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43980A1 -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 Google Patents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43980A1
WO2012043980A1 PCT/KR2011/005723 KR2011005723W WO2012043980A1 WO 2012043980 A1 WO2012043980 A1 WO 2012043980A1 KR 2011005723 W KR2011005723 W KR 2011005723W WO 2012043980 A1 WO2012043980 A1 WO 20120439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avelength
image
polarization stat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7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Lee Chun Suc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Chun Suck filed Critical Lee Chun Suck
Publication of WO20120439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439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Definitions

  • FIGS. 13A and 1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stereoscopic image projection method using a projection stereoscopic image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liquid crystal driver 622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driver 624 may arrange the liquid cryst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liquid crystal driving voltages VL1 and VL2 and the third and fourth liquid crystal driving voltages VL3 and VL4. Except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olarization module 600 of the projection-type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 the right eye image RI polarized in the fourth polarization state transmits the sixth wavelength ⁇ 6 while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of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624c changed into the fourth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the fourth liquid crystal driving voltage VL4.
  • Phase-delay by and polarizes to a sixth polarization state for example a fourth elliptical polarization EP4.
  • the right eye image RI linearly polarized in the first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LP1 is phase-delayed by the second wavelength ⁇ 2 by the liquid crystal driver 2320 such that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for example, the first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 Linearly polariz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LP1). That is, the right eye image RI linearly polarized by the linear polarizer 2310 in the first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LP1 transmits the liquid crystal of the liquid crystal layer 2320c changed to the second array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liquid crystal driving voltage VL2. While being phase-delayed by the second wavelength ⁇ 2 and linearly polarized to the second polarization state.
  • the first image is delayed by the first wavelength ⁇ 1 by the polarization module 2300 and thus the screen 450
  •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450 by being delayed by the second wavelength ⁇ 2 by the polarization module 23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filters 410 and 420 are dispos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and the first image is delayed by the second wavelength ⁇ 2 to be projected onto the screen 450, and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It may be delayed by the first wavelength ⁇ 1 and projected onto the screen 450.
  • the left eye image LI linearly polarized in the second linear polarization direction LP2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450 such that the viewer views the left eye image projected onto the screen 450 through the first filter 910 of the stereoscopic glasses 3900. You see only (LI).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 모듈;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거나,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는 편광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과 상기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편광 모듈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본 발명은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영상 투사 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한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시스템은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기술을 적용하여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제공하여 시청자가 3차원의 생동감과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영상 시스템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는 2차원의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의 각각에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양안 시차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시청자는 3차원 이미지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두 눈의 망막을 통해 각각 인지함으로써 입체감이 있는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최근, 극장 또는 영화관에서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입체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복수의 관람객이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2대의 투사 장치(Projector)를 사용하여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나누어 스크린에 투사하게 되고, 관람객은 편광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관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2대의 투사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2대의 투사 장치의 위치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입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영상 투사 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한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 모듈;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거나,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는 편광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과 상기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편광 모듈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 모듈;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거나,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과 다른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는 편광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편광 모듈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은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1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2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1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과 다른 제 2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2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파장과 상기 제 2 파장은 λ/2(반파장)의 위상 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파장은 (2n-1)λ/2(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2)λ/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파장은 (2n+1)λ/4(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1)λ/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과 편광 모듈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액정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액정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200), 편광 모듈(300), 및 입체 안경(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투사 모듈(100)은 입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은 좌안 영상으로써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되고, 제 2 영상은 우안 영상으로써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30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300)에 공급되고,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300)에 공급된다.
편광 모듈(300)은 선편광부(310) 및 액정 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편광부(310)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모듈(100)로부터 투사되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액정 모듈(32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3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3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2(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으며, 제 2 파장(λ2)은 (2n-2)λ/2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액정 모듈(320)의 투과에 의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과 액정 모듈(320)의 투과에 의해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스크린(450)에 교번적으로 투사된다. 이를 위해, 액정 모듈(320)은 제 1 액정 구동부(322), 및 제 2 액정 구동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액정 구동부(3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322a),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322b), 및 제 1 액정층(32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322a)은 제 1 액정층(322c)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322a)은 선편광부(3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322b)은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322a)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어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 또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322c)에 전계를 형성한다.
