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33268A1 -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33268A1
WO2016133268A1 PCT/KR2015/012240 KR2015012240W WO2016133268A1 WO 2016133268 A1 WO2016133268 A1 WO 2016133268A1 KR 2015012240 W KR2015012240 W KR 2015012240W WO 2016133268 A1 WO2016133268 A1 WO 20161332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main body
crad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240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최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훈 filed Critical 최성훈
Publication of WO20161332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332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Definitions

  • the le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rotatable 360 degre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legs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to each other symmetrically around the support portion (30).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four legs are provided and two structur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30.
  • the number of legs 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in three, six, eigh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allow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er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facilitating the watching of a video, etc. The holder comprises: a main body part for hol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rotation part which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part and holds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rotatable; a support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part; and a plurality of leg parts which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The holder can easily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ven in places where the surface is not flat.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치대에 의해 휴대형 전자기기를 소정의 각도로 세워 동영상 감상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facilitate watching a video, etc. by set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cradle.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는 제한된 메모리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휴대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PDA(wireless PDA) 등을 포함한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mited memory and a display, and is a generic nam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smartphone, a PDA, and the like.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무선인터넷 기능과 고사양의 터치스크린 방식이 일반화되는 한편, 스마트폰은 고가의 장치로서 통신수단의 기능뿐만 아니라 액세서리의 기능을 겸하게 되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for example, smart phones, is common, and most people have smart phones. In addition, while the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the high-spec touch screen method has become commonplace, smart phones have become an expensive device that functions not only as a communication means but also as an accessory.
이러한 휴대형 전자기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항시 소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형 전자기기는 전화기 기능 외에도 사진기 기능, 동영상 플레이어 기능, 일정 관리 기능, 은행 업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검색 기능, 게임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asically carry a user's phone at all times and perform a phone call to perform a voice or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In addition to the phone func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amera function, a video player function,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 banking function, an information search function using a wireless Internet, and a game function.
종래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는 대개 자동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휴대폰으로 전화 또는 동영상 감상을 할 때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어 개발되었기 때문에 자동차에 한정되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The support of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usually attached to a vehicle, and is limited to a vehicle because it was developed with only a focus on inducing a driver to drive safely while watching a call or a video on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There was a problem to us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Documents 1 and 2 below.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496호(2013.08.09 등록)에는 모바일 아이티 기기의 배면을 덮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도록 테부리부에 형성된 안착홈부, 상기 개구부의 양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착탈홈, 상기 개구부의 한쪽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다른 한쪽에 돌출 형성된 연장 받침부, 상기 연장 받침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고 한쪽에는 상기 안착홈부에 끼워지는 절곡부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다른 한쪽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재에 회동가능 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절곡부의 양쪽에 형성된 끼움홈, 상기 끼움홈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착탈홈에 끼워지는 끼움부;로 이루어진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496 (registered on August 09, 2013) in the case for the mobile Haiti device equipped with a mounting means including a base covering the back of the mobile Haiti device, the opening formed in the base A seating groove portion formed at the edge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 portion, a detachable groov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a support member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hinge axis on on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 support member protrudingly formed,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extension support portion is fitted, and a bending portion fitted to the sea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on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other sid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bout a hinge axis. And fitting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and formed by the fitting grooves for the detachment.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to; mount consisting of means are disclosed for th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Haiti.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96204호(2014.08.05 공개)에는 스마트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본체에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거치대와 벽에 고정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하는 거치대 겸용 스마트폰 케이스로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거치대와 대응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면 상기 휴대폰케이스 본체와 일체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를 구성하고, 일단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채 타단이 상기 수납부에서 이탈되면 상기 휴대폰 케이스 본체를 경사지게 세워주는 기능을 구비한 거치대 겸용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096204 (2014.08.05 public) is a smart phone case body and a cradle combined smart including a cradle and a band that can be fixed to the wall coupled to the smartphone case body rotatable 360 degrees As a phone case, the smartphone cas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holder, the holder is stored in the housing unit integrally with the mobile phone case main body, one end is the storage unit Disclosed is a dual-use smart phone case having a function of raising the mobile phone case main body inclined when the other end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while being stored in th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일 방향으로만 지지할 뿐 회전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서 동영상을 보거나 인터넷 등의 검색시 경우에 따라 표시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가로 방향으로만 지지되므로 세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upported only in one direction and cannot be rotated. That is, for example, when using a display screen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some cases when watching a video or search on the Internet, such as a smartphon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not be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ause it is support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was.
