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8105A1 -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8105A1
WO2015088105A1 PCT/KR2014/001992 KR2014001992W WO2015088105A1 WO 2015088105 A1 WO2015088105 A1 WO 2015088105A1 KR 2014001992 W KR2014001992 W KR 2014001992W WO 2015088105 A1 WO2015088105 A1 WO 20150881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value chan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9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현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00,90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34357B2/en
Publication of WO20150881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81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4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n input/output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1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the presence of processing resources, peripherals, I/O links, software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ircuits for interfacing with colour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pair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pair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airing a plurality of terminals.
  • the device including a display; n terminals; And a server connecting the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to the n terminals, wherein the server assigns an ID to the device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of a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 the device calculates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D, outputs the pattern to the display, and the n terminals detect the pattern output on the display using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 the ID may be identified, the I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 connection may be requested.
  • the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ay convert the ID into a binary code and calculate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in the HSL col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rule. .
  • the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may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moved when the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n terminals moves in a state close to a preset distance to the display.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may be output in an area of the display.
  • the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n terminals is close enough to a preset distance to the display, the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located close to the display.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may be output in an area.
  • a device pairing method includes: (a) requesting, by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to connect to a server; (b) the server assigning an ID to th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D to the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c) the device calcula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 and outputting the pattern to the display; (d) detecting, by the n terminals, the pattern output on the display using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respectively, identifying the ID, transmitting the identified ID to the server, and requesting connection; And (e) connecting, by the server, the n terminal with a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 the step (c) may include: calculating, by the device, the ID value into a binary code and calculating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in the HSL col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rule. It can include;
  • the step (c) may includ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moved when the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n terminals moves in a state close to a preset level on the display; And outputting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in an area of the display.
  • the step (c) may include: in the area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close when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n terminals is close enough to be preset in the display. And outputting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a mobile terminal for detecting the degree of proximity to the device including a display; An illuminance sensor detec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to the display; And a controller for identifying an I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transmitting the identified ID to a server, and requesting a connection, wherein the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server.
  • the ID is assigned,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D is calculated and output to the display, and the server performs a connection with a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according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troller.
  • the terminal can be paired without additional input by the user,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know the unique identifier in advanc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vice pai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vice pai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calcula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5 to 8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to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 FIGS. 9A through 9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n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 FIGS. 10 and 11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to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pairing between mobile terminals.
  • the conventional pairing techniques require a time or space similarity (bump) or a special sensor (color sensor, nfc), etc., and performs most 1: 1 connection.
  • a separate color sensor is required to read the RGB color pattern of the screen, or an identification ID must be set in advanc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vice pai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vice pairing system 100 includes an apparatus 110 including a display, n terminals 120-1, 120-2,... 120-n, and a server ( 130).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may request a connection to the server 130 and calculate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D given from the server 13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 the calculated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 an arbitrary color value change pattern may be added and output.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ny device that may include a display that outputs the calculated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a mobile and fixed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 an ultrabook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smart watch, a remote control of a smart TV, and the like.
  •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 microwave oven, an oven, a gas stove, 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including a display.
  •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parate monitor, a light, a lamp, etc., in which the main function is to output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may be output to a portion of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instead of the display.
  • the n terminals 120-1, 120-2,... 120-n respectively detect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using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illumination sensor. can do.
  • the server 130 may identify the ID assigned to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transmit the same to the server 130, and request a connection with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 n terminals 120-1, 120-2,..., 120-n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nce capable of detec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It may be implemented in any device including a sensor.
  • a mobile and fixed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 an ultrabook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smart watch, a remote control of a smart TV, and the like.
  • the server 130 may assign an ID to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 the server 130 may exist inside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or may exist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may be paired with n terminals 120-1, 120-2,.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vice pair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evice 110 including a display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server 130 (S210).
  • the server 130 assigns an ID to the device 110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110 (S220).
  • the server 130 may assign an ID indicating a number, an operation instruction, or the like to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calculates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S230).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may convert the ID into a binary code, and then calculate and output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in the HSL col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rule. .
  • the brightness and the color value change pattern to which the arbitrary color value change pattern is added may be output.
  • the n-th terminal 120-n detects an ID after detecting a pattern output on the display using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transmits the identified ID to the server 130, and requests a connection ( S240) proceeds.
