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30021A1 -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30021A1
WO2015130021A1 PCT/KR2015/001054 KR2015001054W WO2015130021A1 WO 2015130021 A1 WO2015130021 A1 WO 2015130021A1 KR 2015001054 W KR2015001054 W KR 2015001054W WO 2015130021 A1 WO2015130021 A1 WO 20151300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line
resource
application
media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10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카인이안
노르드스트롬피터
야그트로버트
윈스턴스티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319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725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21,54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75775B2/en
Publication of WO20151300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300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Definitions

  •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recording simultaneously with watching a TV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7 to 4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source configuration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1 to 6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olicy scenario between a TV pipeline and a media pipel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uc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include, for example, Universal Serial Bus (USB),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Component, S-Video (Analog),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Network for wired connection such as RGB, D-SUB and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therefor,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ZigBe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LTE / LTE It may be formed by a network for a wireless connection such as Long Term Evolution / LTE-Advanced (A), Wi-Fi Direct,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therefor.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the service manager 213 generates a channel map and controls the channel selection using the generated channel map according to the key input received from the UI manager 214.
  • the service manager 213 receives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SI decoder 204 and sets the audio / video packet identifier (PID) of the selected channel to the demultiplexer 205.
  • PID audio / video packet identifier
  • the PID set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above demultiplexing process. Accordingly, the demultiplexer 205 filters (PID or section filtering) audio data, video data, and SI data by using the PID.
  • Figure 3 is a mobile device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device.
  • the tuner 410 receives an RF broadcast signal by tuning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viously stored channels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 the tuner 410 also converts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r a baseband signal.
  • IF intermediate frequency
  • the controller 470 controls the tuner 410 to input a signal of a channel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450. It processes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 the controller 470 allows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480 or the audio output unit 4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video or audio signal.
  • the controller 470 may be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435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450.
  •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480 or the audio output unit 485.
  • the remote control device 500 may receive an image, an audio or a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450,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500, or output a voice or vibration.
  • BSP Board Support Package
  • 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
  • Web OS core modules layer Web OS core modules layer
  • Service layer Service layer
  • Luna-Service bus layer In the bus layer, the Enyo framework / NDK / QT layer, and the top layer, the application layer is sequentially present.
  • the LSM manages an application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LSM manages display hardware, provides a buffer that renders the contents required by the applications, and combines the results of the rendering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the screen. You can print
  • the service layer may include services of various service levels, such as a TV service and a WebOS service.
  • the web OS service may include a media server, Node.JS, and the like.
  • the Node.JS service supports, for example, JavaScript.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chitecture of a webO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pplication first receives a background notification before the application playing the media in the foreground is switched to the background.
  • the application may pose itself in the media playback state. If the application does not do the pose itself, the audio playback is maintained but the video is automatically hidden by the Z-order but takes up bandwidth. For example, if the MP3 player application is taken as an example, audio playback may be maintained even when the MP3 player application goes to the background.
  • the output can also be affected. For example, if a channel of an input port is changed in one pipeline, the input of another pipeline may be changed, and the output of each pipeline may also be affected.
  • FIG.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a channel chang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dia server resource manager 3520 returns a resource list (AllocateResourceList) allocated to the VSM / DASS 3530 and the TV service viewing pipeline 3510, respectively (S3522 and S3524).
  • a resource list (AllocateResourceList) allocated to the VSM / DASS 3530 and the TV service viewing pipeline 3510, respectively (S3522 and S3524).
  • 37 to 4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resource configuration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8B illustrates a request for performing a DVR recording operation during the DTV viewing operation. Since the DTV viewing operation is a multi-tuner, the DTV viewing operation has no resource arrangement change as described with FIG. 48A and a separate DTU (tuner) is allocated for the DVR recording opera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 48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nput source is changed from DTV to HDMI.
  • a separate tuner DTU is pre-assigned for the DVR recording operation, all resources for DTV viewing may be simply released. Separately, no contact or communication with the resource manager is required for DVR recording. In addition, it is sufficient to configure the resource arrangement of the pipeline for HDMI operation.
  • FIG. 51 In contrast to configuring the virtual pipeline in FIG. 50, referring to FIG. 51, it can be seen that more resources are arranged with each other in relation to the TV service for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TV pipeline is requested. In addition, unlike FIG. 50, FIG. 51 may handle the drivers for the resources in the TV middleware stage directly, rather than in the TV pipeline stage. These can be seen, for example, as the difference between FIGS. 50 and 51.
  • FIG. 58 may refer to the distributed policy management of FIG. 53 rather than the centralized policy management of FIG. 52 described above.
  • the TV resource manager 5830 inquires whether the resource conflict is through the TV policy manager.
  • the TV policy manager 5560 requests a resource release of the TV pipeline 2 5870 to process the resource conflict through the query.
  • this is a case where a resource conflict occurs.
  • FIG. 62 is similar to FIG. 61 described above, but the media server policy manager 6250 rejects the release when a request is made to the TV policy manager 6260 for the release of the conflicted resource. In this case, the media server policy manager 6250 transmits to the media server resource manager 6220 that the release has been rejected, and the media server resource manager 6220 informs the media pipeline 6210 that resource allocation is not possible again. do.
  • the media server instructs the media pipeline to release the necessary resources based on the resource policy action selection and enters the suspended or exit process.
  • the media server can manage each pipeline process and state, including pipeline controller objects. For example, the media server may continue to update each command for a pipeline or message / update from the command line by the pipeline controller object. Pipelines associated with the pipeline controller remain in memory and are marked with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 처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media application)으로부터 로드(load)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로드 요청에 따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media pipeli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resource assigning)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 요청된 리소스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playing) 요청을 수신하여 미디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OS(Web OS) 플랫폼이 탑재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관한 것이다.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에 이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발전이 눈부시다. 고정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래 각자의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어 발전해 왔으나,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붐에 따라 그 영역이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발전 내지 환경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눈높이도 높아져 점차 다양하고 고사양의 서비스들(services)이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 지원에 대한 요청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 내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웹OS상에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웹OS상에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처리함에 있어서 필요한 런-타임 뷰, 리소스 매니지먼트, 폴리시 매니지먼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와 같은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웹OS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제품 만족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처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media application)으로부터 로드(load)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로드 요청에 따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media pipeli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resource assigning)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 요청된 리소스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playing) 요청을 수신하여 미디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TV 애플리케이션(TV application)으로부터 오픈(open)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픈 요청에 따라 제1 TV 파이프라인(TV pipeli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을 튜닝하여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은,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청 또는 녹화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요청된 시간 소정 시간 이전에 알림 팝-업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TV 애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 론칭하는 단계; 상기 론칭된 TV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및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media application)으로부터 로드(load)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로드 요청에 따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media pipelin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resource assigning)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 요청된 리소스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playing) 요청을 수신하여 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TV 애플리케이션(TV application)으로부터 오픈(open)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오픈 요청에 따라 제1 TV 파이프라인(TV pipelin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고 상기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을 튜닝하여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청 또는 녹화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TV 애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 론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론칭된 TV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예약 요청된 시간 소정 시간 이전에 알림 팝-업 메시지와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 내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웹OS상에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웹OS상에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처리함에 있어서 필요한 런-타임 뷰, 리소스 매니지먼트, 폴리시 매니지먼트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웹OS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제품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 내지 4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 내지 4의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된 인풋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아키텍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디바이스의 아키텍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디바이스에서 그래픽 컴포지션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의 구성 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와 TV 서비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비스들 사이의 인터페이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베이스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4와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특성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과 리소스 매니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서비스로 시청과 동시에 녹화를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서비스로 시청과 동시에 녹화를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엘레멘트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라이프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체인지 경우의 내부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청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37 내지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2 내지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위해 구성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재구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재구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4 내지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서비스와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의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파이프라인들 사이의 폴리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9 내지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파이프라인과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의 폴리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1 내지 6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파이프라인과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의 폴리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매니저의 기본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획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65와 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리소스 매니저와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컴페티션(resource competition)의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및
도 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서스펜딩과 리쥬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라 함은 예를 들어, 데이터(data), 컨텐트(content), 서비스(servic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송신, 수신, 처리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wire/wireless network)를 통하여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외부 서버(external server) 등과 페어링 또는 연결(pairing or connecting)(이하 '페어링') 가능하며, 그를 통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는 그 송/수신 전에 적절히 변환(converting)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도 2에서는 디지털 TV(Digital TV)를 그리고, 도 3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패널(panel)만을 가진 구성일 수도 있고, 셋톱박스(STB: Set-Top Box) 등과 같은 구성, 디바이스, 시스템 등과 하나의 세트(SET)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유/무선 네트워크”라 함은, 디지털 디바이스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외부 서버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단지 디지털 디바이스로 명명하는 경우, 그 의미는 문맥에 따라 고정형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면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 컴퓨터 기능 내지 지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인풋 등을 지원하는 지능형 디바이스로서, 상술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게임(gam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수기 방식의 인풋 디바이스, 터치-스크린(touch-screen), 공간 리모콘 등 적어도 하나의 인풋 또는 제어 수단(이하 ‘인풋 수단’)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는,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명세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웹OS를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한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범용의 OS 커널(OS kernel) 또는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상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을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외부 인풋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외부 인풋은, 외부 인풋 디바이스 즉,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모든 인풋 수단 내지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인풋으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이나 엑스-박스(X-Box) 등과 같은 게임 디바이스(game device), 스마트 폰, 태블릿 PC, 포켓 포토(pocket photo) 등과 같은 프린터기(printing device), 스마트 TV, 블루-레이(Blu-ray device)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서버”라 함은,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 즉, 클라이언트(client)로 데이터를 공급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혹은 시스템을 의미하며, 프로세서(processor)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서버로 예컨대, 웹 페이지(web page), 웹 컨텐트 또는 웹 서비스(web content or web service)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portal server), 광고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advertising server),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서버(content server),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제조업체(manufacture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VoD(Video on Demand)나 스트리밍(streaminng) 서비스 제공을 위한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 유료 서비스(pay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으로만 기술한 경우에도 그 문맥 등을 기초하여 그 의미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서비스까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10),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20), 네트워크 프로바이더(network provider)(30) 및 HNED(Home Network End User)(Customer)(40)를 포함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컨텐트 프로바이더(10)는, 각종 컨텐트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컨텐트 프로바이더(10)로 지상파 방송 송출자,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O), 위성 방송 송출자,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 개인 컨텐트 프로바이더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프로바이더(10)는, 방송 컨텐트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컨텐트 프로바이더(10)에 의해 제작된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service packetizing)하여 HNED(40)로 제공한다. 예컨대,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제작된 컨텐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서비스를 위해 패키지화하고, 이를 HNED(40)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로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트 프로바이더(10)와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동일한 개체(e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프로바이더(10)가 제작한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HNED(40)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프로바이더(2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프로바이더(30)는, 컨텐트 프로바이더(10) 또는/및 서비스 프로바이더(20)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100)는, HNED(40)에 속한 소비자로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30)를 통해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VoD, 스트리밍 등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시스템 내 컨텐트 프로바이더(10) 또는/및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전송되는 컨텐트의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트 보호(content protection)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제한 수신이나 컨텐트 보호에 대응하여 케이블카드(CableCARD)(또는 POD: Point of Deployment), DCAS(Downloadable CAS) 등과 같은 처리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가 오히려 컨텐트 프로바이더의 역할 내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다른 클라이언트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컨텐트 프로바이더(10) 또는/및 서비스 프로바이더(20)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프로바이더(30)도 소유 내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또는 서비스 데이터는, 전술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내부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이러한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은 웹OS(Web OS) 기반의 클라이언트(100)를 위한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술한 도 1의 클라이언트(10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media application)으로부터 로드(load)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로드 요청에 따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media pipelin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resource assigning)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 요청된 리소스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playing) 요청을 수신하여 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TV 애플리케이션(TV application)으로부터 오픈(open)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오픈 요청에 따라 제1 TV 파이프라인(TV pipelin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고 상기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을 튜닝하여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청 또는 녹화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TV 애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 론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론칭된 TV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예약 요청된 시간 소정 시간 이전에 알림 팝-업 메시지와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역다중화부(demux or demultiplexer)(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IP) packet(s)) 또는 IP 데이터그램(들)(IP datagram(s))(이하 IP 패킷(들)이라 한다)을 송/수신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도 1의 서비스 프로바이더(20)로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디바이스(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packet delivery)에 관여한다. 상기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들)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상기 분류된 패킷(들)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역다중화부(205)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역다중화부(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역다중화된 SI 데이터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DTMB/CMMB(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Cod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며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UI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인풋을 받아 상기 인풋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인풋을 받으면 상기 키 인풋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생성하고 UI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인풋에 따라 상기 생성된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PID or section 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2가 고정 디바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면,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 예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무선 통신부(310), A/V(Audio/Video) 입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싱부(340), 출력부(350), 메모리(36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부(31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수신 모듈(3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3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RS-232, RS-4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315)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3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인풋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인풋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34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개폐 상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위,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3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2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 출력 모듈(352), 알람부(353), 및 햅틱 모듈(3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3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인풋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인풋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3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3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352)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3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53)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51)나 음성 출력 모듈(3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351,352)은 알람부(3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3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인풋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디바이스(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3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3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인풋 또는 그림 그리기 인풋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3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software code)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다른 예는, 방송 수신부(4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 저장부(4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 제어부(470), 디스플레이부(480), 오디오 출력부(485), 전원 공급부(4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4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410), 복조부(4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405)는 튜너(410)와 복조부(4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4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410)를 거쳐 복조부(4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4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4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4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4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4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4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4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4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420)는, 튜너(4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4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4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4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4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4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4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디지털 디바이스(3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제어부(47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4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470) 또는 저장부(4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디지털 디바이스(4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제어부(4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4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4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저장부(4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저장부(440)가 제어부(4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440)는 제어부(4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4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4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4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4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튜너(410), 복조부(420)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4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47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디지털 디바이스(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70)는, 튜너(4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디바이스(4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디바이스(4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4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4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80) 또는 오디오 출력부(4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480) 또는 오디오 출력부(4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4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4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디바이스(4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4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3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4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4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4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480)는, 제어부(4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485)는, 제어부(4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디바이스(4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제어부(34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4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디지털 디바이스(4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4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4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4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4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5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5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 내지 4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제어부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510), 영상 처리부(5520), OSD 생성부(540), 믹서(mixer)(5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555), 및 포맷터(formatter)(5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5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5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5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5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5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5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4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5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5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550)는, OSD 생성부(5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5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5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5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5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5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5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4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80)와 오디오 출력부(48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 내지 4의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된다.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610), 키보드(630), 포인팅 디바이스(6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610)은, 디지털 디바이스(600)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6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6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6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630)는, 디지털 디바이스(6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6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610), 포인팅 디바이스(620), 키보드(6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인풋,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OS 및/또는 플랫폼(platform)으로 웹OS를 이용한다. 이하 웹OS 기반의 구성 내지 알고리즘 등 처리 과정은, 전술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도 2 내지 5에서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내 웹OS 기반의 또는 그와 관련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의 처리를 위해 구성은 관련 소프트웨어(software), 펌웨어(firmware) 등을 포함한 하드웨어 내지 구성요소는 제어부(controller)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웹OS 기반 플랫폼은 예컨대, 루나-서비스 버스(Luna-service Bus)에 기반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합함으로써, 개발 독립성과 기능 확장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웹OS 프로세스와 리소스 관리(resource management)를 통해 시스템 리소스(system resource)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멀티-태스킹(multi-tasking)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웹OS 플랫폼은 PC, TV, 셋톱박스(STB)와 같은 고정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디지털 디바이스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종래 문제 해결과 시장에 의존적인 모놀리틱 구조(monolithic structure)로 멀티쓰레딩 기술(multi-threading)에 기반한 단일 프로세스(single process)와 클로우즈드 제품(closed product)으로 외부 응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그 이후 새로운 플랫폼 기반 개발을 지향하고 칩-셋(chip-set) 교체를 통한 비용 혁신과 UI 응용 및 외부 응용 개발 효율화를 추구하여 레이어링 및 콤포넌티제이션(layering & componentization)이 이루어져 3-레이어드 구조와 애드-온(add-on), 싱글 소스(single source) 제품, 오픈 애플리케이션(open application)을 위한 애드-온 구조를 가졌었다. 최근에는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 구조가 기능 단위의 모듈화 아키텍처(modulating architecture), 에코-시스템(echo-system)을 위한 웹 오픈 API(Web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공, 게임 엔진(game engine)을 위한 네이티브 오픈 API(Native Open API) 등을 위한 모듈화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구조 기반의 멀티-프로세스 구조(multi-process structure)로 생성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아키텍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웹OS 플랫폼의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랫폼은 크게 커널, 시스템 라이브러리(system library) 기반의 웹OS 코어 플랫폼(Web OS core platform),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웹OS 플랫폼의 아키텍처는, 레이어드 구조(layered structure)로 최하위의 레이어에는 OS, 다음 레이어에는 시스템 라이브러리(들) 그리고 최상위에는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s)이 존재한다.
먼저, 최하위 레이어는, OS 레이어로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이 포함되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OS로 리눅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S 레이어 상위에는, BSP(Board Support Package)/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레이어, 웹OS 코어 모듈 레이어(Web OS core modules layer), 서비스 레이어(service layer), 루나-서비스 버스 레이어(Luna-Service Bus layer), 엔요 프레임워크/NDK(Native Developer’s Kit)/QT 레이어(Enyo framework/NDK/QT layer) 그리고 최상위 레이어에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가 순차로 존재한다.
한편, 상술한 웹OS 레이어 구조 중 일부 레이어는 생략 가능하며, 복수의 레이어가 하나의 레이어화 되거나 반대로 하나의 레이어가 복수의 레이어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웹OS 코어 모듈 레이어는, 서피스 윈도우(surface window) 등을 관리하는 LSM(Luna Surfa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수행 상태 등을 관리하는 SAM(System & Application Manage), 웹키트(WebKit)에 기반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등을 관리하는 WAM(Web Application Manag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SM은, 화면에 보이는 애플리케이션 윈도우(application window)를 관리한다. 상기 LSM은, 디스플레이 하드웨어(Display HW)를 관장하며, 애플리케이션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는 버퍼(buffer)를 제공하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렌더링한 결과를 합성(Composition)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SAM은,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조건별 수행 폴리시(policy)를 관리한다.
한편, WAM은, 웹OS는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을 기본 애플리케이션으로 볼 수 있는바, 엔요 프레임워크(Enyo Framework)에 기반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사용은, 루나-서비스 버스(Luna-service Bus)를 통해 이루어지며, 신규로 서비스를 버스에 등록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찾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레이어는, TV 서비스, 웹OS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레벨(service level)의 서비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OS 서비스에는, 미디어 서버, Node.JS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Node.JS 서비스는 예컨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지원한다.
웹OS 서비스는, 기능 로직(function logic)을 구현한 리눅스 프로세스(Linux process)로 버스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이는 크게 네 파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TV 프로세스와 기존 TV로부터 웹OS에 미티그레이션(Migration)되거나 제조사 차별화 서비스인 서비스들, 웹OS 공통 서비스와 자바스크립트로 개발되고 Node.js를 통해 사용되는 Node.js 서비스로 구성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TV 애플리케이션, 쇼케이스(showcase) 애플리케이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 웹 애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웹OS 상의 애플리케이션은, 구현 방법에 따라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PDK(Palm Development Kit) 애플리케이션, QML(Qt Meta Language or Qt Modeling Language)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은, 웹키트 엔진(WebKit engine)에 기반하고, WAM 런타임(Runtime) 상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은 엔요 프레임워크에 기반하거나, 일반 HTML5, CSS(Cascading Style Sheets), 자바스크립트 기반으로 개발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DK 애플리케이션은, 써드-파티(3rd-Party) 또는 외부 개발자를 위해 제공된 PDK에 기반하여 C/C++로 개발되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PDK는, 게임 등 써드 파티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C/C++)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공된 개발 라이브러리 및 도구 집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PDK 애플리케이션은, 그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QML 애플리케이션은, Qt 기반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카드 뷰(card view), 홈 대시보드(Home dashboard),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 등 웹OS 플랫폼과 함께 제공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QML은, C++ 대신 스크립트 형태의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이다.