제 1 액정층(322c)은 초기 배열 상태를 가지도록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322b)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때, 초기 배열 상태의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은 선편광부(310)의 선편광 방향에 45°가 되는 광축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은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322b)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의 의해 초기 배열 상태에서 제 1 배열 상태 또는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른 전계에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반면에,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른 전계에 의해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여기서, 제 3 파장(λ3)은 제 1 파장(λ1) 이하의 값을 가지며, 제 4 파장(λ4)은 제 2 파장(λ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액정 구동부(322)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액정층(322c)을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3 편광 상태는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액정 구동부(322)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322c)을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4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이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하면, 액정의 광축이 선편광부(3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게 됨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322)를 투과한 제 2 영상은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상태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다시 도 1에서, 제 2 액정 구동부(3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324a),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324b), 및 제 2 액정층(32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324a)은 제 2 액정층(324c)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324a)은 제 1 액정 구동부(3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324b)은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324a)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어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프레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 또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324c)의 배열을 변화시킨다.
제 2 액정층(324c)은 초기 배열 상태를 가지도록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324b)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때, 초기 배열 상태의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은 제 1 액정층(322c)의 광축에 수직한 광축을 가지거나, 선편광부(310)의 선편광 방향에 135°가 되는 광축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은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324b)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의 의해 초기 배열 상태에서 제 3 배열 상태 또는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른 전계에 의해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반면에,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른 전계에 의해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여기서, 제 5 파장(λ5)은 제 1 파장(λ1)과 제 3 파장(λ3)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1 파장(λ1)은 제 3 파장(λ3)과 제 5 파장(λ5)의 합이 된다. 또한, 제 6 파장(λ6)은 제 2 파장(λ2)과 제 4 파장(λ4)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2 파장(λ2)은 제 4 파장(λ4)과 제 6 파장(λ6)의 합이 된다.
이러한, 제 2 액정 구동부(324)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액정층(324c)을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322)에 의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1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액정 구동부(324)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324c)을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322)에 의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2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이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하면, 액정의 광축이 선편광부(3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게 됨으로써 제 2 액정 구동부(324)를 투과한 제 2 영상은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상태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상술한 액정 모듈(320)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의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322, 32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결과적으로,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액정 모듈(320)은 입사 영상을 반파장 위상 지연시키는 반파장 판(Half Wave Plate)과 동일한 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액정층(322c, 324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90°회전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그리고, 액정 모듈(320)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의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322, 32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시키거나 편광 없이 그대로 투과시킨다. 결과적으로,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액정 모듈(32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322, 324)의 구동에 따라 선편광부(3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도록 제 1 및 제 2 액정층(322c, 324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투과시킨다.
다시 도 1에서, 입체 안경(400)은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필터(410)는 액정 모듈(32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1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필터(410)는 선편광부(310)의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선편광 방향을 가지는 선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필터(410)를 투과하는 제 1 영상,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을 보게 된다.
제 2 필터(420)는 액정 모듈(32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2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필터(420)는 선편광부(310)의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선편광 방향을 가지는 선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필터(420)를 투과하는 제 2 영상, 예를 들어 우안 영상을 보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도 1과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액정 모듈(32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3 파장(λ3)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 예를 들어 타원 편광(EP)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5 파장(λ5)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1 필터(4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4b를 도 1과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액정 모듈(32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선편광부(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4 파장(λ4)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6 파장(λ6)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2 필터(4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3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3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400)의 제 1 및 제 2 필터(410, 4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100)과 편광 모듈(300)을 통해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스크린(450)에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500), 편광 모듈(600), 및 입체 안경(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구동 제어부(500), 및 편광 모듈(60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구동 제어부(5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60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600)에 공급되고,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6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편광 모듈(300)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과 다른 전압 값을 갖는다.
편광 모듈(600)은 선편광부(610) 및 액정 모듈(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편광부(610)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모듈(100)로부터 투사되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액정 모듈(62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3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6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2(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으며, 제 2 파장(λ2)은 (2n-2)λ/2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액정 모듈(620)의 투과에 의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과 액정 모듈(620)의 투과에 의해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스크린(450)에 교번적으로 투사된다.
이를 위해, 액정 모듈(620)은 제 1 액정 구동부(622), 및 제 2 액정 구동부(6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622a),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622b), 및 제 1 액정층(62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622a)은 제 1 액정층(622c)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622a)은 선편광부(6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622b)은 한 쌍의 제 1 투명 기판(622a)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어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 또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에 전계를 형성한다.