  • the proximity sensor value of the terminal when the proximity sensor value of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near, the value of the light sensor becomes small (darker) because the terminal is in a state of proximity.
  • the n-th terminal 120-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order for the user to attempt pairing.
  • the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is read by determining that the n-th terminal 120-n is in close proximity.
  • the interval may be divided using a value of the illuminance sensor, a pattern may be generated, and then converted into an ID.
  • Equation 1 a k-means clustering technique using Equation 1 below may be used.
  • k denotes the number of clusters to be distinguished
  • Si denotes a set of points belonging to the cluster
  • ⁇ i denotes the center of the i-th cluster.
  • each value when dividing the intervals, each value may be clustered using the minimum, maximum, and median values at the first execution, and the average of each interval value may be calculated to reconstruct the cluster to minimize the variance of each interval.
  • the server 130 connects the n-th terminal 120-n requesting connection with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 pairing between devices was performed by transmitting an ID of a terminal previously set to a terminal or a server when pairing.
  • the server 130 assigns an ID including a number, an operation instruction, and the like to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and the n terminals 120-1, 120-2, 120-n may perform pairing by following the server direction of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may request the server 130 to access the server 130 and calculate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D given from the server 13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
  • the S value (saturation value) and L value (brightness value) are fixed in the HSL (Hue Saturation Lightness) color space, and then the H value (color value) is changed to display the brightness or display of the display. Even if the type of equipment included changes, the illuminance sensor maintains a constant ratio and recognizes the value.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calcula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the vertical axis refers to a value read by the illuminance sensor
  • the horizontal axis refers to an H value.
  • each of the graphs 310, 320, and 330 se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to maximum, medium, and dark brightness, fixes the S value (saturation value) and L value (brightness value), and then displays the H value (color value). Shows the value read by the illuminance sensor as it changes.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converts the ID received from the server 130 into a binary code, and then brightness in the HSL col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rule.
  • the value change pattern can be calculated.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principle of dividing the L value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lluminance sensor into three sections and changing the H value.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 the ID if the ID is 10, it may be converted into binary code 00001010. At this time, if the bit value is 0 in the binary pattern, the falling of the section may be set to indicate that the rising of the section is 1. In addition, the L valu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s 2, 1, and 0, and the starting value may be set to 1. FIG.
  • the brightness value is set to 0 reduced from the start value 1. Since the second bit value also falls to 0, the brightness value should be reduced to -1, but -1 is not present, so it is set to 2.
  • the brightness value is set to 1, which increases from 0, and the sixth bit value falls to 0, so the brightness value decreases from 1 to 0.
  • the brightness value is set to 1, which is increased from 0, and since the eighth bit value is decreased to 0, the brightness value is set to 0 which is decreased from 1.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corresponding to ID 10 may be set to 02101010. That is, according to the three brightness value divisions of high, medium, and low, the 02101010 may output low, high, medium, low, medium, low, medium, and low brightness values on the display in a change pattern.
  • an arbitrary color value change pattern may be added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and output.
  • an arbitrary color may be output together with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such as dark red, dark blue, yellow, and bright orang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D can be expressed only by the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the color can be arbitrarily output together.
  • a color may be added and output to represent a shape or text other than a single color.
  • an advertisement of a product or service may be output.
  • the terminal may read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and output the site of the product or service advertisement.
  • 5 to 8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to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10 may be output as a pop-up window on the display of the smart TV 110.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may be outpu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smart TV 110.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may be output to an area that does not cover the screen content output from the smart TV 110 as much as possible.
  •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in response to the user bringing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close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output to the display,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may be used. ) May read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may identify the ID from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transmit the identified ID to the server 130, and request a connection. Accordingly, the server 130 pairs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with the smart TV 110.
  • a message window 530 indicating that the smart TV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requesting connection to the server 130 may be output.
  • the second mobile terminal 120-2 may change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 Can be read.
  • the second mobile terminal 120-2 may identify the ID from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520, transmit the identified ID to the server 130, and request a connection. Accordingly, the server 130 pairs the second mobile terminal 120-2 with the smart TV 110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 the server 130 may smartize the n-th mobile terminal 120-n.
