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47859A1 - Shield film for regenerating alveolar bone - Google Patents

Shield film for regenerating alveolar b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47859A1
WO2017047859A1 PCT/KR2015/011012 KR2015011012W WO2017047859A1 WO 2017047859 A1 WO2017047859 A1 WO 2017047859A1 KR 2015011012 W KR2015011012 W KR 2015011012W WO 2017047859 A1 WO2017047859 A1 WO 20170478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brous layer
biodegradable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012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심진형
윤원수
허중보
정호윤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70478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478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Abstract

A shielding film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which is in contact with a bone graft material side; 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which is provid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is in contact with a gum layer; and a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which is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a cap which is bonded to an artificial dental root.

Description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생분해성 섬유를 이용한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for regenerating alveolar b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brane using biodegradable fibers.
사고 등의 이유로 치조골에서 뼈가 이탈되는 경우에 이를 재생하기 위해 뼈 이탈부에 본 파우더(bone powder; 골이식재)를 채우고 치조골 차폐막을 인공 치근에 연결시켜서 치조골 재생을 유도한다.When bone is released from the alveolar bone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bone bone is separated from the bone powder (bone powder) and the alveolar bone shield is connected to the artificial root to induce alveolar bone regeneration.
도 1에는 그러한 시술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치조골(100)에 뼈 이탈부(300)가 생기면 잇몸층(200)을 박리시킨 후 뼈 이탈부(300)에 뼈의 재생을 돕는 본 파우더를 채운다. 이 때 잇몸층(200)과 뼈 이탈부(300) 사이를 차폐해야 뼈의 재생에 유리하다. 인공 치근(10)이 관통하는 구멍부가 제공되는 차폐막이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차폐막의 소재에 티타늄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뼈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 이 티타늄 소재의 차폐막을 제거해야 하는데, 다시 잇몸층(200)을 박리시키는 시술을 하고 제거해야 하므로 난이도 높은 시술이 재차 이루어져 수술 비용이 증대하고 환자의 불편함도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An example of such a procedure is shown in FIG. When the bone leaving part 300 is generated in the alveolar bone 100, the gum layer 200 is peeled off, and the bone leaving part 300 is filled with the bone powder to help the bone regeneration. At this time, the shield between the gum layer 200 and the bone leaving portion 300 is advantageous for bone regeneration. A shielding membrane provided with a hole portion through which the artificial root 10 penetrates is used. Conventionally, titanium is used as a material of the shielding membrane. However, after the bone regeneration is completed, the titanium shielding film should be removed, and the procedure of peeling off the gum layer 200 should be removed and removed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st of surgery and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There was a downside.
한국특허 제1269127호 및 제0940074호에는 인체에 적용되는 생분해성 섬유 소재 및 그러한 소재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응해서 지지체를 제작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생분해성 섬유 소재를 주요 소재로 채택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지체 제작 장치 및 적층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두 개의 한국특허의 전체 내용은 그에 반하는 언급이 이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Korean Patent Nos. 1269127 and 0940074 disclose a biodegradable fibrous material applied to a human body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support by applying a multilayer using such a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can adopt such a biodegradable fiber material as a main material, and can be manufactured using such a support fabrication apparatus and a lamination method. The entire contents of these two Korean patents are included as part of this specification unless the contrary reference is made to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분해성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iodegradabl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which can prevent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ase of using a biodegradable material. It aims to do it.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은, 골이식재측에 접하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제공되며 잇몸층에 접하는 제2 생분해성 섬유층과, 인공 치근에 결합하는 캡에 맞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한다.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n contact with the bone graft material side, 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and a cap coupled to the artificial root. And a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in the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은, 골이식재측에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제공되며 잇몸층에 접하는 제2 생분해성 섬유층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는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한다.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on the bone graft material side, 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and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은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과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을 모두 포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shielding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both the first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the second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제1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1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may comprise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first interval.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2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iodegradable fiber layer may comprise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second interval.
상기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적층되는 제2-1 생분해성 섬유층과, 잇몸층에 접하는 제2-2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may include a 2-1 biodegradable fibrous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a 2-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제2-2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 및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할 수 있다.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the second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s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은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테두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생분해성 테두리층의 내측에 이어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odegradable edge layer constituting the edge of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wherein the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and the second biodegradable fiber layer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iodegradable edge layer. Can be stacked.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 제2-1 생분해성 섬유층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2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the 2-1 biodegradable fibrous layer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은 생분해성 섬유층으로 구성되므로 치조골과 잇몸층 사이에서 삽입된 후에 뼈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 자연스럽게 분해되므로 종래의 티타늄 소재의 차폐막과 달리 제거하는 시술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조 치근에 씌워지는 캡이 맞닿는 부분 및/또는 차폐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이 제공되므로 생분해성 섬유 소재로 차폐막을 구성할 때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고 편리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hielding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t is naturally decomposed after the bone regeneration is completed after being inser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gum layer, and thus, unlike the conventional titanium shielding membrane, there is no effect of removing the procedure. . And since the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er layer provided along the length of the capped portion of the artificial tooth root and / or the shielding membrane is provided, the problem occurring when constructing the shielding membrane from the biodegradable fiber material is solved at the sourc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도 1은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본 단면도 및 일부 단면 확대도.4 is a 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2의 B-B 선을 따라 본 단면도 및 일부 단면 확대도.5 is a 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5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fil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fil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50)은 테두리층(51)과, 골이식재층(300)에 접하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과,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위에 적층되는 제2-1 생분해성 섬유층(53)과, 제2-1 생분해성 섬유층(53) 위에 적층되며 잇몸층(200)에 접하는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과, 인공 치근(10)에 결합하는 캡(20)에 맞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는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을 포함한다.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fil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contacting the edge layer 51, the bone graft material layer 300, and 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1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3, 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3 is laminated on the 2-1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3, the second layer 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200 and the artificial root 10 A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5 provided at a portion abutting the cap 20, and a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6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위에 적층되며 잇몸층(200)에 접하는 섬유층은 그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하나의 층 또는 두 개 이상의 섬유층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위에 적층되는 층을 통칭하여 "제2 생분해성 섬유층"으로 부르며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여러 개의 적층된 섬유층이 될 수 있다.The number of fibrous layers laminat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and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200 is not limited in number, and one layer or two or more fibrous layers may be stack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layer stack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52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cond biodegradable fiber layer” and the second biodegradable fiber layer may be a plurality of laminated fiber layers.