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60136A2 - Smartphone case capable of attachment/detachment of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and usb cable therefor - Google Patents

Smartphone case capable of attachment/detachment of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and usb cabl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60136A2
WO2015160136A2 PCT/KR2015/003498 KR2015003498W WO2015160136A2 WO 2015160136 A2 WO2015160136 A2 WO 2015160136A2 KR 2015003498 W KR2015003498 W KR 2015003498W WO 2015160136 A2 WO2015160136 A2 WO 201516013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ble
data communication
charging
terminal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3498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Other versions
WO2015160136A3 (en
Inventor
김우진
김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지
Publication of WO201516013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60136A2/en
Publication of WO201516013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60136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the attachment/detachment of a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and to a cable therefor, the smartphone case allowing the convenient storage of the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while maintaining a slim size.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is inserted and stored on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smartphone case, thereby barely increasing the thickness or size of the smartphone case and conveniently storing the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Description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및 그 유에스비 케이블Smartphone case and USB cable for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간편히 보관하면서도 스마트폰 케이스의 두께가 폭의 증가를 피하여 슬림한 형태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케이스 및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case and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while maintaining a slim appearance without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mart phone case while simply storing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스마트폰은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기기에 접속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유에스비 케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데에도 유에스비 케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Since smartphones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various devices including computers, USB cables are widely used to connect smartphones to external devices. In addition, USB cable is widely used to charge smartphones.
그러나 유에스비 케이블을 스마트폰과 별도로 휴대하는 것은 불편하기 때문에 유에스비 케이블을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케이스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측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내장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된 형태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유에스비 케이블이 내장된 공간만큼 스마트폰 케이스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어서 소비자가 선택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USB cable separately from the smartphone, so the smartphone case was designed to be stored with the USB cabl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mart phone case is most of the form provided a separate space that can be built in the USB cable in the inside of the smart phone case, such a smart phone case is the size of the smart phone case will be as large as the space with the built-in USB cable In many cases, consumers are reluctant to choose.
유에스비 케이블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3893호(발명의 명칭: 휴대폰 케이스)가 있다.Conventional technology for a smart phone case for storing a USB cable 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0003893 (name of the invention: 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크기를 거의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및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hone case and charging and / and to easily store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smart phone cas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able for data communica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으로 스마트폰의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테두리부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끼워져 고정되는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해서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rder portion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 phone to surround the smart phon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of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It is achieved by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단자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mart phone case further comprises a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ver portion i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It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상기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상기 단자부는 절곡부가 형성된 단자부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mart phone case,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terminal portion formed with a bent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with a terminal seating groove in which the bent portion is seat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에스비접속단자가 일측에 형성된 유에스비단자부와, 스마트폰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일측에 형성된 접속단자부 및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를 연결하는 케이블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는 상기 유에스비접속단자로부터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스마트폰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부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의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 케이블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USB terminal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non-US non-connected terminal,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martphone on one side and a cable portion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USB terminal portion, The USB terminal portion is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USB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the bent portion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edge of the smart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n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smart phone case This is also achieved by a USB cable.
