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90829A1 -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0829A1
WO2017090829A1 PCT/KR2016/000702 KR2016000702W WO2017090829A1 WO 2017090829 A1 WO2017090829 A1 WO 2017090829A1 KR 2016000702 W KR2016000702 W KR 2016000702W WO 2017090829 A1 WO2017090829 A1 WO 20170908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haenyeo
tewak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07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도성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
Publication of WO20170908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08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manages work information on the working location, body temperature, dive depth, dive time, etc. of a female diver, and diagnoses the integrated health condition of the female div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diseases such as divers of the female div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oT-based smart haen safety system that can not only manage, but also prevent accidents and respond quickly to accidents.
  • haenyeo refers to a woman who goes into the sea water to dig up seaweeds and shellfish. It is also called Jamnaem ( ⁇ ⁇ ) and submersible ( ⁇ ⁇ ).
  • the female divers collect seashells, abalones, seaweeds, mussels, and stingrays from the shallow waters within 10 meters of the first kind co-fishing grounds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Sometimes they catch fish with harpoons.
  • Haenyeo are distributed only in Korea and Japan, which are scattered on the coasts and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but most of them are concentrated on Jeju Island.
  • the number of haenyeo in our country is estimated to be about 20,000, and almost all of them are Jeju island haenyeo.
  • Haenyeo are women who go into the sea and collect seafood by using their bare body and breath control by their own will without mechanical devices. A wisdom has been handed down for gener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emale divers, to promote safety, such as immediate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and to collect and secure the basic data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female diver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oT-based smart haen safety system that can be.
  • the IoT-based smart haenyeo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depth and body temperature for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worn on the body of the haenyeo collected when the communication resumes on the sea surface
  • a personal terminal transmitting activity information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a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by buoyancy sphere to generat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 data of the activity of the haenyeo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terminal by data communication with a specified personal terminal, and collects the received activity information and position signal and transmits Tewak terminal; Data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TEWAK terminals to classify and store activity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EWAK terminals, and analyze the stored personal activity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monitor the health status and location of haenyeo according to fishing activities.
  • server And a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on a web basis and receiving monitor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anagement server.
  • the personal terminal includes a display module composed of one or more LED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flashing state of the predefined LED element or the color change of the LED element according to the received notification signal Can be passed.
  • LED Light Emitting Diode
  • the tewak terminal may include a switch module for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and may selectively generate a rescue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witch module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 the Tewak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activity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terminal during the set firs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an abnormal situation and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output a rescue request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 the management server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aenyeo in operation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ssel and the fishing vessel transmitted from the fishing vessel sending device or the local maritime control center, and the vessel and the fishing vessel together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vers in operation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 the Tewak terminal may analyze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ea woman received from the personal terminal to calculate the number of diving, cumulative diving time and one time diving time for the operation activity,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
  • the Tewak terminal is stored in the threshold value of the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the cumulative dive time determined as a dangerous level in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of the divers, the calculated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the cumulative diving time inform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threshold value and selectively generate a risk alarm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personal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 the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threshold values for the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the cumulative dive time that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level in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of the divers, the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mulative diving time information and each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generate a danger alarm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tewak terminal.
  •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a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to receive a danger alarm signal, and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search for and designate one or more adjacent tewak terminals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and specifies one or more designated ones.
  • the Tewak terminal can send a rescue request signal to recognize a colleague's dangerous situation.
  •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a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to receive the danger alarm signal, retrieves and designates one or more user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and assigns one or more user terminals to the designated one or more user terminals.
  • a rescue request signal can be sent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 the management server may statisticalize the cumulative data of the Tewak terminal collected during the set second time and may provide statistical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shing activity for each selected period and health history information of the divers by period. .
  • the IoT-based smart haenan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s a network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for work tools or equipment of the divers who perform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and collects information using the same.
  • IoT Internet of Things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oT-based smart haenyeo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so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a perso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wak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the Tewak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to 12 are diagrams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of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oT-based smart haenyeo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oT-based smart haenyeo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fety system') to build a network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for the work tools or equipment of the haenyeo performing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using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lth accidents and health by analyzing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emale divers as well as the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of the divers.
  • IoT Internet of Things
  • the safety system receives collection data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TEWAK terminals 200 and provided on a personal terminal 100 and a TEWAK terminal 200 and a land, which are worn and possessed for each haenyeo.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nagement server 300 for management and monitoring, the user terminal 400 in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receive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 the personal terminal 100 is worn on the body of the haenyeo collects the activ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depth and body temperature for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y and transmit the activity information collected when the communication resumes on the sea surface to the Tewak terminal 200 do.
  • the personal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wak terminal 200 and display it.
  •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Tewak terminal 200 and resumes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terminal 100. Can be delivered.