또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단순히 스마트폰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뿐 스마트폰을 일정 높이의 위치까지 위치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별도로 마련되므로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있고,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장소, 예를 들어 암반 등과 같이 울퉁불퉁한 곳에서는 거치대의 기능을 발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martphone cannot be position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imply by rotatably supporting the smartphone. In additio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inconvenient to carry because it is provided separately in the smart phone case, and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the cradle in a place where the floor is not flat, for example, a rocky plac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can easily suppor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ven when the floor is not fla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전자기기를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켜 지지하며, 휴대형 전자기기를 이용 상황에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raising and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capable of rota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360 degrees according to the use situ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각각 회전 가능한 회전부, 지지부와 다리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휴대형 전자기기를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켜 지지하며, 휴대형 전자기기를 이용 상황에 따라 36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otatable rotating part, a supporting part and a leg pa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supported even in a place where the floor is not flat. It is supported by rais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can be used by rota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60 degrees according to the use situa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회전부의 외주면에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끼워 맞추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어 회전부와 지지부의 회전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projections to be fitted with the plurality of recesses can be maintained in the desired state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he effect is also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a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part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체부의 제2 본체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main body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2;
도 5는 본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in bod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the cradl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draw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의 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체부의 제2 본체의 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a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part shown in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main body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휴대기기가 유지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부(10)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부(20), 상기 회전부(20)에 결합된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부(30)와 연결된 다수의 다리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a mobile device is held, a rotating part embedded in the main body 10, and rotatably holding the main body 10. 20, a support part 30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20, and a plurality of leg parts 40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0.
상술한 바와 같은 거치대는 강화 플라스틱, 우레탄 수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리부(40)에 의한 거치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충분하므로, 특정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radle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a reinforced plastic, a urethane resin, a metal material, it is enough to have a mounting function by the leg portion 40,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상기 본체부(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대략 원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는 암수 결합 기능으로서 상호 결합되는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 has one side open and a substantially circular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the main body 10 has a first main body coupled to each other as a male and female coupling function. 11) and the second body 12.
상기 제1 본체(11)에는 반원형의 한 쌍의 돌출부(14)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본체(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돌출부(14)가 끼워 맞추어지는 반원형의 한 쌍의 결합 홈(13)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본체(12)의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오목부(16)가 형성된다.The first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mi-circular protrusions 14, and the second main body 12 has a semi-circular shape to which the pair of protrusions 14 are fitted, as shown in FIG. 4. A pair of coupling grooves 13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recesses 16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body 12.
또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의 관통 구멍 부분에는 각각 단차부(15)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단차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20)의 양쪽의 표면과 상기 제1 본체(11) 및 제2 본체(12)의 외측 표면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15 is provided in each of the through-hole portions of the first body 11 and the second body 12, and the rotating portion 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tepped portion 15. Accordingly, both surfaces of the rotating part 20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 and the second body 12 are formed in the same plane.
상기 회전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관통 구멍 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지도록 관통 구멍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수의 오목부(16)와 끼워 맞추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돌기부(23)가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돌기부(23)는 회번부(20)의 회전에 따라 본체부(10)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rotating part 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so as to be rotatably fit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10, and the rotating part 20. At least one pair of protrusions 23 to be fitted with the plurality of recesses 16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pair of protrusions 23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ymmetrical position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body portion 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unit (20).