상기 유에스비 케이블의 유에스비단자부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덮개부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SB terminal portion of the USB cable is further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ver portion of the smart phone cas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으로 스마트폰의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접속용 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by surrounding the surroundings of the smart phon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is seated inside the smartphone, the cover portion On one side is also achieved by a 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apter mounting groove is formed detachably installed for the connection adapter.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으로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스마트폰의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테두리부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전면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끼워져 고정되는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m portion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 phone to be seat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 phone, the cable insertion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in front of the rim It is also achieved by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하면 테두리부에 홈을 형성하여 유에스비 케이블을 보관하므로 스마트폰 케이스의 두께나 크기가 거의 증가되지 않아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외관을 슬림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forms a groove at the edge portion to store the USB cable so that the thickness or size of the smartphone case is hardly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martphone case. I can keep it sli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유에스비 케이블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B cable is removed from the smartphone case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유에스비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B cable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와 유에스비 케이블을 분리된 상태 및 결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ched state and a coupled state of a smartphone case and a USB cable capable of detaching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in a state in which a USB cabl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유에스비 단자부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USB terminal unit in a state in which a USB cabl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B cabl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9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B cabl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mounted in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detach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FIG.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mounted i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및 접속어댑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nd a connection adapter are separated in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detach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mponents of a smartphone case that are detachable of a charge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14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cas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the charge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0, 110, 210, 310, 410 스마트폰 케이스10, 110, 210, 310, 410 Smartphone Case
11, 311 테두리부11, 311 border
12 접속단자 안착부12 Connection terminal seat
13 단자인입홈13 Terminal Entry Groove
15, 315, 415 케이블 삽입홈15, 315, 415 Cable Entry Groove
16 단자안착홈16 terminal mounting groove
17 스마트폰 안착부17 smartphone seat
20, 320, 420 덮개부20, 320, 420 cover
21 결합공21 union
30 유에스비 케이블30 uss cable
31 접속단자부31 Connection terminal
34 유에스비 단자부34 USB terminal
35 단자부본체35 terminal unit
35a 절곡부35a bend
39 케이블부39 cable section
40 접속용 어댑터40 connection adapter
325 어댑터 장착홈325 adapter mounting groov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phone cas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the charge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폰 케이스에서 유에스비 케이블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유에스비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와 유에스비 케이블을 분리된 상태 및 결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유에스비 단자부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harging and / or dat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case detachable from the back of the communication cabl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B cable is removed from the smartphone case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B cable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nd FIG. 5 is a smartphone capable of detaching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and a combined state of the case and the USB cable, Figure 6 is a charge and / or d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of the smart phone case in which the USB communication cable is detachable in a state in which the USB cable is mounted,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chment of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which cut | disconnected a part of the USB terminal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USB cable was attached to the smart phone case.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이하 '스마트폰 케이스(10)'라고 함)는 사각의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1)와 테두리부(11)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일면을 커버하는 덮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7, a smartphone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phone case 10”) capable of detaching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portion 20 connected to the edge portion 11 and the edge portion 11 to form a circumference to cover one surface of the smartphone.
테두리부(11)는 대략 사각으로 형성되어 사각의 스마트폰(미도시)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이다. 테두리부(11)의 하단에는 테두리부(11)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접속구연결홀(14)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접속구연결홀(14)은 후술할 접속단자부(31)의 끼움뭉치(32)가 안착되는 접속단자안착부(1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안착부(12)의 일측으로는 테두리부(11)가 연장된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된 단자인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1)의 일측에는 접속단자안착부(12)에서부터 테두리부(11)의 둘레를 따라서 케이블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삽입홈(15)은 케이블부(39)가 삽입된 이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입구의 폭이 내측의 공간보다 작게 형성된다. 케이블 삽입홈(15)의 위쪽으로는 단자안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안착홈(16)은 일방향으로는 막혀있고 반대방향으로는 후술할 유에스비단자부(34)의 절곡부(35a)가 안착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테두리부(11)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의 사각의 둘레부분이 안착되는 단턱진 구조의 스마트폰 안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1)에는 스마트폰의 버튼들 및 접속단자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들이 있다. 케이블 삽입홈과 케이블부는 각각 어느정도를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케이블 삽입홈에 케이블부가 삽입되면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잘 빠지지 않을 것이므로, 케이블 삽입홈은 입구의 폭과 내측의 공간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edge portion 1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square and surrounds a circumference of a square smartphone (not shown). The lower end of the edge portion 11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ng hole 14 in the direction penetrating the edge portion 11, the connector connecting hole 14 is a fitting 32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31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erminal seat part 12 to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seating portion 12, a terminal inlet groove 13 having a space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dge portion 11 extend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11,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dge portion 11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seating portion 12.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inner space of the inlet so as not to fall out after the cable portion 39 is inserted. The terminal seating groove 16 is formed above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 The terminal seating grooves 16 are blocked in one direction and open so that the bent portion 35a of the USB terminal portion 34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edge portion 11 is a smartphone seating portion 17 is formed of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quare of the smartphone is seated. The edge portion 11 has a plurality of holes for exposing the buttons and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martphone. Since the cable insertion groove and the cable portion have elasticity to some extent, the cable insertion groove will not fall out well unless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insertion groove, so the cabl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of the inlet and the inner space. Of course it is possible.
