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19327A1 -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19327A1
WO2015119327A1 PCT/KR2014/002743 KR2014002743W WO2015119327A1 WO 2015119327 A1 WO2015119327 A1 WO 2015119327A1 KR 2014002743 W KR2014002743 W KR 2014002743W WO 2015119327 A1 WO2015119327 A1 WO 20151193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charger
connecto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27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상현
Original Assignee
안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현 filed Critical 안상현
Priority to US14/364,09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288203A1/en
Priority to JP2015561285A priority patent/JP5912210B2/ja
Publication of WO20151193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193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harger, and in particular, the cable can be wound and stored, which is easy to carry,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rotected by shielding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terminal pin of the charging adapter. Relates to an easy charger.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device driven by electricity, and us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repeatedly charged by a charger.
  • Charging of such an electronic device may be generally performed by a charge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 the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an AC power source, and the charger may convert an AC power source into a DC using an inverter to charge the electronic device.
  • Such a charger includes a charger for separating and charging only a charger and a charger for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a terminal by being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atent Literature 1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charger directly connected to a terminal.
  • Patent document 1 is a TTA 24-pin charge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a boost voltage higher than an input voltage input from a TTA 24-pin charger, and charging the battery using the boost voltage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A first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 connector of a TTA 24-pin charger and a second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micro USB terminal or the fire wire terminal, and a boosted voltage boosted by the input voltage input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And a charging gender to output the micro USB terminal or the fire wir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unit.
  • Such a conventional charger is typ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0 by a connector 300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100t for connecting to a charging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And an adapter 200 detachably installed at an outlet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 the cable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adapter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when carrying the cable, the cable is wound or entangled with other portable items,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the cable is disturbed when stored, thereby damaging the aesthetics. .
  • connection terminal In addition,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n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smoothly made or not charged.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2377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harger that can not only organize and store cables, but also protects connection terminal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nector and the charging adapt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winding part of the cable is formed at opposite parts between the two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cable by winding the cable.
  • Portable charg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nector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connector by a cable and coupled to the terminal of the socket protrudes
  • a cable winding portion for winding the cable is further formed on the opposite portion of any one of the connector or the charging adapter, the terminal pin insert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opposite to each other detachably And a terminal settling portion in which a hole and a connecting terminal are placed.
  • the cable may be stably wound by forming a coil shape that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winding.
  • the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abl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and arranged so that it can look aesthetically and minimize the size, making it convenient to carr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yet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yet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xample of a conventional charger
  •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tored and carried by winding and arranging a cable, and can protect a connection terminal.
  • the charger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cable winding part 20w which can wind the cable 30. As shown in FIG.
  •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connector 10 and the charging adapter 20 connect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ble 30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charger.
  • the cable winding 20w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adapter 20 or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10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S. Preferably,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adapter (20).
  • the charging adapter 20 preferably has a volume sufficient to be held by a hand so that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an outlet to which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20w) is formed in the charging adapter 20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nector 10.
  • the cable winding 20w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and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to prevent the cable 30 from being protruded as well as to prevent the cable from being pushed out to the side.
  • the connector 10 has a connection terminal 10t exposed and coupled to a charging terminal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one side thereof, and the cable 30 is exposed. It is connected.
  • the connector 10 is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al area as the charging adapter 20 as shown.
  • a terminal pin insertion hole 10g into which the terminal pin 20t protruding from the charging adapter 20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10t of the connector 10 protrudes. ) And the connector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 pin can be hidden.
  • the terminal pin insertion hole 10g has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erminal pin 20t so that the terminal pin insertion hole 10g is not separated without an externally acting force when the terminal pin 20t is fitted.
  • the cable winding part 20w is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charging adapter 20, but the cable 30 to be woun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deeper than other parts so that the cable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winding part. It is desirable to.
  • the charging adapter 20 is formed with a terminal settling portion 21 o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10t of the connector can be placed.
  •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charging adapter, or as shown in FIG. 3, in the shape of a hole in the center of the charging adapter 20. Can be formed.
  • the connection terminal 10t fitted to the terminal set-up portion 21 is provided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terminal set-up portion 21 when the connector 10 and the charging adapter 2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It should b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terminal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0t) can enter and exit smoothly.
  •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cable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is easily wound on the cable winding portion (20w), the wound cab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winding portion (20w) to escape outward
  • the cable 30 preferably forms a coil wound spirally in a shape opposit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winding 20w.
  •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charged using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in this case, the charging adapter 20 is not necessary.
  • the charging adapter 20 is installed with a USB socket 20s, and one end of the cable 30 is provided with a USB plug 30p detachable from the USB socket to connect the charging adapter 20 only when necessary. You can do that.
  • the mobile phone charg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ers.
