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0432A1 -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0432A1
WO2015080432A1 PCT/KR2014/011191 KR2014011191W WO2015080432A1 WO 2015080432 A1 WO2015080432 A1 WO 2015080432A1 KR 2014011191 W KR2014011191 W KR 2014011191W WO 2015080432 A1 WO2015080432 A1 WO 20150804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ding
english
starting
hand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1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봉래
Original Assignee
㈜클루소프트
박봉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3412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61543A/ko
Application filed by ㈜클루소프트, 박봉래 filed Critical ㈜클루소프트
Publication of WO20150804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04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quickly and effectively inputting an English phoneme using a touch input device provided in an information device. Is about
  • a touch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nel is mainly used as an input method in an information device.
  •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is the fastest and most efficient way to enter text.However, voice recognition still has the possibility of incorrect input even though the recognition rate has been greatly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places where quietness, such as a library or the like, is not suitable for use, a place with a lot of noise may have a high frequency of incorrect input.
  •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for the blind should satisfy the following three requirements.
  • the visually impaire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strokes and strokes, and thus, a single handwriting method in which one letter is input immediately after the touch and the writing is released is released.
  • the handwriting gestures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ithout ambiguity.
  • the writing process should be as simple as possible because the input process is slow as a whole.
  •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is difficult to generalize if the acquisition is not easy even i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should be as easily as possible to associate with the original letters so that you can quickly lear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 English phoneme through a gesture and a tap touch set based on the shape of the English phonem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ymbolizes the English phonemes with gestures based on the shape of English phonemes (especially English capital letters), the representative English phonemes among the English phonemes symbolized by the same gesture are input with the corresponding gesture, and the re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lternately inputting a combination of a gesture and a tap touch.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gesture for input the English phoneme;
  • a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handwriting information or a tap touch from a gesture input to the input unit;
  • a storage unit for linking and stor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andwriting information, respectively;
  • a detector for detect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p touch from the storage unit;
  • a processing unit for emulating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with a keyboard input.
  • the storage unit sets a plurality of pieces of handwriting information composed of cut-out handwriting, and stores the plurality of pieces of handwriting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priorities.
  • the storage unit associates at least one of alphabets A, M, and N with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downward, and writing at least one of alphabets B, D, and P to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right and ending left.
  • the storage unit associates the alphabet A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upward and ending downward, and associates the alphabet B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and ending with the left, starting with the left and starting right.
  • the letter C may be linked to the writing information ending at a first priority, and the letter U may be stored at a first ranking in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upward.
  • the storage unit further associates at least one of the alphabets M and N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downward, and further adding at least one of the alphabets D and P to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ward and ending with the leftward.
  • the storage unit may store at least one of alphabets O, G, and Q in association with handwriting information or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leftward and ending with the leftward.
  • the storage unit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alphabet I, H and K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at starts downward and ends downward.
  • the storage unit associates at least one of the letters R and F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associates at least one of the alphabets T and Y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ending downward.
  • the letter X may be linked to the handwriting information
  • the letter Z may be stored in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right and 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o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right and ending in the right and downward directions.
  • the detection unit detects, from the storage unit,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the first rank amo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recognized handwriting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tap touch, the detection unit detects, from the storage unit,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the next rank associated with the same writing information a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 an English phoneme input method includes: receiving, by an input unit, a gesture for inputting an English phoneme; Recognizing, by the recognizing uni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r the tap touch from the gesture input in the receiving step; Detecting, by the detector,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recognizing step and the handwr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p touch from the storage unit; And emulating, by the processor,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by keyboard input.
  • the step of setting a plurality of handwriting information consisting of a single handwriting by the storage unit And storing, by the storage unit,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which different priorities are se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riting information set in the setting step.
  • the storage unit associates the alphabet A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at the top and ending downward, and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at the right and ending at the left.
  • the alphabet B is first associated with the letter B
  • the letter C is first associated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left and ending right
  • the alphabet U is first associated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downward and ending upward. It may be.
  • the storage unit further associates at least one of the alphabets M and N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downward, starting with the rightward and going to the leftward.
  • At least one of the alphabets D and P is further associated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o be terminated, and at least one of the alphabets E and S is ad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beginning with the left side and ending with the right side,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upward.
  • At least one of alphabets V and W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 At least one of alphabets O, G, and Q may be stored in writing information or circul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left and ending in the left.
  • At least one of alphabets I, H, and K may be linked to and stored in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downward.
  • at least one of the letters R and F are associated with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in the rightward direction, and the alphabet T in th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in the rightward direction and ending downward.
  • at least one of Y associate alphabet J to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left, associate alphabet L to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right, and start downward and begin left downward.
  • the detecting may include detecting, by the detection unit,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having the first priority among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recognized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recognized in the recognizing step from the storage unit. It may be. In this case, the detecting may include detecting, by the detecting unit,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the next rank associated with the same writing information as the writing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when the tap touch is recognized in the recognizing step from the storage unit. It may also include.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mbolizes English phonemes with gestures based on the shape of English phonemes (especially English capital letters), and the representative English phonemes among the English phonemes symbolized by the same gesture correspond to By inputting gestures, the rest of the English phonemes are inputted by combining gestures and tap touche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learn and writing, but having an effect of quickly entering English.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is easy to learn by simply symbolizing the English phonemes in four different patterns similar to each letter U, L, I, O that differ only in writing directio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greatly reduce ambiguity between gestures. It works.
