audio output unit 152, the hap tip module 153,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 I / O audio input / output
  • I / O video input / output
  • earphone port an earphone port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forwarding, a calling function, a message receiving, and a calling function).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 Two or mor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switching of broadcast channels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 the broadcast signal may be enco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echnical standards (or broadcast methods, for example, ISO, IEC, DVB, ATSC, et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and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may be received by using a method suitable for the technical standard set by the technical standards.
  • the broadcast associ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such as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includ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and EV).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 EV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and the like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 EV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 WCDMA Wideband CDMA
  • HSDPA High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and WiMAX (World).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performing a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3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can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be configured between a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rough the wireless area networks. ) And a network in which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short 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martwatch, smart glasses). (smart glass), head mounted display (HMD).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sense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round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 The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114. Therefore,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performs a phon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when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receiv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essage.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Wi-Fi Wireless Fide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 the mobile terminal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P)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Wi-Fi module and the wireless signal.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function of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substitute or additionally obtain data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 the mobile terminal 100 is one.
  •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provided.
  •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through the camera 121 forming a matrix structure in this wa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various angles or focuses.
  • the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may be input.
  •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 the microphone 122 processes external sound signals into electrical voice data.
  •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variously used according to a function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 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 the user input unit 123 may be a mechanical input unit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a dome switch, a jog wheel, or the like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Jog switch, etc.) and touch input means.
  • the touch input means may include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a software process, or a portion other than the touch screen. It may be made of a touch key disposed in the.
  •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con, video, or the like. It can be made of a combination of.
  • the sensing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driving 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 or oper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described above or near the touch screen.
  • the proximity sensor 141 examples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object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conductive object.
  •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have.
  •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141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provide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It can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Further,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cess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on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touch touch. .
  • the touch sensor appli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capacitance generated at the specific port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ouch, a capacitance at the touch, and the like, when the touch object applying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applying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the controller 180 itself.
  •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objec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 the touch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described above may be independently or combined, and may be a short (or tap)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on a touch screen.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etc. A touch can be sensed.
  • the ultrasonic sensor may recognize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object using ultrasonic waves.
  • the controller 180 can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through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optical sensor and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roperty that the light is much faster than the ultrasonic wave, that is, the time that the light reaches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may be calculated using a time difference from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light as the reference signal.
  • the camera 121 which has been describe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a photo sensor (or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 a photo sensor or image sensor
  • a laser sensor e.g., a laser sensor
  • the camera 121 and the laser sens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touch of a sensing object with respect to a 3D stereoscopic image.
  • the photo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element, which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sensing object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mounts a photo diode and a transistor (TR) in a row / column and scans contents mounted on the photo sensor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That is, the photo sensor calculates coordinates of the sensing objec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change, and thu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object can be obtained.
  • TR transistor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ser interface (UI)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may be a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such as a stereoscopic method (glasses method), an auto stereoscopic method (glasses-free method), a projection method (holographic method).
  • a 3D stereoscopic image is composed of a left image (left eye image) and a right image (right eye image).
  • a top-down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rranged up and down in one frame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merged into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 L-to-R (left-to-right, side by side) method to be arranged as a checker board method to arrange the piec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 the form of tiles, a column unit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Or an interlaced method of alternately arranging rows, and a 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method of alternately displaying left and right images by time.
  • the 3D thumbnail image may generate a left image thumbnail and a right image thumbnail from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f the original image frame, respectively, and may be generated as one image as they are combined.
  • a thumbnail refers to a reduced image or a reduced still image.
  • the left image thumbnail and the right image thumbnai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displayed with a left and right distance difference on the screen by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arallax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thereby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space.
  •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3D stereoscop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display by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receives 3D images (images of the base view and images of the extended view) and sets left and right images therefrom, or receives 2D images and converts them into left and right images.
  •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or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 the haptic module 153 generates various haptic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vibration.
  •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3 may synthesize different vibrations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them.
  •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used to stimulate pins that vertically mov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the jetting or suction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electrodes, and electrostatic force
  •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ic heat generation.
  • the haptic module 153 may not only deliver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allow a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light output unit 154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light of a light sour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 th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54 is implemented as the mobile terminal emits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to the front or the rear.
  • the signal output may be terminated by the mobile terminal detecting the user's event confirmation.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transfer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port,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60.
  •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And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a passage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cradle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input from the cradle by a user.
  • Various command signals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operate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regarding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 the memory 17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SD type, a silicon disk drive type,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70 on the Internet.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and generally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f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atisfies a set con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execute or release a lock state that restricts input of a user's control command to applications.
  • controller 180 may perform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or the like, or may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a touch screen as text and images, respectively. Can be.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y one or a plurality of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configured to be re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 the power supply unit 190 uses one or more of an inductive coupling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r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Power can be delivered.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body in the form of a ba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a folde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wo or more bodies which are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 a description of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may generally apply to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 case eg, a frame, a housing, a cover, etc.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As show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to the front case 10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an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 Electronic components attachable to the rear case 102 include a removable battery, an identification module, a memory card, and the like.
  • the rear cover 10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o cover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Therefore, when the rear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rear cover 103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xposed. In some cases,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during the coupling. On the other hand,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or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 th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 STS stainless steel
  • Al aluminum
  • Ti titanium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may provide the internal space, unlike the above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nibody that the synthetic resin or metal from the side to the rear may be implemented.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proof portion (not shown) to prevent water from seeping into the terminal body.
  • the waterproof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include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ner space.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 optical output unit 154, and first and second units.
  • the cameras 121a and 121b,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the microphone 122, the interface unit 16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the proximity sensor 141, the illuminance sensor 142, and the light output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first camera 121a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are disposed,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6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the second camera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instead of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ser interface (UI)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 the touch sensor may sense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sensor.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touch sensor is formed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direct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May be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 the display.
  •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A).
  •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the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reproduction sound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 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formed i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the structures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 an externally formed hole may be invisible or hidden for sound output, thereby simplify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light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when an event occurs. Examples of the event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end the light output.
  • 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shoot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and the like while the user is tactile.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are operated without a tactile feeling by the user through proximity touch, hovering touch, or the like.
  •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illustrated as being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23a may be a mechanical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 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variously set.
  •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etc.
  •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is output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 the user may receive a command such as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and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rear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of the volume of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Commands such as switching can be received.
  •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 by touch input,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index body when the user grip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 the rear input unit when the rear input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may be implemented.
