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98340A1 -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98340A1
WO2014098340A1 PCT/KR2013/006721 KR2013006721W WO2014098340A1 WO 2014098340 A1 WO2014098340 A1 WO 2014098340A1 KR 2013006721 W KR2013006721 W KR 2013006721W WO 2014098340 A1 WO2014098340 A1 WO 20140983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signal processing
preambl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7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준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WO20140983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983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dom access processing method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Random access procedure (Random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to request uplink time synchronization (uplink time synchronization) and uplink resources (uplink resources).
  • uplink time synchronization uplink time synchronization
  • uplink resources uplink resources
  • the UE performs a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random access process includes a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ss and a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process.
  • the base station selects a random access preamble, it is a non-competi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and if the terminal selects a random access preamble, it is a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preamble used in the random access procedure is composed of a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resource and a non-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resource.
  • the base station allocates one of the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resources amo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resources to only one terminal. Therefore,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RACH collision) in the non-competi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UE randomly selects from the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 resources. Accordingly,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select the same random access preambl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RACH collision) in the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process.
  • the number of random access resources including the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and the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 is limited to 64.
  • the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the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the number of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s is reduced and collisions are increased in the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more subframes capable of transmitting random access preambles need to be allocated. In this case, resource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re reduced, thereby reducing cell capacit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effectively managing limited random access resourc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ndom access resource reus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fferent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that select the same random access preamble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cell identifiers are configured with the same cell.
  •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ells to process random access of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the plurality of cells,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 the determining of whether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may include determining to generate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when the plurality of random access preambles are the same preamble transmitted using the same resource.
  •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random access preamble may include preamble information, radio resource information used by the terminal for preamble transmission, and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that receives the preamble from the terminal.
  • the generating of the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may generate a random access response including different information for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each random access response may be transmitted at different times.
  • each random access response may be transmitted in different subframes.
  • the plurality of cells may be cells having the same cell identifier.
  • the random access process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plurality of first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to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random access response. have.
  • the random access processing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a second message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terminal to each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message, and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rom each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second messag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sponse.
  •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ells to process random access of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the plurality of cells,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 Receiving, from on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same 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genera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random access preamble, and random access for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ting a response to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the generating of the random access response for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generate a random access response including different information for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the generating of the random access response for each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generate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each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received random access preamb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radio resource.
  • each random access response may be transmitted in different subframes.
  •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ells and processing random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the plurality of cells, comprising: a processor and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preambles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to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 Generate and transmit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f each random access preamble received from the unit, and transmit the generated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to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sk the Department.
  •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when the plurality of random access preambles are the same preamble transmitted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
  •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random access preamble may include preamble information, radio resource information used by the terminal for preamble transmission, and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that receives the preamble from the terminal.
  •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including different information.
  • the processor may request the transceiver to transmit each random access response to the terminal at different times.
  • the same random access preamble can be reused in a plurality of cells with the same cell identifi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be quickly accessed by reducing the failure o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same random access preamble is used in multiple cells in duplicate, consequently, limited random access resources can be increased.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less resources for random access can be allocated than before, the remaining resources can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reby increasing cell capacity.
  •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resource.
  • FIG. 2 is a flowchart of a non-competi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3 is a flowchart of a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ion random acces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ion random acces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a plurality of cells.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resource reu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ion random acces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a plurality of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llustrat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erminal i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 user equipment (UE) It may also refer to an access terminal (AT)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a part of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device, and an access terminal.
  • MS mobile station
  • MT mobile terminal
  • SS subscriber station
  • PSS portable subscriber station
  • UE user equipment
  • AT access terminal
  • a base station include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Node B), an advanced node B (evolved NodeB, eNodeB), and a base transceiver station.
  • AP access point
  • RAS radio access station
  • Node B node B
  • eNodeB advanced node B
  • MMR Mobile Multihop Relay
  • the base station is divided in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signal, a remote radio head (RRH), or a radio unit (RU),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or a digital unit (DU). Can be implemented.
  • RRH remote radio head
  • RU radio unit
  • DU digital unit
  •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resource.
  • a random access preamble set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64 preambles.
