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37912A1 -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37912A1
WO2015037912A1 PCT/KR2014/008466 KR2014008466W WO2015037912A1 WO 2015037912 A1 WO2015037912 A1 WO 2015037912A1 KR 2014008466 W KR2014008466 W KR 2014008466W WO 2015037912 A1 WO2015037912 A1 WO 20150379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uting device
wearable computing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4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호
이도영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50379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379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Abstract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1 모드인지, 제2 모드인지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고, 충족하지 못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요청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고 기 등록된 기준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중 머리나 얼굴에 착용하는 디바이스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바이스 또는 페이스 마운티드 디스플레이(Face Mounted Display; FMD) 디바이스라 한다.
이러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LCD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모듈과,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에 가상 이미지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 등의 광학계로 구성된다.
도 1의 (a) 내지 (d)는 머리나 얼굴에 착용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1의 (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나 얼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의 (a)와 같은 안경 형태, 도 1의 (b)와 같은 선글라스 형태, 도 1의 (c), (d)와 같은 머리띠 형태도 가능하다.
도 1의 (a) 내지 (d)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영상 및/또는 음성을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양안에 근접한 위치에 액정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영상을 투영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때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하여 도 2의 (a)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던 사용자가 도 2의 (b)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머리 위에 걸치거나 도 2의 (c)와 같이 아예 얼굴이나 머리에서 벗어서 손에 들고 있다가 다시 착용할 경우, 사용자 인증 과정을 다시 거치게 된다. 또한 이전에 제공받던 정보를 다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받으려면 정보 요청을 다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여 정보를 제공받는 중에 비착용 상태로 진행 후 다시 착용하였을 경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1 모드인지, 제2 모드인지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고, 충족하지 못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요청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고 기 등록된 기준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정보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서 상기 정보 출력부의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터치되고 그 터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유지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전환되었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구비된 터치 센서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제1 정보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제1 정보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터치되고 그 터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유지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 상기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낮은지 여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2개를 충족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고 제2 정보의 출력을 지시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의 연속된 내용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새로운 정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의 보안 레벨은 상기 제1 정보의 보안 레벨보다 낮거나 같은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2 모드에서 제3 정보가 발생하면, 진동, 소리, 빛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자에게 상기 제3 정보의 발생을 알리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보다 더 높은 보안 레벨의 정보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있거나 기준 보안 레벨보다 더 높은 보안 레벨의 정보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있으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인증부를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를 음성 형태의 청각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청각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변환부에서 청각 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었던 시각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1 모드인지, 제2 모드인지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1 모드에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고 기 등록된 기준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의 충족 여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터치되고 그 터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유지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 상기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낮은지 여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2개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사용자 인증 상태에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비착용 상태로 전환한 후 다시 착용 상태로 전환하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정보를 계속 제공받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잇점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서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하다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만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각 정보를 음성 형태의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번거로움 없이 원하는 정보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의 (a) 내지 (d)는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2의 (a)내지 (c)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예와 머리 위에 걸쳐 쓴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와 정보 제공 장치의 관계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5의 (a) 내지 (d)는 본 명세서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의 설치 위치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6의 (a) 내지 (c)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골전도 스피커와 공기 전도 스피커의 설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그리고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제1 정보를 제공받던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비착용한 후 다시 착용하였을 때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인증 절차를 스킵하고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이어지는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새로이 요청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2 정보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 상태일 때 수신된 정보거나 알림에 해당하는 내용일 수도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인증 후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던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또는 제2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착용 상태일 때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예, 손, 머리 등)에 터치되고 있다가 비착용 상태일 때 그 터치가 계속 유지된 후 다시 착용된 경우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비착용 상태로 있다가 다시 착용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때 위의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도 2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를 제1 모드라 하고,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 2의 (b)와 같이 머리에 걸치거나 또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도 2의 (c)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서 완전히 벗어난 비착용된 상태를 제2 모드라 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 절차는 사용자의 홍채, 지문, 뇌파, 얼굴 인식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특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아이디, 비밀번호, 공인 인증서 입력과 같은 로그인 과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는 외부의 정보 제공 장치(120~140),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또는 저장부라 함),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착탈 가능한 저장 매체(11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된다. 