제 1 액정층(622c)은 초기 배열 상태를 가지도록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622b)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때, 초기 배열 상태의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은 선편광부(610)의 선편광 방향에 45°가 되는 광축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은 한 쌍의 제 1 투명 전극(622b)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의 의해 초기 배열 상태에서 제 1 배열 상태 또는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른 전계에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반면에,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른 전계에 의해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여기서, 제 3 파장(λ3)은 제 1 파장(λ1) 이하의 값을 가지며, 제 4 파장(λ4)은 제 2 파장(λ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을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3 편광 상태는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을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4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이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하면, 액정의 광축이 선편광부(6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게 됨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를 투과한 제 2 영상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상태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다시 도 5에서,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624a),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624b), 및 제 2 액정층(62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624a)은 제 2 액정층(624c)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합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624a)은 제 1 액정 구동부(6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624b)은 한 쌍의 제 2 투명 기판(624a)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어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프레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 또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의 배열을 변화시킨다.
제 2 액정층(624c)은 초기 배열 상태를 가지도록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624b)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때, 초기 배열 상태의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은 제 1 액정층(622c)의 광축에 평행한 광축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은 한 쌍의 제 2 투명 전극(624b)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의 의해 초기 배열 상태에서 제 3 배열 상태 또는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른 전계에 의해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반면에,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은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른 전계에 의해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다. 여기서, 제 5 파장(λ5)은 제 1 파장(λ1)과 제 3 파장(λ3)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1 파장(λ1)은 제 3 파장(λ3)과 제 5 파장(λ5)의 합이 된다. 또한, 제 6 파장(λ6)은 제 2 파장(λ2)과 제 4 파장(λ4)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2 파장(λ2)은 제 4 파장(λ4)과 제 6 파장(λ6)의 합이 된다.
이러한,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을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에 의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은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을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에 의해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2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이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하면, 액정의 광축이 선편광부(6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게 됨으로써 제 2 액정 구동부(624)를 투과한 제 2 영상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상태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상술한 액정 모듈(620)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의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622, 62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결과적으로,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액정 모듈(620)은 입사 영상을 반파장 위상 지연시키는 반파장 판(Half Wave Plate)과 동일한 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액정층(622c, 624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90°회전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그리고, 액정 모듈(620)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의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622, 62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시키거나 편광 없이 그대로 투과시킨다. 결과적으로,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액정 모듈(62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622, 624)의 구동에 따라 선편광부(6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도록 제 1 및 제 2 액정층(622c, 624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투과시킨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도 5와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액정 모듈(62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3 파장(λ3)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 예를 들어 타원 편광(EP)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5 파장(λ5)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1 필터(4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4b를 도 1과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액정 모듈(62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4 파장(λ4)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6 파장(λ6)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2 필터(4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6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6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400)의 제 1 및 제 2 필터(410, 4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100)과 편광 모듈(300)을 통해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스크린(450)에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700), 편광 모듈(800), 및 입체 안경(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투사 모듈(100)은 입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은 좌안 영상으로써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되고, 제 2 영상은 우안 영상으로써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7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80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800)에 공급되고,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8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구동 제어부(200, 500)로부터 편광 모듈(300, 600)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과 다른 전압 값을 갖는다.
편광 모듈(800)은 선편광부(610) 및 액정 모듈(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편광부(610)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모듈(100)로부터 투사되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액정 모듈(62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6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6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4(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으며, 제 2 파장(λ2)은 (2n-1)λ/4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액정 모듈(620)의 투과에 의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과 액정 모듈(620)의 투과에 의해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스크린(450)에 교번적으로 투사된다. 이를 위해, 액정 모듈(620)은 제 1 액정 구동부(622), 및 제 2 액정 구동부(6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액정 구동부(622), 및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른 액정의 배열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편광 모듈(6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70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을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3 편광 상태는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700)로부터 공급되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을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4 편광 상태는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7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을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에 의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은 빛을 따라가면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좌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5 파장(λ5)은 제 1 파장(λ1)과 제 3 파장(λ3)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1 파장(λ1)은 제 3 파장(λ3)과 제 5 파장(λ5)의 합이 된다.
그리고,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700)로부터 공급되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을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에 의해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2 편광 상태는 빛을 따라가면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우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6 파장(λ6)은 제 2 파장(λ2)과 제 4 파장(λ4)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2 파장(λ2)은 제 4 파장(λ4)과 제 6 파장(λ6)의 합이 된다.