  • the preamble set of random access resources is divided into a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and a non-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 the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is a preamble alloca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 the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 is a preamble selected by the terminal according to a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 set is divided into Group A and Group B according to the expected message 3 (MSG 3) size and the measured path loss.
  • the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 of the group B is used when the size of message 3 (MSG 3) is large and the path loss is small. Otherwise, the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 of the group A is used.
  • the base station instructs a specific terminal to perform a random access procedure
  • one preamble among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s is pre-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 one preamble is randomly selected from non-private random access preambles.
  • the terminal selects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resource and transmits a random access preamble.
  •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 the subframe in which the UE can transmit the random access preamble is preset. For example, specific subframes of 1 ms, 2 ms, about 3 ms, 5 ms, 10 ms, and 20 ms periods may be set.
  • FIG. 2 is a flowchart of a non-competi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base station 10 allocates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S110).
  • the terminal 20 transmits the allocated random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10 (S120).
  •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to the terminal 20 (S130).
  • the random access response includes a random access preamble ID, an uplink radio resource (UL grant), a temporary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a time alignment command (TAC), and the like.
  • the terminal 20 uses a preamble allocated by the base station 10 only to itself. Since other terminals cannot use this preamble, no collision occurs. Therefore, when the base station 10 receives the preamble,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a random access response to the terminal 20. Upon receiving the random access response, the terminal 20 synchronizes the uplink time using the included time synchronization correction value (TAC), and terminates the random access process by preparing for uplink transmission using an uplink radio resource (UL grant). do.
  • TAC time synchronization correction value
  • 3 is a flowchart of a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terminal 20 selects a preamble for random access, selects a PRACH resource, and transmits the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10 (S210).
  • PRACH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system information. Through the PRACH configuration index of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2,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PRACH resources are allocated to which subframes at which periods.
  •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message (S220).
  •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one of the received preambles.
  •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the random access response in the random access response window transmitted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 the random access response includes a random access preamble ID, an uplink radio resource (UL grant), a temporary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a time alignment command, and the like.
  • the terminal 20 waits for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a certain window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ubframes after transmitti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 the terminal 20 performs blind decoding with a 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A-RNTI) until waiting for a random access response.
  • RA-RNTI 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the terminal 20 stops blind decoding upon receiving its random access response.
  • the terminal 20 transmits a message 3 (MSG 3) through the uplink radio resource (S230).
  • Message 3 (MSG 3)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terminal 20.
  • the terminal 20 sets contents included in the random access response. That is, the terminal 20 applies the time synchronization correction value (TAC) and sets the C-RNTI to its temporary C-RNTI.
  • TAC time synchronization correction value
  • the terminal 20 prepares to transmit a message through an uplink radio resource.
  •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contention resolution ID (MSG 4) (S240).
  • the terminal 20 receives the contention resolution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its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contention resolution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20 includes its identifier, the terminal 20 determines that the random access procedure is successfully performed and sends a response (ack) (S250). The terminal that does not include its identifier in the contention resolution information determines that the random access procedure has failed and does not send a response (ack), and performs the random access procedure again from the beginning.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ion random acces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 two terminals 30 and 40 simultaneously select the same preamble and attempt a random access procedure (S310). That is, the two terminals 30 and 40 transmit the same preamble using the same PRACH resource.
  • the base station 50 transmits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generated based on one preamble (S320). Sinc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wo terminals 30 and 40 collide with each other, the base station 50 may generate a random access response based on a preamble of a signal received first or a signal having strong signal strength.
  • the base station 50 configures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for the successfully decoded preamble among the received preambles, and transmits the random access response (RAR) to the cell in RA-RNTI.
  • the RA-RNTI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ACH resource that transmitted the preamble.
  • both terminals 30 and 40 may receive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 RAR random access response
  • Each of the two terminals 30 and 40 transmits message 3 (MSG 3) through an uplink radio resource (S330). At this time, each of the two terminals 30 and 40 transmits message 3 including its identifier.
  • the base station 50 transmits a message 4 (MSG 4) including an identifier of a terminal (S340). Since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terminals 30 and 40 collide, the base station 50 decodes only one signal and transmits a message.
  • MSG 4 message 4
  • S340 identifier of a terminal
  • the two terminals 30 and 40 compare the identifier included in the message 4 with their identifier.
