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57853A1 -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57853A1
WO2014157853A1 PCT/KR2014/001943 KR2014001943W WO2014157853A1 WO 2014157853 A1 WO2014157853 A1 WO 2014157853A1 KR 2014001943 W KR2014001943 W KR 2014001943W WO 2014157853 A1 WO2014157853 A1 WO 20141578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sensor unit
vacuum container
humidit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9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종묵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EP14774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80568B1/en
Priority to CN201480028915.1A priority patent/CN105264363B/zh
Publication of WO20141578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578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36Flash degas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3Regulation, control including valves and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07Investigating dispersion of gas
    • G01N2015/0011Investigating dispersion of gas in liquids, e.g. bubb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detection device of a vacuum container for manufacturing cosmetic contents,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re installed in a vacuum container, but one posi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one electrode assembly and a negative pow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lectrode, or one electrode assembly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by connecting negative power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connecting the positive power to the remaining electrodes, if the bubble fills the vacuum containe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electrode assembly is electrically conducting with the bubb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detection device for a vacuum container for producing cosmetic contents,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at the bubble rises.
  • Patent Document No. 7213 (1995.7.4) entitled 'Dissolved Oxygen Removal Device in Water' has been proposed to efficiently remove dissolved oxygen contained in water.
  • the proposed dissolved oxygen removal device generates vacuum pressure while the water filled in the degassing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ecipitation pipe, and degassing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ater into the degassing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nozzl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degassing tank. It is made to collect at the top of the degassing tank, the degassed oxygen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rating a vacuum pump, it is to obtain a certain amount of degassed water.
  • the degassed water filled in the degassing tank repeats the action of returning into the water tank by using a pump, so that the entir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is degassed, but again while completely degassing the degassed oxygen remaining in the degassing tank.
  • a pump in order to maintain the vacuum in the degassing tank to operate a separate pump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in the degassing tank as the degassing stops for a while there was an inefficient problem that the degassing rate is lowered.
  • the 'registered dissolved oxygen remover in water by activated carbon fiber catalyst' of the patent registration No. 302478 (2001.7.3)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solved oxygen remover' Proposed dissolved oxygen removal device is composed of water tank, water pump, flow controlle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meter, activated carbon fiber catalytic reactor, ion exchange resin tower and filtration device,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 'dissolved oxygen remover' Proposed dissolved oxygen removal device is composed of water tank, water pump, flow controlle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meter, activated carbon fiber catalytic reactor, ion exchange resin tower and filtration device,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 the water in which the impurities in the treated water were removed as ions in the ion exchange resin tower was removed from the treated water while the turbidity component wa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reated water filtering device.
  • the filtration rate is lowered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lean the filtering device regularly is followed.
  • 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is a sealed degassing tank ( V)
  • V The inside of the tank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liquid and the air in the upper space of the tank is blown with a vacuum pump to take out and discharge the dissolved air in the washing liquid.
  • the vacuum degassing device is also used in the process of making cosmetics, in the process of making cosmetics by rotating the homomixer at high speed to combine water and oil in the emulsification process to break the particles finely while water and oil components When combined, air enters the contents, and at this time, a vacuum is applied to draw the air into the atmosphere.
  • the air entered into the contents is extrac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bubbles.
  • the bubble overflows to the vacuum line, and thus the worker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t all times. If the bubble overflows into the vacuum line while no operator is present, the vacuum line is contaminated, the overflowing contents are cooled and solidified, causing clogging of the vacuum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are damag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sensors, using the sensor to detect the swelling to a certain height in the container before the bubble overflows, and if the bubble is detected The purpose of this is to alert the operator to prevent bubbles from overflowing into the vacuum lin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to extract the air from the cosmetic contents 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er shape formed by forming a space that can contain the cosmetic contents therein; It consists of an electric motor 11 installed on the vacuum vessel and a stirrer 12 connected from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11 to operate the stirrer 12 to operate the cosmetic contents inside the vacuum vessel.
  • Sensor unit 20 made by connecting the;
  • a controller 30 which reads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0 and determines that the bubble is fil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cuum containe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21 is turned on, and commands to output an alarm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generating unit 40 for outputting an alarm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30 to allow the operator to properly operate the vacuum vessel.
