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25856A1 -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same - Google Patents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25856A1
WO2013125856A1 PCT/KR2013/001341 KR2013001341W WO2013125856A1 WO 2013125856 A1 WO2013125856 A1 WO 2013125856A1 KR 2013001341 W KR2013001341 W KR 2013001341W WO 2013125856 A1 WO2013125856 A1 WO 20131258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ngth
post
frame
connection point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341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신재기
Original Assignee
Shin Jae-K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hin Jae-Ki filed Critical Shin Jae-Ki
Publication of WO20131258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258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Abstract

Disclosed are a collapsible canopy frame for easy building and storage while collapsed to minimize the volume thereof, and a canopy using same. The collapsible canopy frame is provided with two long posts, two short posts disposed relatively low, and x-shape connecting frames folded therebetween. The volume of the collapsible canopy frame when wholly collapsed is minimized by varying the length of ends of the connecting frames connected to and between the posts having different heights. Accordingly, the same collapsing method being used for all connecting frames connected to the posts makes building and storage convenient. Also, the canopy having the collapsible canopy frame coupled to a tent is convenient to use, since slopes are formed on the tent, thereby allowing rainwater to run down only to the side of the short posts in case of rain.

Description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Folding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관한 것으로, 접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anopy frame, to a folding canopy frame and a canopy using the same to minimize the volume in the folded state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storage.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그늘막 또는 텐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접었을 때 그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이동과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The folding canopy frame has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movement and installation by reducing its volume when folded as a frame for supporting a shade film or a tent.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다수개의 포스트(Post)와 각각의 포스트에 X자 형태로 연결된 접철 가능한 연결 프레임에 의하여 천막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막 상부로 비가 고이거나,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막 중앙부가 외곽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collapsible canopy frame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tent by a plurality of posts and a collapsible connecting frame connected in X-shape to each post. In addition, the t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tent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in order to prevent rain or snow accumula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nt.
종래에는 천막 중앙부가 외곽 부분보다 높게 형성하기 위하여 1) 각각의 포스트로부터 천막 중앙부로 X자 형태의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고, 천막 중앙부의 연결 프레임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 또는 2) 각각의 포스트로부터 천막 중앙부로 신축성 부재를 연결하는 아치형 폴을 갖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form the tent center portion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1) connecting the X-shaped connecting frame from each post to the tent center portion, and having a central vertical support vertically upwar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of the tent portion 2) It had a structure with an arcuate pole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from each post to the tent center.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로는, 미국 공개 특허 2006/0070649, 미국 특허 7,240,686, 미국 특허 7,360,549, 한국 특허 제10-0679741호, 제10-109566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 특허들은 공통적으로 천막 중앙에 설치된 수직 지지대의 무게로 인하여 천막의 처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막의 중앙부로부터 외곽부 전체로 균일하게 경사가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이 천막의 테두리 전체로 흘러내리게 되어 사람의 출입시 낙수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캐노피 프레임을 건물의 실내를 확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건물과 캐노피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 낙수가 발생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다.As a structure having a central vertical support, US Patent Publication 2006/0070649, US Patent 7,240,686, US Patent 7,360,549, Korean Patent No. 10-0679741, 10-1095662 and the like are known. However, the above patents have a problem in that the tent sagging occurs due to the weight of the vertical suppor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tent in common. In addition, since the inclination is formed uniformly from the center of the tent to the entire outer portion, rain water flows down the entire edge of the tent during rainy weather, and there is inconvenience due to falling down when a person enters and exits.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canopy frame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t wa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falling water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uilding and the canopy frame.
