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22246A2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22246A2
WO2013022246A2 PCT/KR2012/006242 KR2012006242W WO2013022246A2 WO 2013022246 A2 WO2013022246 A2 WO 2013022246A2 KR 2012006242 W KR2012006242 W KR 2012006242W WO 2013022246 A2 WO2013022246 A2 WO 201302224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gion
light
adjusting
viewing angl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2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22246A3 (ko
Inventor
전병건
박문수
김신영
유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280038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18084B/zh
Priority to JP2014523857A priority patent/JP5815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858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66216B1/ko
Publication of WO201302224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2246A2/ko
Publication of WO201302224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224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Abstract

본 출원은 표시 장치,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광학 필터에 대한 것이다. 예시적인 표시 장치, 시야각 조절용 필름 또는 광학 필터를 사용하면, 예를 들면, 입체 영상을 휘도의 손실이 없이 넓은 시야각에서 관찰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출원은, 표시 장치,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광학 필터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는 3차원 정보를 관찰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예를 들어,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이 있다. 상기 안경 방식은 편광 안경 방식과 LC 셔터 안경(LC shutter glasses)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2안식/다시점 양안 시차 방식, 체적형 방식 또는 홀로그래픽 방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표시 장치,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편광 조절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이하, 「3D 장치」)일 수 있다. 상기 3D 장치는, 예를 들면, 관찰자가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이하, 「3D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 표시 소자,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편광 조절 소자는, 표시 소자에서 출사되는 신호가 편광 조절 소자 및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순차로 투과한 후에 관찰자에게 전달되거나, 또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편광 조절 소자를 순차로 투과한 후에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소자는 구동 상태에서 우안용 신호(이하, 「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이하, 「RS 영역」); 및 좌안용 신호(이하, 「L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좌안용 신호 생성 영역(이하, 「LS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구동 상태」는 표시 장치가 영상, 예를 들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또한 RS 및 LS 영역에 인접하는 광투과량 조절 영역(이하, 「TC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TC 영역」은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거나, 또는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고, 다른 일부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TC 영역은, 예를 들면,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 즉 광투과율이 0% 내지 20%, 0% 내지 15%, 0% 내지 10% 또는 0% 내지 5%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TC 영역이 RS 및 LS 영역에 인접한다는 것은, 시야각 범위 내에 속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에서 영상을 관찰할 때에 RS 및/또는 LS 영역에서 생성된 R 신호 및/또는 L 신호가 편광 조절 소자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R 및/또는 L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TC 영역으로 입사하여, TC 영역으로 입사한 신호가 TC 영역에 의해 차단되거나 또는 TC 영역으로 입사한 신호의 일부만이 TC 영역을 투과하여 편광 조절 소자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TC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야각」은, 예를 들면, LS 영역에서 생성된 L 신호가 편광 조절 소자의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이하, 「LG 영역」)을 투과하고, 또한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이하, 「RG 영역」)은 투과하지 않으면서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 또는 RS 영역에서 생성된 R 신호가 편광 조절 소자의 RG 영역을 투과하고, 또한 LG 영역은 투과하지 않으면서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시야각을 초과하는 각도에서는, L 신호가 RG 영역을 투과하거나, 혹은 R 신호가 LG 영역을 투과한 후에 관찰자에게 전달되어서 영상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소위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RS 및 LS 영역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TC 영역은, RS 및 LS 영역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C 영역이 RS 및 LS 영역의 사이에 존재하는 태양의 예로는, 동일 평면상에서 RS, TC 및 LS 영역이 순차로 위치하는 경우, 또는, RS 및 LS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TC 영역이 위치하는 경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RS 및 LS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TC 영역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TC 영역은, 상기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할 때에, 상기 RS 및/또는 LS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편광 조절 소자는, RG 및 LG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RG 영역은 예를 들면, 구동 상태에서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R 신호가 입사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LG 영역은, 예를 들면, 구동 상태에서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L 신호가 입사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예를 들면, 표시 소자와 편광 조절 소자의 사이 또는 편광 조절 소자의 표시 소자측과는 반대측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소자, 시야각 조절용 필름 및 편광 조절 소자를 순차 포함하거나, 또는 표시 소자, 편광 조절 소자 