만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카메라로 촬영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로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110-1)는 SD (Secure Digital)나 CF (Compact Flash) 메모리와 같은 슬롯 형태, 메모리 스틱 형태, USB (Universal Serial Bus) 형태 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저장 매체(110-1)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고,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내장된 메모리는 읽기, 쓰기, 및 제거 등이 가능한 저장 매체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정보 제공 장치(120~14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연결되며,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제공 장치(120~140)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 패드, 노트북,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 탑, DVD (Digital Video Disc or 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TV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상기 정보 제공 장치(120~14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인 경우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 (Digital Visual Interface)등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인 경우 2G, 3G, 4G 이동 통신 방식, 예컨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나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그 외에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3에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와 정보 제공 장치(120~140) 사이에는 셋톱박스(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120~140)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로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각 정보는 동영상, 정지 영상, 문자 메시지, 알림 메시지, 스케쥴 정보, 자막 정보, 이메일 내용, 웹 페이지 등 눈으로 볼 수 있는 정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때 이메일이나 웹 페이지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서 직접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연결된 정보 제공 장치가 스마트 폰이라면,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스마트 폰으로 촬영되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스마트 폰으로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 스마트 폰에 미리 예약하거나 설정한 정보의 알림 메시지 (또는 스케쥴 정보라 하기도 함), 미리 예약한 날짜와 시간이 되면 이를 알려주는 알람 메시지, 자막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은 드라마, 영화, 뮤직 비디오 등이 해당되고, 정지 영상은 사진이나 그림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문자 메시지는 해당 스마트 폰으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 등이 해당되고, 알림 메시지는 시청 예약이나 녹화 예약과 같은 정보를 알려주는 메시지가 해당될 수도 있고, 생일 일정 등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해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리 정한 날짜와 시간이 되면 이를 알려주는 알람 메시지는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예, 문자)이면 시각 정보에 해당되고, 귀로 들을 수 있는 형태(예, 음악이나 음성)이면 청각 정보에 해당된다. 일 예로, 동영상은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가 모두 존재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청각 정보는 귀로 들을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각 정보는 사람이 가청 가능한 주파수대의 모든 소리가 해당된다. 만일 도 2의 (a)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이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서 시각 정보는 비디오 처리된 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고, 청각 정보는 오디오 처리된 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로 출력된다. 본 명세서에서 스피커는 청각 정보 출력부라 하기도 한다.
하지만 도 2의 (b)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머리 위에 걸친 상태이거나, 도 2의 (c)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사용자가 손에 쥐고 있다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서 제공되던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는 중지되고, 이때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예로, 도 2의 (b)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머리 위에 걸친 상태이면 시각 정보는 음성 형태의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계속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를 제1 모드로 정의하고,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으면 제2 모드로 정의한다. 여기서 도면, 문자 등을 포함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사용자의 시야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한다고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도 2의 (a)와 같이 정상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를 제1 모드로 정의하고,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도 2의 (b)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에 걸쳐진 상태이거나 도 2의 (c)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제2 모드로 정의한다. 이는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며, 그 반대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 모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얼굴에 착용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머리 위가 아닌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머리 뒤로 걸쳐 쓴 상태일 때도 제2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이다.
도 4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제어부(410), 수신부(411), 시각 정보 처리부(412), 디스플레이부(413), 청각 정보 처리부(414), 스피커(415), 인증부(416), 모드 검출부(417), 카메라부(418), 저장부(419), 및 센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청각 정보 출력부라 하기도 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도 4의 각 블록에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도시 생략됨), 도 4에 도시된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10)는 모드 검출 및 사용자 인증에 관련되어 해당 블록들을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어부(410)의 동작은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부(416)와 모드 검출부(417)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41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부(41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인증부(416)와 모드 검출부(417)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부(410)의 내부에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부(411)는 정보 제공 장치(120~14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411)는 정보 제공 장치(120~140), 외부의 저장 매체(110-1), 및 내부의 저장부(41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정보 처리부(412) 및/또는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저장부(419)와 외부의 저장 매체(110-1)도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 또한 카메라부(418)도 정보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부(411)는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가 다중화되어 있으면, 다중화된 정보로부터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를 역다중화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411)는 수신된 또는 역다중화된 시각 정보를 시각 정보 처리부(412)로 출력하고, 수신된 또는 역다중화된 청각 정보를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는 입력되는 청각 정보를 오디오 처리하여 스피커(415)로 출력한다.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2)는 입력된 시각 정보를 비디오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13)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3)는 가상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허공이나 투명 유리 등이 될 수 있다. 즉,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간에게 전달하여줄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디스플레이부(413)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문자, 기호, 영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저장부(419)는 제어부(4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만일 정보 제공 장치가 스마트 폰이라면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는 폰북, 메시지,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19)는 카메라부(418)를 통해 획득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418)를 통해 획득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저장부(419)를 통해 또는 직접 수신부(411)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418)를 통해 획득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은 외부의 저장 매체(110-1)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419)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419)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42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등과 같은 동작 센서(motion detector), GPS 장치와 같은 위치 센서, 자력 센서(magnetometer), 경위 측정기(theodolite)와 같은 방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센서들 이외에 다양한 정보들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420)는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외선 통신이나 근접도 측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420)는 혈압, 혈당, 맥박, 심전도, 체온, 운동량, 얼굴, 홍채, 지문, 뇌파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을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센싱부(42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5의 (a) 내지 (d)는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배치되는 센싱부(420)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적어도 3개의 센싱 수단(510,520,530)이 구비된 예를 보이고 있다. 