아치형 폴을 갖는 구조로는, 미국 특허 5,632,293호, 일본공개특허 2003-227249, 미국 특허 6,666,223, 미국 공개 특허 2006/0162759 등이 알려져 있다. 위 특허에 의하면, 상술한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와 달리 천막의 처짐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아치형 폴은 각각의 포스트에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접철 방식이 달라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상술한 중앙 수직 지지대를 갖는 구조와 마찬가지로, 우천시 천막의 중앙부로부터 외곽부 전체로 빗물이 흘러내리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As a structure having an arcuate pole, U.S. Patent 5,632,293, JP 2003-227249, U.S. Patent 6,666,223, U.S. Patent Publication 2006/0162759, and the like are known.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unlike the structure having the center vertical support described above, the sag of the tent does not occur. However, the arched pole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folding frame installed on each post. In addition, as in the structure having the central vertical support described above, there still remained a problem that rain water flows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tent to the entire outer portion during rainy weath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포스트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의 접철 방법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며,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는 천막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이 일측 경사면으로만 흘러내리도록 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캐노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store by configuring the folding frame of the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all the posts in the same wa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n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rainwater rain on one sid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lding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the same to flow down onl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은,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동 브라켓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인접한 롱 포스트와 상기 롱 포스트보다 낮게 설치되는 2개의 숏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포스트; 및 인접한 상기 포스트 각각의 사이에,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The folding canopy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installed lower than the two adjacent long post and the long post, each having a fixed bracket fixed to the upper end and a movable bracket sliding up and down under the fixed bracket A post consisting of two short post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between each of the adjacent posts, the two rods being connected at an intersection in an X-shape; Including,
상기 연결 프레임은,The connecting frame,
상기 롱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a)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b)보다 길고, 상기 숏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c)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d)보다 짧도록 구성된다.From the intersection connection point adjacent to the long post, the length a to the fixing bracket connection point is longer than the length b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and from the intersection connection point adjacent to the short post, the fixing bracket connection point The length c until is shorter than the length d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바람직하게, 상기 롱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롱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e)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e)가 같고, 그 길이의 합(2e)이, 상기 길이(a)와 상기 길이(b)의 합과 동일하고,Preferably, the connecting frame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s has the same length e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intersection adjacent to each long post to the fixed bracket connection point and the length e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The sum 2e of the lengths is equal to the sum of the length a and the length b,
상기 숏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숏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f)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f)가 같고, 그 길이의 합(2f)이, 상기 길이(c)와 상기 길이(d)의 합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ing frame connected between the short posts has a length f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intersection adjacent to each short post to a fixed bracket connection point and a length f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The sum 2f is configured to be equal to the sum of the length c and the length d.
바람직하게, 상기 롱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 양단부와, 상기 숏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 양단부 사이에 연결핀에 의해 X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중간 연결 프레임; 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an X-shape by a connecting pin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frame between the long post and the connecting frame between the short post; It includes more.
바람직하게, 상기 롱 포스트와 상기 숏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 양단부와, 마주하는 다른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핀에 의해 X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중간 연결 프레임; 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s continuously connected in an X-shape by connecting pins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frame between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and opposite ends of each of the other connecting frames facing each other; It includes more.
바람직하게, 상기 롱 포스트와 상기 숏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은,Preferably, the connection frame between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상기 롱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와 고정 브라켓 사이 또는 상기 교차부와 가동 브라켓 사이의 중간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길이 조절부재가 구비되고,A length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an intersection portion adjacent to the long post and a fixing bracket or between an intersection portion and a movable bracket;
상기 숏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와 고정 브라켓 사이 또는 상기 교차부와 가동 브라켓 사이의 중간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길이 조절부재가 구비된다.A length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an intersection portion adjacent to the short post and a fixing bracket or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intersection portion and the movable bracket.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 브라켓은, 제1 가동 브라켓과 그 상부 또는 하부의 제2 가동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동 브라켓은, 상기 롱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과 상기 숏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 브라켓은, 상기 롱 포스트와 상기 숏 포스트 각각의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에 연결된다.Preferably, the movable bracket comprises a first movable bracket and a second movable bracket above or below the first movable bracket, and the first movable bracket includes a connecting frame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And the second movable bracket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frame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을 이용한 캐노피는, 상술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상부에 천막이 결합되는 캐노피에 있어서, 상기 천막은, 상부의 경사면부; 상기 경사면부 둘레의 수직 하방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상기 경사면부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테두리부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 내측으로 접혀져 탈부착되는 빗물 받이부; 및 우천시 상기 빗물 받이부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빗물 받이부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탈부착되는 2개 이상의 형상 유지부재; 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nopy using a folding canopy frame for solving the 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nopy is a tent coupled to the above-mentioned folding canopy frame, the ten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An edge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rou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 rainwater receiv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folded into the edge portion to be detachable; And two or more shape retaining members connected to a bottom of the rain gutter part to be detachable from the inclined surface part or the edge part so as to maintain the rain gutter part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during rain. It includes.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 상기 빗물 받이부 양단 하부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형상 유지부재와, 상기 빗물 받이부 중간 하부에 연결된 1 이상의 중간 형상 유지부재를 포함하되, 우천시 빗물이 일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제1, 제2형상 유지부재 및 상기 중간 형상 유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shape retaining member includes first and second shape retaining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bottom portions of the rain catch, and at least one intermediate shape retaining member connected to the middle lower portion of the rain catch, where rainwater is one direction. Or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hape hold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shape holding member to drain in both directions.
본 발명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와 이를 이용한 캐노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olding canopy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nopy using the same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천막 중앙부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중앙 수직 지지대가 없으므로 하중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의 중앙부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since there is no separate vertical vertical support for raising the tent cent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ral sag of the canopy frame due to the load.
둘째, 모든 포스트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의 접철 방식이 동일하므로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만으로 보관 및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Second, because the folding frame of the connection frame is coupled to all posts are the same,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be stored and installed only by folding and unfolding.