  • the tewak terminal 200 may generat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while being located on the sea surface by the buoyancy sphere. And the Tewak terminal 200 receives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sea woman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personal terminal 100 by mutual data communication with a single personal terminal 100, and collects the received activity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position signal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transmit.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receive activity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WAK terminal 200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TEWAK terminal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classify and store them.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monitor the health status and location of the haenyeo according to the operation activity by analyzing the stored activity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to provide the monitoring information analyz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0 Can be.
  • the casing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light weight.
  • the personal terminal 100 includes a sensor module 110, a memory module 120,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a control module 140, a display module 150, and a power module 16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sensor module 11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11 for collecting the real-time body temperature of the diver who is exposed to the underwater environment and a pressure sensor 112 for checking the depth.
  • 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11 and the pressure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1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module 120 in real time by a command of the control module 140.
  • the memory module 120 is registered and store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one-to-one identification, such as the Tewak terminal 100, and stor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 module 110.
  • the memory module 120 transmits the stored collection data to the tewak terminal 200 through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 module 140.
  •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supports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Tewak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stored in the memory module 120 to the Tewak terminal 200, or the Tewak terminal 200 ) May receive a notification signal and the like.
  • the LED device 151 lights up red, the fellow divers can be recognized as having a problem, and if it is lit up blue, the cumulative dive time of the user can be perceived as being too long. Recognition of returning to fishing or working fishing vessels may be made.
  • the LED element 151 of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selectively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40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 the LED device 151 of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visually checked by the female diver by passing through the casing and loca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ydroponic system 10.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 the control module 140 may control the data collection time of each sensor 111 and 112 of the sensor module 110 as well a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data storage and the data of the memory module 120.
  •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of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and when the communication resumes, the collected data stored in the memory module 120 can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Tewak terminal 200 through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
  • the control module 140 sets the communication of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130 as well as the LED element 151 of the display module 150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ewak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 Can be controlled.
  • the power module 160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of the personal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power converter when different input power is required between the components.
  • the power module 160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power can be made.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wak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orm of a tewak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wak terminal 200 may be mounted on the tewak as shown in FIG.
  • the term 'tewak' is a buoyancy tool that is used by haenyeos to carry out fishing activities such as odors of seafood. It is connected to a net that can receive seafood caught in the lower part and is not submerged by buoyancy balls. It may be located on the sea level so tha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terminal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not disturbed.
  • the tewak terminal 20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tewak in a state inherent in a casing having a watertight structure and is designed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nd light weight.
  • the tewak terminal 200 as shown in Figure 4 GPS module 210, Zigbee communication module 220, SOS switch module 230, control module 240, power module 250 and CDMA communication module ( 260).
  • the GPS module 21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ewak terminal 200.
  •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220 supports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personal terminal 100, and receives the collec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terminal 100, that is, activity information, or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control signal and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100.
  • the SOS switch module 230 may generate a rescue request signal that can selectively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haenyeo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enyeo, the generated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the CDMA communication module 260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 to 300.
  • control module 240 may include a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setting condition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switch module 230.
  • the rescue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does not receive activity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 terminal 100 during the first set time, it determines that the abnormal situation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nd outputs a rescue request signal, and outputs the outputted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CDMA.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 the first time may be a time exceeding the average dive time calculated by the control module 240 or an arbitrary time determined by the administrator as a dangerous level.
  • the setting condition of the control module 240 may be set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may be set by the setting switch module 270 described below.
  • control module 240 may store the respective threshold values for the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the cumulative diving time, etc., which are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level in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of the divers, an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hreshold values Optionally, a hazard alarm signal can be generated and output.
  • control module 240 compares the calculated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times, the accumulated diving time information with each threshold value, and generates a danger alarm signal when any one information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is can be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 the power module 250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of the Tewak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power converter when different input power is required between the components.
  • the power supply module 250 may be charged and discharged by applying a secondary battery,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lf-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power from natural energy including sunlight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ary battery. It is desirable to.
  • the tewak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tting switch module 270 and a display module 280 as shown in FIG.
  • the setting switch module 270 may change the setting value or the threshold value of the control module 240 by inputting setting conditions of the TEWAK terminal 200 as well as turning on / off the power.
  • the display module 280 may display a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user terminal 400 as well a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wak terminal 200 itself.
  • the display module 28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 FIGS. 7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receive the activity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aenyeo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Tewak terminal 200 through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and analyze the real-time state and location of each haenyeo through the rescue request signal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female diver can be judged by receiving.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400 with various information for health care of the haenyeo through data processing such as storing the collected collected data and statistically accumulating the collected data. .
  •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10, a recep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a statistical processing unit 330, a user information database 340, a recep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as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atistical information database 36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70.
  •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10 may register the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400, that is, the administrator PC or the user's mobile device.
  •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340 may store user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nformation register 310.
  • the user means a haenyeo who actually performs underwater fishing activities
  •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haenyeo who performs the fishing activities, the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of the affiliation and the protector who can be contacted, as well as the assigned Tewak terminal for each user.