  • the terminal 30 whose identifier matches the identifier of the message 4 promotes its temporary C-RNTI to the C-RNTI, and transmits a response (ACK) to the message 4 to the C-RNTI (S350).
  • the terminal 40 whose identity does not match the identifier of message 4 attempts a random access process agai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or a digital unit (DU),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signal, a remote radio head (RRH), or a radio unit (RU). )].
  •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may be connected to on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Each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110, 120, 130, 140, and 150 is installed in predetermined cells 300, 310, 320, 330, 340, and 350.
  •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amplifying a radio signal in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section of a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to an antenna.
  • the cell of FIG. 5 is disposed to describe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dure wit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150 to perform various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resource management control related to the terminal.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a core network (not shown).
  • the core network may include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 MME, a serving gateway (Serving GateWay, S-GW), and a packet gateway (Packet GateWay, P-GW).
  • Cells served by each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110, 120, 130, 140, and 150 may have the same cell ID.
  • the cell identifier is information given to distinguish a cell.
  • FIGS. 6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ion random acces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a plurality of cells.
  • a random access procedure performed by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400, 410, and 420 in different cells, for example, cells 300, 320, and 340, is described.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of FIGS. 6 to 10 will be described as perform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onventional manner.
  • multiple terminals 400, 410, and 420 located in different cells 300, 320, and 340 simultaneously attempt the random access procedure by selecting the same preamble.
  • the cells 300-350 may use the same cell identifier.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generated based on one preamble.
  • RAR random access response
  •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410, and 420 receiving the random access response (RAR) transmits message 3 (MSG 3) through an uplink radio resource.
  • RAR random access response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message MSG 4 including an identifier of a certain terminal.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a message MSG 4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er only to one terminal.
  •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transmits a random access response (RAR) to only one preamble.
  • RAR random access response
  • Increasing the number of preambles or allocating more PRACH resources can reduce the likelihood of a RACH collision. However, rather than increasing the limited preamble, the problem should be solved by allocating more PRACH resources. However, increasing the PRACH resources reduces the resources that can be allocated for data transmiss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cell capacity.
  • a preamble allocated to a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should be increased among random access resource preambles limited by the introduction of a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 for example,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resource reu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receives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preambles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S410).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based on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each random access preamble (S420).
  •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random access preamble includes preamble information, PRACH resource information used by the terminal for preamble transmission, and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that receives the preamble from the terminal.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confirms whether each random access preamb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PRACH resource.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generates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transmit the same preamble using the same PRACH resources.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generates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including different information (S430).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generate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different random access responses to terminals that transmit the same preamble. That is,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generates not only one random access response for the same preamble but also generates a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 the plurality of random access responses include different temporary C-RNTIs.
  • the time alignment correction value included in each random access response is set appropriately for the preamble reception timing of each terminal.
  • UL grants included in each random access response may be different or may be the same.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each random access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440).
  • the random access response may be transmitted during a predetermined window, for example, 2 to 10 subframes. Accordingl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each random access response at different times.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sequentially transmit each random access response to different subframes. Alternativel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simultaneously transmit each random access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rough non-adjacent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allocate the same dedicated preamble to each terminal.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allocate the same dedicated preamble to the UE to perform a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dentifies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djacent to each neighbor cell.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allocate the same dedicated preamble to each terminal when each terminal is expected to enter a different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12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ention random acces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a plurality of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ultiple terminals 500, 510, and 520 located in different cells 310, 330, and 350 simultaneously select the same preamble and attempt a random access procedure.
  • the cells 300-350 may use the same cell identifier.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different random access responses based on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each random access preamble. That is,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random access preambles transmitted using the same resource are the sam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hen determines which cell / which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ach preamble is from.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Since the plurality of terminals 500, 510, and 520 simultaneously select the same preambl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generates a random transmission response to be transmitted for each of the terminals 500, 510, and 520.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random transmission responses RAR1, RAR2, and RAR3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to each of the cells 310, 330, and 350 in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500, 510, and 520 are located. In this cas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each of the random transmission responses RAR1, RAR2, and RAR3 to different subframes. If the cells 310, 330, and 350 in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500, 510, and 520 are located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random transmission responses RAR1, RAR2, and RAR3 in the same subframe. ) Can be sent.