한편, 상기에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C/C++로 개발되고 컴파일(compile)되어 바이너리(binary) 형태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그 수행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디바이스의 아키텍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웹OS 디바이스의 런타임(Runtime)에 기반한 블록도로서, 이는 도 7의 레이어드 구조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 7과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시스템 OS(Linux)와 시스템 라이브러리들 상에 서비스들과 애플리케이션들 그리고 웹OS 코어 모듈들이 포함되고 그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은 루나-서비스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메일(e-mail), 연락처(contact), 캘린더(calendar) 등 HTML5, CSS,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에 기초한 Node.js 서비스들, 로깅(Logging), 백업(backup), 파일 노티파이(file notify), 데이터베이스(DB),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시스템 폴리시(system policy), 오디오 데몬(AudioD: Audio Daemon), 업데이트(update), 미디어 서버(media server) 등과 같이 웹OS 서비스들,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VR(Personal Video Recorder),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 등과 같은 TV 서비스들,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나우 온(Now on),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검색(search), ACR(Auto Content Recognition), CBOX(Contents List Broswer), wfdd, DMR, 리모트 애플리케이션(Remote Application), 다운로드, SDP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Format) 등과 같은 CP 서비스들, PDK 애플리케이션들, 브라우저(browser), QML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들 그리고, 엔요 프레임워크 기반의 UI 관련 TV 애플리케이션들과 웹 애플리케이션들은, 루나-서비스 버스를 통하여 전술한 SAM, WAM, LSM과 같은 웹OS 코어 모듈을 통해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TV 애플리케이션들과 웹 애플리케이션들은 반드시 엔요 프레임워크 기반 또는 UI 관련이 아닐 수도 있다.
CBOX는 TV에 연결된 USB, DLNA, 클라우드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의 컨텐트에 대한 리스트와 메타데이터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CBOX는 USB, DMS, DVR, 클라우드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트 컨테이너들(content containers)의 컨텐트 리스팅을 통합된 뷰(View)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CBOX는 픽쳐, 음악, 비디오 등 다양한 타입들의 컨텐트 리스팅을 보여주고, 그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그 밖에, CBOX는, 어태치된 저장장치(attached storage)의 컨텐츠를 리얼-타임(Real-time)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CBOX는, USB 등의 저장 디바이스가 플러그-인되면, 해당 저장 디바이스의 컨텐츠 리스트를 즉시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컨텐트 리스팅 처리를 위한 표준화된 방식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CBOX는 다양한 연결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다.
SAM은, 모듈 복잡도의 개선 및 확장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예컨대, 기존 시스템 매니저(System Manager)는 시스템 UI, 윈도우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UX 상의 제약 조건 처리 등의 여러 기능을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처리하여 구현 복잡도가 커 이를 해소하고자 주요 기능을 분리하고 기능 간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함으로써 구현 복잡도를 낮춘다.
LSM은, 카드 뷰, 런처(launcher) 등 시스템 UX 구현이 독립적으로 개발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제품 요구사항 변경 등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LSM은, 앱온앱 등과 같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합성하는 경우에 하드웨어 리소스(HW resource)를 최대한 활용하여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멀티-윈도우(multi-window)와 21:9 등을 위한 윈도우 매니지먼트 메커니즘(window management mechanism)을 제공할 수 있다.
LSM은, QML에 기반하여 시스템 UI의 구현을 지원하며, 그 개발 생산성을 제고한다. QML UX는 MVC에 기반하여, 화면 레이아웃(Layout) 및 UI 컴포넌트를 쉽게 뷰를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코드를 쉽게 개발할 수도 있다. 한편, QML과 웹OS 컴포넌트 간의 인터페이스는 QML 확장 플러그-인을 통해 이루어지며,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오퍼레이션(graphic operation)은 웨이랜드 프로토콜(wayland protocol), 루나 서비스 콜(luna-service call) 등에 기반할 수 있다.
LSM은 전술한 바와 같이, Luna Surface Manager의 약어로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 컴포지터(Application Window Compositor)의 기능을 한다.
LSM은 독립적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UI 컴포넌트 등을 화면에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관련하여, 리센츠(Recents) 애플리케이션, 쇼케이스 애플리케이션, 런처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컴포넌트(component)들이 각자 자신의 내용을 렌더링(rendering)하면, LSM은 컴포지터로서 출력 영역, 연동 방법 등에 대해 정의한다. 다시 말해, 컴포지터인 LSM은 그래픽 합성, 포커스 관리(focus management), 인풋 이벤트(input event) 등을 처리한다. 이때, LSM은 인풋 매니저(input manager)로부터 이벤트, 포커스 등을 수신하는데 이러한 인풋 매니저로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 키보드와 같은 HID, 조이스틱, 게임 패드, 애플리케이션 리모트, 펜 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SM은 멀티플 윈도우 모델(multiple window model)을 지원하는데 시스템 UI 성격으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수행 가능하다. 관련하여, 런쳐, 리센츠, 세팅(setting), 노티피케이션, 시스템 키보드, 볼륨 UI, 검색, 핑거 제스쳐(finger gesture), 음성인식(Voice Recognition)(STT(Sound to Text), TTS(Text to Sound),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등), 패턴 제스쳐(pattern gesture)(카메라, MRCU(Mobile Radio Control Unit)), 라이브 메뉴(Live menu), ACR(Auto Content Recognition) 등을 LSM이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OS 디바이스에서 그래픽 컴포지션 플로우(graphic composition flow)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래픽 컴포지션 처리는, UI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매니저(910), 웹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웹키트(Webkit)(920), LSM(930) 그리고 그래픽 매니저(GM: Graphic Manager)(9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매니저(910)에서 UI 프로세스로서 웹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그래픽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생성이 되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가 풀-스크린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LSM(930)으로 전달한다. 한편, 웹 애플리케이션 매니저(910)는 UI 프로세스와 웹 프로세스 사이에 그래픽 매니징을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메모리 공유를 위하여 웹키트(920)에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이를 상기와 같이 풀-스크린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에는 LSM(930)으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풀-스크린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LSM(930)을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직접 그래픽 매니저(940)로 전달될 수 있다.
LSM(930)은 수신되는 UI 애플리케이션을 웨이랜드 서피스를 거쳐 웨이랜드 컴포지터(Wayland Compositor)로 전송하고, 웨이랜드 컴포지터에서 이를 적절히 처리하여 그래픽 매니저로 전달한다. 이렇게 LSM(930)에서 전달되는 그래픽 데이터는 예컨대, 그래픽 매니저(940)의 LSM GM 서피스를 거쳐 그래픽 매니저 컴포지터를 전달된다.
한편, 풀-스크린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LSM(930)을 거치지 않고 바로 그래픽 매니저(940)로 전달이 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WAM GM 서피스로 거쳐 그래픽 매니저 컴포지터에서 처리된다.
그래픽 매니저는 웹OS 디바이스 내의 모든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전술한 LSM GM 서피스를 거친 데이터, WAM GM 서피스를 거친 데이터뿐 아니라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캡션 애플리케이션(caption application) 등과 같이 GM 서피스를 거친 그래픽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화면상에 적절히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GM 컴포지터의 기능은 전술한 컴포지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의 구성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와 TV 서비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미디어 서버는, 디지털 디바이스 내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실행을 지원 및 필요한 리소스를 관리한다.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플레이(media play)에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서버는, 멀티미디어의 실행을 위해서는 오디오/비디오 하드웨어 리소스가 필요하며, 리소스 사용 현황을 관리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보다 큰 화면을 가진 고정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실행 시 하드웨어 리소스가 더 필요하고, 많은 데이터 양으로 인해 인코딩/디코딩 및 그래픽 데이터 전달 속도도 빨라야 한다. 한편, 미디어 서버는, 스트리밍, 파일 기반 재생 이외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레코딩(Recording) 및 튜닝(Tuning) 태스크, 시청과 동시에 녹화를 한다거나, 영상 통화 시 송신자와 수신자 화면을 동시에 보여준다거나 하는 태스크 등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미디어 서버는, 인코더, 디코더, 튜너, 디스플레이 엔진(display engine) 등 하드웨어 리소스가 칩-셋 단위로 제한이 있어, 동시에 여러 태스크를 실행하는 것이 어려워 예를 들어, 사용 시나리오를 제약하거나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아 처리한다.
미디어 서버는, 시스템 안정성을 강화(robustness)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미디어 재생 중 에러(error)가 발생한 재생 파이프라인(pipeline)을 파이프라인별로 제거 가능하고 재 기동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른 미디어 플레이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라인은, 미디어 재생 요청 시, 디코딩, 분석, 출력 등 각 단위 기능들을 연결한 체인(chain)으로, 미디어 타입(media type) 등에 따라, 필요 단위 기능들이 달라질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확장성(extensibility)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새로운 타입의 파이프라인을 기존 구현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추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디어 서버는, 카메라 파이프라인, 화상 회의(Skype) 파이프라인, 써드-파티 파이프라인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일반 미디어 재생과 TV 태스크 실행을 별개의 서비스로 처리할 수 있는데, 이는 TV 서비스의 인터페이스가 미디어 재생 경우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미디어 서버는, TV 서비스와 관련하여 ‘setchannel’, ‘channelup’, ‘channeldown’, ‘channeltuning’, ‘recordstart’ 등의 오퍼레이션을 지원하고, 일반 미디어 재생과 관련하여 ‘play’, ‘pause’, ‘stop’ 등의 오퍼레이션을 지원하여 양자에 대해 서로 다른 오퍼레이션을 지원하고, 별개의 서비스로 처리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자원 관리 기능을 통제 또는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 내 하드웨어 리소스 할당, 회수 등은, 미디어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TV 서비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태스크와 리소스 할당 현황 등을 미디어 서버로 전달한다. 미디어 서버는, 각 미디어가 실행될 때마다 리소스를 확보하고 파이프라인이 실행되며, 각 파이프라인이 점유한 리소스 현황에 기반하여, 미디어 실행 요청 시 우선 순위(예를 들어, 폴리시)에 의한 실행 허용 및 다른 파이프라인의 리소스 회수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실행 우선 순위와 특정 요청에 대한 필요 리소스 정보가 폴리시 매니저(policy manager)에 의해 관리되고,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폴리시 매니저와 커뮤니케이션하여 리소스 할당, 회수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재생 관련 모든 오퍼레이션에 관한 식별 인자(ID: identifier)를 보유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서버는 식별자에 근거하여 특정 파이프라인을 지시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둘 이상의 미디어 재생을 위하여, 파이프라인들에 둘을 구분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HTML 5 표준 미디어의 재생을 담당할 수 있다.
그 밖에, 미디어 서버는 TV 파이프라인의 별도 서비스 프로세스화는 TV 재구조화 범위에 따를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TV 재구조화 범위와 무관하게 설계 구현될 수 있는데, TV가 별도 서비스 프로세스화가 되지 않으면, 특정 태스크에 문제가 생길 때 TV 전체를 재실행해야 할 수도 있다.
미디어 서버는, uMS 즉, 마이크로 미디어 서버(micro media server)라고도 한다. 여기서,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가 미디어 클라이언트(media client)인데, 이는 예컨대, HTML5 비디오 태그(video tag), 카메라(Camera), TV, 스카이프(Skype), 세컨드 스크린(2nd Screen) 등을 위한 웹키트(Webkit)을 의미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는,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폴리시 매니저(policy manager) 등과 같은 마이크로 리소스(micro resource)의 관리가 핵심 기능이다. 관련하여, 미디어 서버는, 웹 표준 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재생(playback) 제어 역할도 제어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서버는 파이프라인 컨트롤러 리소스(pipeline controller resource)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서버는 예컨대, 확장성(extensibility), 신뢰성(reliability), 리소스의 효율적 사용(efficient resource usage) 등을 지원한다.
다시 말해, uMS 즉, 미디어 서버는, 클라우드 게임(cloud game), MVPD(pay service 등), 카메라 프리뷰(camera preview), 세컨드 스크린(2nd screen), 스카이프 등과 같은 리소스와 TV 리소스 등의 웹OS 디바이스 내에서 적절한 처리를 위한 리소스 사용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관리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각 리소스는 그 이용 시에 예컨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데 미디어 서버는 리소스 관리를 위한 파이프라인의 생성, 삭제, 이용 등을 전반적으로 관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라인이라 함은 예컨대, 태스크(task)와 관련된 미디어가 요청(request), 디코딩 스트림(decoding stream), 비디오 출력(video output) 등의 파싱(parsing)과 같은 작업의 연속을 시작하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TV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시청(watching), 녹화(recording), 채널 튜닝(channel tuning)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그 요청에 따라 생성된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리소스 이용 등에 대해 제어를 받아 처리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미디어 서버의 처리 구조 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는 미디어 서버(1020)와 루나-서비스 버스(101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미디어 서버(1020)는 상기 루나-서비스 버스(1010)를 통해 다시 생성된 파이프라인들과 연결되고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는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클라이언트(client)를 구비하고 그를 통해 미디어 서버(1020) 또는 파이프라인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에는 예컨대, 미디어 서버(1020)와 연결을 위한 uMedia 클라이언트(웹키트)와 RM(resource manager) 클라이언트(C/C++) 등이 포함된다.
상기 uMedia 클라이언트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1020)와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uMedia 클라이언트는 예컨대, 후술할 비디오 오브젝트와 대응되고,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요청 등에 의해 비디오의 동작을 위하여 미디어 서버(1020)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동작은 비디오 상태에 관한 것으로, 로딩(loading), 언로딩(unloading), 재생(play, playback, or reproduce), 포즈(pause), 중단(stop) 등은 비디오 동작과 관련된 모든 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의 각 동작 내지 상태는 개별 파이프라인 생성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uMedia 클라이언트는 상기 비디오 동작과 관련된 상태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 내 파이프라인 매니저(1022)로 전송한다.
파이프라인 매니저(1022)는, 리소스 매니저(1024)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현재 디바이스의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uMedia 클라이언트의 상태 데이터에 대응되는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한다. 이때, 파이프라인 매니저(1022) 또는 리소스 매니저(1024)는 상기 리소스 할당 등과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에 폴리시 매니저(1026)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리소스 할당에 대한 제어를 한다. 예컨대, 리소스 매니저(1024)에서 파이프라인 매니저(1022)의 요청에 따라 할당할 리소스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폴리시 매니저(1026)의 프라이어티 비교 등에 따라 상기 요청에 따라 적절한 리소스 할당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라인 매니저(1022)는, 상기 리소스 매니저(1024)의 리소스 할당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에 대하여 상기 uMedia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위한 파이프라인 생성을 미디어 파이프라인 컨트롤러(1028)에 요청한다.
미디어 파이프라인 컨트롤러(1028)는 상기 파이프라인 매니저(1022)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파이프라인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파이프라인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파이프라인, 카메라 파이프라인뿐만 아니라, 재생, 포즈, 중단 등과 관련된 파이프라인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라인에는 HTML5, 웹 CP, 스마트쉐어(smartshare) 재생, 썸네일 추출, NDK, 시네마,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등에 대한 파이프라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파이프라인에는 예를 들어, 서비스 기반의 파이프라인(자체 파이프라인)과 URI 기반의 파이프라인(미디어 파이프라인)이 있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RM 클라이언트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는 직접적으로 미디어 서버(102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직접 미디어를 처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직접 미디어 처리하는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를 통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때, 파이프라인 생성 및 그 이용을 위해 리소스 관리가 필요한바 이를 위해 uMS 커넥터가 기능한다. 한편, 상기 uMS 커넥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직접적인 미디어 처리를 위한 리소스 관리 요청이 수신되면, 리소스 매니저(1024)를 포함한 미디어 서버(1020) 통신한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서버(1020) 역시 uMS 커넥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uMS 커넥터를 통해 리소스 매니저(1024)의 리소스 관리를 받아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는 RM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RM 클라이언트는 네이티브 CP, TV 서비스, 세컨드 스크린, 플래시 플레이어, 유투브 MSE(Medai Source Extensions), 클라우드 게임, 스카이프 등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매니저(1024)는 리소스 관리에 필요한 경우에 폴리시 매니저(1026)와 적절하게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URI 기반의 파이프라인은 전술한 RM 클라이언트와 같이 미디어를 직접 처리하는 경우가 아니라, 미디어 서버(10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URI 기반 파이프라인에는, 플레이어 팩토리(player factory), G스트리머(Gstreamer), 스트리밍 플러그-인(streaming plug-in),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플러그인 파이프라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비스들 사이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이다. 이는 PSB(Palm Service Bridge)를 이용하여 루나 콜(Luna Call)하는 방법, 코르도바(Cordova)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이는 디스플레이를 비디오 태그로 확장하는 것이다. 그 밖에, 비디오 태그나 미디어 엘리먼트(media element)에 관한 HTML5 표준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PDK에서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이다.
또는, 기존 CP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위해 기존 플랫폼의 플러그-인을 루나 기반으로 확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non-웹OS인 경우에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직접 루나 버스를 호출하여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씸리스 체인지(Seamless change)는 별도의 모듈(예를 들어, TVWIN)에 의해 처리되는데, 이는 웹OS 부팅 전 또는 부팅 동안에, 웹OS 없이 TV를 화면에 먼저 보여주고 씸리스하게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이는 웹OS의 부팅 시간이 늦기 때문에 사용자의 파워 온(Power On) 요청에 빠른 응답을 위해 TV 서비스의 기본 기능을 우선 제공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TV 서비스 프로세스의 일부로, 빠른 부팅과 기본 TV 기능을 제공하는 씸리스 체인지, 공장 모드 등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모듈은, Non-웹OS 모드에서 웹OS 모드로 전환도 담당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미디어 서버의 처리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1에서, 실선 박스는 프로세스 처리 구성을 나타내고, 점선 박스는 프로세스 중 내부 처리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선 화살표는 인터-프로세스 콜 즉, 루나 서비스 콜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등록/알림(register/notify)와 같은 노티피케이션이나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를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PDK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은, 루나-서비스 버스를 통하여 각종 서비스 처리 구성들과 연결되고, 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거나 동작 제어된다.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그 데이터 처리 경로는 달라진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센서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에는 카메라 처리부(1130)로 전송이 되어 처리된다. 이때, 카메라 처리부(1130)는 제스처(gesture), 안면 인식(face detection) 모듈 등을 포함하여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카메라 처리부(1130)는 예컨대, 사용자의 선택이나 자동으로 파이프라인 등의 이용이 요구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를 통하여 파이프라인을 생성하여 해당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 경우에는 오디오 처리부(AudioD)(1140)과 오디오 모듈(PulseAudio)(1150)을 통하여 해당 오디오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140)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 모듈(1150)로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140)는 오디오 폴리시 매니저(audio policy manager)를 포함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모듈(1160)에서 가공 처리된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오디오 모듈(1160)로 노티피케이션할 수 있고, 이는 관련 파이프라인에서도 상기 오디오 모듈(1160)로 노피티케이션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1150)은 ALSA(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를 포함한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DRM이 걸려있는 컨텐트를 포함 또는 처리(이하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트 데이터를 DRM 서비스 처리부(1160)로 전송하고, 상기 DRM 서비스 처리부(1170)는 DRM 인스턴스(instance)를 생성하여 DRM이 걸려 있는 컨텐트 데이터를 처리한다. 한편, DRM 서비스 처리부(1160)는 상기 DRM이 걸려 있는 컨텐트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미디어 파이프라인 내 DRM 파이프라인과 루나-서비스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디어 데이터이거나 TV 서비스 데이터(예컨대, 방송 데이터)인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전술한 도 11에서 미디어 서버 처리부와 TV 서비스 처리부만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1과 12를 함께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애플리케이션이 TV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한 경우에는 TV 서비스 처리부(1120/1220)에서 처리된다.
