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7915A1 -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7915A1
WO2016027915A1 PCT/KR2014/007790 KR2014007790W WO2016027915A1 WO 2016027915 A1 WO2016027915 A1 WO 2016027915A1 KR 2014007790 W KR2014007790 W KR 2014007790W WO 2016027915 A1 WO2016027915 A1 WO 20160279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vice module
cradle
usb
charging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7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Priority to KR102015700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018B1/ko
Priority to PCT/KR2014/007790 priority patent/WO2016027915A1/ko
Publication of WO20160279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79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harging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USB charging for charging a detachable module of a wearable device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It relates to a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B universal serial bus
  • wearable devices which can be worn on body parts such as wrists and arms and are wirelessly connected to smart phones and provide various functions as sub-displays, control panels, and sensors, are also known as smart gears.
  • smart gears Smart watch (watch), or smart band (band) in the name of the market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smart phone users.
  • Such wearable devices have several features, one of which requires charging. It is a device that is carried around the body, so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necessary power through charging. Typically, you can use a few days on a single charge, but power consumption can vary from day to day, so you need to carry a charger to charge it right away when you need it. The other is that design factors matter. It's a device that's carried around, so it's also an accessory. As a result, the size and shape of the device module is inevitably diversified. Another is the need for waterproofing. Wearable devices are often worn on wrists or arms and are highly utilized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sports. Due to the need for waterproofing, the design of charging terminals exposed to the outside is limited.
  • the wearable device requires a charg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arry and use, can be applied to modul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is suitable for waterproofing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with a structur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can be easily charged by connecting to a USB port, and can be applied to a device module of various shapes and sizes having a flat electrode pad which is advantageous for waterproofing as a charging termina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S charging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the USB charging cradle has a USB connection terminal that is inserted into the USB port on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harging target A bar type electrode plate having an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And a cradle housing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the output terminal part being exposed, and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being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output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 the cradle housing may accommodate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such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art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when in a use state.
  • the cradl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that exposes an output terminal of the bar electrode plate when at least in use; And a device module mounting part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engage and fix the device module.
  •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has a slide coupling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device module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the bar so that the slide direction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coupling the device module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is exposed
  • the slide directions for pulling out the type electrode plates can b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radle housing and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cradle housing when in use.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supporting.
  • the output terminal is composed of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consisting of a flat electrode pad.
  • a wearable device includes a wearable band wearable on a body; A device module detachably mounted to the wearable band; And a USB charging cradle inserted into a USB port in a state where the device module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and is mounted to charge the device module.
  • the USB charging cradle has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and a bar type having an output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and correspond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a device module to be charged. Electrode plates; And a cradle housing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the output terminal part being exposed, and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being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output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 the cradle housing when in use, accommodates the bar electrode plate such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and at least in use, exposes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r electrode plate. Letting openings; And a device module mounting part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engage and fix the device module.
  • the portion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of the cradle housing, and the wearable band may include a portion formed to engage with the portion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 the USB charging cradle has an output terminal consisting of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the devic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erminal in a state mounted on the USB charging cradle It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disposed in a position, consisting of a flat electrode pad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lectrode.
  • a devic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can be easily carried, connected to a USB port, and can be easily charg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USB charging cradl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state of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state of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USB charging cradle as seen from the device module mounting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device module is mounted on the USB charging cradle of FIG. 6.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vice modul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rist watch 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USB charging cradle
  •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 portable state.
  • the USB charging cradle 100 has a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and a cradle housing 20.
  • the bar electrode plate 10 has a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inserted into a USB port on one side thereof, and a charging terminal of a device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and charged on the other side thereof.
  • the cradle housing 20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ar electrode plate 10, exposes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nd engages wit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12.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refers to a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USB connection terminals 11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separated from each other of the USB port, and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12. Refers to the part comprising a.
  •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When the cradle housing 100 is in us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is extended such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is drawn out of the cradle housing 20 in a sliding manner. Accept.
  • the device module is formed adjacent to the opening 23 and the opening 23 to expose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when at least in use, the device module is formed so as to engage and secure the device module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1. Exposing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when the opening 23 is at least in use state is essential tha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3 when in use state, and when the portable state is in the portable state.
  •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may or may not be expo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pening 23.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exposed toward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through the opening 23 in both the use state of FIG. 2 and the portable state of FIG. 3.
  • the device module mounting unit 21 may have a slide coupling structure 22 that meshes with a portion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 the slide coupling structure 22 may be, for example,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slide coupling. In this case,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module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lide coupling structure 22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guide groove.
  • the directions can be matched to each oth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r-type electrode plate 10 from retreating back into the cradle housing 20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evice module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for charging.
  • the USB charging cradle 10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radle housing 20 and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is in use when the A stopper 25 may be further provided to support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so as to maintain the state drawn out from the cradle housing 20.