또 상기 회전부(2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개방된 개방부와 한 쌍의 끼움 홈(22)이 마련된 장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의 폭은 상기 지지부(30)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되고, 장착부(21)에는 상기 지지부(30)의 두께에 대응하는 움푹 파인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움푹 파인 부분의 내측 양단에 한 쌍의 끼움 홈(2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1)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돌기부(23)가 장착부(21)과 일체로 마련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side the rotating part 20, an opening part having one side open and a mounting part 21 provided with a pair of fitting grooves 22 are formed.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support portion 30, the mounting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30, the inner both ends of the recessed portion A pair of fitting grooves 22 are provided. In addition, a pair of protrusions 23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ounting portion 2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1.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서는 한 쌍의 돌기부(23)가 상기 다수의 오목부(16)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14)가 반원형의 한 쌍의 결합 홈(13)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과 회전부(20)가 결합된다.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rotrusions 23 are fitted to the plurality of recesses 16, and the pair of protrusions 14 are fitted to a pair of semicircular coupling grooves 13.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 and the rotating uni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지지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21)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회전부(2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30)에는 상기 한 쌍의 끼움 홈(22)에 제1 결합핀을 이용하여 대략 90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용 돌기(31) 및 제2 결합핀을 이용하여 상기 다리부(40)와 360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용 돌기(3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part 30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part 20 through the opening part of the mounting part 21, and the support part 30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22 in the pair of fitting grooves 22. A first coupling protrusion 31 rotatably coupled within a range of about 90 degrees using a coupling pin and a second rotatably coupled with the leg portion 40 in a 360 degree range using a second coupling pin. Coupling protrusion 32 is formed.
상기 다리부(40)에는 상기 제2 결합핀을 통해 360도 회전 가능한 다수의 다리가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다리는 상기 지지부(3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서로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다리가 마련되고 지지부(3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서 다리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6개, 8개 등으로 마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le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rotatable 360 degre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legs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to each other symmetrically around the support portion (30).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four legs are provided and two structur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30. However, the number of legs 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in three, six, eight, or the lik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assembly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지지부(30)와 다리부(4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핀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끼움 홈(22)에 제1 결합핀을 이용하여 대략 90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용 돌기(31)의 부분을 한 쌍의 끼움 홈(22)에 장착한다. 상기 제1 결합용 돌기(31)의 내부를 관통한 제1 결합핀이 한 쌍의 끼움 홈(2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부(20)과 지지부(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First,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 part 30 and the leg part 40 are coupled by the second coupling pin 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fitting grooves 22 are approximately 90 using the first coupling pin. A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31 rotatably coupled within the range of FIG. Is mounted in the pair of fitting grooves 22. The rotating part 20 and the support part 30 are rotatably coupled by inserting the first coupling pi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1 into the pair of fitting grooves 22.
이어서, 상기 회전부(20)를 제1 본체부(11) 또는 제2 본체부(12)의 단차부에 서 상기 한 쌍의 돌기부(23)가 상기 다수의 오목부(16)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장착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14)와 반원형의 한 쌍의 결합 홈(13)을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가 형성된다.Subsequently, the rotating part 20 is mounted so that the pair of protrusions 23 fit into the plurality of recesses 16 at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 or the second main body 12. Then, by fitting the pair of protrusions 14 and a pair of semi-circular coupling groove 13, a cradle is formed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다리를 내측으로 약 30도 정도 회전시키고, 2개의 다리를 외측으로 약 30도 정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cradle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s portable even when the floor is not flat by rotating the two legs about 30 degrees inward and rotating the two legs about 30 degrees outward as shown in FIG.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supported.
또 상기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본체부(10)가 양측면이 대략 원형이고 상하부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구로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 전체를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서 본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 has been described as a sphere in which both sides are substantially circula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in a straight lin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may be approximately squa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ody portion 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부(10)의 표면에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자석 부재 또는 점착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By providing a magnet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for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attached in the state shown in FIG.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6 및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100)에 장착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100,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the holder shown in FIG.
이 다른 실시 예에서,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구조이고, 본체부(10)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100)와 일체로 된 구조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 and the main body 10 is integrated with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즉, 본체부(10)의 제1 본체(11)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100)와 일체로 마련되고, 지지부(30) 및 다리부(40)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100)의 일부 평면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That is, the first body 11 of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so that the support portion 30 and the leg portion 40 to maintain a partial plane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It is prepar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가 휴대폰 보호 케이스(100)와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다리부(40)를 케이스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cradle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the leg 40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cas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품으로 사용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보호 케이스(100)와 일체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hold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single unit as shown in FIG. 1, or may be us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as shown in FIG. 7.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By using the hold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supported even in a place where the floor is not flat.

Claims (7)

  1. 휴대기기가 유지되는 본체부,Body part holding the mobile device,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부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부,A rotating part embedded in the main body part and rotatably holding the main body part;
    상기 회전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A support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다수의 다리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plurality of legs connected to the support,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는 일 측이 개방된 개방부와 한 쌍의 끼움 홈이 마련된 장착부가 형성되고,Inside the rot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and a pair of fitting groove is open at one sid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회전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한 쌍의 끼움 홈에 제1 결합핀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용 돌기 및 제2 결합핀을 이용하여 상기 다리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The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part through an opening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uses a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pin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tting grooves using a first coupling pin. The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g.