  • Unique information of the 200 and the personal terminal 100 may be stored.
  • the recep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registers all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t least one Tewak terminal 200.
  • activity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rescue request signal gen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ewak terminal 200 can be registered.
  • location information and rescue request signal gen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ewak terminal 200 can be registered.
  • number of diving, cumulative dive time and average dive time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Tewak terminal 200 itself, etc. can be registered.
  • the recep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may store recep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recep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 the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set by an administrator is stor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 the setting information database may store respective threshold values for the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and the cumulative diving time which are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level in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y of the female divers.
  • the management server 300 selectively analyzes the body temperature, the number of diving, the cumulative dive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wak terminal and the threshold values stor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database, and compares the dangerous values.
  • An alarm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wak terminal 200.
  • the management server 300 can identify and designate the Tewak terminal 200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that is, the specific Tewak terminal 200 which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level during the underwater fishing activity of the female diver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process described above.
  • the tewak terminal 200 which is design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receives the danger alarm signal, transmits the danger alarm signal to the connected personal terminal 100 so that the haenyeo herself risks the operation activity. It is to guide the judgment.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of the haenyeo not only the corresponding haenyeo but also neighbors, guardians and managers.
  • the management server 300 identifies the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to receive the danger alarm signal, and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as well as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200 One or more adjacent tewak terminals 200 may be searched for and designated.
  •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for recognizing a dangerous situation of a colleague to one or more tewak terminals 200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analysis, and receives the rescue request signal 200. By display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of a fellow haen.
  •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wak terminal 200, that is, the sea woman's tewak terminal 200 that is determined to be dangerous, for example, th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sea woman, as well as any It is desirable to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whether the situation is dangerous, so that it is easy to identify the status and location of the fellow women in danger.
  • the management server 300 identifies the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200 to receive the danger alarm signal, and analyzes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340 to transmit the transmission target tewak terminal 200.
  • one or more user terminals 400 may be searched for and designated as a manager PC or a mobile device of a guardian.
  • th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for recognizing a dangerous situation of the observed haenyeo to one or more designated user terminals 400, and the user terminal 400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receives the rescue request. By displaying a signal,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of the observed haenyeo.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in real time, and prompt follow-up is provided by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along with a rescue request signal to a nearby colleague of the observed haenyeo as well as managers and guardians when an emergency occurs. Make it happen.
  • the statistics processing unit 330 performs statistics on each of the data stored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330 statistics the cumulative data of the tewak terminal 200 collected during the set second time, and through this, statistical history information on fishing activities for each selected period and health history information of haenyeo by period Can be provided.
  • the second time may be set for each period including time, day, month, quarter, and year unit.
  • the statistical information database 360 may store data statistically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330.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70 corresponds to the recep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an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database 36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user terminal 400.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provided.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7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400 to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emale diver in operation on a map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s shown in FIG. 7.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ssel and the fishing vessel transmitted from the fishing vessel transmitting apparatus or local maritime control center that can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fishing vessel, the information system Study 37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400 to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ip and the fishing boat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 woman operating on the map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to determine the degree of closeness of the fishing boat or vessel and the divers in oper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 risk leve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Tewak terminal 200 as well By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40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collision.
  • the management server 300 When th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wak terminal 200, the management server 300 automatically generates an emergency occurrence notification signal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haenyeo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desirable to cope.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store the user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for the guardian of the haenyeo, when determined as an emergency in the data processing process,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haenyeo can be provided.
  • the management server 300 may provid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m or an 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for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case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 SMS short message service
  • 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 FIGS. 7 to 12 illustrate various screens implemented through execution of the monitoring program, and as illustrated in FIG. 12, a setting screen for inputting or modifying use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 the monitoring program is a graph created in association with specific data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400 in data stored in the recep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an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database 360 as shown in FIGS. 8 to 11.
  • the data can be displayed in a table or the like.
  • real-time st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400, real-time state information, past state history information, as well as statistical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lected period for a specific haenyeo are displayed in a graph or table. It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the user, and the user or guardian and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haenyeo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history and the past histo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녀(海女)의 작업 위치, 체온, 잠수 깊이, 잠수 시간 등에 대한 작업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해녀의 통합적인 건강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해녀의 잠수병 등을 포함한 질병 관리는 물론 안전사고 예방 및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도모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해녀의 신체에 착용되어 수중 조업 활동에 대한 수심과 체온을 포함한 활동정보를 수집하고 해수면 상에서 통신 재개 시 수집된 상기 활동 정보를 송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개인 단말; 부력구에 의해 해수면 상에 위치하여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된 하나의 개인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여 개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녀의 활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활동정보와 위치신호를 취합하여 송신하는 테왁 단말; 하나 이상의 테왁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여 테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개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별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따른 해녀의 건강 상태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웹 기반으로 연동되어 관리 서버에서 처리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본 발명은 해녀(海女)의 작업 위치, 체온, 잠수 깊이, 잠수 시간 등에 대한 작업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해녀의 통합적인 건강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해녀의 잠수병 등을 포함한 질병 관리는 물론 안전사고 예방 및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도모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녀라 함은 바닷가 물 속에 들어가서 해조류와 패류 등을 캐는 여성을 뜻하는 것으로 잠녀(潛女)·잠수(潛嫂)라고도 한다. 해녀들은 특별한 장치가 없는 나잠어법(裸潛漁法)으로 제1종 공동어장인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전복·미역·톳·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기도 한다.