여기서, TV 서비스 처리부(1120)는 예컨대, DVR/채널 매니저, 방송 모듈, TV 파이프라인 매니저, TV 리소스 매니저, 데이터 방송 모듈, 오디오 설정 모듈, 경로 매니저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는, 도 12에서 TV 서비스 처리부(1220)는, TV 방송 핸들러(TV broadcast handler), TV 방송 인터페이스부(TV Broadcast Interface), 서비스 처리부, TV 미들웨어(TV MW(middleware)), 경로 매니저, BSP(예를 들어, NetCas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예를 들어, TV 파이프라인 매니저, TV 리소스 매니저, TV 폴리시 매니저, USM 커넥터 등을 포함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TV 서비스 처리부는, 도 11 또는 12와 같은 구성을 가지거나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일부 구성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일부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TV 서비스 처리부(1120/1220)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TV 서비스 데이터의 속성 내지 타입에 기초하여, DVR(Digital Video Recorder)이나 채널 관련 데이터인 경우에는 DVR/채널 매니저로 전송하고, 다시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전송하여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여 처리한다. 한편, 상기 TV 서비스 데이터의 속성 내지 타입이 방송 컨텐트 데이터인 경우에는, TV 서비스 처리부(1120)는 방송 모듈을 거쳐 해당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를 거쳐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여 처리한다.
또는, json(Javascript standard object notation) 파일이나 c로 작성된 파일은 TV 방송 핸들러에서 처리되어 TV 방송 인터페이스부를 거쳐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전송하여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 TV 방송 인터페이스부는, TV 방송 핸들러를 거친 데이터 또는 파일을 TV 서비스 폴리시에 기초하여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전송하여 파이프라인 생성시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도 12의 TV 서비스 처리부(1220) 내부 특히,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 이하 단의 처리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는 TV 서비스 처리부(1220)의 컨트롤러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는,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파이프라인 생성을 요청하고,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고 TV 리소스 매니저로 리소스들을 요청한다. TV 리소스 매니저는 UMS 커넥터를 통해 미디어 서버로 리소스 요청을 하고 획득하면, 이를 다시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리턴한다.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리턴된 리소스들을 생성된 TV 파이프라인 내에 어레인지(arrange)하고, 파이프라인 정보를 패쓰 매니저에 레지스터한다. 이후,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그 결과를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리턴하고,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파이프라인을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로 리턴한다.
이후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는 TV 미들웨어(MW: MiddleWare)와 통신하여 채널 체인지 등을 요청하고, TV 미들웨어에서 그 결과를 리턴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TV 서비스는 처리될 수 있다.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TV 서비스 내 처리 모듈 내지 매니저 등으로부터 TV 파이프라인 생성 요청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라인 생성함에 있어서, TV 리소스 매니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TV 리소스 매니저는, TV 파이프라인 매니저의 TV 파이프라인 생성 요청에 따라 TV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의 상태와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TV 폴리시 매니저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와 uMS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 내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TV 리소스 매니저의 요청에 따라 현재 TV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의 상태와 할당 가부 등에 대해 전달한다. 예컨대,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 내 리소스 매니저의 확인 결과 만약 TV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가 이미 모두 할당된 경우에는, TV 리소스 매니저로 현재 모든 리소스가 할당 완료되었음을 노티파이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서버 처리부 내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노티파이와 함께, TV 서비스를 위해 기할당된 TV 파이프라인들 중 프라이어티나 소정 기준에 따라 소정 TV 파이프라인을 제거하고 요청된 TV 서비스를 위한 TV 파이프라인 생성을 요청 내지 할당할 수도 있다. 또는, TV 리소스 매니저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 내 리소스 매니저의 상태 보고에 따라 TV 리소스 매니저에서 적절히 TV 파이프라인을 제거, 추가, 신설 등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BSP는 예컨대, 기존 디지털 디바이스와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지원한다.
이렇게 생성된 TV 파이프라인들은 그 처리 과정에서 경로 매니저의 제어에 따라 적절히 동작될 수 있다. 경로 매니저는 상기 처리 과정에서 TV 파이프라인만이 아니라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에 의해 생성된 파이프라인의 동작까지 고려하여 파이프라인들의 처리 경로 내지 과정을 결정 내지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이 TV 서비스 데이터가 아니라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에서 처리된다. 여기서,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는, 리소스 매니저, 폴리시 매니저, 미디어 파이프라인 매니저, 미디어 파이프라인 컨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한편, 미디어 파이프라인 매니저와 미디어 파이프라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생성되는 파이프라인에는 카메라 프리뷰 파이프라인, 클라우드 게임 파이프라인, 미디어 파이프라인 등 다양하게 생성 가능하다. 한편, 미디어 파이프라인에는 스트리밍 프로토콜, 오토/스테이틱 gstreamer, DRM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경로 매니저의 제어에 따라 그 처리 플로우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 내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전술한 도 10의 설명을 원용하고, 여기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디어 서버 처리부(1110/1210) 내 리소스 매니저는 예를 들어, 카운터 베이스로 리소스 매니징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웹OS 플랫폼상에서의 미디어 서버 디자인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 서버는, 써드-파티 멀티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이 웹OS 플랫폼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디어 프레임워크이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써드-파티 멀티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이 컴플라이언트(compliant)할 수 있도록 리소스들을 컨트롤, 관리, 아이솔레이트(isolate), 디컴플릭트(deconflict)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디어 재생을 할 수 있도록 일반화된 API를 제공하고, 하드웨어 리소스 및 폴리시를 일관성있게 관리하는 플랫폼 모듈로 볼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서버의 디자인은 미디어 처리 일반화, 관련 모듈 분리를 통한 복잡도 경감에 있다.
이러한 미디어 서버의 핵심은 예컨대,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웹OS UI와의 인테그레이션(integration)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서버는, 리소스 매니저, 폴리시 매니저, 파이프라인 매니저를 컨트롤하고, 리소스 매니저 쿼리에 따라 API 액세스를 제공한다.
uMS 커넥터는, 클라이언트 미디어 파이프라인 프로세스들을 미디어 서버와 인터페이스하도록 하는 메인 API이자 SDK이다. uMS 커넥터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이벤트이자 메시지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은 로드, 플레이, 포즈, 시크(seek), 스톱, 언로드, 릴리즈 리소스(release_resource), 어콰이어 리소스(acquire_resource) 등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미디어 파이프라인 상태 이벤트들을 구현한다.
uMedia API는 C, C++ API를 미디어 서버로 제공한다.
미디어 리소스 매니저는, 하나의 심플 컨피규레이션 파일로 미디어 하드웨어 리소스들과 파이프라인 클라이언트 리소스 이용을 디스크라이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미디어 리소스 매니저는, 디폴트 또는 써드-파티 미디어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성능과 정보를 제공한다.
미디어 폴리시 매니저는, 리소스 컨플릭트 때문에 리소스 매니저가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거절하는 경우에 기능한다. 폴리시 매니저는, 써드-파티 폴리시 매니저 구현이 가능하도록 일관적인 API와 SDK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시 매니저는 LRU(Least Recently Used)와 매치하는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을 지원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플릭트된 리소스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클라이언트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을 추적하고 유지한다. 파이프라인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을 컨트롤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일관적인 API를 제공한다.
미디어 서버는 리소스 매니저와 라이브러리 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리소스 매니저는 TV 서비스들, 미디어 파이프라인과 루나 서비스 버스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리소스 매니저는, 미디어 하드웨어와 미디어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들을 디스크라이브하기 위한 전체 컨피규러블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구성하고, 리소스 컨플릭트를 디텍하며, 미디어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미디어 폴리시 매니저는,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의 policy_select와 policy_action 필드를 읽고, 리소스 컨텐션은 policy_select 필드에 의해 설명된 액티브 파이프라인을 선택을 시도하고, policy_action 필드에 기초하여 아웃고잉/선택된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issue). 상기 선택 기준은 파이프라인 컨피규레이션 세팅 엔트리에 의해 지지되는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폴리시 액션들은 unload와 release이다. 모든 파이프라인들은 할당된 모든 리소스를 릴리즈하기 unload 커맨드를 지원한다. 파이프라인은 특정 리소스를 릴리즈하기 위해 release 커맨드를 부가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상기에서, release 커맨드는 커먼 리소스들과 경쟁하는 fast switch 파이플라인들을 위한 것이고, 모든 리소스들의 unload 커맨드는 인커밍 파이프라인과 디컨플릭트에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다.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파이프라인 컨트롤러를 관리한다. 상기 파이프라인 매니저는 파이프라인 컨트롤러의 러닝 큐(running queue)를 유지하고, 미디어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를 위한 유니크 인덱싱(unique indexing)을 제공한다.
파이프라인 컨트롤러는, 관련된 미디어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의 관계를 유지한다. 파이프라인 컨트롤러는, 모든 관련된 상태를 유지하고,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미디어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파이프라인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는, 미디어 서버 등으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uMS 커넥터를 이용한 개별적인 프로세스이다. 파이프라인 (클라이언트) 미디어 기술(Gstreamer, Stage Fright)는 미디어 서버 매니지먼트와 서비스들과는 개별적이고 완전히 디커플(decoupled)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비스들 사이의 인터페이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전술한 도 7을 참조하면, 웹OS 상의 서비스는, 기능 로직(function logic)을 구현한 리눅스 프로세스(Linux process)로 버스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으며, 웹OS 상의 애플리케이션은, 구현 방법에 따라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PDK(Palm Development Kit) 애플리케이션, QML(Qt Meta Language or Qt Modeling Language)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은, 웹키트 엔진(WebKit engine)에 기반하고, WAM 런타임(Runtime) 상에서 수행되며, 엔요 프레임워크에 기반하거나, 일반 HTML5, CSS(Cascading Style Sheets), 자바스크립트 기반으로 개발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DK 애플리케이션은, 써드-파티(3rd-Party) 또는 외부 개발자를 위해 제공된 PDK에 기반하여 C/C++로 개발되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QML 애플리케이션은, Qt 기반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웹OS 플랫폼과 함께 제공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C/C++로 개발되고 컴파일(compile)되어 바이너리(binary) 형태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HTML5 표준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코르도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팜서비스브릿지를 이용하여 루나 콜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HTML5 표준을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비디오 태그, 미디어 엘리먼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코르도바를 이용하는 방법은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비디오 태그로 확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3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들(1310,1320)은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서버(1372), DRM 서비스를 위한 DRM 서버(1374), TV 서비스를 위한 TV 서비스 처리부(1376), 카메라 서비스를 위한 카메라 서비스 처리부(1378),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처리부(1380) 등을 루나 서비스 버스(1360)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웹 애플리케이션(1310)은 코르도바 처리부(TV gap)(1342), HTML5 처리부(웹키트)(1344), 팜서비스브릿지 처리부(웹키트)(1346) 등을 이용한다. 이때, 웹 애플리케이션(1310) 중 기존 CP는, 필요에 따라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한 플러그-인 처리부(1348)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PDK 애플리케이션(1320)은 PDL 처리부(1350)을 이용하고, 넌-웹OS 애플리케이션(1330)은 루나 서비스 버스(1360)를 통해 직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1310)이 전술한 HTML5 표준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HTML5 처리부(웹키트)(1344)와 루나 서비스 버스(1360)를 거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웹 애플리케이션(1310)이 전술한 코르도바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르도바 처리부(TV gap)(1342)에서 HTML5 처리부(웹키트)(1344) 또는/및 팜서비스브릿지 처리부(웹키트)(1346)를 거쳐 루나 서비스 버스(1360)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웹 애플리케이션(1310)이 전술한 팜서비스브릿지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팜서비스브릿지 처리부(웹키트)(1346)를 거쳐 루나 서비스 버스(1360)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PDK 애플리케이션(1320)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PDL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K 애플리케이션(1320)은 PDL_Service 또는 PDL_ServiceCallWithCallback을 이용하여 루나 콜을 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넌-웹OS 애플리케이션은, 별도의 구성없이도 직접 루나 콜을 통해 전술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는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 TV 서비스 처리부 등을 통해 처리되며, 그 과정에서 리소스 매니저, 폴리시 매니저, 상기 미디어 서버에 기초한 미디어 파이프라인과 미디어 파이프라인 컨트롤러와, 상기 TV 서비스 처리부에 기초한 TV 파이프라인과 TV 파이프라인 컨트롤러이 이용된다. 한편, 멀티 인스턴스로서 명확한 식별자가 부여된 미디어 재생을 위한 API로는 로드(load), 언로드(unload), 엑시트(exit), 플레이(play), 포즈(pause), 리줌(resume), 스톱(stop), 속성 설정(setproperty), 속성 획득(getproperty) 등이 있으며, TV 재생을 위한 API로는 오픈(open), 릴리즈(release), 채널 설정(setchannel), 채널 업(channelup), 채널 다운(channeldown), 레코드 스타트(start_record), 레코드 스톱(record_stop)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베이스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여, 먼저 플랫폼 사이드에서 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 미디어, TV 재생 등과 같은 리소스들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한다.
플랫폼은 리소스들의 상태 변화를 관리하며, 영향을 받는 애플리케이션에게 정확한 정보를 노티파이할 수 있다.
플랫폼은 상기 리소스들의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액션을 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액션을 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해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사이드에서 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으로부터 상태 변화를 노티파이 받으면 이를 무시하거나 액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시하는 경우에, 그로 인한 이벤트의 책임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진다. 여기서, 그 사이드 효과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만 제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떤 의도(intention)을 가지고 액션을 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는 권한도 애플리케이션에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b를 참조하여, 특정 상태 변화를 애플리케이션이 무시하면, 사이드 효과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고 플랫폼 전체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상태 변화에 대한 책임과 권한은 플랫폼 내부적으로 관리하거나 플랫폼 내부적으로 관리하거나 플랫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최소한의 예외 처리를 책임져야 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베이스라인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MVC(또는 MVP) 구현시에 컨트롤러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의 컨트롤러는, 서비스 내 모델(로직)(Model(logic))의 상태, 조건 등을 참조하여 결정되며, 애플리케이션과의 의존 관계가 없는 폴리시는 서비스 내의 컨트롤러에서 처리한다. 일 예로, 배드 비디오(bad video)가 발생한 경우에는, A/V에 대해 뮤트 처리를 할 수 있다.
반면,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는, 애플리케이션 내의 UI 폴리시나 애플리케이션에 의존적인 폴리시의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이 수정된다고 하더라도 서비스에 영향을 안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대한 미디어 상에서 베이스라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 A는, 포어그라운드에서 미디어 플레이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전환이 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백그라운드로 전환 이후에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이다.
전자에서, 포어그라운드에서 미디오 플레이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전환이 되기 전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먼저 백그라운드 노티파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오 재생 상태에서 스스로 포즈할 수 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포즈를 스스로 하지 않으면, 오디오 재생은 유지되나 비디오는 Z-order에 의해 자동으로 하이드(hide)되나 대폭(bandwidth)를 차지하게 된다. 일 예로, MP3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하면, 상기 MP3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가더라도 오디오 재생은 유지할 수 있다.
후자에서, 상기 백그라운드로 전환된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이 될 수 있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환 전에 노티파이를 받고, 상기 노티파이가 수신되면, 상기에서 스스로 포즈한 미디어를 다시 플레이한다. 이때, 플레이 지점은 예컨대, 상기 포즈된 이후부터 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플레이를 하지 않으면, 포즈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 B는,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중에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리소스 경쟁에 의해 리소스가 강제로 해제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이 되는 경우이다.
전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리소스 경쟁에 따라 해당 리소스가 해제된 경우,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를 강제로 언로드시킨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강제 언로드 이후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리소스가 부족하여 언로드되었다는 사실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노티파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리소스 부족에 따른 언로드 사실을 노티파이 받은 애플리케이션은 알림 팝-업 노출 등과 같이, 적절하게 예외 처리할 수 있다.
반면, 후자에서 상기와 같이, 리소스가 해제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가게되면, 미디어 서버가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 스스로 로드를 호출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로드를 스스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언로드 상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를 수 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17은 전술한 케이스 A에 대한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 내지 19는 전술한 케이스 B에 대한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5는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로드와 플레이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미디어 서버로 로드 요청을 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대한 리소스를 획득한다. 이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플레이 요청을 한다.
도 16은, 상기 도 15에서 포어그라운드에서 플레이 중인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가게 된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매니저로부터 포어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전환 사실을 노티파이 받는다. 이후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서버로 포즈 요청을 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된 포즈 요청을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전달한다.
도 17은 상기 도 16과 같이, 백그라운드 전환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매니저로부터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 사실을 노티파이 받는다. 그러면,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서버로 플레이 요청을 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한 요청을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 18은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백그라운드에 있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애플리케이션 등과의 관계에서 기할당된 리소스가 해제된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 있고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미디어 서버로 로드 요청을 하면, 미디어 서버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의 로드 요청에 따라 새로운 미디어 파이프라인(New Media Pipeline) 생성을 요청한다. 여기서, 새롭게 생성된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위한 리소스가 할당되어야 하는데 기존에 생성된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된 리소스와 경쟁 관계에 있게 된다. 이때, 기존 미디어 파이프라인(Old Media Pipeline)에 비하여 새롭게 생성된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리소스가 할당되면, 미디어 서버는 상기 새로운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위한 리소스 할당에 따라 기존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언로드 지시를 하고, 기존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리소스를 릴리즈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는, 백그라운드에 있는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언로드 이벤트 발생을 노티파이한다.
마지막으로, 도 19는 상기 도 18에서 백그라운드에 있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된 경웨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매니저로부터 포어그라운드로 전환 사실을 노티파이 받으면, 미디어 서버로 로드 요청을 하고, 미디어 서버는 상기 도 18에서 리소스 릴리즈에 따라 제거된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대신하여 새롭게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고,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미디어 서버로 리소스를 요청하여 획득한다. 이후, 포어그라운드에 있는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서버로 플레이 요청을 한다.
이상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버 사이의 런-타임 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에서 특히, 상기 TV 서비스를 기초로 런-타임 뷰를 설명하면, TV 서비스 처리부가 전술한 도 15 내지 19의 미디어 서버의 그 기능을 대신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술한 미디어 서비스를 대신하여 TV 서비스를 기초로 함에 따라, 채널 체인지나 시청 예약 등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런-타임 뷰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 20은 TV 서비스 즉, DTV 애플리케이션에서 채널 체인지를 처리하는 런-타임 뷰를 설명한다.
DTV 애플리케이션은 튜닝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 출력을 위한 파이프라인 오픈(open)을 TV 서비스 처리부로 요청하고, TV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채널을 위한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고, 리소스를 할당받는다.