  • the TV 110,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the second mobile terminal 120-2, ... will be paired with. That is, pairing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erminals approaching the display.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610 may be output at a corner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smart TV 110. Subsequentl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bring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120-2 closer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610 output on the display at the same time. .
  • each of the mobile terminals 120-1 and 120-2 may read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610 to identify the ID, transmit the identified ID to the server 130, and request a connection. Accordingly, the server 130 pairs the smart TV 110,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120-2 simultaneously.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moves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n terminals 120-1, 120-2,.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may be output in an area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terminal is moved.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710 may be output at a corner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smart TV 110.
  •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moves to another area of the display. Can be moved.
  • the smart TV 110 may turn on the camera 720 to detect a movement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and a change in posi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accordingly.
  • the movement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and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may be sensed using the proximity touch sensor built in the smart TV 110. have.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710 may be moved and output on the display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moves.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is at least one of the n terminals (120-1, 120-2, .... 120-n) is at least as close to the preset level to the display, at least One terminal may output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in an area of a display corresponding to a nearby position.
  •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20-1 taken therefrom is displayed.
  •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810 may be output in the region.
  • the output of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810 prevents the smart TV 110 from being viewed. You can reduce the time it takes.
  • the device 110 including the display is implemented as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 microwave oven, an oven, a gas stove, an air conditioner, etc., as well as a mobile and fixed terminal. Can be.
  •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 microwave oven, an oven, a gas stove, an air conditioner, etc.
  • a mobile and fixed terminal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cleaner, a microwave oven, an oven, a gas stove, an air conditioner, etc.
  • FIGS. 9A through 9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n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 a device 110 including a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refrigerator 910 including a display 912.
  • the display 912 of the refrigerator 910 may display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14 calculated together with the current refrigeration and freezing temperatures or conditions.
  • the user may bring the terminal 120-n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14 to identify and pair the ID.
  • the terminal 120-n may receive a current refrigeration, a freezing temperature or a state from the refrigerator 910, and may control the refrigerator 910 through the terminal 120-n through this.
  • an apparatus 110 including a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washing machine 920 including a display 922. Since the display 922 of the washing machine 92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panel of color or black and white, the brightness valu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of high / medium / low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attern.
  • the display 922 of the washing machine 920 may display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24 calculated along with a washing mode, a washing completion time, and a washing progress state. Accordingly, the user may bring the terminal 120-n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24 to identify and pair the ID.
  • the terminal 120-n may receive a washing mode, a washing completion time, a washing progress state, and the like from the washing machine 920, and may control the washing machine 920 through the terminal 120-n. have.
  • a device 110 including a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 robot cleaner 940 including a display 942.
  • the display 942 of the cleaner 94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panel of color or black and white, the brightness valu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of high / medium / low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attern.
  • the display 942 of the cleaner 940 may display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44 calculated along with whether an obstacle is detected, a cleaning progress state,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user may bring the terminal 120-n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44 and identify and pair the ID.
  • the terminal 120-n may receive an obstacle detection, a cleaning progress state, and the like from the robot cleaner 940, and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940 through the terminal 120-n. .
  • an apparatus 110 including a display may be implemented as an oven 930 including a display 932.
  • the display 932 of the oven 930 may be implemented as a color or black and white display panel, the brightness valu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of high / medium / low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attern.
  • the display 932 of the oven 930 may display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34 calculated along with a cooking type, a cooking completion time, a cooking progress state,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user may bring the terminal 120-n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934 to identify and pair the ID.
  • the terminal 120-n may receive a cooking type, a cooking completion time, a cooking progress state, etc. from the oven 930, and may control the oven 930 through the terminal 120-n through this. have.
  • an arbitrary color value change pattern may be added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and output.
  • an arbitrary color may be output together with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such as dark red, dark blue, yellow, and bright orange.
  • FIGS. 10 and 11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output to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 a color value change pattern may be added and output so as to change from a light blue 1010 to a dark red 1020.
  • the ID can be expressed only by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arbitrary colors can be added together and output.
  • a color may be added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so as to represent a shape or text that is not a single color and may be output. Through this, an advertisement of a product or service may be output.
  •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1110 representing an advertisement image may be output by adding a color to represent a shape or text. Accordingly, the user may read the larg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1110 by bringing the terminal 120-n to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1110 indicating the service advertisement.