그리고 해녀는 우리 나라와 일본에만 분포되어 있는데, 우리 나라의 해녀는 한반도 각 해안과 여러 섬에 흩어져 있지만, 그 대부분이 제주도에 몰려 있다. 우리 나라의 해녀수는 약 2만 명으로 추산되며, 거의 모두가 제주도 해녀들이다.
해녀는 기계 장치 없이 맨 몸과 오로지 자신의 의지에 의한 호흡조절로 바다에 들어가 해산물 등을 채취하는 여성들로, 바다 밭을 단순 채취의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고 끊임없이 가꾸어 공존하는 방식을 택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획득한 지혜를 세대에 걸쳐 전승해왔다.
그러나 근래 들어 해녀의 현황을 살펴보면 해가 갈수록 해녀 나이의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해녀의 수 역시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 예로 해녀의 수 중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제주 해녀의 현황을 살펴보면 해가 갈수록 해녀 나이의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해녀의 수 역시 1970년도에 14,143명에 이르던 해녀가 2011년에는 4,881명, 2012년에는 4,574명 2013년에는 4,507명으로 해마다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2004년도부터 2013년도까지의 잠수 어업인 안전사고 현황 통계를 보면 해녀의 물질 중 사고가 총 59건이 발생하는 등 위험으로부터 쉽게 노출되어 해녀의 수가 줄어드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잠수어업인 복지·소득증대 및 작업환경 개선 사업으로 해녀에 대한 지원(잠수복지 지원으로 잠수진료비, 안전공제료 등 지원, 잠수소득 지원으로 패조류투석, 자율관리어업육성, 작업환경 개선으로 잠수탈의장보수, 공동작업장 보수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해녀의 물질 중 안전과 관계된 지원은 고작 유색(오렌지색) 테왁 지원에 그쳐 해녀 조업 중 안전과 관련된 기술적 지원은 미미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농·수·축 1차 산업에 대한 IT 융합 기술개발 측면에서도 농업분야와 축산분야에서는 여러 형태의 IT 융합형 기술개발이 수행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나, 수산분야에는 대부분 양식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외에는 해녀들의 안전과 관련된 기술 개발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녀들의 조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 등 안전성을 도모하고, 해녀들의 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 및 확보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은, 해녀의 신체에 착용되어 수중 조업 활동에 대한 수심과 체온을 포함한 활동정보를 수집하고 해수면 상에서 통신 재개 시 수집된 상기 활동 정보를 송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개인 단말; 부력구에 의해 해수면 상에 위치하여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된 하나의 개인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여 개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녀의 활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활동정보와 위치신호를 취합하여 송신하는 테왁 단말; 하나 이상의 테왁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여 테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개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별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따른 해녀의 건강 상태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웹 기반으로 연동되어 관리 서버에서 처리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개인 단말은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며, 수신한 알림 신호에 따라 기정의된 LED 소자의 점멸 상태 또는 LED 소자의 색상 변화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테왁 단말은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모듈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테왁 단말은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개인 단말로부터 활동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를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며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 서버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조업 중인 해녀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 서버는 어선발신장치 또는 지역 해상 관제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선박 및 어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조업 중인 해녀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선박 및 어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테왁 단말은 상기 개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해녀의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대한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및 1회 잠수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테왁 단말은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에 대한 각각의 임계값이 저장되며, 산출된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정보와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위험경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개인 단말 및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 서버는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에 대한 각각의 임계값이 저장되며, 상기 테왁 단말로부터 수신한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정보와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위험경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테왁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 서버는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할 송신 대상 테왁단말을 파악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로부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테왁단말을 검색 및 지정하고, 지정된 하나 이상의 테왁단말로 동료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할 송신 대상 테왁단말을 파악하며,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검색 및 지정하고,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해녀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 서버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테왁 단말의 누적 데이터를 통계화하고 이를 통해 선택된 기간별로 조업 활동에 대한 통계 이력 정보와 기간별 해녀의 건강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은 수중 조업 활동을 실시하는 해녀의 작업 도구 또는 장비들에 대하여 IoT(Internet Of Things)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해녀의 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며, 수중 조업 활동에 따른 해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선박 등으로부터의 충돌을 방지하는 등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해녀의 안전성 확보에 따른 해녀 활동의 활성화 및 해녀 인원수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해녀 활동의 활성화에 따른 어업인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단말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왁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왁 단말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정보 제공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이하 '안전 시스템'이라 함)은 수중 조업 활동을 실시하는 해녀의 작업 도구 또는 장비들에 대하여 IoT(Internet Of Things)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을 통해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따른 건강 관리는 물론 해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선박 