이후, DTV 애플리케이션은 TV 서비스 처리부로 채널 설정(setchannel) 요청을 하고, TV 서비스 처리부는 TV 파이프라인에 요청된 채널을 저장하고 저장된 채널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때, 상기 리소스는 예컨대, 튜너 등을 포함한다. 이후 TV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DTV 애플리케이션으로 비디오를 출력 가능함을 노티파이한다.
채널 체인지는 상기 과정을 통해 계속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매 채널 체인지마다 TV 파이프라인이 새롭게 생성될 수도 있고, 기존 TV 파이프라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1은, TV 서비스를 위한 DTV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DTV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 매니저로부터 백그라운도 전환을 노티파이 받으면, TV 서비스 처리부로 스톱(stop) 요청을 한다. TV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백그라운드에 있는 D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스톱 요청이 수신되면, 기 생성된 TV 파이프라인에 할당된 리소스를 릴리즈한다.
도 22는, TV 서비스를 위한 DTV 애플리케이션이 도 21과 같이, 백그라운드에 있다가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DTV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스템 매니저로부터 백그라운드에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 사실을 노티파이 받으면, 방송 프로그램 출력을 위한 채널 설정을 TV 서비스 처리부로 요청한다. TV 서비스 처리부는 기 생성된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해당 채널을 저장하고 채널 튜닝 등 처리를 위한 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23은, TV 서비스 중 시청 예약을 위한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TV 서비스 처리부는 클라이언트(now and hot)으로부터 시청 예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된 시청 예약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 전에 시청 예약 요청 시간이 되었음을 팝-업 메시지로 스크린에 제공하고, 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DTV 애플리케이션의 론칭을 제어한다. 이후, TV 서비스 처리부에서 긴급 메시지(alert) 토스트로 스크린에 제공한 이후에, DTV 애플리케이션은 시청 예약된 채널 설정을 TV 서비스 처리부로 요청하고, TV 서비스 처리부는 TV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요청된 채널을 저장하고 필요한 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24와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의 런-타임 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와 25는 도 20 내지 23과 달리, 연속된 TV 서비스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24는 시청 이후에 녹화 예약(record reservation)을 위한 런-타임 뷰를, 그리고 도 25는 녹화 중에 채널 체인지를 위한 런-타임 뷰를 도시하였다. 특히, 도 24는 편의상 싱글 튜너를 예로 하였다.
도 2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에서 TV 서비스 처리부로 예약 녹화 추가(AddReservedRecord)를 요청하면, 상기 추가 요청된 예약 녹화 시작 시간 소정 시간 전에 팝-업 메시지로 사용자에게 노티파이한다. 이후, TV 서비스 처리부 내 예약 처리부는 DVR 매니저로 녹화 시작(startRecord) 커맨드를 전송하면 녹화용 TV 파이프라인을 새롭게 생성하고 리소스를 할당하고, 기 생성 중인 시청용 TV 파이프라인은 상기 생성된 녹화용 TV 파이프라인과 채널을 쉐어(share channel)하고, 상기 DTV 매니저는 녹화 시작 커맨드에 기초하여 쉐어된 채널 정보와 예약 녹화 요청된 채널을 비교하여 녹화를 위한 채널 체인지를 요청하고, TV 서비스 처리부는 DTV 애플리케이션으로 예약 녹화에 따른 채널 체인지를 노티파이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4에서는 예컨대, 싱글 튜너를 가정하여 설명한바, 만약 복수의 튜너라면, 상기에서 리소스 쉐어 따른 채널 체인지 노티파이 대신에 새로운 리소스 할당을 노티파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녹화 중에 채널 체인지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런-타임 뷰를 도시한 것으로, DTV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채널 체인지 요청에 따라 요청된 채널 설정을 TV 서비스 처리부로 요청한다. TV 서비스 처리부는 이를 시청용 TV 파이프라인으로 전달하고, 리소스 쉐어와 폴리시를 디텍트한다. 이후 TV 서비스 처리부는, 녹화에 따른 채널 체인지가 불가함을 DTV 애플리케이션으로 노티파이하고, 상기 DTV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청 선택에 대한 결과를 팝-업 메시지로 출력하여 노티파이한다.
이후, DTV 애플리케이션은 녹화 리스트를 DVR 매니저로 요청하고 리턴 받으면, 리턴 받은 녹화 리스트로부터 현재 녹화 중인 채널에 비해 채널 체인지가 우선한다고 판단되면, DVR 매니저로 녹화 중단(stopRecording)을 요청하고, DVR 매니저는 이를 녹화용 TV 파이프라인으로 전달하고, TV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녹화용 TV 파이프라인을 제거(destory)한다.
이상 애플리케이션과 미디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과 TV 서비스 사이에서의 런-타임 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리소스 쉐어링(resource sharing)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TV 서비스의 기능은 단순하게 시청(watching)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즉시 녹화, 스크린 캡쳐(screen capture) 등과 같이 시청과 연계하여 추가 기능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약 녹화, 세컨드 TV(2nd TV), Scart 신호 출력 등과 같이, 상기 시청과는 별개의 동작들이 백그라운드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밖에,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동작들이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내용들이 리소스 할당에 미치는 영향은 예를 들어, 제한된 리소스 상황에서 동시에 여러 동작을 수행하려면, 리소스 컨플릭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 동일한 리소스를 쉐어하는 리소스 쉐어 개념을 개시하고 설명한다.
TV 서비스를 예로 하면, 싱글 튜너 상황에서 TV 시청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상기 두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리소스 중 특히, 튜너가 1개이기 때문에,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리소스 쉐어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백그라운드로 돌아가던 동작이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면서, 이미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시청 동작과 연계됨에 따라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리소스 쉐어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쉐어된 리소스(들)의 특징에 대해 검토해 보면, 먼저, 쉐어되는 리소스에 대한 세팅 변경은 다른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싱글 튜너 상황에서 TV 시청과 녹화가 동시에 수행 중인 경우, 리소스 쉐어가 가능한데, 이때, 시청 중인 채널을 체인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이슈가 생긴다. 또한, 리소스 컨플릭트에 의한 할당된 리소스를 릴리즈함에도, 쉐어된 리소스에 의한 동작이 프라이어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에서, 비록 TV 서비스를 예로 하여, 리소스 쉐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지 TV 서비스와 그와 연계된 동작에서만 리소스 쉐어 개념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TV 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 미디어 서비스들 간에도 리소스 쉐어 개념은 이용 가능하다. 정리하면, 리소스 쉐어는 애플리케이션 또는/및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필요한 리소스(들)이 요구됨에도 제한적인 리소스로 인해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소스 매니지먼트, 폴리스 매니지먼트 등뿐만 아니라 리소스 쉐어 개념과 관련된 파이프라인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파이프라인에는 크게 미디어 재생 등과 관련된 미디어 파이프라인과 TV 서비스 등과 관련된 TV 파이프라인이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히, TV 파이프라인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TV 파이프라인은, 각기 다른 역할과 특징을 가진 엘레멘트들의 연결로 구성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의 경우 튜너(Tuner), SDEC, PSIP, VDEC, DE 등의 엘레멘트가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엘레멘트들은 예컨대, 리소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소스는 특히, 하드웨어 리소스일 수 있다.
이러한 엘레멘트들은 TV 미들웨어 내부에서 쓰레드(Thread)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각 모듈 간에 데이터와 이벤트를 주고 받으며 유기적으로 컨트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 개념에 맞게 각 엘레멘트를 모두 정의하기 위해서는 상기 TV 미들웨어를 재구조화할 수 있다.
이러한 TV 미들웨어 재구조화와 관련하여, 하나의 방법은 TV 파이프라인을 도 26a와 같이, 추상적인 인풋 엘레멘트(Input Element)와 아웃풋 엘레멘트(Output Element)만을 정의하고 각 엘레멘트의 실질적인 커넥션과 컨트롤은 TV 미들웨어에서 담당할 수 있다.
한편, TV 파이프라인은 각 인스턴스마다 유니크한 식별자(ID)를 가지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서 파이프라인을 컨트롤할 수 있다.
도 26a는 도 26b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6c는 예컨대, TV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파이프라인과 HDMI 파이프라인, 컴포넌트 파이프라인이 파생되는 것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한편, TV 파이프라인의 종류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는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도 27b는 브로드캐스트 파이프라인을, 그리고 도 27c는 HDMI 파이프라인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a은 예컨대,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전술한 도 26과 같은 TV 파이프라인 표기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미디어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표현 또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미디어 파이프라인의 인풋 엘레멘트 또는 소스는 별도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풋 엘레멘트는 URI이고, 아웃풋 엘레멘트는 시청(W)를 예시한 것으로 그에 따라, VDEC0, ADEC0, DE0 등의 리소스가 요구된다.
도 27b는 브로드캐스트 파이프라인으로 인풋 엘레멘트로 채널이 오며, 그에 따라 튜너(TU0)가 요구된다. 또한, 아웃풋 엘레멘트는 DTV 시청이 오며, 그에 따라 VDEC0, ADEC0, DE0 등의 리소스가 요구된다.
한편, 도 27c는 HDMI 파이프라인으로 인풋 엘레멘트로 HDMI 포트가 오며, 커넥터 리소스가 요구된다. 한편, 아웃풋 엘레멘트는 HDMI 시청(HDMI_W)가 오며, 그에 따라, RX0, ADC0, ADEC0, DE0 등이 요구된다.
상기 도 27a 내지 27c에서, 아웃풋 엘레멘트는 시청을 위해 각 파이프라인마다 필요한 엘레멘트가 생성되며,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가 할당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특성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8은 편의상 TV 브로드캐스트 파이프라인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8a를 참조하면, TV 파이프라인은 고유의 식별자(ID1)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인풋 포트와 아웃풋 포트를 각각 1개씩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풋 포트는 채널 넘버(CH)가 입력될 수 있고, 아웃풋 포트는 시청(Watch), 녹화(Record)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도 28b를 참조하여, 전술한 도 28a와 관련된 TV 리소스 엘레멘트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TV 리소스 엘레멘트는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획득한 리소스 정보와 프라이어티 정보(Resource Infor (Priority))를 가질 수 있다. 도 28b의 Prev와 Next 필드를 통해서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획득한 리소스 정보 사이의 링크가 허용될 수 있다.
도 28c를 참조하여 TV 파이프라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 파이프라인에 대한 액션은 2개의 포트를 설정하는 다음 단계로 나뉘어질 수 있다. 제1 단계로, 채널을 입력하고, 제2 단계로 출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단계에서 필요한 리소스가 있는 경우, 리소스 매니저에 요청하여 리소스를 획득한 후 TV 리소스 엘레멘트를 생ㅅ어하고, 그리고 나서 포트와 링크한다. 도 28c는 특히, 채널 설정(setChannel)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TV 파이프라인과 리소스 매니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과 리소스 매니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파이프라인과 관련하여 TV 서비스 처리부(2910)과 미디어 서버(2950)가 존재한다.
TV 서비스 처리부(2910)는 TV 파이프라인 매니저(2920)와 TV 리소스 매니저(2930) 등을 포함하고, 미디어 서버(2950)는 리소스 매니저(2960), 폴리시 매니저 등을 포함한다.
TV 리소스 매니저(2930) 내 TV 리소스 엘레멘트는 리소스 매니저(2960)로부터 획득한 리소스 정보를 가지고, 이러한 TV 리소스 엘레멘트는 미디어 파이프라인과 리소스 경쟁 관계이며, 폴리시의 대상이 된다.
한편, TV 파이프라인 매니저(2920)에 의해 매니징되는 TV 파이프라인은 리소스가 충분하다면, N(여기서, N은 양의 정수)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TV 파이프라인의 포트는 예컨대, TV 리소스 매니저(2930) 내 TV 리소스 엘레멘트와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된다.
한편, TV 리소스 엘레멘트는 TV 파이프라인끼리 에일리어싱(aliasing)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서비스로 시청과 동시에 녹화를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서비스로 시청과 동시에 녹화를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싱글 튜너의 경우이고, 도 31은 멀티 튜너의 경우이다. 이로 인해, 도 30에서는 튜너(TU) 리소스를 에일리어싱하게 되고, 도 31에서는 상기 튜너 리소스 에일리어싱이 필요 없다. 다만, 이는 상기 튜너 리소스 관점이고, 도 30 내지 31에서 인풋 포트든 아웃풋 포트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소스에 대해 에일리어싱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시청 & 녹화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특히, 튜너 리소스에 대해 에일리어싱이 발생 유무에 대해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0과 31을 참조하면, 상기 시청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시청 파이프라인(ID1)과 녹화 파이프라인(ID2)가 각각 생성되어야 하며 이때, 생성되는 각 파이프라인은 고유의 식별자를 가진다.
도 30은 싱글 튜너의 경우로, 이 경우 시청 파이프라인의 인풋 포트와 녹화 파이프라인의 인풋 포트는 둘 다 튜너(TU0) 리소스를 가지는 TV 리소스 엘레멘트와 에일리어싱 된다. 다만, 도 31은 멀티 튜너로 각 인풋 포트가 각각 튜너 리소를 가진 TV 리소스 엘레멘트와 링크 가능하므로 상기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30과 31에서 아웃풋 포트는 그 특성에 따른 TV 리소스 엘레멘트와 링크된다.
한편, 각 파이프라인은 인풋이 변경되면, 아웃풋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파이프라인에서 인풋 포트의 채널이 변경이 되면, 다른 파이프라인의 인풋도 변경될 수 있으며, 각 파이프라인의 아웃풋도 영향받을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 관점에서 만약 미디어 파이프라인이 생성되면 예컨대, DE0에 대한 리소스 경쟁이 발생 가능하고, 이 경우 시청 파이프라인의 출력 포트에 링크된 리소스가 릴리즈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시청 파이프라인의 리소스가 릴리즈되더라도 녹화 파이프라인 즉, 녹화 동작에는 영향이 없으며 유지될 수 있다.
도 31에서는 특히, 하드웨어 폴리시 상황에 따라 특정 리소스(ex, TU0, TU1)을 스왑(swap)시키는 것은 TV 파이프라인 매니저가 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31에서는 시청 파이프라인의 인풋 포트로 채널 체인지가 요청되더라도 녹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엘레멘트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TV 리소스 엘레멘트(3210)는 Prev 필드(3212), 리소스 정보 필드(3214) 그리고 Next 필드(3216)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리소스 정보 필드(3214)는 프라이어티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TV 리소스 엘레멘트(3210)는 상기 Prev와 Next 필드(3212,3216)에 기초하여 다른 TV 리소스 엘레멘트와 링크될 수 있다.
도 32b 내지 32d를 참조하면, 우선 도 32b와 같이, ID1의 리소스 엘레멘트(3220)가 존재한다. 이때, 상기 ID1의 리소스 엘레멘트(3220)는 프라이어티는 노멀(normal)이고 리소스 정보는 A 내지 E이다. 여기서, 만약 새로운 리소스 엘레멘트(3225)가 생성되고 생성된 리소스 엘레멘트의 리소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전 리소스 엘레멘트(3220)의 리소스들 중 하나와 중복되면, 도 32c와 같이, 커먼 리소스(A, B, C)를 가진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3230)는 생성되고 새로운 리소스 엘레멘트(3225)와 이전 엘레멘트(3220)는 Prev 필드에 기초하여 서로 링크(ID3)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3230)는 next 필드에 기초하여 상기 엘레멘트들과 링크(ID1, ID2)될 수 있다. 이를 예를 들어, 패런트와 차일드 사이의 관계로 명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레멘트들 중에서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3230)가 가장 높은 프라이어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3230)의 프라이어티는 차일드 엘레멘트들의 프라이어티 중 가장 높은 프라이어티를 따를 수 있다. 정리하면, 도 32b 내지 32c를 참조하면, ID1 리소스 엘레멘트(3220)의 리소스는 A 내지 E이고 프라이어티는 노멀이고, ID2 리소스 엘레멘트(3225)의 리소스가 A, B, C, F, G이고 프라이어티는 하이(High)일 경우, 상기 ID2의 리소스 엘레멘트의 리소스들 중 A, B, C가 상기 ID1 리소스 엘레멘트의 리소스들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새롭게 ID3의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가 생성이 되고, 상기 ID3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는 커먼 리소스인 A, B, C의 리소스 정보를 가진다. 이때, 상기 ID3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는 프라이어티는 ID1의 노멀과 ID2의 하이 중 가장 높은 프라이어티를 가진 ID2에 따라 하이를 가진다. 또한, ID3 인터널 리소스 엘레멘트는 Next 필드에 차일드 ID1과 ID2를 포함하여 링크된다. 한편, 이때 ID1과 ID2의 리소스 엘레멘트들은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2b와는 달리 ID1 리소스 엘레멘트는 D, E의 리소스를 포함하고, ID2의 리소스 엘레멘트는 F, G의 리소스를 포함하고 프라이어티는 변화가 없다. 다만, 이때, 패런트와 차일드 관계에 있는 ID1과 ID2의 리소스 엘레멘트는 커먼 리소스(A, B, C)의 이용을 위하여 Prev 필드에 ID3를 포함하여 링크된다.
도 32d를 참조하면, 만약 차일드 엘레멘트들 중 하나(ID1)가 제거되고 인터널 엘레멘트(ID3)의 차일드 엘레멘트가 한 개(ID2)만 남으면, 상기 인터널 엘레멘트는 더 이상 필요가 없으므로 제거되고 남은 차일드 엘레멘트(ID2)(3240)로 머지(merge)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라이프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파이프라인 라이프사이클은 오픈(open), 플레이(play), 스톱(stop) 그리고 클로우즈(close)로 구성된다.
오픈 명령에 따라 파이프라인이 생성이 되는데 이때, 파이프라인 ID가 생성되고 파이프라인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플레이 명령(ex, watch, record 등)에 따라 동작 즉, 액션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 명령에 따라 액션을 수행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은 리소스 매니저와 커넥션되어 동적으로 리소스를 할당받아 상기 액션을 수행한다. 이후 스톱 명령에 따라 파이프라인은 액션 수행을 중단하고 기 이용하던 리소스를 릴리즈한다. 다만, 상기 스톱 명령에도 불구하고 파이프라인 ID와 파이프라인 인스턴스는 유지된다. 그러나 클로우즈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유지하던 또는 생성되었던 파이프라인 ID와 파이프라인 인스턴스를 제거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라인 라이프사이클이 이루어진다. 다만, 여기에 도시된 바와 다른 패쓰나 다른 구성으로 파이프라인 라이프사이클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체인지 경우의 내부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TV 애플리케이션(3410)에서 com.webos.service.tv.broadcast/changeChannel로 ID와 채널 정보를 TV 서비스 처리 모듈(3420)로 전송하면, TV 서비스 모듈(3420) 내 TV 브로드캐스트 핸들러(3430)는 interface_broadcast_changeChannel로 ID와 채널 정보를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컨트롤러)(3440) 내 TV 서비스 폴리시 처리부(3442)로 전달한다. TV 서비스 폴리시 처리부(3442)는 API_PIPELINE_SetAction으로 ID, 인풋 타입(input_type), 액션,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TV 파이프라인 매니저(3450)로 전달하고, TV 파이프라인 매니저(3450)는 리소스를 할당하고, 파이프라인 상태를 오픈에서 플레이로 전환한다. 상기 TV 파이프라인 매니저(3450)는 파이프라인 상태가 플레이로 전환되면, PathOpen으로 ID, 리소스 정보, 인풋 타입, 액션을 패쓰 매니저(3460)로 전달하고, 상기 패쓰 매니저(3460)는 패쓰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ID, 리소스 정보, 인풋 타입, 액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패쓰 매니저(3460)에서 패쓰 인스터스가 생성되어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면, TV 파이프라인 매니저(3450)는 리소스 커넥션 이벤트를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3440)로 노티파이하고,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3440)는 DIL을 이용하여 미들웨어(MW)(3470)와 콜 커넥션(call connection)한다. 미들웨어(3470)는 커넥션을 위해 DIL(3480)을 콜하고, DIL(3480)은 커넥션을 수행한다.