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및 제2 생분해성 섬유층(53, 54)는 테두리층(51)의 내측에 이어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과 제2 생분해성 섬유층(53, 5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은 제1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생분해성 섬유층(53)은 제2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 역시 제3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이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과 수직으로 교차한다. 그러나 반드시 수직으로 교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게 배열해도 무방하다.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and 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s 53 and 54 may be stacked to extend inside the edge layer 51. In additi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and 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s 53 and 54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52 may include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first interval. The 2-1 biodegradable fiber layer 5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second interval.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third interval, wherein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is provided with a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to intersect the fibrous layer 56. Preferably,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intersects the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6 perpendicularly. However,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to intersect vertically and may be arranged to cross at different predetermined angl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0)이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50)을 관통하고 캡(20)과 나사 결합하게 되면 캡(20)에 맞닿는 부분은 생분해성 섬유의 특성상 찢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구멍부 주위에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을 적층한다.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을 적층할 때에는 생분해성 섬유 사이에 틈(pore)을 주지 않거나 또는 좀 더 층을 많이 적층하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4에는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과 다른 섬유층과의 배열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를 적층할 때에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이 적층될 부분에는 적은 양의 생분해성 섬유 재료를 분사해서 두께를 줄이고, 그 위에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을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이 없는 부분에서는 그 아래의 제2-1 생분해성 섬유층(53) 또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위에 적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artificial root 10 penetrates the shielding membrane 50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and is screwed with the cap 20, a portion of the artificial root 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ap 20 may be easily tor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degradable fiber. hav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er layer 55 is laminated around the hole. When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5 is laminated, it may be molded in such a manner that no gaps are formed between the biodegradable fibers or more layers are laminated. 4 shows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5 and the other fibrous layer. When laminating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a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5 is laminated is sprayed with a small amount of biodegradable fibrous material to reduce the thickness, and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thereon. 55 can be laminated. In the part without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er layer 54, the second biodegradable fiber layer 53 or the second biodegradable fiber layer 53 or the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52 may be stacked below.
도 5에는 도 2의 B-B를 따라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이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 위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이 없는 부분에서는 제2-1 생분해성 섬유층(53) 또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은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과 같이 생분해성 섬유 사이에 틈(pore)을 주지 않거나 또는 좀 더 층을 많이 적층하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생분해성 섬유층(52) 내지 제2-2 생분해성 섬유층(54) 위에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5)과 같이 적층되며, 다만 차폐막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50)을 시술할 때에는 인조 치근(10)이 차폐막(50)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에 포셉(forcep)을 이용하여 잡아서 길이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수 있는데 이 때 티타늄 소재가 아닌 생분해성 섬유 소재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차폐막은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을 적층시켜서 그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세 개로 적층될 수 있는데,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면 되며 반드시 세 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wherein a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6 may be laminated on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and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n the absence of 54, 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3 or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may be laminated. The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6 may be molded in such a manner as to provide no pores between the biodegradable fibers or to stack more layers, such as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5. And stack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2 to 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4 together with the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5, but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elding film. When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50 is treated, the artificial root 10 may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shielding membrane 50 and then a force may be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using a forceps. The shie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of a non-biodegradable fibrous material, is likely to be torn. Therefore, such a problem can be prevented by stacking the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6.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56 may be stacked thre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the number of which may be selected as necessar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ree. .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that follow,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 or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changes and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1. 골이식재측에 접하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A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facing the bone graft material side,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제공되며 잇몸층에 접하는 제2 생분해성 섬유층과,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인공 치근에 결합하는 캡에 맞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하는,A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at a portion abutting the cap that engages the artificial root,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2. 골이식재측에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A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on the bone graft material side,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제공되며 잇몸층에 접하는 제2 생분해성 섬유층과,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는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하는,A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3.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2,
    제1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1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first interval,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2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at a second interval,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적층되는 제2-1 생분해성 섬유층과, 잇몸층에 접하는 제2-2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하는,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ncludes a 2-1 biodegradable fibrous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a 2-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6.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제2-2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 및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는,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the second reinforce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7.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제공되는,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테두리층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biodegradable edge layer constituting the edge of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shield,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 제2 생분해성 섬유층은 생분해성 테두리층의 내측에 이어지도록 적층되는,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the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re laminated so as to run inside the biodegradable edge layer,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9.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 제2-1 생분해성 섬유층은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며,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the 2-1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제2-2 생분해성 섬유층은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The second-2 biodegradable fibrous lay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10. 골이식재측에 접하는 제1 생분해성 섬유층과,A first biodegradable fiber layer facing the bone graft material side,
    상기 제1 생분해성 섬유층 위에 제공되며 잇몸층에 접하는 제2 생분해성 섬유층과,A second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on the first biodegradable fibrous layer and in contact with the gum layer;
    인공 치근에 결합하는 캡에 맞닿는 부분에 제공되는 제1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과,A first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at the portion abutting the cap coupled to the artificial root,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는 제2 보강 생분해성 섬유층을 포함하는,A second reinforcing biodegradable fibrous layer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Shield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PCT/KR2015/011012 2015-09-15 2015-10-19 Shield film for regenerating alveolar bone WO2017047859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131A KR20170032604A (en) 2015-09-15 2015-09-15 Guided Bone an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KR10-2015-0130131 2015-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859A1 true WO2017047859A1 (en) 2017-03-23