  • each of the terminals 500, 510, and 520 that have received the random access responses RAR1, RAR2, and RAR3, respectively, may output the message 3 (MSG 3a, MSG 3b, and MSG 3c) through the uplink radio resource.
  •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200.
  • Each message 3 (MSG 3a, MSG 3b, MSG 3c) includes an identifier of each terminal.
  • Each random access response (RAR1, RAR2, RAR3) is a time alignment correction value (Time Alignment Command), uplink radio resources (UL Grant), different temporary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Etc. are set. Therefore, each message 3 (MSG 3a, MSG 3b, MSG 3c)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t the correct time.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each message 4 (MSG 4a, MSG 4b, MSG 4c) including an identifier (contention resolution ID) of each terminal to each terminal.
  • Each message 4 (MSG 4a, MSG 4b, MSG 4c) is transmitted to the UE in different temporary C-RNTI.
  •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500, 510, and 52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its identifier.
  •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500, 510, and 520 that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its identifier sends a response.
  • FIG. 17 illustrat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ncludes a processor 210, a memory 220,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30.
  • the processor 2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ocedures and / or method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mory 2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210.
  • the transmit / receive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0 and transmits and / or receives a signal.
  • the same random access preamble may be reused in a plurality of cells by the same cell identifier.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각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생성할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 단말로 전송할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각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본 발명은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은 상향링크 시간 동기(uplink time synchronization)와 상향링크 자원(uplink resource)을 요청하기 위해 수행된다. 또한, 초기 접속(initial access), 무선 연결 실패(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 핸드오버(handover)의 경우에, 단말이 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한다.
임의 접속 과정은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과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Contention free random access)을 포함한다.
기지국이 임의 접속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선택하면,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이고, 단말이 임의 접속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선택하면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이다.
임의 접속 과정에서 사용하는 프리앰블은 전용(dedicated) 임의 접속 프리앰블 자원과 비전용(non-dedicated) 임의 접속 프리앰블 자원으로 구성된다.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에서, 기지국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 자원 중에서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 자원들 중 하나를 한 단말에게만 할당한다. 따라서,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에서 충돌(RACH collision)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반면,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에서, 단말이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 자원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다. 따라서, 복수의 단말이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에서 충돌(RACH collision)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과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로 구성된 임의 접속 자원은 64개로 한정되어 있다. 그런데,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사용 용도의 증가로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늘린다면,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경쟁 기반 임의 접속 절차에서 충돌이 증가한다.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의 충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더 많이 할당해야 하는데, 이 경우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이 줄어들어 셀 용량(cell capacity)이 줄어든다. 따라서, 한정된 임의 접속 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셀식별자가 동일한 복수 셀로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선택한 복수의 단말에게 서로 다른 임의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임의 접속 자원 재사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생성할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 단말로 전송할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각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 동일한 프리앰블인 경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는 프리앰블 정보, 단말이 프리앰블 전송에 이용한 무선 자원 정보, 그리고 단말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로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은 셀 식별자가 동일한 셀일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처리 방법은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각 임의 접속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전송한 복수의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처리 방법은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한 각 단말로,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로부터, 임의 접속 절차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전송한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로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무선 자원으로 전송된 경우,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해당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로서,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전송한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에 요청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 동일한 프리앰블인 경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는 프리앰블 정보, 단말이 프리앰블 전송에 이용한 무선 자원 정보, 그리고 단말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시점에 해당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셀식별자가 동일한 복수 셀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접속 절차의 실패를 줄여 단말이 빨리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여러 셀에서 중복해서 사용하므로, 결과적으로 한정된 임의 접속 자원이 증대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접속을 위한 자원을 기존보다 적게 할당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자원을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어 셀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보다 적은 수의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할당할 수 있으므로,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늘어나 임의 접속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이 줄어든다.