및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순차 포함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는 TC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표시 소자에 포함되는 TC 영역은 TC1 영역으로 호칭하고,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 형성되는 TC 영역은 TC2 영역으로 호칭한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TC2 영역이 편광 조절 소자의 RG 및 LG 영역과 인접하도록 표시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TC2 영역이 RG 및 LG 영역에 인접한다는 것은, 시야각 범위 내에 속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에서 영상을 관찰할 때에 표시 소자에서 전달되는 R 및/또는 L 신호가 RG 및/또는 LG 영역으로 입사되기 전 또는 RG 및/또는 LG 영역을 투과한 후에 R 및/또는 L 신호의 일부가 TC2 영역으로 입사하는 것에 의해, 입사한 신호가 TC2 영역에 의해 차단되거나 또는 입사한 신호의 일부만이 TC2 영역을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TC2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RG 및 LG 영역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TC2 영역이,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한 때에 RG 및 LG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C2 영역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할 때에, RG 및/또는 LG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예시적인 3D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이 표시 소자(103)와 편광 조절 소자(105)의 사이에 위치한 경우이고, 도 2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이 편광 조절 소자(105)의 외측에 위치한 경우이다. 도 1 및 2와 같이 예시적인 3D 장치는 표시 소자(103),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 및 편광 조절 소자(10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필요한 경우 광원(101), 제 1 편광판(1021) 및 제 2 편광판(10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1)으로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에서 통상 사용되는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에지형(edge type)의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11)으로는 상기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편광판(1021)은 광원(101)과 표시 소자(10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광원(101)에서 출사한 광은 제 1 편광판(1021)을 투과한 후에 표시 소자(103)로 입사할 수 있다. 제 1 편광판(1021)은, 광 투과축 및 상기 광 투과축에 직교하는 광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제 1 편광판(1021)으로 광이 입사하면, 입사광 중에서 편광판(1021)의 광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편광축을 가지는 광만이 투과될 수 있다.
표시 소자(103)는, 구동 상태에서 L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LS 영역과 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RS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표시 소자(103)은, 2장의 기판의 사이에 존재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투과형 액정 패널일 수 있다. 액정 패널은, 예를 들면, 광원(101)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치된 제 1 기판, 화소 전극, 제 1 배향막, 액정층, 제 2 배향막, 공통 전극 및 제 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에는, 예를 들면, 투명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 소자로서 TFT(Thin Film Transistor)와 배선 등을 포함하는 액티브형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화소 전극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화소별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배향막은, 예를 들면, 액정층의 액정을 배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액정층은, 예를 들면, VA(Vertical Alignment),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또는 IPS(In LGane Switching) 모드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구동 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광원(101)으로부터의 광을 화소별로 투과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공통 전극은, 예를 들면 공통의 대향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표시 소자(103)에는 구동 상태에서 L 또는 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하나 이상의 화소(pixel)를 포함하는 LS 및 RS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에서 제 1 및 제 2 배향막의 사이에 밀봉된 액정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화소가 LS 또는 RS 영역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LS 및 RS 영역은 행 및/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및 4는, 예시적인 RS 및 LS 영역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는,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할 경우의 RS 및 LS 영역의 배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RS 및 LS 영역은, 도 3과 같이, 동일한 방향,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RS 및 LS 영역은, 도 4와 같이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RS 및 LS 영역의 배치는 도 3 및 4의 배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디자인도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소자(103)는, 예를 들면, 구동 상태에서 신호에 따라 각 영역에서의 화소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R 및 L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2를 참조하면, 광원(101)에서 출사한 광이 제 1 편광판(1021)에 입사하면, 편광판(1021)의 광 투과축과 평행하게 편광된 광만이 투과된다. 투과된 광은 표시 소자(103)로 입사하고, 표시 소자(103)로 입사하여 RS 영역을 투과한 광은 R 신호가 되며, LS 영역을 투과한 광은 L 신호가 될 수 있다.
표시 소자(103)는, TC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C1 영역은, RS 및 LS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2 에서는 TC1 영역이 표시 소자(103)에서 RS 및 LS 영역이 형성되는 평면의 전면에 위치하고, 또한 정면에서 관찰할 때에 RS 및 LS 영역의 사이에서 RS 및 LS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렇지만, TC1 영역의 위치는 도 1 및 2에 나타난 배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C1 영역은 RS 및 LS 영역이 형성되는 평면의 후면에 위치하거나, RS 및 LS 영역이 형성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LS 및 RS 영역의 배치 형태를 TC1의 존재를 감안하여 다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LS 및 RS 영역의 배치를 TC1의 존재를 감안하여 다시 도시한 도면이다.