  • Terminal Pin 20s USB Socket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충전어뎁터의 단자핀이 가려져 보호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충전어뎁터를 서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둘 사이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 케이블의 권취될 수 있는 권취부를 형성하여 케이블을 귄취하여 보관함으로써 케이블의 정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접속단자가 가려져 보호됨으로써 접속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와 연결되는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충전어뎁터의 단자핀이 가려져 보호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통신 수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로서,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를 사용하고 있고, 충전지는 충전기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충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의 충전은 일반적으로 외부 전원에 연결된 충전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전원은 교류 전원이 될 수 있고 충전기는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충전기에는 충전지만을 분리하여 충전하는 충전기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집적 접속하여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가 있으며, 단말기에 직접 연결하는 충전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TTA 24핀 충전기; TTA 24핀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보다 더 높은 승압 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이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단말기; TTA 24핀 충전기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상기 파이어 와이어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시킨 승압 전압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파이어 와이어 단자로 출력하는 충전 젠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기는 통상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단자에 접속하는 접속단자(100t)를 구비한 커넥터(100)와, 케이블(300)에 의해 커넥터(100)와 연결되고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뎁터(20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충전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와 어뎁터 사이에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어 휴대할 경우 케이블이 다른 휴대물품에 감기거나 엉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할 때 케이블이 흐트러져 있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형성된 접속구멍에 이물질이 끼여 접속단자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단자 간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323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케이블을 정리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커넥터와 충전어뎁터를 서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둘 사이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 케이블의 권취될 수 있는 권취부를 형성하여 케이블을 귄취하여 보관함으로써 케이블의 정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접속단자가 가려져 보호됨으로써 접속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와, 케이블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소켓의 단자에 결합되는 단자핀이 돌출 설치된 충전어뎁터로 이루어진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충전어뎁터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권취부가 더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단자핀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자핀삽입홀과, 접속단자가 안치되는 단자안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은 케이블권취부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코일 형상을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권취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는 케이블이 권취부에 권취되어 정리됨으로 미관상 보기 좋고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의 또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의 또 다른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의 휴대 상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충전기의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케이블을 권취하여 정리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속단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는 케이블(30)을 권취할 수 있는 케이블권취부(20w)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통상의 충전기와 동일하게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접속되는 커넥터(10)와 충전어뎁터(20)를 케이블(30)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권취부(20w)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어뎁터(20)의 일측에 형성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충전어뎁터(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충전어뎁터(20)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손으로 잡기에 충분한 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여 커넥터(10)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체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케이블권취부(20w)를 충전어뎁터(20)에 형성하여 커넥터(10)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권취부(20w)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부분보다 폭과 두께를 작게 형성하여 권취된 케이블(30)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블이 측방으로 밀려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단자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속단자(10t)가 노출되어 있고 케이블(3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어뎁터(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면적을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의 접속단자(10t)가 돌출된 면에는 상기 충전어뎁터(20)에 돌출된 단자핀(20t)이 삽입될 수 있는 단자핀삽입홀(10g)을 형성하여 충전어뎁터(20)와 커넥터(10)를 서로 결합하였을 때 단자핀이 숨겨질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단자핀삽입홀(10g)은 내경이 상기 단자핀(20t)의 외경과 동일하여 단자핀(20t)이 끼워졌을 때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없이는 분리되지 않게 하였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어뎁터(20)의 하우징에는 케이블권취부(20w)를 형성하되 다른 부분보다 깊게 홈 형상으로 형성하여 권취되는 케이블(30)이 권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어뎁터(20)에는 커넥터의 접속단자(10t)가 안치될 수 있는 단자안치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안치부(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어뎁터의 표면에 홈의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어뎁터(20)의 중앙에 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 단자안치부(21)에 끼워지는 접속단자(10t)는 커넥터(10)와 충전어뎁터(2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하였을 때 단자안치부(21)에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되어야 하고, 단면적이 접속단자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상하여 접속단자(10t)가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권취부(20w)에 케이블이 용이하게 귄취되고, 귄취된 케이블이 케이블권취부(20w)에 밀착되어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30)은 케이블권취부(20w)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형상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진 코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컴퓨터의 USB포트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때에는 충전어뎁터(20)가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어뎁터(20)에는 USB소켓(20s)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30)의 일단에는 상기 USB소켓에 탈착되는 USB플러그(30p)를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에만 충전어뎁터(20)를 연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및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상 휴대폰 충전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기 모두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 커넥터