각 센싱 수단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크게 프레임부, 오른쪽 다리부, 및 왼쪽 다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 수단(510-530)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 (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센싱 수단(510)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오른쪽 다리부의 단부에, 제2 센싱 수단(520)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왼쪽 다리부의 단부에, 제3 센싱 수단(530)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코받침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 수단(510~530)의 위치는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곳은 어느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420)는 제1 내지 제3 센싱 수단(510~53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얼굴에 정상적으로 착용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고,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얼굴에서 머리로, 또는 머리에서 얼굴로 이동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머리 위에 걸쳐진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 내지 (d)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패드(5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손으로 잡고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패드(540)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상태가 제2 모드라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 검출부(417)는 상기 센싱부(420)의 제1 내지 제3 센싱 수단(510~530), 터치 패드(5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제1 모드 상태인지 아니면 제2 모드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540)는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돔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해당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415)는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6의 (a)는 골전도 스피커가 구비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보이고, 도 6의 (b)는 공기 전도 스피커가 구비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보이며, 도 6의 (c)는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가 모두 구비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6의 (c)의 경우,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스피커로부터 청각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611,612)는 주파수 형태의 진동으로 변환된 청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원할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6의 (a) 또는 (c)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 중 사용자의 두개골에 밀착되는 양 다리부의 단부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부터 출력되는 청각 정보 예를 들어, 음성 신호는 골전도 스피커(611,612)를 구동시킴으로써, 골전도 음파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전달되고 주파수 형태의 진동이 사용자의 내이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각 골전도 스피커(611,612)는 앰프부와 골전도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앰프부는 청각 정보를 증폭하여 골전도 진동자로 제공하고, 골전도 진동자는 증폭된 청각 정보에 의해 진동한다. 그리고 상기 골전도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골전도 음파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전도되어 주파수 형태의 진동이 사용자의 내이로 전달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고막에 무리없이 청각 정보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611,612)를 이용하게 되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두통, 난청 등의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고막에 손상을 주지 않고, 고막이 손상된 청각 장애인도 정상적인 청취가 가능해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 전도 스피커(621,62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전도 스피커(621,622)는 이어폰 형태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공기 전도 스피커(621,622)는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부터 출력되는 청각 정보 예를 들어, 음성 신호에 따라 공기를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킨다. 즉,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귓속에 있는 고막으로 전달되고, 고막의 진동은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통해 나사 모양의 와우에 전달된다. 와우에는 림프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 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되어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한다.
한편 본 명세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할 때마다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절차를 스킵(즉, 생략)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착용하고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제1 정보를 제공받던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비착용한 후 다시 착용하였을 때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인증 절차를 스킵하고 제2 정보를 사용자가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 인증 절차를 스킵할 수 있는 조건을 사용자 인증 스킵(skip, 건너뛰기) 조건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이란 용어는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며, 이 용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정보는 동영상이나 노래와 같이 상기 제1 정보에 이어지는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새로이 요청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2 정보는 이메일이나 문자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 상태일 때 수신된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일정 조건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또는 제2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착용 상태일 때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 (예, 손, 머리 등)에 터치되고 있다가 비착용 상태일 때 그 터치가 계속 유지된 후 다시 착용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머리 위에 걸쳤다가 다시 착용한 경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손으로 벗어서 그 손으로 그대로 들고 있다가 다시 착용한 경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착용된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손에 쥔(그립) 상태에서 제3자와 오랫동안 이야기를 하거나 머리 위에 오랫동안 걸쳐두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위의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으며, 동시에 해당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착용 상태일 때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 (예, 손, 머리 등)에 터치되고 있다가 비착용 상태일 때 그 터치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시 착용된 경우에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만족하고,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하면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는 상기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인증부(416)는 상기 제어부(410)에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기 설정된 조건을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인증부(416)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416)는 센싱부(42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 비밀번호, 공인 인증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기준으로 이용할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ID와 비밀번호는 미리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 중 홍채를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인증부(416)는 홍채 인식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홍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418)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러면 상기 인증부(416)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홍채와 상기 카메라부(418)에서 획득한 홍채를 비교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합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 중 홍채는 색깔, 형태, 무늬 등이 사람마다 모두 다르며, 또한 콘텐트 렌즈나 안경을 착용해도 인식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때 홍채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카메라부(418)에 의해 촬영된 홍채 영상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특징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홍채 영상의 특징은 홍채 패턴일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418)로부터 획득한 