등으로부터의 충돌을 방지하는 등 안전 사고의 방지와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해녀별로 착용 및 소지하는 개인 단말(100)과 테왁 단말(200), 육상에 구비되어 복수의 테왁 단말(200)로부터 수집되는 수집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리 서버(300), 상기 관리 서버(300)와 연계되어 관리 서버(300)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인 단말(100)은 해녀의 신체에 착용되어 수중 조업 활동에 대한 수심과 체온을 포함한 활동정보를 수집하고 해수면 상에서 통신 재개 시 수집된 상기 활동 정보를 상기 테왁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인 단말(100)은 상기 테왁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서버(300)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는 상기 테왁 단말(200)에서 수신 및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개인 단말(100)과의 통신 재개 시 개인 단말(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테왁 단말(200)은 부력구에 의해 해수면 상에 위치하면서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왁 단말(200)은 지정된 하나의 개인 단말(100)과 상호 데이터 통신하여 해당 개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녀의 활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활동정보와 생성한 위치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테왁 단말(200)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하여 테왁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개인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저장된 개인별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따른 해녀의 건강 상태 및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 시 분석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관리 서버(300)와 웹(Web) 기반으로 연동되어 상기 관리 서버(300)로 요청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처리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센터에 구비되어 관리자로 하여금 조업 활동 중인 복수의 해녀들에 대한 상태 및 위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관리자 PC일 수 있으며, 각 해녀의 가족 등을 포함하여 등록된 보호자가 소지하는 것으로 관찰 대상 해녀의 상태 및 위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개인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단말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개인 단말(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녀의 조업 활동에 이용되는 도구 또는 장비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해수면 상에서 상기 테왁 단말(200)과의 통신 접속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인 단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구조를 갖는 케이싱에 내재된 상태로 수경(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 시에는 해녀의 체온, 수심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고, 해녀가 호흡을 위하여 해수면 상에 나오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테왁 단말(200)과 통신이 재개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테왁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내식성이 우수하고 경량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인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0), 메모리모듈(120), Zigbee통신모듈(130), 제어모듈(140), 디스플레이모듈(150) 및 전원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10)은 수중 환경에 노출되어 변화하는 해녀의 실시간 체온을 수집하기 위한 온도센서(111)와 수심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11)에서 감지되는 온도신호와 압력센서(112)에서 감지되는 압력신호는 상기 제어모듈(140)의 명령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메모리모듈(1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모듈(120)은 상기 테왁 단말(100)와 같은 일대일 식별을 위한 고유의 식별코드가 등록 및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모듈(110)로부터 전달되는 수집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모듈(120)은 저장된 수집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140)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Zigbee통신모듈(130)을 통해 상기 테왁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 Zigbee통신모듈(130)은 상기 테왁 단말(200)과의 Zigbee 무선 통신망을 지원하는 것으로, 상기 메모리모듈(120)에 저장된 수집데이터를 상기 테왁 단말(200)로 송신하거나, 상기 테왁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은 상기 테왁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151)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한 알림 신호에 따라 기정의된 LED 소자(151)의 점멸 상태 또는 LED 소자(151)의 색상 변화를 통해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해녀가 전달되는 알림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소자(151)가 적색 점등하면 동료 해녀에게 문제가 생겼음을 인지시키도록 하며, 청색 점등하면 본인의 누적잠수시간이 너무 길어 위험한 수준임을 인지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녹색이 점등되면 어촌계 또는 작업 어선으로 복귀함을 인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모듈(150)의 LED 소자(151)는 상기 Zigbee통신모듈(130)을 통해 수신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 단말(100)이 수경(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의 LED 소자(151)는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수경(10)의 내벽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해녀의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센서모듈(110)의 각 센서(111, 112)에 대한 데이터 수집 시기는 물론 수집데이터의 송신 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모듈(120)의 데이터 저장과 상기 Zigbee통신모듈(130)의 통신 접속 상황을 실시간 감지하고 통신 재개시 메모리모듈(120)에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Zigbee통신모듈(130)을 통해 테왁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상기 Zigbee통신모듈(130)의 통신을 설정은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테왁 단말(200)을 통해 전달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의 LED 소자(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160)은 상술한 개인 단말(100)의 각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각 구성들 간 서로 다른 입력 전원이 요구되는 경우 전원변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160)은 2차 전지를 적용하여 전원의 충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왁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왁 단말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테왁 단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테왁'이라 함은 해녀들이 해산물의 체취 등 조업 활동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부력 도구로서 하부에는 체취한 해산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그물망과 연결되며, 부력구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해수면 상에 위치할 수 있어 상기 개인 단말(100) 및 관리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에 장애를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테왁 단말(200) 역시 상기 