TV 브로드캐스트 인터페이스(3440)는 서브 라이브러리(3444)에 ID, 채널 정보 등을 레지스터하고, 상기 레지스터된 ID,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한 API_CM_ChannelChange를 미들웨어(3470)로 전송하고, TV 브로드캐스트 핸들러(3430)로 "OK"를 리턴한다. 그러면, TV 브로드캐스트 핸들러(3430)는 최초 TV 애플리케이션(3410)에서 요청한 채널 체인지 요청에 대하여 "OK"를 리턴하여 채널 체인지 동작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파이프라인을 위한 콜 시퀀스(call sequence)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35는 예를 들어,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예시한 것이고, 도 36은 예컨대, 미디어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예시한 것이다.
먼저, 도 35를 참조하여,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와 관련된 구성은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 VSM/DASS(3530) 등이 있다.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과 VSM/DASS(353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생성(ResourceManagerClienCreate [PolicyActionHandler])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02, S3504).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는, 상기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과 VSM/DASS(3530)의 각 요청에 대하여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핸들(ResourceManagerClientHandle)을 각각 리턴한다(S3506, S3508).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과 VSM/DASS(3530)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 레지스터(ResourceManagerClientRegisterPipeline [tv_watch], ResourceManagerClientRegisterPipeline [vsm])를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10, S3512).
상기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과 VSM/DASS(353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스타트 트랜색션(ResourceManagerClientStartTransaction [Handle_watch], ResourceManagerClientStartTransaction [Handle_vsm])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14, S3516).
그리고, 상기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과 VSM/DASS(353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획득(ResourceManagerClientAcquire [Handle_watch, resourceList], ResourceManagerClientAcquire (Handle_vsm, resourceList))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18, S3520). 여기서,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의 획득 요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DTU, qty=1, attr=tv_w_tuner), (SDEC, qty=1, attr=tv_w_sdec), (VDEC, qty=1, attr=tv_w_vdec), (ATP, qty=1, attr=tv_w_atp) 및 (ADEC, qty=1, attr=tv_w_adec). 또한, VSM/DASS(3530)의 획득 요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PrimaryScaler, qty=1) 및 (PrimarySndOut, qty=1).
이후,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는, 상기 VSM/DASS(3530)과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으로 할당된 리소스 리스트(AllocateResourceList)을 각각 리턴한다(S3522, S3524).
상기 VSM/DASS(3530)와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엔드 트랜색션(ResourceManagerClientEndTransaction [Handle_vsm], ResourceManagerClientEndTransaction [Handle_watch])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26, S3528).
상기 VSM/DASS(3530)와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 언레지스터(ResourceManagerClientUnregisterPipeline [Handle_vsm], ResourceManagerClientUnregisterPipeline [Handle_watch])를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30, S3532).
VSM/DASS(3530)과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510)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제거(ResourceManagerClientDestroy [Handle_vsm], ResourceManagerClientDestroy [Handle_watch])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520)로 요청한다(S3534, S3536).
다음으로, 도 36을 참조하여, 미디어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 콜 시퀀스와 관련된 구성은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 VSM/DASS(3630) 등이 있다.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과 VSM/DASS(363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생성(ResourceManagerClienCreate [PolicyActionHandler])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02, S3604).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는,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과 VSM/DASS(3630)의 각 요청에 대하여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핸들(ResourceManagerClientHandle)을 각각 리턴한다(S3606, S3608).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과 VSM/DASS(3630)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 레지스터(ResourceManagerClientRegisterPipeline [media_play], ResourceManagerClientRegisterPipeline [vsm])를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10, S3612).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과 VSM/DASS(363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스타트 트랜색션(ResourceManagerClientStartTransaction [Handle_media], ResourceManagerClientStartTransaction [Handle_vsm])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14, S3616).
그리고,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과 VSM/DASS(3630)는,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획득(ResourceManagerClientAcquire [Handle_media, resourceList], ResourceManagerClientAcquire (Handle_vsm, resourceList))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18, S3620). 여기서,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의 획득 요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VDEC, qty=1, attr=media_vdec), (ATP, qty=1, attr=media_atp) 및 (ADEC, qty=1, attr=media_adec). 또한, VSM/DASS(3630)의 획득 요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PrimaryScaler, qty=1) 및 (PrimarySndOut, qty=1).
이후,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는, 상기 VSM/DASS(3630)과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으로 할당된 리소스 리스트(AllocateResourceList)을 각각 리턴한다(S3622, S3624).
상기 VSM/DASS(3630)와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엔드 트랜색션(ResourceManagerClientEndTransaction [Handle_vsm], ResourceManagerClientEndTransaction [Handle_media])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26, S3628).
상기 VSM/DASS(3630)와 미디어 파이프라인(3610)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파이프라인 언레지스터(ResourceManagerClientUnregisterPipeline [Handle_vsm], ResourceManagerClientUnregisterPipeline [Handle_media])를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30, S3632).
VSM/DASS(3630)과 TV 서비스 시청 파이프라인(3610)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 제거(ResourceManagerClientDestroy [Handle_vsm], ResourceManagerClientDestroy [Handle_media])을 각각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3620)로 요청한다(S3634, S3636).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소스 매니지먼트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 미들웨어는 리소스 이용에 관한 플랜을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42 내지 4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는 TV 리소스 매니지먼트가 복잡하여 직접적으로 핸들링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는 TV 서비스를 위한 리소스를 할당하나, TV 서비스를 위한 상세한 리소스 매니지먼트는 TV 서비스 처리 모듈 내 리소스 매니저와 폴리시 매니저 등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TV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리소스 이용에 대해서는 이하 도 45 내지 4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는 TV 리소스 매니지먼트를 핸들하기 위해 전술한 리소스 쉐어링 개념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TV 리소스 매니지먼트와 관련하여, TV 서비스 처리부와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폴리시 매니저의 처리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는 모든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결정하는데, 이때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들에는 디지털 디바이스 내 하드웨어 리소스들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다른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리소스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매니저는 또한, 특정 TV 서비스 시나리오에 이용되는 리소스들의 종류에 대해서는 알고 있다. 이는 리소스 매니저가 TV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디바이스 내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뿐만 아니라 사용자 등에 의해 요청 등에 따른 적절한 리소스 할당을 위함이다.
예를 들어, TV 서비스 처리부로 녹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TV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요청된 녹화 동작 수행을 위하여 리소스들 할당을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폴리시 매니저로 요청한다. 상기 리소스 매니저/폴리시 매니저는 TV 파이프라인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상태에 기초하여 필요한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TV 파이프라인의 상태는 예컨대, 시청에서 녹화로 체인지 된다. 그리고, 상기 리소스 매니저/폴리시 매니저는 상기 결정된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할당된 리소스 정보를 다시 TV 서비스 처리부로 리턴 한다.
다른 예로,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는 상술한 예시와 달리, TV와 미디어를 위한 이용 가능한 리소스들을 단지 리턴하기만 할 수 있다. 따라서, TV 서비스와 관련하여, TV 서비스 처리부는 TV 파이프라인의 상태를 기억하고, 그 스스로 필요한 TV 리소스들을 결정하여야 한다. 즉, 이전 예시가, 상기 리소스 매니저가 TV 서비스에 따라 단지 리소스 요청을 하면, 상기 리소스 매니저에서 알아서 상기 TV 서비스에 필요한 리소스를 결정하고, 그를 할당하던 방식임에 반해, 본 예시는 TV 서비스에 따라 TV 서비스에서 필요한 리소스들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리소스들의 할당을 리소스 매니저로 요청하고, 할당받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 본 예시에서, 리소스 매니저는 리소스 할당과 릴리즈를 위한 가부만 핸들링할 수 있다.
예컨대, TV 서비스 처리부가 시청 중에 녹화 요청이 수신되면, TV 서비스 처리부에서 TV 파이프라인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리소스들의 할당을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폴리시 매니저로 요청하고, 상기 리소스 매니저/폴리시 매니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된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할당된 리소스 정보를 상기 TV 서비스 처리부로 리턴하는 것이다.
상기한 각 예시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해당 디지털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 방식을 이용하면 족하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양자를 적절히 조합한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단위, 애플리케이션 단위, TV 서비스 처리부나 미디어 서버 등의 부담, 로드(load) 등 상태 등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거나 양자의 방식을 순차로 결정하여 적용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TV 리소스 매니저는 TV 파이프라인 매니저로 리소스 쉐어링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전술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resource configuration file)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TV 리소스 매니저는 리소스들과 TV 파이프라인 매니저 사이의 링키지 정보(Linkage Inform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V 리소스 매니저는 TV 폴리시 매니저로 모든 리소스 정보를 제공하고, 미디어 서버와도 인터페이싱한다. 즉, TV 리소스 매니저는 리얼 리소스들을 포함한 미디어 서버로부터 리소스들을 획득하고, 또 상기 미디어 서버로 리소스들을 다시 리턴할 수도 있다.
상기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리소스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TV 서비스의 마스터 플랜과 같은 것으로, TV 서비스에서 TV 고유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리소스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도와 같은 것이다. 이는 테이블 형태로 표현 또는 구현되어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의 역할은 예컨대, TV 서비스가 어떤 리소스를 이용하는지 표현하고, 리소스 쉐어링 개념에 이용 가능하며, 디바이스 또는 파이프라인의 상태와 관계없이 리소스 쉐어링 개념을 이용할 수도 있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예컨대, 서비스에 대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미리 알고 있으며, 서비스(들) 요청에 대해 적절히 리소스 쉐어링 개념을 이용하여 한정된 리소스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예를 들어, TV 서비스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미리 저장될 수도 있고 페어링된 외부 기기 또는/및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이용 가능하며, 상기 TV 서비스 외에 미디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정의하고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리소스 컨피규레이션이 다소 복잡한 TV 서비스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7 내지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표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표 1과 같다.
표 1
표현 의미 또는 정의
+ 쉐어링 가능(다만, 동일 용도로 쉐어링이 불가능할 수 있다.)
w 시청 용도
r 녹화 용도
c 캡쳐 용도
t 전송 용도
ts 타임쉬프트 용도
sw 스위칭 용도
x 원래 용도와 다른 용도
A | B (ex, 리소스) A가 이용 가능하면 상기 A를 사용, 그렇지 않으면 B 사용
상기 표 1에 기초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x"는 자기와 동일한 용도 이외의 다른 모든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표현할 수 있고, "+w"는 시청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표현할 수 있고, "+c+w"는 캡쳐링 용도 또는 시청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표현할 수 있다.
도 37은 싱글 튜너 모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 37a는 시청 동작을 그리고 도 37b는 상기 도 37a의 시청 동작 중에 녹화 동작에 대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7a을 참조하여, 시청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설명한다.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들은 예를 들어, ADTU(튜너), SDEC(시스템 디코더), VDEC(비디오 디코더) 및 ADEC(오디오 디코더)가 필요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으로 TV 파이프라인 내에서 리소스가 어레인지(resource arrangement)될 수 있다.
여기서, 시청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리소스 ADTU0는 현재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x]로 자기와 동일한 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리소스 SDEC0는 현재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c+t]로 켭쳐링 용도 또는 전송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리소스 VDEC0는 현재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c+t]로 켭쳐링 용도 또는 전송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리소스 ADEC0는 현재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t]로 전송 용도와 쉐어링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37b는 상기 도 37a와 같이, 시청 중에 사용자가 녹화 요청을 하는 경우이다. 이하 녹화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설명한다.
녹화 동작을 위한 리소스들은 예를 들어, ADTU와 SDEC가 필요하며, 이는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7a에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들에 포함되어 있다.
녹화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화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예컨대, 전술한 도 37a이 시청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TV 리소스 매니저는 TV 서비스에 의해 현재 리소스 ADTU가 획득되었는지 체크하고, 만약 상기 리소스 ADTU가 이미 획득되었으며, 그 이용 및 쉐어링이 가능한지 체크한다. 따라서, 도 37a에 도시된 리소스 ADTU0의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참조하면, 리소스 ADTU는 쉐어링 가능하므로, 리소스 ADTU는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로 리소스 획득 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쉐어 가능하다. 따라서, 리소스 ADTU0의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현재 시청 용도와 녹화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시청 용도에 대해서는 1 그리고 녹화 용도에 대해서는 2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둘 다 [+x]로 자기와 동일한 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와 쉐어링 가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소스 ADTU0는 도 37a의 시청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 즉, 녹화 용도로 쉐어링 가능해진다. 다만, TV 미들웨어는 리소스 SDEC의 쉐어링 가부에 대해 요청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리소스 SDEC는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로 리소스 획득 요청을 하여야 한다. 또한, 도 37a를 참조하면, 리소스 SDEC는 캡쳐링 또는 전송 용도로만 쉐어 가능하다고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리소스 획득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37b의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참조하면, 리소스 SDEC0는 상술한 도 37a와 동일하고, 새롭게 리소스 SDEC1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리소스 SDEC1은 현재 녹화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2가 된다. 다만, 리소스 SDEC1은 쉐어러블 관점에서 특별히 정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8은 역시 싱글 튜너 모델에 관한 것이나 도 37과 달리, 도 38a는 DTV 시청 및 DVR 녹화(HQ) 동작을 그리고 도 38b는 상기 도 38a의 동작 중에 인풋 소스가 HDMI로 변경되어 HDD 시청 동작에 대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38a는, DTV 시청 및 DVR 녹화(HQ) 동작 컨피규레이션 파일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 37b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고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38b는 상기 도 38a에서 인풋 소스가 HDMI로 변경된 경우에 대한 것으로 이때, 상기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리소스들은 SDEC, VDEC 및 ADEC가 요구된다. 따라서, 도 38b의 동작을 위하여, 리소스 SDEC이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DTV 시청 파이프라인은 상기 SDEC 리소스를 릴리즈할 수 있는지 문의를 받는다. 만약, 리소스 SDEC0가 릴리즈되면, DTV 시청은 더 이상 동작이 의미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DTV 시청 동작과 관련된 모든 리소스들은 시청 용도에서 제거된다. 해당 리소스들은 이용 불가로 전부 릴리즈될 수 있다. 따라서, 리소스들 SDEC, VDEC 및 ADEC을 한꺼번에 획득 가능해 진다.
도 38b의 HDD 시청 동작을 위한 컨피규레이션 파일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도 38a에서 DTV 시청 동작은 파이프라인 또는 상기 시청과 관련된 리소스들이 모두 릴리즈되지만, 여전히 DVR 녹화 동작을 위한 파이프라인과 관련 리소스들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DTV 시청 동작을 위해 획득되었고 DVR 녹화 동작을 위해 쉐어링되었던 리소스 ADTU0는 이제 DVR 녹화 동작 전용으로 이용된다. 정리하면, 리소스 ADTU0는 현재 녹화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2이고, 쉐어러블 관점은 [+x]이다. 리소스 SDEC1은 현재 녹화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2이다. 리소스 SDEC0은 현재 HDD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DTV 시청 파이프라인 제거에 따라 ID1이 DTV 시청 파이프라인에 대한 것이 아님)이고, 쉐어러블 관점은 [+c+t]이다. 리소스 VDEC0는 현재 HDD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c+t]이다. 리소스 ADEC0는 현재 HDD 시청 용도로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에서 [+t]이다.
도 39a는 전술한 도 38b와 동일한 상태의 컨피규레이션 파일이고, 도 39b는 다시 도 38a와 같이, 인풋 소스가 HDMI에서 DTV로 변경되어 DTV 시청 동작이 요청된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리소스 SDEC0의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고, HDD 시청 파이프라인은 리소스 릴리즈 요청을 받는다. 이때, 상기 리소스 SDEC0가 릴리즈되면, HDD 시청은 더 이상 무의미해지고, 상기 HDD 시청과 관련된 모든 리소스는 시청 용도에서 제거되어 릴리즈된다. 한편, HDD 시청과 달리, DTV 시청 용도에서는 리소스 ADTU가 필요한데, 이때 상기 ADTU는 시청 용도 이외에는 모든 용도와 쉐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 이용 중인 용도가 DVR 녹화 용도로 리소스 ADTU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본 DTV 시청 용도와 쉐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별도로 리소스 ADTU 획득을 위해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로 리소스 획득 요청을 하지 않아도 기존에 DVR 녹화 용도로 획득된 리소스 ADTU0를 쉐어하면 족하다. 한편, 녹화 용도 리소스 SDEC1은 쉐어가 불가능하므로, 리소스 SDEC의 획득을 위해 리소스 매니저로 요청하여 이용하여야 하며, 이때 VDEC와 ADEC도 이미 HDD 시청 용도 파이프라인 및 리소스가 릴리즈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리소스를 획득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피규레이션 파일 구성은 전술한 도 38a와 동일해진다.
도 40a는, 전술한 도 37a와 같은 DTV 시청 동작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37a의 설명을 원용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0b는, 전술한 도 40a에서 캡쳐 동작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컨피규레이션 파일 구성에 대한 것이다.
캡쳐 동작과 관련하여, 필요한 리소스들로는 예를 들어, ADTU, SDEC, VDEC 및 세컨더리 스케일러가 요구된다. 여기서, 도 40a와 대비하면, 상기 리소스들 중 ADTU, SDEC, VDEC가 중복된다. 따라서, 해당 리소스들에 대해서는 쉐어러블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TV 리소스 매니저는 리소스 ADTU, SDEC 및 VDEC가 TV 서비스에 의해 현재 획득되었는지 체크하고, 만약 해당 리소스들이 획득되었다면 상기 리소스들이 시청을 위해 이용 중인지 체크한다. 이 경우, 해당 리소스들은 별도로 리소스 매니저로 리소스 획득 요청 없이, 쉐어 가능하다. 다만, 세컨더리 스케일러의 경우에는 리소스 매니저로 리소스 획득 요청을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도 40b를 참조하면, DTV 시청 동작과 캡쳐 동작을 위한 컨피규레이션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리소스 ADTU0는 현재 시청 용도와 캡쳐 용도로 이용되며, 상기 시청 용도에 대한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상기 캡쳐 용도에 대한 파이프라인ID는 2이고, 쉐어러블 관점은 둘 다 [+x]이다. 리소스 SDEC0은 상기 리소스 ADTU와 동일하나 다만 쉐어러블 관점만, 시청 용도의 경우에는 [+c+t]이고, 캡쳐 용도에서는 [+w]이다. 또한, 리소스 VDEC0의 경우는 전술한 SDEC0와 동일하다. 그 밖에, 리소스 ADEC0는 시청 용도로만 이용되며 파이프라인ID는 1이고, 쉐어러블 관점은 [+t]이며, 리소스 세컨더리 스케일러는 캡쳐 용도로만 이용되고, 파이프라인ID는 2이며 쉐어러블 관점은 특별히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1a는 전술한 도 40b와 동일한바, 그를 원용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1b는 이때, DTV에서 출력을 SCART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도 41b를 위하여, 필요한 리소스들은 예를 들어, ADTU, SDEC, VDEC 및 세컨더리 스케일러이다.
