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0828A1 - 애완동물 배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0828A1
WO2014030828A1 PCT/KR2013/004361 KR2013004361W WO2014030828A1 WO 2014030828 A1 WO2014030828 A1 WO 2014030828A1 KR 2013004361 W KR2013004361 W KR 2013004361W WO 2014030828 A1 WO2014030828 A1 WO 20140308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t
open
toilet
bowel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3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우정
Original Assignee
Lee Uje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Ujeong filed Critical Lee Ujeong
Publication of WO20140308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08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gienic and easy to clean pet toilet.
  • Pet lovers have a lot of inconvenience in handling their bowel movements.
  • animal enthusiasts generally use pet cages because such bowel processing is directly linked to cleanliness and hygien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et toilet, as well as having a structure that is made integrally and the feces of the pet fall naturally stacked on the feces tray.
  • the upper surface is open and the interior is reinforc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the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the lower body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 a bowel portion which is open at a central portion and is formed to be gently inclin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opened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of the body portion;
  • a bowel tra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one side opening of the body part; It can be achieved by a pet toilet bowl consisting of a cradl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wall of the body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of the open central portion of the bowel movement is bent vertically downward.
  • the body portion and the bowe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t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e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t toilet 500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0, bowel movements 30, bowel movement tray 50, the cradle 70 and the pedestal 90 have.
  • the pet toilet (100) is most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be removed by cleaning the feces of the pet.
  • the body portion 10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 the body portion 10 is reinforced by the vertical partition 11, the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bowel tray 50 is detachably inserted.
  • the body 10 has a lower surface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and the bowel tray 5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edge 13.
  • the bowel movement 30 is a gently curved inclined surface with a central portion opened, and more particularly, a bowed portion inclined gently toward an open central portion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5 of the body portion 10. .
  • the bowel movement portion 30 is formed to be collected in the bowel tray 50 along the slope of the pet urine 200 falls gently bent gently.
  • the bowel portion 30 is the open edge 31 of the center portion is bent vertically downward so that the feces 200 of the pet fall smoothly, and together with this guide function of the bowel tray 50 do.
  • the bowel tray 50 is a vertical bulkhead 11 formed in the closest portion of the ope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he lower edge 13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bowel movement described above Guid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edge 31 of the portion 30 is detached.
  • the bowel tray 50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 a handl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wel tray 50.
  • the cradle 70 is a member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wall 15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pet cage 300 can be seated.
  • the cradle 70 is known in advance that it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shapes so that the pet cage 300 can be stably seated.
  • the holder 70 may be integrally formed along the vertical wall 15 of the body portion 10, as shown in FIG.
  • the cradle 70 may seat the pet cage 300 more stably than the hard cradle 70 is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or silicon material.
  • reference numeral 400 is a rabbit.
  • Pedestal 9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 Pet toilet (1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typically shown in Figure 3, the pet cage 300 is most preferably used is seated on the rabbit 400 is the pet cage 300 When breeding is seen in the urine feces down the cage 300 of the network structure, the pet urine 200 is eventually collected in the bowel tray 50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wel movements (30).
  • the pet lover removes the bowel tray 50 and cleans the water, and then puts the pet toilet bowl 100 on the toilet bowl and washes the toilet 30 with a shower, dirty dirt falls into the toilet bowl.
  • the pet toilet (100) is to be cleaned with water and dried after inserting the bowel tray 50 after drying, the waste in the toilet is dumped into the septic ta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변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보강된 구조로써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몸체부와; 중심 부분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수직벽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된 상기 중심 부분을 향하여 완만하게 만곡 경사지도록 형성된 배변부와;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써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개구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삽입된 배변 트레이와; 상기 몸체부의 수직벽 상단에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된 거치대로 구성됨으로써, 배변기의 배변 트레이를 제거한 상태에서 양변기에 올려놓고 간단한 물청소가 가능하고, 애완동물의 대소변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애완동물의 대소변 처리가 용이하여 청결과 위생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기
본 발명은 위생적이며 청소가 용이한 애완동물 배변기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 애호가들은 애완동물을 키움에 있어 배변 처리에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특히, 이러한 배변 처리는 청결과 위생에 직결되기 때문에 동물 애호가들은 일반적으로 애완동물 케이지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동물 케이지는 배변판이 넓어 청소시 두 손으로 들어올려야 되며 이 때 두 손에 오물이 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배변판의 이동시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오물이 쏟아지거나 흐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애완동물의 대변이 자연적으로 대변 트레이에 낙하되어 쌓이는 구조를 갖음은 물론, 물청소가 간단한 애완동물 배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보강된 구조로써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몸체부와; 중심 부분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수직벽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된 상기 중심 부분을 향하여 완만하게 만곡 경사지도록 형성된 배변부와;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써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개구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삽입된 배변 트레이와; 상기 몸체부의 수직벽 상단에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된 거치대로 구성된 애완동물 배변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배변부의 개구된 중심 부분의 가장자리가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변 트레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 배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배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몸체부(10), 배변부(30), 배변 트레이(50), 거치대(70) 및 받침대(9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의 대소변을 물청소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몸체부(10)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다.
여기서, 몸체부(10)는 수직 격벽(11)에 의해 내부가 보강되어 있으며, 일측면이 배변 트레이(50)가 탈착가능하게 삽설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는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개방된 가장자리(13)의 상부면에 배변 트레이(50)가 안착, 지지되어 있다.
배변부(30)는 중심 부분이 개구된 완만하게 만곡된 경사면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10)의 수직벽(15)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완만하게 만곡 경사진 부분이다.
여기서, 배변부(30)는 애완동물의 대소변(200)이 낙하되어 완만하게 만곡된 경사면을 따라 배변 트레이(50)에 포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변부(30)는 중심 부분의 개구된 가장자리(31)가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애완동물의 대소변(200)이 원활하게 낙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배변 트레이(50)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변 트레이(50)는 몸체부(10)의 개구된 일측면의 최인접부에 형성된 수직 격벽(11)과, 몸체부(10)의 하부 가장자리(13) 그리고, 전술된 배변부(30)의 가장자리(3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안내되어 탈착된다.
배변 트레이(50)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다.
그리고, 배변 트레이(50)의 일측면에는 손잡이가 취부되어 있다.
거치대(70)는 애완동물 케이지(3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수직벽(15) 상단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여기서, 거치대(70)는 애완동물 케이지(300)를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거치대(7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수직벽(15)을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다수의 분할될 수 있다.
더욱이, 거치대(70)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보다는 연질의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안정되게 애완동물 케이지(3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00은 토끼이다.
받침대(90)는 몸체부(10)의 하부면에 취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통상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 케이지(300)가 위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토끼(400)가 애완동물 케이지(300)에서 사육되면서 대소변을 보게 되면 망체 구조의 케이지(300)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결국 애완동물의 대소변(200)은 배변부(30)의 경사면을 따라 배변 트레이(50)에 포집된다.
그런 다음, 애완동물 애호가가 배변 트레이(50)를 탈거하여 물청소하고, 이어서 애완동물 배변기(100)를 양변기 위에 올려놓고 샤워기로 배변부(30)에 물청소하면 더러운 오물들은 양변기 속으로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애완동물 배변기(100)는 깨끗하게 물청소되고 건조후 배변 트레이(50)를 삽입하여 재사용하면 되고, 양변기 속의 오물은 정화조로 투기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Claims (1)