  • gestures according to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have an effect of quickly associating with and acquiring flowers.
  • the O-shaped circular gesture corresponds to the flower change
  • the U-shaped turn-shaped gestures that vary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 to the leaves in four directions
  • the downward I-shaped gesture corresponds to the stem of the flower.
  • the U-shaped turn gesture symbolizes the protruding direction that is common to the upp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nd expresses 12 characters in one U-shaped gesture, although the direction is different, and above all, it only needs to remin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etter. It can be learned.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recognizes a gesture based on the start direction and the end direction, even if the end direction is at least dragged incorrect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can be used to correct the brain les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nd 3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cognition unit of FIG.
  • 4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orage of FIG.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glish phoneme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 of detect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FIG. 8; FIG.
  •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ulation step with the keyboard input of FIG. 8.
  •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ulation step with the keyboard input of FIG. 8.
  • 11 to 15 are views for explaining a character input example through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d of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and 3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the recognition unit of FIG. 1
  • FIGS. 4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orage unit of FIG. 1.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recognition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detection unit 140, and a processing unit 150.
  •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gesture for inputting an English phoneme. That is,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gesture for inputting an English phoneme through a user's touch and drag. To this end, the input unit 110 is configured as a touch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nd receives a gesture through a user's touch panel touch and drag.
  •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tap touch from the input gesture. That is,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a gesture input through touch and drag among gesture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immediately make a mistake even if the user drags in the wrong direction in the input process, the recognition unit 120 starts and ends in a ges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Recognize handwriting information based on direction.
  •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a tap touch from a gesture input through a touch among gesture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 the tap touch refers to an act of releasing a touch after simply touching an arbitrary area of a touch panel receiving a gesture input.
  • the recognition unit 120 performs a tap touch from a gesture input module 122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a gesture input through touch and drag, and a gesture input through touc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ap touch recognition module 124 to recognize.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English phon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andwriting information, respectively. That is,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writing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shorthand writing and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association.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s linked to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130 sets and stores different priorities in the plurality of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ne handwriting information.
  •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defined based on the capital letter form of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nd may be divided into turn type handwriting information,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and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composed of a shorthand writing.
  •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symbolizes the protrusion direction appearing in the capital letters of the corresponding English phonemes, and may be defined as a U-shape different from the protrusion direc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you can immediately learn and use the 12-character gesture.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That is,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at least one of the letters A, M, and N with the turn-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downward, and the letters B, D, and Associate at least one of the letters C, E, and S with at least one of the letters P, and associate the at least one of the letters C, E, and S with the left 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left and ending right. At least one of W is linked, and at least one of alphabets O, G, and Q is linked and stored in circular handwritten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left and ending with the left.
  •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may includ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start direction or the end direction.
  • the storage unit 130 links alphabets A, M, and N to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downward after the turn upward, and the letters B, Link D and P, and then link the letters C, E and S to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to the right after turn after turning left, and link the letters U, V and W to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urn to the right after downward, After turning, the letters O, G, and Q are stored in the circular handwritten information to the left.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different priorities in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That is,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and stores alphabetically the first letter A, the second letter M, and the third letter N in turn 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downward.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ending with the left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B in the first order, the alphabet D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P in the third rank.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C in the first order, the alphabet E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S in the third rank in turn type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left direction and ending with the right direction.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U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V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W in the third rank in turn 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upward.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left and ending with the left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O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G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Q in the third rank.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first and second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he upside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A in the first order, the alphabet M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N in the third rank.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B in the first order, the alphabet D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P in the third rank in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leftward after the right turn.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C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E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S in the third rank in the turn-type 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 direction after the turn left and right.
  •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the alphabet U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V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W in the third rank in the upward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he downward turn.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O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G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Q in the third rank.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That is,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at least one of the letters R and F with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letters T and Y in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ending downward.
  • the letter J is linked to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to the left
  • the letter L is linked to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to the right
  • the linear handwriting starts downward and ends downward.
  • Associate at least one of the letters I, H, and K with the information associate the letter X with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right downward and ending left or starting from the left downward and ending right and downward, starting right and ending right.
  • the letter Z in conjunction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r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right and ending from the left The.
  •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the alphabets R and F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ward after upward, and associates the alphabets T and Y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downward after rightward, and downwards.
  • the alphabet X is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in the up and down leftward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after up and down after the upside down), and the alphabet Z is stored i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in the right and leftward direction after the rightward.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and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priorities. That is,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R in the first order and the letter F in the second order in association with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right.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T in the first order and the letter Y in the second order in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right and ending downward.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J by linking the alphabet J with the first priority to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to the left, and storing the letter L by linking the letter L with the first priority in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in the rightward direction. do.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downward,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I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H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K in the third rank.