  • the touch screen or the rear input unit described above replac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with a larger scree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device (eg, an earphone or an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or a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UIM user identity module
  • the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 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may be photographed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images of better quality may be obtained.
  • 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antenna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 an antenna that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A)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from the terminal body.
  •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rear cover 103, 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functions as an antenna.
  •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harging through a wireless charger.
  •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o cover the battery 191 to limit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shock and foreign matter.
  • the rear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 An accessory may be ad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tect the appearance or to assist or exp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may be a cover or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be linked with the display unit 151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other example of the accessory may be a touch pen for assis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a touch screen.
  •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splayed using a flexible display.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formabl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unit 25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 the de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bending, bending, folding, twisting, and curling of the display unit 251.
  • the deformable display unit 251 may be referred to as a "flexible display unit".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include both a general flexible display, an electronic paper,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the featur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S. 1A-1C or similar features.
  • a general flexible display is a light and durable display that is fabricated on a thin and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 bent, bent, folded, twisted or curled like a paper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technology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ink are applied, and the use of reflected light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 Electronic paper can change information using twist balls or electrophoresis using capsules.
  •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is flat.
  • the display area may be a curved surface.
  •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state may be visual information output on a curved surface.
  • Such visual information is implemen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a sub-pixel disposed in a matrix form.
  • the unit pixel refers to a minimum unit for implementing one color.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placed in a bent state (eg, bent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stead of being flat in the first state.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deformed into a flat state (or less curved state) or more curved state.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to implement a flexible touch screen.
  • the controller 180 (refer to FIG. 1A) may perform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 the flexibl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not only in the first state but also in the second state.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with deform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deformation detection means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see FIG. 1A).
  •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or the case 201 to sense information related to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may include a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is deformed, a degree of deformation, a deformation position, a deformation time, and an accelera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251 is restored.
  • due to the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a varie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or chang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detected by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It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case 201 for accommodat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the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the battery (not show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 a stack and folding method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up may be applied.
  • the stat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is not limited only by external force.
  •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may be transformed into the second state by a command of a user or an application.
  • the mobile terminal can be extended to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beyond the user mainly holding in the hand.
  • wearable devices include a smart watch, a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the like.
  • HMD head mounted display
  • 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exchange (or interlock) data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100.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around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Can be sent to. Therefore, the user may us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 phone call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received message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
  • FIGS.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the watch type mobile terminal 300 may be referred to as a 'wearable device'.
  • 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main body 301 having a display unit 351 and a band 302 connected to the main body 301 so as to be worn on a wrist.
  • 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the featur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S. 1A to 1C or similar features.
  • the main body 301 includes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 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301a and a second case 301b that provide an interior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case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internal spac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300 of the unibody may be implemented.
  • the watch type mobile terminal 300 is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main body 301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antenna can extend the performance using a case.
  • a case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antenna to extend the ground area or the radiation area.
  • the display unit 35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301 to output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351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and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s illustrated, the window 351a of the display unit 351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ase 301a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case 301a.
  • the main body 301 may include a sound output unit 352, a camera 321, a microphone 322, a user input unit 323, and the like.
  • the display unit 351 When the display unit 35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51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323, and thus a separate key may not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301.
  • the band 302 is made to be worn on the wrist to surround the wrist,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wearing.
  • the band 302 may be formed of leather,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 the band 302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301,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bands according to taste.
  • the band 302 can be used to extend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 the band may include a ground extension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to extend the ground area.
  • the band 30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er 302a.
  • the fastener 302a may be implemented by a buckle, a snap-fit hook structure, a velcro (trade name),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n elastic section or material. . In this figure,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er 302a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uckle is shown.
  • a sensing unit 34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main body 301 or the band 302. 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the sensing unit 340 may further include features specialized for a wearable device.
  • the sensing unit 340 may detect a wearing state of the main body 301.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301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earer's wrist to detect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whether the main body 301 is worn by the user.
  • the sensing unit 340 may detect a wearing state by using a means for returning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such as light, infrared light, or laser.
  • the sensing unit 34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nd a heart rate sensor, and may more accurately sense a wearing state by using a user's own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 the sensing unit 340 may detect a biosignal generated from a user's body.
  • the biosignal refers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body tissues such as human minute cells.
  • the major electrical measures include electroencephalogram, electrocardiogram, electromyography, eye conductance, and electrical skin reaction.
  • the main physical measures include blood pressure, arrhythmia, rhythm, pulsation deficit, and respiratory rate.
  • the sensing unit 34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for detecting a gesture of a user wearing the main body.
  • One or more of a motion sensor may be provided, and a gesture of a user may be detected by combining information det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se sensors.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include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may be applied.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may be applied.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Wi-US Bus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communicate with a preset mobile terminal 100 using such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 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arable device”) may measure at least one of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to measure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oto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asuring device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 a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410 and a substrate 420, on which a photoplethsysmography (PPG) and an oxygen saturation (SpO2) measurer 430 are mounted.
  • PPG photoplethsysmography
  • SpO2 oxygen saturation
  •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asuring device 430 is composed of a transmitter (431,432) for transmitting the injection signal and a receiver 435 for detecting the reflected signal reflected back to the injection signal while being coupled to the back of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 the injection signal is an electromagnetic wave, for example, may be light of a specific color such as green or blue, and the transmitters 431 and 432 may be implemented using LEDs.
  •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43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420.
  • the substrate 420 corresponds to a component i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particularly various processors constituting the controller 180, are mounted together with other circuits and elements to assist them.
  • the display unit 410 is a concept including a window and a display modul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isplay unit 410 substantially means a display module in the present invention.
  • a cover for protecting the photo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43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ver may pass through the injection signal and the signal of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ignal so that the injection signal emitted from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430 and the reflected signal reflected back to the red blood cells can pass. It can be composed of materials.
  • the transmitter includes a first LED (431) and a second LED (LED) 432, wherein the first LED 431 and the second LED 432 are the same type of LED or different kinds of LEDs. It may correspond to an LED.
  • the first LED 431 or the second LED 432 may correspond to a red LED or a green LED.
  • the first LED 431 may correspond to the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LED
  • the second LED 432 may correspond to the LED for measuring blood flow.
  • the first LED 431 and the second LED 432 may transmit the injection signal alternate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 the injection signal emitted from the first LED 431 or the second LED 432 passes through the skin to reach the blood vessel, and the light that is not reflected or red blood cells in the blood vessel passes through the user's body.
  • the receiver 43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ers 431 and 432, and may sense a reflected signal that is returned from the injection signal.