  • a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representing a changing image such as a moving image, may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a period in which the brightness value changes.
  • the brightest image describing the product may be output, followed by the darkest image for product evaluation.
  • the advertisement site of the product, the home page of the product, specific details related to the product, and the like, which were output as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1110, may be output as the content 1120.
  • the user can check the advertisement sit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he home page of the product, specific matters related to the product, etc. to the terminal 120-n.
  •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pairing between mobile terminals.
  • the smart watch 120-n reads the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1210 output to the smart phone 110, and pairing between the smart phone 110 and the smart watch 120-n is performed. Will be done.
  • the smart watch 120-n may exchange or control data with the smart phone 110 reading the output brightness value change pattern 1210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set to be controlled in advance.
  • the terminal can be paired without additional input by the user,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know the unique identifier in advance.
  •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processo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related to a system for pairing a plurality of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을 페어링할 수 있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n개의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 상기 n개의 단말을 연결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장치에 ID를 부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n개의 단말은,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패턴을 감지한 후 상기 ID를 식별하고, 상기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단말을 페어링할 수 있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어링 기술들은 시간과 공간의 유사성(bump)이나 특별한 센서(color sensor, nfc) 등을 요구하고, 대부분 1:1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화면의 RGB 색상 패턴을 읽어들이기 위해 별도의 컬러 센서를 요구하거나, 사전에 식별 ID를 설정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을 페어링할 수 있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n개의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 상기 n개의 단말을 연결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장치에 ID를 부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n개의 단말은,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패턴을 감지한 후 상기 ID를 식별하고, 상기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ID를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 후,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HSL 색 공간에서의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이동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은, (a)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가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장치에 ID를 부여하고 상기 장치로 상기 ID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장치가 상기 전송받은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d) n개의 단말이 각각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패턴을 감지한 후 상기 ID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 상기 n개의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장치가 상기 ID를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 후,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HSL 색 공간에서의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이동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의 근접 정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감지된 명도 값 변화 패턴에 대응하는 ID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ID를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여 상기 ID를 부여받고, 상기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색상 변화 패턴을 추가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 없이 단말을 페어링할 수 있으며, 기존 방식과 달리 사전에 고유의 식별자를 알고 있을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 출력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 출력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 간 페어링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종래의 페어링 기술들은 시간과 공간의 유사성(bump)이나 특별한 센서(color sensor, nfc) 등을 요구하고, 대부분 1:1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화면의 RGB 색상 패턴을 읽어들이기 위해 별도의 컬러 센서를 요구하거나, 사전에 식별 ID를 설정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100) 및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1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 n개의 단말(120-1, 120-2, ....120-n), 서버(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서버(130)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접속 요청에 따라 서버(130)로부터 부여받은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산출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임의의 색상 값 변화 패턴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산출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시계, 스마트 TV의 리모콘 등과 같은 이동 및 고정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전자 레인지, 오븐, 가스 레인지, 냉난방 기구 등과 같은 가전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이 주된 기능인 별도의 모니터나 조명, 전등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가 아닌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영상의 일부 영역에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도 있다.
n개의 단말(120-1, 120-2, ....120-n)은 각각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30)에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에 부여한 ID를 식별하고, 이를 서버(130)로 전송하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와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n개의 단말(120-1, 120-2, ....120-n)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시계, 스마트 TV의 리모콘 등과 같은 이동 및 고정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에 ID를 부여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서버(13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별도로 독립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와 접속을 요청한 n개의 단말(120-1, 120-2, ....120-n)을 연결(pairing)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1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가 서버(130)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서버(130)가 장치(110)에 ID를 부여하고 이를 장치(110)로 전송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서버(13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에 번호나 동작 지시 등을 의미하는 ID를 부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가 전송받은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S23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ID를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 후,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HSL 색 공간에서의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의 색상 값 변화 패턴을 추가한 명도 및 색상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후, 제n 단말(120-n)이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패턴을 감지한 후 ID를 식별하고, 식별된 ID를 서버(130)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S240)가 진행된다.