TC1 영역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의 TC2 영역과 함께 표시 장치의 영상을 휘도의 손실 없이 넓은 시야각에서 관찰하도록 할 수 있다.
TC1 영역은,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103)가 투과형 액정 패널인 경우, TC1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에 포함될 수 있는 제 2 기판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컬러 필터에 포함되는 블랙 매트릭스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TC1 영역은, 크롬(Cr), 크롬과 크롬 산화물의 이층막(Cr/CrOx 이층막),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 안료 등과 같은 안료(pigment)를 포함하는 수지층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소재를 사용하여 TC1 영역을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C1 영역은,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통상적인 방식인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나 리프트 오프(lift off)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편광판(1022)은, 예를 들면, 제 1 편광판(1021)처럼, 광 투과축 및 상기 광 투과축에 직교하는 광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소자이고, 빛이 입사되면 그 가운데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을 가지는 신호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2 편광판(1022)은, 예를 들면, 도 1 및 2에서와 같이 표시 소자(103)와 편광 조절 소자(10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021, 1022)은 각각의 광 흡수축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편광판(1021, 1022)의 광 투과축도 역시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수직은, 실질적인 수직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15도 이내, ±10도 이내 또는 ±5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 조절 소자(105)에 포함되는 RG 및 LG 영역은, 각각 R 및 L 신호의 편광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영역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RG 및 LG 영역은, R 및 L 신호가 서로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가진 채로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RG 영역은, 구동 상태에서 RS 영역에서 생성 및 전달되는 R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LG 영역은, LS 영역에서 생성 및 전달되는 L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RG 및 LG 영역은, 예를 들면, 각각 RG 또는 LG 영역과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할 때에 서로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지만, RS 영역에서 생성된 R 신호가 RG 영역에 입사될 수 있고, LS 영역에서 생성된 L 신호가 LG 영역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한 반드시 RS 및 LS 영역과 유사한 크기를 가지거나,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RG 및 LG 영역은, 예를 들면, 표시 소자(103)의 RS 및 LS 영역의 배치에 대응하여 동일한 방향,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S 및 LS 영역이 도 3과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RG 및 LG 영역은 도 7과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RS 및 LS 영역이 도 4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RG 및 LG 영역은 도 8과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RG 및 LG 영역을 각각 투과한 R 및 L 신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편광되어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RG 및 LG 영역을 각각 투과한 R 및 L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는 좌원 편광된 신호이고, 다른 하나의 신호는 우원 편광된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LG 및 RG 영역 중 하나 이상은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원 및 우원 편광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경우로는, RG 및 LG 영역이 모두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RG 영역에 포함되는 위상차층과 LG 영역에 포함되는 위상차층이 1/4 파장층인 경우가 예시될 수 있다.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된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RG 영역에 배치된 1/4 파장층의 광축과 LG 영역에 배치된 1/4 파장층의 광축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RG 영역은 위상차층으로서 제 1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1/4 파장층을 포함하고, LG 영역은 위상차층으로서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1/4 파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n 파장층」은 입사되는 광을 그 파장의 n배만큼 위상 지연을 시킬 수 있는 위상 지연 소자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에서 n은, 예를 들면, 1/2, 1/4 또는 3/4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축」은 광이 해당 영역을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지상축(slow axis) 또는 진상축(fast axis)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지상축을 의미할 수 있다.
RG 및 LG 영역의 태양이 상기와 같은 태양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RG 및 LG 영역 중의 어느 하나는 3/4 파장층을 포함하고, 다른 영역은 1/4 파장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좌원 및 우원 편광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는 상기 RG 및 LG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역은, 1/2 파장층이고, 다른 영역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RG 및 LG 영역을 각각 투과한 R 및 L 신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편광축을 가지도록 직선 편광된 광의 형태로 3D 장치에서 출사될 수 있다.