  •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ignal is high, and if the amount of red blood cells in the blood vessel is small,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ignal is small.
  • Blood is circulated by the force supplying the blood to the heartbeat, and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ignal increases in the heart systolic, where the heart pushes the blood, and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ignal decreases in the heart diastolic.
  • the heart 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rt rate')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a period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ignal becomes stronger and weaker.
  • oxygen saturation refers to the ratio of the amount of hemoglobin combined with oxygen in the blood to the total amount of hemoglobin
  • the oxygen saturation meter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of sensing the blood transparency by injecting infrared or ultraviolet rays into the blood. It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 the wearable device may measure the user's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 the transmitter includes only one LE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both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through one LED.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modul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510, a sensing unit 52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0, and a control unit 540.
  • the wearable device is assumed to be a smart watch.
  • the wear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devices that can be worn by a user and include a display unit in addition to the smart watch.
  • the display unit 510 may display visual information.
  • the visual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an application, an image, a video, an icon, and the like.
  • the display unit 510 may output visual information to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540.
  • the display unit 510 may be implemented as the display 151 of FIG. 1A.
  • the display unit 51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for reducing lactic acid in a state in which a health related application is executed.
  • the sensing unit 520 may sense various user inputs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environment of the wearable device, and may transmit a sensing result to allow the control unit 540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ly.
  • the sensing unit 520 may include an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asuring unit 521, a touch sensing unit 522, and a motion sensing unit 523.
  • the sensing unit 520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510 to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 the sensing unit 520 may be implemented as the sensing unit 140 or the input unit 120 illustrated in FIG. 1A.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 the sensing unit 520 may sense the heart rate and the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asuring instrument 521.
  • the sensing unit 520 may sense a touch input sensed by a user through the touch sensing unit 522.
  • the sensing unit 520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ing unit 523, and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PS sensor, and the like to sense a user's movement. .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0 may perform communication and transmit / receive data using various protocols between the wearable device and the external digital device 600.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0 may transmit / receive digital data such as content by connecting to a network by wire or wireless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0 may be implemen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FIG. 1A.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igital device 600 to transmit a signal for providing notification related to lactic aci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igital device 600. Here, with reference to the external digital device 600 will be described in FIG.
  • the controller 540 may process data, control each unit of the wearable device described above, and contro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units.
  • the controller 540 may be implemented as the controller 180 of FIG. 1A.
  • the control unit 540 may extract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the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ata sensed through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controller 540 may generate guide information for lactic acid redu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s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unit such as a haptic module and a sound output unit.
  • operations performed by 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40.
  •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collectively describe these operations to b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 controlled by the wearable device.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arable device and an external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pairing with various external digital devices.
  • the wearable device 300 and the external digital device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by enabl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 both directions.
  • the external digital device may include a headset 610, a neckband 620, and a smartphone 630.
  • the external digital device may include an earphone, an arm band, or the like. 7 to 20,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300 and the neckband 620 while exercising or when the exercise is completed will be described.
  • the user may want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ercis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300 or the neckband 620 that is worn during the exercise or after the exercise is completed.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ercise may include the user's current heart rate, the user's status such as lactic acid level, and the exercise guide.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sense light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and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ed light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the sensed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to the smartphone 630 and receive the lactic acid amount extracted from the smartphone 630.
  • the wearable device 300 independently provides exercise guide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 the smartphone 630 corresponds to the main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300 receives the exercis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630.
  • the guide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 the aerobic exercise is a whole body exercise to energize and consume fats and carbohydrates by supplying oxygen during exercise, and may include running, walking, climbing, cycling and the like.
  • whether the user is performing aerobic exercise may be determined through motion tracking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or may be determined by an input by the user.
  •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ion in the body is reduced, exercise capacity, that is, the lactic acid threshold value is increased.
  •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ion in the body is reduced, it has effects such as carcinogenesis prevention, muscle pain prevention, fatigue prevention, lipolysis prevention, and the like.
  • the lactic acid threshold value is increased, the user can exercise at a higher speed or at a constant pace in a long distance section or a steep hill sec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extract a heart 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rt rate') and an oxygen saturation level of the user 10 through the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wearable device may extract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determine the lactate threshold value from the sensed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 the anaerobie threshold indicates the point at which lactate begins to accumulate rapidly in the body when the intensity of exercise exceeds a certain level.
  • the lactate threshold can be inferred at 85-90% of the maximum heart rate for professional athletes and at 50-70% of the maximum heart rate for the general athlete.
  • the wearable device may determine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extracted heart rate of the user 10 is higher than 50% of the maximum heart rate or the oxygen saturation is suddenly reduced as the lactic acid threshold.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7 shows an exercise information guide provided to a user whe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exceeds the lactate threshold.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from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that are periodically sensed.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wearable device 300 may determine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extracted by the extracted user 10 exceeds the lactic acid threshold.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notify the user 10 of the current state by outputt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710 may include a graphic effect 712 indicating a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on a graphic image 711 representing a current exercise. That is, the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may be expressed through a color filling effect on the image of riding a bicycle. Through this, the user 10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urrent amount of lactic acid is high.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lactate indicator 720 and an exercise guide indicator 730.
  • the lactic acid indicator 720 represents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body of the current user 10 in a graph form, and may be displayed in a band shape on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unit.
  • the exercise guide indicator 730 may include exercise guide information 731 and state information 732 of the current user.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731 may indicate a method for removing lactic acid in relation to the exercise currently being performed.
  • the state information 732 of the current user may indicate 'a target heart rate / current heart rate for lactate removal'.
  • the wearable device may periodically switch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shown in FIG. 7A and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shown in FIG. 7B and output the same to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rovide various notifications to the user 10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has exceeded the lactic acid threshold.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rovide sound notification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or vibration notification through a haptic module (not shown).
  • the sound intensity of the sound notification and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 may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greater the degree of lactic acid exceeds the lactic acid threshold.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paired external device 600 to inform the user 10 that the lactic acid amount exceeds the lactic acid threshol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600.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neckband 600.
  • the neckband 60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play back the playback speed of the music currently being played at twice the reference speed, and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has exceeded the lactic acid threshold.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n 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llustrates an exercise information guide provided to a user when the user of FIG. 7 reduces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the exercise information guide to exercise so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falls below the lactic acid threshold.
  • the user 10 checks the exercise information guide while riding the bicycle in FIG. 7 and is in walking exercise to reduce the amount of lactate.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control to output the exercise information guide 810 to the display unit.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810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representing a current lactate amount of the user as a graphic image.