  • the stopper 25 has the bar at the rear end of the cradle housing 2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r electrode plate 10 is drawn out).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type electrode plate 10 side.
  • the groove 14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13 of the bar electrode plate 10 so that the bar electrode plate 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opper 25 in a section in which the bar electrode plate 10 slides with respect to the cradle housing 20. Can be formed.
  • the output terminal 12 constituting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is composed of a protruding electrode elastical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13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and the device constituted by a flat electrode pad.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dule.
  • the output terminal 12 may be formed of a pogo pin electrode, or may be formed of a metal electrode having a bent shape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 the USB charging cradl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covering the device module mounting unit 21 when the device module is not mounted. In the portable state, the cover may be covered instead of the device module to prevent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nd the like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dust.
  •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and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are preferably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that is, the upper surface 13.
  • the USB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G and the output terminal 12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2G connec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inside the bar electrode plate 10.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via.
  • the electrical connection includes a direct connection through a conductor and an electrical circuit such as a controller.
  • 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portable state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use state.
  • a bottom opening 2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radle housing 20 to expose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more specifically, the slide handle 15 formed at the rear surface. .
  •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and insert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by using the slide handle 15 formed to receive a large friction force in the slide direction.
  • FIG. 6 is a rear view of the USB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evice module mounting side, and FIG.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evice module is mounted on the USB charging cradle of FIG. 6.
  • the USB connection terminal unit When the USB connection terminal unit is drawn out from the USB charging cradle 100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the drawings are viewed from the rear side.
  •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12 are exposed toward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12 may be connected to, for example, a power supply terminal of a USB port through the aforementioned plurality of USB connection terminals.
  • a coupling structure for temporarily fixing the device module 30 on both sides of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a slide coupling structure 22 in the form of a guide protrusion may be provided, and the device module 30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module 30.
  • a guide groove 32 structure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rovided. Through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portion 31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30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 the method of fixing the device module 30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of the cradle housing 20 is not limited to the slide method.
  • Various fixing methods such as a fixing method using a hook and a latch or a push lock method may be employed.
  • the USB charging cradl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r-shaped electrode plate 10 is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cradle housing 20 in a slide mann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USB connection terminal 11 and an output terminal 12 connected thereto are disposed on the bar electrode plate 10, and a cradle housing 20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ar electrode plate 10 includes the output terminal. If it is configured to guide and fix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device module 30 in contact with (12), i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vice module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vice module 3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 the portion 31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34 preferably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fixedly mounted to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21 of the above-mentioned USB charging cradle 100. In this manner, one USB charging cradle 100 may be interchangeably used for the device modules 30 having various designs.
  • the charging terminal 34 may be configured as a flat electrode pad disposed to be planarly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33 of the device module 30.
  • the charging terminal 34 exposes the flat electrode pa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3, and is advantageous in implementing a waterproof function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a sealing member is installed around the opening.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rist watch typ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 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earable band 40 wearable on a body and a device module 30 detachably mounted to the wearable band 40 together with the aforementioned USB charging cradle.
  • Can be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a wearable device worn in the form of a wrist watch.
  • the wearable band 40 includes a body part 41 having a device module accommodating part 43, which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evice module 30, and a wearing part 42 having a strap shape worn on a user's wrist or arm.
  • the wearing part 42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body part to be worn in addition to the strap shape.
  • the portion 31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34 in the device module 30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device module mounting portion of the cradle housing,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wearable band 40 is partially,
  • the body portion 41 having the devic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43 may include a portion 44 formed to engage the portion 31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evice module 3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 상기 웨어러블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밴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충전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 발명은 유에스비(USB)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분리형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USB 충전 크래들과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휴대용 전화의 용도 외에도 일정이나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적인 정보의 관리에서부터 음향이나 영상 미디어의 저장 및 재생,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의 조회 등 그 활용의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 GPS 모듈,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스마트 폰의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어 스마트 폰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손목이나 팔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하고, 스마트 폰 등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브 디스플레이, 컨트롤 패널, 및 센서로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른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도 스마트 기어(gear), 스마트 워치(watch), 또는 스마트 밴드(band) 등의 이름으로 시장에 출시되어 스마트 폰 사용자 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몇 가지 특징을 갖는데, 하나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장치이므로 필요한 전력을 충전을 통해 얻을 수밖에 없다. 통상 한 번 충전으로 며칠을 사용할 수 있으나, 날마다 전력 소모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 곧바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휴대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하나는 디자인적 요소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장치이므로 액세서리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 모듈의 크기 및 모양이 다양화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하나는 방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흔히 손목이나 팔에 착용하고 운동 등 외부 활동 시에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방수 필요성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 단자 등의 설계에 제약이 따른다.