홍채 영상의 특징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기준 홍채 영상의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구하고,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사용자 인증 실패로 판단하고,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크면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성공으로 판단되면 그 사용자는 해당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적합한 사용자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생체 정보 중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420)는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특히 뇌파 센서는 도 5의 (a) 내지 (d)와 같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두 개의 다리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끝 부분 즉,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측정되는 뇌파는 EEG(Electroencephalogram) 신호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인증부(416)는 측정된 뇌파와 기 저장된 기준 뇌파를 비교하여 적합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홍채나 뇌파 이외에도 지문, 얼굴 인식, 망막, 손바닥, 손등의 정맥, 음성 인식, 성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해당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홍채와 지문 또는 홍채와 비밀번호 입력 등의 조합으로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면 즉, 상기 인증부(416)에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적합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아무런 정보도 제공되지 않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제어부(410)는 시각 정보 처리부(412) 및/또는 청각 정보 처리부(414)를 제어하여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된 후 처음 착용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경우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은 되었으나, 전원이 온 된 후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한번도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전원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비착용 상태에서 온/오프될 수도 있고, 착용 상태에서 온/오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전원 오프될 때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잠근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며, 따라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 된 후 처음 착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조건에 상관없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위의 내용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에서 전원을 온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정보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 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착용 상태가 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영화를 시청하다가 눈을 비비거나 렌즈를 닦거나 잠시 다른 일을 하기 위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머리 위에 걸치거나, 아예 벗어서 손으로 들고 있을 수 있다. 이럴 때에도 다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할 때마다 사용자 인증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잠깐 벗었다가 다시 착용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과정없이 바로 정보를 제공받고 싶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착용 상태에서 비착용 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착용 상태가 되었을 때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착용 상태에서 비착용 상태로 변경되어도 사용자 인증을 계속 유지시키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다시 착용하였을 때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에 제공하던 정보를 이어서 계속 제공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다시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 인증 과정은 스킵되었지만 사용자 인증은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벗었다가 다시 착용한 경우 이전에 제공하던 정보를 끊김없이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 상태가 되면 이전 착용 상태에서 제공하던 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이때의 정보를 저장부(419)에 저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영화를 시청하는 중에 눈을 비비기 위해 잠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벗어 손에 들고 있다가 다시 착용한 경우, 그 영화의 보안 레벨이 기 등록된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으면 사용자 인증 과정없이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던 영화를 이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보안은 용어 그대로 보안이 될 수도 있고, 연령과 같은 등급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레벨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보안 레벨의 변경도 가능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제1 모드는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로 정의되고, 제2 모드는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비착용한 상태로 정의한다.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비착용 상태는 도 2의 (b)와 같이 머리 위나 머리 뒤에 걸친 상태가 될 수도 있고, 도 2의 (c)와 같이 머리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손에 들고 있거나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가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전원이 온 된 후 한번 이상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현재 사용자 인증 상태에 있으며,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11의 흐름도를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도 7의 단계 S701에서 제1 모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증 후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로 전환되면(S702),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는 중지된다(S703). 그리고 사용자 인증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영화나 노래를 출력하고 있었다면 영화나 노래의 출력이 중지된다. 그리고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되면(S704),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S705).
상기 단계 S705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을 기 등록된 보안 레벨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8은 이를 적용한 흐름도이다.
다른 예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된 시간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9는 이를 적용한 흐름도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계속 터치하고 있다가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0은 이를 적용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조건을 하나씩만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보안 레벨, 제2 모드 유지 시간, 제2 모드에서의 터치 유무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또한 여기 개시되지 않은 조건이 더 추가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705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707).
상기 단계 S705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없다고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 S706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단계 S7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를 이어서 출력한다(S706).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도 8의 단계 S801에서 제1 모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증 후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로 전환되면(S802),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는 중지된다(S803). 이때 사용자 인증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되면(S804), 상기 단계 S8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높은지를 확인한다(S805).
예를 들어, 이메일이나 19금 이상의 영화 등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단계 S805는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었던 정보가 이메일나 19금 이상의 영화였다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결정한다.
상기 단계 S805에서 중지되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높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807).
상기 단계 S805에서 중지되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다고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 S806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단계 S8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를 이어서 출력한다(S806). 이때의 정보의 보안 레벨은 이전 제1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은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도 9의 단계 S901에서 제1 모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증 후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로 전환되면(S902),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는 중지된다(S903). 이때 사용자 인증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902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러다가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S905), 아니면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를 확인한다(S907).
