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91212A1 -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91212A1
WO2012091212A1 PCT/KR2011/000770 KR2011000770W WO2012091212A1 WO 2012091212 A1 WO2012091212 A1 WO 2012091212A1 KR 2011000770 W KR2011000770 W KR 2011000770W WO 2012091212 A1 WO2012091212 A1 WO 20120912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polygonal
spiral
shape
prim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07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오기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ublication of WO20120912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91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색전형성용 코일이 혈관을 따라 틀어지면서 내 삽입되도록 하여 일직선의 혈관은 물론이고, 굴곡진 혈관에서도 그 내부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틀어지면서 혈관의 내부를 따라 내삽입되도록 하여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색전형성용 코일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로 나선상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1차 코일이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위 나선 코일을 다수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다각형 1차 코일로 형성하여 그 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하고, 상기 다각형 1차 코일로 종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형성하는 다각형 2차 코일을 형성하여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한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제공함으로서 가능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의 혈관내 치료(Endovascular treatment)에 사용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뇌동맥 혈관내벽에 닿을때 뇌동맥류의 혈관벽을 강하게 가압하지 않고 부드럽게 유치될 수 있도록 작용하면서도 뇌동맥류의 내부에서 높은 밀도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동맥류는 뇌동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지는 질환으로 정상적인 혈관 벽에 비해 파열의 위험이 높으며 파열이 되면 출혈을 비롯한 심각한 뇌출혈을 일으킨다.
이러한 뇌동맥류의 치료로 개두술을 통한 동맥류 클립과 더불어 혈관을 통하여 동맥류에 접근하여 분리형 색전코일을 동맥류 내에 삽입하여 혈류에서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재출혈을 방지하는 치료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뇌 동맥류의 1차 치료목표는 동맥류 파열이나 재파열에 의한 재출혈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치료법은 개두술에 의한 동맥류의 경부 클립이다.
두개골을 열고 동맥류가 있는 혈관을 찾아 금속으로 만들어진 클립으로 동맥류의 목 부분을 잡아 혈류가 동맥류 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거 분리형 색전코일이 개발되면서 혈관내로 가는 카테터를 삽입 동맥류에 카테터의 선단을 넣어놓고 카테터를 통해 분리형 색전코일을 동맥류 내에 충분한 양을 삽입하면 동맥류는 코일에 의해 채워지고 더 이상 혈류가 동맥류 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동맥류의 재파열에 의한 재출혈을 방지하는 치료법이 가능해 졌다.
이러한 분리형 색전코일의 장점은 필요시에만 코일을 코일 푸셔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삽입, 제거를 반복함으로써 동맥류의 모양에 맞추어 모동맥의 혈류장애 없이 동맥류를 색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색전형성용 코일은 그 단부에 이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압출수단(유도자)에 의해, 적당한 카테터를 거쳐서 뇌동맥류 내부에 도입되어, 소정부위에 이탈되어 체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뇌동맥류의 혈관 내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개두술을 피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 많은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그 형상에 따라 분리되는데, 일반적으로 나선형의 코일(Herical shape coil)과 복잡한 형상을 가진 복합 코일(Complex shape coil)로 구분되어 시술되고 있다.
상기한 나선형의 코일(3)의 경우에는 첨부한 도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백금, 은, 금, 팔라듐 또는 텅스턴 등의 재질의 와이어(7)로 나선형으로 형성한 1차 코일(1)을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한 다음, 이를 다시 나선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하여 2차 코일(2)로 구성하고, 그 한 끝단에는 혈관 내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칩(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코일은 카데터를 통하여 뇌동맥류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진다.
한편, 위와 같은 나선형의 코일(3)의 경우에는 뇌동맥류가 재 개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뇌동맥류의 내부에 최대한으로 치밀하게 채우는 것이 필요한데 상기한 나선형의 코일(3)의 경우에는 한 방향으로만 감기기 때문에 뇌동맥류의 내부를 치밀하게 채우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나선형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나선형의 1차 코일(1)이 그 형상을 기억하고 있는 2차 코일(2)의 나선형으로 형태를 이루면서 채워지기 때문에 힘이 분산되지 못하고 동일한 힘으로 혈관의 내벽에 닿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뇌동맥류의 내부에 코일을 최대한으로 치밀하게 채우기 위하여 복잡한 형상을 가진 복합 코일(4)이 제공되고 있다.