개인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수밀 구조를 갖는 케이싱에 내재된 상태로 상기 테왁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내식성과 경량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왁 단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모듈(210), Zigbee통신모듈(220), SOS스위치모듈(230), 제어모듈(240), 전원모듈(250) 및 CDMA통신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GPS모듈(210)은 테왁 단말(2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Zigbee통신모듈(220)은 상기 개인 단말(100)과의 Zigbee 무선 통신망을 지원하는 것으로, 상기 개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수집데이터 즉, 활동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 및 알림 신호를 상기 개인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SOS 스위치모듈(230)은 해녀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인의 응급상황을 알리 수 있는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구조요청신호는 상기 CDMA통신모듈(260)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조업 활동 중인 해녀 스스로 자신의 상태에 대해 문제가 있음이 느껴질 시 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주변 동료 해녀나 구급 센터와 같은 담당 기관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모듈(240)은 상기 개인 단말(100)과의 통신 접속 상황을 실시간 감지하고 통신 재개시 상기 개인 단말(100)로 수집데이터의 요청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개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녀의 활동 정보와 상기 스위치모듈(230)에서 생성되는 구조요청신호 및 상기 GPS모듈(210)에서 생성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CDMA통신모듈(26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40)은 상기 개인 단말(100)과의 통신 재개 횟수와, 상기 개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활동 정보 즉, 온도신호와 압력신호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대한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및 1회당 평균 잠수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상기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4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스위치모듈(230)의 조작과 무관하게 설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요청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요청신호 생성부는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개인 단말(100)로부터 활동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를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며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하며, 출력된 구조요청신호를 상기 CDMA통신모듈(260)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어모듈(240)에서 산출되는 1회당 평균 잠수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이거나 관리자에 의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임의의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모듈(240)의 설정 조건은 상기 관리 서버(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거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설정스위치모듈(27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모듈(240)은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등에 대한 각각의 임계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임계값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선택적으로 위험경보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240)은 산출된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정보와 각각의 임계값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 어느 하나의 정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경보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이를 상기 개인 단말 및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250)은 상술한 테왁 단말(200)의 각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각 구성들 간 서로 다른 입력 전원이 요구되는 경우 전원변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250)은 2차 전지를 적용하여 전원의 충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태양광을 포함한 자연에너지로부터 전원을 생성하는 자가발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2차 전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CDMA통신모듈(26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망을 통해 테왁 단말(200) 자체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상기 개인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해녀의 활동 정보 등을 상기 관리 서버(300)로 송신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 및 알림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테왁 단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설정스위치모듈(270)과 디스플레이모듈(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스위치모듈(270)은 전원의 ON/OFF는 물론 테왁 단말(200)의 설정 조건 등을 입력하여 상기 제어모듈(240)의 설정값 내지 임계값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80)은 테왁 단말(200) 자체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물론 상기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80)은 테왁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자가진단의 처리 결과에 따른 상태 정보는 물론 상기 제어모듈(240)에서 산출되는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및 1회당 평균 잠수시간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는 LCD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정보 제공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CDMA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왁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해녀의 활동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통해 각 해녀별 실시간 상태와 위치를 분석할 수 있으며, 구조요청신호의 수신을 통해 해녀의 위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전송된 수집 데이터를 저장함과 더불어 누적된 수집 데이터를 통계화하는 등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하여 해녀의 건강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등록부(310), 수신 정보 등록부(320), 통계화 처리부(33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수신 정보 데이터베이스(350),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360) 및 정보 제공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등록부(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 즉, 관리자 PC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40)는 상기 사용자 정보 등록부(310)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수중 조업 활동을 실시하는 해녀를 의미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조업 활동을 실시하는 해녀의 개인정보, 소속, 연락 가능한 보호자의 비상연락처는 물론, 각 사용자별로 할당 지급된 테왁 단말(200)과 개인 단말(100)의 고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정보 등록부(320)는 하나 이상의 테왁 단말(200)을 통해 수신되는 모든 정보들을 등록한다.