  • the device is installed to draw out the air from the cosmetic contents 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of the vacuum container (100) formed by forming a space that can contain the cosmetic contents therein; It consists of an electric motor 11 installed on the vacuum vessel and a stirrer 12 connected from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11 to operate the stirrer 12 to operate the cosmetic contents inside the vacuum vessel.
  • the humidity sensor unit 22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vacuum vessel sensor unit 20 configured to check the humidity present in the vacuum vessel; When the electrode assembly 21 is turned on by reading th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0, it is determined that the bubble is filled up to the upper part of the vacuum vessel, and commands to output an alarm signal, and the humidity value measured from the humidity sensor is higher than the standard.
  • the vacuum chamber 100, the stirring device 10, the sensor unit 20, the control unit 30 and the alarm generating unit 40 Operating a stirring device of the vacuum vessel; Receiving a communication call of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When the DO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bubble is filled in the vacuum container and outputs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generator.
  • the vacuum chamber 100, the stirring device 10, the sensor unit 20, the control unit 30 and the alarm generating unit 40 Operating a stirring device of the vacuum vessel; Receiving a communication call of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Receiving a humidity value in the vacuum container from a humidity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Analyz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rough an alarm generator when a conducting call of an electrode assembly is input in a state where humidit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outputting a state in which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state is ignored if the conduction call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tate where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 program code for operating the stirring device of the vacuum vessel Program code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code of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a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program code for outputting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generating unit is determined that the bubble is filled in the vacuum container when the DO communication call is input from the sensor unit.
  • program code for operating the stirring device of the vacuum vessel Program code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code of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a sensor unit; Program code for receiving a humidity value in the vacuum container from a humidity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A program code for analyz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rough an alarm generator when a conducting call of an electrode assembly is input in a state where humidity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 the input signal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standard by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gram code for disregarding the communication pin and outputting the state of the humidity higher than the reference.
  •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plurality of conductive sensors, detects the swelling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ontainer before the bubble overflows by using the sensor, and if the bubble is detected, the bubble is alerted to the worke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verflow to the vacuum line in advanc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the bubbl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the bubbl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mprises a vacuum container 100, a stirring device 10, a sensor unit 20, a control unit 30,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40.
  • the vacuum container 100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to extract the air from the cosmetic contents is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er to form a space that can contain the cosmetic contents therein.
  • the stirring device 10 is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11 installed on the vacuum vessel and an agitator 12 connected from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11 to operate the agitator 12.
  • the air present in the cosmetic contents inside the vacuum container is degassed to the outside.
  • the sensor unit 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ontainer, and consists of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21 and humidity sensors 22, and the electrode assembly 21 includes the electrode rods 21-1 and the It consists of an insulator (21-2)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21-1, it is made by connecting a positive power to one of the electrode assembly 21 and a negative power to the other electrode assembly.
  • the humidity sensor 2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acuum vessel to check the humidity present in the vacuum vessel.
  • the control unit 30 reads th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0 and determines that the bubble is fil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cuum vessel when the electrode assembly 21 is turned on, and commands to output an alarm signal.
  • the alarm generating unit 40 outputs an alarm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30 to allow the operator to properly operate the vacuum container.
  • the humidity sensor 2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polymer humidity sensor.
  • the polymer humidity sensor is a generic term for a humidity sensor of a type in which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a polymer is used as a moisture absorber, and the polymer humidity sensor is not necessarily conductive, but may be a polymer material exhibiting conductivity by adsorption of water molecules.
  • As the polymer material an ion exchange resin, a graft polymer, a mixture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materials, and copolymerization are used.
  • the polymer film humidity sensor is a moisture sensitive agent whose impedance changes with humidity, a monomer including halides and quaternary ammonium salts at the same time, a vinyl monomer containing alkylsilane, a gold electrode in a copolymer solution of one or more vinyl comonomers, and A humidity sensor electrode made of an electrode containing silver-palladium is deposited and formed into a moisture-sensitive film by heating or room temperature crosslinking in the presence of humidity.