덮개부(20)는 테두리부(11)의 일방향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덮개부(20)의 일측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된다. 결합공(21)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가 위치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결합공(21)의 옆에는 스마트폰의 플래시조명이 노출되는 플래시노출홀(22)이 형성된다. Cover portion 20 is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11 to cover the back of the smartphone as a coupling hol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20.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camera lens of the smartphone is located. Next to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a flash exposure hole 22 to expose the flash light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에스비 케이블"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로서 "유에스비 케이블"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Sinc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able and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cable", hereinafter, the "usb cab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able and data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에 탈착되는 유에스비 케이블(30)은 스마트폰의 단자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부(31)와 외부기기의 유에스비단자에 접속되는 유에스비단자부(34) 및 접속단자부(31)와 유에스비단자부(34)를 연결하는 띠형상의 케이블부(39)로 구성된다. 유에스비 케이블(30)은 데이터전송은 물론이고 충전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The USB cable 30 detachable to the smartphon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erminal 31 of the smart phone terminal and the USB terminal terminal 34 and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of the external device 31 ) And a belt-shaped cable portion 39 connecting the US B terminal portion 34. The USB cable 30 can be used for charging as well as data transmission.
접속단자부(31)는 끼움뭉치(32)와 끼움뭉치(32)의 일측으로 노출된 접속단자(33)로 구성된다. 접속단자부(31)의 끼움뭉치(32)와 접속단자(33)는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테두리부(11)의 접속단자안착부(12)와 단자인입홈(13)에 삽입된다.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31 is composed of the fitting terminal 32 and the connecting terminal 33 exposed to one side of the fitting bundle 32. The bundle 3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3 of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31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seat 12 and the terminal inlet groove 13 of the edge portion 11 of the smart phone case 10.
유에스비단자부(34)는 케이블부(39)의 일단에 연결되는 대략 90도로 절곡된 절곡부(35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자부본체(35)와 단자부본체(35)의 일단에 형성된 유에스비접속단자(36)로 구성되며 단자부본체(35)의 일측에는 중앙에 관통공(37)이 형성되고 관통공(37)의 주변둘레에는 대략 원형의 결합돌기(38)가 형성된다. 결합돌기(38)는 둘레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원주상으로 비대칭구조이므로 특정한 정렬상태에서만 스마트폰 케이스(10)의 덮개부(20)의 결합공(21)에 결합된다.The USB terminal portion 34 includes a bent portion 35a that is bent at approximately 90 degree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portion 39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portion body 35 ( 36, the through-hole 37 is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main body 35, and a substantially circular coupling protrusion 38 is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37. Coupling projection 38 is formed in a protrud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ly asymmetrical structure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cover portion 20 of the smart phone case 10 only in a specific alignment s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유에스비 케이블(30)이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USB cable 30 is coupled to the smart phon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에스비 케이블(30)의 접속단자부(31)의 끼움뭉치(32)의 접속단자(33)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테두리부(11)의 하단의 접속단자안착부(12)의 옆의 단자인입홈(13)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끼움뭉치(32)를 접속단자안착부(12)에 장착한다. 이후 케이블부(39)를 테두리부(11)의 케이블 삽입홈(15)에 삽입시키고 유에스비단자부(34)의 단자부본체(35)의 절곡부(35a)가 테두리부(11)의 단자안착홈(16)의 개방된 쪽을 향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단자부본체(35)의 결합돌기(38)를 덮개부(20)의 결합공(21)에 결합시키면 단자부본체(35)의 절곡부(35a)는 단자안착홈(16)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단자부본체(35)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결합공(2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단자부본체(35)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7)에 의해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는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connecting terminal 33 of the bundle 32 of the connecting terminal portion 31 of the USB cable 30 is the terminal next to the connecting terminal seat 12 at the lower end of the edge portion 11 of the smartphone case 10. The fitting bundle 32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terminal seat 1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13. Then, the cable portion 39 is inserted into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 of the edge portion 11, and the bent portion 35a of the terminal portion main body 35 of the USB terminal portion 34 is the terminal seating groove of the edge portion 11 (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8 of the terminal unit body 35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cover unit 20 in the state of facing the open side of the 16, the bent portion 35a of the terminal unit body 35 is It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groove 16 and seated. Since the camera lens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by the through hole 37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erminal body 35 even when the terminal body 35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smartphone case 10, You can take a photo or video using your ph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mart phone cas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는 테두리부(11)의 대략 2개의 측면에 유에스비 케이블(3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므로 스마트폰 케이스(10)의 두께는 증가될 필요가 없으며 테두리부(11)의 2개 측면 부분의 두께만 조금 증가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케이스(10)는 전후방향으로의 두께의 증가는 없으며 테두리부(11)의 일부분의 폭이 약간 증가할 뿐이다. 