일반적인 경우, 단말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값이 near로 판단될 때는 단말이 근접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도 센서(light sensor)의 값은 작아지게(어두워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기초로, 제n 단말(120-n)의 근접 센서 값이 near인 상태에서 조도 센서 값이 계속 변화하는 경우, 제n 단말(120-n)은 사용자가 페어링을 시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제n 단말(120-n)을 근접시킨 것으로 판단하여 조도 센서의 값을 읽어 들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도 센서의 값을 이용하여 구간을 나누고 패턴을 만들어 낸 뒤, 이를 다시 ID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는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4001992-appb-M000001
여기서, k는 구분할 클러스터의 개수를 의미하고, Si는 클러스터 안에 속하는 점의 집합을 의미하며, μi는 i번째 클러스터의 중심을 의미한다.
즉, 구간을 나눌 때 최초 실행 시 최소값, 최대값, 중앙값을 가지고 각 값을 클러스터링하고, 다시 각 구간 값의 평균을 산출해 클러스터를 재구성하여 각 구간의 분산이 가장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3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와 연결을 요청한 제n 단말(120-n)을 연결하는 단계(S250)가 진행된다.
즉, 기존에는 페어링 시 사전에 설정된 단말의 ID를 단말이나 서버에 전송하여 기기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시스템(100)에서 서버(13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에 번호, 동작 지시 사항 등을 포함하고 있는 ID를 부여하고, n개의 단말(120-1, 120-2, ....120-n)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의 동작 지시 사항(server direction)을 따름으로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서버(130)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접속 요청에 따라 서버(130)로부터 부여받은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기 위해 HSL(Hue Saturation Lightness) 색 공간에서 S값(채도 값) 및 L값(명도 값)을 고정한 후 H값(색상 값)을 변화시키면, 디스플레이의 밝기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기기의 종류가 변화하여도 조도 센서는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며 값을 인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로 축은 조도 센서가 읽어들인 값을 의미하고, 가로 축은 H값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그래프(310, 320, 330)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최대, 중간, 어두운 밝기로 설정하고, S값(채도 값) 및 L값(명도 값)을 고정한 후 H값(색상 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조도 센서가 읽어들인 값을 나타낸다.
각각의 그래프(310, 320, 330)를 확인하면, 모니터의 밝기가 달라도 H값과 L값에 따라 조도 센서의 값이 일정한 패턴으로 읽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은 ID를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 후,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HSL 색 공간에서의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조도 센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L값을 3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H값을 변화시키는 원리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ID가 10이라면 바이너리 코드 00001010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바이너리 패턴에서 비트 값이 0이면 구간의 하강을, 1이면 구간의 상승을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2, 1, 0으로 L값을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으며, 시작 값은 1로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제1 비트 값이 0으로 하강이므로 명도 값은 시작 값 1에서 감소시킨 0으로 정해진다. 제2 비트 값도 0으로 하강이므로 명도 값이 -1로 감소 되어야 하나, -1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2로 정해지게 된다.
이어서, 제3 비트 값도 0으로 하강이므로 명도 값이 2에서 감소한 1로 정해지고, 제4 비트 값도 0으로 하강이므로 명도 값이 1에서 감소한 0으로 정해진다.
그 다음, 제5 비트 값은 1로 상승이므로 명도 값이 0에서 증가한 1로 정해지고, 제6 비트 값은 0으로 하강이므로 명도 값이 1에서 감소한 0으로 정해진다.
또한, 제7 비트 값은 1로 상승이므로 명도 값이 0에서 증가한 1로 정해지고, 제8 비트 값은 0으로 하강이므로 명도 값이 1에서 감소한 0으로 정해진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ID 10(바이너리 코드 00001010)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은 021010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높음/중간/낮음의 3가지 명도 값 구분에 따라, 02101010은 디스플레이에서 낮음, 높음, 중간, 낮음, 중간, 낮음, 중간, 낮음의 명도 값이 변화 패턴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명도 값 변화 패턴에 임의의 색상 값 변화 패턴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두운 빨강, 어두운 파랑, 노랑, 밝은 주황 등과 같이 명도 값 변화 패턴에 추가로 임의의 색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명도 값의 변화만으로 ID를 표현할 수 있기에, 색상을 임의로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단색이 아닌 모양이나 텍스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색상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광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 광고를 나타내고 있는 명도 값 변화 패턴에 단말을 가져다 대면, 단말은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읽어들임과 동시에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 광고의 사이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 출력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10)의 디스플레이에 명도 값 변화 패턴(510)이 팝업 창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10)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부분에 명도 값 변화 패턴(520)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스마트 TV(110)에서 출력되고 있는 화면 내용을 최대한 가리지 않는 영역에 명도 값 변화 패턴(52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이동 단말(120-1)을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520)에 근접하게 가져다 대는 동작에 따라, 제1 이동 단말(120-1)은 명도 값 변화 패턴(520)을 읽어 들일 수 있다.