기본적으로, 도 41a와 41b를 대비하면, 리소스 ADEC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복이 된다. 다만, 여기서 리소스들 중 리소스 ADTU, SDEC, VDEC는 도 41a의 캡쳐 동작을 종료하고, 전송 동작으로 변경하면 되므로, 캡쳐를 대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쉐어러블하다. 다만, 세컨더리 스케일러는 쉐어러블이 불가하므로, 해당 리소스가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한다. 즉, 리소스 컨플릭트 관점에서 세컨더리 스케일러는 상기 ADTU, SDEC, VDEC와는 다르다. 따라서, 현재 파이프라인은 릴리즈 요청을 받는다. 만약 상기 리소스 세컨더리 스케일러가 릴리즈되면, 캡쳐는 더 이상 무의미해진다. 따라서, 캡쳐와 관련된 모든 리소스들이 릴리즈된다. 이후, ADTU, SDEC, VDEC 및 ADEC에 TV 서비스 처리부에서 아직 획득 중인지 체크한다. 만약 상기 리소스들이 아직 획득 중이라면, DTV 시청을 위한 것인지 판단한다. 따라서, 전송 동작을 위해, 상기 획득 중인 리소스들과 쉐어러블 관점을 비교하여 쉐어한다. 다만, 상기 리소스들이 만약 DTV 시청 동작을 위해서도 미획득 상태이거나 릴리즈되었다면, 전송 동작을 위하여 해당 리소스들의 획득을 리소스 매니저로 요청하여야 한다.
따라서, TV 리소스 매니저는 DTV 시청 동작과 SCART 전송 동작을 위한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도 41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컨피규레이션 파일 구성 방식과 리소스 쉐어링 관점을 참고하여, 다양한 동작에 대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한편,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은 구성 방식, 리소스 어레인지먼트 등도 본 명세서 설명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42 내지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위해 구성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2 내지 49는 전술한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 구성 등 내용을 참고하여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위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2는 DTV 시청과 DVR 녹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리소스 쉐어링 개념을 이용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도 42a와 42b는 HQ에 대한 것이고, 도 42c 내지 42e는 LQ에 대한 것이다.
먼저, 도 42a는 DTV 시청과 DVR 녹화(HQ) 동작 수행을 위한 리소스들 중 ADTU만을 리소스 쉐어한 경우에 리소스 어레인지먼트이다. 여기서, DTV 시청 동작은, ADTU와 DMX0(디멀티플렉서)를 거쳐 비디오 데이터는 VDEC0와 프라이머리 스케일러(Primary Scaler)를 거쳐 패널을 통해 출력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ADEC0를 거쳐 SPK(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DVR 녹화 동작은, 쉐어된 ADTU로부터 DM1을 거쳐 스토리지(Storage)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반면, 도 42b는 전술한 도 42a와 달리, DMX도 함께 쉐어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DTV 시청 동작의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는 도 42a와 동일하나, 상기 DVR 녹화 동작은 이전과 달리, DMX1을 거치지 않고 상기 DTV 시청을 위해 획득된 리소스 DMX0에 의해 디멀티플렉싱되어 스토리지로 바로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가 쉐어되면, 해당 서비스 동작을 위하여 별도로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와 통신하여 리소스 할당 등을 받을 필요가 없어, 리소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2c는 예를 들어, 두 개의 리소스가 쉐어된다. 이때, 쉐어되는 2개의 리소스들은 ADTU와 MUX(멀티플렉서)이다. DTV 시청 동작은 전술한 도 42a 내지 42b와 동일하다. 다만, DVR 녹화 동작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는 전술한 도 42a 내지 42b와 상이하다. 예컨대, 도 42c에서는 DVR 녹화를 위한 신호가 DMX1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디멀티플렉싱되고, 비디오 데이터는 VDEC1, 세컨더리 스케일러와 VENC를 거쳐 MUX로 전달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ADEC1, AENC를 거쳐 상기 MUX로 전달되어 상기 VENC를 거친 비디오 데이터와 먹싱되어 스토리지에 저장된다.
도 42d는, 전술한 도 42c와 대동소이하나, 단지 상기 도 42c에 비하여 ADTU 이외에 DMX까지 쉐어하는 것이 상이하다.
도 42e는, 전술한 도 42c 보다 더욱 많은 리소스가 쉐어된다. 예컨대, DTV 시청 동작과 DVR 녹화 동작을 위해, ADTU와 DMX0를 쉐어하는데 다시 말해, DTV 시청을 위한 신호와 DVR 녹화 동작을 위한 신호를 쉐어된 리소스를 통해 처리하고, DMX0에서 DTV 시청 동작과 DVR 녹화 동작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하고, VDEC와 ADEC를 최소로 이용한다. 즉,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는 VDEC0를 거쳐 프라이머리 스케일러를 거쳐 패널로 전달되고, DVR 녹화 동작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는 VDEC0을 거쳐 세컨더리 스케일러, VENC를 거쳐 MUX로 전달된다. 그리고, DTV 시청 동작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는 ADEC0를 거쳐 SPK로 전달되고, DVR 녹화 동작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는 AENC를 거쳐 MUX로 전달되어, 상기 VENC를 거쳐 MUX로 전달된 비디오 데이터와 먹싱되어 스토리지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도 43은 DTV 시청 동작과 세컨드 TV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a는, DTV 시청 동작과 세컨드 TV 동작을 위하여 ADTU, DMX 및 VDEC와 ADEC, 그리고 MUX가 쉐어되었다. DTV 시청 동작과 세컨드 TV 동작을 위하여, 상기 두 동작을 위한 신호는 쉐어된 ADTU 및 DMX0를 거쳐 모든 비디오 데이터는 VDEC0로 전달되고, 모든 오디오 데이터는 ADEC0로 전달된다. VDEC0에서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스케일러 및 패널을 거치고, 세컨드 TV 동작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는 세컨더리 스케일러 및 VENC를 거쳐 MUX로 전달된다. ADEC0에서 DTV 시청 동작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는 SPK로 바로 출력되고, 세컨드 TV 동작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는 AENC를 거쳐 MUX로 전달되고, MUX에서 상기 VENC를 거쳐 전달된 비디오 데이터와 먹싱되어 스토리지로 전달된다.
이에 반해, 도 43b는, 도 43a에서 VDEC와 ADEC는 쉐어하지 않은 것으로, DTV 시청 동작을 위하여 VDEC0과 ADEC0이 이용되고, 세컨드 TV 동작을 위하여 VDEC1과 ADEC1이 이용되는 것이 상이하다.
또한, 도 43c는, 도 43b에서 DMX도 쉐어하지 않은 경우로, 이 경우 쉐어된 ADTU를 거쳐 DTV 시청 동작을 위한 신호는 DMX0를 거쳐 처리되고, 세컨드 TV 동작을 위한 신호는 DMX1을 거쳐 처리되는 것이 상이하다.
도 44는 DTV 시청 동작과 SCART 출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도시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도 43과 대동소이하며, 단지 세컨더리 TV 동작 처리를 대신하여 SCART 출력이 DTV 시청 동작과 함께 수행되는 것만 상이하고, 상기 SCART 출력을 위한 리소스가 상이하다.
전반적으로, 도 44a는 ADTU, DMX에 이어 VDEC과 ADEC을 쉐어하는 것이 특징이며, 도 44b는 도 44a에 비하여 VDEC와 ADEC는 쉐어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도 44c는, 상기 도 44b에 비하여 DMX까지 쉐어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도 42 내지 44가 두 가지 동작의 동시 수행에 대한 리소스 어레인지 먼트에 대한 것이라면, 도 45 내지 49는 예를 들어, TV 시나리오에 따라 리소스 어레인지먼트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설명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도 45a는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이고, 도 45b는 DVR 녹화 요청에 따라 상기 DTV 시청 동작과 함께 DVR 녹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이고, 도 45c는 인풋 소스 즉, HDMI 입력으로 체인지됨에 따라 DTV 시청 동작은 컨플릭트로 제거되고, DVR 녹화 동작과 HDMI 입력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이고, 마지막으로 도 45d는 상기 도 45c에서 DVR 녹화 동작이 종료하고, HDMI 입력을 통한 HDMI 인풋을 시청하기 위해 구성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45a 내지 45d는 일응 순차로 TV 시나리오의 변경에 따른 리소스 어레인지먼트 구성의 변화를 도시한 것인데, 그 역도 가능하다.
먼저, 도 45a를 참조하여, DTV 시청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는, ADTU, DMX0를 거쳐 비디오 데이터는 VDEC0과 프라이머리 스케일러를 거쳐 패널로 출력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ADEC0를 거쳐 SPK로 출력된다.
도 45a에서 DTV 시청 동작 수행 중에 DVR 녹화 동작 수행 요청이 수신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컨플릭트 여부, 리소스의 획득 여부 등을 고려하여 리소스 쉐어링 개념에 기초하여 두 동작의 동시 수행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동작을 동시 수행 가능한 경우에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는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두 동작을 위해서는 ADTU의 쉐어로 족하다. 따라서, 상기 쉐어된 ADTU를 거쳐 DMX0 이후는 전술한 도 45a와 동일하다. 다만, DVR 녹화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ADTU를 거쳐 DMX1을 통하여 스토리지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도 45b 과정에서 DTV와 HDMI 사이에 인풋 소스가 변경되면, 도 45c와 같이, 리소스가 어레인지먼트된다. 이때, 상기 DTV와 HDMI는 인풋 소스가 변경되어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들은 릴리즈될 수 있다. 그리고, HDMI 인풋 소스 체인지 동작과 DVR 녹화 동작 간에 리소스 컨플릭트 등을 고려하여 양 동작의 동시 수행이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는 동시 수행 가능하다. 다만, 도 45b에서 ADTU는 DTV 시청 동작과 쉐어되었으므로, 이를 DVR 동작을 위해 이용하고, 상기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 릴리즈에 따라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를 통해 ADTU를 다시 획득하여야 할 수 있다. 한편, HDMI는 HDMI Rx(HDMI 수신부)를 거쳐 비디오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스케일러를 거쳐 패널을 통해 출력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ADEC0를 거쳐 SPK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에서, 프라이머리 스케일러, 패널, ADEC0, SPK 등의 리소스들은 도 45b에서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와 동일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리소스 릴리즈가 이루어졌으므로, HDMI 인풋 동작을 위하여 다시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할당받은 리소스이다.
이후, DVR 녹화 중단 또는 종료가 되면, HDMI 시청만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가 도 45d와 같이 구성된다.
도 46과 47은 전술한 도 45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일부 리소스가 전술한 도 42 내지 44에서와 같이, 어떤 리소스를 쉐어하여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구성하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일 예로, 도 45b와 46b의 차이는, 도 42a와 도 42c의 차이와 동일하다.
한편, 도 47a는 캠을 가진 DTV 시청의 경우로, ADTU는 쉐어되고, CI(Common Interface), DMX0, VDEC, ADEC 등을 거쳐 시청 동작이 이루어지고, 한편, 상기 시청 동작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는 ADTU를 거쳐 DMX2를 통해 수신된다.
도 47b 내지 47d는, 상기 도 47a의 차이 이외에는 전술한 도 46b 내지 46d와 대동소이하다.
전술한 도 45 내지 47이 싱글 튜너에서 동작 구현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 구성 방식을 기술한 것이라면, 도 48 내지 49는 멀티-튜너에서 동작 구현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 구성 방식을 기술한 것이다.
도 48a는 DTV 시청 동작을 위한 것으로, DTU, DMX0를 거쳐 비디오 데이터는 VDEC0, 프라이머리 스케일러, 패널로 출력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ADEC0, SPK로 출력된다.
도 48b는 DTV 시청 동작 중에 DVR 녹화 동작 수행 요청에 따른 것으로, 멀티-튜너이므로, DTV 시청 동작은 전술한 도 48a와 리소스 어레인지먼트 변경이 없고, DVR 녹화 동작을 위해 별도의 DTU(튜너)가 할당된 것이 상술한 내용과 상이하다.
도 48c는, DTV에서 HDMI로 인풋 소스가 변경된 경우로, 이 경우, 전술한 바와는 달리, DVR 녹화 동작을 위하여 별도의 튜너 DTU가 기 할당되었으므로, 간편하게 DTV 시청을 위한 리소스들은 모두 릴리즈하면 되고, 별도로 DVR 녹화 동작을 위한 리소스 매니저와의 컨택 또는 커뮤니케이션이 불필요하다. 또한, HDMI 동작을 위한 파이프라인의 리소스 어레인지먼트 구성하면 족하다.
도 48d는, 도 48b에서 DTV와 ATV 사이에 체인지가 발생한 경우이다. 즉, 도 48b가 DTV 시청 동작과 DVR 녹화 동작의 동시 수행에 관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 것이라면, 도 48d는 ATV 시청 동작과 DVR 녹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구성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8은 멀티-튜너를 가정하였으므로, 여전히 DVR 녹화 동작을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만, DTV 시청 동작을 위한 리소스들은 모두 릴리즈되고, 단지 ATV 시청 동작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만을 구성하면 족하다.
도 48c에서 녹화 중단 또는 종료가 이루어지면, 도 48e와 같이 리소스 어레인지먼트가 구성된다. 그러나, 도 48d에서 녹화 중단 또는 중단이 이루어지면, 도 48f와 같이 리소스 어레인지먼트가 구성된다. 이는 전술한 도 45 내지 47을 참고하면, 충분히 설명된다.
한편, 도 49는 전술한 도 48과 대동소이하나, 단지 각 동작 또는 복수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리소스들 중 쉐어되는 리소스를 조금 다르게 하여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를 구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내용은 전술한 도 48과 대동소이한바, 그를 준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재구조화(service restructure)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특히, TV 서비스의 재구조화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종래 방송 수신기의 TV 서비스 구조로는 웹OS 기반의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TV 서비스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종래 방송 수신기는 FSM(Finite State Machine)을 구비하여 시스템 기반의 스테이트 머신인 MRE를 사용한다. 다만, MRE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FSM에 따른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방송 수신기는 리소스 패쓰(resource path)가 고정되어 유연성 또는 확장성이 떨어진다. 그 밖에, 종래 방송 수신기는 UX 시나리오와 리소스 제한 시나리오 간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리소스 제한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방송 수신기는 리소스 제한 시나리오를 제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웹OS 플랫폼상에서 TV 서비스가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TV 서비스를 재구조화하고자 한다.
먼저, 종래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MRE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센트럴라이즈드 스테이트 머신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도 51과 같이, TV 서비스를 재구조화할 수 있다. 예컨대, 웹OS 플랫폼상에서, TV 파이프라인 매니저/TV 파이프라인은, 인풋 체인지가 있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할 때, 경로를 설정한다. 또한, TV 리소스 매니저는 각 스테이트에서 리소스 할당을 하고, 패쓰 매니저는 패쓰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TV 서비스는 웹OS로 포팅한다. 이는 도 50과 같이 재구조화하여 시스템 기반의 가상의 파이프라인(Pseudo Pipeline)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 밖에, 웹OS 플랫폼상에서는, UX 시나리오와 리소스 제한 시나리오를 분리한다. 다시 말해, 리소스 제한 시나리오는 TV 폴리시 매니저 또는 TV 파이프라인 매니저에서 담당하도록 한다.
도 50을 참조하면, 하드웨어 리소스 매니저는, 로드 요청(Load tv://)을 수신하고, 미디어 서버(5010)는 하드웨어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을 정의한다.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정의된 하드웨어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파일에 기초하여 리소스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리소스 매니저는, 하드웨어 리소스 풀(Hardware Resource Pool)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수신한다. 하드웨어 리소스 매니저는 패쓰 정보(ex, TU1 object-SDEC0 object-VDEC1 object-DE1 object)를 생성하여 이를 TV 파이프라인으로 전송하고, TV 파이프라인(5020)은 전송된 패쓰 정보에 기초하여 파이프라인을 구성한다.
TV 파이프라인이 구성되면, 각 오브젝트는 TV 미들웨어(5030)의 해당 드라이버들로 오픈 요청(ex, TU1 open to TU driver, SDEC0 open to SDEC driver)을 한다. 이를 통해 오브젝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들을 오픈하고 패쓰 컨트롤을 구성한다.
이후, 플레이 요청(Play tv://)을 하드웨어 리소스 매니저에서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플레이 요청을 TV 미들웨어 내 채널 매니저 쓰레드(CM Thread)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필요한 드라이버가 오픈되고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 리소스를 컨트롤하여 채널 체인지 등의 서비스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재구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에서 TV 파이프라인(5120)의 상단부 처리 과정은, 전술한 도 50의 TV 파이프라인 상단부(5110) 처리 과정과 동일한바, 상술한 내용을 원용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TV 파이프라인 이하 단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0과 51의 가장 큰 차이는 TV 파이프라인의 구성에 있다. 전술한 도 50의 경우, 웹OS로의 TV 서비스 포팅을 위한 가상의 파이프라인 구성을 위한 것이라면, 도 51은 종래 TV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MRE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51에 도시된 TV 서비스 재구조화는 예컨대, TV 파이프라인과 관련된 TV 파이프라인 매니저, TV 리소스 매니저, 패쓰 매니저 등의 기능 등이 종래 TV 서비스와 상이하다.