예시적인 편광 조절 소자는,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1/4, 3/4 또는 1/2 파장층 등의 위상차층 또는 상기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층은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편광 조절 소자는, 예를 들면, 위상차층이 표시 소자측에 배치되고, 기재층은 관찰자측에 배치되도록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기재층으로는, 예를 들면, 광학 소자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재층 또는 플라스틱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층으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DAC(diacet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스 기재층;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과 같은 고리형 올레핀 수지(COP; cyclo olefin polymer) 기재층;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과 같은 아크릴 기재층;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기재층;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기재층;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기재층;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 ether sulfone) 기재층;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etherketon) 기재층;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기재층;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tlate) 기재층; PET(polyethyleneterephtalate)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폴리이미드(PI, polyimide) 기재층; 폴리술폰(PSF, polysulfone) 기재층;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 등과 같은 불소 수지 기재층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는 TAC 기재층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기재층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은, 단일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으나, 보다 얇은 소자의 제공 측면에서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위상차층은, 기재층 상에 형성된 배향층 및 상기 배향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예를 들면, 상기 1/4, 3/4 또는 1/2 파장층일 수 있고, 액정층 하부의 배향층은 상기 파장층의 광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층일 수 있다. 배향층으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배향층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향층으로는, 직선 편광된 광의 조사에 의하여 유도되는 이성화(cis-trans isomerization), 프리즈 재배열(fries rearrangement) 또는 이량화(dimerization) 반응에 의하여 배향이 결정되고, 결정된 배향에 의하여 인접하는 액정층에 배향을 유도할 수 있는 광배향층, 러빙 처리된 폴리이미드층과 같은 고분자층, 나노임프린팅 방식 등의 임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된 배향층 또는 복수의 홈 영역이 패터닝되어 형성되어 있는 수지층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액정층은, 광가교성 또는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가교층 또는 광중합층일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액정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머크(Merk)사의 RM(Reactive Mesogen) 또는 BASF사의 LC242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조절 소자를 제조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서는 편광 조절 소자의 제조 방법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은, 예를 들면, 투광성 영역과 TC2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필름의 일측에서 입사되는 광 중에서 투광성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은 필름을 투과하고, TC2 영역으로 입사한 광은 TC2 영역에 의해 차단되거나, 혹은 일부만이 투과될 수 있다. 도 9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측면에서 관찰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9에서 투광성 영역은 P로 표시되어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서 투광성 영역(P)과 TC2 영역은, 필름을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도 11과 같이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편광 조절 소자(105)와 표시 소자(103)의 사이 또는 편광 조절 소자(10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TC2 영역이 LG 및 RG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표시 소자(103)에서 출사된 R 및/또는 L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시야각 내의 어느 하나의 각도에서 관찰할 때에 RG 및/또는 LG 영역에 입사하기 전 또는 RG 및/또는 LG 영역을 투과한 후에 TC2 영역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TC2 영역이 LG 및 RG 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LG 및/또는 RG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도 7의 LG 및 RG 영역의 배치를 시야각 조절용 필름의 TC2 영역의 존재를 감안하여 다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8의 LG 및 RG 영역의 배치를 TC2 영역의 존재를 감안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TC1 및 TC2 영역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표시 장치의 휘도 특성 및 시야각이 적절하게 확보될 수 있다.
[수식 1]
-2 × H1 ≤ H2 ≤ 2 × H1
수식 1에서 H1 및 H2는, 각각 TC1 및 TC2 영역의 폭이다.
「H1」 및 「H2」의 구체적인 범위는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서 상기 수식 1을 만족하는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고, 그 구체적인 수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H2는 예를 들면, 0 ㎛을 초과하고, 또한 1,000 ㎛ 이하인 범위일 수 있다. 상기 H2의 하한은, 예를 들면, 20 ㎛, 25 ㎛, 30 ㎛, 35 ㎛, 40 ㎛, 45 ㎛, 50 ㎛, 55 ㎛, 60 ㎛, 65 ㎛, 70 ㎛, 75 ㎛ 또는 8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H2의 상한은, 예를 들면, 900 ㎛, 800 ㎛, 700 ㎛, 600 ㎛, 500 ㎛, 400 ㎛, 300 ㎛, 290 ㎛, 280 ㎛, 270 ㎛, 260 ㎛, 250 ㎛, 240 ㎛, 230 ㎛, 220 ㎛, 210 ㎛ 또는 200 ㎛일 수 있다. 이러한 상한과 하한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치가 선택 및 조합되어 H2의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H1」은, 예를 들어, 상기 수식 1과 H2의 값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예시에서는 통상적인 3D 장치에 포함되는 블랙 매트릭스와 유사한 수치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정면에서 관찰한 상대 휘도가 60% 이상, 65% 이상 또는 70% 이상일 수 있다. 용어 「상대 휘도」는, TC1 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시야각 조절용 필름도 포함되지 않은 표시 장치에서의 휘도(IO) 대비 TC1 영역이 형성되고, 시야각 조절용 필름이 포함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서의 휘도(IT)의 비율(IT/IO)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예를 들면,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각도 "θU" 및 하기 수식 3을 만족하는 각도 "θL"의 최대값이 모두 3도 이상, 5도 이상, 8도 이상, 8.5도 이상, 9도 이상, 9.5도 이상, 10도 이상, 10.5도 이상, 11도 이상, 11.5도 이상, 12도 이상, 12.5도 이상, 13도 이상, 13.5도 이상, 14도 이상, 14.5도 이상 또는 15도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식 2]
tanθU = (H1 + 2y)/2T
[수식 3]
tanθL = (H1 + 2H2 - 2y)/2T
수식 2 및 3에서 H1는 TC1 영역의 폭이고, H2는, TC2 영역의 폭이며, T는 표시 소자의 TC1 영역에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의 TC2 영역까지의 거리이고, y는 TC1 영역의 폭을 이등분하는 선의 상기 TC1 영역의 표면에 대한 가상의 법선이 TC2 영역과 접하는 지점에서부터 TC2 영역이 존재하는 부분까지의 거리이다.