  • the graphic effect 812 indicating the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on the graphic image 811 shown in FIG. 8A may be reduced. Through this, the user 10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urrent amount of lactate is reduced.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810 may be provided as graph form and text information illustrated in FIG. 7B.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rovide vibration notificatio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lactic acid is smaller than the lactic acid threshol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ller vibration intensity than the vibration notification provided in FIG.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paired external device 600.
  • the neckband 600 may reproduce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reproduced music at 1.5 times speed. That is,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amount of lactate is lowered as the speed of music is slowed from 2 times to 1.5 times.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sense a state in which a user has a lactate amount of zero.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300 may not display a graphic effect indicating the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on the graphic image illustrated in FIG. 8A.
  • the neckband 60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wearable device 300 may control to reproduce the speed of the music being played at the original double speed.
  • the user can easily be provided with a guide for exercising in the range that the lactic acid amount does not exceed the lactic acid threshold during aerobic exercis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 the anaerobic exercise is an exercise obtained from the anaerobic respiration of the energy source required for the exercise, and may include squats, lunges, weight training, and the like.
  • whether the user is performing an anaerobic exercise may be determined by motion tracking through a sensor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or may be determined by directly inputting the exercise being performed by the user.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n an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9 illustrates an exercise information guide provided to a user whe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increases through an anaerobic exercise.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from at least one of the sensed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notify the user 10 of the current state by outputt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output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910 may include a graphic effect 912 indicating a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on a graphic image 911 representing a current exercise. Through this, the user 10 can easily recognize the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due to the current squat exercise.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lactate indicator 920 and an exercise guide indicator 930.
  • the lactic acid indicator 920 corresponds to displaying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user's body in a graphical form.
  • the exercise guide indicator 930 may include first exercise information 931, second exercise information 932, and state information 933 of the user.
  • the first exercise information 931 may indicate a recovery time for removing accumulated lactic acid.
  • the second exercise information 932 may represent a method for removing lactic acid in relation to an exercise currently being performed.
  • the user's state information 933 may indicate 'a target heart rate / current heart rate for lactate removal'.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eriodically convert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shown in FIG. 9 (a) and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shown in FIG. 9 (b) and output the same to the display unit. .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rovide various notifications indicating that the lactic acid of the user 10 has accumulated.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rovide sound notification or vibration notification.
  • the loudness of the sound notification and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vibration notificationizer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ccumulated amount of lactic acid.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paired external device 600 to indicate that lactic acid is accumulated in the body of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600.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neckband 600.
  • the neckband 60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can be played by playing faster than the default speed of the currently playing music, to inform the user that the lactic acid has accumulated.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according to an anaerobic exercise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the exercise information guide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user of FIG. 9 reduces the exercise intensity according to the exercise information guide to reduce the amount of lactate.
  • the user 10 checks the exercise information guide while lifting weight in FIG. 9 and is walking lightly to lower the amount of lactate.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control to output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1010 to the display unit.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1010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s current lactate amount as a graphic image.
  • the graphic effect 1012 indicating the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on the graphic image 1011 shown in FIG. 10A may be reduced.
  • the exercise guide information 1010 may be provided as graph form and text information shown in FIG. 9B.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provide vibration notification, as shown in FIG. 10 (a). 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lactic acid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on intensity smaller than the vibration notification provided in FIG. 10 (a).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paired external device 600.
  • the neckband 600 may reproduce the speed of the reproduced music at 1.5 times speed. That is,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is reduced as the reproduction speed of music is slowed from 2 times to 1.5 times.
  • the wearable device 300 may sense a state in which a user has a lactate amount of zero.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300 may not display a graphic effect indicating the degree of lactic acid accumulation on the graphic image illustrated in FIG. 10A.
  • the neckband 60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wearable device 300 may control to reproduce the speed of the music being played at the default double speed.
  • the user may easily be provided with a guide that can exercise in the range of reducing the amount of lactate during the anaerobic exercis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 11 and 12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the amount of lactic acid and providing guide information for lactic acid removal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a user after completion of an exercise.
  • 11 and 12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user completes an exercise, that is, a state after an exercise, and whether the exercise is completed may be sensed by a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whether a user moves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optical blood flow, and an oxygen saturation meter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after a workout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1110 indicating a user lactate amount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may be provided through a graphic image representing the exercise previously performed by the user.
  •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may be provided as text informa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first input signal 1151 for information 1110 indicat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 the first input signal 1151 may correspond to a drag touch or a flicking touch in one direc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first information 1131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first information 1131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presenting an exercise and an exercise time for removing lactic acid.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not only the first information 1131 but the first lactic acid indicator 1120a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first lactic acid indicator 1120a corresponds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user's body in a graph format.
  • the user may lightly run according to the guide included in the first information 1131.
  • the user may apply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510 of the wearable device while running. That is,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second input signal 1152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second input signal 1152 may correspond to a signal that the user wants to check an exercise state during exercise.
  • the second input signal 1152 may include a short touch, a long touch, or the like.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second information 1132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second information 1132 is information that is continuous to the first information 1131, and corresponds to information about an exercise resul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xercise guided by the first information 1131.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not only the second information 132 but also the user state information 1140 and the second lactate indicator 1120b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state information 1140 of the user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heart rate and the current heart rate.
  • the second lactic acid indicator 1120b is information continuous to the first lactic acid indicator 1120a and represents the amount of lactic acid accumulated in the user's body. As shown in the third drawing of FIG. 11, the second lactic acid indicator 1120b may exhibit a lower amount of lactate than the first lactic acid indicator 1120a.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after a workout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first information 1220 and a lactate indicator 1210 indicating the exercise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on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first input signal 1251 to the display unit.
  • the first input signal 1220 may be a touch input different from the touch input in FIG. 11 and may correspond to an input indicating that the user is not currently performing an exercise.
  • the first input signal 1251 may correspond to a drag touch or a flicking touch in one direc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second information 1230 to the display unit.
  • the second information 1230 corresponds to information indicating a workout guide proposed later, according to a first input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is not currently exercising.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second input signal 1252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nformation 1230 is output.
  • the second input signal 1252 may correspond to a signal for requesting a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in addition to the exercise when the user is not currently exercising.
  • the second input signal 1252 may include various touch inputs to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ird information indicating a method for removing lactic acid in addition to the exercise to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recommending a bath at a temperature of 32 degrees to remove lactic acid on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recommending to bathe by adding vinegar to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 remove lactic acid on the display unit.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a risk level when lactic acid is not removed from the display unit.