상술한 액정 모듈(620)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의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622, 62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시켜 좌원 편광으로 편광시킨다. 결과적으로,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액정 모듈(620)은 입사 영상을 사분의 일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사분의 일 파장 판(Quarter Wave Plate)과 동일한 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액정층(622c, 624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좌원 편광으로 편광시킨다.
그리고, 액정 모듈(620)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의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부(622, 62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시켜 우원 편광으로 편광시킨다. 결과적으로,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액정 모듈(620)은 입사 영상을 사분의 일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사분의 일 파장판과 동일한 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제 1 및 제 2 액정층(622c, 624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우원 편광으로 편광시킨다.
입체 안경(900)은 제 1 필터(910), 및 제 2 필터(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필터(910)는 편광 모듈(80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1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필터(910)는 좌원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필터(910)를 투과하는 제 1 영상,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을 보게 된다.
제 2 필터(920)는 편광 모듈(80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2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필터(920)는 우원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필터(920)를 투과하는 제 2 영상, 예를 들어 우안 영상을 보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도 8과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액정 모듈(62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좌원 편광으로 편광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3 파장(λ3)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 예를 들어 타원 편광(EP)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5 파장(λ5)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좌원 편광(LCP)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1 필터(9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9b를 도 8과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액정 모듈(62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우원 편광으로 편광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선편광부(6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4 파장(λ4)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 예를 들어 타원 편광(EP)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6 파장(λ6)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우원 편광(RCP)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2 필터(9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8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8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900)의 제 1 및 제 2 필터(910, 9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100)과 편광 모듈(800)을 통해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스크린(450)에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1000), 편광 모듈(1100), 및 입체 안경(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투사 모듈(100)은 입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은 좌안 영상으로써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되고, 제 2 영상은 우안 영상으로써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110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1100)에 공급되고,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11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구동 제어부(200, 500, 700)로부터 편광 모듈(300, 600, 800)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과 다른 전압 값을 갖는다.
편광 모듈(110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4(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으며, 제 2 파장(λ2)은 (2n-1)λ/4가 될 수 있다. 상기의 편광 모듈(1100)에 의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과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스크린(450)에 교번적으로 투사된다. 이를 위해, 편광 모듈(1100)은 선편광부(1110), 액정 모듈(1120), 및 위상 지연부(1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편광부(1110)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모듈(100)로부터 투사되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액정 모듈(1120)은 제 1 액정 구동부(322), 및 제 2 액정 구동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액정 구동부(322), 및 제 2 액정 구동부(324)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른 액정의 배열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편광 모듈(3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 1 액정 구동부(322)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00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액정층(322c)을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11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3 편광 상태는 제 1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액정 구동부(322)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000)로부터 공급되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322c)을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11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4 편광 상태는 제 2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제 2 액정 구동부(324)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0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액정층(324c)을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322)에 의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5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5 편광 상태는 제 3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액정 구동부(324)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000)로부터 공급되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324c)을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322)에 의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6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6 편광 상태는 제 4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위상 지연부(1130)는 선편광부(1110)의 선편광 방향에 45°가 되는 광축을 가지거나, 제 1 액정층(322c)의 광축에 평행한 광축을 갖는 위상 지연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액정 모듈(11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의 위상 지연부(1130)는 액정 모듈(11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제 5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이 제 7 파장(λ7)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은 좌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7 파장(λ7)은 제 1 파장(λ1)에서 제 3 파장(λ3)과 제 5 파장(λ5)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1 파장(λ1)은 제 3 파장(λ3), 제 5 파장(λ5), 및 제 7 파장(λ7)의 합이 된다. 그리고, 제 3 파장(λ3), 제 5 파장(λ5), 및 제 7 파장(λ7)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상 지연부(1130)는 액정 모듈(11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제 6 편광 상태의 제 2 영상이 제 8 파장(λ8)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2 편광 상태는 우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8 파장(λ8)은 제 2 파장(λ2)에서 제 4 파장(λ4)과 제 6 파장(λ6)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2 파장(λ2)은 제 4 파장(λ4), 제 6 파장(λ6), 및 제 8 파장(λ8)의 합이 된다. 그리고, 제 4 파장(λ4), 제 6 파장(λ6), 및 제 8 파장(λ8)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입체 안경(900)은 제 1 필터(910), 및 제 2 필터(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필터(910)는 편광 모듈(80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1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필터(910)는 좌원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필터(910)를 투과하는 제 1 영상,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을 보게 된다.