도 50에서 가상의 파이프라인을 구성함에 비하여, 도 51을 참조하면 TV 파이프라인의 구성이 요청된 TV 서비스와 관련하여 더욱 많은 리소스들이 서로 리소스 어레인지먼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51은 도 50과 달리, TV 미들웨어 단에서 리소스들을 위한 드라이버들을 핸들링하는 것이 아니라 TV 파이프라인 단에서 이를 직접 핸들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예컨대, 도 50과 51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여, TV 파이프라인 단(512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TV 파이프라인 단 내의 TV 서비스로 채널 체인지를 위한 리소스 어레인지는 TU-SDEC-VDEC-DE 오브젝트로 구성됨에 전술한 도 50과 같다. 이러한 오브젝트의 어레인지먼트는 예컨대, 상기 TV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리소스들을 도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50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리소스들에 대해서만 어레인지먼트하면, TV 미들웨어에서 관련 드라이버들과 리소스들을 연결하여 후속 처리를 하였다. 그러나, 도 51에서는 TV 미들웨어 단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로드(load)를 최소화하고, TV 파이프라인 단에서 직접 리소스와 커넥션을 위한 드라이버들을 핸들링하여 빠른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51의 채널 체인지 TV 서비스를 위한 TV 파이프라인은 TU-SDEC0-PSIP-VEDC1-DE1-VIDEO 싱크 순으로 어레인지 되었다. 여기서, SDEC0 오브젝트와 PSIP 컴포넌트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방송 컴포넌트가 어레인지될 수 있으며, 상기 PSIP 컴포넌트와 VDEC1 오브젝트 사이에 필요에 따라 EPG 싱크, 채널 리스트 싱크 등이 어레인지될 수 있으며, 상기 VDEC1과 DE1 오브젝트 사이에 ACC 싱크가 추가로 어레인지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TV 파이프라인 단에서는 상기 파이프라인 내에 어레인지되는 오브젝트, 컴포넌트나 싱크 등의 하드웨어 리소스와 커넥션을 위한 드라이버 오픈을 직접 핸들링한다. 이렇게 TV 파이프라인 단에서 드라이버를 직접 핸들링함으로써 TV 미들웨어의 동작 내지 부담을 최소화하고 빠른 액세스, 처리 등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에서, 채널 체인지 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TV 파이프라인 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일 예로서,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 PSIP 컴포넌트는 신호와 관련된 표준에 정의된 바에 따라 DVB 컴포넌트 등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로 PSI 컴포넌트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시 매니지먼트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파이프라인을 구성함에 있어서, 리소스 쉐어링 개념을 이용하여 리소스들을 적절히 어레인지먼트하였다. 그러나,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내 리소스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웹OS에서 상기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리소스들을 적절히 어레인지하여야 하고 특히나, 웹OS 플랫폼에서 멀티-태스킹 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함에 있어서, 리소스들이 필요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소스들이 리소스 컨플릭트 발생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면, 이를 적절히 컨트롤하여야만 원활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폴리시 매니지먼트(policy management)가 기능 한다. 한편, 상기 폴리시 매니지먼트는 이하에서 경우에 따라 폴리시 액션(policy action)이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시 매니지먼트는, 크게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와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2는 상기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 관해 도시한 것이고, 도 53은 상기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에 관해 도시한 것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2를 참조하여,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시는 기본적으로 각 파이프라인에 적용되어 직관적이다.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면,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만 폴리시를 고려하면 된다. 다시 말해, 파이프라인(들)은 폴리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상기 리소스 매니저에서 폴리스를 고려하여 각 파이프라인에 리소스 어레인지하면 되기 때문이다.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서는, TV 시스템상에 공통을 적용할 커먼 폴리시(common policy)가 있으면 적용이 쉬워 로드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이프라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소스들 또는 모듈들은 기본적으로 로드를 줄이기 위해 복잡한 폴리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일관적인 폴리시 적용이 요구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 따르면, 상기 폴리시 매니저가 디지털 디바이스 내 모든 폴리시를 신경 써야 하기 때문에, 코드(code)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이는 상기 커먼 폴리시 뿐만 아니라 상기 커먼 폴리시를 해결하기 어려운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예외 처리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폴리시가 정의되어야 하므로 코드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의 코드 퀄리티(quality)와 리유저빌러티(reusability)가 떨어질 수 있으며, 신규 파이프라인이 추가되는 경우 기존 모든 파이프라인들과의 프라이어티 비교 등을 다시 해야하는 등의 부담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순위를 다시 정해야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가 TV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쉐어러블 리소스, 다이내믹 프라이어티(dynamic priority) 등의 경우 그 리소스 어레인지 등 처리가 복잡해질 우려도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시청을 위한 미디어 파이프라인(5210)은, VDEC1, ATP1, ADCE1 리소스가 상기 시청을 위해 요구된다. 또한, TV 서비스(5230)은 3개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시청 파이프라인, 녹화 파이프라인 그리고 캡쳐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시청 파이프라인은 TU0, SDEC0, VDEC0, ATP0, ADEC0의 리소스들을 요구하고, 녹화 파이프라인은 TU0, SDEC1 리소스들을 요구하며, 캡쳐 파이프라인은 TU0, SDEC0, VDEO0, Secondary Scaler 리소스들을 요구한다. 또한, 카메라 파이프라인(5240)은 시청을 위하여, Camera, VENC0, AENC0 리소스들을 요구한다.
상기와 같이, 각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들을 요구하면,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5220)는 해당 파이프라인에 적절히 요구한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한된 리소스들을 가지고 있을 뿐이므로 이를 적절하게 할당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리소스 매니저(5220)는 TV 서비스 내 시청, 녹화 및 캡쳐 파이프라인들에서 요구하는 리소스들 중 리소스 쉐어링 기법에 따라 상기 3개의 파이프라인들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TU0 리소스를 쉐어하도록 할당 지시할 수 있고, 시청 및 캡쳐 파이프라인들에 대해서는 SDEC0와 VDEC0 리소스들을 쉐어하도록 할당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와 같이, TV 서비스의 파이프라인들만 고려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파이프라인과 카메라 파이프라인들에서 요구하는 리소스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리소스 매니저(5220)는 각 서비스 또는/및 파이프라인들에 대하여 리소스 할당 우선순위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그에 기초하여 리소스들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2를 예로 하면, TV 시청, TV 녹화, TV 캡쳐, 미디어 시청, 카메라 시청 등에 대해 미리 저장된 리소스 할당 우선순위에 따라 리소스 매니저는 각 파이프라인에서 요구하는 리소스들을 적절히 할당 또는 쉐어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컨플릭트가 발생하는 리소스(들)에 대해서는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더 높은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파이프라인(들)에 대해서는 리소스 할당 거부 의사를 리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소스 컨플릭트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기초한 리소스 할당은 폴리시 매니저의 기능이 된다. 다시 말해, 리소스 매니저는 매 파이프라인이 생성되고, 생성된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를 요구할 때마다, 기 생성된 파이프라인(들)에 대해 할당된 리소스(들)에 대해 상기 생성된 파이프라인과의 컨플릭트 가능성을 검토하고, 검토 결과 컨플릭트가 발생하면,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한 폴리시에 따라 어떤 리소스를 릴리즈하고 릴리즈된 리소스를 어떤 파이프라인에 할당할 것인지 등에 관하여 적절히 결정하게 된다. 상술한 폴리시 매니지먼트는 각 파이프라인에 대해 미리 결정 및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한다고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LRU(Least Recently Used)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상기 리소스 릴리즈 또는 할당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의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와 달리, 도 53은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에 따르면,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 비하여 서비스들 사이에 독립성이 높다. 또한,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서 각종 서비스에 대한 예외 처리까지 고려하여 코드가 복잡해짐에 비하여,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에서는 상기 서비스의 예외 처리는 해당 서비스에서 내부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다른 서비스와의 관계에서 프라이어티에 대한 영향이 없다. 이와 같이,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에서는 미디어 서버 내 리소스 매니저가 디지털 디바이스상의 모든 폴리시를 신경쓸 필요가 없어 코드가 단순해지고 리유저빌러티가 상기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저에 비해 높고, 리소스 매니지먼트가 쉽다. 그 밖에, 각 서비스 단위로 폴리시가 별도로 진행되어 해당 서비스에 대해 가장 잘 아는 모듈이 폴리시를 매니징하고, 신규 파이프라인 추가 시에도 쉽게 프라이어티가 적용될 수 있다.
반면,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저에 의하면, 상술한 커먼 폴리시에 대한 적용 내지 처리가 어렵다. 또한, 각 서비스에 대한 폴리시를 개별적으로 매니징하는 기능 내지 모듈이 있어야 한다.
도 53의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는 전술한 도 52와 유사한바, 그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고,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술한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3에 도시된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는, 상기 도 52의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이 파이프라인 단위임에 반해, 서비스 단위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3의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도 상기 52의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과 같이, 우선순위 또는/및 LRU에 기초하여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서버는 최소한의 로드만 책임지고 구체적인 내용은 해당 서비스에 일임하고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미디어 서버는 TV, 미디어, 카메라 서비스에 대해서만 우선순위 데이터를 미리 결정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미디어 서버는 각 서비스에서 리소스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서비스의 우선순위 또는/및 LRU에 기초하여 해당 서비스로 리소스를 할당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 플로우는 매 서비스에서 리소스 요청시마다 리소스 컨플릭트 발생 우려를 고려하게 되고, 상기 고려 결과 리소스 컨플릭트 상황이 발생하면 폴리시 매니징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비록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황에 따라 도 52의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과 도 53의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은 적절히 혼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는 하나의 서비스에서 리소스 할당이 요청되면, 도 53과 같이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에 기초하여 서비스 단위에서 리소스 컨플릭트 우려가 있는지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리소스를 할당하면 된다. 이때, 미디어 서버는 계속하여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에 따라 서비스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하고 해당 서비스에서 만약 복수의 파이프라인들이 생성된 경우에 알아서 리소스 할당을 할 수도 있고, 서비스 단위로 판단 이후에는 도 52에 따라 센트럴라이즈드 방식에 따라 해당 서비스 내 파이프라인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미디어 서버는 만약 서비스 내에 파이프라인이 싱글 파이프라인인 경우에는 디스트리뷰티드 방식을 멀티 파이프라인들이면 센트럴라이즈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리소스를 요청하는 서비스가 복수 인 경우에만 디스트리뷰티드 방식에 기초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도 54 내지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서비스와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의 폴리시 매니지먼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를 참조하면, TV 서비스(5410)로 2D(2-Dimensional) 모드의 시청 파이프라인(A)과 3D(3-Dimensional) 모드 시청 파이프라인(B)이 생성되고, 2D 재생을 위한 미디어 파이프라인(C)(5420)이 도시되었다. 상기에서, 2D 모드 시청 파이프라인(A)은, ADTU, SDEC0, VDEC0, ATP0 및 ADEC0 리소스들이 요구되고, 3D 모드 시청 파이프라인(B)은, ADTU, SDEC0, VDEC0, ATP0, ADEC0 및 VDEC1 리소스들이 요구되고, 미디어 파이프라인(C)(5420)은 VDEC1, ATP1 및 ADEC1 리소스들이 요구된다. 도 54에서, 알파벳 A, B, C는 단순하게 각 파이프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이다. 다만,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알파벳은 예컨대, 폴리시 우선순위, 파이프라인 생성 순서 또는 리소스 할당 요청 순서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단지 각 파이프라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스마트 TV의 경우, A와 B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한 경우, 미디어 서버는 B 파이프라인의 VDEC1과 C 파이프라인의 VDEC1 리소스의 컨플릭트 때문에, 상기 C 파이프라인의 리소스 할당 요청을 거부한다. 또는, A와 C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B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할당이 요청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B와 C 파이프라인 사이에는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리소스 컨플릭트에 대해 종래 스마트 TV에서는, TV 서비스를 우선하여 즉, 우선순위가 더 높기 때문에 기 VDEC1 리소스를 할당받은 C 파이프라인에서 할당 받은 리소스를 릴리즈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결국 이 경우, TV에서는 A와 B 파이프라인에 따른 TV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또한, C와 A 파이프라인 순차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면 리소스 컨플릭트 상황이 없으므로 종래 스마트 TV에서는 해당 서비스들이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B 파이프라인이 생성되고 리소스 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B와 C 파이프라인 사이에는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마지막에 리소스를 할당한 B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는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고 거부한다. 따라서, 상기 경우에 3D 서비스는 C 파이프라인이 제거 또는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를 릴리즈 등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 스마트 TV에서는 이용 불가능한 서비스가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웹OS 플랫폼이 채용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는, 상술한 종래 스마트 TV와 다르게 리소스 컨플릭트 발생시 폴리시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다.
먼저, A와 B의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를 요청하고 리소스 쉐어링 등을 통해 리소스가 할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C 파이프라인이 생성되고 리소스 요청이 수신되면, 웹OS 디바이스에서는, 이 경우, TV 서비스로 VDEC 리소스 릴리즈 가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GUI 또는 OSD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3D 모드 시청 파이프라인을 제거하겠다고 선택하면,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VDEC 리소스를 할당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사용자가 3D 모드 시청 파이프라인 제거를 원치 않으면, TV 서비스는 상기 폴리시 매니저의 폴리시를 거절할 것이다. 따라서,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VDEC 리소스를 획득하지 못한다.
이와 달리, 만약 A와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들을 먼저 점유한 상태에서, B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B 파이프라인이 PIP TV 서비스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B 파이프라인의 리소스 할당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B 파이프라인이 풀-스크린 TV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에는, B 파이프라인에 따른 VDEC 리소스 할당을 리소스 매니저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리소스 매니저는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상기 VDEC 리소스의 릴리즈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스마트 TV에서와 본 발명에 따른 웹OS 디바이스에 폴리시 매니지먼트는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5는 TV 서비스(5510)로 2D 모드의 시청 파이프라인(A), 그리고 미디어 파이프라인들(5520)로 2D 재생 파이프라인(B)과 3D 재생 파이프라인(C)이 도시되었다. 도 55에서는 A 파이프라인과 C 파이프라인 사이에 동일하게 VDEC0 리소스의 컨플릭트 가능성이 있다.
종래 스마트 TV에서는 A와 B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을 하면, A 파이프라인에 대해 기 할당된 리소스를 릴리즈하도록 처리하고, A와 C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B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을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A 파이프라인에 대해 기 할당된 리소스의 릴리즈를 한다. 한편, C와 A 파이프라인에 대해 순차로 리소스 할당 이후에 B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하면 동일하게 A 파이프라인의 리소스를 릴리즈하고, C와 B 파이프라인 이후에 A에서 리소스 할당 요청을 하면, 상기 A의 리소스 할당 요청은 거부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웹OS 디바이스에는,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A와 B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는 경우와 B와 A 파이프라인에 대해 순차로 에서 리소스 할당 이후에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C 파이프라인이 PIP를 통한 미디어 서비스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C 파이프라인의 요청은 거부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C 파이프라인이 풀-스크린을 통한 미디어 서비스 요청인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로 VDEC 리소스 요청을 해야 한다. 이 경우, 미디어 서버는 TV 서비스로 VDEC 릴리즈를 요청한다. 따라서, A 파이프라인은 VDEC 리소스를 릴리즈한다.
반면, B와 C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A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미디어 서버는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VDEC 릴리즈 요청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만약 특히, C 파이프라인을 제거하겠다고 선택하면, TV 서비스는 VDEC 리소스를 할당받아 TV 서비스가 가능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폴리시를 거부하고, 결국 TV 서비스는 VDEC 리소스를 얻지 못해 TV 서비스가 불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도 56은 TV 서비스(5610)로 컴포넌트 입력에 따른 시청 파이프라인(A)과 녹화 파이프라인(B), 그리고 미디어 파이프라인(5620)으로 2D 재생 파이프라인(C)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에서, A 파이프라인은, VADC0, AADC0 및 ADEC0 리소스들이 요구되고, B 파이프라인은, ADTU, SDEC0, VDEC0, Secondary Scaler, VENC, ATP0, ADEC1, AENC 및 MUX 리소스들이 요구되고, C 파이프라인은 VDEC1, ATP1 및 ADEC1 리소스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 56에서는 B와 C 파이프라인 사이에 ADEC1 리소스의 컨플릭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A와 B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C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 A와 C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B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 C와 A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B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 및 C와 B 파이프라인에 대해 리소스 할당 이후에 A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 요청을 한 경우, 각 경우에서 가장 마지막에 리소스 요청을 한 파이프라인에서 PIP 스크린을 요청한 경우에는, 상기 PIP 스크린 요청은 모두 거부된다.
마지막으로, 도 57은 TV 서비스(5710)로 파이프라인(A), 그리고 미디어 파이프라인(5720)으로 2D 재생 파이프라인(B)과 3D 재생 파이프라인(C)이 도시되었다. 도 57에서는 TV 서비스와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에 VDEC0, ADEC1 리소스들의 컨플릭트 가능성이 있다.
종래 스마트 TV의 경우, 도 57에 대해 어떤 경우도 C 파이프라인은 리소스 할당이 거부되거나 기 할당받은 리소스를 릴리즈하여야 한다. 다만, 웹OS 디바이스에서는, 미디어 서버에서 TV 서비스로 VDEC 리소스의 릴리즈를 요청하나, 상기 TV 서비수는 상기 폴리시를 거부하고, 결국, 미디어 파이프라인은 VDEC 리소스를 할당받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C 파이프라인에서 VDEC0 리소스로 인해 상기 TV 서비스의 종료, 임의의 리소스 릴리즈 등의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모두 서비스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파이프라인들 사이의 폴리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은 예를 들어, 전술한 도 52의 센트럴라이즈드 폴리시 매니지먼트보다는 도 53의 디스트리뷰티드 폴리시 매니지먼트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리소스 매니지먼트 또는 폴리시 매니지먼트와 관련하여, 미디어 서버와 TV 서비스 처리부가 기능한다. 여기서, 미디어 서버는 리소스 매니저(5820), 폴리시 매니저(5850)가 기능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와 관련하여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TV 서비스 처리부 역시, TV 리소스 매니저(5830)와 TV 폴리시 매니저(5860)가 기능하여 TV 서비스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V 파이프라인들은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튜너와 같은 리소스(들)은 TV 서비스만을 위한 리소스(들)이다. 따라서, TV 리소스 매니저(5830)는 스스로 리소스 컨플릭트를 인지할 수 있다. 리소스 획득 이전에 만약 상기 리소스 컨플릭트가 감지되면, TV 폴리시 매니저(5860)는 상기 리소스 컨플릭트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관련하여, TV 파이프라인1(5840)에서 리소스를 요청하면, TV 리소스 매니저(5830)는 TV 폴리시 매니저를 통해 리소스 컨플릭트 여부를 문의한다. 그리고, TV 폴리시 매니저(5860)는 상기 문의를 통한 리소스 컨플릭트 처리를 위해 TV 파이프라인2(5870)의 리소스 릴리즈를 요청한다. 다만, 이는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TV 리소스 매니저(5830)는, 컨플릭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820)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820)로부터 리소를 할당받으며, TV 파이프라인1(5840)로 할당받은 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58에서는 예컨대, TV 파이프라인들(TV 파이프라인1(5840), TV 파이프라인2(5870) 등)만 존재하였다. 이와 달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디어 파이프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59 내지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파이프라인과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의 폴리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9와 60은 예를 들어, TV 파이프라인에서 리소스를 요청하는 경우에 이미 해당 리소스가 미디어 파이프라인(5910)에 할당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9를 참조하면, TV 파이프라인1(5940)에서 리소스 할당을 TV 리소스 매니저(5930)로 요청하면, TV 리소스 매니저(5930)는 상기에 요청에 대응하여 리소스 획득을 위해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한다.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는 폴리시 매니저(5950)로 리소스 컨플릭트 여부를 문의한다. 미디어 서버의 폴리시 매니저(5950)는 상기 리소스 매니저(5920)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 파이프라인(5910)으로 기 할당받은 리소스의 릴리즈를 요청한다. 미디어 파이프라인(5910)에서 리소스를 릴리즈하였음을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로 보고하면,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는 상기 TV 리소스 매니저(5930)에서 요청한 리소스를 할당한다. TV 리소스 매니저(5930)는 상기 획득한 리소스를 TV 파이프라인1(5940)에 할당한다.
도 60을 참조하면, TV 파이프라인1(5940)에서 TV 리소스 매니저(5930)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고, TV 리소스 매니저(5930)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한다.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는 리소스 컨플릭트 여부를 미디어 서버의 폴리시 매니저(5950)로 문의한다. 폴리시 매니저(5950)는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리소스의 릴리즈를 미디어 파이프라인(5910)에 요청한다. 상기 미디어 파이프라인(5910)에서 만약 상기 폴리시 매니저(5950)의 요청을 거부한다고 응답하면, 폴리시 매니저(5950)는 리소스 매니저(5920)로 릴리즈가 거부되었음을 보고하고,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5920)는, TV 리소스 매니저(5930)로 리소스 할당이 불가하다고 응답한다. TV 리소스 매니저(5930)는 이를 다시 TV 파이프라인1(5940)에 전달한다.
도 59와 60은 둘 다 TV 파이프라인과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에 리소스 컨플릭트 이슈가 있다. 다만, 도 59에서는 미디어 파이프라인(5910)에서 폴리시 매니저(5950)의 릴리즈 요청에 응하였으나, 도 60에서는 거부한 것이 상이하다.