만일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906). 즉,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로 전환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10)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잠근 상태로 전환한다. 그러므로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S908).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단계 S9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과 기준 보안 레벨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도 있고, 제2 모드에서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계속 터치하고 있었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908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906).
상기 단계 S908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고 확인되거나, 상기 단계 S906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단계 S9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를 이어서 출력한다(S909).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도 10의 단계 S1101에서 제1 모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증 후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가 터치된 상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S1102),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는 중지된다(S1103). 이때 사용자 인증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1102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의 터치가 제2 모드에서도 계속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부에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도 2의 (c)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손으로 잡고 있고, 사용자의 손이 닿은 부분에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센서가 위치한다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른 예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모드로 전환되는지를 체크하고 있다가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터치가 없었거나 간헐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S1105), 아니면 사용자 터치가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107).
만일 사용자 터치가 없었거나 간헐적으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1106). 즉, 제2 모드에서 손에 쥐고 있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손에서 놓거나 제3자에게 넘기는 등으로 인해 해당 사용자의 터치가 계속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10)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잠근 상태로 전환한다. 그러므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로 전환된 후에는 다른 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갑작스런 충돌 등으로 인해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없는 상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사용자의 터치와 함께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 다른 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만일 제1 모드에서의 사용자 터치가 제2 모드에서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S1108).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단계 S11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과 기준 보안 레벨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도 있고, 제2 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108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1106).
상기 단계 S1108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고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 S1106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단계 S11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를 이어서 출력한다(S1109).
지금까지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정보를 출력하다가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이전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를 이어서 계속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즉, 도 7 내지 도 10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사용자 알림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한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사용자 알림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문자, 이메일, 긴급 정보 등이 수신되거나, 이전에 예약했던 스케쥴 정보의 시간이 되었거나 해서 사용자 알림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 알림 상황을 무시할 수도 있고 또는 알림 내용의 중요도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제2 모드에서 발생된 문자, 이메일, 긴급 정보, 미리 예약된 스케쥴 정보 등은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제2 모드에서 발생된 정보의 알림 유무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모드에서 발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은 진동, 소리, 빛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은 디폴트로 설정된 방법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진동, 소리, 빛 중 하나 이상을 알림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알림 기능을 제공받는 사용자는 볼륨 조절을 원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기능이 소리로 설정되어 있고, 그 소리가 너무 작거나 너무 커서 볼륨을 조절할 경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키나 리모콘의 키 등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도 있고, 터치 패널을 터치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한다고 가정했을 때,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잡은 위치에 따라 물리적인 볼률 업/다운 방향과 터치 패널에서 보이는 볼륨 업/다운 방향이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이때는 터치 패널의 볼륨 업/다운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로서, 제2 모드에서 알림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1의 단계 S1201에서 제1 모드의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증 후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로 전환되면(S1202),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는 중지된다(S1203). 이때 사용자 인증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사용자 알림 상황이 발생하면(S1204), 디폴트로 설정된 알림 방법이나 사용자가 설정한 알림 방법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S1205). 예를 들어, 문자가 수신되었다면 진동, 소리, 빛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문자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상기 단계 S1205에서 알림 기능이 수행된 후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로 전환되면(S1206),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S1207).
상기 단계 S1207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었던 정보의 보안 레벨을 기 등록된 보안 레벨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도 있고,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된 시간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계속 터치하고 있었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레벨, 제2 모드 유지 시간, 제2 모드에서의 터치 유무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207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1209).