  •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the alphabet X with the first priority to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ownward and ending left downward or starting with the left downward and ending right downward, and starting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ending with the rightward direction.
  • the letter Z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Z i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that starts and ends leftward and then rightward.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alphabet R in the first order and the alphabet F in the second rank in linear 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ward after upward.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etter T in the first order and the letter Y in the second order in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downward after right.
  •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and stores the alphabet J in the first order i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down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stores the alphabet L in the first order i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downward direction afterwards.
  •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downward, in association with the alphabet I in the first rank, the alphabet H in the second rank, and the alphabet K in the third rank.
  • the storage unit 130 associates the alphabet X with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 and left after the upward and downward after the upward and downward (or after the upward and downward after the upward and downward), and ranks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 and left after the downward after the right. Store the letter Z in conjunction.
  •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which is previously input English phoneme information.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storage module 132 for storing one or mor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handwriting information, and previously input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nd a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storage module 134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detector 140.
  • the detector 140 detects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130 based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120. That is, when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first plac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mong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recognized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130. The detection unit 240 store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34.
  • the detector 140 detects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130 based on the tap touch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120. That is,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130 when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tap touch.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from the storage unit 130,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ext rank of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mong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detected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first plac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the wri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when there is no next plac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130. The detection unit 240 store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34.
  • the processor 150 emulate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140 as a keyboard input.
  • 'emulating with keyboard input' refers to a process of processing input as if it is input from an actual physical keyboard.
  • the processor 150 replace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put immediately before with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ap touch.
  • the processor 150 convert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to a lowercase letter or an uppercase letter according to the set input mode. That is, the processor 150 convert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to uppercase letters in the upper case input mode and convert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to lowercase letters in the lower case input mod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glish phoneme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English phonetic information of FIG. 8
  •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ulation operation with the keyboard input of FIG. 8.
  •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gesture for inputting an English phoneme (S100). That is,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gesture of touch and drag, tap touch, etc. from the user through a touch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 a touch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tap touch from the input gesture (S200).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a gesture input through touch and drag among gesture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a tap touch from a gesture input through a touch among gesture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recognized writing information an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p touch (S300). That is,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from the storage unit 130,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tap touch recognized in the recognizing step.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the first rank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handwriting information (S320). That is, the detector 140 detects the first plac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130 amo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linked to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200. At this time,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A which is the first priority among A, M, and N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that starts upward and ends downward is recognized.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B, which is the first priority among B, D, and P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ending in the left direction is recogniz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C,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C, E, and S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left direction and ending with the right direction is recogniz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U, which is the first priority among U, V, and W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up is recognized.
  • the detecting unit 140 detects O, G and Q, which are the first among O, G, and Q associated with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drawn regardless of the start or end direction or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left and ending to the left is recognized. do.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R,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R and F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upward and 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is recogniz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T and Y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irection and ending downward is recogniz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J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s and ending in the left direction is detected. Detect associated L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I,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I, H, and K associated with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X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with the right downward and ending left downward or starting with the left downward and ending right downward, and starts writing right and ends rightward.
  • Z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is detect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A which is the first priority among A, M, and N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he turn-up handwriting information is recognized after the tur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B, which is the first among B, D, and P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is recognized after the turn after the right-hand tur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C,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C, E, and S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hand side is recognized after the turn after the leftward tur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U, which is the first priority among U, V, and W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up is recogniz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O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O, G, and Q associated with the circular handwriting informatio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R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R and F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 direction is recognized after the upward directio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T,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T and Y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is recognized after the rightward directio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J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he downward downward right handwriting information is detected, and detects L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he downward rightward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is recognized.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I, which is the first rank among I, H, and K associated with the linear writing information.
  • 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X associated with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when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 and left after the up and down after the right down (or after the up and down after the left down) is detected, and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right and left after the down Is detected, the Z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is detected.
  • the detector 140 store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S330). That is, the detector 140 store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in operation S320 as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130.
  • the detector 140 detects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130 (S350).
  • the detector 140 detect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ext rank of the detected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130 (S360). That is, the detector 140 detects English phon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xt rank of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mo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handwritten information of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there is no English phoneme corresponding to the next rank of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the detector 140 detects English phoneme information of the first rank of the corresponding handwritten information.
  • the detection unit 140 is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downward after the turn, which is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etter A, M, which is the next rank (ie, second rank) of A, is detected from M and N.
  • the detection unit 140 of the A, M and N associated with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fter the turn up and down after the turn, which is the same handwriting information a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etter N Since there is no English phon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xt rank of N, the first rank A is detected.
  • the detection unit 140 store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S370). That is, the detector 140 store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in operation S360 as the preceding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130.
  • the processor 150 emulates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140 as a keyboard input (S40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processor 150 emulate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as a keyboard input (S440). At this time, the processor 150 convert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to a lowercase letter or a capital letter according to the set input mode and inputs it.