제 2 필터(920)는 편광 모듈(80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2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필터(920)는 우원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필터(920)를 투과하는 제 2 영상, 예를 들어 우안 영상을 보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를 도 10과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11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선편광부(11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3 파장(λ3)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타원 편광(EP1)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5 파장(λ5)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5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3 타원 편광(EP3)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위상 지연부(1130)를 투과하면서 제 7 파장(λ7)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좌원 편광(LCP)으로 편광된다. 즉,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편광 모듈(1100)을 투과하면서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스크린(450)에 투사된다.
이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1 필터(9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11b를 도 10과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11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선편광부(11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3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4 파장(λ4)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2 타원 편광(EP2)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3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6 파장(λ6)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6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4 타원 편광(EP4)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6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위상 지연부(1130)를 투과하면서 제 8 파장(λ8)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우원 편광(RCP)으로 편광된다. 즉,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편광 모듈(1100)을 투과하면서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스크린(450)에 투사된다.
이어,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2 필터(9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11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11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900)의 제 1 및 제 2 필터(910, 9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100)과 편광 모듈(1100)을 통해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스크린(450)에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1200), 편광 모듈(1300), 및 입체 안경(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투사 모듈(100)은 입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은 좌안 영상으로써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되고, 제 2 영상은 우안 영상으로써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2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130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1300)에 공급되고,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13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구동 제어부(200, 500, 700, 1000)로부터 편광 모듈(300, 600, 800, 1100)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 각각과 다른 전압 값을 갖는다.
편광 모듈(1300)은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4(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으며, 제 2 파장(λ2)은 (2n-1)λ/4가 될 수 있다. 상기의 편광 모듈(1100)에 의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과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스크린(450)에 교번적으로 투사된다. 이를 위해, 편광 모듈(1300)은 선편광부(1310), 액정 모듈(1320), 및 위상 지연부(1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편광부(1310)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모듈(100)로부터 투사되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액정 모듈(1320)은 제 1 액정 구동부(622), 및 제 2 액정 구동부(6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액정 구동부(622), 및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VL3, VL4)에 따른 액정의 배열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편광 모듈(6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을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1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3 파장(λ3)만큼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3 편광 상태는 제 1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액정 구동부(622)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3 액정 구동 전압(VL3)에 따라 제 1 액정층(622c)을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1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4 파장(λ4)만큼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4 편광 상태는 제 2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을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에 의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5 파장(λ5)만큼 지연되어 제 5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5 편광 상태는 제 3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액정 구동부(624)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1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2 액정층(624c)을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액정 구동부(622)에 의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6 파장(λ6)만큼 지연되어 제 6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6 편광 상태는 제 4 타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위상 지연부(1330)는 선편광부(1310)의 선편광 방향에 -45°가 되는 광축을 가지거나, 제 1 액정층(622c)의 광축에 수직한 광축을 갖는 위상 지연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액정 모듈(13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의 위상 지연부(1330)는 액정 모듈(1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제 5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이 제 7 파장(λ7)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은 좌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7 파장(λ7)은 제 1 파장(λ1)에서 제 3 파장(λ3)과 제 5 파장(λ5)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1 파장(λ1)은 제 3 파장(λ3), 제 5 파장(λ5), 및 제 7 파장(λ7)의 합이 된다. 그리고, 제 3 파장(λ3), 제 5 파장(λ5), 및 제 7 파장(λ7)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상 지연부(1330)는 액정 모듈(1320)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제 6 편광 상태의 제 2 영상이 제 8 파장(λ8)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2 편광 상태는 우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8 파장(λ8)은 제 2 파장(λ2)에서 제 4 파장(λ4)과 제 6 파장(λ6)의 차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제 2 파장(λ2)은 제 4 파장(λ4), 제 6 파장(λ6), 및 제 8 파장(λ8)의 합이 된다. 그리고, 제 4 파장(λ4), 제 6 파장(λ6), 및 제 8 파장(λ8)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입체 안경(900)은 제 1 필터(910), 및 제 2 필터(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필터(910)는 편광 모듈(80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1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필터(910)는 좌원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필터(910)를 투과하는 제 1 영상,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을 보게 된다.