도 1은 임의 접속 자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복수 단말 사이의 경쟁 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부터 도 10 각각은 복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 사이의 경쟁 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 접속 자원 재사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부터 도 16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 사이의 경쟁 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를 예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무선 신호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signal, Remote Radio Head(RRH), 또는 Radio Unit(RU)],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또는 Digital Unit(DU)]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임의 접속 자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임의 접속 프리앰블 집합(random access preamble set)은 일정 개수, 예를 들면 64개의 프리앰블(preamble)로 구성된다.
임의 접속 자원의 프리앰블 집합은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과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non-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로 구분된다.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은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Contention free random access)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 할당하는 프리앰블이다.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은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에 따라 단말이 선택하는 프리앰블이다.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 집합은 예상되는 메시지3(MSG 3)의 크기와 측정된 패스로스에 따라 그룹 A(Group A)와 그룹 B(Group B)로 구분된다. 그룹 B의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은 메시지3(MSG 3)의 크기가 크고, 패스로스가 작은 경우 사용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그룹 A의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사용된다.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경우,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을 해당 단말에게 미리 할당한다.
단말 스스로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하는 경우, 비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들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을 임의로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자원을 선택하여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단말이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은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1ms, 2ms, 약3ms, 5ms, 10ms, 20ms 주기의 특정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인 경우, 기지국(10)이 임의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을 할당(preamble allocation)한다(S110).
단말(20)은 할당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120).
기지국(10)은 단말(20)로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전송한다(S130). 임의 접속 응답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 ID, 상향링크 무선자원(UL Grant), 임시 C-RNTI(Temporary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시간 동기 보정 값(Time Alignment Command, TAC) 등을 포함한다.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에서, 단말(20)은 기지국(10)이 자신에게만 할당해준 프리앰블을 사용한다. 다른 단말이 이 프리앰블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지국(10)이 해당 프리앰블을 수신할 경우 단말(20)에게 임의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 임의 접속 응답을 수신한 단말(20)은 포함된 시간 동기 보정 값(TAC)을 이용해 업링크 타임 동기를 맞추고, 상향링크 무선자원(UL grant)으로 업링크 전송 준비를 하는 것으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종료한다.
도 3은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경쟁 기반 임의 접속 과정인 경우, 단말(20)이 임의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PRACH 자원을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기지국(10)으로 전송한다(S210). PRACH 자원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제공된다.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2)의 PRACH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를 통해 PRACH 자원이 어떤 주기로 어떤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어있는지 알 수 있다.
기지국(10)은 임의 접속 응답(RAR)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 기지국(10)은 수신한 프리앰블 중 하나에 대해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기지국(10)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달한 임의 접속 응답 윈도우 안에 임의 접속 응답을 전달한다. 임의 접속 응답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 ID, 상향링크 무선자원(UL Grant), 임시 C-RNTI(Temporary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시간 동기 보정 값(Time Alignment Command) 등을 포함한다.
이때, 단말(20)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한 일정 시간 이후, 예를 들면 3 서브프레임 이후, 일정 윈도우 동안 임의 접속 응답을 기다린다. 단말(20)은 임의 접속 응답을 기다릴 때까지, RA-RNTI(Ra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자신의 임의 접속 응답을 수신하면 블라인드 디코딩을 중지한다.
단말(20)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해 메시지3(MSG 3)를 전송한다(S230). 메시지3(MSG 3)는 단말(2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20)은 자신이 전송한 프리앰블의 임의 접속 응답을 받은 경우, 임의 접속 응답에 포함된 내용을 설정한다. 즉, 단말(20)은 시간 동기 보정 값(TAC)를 적용하고, C-RNTI를 자신의 임시 C-RNTI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준비를 한다.
기지국(10)은 경쟁 해결 정보(contention resolution ID)(MSG 4)를 전송한다(S240). 경쟁 해결 정보는 메시지3에 포함된 단말(20)의 식별자이다. 즉, 기지국(10)은 메시지3에 포함된 단말의 고유 식별자(Contention Resolution ID=UE-ID)를 메시지4에 포함하여 임시 C-RNTI로 전송한다.