수식 2 및 3을 도 14 및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용어 「시야각」이, L 신호가 LG 영역을 투과하고, RG 영역은 투과하지 않으면서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 또는 R 신호가 RG 영역을 투과하고, 또한 LG 영역은 투과하지 않으면서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상기 시야각은 도 14 및 15에서 각각 "θU" 및 "θL"로 표시되어 있다.
도 14 및 15에서와 같이 시야각은, TC1 영역에서 TC2 영역까지의 거리(T)와 TC1 및 TC2 영역의 폭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거리(T)는, 예를 들면, TC1 영역이 편광 조절 소자(105)와 마주보는 면에서부터 TC2 영역의 표시 소자(103)와 마주보는 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거리(T)는, 표시 장치의 사양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T)는 5 mm 이하, 또는 약 0.5 mm 내지 5 mm 정도일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시야각 "θU" 및 "θL"은 거리(T)가 동일할 때, TC1 및 TC2 영역의 폭(H1 및 H2)과 TC1 및 TC2 영역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시야각 "θU"는 tanθU가 TC1 영역의 폭(H1)의 1/2배의 수치 및 TC1 영역의 폭을 이등분하는 선의 상기 TC1 또는 표시 소자(103)의 표면에 대한 가상의 법선(C)이 TC2 영역과 접하는 지점에서부터 TC2 영역이 존재하는 부분까지의 거리(y)의 합(H1/2+y)을 상기 거리(T)로 나눈 수치와 같아지도록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야각 "θL"은 tanθL이 TC1 영역의 폭(H1)의 1/2배의 수치에 상기 TC2 영역의 폭(H2)에서 TC1 영역의 폭(H1)을 이등분하는 선의 상기 TC1 영역 또는 표시 소자(103)의 표면에 대한 가상의 법선(C)이 TC2 영역과 접하는 지점에서부터 TC2 영역이 존재하는 부분까지의 거리(y)를 뺀 수치(H2-y)의 합(H1/2+H2-y)을 상기 거리(T)로 나눈 수치와 같아지도록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C1 및 TC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TC1 및 TC2 영역의 크기, 예를 들면, 폭과 상기 TC1 및 TC2 영역의 상대적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입체 영상의 관찰 시에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면서도 휘도 특성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표시 장치는, 정면에서 관찰한 상대 휘도가 60% 이상, 65% 이상 또는 70% 이상이고, 또한 그와 동시에 상기 수식 2를 만족하는 각도 θU의 최대값 및 상기 수식 3을 만족하는 각도 θL의 최대값이 모두 3도 이상, 5도 이상, 8도 이상, 8.5도 이상, 9도 이상, 9.5도 이상, 10도 이상, 10.5도 이상, 11도 이상, 11.5도 이상, 12도 이상, 12.5도 이상, 13도 이상, 13.5도 이상, 14도 이상, 14.5도 이상 또는 15도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 대한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에서 기술한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 대한 것이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미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예를 들면, 투광성 영역(P)과 TC2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는 필름을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도 11과 같이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투광성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투광성 기재층(1601)과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1602)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야각 조절용 필름(900)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1602)에 의해 TC2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턴(160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투광성 영역(P)으로 작용할 수 있다.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은, 예를 들면, 광차단성 또는 광흡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하는 TC2 영역의 형상, 패턴 및 위치를 고려하여 광차단성 또는 광흡수성 잉크를 투광성 기재층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로는, 예를 들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공지의 광차단성 또는 광흡수성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의 예로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흑연 또는 산화철 등과 같은 무기 안료나, 아조계 안료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등의 유기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들 수 있고, 상기는 적절한 바인더(binder) 및/또는 용제(solvent)와 배합되어 인쇄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료의 배합량이나 종류를 조절하여 TC2 영역의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차단 또는 광흡수성 패턴은, 크롬(Cr), 크롬과 크롬 산화물의 이층막(Cr/CrOx 이층막), 카본 블랙(carbon black), 카본 안료 등과 같은 안료(pigment)를 포함하는 수지층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턴일 수도 있다.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 방식이나, 잉크젯 방식에 의한 선택적인 젯팅 방식 또는 나노 임프린팅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은 또한,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통상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은, 포토리소그라피나 리프트 오프 방식으로 투광성 기재층에 형성할 수 있다.