셋째, 캐노피 프레임 전체를 펼쳤을 때, 롱 포스트가 설치된 측면이 숏 포스트가 설치된 측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빗물이 숏 포스트 측면으로만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우천시에도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건물의 실내 공간 확장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건물과 캐노피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서의 낙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when the entire canopy frame is unfolded, the side on which the long post is installed is formed higher than the side on which the short post is installed, so that rainwater flows only to the side of the short post,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even in rainy weather. In particular, when used to exp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falling water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uilding and the canopy frame.
넷째, 숏 포스트 측면에 빗물 받이부를 부가함으로써 빗물을 포스트가 설치된 부분으로만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우천시 사용이 편리하다.Fourth, by adding a rain gutter on the side of the short post to allow the rain water to flow only to the portion where the post is installed, it is convenient for use in rainy wea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anop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포스트에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도.2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post.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도면.3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A of FIG.
도 4는 도 3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FIG.
도 5는 도 1의 B 방향에서 본 도면.5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B of FIG. 1;
도 6은 도 5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anopy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노피 프레임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anopy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에 천막이 결합된 캐노피를 나타내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canopy in which the tent is coupled to the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서 빗물 받이부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FIG. 10 is a view showing a usage sequence of the rain gutter part in FIG. 9;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canopy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2개의 롱 포스트(100, 200)와 2개의 숏 포스트(300, 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wo long posts 100 and 200 and two short posts 300 and 40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re provided.
숏 포스트(300, 400)는 롱 포스트(100, 200)보다 낮게 설치되도록 각각의 포스트(100~400) 하부에는 포스트 길이 조절부재(102, 202, 302, 402)가 설치된다.The short posts 300 and 400 are provided with post length adjusting members 102, 202, 302, and 402 under each of the posts 100 to 400 to be installed lower than the long posts 100 and 200.
각각의 포스트(100~400)는 각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10, 210, 310, 410)과, 그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1개의 가동 브라켓(120, 220, 320, 420)이 설치된다. Each post 100 to 400 is provided with fixing brackets 110, 210, 310, and 410 fixed to each upper end, and one movable bracket 120, 220, 320, and 420 moved up and down from the bottom thereof. do.
각각의 포스트(100~400) 사이의 연결 프레임(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은 X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의 고정 브라켓(110, 210, 310, 410), 가동 브라켓(120, 220, 320, 420), 교차부(132, 142, 232, 242, 332, 342, 432, 442) 및 양단부(134, 144, 234, 344)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된다. The connecting frames 130, 140, 230, 240, 330, 340, 430, and 440 between the respective posts 100 to 40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xing brackets 110, 210, 310, 410, movable brackets 120, 220, 320, 420, intersections 132, 142, 232, 242, 332, 342, 432, 442 and both ends 134, 144, 234, 344 by connecting pins Connected.
예컨대, 도 1에서 좌측의 롱 포스트(100)와 숏 포스트(300) 사이의 연결 프레임(130, 330)의 연결 형태를 살펴보면, 롱 포스트(100)의 고정 브라켓(110)과 가동 브라켓(120) 각각에 연결 프레임(130) 일단이 연결핀으로 연결되고, 교차부(132)에서 다시 연결핀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숏 포스트(300)의 고정 브라켓(310)과 가동 브라켓(320) 각각에 다른 연결 프레임(330) 일단이 연결핀으로 연결되고, 교차부(332)에서 다시 연결핀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 프레임(130, 330) 각각의 타단은 같은 위치의 양단부(134)에서 연결핀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방식은 우측의 롱 포스트(200)와 숏 포스트(400) 사이나, 롱 포스트(100, 200) 사이, 숏 포스트(300, 400)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는 우측 숏 포스트(400)에 연결 프레임(430, 440)의 일단이 각각 고정 브라켓(410)과 가동 브라켓(420)에 연결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가동 브라켓(420)은 숏 포스트(400)를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422)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다른 가동 브라켓(120, 220, 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nection form of the connecting frames 130 and 330 between the long post 100 and the short post 300 on the left side, the fixing bracket 110 and the movable bracket 120 of the long post 100 are described. One end of the connecting frame 1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n,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 again at the cross section 132. Similarly, one end of another connecting frame 33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xing bracket 310 and the movable bracket 320 of the short post 300 by a connecting pin, and then connected by a connecting pin again at the intersection 332.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connection frames 130 and 3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s at both ends 134 of the same position. This connection method is equally applied between the long post 200 and the short post 400 on the right side, between the long posts 100 and 200, and between the short posts 300 and 400.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430 or 4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410 and the movable bracket 420 by a connecting pin to the right short post 40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ovable bracket 420 is provided with a stopper 422 so as to slide upward along the short post 400 to maintain a fixed state. This configura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other movable brackets 120, 220, 320.