  • Monomers containing both halides and quaternary ammonium salts included in the copolymer used for the moisture-sensitive film include tertiary amines as 2- (N, N-dimethylaminoethyl) acrylate and 2- (N, N-dimethylaminoethyl ) Methacrylate, 2- (N, N-diethylaminoethyl) acrylate,
  • a vinyl monomer containing the alkylsilane used for the copolymer used for a moisture sensitive film it can manufacture using the (meth) acryloyl type of following formula (1) or the vinylsilane type of formula (2).
  •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bubble (1) generated inside the vacuum vessel by applying a sensor unit hav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o the outside, bar electrode assembly 2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A posi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and when the bubble 1 is fill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21, the electrode assemblies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n electric flow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bubbles rise to the top of the vacuum vessel.
  • a posi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one electrode assembly 21 existing in the center, minus the two electrode assembly 21 located on the side Connect the electrodes.
  • the number of electrode assembly 21 can be varied, about three as appropri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ature that can easily sense the bubble because the bubble (1) is generated and filled more than a certain height because the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21 is formed to form a conductive line (2).
  • the water level sensor detects this and outputs an alarm signal to the outside even when a bubble is generated instantaneously. Even though it was not in the up state, it was very inconvenient because appropriate measures were to be taken due to the alarm signal.
  • the bubbl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y 21 to output an alarm signal only when the vacuum container 100 is somewhat filled up, the posi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center and the other side A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21 to be installed in the air chamber, and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vacuum container, so that the alarm sound is output only when the electrode assembly 21 is electrically conducted. Will be provided.
  • the humidity sensor 22 is additionally installed, and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vacuum container 1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high state, water is condensed on the electrode assembly 21 to form another electrode assembly 21. This is because a malfunction may occur while the leakage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 conduction.
  • the humidity sensor 22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22 to alert an operator in advance if the humidity of the humidity sensor is maintained above a standard (eg, 95%). This is to minimize the malfun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by cleaning the mois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21.
  • the electrode assembly 21 may be conducted due to the leakage current in the humid state, when the conduction call is appli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21 in the humid state more than a certain time, it can be ignored, and the operator is notified of only the humid state. Induce to heal the condition.
  • the cosmetic contents are put into the vacuum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he stirring device 10 installed inside the vacuum container is operated to remove the gas inserted into the cosmetic contents to the outside.
  • the cosmetic contents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bubbles.
  • the bubble (1) may be expelled automatically over time and discharge only the air, but if the viscosity is excellent, the bubble (1) can be continuously blown without filling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100). .
  •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y 21 is mounted in the vacuum vessel 100, when the bubble (1) is fill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21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21 and the bubble (1)
  • the conductive line 2 is formed to conduct the electrode assembly 21 so as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bubble 1 is filled in the vacuum container 100 and outputs an alarm signal to induce an operator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 the electrode assembly 21 when the humidity sensor 22 is further add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umidity or more,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21 may be conducted by a leakage current, the electrode assembly 21 may be output by outputting an alarm signal. To induce wiping, and also when the conduction call of the electrode assembly 21 is output in a state where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o ignore thi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due to malfunction in adv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용기에 다수개의 전극봉 조립체를 설치하되 하나의 전극봉 조립체에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에 마이너스 전원 연결하거나 또는, 하나의 전극봉 조립체에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에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전극봉 조립체를 다수개 설치함으로서, 기포가 진공용기에 일정이상 차오르면 기포를 매게로 전극봉 조립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진공용기에 기포가 차오르는 것을 검출토록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공용기(100)와; 교반장치(10)와; 상기 진공용기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이상의 