투광성 기재층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편광 조절 소자에서 기재층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재층 또는 플라스틱 기재층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기재층은, 예를 들면,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50 nm 이하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200 n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면상 위상차는, 하기 수식 4로 계산되는 수치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는 하기 수식 5로 계산되는 수치일 수 있다.
[수식 4]
RI = d × (Nx-Ny)
[수식 5]
RT = d × (Nz-Ny)
수식 4 및 5에서 RI는 면상 위상차이고, RT는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며, d는 투광성 기재층의 두께이고, Nx, Ny 및 Nz는 각각 투광성 기재층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다.
상기에서 x축은,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광성 기재층의 면상의 어느 일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상기 x축에 수직한 면상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상기 x축과 y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의 법선의 방향, 예를 들면 투광성 기재층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x축은 투광성 기재층의 지상축(slow axis)과 평행한 방향이고, y축은 투광성 기재층의 진상축(fast axis)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광학 필터, 예를 들면, 입체 영상 표시 장치용 광학 필터에 대한 것이다. 예시적인 광학 필터는 상기 편광 조절 소자; 및 상기 편광 조절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터는, 입사광을 서로 편광 상태가 상이한 2종 이상의 광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조절 소자; 및 편광 조절 소자의 일면에 배치되고, 투광성 영역과 TC2 영역을 포함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조절 소자 및 시야각 조절용 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미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편광 조절 소자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은 이미 기술한 RG 영역이고, 다른 하나의 영역은 이미 기술한 LG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영역은,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도 8과 같이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예를 들면, 도 12 및 13과 같이 광학 필터를 정면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TC2 영역이 제 1 및 제 2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및/또는 제 2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편광 조절 소자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표시 장치, 시야각 조절용 필름 또는 광학 필터를 사용하면, 예를 들면, 입체 영상을 휘도의 손실이 없이 넓은 시야각에서 관찰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예시적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는, LS 영역 및 RS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 및 6은, LS 영역, RS 영역 및 TC1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7 및 8은, LG 영역 및 RG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시야각 조절용 필름의 투광성 영역과 TC2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LG 영역, RG 영역 및 TC2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 및 15는, 표시 장치의 시야각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투광성 기재층의 x축, y축 및 z축을 설정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예시적인 광학 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1: 광원
1021, 1022: 편광판
103: 표시 소자
104, 900: 시야각 조절용 필름
TC1, TC2: 광투과량 조절 영역
105: 편광 조절 소자
LS 또는 RS: 좌안용 또는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
LG 또는 RG: 좌안용 또는 우안용 편광 조절 영역
P: 투광성 영역
H1: TC1 영역의 폭
H2: TC2 영역의 폭
T: TC1 영역과 TC2 영역간의 거리
C: TC1 영역의 폭을 이등분하는 선의 TC1 영역 또는 표시 소자의 표면에 대한 가상의 법선
y: 가상의 법선(C)이 TC2 영역과 접하는 지점으로부터 TC2 영역이 존재하는 부분까지의 거리
θU, θL: 시야각
1061, 100: 투광성 기재층
1062: 광차단성 또는 광흡수성 패턴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상기 장치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표시 소자(103)로서, 투과형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장치를 구성하였다. 액정 패널로는 RS 및 LS 영역은 도 3과 같이 배치되며, TC1 영역이 액정 패널의 컬러 필터의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형성되고, TC1 영역이 RS 및 LS의 영역의 사이에서 RS 및 LS 영역의 일부분과 겹치면서 도 5와 같이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패널을 사용하였다. TC1 영역이 RS 영역과 겹치는 범위와 LS 영역과 겹치는 범위는 동일하도록 TC1 영역을 형성하였다. 또한, 편광 조절 소자(105)의 RG 및 LG 영역은, 도 7과 같은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였다.