따라서 각각의 포스트(100, 200, 300, 400)를 중앙으로 모으게 되면, 각각의 연결 프레임(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은 X자 형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변화되어 캐노피 프레임의 전체 크기가 축소된다.Therefore, when each post (100, 200, 300, 400) is collected in the center, each connecting frame (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 is changed from the X-shape to the vertical state This reduces the overall size of the canopy frame.
이때, 롱 포스트(100, 200) 측의 높이가 숏 포스트(300, 400) 측의 높이보다 크므로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130, 230, 330, 430)에 대한 길이 조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는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좌측의 롱 포스트(100)와 숏 포스트(300) 사이에 설치된 연결 프레임(130, 330)에 대하여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of the long post (100, 200) side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hort post (300, 400) sid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for the connection frame (130, 230, 330, 430) installed between each . Since the left and r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frames 130 and 330 provided between the long post 100 and the short post 300 on the left side. do.
롱 포스트(100)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30)의 교차부(132) 연결 지점 즉, 연결핀 위치로부터, 고정 브라켓(11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a)는 가동 브라켓(12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b)보다 길게 구성된다. 그리고 숏 포스트(300)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330)의 교차부(332)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31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c)는 가동 브라켓(32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d)보다 짧게 구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제품 전체를 펼쳤을 때, a 〉b 이고 c 〈 d의 조건(이하, '조건 1'이라 함) 성립되어야 롱 포스트(100) 측으로부터 숏 포스트(300) 측으로 경사가 안정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포스트(100, 200, 300, 400) 사이의 간격이 정해진 상태에서, a와 b의 길이 차이와, c와 d의 길이의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length (a) from the intersection point 132 of the connecting frame 130, that is, the connection pin position of the connecting frame 13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ng post 100, to the fixing bracket 110 connection poin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racket 120. It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b to the point. And the length (c)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intersection portion 332 of the connecting frame 330 to which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ort post 300,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xing bracket 310 is the length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movable bracket 320 ( shorter than d). That is, when the entire product is unfolded as shown in FIG. 3, the condition of a> b and c <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dition 1') must be satisfied to stably stabilize the inclination from the long post 100 side to the short post 300 side. Is formed. 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interval between each post (100, 200, 300, 400) is determined, the desired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a and b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c and d.
한편, 캐노피 프레임 전체를 접었을 때 연결 프레임(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전체 부피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조건(a 〉b이고 c 〈 d) 이외에 다음의 2개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tire canopy frame is folded,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130, 140, 230, 240, 330, 340, 430, and 440 to reduce the overall volume, the above conditions (a> b and c <d) In addition,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shall be satisfied.
먼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 포스트(100, 2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140, 240)은, 각각의 롱 포스트(100, 200)에 인접한 교차부(142, 242)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110, 21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e)와 가동 브라켓(120, 22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e)는 동일하다. 그리고 그 길이의 합(2e)이, 상기 길이(a)와 상기 길이(b)의 합과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First,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connecting frames 140 and 240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s 100 and 200 may have intersections 142 and 242 adjacent to the respective long posts 100 and 200.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length (e) to the fixed bracket (110, 210) connection point and the length (e) to the movable bracket (120, 220) connection point is the same. The sum 2e of the lengths must satisfy the same condition as the sum of the length a and the length b.
다음으로, 마찬가지 방법으로 숏 포스트(300, 4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340, 440)은, 각각의 숏 포스트(300, 400)에 인접한 교차부(342, 442)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310, 41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f)와 가동 브라켓(320, 420)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f)는 같고, 그 길이의 합(2f)이, 상기 길이(c)와 상기 길이(d)의 합과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Next, the connection frames 340 and 440 connected between the short posts 300 and 400 in a similar manner are fixed from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intersections 342 and 442 adjacent to the respective short posts 300 and 400. The length f to the connection point (310, 410) and the length f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movable brackets 320 and 420 are equal, and the sum of the lengths 2f is equal to the length c and the length ( The same conditions as the sum of d) must be satisfied.
즉, 도 4와 같이 제품 전체를 접었을 때, 2e = a + b이고 2f = c + d의 2가지 조건(이하, '조건 2')을 만족하여야 한다.That is, when the entire product is folded as shown in FIG. 4, two conditions of 2e = a + b and 2f = c + d (hereinafter, 'condition 2') must be satisfied.