예를 들면, 상기 테왁 단말(200)에서 수집되는 활동 정보, 위치 정보 및 구조요청신호 발생 정보는 물론 상기 테왁 단말(200) 자체적으로 처리되는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및 1회당 평균 잠수시간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는 상기 수신 정보 등록부(320)에 의해 등록된 수신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서버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에 대한 각각의 임계값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테왁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수진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정보와 상기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위험경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테왁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술한 비교 분석 과정을 통해 임계값을 초과한 테왁 단말(200) 즉,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 중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특정 테왁 단말(200)을 확인 및 지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지정되어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해당 테왁 단말(200)은 상기 위험경보신호를 접속된 개인 단말(100)로 전달함으로써 해녀 자신이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는 해녀의 위험 상황을 해당 해녀뿐만 아니라 주변 동료나 보호자 및 관리자 등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할 송신 대상 테왁단말을 파악하며, 상기 수신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200)은 물론 이로부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테왁단말(200)을 검색 및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위치 정보 분석을 통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테왁단말(200)로 동료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며,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테왁단말(200)은 상기 구조요청신호 표시함으로써 동료 해녀의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조요청신호는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200) 즉,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해녀의 테왁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예를 들면 해녀의 이름과, 위치 등 관련 정보는 물론 어떠한 위험 상황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처한 동료 해녀의 상태와 위치 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할 송신 대상 테왁단말(200)을 파악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200)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 예를 들면, 관리자 PC나 보호자의 모바일 기기 등을 검색 및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로 관찰 대상 해녀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며,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구조요청신호 표시함으로써 관찰 대상 해녀의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관리 서버(300)은 긴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의 발생 시 관찰 대상 해녀의 인근 동료는 물론 관리자와 보호자 등으로 구조요청신호와 함께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계화 처리부(330)는 상기 수신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들에 대한 통계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계화 처리부(330)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테왁 단말(200)의 누적 데이터를 통계화하고 이를 통해 선택된 기간별로 조업 활동에 대한 통계 이력 정보와 기간별 해녀의 건강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시간은 시간, 일, 월, 분기, 년 단위를 포함한 기간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는 상기 통계화 처리부(330)에서 통계화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370)은 상기 수신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수신 정보와 상기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통계 정보에 있어 상기 관리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 제공부(3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서 조업 중인 해녀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어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어선발신장치 또는 지역 해상 관제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선박 및 어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제공부(370)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서 조업 중인 해녀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선박 및 어선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어선 또는 선박과 조업 활동 중인 해녀의 인접한 정도를 판단하도록 하며, 충돌 가능성을 도출하여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면 이를 알림 신호로 생성 및 출력하여 상기 테왁 단말(200)은 물론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함으로써 충돌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테왁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구조요청신호의 수신 시, 자동으로 긴급 상황 발생 알림 신호를 생성함과 더불어 해당 해녀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정보에는 해녀의 보호자에 대한 비상연락망을 포함하게 되는 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긴급 상황으로 판단 시, 상기 비상연락망으로 해당 해녀의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비상연락망을 통한 정보 제공의 경우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제공하거나,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300) 관리자 PC 또는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7 내지 도 12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화면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의 입력 내지 수정을 실시할 수 있는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정보 데이터베이스(350) 및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데이터에 있어 상기 사용자 단말(400)이 요청한 특정 데이터와 연동하여 작성되는 그래프 또는 표 등으로 해당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해녀에 대하여 실시간 상태 정보, 과거 상태 이력 정보는 물론 선택된 하나의 기간에 따른 통계 이력 정보 등을 그래프 내지 표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나 보호자 및 관리자는 현재 이력과 과거 이력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해녀의 신체에 착용되어 수중 조업 활동에 대한 수심과 체온을 포함한 활동정보를 수집하고 해수면 상에서 통신 재개 시 수집된 상기 활동 정보를 송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개인 단말;
    부력구에 의해 해수면 상에 위치하여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된 하나의 개인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여 개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해녀의 활동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활동정보와 위치신호를 취합하여 송신하는 테왁 단말;
    하나 이상의 테왁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여 테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개인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별 활동정보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따른 해녀의 건강 상태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웹 기반으로 연동되어 관리 서버에서 처리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은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며,