제 2 필터(920)는 편광 모듈(800)을 투과하여 스크린(450)에 투사된 제 2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필터(920)는 우원 편광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필터(920)를 투과하는 제 2 영상, 예를 들어 우안 영상을 보게 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를 도 12와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1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선편광부(1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3 파장(λ3)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3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타원 편광(EP1)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3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5 파장(λ5)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5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3 타원 편광(EP3)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위상 지연부(1330)를 투과하면서 제 7 파장(λ7)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좌원 편광(LCP)으로 편광된다. 즉,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편광 모듈(1300)을 투과하면서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스크린(450)에 투사된다.
이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1 필터(9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13b를 도 12와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1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선편광부(1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1 액정층(622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4 파장(λ4)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4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2 타원 편광(EP2)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4 액정 구동 전압(VL4)에 따라 제 4 배열 상태로 변화된 제 2 액정층(624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6 파장(λ6)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6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4 타원 편광(EP4)으로 편광된다.
이어, 제 6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위상 지연부(1330)를 투과하면서 제 8 파장(λ8)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우원 편광(RCP)으로 편광된다. 즉,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편광 모듈(1300)을 투과하면서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스크린(450)에 투사된다.
이어,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2 필터(9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13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13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900)의 제 1 및 제 2 필터(910, 9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100)과 편광 모듈(1300)을 통해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스크린(450)에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2200), 편광 모듈(2300), 및 입체 안경(2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투사 모듈(100)은 입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은 좌안 영상으로써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되고, 제 2 영상은 우안 영상으로써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투사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2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23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2300)에 공급되고,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23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다른 전압 값을 갖는다.
편광 모듈(2300)은 선편광부(2310) 및 액정 구동부(2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편광부(2310)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영상 투사 모듈(100)로부터 투사되는 제 1 영상 또는 제 2 영상을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액정 구동부(2320)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23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선편광부(2310)에 의해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2(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으며, 제 2 파장(λ2)은 (2n-2)λ/2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액정 구동부(2320)의 투과에 의해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 및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스크린(450)에 교번적으로 투사된다. 이를 위해, 액정 구동부(2320)는 한 쌍의 투명 기판(2320a), 한 쌍의 투명 전극(2320b), 및 액정층(232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액정 구동부(2320)는 도면 부호만 다를 뿐, 도 2에 도시된 제 1 액정 구동부(322) 또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액정 구동부(32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액정 구동부(23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액정 구동부(2320)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액정층(2320c)을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상의 제 1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 구동부(2320)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구동 제어부(2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액정층(2320c)을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상의 제 2 편광 상태는 제 1 선편광 방향에 평행한 선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액정층(2320c)의 액정이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하면, 액정의 광축이 선편광부(23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게 됨으로써 액정 구동부(2320)를 투과한 제 2 영상은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상태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상술한 액정 구동부(2320)는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입사 영상을 반파장 위상 지연시키는 반파장 판(Half Wave Plate)과 동일한 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액정층(2320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1 영상을 90°회전시켜 제 1 선편광 방향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반면에, 액정 구동부(2320)는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선편광부(2310)의 선편광 방향에 평행하도록 액정층(2320c)의 액정을 배열시킴으로써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입사되는 제 2 영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투과시킨다.
입체 안경(2400)은 제 1 필터(410), 및 제 2 필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입체 안경(24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입체 안경(4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를 도 14와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액정 구동부(232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수직한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다. 즉,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액정층(2320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1 필터(4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15b를 도 14와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액정 구동부(232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 예를 들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즉,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된 액정층(2320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제 2 필터(4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23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23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2400)의 제 1 및 제 2 필터(410, 4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은 하나의 영상 투사 모듈(100)과 편광 모듈(2300)을 통해 제 1 및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스크린(450)에 투사함으로써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영상 투사 모듈(100), 구동 제어부(3200), 편광 모듈(2300), 및 입체 안경(3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은 구동 제어부(3200) 및 입체 안경(390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구동 제어부(3200)는 프레임 단위로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편광 모듈(230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은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2300)에 공급되고,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은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편광 모듈(23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의 구동 제어부(2200)로부터 편광 모듈(2300)에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VL1, VL2)과 다른 전압 값을 갖는다.