전극봉 조립체(21)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극봉 조립체(21)는 전극봉(21-1)과 상기 전극봉(21-1)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21-2)로 구성하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중에서 한개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거나, 또는 한개의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 거품이 진공용기의 상부에 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지령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본 발명은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용기에 다수개의 전극봉 조립체를 설치하되 하나의 전극봉 조립체에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에 마이너스 전원 연결하거나 또는, 하나의 전극봉 조립체에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에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전극봉 조립체를 다수개 설치함으로서, 기포가 진공용기에 일정이상 차오르면 기포를 매게로 전극봉 조립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진공용기에 기포가 차오르는 것을 검출토록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존산소가 많이 포함된 물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할 경우, 제조된 식품이 물속에 포함된 용존산소에 의해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이로 인해 집단 식중독이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속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특허등록 제7213호(1995.7.4)의 ' 수중의 용존산소 제거장치'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용존산소 제거장치는 탈기조내에 채워진 물이 강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하고, 탈기조 상부에 구비된 급수노즐을 통해 수조내의 물이 탈기조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탈기가 이루어져 탈기조의 상부에 모이도록 하고, 탈기된 산소는 진공펌프를 가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일정량의 탈기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탈기조내에 채워진 탈기수는 펌프를 이용하여 수조내로 되돌리는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수조에 채워진 전체의 물을 탈기수로 만들도록 한 것이나, 탈기조내에 잔류된 탈기된 산소를 완전히 배출시키면서 다시 탈기조를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펌프를 가동시켜 탈기조로 수조내의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탈기작용이 잠시 멈추게 됨에 따라 탈기율이 낮아지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물속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특허등록 제 302478호(2001.7.3)의 '활성탄소섬유촉매에 의한 수중 용해산소 제거장치' ('이하, '용해산소 제거장치'라함)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용해산소 제거장치는 용수탱크, 용수펌프, 유량제어기, 용존산소 농도측정기, 활성탄섬유 촉매반응기, 이온교환수지탑과 여과장치 그리고 수질감시 및 제어장치로 구성되어져 물속에 포함된 용해산소를 제거하여 금속재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온교환수지탑에서 처리수 내의 불순물이 이온으로 제거된 물이 처리수 여과장치를 통과하면서 탁도성분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처리수로 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여과장치에 끼이게 됨에 따라 여과율이 낮아지게되어 규칙적으로 여과장치를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진공식 탈기 장치는, 밀폐된 탈기조(
Figure 812b
氣槽) 내를 일정량의 세정액으로 가득 채우고, 조의 상부 공간의 공기를 진공 펌프로 뺌으로써, 세정액 중의 용존공기를 취출하여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진공식 탈기장치는 화장품을 만드는 공정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바, 화장품을 만드는 공정에서 유화공정에서 물과 기름성분을 결합하기위해 호모믹서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입자를 잘게 깨주면서 물과 기름성분을 결합시키게 되면 공기가 내용물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내용물속에 들어간 공기를 대기중으로 뽑아내기 위해 진공을 걸어주게 된다.
그러나, 이때 화장품 내용물 속에 있는 공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면서 기포(BUBBLE)형태를 발생시키게되고 점성에 의해 쉽게 깨지지 않고 제조탱크 상층부까지 올라오게 됩니다. 이 올라온 기포가 진공라인으로 넘쳐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즉, 탈기장치에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 속에 들어간 공기가 기포 형태로 외부로 추출되며, 이때 기포가 진공라인으로 오버 플로우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시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작업자가 없는 사이에 진공라인으로 기포가 오버플로우되면 진공라인이 오염되고, 넘친 내용물이 냉각되어 굳어서 진공라인의 막힘 현상을 야기시키며, 이와 동시에 내용물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전도성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기포가 오버 플로워 되기 이전에 용기 내에서 일정 높이까지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지하며, 기포가 감지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경보함으로서 기포가 진공라인으로 오버 플로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화장 내용물 중에서 공기를 빼내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서 내부에 화장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100)와; 상기 진공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11)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연결되는 교반기(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모터(11)를 작동시켜 교반기(12)를 동작시킴으로서 진공용기 내부의 화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탈기시키는 교반장치(10)와; 상기 진공용기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이상의 전극봉 조립체(21)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극봉 조립체(21)는 전극봉(21-1)과 상기 전극봉(21-1)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21-2)로 구성하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중에서 한개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한개의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 거품이 진공용기의 상부에 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지령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지령에 따라 외부에 경보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진공용기를 조작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화장 내용물 중에서 공기를 빼내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서 내부에 화장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100)와; 상기 진공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11)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연결되는 교반기(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모터(11)를 작동시켜 교반기(12)를 동작시킴으로서 진공용기 내부의 화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탈기시키는 교반장치(10)와; 상기 진공용기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이상의 전극봉 조립체(21) 및 습도 센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극봉 조립체(21)는 전극봉(21-1)과 상기 전극봉(21-1)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21-2)로 구성하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중에서 한개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한개의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습도 