위와 같은 이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모듈에 적용 가능하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부 방수에 적합한 구조의 충전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화에 적합한 구조로 휴대가 용이하고, USB 포트에 연결하여 쉽게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단자로서 방수에 유리한 평판형 전극 패드를 갖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디바이스 모듈에 호환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결합하는 슬라이드 방향과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과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되어,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 상기 웨어러블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밴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충전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의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밴드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은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형 전극과 접촉하는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충전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소형화에 적합한 구조로 휴대가 용이하고, USB 포트에 연결하여 쉽게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단자로서 방수에 유리한 평판형 전극 패드를 갖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디바이스 모듈에 호환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휴대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휴대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 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모듈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X-X' 단면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나 언급된 변형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고, 도 3은 휴대 상태를 보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크게 나누어 바(bar) 형 전극 플레이트(10)와 크래들 하우징(20)을 갖는다. 상기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10)는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11G)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12G)를 갖는다.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12G)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출력 단자(12)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USB 접속 단자부(11G)는 USB 포트의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USB 접속 단자(11)를 포함하는 부분을 지칭하고, 출력 단자부(12G) 역시 복수의 출력 단자(12)를 포함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크래들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수용한다. 또한,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출력 단자부(12G)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3)와 상기 개구부(23)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23)가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출력 단자부(12G)를 노출시킨다는 것은, 사용 상태일 때는 필수적으로 상기 출력 단자부(12G)가 상기 개구부(23)을 통해 노출되고, 휴대 상태일 때는 상기 개구부(23)의 크기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부(12G)가 노출될 수도 있고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사용 상태일 때나 도 3의 휴대 상태일 때 모두 상기 출력 단자부(12G)가 상기 개구부(23)를 통해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 쪽으로 노출된다.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결합구조(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구조(22)는 일 예로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는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 측에 가이드 돌기가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구조(22)는 가이드 홈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결합하는 슬라이드 방향(도 2의 좌에서 우측 방향)과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인출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전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디바이스 모듈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크래들 하우징(20) 내부로 다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20)과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스토퍼(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의 개구부(23) 후단(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측에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 쪽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완전히 인출되면 그 후단이 상기 스토퍼(25)에 걸려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때까지 후퇴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상면(13)에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구간에서 상기 스토퍼(2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부(12G)를 구성하는 상기 출력 단자(12)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표면(13)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되어,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자(12)는 일 예로 포고 핀(pogo pin)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굴곡이 형성된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되지 않았을 때,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상태일 때 디바이스 모듈 대신 커버를 덮어 상기 출력 단자부(12G) 등이 먼지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에서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와 상기 출력 단자부(12G)는 동일한 면, 즉 상면(13)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USB 접속 단자부(11G)의 USB 접속 단자(11)와 상기 출력 단자부(12G)의 출력 단자(12)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 내부에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고 함은 도전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과 컨트롤러 등 전기 회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의 휴대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고, 도 5는 그 사용 상태를 보이는 저면도이다.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의 저면에는 저면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후면 일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손잡이(15)를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큰 마찰력을 받도록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15)를 이용하여 손쉽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를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 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다.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에서 USB 접속 단자부가 인출되는 쪽을 정면이라하고, 그 반대쪽을 배면이라 할 때, 본 도면들은 배면을 바라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를 향해 복수의 출력 단자(12)가 노출된다.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12)는 예컨대 전술한 복수의 USB 접속 단자를 통해 USB 포트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의 양측에는 디바이스 모듈(30)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조의 일 예로, 가이드 돌기 형태의 슬라이드 결합구조(2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30)에는 그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32)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31)이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크래들 하우징(20)의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디바이스 모듈(30)을 고정하는 방식은 슬라이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크(hook)와 랫치(latch)를 이용한 고정 방식이나, 푸시 락(push lock) 방식 등 다양한 고정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가 크래들 하우징(20)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에 USB 접속 단자(11) 및 그와 연결된 출력 단자(12)가 배치되고,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래들 하우징(20)이 상기 출력 단자(12)에 디바이스 모듈(30)의 충전 단자가 접촉되도록 안내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모듈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디바이스 모듈(30)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충전 단자(34)를 가지는 부분(31)은 전술한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의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2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가지 디자인의 디바이스 모듈(30)에 대하여 하나의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100)을 호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단자(34)는 디바이스 모듈(30)의 저면(33)에 평면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단자(34)는 상기 저면(3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평판형 전극 패드를 노출시키되, 상기 개구부 둘레에 씰링 부재를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방수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유리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X-X' 단면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술한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과 함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40)와, 상기 웨어러블 밴드(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손목 시계 형태로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로 든 것이다. 상기 웨어러블 밴드(40)는 디바이스 모듈(30)을 수용하는 공간인 디바이스 모듈 수용부(43)가 형성된 몸체부(41)와 사용자의 손목 또는 팔 등에 착용되는 스트랩 형태의 착용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용부(42)는 스트랩 형태 외에도 착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상기 충전 단자(34)를 갖는 부분(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 하우징의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웨어러블 밴드(40)는 일부분이,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 모듈 수용부(43)를 갖는 몸체부(41)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31)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부분(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디바이스 모듈(30)에서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위한 구조가 웨어러블 밴드(40)의 몸체부(4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구조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0)