특히 유에스비단자부(34)는 유에스비접속단자(36)의 폭이 통상적인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테두리부(11)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유에스비단자부(34)를 테두리부(11)에 안착시키려면 테두리부(11)의 폭이 커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에서는 유에스비단자부(34)의 단자부본체(35)가 90도로 절곡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절곡부(35a)를 제외한 단자부본체(35)의 대부분이 테두리부(11)에 안착되지 않고 덮개부(20)에 안착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테두리부(11)의 폭이 증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Smartphon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USB cable 30 is inserted into the approximately two sides of the edge portion 11 is mount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martphone case 10 need not be increased and the edge portion ( Only the thickness of the two side parts of 11) is slightly increased. Therefore, the smartphone case 10 has no increase in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nly slightly increases the width of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11. In particular, since the width of the US terminal 34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dge portion 11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 case 10, the UE terminal 34 is to be seated on the edge portion 11 In the smart phon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edge portion 11 should be increas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ortion 35 of the USB terminal portion 34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bent by 90 degrees, except for the bent portion 35a.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most of the main body 35 is not seated on the rim 11, the width of the rim 11 can be avoided.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10)의 결합공(21)에 결합되는 단자부본체(35)의 일측에 관통공(3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에스비 케이블(30)이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단자부본체(35)의 관통공(37)을 통해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며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37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unit body 35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smartphone case 10, the USB cable 30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case 10. Even in the state, the camera lens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37 of the terminal unit body 35, and thus can take a picture or video using the smartphone.
또한 유에스비 케이블(30)의 일단의 접속단자부(31)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접속단자안착부(12) 및 단자인입홈(13)에 끼움결합되고 타단의 유에스비단자부(34)는 결합돌기(38)가 덮개부(20)의 결합공(21)에 끼움결합되며 이에 더해서 케이블부(39)가 테두리부(11)의 케이블 삽입홈(15)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케이스(10)에 유에스비 케이블(30)이 장착된 후에는 의도적으로 빼내지 않는 한 유에스비 케이블(30)이 스마트폰 케이스(1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USB cable 30 is fit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seating portion 12 and the terminal inlet groove 13 of the smart phone cas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USB terminal portion 34 of the coupling projections 38 is fitt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cover portion 20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case 10 because the cable portion 39 is firmly coupled to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 of the edge portion (11). After the USB cable 30 is mounted on the USB cable 30, the USB cable 30 does not easily come out of the smartphone case 10 unless the USB cable 30 is intentionally remov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B cabl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다만 테두리부(111)의 안쪽으로 덮개부를 형성하지 않은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martphone case 110 capable of detaching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7. The phone case 10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all the same, except that only the cover portion is not formed inside the edge portion 111.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10)는 덮개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유에스비 케이블(30)의 유에스비단자부(34)의 단자부본체(35)의 절곡부(35a)가 스마트폰 케이스(110)의 테두리부(111)의 단자안착홈(116)에 끼움결합되어 견고히 고정되므로 스마트폰 케이스(110)에 대하여 유에스비단자부(34)가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Smartphone cas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cover portion is not formed, the bent portion (35a) of the terminal unit body 35 of the USB terminal unit 34 of the USB cable 30 is the edge of the smartphone case 110 Since the fitting is fixed to the terminal seating groove 116 of the unit 111 is firmly fixed to the USB terminal portion 34 to the smartphone case 110 can maintain a sufficient coupling force.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케이스(110)는 덮개부가 생략되었기 때문에 유에스비 케이블(30)의 유에스비단자부(34)의 단자부본체(35)에 덮개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생략되었다.Since the cover part is omitted in the smartphone case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cover part is omitted in the terminal part main body 35 of the USB terminal part 34 of the USB cable 30.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유에스비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9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B cable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210)는 덮개부(220)의 결합공(221)이 덮개부(2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형태이다. As shown in FIG. 9, the smart phone cas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ape in which a coupling hole 221 of the cover part 220 is formed at the top center of the cover part 220.