상기 단계 S1207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없다고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 S1209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단계 S1203에서 중지되었던 정보를 이어서 출력하거나, 상기 단계 S1204에서 발생한 사용자 알림에 해당하는 내용을 출력한다(S1208). 예를 들어, 상기 단계 S1204에서 발생한 사용자 알림이 문자 수신이었다면, 상기 단계 S1208에서는 문자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되는 동안 전원이 계속 공급되고 있었다고 가정한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온 된후 제1 모드로 전환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이 모두 충족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제1 모드에서 정보를 제공받던 사용자가 도 2의 (b)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머리에 걸치게 되면, 제1 모드에서 제공받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머리에 걸친 상태에서도 정보를 계속 제공받고 싶어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제2 모드가 도 2의 (b)와 같은 상태이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제1 모드에서 제공되던 정보를 사용자에게 계속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특히 제1 모드에서 제공되던 정보가 시각 정보라면, 상기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정보의 중단없이 계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는 도 2의 (b)와 도 2의 (c)를 구분하기 위해 도 2의 (b)는 제3 모드로 칭할 수도 있다. 즉, 제3 모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일때가 해당된다. 다른 예로, 도 2의 (b)나 도 2의 (c)와 같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된 상태이면 무조건 제2 모드로 칭하고, 제3 모드는 도 2의 (b)와 같은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얼굴에 착용하고 있다가 머리 위로 걸치게 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 정보를 귀로 들을 수 있는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는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변환부는 입력되는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청각 정보를 저장부(419)로부터 읽어 와 출력할 수도 있고, 내장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청각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알림이나 알람 메시지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출하시에 미리 음성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녹음을 통해 저장부(419)에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변환부는 제3 모드이면 수신부(411)에서 바로 시각 정보를 제공받아 청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인지 제3 모드인지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제1 모드이면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13)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모드이면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13)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3 모드일 때 시각 정보는 수신부(411)에서 제공받을 수도 있고, 시각 정보 처리부(412)에서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선택 사항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청각 정보를 오디오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4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415)로 출력되는 청각 정보는 음성 형태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수신부(411)의 청각 정보와 상기 변환부(417)의 청각 정보가 동시에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 입력되면, 상기 청각 정보 처리부(414)는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오디오 처리한 후 스피커(415)로 출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일 예로, 디폴트 모드를 정해놓고, 두 개의 청각 정보가 동시에 입력되면 디폴트 모드로 설정된 블록에서 출력되는 청각 정보를 선택하여 처리한 후 스피커(415)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디폴트 모드는 메뉴나 버튼 등을 통해 사용자가 변경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복수의 청각 정보 중 하나를 실시간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제3 모드에서 시각 정보는 음성으로 변환된 후 스피커(415)로 출력된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시각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선택적(optional)이다. 일 예로, 제3 모드에서 시각 정보는 비디오 처리 및 디스플레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서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므로, 제3 모드에서 시각 정보는 비디오 처리 및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로,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한 후 오디오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시각 정보를 비디오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13)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13)에 디스플레이된 시각 정보를 볼 수 없으므로 전력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취향도 고려해야 하므로, 제3 모드에서 시각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다른 실시예로, 제3 모드에서 스탠바이(즉,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어느 것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머리 위나 머리 뒤에 걸칠 때에는 여러 가지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눈의 피로를 줄이면서 필요한 정보는 귀로만 듣기를 원할 수도 있고, 눈과 귀의 피로를 줄이거나 또는 단순히 멋내기 위해 머리 위나 머리 뒤에 걸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아무런 정보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제3 모드에서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청각 모드와 아무런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는 스탠바이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청각 모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며, 이 용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청각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를 출력 모드라 하기로 한다.
상기 청각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의 선택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의 일부에 설치된 버튼이나 디스플레이부(413)에 표시되는 메뉴 등을 이용하여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청각 모드 온/오프 기능만을 두고, 메뉴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청각 모드 온을 선택하면 청각 모드로 설정하고, 청각 모드 오프를 선택하면 스탠바이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청각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를 각각 두고, 청각 모드를 선택하면 청각 모드로 설정하고, 스탠바이 모드를 선택하면 스탠바이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청각 모드를 디폴트로 미리 정해 놓고,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변환되면 자동으로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처리한 후 스피커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이나 메뉴 등을 이용하여 청각 모드 오프나 스탠바이 모드를 선택하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는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어느 것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모드에서 사용자는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의 출력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드에서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의 온/오프는 메뉴나 버튼 등을 이용하여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제1 모드에서 시각 정보의 오프가 선택되면 상기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한 후 청각 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시각 정보의 오프가 선택되면 상기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지 여부도 메뉴나 버튼 등을 이용하여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제1 모드에서 청각 정보의 오프가 선택되면 청각 정보만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에서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모두 오프로 선택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가 온으로 선택되거나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전원 오프시켰다가 전원 온하면 정상적으로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418)에서 촬영된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도 저장부(419)를 통해 또는 직접 상기 수신부(411)로 입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수신부(411)는 상기 카메라부(418)에서 촬영된 정보 중 시각 정보는 시각 정보 처리부(412)로, 청각 정보는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카메라로 촬영된 시각 정보는 동영상에 포함된 비디오 부분이나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모드는 동영상에 포함된 오디오 부분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드라면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2)는 카메라부(418)에서 촬영된 시각 정보를 비디오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13)로 출력한다.