이어서, 제1 이동 단말(120-1)은 명도 값 변화 패턴(520)으로부터 ID를 식별하고, 식별한 ID를 서버(130)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제1 이동 단말(120-1)을 스마트 TV(110)와 페어링하게 된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서버(130)로 접속을 요청한 제1 이동 단말(120-1)에는 스마트 TV(110)와 연결 중임을 알려주는 메시지 창(530)이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이동 단말(120-2)을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520)에 근접하게 가져다 대는 동작에 따라, 제2 이동 단말(120-2)은 명도 값 변화 패턴(520)을 읽어 들일 수 있다.
이어서, 제2 이동 단말(120-2)은 명도 값 변화 패턴(520)으로부터 ID를 식별하고, 식별한 ID를 서버(130)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제2 이동 단말(120-2)을 스마트 TV(110), 제1 이동 단말(120-1)과 페어링하게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n 이동 단말(120-n)을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520)에 근접하게 가져다 대는 동작에 따라, 서버(130)는 제n 이동 단말(120-n)을 스마트 TV(110), 제1 이동 단말(120-1), 제2 이동 단말(120-2), ....과 페어링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에 근접하는 단말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TV(110)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부분에 명도 값 변화 패턴(6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각각 제1 이동 단말(120-1)과 제2 이동 단말(120-2)을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610)에 동시에 근접하게 가져다 댈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이동 단말(120-1, 120-2)은 명도 값 변화 패턴(610)을 읽어 들여 ID를 식별하고, 식별한 ID를 서버(130)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스마트 TV(110), 제1 이동 단말(120-1), 제2 이동 단말(120-2)을 동시에 페어링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n개의 단말(120-1, 120-2, ....120-n)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이동한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TV(110)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부분에 명도 값 변화 패턴(7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명도 값 변화 패턴(710)이 출력된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부분에 제1 이동 단말(120-1)을 근접하게 가져다 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다른 영역으로 제1 이동 단말(12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마트 TV(110)는 카메라(720)를 on시켜 제1 이동 단말(120-1)의 움직임과 이에 따른 제1 이동 단말(120-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스마트 TV(110)에 내장된 근접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이동 단말(120-1)의 움직임과 이에 따른 제1 이동 단말(120-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 이동 단말(120-1)이 이동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명도 값 변화 패턴(710)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n개의 단말(120-1, 120-2, ....120-n)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TV(110)의 디스플레이에 제1 이동 단말(120-1)을 근접하게 가져다 대게 되면, 가져다 댄 제1 이동 단말(120-1)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명도 값 변화 패턴(810)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이동 단말(120-1)을 근접하게 가져다 대기 전까지 명도 값 변화 패텬(810)은 출력되지 않게 되므로, 명도 값 변화 패턴(810)의 출력으로 스마트 TV(110) 시청 시 방해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이동 및 고정 단말기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전자 레인지, 오븐, 가스 레인지, 냉난방 기구 등과 같은 가전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D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디스플레이(912)를 포함하고 있는 냉장고(910)로 구현될 수 있다. 냉장고(910)의 디스플레이(912)에는 현재 냉장, 냉동 온도나 상태와 함께 산출한 명도 값 변화 패턴(914)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단말(120-n)을 명도 값 변화 패턴(914)에 가져다 대고 ID를 식별하여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단말(120-n)은 냉장고(910)로부터 현재 냉장, 냉동 온도나 상태 등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120-n)로 냉장고(9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디스플레이(922)를 포함하고 있는 세탁기(920)로 구현될 수 있다. 세탁기(920)의 디스플레이(922)도 컬러 또는 흑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기에, 높음/중간/낮음의 3가지 구간으로 명도 값을 나누고 패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920)의 디스플레이(922)에는 세탁 모드, 세탁 완료 시간, 세탁 진행 상태 등과 함께 산출한 명도 값 변화 패턴(924)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120-n)을 명도 값 변화 패턴(924)에 가져다 대고 ID를 식별하여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단말(120-n)은 세탁기(920)로부터 세탁 모드, 세탁 완료 시간, 세탁 진행 상태 등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120-n)로 세탁기(9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디스플레이(942)를 포함하고 있는 로봇 청소기(940)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소기(940)의 디스플레이(942)도 컬러 또는 흑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기에, 높음/중간/낮음의 3가지 구간으로 명도 값을 나누고 패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940)의 디스플레이(942)에는 장애물 감지 여부, 청소 진행 상태 등과 함께 산출한 명도 값 변화 패턴(944)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120-n)을 명도 값 변화 패턴(944)에 가져다 대고 ID를 식별하여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단말(120-n)은 로봇 청소기(940)로부터 장애물 감지 여부, 청소 진행 상태 등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120-n)로 로봇 청소기(9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110)는 디스플레이(932)를 포함하고 있는 오븐(9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븐(930)의 디스플레이(932)도 컬러 또는 흑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기에, 높음/중간/낮음의 3가지 구간으로 명도 값을 나누고 패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븐(930)의 디스플레이(932)에는 요리 종류, 요리 완료 시간, 요리 진행 상태 등과 함께 산출한 명도 값 변화 패턴(934)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120-n)을 명도 값 변화 패턴(934)에 가져다 대고 ID를 