이는 첨부한 도면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1차 코일(1)이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한 다음, 이를 복잡한 형상을 갖은 상태에서 열처리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복잡한 2차코일(5)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형상을 가진 복합 코일(4)의 경우에는 나선형의 코일(1)에 비하여 뇌동맥류의 내부를 치밀하게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카데트를 통해 배출되면서 내동맥류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원래의 기억된 형상 즉, 복잡한 2차 코일(5)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동안에 그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때에도 복잡한 2차코일(5)이 나선형상을 이루면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나선형으로 형태를 이루면서 채워지기 때문에 힘이 분산되지 못하고 동일한 힘으로 혈관의 내벽에 닿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색전형성용 코일은 체내 유치시 색전형성용 코일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이 일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굴곡이 심한 뇌동맥류에 확실하게 유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색전형성용 코일이 혈관을 따라 틀어지면서 내 삽입되도록 하여 일직선의 혈관은 물론이고, 굴곡진 혈관에서도 그 내부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틀어지면서 혈관의 내부를 따라 내삽입되도록 하여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색전형성용 코일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로 나선상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1차 코일이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위 나선 코일을 다수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다각형 1차 코일로 형성하여 그 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하고,
상기 다각형 1차 코일로 종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형성하는 다각형 2차 코일을 형성하여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한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제공함으로서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혈관내부로 삽입할 때, 혈관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나선형으로 틀어지면서 내 삽입하게 되는데 이는 혈관의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틀어지면서 혈관을 따라 내삽입되고, 이러한 삽입시에도 굴곡부를 가진 혈관부에서는 굴곡부를 따라 나선으로 틀어지면서 내 삽입되기 때문에 혈관의 굴곡부에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되는 작용이 있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의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원형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작용방향이 일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내삽입되므로 일직선의 혈관이 아닌 굴곡를 가진 혈관에서는 저항에 받아 삽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종래의 나선형 코일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복합 코일의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참고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참고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의 제조 공정도.
도 9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의 다른 제조 공정도.
1 : 1차 코일 2 : 2차 코일
3 : 나선형의 코일 11 : 단위 나선 코일
12 : 다각형 1차 코일 13 : 다각형 2차 코일
14 : 모서리부 15 : 삼각형 1차코일
16 :사각형 1차 코일 17 : 오각형 1차 코일
18 : 육각형 1차 코일 19 : 표면나선부
본 발명은 색전형성용 코일이 혈관을 따라 틀어지면서 내 삽입되도록 하여 일직선의 혈관은 물론이고, 굴곡진 혈관에서도 그 내부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틀어지면서 혈관의 내부를 따라 내삽입되도록 하여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색전형성용 코일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도 3도 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와 같이, 백금, 은, 금, 팔라듐 또는 텅스턴 등의 재질의 와이어(7)로 나선형으로 형성한 1차 코일(1)을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한 다음, 이를 다시 나선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하여 2차 코일(2)로 이루어지는 나선형의 코일(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7)로 나선상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1차 코일(1)이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위 나선 코일(11)을 다수개의 모서리부(14)를 갖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다각형 1차 코일(12)로 형성하여 그 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하고,
상기 다각형 1차 코일(12)로 종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형성하는 다각형 2차 코일(13)을 형성하여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한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모서리부(14)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혈관 내부를 따라 삽입될 때 상기한 모서리부(14)가 혈관의 내벽에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끝단이 만곡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상기한 다각형 1차코일(12)의 형태는 삼각형 1차코일(15)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림직하나 사각형 1차 코일(16), 오각형 1차 코일(17) 및 육각형 1차 코일(18)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도 무방한다.
이때 다각형 1차 코일(12)로 다각형 2차 코일(13)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한 다각형 1 차코일(12)이 가지는 다수개의 모서리부(14)가 다각형 2차 코일(13)의 전체에서 각각 표면상에 다수개의 표면나선부(19)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표면나선부(19)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혈관내부로 삽입할 때, 혈관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나선형으로 틀어지면서 내 삽입하게 된다.
즉, 나사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에 의하여 물체의 삽입시 나사가 틀어지면서 용이하게 물체에 삽입되는 것과 같은 작용으로 혈관의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틀어지면서 혈관을 따라 내삽입되고, 이러한 삽입시에도 굴곡부를 가진 혈관부에서는 굴곡부를 따라 나선으로 틀어지면서 내 삽입되기 때문에 혈관의 굴곡부에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의 본 발명의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원형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작용방향이 일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내삽입되므로 일직선의 혈관이 아닌 굴곡를 가진 혈관에서는 저항에 받아 삽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지그를 이용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이, 백금, 은, 금, 팔라듐 또는 텅스턴 등의 재질의 와이어(7)로 다수개의 모서리(30)를 가지는 단면 다각형의 지그(31)상에 나선상으로 감는 다음 그 감은 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수개의 모서리부(14)를 가진 다각형 1차코일(12)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다각형 1차 코일(12)을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나선상으로 감아 다각형 2차 코일(13)을 완성한다.
이러한 완성에 의하여 다각형 2차코일(13)의 표면에는 표면나선부(19)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그(31)는 첨부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 지그는 물론이고, 4각형 지그(40), 5각형 지그(50) 및 6각형 지그(60)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다수개의 모서리부(14)를 가진 다각형 1차코일(12)로 나선상으로 감아 다각형 2차 코일(13)을 완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모서리부(14)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다각형 1차코일을 구성하거나 이를 제조하여 2차 코일을 구성 및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물론이다.