    수신한 알림 신호에 따라 기정의된 LED 소자의 점멸 상태 또는 LED 소자의 색상 변화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왁 단말은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모듈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왁 단말은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개인 단말로부터 활동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를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며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조업 중인 해녀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어선발신장치 또는 지역 해상 관제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선박 및 어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조업 중인 해녀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선박 및 어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왁 단말은 상기 개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해녀의 활동 정보를 분석하여 조업 활동에 대한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및 1회 잠수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왁 단말은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에 대한 각각의 임계값이 저장되며, 산출된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정보와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위험경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개인 단말 및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해녀의 수중 조업 활동에 있어 위험 수준으로 판단되는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에 대한 각각의 임계값이 저장되며, 상기 테왁 단말로부터 수신한 체온, 잠수횟수, 누적잠수시간 정보와 각각의 임계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위험경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테왁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할 송신 대상 테왁단말을 파악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로부터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테왁단말을 검색 및 지정하고, 지정된 하나 이상의 테왁단말로 동료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위험경보신호를 수신할 송신 대상 테왁단말을 파악하며, 상기 송신 대상 테왁단말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검색 및 지정하고,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해녀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테왁 단말의 누적 데이터를 통계화하고 이를 통해 선택된 기간별로 조업 활동에 대한 통계 이력 정보와 기간별 해녀의 건강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PCT/KR2016/000702 2015-11-24 2016-01-22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WO20170908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691A KR101782990B1 (ko) 2015-11-24 2015-11-24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KR10-2015-0164691 2015-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829A1 true WO2017090829A1 (ko) 2017-06-01

Family

ID=5876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0702 WO2017090829A1 (ko) 2015-11-24 2016-01-22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2990B1 (ko)
WO (1) WO20170908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152A (zh) * 2019-06-12 2019-09-20 无锡泓瑞航天科技有限公司 一种液化天然气车辆车用气瓶智慧监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26B1 (ko) * 2018-03-19 2018-08-30 주식회사 요트북 수중 레저용 다이브 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수중 레저 앱 및 이와 연동하는 서버
KR102003240B1 (ko) * 2018-04-04 2019-07-24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다중 해양 통신을 이용한 해양 인명 및 선박 조난사고 위치발견 및 구조 시스템
KR102185559B1 (ko) * 2019-02-19 2020-12-04 이희용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
KR102317371B1 (ko) 2020-02-11 2021-10-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녀들의 물숨 사고방지를 위한 해녀 보호 시스템
KR102607439B1 (ko) * 2020-12-08 2023-11-29 주식회사 서브원 다이버가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 기반의 다이브 플랫폼 시스템
KR102515955B1 (ko) * 2020-12-08 2023-03-30 주식회사 서브원 다이브 활동에 사용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상태 분석 시스템
KR102343940B1 (ko) * 2021-03-22 2021-12-24 서병진 테왁망사리 및 이를 이용한 해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43876B1 (ko) * 2021-04-08 2021-12-24 서병진 테왁망사리 및 이를 이용한 해녀 작업 관리시스템
KR102565243B1 (ko) * 2022-12-01 2023-08-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녀집단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63B1 (ko) * 2009-12-28 2011-10-21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위치추적단말기를 이용한 수색구조시스템과 그것을 이용한 수색구조방법
KR20130046250A (ko) * 2011-10-27 2013-05-07 최영철 위치 정보 및 다이브 조건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KR101331245B1 (ko) * 2012-11-08 2013-11-19 (주)에스아이이노텍 수중 이동체 통신거리 확장 시스템
KR20140064752A (ko) * 2014-05-08 2014-05-28 김웅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해상 구조요청 시스템
JP5807133B1 (ja) * 2015-04-23 2015-11-10 あおみ建設株式会社 潜水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63B1 (ko) * 2009-12-28 2011-10-21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위치추적단말기를 이용한 수색구조시스템과 그것을 이용한 수색구조방법
KR20130046250A (ko) * 2011-10-27 2013-05-07 최영철 위치 정보 및 다이브 조건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KR101331245B1 (ko) * 2012-11-08 2013-11-19 (주)에스아이이노텍 수중 이동체 통신거리 확장 시스템
KR20140064752A (ko) * 2014-05-08 2014-05-28 김웅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해상 구조요청 시스템
JP5807133B1 (ja) * 2015-04-23 2015-11-10 あおみ建設株式会社 潜水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152A (zh) * 2019-06-12 2019-09-20 无锡泓瑞航天科技有限公司 一种液化天然气车辆车用气瓶智慧监测系统
CN110260152B (zh) * 2019-06-12 2021-08-24 无锡泓瑞航天科技有限公司 一种液化天然气车辆车用气瓶智慧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199A (ko) 2017-06-05
KR101782990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0829A1 (ko) Iot 기반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JP6130540B1 (ja) IoT基盤のスマート海女安全システム
CN104765307B (zh) 一种无人机航拍系统
CN105614988B (zh) 一种上衣
WO2018225984A1 (ko) 해상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 및 서버
CN101650870B (zh) 一种游泳池安全监控方法及装置
CN113206978A (zh) 油气管道站场安防智能监控预警系统及方法
CN107672765A (zh) 游泳池的溺水救助系统
CN204883287U (zh) 基于数据集成与处理的船舶机舱安全监测系统
CN115424340A (zh) 基于yolov5神经网络技术识别防护服的方法
CN110738824A (zh) 基于同伴同行的水域报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741574A (zh) 一种基于智能安全帽的综合监测系统
CN214474499U (zh) 一种有限空间安全作业在线监控预警系统
CN212933563U (zh) 一种用于船舶的人员安全综合保障系统
CN112613619B (zh) 车间内煤气区域安全作业管理系统
CN108132099A (zh) 一种鱼群监测系统
CN205121817U (zh) 一种防溺水报警手环及其定位系统
CN111695839A (zh) 一种用于船舶的人员安全综合保障系统
WO2020027388A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5690687A (zh) 一种基于深度学习技术的安全穿戴规范检测系统
CN206896338U (zh) 生命探测装备的控制系统和生命探测装备
CN114445924A (zh) 一种养殖工船作业人员安全巡检系统及方法
CN211554957U (zh) 一种用于游泳池落水人员甄别定位装置及系统
CN111583566A (zh) 一种电子围栏系统、电子围栏管理方法及计算机设备
CN207637277U (zh) 一种定位终端及其对应的定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87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10.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87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