단말(20)은 경쟁 해결 정보를 수신하고 경쟁 해결 정보에 자신의 식별자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 단말(20)은 자신의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정상적으로 임의 접속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응답(ack)을 보낸다(S250). 경쟁 해결 정보에 자신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단말은 임의 접속 과정이 실패했다고 판단하고 응답(ack)을 보내지 않고, 처음부터 임의 접속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도 4는 복수 단말 사이의 경쟁 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두 단말(30, 40)이 동시에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임의 접속 절차를 시도한다(S310). 즉, 두 단말(30, 40)이 동일한 PRACH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한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기지국(50)은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을 기초로 생성한 임의 접속 응답(RAR)을 전송한다(S320). 두 단말(30, 4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충돌하므로, 기지국(50)은 먼저 수신한 신호, 또는 신호 세기가 강한 신호의 프리앰블을 기초로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50)은 수신한 프리앰블 중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리앰블에 대해서 임의 접속 응답(RAR)을 구성하고, RA-RNTI로 셀에 전송한다. RA-RNTI는 프리앰블을 전송한 PRACH 자원에 따라 결정된다.
두 단말(30, 40)은 동일한 PRACH 자원으로 동일한 프리앰블을 전송했으므로, 두 단말(30, 40)은 같은 RA-RNTI를 갖는다. 따라서, 두 단말(30, 40) 모두 임의 접속 응답(RAR)을 수신할 수 있다.
두 단말(30, 40) 각각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해 메시지3(MSG 3)를 전송한다(S330). 이때, 두 단말(30, 40) 각각은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3를 전송한다.
기지국(50)은 어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4(MSG 4)를 전송한다(S340). 두 단말(30, 4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충돌하므로, 기지국(50)은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디코딩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두 단말(30, 40)은 메시지4에 포함된 식별자와 자신의 식별자를 비교한다. 자신의 식별자와 메시지4의 식별자가 일치한 단말(30)은, 자신의 임시 C-RNTI를 C-RNTI로 승격시키고, 메시지4에 대한 응답(ACK)를 C-RNTI로 전송한다(S350). 자신의 식별자와 메시지4의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은 단말(40)은 다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지국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또는 Digital Unit(DU)]와 무선 신호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signal, Remote Radio Head(RRH), 또는 Radio Unit(RU)]로 분리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가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처리장치(100, 110, 120, 130, 140, 150) 각각은 일정 셀(300, 310, 320, 330, 340, 350)에 설치된다. 무선 신호 처리장치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 부문의 전파신호를 증폭해 안테나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참고로, 도 5의 셀을 배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와의 신호 송수신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배치한 것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100-150)와 연결되어 단말과 관계된 각종 디지털 신호 처리와 자원 관리 제어 등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코어망(미도시)에 연결된다. 코어망은 이동성 관리 객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그리고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GateWay, P-GW)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처리장치(100, 110, 120, 130, 140, 150) 각각이 서비스하는 셀은 동일한 셀 식별자(cell ID)를 가질 수 있다. 셀 식별자는 셀을 구분하기 위해 부여된 정보이다.
도 6부터 도 10 각각은 복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 사이의 경쟁 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400, 410, 420) 각각이 서로 다른 셀, 예를 들어 셀(300, 320, 340)에서 수행하는 임의 접속 절차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부터 도 10에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종래의 방식에 따라 임의 접속 절차는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서로 다른 셀(300, 320, 340)에 위치한 복수 단말(400, 410, 420)이 동시에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임의 접속 절차를 시도한다. 여기서, 셀(300-350)은 동일한 셀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프리앰블을 기초로 생성한 임의 접속 응답(RAR)을 전송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임의 접속 응답(RAR)을 수신한 복수 단말(400, 410, 420) 각각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해 메시지3(MSG 3)를 전송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어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MSG 4)를 전송한다. 이때, 시그널링 최적화(Signaling optimization)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만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MSG 4)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복수 단말(400, 410, 420) 중에서,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400)만이 응답(ack)를 보낸다. 즉, 다른 단말(410, 420)은 임의 접속 과정을 실패하였으므로, 임의 접속 과정을 다시 시도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복수의 셀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임의 접속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서로 다른 무선 신호 처리장치의 커버리지에서 임의 접속 충돌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종래의 기지국은 단 하나의 프리앰블에만 임의 접속 응답(RAR)을 전송한다.
