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25081A1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25081A1
WO2014025081A1 PCT/KR2012/006546 KR2012006546W WO2014025081A1 WO 2014025081 A1 WO2014025081 A1 WO 2014025081A1 KR 2012006546 W KR2012006546 W KR 2012006546W WO 2014025081 A1 WO2014025081 A1 WO 20140250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haft
dental implant
hole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5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Kim Hyeong W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Hyeong Woo filed Critical Kim Hyeong Woo
Publication of WO20140250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250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Definitio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can be firmly supported against the lateral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implant by reinforc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leg connecting the abutment to the fixture, Dispersing the external pressure more effectively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ixture can maximize the shock buffer effect, easy to perform the procedure, and durability is greatly extended to provide a dental implant that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implant.
  •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s the fastening shaft is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e shaft hole of the fixed body forms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per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structure of the fastening shaft to Provided is a dental implant that facilitates insertion of a fastening shaft into a shaft hol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incisions are formed on a fastening shaft in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butment column includes a lower fastening shaft 122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112 of the fixing body 110 and coupled to the fixing body 110, and an upper mounting portion 124 on which the prosthesis is mounted. 120).
  • the auxiliary recess 170 may reduce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fastening shaft 122 so that when the lower fastening shaft 122 of the abutment 120 is coupled to the shaft hole 112 of the fixing body 110, the fastening shaft ( The bending groove 164 or the fastening protrusion 162 of the fastening shaft 122 is more easi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52 or the fastening groove 154 of the fixing body 110 and the shaft hole 112 so that the bending of the diameter 122 is more easily performed. Make it easy to combine them.
  • a plurality of auxiliary incision 180 is formed on the fastening shaft 122 and the lower fastening shaft 122 of the abutment 120 It can be easily coupled at the time of coupling the shaft hole 112 of the fixture 110.
  • the auxiliary cutouts 180 may also reduce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fastening shaft 122 similarly to the auxiliary recess 170 to more easily bend the fastening shaft 122.
  •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dispers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butment 120 to remarkably structurally reinforce the connection portion 122 of the abutment shaft 120 of the abutment 120 and consequently to the lateral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implant 100. It can be firmly supported against the connection portion 122 of the fastening shaft 122 is greatly extended, can greatly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implant 100, and can prevent damage or destruction of the jawbone by external pressure concentrated in one place ha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가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외압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체 전체면에 분산시켜 충격 완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시술하기 쉬우며,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어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과,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지대주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지대주의 체결축 연결 부분을 현저히 구조적으로 보강시키고,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서 체결축 연결부분의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며,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본 발명은 인공치아에 관련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치아가 측방향의 외압에 의한 충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으며, 시술하기 쉬우며,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어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고정체를 턱뼈에 심어 소정기간 동안 턱뼈와 융합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체결부재와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을 고정함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적인 시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턱뼈에 식립(植立)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부 축공에 지대주의 체결부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나사식 결합 방식은 하부구조인 고정체와, 상부구조인 지대주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나사풀림, 나사파절, 보철물의 비심미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8368호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축공(12)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10)와, 하부에 상기 축공(12)에 삽입되는 형상기억합금의 체결레그(22)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레그(22)를 통해 상기 고정체(10)와 연결시켜 음식물을 씹을 수 있게 하는 지대주(20)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고정체(10)의 체결홈(14)과 지대주(20)의 체결돌기(24)가 암수 간에 상보적(相補的)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나사의 풀림현상이나 나사의 파열현상을 방지하고, 보철물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횡방향의 외압(P)이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경우, 지대주(20)로부터 연장된 체결레그(22)의 연결부위(C)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균열 또는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체로부터 체결레그가 이탈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즉, 형상기억합금의 체결레그(22)는 고정체(10)와의 탄력적인 결합을 위하여 그 두께를 두껍게 제작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측방향의 외압이 임플란트(1)에 가해지면, 반복되는 피로하중으로 인하여 지대주(20)의 체결레그(22) 연결부분(C)에서 급속하게 균열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지대주(20)는 고정체(10)로부터 파단 분리되어 탈락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내구성과 사용 수명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인 측방향의 외압으로 인해 체결레그의 체결부위가 고정체의 체결부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강한 측방향의 외압이 가해졌을 때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체결레그 타입은 보다 더 효과적인 충격 완화를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대주를 고정체에 연결시키는 체결레그의 구조를 보강시켜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가해지는 외압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고정체 전체면에 분산시켜 충격 완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시술이 쉬우며,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어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과,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절개부를 포함하는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의 외부면 중 수평관통홀이 위치하는 충격 완충부 외주면에는 체결 홈 