텐트의 크기가 커지면 그에 따라 천막의 처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롱 포스트(100, 200) 사이의 연결 프레임(140, 240)이 상호 연결되는 양단부(144)와, 숏 포스트(300, 400) 사이의 연결 프레임(340, 440)이 상호 연결되는 맞은편 양단부(344) 사이에는, 각각의 연결 프레임(140, 240, 340, 440)과 직각 방향으로 연결핀에 의해 X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중간 연결 프레임(530, 630)을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중간 연결 프레임(530, 630)은 좌측의 연결 프레임(130, 330) 또는 우측의 연결 프레임(230, 43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Larger tents can result in tent tent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both ends 144 of which the connection frames 140 and 240 are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s 100 and 200 and the connection frames 340 and 440 between the short posts 300 and 400 are mutually connected. Between the opposite ends 344 to be connecte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s (530, 630) continuously connected in an X-shape by a connecting p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frames (140, 240, 340, 440) Can be installed by adding.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s 530 and 63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connection frames 130 and 330 on the left side or the connection frames 230 and 430 on the right side.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도 7과 같이, 좌측의 롱 포스트(100)와 숏 포스트(300) 사이의 연결 프레임(130, 330) 양단부(134)와 마주하는 우측의 연결 프레임(230, 430) 양단부(234) 사이에 중간 연결 프레임(540, 640)을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 similar manner, as shown in FIG. 7, both ends of the connecting frames 230 and 430 on the right facing the connecting frames 130 and 330 between the long post 100 and the short post 300 on the left side 134.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s 540 and 640 may be added between 234.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하면, 연결 프레임(130, 230)의 길이(a), (b)에 해당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간 지점에 길이 조절부재(미도시됨)를 설치하고, 연결 프레임(330, 430)의 길이(c), (d)에 해당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간 지점에 다른 길이 조절부재(미도시됨)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노피 프레임을 펼쳤을 때는 경사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상술한 '조건 1'을 만족하도록 길이 조절부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캐노피 프레임을 접었을 때 최소한 부피로 접혀지도록 상술한 '조건 2'를 만족하도록 길이 조절부재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at at least one intermediate poin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 (b) of the connection frame (130, 230), Another length adjust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int of at least one of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c and d of the connection frames 330 and 430. In this case, when the canopy frame is unfolded, the length adjusting member may be adjusted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1' fo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In addition, when the canopy frame is folded, the length adjusting member may be adjusted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2' so as to be folded at least in volume.
본 발명의 다른 또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포스트(100, 200, 300, 400)에 각각 제1 가동 브라켓(150, 250, 350, 450)과 그 하부에 제2 가동 브라켓(160, 260, 360, 4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은 연결 프레임(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과 1 방향으로만 연결된다는 점에서, 2 방향으로 연결되는 도 1의 가동 브라켓(120, 220, 320, 420)과 차이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each of the first movable bracket (150, 250, 350, 450) and the lower portion of each post (100, 200, 300, 400) Two movable brackets (160, 260, 360, 460) may be provided. They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s 130, 140, 230, 240, 330, 340, 430, 440 in only one direction, and thus the movable brackets 120, 220, 320, 420 of FIG. There is a difference.
제1 가동 브라켓(150, 250, 350, 450)은 롱 포스트(100, 2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140, 240)과 상기 숏 포스트(300, 4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340, 4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가동 브라켓(160, 260, 360, 460)은, 롱 포스트(100, 200)와 상기 숏 포스트(300, 400) 각각의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130과 330, 230과 430)에 연결된다.The first movable brackets 150, 250, 350, and 450 have a connection frame 140, 240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s 100, 200 and a connection frame 340, 440 connected between the short posts 300,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able brackets 160, 260, 360, and 46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s 130, 330, 230, and 430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s 100 and 200 and the short posts 300 and 400, respectively. do.
이 경우에도 경사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조건 1'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1 가동 브라켓(150, 250, 350, 450)과 제2 가동 브라켓(160, 260, 360, 460)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접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상술한 '조건 2'는 만족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제1 가동 브라켓(150, 250, 350, 450)이 제2 가동 브라켓(160, 260, 360, 460) 상부에 위치하므로, 도 8에서는 2g 〈 (a + b)이고 2h 〈 (c + d)의 조건(이하, '조건 3' 이라 함)을 만족하여야 한다. 만약, 제1 가동 브라켓(150, 250, 350, 450)과 제2 가동 브라켓(160, 260, 360, 460)의 위치가 바뀌면 위 '조건 3'의 부등호는 반대가 된다.Even in this case, in order to maintain the inclination angle,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1' must be satisfied. However, since the first movable brackets 150, 250, 350, and 450 and the second movable brackets 160, 260, 360, and 460 are separated,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2' for minimizing the volume when folded is not necessary. none. However, since the first movable brackets 150, 250, 350, and 450 are located above the second movable brackets 160, 260, 360, and 460, in FIG. 8, 2g <(a + b) and 2h <(c + satisfies the conditions of 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dition 3'). If the positions of the first movable brackets 150, 250, 350, and 450 and the second movable brackets 160, 260, 360, and 460 are changed, the inequality sign of the above condition 3 is reversed.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캐노피 프레임 상부를 차폐하는 천막(700)에 빗물 받이부가 부가된 캐노피를 나타낸다.9 illustrates a canopy in which a rain gutter is added to a tent 700 that shields an upper portion of a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의하면, 롱 포스트(100, 200)가 설치된 부분이 숏 포스트(300, 400)가 설치된 부분보다 높아 천막(700) 상부에 경사면부(710)와, 그 둘레의 수직 하방으로 연결 프레임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7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우천시 천막(700)의 중심부는 수분 흡수에 의하여 약간 팽창되어 아래로 처지게 되어 빗물은 도면에서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숏 포스트(300, 400) 사이의 측면 부분으로만 흘러내리게 된다.According to FIG. 9, the portion where the long posts 100 and 200 are installed is hig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short posts 300 and 400 are installed,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710 on the upper part of the tent 700 and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vertically downward around the tent 700. An edge portion 720 surrounding the edge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rain is in the center of the tent 700 is slightly inflated by the water absorption sag down so that rain water flows only to the side portion between the short post (300, 400)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figure.