또한, 현재 임의 접속 자원 프리앰블은 64개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셀 식별자를 사용하는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이 많아지는 경우, 하나의 셀 식별자로 커버되는 지역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커버리지 안의 사용자 또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MTC 단말이 늘어날 경우, 한 셀에 존재하는 단말 수가 증가한다. 이 경우, 한정된 임의 접속 자원 프리앰블로 인해 RACH 충돌 가능성이 증가되어 통화시도실패 같은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프리앰블 수를 늘리거나, PRACH 자원을 더 많이 할당하면, RACH 충돌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프리앰블을 늘리기보다는 PRACH 자원을 더 많이 할당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PRACH 자원을 늘리면,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셀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통신 기술, 예를 들면 인터-밴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Band Carrier Aggrigation)의 도입으로 한정된 임의 접속 자원 프리앰블 중에서 전용 임의 접속 프리앰블에 할당되는 프리앰블이 늘어나야 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한정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 접속 자원 재사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한다(S410).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지 판단한다(S420).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는 프리앰블 정보, 단말이 프리앰블 전송에 이용한 PRACH 자원 정보, 단말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 정보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PRACH 자원을 통해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복수의 단말이 동일한 PRACH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한 프리앰블을 전송한 경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한다.
판단 결과,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한다(S430).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로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동일한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들에게 서로 다른 임의 접속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동일한 프리앰블에 대해 하나의 임의 접속 응답만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한다.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은 서로 다른 임시 C-RNTI를 포함한다. 각 임의 접속 응답에 포함되는 시간 동기 보정 값(Time Alignment Command)은 각 단말의 프리앰블 수신 타이밍에 적합하게 설정된다. 각 임의 접속 응답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무선자원(UL Grant)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같은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한다(S440). 임의 접속 응답은 미리 설정된 윈도우 동안, 예를 들면 2~10 서브프레임 동안에 전송되면 된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인접하지 않은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을 통해, 동시에 해당 단말로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의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단말에 동일한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할 수 있다. 상향링크 시간 동기가 맞지 않는 단말들이 서로 다른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에게 비경쟁 기반 임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동일한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핸드오버요청이 복수의 이웃셀로부터 들어오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이웃셀과 인접해 있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단말이 서로 다른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진입이 예상될 경우, 각 단말에 동일한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2부터 도 16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 사이의 경쟁 임의 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서로 다른 셀(310, 330, 350)에 위치한 복수 단말(500, 510, 520)이 동시에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임의 접속 절차를 시도한다. 여기서, 셀(300-350)은 동일한 셀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서로 다른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지 판단한다. 즉,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 임의 접속 프리앰블들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프리앰블이 어느 셀/어느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온 것인지 판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복수 단말(500, 510, 520)이 동시에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였으므로 복수 단말(500, 510, 520)별로 전송할 임의 전송 응답을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복수 단말(500, 510, 520)이 위치한 셀(310, 330, 350) 각각으로 각 단말에 해당하는 임의 전송 응답(RAR1, RAR2, RAR3)을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임의 전송 응답(RAR1, RAR2, RAR3)각각을 다른 서브프레임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복수 단말(500, 510, 520)이 위치한 셀(310, 330, 350)이 서로 인접해 있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같은 서브프레임에 임의 전송 응답(RAR1, RAR2, RAR3)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임의 접속 응답(RAR1, RAR2, RAR3)을 각각 수신한 각 단말(500, 510, 520)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해 메시지3(MSG 3a, MSG 3b, MSG 3c)를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각 메시지3(MSG 3a, MSG 3b, MSG 3c)는 각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각 임의 접속 응답(RAR1, RAR2, RAR3)은 각 단말에 적합한 시간 동기 보정 값(Time Alignment Command), 상향링크 무선자원(UL Grant), 서로 다른 임시 C-RNTI(Temporary C-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등이 설정된다. 따라서, 각 메시지3(MSG 3a, MSG 3b, MSG 3c)는 정확한 시점에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로 전송된다.
도 15를 참고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각 단말의 식별자(contention resolution ID)를 포함하는 각 메시지4(MSG 4a, MSG 4b, MSG 4c)를 각 단말로 전송한다. 각 메시지4(MSG 4a, MSG 4b, MSG 4c)는 서로 다른 임시 C-RNTI로 해당 단말에게 전송된다.