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이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이 형성되어, 체결축이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은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홀은 상기 체결축의 단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은 체결축의 테이퍼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퍼 구조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로 체결축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과 고정체와의 체결작동시 체결축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는 적어도 하나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축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에는 고무(rubber) 재질의 탄성체가 채워져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의 축공에 지대주를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축은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지대주를 고정체에 연결시키는 구조에서, 기존의 레그 구조와는 다르게, 체결축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지대주의 체결축 연결 부분을 현저히 구조적으로 보강시키고, 결과적으로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외압 내지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체 전체면에 분산시킬 수 있어서 턱뼈의 손상 및 파괴를 방지하고, 체결축 연결부분의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며, 임플란트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축에 형성된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 또는 보조 절개부를 형성하여 단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체결축과 고정체와의 체결작동시, 탄면 축소에 따른 체결축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체의 축공에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을 단순히 삽입시키면 쉽게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치과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결레그 구조에서 레그에 균열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된 수평관통홀이 다양한 구조 및 갯수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축에는 체결 홈이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체결 돌기가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지대주의 체결축에는 체결 돌기가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체결 홈이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과 축공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과 축공이 테이퍼형 구조로 이루어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의 하부에 보조 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의 상,하부에 보조 요홈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축에 보조 절개 부를 다수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결합되기 직전에 체결축이 수평관통홀측으로 휘어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10: 고정체
12: 축공 14: 체결홈
20: 지대주 24: 체결돌기
22: 체결레그 100: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110: 고정체 112: 축공
114: 가이드 홀 120: 지대주
122: 체결축 122a: 폐쇄 단부
124: 장착부 140: 충격 완충부
142: 수평관통홀 152,162: 체결 돌기
154,164: 체결 홈 170: 보조 요홈
180: 보조 절개부 A: 원통형의 구조
B: 테이퍼형 구조 C: 연결부위
P: 외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 2에 분해 조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축공(112)을 형성하고 내부에 가이드 홀(114)이 형성되어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1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110)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122)과,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124)로 이루어진 지대주(12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고정체(110)와 지대주(120)는 그 전체가 바람직하게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적어도 지대주(120)의 체결축(122)이 부분적으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면 바람직하다.
즉, 지대주(120)에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은 통상적인 당업계에서 알려진 합금재료으로서, 원하는 모양을 기억하고 있다가 적정한 온도가 되면 그 모양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는 자기회복성 구성물질의 일종인 합금을 말한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에는 Ti-Ni계 합금 및 Cu-Zn-Al계 합금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122)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142)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축(122)은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122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충격 완충부(140)의 수평관통홀(142)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122)에 하나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2개 형성되거나,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122)의 단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3 내지 4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관통홀(142)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140)는 체결축(122) 상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통홀(142)의 형상은 그 단면에서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충격 완충부(140)의 수평관통홀(14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의 체결축(122) 상하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122) 상부의 상부 장착부(124)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관통홀(142)에는 고무(rubber) 재질의 탄성체(미 도시)가 추가적으로 채워져서 보조적 탄성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축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은 물론이고, 원통형과 다각형이 혼합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고정체(110)의 축공(112) 내주면에 체결 돌기(152) 또는 체결 홈(15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축(122)의 외부면에는 체결 돌기(162) 또는 체결 홈(164)이 형성되어 체결축(122)이 축공(112)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축(122)의 외부면에 형성된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돌기(162)와, 상기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돌기(162)에 대응되는 축공(112) 내주면의 체결 돌기(152) 또는 체결 홈(154)들은 상호 작용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10)와 체결축(122) 간의 체결 수단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122)의 외부면에 체결 홈(164)이 형성되면, 축공(112) 내주면에는 체결 돌기(152)가 형성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축(122)의 외부면에 체결 돌기(162)가 형성되면, 축공(112) 내주면에는 체결 홈(154)이 형성되어 상호 작용하여 체결 수단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홈(154,164)은 각각 링 형상의 오목한 구조이고, 상기 체결 돌기(152,162)들은 각각 링 형상의 볼록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체결축(122)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일정한 원기둥, 다각형 기둥, 원통형의 구조(A)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테이퍼형 원기둥, 다각형 기둥 또는 원기둥과 다각형이 혼합된 기둥 구조(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퍼형 구조(B)에서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은 체결축(122)의 테이퍼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퍼 구조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 내로 체결축(12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축(122)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162) 또는 체결 홈(164)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170)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122)과 고정체(110)와의 체결작동시, 체결축(122)의 탄성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 홈(164)의 하부에 보조 요홈(170)을 형성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122)의 체결 홈(164)의 상,하부에 모두 보조 요홈(17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요홈(170)은 상기 체결축(122)의 단면 두께를 축소시킴으로써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122)이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결합되는 경우, 체결축(122)의 직경이 축소되는 휘어짐을 더욱 쉽게 하여 체결축(122)의 체결 홈(164) 또는 체결 돌기(162)가 고정체(110) 축공(112)의 체결 돌기(152) 또는 체결 홈(154)들에 쉽게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요홈(170)과는 다르게 다수의 보조 절개부(180)를 체결축(122)에 형성하여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122)과 고정체(110)의 