식별하여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단말(120-n)은 오븐(930)으로부터 요리 종류, 요리 완료 시간, 요리 진행 상태 등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120-n)로 오븐(9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명도 값 변화 패턴에 임의의 색상 값 변화 패턴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두운 빨강, 어두운 파랑, 노랑, 밝은 주황 등과 같이 명도 값 변화 패턴에 추가로 임의의 색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에 출력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명도 값이 가장 밝은 단계에서 가장 어두운 단계로 변화되는 경우, 밝은 파랑(1010)에서 어두운 빨강(1020)으로 변하도록 색상 값 변화 패턴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명도 값의 변화만으로 ID를 표현할 수 있기에, 임의의 색상을 함께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명도 값 변화 패턴에 단색이 아닌 모양이나 텍스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색상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광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모양이나 텍스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색상을 추가하여 광고 이미지를 나타내는 명도 값 변화 패턴(11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비스 광고를 나타내고 있는 명도 값 변화 패턴(1110)에 단말(120-n)을 가져다 대 명도 값 변화 패턴(1110)을 읽어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명도 값이 변화되는 주기와 일치시켜 또는 다른 주기로 동영상과 같은 변화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도 값이 가장 밝은 단계에서 가장 어두운 단계로 변화되는 경우, 제품을 설명하는 가장 밝은 이미지를 출력한 후 제품 평가에 대한 가장 어두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10)와 단말(120-n)이 페어링 되면, 스마트 TV(110)에 명도 값 변화 패턴(1110)으로 출력되었던 제품 광고와 관련된 구체적인 콘텐츠(112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명도 값 변화 패턴(1110)으로 출력되었던 제품의 광고 사이트, 제품의 홈 페이지, 제품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 등이 콘텐츠(1120)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스마트 TV(110)와 단말(120-n)이 페어링 되면, 단말(120-n)에도 명도 값 변화 패턴(1110)으로 출력되었던 제품 광고와 관련된 구체적인 콘텐츠(11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120-n)로 해당 제품의 광고 사이트, 제품의 홈 페이지, 제품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 간 페어링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110)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1210)을 스마트 시계(120-n)가 읽어 들여, 스마트 폰(110)과 스마트 시계(120-n) 사이의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시계(120-n)는 사전에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된 스마트 폰 이외에도, 출력되어 있는 명도 값 변화 패턴(1210)을 읽어들인 스마트 폰(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시계(120-n)에 명도 값 변화 패턴(1210)을 출력하고 스마트 폰(110)으로 이를 읽어 들여도, 스마트 폰(110)과 스마트 시계(120-n) 사이의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색상 변화 패턴을 추가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 없이 단말을 페어링할 수 있으며, 기존 방식과 달리 사전에 고유의 식별자를 알고 있을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을 페어링하는 시스템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n개의 단말;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 상기 n개의 단말을 연결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장치에 ID를 부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n개의 단말은,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패턴을 감지한 후 상기 ID를 식별하고, 상기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ID를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 후,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HSL 색 공간에서의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이동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5. (a)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가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장치에 ID를 부여하고 상기 장치로 상기 ID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장치가 상기 전송받은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패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d) n개의 단말이 각각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패턴을 감지한 후 상기 ID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 상기 n개의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장치가 상기 ID를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 후,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HSL 색 공간에서의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이동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n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사전에 설정한 정도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에서 상기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의 근접 정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명도 값 변화 패턴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감지된 명도 값 변화 패턴에 대응하는 ID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ID를 서버로 전송하며 접속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는,
    상기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여 상기 ID를 부여받고, 상기 ID에 대응하는 명도 값 변화 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CT/KR2014/001992 2013-12-12 2014-03-11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WO201508810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00,907 US10134357B2 (en) 2013-12-12 2014-03-11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airing,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30A KR102184271B1 (ko) 2013-12-12 2013-12-12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KR10-2013-0154930 2013-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05A1 true WO2015088105A1 (ko) 2015-06-18

Family