  2.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본체부에는 일 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원형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호 결합되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포함하고,The main body portion has one side open and a circular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 본체에는 반원형의 한 쌍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본체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반원형의 한 쌍의 결합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The first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mi-circular protrusions, and the second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mi-circular coupling grooves to which the pair of protrusions are fitte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body. The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3.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회전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수의 오목부와 끼워 맞추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돌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The rotating pa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is a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air of protrusions fitted with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provided.
  4. 제3항에서,In claim 3,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관통 구멍 부분에는 각각 단차부가 마련되고,Stepped portions are provided in the through-hole portion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단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The rotating par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tepped portion,
    상기 회전부의 표면과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표면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The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plane.
  5. 제4항에서,In claim 4,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제2 결합핀을 통해 360도 회전 가능한 다수의 다리가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다리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서로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The le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rotatable 360 degre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in, the plurality of legs crad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ame number to each other symmetrically around the support.
  6.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자석 부재 또는 점착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A crad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for suppor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7.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본체부는 휴대형 전자기기 보호용 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The main body unit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built in the case for protec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CT/KR2015/012240 2015-02-16 2015-11-13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6133268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993 2015-02-16
KR1020150022993A KR101537576B1 (en) 2015-02-16 2015-02-16 Holder for handheld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3268A1 true WO2016133268A1 (en) 2016-08-25

Family

ID=5387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240 WO2016133268A1 (en) 2015-02-16 2015-11-13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7576B1 (en)
WO (1) WO201613326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010B1 (en) 2015-10-12 2017-05-12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Ring ca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932B1 (en) * 2001-12-29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 Assembly for Flat type Monitor having 2-joint type hinge
KR20120136475A (en) * 2011-06-09 2012-12-20 전동욱 Rest for hang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2013042254A (en) * 2011-08-12 2013-02-28 Sanei:Kk Mobile terminal apparatus stand
KR101323353B1 (en) * 2013-04-29 2013-10-29 (주)스마트이지 Apparatus of grip and stand for portable terminal
JP2014120972A (en) * 2012-12-18 2014-06-30 Suna Co Ltd Holder of tablet typ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932B1 (en) * 2001-12-29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 Assembly for Flat type Monitor having 2-joint type hinge
KR20120136475A (en) * 2011-06-09 2012-12-20 전동욱 Rest for hang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2013042254A (en) * 2011-08-12 2013-02-28 Sanei:Kk Mobile terminal apparatus stand
JP2014120972A (en) * 2012-12-18 2014-06-30 Suna Co Ltd Holder of tablet typ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101323353B1 (en) * 2013-04-29 2013-10-29 (주)스마트이지 Apparatus of grip and stand for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576B1 (en)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9615B (en) Device cover for accessory attachment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20160173667A1 (en) Magnetic mobile phone mounting kit
KR20170042939A (en) Ring case
WO2012102440A1 (en) Case for a mobile terminal
WO2012121503A2 (en) Mobile it device case having a support means
KR20140123837A (en) Appartus for keeping smartphone
WO2016133268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5080417A1 (en) Handgrip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support function
US11987183B2 (en)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CN219124241U (en) Mobile phone protection shell and charging accessory
WO2016159743A2 (en) Ring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comprising same
CN107024823B (en) Protective housing of joinable additional camera lens
WO2015184705A1 (en) Mobile terminal with embedded usb plug
KR101102464B1 (en) Case for portable digital devices comprising parts for protecting and standing the digital devices
KR200476557Y1 (en) Smart phon protection case having cushioning and sticking function
KR101424938B1 (en) Multipurpose Supporter
KR20130062534A (en) A mobile phone with screen magnification lens of easy to carry, keep and manage
KR20140124036A (en) Frame or cell phone Cover that consists of cell phone Prop System of Length and Breadth
CN212588130U (en) Portable power source with support
CN220935212U (en) Protective housing
CN217847356U (en) Display device
CN214046228U (en) Protective shell assembly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assembly
US11973528B2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006213B1 (en) Shower entertain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828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2/01/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828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