이와 같이 흘러내리는 빗물을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테두리부(720) 하부에는 빗물 받이부(730)가 연장 형성된다.In order to drain the rainwater flowing down in one or both directions, the rainwater receiving part 730 is extended below the edge portion 720.
도 10은, 우천시 빗물 받이부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받이부(730)는, 비가 오지 않는 동안에는 테두리부(720) 내측으로 접혀져 내부 탈착부(722)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우천시에는 먼저 빗물 받이부(730)를 테두리부(720) 내측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형상 유지부재(740)를 테두리부(720) 상단에 형성된 외부 탈착부(724)에 결합시킴으로써 빗물 받이부(730)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한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dure of using the rain gutter part in rainy weather. As shown, the rain gutter 730 is folded inside the edge portion 720 while it is not raining to be coupled to the internal detachable portion 722. In rainy weather, the rain gutter 730 is firs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rim 720, and then the rain gutter 730 is coupled to the outer detachable part 724 formed on the top of the rim 720. ) Is inclined upward outward.
테두리부(720)의 내부, 외부 탈착부(722, 724)는 벨크로 테이프, 스냅단추 등 다양한 형태의 탈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형상 유지부재(740)는 일정 폭을 갖는 스트립 형태하고, 딱딱한 재질로 하여 빗물 통로의 형상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The inner and outer detachable parts 722 and 724 of the edge portion 720 may use various types of detachable means such as a Velcro tape and a snap button. The shape retaining member 740 is in the form of a strip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made of a hard material to firmly maintain the shape of the rainwater passage.
한편, 형상 유지부재(740)는 도 9와 같이, 빗물 받이부(730) 양단 하부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 형상 유지부재(742, 744)와, 빗물 받이부 중간 하부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결된 1 이상의 중간 형상 유지부재(746)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형상 유지부재(746)가 형성된 빗물 통로 부분의 바닥부가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 빗물 통로의 양측에 있는 숏 포스트(300, 400) 방향으로 배수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 형상 유지부재(742, 744)와 중간 형상 유지부재(746)의 길이를 순차적으로 길게 또는 짧게 구성하여 빗물이 빗물 통로의 일방향으로만 배수되게 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the shape retaining member 740 has a first and second shape retaining members 742 and 744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rainwater receiving unit 730, respectively, and a relatively short length in the middle of the rainwater receiving unit.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intermediate shape holding member 746 connected to. In this case, the bottom portion of the rainwater passage por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shape holding member 746 is formed is formed higher than the other portions and is drained toward the short posts 300 and 400 on both sides of the rainwater passag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ape maintaining members 742 and 744 and the intermediate shape holding member 746 may be sequentially long or short so that the rainwater may be drained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rainwater passage.
따라서 롱 포스트(100, 200) 부분을 건물 입구에 설치하고, 숏 포스트(300, 400)가 설치된 부분을 건물 입구 전방으로 확장하여 설치하면, 건물 입구와 캐노피 프레임 연결 부분으로 빗물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상 편리하다.Therefore, if the long post (100, 200) por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the short post (300, 400) is installed to extend the front of the building entrance, the rain water does not fall to the building entrance and the canopy frame connection portion for use It is convenient.