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으로는 투광성 기재로서 면상 위상차가 10 nm 이하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50 nm 이하인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의 표면에 광차단성 잉크를 도 10과 같은 형태로 TC2 영역이 형성되도록 인쇄한 필름을 사용하였고, 이를 도 1과 같이 편광 조절 소자(105)와 제 2 편광판(1022)의 사이에 배치하였다. 배치 시에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의 TC2 영역이, 편광 조절 소자(105)의 RG 및 LG의 영역의 사이에서 RG 및 LG 영역의 일부분과 겹치면서 도 12와 같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면서, TC2 영역이 RG 영역과 겹치는 범위와 LG 영역과 겹치는 범위는 동일하도록 TC2 영역을 형성하였다(즉, 도 15를 참조하면, y가 H2/2가 되도록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배치하였다.). 상기 장치에서 RG 영역에는 제 2 편광판(1022)의 흡수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1/4 파장층)을 위치시키고, LG 영역에는 제 2 편광판(1022)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1/4 파장층)을 위치시켰으며, 제 1 및 제 2 편광판(1021, 1022)의 흡수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하였다. TC1 및 TC2 영역간의 거리(도 15에서의 T)는 약 1 mm였고, LG 및 RG 영역의 폭의 합은 약 545 ㎛이며, LG 및 RG 영역의 폭은 서로 대략적으로 동일하였다. 상기 장치에서 최대 시야각("θU" 또는 "θL")이 약 13.5도가 모든 실시예에서 확보될 수 있도록 TC1 및 TC2 영역의 폭(H1 및 H2)을 조절하되, 각각의 실시예에서 TC1 및 TC2 영역의 폭(H1 및 H2)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면서, 장치를 구동시키고, 각 시야각("θU" 또는 "θL")에 따른 상대 휘도를 휘도계(장비명: SR-UL2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실시예
1 2 3 4
H1(단위: ㎛) 210 180 150 120
H2(단위: ㎛) 30 60 90 120
H1+H2(단위: ㎛) 240 240 240 240
시야각(단위: 도) 상대휘도(단위:%)
0 61.1 66.7 72.5 78
2 61.1 66.7 72.5 74.8
4 61.1 66.7 69.3 71.6
6 61.1 66.7 66.1 68.4
8 61.1 65 62.9 65.2
10 61.1 62.2 62 61.9
12 58.3 59 58.8 58.7
13 56 56 56 56
비교예 1.
시야각 조절용 필름(104)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장치를 구성하였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최대 시야각("θU" 또는 "θL") 약 13.5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TC1 영역의 폭(H1)을 240 ㎛로 조절하여 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장치를 구동시키면서, 각 시야각("θU" 또는 "θL")에 따른 상대 휘도를 휘도계(장비명: SR-UL2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층하였다.
표 2
비교예1
H1(단위: ㎛) 240
H2(단위: ㎛) 0
H1+H2(단위: ㎛) 240
시야각(단위: 도) 상대휘도(단위:%)
0 56
2 56
4 56
6 56
8 56
10 56
12 56
13 56

Claims (20)

  1. 우안용 신호와 좌안용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우안용 및 좌안용 신호 생성 영역; 및 상기 우안용 및 좌안용 신호 생성 영역에 인접하는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상기 우안용 신호가 입사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과 상기 좌안용 신호가 입사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조절 소자; 및
    상기 편광 조절 소자와 표시 소자의 사이 또는 상기 편광 조절 소자의 외측에 존재하고, 상기 우안용 및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과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광투과율이 각각 0% 내지 20%인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정면 관찰한 경우에 우안용 및 좌안용 신호 생성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우안용 또는 좌안용 신호 생성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이, 정면 관찰한 경우에 우안용 및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우안용 또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크롬, 크롬과 크롬 산화물의 이층막,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층 또는 그래파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식 1]
    -2 × H1 ≤ H2 ≤ 2 × H1
    상기 수식 1에서 H1 및 H2는, 각각 TC1 및 TC2 영역의 폭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각도(θU) 및 하기 수식 3을 만족하는 각도(θL)의 최대값이 모두 3도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수식 2]
    tanθU = (H1 + 2y)/2T
    [수식 3]
    tanθL = (H1 + 2H2-2y)/2T
    수식 2 및 3에서 H1는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의 폭이고, H2는,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의 폭이며, T는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에서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까지의 거리이고, y는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의 폭을 이등분하는 선의 제 1 광투과량 조절 영역의 표면에 대한 가상의 법선이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과 접하는 지점에서부터 제 2 광투과량 조절 영역이 존재하는 부분까지의 거리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정면에서 관찰한 상대 휘도가 60% 이상인 표시 장치.