이에 반해, 제3 모드라면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4)는 카메라부(418)에서 촬영된 시각 정보를 변환부로 출력한다. 이때에도 상기 시각 정보 처리부(414)는 카메라부(418)에서 촬영된 시각 정보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위한 처리는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머리 위에 걸친 상태에서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머리에 걸친 상태에서 음성으로 길 안내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할 때나 돌발 상황을 알고 싶을 때 적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변환부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청각 정보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변환부(417)에서 출력되는 청각 정보는 길 안내 정보가 될 수도 있고, 돌발 상황 등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에 GPS 기능이 있고, 또한 지도가 저장부(419)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면 특정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머리 위에 걸친 상태에서도 사용자 주변을 촬영하기 위하여, 화각이 넓은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감지부(416)의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 회전 방향, 카메라의 촬영 방향 등을 감지하고,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카메라의 촬영 방향, 카메라의 화각 등을 이용하여 현재 촬영되고 있는 영상에 어떤 물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형태로 길 안내나 돌발 상황 등을 알리기 위해 변환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110)를 머리 위에 걸친 상태에서도 “30미터 전방에서 우회전입니다”와 같은 길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시각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다가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실시예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비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계속 터치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를 도 10의 흐름도에 적용한다면, 도 10의 단계 S1103에서는 제1 모드에서 출력 중이던 정보가 청각 정보이면 그대로, 시각 정보이면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제3 모드에서 제공되던 청각 정보에 해당하는 시각 정보가 이어서 출력될 수도 있고, 제3 모드에서 제공되었던 청각 정보에 해당하는 이전 시각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즉, 후자의 경우 현재 시간 기준으로 이전에 제공된 정보가 된다.
이때 청각 정보로 변환된 시각 정보가 복수개의 이벤트인 경우에는 모든 이벤트에 해당하는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특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시각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모드에서 청각 정보로 변환되었던 시각 정보의 이벤트가 복수개이면,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가장 최근에 사용자에게 청각 정보로 제공되었던 이벤트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모드에서 청각 정보로 변환되었던 시각 정보를 제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할 때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벤트에 대해 섬머리, 전체 내용, 하이라이트, 썸네일, 및 빠른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모드(또는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없이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스킵된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정보를 제공받는 중에 기준 보안 레벨보다 높은 제3 정보(예, 결재)를 요구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제3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는 조금이라도 있을 사용자 인증 에러를 최소화하고, 중요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위의 내용은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제3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 중인 정보의 보안 레벨 또는 기준 보안 레벨보다 더 높은 보안 레벨의 제3 정보를 요청하면, 이전의 사용자 인증 여부에 상관없이 다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제3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의 확인, 확인 결과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 제어, 정보의 출력 제어 등을 제어부(410)에서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명세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가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관련된 사항을 기술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1 모드인지, 제2 모드인지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고, 충족하지 못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요청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고 기 등록된 기준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정보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서 상기 정보 출력부의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터치되고 그 터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유지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전환되었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구비된 터치 센서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제1 정보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과 같거나 낮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제1 정보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터치되고 그 터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유지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
    상기 제1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낮은지 여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2개를 충족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고 제2 정보의 출력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의 연속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새로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정보의 보안 레벨은 상기 제1 정보의 보안 레벨보다 낮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2 모드에서 제3 정보가 발생하면, 진동, 소리, 빛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자에게 상기 제3 정보의 발생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문자, 알람, 이메일, 긴급 정보, 스케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정보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정보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보다 더 높은 보안 레벨의 정보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있거나 기준 보안 레벨보다 더 높은 보안 레벨의 정보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있으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인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홍채, 뇌파, 지문, 얼굴 인식, 망막, 손바닥,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를 음성 형태의 청각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청각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변환부에서 청각 정보로 변환되어 제공되었던 시각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정보가 섬머리, 전체 내용, 하이라이트, 썸네일, 및 빠른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20.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제1 모드인지, 제2 모드인지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1 모드에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스킵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고 기 등록된 기준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서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청각 정보 출력부가 사용자의 귀 안이나 귀 주변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이며,
    기 설정된 사용자 인증 스킵 조건의 충족 여부는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상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에 터치되고 그 터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유지된 후 다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 상기 정보의 보안 레벨이 기준 보안 레벨보다 낮은지 여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 중 적어도 2개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CT/KR2014/008466 2013-09-11 2014-09-11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WO20150379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116A KR102208110B1 (ko) 2013-09-11 2013-09-11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3-0109116 2013-09-11
US14/167,406 2014-01-29
US14/167,406 US9471101B2 (en) 2013-09-11 2014-01-29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912A1 true WO2015037912A1 (ko) 2015-03-19

Family