캐노피 프레임은 건물의 공간 확장 용도 이외에, 포장마차, 그늘막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프레임을 이용한 캐노피는, 사용자가 빗물이 배수되는 방향과 출입구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캐노피 프레임의 설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될 장소의 여건이나 설치 용도에 부합할 수 있다.The canopy fram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the space of buildings, as well as for food stalls and shades. The canopy using the canop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etermin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nopy frame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n water is drained, the height of the entrance and the like can be adapted to the conditions of the place to be installed or the installation u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형태적인 변경과 치환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이와 균등의 영역에 해당되는 기술적 사상에 미친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substituted in 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equivalent technical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Crazy

Claims (8)

  1.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동 브라켓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인접한 롱 포스트와 상기 롱 포스트보다 낮게 설치되는 2개의 숏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포스트; 및A post comprising two adjacent long posts and two short posts installed lower than the long posts, each having a fixing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and a movable bracket sliding up and down under the fixing bracket; And
    인접한 상기 포스트 각각의 사이에, 2개의 로드가 X자 형태로 교차부에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되,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between two adjacent posts, the two rods being connected at an intersection in an X-shape; Including,
    상기 연결 프레임은,The connecting frame,
    상기 롱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a)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b)보다 길고,From the intersection connection point adjacent the long post, the length a to the fixing bracket connection point is longer than the length b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상기 숏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c)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d)보다 짧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And a length (c) from an intersection connection point adjacent said short post to a fixed bracket connection point is shorter than a length (d) to a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롱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은,The connection frame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
    각각의 상기 롱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e)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e)가 같고, 그 길이의 합(2e)이, 상기 길이(a)와 상기 길이(b)의 합과 동일하고,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intersection adjacent to each said long post, the length e to the fixed bracket connection point and the length e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are equal, and the sum 2e of the lengths is the length a ) Is equal to the sum of the length (b),
    상기 숏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은,The connection frame connected between the short posts,
    각각의 상기 숏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고정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f)와 가동 브라켓 연결 지점까지의 길이(f)가 같고, 그 길이의 합(2f)이, 상기 길이(c)와 상기 길이(d)의 합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intersection adjacent to each said short post, the length f to the fixed bracket connection point and the length f to the movable bracket connection point are equal, and the sum 2f of the lengths is said length c And the length d is equal to the sum of the folding canopy frame.
  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롱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 양단부와, 상기 숏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 양단부 사이에 연결핀에 의해 X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중간 연결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s continuously connected in X-shape by connecting pins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between the long posts an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between the short posts; Folding canop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롱 포스트와 상기 숏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 양단부와, 마주하는 다른 연결 프레임 각각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핀에 의해 X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중간 연결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s continuously connected in X-shape by connecting pins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frame between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and opposite ends of each of the other connecting frames facing each other; Folding canop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5.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롱 포스트와 상기 숏 포스트 사이의 연결 프레임은,The connection frame between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상기 롱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와 고정 브라켓 사이 또는 상기 교차부와 가동 브라켓 사이의 중간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길이 조절부재가 구비되고,A length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an intersection portion adjacent to the long post and a fixing bracket or between an intersection portion and a movable bracket;
    상기 숏 포스트에 인접한 교차부와 고정 브라켓 사이 또는 상기 교차부와 가동 브라켓 사이의 중간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길이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The folding canop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adjusting member is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the intersection and the fixed bracket adjacent to the short post or between the intersection and the movable bracket.
  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동 브라켓은, 제1 가동 브라켓과 그 상부 또는 하부의 제2 가동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The movable bracket comprises a first movable bracket and a second movable bracket above or below it,
    상기 제1 가동 브라켓은, 상기 롱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과 상기 숏 포스트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고,The first movable bracket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between the short post and the connection frame connected between the long post,
    상기 제2 가동 브라켓은, 상기 롱 포스트와 상기 숏 포스트 각각의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And the second movable bracket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long post and the short post.
  7. 제1항의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는 캐노피에 있어서,In the canopy coupled to the folding canopy frame of claim 1,
    상기 천막은,The tent,
    상부의 경사면부;An inclined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상기 경사면부 둘레의 수직 하방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An edge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rou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상기 경사면부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테두리부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 내측으로 접혀져 탈부착되는 빗물 받이부; 및A rainwater receiv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folded into the edge portion to be detachable; And
    우천시 상기 빗물 받이부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빗물 받이부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탈부착되는 2 이상의 형상 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Two or more shape retaining members connected to a bottom of the rain gutter part to be detachable from the inclined surface part or the edge part so as to maintain the rain gutter part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during rain; Canop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8.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형상 유지부재는,The shape holding member,
    상기 빗물 받이부 양단 하부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형상 유지부재와, 상기 빗물 받이부 중간 하부에 연결된 1 이상의 중간 형상 유지부재를 포함하되,A first and second shape holding memb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ain gutters,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intermediate shape holding member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ain gutters.
    우천시 빗물이 일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제1, 제2형상 유지부재 및 상기 중간 형상 유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Canop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hape hold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shape holding member so that rain water is drained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during rain.