복수 단말(500, 510, 520) 각각은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한 복수 단말(500, 510, 520) 각각은 응답(ack)를 보낸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500, 510, 520)이 동시에 동일한 프리앰블을 선택하더라도, RACH 충돌 없이 모든 임의 접속 절차가 성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를 예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송수신 유닛(23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1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 유닛(230)은 프로세서(210)와 연결되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셀식별자가 동일한 복수 셀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생성할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 단말로 전송할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각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할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 동일한 프리앰블인 경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도록 결정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는
    프리앰블 정보, 단말이 프리앰블 전송에 이용한 무선 자원 정보, 그리고 단말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로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시점에 전송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으로 전송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셀은 셀 식별자가 동일한 셀인 임의 접속 처리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각 임의 접속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전송한 복수의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제1메시지를 전송한 각 단말로, 해당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로부터, 임의 접속 절차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10.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전송한 동일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로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는
    수신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무선 자원으로 전송된 경우, 무선 신호 처리장치별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해당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으로 전송하는 임의 접속 처리 방법.
  14. 복수의 셀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셀에 위치한 복수 단말의 임의 접속을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로서,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복수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 단말이 전송한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각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해당 단말이 접속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에 요청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이 동일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 동일한 프리앰블인 경우,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수신 정보는
    프리앰블 정보, 단말이 프리앰블 전송에 이용한 무선 자원 정보, 그리고 단말로부터 프리앰블을 수신한 무선 신호 처리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17. 제14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임의 접속 응답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18. 제14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임의 접속 응답을 서로 다른 시점에 해당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에 요청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PCT/KR2013/006721 2012-12-17 2013-07-26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WO201409834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590 2012-12-17
KR1020120147590A KR101502140B1 (ko) 2012-12-17 2012-12-17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8340A1 true WO2014098340A1 (ko) 2014-06-26

Family

ID=5097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721 WO2014098340A1 (ko) 2012-12-17 2013-07-26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2140B1 (ko)
WO (1) WO20140983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11A1 (en) * 2017-05-05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66321B2 (en) 2017-05-05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4271A1 (en) 2016-10-07 2022-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72B1 (ko) * 2009-01-02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임의접속 수행 기법
KR20100041642A (ko) *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방법
KR20100090632A (ko) * 2009-02-06 2010-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Ndi를 이용한 임의접속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120023511A (ko) * 2010-09-03 2012-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에서의 임의 접속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20132284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930A1 (en) * 2006-06-21 2007-1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to transmit downlink signaling message on cellular systems for packet transmission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mess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642A (ko) *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방법
KR100949972B1 (ko) * 2009-01-02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임의접속 수행 기법
KR20100090632A (ko) * 2009-02-06 2010-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Ndi를 이용한 임의접속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120023511A (ko) * 2010-09-03 2012-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에서의 임의 접속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20132284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11A1 (en) * 2017-05-05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66321B2 (en) 2017-05-05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330A (ko) 2014-06-25
KR101502140B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5287A1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30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lexible ue bandwidth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WO2010143846A2 (ko) 반송파 조합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임의접속 방법
WO20200326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for unlicensed operation
WO2010126245A2 (en) Rach-specific informaiton transmiss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82385A1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기기
WO2016153254A1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
WO20131475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203969A1 (ja) 通信装置及び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
WO2011046377A2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WO2016108672A1 (ko) 다중 사용자 상향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WO2011049360A2 (ko) 무선랜에서 그룹 주소 할당 방법, 복수 단말들과의 응답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전송방법, 상기 그룹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WO2020147130A1 (zh) 随机接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614845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호출 방법 및 장치
WO2012141524A2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셀 재선택 방법
US11812478B2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WO201703938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26824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nav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테이션 장치
WO2018159992A1 (ko) 동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충돌 회피 방법
WO2019194603A1 (ko) 비면허 대역에서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36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at mobile station in sleep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98340A1 (ko) 임의 접속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WO2019151832A1 (ko) 비면허 대역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23079A1 (ko) 가상 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방법 및 장치
WO2016208933A1 (ko) 비면허 대역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45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9.09.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645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