  1.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서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에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결합하는 슬라이드 방향과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인출하는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과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상기 크래들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되어,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와 접촉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7.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
    상기 웨어러블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스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밴드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장착된 상태로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을 충전하는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일측에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접속 단자부를 가지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USB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대상인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에 대응되는 출력 단자부를 가지는 바(bar)형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출력 단자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의 충전 단자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촉된 상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구성된 크래들 하우징;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하우징은,
    사용 상태일 때, 상기 USB 접속 단자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크래들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적어도 사용 상태일 때,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출력 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 모듈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상기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은 상기 크래들 하우징의 상기 디바이스 모듈 장착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밴드는 상기 디바이스 모듈에서 충전 단자를 갖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은 상기 바 형 전극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돌출형 전극으로 구성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모듈은 상기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출력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형 전극과 접촉하는 평판형 전극 패드로 구성된 충전 단자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CT/KR2014/007790 2014-08-21 2014-08-21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60279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06513A KR101669018B1 (ko) 2014-08-21 2014-08-21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CT/KR2014/007790 WO2016027915A1 (ko) 2014-08-21 2014-08-21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790 WO2016027915A1 (ko) 2014-08-21 2014-08-21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15A1 true WO2016027915A1 (ko) 2016-02-25

Family

ID=5535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790 WO2016027915A1 (ko) 2014-08-21 2014-08-21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9018B1 (ko)
WO (1) WO20160279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6847A (zh) * 2021-12-29 2022-04-12 歌尔科技有限公司 充电底座及腕戴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39A1 (ko)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액세서리 및 이에 구비되는 회로 보호 모듈
CN112204802B (zh) * 2018-08-17 2024-03-29 理百思特有限公司 可穿戴配件和其中设置的电路保护模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494A (ja) * 2003-12-11 2005-06-30 Ricoh Elemex Corp 充電電池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充電装置
KR20080000445U (ko) * 2006-10-10 2008-04-15 박승 선 진공 이중 작동 피스톤 방식 진공펌프
US8249547B1 (en) * 2011-06-16 2012-08-21 Albert Fellner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KR20120096780A (ko) * 2011-02-23 2012-08-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손목밴드형 스마트카드
WO2013025191A1 (en) * 2011-08-12 2013-02-21 Advanced Bionics Ag Procedure us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having a usb connector to recharge a battery for a hearing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a battery charger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494A (ja) * 2003-12-11 2005-06-30 Ricoh Elemex Corp 充電電池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充電装置
KR20080000445U (ko) * 2006-10-10 2008-04-15 박승 선 진공 이중 작동 피스톤 방식 진공펌프
KR20120096780A (ko) * 2011-02-23 2012-08-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손목밴드형 스마트카드
US8249547B1 (en) * 2011-06-16 2012-08-21 Albert Fellner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WO2013025191A1 (en) * 2011-08-12 2013-02-21 Advanced Bionics Ag Procedure us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having a usb connector to recharge a battery for a hearing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a battery charger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6847A (zh) * 2021-12-29 2022-04-12 歌尔科技有限公司 充电底座及腕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712A (ko) 2016-03-24
KR101669018B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3456B1 (en) Accessories for use with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US9072172B2 (en) Auxiliary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apparatus
WO2014034998A1 (en) Back cover for mobile terminals
WO2017051976A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WO2016186284A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US8610398B2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3191417A1 (ko)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CA2369386A1 (en) Wearable computer battery system
WO2018105773A1 (ko) 와치타입 단말기
WO2014189299A1 (ko) 비돌출 구조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CN1881713B (zh) 用于将移动电话连接到外围装置的连接器组件
WO2015190868A1 (ko) Nfc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WO2017111422A1 (ko) 매직 스트랩
WO2016027915A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5167238A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WO2015099270A1 (ko) 휴대단말기용 발열 케이스
WO2015099502A1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WO2016182129A2 (ko)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이 병렬연결 배터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WO2018152859A1 (zh) 移动终端保护组件及其保护框和背夹电池
WO2015160136A2 (ko)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및 그 유에스비 케이블
WO2016143926A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EP3205000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WO2019205801A1 (zh) 一种结构新颖的蓝牙耳机充电装置
WO2012108626A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WO2017061789A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7006513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00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3/06/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00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