  • the user may easily obtain exercise information for removing lactic acid or information for removing lactic acid other than the exercis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even after the exercise.
  • FIG. 13 and 14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racting lactic acid and provid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a user before the start of exercise.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exercise guide before exercise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health related application 1310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wearable display unit 510 may correspond to a state of outputting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not only a health related application but also other applications.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first input signal 1341 for the display unit 510.
  • the first input signal 1341 may include various touch inputs.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at least one of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first information 1320 based on the extracted lactic acid amount. Referring to the second drawing of FIG. 13, the wearable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not suitable for exercising,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and output first information 1320 indicating that the exercise is inappropriate. have.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second input signal 1342 in a state where the first information 1320 is displayed.
  • the second input signal 13412 may include various touch inputs.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second information 1330 indicating a guide for removing lactic acid.
  • the second information 1330 may include a recommended exercise, exercise time, and lactic acid indicator.
  •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an exercise guide before exercise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 13 will be omitted.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first input signal 1441 for the icon 1410 corresponding to the health-related application output on the display unit 510.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at least one of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ptical blood path and the oxygen satura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first information 1420 to the display unit 510 based on the extracted lactic acid amount.
  • the wearable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capable of exercising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and output the first information 1420 indicating exercise informa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second input signal 1442 in a state where the first information 1420 is displayed.
  • the second input signal 1442 may include various touch inputs.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second information 1430 representing the possible other exercise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510.
  • the user may obtain a guide on whether to perform the exercise by checking the amount of lactat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before starting the exercise.
  •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exercise state information of a user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first input signal 1541 for the display unit 510 while the icon 1510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related application is output.
  • the first input signal 1541 may include various touch input signals.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at least one of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ensing unit. Also, the wearable device may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ed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exercise capability information 1520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amount of lactate and the amount of lactate measured in the past. Referring to the second drawing of FIG. 15,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that the user's exercise ability i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1520 of the user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the second input signal 1542 in a state where the exercise capability information 1520 is output.
  • the second input signal 1542 may include various touch input signals.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additional information 1530 indicating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510 in response to the second input signal 1542.
  • the additional information 1530 representing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of a celebrity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 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of FIG. 16 described below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A.
  • the wearable device may extract the amount of lactic aci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heart rate and the user's oxygen saturation (S1610).
  •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n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that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 the transmitt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the transmitter may emit an inj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tical signal, and the receiver may sense a reflection signal from which the injection signal is reflected.
  • the wearable device may measure at least one of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through an optical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meter.
  • the wearabl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xercising (S1620).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exercising through a motion sensing unit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first guide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in operation S1630.
  • the wearable device may provide at least one notification as well as the first guide informa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first exercise guide information when the lactate amount of the user exceeds the lactate threshold.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the first exercise guide information when the lactate amount of the user increases in a preset range.
  • the wearabl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the exerciseable state based on the amount of lactate of the user (S1640). Meanwhile, before the operation S1640, the wearable device may sense an input signal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can move in response to the sensed input signal.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second exercise guide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lactate on the display unit in operation S1650.
  • the wearable device may output life informati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lactate in the display unit in operation S1660.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 state disk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OMs, RA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is also includes implementations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in a mobile terminal, and can be repeatedly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젖산량에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정보 및 생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를 포함하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 또는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젖산량에 기초하여 운동 가이드 정보 및 생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건강 상태와 젖산(lactic acid)의 상관 관계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인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체내에 축적되는 젖산의 관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젖산은 운동시에 생성되는 피로 물질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운동시 발생하는 젖산이 체내에 남게 되면 근육통, 피로감 유발, 혈액의 산성화, 암세포 증가, 지방 분해 방해 등의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에 축적된 젖산 농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액을 추출하여 젖산 농도를 측정하거나,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에 기초하여 젖산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건강 상태 및 운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젖산 농도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었다.
또한, 체내에 축적된 젖산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렬한 운동을 수행한 후에 운동없이 휴식만 취하기보다는 가볍게 운동하는 경우에 젖산 제거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젖산이 축적된 경우 따뜻한 물로 찜질을 하거나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 젖산 제거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당류, 다당류, 고단백질의 음식물 섭취를 통해 젖산 제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후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되는 경우, 젖산 제거에 도움이 되며, 이를 위해 운동후 목욕과 맛사지를 하는 경우, 혈액이 원활하게 전신에 공급되어 젖산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젖산 제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운동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체내에 축적된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추출된 젖산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가이드 또는 생활 가이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를 포함하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 또는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는 때에 제 1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이 기 설정된 범위에서 증가하는 때에 상기 제 1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은 진동 노티피케이션 및 음성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젖산량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하여 상기 젖산량이 감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의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에 젖산 제거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이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젖산량을 나타내는 젖산 인디케이터, 상기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을 나타내는 운동 가이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나타내는 상태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혈류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포함된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사출 신호를 사출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사출 신호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반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에 포함된 상기 트랜스미터는 제 1 엘이디 및 제 2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엘이디 및 상기 제 2 엘이디 중 적어도 하나는 녹색 엘이디에 해당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기초로 운동 가능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운동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가능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때에, 상기 운동 정보 또는 상기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착용 중인 상태인,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 또는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체내에 축적된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추출된 젖산량을 기초로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수행 중인 운동의 종류에 따라, 젖산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스트레스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후에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후에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전에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전에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호칭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301) 또는 밴드(302)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센싱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40)는 도 1a에서 설명한 특징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특화된 특징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340)는 본체(301)의 착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301)에서 착용자의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어 본체(301)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340)는 광이나 적외선, 레이저 등과 같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수단을 이용하여 착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40)는 온도센서 및 심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고, 신체온도 및 심박수 등과 같은 사용자 고유의 신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착용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체온이나 심박수뿐만 아니라, 센싱부(34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신호란 인간의 미세한 세포 등과 같은 신체 조직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의미한다. 전기적 주요 척도들로 뇌전도, 심전도, 근전도, 안구 전도도, 전기 피부 반응이 있고, 신체적 주요 척도들로 혈압, 부정맥, 박동량, 박동결손, 호흡수 등이 있다.