센서부(22)는 진공용기 상부 일단에 설치되어 진공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습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 거품이 진공용기의 상부에 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지령하고, 또한 습도센서로부터 측정한 습도값이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들어오면 도통신호를 무시하고 습도값이 기준이상인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지령에 따라 외부에 경보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진공용기를 조작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진공용기(100)와, 교반장치(10)와, 센서부(20)와, 제어부(30)와, 경보 발생부(40)를 구비하는 단계와;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기포가 진공용기에 가득찬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진공용기(100)와, 교반장치(10)와, 센서부(20)와, 제어부(30)와, 경보 발생부(40)를 구비하는 단계와;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습도센서로부터 진공용기 내의 습도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하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도통신호를 무시하고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코드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기포가 진공용기에 가득찬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코드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습도센서로부터 진공용기 내의 습도값을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하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도통신호를 무시하고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도성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기포가 오버 플로워 되기 이전에 용기 내에서 일정 높이까지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지하며, 기포가 감지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경보함으로서 기포가 진공라인으로 오버 플로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포 검출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포 검출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포 검출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포 검출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진공용기(100)와, 교반장치(10)와, 센서부(20)와, 제어부(30)와, 경보 발생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용기(100)는 화장 내용물 중에서 공기를 빼내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서 내부에 화장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장치(10)는 진공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11)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연결되는 교반기(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모터(11)를 작동시켜 교반기(12)를 동작시킴으로서 진공용기 내부의 화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탈기시키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20)는 진공용기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이상의 전극봉 조립체(21)와, 습도센서(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는 전극봉(21-1)과 상기 전극봉(21-1)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21-2)로 구성하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중에서 한개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습도 센서(22)는 진공용기 상부 일단에 설치되어 진공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습도를 체크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 거품이 진공용기의 상부에 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지령한다.
상기 경보 발생부(40)는 제어부(30)의 지령에 따라 외부에 경보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진공용기를 조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습도 센서(22)는 고분자 습도센서를 적용한다. 상기 고분자 습도센서는 고분자를 감습체로 사용한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형의 습도 센서의 총칭으로서 반드시 고분자가 전도성일 필요는 없고, 물 분자의 흡착으로 전도성이 나타나는 고분자 재료이면 된다. 고분자 재료에는 이온 교환성의 수지라든가, 그래프트 폴리머, 친수성(親水性)과 소수성 재료를 혼합하여 공중합(共重合)시킨 것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고분자막 습도센서는 습도에 따라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감습제로서 할라이드와 4차암모늄염을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 알킬실란을 포함하는 비닐단량체, 1이상의 비닐공단량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 용액에 금전극 및 은-팔라듐을 포함하는 전극으로 된 습도센서 전극을 침적하고, 습도의 존재하에 가열 또는 상온 가교에 의해 감습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감습막에 사용한 공중합체에 포함된 할라이드와 4차암모늄염을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로는 3차아민으로서 2-(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렐레이트, 2-(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렐레이트, 2-(N,N-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렐레이트,
2-(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렐레이트, 4-비닐피리딘, 2-비닐피리딘, 알릴아민, 디알릴아민, 트리알릴아민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과, 할라이드로서 탄소수 1내지 18인 알킬기에 할로겐(염소, 브롬, 요오드)이 1개 포함된 화합물, 탄소수 5내지 6의 시클로화합물에 1개 이상의 할로겐이 포함된 화합물, a , a'-디클로로-오르토-자일렌, a , a'-디클로로-메타-자일렌, a , a'-디클로로-파라-자일렌, a , a'-디브로모-오르토-자일렌, a , a'-디브로모-메타-자일렌, a , a'-디브로모-파라-자일렌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그외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한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습막에 사용한 공중합체에 사용한 알킬실란이 포함된 비닐모노머로는 하기의 화학식(1)의 (메타)아크릴로일 형또는 화학식(2)의 비닐실란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2-(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렐레이트, 2-(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렐레이트, 2-(N,N-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렐레이트, 2-(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렐레이트,4-비닐피리딘, 2-비닐피리딘, 알릴아민, 디알릴아민, 트리알릴아민과 알킬실란이 포함된 알킬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제조한 화학식(3)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성 및 구조를 갖는 센서부를 적용하여 진공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1)를 센싱하여 외부로 알려주는바, 본 발명에서 전극봉 조립체(21)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여 하나에는 플러스 전극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에는 마이너스 전극을 연결하여,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사이에 기포(1)가 가득차게 되면 상기 전극봉 조립체(21)가 각각 도통되어 전기적 흐름이 발생됨으로서 제어부(30)가 기포가 진공용기 상부로 차오르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극봉 조립체(21)를 구비하고 있는바, 중앙에 존재하는 한개의 전극봉 조립체(21)에는 플러스 전극을 연결하고, 측면에 위치하는 2개의 전극봉 조립체(21)에는 마이너스 전극을 연결한다.