Claims (7)

  1. 종래와 같이, 백금, 은, 금, 팔라듐 또는 텅스턴 등의 재질의 와이어(7)로 나선형으로 형성한 1차 코일(1)을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 한 다음, 이를 다시 나선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이 나선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하여 2차 코일(2)로 이루어지는 나선형의 코일(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7)로 나선상으로 감아서 형성되는 1차 코일(1)이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위 나선 코일(11)을 다수개의 모서리부(14)를 갖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다각형1차 코일(12)로 형성하여 그 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한 것으로 다각형 2차코일(1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14)는 끝단이 만곡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1차코일(12)의 형태가 삼각형 1차코일(15), 사각형 1차 코일(16), 오각형 1차 코일(17) 또는 육각형 1차 코일(18)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다각형 1 차코일(12)이 가지는 다수개의 모서리부(14)가 다각형 2차 코일(13)의 전체에서 각각 표면상에 다수개의 표면나선부(19)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5. 백금, 은, 금, 팔라듐 또는 텅스턴 등의 재질의 와이어(7)로 다수개의 모서리(30)를 가지는 단면 다각형의 지그(31)상에 나선상으로 감는 다음 그 감은 형상을 기억하도록 열처리하여 다수개의 모서리부(14)를 가진 다각형 1차코일(12)을 완성한 다음,
    상기 다각형 1차 코일(12)을 이용하여 나선상으로 감아 다각형 2차 코일(13)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다각형 2차코일(13)의 표면에는 표면나선부(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그(31)는 삼각형 지그, 4각형 지그, 5각형 지그 또는 6각형 지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 방법.
PCT/KR2011/000770 2010-12-27 2011-02-07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WO20120912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93A KR101250448B1 (ko) 2010-12-27 2010-12-27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KR10-2010-0135693 2010-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212A1 true WO2012091212A1 (ko) 2012-07-05

Family

ID=4638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0770 WO2012091212A1 (ko) 2010-12-27 2011-02-07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0448B1 (ko)
WO (1) WO2012091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188A1 (en) * 2014-09-15 2016-03-24 Jones Donald K Intralumenal occlusion devices having improved propert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1405A2 (en) * 2006-04-17 2007-10-25 Micro Therapeu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positioning intravascular implants
JP2007536943A (ja) * 2004-01-22 2007-12-20 マイクロヴェン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脈瘤治療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90018962A (ko) * 2006-06-15 2009-02-24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팽창성 중합체로 제조된 색전술용 장치
KR20100107255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엠비메디텍 뇌동맥류의 색전 치료를 위해 복잡한 모양의 코일망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나선형의 분리형 코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949A (en) 1996-03-14 1997-07-22 Target Therapeutics, Inc. Variable cross-section conical vasoocclusive coils
US8870908B2 (en) 2007-08-17 2014-10-28 DePuy Synthes Products, LLC Twisted primary coil for vascular therap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6943A (ja) * 2004-01-22 2007-12-20 マイクロヴェン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脈瘤治療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WO2007121405A2 (en) * 2006-04-17 2007-10-25 Micro Therapeu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positioning intravascular implants
KR20090018962A (ko) * 2006-06-15 2009-02-24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팽창성 중합체로 제조된 색전술용 장치
KR20100107255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엠비메디텍 뇌동맥류의 색전 치료를 위해 복잡한 모양의 코일망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나선형의 분리형 코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188A1 (en) * 2014-09-15 2016-03-24 Jones Donald K Intralumenal occlusion devices having improved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13A (ko) 2012-07-05
KR101250448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6753A2 (ko)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US10857589B2 (en) Three-dimensional complex coil
US1130470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defects
US20210282784A1 (en) Occlusive Device
CA2736789C (en) Self- expandable aneurysm filling device and system
EP1035808B1 (en) Multi-stranded micro-cable in particular for vasoocclusive device for treatment of aneurysms
WO2012161509A1 (ko) 뇌동맥류의 코일 색전술을 위한 스텐트
JP4074432B2 (ja) 血管閉塞コイル
JP2009516547A5 (ko)
EP1292234A2 (en) Three dimensional, low friction coil,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20139544A2 (en) Shape adaptable multi-layered intra-saccular flow reduction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EP2755574A1 (en) Vaso-occlusive device
WO2012091212A1 (ko)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과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제조방법
KR20100107255A (ko) 뇌동맥류의 색전 치료를 위해 복잡한 모양의 코일망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나선형의 분리형 코일
EP3902486A2 (en) Devices for treating vascular malformations
AU2012202380A1 (en) Three-dimensional complex coil
JP7423865B2 (ja) 血管閉塞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20110091920A (ko) 색전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WO2023091852A1 (en) Vaso-occlusive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539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539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