또한, 센싱부(340)는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a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광혈류량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젖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면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는 디스플레이부(410) 및 기판(420)을 포함하며, 기판(420)에는 광혈류(PPG, Photoplethsysmography) 및 산소 포화도(SpO2) 측정기(43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4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의 배면에 결합하면서, 사출 신호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431,432) 및 사출신호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신호를 감지하는 리시버(435)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출 신호는 전자기파로서, 예를 들면 녹색이나 청색과 같이 특정 색상의 빛이 될 수 있으며, 트랜스미터(431,432)는 엘이디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430)은 기판(42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판(420)은 각종 전자 부품, 특히 제어부(180)를 구성하는 각종 프로세서들이 이들을 보조하는 다른 회로 및 소자들과 함께 장착되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0)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원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410)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광혈류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43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커버(미도시)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430)에서 사출된 사출 신호와 적혈구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신호가 통과될 수 있도록, 사출 신호와 반사 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는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랜스미터는 제 1 엘이디(LED)(431) 및 제 2 엘이디(LED)(432)를 포함하며, 제 1 엘이디(431) 및 제 2 엘이디(432)는 동일한 종류의 엘이디 또는 상이한 종류의 엘이디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엘이디(431) 또는 제 2 엘이디(432)는 적색 엘이디(red LED) 또는 녹색 엘이디(green LED)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엘이디(431)는 산소 포화도 측정용 엘이디에 해당하고, 제 2 엘이디(432)는 광혈류 측정용 엘이디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엘이디(431) 및 제 2 엘이디(432)는 소정의 주기에 따라 번갈아가며 사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엘이디(431) 또는 제 2 엘이디(432)로부터 사출된 사출신호는 피부를 통과하여 혈관에 도달하며 혈관 내의 적혈구에 반사되거나 적혈구에 도달하지 않는 빛은 사용자의 신체를 관통하게 된다. 또한, 리시버(435)는 트랜스미터(431,432)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사출신호가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혈관 내에 적혈구의 양이 많으면, 반사신호의 세기가 크고, 혈관 내의 적혈구의 양이 적으면, 반사신호의 세기가 작다. 심장 박동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힘에 의해 혈액이 순환하며, 심장이 혈액을 밀어내는 심장 수축기에 반사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심장 이완기에 반사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반사신호의 세기가 강해지고 약해지는 주기를 측정하여 심장 박동수(이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산소 포화도는 혈액 내에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양이 전체 헤모글로빈의 양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산소 포화도 측정기는 혈액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사출하여 혈액 투명도를 센싱하는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및 산소 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트랜스미터는 하나의 엘이디만을 포함하고, 하나의 엘이디를 통해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를 모두 측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 센싱부(520), 무선 통신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로 가정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외에도 사용자에게 착용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10)는 제어부(54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510)는 도 1a의 디스플레이(151)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510)는 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젖산 축소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5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54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싱부(520)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521), 터치 센싱부(522) 및 모션 센싱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싱부(520)는 디스플레이부(510)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싱부(520)는 도 1a에 도시된 센싱부(140) 또는 입력부(12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520)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521)를 통해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산소 포화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520)는 터치 센싱부(5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센싱되는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부(520)는 모션 센싱부(523)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600) 간에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5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통신부(530)는 도 1a의 무선 통신부(11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600)와 연결되어,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젖산 정보와 관련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600)와 관련하여,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54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540)는 도 1a의 제어부(18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540)는 도 4에서 상술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540)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 축소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햅틱 모듈, 음향 출력부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5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는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는 헤드셋(610), 넥밴드(620) 및 스마트폰(6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어폰, 암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20에서는 사용자아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넥밴드(620)를 착용하고 운동 중이거나 운동 완료된 상태에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넥밴드(620)가 페어링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운동 중에 또는 운동 완료 후에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또는 넥밴드(620)를 통해,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심장 박동수, 젖산 수치와 같은 사용자의 상태 및 운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를 스마트폰(630)에 전송하고, 스마트폰(630)에서 추출한 젖산량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독자적으로 젖산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본 발명과 달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스마트폰(630)이 페어링된 상태에서, 스마트폰(630)이 메인 디바이스에 해당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스마트폰(630)으로부터 수신한 운동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6의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넥백드는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유산소 운동시 운동 정보 제공
이하 도 7 및 도 8에서는 유산소 운동 중에 사용자의 젖산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운동 가이드 및 상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유산소 운동은 운동 중에 산소 공급을 통해 지방, 탄수화물을 에너지화하여 소모하게 하는 전신 운동으로서, 달리기, 걷기, 등산, 자전거 타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을 수행 중인지 여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모션 트래킹(tracking)을 통해 판단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의 경우 젖산 역치값을 넘치않는 강도에서 운동하게 될 경우, 체내 젖산 축적량이 감소되고, 운동 능력치 즉 젖산 역치값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내 젖산 축적량이 감소될 경우, 발암 예방, 근육통 예방, 피로도 예방, 지방 분해 방해 예방 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젖산 역치값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장거리 구간 또는 가파른 언덕 구간에서 더 빠른 속도로 또는 일정한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센싱부에 포함된 광혈류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10)의 심장박동수(이하, '심박수') 및 산소포화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심박수 및 산소 포화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된 심박수 및 산소 포화도로부터 젖산 역치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젖산 역치(anaerobie threshold)는 운동 강도가 어느 수준을 넘어설 때 젖산이 몸안에 급격하게 축적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젖산 역치는 프로 운동 선수의 경우 최대 심박수의 85-90%로 유추하고, 일반인의 경우 최대 심박수의 50-70%인 시점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추출된 사용자(10)의 심박수가 최대 심박수의 50%보다 높거나, 산소 포화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시점을 젖산 역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사용자의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정보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사용자(10)는 유산소 운동 중인 상태에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주기적으로 센싱된 심박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추출된 사용자(10)의 젖산 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에 운동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10)에게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7(a) 를 참조하면, 운동 가이드 정보(710)는 현재 수행 중인 운동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711) 상에 젖산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7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전거 타기 이미지 상에 컬러 채우기 효과를 통해, 젖산 축적 정도를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10)는 현재 젖산량이 높은 상태인 것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7(b)를 참조하면, 운동 가이드 정보는 젖산 인디케이터(720) 및 운동 가이드 인디케이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젖산 인디케이터(720)는 현재 사용자(10)의 신체에 축적된 젖산의 양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의 베젤 영역에 띠모양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운동 가이드 인디케이터(730)는 운동 가이드 정보(731) 및 현재 사용자의 상태 정보(732)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가이드 정보(731)는 현재 수행 중인 운동과 관련하여 젖산 제거를 위한 방안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자의 상태 정보(732)는 '젖산 제거를 위한 목표 심박수/현재 심박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도 7(a)에 도시된 운동 가이드 정보 및 도 7(b)에 도시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10)에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였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운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거나 또는 햅틱 모듈(미도시)를 통해 진동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노티피케이션의 음향 크기 및 진동 노티피케이션의 진동 세기는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한 정도가 클수록 이에 비례하여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6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 디바이스(600)를 통해 사용자(10)에게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넥밴드(6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넥밴드(600)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재생 속도를 기준 배속의 2배속으로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도 7의 사용자가 운동 정보 가이드에 따라 운동 강도를 감소시켜 운동하여 젖산량이 젖산 역치 이하가 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정보 가이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도 7에서 자전거 타기 중에 운동 정보 가이드를 확인하고,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걷기 운동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에 운동 정보 가이드(81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일 예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가이드 정보(810)는 사용자의 현재 젖산량을 그래픽 이미지로 나타낸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a)과 비교하여, 도 8(a)에 도시된 그래픽 이미지(811) 상에 젖산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812)는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10)는 현재 젖산량이 감소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8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동 가이드 정보(810)는 도 7(b)에 도시된 그래프 형식 및 텍스트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잇다. 이때, 젖산량은 젖산 역치보다 작으므로, 도 7에서 제공된 진동 노티피케이션보다 진동 세기를 작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6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600)는 재생되는 음악의 재생속도는 1.5배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악의 빠르기가 2배속에서 1.5배속으로 느려짐에 따라, 젖산량이 낮아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의 젖산량이 0인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도 8(a)에 도시된 그래픽 이미지 상에 젖산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넥밴드(600)는 재생 중인 음악의 빠르기를 원래 배속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유산소 운동 중에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무산소 운동시 운동 정보 제공