  1.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보강된 구조로써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몸체부와;
    중심 부분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수직벽의 내측면으로부터 개구된 상기 중심 부분을 향하여 완만하게 만곡 경사지도록 형성된 배변부와;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써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개구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삽입된 배변 트레이와;
    상기 몸체부의 수직벽 상단에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된 애완동물 케이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배변부의 개구된 중심 부분의 가장자리가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배변 트레이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
PCT/KR2013/004361 2012-08-23 2013-05-16 애완동물 배변기 WO20140308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098A KR101249524B1 (ko) 2012-08-23 2012-08-23 애완동물 배변기
KR10-2012-0092098 2012-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828A1 true WO2014030828A1 (ko) 2014-02-27

Family

ID=4844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361 WO2014030828A1 (ko) 2012-08-23 2013-05-16 애완동물 배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9524B1 (ko)
WO (1) WO2014030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69B1 (ko) * 2016-04-05 2017-01-04 이우정 창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케이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030A (ja) * 2002-07-16 2004-02-19 Unicharm Petcare Corp ペット用トイレ
JP3128072U (ja) * 2006-04-14 2006-12-28 有限会社メガ 4点着脱式室内雌犬、猫用尿処理器
KR20080079433A (ko) * 2007-02-27 2008-09-01 백승필 가축의 분과 뇨의 분리 기능이 있는 축사
JP2012100577A (ja) * 2010-11-09 2012-05-31 Kao Corp ペット用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7835A (en) * 1990-12-21 1993-07-13 Eastman Kodak Company Teachable camera
JP2002142597A (ja) * 2000-11-16 2002-05-21 Inax Corp ペット用トイ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030A (ja) * 2002-07-16 2004-02-19 Unicharm Petcare Corp ペット用トイレ
JP3128072U (ja) * 2006-04-14 2006-12-28 有限会社メガ 4点着脱式室内雌犬、猫用尿処理器
KR20080079433A (ko) * 2007-02-27 2008-09-01 백승필 가축의 분과 뇨의 분리 기능이 있는 축사
JP2012100577A (ja) * 2010-11-09 2012-05-31 Kao Corp ペット用トイ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524B1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7182A (en) Pet toilet
AU2010273582A1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WO2016204532A1 (ko)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20170034743A (ko) 애완동물용 배변 수거장치
KR100936964B1 (ko) 수족관
JP3142669U (ja) 動物飼育用ケージ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WO2014030828A1 (ko) 애완동물 배변기
CN104585061B (zh) 一种无伤害自动清粪猪厕所
Miyagawa-Kohshima et al. Embryonic learning of chemical cues via the parents' host in anemonefish (Amphiprion ocellaris)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1777674B1 (ko) 해삼 양식용 하우스
CN203206914U (zh) 方便使用的鸟笼
WO2011004926A1 (ko) 가금류 사육장
CN210642005U (zh) 一种便于清理的水产品养殖设备
CN211430637U (zh) 立体式蟹公寓
CN209330861U (zh) 一种改进的仔母兔笼
CN204174686U (zh) 一种止溅水节水防臭的大便器存水弯附加器
ITTO20011046A1 (it) Gabbia per l'allevamento di galline ovaiole provvista di una lettieraper razzolare e becchettare.
CN219352758U (zh) 一种便于拾取鸡蛋的鸡舍
CN210432598U (zh) 一种猫砂盆
CN210143607U (zh) 一种便于黑水虻幼虫快速收集的黑水虻养殖装置
KR102728984B1 (ko) 축사 슬러리 피트 안개 분무 장치
KR200327405Y1 (ko) 항만의 부유 쓰레기 수거겸용 어소블럭
CN207948515U (zh) 便于清洁和喂食的犬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302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302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