물론 전극봉 조립체(21)의 갯수는 다양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3개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은 기포(1)가 발생하여 일정높이이상 차오르게 되면 전극봉 조립체(21)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이 이루어져 도전라인(2)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기포를 센싱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즉, 종래에는 수위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기포의 존재를 파악하였기 때문에 기포가 순간적으로 발생하여도 수위감지 센서가 이를 확인하여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아직 기포가 진공용기에 차오른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경보신호 때문에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던 것이다.
다시말해서 진공용기(100)에 기포(1)가 어느정도 차오른 상황에서만 교반장치(10)의 속도 조절등 조치를 취하면 되는데, 수위감지 센서를 사용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발생한 기포가 수위감지센서에 달라붙은 경우에도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매우 불편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기포(1)가 진공용기(100)에 어느정도 차오른 상태에서만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다수개의 전극봉 조립체(21)를 구비하되, 중앙에 설치되는 전극봉 조립체에 플러스 전극을 연결하고 나머지 측면에 설치되는 전극봉 조립체(21)에는 마이너스 전극을 연결하여 진공용기에 기포가 차올라서 상기 전극봉 조립체(21)가 전기적으로 도통된 경우에 한해서만 경보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매번 상주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습도센서(22)를 더 부가하여 설치하였는바, 진공용기(100) 내부의 습도가 높은 상태로 계속 유지될 경우 전극봉 조립체(21)에 물기가 응결되어 다른 전극봉 조립체(21)에 누설전류가 흘러서 전기적으로 도통되면서 오작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서는 습도센서(22)를 구비하여 상기 습도센서의 센싱결과 기준(예컨대, 95%)이상의 습도가 유지되면 이를 미리 경보하여 작업자가 전극봉 조립체(21)의 물기를 닦아주도록하여 전극봉 조립체가 오작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과습상태에서는 누설전류로 인하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이상 과습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21)로부터 도통신호가 인가되면 이를 무시할 수 있도록하고, 과습상태인 것만을 작업자에게 알려서 과습상태를 치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공용기(100)에는 화장 내용물이 투입되어 있고, 이후 진공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장치(10)를 가동하여 화장 내용물에 삽입되어 있는 기체를 외부로 빼낸다.
이때, 상기 화장 내용물에 삽입되어 있던 공기가 외부로 출력되면서 화장 내용물이 기포 형태로 외부로 출력되기도 한다.
상기 기포(1)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으로 터트려지면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으나, 점성이 뛰어난 경우 터트려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기포(1)가 생기면서 진공용기(100) 내부를 체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용기(100)에 전극봉 조립체(21)를 다수개 실장하는바,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사이에 기포(1)가 차오를경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와 기포(1) 사이가 도통되어 도전라인(2)이 형성되어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기포(1)가 진공용기(100)에 가득 차 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기포(1)가 단순히 증가되어 하나의 전극봉 조립체(21)에 터치될 때에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기포(1)가 많이 발생하여 진공용기(100)를 꽉채우는 정도로 많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기포(1)를 매개로 전극봉 조립체(21) 끼리 상호 전기적으로 도통되면서 전기적 흐름이 발생하여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기포(1)가 진공용기에 가득 차는 경우에만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에러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여 보다 용이한 작업환경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습도센서(22)를 더 부가하여 일정 이상의 습도가 연속적으로 유지될 경우에는 상기 전극봉 조립체(21)가 누설전류에 의해서 도통될 수 있기 때문에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전극봉 조립체(21)를 닦을 것을 유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습도가 기준 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21)의 도통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무시하도록하여 오작동에 의한 경보신호의 출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단순히 습도가 기준 이상으로 과포화된 상태를 별도의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토록함이 바람직하다.