  9. 투광성 영역 및 광투과량 조절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항의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광투과율이 0% 내지 20%인 시야각 조절용 필름.
  11. 제 9 항에 있어서, 투광성 영역과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
  12. 제 9 항에 있어서, 투광성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을 포함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광차단 또는 광흡수 패턴은, 광차단성 또는 광흡수성 무기 안료 또는 광차단성 또는 광흡수성 유기 안료를 포함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
  14. 제 12 항에 있어서, 투광성 기재층은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50 nm 이하인 시야각 조절용 필름.
  15. 제 12 항에 있어서, 투광성 기재층은,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200 nm 이하인 시야각 조절용 필름.
  16. 입사되는 광을 서로 편광 상태가 상이한 2종 이상의 광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조절 소자; 및 상기 편광 조절 소자의 일면에 배치되고, 투광성 영역과 광투과량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시야각 조절용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광투과량 조절 영역은, 광투과율이 0% 내지 20%인 광학 필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편광 조절 소자는 입사광을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편광되어 있는 2종의 광로 분할하거나, 혹은 좌원 편광된 광과 우원 편광된 광으로 분할할 수 있는 광학 필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영역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필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시야각 조절용 필름은, 광투과량 조절 영역이, 정면 관찰한 경우에 제 1 및 제 2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영역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광학 필터.
PCT/KR2012/006242 2011-08-05 2012-08-06 표시 장치 WO2013022246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38654.2A CN103718084B (zh) 2011-08-05 2012-08-06 显示装置
JP2014523857A JP5815135B2 (ja) 2011-08-05 2012-08-06 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7986 2011-08-05
KR10-2011-0077986 2011-08-05
KR10-2012-0085806 2012-08-06
KR1020120085806A KR101266216B1 (ko) 2011-08-05 2012-08-0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2246A2 true WO2013022246A2 (ko) 2013-02-14
WO2013022246A3 WO2013022246A3 (ko) 2013-04-04

Family

ID=4766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242 WO2013022246A2 (ko) 2011-08-05 2012-08-0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022246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983A (ja) * 2000-12-13 2002-06-28 Arisawa Mfg Co Ltd 3d映像表示体形成用フィルム及び3d映像表示装置
KR20080089197A (ko) * 2007-03-30 2008-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입체 표시 장치
KR20090015812A (ko) * 2007-08-09 2009-02-12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48286A (ja) * 2009-08-28 2011-03-10 Victor Co Of Japan Ltd 立体映像表示用光学部材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983A (ja) * 2000-12-13 2002-06-28 Arisawa Mfg Co Ltd 3d映像表示体形成用フィルム及び3d映像表示装置
KR20080089197A (ko) * 2007-03-30 2008-10-06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입체 표시 장치
KR20090015812A (ko) * 2007-08-09 2009-02-12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48286A (ja) * 2009-08-28 2011-03-10 Victor Co Of Japan Ltd 立体映像表示用光学部材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2246A3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8952B2 (en) Parallax barrier devic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arallax barrier device
WO2011090355A2 (ko)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WO2012102550A2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486639B (zh) 立體影像顯示裝置
TWI467238B (zh) 立體影像顯示器及用於製造該立體影像顯示器的方法
KR20110086524A (ko)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WO2013022256A2 (ko) 광학 필터
KR101814777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2128573A2 (ko) 표시 장치
CN103154802A (zh) 立体图像显示器的多功能滤光片和包括其的立体图像显示装置
WO2014084690A1 (ko) 주기적인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fpr
KR10132440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3119066A1 (ko) 액정 렌즈
WO2013119067A1 (ko) 액정 렌즈 패널
WO2013022246A2 (ko) 표시 장치
KR101266216B1 (ko) 표시 장치
KR20130053997A (ko) 편광 어셈블리 및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44087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7502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2128581A2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WO2013022258A2 (ko) 광학 필터
KR20140144447A (ko) 복수의 액정패널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25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385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25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