ID=5337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992 WO2015088105A1 (ko) 2013-12-12 2014-03-11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34357B2 (ko)
KR (1) KR102184271B1 (ko)
WO (1) WO2015088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6455B2 (ja) 2018-05-07 2023-09-19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様々な接続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複合グラフィカルアシスタントインターフェースの提供
WO2020111346A1 (en) * 2018-11-30 2020-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ac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formation
KR102612159B1 (ko) * 2021-07-19 2023-12-12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닝 시스템 및 무선 스캐닝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623A (ko) * 2007-07-30 2010-05-1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US20100278345A1 (en) * 2009-05-04 2010-11-04 Thomas Matthieu Alsin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based pairing of mobile devices
US20120015605A1 (en) * 2009-05-15 2012-01-19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Proximity Pairing
KR20120068646A (ko) * 2010-12-18 2012-06-27 (주)오픈브레인테크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고유번호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20088962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양방향 페어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3565B1 (en) * 2007-01-26 2015-02-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viding adaptive network access
JP4609674B2 (ja) * 2007-08-09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5421762B2 (ja) * 2009-12-22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
US8943320B2 (en) * 2011-10-31 2015-01-27 Novell, Inc. Techniques for authentication via a mobile device
US8676123B1 (en) * 2011-11-23 2014-03-18 Evernote Corporation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light
US20130346182A1 (en) * 2012-06-20 2013-12-26 Yahoo! Inc. Multimedia features for click prediction of new advertisements
US20140236726A1 (en) * 2013-02-18 2014-08-21 Disney Enterprises, Inc. Transference of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 and/or product pack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623A (ko) * 2007-07-30 2010-05-1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US20100278345A1 (en) * 2009-05-04 2010-11-04 Thomas Matthieu Alsin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based pairing of mobile devices
US20120015605A1 (en) * 2009-05-15 2012-01-19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Proximity Pairing
KR20120068646A (ko) * 2010-12-18 2012-06-27 (주)오픈브레인테크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고유번호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20088962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간 양방향 페어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22A (ko) 2015-06-22
US10134357B2 (en) 2018-11-20
KR102184271B1 (ko) 2020-11-30
US20160307539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2102A1 (ko)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WO2019221451A1 (en)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server through hub
WO201518698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up of lighting device
WO20140699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 based on service logic in home network system
WO2018117754A1 (en)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WO2015030307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164233A1 (en) Display device for identifying preference of content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WO2017119800A1 (ko) 센서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3036013A2 (en) Led light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do using the same
WO2015088105A1 (ko) 디바이스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기
WO20191683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us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ser
WO2016006735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WO2019177325A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07577A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o control auto brightness of display
WO201722229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20166849A1 (en) Display system for sensing defect on large-size display
WO2019156454A1 (ko) 밝기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162241A1 (ko)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80354A1 (en)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WO2017078457A1 (ko) 전자 표시 장치 및 그 정보 표시 방법
WO2020159111A1 (ko)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59255A1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dat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006667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erver, and recording medium
WO2017086635A1 (ko)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20111353A1 (ko) 사생활 침해장비 탐지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9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00907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9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