따라서 유에스비 케이블(130)의 케이블부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케이블부의 말단에 연결된 유에스비단자부(134)가 덮개부(220)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cable part of the USB cable 130 is formed longer than the cable part shown in FIG. 1 so that the USB terminal part 134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able part is positioned at the top center of the cover part 220.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및 접속용 어댑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mounted i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s mounted in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nd the connection adapter is separated in the smartphone case that can be removed and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310)는 테두리부(311)와 덮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0 to 12, the smartphone cas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dge portion 311 and a cover portion 320.
테두리부(311)는 둘레의 일부분에 케이블 삽입홈(315)이 형성되고 테두리부(311)의 하단에는 제1접속단자 안착홈(313)이 형성되고 테두리부(311)의 상단에는 제2접속단자 안착홈(316)이 형성된다. 테두리부(311)의 위쪽 일면에는 어댑터장착홈(325)이 형성된다. 어댑터장착홈(325)에는 접속용 어댑터(340)를 탈착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다.The edge portion 311 has a cable insertion groove 315 formed 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seating groove 31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dge portion 311 and a second connection at the top of the edge portion 311. The terminal seating groove 316 is formed. An adapter mounting groove 32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edge portion 311. The adapter mounting groove 325 may store the connection adapter 340 in a detachable manner.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330)은 띠구조의 케이블부(339)의 일단에는 제1숫놈접속단자(331)가 형성되고 케이블부(339)의 타단에는 제1숫놈접속단자(331)와는 형태가 다른 제2암놈접속단자(334)가 형성된다. 제2암놈접속단자(334)는 널리 이용되는 범용접속부와 연결이 가능한 접속단자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USB 5핀 접속단자이며 제1숫놈접속단자(331)는 특정의 기기에만 접속이 가능한 접속단자로서 예를 들면 애플 스마트폰의 접속단자가 될 수 있다.The cable 330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has a first male connection terminal 331 formed at one end of the cable part 339 having a band structure, and a first male connection terminal 331 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part 339.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terminal 334 having a different shape is formed.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terminal 334 is a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 widely used universal connection, for example, a micro USB 5-pin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irst male connection terminal 331 is a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 specific device only. For example, it could be a connection terminal for an Apple smartphone.
접속용 어댑터(340)는 본체부(341)와 본체부(341)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호캡(336)으로 구성되며 본체부(341)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330)의 제2암놈접속단자(334)와 연결될 수 있는 제2숫놈접속단자(3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범용의 USB접속단자(3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330)의 제2암놈접속단자(334)에 접속용 어댑터(340)의 제2숫놈접속단자(342)를 연결시키면 접속용 어댑터(340)의 USB접속단자(343)를 컴퓨터 등의 기기의 USB 암놈접속단자(미도시)에 연결시켜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용 어댑터(340)는 테두리부(311)의 어댑터장착홈(325)에 형성된 걸림편(326)에 의해 탈착이 용이하게 보관된다. 접속용 어댑터(340)는 USB접속단자(343)를 형성한 것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USB접속단자(343)가 아니더라도 접속단자가 서로 다른 형태의 기기들을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어댑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connection adapter 34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41 and a protective cap 336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41,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41 includes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330. A second male connection terminal 34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terminal 334 of the general purpose USB connection terminal 34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male connection terminal 342 of the connection adapter 3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terminal 334 of the cable 330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ion adapter 340 ( 343) may be connected to a USB female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of a device such as a computer to perform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The connection adapter 340 is easily stored in and detached from the engaging piece 326 formed in the adapter mounting groove 325 of the edge portion 311. The connection adapter 340 is not limited to form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343, and the connection adapter 340 should be considered to include all the adapters used to connect different types of devices even i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343 is not. do.