입체 안경(3900)은 제 1 필터(910), 및 제 2 필터(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입체 안경(39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입체 안경(9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를 도 16과 결부하여 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1 영상(이하, "좌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좌안 영상(L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좌안 영상(LI)은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액정 구동부(232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LCP), 예를 들어, 좌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제 1 액정 구동 전압(VL1)에 따라 제 1 배열 상태로 변화된 액정층(2320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1 파장(λ1)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원편광된다. 여기서, 제 1 파장(λ1)은 (2n+1)λ/4(단, n은 자연수)가 될 수 있다.
이어, 제 2 선편광 방향(LP2)으로 선편광된 좌안 영상(L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입체 안경(3900)의 제 1 필터(91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좌안 영상(LI)만을 보게 된다.
도 17b를 도 16과 결부하여 우수번째 프레임 동안 제 2 영상(이하, "우안 영상"이라 함)의 투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우안 영상(RI)을 투사한다.
이어, 영상 투사 모듈(100)에서 투사되는 우안 영상(RI)은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액정 구동부(232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RCP), 예를 들어, 우원 편광이 될 수 있다. 즉, 선편광부(2310)에 의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제 2 액정 구동 전압(VL2)에 따라 제 2 배열 상태로 변화된 액정층(2320c)의 액정을 투과하면서 제 2 파장(λ2)만큼 위상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원편광된다. 여기서, 제 2 파장(λ2)은 (2n-1)λ/4가 될 수 있다.
이어, 제 1 선편광 방향(LP1)으로 선편광된 우안 영상(RI)은 스크린(450)에 투사됨으로써 관람자는 입체 안경(3900)의 제 2 필터(920)를 통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우안 영상(RI)만을 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투사 방법에서는 제 1 영상이 편광 모듈(2300)에 의해 제 1 파장(λ1)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고, 제 2 영상이 편광 모듈(2300)에 의해 제 2 파장(λ2)만큼 지연되어 스크린(450)에 투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 안경(3900)의 제 1 및 제 2 필터(910, 920) 각각의 편광 방향으로 서로 바꾸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의 제 1 영상을 제 2 파장(λ2)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하고, 상기의 제 2 영상을 제 1 파장(λ1)만큼 지연시켜 스크린(450)에 투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4)

  1.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 모듈;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거나,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는 편광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과 상기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편광 모듈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과 상기 제 2 파장은 λ/2(반파장)의 위상 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2(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2)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모듈은,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 또는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선편광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상기 제 1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상기 제 2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액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모듈은,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3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3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4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제 1 액정 구동부; 및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5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6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제 2 액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4(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1)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모듈은,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3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3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4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제 1 액정 구동부; 및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5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6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제 2 액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상기 제 3 파장과 상기 제 5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파장과 상기 제 5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장은 상기 제 4 파장과 상기 제 6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파장과 상기 제 6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모듈은,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 또는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선편광부;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3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3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4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제 1 액정 구동부;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5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6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6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제 2 액정 구동부; 및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이 상기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상기 제 2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7 파장만큼 지연시키거나,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이 상기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상기 제 2 액정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6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8 파장만큼 지연시키는 위상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1.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과 상기 제 2 액정층의 액정은 서로 수직한 광축을 가지도록 초기 배열되고,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선편광부의 편광 방향에 45°가 되는 광축을 가지도록 초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2. 제 5 항,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과 상기 제 2 액정층의 액정은 서로 평행한 광축을 가지도록 초기 배열되고,
    상기 제 1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선편광부의 편광 방향에 45°가 되는 광축을 가지도록 초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상기 제 3 파장, 상기 제 5 파장, 및 제 7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파장, 상기 제 5 파장 및 상기 제 7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장은 상기 제 4 파장, 상기 제 6 파장, 및 제 8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파장, 상기 제 6 파장, 및 제 8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 상태의 제 1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2 편광 상태의 제 2 영상만을 투과시키는 제 2 필터를 가지는 입체 안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6.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교번적으로 투사하는 영상 투사 모듈;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이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거나,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이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과 다른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는 편광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을 교번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편광 모듈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2(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2)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4(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1)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모듈은,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 또는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선편광부; 및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상기 제 1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거나,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상기 제 2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액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20. 