  • the processor 150 emulates the keyboard input so that the previously input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s replaced with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Rating (S480).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previously input English phoneme is 'M' and the English phoneme detected by tap touch is 'N', the processor 150 detects after emulating the keyboard to erase the previously input English phoneme 'M'. Emulates the keyboard to type an English letter 'N' instead. At this time, the processor 150 converts the detected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to a lowercase letter or a capital letter according to the set input mode and inputs it.
  • 11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haracter input through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Recognizes the turn-shaped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left and ending in the right from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According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detects 'C'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and processes it as a keyboard input.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when the user inputs a gesture of a straight line after downward to input 'L',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starts downward from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and moves rightward. Recognize the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ending with. According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detects 'L'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linear handwriting information and processes it as a keyboard input.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recognizes the turn-type writing information starting downward and ending upward from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According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detects 'U'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processes it as a keyboard input.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recognizes the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left and 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gesture input by the user. According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detects 'C'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turn-typ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processes it as a keyboard input.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detects 'E', which is the next rank of the previously input 'C'. According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processes the keyboard input to replace the previously input 'C' with the detected 'E' so that the word 'CLUE' is input.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100 may output the English phoneme information input at every input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user can check the letters.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symbolizes the English phonemes with gestures based on the shape of English phonemes (especially English capital letters), and then among the English phonemes symbolized with the same gesture, By inputting the gesture, the rest of the English phonemes are replaced by a combination of a gesture and a tap touch, so that it is easier to learn and handwriting, but has an effect of quickly entering English.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is easy to learn by simply symbolizing the English phonemes in four different patterns similar to each letter U, L, I, O that differ only in writing directio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greatly reduce ambiguity between gestures. It works.
  • gestures according to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may have an effect of quickly associating and acquiring the corresponding flowers.
  • the O-shaped circular gesture corresponds to the calyx
  • the U-shaped turn-shaped gestures that vary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 to the leaves in four directions
  • the downward I-shaped gesture corresponds to the stem of the flower.
  • the U-shaped turn gesture symbolizes the protruding direction that is common to the upp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nd expresses 12 characters in one U-shaped gesture, although the direction is different, and above all, it only needs to remin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etter. It can be learned.
  •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recognizes a gesture based on the start direction and the end direction, even if the end direction is at least dragged incorrectly, the English phoneme input device and method can be used to correct the brain l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영어 자소들의 대문자 형태를 근거로 설정한 복수의 필기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필기정보이면 해당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가 탭 터치이면 이전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다음 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 후, 이전 입력된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로 대체하여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한다.

Description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기기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영어 자소를 입력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3년 11월 27일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144990호 및 2014년 3월 24일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034128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와치 등과 같은 정보기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때, 정보기기에서의 입력 방법으로는 터치 패널(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 음성 안내를 들으며 화상 키보드 상에서 입력하려는 자소 버튼의 위치를 구분하고 터치하는 데까지 오랜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터치 입력 방법으로 정보기기에 글을 입력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음성만으로 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지만, 음성인식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식률이 크게 개선되었음에도 오입력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도서관 등과 같이 정숙해야 하는 장소에서는 이용이 부적합하며, 잡음이 많은 장소에서는 오입력 발생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소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글을 입력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필기 방식의 입력환경이 필요하다. 그러나, 필기 방식도 필기하는 과정에 상당 시간이 요구되며 필기인식에 있어 모호성이 유발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획과 획 사이의 접점을 맞추기 어려워 모호성 문제가 더욱 크게 유발되어 오입력 발생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필기 입력 방식은 다음 세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획과 획 사이의 접점을 맞추기 어려우므로 터치하고 필기한 후 터치를 해제하는 즉시 한 글자가 입력되는 단획 필기 방식이어야 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필기하는 과정을 볼 수 없기 때문에 필기 제스처들간에는 모호함이 없이 상호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입력한 내용을 음성 피드백으로 확인하며 입력해야 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입력과정이 느리기 때문에 필기 과정은 최대한 단순해야 한다.