[부호의설명]
1: 거품
2: 도전라인
10: 교반장치
20: 센서부
21: 전극봉 조립체
22: 습도 센서
30: 제어부
40: 경보 발생부
100: 진공용기

Claims (6)

  1. 화장 내용물 중에서 공기를 빼내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서 내부에 화장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100)와;
    상기 진공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11)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연결되는 교반기(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모터(11)를 작동시켜 교반기(12)를 동작시킴으로서 진공용기 내부의 화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탈기시키는 교반장치(10)와;
    상기 진공용기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이상의 전극봉 조립체(21)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극봉 조립체(21)는 전극봉(21-1)과 상기 전극봉(21-1)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21-2)로 구성하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중에서 한개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거나, 또는 한개의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 거품이 진공용기의 상부에 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지령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지령에 따라 외부에 경보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진공용기를 조작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
  2. 화장 내용물 중에서 공기를 빼내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서 내부에 화장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100)와;
    상기 진공용기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11)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연결되는 교반기(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모터(11)를 작동시켜 교반기(12)를 동작시킴으로서 진공용기 내부의 화장 내용물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탈기시키는 교반장치(10)와;
    상기 진공용기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이상의 전극봉 조립체(21) 및 습도 센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극봉 조립체(21)는 전극봉(21-1)과 상기 전극봉(21-1)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체(21-2)로 구성하며, 상기 전극봉 조립체(21) 중에서 한개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한개의 전극봉 조립체에는 마이너스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전극봉 조립체에는 플러스 전원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습도 센서부(22)는 진공용기 상부 일단에 설치되어 진공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습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전극봉 조립체(21)가 도통되면 거품이 진공용기의 상부에 까지 차오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지령하고, 또한 습도센서로부터 측정한 습도값이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들어오면 도통신호를 무시하고 습도값이 기준이상인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지령에 따라 외부에 경보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적절히 진공용기를 조작하도록 하는 경보 발생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
  3. 진공용기(100)와, 교반장치(10)와, 센서부(20)와, 제어부(30)와, 경보 발생부(40)를 구비하는 단계와;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기포가 진공용기에 가득찬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방법.
  4. 진공용기(100)와, 교반장치(10)와, 센서부(20)와, 제어부(30)와, 경보 발생부(40)를 구비하는 단계와;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습도센서로부터 진공용기 내의 습도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하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도통신호를 무시하고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방법.
  5.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코드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기포가 진공용기에 가득찬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를 검출하는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6. 진공용기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코드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습도센서로부터 진공용기 내의 습도값을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하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에서 전극봉 조립체의 도통신호가 입력되면 도통신호를 무시하고 습도가 기준이상인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를 검출하는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PCT/KR2014/001943 2013-03-29 2014-03-10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WO20141578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74124.3A EP2980568B1 (en) 2013-03-29 2014-03-10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bubbles of a vacuum container for manufacturing cosmetic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 program code for executing said method with a computer
CN201480028915.1A CN105264363B (zh) 2013-03-29 2014-03-10 检测用于制造化妆品内容物的真空容器的气泡的装置和方法及存储用于由计算机执行该方法的程序代码的记录媒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4122A KR101441884B1 (ko) 2013-03-29 2013-03-29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13-0034122 2013-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853A1 true WO2014157853A1 (ko) 2014-10-02

Family

ID=5162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943 WO2014157853A1 (ko) 2013-03-29 2014-03-10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80568B1 (ko)
KR (1) KR101441884B1 (ko)
CN (1) CN105264363B (ko)
WO (1) WO2014157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0003396A (es) * 2017-10-02 2020-08-03 Sunbeam Products Inc Licuadora inteligente.