서로 같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1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서로 같거나 다른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2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및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과 상기 제 2 파장은 λ/2(반파장)의 위상 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2(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2)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4(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1)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3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5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상기 제 3 파장과 상기 제 5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파장과 상기 제 5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6.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3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4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6 파장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장은 상기 제 4 파장과 상기 제 6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파장과 상기 제 6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8.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3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3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5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이 상기 제 1 파장만큼 지연되어 상기 제 1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위상 지연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5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7 파장만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상기 제 3 파장, 상기 제 5 파장, 및 제 7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파장, 상기 제 5 파장 및 상기 제 7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30.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는,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3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1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4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4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제 2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제 4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6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6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이 상기 제 2 파장만큼 지연되어 상기 제 2 편광 상태로 투과되도록 위상 지연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6 편광 상태로 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8 파장만큼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장은 상기 제 4 파장, 상기 제 6 파장, 및 제 8 파장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4 파장, 상기 제 6 파장, 및 제 8 파장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32. 제 1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1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1 영상의 위상을 제 1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1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액정 구동 전압과 다른 제 2 액정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한 프레임의 제 2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선편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액정 구동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상기 선편광된 제 2 영상의 위상을 제 2 파장만큼 지연시켜 제 2 편광 상태로 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2(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2)λ/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2n+1)λ/4(단, n은 자연수)이고,
    상기 제 2 파장은 (2n-1)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PCT/KR2011/005723 2010-09-30 2011-08-04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WO201204398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428A KR101188595B1 (ko) 2010-09-30 2010-09-30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KR10-2010-0095428 2010-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3980A1 true WO2012043980A1 (ko) 2012-04-05

Family

ID=4589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723 WO2012043980A1 (ko) 2010-09-30 2011-08-04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8595B1 (ko)
WO (1) WO2012043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451B1 (ko) * 2014-04-11 2014-10-22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위상지연 방식을 이용한 고휘도 입체영상상영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1675435B1 (ko) 2015-05-11 2016-11-22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변조기 비대칭 구동을 이용한 고휘도 입체영상상영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2155448B1 (ko) 2019-05-10 2020-09-11 정용비 액정 패널 스위칭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편광 변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89A (ko) * 1998-07-13 2000-02-07 정용철 입체 영상 프로젝터
KR20080042490A (ko) * 2006-11-10 2008-05-15 (주)마스터이미지 원편광필터, 입체영상 프로젝터 시스템, 입체영상상영시스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상영 시스템
KR20090014921A (ko) * 2007-08-07 2009-02-11 (주)비노시스 입체 영상 투사 시스템 및 입체 영상 투사용 장치
KR20090014922A (ko) * 2007-08-07 2009-02-11 (주)비노시스 입체 영상 투사 시스템 및 입체 영상 투사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89A (ko) * 1998-07-13 2000-02-07 정용철 입체 영상 프로젝터
KR20080042490A (ko) * 2006-11-10 2008-05-15 (주)마스터이미지 원편광필터, 입체영상 프로젝터 시스템, 입체영상상영시스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상영 시스템
KR20090014921A (ko) * 2007-08-07 2009-02-11 (주)비노시스 입체 영상 투사 시스템 및 입체 영상 투사용 장치
KR20090014922A (ko) * 2007-08-07 2009-02-11 (주)비노시스 입체 영상 투사 시스템 및 입체 영상 투사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595B1 (ko) 2012-10-05
KR20120033738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3874A2 (ko)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안경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WO2014163322A1 (ko) 입체 영상 장치
WO2014109479A1 (en) Display apparatus, shutter glasses, display method, and method for operating glasses apparatus
WO2012044130A2 (ko) 배리어를 이용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8155766A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WO2010151044A2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WO2010076933A1 (ko) 이차원 영상과 3d 영상의 통합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WO2013100722A1 (en) Glasses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verting mode of display apparatus
WO2012057434A1 (en)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and glasses
EP2286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data stream by using camera paramet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stereoscopic image by using camera parameter
WO2014180309A1 (zh) 显示均匀补偿方法、光调制装置、信号处理器和投影系统
WO2019117652A1 (en) Prism apparatus,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2010070A1 (ko)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43980A1 (ko)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WO2020004837A1 (ko) 자동 편광 조절 장치 및 방법
EP322502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2008750A2 (ko) 편광 안경
WO201616378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3174248A1 (zh) 立体显示装置
WO2013115620A1 (en) Glass apparatus for watching polarized image
WO2010027155A2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16017885A1 (en) Screen and laser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3159421A1 (zh) 液晶显示模组差分信号接收终端异常的检测方法及装置
WO2015163598A2 (en) Backlight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2116569A1 (zh) 偏光眼镜、偏光滤波器、投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294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294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