PCT/KR2013/001341 2012-02-23 2013-02-20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same WO2013125856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71 2012-02-23
KR1020120018571A KR20130096950A (en) 2012-02-23 2012-02-23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856A1 true WO2013125856A1 (en) 2013-08-29

Family

ID=4689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341 WO2013125856A1 (en) 2012-02-23 2013-02-20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30096950A (en)
CN (2) CN202706661U (en)
WO (1) WO2013125856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3006A (en) * 2014-03-05 2014-09-10 鹭谱达(厦门)户外用品有限公司 Canopy frame and canopy
US20180328073A1 (en) * 2015-11-16 2018-11-15 Vitabri Folding shelter structure device
CN113006589A (en) * 2021-03-10 2021-06-22 福州高科新技术开发有限公司 Tent support with adjustable leng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950A (en) * 2012-02-23 2013-09-02 신재기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it
CN103410374A (en) * 2013-08-09 2013-11-27 厦门宏朋工贸有限公司 Height-increasing inner core structure for foldable tent
CN104464834A (en) * 2014-11-11 2015-03-25 佛山市禾才科技服务有限公司 Simultaneous-movement and different-direction combined mechanical arm
CN105019717A (en) * 2015-07-26 2015-11-04 王伟 Folded inclined top surface tent
KR101944621B1 (en) 2017-06-17 2019-02-01 주식회사 아웃팅 Canopy
CN107916825B (en) * 2017-12-29 2019-10-18 盐城市昶桦户外用品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wning for leis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200A (en) * 2003-11-28 2003-12-24 김대환 Structure of light-type comfortable canopy
JP3102408U (en) * 2003-12-22 2004-07-08 昌子 野村 One-way folding tent
JP2006112120A (en) * 2004-10-14 2006-04-27 Sumitomo Rubber Ind Ltd Tent for outdoors
JP2007023697A (en) * 2005-07-20 2007-02-01 Newtec Japan Co Ltd Eaves structure and tent with eaves having the same
JP2009257080A (en) * 2006-07-05 2009-11-05 Newtec Japan Co Ltd T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38417Y (en) * 1997-04-16 1999-09-15 蔡明良 Tent
CN2813784Y (en) * 2005-06-28 2006-09-06 厦门进雄企业有限公司 Water-logging proof tent
KR20130096950A (en) * 2012-02-23 2013-09-02 신재기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200A (en) * 2003-11-28 2003-12-24 김대환 Structure of light-type comfortable canopy
JP3102408U (en) * 2003-12-22 2004-07-08 昌子 野村 One-way folding tent
JP2006112120A (en) * 2004-10-14 2006-04-27 Sumitomo Rubber Ind Ltd Tent for outdoors
JP2007023697A (en) * 2005-07-20 2007-02-01 Newtec Japan Co Ltd Eaves structure and tent with eaves having the same
JP2009257080A (en) * 2006-07-05 2009-11-05 Newtec Japan Co Ltd T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3006A (en) * 2014-03-05 2014-09-10 鹭谱达(厦门)户外用品有限公司 Canopy frame and canopy
CN104033006B (en) * 2014-03-05 2016-08-24 鹭谱达(厦门)户外用品有限公司 Awn frame and awn
US20180328073A1 (en) * 2015-11-16 2018-11-15 Vitabri Folding shelter structure device
US10662667B2 (en) * 2015-11-16 2020-05-26 Vitabri Folding shelter structure device
CN113006589A (en) * 2021-03-10 2021-06-22 福州高科新技术开发有限公司 Tent support with adjustable l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50A (en) 2013-09-02
CN202706661U (en) 2013-01-30
CN102704739A (en) 2012-10-03
CN102704739B (en)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5856A1 (en)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same
WO2013125857A1 (en) Collapsible canopy frame and canopy using same
US6273115B1 (en) Wind and weather protective device in the form of a folding roof and/or partition
US4393887A (en) Collapsible tent frame
CN113710861B (en) Tent with cover
EP0267909B1 (en) Building structures
WO2021172750A1 (en) Expandable rooftop tent
WO2013172647A1 (en) Parasol having complex pillar structure
CN214786496U (en) Inclined tent frame
WO2014134952A1 (en) Tent with tent cover capable of being integrally folded
RU2597652C1 (en) Tent
CN215212674U (en) Backdrop tent
CN112922373A (en) Temporary separation protective device for foldable elevator opening for building construction
AU2011100415B9 (en) Awning and frame assembly therefor
ES2301431B1 (en) FOLDABLE MODULAR HOUSE.
KR200392044Y1 (en) shade tent for fishing
CN215331033U (en) Ramp changing device for indoor and outdoor foldable stairs
KR20060120858A (en) Shade tent for fishing
CN219197134U (en) Folding door bucket
WO2022085974A1 (en) Tent
CN218881748U (en) Crust tent
KR102662403B1 (en) Large tent
KR200272755Y1 (en) canopy
CN218814638U (en) Ceiling extending structure
CN113216733A (en) Tilting folding tent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14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514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