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11390A1 -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11390A1
WO2016111390A1 PCT/KR2015/000162 KR2015000162W WO2016111390A1 WO 2016111390 A1 WO2016111390 A1 WO 2016111390A1 KR 2015000162 W KR2015000162 W KR 2015000162W WO 2016111390 A1 WO2016111390 A1 WO 20161113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g
coupled
leg members
pair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01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세복
이연희
이관원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이세복
이연희
이관원
이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복, 이연희, 이관원, 이경원 filed Critical 이세복
Priority to PCT/KR2015/0001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11390A1/ko
Publication of WO20161113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113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hair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is portable.
  • the chair used for such outdoor activities should be configured in a vehicle mountable form, and should be folded. Recently, many portable chairs that can be folded to reduce their volume have been introduced, and these portable chairs are used in fishing fields.
  • disassembly and assembly should be convenient in order to carry it in a bag or to carry it on a bicycle.
  • disassembling it should not only be easy to be completely disassembled so that it can be easily put in the bag, but also be easily assembled when used.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2126 (3-stage folding type chai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hai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and to be portable by minimizing a volume when disassembling.
  • Portabl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wo pairs of le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 pair of posture retaining plates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a posture crossing one by one among the pair of leg members; wherein the posture maintaining plate is coupled to a posture in which a pair of le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s are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used as a chair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air of the pair of legs.
  • a pair of upper connecting member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ymmetrical legs of the two pairs of leg members; And a fixing pi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eg member in a coupled state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eg member.
  •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leg members can be coupled in an inclined posture.
  • leg members may have a hollow pipe structure.
  • the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 is preferably formed equal to the width of the leg members.
  • the volume is small,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arr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chair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chair of FIG. 1.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chair of FIG.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4.
  • FIG. 6 is a plan view of the attitude maintaining plate of FIG. 1.
  • the portable chair 100 includes two pairs of leg members 110 and 120 and two pairs of leg members 110 and 120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 the posture maintaining plate 130 supporting the posture maintaining the crossing postur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0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leg members 110 and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leg.
  • a fixing pin 150 is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embers 110 and 120.
  • Each of the pair of leg members 110 and 120 has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and preferably has an empty pipe structure therein.
  • the leg members 110 and 120 may have a rectangular pipe structure or a circular pipe structure, and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rectangular pipes.
  • each leg member 110 and 1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 or may be formed differently.
  •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re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 a pin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150 is fitte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members 110 and 120.
  • the posture maintaining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pair, each of the leg members (110, 120)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at is, each leg member (110, 120) is inserted and coupled so as to maintain a posture intersecting with 'X' And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s 131 and 132.
  • the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s 131 and 132 have a short width a corresponding to the width a of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nd the short width a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re inclined. It is formed with a larger long width b, and is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hort width a direction, but is form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only in the long width b direction.
  •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s 131 and 132 may be inclined inwardly so that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re coupled in an inclined posture to maintain posture. That is, it is formed to have an inner side surface inclined by the distance drawn by the hidden line in the long width (b) in FIG. As such,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r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eg coupling holes 131 and 132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rossed postures can be kept constant.
  •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pair, each is assembled to connect the bridge members 110, 120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each other.
  •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0 is one upper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members 110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posture maintaining plate 130 spaced from each other, the other leg members It includes another upper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120.
  • Each upper connecting member 140 has a leg coupling portion 142 to which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re fit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body 141 having an upper long plate structure. That is, a pair of leg coupling portion 142 is install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body 141 for each upper connecting member 140. Pin coupling hole is also formed in the leg coupling portion is fixed pin 150 is coupled.
  • the fixing pin 150 is coupled to pass through the pin coupling hole of the leg coupling portion and the leg members 110 and 120 using the fixing pin 150.
  •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40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leg members 110 and 120 are coupled using the fixing pin 15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the chair 100 maintains a stable posture as a chair to be used as a chair. The assembly is not separated even if the assembly is moved in the completed state.
  • the sheet member 160 is coupled to cover the pair of upper connection members 140 an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40.
  • the sheet member 16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fiber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0 on the rim.
  • the portable chair 1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chai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so that when carrying, the volume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portable chai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easily when us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limbing, fishing, picnic, so that can be used simply assembled.
  • the sheet member 160 may be used as a crepe to wrap and store the parts.
  • the portable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chair but also as a support for supporting a round table, a table, a display table, and the lik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rtabl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 FIG. 7 and FIG. 8 a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circular table or table 200, three or more leg members 110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and the three or more leg members 110 are tilted.