이하 도 9 및 도 10에서는 무산소 운동 중에 사용자의 젖산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운동 가이드 및 상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무산소 운동은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무산소 호흡으로부터 얻는 운동으로서, 스쿼트, 런지, 웨이트 트레이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을 수행 중인지 여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모션 트래킹하여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수행 중인 운동을 직접 입력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무산소 운동으로 생성된 젖산을 제거하지 않으면, 발암의 원인, 근육통 증가, 피로도 증가, 지방 분해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체력을 증진하기 위한 가이드가 요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사용자의 젖산량이 무산소 운동을 통해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정보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사용자는 무산소 운동 중인 상태에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센싱된 심박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에 운동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10)에게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젖산량이 기 설정된 범위에서 증가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에 운동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9(a)를 참조하면, 운동 가이드 정보(910)는 현재 수행 중인 운동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911) 상에 젖산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9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10)는 현재 스쿼트 운동으로 인한 젖산 축적 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9(b)를 참조하면, 운동 가이드 정보는 젖산 인디케이터(920) 및 운동 가이드 인디케이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젖산 인디케이터(920)는 현재 사용자의 신체에 축적된 젖산의 양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운동 가이드 인디케이터(930)는 제 1 운동 정보(931), 제 2 운동 정보(932)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9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운동 정보(931)는 축적된 젖산 제거를 위한 회복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2 운동 정보(932)는 현재 수행 중인 운동과 관련하여 젖산 제거를 위한 방안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933)는 '젖산 제거를 위한 목표 심박수/ 현재 심박수'를 나타낼 수 잇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도 9(a)에 도시된 운동 가이드 정보 및 도 9(b)에 도시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10)의 젖산이 축적되었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운드 노티피케이션 또는 진동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노티피케이션의 소리 크기 및 진동 노티피케이셔의 진동 세기는 축적된 젖산량에 비례하여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6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외부 디바이스(6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젖산이 축적되엇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넥밴드(6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넥밴드(600)는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빠르기를 기본 배속보다 빠르게 재생하여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젖산이 축적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도 9의 사용자가 운동 정보 가이드에 따라 운동 강도를 감소시켜 운동하여 젖산량이 낮아진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정보 가이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도 9에서 역도 들기 중에 운동 정보 가이드를 확인하고, 젖산량을 낮추기 위하여 가볍게 걷기 운동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에 운동 가이드 정보 (101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가이드 정보(1010)는 사용자의 현재 젖산량을 그래픽 이미지로 나타낸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a)와 비교하여, 도 10(a)에 도시된 그래픽 이미지(1011) 상에 젖산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1012)는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동 가이드 정보(1010)는 도 9(b)에 도시된 그래프 형식 및 텍스트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젖산량은 감소되었으므로, 도 9에서 제공된 진동 노티피케이션보다 진동 세기를 작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6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600)는 재생되는 음악의 빠르기는 1.5배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악의 재생 속도가 2배속에서 1.5배속으로 느려짐에 따라, 젖산량이 감소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의 젖산량이 0인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도 10(a)에 도시된 그래픽 이미지 상에 젖산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넥밴드(600)는 재생 중인 음악의 빠르기를 기본 배속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무산소 운동 중에 젖산량을 감소시키는 범위에서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운동 이후에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 제공
이하 도 11 및 도 12에서는 운동 완료 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젖산량을 추출하여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운동을 완료한 상태 즉 운동 이후의 상태로서, 운동 완료 여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싱부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센싱부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 등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후에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정보(11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정보는 이전에 사용자가 수행했던 운동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정보는 텍스트 정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정보(1110)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1151)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입력 신호(1151)는 일 방향으로의 드래그 터치 또는 플리킹 터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제 1 정보(113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정보(1131)는 젖산을 제거하기 위한 운동 및 운동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제 1 정보(1131)뿐만 아니라 제 1 젖산 인디케이터(1120a)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젖산 인디케이터(1120a)는 사용자의 신체에 축적된 젖산량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정보(1131)에 포함된 가이드에 따라, 가볍게 달리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달리기 중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510)에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1152)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152)는 사용자가 운동 중에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152)는 숏 터치, 롱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제 2 정보(113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정보(1132)는 제 1 정보(1131)에 연속된 정보로서, 제 1 정보(1131)에서 가이드된 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결과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제 2 정보(132)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태 정보(1140) 및 제 2젖산 인디케이터(1120b)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1140)는 목표 심박수 및 현재 심박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젖산 인디케이터(1120b)는 제 1 젖산 인디케이터(1120a)에 연속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축적된 젖산량을 나타낸다. 도 11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젖산 인디케이터(1120b)는 제 1 젖산 인디케이터(1120a)에 비해 낮은 젖산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후에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한 입력 신호가 센싱된 경우에 도 12의 첫번째 도면이 도시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또한, 도 12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젖산 제거를 위한 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제 1 정보(1220) 및 젖산 인디케이터(121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1251)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1220)는 도 11에서의 터치 입력과 상이한 터치 입력으로서, 사용자가 현재 운동을 수행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1251)는 일 방향으로의 드래그 터치 또는 플리킹 터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정보(123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정보(1230)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제 1 입력 신호에 따라, 이후에 제안하는 운동 가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한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2 정보(1230)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입력 신호(1252)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 신호(1252)는 사용자가 현재 운동하지 않을 경우에, 운동 이외에 젖산을 제거하기 위한 가이드를 요청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252)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다양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입력 신호(1252)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운동 이외에 젖산 제거를 위한 방안을 나타내는 제 3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2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젖산 제거를 위하여 32도의 온도에서 목욕을 권장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12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젖산 제거를 위해 식초를 적당량 물에 추가하여 목욕할 것을 권장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12의 다섯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젖산 제거를 하지 않을 경우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운동 이후의 상태에서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젖산 제거를 위한 운동 정보 또는 운동 이외의 젖산 제거를 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운동 시작 이전에 운동 가이드 제공