ID=526250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754 WO2015037804A1 (en) 2013-09-11 2014-03-04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method
PCT/KR2014/008466 WO2015037912A1 (ko) 2013-09-11 2014-09-11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754 WO2015037804A1 (en) 2013-09-11 2014-03-04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1101B2 (ko)
KR (1) KR102208110B1 (ko)
WO (2) WO2015037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8792A1 (en) * 2015-08-03 2017-02-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dular smart neckl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5721B2 (en) * 2013-07-25 2017-02-21 Lg Electronics Inc.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0761566B2 (en) * 2013-09-27 2020-09-01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CN106200889A (zh) * 2015-05-05 2016-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方法及穿戴式设备
WO2016185809A1 (ja) * 2015-05-19 2016-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293034A (zh) * 2015-06-11 2017-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输出的方法及终端
KR102354586B1 (ko) 2015-08-11 2022-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상태에 따른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841757B2 (en) * 2015-12-03 2017-1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rone piggybacking on vehicles
CN105824419B (zh) * 2016-03-18 2018-12-1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穿戴装置交互系统及穿戴装置交互方法
CN106774915A (zh) * 2016-12-27 2017-05-3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通信消息的收发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CN106713642B (zh) * 2016-12-27 2020-09-04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联系人的穿戴设备控制方法及穿戴设备
CN106686231A (zh) * 2016-12-27 2017-05-1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消息播放方法及可穿戴设备
US10699691B1 (en) * 2017-06-29 2020-06-30 Amazon Technologies, Inc. Active noise cancellation for bone conduction speaker of a head-mounted wearable device
KR20190118813A (ko) 2018-04-11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169668B2 (en) * 2018-05-16 2021-11-09 Google Llc Selecting an input mode for a virtual assistant
EP3598259B1 (en) * 2018-07-19 2021-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1182456B (zh) * 2019-09-12 2020-12-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音箱的音频播放切换方法及系统、相关设备
WO2021081768A1 (zh) * 2019-10-29 2021-05-06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界面切换方法、装置、可穿戴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05893A (ko) * 2021-01-21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WO2023210961A1 (ko) * 2022-04-26 2023-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8131A1 (en) * 2007-12-28 2009-07-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ead-mounted display
JP2012170075A (ja) * 2011-02-14 201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メガネ及びその電源及びペアリング制御方法
KR20130000401A (ko) * 2010-02-28 2013-01-02 오스터하우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머리­장착식 아이피스 상의 지역 광고 컨텐츠
KR20130067902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경형 이동 통신 단말 장치
KR20130077744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8816A1 (en) 2001-04-30 2002-10-31 Snider Gregory S. Translating eyeglasses
US8264422B1 (en) * 2007-11-08 2012-09-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afe head-up display of information
WO2011097564A1 (en) * 2010-02-05 2011-08-11 Kopin Corporation Touch sensor for controlling eyewear
US8472120B2 (en) * 2010-02-28 2013-06-25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near-eye display glasses with a small scale image source
CN104793338B (zh) * 2010-04-27 2018-08-10 高平科技有限公司 可佩戴的电子显示器
EP2405662B1 (en) 2010-07-08 2012-12-26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n interactive glasses system
US20130018659A1 (en) 2011-07-12 2013-01-1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peech Command Processing
US20130022220A1 (en) 2011-07-20 2013-01-24 Google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Indirect Bone-Conduction Speaker
US8223024B1 (en) * 2011-09-21 2012-07-17 Google Inc. Locking mechanism based on unnatural movement of head-mounted display
EP2611177A3 (en) 2011-12-29 2013-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linked with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8131A1 (en) * 2007-12-28 2009-07-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ead-mounted display
KR20130000401A (ko) * 2010-02-28 2013-01-02 오스터하우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머리­장착식 아이피스 상의 지역 광고 컨텐츠
JP2012170075A (ja) * 2011-02-14 201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メガネ及びその電源及びペアリング制御方法
KR20130067902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경형 이동 통신 단말 장치
KR20130077744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8792A1 (en) * 2015-08-03 2017-02-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dular smart necklace
US9898039B2 (en) * 2015-08-03 2018-0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dular smart neckl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70251A1 (en) 2015-03-12
US9471101B2 (en) 2016-10-18
WO2015037804A1 (en) 2015-03-19
KR20150029976A (ko) 2015-03-19
KR102208110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7912A1 (ko)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WO2015046687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method
WO2016032124A1 (en) Rota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18117376A1 (ko)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5005521A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092509A1 (en) Glass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es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WO2016021747A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413707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WO2016108326A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10819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8143509A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18070624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08234A1 (en) Detachable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99288A1 (en) Glass-typ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ing the same
WO201809300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90641A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89047A1 (ko)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8048130A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018552A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56617A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WO2018080198A1 (ko)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7007101A1 (ko)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5099500A1 (ko)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WO2021194252A1 (ko) 화면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1060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37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437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