도 61 내지 6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파이프라인과 미디어 파이프라인 사이의 폴리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1과 62는 전술한 도 59 내지 60과 반대로, 미디어 파이프라인(6110)에서 리소스를 요청할 때, 상기 요청된 리소스가 이미 TV 파이프라인(6140)에서 획득한 리소스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1을 참조하면, 먼저 미디어 파이프라인96110)에서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6120)로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면, 상기 리소스 매니저(6120)는 폴리시 매니저(6130)로 리소스 컨플릭트 여부를 문의한다. 만약, 상기 폴리시 매니저(6150)에서 판단 결과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면, 미디어 서버의 폴리시 매니저(6150)는 TV 폴리시 매니저(6160)로 컨플릭트가 발생한 리소스의 릴리즈를 요청한다. TV 폴리시 매니저(6160)는 상기 미디어 서버 폴리시 매니저(6150)로부터 리소스 릴리즈 요청이 수신되면, TV 리소스 매니저(6130)로 리소스 릴리즈 세션을 요청한다. TV 리소스 매니저(6130)는 상기 폴리시 매니저(6150)의 리소스 릴리즈 세션 요청을 TV 파이프라인1(6140)로 전달하고, 상기 TV 파이프라인1(6140)은 상기 전달된 리소스 릴리즈 세션 요청에 따라 리소스 릴리즈를 TV 리소스 매니저(6130)로 요청한다. TV 리소스 매니저(6130)는 다시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120)로 해당 리소스의 릴리즈를 요청한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120)는, TV 서비스에서 릴리즈한 리소스를 미디어 파이프라인(6110)으로 할당한다.
도 62는 전술한, 도 61과 대동소이하나, 미디어 서버 폴리시 매니저(6250)에서 컨플릭트가 발생한 리소스의 릴리즈를 TV 폴리시 매니저(6260)로 요청한 경우에, 상기 릴리즈를 거부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 폴리시 매니저(6250)는 릴리즈가 거부되었음을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220)로 전달하고,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220)에서는 다시 리소스 할당이 불가함을 미디어 파이프라인(6210)에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소스 매니저먼트에서 특히, 한정된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가진 컨슈머 디아비스와 연결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 재생 서스펜딩(suspending)과 리쥬밍(resuming)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서스펜딩과 리쥬밍은 예컨대, 상술한 리소스 매니지먼트와 폴리시 매니지먼트의 내용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리소스 매니지먼트와 폴리시 매니지먼트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고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매니저의 기본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 시퀀스는 리소스 매니저(6320)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 사이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TV 서비스, 미디어 서비스, 웹 애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먼저,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리소스 매니저(6320)로 폴리시 액션 핸들러(PolyActionHandler)와 파이프라인을 각각 레지스터한다(S6302/S6304).
리소스 매니저(6320)는, 상기 S6302 단계와 S6304 단계의 레지스터에 대응하여 해당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가 상기 리소스 매니저(6320)와 커넥션하기 위해 필요한 식별자(ConnectionID)를 리턴한다(S6306).
이후,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리소스 매니저로 트랜섹션 시작(startTransaction)을 알린다(S6308). 이때, 상기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상기 S6306 단계에서 수신한 ConnectionID를 포함하하여 상기 트랜섹션 시작을 알리며 타임아웃(time-out)을 요청한다.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상기 ConnectionID와 함께 리소스들 할당을 상기 리소스 매니저(6320)로 요청하여 할당 받는다(S6310).
그리고,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다시 ConnectionID와 타임아웃을 포함하여 트랜섹션 종료(endTransaction)을 알린다(S6312).
상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S6306 단계를 통해 ConnectionID를 수신하고 난 후에는, 매 액션이 있을 때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tartTransaction으로 시작하여 endTransaction을 통해 종료함으로써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상술한 S6308 내지 S6312 단계는, 파이프라인이 생성되고 난 후에, 필요한 리소스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기본 콜 시퀀스이다.
다음으로, 기 획득한 리소스를 릴리즈하는 경우에 콜 시퀀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startTransaction(connectionID, timeout)을 전송하고(S6314), 기할당된 리소스의 릴리즈를 요청(connectionID, resources)한다(S6316). 상기 리소스 릴리즈가 종료되면,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endTransaction(connectionID, timeout)을 전송(S6318)하여 콜 시퀀스가 이루어진다.
이후,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는, 만약 상기 생성된 파이프라인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소스 매니저(6320)로 레지스터된 파이프라인을 언레지스터 요청(unregisterPipeline)한다(S6320).
상술한 바와 같이, 리소스 매니저 클라이언트(6310)와 리소스 매니저(6320) 사이에는, 콜 시퀀스가 이루어진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획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4는 예를 들어, 상기 도 63에서, 리소스 획득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도 63과 6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6410)는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6420)로 파이프라인을 레지스터(S6402)하고 난 후에 리소스 매니저 연결을 위한 connectionID를 수신한다(S6404).
이후 클라이언트(6410)는, 파이프라인의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리소스(들)의 할당을 요청한다(S6406).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6410)는 필요한 리소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리소스 매니저(6420)로 요청한다: [{“resource”:”VDEC”, “qty”:1, “attribute”:”display()”, “index”:1}, {“resource”:”ADEC”, “qty”:1}].
리소스 매니저(6420)는 상기 클라이언트(6410)의 S6406 단계 요청에 따라, 리소스를 매니지먼트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리소스를 전달한다(S6408). 이때, 상기 리소스 매니저(6420)는 획득한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다음과 같이, 명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6410)로 전달한다: [{“resource”:”VDEC”, “qty”:1, “attribute”:”display()”, “index”:1}, {“resource”:”ADEC”, “qty”:1,”Index”:0}].
도 65와 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리소스 매니저와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5는 전술한 도 64와 대동소이하나, 다만 상기 도 64가 하나의 클라이언트만 존재한 경우라면, 도 65는 두 개(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 것이 상이한 점이다.
클라이언트 1(6510)은,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6520)로 파이프라인을 레지스터(S6502)하고 난 후에 리소스 매니저 연결을 위한 connectionID를 수신한다(S6504).
이후 클라이언트 1(6510)은, 파이프라인의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리소스(들)의 할당을 요청한다(S6406).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 1(6510)는 필요한 리소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리소스 매니저(6520)로 요청한다: [{“resource”:”VDEC”, “qty”:1, “attribute”:”display()”, “index”:1}, {“resource”:”ADEC”, “qty”:1}].
리소스 매니저(6520)는 상기 클라이언트 1(6510)의 S6506 단계 요청에 따라, 리소스를 매니지먼트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리소스를 전달한다(S6514). 이때, 상기 리소스 매니저(6520)는 획득한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다음과 같이, 명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1(6510)로 전달한다: [{“resource”:”VDEC”, “qty”:1, “attribute”:”display()”, “index”:1}, {“resource”:”ADEC”, “qty”:1,”Index”:0}].
도 65는 전술한 도 64와 달리, 리소스 매니저(6520)는 S6506 단계 이후 S6514 단계 이전에, 즉, 클라이언트 1(6510)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할당된 리소스를 전달하기 이전에 다른 클라이언트 즉, 클라이언트 2(6530)와의 관계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리소스 매니저(6520)는, 캔디데이트 리소스를 포함한 파이프라인 또는 클라이언트가 있는지 탐색(selectCandidate())한다(S6508)
이후, 리소스 매니저(6520)는 만약 클라이언트 1(6510)의 리소스 할당 요청에 대해 캔디데이트 클라이언트 2(6530)가 존재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2(6530)로 폴리시 액션을 요청한다(S6510). 이때, 상기 리소스 매니저(6520), 릴리즈할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명시하여 전달한다: [{“resource”:”VDEC”, “qty”:1, “attribute”:”display()”, “index”:1}, {“resource”:”ADEC”, “qty”:1,”Index”:0}].
이후 리소스 매니저(6520)는, 상기 클라이언트 2(6530)로부터 TRUE를 리턴받으면, 상기 클라이언트 2(6530)에 기할당된 리소스가 릴리즈 되었음을 인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S6514 단계를 수행한다.
또는,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매니저(6520)는 상기 폴리시 액션을 전송한 이후에는 클라이언트 2(6530)의 리소스를 릴리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2(6530)로부터 리턴이 없더라도 바로 클라이언트 1(6510)로 릴리즈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소스 컴페티션(resource competition)의 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7은 전술한 도 63 내지 66의 내용과 대동소이하다.
클라이언트 1과 클라이언트 2 모두 리소스 매니저에 파이프라인을 등록하고, connectionID를 할당받았으며 먼저, 상기 클라이언트 1에서 startTransaction(connectionID, timeout)과 acquire(connectionID, resources)를 전송하여, 특정 리소스를 할당받았다고 가정한다.
이후, 클라이언트 2에서 사용자 등의 요청에 따라 또는 백그라운드에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 등을 통해 그 기능 수행을 위하여 상기 특정 리소스를 할당받고자 상기 리소스 매니저로 startTransaction(connectionID, timeout)과 acquire(connectionID, resources)를 전송한다.
이 경우, 한정된 리소스에 대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리소스를 요청함에 따라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리소스 컨플릭트는, 전술한 리소스 쉐어링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 경우, 리소스 매니저는, 클라이언트 1과 클라이언트 2 중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에 대해서는 리소스를 할당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리소스 할당 요청이 수신되어,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면,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클라이언트 1에 대해 기 할당된 리소스를 릴리즈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리소스 할당 요청을 거부(미도시)하여야 한다. 여기서, 도 67은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에 대해 도시하였다.
다시 말해, 리소스 매니저는 클라이언트 2의 리소스 할당 요청에 따라 리소스 컨플릭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또는 폴리시 매니저의 컨펌에 따라 인지하고, 상기 폴리시 매니저의 도움을 받아 클라이언트 2의 폴리시 우선순위가 더 높다고 가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1에 대해 기 할당한 리소스에 대한 릴리지를 요청(Policyactionhandler(connectionID, resources))한다.
상기 폴리시 액션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1은, 기 할당 받은 리소스를 릴리즈하기 위해 상기 리소스 매니저로 startTransaction(connectionID, timeout), release(connectionID, resources) 그리고 endTransaction(connectionID)을 전송한다.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릴리즈 트랜섹션이 종료를 알리는 endTransaction(connectionID)이 수신된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2로 리소스 할당이 가능함과 리소스 할당을 리턴 한다(return true).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2는 리소스 매니저로 endTransaction(connectionID)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에서, 리소스를 릴리즈한 클라이언트 1은 파이프라인 유지가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레지스터한 파이프라인을 언레지스터 한다.
도 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을 서스펜딩(suspending)과 리쥬밍(resum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컨텐트 사이에 스위칭을 위하여, 사용자 또는 시스템은 새로운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론칭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리소스를 홀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클로즈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스펜디드 또는 리쥼드 스테이트에서 액티브한 복수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과 해당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미디어 재생을 심리스(seamless)하게 서스펜드 및 리쥼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은 그들이 메모리 매니저에 의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퍼지될 때까지 메모리에 리메인된다.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은 그들이 미디어 서버의 리소스 매니저에 의해 오디오/비디오 리소스들을 양도하라는 명령이 받을 때까지 상기 오디오/비디오 리소스들을 계속하여 보유한다.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지저는, 만약 인커밍 파이프라인이 현재 다른 파이프라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요구하면, 상기 다른 미디어 파이프라인들에 보유한 리소스들을 양도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리소스 폴리시 액션 선택은 베스트/맥스 핏 하드웨어 리소스 사용(Best/Max Fit hardware resource usage), LRU 및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미디어 서버는 리소스 폴리시 액션 선택에 기초하여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필요한 리소스들을 릴리즈하라고 지시하고, 서스펜디드 또는 엑시트 프로세스를 진입 지시한다. 미디어 서버는 파이프라인 컨트롤러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각 파이프라인 프로세스와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서버는 상기 파이프라인 컨트롤러 오브젝트에 의해 커맨드 라인으로부터 파이프라인 또는 메시지/업데이트에 대한 각 커맨드를 계속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라인 컨트롤러와 관련된 파이프라인들은 메모리에 남고, 서스펜드로 마크(mark)된다.
플레이, 시크(seek)와 같은 어떤 리쥬머블 커맨드(resumable command)는 파이프라인 프로세스를 재시작하고, 파이프라인이 엑시티드되거나 또는 파이프라인이 요구된 리소스들을 단지 릴리즈한다면 현재 플레이 스테이트를 리쥬밍하는 등 모든 스테이트에 재전송하는 파이프라인 컨트롤러와 관련된 서스펜디드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리쥬밍할 수 있다.
이하, 도 68을 참조하여, 서스펜딩 및 리쥬밍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8에서는 제1 애플리케이션(6810), 제2 애플리케이션(6820),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830),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6810)과 관련된 제1 파이프라인(6840)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6820)과 관련된 제2 파이프라인(6850)이 도시되었다.
제1 애플리케이션(6810)은,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830)로 로드 커맨드(load())를 전달한다(S6802). 상기 미디어 서버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로드 커맨드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6840)으로 전달한다(S6804). 상기 제1 파이프라인(6840)은 상기 전달받은 로드 커맨드에 따라 로딩에 필요한 리소스 할당을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로 요청한다(S6806).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1 파이프라인(6840)에서 요청한 리소스를 할당하여 리턴한다(S6808).
상기 S6808 단계 즉, 제1 애플리케이션(6810) 로딩에 따라 제1 파이프라인(6840)에 리소스 할당이 이루어진 후에, 제2 애플리케이션(6820)에서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로 로드 커맨드(load())를 전송한다(S6810).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6820)의 로드 커맨드를 제2 파이프라인(6850)으로 전달한다(S6812). 상기 제2 파이프라인(6850)은 상기 전달받은 로드 커맨드에 따라 로딩에 필요한 리소스 할당을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로 요청한다. 이때,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2 파이프라인(6850)에서 리소스 할당 요청에 따라 캔디데이트를 선택한다(S6814). 상기 캔디데이트와 관련하여, 상기 리소스 매니저는 요청한 리소스가 현재 점유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판단 결과 현재 다른 미디어 파이프라인에서 점유 중인 경우에는, 상기 리소스 매니저는 해당 파이프라인 즉, 제1 파이프라인(6840)으로 폴리시 액션을 전송한다(S6816). 제1 파이프라인(6840)은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로부터 폴리시 액션을 수신하면, 기 할당받은 리소스(들)을 릴리즈한다(S6818). S6818 단계 이후, 상기 제1 파이프라인(6840)은 스스로 언로드/엑시트/릴리즈한다(S6820).
상기 S6818 또는 S6820 단계에 따라,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1 파이프라인(6840)에 기 할당한 리소스를 회수하게 되고, 이렇게 회수된 리소스는 다시 제2 파이프라인(6850)으로 할당한다(S6822). 이때,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1 파이프라인(6840)과 관련된 제1 애플리케이션(6810)에 포즈 커맨드를 전송한다(S6824). 그리고,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1 파이프라인(6840)을 서스펜드 처리한다(S6826).
상기 S6824 또는 S6826 단계 이후에 만약, UI 등을 통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6810)에 대한 사용자 액션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6810)은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로 재생 커맨드(play())를 전송한다(S6828).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6810)의 재생 커맨드 전송에 따라 서스펜디드 리소스들과 관련된 제1 파이프라인(6840)을 위한 리소스 재획득 과정을 수행한다(S6830). 이를 예를 들어, 리쥬밍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캔디데이트를 선택하고(S6832), 선택된 제2 파이프라인(6850)에 대해 폴리시 액션을 전송한다(S6834). 상기 제2 파이프라인(6850)은 할당받은 리소스들을 릴리즈하고 스스로 언로드/엑시트 등을 수행한다(S6836).
이후 상기 제2 파이프라인(6850)은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로 SIGCHLD()를 전송하고,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2 파이프라인(6850)을 서스펜드 처리한다(S6838). 이후 상기 리소스 매니저(6830)는 상기 제2 파이프라인(6850)에 대해 서스펜디드 상태에서 파이프라인 리스토어(restore)를 커맨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웹OS가 탑재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산업 전반에 걸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0)

  1.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media application)으로부터 로드(load)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로드 요청에 따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media pipeli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resource assigning)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 요청된 리소스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여 미디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로의 전환에 따른 포즈(pause)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포즈 요청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포어그라운드로의 재전환에 따른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전환에 따른 재생 요청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 위치할 때, 포어그라운드에 위치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로드 요청에 따라 제2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미디어 파이프라인의 리소스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기 할당한 리소스 릴리즈(release)를 포함한 언로드(unload) 요청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그라운드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언로드 이벤트(unload event)를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언로드 이벤트 이후에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로드 요청에 따라 제3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6.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TV 애플리케이션(TV application)으로부터 오픈(open)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픈 요청에 따라 제1 TV 파이프라인(TV pipeli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을 튜닝하여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전환에 따른 스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톱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할당된 리소스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에 따른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다시 리소스를 할당하고 채널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V 파이프라인은,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전환에 따른 리소스 릴리즈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10.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청 또는 녹화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요청된 시간 소정 시간 이전에 알림 팝-업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TV 애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 론칭(launching)하는 단계;
    상기 론칭된 TV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는 단계; 및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11.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media application)으로부터 로드(load)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로드 요청에 따라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media pipelin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resource assigning)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획득 요청된 리소스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여 미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로의 전환에 따른 포즈(pause)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즈 요청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포어그라운드로의 재전환에 따른 재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전환에 따른 재생 요청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 위치할 때, 포어그라운드에 위치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 요청에 따라 제2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리소스 할당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 미디어 파이프라인의 리소스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에 기 할당한 리소스 릴리즈를 포함한 언로드 요청을 상기 제1 미디어 파이프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백그라운드에 위치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언로드 이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언로드 이벤트 이후에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 요청에 따라 제3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미디어 파이프라인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6.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위치한 TV 애플리케이션(TV application)으로부터 오픈(open)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오픈 요청에 따라 제1 TV 파이프라인(TV pipeline)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고 상기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을 튜닝하여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로 전환에 따른 스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톱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할당된 리소스를 릴리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전환에 따른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다시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고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V 파이프라인이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전환에 따른 리소스 릴리즈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0. 웹OS 플랫폼을 탑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시청 또는 녹화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TV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TV 애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에 론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론칭된 TV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V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TV 파이프라인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요청된 채널 설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예약 요청된 시간 소정 시간 이전에 알림 팝-업 메시지와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TV 서비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PCT/KR2015/001054 2014-02-27 2015-02-02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WO20151300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21,546 US10075775B2 (en) 2014-02-27 2015-02-02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5784P 2014-02-27 2014-02-27
US61/945,784 2014-02-27
KR10-2014-0131940 2014-09-30
KR1020140131940A KR102277258B1 (ko) 2014-02-27 2014-09-30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0021A1 true WO2015130021A1 (ko) 2015-09-03

Family

ID=5400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1054 WO2015130021A1 (ko) 2014-02-27 2015-02-02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1300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5116A (zh) * 2020-03-04 2021-09-07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音视频资源管理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724A (ko) * 2005-07-29 2007-02-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제어방법
KR20110126148A (ko) * 2009-02-27 201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20120030559A (ko) * 2009-07-20 2012-03-28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다중 환경 운영 시스템에서 환경을 전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8564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기반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01122A (ko) * 2011-01-04 2013-09-12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웹톱 애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런처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724A (ko) * 2005-07-29 2007-02-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제어방법
KR20110126148A (ko) * 2009-02-27 201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20120030559A (ko) * 2009-07-20 2012-03-28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다중 환경 운영 시스템에서 환경을 전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1122A (ko) * 2011-01-04 2013-09-12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웹톱 애플리케이션 트레이에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런처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8564A (ko) *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기반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5116A (zh) * 2020-03-04 2021-09-07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音视频资源管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9343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85070A1 (ko)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디지털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WO2016085094A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04907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WO2017003022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27933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34065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8625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43965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6175361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75356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WO2012026651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enabling the method
WO201112620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13645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03002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13284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04692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7135585A2 (en) Main speaker, sub speak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7200215A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2074189A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WO2012070742A1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WO2017034298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EP261250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704786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49426A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557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215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57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