축공(112)의 결합시에 쉽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절개부(180)들도 보조 요홈(170)과 유사하게 체결축(122)의 단면 두께를 축소시켜서 체결축(122)의 휘어짐을 더욱 쉽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환자의 턱뼈에 고정체(110)를 종래와 같이 식립(植立)하고, 상기 고정체(110)의 축공(112)에는 지대주(120)의 체결축(122)을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지대주(120)의 체결축(122)을 삽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112) 내부에 형성된 체결 돌기(152)에 의해서 지대주(120)의 체결축(122) 외주면이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충격 완충부(140)의 수평관통홀(142)은 체결축(122)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축공(112)의 체결 돌기(152)에 체결축(122)의 체결 홈(164)이 일치하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축(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체결 홈(164)과 체결 돌기(152)는 서로 결합되고, 지대주(120)와 고정체(110) 사이에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지대주(120)를 결합시키는 구조에서 지대주(120)의 하부 체결축(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142)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축(122)은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122a)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대주(120)를 고정체(110)에 연결시키는 구조에서, 기존의 레그 구조와는 다르게, 체결축(122)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122a)를 형성하기 때문에, 체결축(122)에 가해지는 외력은 일체로 연결된 체결축(122)의 전체를 통하여 분산되고, 종래의 레그 구조와는 달리 외력 하중이 체결축(122)의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대주(120)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지대주(120)의 체결축(122) 연결 부분을 현저히 구조적으로 보강시키고, 결과적으로 임플란트(100)에 가해지는 측방향의 외압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서 체결축(122)의 연결부분 내구성이 크게 연장되며, 임플란트(100)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으며, 한곳에 집중되는 외압에 의한 턱뼈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축(122)에 형성된 체결 돌기(162) 또는 체결 홈(164)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170) 또는 보조 절개부(180)를 형성하여 단면을 축소시키고, 상기 체결축(122)과 고정체(110)와의 체결작동시, 탄면 축소에 따른 체결축(122)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체(110)의 축공(112)에 지대주(120)의 체결축(122)을 단순히 삽입시키면 쉽게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치과에서 임플란트(100) 시술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9)

  1. 상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축과, 보철물이 장착되는 상부 장착부로 이루어진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하부 체결축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의 충격 완충부 외주면에는 체결 홈 또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그 체결축이 결합되는 고정체의 축공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이 형성되어, 체결축이 축공에 결합될 경우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은 그 하단이 봉 또는 관(tube) 형상의 폐쇄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관통홀은 상기 체결축의 단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축공은 체결축의 테이퍼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퍼 구조의 내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의 축공 내로 체결축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에 형성된 체결 돌기 또는 체결 홈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보조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과 고정체와의 체결작동시 체결축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는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축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통홀에는 고무(rubber) 재질의 탄성체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PCT/KR2012/006546 2012-08-06 2012-08-17 치과용 임플란트 WO20140250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745 2012-08-06
KR10-2012-0085745 2012-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5081A1 true WO2014025081A1 (ko) 2014-02-13

Family

ID=5006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546 WO2014025081A1 (ko) 2012-08-06 2012-08-17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250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69B1 (ko) 2015-01-21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EP3375404A1 (de) * 2017-03-17 2018-09-19 Camlog Biotechnologies GmbH Sekundärteil für ein dentalimplantat und dentales implantatset
US11925527B2 (en) * 2017-09-12 2024-03-12 Carlos M. Valverde Dental implant device and techniq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51A (ja) * 1991-02-26 1993-07-02 Lion Corp 人工歯根
KR100632384B1 (ko) * 2005-03-04 2006-10-12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0668368B1 (ko) * 2005-09-16 2007-0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79450B1 (ko) * 2002-11-13 2010-09-02 바이오메트 쓰리아이 엘엘씨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10139577A (ko) * 2010-06-23 2011-12-29 김형우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51A (ja) * 1991-02-26 1993-07-02 Lion Corp 人工歯根
KR100979450B1 (ko) * 2002-11-13 2010-09-02 바이오메트 쓰리아이 엘엘씨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0632384B1 (ko) * 2005-03-04 2006-10-12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0668368B1 (ko) * 2005-09-16 2007-0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KR20110139577A (ko) * 2010-06-23 2011-12-29 김형우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69B1 (ko) 2015-01-21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EP3375404A1 (de) * 2017-03-17 2018-09-19 Camlog Biotechnologies GmbH Sekundärteil für ein dentalimplantat und dentales implantatset
WO2018167124A1 (de) * 2017-03-17 2018-09-20 Camlog Biotechnologies Gmbh Sekundärteil für ein dentalimplantat und dentales implantatset
US11925527B2 (en) * 2017-09-12 2024-03-12 Carlos M. Valverde Dental implant device and techn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5539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7204479A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15093673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5099237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20179958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5105227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22124667A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WO2013125924A1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WO2022085865A1 (ko)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WO2014025081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1078475A2 (en) Dental implant having plate
WO2022098112A1 (ko) 덴쳐용 어태치먼트
WO2012046888A1 (ko)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WO2021215851A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GB2364917A (en) Prosthetic device for intraosseous dental implants
WO2022124666A1 (ko)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WO2015068945A1 (ko) 스파이크 고정형 임플란트 및 이의 식립방법
WO2014035084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8131974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1027975A2 (en) Dental implant assembly having settlement-preventing step
WO2012036395A2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13122401A1 (ko) 척추 고정용 장치
WO2018131973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5023014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22231182A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25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6/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25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