Family

ID=5828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012 WO2017047859A1 (en) 2015-09-15 2015-10-19 Shield film for regenerating alveolar b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32604A (en)
WO (1) WO201704785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089A (en) 2021-08-27 2023-03-08 주식회사 웰나노스 Titanium metal membrane for medical applic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988B1 (en) * 1995-09-15 1998-06-15 김상응 Biodegradable film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KR101067827B1 (en) * 2010-03-19 2011-09-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405839B1 (en) * 2012-08-01 2014-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KR101492771B1 (en) * 2014-06-27 2015-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fibrous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98889A (en)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ntal combined barrier membra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988B1 (en) * 1995-09-15 1998-06-15 김상응 Biodegradable film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KR101067827B1 (en) * 2010-03-19 2011-09-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scaffold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405839B1 (en) * 2012-08-01 2014-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KR20150098889A (en)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ntal combined barrier membrane
KR101492771B1 (en) * 2014-06-27 2015-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fibrous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04A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868B2 (en) Patella fracture reduction plates
CN1153550C (en) Medical adhesive bandage, delivery system and method
ATE420674T1 (en) THREE-DIMENSIONAL PROSTHETIC TISSUE WITH A RESORBABLE DENSE TOP LAYER
WO2013133623A1 (en) Barrier membrane for guiding osseous tissue regeneration
US20130288199A1 (en) Composite regeneration membrane
US7848824B2 (en) Sealed medical electrode package
DE102011108726A1 (en) Connection device for use in the vacuum treatment of wounds
RU2013125475A (en) SELF-PRESERVING SURFACE MATERIALS, ALLOCATING MEDICINES, AND METHODS RELATING TO THEM
US20090082816A1 (en) Remodelable orthopaedic spac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7047859A1 (en) Shield film for regenerating alveolar bone
DE3810658C2 (en)
JP7456934B2 (en) Tissue grafts with prefabricated attachment points
CN103405289A (en) Device based on liquid metal and used for repairing defective peripheral nerve function
WO2018012796A1 (en) Implant for orbital wall
WO2019027272A1 (en) Artificial conduit for nerve anastomosis
CN111542289A (en) Wound dressing
CA2945260A1 (en) Stepped intermediate layer (laminated tolerance compensation sheet)
RU2422083C2 (en) Biomedical electrode, gel for application with biomedical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iomedical electrode
WO2014042343A1 (en) Implant fixture
KR101764858B1 (en) Nanofiber nerve condui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58334B1 (en) Tube anchoring systems for insertion into nasal cavity
WO2023219347A1 (en) Osteosynthesis pl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steosynthesis plate structure
KR102430728B1 (en) Implant unit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WO2019093555A1 (en) Cone-type tubular suture and needle assembly incorporating same
JP2017533776A (en) Elastic device for reconstruction of rotator cu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41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41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