10g : 단자핀삽입홀 10t: 접속단자
20 : 충전어댑터
20t: 단자핀 20s: USB소켓
20w: 케이블권취부
21: 단자안치부
30: 케이블 30p : USB플러그

Claims (5)

  1.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10t)를 갖는 커넥터(10)와, 케이블(30)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소켓의 단자에 결합되는 단자핀(20t)이 돌출 설치된 충전어뎁터(20)로 이루어진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 또는 충전어뎁터(20)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권취부(20w)가 더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단자핀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자핀삽입홀(10g)과, 접속단자(10t)가 삽입되는 단자안치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0)은 케이블권취부(20w)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코일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충전어뎁터(20)에는 USB소켓(20s)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30)의 일단에는 상기 USB소켓에 탈착되는 USB플러그(30p)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권취부(20w)는 충전어뎁터(2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안치부(21)는 홈 또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PCT/KR2014/002743 2014-02-10 2014-03-31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WO20151193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64,091 US20150288203A1 (en) 2014-02-10 2014-03-31 Portable battery charger
JP2015561285A JP5912210B2 (ja) 2014-02-10 2014-03-31 携帯の容易な充電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36A KR101375777B1 (ko) 2014-02-10 2014-02-10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KR10-2014-0014636 2014-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9327A1 true WO2015119327A1 (ko) 2015-08-13

Family

ID=5065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2743 WO2015119327A1 (ko) 2014-02-10 2014-03-31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88203A1 (ko)
JP (1) JP5912210B2 (ko)
KR (1) KR101375777B1 (ko)
CN (1) CN104836268A (ko)
WO (1) WO2015119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867B1 (ko) * 2014-12-24 2015-05-20 주식회사 맥스웨이브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CN105449741B (zh) * 2015-11-16 2020-04-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充电器及其充电方法
WO2019027115A1 (ko) * 2017-08-04 2019-02-07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
CN107437841B (zh) * 2017-10-10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充电器、电子设备、充电系统及充电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135A (ja) * 1997-04-08 1998-10-23 Kyushu Hitachi Maxell Ltd 充電器
JP3142979U (ja) * 2008-04-22 2008-07-03 隆樹 櫻井 携帯電話充電用acアダプター
KR20100006145U (ko) * 2008-12-09 2010-06-17 이주흥 배터리 충전기 아답터코드 수납정리기
KR20110003728U (ko) * 2011-03-23 2011-04-14 김명수 충전기(전원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819U (ja) * 2001-09-20 2002-03-29 株式会社リンケージ 携帯用電力中継装置
US20070285053A1 (en) * 2006-06-12 2007-12-13 Teledex, Inc. Portable charger
CN201017966Y (zh) * 2007-03-07 2008-02-06 温州大学 便携充电器
CN201584793U (zh) * 2009-05-15 2010-09-15 刘业恒 数码移动电源
US9362764B2 (en) * 2012-01-23 2016-06-07 Tsuga Engineering Llc Portable rechargeable power supply
KR20130118413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135A (ja) * 1997-04-08 1998-10-23 Kyushu Hitachi Maxell Ltd 充電器
JP3142979U (ja) * 2008-04-22 2008-07-03 隆樹 櫻井 携帯電話充電用acアダプター
KR20100006145U (ko) * 2008-12-09 2010-06-17 이주흥 배터리 충전기 아답터코드 수납정리기
KR20110003728U (ko) * 2011-03-23 2011-04-14 김명수 충전기(전원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777B1 (ko) 2014-04-02
CN104836268A (zh) 2015-08-12
US20150288203A1 (en) 2015-10-08
JP2016509466A (ja) 2016-03-24
JP5912210B2 (ja)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34998A1 (en) Back cover for mobile terminals
US10277042B2 (en) Multi-functional charger
KR101402807B1 (ko) 멀티 커넥터와, 그를 갖는 충전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KR20060008838A (ko) 범용 키드 파워 팁 및 전원 커넥터
WO2015119327A1 (ko)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WO2013129816A1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US9912016B2 (en) Link for battery power transfer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367846B1 (en) Multi-function power adaptor
CN209016373U (zh) 一种智能手机转接线
KR101521867B1 (ko)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US9041352B2 (en) Belt battery charger
WO2015160136A2 (ko)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및 그 유에스비 케이블
US20110148357A1 (en) Battery charger base capable of connecting external AC power
US20150229228A1 (en) Usb power conversion device
WO2009061018A1 (en) Multi adapter
WO2016021826A1 (ko) 핸드폰 일체형 충전기
KR20170127189A (ko) 꽈배기 형태의 리드선이 구성된 휴대전화 케이블
CN217590336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充电宝
CN203660219U (zh) 手机转接线
JP3237497U (ja) 充電ケーブル
CN211181730U (zh) 一种有效延长使用寿命的充电线缆
CN216850670U (zh) 一种多转换插头数据线
CN215377853U (zh) 一种带固定卡扣的可分离数据线
CN212519386U (zh) 一种蓝牙耳机
US20220408174A1 (en) Earphone charger and neck-mounted portable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6128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64091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16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16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