  • the posture maintaining plate 230 to support in a true posture three leg coupling holes 231 are formed to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in the same radius band based on the center C.
  • the leg coupling hole 231 may support the leg members 110 to be coupled in an inclined posture to maintain the posture.
  • the upper connection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g members 110, and the upper connection member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200.
  •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240 is coupled so that the leg member 110 is not separated, the upper end of the table 200 may be coupled. And the upper connection member 240 and the leg member 110 is fixedly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the fixing pin 250.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서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되는 자세로 두 쌍의 다리부재, 두 쌍의 다리부재 중에서 한 쌍씩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자세 유지판을 포함하여, 자세유지판에는 한 쌍의 다리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교차하는 자세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이 형성되며, 두 쌍의 다리부재 상부에 시트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가 게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경제적인 여유가 늘어나게 되어 가족들과 또는 동우회, 또는 개인적으로 야외 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야외 활동시에 간단한 조립식 탁자와, 의자를 선호하는 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야외 활동에 사용되는 의자의 경우에는 차량 탑재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며, 접철이 가능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접철이 가능하여 그 부피의 축소가 가능한 휴대용 의자가 많이 선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의자는 낚시터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의자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이즈가 클 뿐만 아니라, 부피를 많이 차지하면서도 중량인 경우가 많아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등산, 자전거 하이킹, 올레길 탐방 등의 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은 가방을 휴대하거나 자전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방에 넣어서 다닐 수 있거나 자전거에 탑재하여 휴대할 수 있기 위해서는 분해 조립이 편리하여야 하고, 분해시 가방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완전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22126호(3단 접철형 의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분해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의자는, 서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되는 자세로 두 쌍의 다리부재;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 중에서 한 쌍씩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자세 유지판;을 포함하여, 상기 자세유지판에는 한 쌍의 다리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교차하는 자세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 상부에 시트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의 서로 대칭되는 다리부재들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다리부재를 통과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은 상기 다리부재들이 경사진 자세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들은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 사이의 폭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다리부재들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의자에 따르면, 부피가 작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등산, 소풍, 낚시 등 야외 활동시 용이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의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의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자세 유지판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10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두 쌍의 다리부재(110,120)와,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110,120) 각각이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자세 유지판(130)과, 서로 이격된 다리부재들(110)(12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재(140)와, 상부 연결부재(140)와 다리부재(110,120)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핀(150)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110,120) 각각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그 내부가 빈 파이프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리부재(110,120)는 사각 파이프 구조 또는 원형 파이프 구조 모두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 파이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각 다리부재(110,120)는 서로 동일한 폭(a)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리부재(110,1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부재(110,12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핀(150)이 끼워져 결합되는 핀 결합공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자세 유지판(130)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다리부재(110,120)가 서로 교차하는 자제 즉, 'X'자로 교차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다리부재(110,120)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131,132)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131,132)은 다리부재들(110,120)의 폭(a)에 대응되는 단폭(a)과, 다리부재들(110,120)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는 상기 단폭(a)보다 큰 장폭(b)으로 형성되며, 단폭(a) 방향으로는 서로 이격되지 않고, 장폭(b) 방향으로만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131,132)은 다리부재(110,120)가 기울어진 자세로 결합되어 자세유지될 수 있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 장폭(b) 방향으로 은선으로 그려진 거리만큼 경사진 내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131,132) 각각에 다리부재(110,120)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교차된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14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다리부재(110)(120)끼리 서로 연결하도록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연결부재(14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자세 유지판(130) 각각에 연결되는 다리부재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하나의 상부 연결부재와, 다른 다리부재들(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또 하나의 상부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부 연결부재(140)는 상부의 긴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연결부재 몸체(141)의 하부에 다리부재들(110,120)이 끼워져 결합되는 다리 결합부(142)를 가진다. 즉, 다리 결합부(142)는 각 상부 연결부재(140) 마다 한 쌍이 연결부재 몸체(141)의 양측 하부에 설치된다. 