상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로서 USB접속단자를 갖는 케이블이 아닌 다른 형태의 접속단자를 갖는 케이블을 예로 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접속용 어댑터를 연결하여 USB접속단자를 갖는 외부기기에도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able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of a different type than a cable hav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as a "cable for 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and in this case, for connection By connecting the adapter,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use the cab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an external device hav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접속용 어댑터를 쉽게 탈착할 수 있는 어댑터 장착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접속용 어댑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apter mounting groove for easily detaching the connection adapter is formed in the smartphone case, the connection adapter can be easily stor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state of components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cabl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cas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410)는 테두리부(411)와 덮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martphone case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dge portion 411 and a cover portion 420.
테두리부(411)는 전면에 제1접속단자(431)와 제2접속단자(434)를 포함하는 케이블(430) 전체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케이블 삽입홈(415)이 형성된다. 즉 케이블 삽입홈(415)은 삽입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430)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테두리부(411)의 내측에는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주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edge portion 411 is formed with a cable insertion groove 415 that can be inserted and stored in the front of the entire cable 430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3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4. That is, the cable insertion groove 415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ble 430 for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is inserted. Inside the rim 411, a seating portion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phone is formed.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430)은 띠구조의 케이블부(439)의 일단에는 제1접속단자(431)가 형성되고 케이블부(439)의 타단에는 제2접속단자(434)가 형성된다. 제1접속단자(431)는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제2접속단자(434)는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부분이다.In th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430, a first connection terminal 4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able part 439 having a band structur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4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part 439. .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31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4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410)는 스마트폰 케이스(410)의 테두리부(411)를 외측방향으로 확장시키고 테두리부(411)의 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케이블 삽입홈(415)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테두리부(411)의 전후방향의 두께는 전혀 증가하지 않는다. 즉 테두리부(411)가 외측방향으로 폭이 다소 확장되기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케이스(410)의 전후방향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 슬림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통신용 케이블(430) 등을 보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smartphone case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the edge portion 411 of the smartphone case 410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forms a cable insertion groove 41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edge portion 411. As a result, the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411 does not increase at all. That is, the width of the edge portion 411 is only slightly expand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communication cable 430 and the like while maintaining a slim shape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case 410.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테두리부의 전면에 수직방향의 케이블 삽입홈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테두리부의 후면에 수직방향의 케이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Smart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vertical cable insertion groove in the front of the rim por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should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able insertion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ar portion of the rim portion. do.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로서 "유에스비 케이블"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유에스비 케이블"은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의 하나의 형태를 예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은 "유에스비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이라면 외부기기의 접속구에 대응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cab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able capable of 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but the "usb cable" illustrates one type of "a cable capable of 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The "cable and data communication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usb cable", but "cable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includes various types of cables having a connection part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port of an external device. It should be seen as doing.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belongi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1. 내측으로 스마트폰의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테두리부 포함하며,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mart phon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smart phone surrounding the edge portion mounted on the smartphone,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끼워져 고정되는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a cabl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2.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Further comprising a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rim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상기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단자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The terminal part of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is a smartphone cas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ver.
  3.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상기 단자부는 절곡부가 형성된 단자부본체가 형성되고,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is formed with a terminal portion body formed with a bent portion,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The edge portion of the smart phone case that can be detachable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seat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bent portion is formed.
  4. 유에스비접속단자가 일측에 형성된 유에스비단자부;US B terminal portion formed on one side;
    스마트폰의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일측에 형성된 접속단자부; 및A connection terminal unit formed at one side of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smartphone; And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를 연결하는 케이블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cable portion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US non-terminal portion,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는 상기 유에스비접속단자로부터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스마트폰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안착되어 결합되고,The US non-terminal portion is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US non-connected terminal is formed, the bent portion is seated on the edge of the smart phone case is coupled,
    상기 케이블부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의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 케이블.The cabl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n the outside of the rim of the smartphone case.
  5.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덮개부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 케이블.The USB terminal portion of the USB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jection is further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ver portion of the smart phone case.