기존 터치 입력 방법으로 정보기기에 글을 입력하는 과정이 어려운 것은 비단 시각장애인만의 문제는 아니다. 경중에 관계없이 뇌병변 장애인도 특정 위치를 조준하여 터치하기(즉, 포인팅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뇌병변 장애인의 경우 일단 터치를 하고 나면 터치 패널이 일종의 지지대가 되어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하기는 포인팅하기보다는 용이한 편이다. 물론, 드래그의 경우도 일반인보다는 목표 방향을 벗어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잘못된 방향으로의 드래그 문제는 뇌병변 장애인만이 아니라 시각장애인 또는 일반인들에게도 종종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도중에 잘못 드래그한 경우 곧바로 정정할 수 있도록 드래그의 시작 방향과 종료 방향만을 근거로 또는 시작 방향과 종료 방향을 위주로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필기입력 방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필기 입력 방식은 위의 조건들이 충족되더라도 습득이 용이하지 않으면 일반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빠르게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원래 글자로부터 최대한 쉽게 연상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영어 자소들의 형태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스처 및 탭 터치를 통해 영어 자소를 입력하도록 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영어 자소들(특히, 영어 대문자 자소들)의 형태를 기반으로 영어 자소들을 제스처로 상징화한 후, 동일한 제스처로 상징화된 영어 자소들 중 대표 영어 자소는 해당 제스처로 입력하고, 나머지 영어 자소들은 제스처와 탭 터치를 조합하여 대체 입력하도록 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는,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 또는 탭 터치를 인식하는 인식부; 복수의 필기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인식부에서 인식한 필기정보 및 탭 터치에 대응되는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단획 필기로 구성된 복수의 필기정보를 설정하고, 복수의 필기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를 일순위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저장부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원형의 필기정보에 알파벳 O, G 및 Q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I, H 및 K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R 및 F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T 및 Y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J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L을 연계하고,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검출부는, 인식부에서 필기정보를 인식하면 인식한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한다. 이때, 검출부는, 인식부에서 탭 터치를 인식하면 이전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의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다음 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방법은, 입력부에 의해,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인식부에 의해, 입력받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 또는 탭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검출부에 의해,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한 필기정보 및 탭 터치에 대응되는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및 처리부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저장부에 의해, 단획 필기로 구성된 복수의 필기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저장부에 의해,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복수의 필기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부에 의해,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부에 의해,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를 일순위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부에 의해,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원형의 필기정보에 알파벳 O, G 및 Q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I, H 및 K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R 및 F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T 및 Y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J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L을 연계하고,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부에 의해, 인식하는 단계에서 필기정보를 인식하면 인식한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부에 의해, 인식하는 단계에서 탭 터치를 인식하면 이전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의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다음 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영어 자소들(특히, 영어 대문자 자소들)의 형태를 기반으로 영어 자소들을 제스처로 상징화한 후, 동일한 제스처로 상징화된 영어 자소들 중 대표 영어 자소는 해당 제스처로 입력하고, 나머지 영어 자소들은 제스처와 탭 터치를 조합하여 대체 입력함으로써, 보다 습득하기 용이하면서도 필기방식이지만 빠르게 영어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영어 자소들을 상하좌우로 필기방향만 다른 알파벳 U, L, I, O 각 글자와 유사한 4종류의 패턴만으로 단순하게 상징화함으로써 습득하기 용이하고 제스처간에 모호성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른 제스처들은 꽃에 대응시켜 빠르게 연상 및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자형의 원형 제스처는 꽃바침에 대응되고, 상하좌우 방향을 달리하는 U자형의 턴형 제스처는 네 방향의 잎에 대응되며, 하향 직선의 I자형 제스처는 꽃의 줄기에 대응된다.
특히, U자형의 턴형 제스처는 알파벳 대문자들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돌출 방향을 상징화함으로써 12개의 문자를 비록 방향은 다르지만 U자형의 제스처 하나로 모두 표현하고 무엇보다도 글자의 돌출방향만 연상하면되어 직감적으로 또한 빠르게 습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시작 방향과 종료 방향을 근거로 제스처를 인식함에 따라 적어도 종료 방향의 경우 잘 못 드래그하였더라도 바로 정정이 가능하여 특히 뇌병변 장애인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들로 인해 시각장애인들도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문자 메시지 등을 작성할 수 있게 되고, 뇌병변장애인들도 보다 원활하게 정보기기에 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일반인들도 스마트 와치와 같이 매우 좁은 터치 영역에서 용이하게 글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인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도 8의 영어 자소 정보 검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8의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을 통한 문자 입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의 횻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인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입력부(110), 인식부(120), 저장부(130), 검출부(140), 처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즉,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인식 장치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패널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인식부(120)는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 및 탭 터치를 인식한다. 즉, 인식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 중에서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과정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였더라도 즉각적으로 실수를 만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인식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에서 시작 방향과 종료 방향을 위주로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인식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 중에서 터치(Touch)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탭 터치를 인식한다. 여기서, 탭 터치란 제스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널 임의 영역에 대해 단순히 터치한 후 터치를 해제한 행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120)는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를 인식하는 필기정보 인식모듈(122), 및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탭 터치를 인식하는 탭 터치 인식모듈(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복수의 필기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단획필기로 구성되는 필기정보와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30)는 필기정보에 복수의 영어 자소 정보가 연계되는 경우, 하나의 필기정보에 연계되는 복수의 영어 자소 정보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정보는 영어 자소 정보의 대문자 형태를 기준으로 정의되며, 단획필기로 구성되는 턴형 필기정보, 원형 필기정보 및 선형 필기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턴형 필기정보는 해당 영어 자소들의 대문자 형태에 나타나는 돌출방향을 상징화한 것으로 돌출방향을 달리하는 U자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U자형이라는 단일 패턴만으로 12문자를 상징화하고 돌출방향만 연상하면 되어 12문자의 제스처를 곧 바로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저장부(130)는 턴형 필기정보 및 원형 필기정보에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A,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B,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C,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U,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원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O, G 및 Q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원형 필기정보는 시작 방향 또는 종료 방향에 관계없이 원형인 필기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30)는 상향 후 턴 후 하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A, M 및 N를 연계하고, 우향 후 턴 후 좌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B, D 및 P를 연계하고, 좌향 후 턴 후 우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C, E 및 S를 연계하고, 하향 후 턴 후 상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U, V 및 W를 연계하고, 좌향 후 원형 턴 후 좌향의 원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O, G 및 Q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30)는 턴형 필기정보 및 원형 필기정보에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우선순위를 달리하여 연계하여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A, 2순위로 알파벳 M, 3순위로 알파벳 N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B, 2순위로 알파벳 D, 3순위로 알파벳 P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C, 2순위로 알파벳 E, 3순위로 알파벳 S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U, 2순위로 알파벳 V, 3순위로 알파벳 