이하 도 13 및 도 14에서는 운동 시작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젖산량을 추출하여 운동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전에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1310)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부(510)는 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출력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1341)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신호(1341)는 다양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추출된 젖산량에 기초하여, 제 1 정보(13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젖산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아직 운동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운동이 부적절함을 나타내는 제 1 정보(1320)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제 1 정보(1320)를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시작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정보(13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2 입력 신호(1342)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3412)는 다양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젖산 제거를 위한 가이드를 나타내는 제 2 정보(13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정보(1330)는 추천 운동, 운동 시간 및 젖산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 이전에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도 1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14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510)에 출력된 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410)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1441)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광혈로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추출된 젖산량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10)에 제 1 정보(14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젖산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운동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운동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정보(1420)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제 1 정보(1420)에 포함된 운동을 현재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에 있거나, 제 1 정보(1420)에 포함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정보(14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 2 입력 신호(1442)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442)는 다양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젖산량에 기초하여 가능한 다른 운동을 나타내는 제 2 정보(1430)를 디스플레이부(51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13및 도 14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운동을 시작하기 이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젖산량을 점검하여, 운동 수행 여부에 대한 가이드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상태 정보 제공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운동 이전에 또는 운동 완료 후, 자신의 운동 상태에 대하여 점검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를 실행하여, 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운동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1510)이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510)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1541)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신호(1541)는 다양한 터치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젖산량 및 과거게 측정된 젖산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 정보(15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젖산량에 기초한 사용자의 운동 능력 정보(152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능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사용자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운동 능력 정보(1520)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입력 신호(1542)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 신호(1542)는 다양한 터치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2 입력 신호(1542)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나타내는 추가 정보(1530)를 디스플레이부(51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나타내는 추가 정보(1530)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대응하는 유명인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나타내는 추가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6의 각 단계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량을 추출할 수 있다(S1610). 이와 관련하여,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를 포함하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터는 복수의 엘이디를 구비하고, 트랜스미터는 광신호에 해당하는 사출 신호를 사출하고 리시버는 사출 신호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심박수 및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잇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20).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포함된 모션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16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젖산량 감소시키기 위한 제 1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630).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가이드 정보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 중일 경우, 사용자의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는 때에 제 1 운동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 중일 경우, 사용자의 젖산량이 기 설정된 범위에서 증가하는 때에 제 1 운동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S16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운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젖산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가능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40). 한편, S1640 단계 이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센싱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운동 가능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6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운동 가능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젖산량 감소시키기 위한 제 2 운동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650).
또한, S16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운동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에 젖산량 감소를 위한 생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660).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으며, 반복적으로 적용가능하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 또는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이 젖산 역치를 초과하는 때에 제 1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이 기 설정된 범위에서 증가하는 때에 상기 제 1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은 진동 노티피케이션 및 음성 노티피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젖산량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추출하여 상기 젖산량이 감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티피케이션의 신호의 강도를 감소시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에 젖산 제거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젖산량을 나타내는 젖산 인디케이터, 상기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을 나타내는 운동 가이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나타내는 상태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혈류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상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사출 신호를 사출하는 트랜스미터 및 상기 사출 신호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신호를 센싱하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반사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혈류 및 산소 포화도 측정기에 포함된 상기 트랜스미터는 제 1 엘이디 및 제 2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엘이디 및 상기 제 2 엘이디 중 적어도 하나는 녹색 엘이디에 해당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기초로 운동 가능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운동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 가능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헬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때에, 상기 운동 정보 또는 상기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착용 중인 상태인,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5.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 및 상기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젖산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운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젖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정보 또는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PCT/KR2016/000787 2016-01-25 2016-01-25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3124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0787 WO2017131244A1 (ko) 2016-01-25 2016-01-25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0787 WO2017131244A1 (ko) 2016-01-25 2016-01-25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244A1 true WO2017131244A1 (ko) 2017-08-03

Family

ID=5939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0787 WO2017131244A1 (ko) 2016-01-25 2016-01-25 워치 타입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3124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211A (ko) * 2011-02-22 2012-08-30 김지은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운동량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54625B1 (ko) *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KR20140063330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젖산 역치 추정 장치 및 방법
WO2015143259A1 (en) * 2014-03-21 2015-09-24 Razzberry Inc. Health state monitoring device
KR101579585B1 (ko) * 2014-06-18 2015-1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211A (ko) * 2011-02-22 2012-08-30 김지은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운동량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3330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젖산 역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354625B1 (ko) *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WO2015143259A1 (en) * 2014-03-21 2015-09-24 Razzberry Inc. Health state monitoring device
KR101579585B1 (ko) * 2014-06-18 2015-1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738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032311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90810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동작방법
WO2016043405A1 (en) Mobile terminal and motion-based low powe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WO2015126182A1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24498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82508A1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628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6117745A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WO2017002989A1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2291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6047863A1 (ko) 모바일 디바이스, hmd 및 시스템
WO2016195161A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15310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515646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99379A1 (ko) 인공 지능 기기
WO2019083102A1 (ko) 인공지능 디바이스
WO2015194723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6172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5278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5194694A1 (ko) 이동 단말기
WO2017209333A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02184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WO2020105757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10611A1 (ko)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8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88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