  6. 내측으로 스마트폰의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테두리부; 및A circumference portion mounted on the smart phone by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 phon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is mount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 phone; And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rim portion,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접속용 어댑터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is an adapter mounting groov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for the adapter for connection.
  7. 내측으로 스마트폰의 둘레를 감싸서 상기 스마트폰의 둘레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테두리부 포함하며,Wrap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martphone inward includes a border portion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is seat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martphone,
    상기 테두리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이 끼워져 고정되는 수직방향의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A smartphone case capable of detaching a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cable, characterized in that a cable insertion groove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front or rear of the edge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able for charging and / or data communication.
PCT/KR2015/003498 2014-04-18 2015-04-08 Smartphone case capable of attachment/detachment of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and usb cable therefor WO2015160136A2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70 2014-04-18
KR20140046670 2014-04-18
KR20140130807A KR101501883B1 (en) 2014-04-18 2014-09-30 USB cable detachable smart phone case and the USB cable
KR10-2014-0130807 2014-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136A2 true WO2015160136A2 (en) 2015-10-22
WO2015160136A3 WO2015160136A3 (en) 2016-01-14

Family

ID=5302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3498 WO2015160136A2 (en) 2014-04-18 2015-04-08 Smartphone case capable of attachment/detachment of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and usb cable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1883B1 (en)
WO (1) WO2015160136A2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5636S1 (en) 2014-09-10 2016-09-06 Kyoko Uemura Smartphone case
CN107343072A (en) * 2017-06-15 2017-11-10 许明范 A kind of portable data line mobile phone shell
WO2019143344A1 (en) * 2018-01-19 2019-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ttachment of power cables to comput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726B1 (en) * 2015-11-04 2017-05-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 Case
KR102042920B1 (en) * 2018-03-28 2019-11-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lementary lightn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893U (en) * 2011-12-21 2013-07-01 엘프 주식회사 Mobile Phone Case
KR20130097954A (en) * 2012-02-27 2013-09-04 최상효 Case for mobile
KR101290686B1 (en) * 2012-04-20 2013-07-31 정장교 Mobile phone bumper for a combined using data cable
KR200468119Y1 (en) * 2013-02-01 2013-07-24 조윤호 Sliding in/out type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69790Y1 (en) * 2013-06-28 2013-11-12 김경민 Mobile Electronic Equipment Case Having the Function of Linking Cab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5636S1 (en) 2014-09-10 2016-09-06 Kyoko Uemura Smartphone case
CN107343072A (en) * 2017-06-15 2017-11-10 许明范 A kind of portable data line mobile phone shell
WO2019143344A1 (en) * 2018-01-19 2019-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ttachment of power cables to computing devices
US11054863B1 (en) 2018-01-19 2021-07-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ttachment of power cables to compu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136A3 (en) 2016-01-14
KR101501883B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0136A2 (en) Smartphone case capable of attachment/detachment of cable for charging and/or data communication, and usb cable therefor
WO2014034998A1 (en) Back cover for mobile terminals
US11051095B2 (en) Charging case with a built-in USB cable
US7623182B2 (en) Camera interface module
WO2017122971A1 (en) Camera module
WO2013081264A1 (en) Camera lens module for a smartphone
WO2021172814A1 (en) Portable terminal accessory module having detachable means
WO2013129816A1 (en) Portable terminal case
US8882518B2 (en) Connector port with port cov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7631399B2 (en) Cable holder
US10422966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GB2559510A (en) Electronic device
WO2018092996A1 (en) Cover assembly for prot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4209011A1 (en) Vacuum or waterproof case
WO2018062723A1 (en) Card hol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991924B2 (en) Case design for a personal electronics device with a plug-in accessory
WO2015093881A1 (en) Battery cover-integrated mobile phone case having battery exchange door attached thereto
WO2014208853A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754099B2 (en) Optical fiber adapter
WO2018190545A1 (en) Mobile phone case
JP2012053375A (en) Multilink optical connector
WO2016088945A1 (en) Case for portable device
WO2016027915A1 (en) Usb charging cradle and wearable device including same
US9979805B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mobile phone and tablet computer
WO2014077502A1 (en) Connec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791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