W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원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O, 2순위로 알파벳 G, 3순위로 알파벳 Q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일례로, 저장부(130)는 상향 후 턴 후 하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A, 2순위로 알파벳 M, 3순위로 알파벳 N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우향 후 턴 후 좌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B, 2순위로 알파벳 D, 3순위로 알파벳 P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좌향 후 턴 후 우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C, 2순위로 알파벳 E, 3순위로 알파벳 S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하향 후 턴 후 상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U, 2순위로 알파벳 V, 3순위로 알파벳 W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원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O, 2순위로 알파벳 G, 3순위로 알파벳 Q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선형 필기정보에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R 및 F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T 및 Y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J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L을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I, H 및 K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30)는 상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R 및 F를 연계하고, 우향 후 하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T 및 Y를 연계하고, 하향 후 좌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J를 연계하고, 하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L을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I, H 및 K를 연계하고, 우하향 후 상향 후 좌하향(또는, 좌하향 후 상향 후 우하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 후 좌하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30)는 선형 필기정보와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우선순위를 달리하여 연계하여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R, 2순위로 알파벳 F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T, 2순위로 알파벳 Y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J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L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I, 2순위로 알파벳 H, 3순위로 알파벳 K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일례로, 저장부(130)는 상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R, 2순위로 알파벳 F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우향 후 하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T, 2순위로 알파벳 Y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하향 후 좌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J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하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L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I, 2순위로 알파벳 H, 3순위로 알파벳 K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우하향 후 상향 후 좌하향(또는, 좌하향 후 상향 후 우하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 후 좌하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에 1순위로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이전 입력된 영어 자소 정보인 선행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30)는 복수의 필기정보들 각각에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영어 자소 정보 저장모듈(132), 및 이전 입력된 영어 자소 정보인 선행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부(14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선행 영어 자소 정보 저장모듈(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출부(140)는 인식부(120)에서 인식한 필기정보를 근거로 저장부(130)로부터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140)는 인식부(120)에서 필기정보를 인식하면 인식한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출한다. 검출부(240)는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선행 영어 자소 정보로 하여 저장부(234)에 저장한다.
검출부(140)는 인식부(120)에서 인식한 탭 터치를 근거로 저장부(130)로부터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140)는 인식부(120)에서 탭 터치를 인식하면 저장부(130)로부터 선행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검출한 선행 영어 자소 정보의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결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선행 영어 자소 정보의 다음 순위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출한다. 이때, 검출부(140)는 다음 순위 영어 자소 정보가 없는 경우 검출한 선행 영어 자소 정보가 연계된 필기정보의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출한다. 검출부(240)는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선행 영어 자소 정보로 하여 저장부(234)에 저장한다.
처리부(150)는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한다. 여기서,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이란 실제 물리적 키보드에서 입력되는 것처럼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처리부(150)는 탭 터치로 검출된 영어 자소 정보의 경우 직전 입력한 영어 자소 정보를 탭 터치로 검출된 영어 자소 정보로 대체하여 입력한다.
처리부(150)는 설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한다. 즉, 처리부(150)는 대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대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하고, 소문자 입력 모드인 경우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소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영어 자소 정보 검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입력부(110)는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다(S100). 즉,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인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앤 드래그, 탭 터치 등의 제스처를 입력받는다.
인식부(120)는 입력된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 및 탭 터치를 인식한다(S200). 이때, 인식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 중에서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인식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 중에서 터치(Touch)를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탭 터치를 인식한다.
검출부(140)는 인식한 필기정보 및 탭 터치에 대응되는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S300). 즉, 검출부(140)는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한 필기정보 및 탭 터치에 대응되는 제스처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출한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S200 단계에서 필기정보가 인식되면(S310; 예), 검출부(140)는 인식한 필기정보에 대응되는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S320). 즉, 검출부(140)는 S200 단계에서 인식한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출한다. 이때, 검출부(140)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A, M 및 N 중에서 1순위인 A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B, D 및 P 중에서 1순위인 B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C, E 및 S 중에서 1순위인 C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U, V 및 W 중에서 1순위인 U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시작 또는 종료 방향에 관계없이 그려진 원형 필기정보 또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원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원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O, G 및 Q 중에서 1순위인 O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R 및 F 중에서 1순위인 R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T 및 Y 중에서 1순위인 T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J를 검출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L을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I, H 및 K 중에서 1순위인 I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X를 검출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Z을 검출한다. 일례로, 검출부(140)는 상향 후 턴 후 하향의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A, M 및 N 중에서 1순위인 A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우향 후 턴 후 좌향의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B, D 및 P 중에서 1순위인 B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좌향 후 턴 후 우향의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C, E 및 S 중에서 1순위인 C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U, V 및 W 중에서 1순위인 U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원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원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O, G 및 Q 중에서 1순위인 O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상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R 및 F 중에서 1순위인 R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우향 후 하향의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T 및 Y 중에서 1순위인 T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하향 후 좌향의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J를 검출하고, 하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L을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I, H 및 K 중에서 1순위인 I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우하향 후 상향 후 좌하향(또는, 좌하향 후 상향 후 우하향)의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X를 검출하고, 우향 후 좌하향 후 우향의 선형 필기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Z을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선행 영어 자소 정보로 저장한다(S330). 즉, 검출부(140)는 S320 단계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에 선행 영어 자소 정보로 저장한다.