다리 결합부에도 고정핀(150)이 결합되는 핀 결합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리 결합부에 다리부재(110,120)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150)을 이용하여 다리결합부와 다리부재(110,120)의 핀결합공을 통과하도록 고정핀(150)을 결합함으로써 상부 연결부재(140)가 다리부재(110,120)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정핀(150)을 이용하여 상부 연결부재(140)와 다리부재(110,120)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의자(100)가 의자로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어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이동하더라도 조립된 상태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휴대용 의자(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부 연결부재(140)를 덮으며 시트부재(160)가 상부 연결부재(14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시트부재(160)는 합성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에 상기 상부 연결부재(140)를 깜싸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조립된 휴대용 의자(100)의 상부에 시트부재(160)를 설치함으로써 어디서든 간편하게 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100)에 따르면,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하여 휴대시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가방 등에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도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등산, 낚시, 소풍 등 야외 활동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분리하여 휴대시에는, 모든 부품들을 완전 분해한 뒤, 시트부재(160)를 보자기 형태로 사용하여 부품들을 감싸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의자뿐만이 아니라 원형탁자나 테이블, 진열테이블 등을 받치는 받침대의 역할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의자는 다양한 사용예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원형 테이블 또는 탁자(200)를 받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한 다리부재(110)가 3개 이상 구비되고, 그 3개 이상의 다리부재(110)를 기울어진 자세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유지판(230)에는 3개의 다리 결합공(231)이 중심(C)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 대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리 결합공(231)이 다리부재들(110)을 기울어진 자세로 결합되도로 지지하여 자세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재들(110)의 상단에는 상부 연결부재(240)가 결합되며, 상부 연결부재는 탁자(2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연결부재(240)의 하부에는 다리부재(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단은 탁자(200)가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연결부재(240)와 다리부재(110)는 고정핀(250)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휴대용 의자
110,120..다리부재
130,230..자세 유지판
140,240..상부 연결부재
150,250..고정핀
160..시트부재
200..테이블

Claims (5)

  1. 서로 이격되며, 서로 대칭되는 자세로 두 쌍의 다리부재;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 중에서 한 쌍씩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자세 유지판;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의 서로 대칭되는 다리부재들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다리부재를 통과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자세유지판에는 한 쌍의 다리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교차하는 자세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두 쌍의 다리부재 상부에 시트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재 몸체와;
    상기 연결부재 몸체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리부재들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은 상기 다리부재들이 경사진 자세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들은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다리 결합공 사이의 폭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다리부재들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5. 서로 이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자세로 배치되는 3개의 다리부재;
    상기 3개의 다리부재를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자세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3개의 다리부재가 결합되는 3개의 다리 결합공이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 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 자세유지판과;
    상기 3개의 다리부재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며, 그 상부에 탁자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다리부재는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블.
PCT/KR2015/000162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WO20161113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162 WO2016111390A1 (ko)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162 WO2016111390A1 (ko)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1390A1 true WO2016111390A1 (ko) 2016-07-14

Family

ID=5635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0162 WO2016111390A1 (ko) 2015-01-07 2015-01-07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1139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22U (ko) * 1999-03-09 2000-10-16 안영남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US20030010262A1 (en) * 2001-07-13 2003-01-16 Liu Lausan Chung-Hsin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top and leg frame
KR20110011683U (ko) * 2010-06-11 2011-12-19 박정식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20130044412A (ko) * 2011-10-24 2013-05-03 전영철 테이블 겸용 착탈식 간이 의자
KR101502573B1 (ko) * 2013-08-14 2015-03-16 이세복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22U (ko) * 1999-03-09 2000-10-16 안영남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US20030010262A1 (en) * 2001-07-13 2003-01-16 Liu Lausan Chung-Hsin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top and leg frame
KR20110011683U (ko) * 2010-06-11 2011-12-19 박정식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20130044412A (ko) * 2011-10-24 2013-05-03 전영철 테이블 겸용 착탈식 간이 의자
KR101502573B1 (ko) * 2013-08-14 2015-03-16 이세복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796B2 (en) Framework system
US8974350B2 (en) Trampoline
US20080070753A1 (en) Portable pole-dancing assembly
US8807193B2 (en) Collapsible, flexible display system
US11350755B2 (en) Foldable chair
WO2017217707A1 (ko) 접이식 침대
WO2016111390A1 (ko)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US20070170138A1 (en) Tray fastening devices for modular shelving
EP2559460B1 (en) Trampoline
KR101502573B1 (ko)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KR200457904Y1 (ko) 접이식 간이 테이블
WO2016065981A1 (zh) 折叠椅结构
KR101696192B1 (ko) 레저용 절첩식 테이블
US20050269851A1 (en) Pendulous support
CN209620693U (zh) 多用途泳池
US7627914B2 (en) Hammock stand
CN210448028U (zh) 一种便于组装的家庭用篮球架
CN209846566U (zh) 一种多功能坐凳
CN202980726U (zh) 一种吊床
KR20170002579U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AU2006100018B4 (en) Modified Trampoline Holder Structure
US11834859B2 (en)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CN210841999U (zh) 一种折叠桌
CN209360167U (zh) 一种多功能宝宝餐椅
WO2024019367A1 (ko) 간이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71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71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