CN110567550B (zh) * 2018-06-06 2022-10-1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防溢传感器及烹饪器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5755A (ja) * 1992-02-05 1993-08-24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試料攪拌吸引装置
JPH0714368U (ja) * 1993-08-20 1995-03-10 株式会社丸菱バイオエンジ 微生物培養装置に於ける泡検知センサ
KR950007213B1 (ko) 1989-08-07 1995-07-04 오까베 다쯔오 수중의 용존산소의 탈기장치
JPH08319599A (ja) * 1995-05-24 1996-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反応装置
KR19980051267A (ko) * 1996-12-23 1998-09-15 배순훈 습도 및 교반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시스템
KR100302478B1 (ko) 1997-03-27 2001-11-22 이종훈 활성탄소섬유촉매에의한수중용존산소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282A (ja) * 1985-08-16 1987-02-21 Marubishi Baioneji:Kk 微生物の培養器に於ける消泡装置
GB8818712D0 (en) * 1988-08-05 1988-09-07 Shell Int Research Probe
JP2884797B2 (ja) * 1991-02-28 1999-04-19 富士電機株式会社 オゾンを用いた水処理装置の消泡装置
DE29815083U1 (de) * 1998-08-22 1999-02-04 Poppeler Ludwig Milch-Überkochmelder
JP2002144604A (ja) 2000-11-10 2002-05-22 Canon Inc 気泡検出手段を備えた液体噴射装置
JP2005307069A (ja) * 2004-04-23 2005-11-04 Lion Corp 液体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充填方法
JP4475280B2 (ja) * 2007-01-26 2010-06-0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細胞培養方法及び細胞培養装置
CN202570045U (zh) * 2012-05-17 2012-12-05 深圳市光之谷科技有限公司 带有抽真空装置的超声波搅拌器
CN102671566A (zh) * 2012-05-30 2012-09-19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具有消泡功能的浸出槽搅拌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213B1 (ko) 1989-08-07 1995-07-04 오까베 다쯔오 수중의 용존산소의 탈기장치
JPH05215755A (ja) * 1992-02-05 1993-08-24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試料攪拌吸引装置
JPH0714368U (ja) * 1993-08-20 1995-03-10 株式会社丸菱バイオエンジ 微生物培養装置に於ける泡検知センサ
JPH08319599A (ja) * 1995-05-24 1996-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反応装置
KR19980051267A (ko) * 1996-12-23 1998-09-15 배순훈 습도 및 교반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시스템
KR100302478B1 (ko) 1997-03-27 2001-11-22 이종훈 활성탄소섬유촉매에의한수중용존산소제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980568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0568A1 (en) 2016-02-03
CN105264363B (zh) 2018-05-04
EP2980568A4 (en) 2016-12-14
EP2980568B1 (en) 2018-02-28
KR101441884B1 (ko) 2014-09-25
CN105264363A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4524A1 (zh) 一种核酸提取系统
WO2014157853A1 (ko) 화장품 내용물 제조용 진공용기의 기포 검출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WO2019103165A1 (ko) 바이오 센서
CN105356374A (zh) 无人机锯片切割式除障装置
CN217511223U (zh) 一种液体中气泡去除装置
CN210078909U (zh) 比重小于水的有机试剂分离回收装置
CN106929406B (zh) 用于核酸提取与检测的紧凑型设备
CN110284147A (zh) 一种无废水便携式氢气生成装置及一种氢气生成方法
CN201716290U (zh) 余氯在线检测控制装置
CN205442773U (zh) 一种可旋转污水处理膜架
EP3742158A1 (en) Reference electrode for a ph-sensor and ph-sensor
CN209052779U (zh) 化成线自动加液系统
CN213024099U (zh) 电路板蜡封设备
CN210834791U (zh) 一种基于检测器的在线溶剂回收装置
CN205433714U (zh) 一种自体免疫细胞治疗采血用采血瓶
CN205442772U (zh) 一种异形污水处理膜架
CN216366733U (zh) 实验室用大密度废液自动分离装置
CN220257625U (zh) 一种挥发气治理系统
CN207699346U (zh) 一种重金属废液处理装置
CN215599175U (zh) 一种应急生化检验装置
CN214096737U (zh) 一种用于染色体收获设备的废气液预警回收装置
CN205442777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污水处理膜架
CN213041529U (zh) 一种便捷寄生虫蠕虫收集器
CN214167443U (zh) 一种微型医疗污水消毒装置
US3340470A (en) Flow-through sample apparatus for use with electrical particle stud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28915.1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741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74124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