S200 단계에서 탭 터치가 인식되면(S340; 예), 검출부(140)는 저장부(130)로부터 선행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S350).
검출부(140)는 검출한 선행 영어 자소 정보의 다음 순위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검출한다(S360). 즉, 검출부(140)는 선행 영어 자소 정보의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선행 영어 자소 정보의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부(140)는 선행 영어 자소 정보의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영어 자소가 없는 경우 해당 필기정보의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S350 단계에서 검출한 선행 영어 자소 정보가 알파벳 A인 경우, 검출부(140)는 알파벳 A가 연계된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인 상향 후 턴 후 하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A, M 및 N 중에서 A의 다음 순위(즉, 2순위)인 M을 검출한다. S350 단계에서 검출한 선행 영어 자소 정보가 알파벳 N인 경우, 검출부(140)는 알파벳 N이 연계된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인 상향 후 턴 후 하향의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A, M 및 N 중에서 N의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영어 자소 정보가 없으므로 1순위인 A를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선행 영어 자소 정보로 저장한다(S370). 즉, 검출부(140)는 S360 단계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130)에 선행 영어 자소 정보로 저장한다.
처리부(150)는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한다(S400). 이를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S300 단계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가 필기정보로 검출된 영어 자소 정보이면(S420; 예), 처리부(150)는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한다(S440). 이때, 처리부(150)는 설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한다.
한편, S300 단계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가 탭 터치로 검출된 영어 자소 정보이면(S460; 예), 처리부(150)는 선행 입력된 영어 자소 정보가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로 대체되도록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한다(S480). 예를 들어, 선행 입력된 영어 자소가 'M'이고 탭 터치로 검출한 영어 자소가 'N'인 경우, 처리부(150)는 선행 입력된 영어 자소 'M'을 지우도록 키보드 에뮬레이팅 한 후 검출한 영어 자소 'N'을 대신 입력하도록 키보드 에뮬레이팅한다. 이때, 처리부(150)는 설정된 입력 모드에 따라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전환하여 입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을 통한 문자 입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에 내장된 영어 자소 입력 장치를 통해 단어 "CLUE"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본 예시에서 입력 모드는 대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C"를 입력하기 위해 문자 "C"의 좌측으로 돌출된 특징을 연상하여 좌향 후 턴 후 우향 직선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로부터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그에 따라,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인식한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C'를 검출하여 키보드 입력으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L'을 입력하기 위해 하향 후 우향 직선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로부터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선형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그에 따라,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인식한 선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L'을 검출하여 키보드 입력으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U'를 입력하기 위해 문자 'U'의 하향으로 돌출된 특징을 연상하여 하향 후 턴 후 상향 직선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로부터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그에 따라,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인식한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U'를 검출하여 키보드 입력으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E'를 입력하기 위해 문자 'E'의 좌향으로 돌출된 특징응ㄹ 연상하여 좌향 후 턴 후 우향 직선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로부터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턴형 필기정보를 인식한다. 그에 따라,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인식한 턴형 필기정보에 연계된 'C'를 검출하여 키보드 입력으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로부터 탭 터치를 인식하면,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기입력된 'C'의 다음 순위인 'E'를 검출한다. 그에 따라,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기입력된 'C'를 검출한 'E'로 대체하도록 키보드 입력으로 처리하여 단어 'CLUE'가 입력되게 한다.
한편, 영어 자소 입력 장치(100)는 시각장애인이 입력한 글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매 입력시마다 입력되는 영어 자소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영어 자소들(특히, 영어 대문자 자소들)의 형태를 기반으로 영어 자소들을 제스처로 상징화한 후, 동일한 제스처로 상징화된 영어 자소들 중 대표 영어 자소는 해당 제스처로 입력하고, 나머지 영어 자소들은 제스처와 탭 터치를 조합하여 대체 입력함으로써, 보다 습득하기 용이하면서도 필기방식이지만 빠르게 영어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영어 자소들을 상하좌우로 필기방향만 다른 알파벳 U, L, I, O 각 글자와 유사한 4종류의 패턴만으로 단순하게 상징화함으로써 습득하기 용이하고 제스처간에 모호성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른 제스처들은 꽃에 대응시켜 빠르게 연상 및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자형의 원형 제스처는 꽃받침에 대응되고, 상하좌우 방향을 달리하는 U자형의 턴형 제스처는 네 방향의 잎에 대응되며, 하향 직선의 I자형 제스처는 꽃의 줄기에 대응된다.
특히, U자형의 턴형 제스처는 알파벳 대문자들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돌출 방향을 상징화함으로써 12개의 문자를 비록 방향은 다르지만 U자형의 제스처 하나로 모두 표현하고 무엇보다도 글자의 돌출방향만 연상하면되어 직감적으로 또한 빠르게 습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시작 방향과 종료 방향을 근거로 제스처를 인식함에 따라 적어도 종료 방향의 경우 잘 못 드래그하였더라도 바로 정정이 가능하여 특히 뇌병변 장애인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들로 인해 시각장애인들도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문자 메시지 등을 작성할 수 있게 되고, 뇌병변장애인들도 보다 원활하게 정보기기에 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일반인들도 스마트 와치와 같이 매우 좁은 터치 영역에서 용이하게 글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0)

  1.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 또는 탭 터치를 인식하는 인식부;
    복수의 필기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한 필기정보 및 탭 터치에 대응되는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단획 필기로 구성된 복수의 필기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필기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를 일순위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원형의 필기정보에 알파벳 O, G 및 Q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I, H 및 K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R 및 F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T 및 Y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J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L을 연계하고,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필기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탭 터치를 인식하면 이전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의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다음 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장치.
  11. 입력부에 의해, 영어 자소 입력을 위한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인식부에 의해, 상기 입력받는 단계에서 입력되는 제스처로부터 필기정보 또는 탭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한 필기정보 및 탭 터치에 대응되는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및
    처리부에 의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를 키보드 입력으로 에뮬레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의해, 단획 필기로 구성된 복수의 필기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복수의 필기정보 각각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A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B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C를 일순위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U를 일순위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의해, 상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D 및 P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좌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E 및 S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상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V 및 W 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좌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원형의 필기정보에 알파벳 O, G 및 Q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하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I, H 및 K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어 자소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R 및 F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T 및 Y 중에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J를 연계하고, 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L을 연계하고, 우하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으로 종료하거나 좌하향으로 시작하여 우하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X를 연계하고, 우향으로 시작하여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 또는 우향으로 시작하여 좌하향 후 우향으로 종료하는 필기정보에 알파벳 Z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필기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영어 자소 정보들 중에서 1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탭 터치를 인식하면 이전 검출한 영어 자소 정보의 필기정보와 동일한 필기정보에 연계된 다음 순위의 영어 자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자소 입력 방법.
PCT/KR2014/011191 2013-11-27 2014-11-20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508043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990 2013-11-27
KR10-2013-0144990 2013-11-27
KR1020140034128A KR20150061543A (ko) 2013-11-27 2014-03-24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014-0034128 2014-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432A1 true WO2015080432A1 (ko) 2015-06-04

Family

ID=5319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191 WO2015080432A1 (ko) 2013-11-27 2014-11-20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8043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656A (en) * 1993-10-06 1997-01-21 Xerox Corporation Unistrokes for computerized interpretation of handwriting
KR20010046822A (ko) * 1999-11-15 2001-06-15 김영식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US20100135576A1 (en) * 2008-12-01 2010-06-03 Ningbo Sunrun Elec. & Info Co., Ltd Identifying method of hand-written Latin letter
KR20130126515A (ko) * 2012-05-12 2013-11-20 봉래 박 한글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656A (en) * 1993-10-06 1997-01-21 Xerox Corporation Unistrokes for computerized interpretation of handwriting
US5596656B1 (en) * 1993-10-06 2000-04-25 Xerox Corp Unistrokes for computerized interpretation of handwriting
KR20010046822A (ko) * 1999-11-15 2001-06-15 김영식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US20100135576A1 (en) * 2008-12-01 2010-06-03 Ningbo Sunrun Elec. & Info Co., Ltd Identifying method of hand-written Latin letter
KR20130126515A (ko) * 2012-05-12 2013-11-20 봉래 박 한글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880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5174597A1 (ko) 음성제어 영상표시 장치 및 영상표시 장치의 음성제어 방법
WO2010087657A9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WO20141815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WO2011055998A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WO2015194814A1 (ko) 간편한 이모티콘 또는 스티커 입력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한 장치
WO2011081354A2 (en)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WO2011087206A2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on touch screen
WO2012026657A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5080432A1 (ko) 영어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630309A (zh) 一种具有容错功能的文字处理系统及方法
WO2010147394A2 (ko)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WO2016060454A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11244138B2 (en) Hologram-base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1025369A1 (ko) 인터랙션 스크롤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16085156A1 (ko)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1630310A (zh) 一种具有容错功能的文字处理系统及方法
WO2014027798A1 (ko)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23243818A1 (ko)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WO2015053526A1 (ko)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2027741A (ja) 文字入力方法と装置
KR101650711B1 (ko)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5163500A1 (ko)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WO2015122588A1 (en) Dot pattern recognizing device and content exec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62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62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